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7377B1 - Cla 함유 기능성 식품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Cla 함유 기능성 식품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7377B1
KR100337377B1 KR1019990051451A KR19990051451A KR100337377B1 KR 100337377 B1 KR100337377 B1 KR 100337377B1 KR 1019990051451 A KR1019990051451 A KR 1019990051451A KR 19990051451 A KR19990051451 A KR 19990051451A KR 100337377 B1 KR100337377 B1 KR 1003373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
food
cis
trans
lactic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1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47292A (ko
Inventor
하영래
김정옥
김정곤
박경아
Original Assignee
하영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영래 filed Critical 하영래
Priority to KR1019990051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7377B1/ko
Publication of KR20010047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72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7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73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9/00Milk preparations; Milk powder or milk powder preparations
    • A23C9/152Milk preparations; Milk powder or milk powder preparations containing additives
    • A23C9/1528Fatty acids; Mono- or diglycerides; Petroleum jelly; Paraffine; Phospholipi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9/00Milk preparations; Milk powder or milk powder preparations
    • A23C9/12Fermented milk preparations; Treatment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 A23C9/123Fermented milk preparations; Treatment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using only microorganisms of the genus lactobacteriaceae; Yoghur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15Fatty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Fats or oils
    • A23L33/12Fatty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2200/00Special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cancer 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18Lipids
    • A23V2250/186Fatty acids
    • A23V2250/1866Conjugated Linole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18Lipids
    • A23V2250/186Fatty acids
    • A23V2250/1872Linole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11Lactobacillus
    • A23V2400/173Reuteri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iophysics (AREA)
  • Microbi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Dairy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역 리놀렌산(conjugated linoleic acid; 이하 CLA라 함)의 이성체 중, 항암성, 면역증강성, 체지방감소성 등의 강력한 효과를 갖는 시스-9, 트랜스-11 공역 리놀렌산(cis-9, trans-11 conjugated linoleic acid; 이하c9,t11CLA라 함)을 미생물에 의해 생산하여 식품에 60 ppm 이상의 농도로 함유시킨 기능성 식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리놀렌산 또는 이를 함유하는 지방과 락토바실러스 류테리(Lactobacillus reuteri)를 식품에 첨가하여 유산균과 함께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c9,t11CLA 함유 유산균 발효 식품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시유나 요구르트, 채소 발효 식품 등에c9,t11CLA을 함유시키거나 함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조된 기능성 식품에 항암성, 면역증강성, 체지방감소성 등의 효능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CLA 함유 기능성 식품의 제조 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FUNCTIONAL FOODS CONTAINING CLA}
본 발명은 공역 리놀렌산(conjugated linoleic acid; 이하 CLA라 함)의 이성체 중, 항암성, 면역증강성, 체지방감소성 등의 강력한 효과를 갖는 시스-9, 트랜스-11 공역 리놀렌산(cis-9, trans-11 conjugated linoleic acid; 이하c9,t11CLA라 함)을 미생물에 의해 생산하여 식품에 60 ppm 이상의 농도로 함유시킨 기능성 식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CLA는 화학적으로 합성하거나 미생물에 의해 생산된다. 화학적으로 합성할 경우에는c9,t11CLA와 트랜스-10, 시스-12 공역 리놀렌산(trans-10, cis-12 conjugated linoleic acid; 이하t10,c12CLA라 함)이 각각 약 50 %씩 생성되지만, 미생물에 의해서는c9,t11CLA 만 생산된다.
반추위 동물에서 유래한 육고기나 우유 등에는c9,t11CLA가 아주 낮은 농도로 함유되어 있고, 유산균 발효식품, 특히 요구르트는 탈지유를 사용하기 때문에c9,t11CLA는 극미량으로 존재한다. 또한, 발효 김치에는c9,t11CLA가 존재하지 않는다.현재까지 CLA의 기능성을 조사한 결과, 생리활성이 있는 것은c9,t11CLA로 밝혀졌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CLA는 모두 화학적으로 합성한 CLA로서c9,t11CLA와t10,c12CLA를 각각 약 50 %씩 함유하고 있는 것이고, 순수한c9,t11CLA를 식품에 첨가시키는 방법은 개발되지 않았다.
