KR100337797B1 - 차량용 스포일러의 취부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스포일러의 취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7797B1
KR100337797B1 KR1019990044769A KR19990044769A KR100337797B1 KR 100337797 B1 KR100337797 B1 KR 100337797B1 KR 1019990044769 A KR1019990044769 A KR 1019990044769A KR 19990044769 A KR19990044769 A KR 19990044769A KR 100337797 B1 KR100337797 B1 KR 1003377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iler
mounting
mounting member
vehicle
mount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4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0363A (ko
Inventor
최영관
Original Assignee
남홍
모야플라스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홍, 모야플라스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남홍
Priority to KR10199900447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7797B1/ko
Publication of KR20000000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03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77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77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5/00Vehicle bodies characterised by streamlining
    • B62D35/007Rear spoi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후방에 스포일러를 취부하기 위해 비교적 낮은 높이와 작은 너비를 갖도록 설계된 스포일러취부부재를 적용하여 형성된 차량용 스포일러의 취부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스포일러취부부재는 너트형과 볼트형으로 대별되고, 상기 너트형의 스포일러취부부재는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스포일러의 저면에 수지매립되는 직방체 형상의 상부체와, 그 상부체에 비해 다소 작은 치수를 갖고서 결합되고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된 하부체 및, 상기 상부체와 하부체에 선택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스포일러의 취부를 위한 스크류를 지지하기 위한 스크류고정편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스포일러취부부재는 상기 스포일러의 취부구조 형성방향에 따라 길게 배치되어 상기 상부체와 상기 하부체의 경계면이 수지모울딩되어 스포일러를 차량에 취부하기 위한 스포일러 취부구조의 구조적인 강도의 강화 및 안정화를 달성하도록 적용된다.

Description

차량용 스포일러의 취부구조{Air Spoiler Attachment Structure}
본 발명은 차량용 스포일러의 취부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후방(예컨대, 트렁크 리드)에 취부되는 스포일러를 제조하기 위한 에어블로잉(Air blowing)성형시에 그 스포일러의 변형을 초래하지 않는 형태의 스포일러취부부재를 일체로 설치하여서 된 차량용 스포일러의 취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대해서는 고속으로 주행하는 경우에 형성되는 기류에 의해 차체가 노면으로부터 부유되는 현상이 초래되기 쉽고, 그 상태에서는 차체가 기류의 영향에 의해 주행안정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안정적인 제동성에도 불리한 영향을 주게 된다.
그러한 점을 고려하여, 최근에는 차량의 설계사양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성형된 스포일러가 제안되어 실용에 적용된 상태이다.
도 1은 종래의 일예에 따른 스포일러가 차량의 후방(예컨대, 트렁크 리드)에 취부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참조부호 10으로 표시된 차량의 트렁크 리드상에는 예컨대스포일러성형수지에 의해 성형된 스포일러(20)가 취부된다. 그 스포일러(20)는 통상적으로 양단에 트렁크 리드(10)와의 고착시키기 위한 취부구조가 형성되지만, 그 스포일러(20)의 형태에 따라서는 그 중앙위치에도 취부구조가 형성되게 된다.
도 2는 종래의 일예에 따른 스포일러의 취부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 1의 A-A선을 따르는 단면도로서, 상기 트렁크 리드(10)상에 상기 스포일러(20)를 취부하기 위한 구조에 따르면 스포일러(20)의 성형시에 상기 트렁크 리드(10)의 취부위치에 스포일러취부부재로서의 플랜지볼트(30)가 일체로 삽입되어 설치된 상태로 스포일러성형수지가 주입되어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스포일러취부구조에 의하면, 상기 스포일러(20)의 성형시에 헤드부가 일체로 삽입되어 설치된 플랜지볼트(30)가 트렁크 리드(10)를 관통한 상태에서 너트(40)를 체결함에 따라 상기 트렁크 리드(10)상에 스포일러(20)가 취부되게 된다.
