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7375B1 - 축장치 - Google Patents

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7375B1
KR100337375B1 KR1019970700424A KR19970700424A KR100337375B1 KR 100337375 B1 KR100337375 B1 KR 100337375B1 KR 1019970700424 A KR1019970700424 A KR 1019970700424A KR 19970700424 A KR19970700424 A KR 19970700424A KR 100337375 B1 KR100337375 B1 KR 1003373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s
drive
beds
shaft
b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0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704923A (ko
Inventor
프란시스코 스페이흐
Original Assignee
텍스틸마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텍스틸마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텍스틸마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970704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7049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73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73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CSHEDDING MECHANISMS; PATTERN CARDS OR CHAINS; PUNCHING OF CARDS; DESIGNING PATTERNS
    • D03C9/00Healds; Heald fram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CSHEDDING MECHANISMS; PATTERN CARDS OR CHAINS; PUNCHING OF CARDS; DESIGNING PATTERNS
    • D03C9/00Healds; Heald frames
    • D03C9/06Heald frames
    • D03C9/0608Construction of frame parts
    • D03C9/0616Horizontal upper or lower rods
    • D03C9/0633Heald bars or their connection to other frame parts

Abstract

축장치의 사침대(5a)는 실고리(8)의 양쪽에 배치된 실고리(8) 및 끝고리(6a,7)를 갖고 있으며, 그것에 의해 안내운반레일(2a, 3a)에 설치된다. 구동운반레일(2a)은 안내운반레일(2a, 3a)에 의해 이루어지는 평면에 대해 횡방향으로 돌출하며, 사침대(5a)의 대응 끝고리(6a)의 구동홈(24)내에 작은 유동간격으로 맞물려 있는 적어도 하나의 얇은 분기(22)를 갖는다. 작은유동간격에도 불구하고 사침대(5a)가 구동운반레일(2a, 3a)에 충분한 정도로 뻗는다. 이 유동간격은 종래의 축장치에 비해 소음수준 및 마모가 적어, 더나은 구동력을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축장치
[도 1]
공지 축장치의 축평면도.
[도 2]
도 1 축장치의 측면도
[도 3]
도 2에 따른 사침대의 끝고리를 구동운반레일에 배치한 것을 보여주는 확대도
[도 4]
도1에 있어서 도3에 따른 구동운반레일에 배치된 사침대의 끝고리의 경사를 위한 필요 유동간격을 보여주는 부분단면도.
[도 5]
축평면에 대해 횡방향으로 본 발명에 의한 축장치의 절결도.
[도 6]
도 5의 Ⅵ-Ⅵ선 단면도.
[도 7]
추가형의 구동운반레일 및 소속 끝고리의 수직단면도.
[도 8]
다른 추가형의 구동운반레일 및 소속된 사침대 끝고리의 수직단면도.
[도 9]
설치장치를 가진 축장치의 축평면도.
[도 10]
도 9의 Ⅹ-Ⅹ선 단면도.
부호의 설명
α: 벌림각도, 1: 이형지주, 2: 구동안내레일
2a: 구동운반레일, 2b: 구동운반레일 2c: 구동운반레일
3: 안내운반레일, 3a: 안내운반레일 4: 고정편
5: 사침대 5a: 사침대 5b: 사침대
5c: 사침대 6: 끝고리 6a: 끝고리
6b: 끝고리 6c: 끝고리 7: 끝고리
8: 실고리 9: 경사 10: 접속판
11: 볼트 12: 구동레버 13: 축