즉, 지금까지는 화학적으로 합성된 CLA를 우유, 우유 발효 식품이나 발효 김치에 첨가시키고 있을 뿐, 미생물에 의해 생산된c9,t11CLA만을 식품에 첨가시킬 수 있는 방법은 없었다.c9,t11CLA는 반추위에 서식하는 미생물군에 의해 리놀렌산(linoleic acid)으로부터 소량 생성되어 동물의 근육이나 우유에 함유된다. 본 출원인에 의해 CLA (c9,t11CLA와t10,c12CLA를 각각 50 %씩 함유)가 피부암에 대한 항암성을 갖는다는 사실이 세계 최초로 발표된[Ha, Y.L., N.K. Grimm 및 M.W. Pariza,Carcinogenesis 8,1881-1887, 1987] 이래,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CLA가 항암성 이외에도 다양한 생리활성을 갖는다는 사실이 보고되어 있다.이에 따라, CLA를 식품에 첨가시키기 위한 연구도 많이 진행되고 있는데, 이들 방법은 모두c9,t11CLA와t10,c12CLA (이 중t10,c12CLA의 생리활성은 불분명함)를 여러 가지 방식으로 화학적 합성하여 첨가하는 방법들이다.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우유에는 소량의c9,t11CLA가 함유되어 있고, 유산균 발효 식품은 주로 탈지분유를 사용하기 때문에c9,t11CLA가 극미량 함유되어 있으며, 발효 김치에는 CLA가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우유나 유산균 발효 식품에c9,t11CLA를 첨가할 수 있다면 고부가 및 고기능성의 우유나 유산발효 식품의 생산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따라서 화학적으로 합성된 CLA가 아닌 천연식품에 함유된 CLA 즉c9,t11CLA를 우유, 유산균 발효 식품 및 발효 김치에 첨가시키는 방법이 모색되고 있다.김치는 한국인뿐만 아니라 외국에서도 선호하는 발효 식품으로 인정받고 있는데, 발효 김치에는 소금, 고춧가루와 같은 자극성 조미료가 첨가되어 있어 건강에 좋지 않는 영향을 미친다는 보고도 있다. 이에 따라, 기능성 물질인c9,t11CLA를 김치의 숙성과정 중에 미생물학적으로 생산하도록 할 수 있다면 매우 유용할 것이다.또한, 김치 이외의 유사한 식품들에서도 기능성 물질인c9,t11CLA를 미생물학적으로 생산하는 방법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
이상과 같은 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은 CLA 이성체중 항암성, 면역증강성, 체지방감소성 등의 강력한 효과를 갖는c9,t11CLA을 함유하는 기능성 식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실시예 1에서 배양 시간 경과에 따라c9,t11CLA 생산에 의한 pH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도 2는 실시예 2에서c9,t11CLA의 GC 분석 데이터,
도 3은 실시예 3에서c9,t11CLA 생성에 대한 기질과 배양 온도의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c9,t11CLA 함유 유산균 발효 식품의 제조 방법은 리놀렌산 또는 이를 함유하는 지방과 락토바실러스 류테리(Lactobacillus reuteri)를 식품에 첨가하여 유산균과 함께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본 발명에서는 고기능성c9,t11CLA를 미생물인 락토바실러스 류테리 (Lactobacillus reuteri;이하 'LR'로 약칭함)에 의해 생산하고, 이와 같이 생산된c9,t11CLA를 식품에 첨가하여 기능성 식품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LR은 장내에서 분리한 미생물로서,c9,t11CLA 생산을 위한 배양 온도는 4∼40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c9,t11CLA 함유 식품을 제조하는 방법은, 리놀렌산 또는 이를 함유하는 지방과 LR을 식품에 직접 첨가하여 배양시키는 방법과, 리놀렌산 또는 이를 함유하는 지방을 LR로 미리 처리한 다음 이를 식품에 첨가하여 재배양하는 방법 중에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c9,t11CLA 함유 식품에서c9,t11CLA의 함량은 60 ppm 이상이 되는 것이c9,t11CLA의 효과를 발휘하는데 유리하다.