그런데, 상기 스포일러(20)의 양단부가 비교적 좁은 치수로 설계되는 경우에는 상기 플랜지볼트(30)의 헤드부의 높이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되는 바, 예컨대 상기 스포일러(20)가 스포일러성형수지의 에어블로잉에 의해 성형되는 경우를 고려하면 상기 스포일러(20)의 성형시에는 그 내측에 일체로 모울딩되는 플랜지볼트(30)의 영향을 받지 않아야만 도 2에서 점선(20a)으로 표시된 형태로 스포일러(20)의 수지두께가 일정하게 형성되지만, 상기 플랜지볼트(30)의 헤드부(32)의 높이(a)가 높거나 상기 플랜지볼트(30)의 너비(b)가 넓을수록 상기 스포일러(20)의 성형을 위한 수지가 도 2에서 실선(20b)으로 표시된 형태로 불균일한 두께를 갖게 된다.
따라서, 상기 헤드부(32)의 높이(a)와 너비(b)가 큰 플랜지볼트(30)를 사용하여 스포일러(20)의 취부구조를 형성하게 되면 상기 플랜지볼트(30)의 영향으로 말미암아 해당하는 스포일러(20)의 측면에서 참조부호 '20c'로 표시된 싱크(Sink)현상이 초래된다.
특히, 상기한 형태의 플랜지볼트(30)가 비교적 내부여유공간이 작은 스포일러(20)의 양단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싱크현상이 더욱 심화되어 상기 스포일러(20)의 취부구조가 상당히 취약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스포일러의 취부위치에서 싱크현상을 초래하지 않으면서 스포일러성형수지의 균일한 에어블로잉이 가능한 형상을 갖는 스포일러취부부재를 일체로 설치하여서 이루어지는 차량용 스포일러의 취부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예에 따르면 차량의 후방(트렁크 리드)에 스포일러를 취부하기 위해 스포일러취부재를 사용하여 형성되는 차량용 스포일러의 취부구조에 있어서, 상기 스포일러취부부재는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스포일러의 저면에 수지매립되는 직방체 형상의 상부체와, 그 상부체에 비해 다소 작은 치수를 갖고서 결합되고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된 하부체 및, 상기 상부체와 하부체에 선택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스포일러의 취부를 위한 스크류를 지지하기 위한 스크류고정편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포일러취부부재는 상기 스포일러의 취부구조 형성방향에 따라 길게 배치되어 상기 상부체와 상기 하부체의경계면이 수지모울딩되어 형성된 차량용 스포일러의 취부구조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부체는 양단이 일정한 각도로 상향절곡된 플랜지형태를 갖고, 상기 스크류고정편은 그 상부체의 이면에서 그 관통공의 주변에 일정한 각도로 내향경사지게 형성된다.
그에 대해, 상기 상부체는 상기 하부체의 일정한 위치에서 절곡되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형태를 갖고, 상기 스크류고정편은 상기 하부체의 관통공 주변에서 일정한 각도로 내향경사지게 형성된다.
또, 상기 상부체는 상기 하부체상에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스크류고정편은 상기 하부체의 관통공 주변에서 일정한 각도로 내향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한 구조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포일러의 취부구조에 의하면 직방체 형상의 상부체와 그 상부체에 결합되는 하부체의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그 관통공의 주변에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도록 스크류고정편이 형성된 비교적 낮은 높이의 스포일러취부부재를 스포일러취부구조의 형성시에 스포일러에 일체로 삽입되어 설치되도록 하여 스포일러의 수지두께의 균일화 및 비교적 좁은 여유공간에서도 최적의 스포일러취부구조의 형성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르면, 차량의 후방(트렁크 리드)에 스포일러를 취부하기 위해 스포일러취부재를 사용하여 형성되는 차량용 스포일러의 취부구조에 있어서, 상기 스포일러취부부재는 주변이 플랜지형태로 연속되게 형성되면서 그 중앙부위에는 직방형상의 요부가 형성된 직방체형상의 베이스와, 그 베이스의 요부상에 고정결착되고 저면에는 소정직경의 원통형 차체관통부와 너트의 체결을 위한 나사부로 이루어진 상부보조패널로 구성되고, 상기 스포일러취부부재는 상기 스포일러의 취부구조 형성방향에 따라 길게 배치하여 상기 베이스의 저면이 노출되도록 상기 스포일러의 저면에 삽입하여 설치되어 구성된 차량용 스포일러의 취부구조가 제공된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포일러의 취부구조에 의하면, 비교적 낮은 높이치수를 가지면서 수지결합력이 강화된 형태의 볼트형 스크류취부부재가 스포일러의 성형시에 일체로 삽입되어 설치됨에 따라 스포일러 취부구조의 구조적인 강도 및 안정화가 달성되게 된다.