14: 롤러 15: 편심륜 16: 코일 스프링
17: 수직선 18: 경사 19: 위사
20: 바디 21: 직물가장자리 22: 분기
22a: 분기 22b: 분기 22c:분기
23: 경사평면 24: 구동 홈 24a: 구동 홈
24b: 구동 홈 24c: 구동 홈 25: 설치공
26: 절결부 27: 설치장치 28: 말단봉
29: 말단봉 30: 오프닝 31: 오프닝
32: 설치공 33: 설치공
기술 영역
본발명은 청구항1의 전제부에 의한 축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술 상태
모두에 언급된 종류의 축장치는 여러 형태로, 그래서 예컨대 스위스 특허 제523 987호로 부터 알려져있는데, 이 내용은 다시 첨부도면의 도1 내지 4에 상세히 설명되어있다. 공지의 축장치들은 사침대의 조종을 위한 충분한 벌림각도를 확보하기 위해, 구동운반레일과 사침대의 끝고리 사이에 비교적 큰 유동간격을 필요로했다. 이 큰 유동간격은 한편으로는 마모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큰 소음의 원인이 되었다. 그리하여, 그런 축장치의 경우, 각각 이 장치가 장비된 동력직기는 분당 최고 2500회전의 속도를 낼수있었다.
발명의 설명
본발명의 과제는 상기한 결점을 방지할 수 있도록 모두에 언급한 종류의 축장치를 개선하는 것이다.
이 과제는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1의 특징부 특징에 의해 해결될 수 있다.
사침대의 구동이, 운반레일들에 의해 이루어지는 평면에 대해 횡방향으로 돌출한, 적어도 하나의 얇은 구동운반레일의 분기에 의해 행해지게함으로써, 이 분기는 작은 유동간격으로 사침대의 소속된 끝고리의 구동홈(휴행홈)내에 맞물릴 수 있다. 이 극히 작은 유동간격은 예컨대 분당 4000 내지 6000회전일 수 있는 최대 회전수에서도 대단히 작은 소음을 내고 또한 최소의 마모를 일으킨다. 이 신형 축장치로인하여 각각 이 장치가 장착된 동력직기는 비교적 작은 소음수준과 무마모로 높은 성능을 발휘할수있다.
축장치의 유리한 양태는 특허청구의범위의 청구항2 내지 12에 기재되어있다.
축장치의 양호상태기간은 청구항2와 같은 구성에 의해 개선될수있는데, 그 이유는 그 경우에는 구동력이 두 분기로 배분되기 때문이다. 이 조치로 인해 동시에 마모 및 마모증가와 함께 상승하는 소음수준이 억제될 수 있다.
원칙적으로 구동운반레일의 분기를 구동운반레일의 임의의 높이(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한것으로, 청구항3의 양태가 유리하다.
분기의 배치와 배향을 위해서도 각종 가능성이 있는데, 청구항4에 의한 구성은 유리한 힘분배를 가능하게한다.
특히 안내레일, 특히 청구항5에 의한 구동안내레일의 형상이 유리한데, 그 이유는 이런 형상으로 함으로써 한편으로는 분기를 형성할수있고 다른편으로는 안내레일 전체를 이용하는 경우에 비해 질량이 낮아 굴곡관성능률이 양호하기 때문이다. 운반레일의 질량이 작기 때문에 작동속도가 높고 소음 및 마모가 감소되는 유리점이 있다.
원칙적으로 끝고리는 이동방향의 횡방향측에 구멍을 갖고 있다. 청구항6에 의한 형상이 또한 유리하다.
청구항7은 유리한 유동간격을 기재하고 있다. 청구항8은 구동홈의 유리한 폭을 포함하고 있다. 청구항9은 사침대의 조종을 위해 필요한 벌림각을 확보하기 위해, 끝고리와 구동되지않는 운반레일 사이의 바람직한 수직간격을 수치한정하고 있다.
원칙적으로 사침대는 임의로 형성될수있는 것으로, 청구항10에 의한 구성이 특히 유리한데, 그 이유는 그럼으로써 최소의 측방소요공간으로 양호한 강성 및 마모성을 얻을수있기 때문이다.
특히, 청구항11에 의한 구성이 유리한데, 여기에서는 보통 2개의 설치공(조립용 구멍)이 있다. 이에 의해 청구항12에 의한 추가구성이 있을 수 있다. 이 설치장치로 인해 경사를 가진 사침대를 미리 배치하기가 용이해진다. 그런 뒤 설치장치에 의해 사침대를 안내레일위를 따라 삽입하고 인출할수있고, 그럼으로써 예컨대 제조하려는 직물을 교환할때의 조립 및 해체를 실질적으로 회피할수있다.
발명의 실시방법
도1내지4는 예컨대 스위스 특허 제 523 987호의 발명에서와 같은 축장치를 표시한다. 축장치는 수직의 이형 지주1을 갖고있고, 이 지주에는 상측의 구동운반레일(2)와 하측의 안내운반레일(3)이 각각 고정편(4)에 의해 부착되어있다. 상측의 구동운반레일(2)과 안내운반레일(3)에는 사침대(5)가 끝고리(6,7)에 의해 꿰어져있다. 사침대(5)는 실고리(8)을 갖고있고, 이 고리에 의해 경사(날실)(9)가 각각 안내된다. 이형지주(1)은그 하단에 볼트(11)가 부착된 접속판(10)을 갖고있으며, 그 볼트에는 이(2)아암형 구동레버(12)가 연결되어있다. 구동레버(12)는 축(13) 주위로 선회가능하게 장착되어있고, 이형지주 반대쪽 단부에는 종동 편심륜(15)과 공동작용하는 롤러(14)를 싣고 있다. 코일스프링(16)은 운반레일(2,3)로 구성된 축틀을 하방으로 또한 그와 동시에 롤러(14)를 편심륜(15)쪽으로 당긴다. 도3으로 부터 알 수 있는바와 같이, 사침대(5)의 끝고리(6)는 예컨대 0.5 내지 1mm의 큰 유동간격으로, 세로로 서있는 판상이형재로 된 구동운반레일(2)에 배치되어있다. 이런 유동간격은, 예컨대 실을 수선하기 위해 수직선(17) 양방향으로 사침대를 벌릴수있기 위해서 필요하다. 벌림각도α는 바람직하게는 수직선(17)에 대해 15°이다.