이와 같은c9,t11CLA 함유 식품의 대상으로는 우유, 유산균 발효 음료, 발효 김치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이하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단,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 각각의 실시예는 반복 실시하여 그 결과의 재현성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 LR의 배양 시간 경과에 따른 pH의 변화
락토바실러스 류테리(Lactobacillus reuteri;ATCC 55739)를 MRS 육즙(broth)에 접종하여 37 ℃에서 배양하면서 pH의 변화를 조사하였다.도 1은 배양 시간 경과에 따라c9,t11CLA 생산에 의한 pH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여기에서 보면, 처음 시작 pH는 5.8이었으나 배양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낮아져서 48 시간 후의 pH는 4.3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LR을 유산균 발효 음료(특히 요구르트) 제조 및 발효 김치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시예 2] LR의 배양에 따른 CLA의 생성 확인
LR을 육즙(broth) 배지에서 배양하여 균체를 회수하고, 완충액(buffer)에서 다시 기질인 리놀렌산(linoleic acid)과 37 ℃에서 2 시간 배양하여c9,t11CLA의 생성을 확인하였다.도 2는c9,t11CLA의 GC 분석 데이터로서, 결과적으로 대량의c9,t11CLA (t10,c12CLA는 생성되지 않음)가 생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배양 시간에 따라 첨가된 리놀렌산이 거의 100 %c9,t11CLA로 전환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CLA 생성에 대한 기질과 배양 온도의 영향
여러 가지 기질에서 LR 균체를 2 시간 동안 배양하면서c9,t11CLA의 생성에 대한 기질(리놀렌산, 옥수수 기름, 콩기름)과 배양 온도(4 ℃, 37 ℃)의 영향을 조사하였다.도 3은c9,t11CLA 생성에 대한 기질과 배양 온도의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여기에서 보면, 기질로서는 유리 지방산인 리놀렌산(linoleic acid)이, 리놀렌산을 다량 함유한 트리글리세라이드(triglyceride) 형인 콩기름(soybean oil) 보다 우수하였고, 배양 온도는 4 ℃보다 37 ℃가 우수하여(진한 막대가 4 ℃, 연한 막대가 37 ℃를 의미함), 37 ℃에서 배양하는 것이c9,t11CLA를 더 많이 생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트리글리세라이드 형의 리놀렌산도c9,t11CLA의 생산에 이용될 수 있는데, 이는 식품에서c9,t11CLA를 생산을 위해 리놀렌산을 함유한 트리글리세라이드(triglyceride) 형을 사용할 수 있음을 암시하는 것이다.
[실시예 4] CLA의 생성에 대한 pH의 영향
LR과 리놀렌산(linoleic acid)을 각각 pH 7.5의 인산 완충액(phosphate buffer) 또는 pH 8.5의 트리스-염산 완충액(Tris-HCl buffer)에서 2 시간 반응시킨 후 CLA 생성율을 측정하였다.다음 표 1은 LR의c9,t11CLA 생산에서 pH의 영향을 나타낸 것이다. 여기에서 보듯이, 트리스-염산(pH 8.5) 완충액에서c9,t11CLA의 생산이 다소 높았다.
산물 인산 완충액(pH 7.5) 트리스 완충액(pH 8.5)
c9,t11CLA1) 95.5 98.0
1)사용된 리놀렌산의 양에 대하여 생성된c9,t11CLA의 백분율
[실시예 5] CLA 생성에 대한 배양 시간의 영향
완충액(buffer)에서 균체 1 g 현탁액 10 ㎖와 리놀렌산(linoleic acid) 1 ㎎의 혼합 배양액을 37 ℃에서 반응시키면서c9,t11CLA의 생성량을 GC로 조사하였다.다음 표 2는 CLA 생성에 대한 배양 시간의 영향을 나타낸 것이다. 여기에서 보듯이, 2 시간 배양하면 대부분의 리놀렌산은c9,t11CLA로 전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산물 배양 시간 (분)
0 30 60 90 120 150
c9,t11CLA1) 0 27.5 47.3 77.1 96.3 96.0
1)사용된 리놀렌산의 양에 대하여 생성된c9,t11CLA의 백분율
[실시예 5]c9,t11CLA 함유 요구르트 제조
요구르트 배지(물 l ℓ에 탈지분유 11 %, 설탕 15 %)에 LR 균체와 여러 가지 유산균을 조합하여 처리하였다. 즉, 배지에 LR 균수와 다른 유산균의 균수를 동일하게 조절하고 LR균의 기질인 리놀렌산을 첨가하여 37 ℃에서 36 시간 발효시켰다.표 3은 각 처리에서 LR의 균수를 동일하게 유지하고 다른 유산균의 수를 LR의 수만큼 첨가하여 조제한 요구르트에서 생성된c9,t11CLA 농도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에서 보듯이, 모든 유산균은 LR균의c9,t11CLA 생성을 억제하지 않았다.L. casei에서c9,t11CLA의 생성을 억제하는 경향이 보였지만 유의성은 없었다.