도1은 차량에 종래의 일예에 따른 스포일러가 취부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차량용 스포일러에 형성된 취부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 1의 A-A선을 따르는 단면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포일러의 취부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스포일러취부부재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스포일러취부부재가 삽입되어 설치된 상태에서 스포일러가 에어블로잉방식에 의해 형성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포일러의 취부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스포일러취부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스포일러취부부재가 삽입되어 설치된 상태에서 스포일러가 에어블로잉방식에 의해 형성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5a 내지 도 5c는 도 3a에 도시된 스포일러취부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트렁크리드, 20: 스포일러,
50: 스포일러취부부재, 56: 스크류고정편,
70: 스포일러취부부재, 72: 베이스,
80,90,100: 스포일러취부부재.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포일러의 취부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적용되는 스포일러취부부재의 일예를 나타내고,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스포일러취부부재를 삽입되어 설치한 상태에서 형성되는 스포일러의 취부구조 형성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스포일러의 일단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참조부호 50으로 표시된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스포일러취부부재는 양단이 일정한 각도로 상향절곡되고 그 중앙부위가 관통된 직방체 형태의 상부(52)와, 그 상부(52)에 비해 다소 작은 치수를 가지면서 그 중앙부위가 관통된 하부(54) 및, 상기 상부(54)의 이면측에서 그 관통공의 주변에 일정한 각도로 내향적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스크류고정편(56)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스크류고정편(56)은 해당하는 스포일러(20)를 트렁크 리드(10)상에 취부하기 위해 스크류(58)가 상기 트렁크 리드(10)로부터 상기 스포일러취부부재(50)의 상기 하부(54)의 관통공과 상기 상부(52)의 관통공을 통과하여 체결되는 경우에 그 스크류(58)의 나사산에 끼워져 스크류(58)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갖게 된다.
상기한 구조를 갖는 너트형상의 스포일러취부부재(50)를 사용하여 스포일러취부구조를 형성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우선 그 스포일러(20)의 하부형상을 형성하기 위한 금형(도시 생략)내에서 스포일러취부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위치에 대응하여 도 3a에 도시된 상기 스포일러취부부재(50)를 필요한 수량으로 재치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스포일러취부부재(50)는 직방체 형태임에 따라 그 스포일러(20)의 단부형성방향으로 길게 배치하게 되면 그 스포일러(20)의 단부내에서 여유공간이 좁은 경우에도 그다지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그 상태에서, 스포일러(20)의 상부형상을 형성하기 위한 상부금형과 상기 스포일러취부부재(50)가 재치된 하부금형을 밀접시킨 상태에서 스포일러형성수지를 주입하여 에어블로잉을 실행하게 되면 도 3b에 도시된 형태의 스포일러취부구조를 얻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르면 상부(52)와 하부(54)의 높이가 낮으면서 직방체 형태를 갖는 스포일러취부부재(50)를 스포일러(20)의 성형시에 일체로 형성함에 따라 비교적 여유공간이 작은 스포일러(20)의 단부에도 