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5764Y1 - 자동차용 로드 홀딩 클립(Rod Holding Clip)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로드 홀딩 클립(Rod Holding Cli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5764Y1
KR900005764Y1 KR2019870024587U KR870024587U KR900005764Y1 KR 900005764 Y1 KR900005764 Y1 KR 900005764Y1 KR 2019870024587 U KR2019870024587 U KR 2019870024587U KR 870024587 U KR870024587 U KR 870024587U KR 900005764 Y1 KR900005764 Y1 KR 9000057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
support
panel
rod
holding c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245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3059U (ko
Inventor
이진열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이양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이양섭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700245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5764Y1/ko
Publication of KR89001305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305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57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5764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12Fastening strips or bars to sheets or plates, e.g. rubber strips, decorative strips for motor vehicles, by means of cl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6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 F16B5/0685Joining sheets or plates to strips or b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Tires In General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용 로드 홀딩 클립 (Rod Holding Clip)
제1도는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측 단면도.
제3도 (a)(b)는 본 고안의 조립과정을 나타낸 평면도.
제4도는 종래 로드 홀딩클립의 측단면도 및 지지부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클립 2 : 안내면
3 : 취부홈 4 : 판넬
5 : 지지환 6 : 십자형 지지구
7 : 사각구멍
본 고안은 자동차용 로드 홀딩 클립(Rod Holding Clip)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보디 판넬(body panel)에 조립이 용이함은 물론 조립후 유격으로 인해 발생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각종 로드(Rod)를 보디 판넬(이하 판넬이라 칭함)에 장착하게 되는데, 이를 위한 수단으로 종래에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로드 홀딩 클립(이하 클립이라 칭함)에 장착하게 되는데, 이를 위한 수단으로 종래에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로드 홀딩 클립(이하 클립이라 칭함)을 사용하여 왔으나 이 구조는 클립(51)의 하단부 지지구(2)를 판넬(53)의 원형 고정구멍(54)에 끼워 고정한후 클립(51)의 취부홈(55)에 로드(56)를 삽입하여 고정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판넬(53)에 지지되는 클립(51)의 지지부위가 지지구(52)의 양측 일부만이 지지되기 때문에, 차량의 운전중 차체의 진동으로 인해 지지부위가 마모되어 클립(51)이 이탈되거나 소음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을 내재하고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그 특징은 클립의 하반구 지지구를 십자형으로 하여 조립이 용이하고 확실한 고정이 가능하도록한 클립 구조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한 바와같이, 상부에 "V"형으로 안내면(2)을 갖고 내측에 취부홈(3)을 형성시켰으며, 그 하부에는 지지판(45)을 구성하고, 그 저면에는 십자형 지지구(6)로 단일몸체를 지지환(5)과 이루는 클립(1)을 판넬(4)의 사각구멍(7)에 삽입 고정하여서 된 것이다.
미설명 부호 8은 로드(Rod)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클럽(1)을 판넬(4)에 조립할때는 제3도 (가)(나)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넬(4)에 천공된 정사각구멍(7)에 클립(1)의 십자형 지지구(6)를 대각선 방향으로 삽입한 후 좌측 또는 우측으로 45°회전 시키면 클립(1)의 지지판(5)과 지지구(6)사이에 판넬(4)이 십자형으로 4점지지되어 확실한 고정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반대로 분해시에는 상기의 역순으로 행하면 된다.
여기서 각종 로드(8)는 조립된 상태에서 클립(1)의 안내면(2)에 접촉시킨후 누루게되면 취부홈(3)에 삽입되어 암착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여 조립성이 향상되고 십자형 4점지지로 확실한 고정이 가능하여 유격에 의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상부에 "V"형으로된 안내면(2)을 갖고 그 내측에 취부홈(3)을 형성시켰으며, 그 하부에는 지지판(5)을 구성하고, 그 저면에는 십자형지지구(6)로 단일몸체를 지지환(5)과 이루는 클립(1)을 판넬(4)의 사가국명(7)에 삽입 고정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로드 홀딩 클립
KR2019870024587U 1987-12-31 1987-12-31 자동차용 로드 홀딩 클립(Rod Holding Clip) KR9000057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24587U KR900005764Y1 (ko) 1987-12-31 1987-12-31 자동차용 로드 홀딩 클립(Rod Holding Cli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24587U KR900005764Y1 (ko) 1987-12-31 1987-12-31 자동차용 로드 홀딩 클립(Rod Holding Clip)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3059U KR890013059U (ko) 1989-08-08
KR900005764Y1 true KR900005764Y1 (ko) 1990-06-28

Family

ID=19271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24587U KR900005764Y1 (ko) 1987-12-31 1987-12-31 자동차용 로드 홀딩 클립(Rod Holding Clip)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576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3059U (ko) 1989-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5764Y1 (ko) 자동차용 로드 홀딩 클립(Rod Holding Clip)
JPH0438551Y2 (ko)
JPS6245370Y2 (ko)
KR960002164Y1 (ko) 도어트림 체결 리테이너 구조
JPH02118417U (ko)
JPS61166253U (ko)
JPS6210700Y2 (ko)
KR970000413Y1 (ko) 자동차의 크러시 패드 고정구조
JPH0317137U (ko)
JPS62160594U (ko)
JPS6343115Y2 (ko)
KR830002950Y1 (ko) 승용차용 스포크(Spoke)
JPS6338094Y2 (ko)
JPS62203759U (ko)
JPS635420U (ko)
JPS6378718U (ko)
JPH0340828U (ko)
JPH0214267U (ko)
JPS62119691U (ko)
JPS62195245U (ko)
JPH01145814U (ko)
KR970043691A (ko) 자동차 도어의 외부 핸들 취부구조
JPH0389300U (ko)
JPH02116778U (ko)
JPH02139269U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