처리 균주 CLA (ppm)
대조군 흔적
LR 157.3±12.7
LR+M1) 173.4±12.2
LR+C2) 64.0±9.7
LR+T3) 188.4±12.4
LR+B4) 250.7±10.9
LR+C+T 185.9±11.6
LR+C+B 150.0±15.4
LR+T+B 261.2±7.0
LR+C+T+B 220.9±10.1
1)Mixture: 시판 요구르트에서 분리한 유산균 혼합물.
2)C:L. casei.
3)T:S. thermophilus.
4) B:L. bulgaricus.
[실시예 6] 전처리에 따른c9,t11CLA 요구르트의 생산
요구르트의 제조시c9,t11CLA의 함량을 높이기 위해 다음과 같은 실험을 실시하였다. 즉, 리놀렌산과 LR 균체를 트리스 또는 인산 완충액에서 2 시간 반응시키고, 배양물 전체를 유산균과 조합하여 요구르트를 제조한 다음, 생성된c9,t11CLA의 함량을 조사하였다.표 4는 요구르트 제조시 전처리에 따른c9,t11CLA 함량을 나타낸 것이다. 여기에서 보듯이, LR로 전배양처리를 한 경우 CLA 함량이 약 160∼400 ppm인 요구르트를 생산할 수 있다.
처리 균주 CLA (ppm)
대조군 흔적
LR 317.1±25.5
LR+M1) 343.7±21.2
LR+C2) 164.6±15.4
LR+T3) 388.3±18.9
LR+B4) 350.0±12.1
LR+C+T 285.8±21.3
LR+C+B 250.6±24.7
LR+T+B 361.4±12.4
LR+C+T+B 320.9±12.0
1)Mixture: 시판 요구르트에서 분리한 유산균 혼합물.
2)C:L. casei.
3)T:S. thermophilus.
4) B:L. bulgaricus.
[실시예 7]c9,t11CLA 시유의 생산
MRS 배지에서 배양한 LR 균체를 회수하여 다음과 같은 3 가지 방법으로c9,t11CLA 함유 시유를 조제하였다:(1) LR 균체와 리놀렌산을 시유에 첨가하고 4 ℃ 또는 37 ℃에서 36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2) 실시예 6에서와 같이 전배양처리한 다음 직접 시유에 첨가하였다.(3) 실시예 6에서와 같이 균체와 리놀렌산을 전배양처리한 다음 다시 (1)의 방법을 적용하여 시유를 생산하였다.
다음 표 5는 LR을 여러 가지 방법으로 처리하여 제조되는c9,t11CLA 함유 시유에서c9,t11CLA 함량을 나타낸 것이다. 여기에서 보듯이, (3)의 방법이 가장 우수한 방법임을 알 수 있다.
처리 CLA (ppm)
시유 (대조군) 85.1±5.0
LR 배양1) 112.2±12.9
LR 전처리2) 159.1±21.1
LR 전처리+LR 배양3) 195.4±12.4
1)LR 균체와 리놀렌산을 시유에 첨가하고 4 ℃ 또는 37 ℃에서 36 시간 동안 배양.
2)실시예 6에서와 같이 전배양처리한 다음 직접 시유에 첨가.