적절하게 적용가능하게 되면서 전체적으로 스포일러의 수지두께가 일정하게 형성되어 도 3b에 도시된 스포일러의 취부구조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스포일러취부부재(50)는 그 상부(52)의 치수가 하부(54)의 치수에 비해 크기 때문에 에어블로잉시에 스포일러성형수지가 상기 상부(52)와 하부(54)의 결합경계면까지 유입되고, 그에 따라 상기 스포일러취부부재(50)의 수지결합력은 더욱 강화되어 상기 스포일러취부구조의 만족할만한 취부강도가 확보되게 된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포일러의 취부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적용되는 스포일러취부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내고,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스포일러취부부재를 삽입되어 설치한 상태에서 형성되는 스포일러의 취부구조 형성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스포일러의 일단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참조부호 70으로 표시된 볼트형상의 스포일러취부부재는 주변이 플랜지형태로 연속되게 형성되면서 그 중앙부위에는 직방형상의 요부(72a)가 형성된 직방체형상의 베이스(72)와, 저면에 소정직경의 원통형 차체관통부(72b)와 너트 체결을 위한 나사부(72c)가 일체로 형성된 상부보조패널(74)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요부(72a)에는 직하방으로 소정의 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보조패널(74)는 스폿 용접 등에 의해 상기 절곡부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보조패널(74)은 상기 베이스(72)에 일체로 고정되고 그 상면에는 소정 깊이의 요홈이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스포일러취부부재(70)를 적용하여 스포일러취부구조를 형성하는 과정은 우선 스포일러(20)의 하부형상을 형성하기 위한 하부금형내에서 스포일러취부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위치에는 도 4a에 도시된 스포일러취부부재(70)를 예컨대 스포일러(20)의 단부형성방향으로 길게 재치시키고나서 스포일러(20)의 상부형상을 형성하기 위한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을 닫아주고, 그 금형내로 스포일러성형수지를 주입하여 에어블로잉하게 된다. 그러면, 스포일러성형수지는 상기 스포일러취부부재(70)의 주변플랜지를 포함하는 위치까지 주입됨에 따라 그 스포일러취부부재(70)가 스포일러(20)에 일체로 매립된 형태로 된다.
따라서, 상기한 스포일러취부부재(70)를 적용하여 형성되는 스포일러(20)는 그 스포일러취부부재(70)의 높이가 낮으면서 직방체 형상임에 따라 비교적 여유공간이 좁은 스포일러(20)의 단부내에도 적절하게 수용되어 도 4b에 도시된 형태의 스포일러취부구조가 얻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스포일러취부구조를 갖는 스포일러(20)를 차량에 취부하는 경우에는 트렁크 리드(10)에 형성된 관통공에 상기 스포일러취부부재(70)의 차체관통부(72b)가 수용되도록 하고나서 예컨대 너트(76)를 체결하게 되면 스포일러(20)의 견고한 취부가 가능하게 된다.
도 5a 내지 도 5c는 도 3a에 도시된 너트형 스포일러취부부재(50)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바, 도 5a에 도시된 스포일러취부부재(80)는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된 하부체로서의 하부패널부재(84)와 그 하부패널부재(84)의 상측에 일정한 높이에서 수평적으로 외향절곡된 상부체로서의 상부패널부재(82) 및, 상기 하부패널부재(84)의 관통공 주변에 내향절곡된 스크류고정편(86)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도 5a에 도시된 스포일러취부부재(80)를 스포일러(20)의 성형시에 삽입하여 설치하게 되면 스포일러성형수지가 상기 하부패널부재(84)상에 형성된 상부패널부재(82)가 매립되는 형태로 주입됨에 따라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유사하게 그 스포일러취부구조가 견고하면서 스포일러의 전체적인 두께가 균일하게 형성되게 된다.
또, 도 5b에 도시된 스포일러취부부재(90)는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된 하부체로서의 하부패널부재(94)와 그 하부패널부재의 상측에 일정한 각도로 외향절곡된 상부체로서의 상부패널부재(92) 및, 상기 하부패널부재(94)의 관통공 주변에 내향절곡된 스크류고정편(96)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도 5b에 도시된 스포일러취부부재(90)를 스포일러(20)의 성형시에 삽입되어 설치하는 경우에도 스포일러(20)의 성형을 위한 수지는 상기 하부패널부재(94)상에 형성된 상부패널부재(92)가 매립되는 형태로 주입가능하게 됨에 따라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유사하게 그 스포일러취부구조가 견고하면서 스포일러의 전체적인 두께가 균일하게 형성되게 된다.
그리고, 도 5c에 도시된 스포일러취부부재(100)는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된 하부체로서의 하부패널부재(104)와 그 하부패널부재(104)상에 형성된 상부체로서의 중공(中空)의 원통형상부(102) 및, 그 원통형상부(102)내측에서 상기 하부패널부재(104)의 관통공 주변에 형성된 스크류고정편(106)로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도 5c에 도시된 스포일러취부부재(50)를 스포일러(20)의 성형시에 삽입하여 설치하게 되는 경우에도 스포일러성형수지가 상기 하부패널부재(104)상의 원통형상부(102)가 매립되는 형태로 주입됨에 따라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유사하게 그 스포일러취부구조가 견고하면서 스포일러의 전체적인 두께가 균일하게 형성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예들로 한정되지는 않고 발명의 기술적 요지 및 요점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스포일러 취부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스포일러취부부재는 높이와 너비가 최소화되면서 상부체와 하부체가 선택적으로 스크류고정편을 갖고서 형성되어 스포일러의 저면에 매설되는 경우이면 어떠한 형태로의 변형이나 변경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포일러의 취부구조에 의하면 높이가 낮으면서 직방체형태를 이루는 너트형 또는 볼트형 스포일러취부부재를 스포일러의 성형시에 일체로 삽입되어 설치함에 따라 비교적 여유공간이 좁은 스포일러의 단부에 형성되는 스포일러취부구조가 견고하면서 안정성을 갖고서 형성될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차량의 후방(트렁크 리드)에 스포일러를 취부하기 위해 스포일러취부재를 사용하여 형성되는 차량용 스포일러의 취부구조에 있어서,
    상기 스포일러취부부재는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스포일러의 저면에 수지매립되는 직방체 형상의 상부체와, 그 상부체에 비해 다소 작은 치수를 갖고서 결합되고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된 하부체 및, 상기 상부체와 하부체에 선택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스포일러의 취부를 위한 스크류를 지지하기 위한 스크류고정편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포일러취부부재가 상기 스포일러의 취부구조 형성방향에 따라 길게 배치되어 상기 상부체와 상기 하부체의 경계면이 수지모울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포일러의 취부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체는 양단이 일정한 각도로 상향절곡된 플랜지형태를 갖고, 상기 스크류고정편은 그 상부체의 이면에서 그 관통공의 주변에 일정한 각도로 내향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포일러의 취부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체는 상기 하부체의 일정한 위치에서 절곡되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형태를 갖고, 상기 스크류고정편은 상기 하부체의 관통공 주변에서 일정한 각도로 내향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포일러의 취부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체는 상기 하부체상에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스크류고정편은 상기 하부체의 관통공 주변에서 일정한 각도로 내향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포일러의 취부구조.
  5. 차량의 후방(트렁크 리드)에 스포일러를 취부하기 위해 스포일러취부재를 사용하여 형성되는 차량용 스포일러의 취부구조에 있어서,
    상기 스포일러취부부재는 주변이 플랜지형태로 연속되게 형성되면서 그 중앙부위에는 직방형상의 요부가 형성된 직방체형상의 베이스와, 그 베이스의 요부상에 고정결착되고 저면에는 소정직경의 원통형 차체관통부와 너트의 체결을 위한 나사부로 이루어진 상부보조패널로 구성되고, 상기 스포일러취부부재는 상기 스포일러의 취부구조형성방향에 따라 길게 배치하여 상기 베이스의 저면이 노출되도록 상기 스포일러의 저면에 삽입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포일러의 취부구조.