3)실시예 6에서와 같이 LR 균체와 리놀렌산을 전배양처리한 다음 다시 (1)의 방법을 적용하여 시유를 생산.
[실시예 8] 김치에서 CLA의 생산
배추 및 무우를 1 ㎝x1 ㎝(가로x세로) 크기로 잘게 썰어 소금에 절인 다음 물을 빼고 다음 표 6에 나타낸 방법으로 배추 김치와 무 김치를 제조하였다. 제조시 LR와 리놀렌산을 첨가하여 pH가 4.0으로 될 때까지 숙성시켰다. 숙성 후 지방을 추출하여 생성된c9,t11CLA의 함량을 GC로 측정하였다.다음 표 6은 LR을 여러 가지 방법으로 처리하여 제조된c9,t11CLA 발효 김치에서c9,t11CLA 함량을 나타낸 것이다.
처리 CLA (ppm)
배추 김치절인배추(SCC)SCC+마늘(GR)+고추가루(HPP)SCC+GR+HPP+발효시킨 안초비 소스(FAS)SCC+GR+HPP+FAS+생강(GG)무 김치절인 무(SR)SR+GR+HPPSR+GR+HPP+FASSR+GR+HPP+FAS+GG 30.3±1.230.9±3.127.1±2.526.4±1.831.2±3.525.0±2.223.1±3.825.4±1.2
[실시예 9] 전처리에 의한 김치에서의 CLA 생산
실시예 8과 동일하게 발효 김치를 제조하였다. 여기에서는 LR와 리놀렌산을 실시예 6에서와 같이 전처리를 한 다음 이것을 김치에 첨가하여 pH가 4.0이 될 때까지 숙성하였다. 숙성 후 지방을 추출하여c9,t11CLA를 측정하였다.다음 표 7은 전처리에 의해 제조된c9,t11CLA 발효 김치에서c9,t11CLA 함량을 나타낸 것이다. 여기에서 보듯이, 전배양처리에 의하면 실시예 8에서 보다 많은c9,t11CLA가 생산됨을 알 수 있다.
처리 CLA (ppm)
배추 김치절인배추(SCC)SCC+마늘(GR)+고추가루(HPP)SCC+GR+HPP+발효시킨 안초비 소스(FAS)SCC+GR+HPP+FAS+생강(GG)무 김치절인 무(SR)SR+GR+HPPSR+GR+HPP+FASSR+GR+HPP+FAS+GG 69.9±5.073.2±7.668.1±3.362.8±2.962.5±4.860.3±4.356.4±5.860.1±3.4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 제조 방법에 의하면 미생물인 LR을 이용하여 시유나 요구르트, 채소의 유산균 발효 식품 등에c9,t11CLA을 함유시키거나 함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조된 기능성 식품에 항암성, 면역증강성, 체지방감소성 등의 효능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리놀렌산(linoleic acid) 또는 이를 함유하는 지방과 락토바실러스 류테리(Lactobacillus reuteri)를 식품에 첨가하여 유산균과 함께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스-9, 트랜스-11 공역 리놀렌산(cis-9, trans-11 conjugated linoleic acid;c9,t11CLA)을 함유하는 유산균 발효 식품의 제조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리놀렌산(linoleic acid) 또는 이를 함유하는 지방에 락토바실러스 류테리(Lactobacillus reuteri)를 첨가하여 배양하는 전처리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시스-9, 트랜스-11 공역 리놀렌산(cis-9, trans-11 conjugated linoleic acid;c9,t11CLA)을 함유하는 유산균 발효 식품의 제조 방법.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중의 시스-9, 트랜스-11 공역 리놀렌산(cis-9, trans-11 conjugated linoleic acid;c9,t11CLA)의 함량은 60 pp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6.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은 우유의 유산균 발효 식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7.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은 채소의 유산균 발효 식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KR1019990051451A 1999-11-19 1999-11-19 Cla 함유 기능성 식품의 제조 방법 KR1003373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1451A KR100337377B1 (ko) 1999-11-19 1999-11-19 Cla 함유 기능성 식품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1451A KR100337377B1 (ko) 1999-11-19 1999-11-19 Cla 함유 기능성 식품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7292A KR20010047292A (ko) 2001-06-15
KR100337377B1 true KR100337377B1 (ko) 2002-05-21

Family

ID=19620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1451A KR100337377B1 (ko) 1999-11-19 1999-11-19 Cla 함유 기능성 식품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73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7011A (ko) * 2002-10-26 2004-05-04 (주)바이오니아 유산균 함유 식품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5850B1 (ko) * 2003-06-28 2005-09-21 윤칠석 pBC520 플라스미드 함유 비피도박테리움 브레베LMC520 균주, 이를 이용한 공액이중결합 지방산 및이러한 지방산 함유 발효유의 제조방법, 및 pBC520플라스미드의 용도