KR1019990044769A 1999-10-15 1999-10-15 차량용 스포일러의 취부구조 KR1003377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4769A KR100337797B1 (ko) 1999-10-15 1999-10-15 차량용 스포일러의 취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4769A KR100337797B1 (ko) 1999-10-15 1999-10-15 차량용 스포일러의 취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0363A KR20000000363A (ko) 2000-01-15
KR100337797B1 true KR100337797B1 (ko) 2002-05-23

Family

ID=19615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4769A KR100337797B1 (ko) 1999-10-15 1999-10-15 차량용 스포일러의 취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77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84234A (zh) * 2021-11-16 2022-02-25 东风商用车有限公司 一种商用车导风板固定结构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482U (ja) * 1984-06-11 1986-01-0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の合成樹脂製リヤスポイラ
JPS6226283U (ko) * 1985-07-31 1987-02-18
JPS62148483U (ko) * 1986-03-13 1987-09-19
JPS63129682U (ko) * 1987-02-18 1988-08-24
JPH055678U (ja) * 1991-02-05 1993-01-26 西川化成株式会社 自動車用エアスポイラの取付構造
JPH0564081U (ja) * 1992-02-12 1993-08-24 西川化成株式会社 樹脂成形品の締結具取付座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482U (ja) * 1984-06-11 1986-01-0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の合成樹脂製リヤスポイラ
JPS6226283U (ko) * 1985-07-31 1987-02-18
JPS62148483U (ko) * 1986-03-13 1987-09-19
JPS63129682U (ko) * 1987-02-18 1988-08-24
JPH055678U (ja) * 1991-02-05 1993-01-26 西川化成株式会社 自動車用エアスポイラの取付構造
JPH0564081U (ja) * 1992-02-12 1993-08-24 西川化成株式会社 樹脂成形品の締結具取付座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0363A (ko) 200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278050A1 (en) Holding Element and Control Module with a Holding Element of this Type
US20070252409A1 (en) Injection Molded Roof Rail
KR100337797B1 (ko) 차량용 스포일러의 취부구조
US20050084362A1 (en) Insert-nut of a carrier in a car
KR100373128B1 (ko) 자동차의 루프 랙 장착구조
KR100357791B1 (ko) 자동차용 아웃 사이드 미러 프레임
KR0129013Y1 (ko)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 마운팅 캡슐 구조
KR0123951Y1 (ko) 블로워 성형품의 인서트 볼트 매몰구조
KR100197266B1 (ko) 자동차 범퍼 조립구조
CN220187081U (zh) 底壳及空调
KR200412694Y1 (ko) 자동차의 웨이스트 몰딩 마운팅용 그로멧
KR102673005B1 (ko) 차량용 변속기 마운트
KR900005764Y1 (ko) 자동차용 로드 홀딩 클립(Rod Holding Clip)
JPS5913687Y2 (ja) 車輛用灯具のバツクカバ−取付構造
JP2785387B2 (ja) ダイナミックダンパーの取付構造
KR19990027374A (ko) 차량용 스페어 타이어의 고정구조
JP2002256519A (ja) 防音壁部材、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防音壁の組立方法
JP4562952B2 (ja) 車体外装品の固定構造
JPH0323890Y2 (ko)
KR200156225Y1 (ko) 자동차 트림 장착 체결구
KR200247120Y1 (ko) 자동차의 헤드램프 서포트 패널 보강구조
KR100569230B1 (ko) 후방 빔 스테이부의 너트 체결구조
KR19990024920U (ko) 엔진마운트용 디플렉터 구조
KR19980012784U (ko) 자동차의 리어범퍼스테이 구조
KR100448829B1 (ko) 차량의 프론트 휠 하우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1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