KR101655853B1 (ko) * 2015-02-16 2016-09-08 (주)케비젠 공액리놀레산을 생산하는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cbg-c15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655854B1 (ko) * 2015-02-16 2016-09-08 (주)케비젠 공액리놀레산을 생산하는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cbg-c16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655852B1 (ko) * 2015-02-16 2016-09-08 (주)케비젠 공액리놀레산을 생산하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cbg-c14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655848B1 (ko) * 2015-02-16 2016-09-08 (주)케비젠 공액리놀레산을 생산하는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cbg-c12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655851B1 (ko) * 2015-02-16 2016-09-08 (주)케비젠 공액리놀레산을 생산하는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cbg-c13 균주 및 이의 용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56149A (en) * 1995-06-01 1999-01-05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Method of producing conjugated fatty acid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56149A (en) * 1995-06-01 1999-01-05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Method of producing conjugated fatty acid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7011A (ko) * 2002-10-26 2004-05-04 (주)바이오니아 유산균 함유 식품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7292A (ko) 200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eheshtipour et al. Supplementation of Spirulina platensis and Chlorella vulgaris algae into probiotic fermented milks
Sreeramulu et al. Lactobacillus amylovorus as a phytase producer in submerged culture
US6812022B1 (en) Bacillus subtilis takemi and compositions thereof
Kolapo et al. Effect of different concentrations of coconut milk on the 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soy-coconut milk based yoghurt.
PL107561B1 (pl) Sposob wytwarzania fermentowanego produktu z mleka
JPS6296091A (ja) 果汁製品の乳酸発酵法
KR102006653B1 (ko) 신규한 미생물, 이를 포함하는 스타터 조성물 및 이로 발효된 발효물
KR100337377B1 (ko) Cla 함유 기능성 식품의 제조 방법
CN100368552C (zh) 制备共轭脂肪酸的方法
JP6955808B1 (ja) 蜂蜜発酵物の製造方法
CA2811389C (en) Method of production of fermented, pro-healthy fruit beverages
JP2010284100A (ja) ステビア発酵液の製造方法
JP2017209021A (ja) 新規な植物性乳酸菌
KR940010265B1 (ko) 발효야채 음료의 제조방법
KR101544180B1 (ko) 공액리놀레산 고-생산성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 균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생균제제와 공액리놀레산이 증대된 식품
KR100232907B1 (ko) 마 첨가에 의한 유산균 생육촉진 방법
KR100290990B1 (ko) 염이 함유된 배지를 이용한 피키아 귈리어몬디 균체 생산 방법및이를 이용한 폐기물 처리 방법
Balogun et al. Microbial, chemical and sensory evaluation of pigeon pea condiment from wild and controlled fermentation
KR100417390B1 (ko) 신규 미생물 비피도박테리움 브레베 lmc7 비피더스균주, 동 균주를 이용한 공액이중결합 지방산의 생산방법및 동 균주를 이용한 발효유의 제조방법
El Kantar et al. Pulsed electric field treatment for the stimulation of microorganisms: Applications in food production.
Yongsmith et al. Bioenrichment of Vitamin B 12 in Fermented Foods
KR20150088588A (ko) 신규한 감마아미노부티르산 고생산성 균주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cfm11 및 이의 용도
KR100464642B1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케이와이 1032
JP7470880B2 (ja) エクオール含有食品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230527B1 (ko) 김치에서 분리한 스포로락토바실러스 k9, 상기 균의 대량배양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제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2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