도5 및 6은 본발명에 의한 축장치의 변형양태를 보여주는데, 여기에는 공지의 축장치로 인식할 수 있는 부재에는 동일한 부재번호가 주어져있다. 도5에는 두 개의 사침대(5a)가 표시되어있는데, 이들 사침대는 두 축에 할당되어있고 경사(9)를 경사공간(18)으로 벌리며, 경사공간내로는 위사(19)가 도입되어 바디(20)에 의해 직물가장자리(21)까지 이동정지될 수 있다. 상측 구동운반레일(2a)는 C자형 이형재로 되어있으며, 그 하부 분기(22)는 경사평면(23)에 평행하게 배치되어있고 사침대(5a)의 끝고리(6a)의 내측에 형성된 구동홈(24)내에 맞물려있다. 분기(22)는 극히 얇게 형성되어 예컨대 0.8mm의 두께를 갖고 있다. 구동홈(24)의 폭도 대응하여 좁아 기껏해야 1.0mm정도이다. 분기(22)의 두께와 구동홈(24)는, 분기(22)와 구동홈(24) 사이의 유동간격이 0.01내지0.1mm, 바람직하게는 0.05mm가 되도록, 상호간에 결정된다. 이렇게 유동간격이 좁음에도 불구하고, 바람직하게는 박판상으로 구성된 사침대(5a)의 벌어짐은, 도6에 표시된바와 같이, 수직선에 대해 각도 α =15°만큼이 가능하다. 하측 안내운반레일(3a)도 상측 구동운반레일(2a)와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수직 유동간격 0.5 내지 10 mm가 가능하다. 안내운반레일(3a)는 사침대(5a)를 구동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 아니고, 이동되는 경사에 의해 정해지는 횡방향 힘을 수용하는 역할을한다. 사침대(5a)는, 또한 사침대(5a)을 운반레일(2a, 3a)에 설치하는 것을 용이하게하기 위해 설치공(25)를 갖고있는데, 여기에 대해서는 다음 도9 및 10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7는 단면이 L자 형으로된 구동운반레일2b를 보여주는데, 이 레일은 사침대(5b)와 협동작용하고, 이 사침대는 대응적으로 형성된 끝고리(6b)를 갖고 있다. 그런데, 분기(22a)는, L자 형으로 제공되어있는 끝고리(6a)의 대응하는 구동홈(24a)내에 맞물려있다.
도8은 추가의 구동운반레일(2c)를 나타내고 있는데, 이 레일은 반대방향으로 향한 두 개의 분기(22b및 22c)를 갖고있고, 이들 분기는 절결부(26)에 의해 단일형상체로 형성되어있다. 끝고리(6c)의 오프닝(구멍)이 유사하게 형성되어있고 다시 구동홈(24b ,24c)를 갖고있으며, 이 홈에는 분기(22b, 22c)가 맞물려있다.
도9 및10은 축장치의 설치장치(조립장치)(27)를 보여준다. 이것은 적어도 말단봉(28) 또는 (29)로 구성되어있고, 이 말단봉은 개방부(30,31)를 통하여 구동운반레일(2a)와 안내운반레일(3a) 위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는 두 말단봉(28,29)는 두 개의 설치봉(32,33)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있고 이들 설치봉은 상세히 표시되지 않은 나사를 포함하고있어 말단봉(29)와의 분리가능한 결합이 가능하다. 설치장치(27)는, 구동운반레일(2a) 및 안내운반레일(3a)의 배치(위치)와는 상관없이 사침대(5a)를 운반레일에 수용될수있게하는 역할을한다. 이를 위해서는 말단봉(29)를 설치봉(32,33)으로부터 분리하고, 그리하여 사침대(5a)에 그 설치공(25)을 통해 설치봉(32,33)이 삽입될수있게한다. 그럼으로써 운반레일(2a, 3a)의 배치와는 별도로 사침대(5a)에 경사를 제공하여 미리 준비할수있으며, 말단봉(29)를 장착한 후 그 사침대에 구동운반레일(2a)과안내운반레일(3a)을 삽입할 수 있다. 필요한 조립후 설치장치(27)를 이제 해체할수있는데, 이 때에는 말단봉29를 설치봉(32,33)으로 부터 분리하고 설치봉(32,33)를 사침대으로부터 뽑아낸다. 말단봉(29)는, 오프닝(30,31)이 측방개방되어 있어 구동운반레일(2a) 및 안내운반레일(3a)로부터 벗겨질 수 있다.

Claims (10)

  1. 각각 그 양쪽에 배치된 끝고리(6,6a,6b,6c,7)와 함께 실고리(8)를 갖고있고 끝고리에 의해 운반레일(2,2a,2b,2c,3,3a)위에 삽입되어있는 사침대(5,5a,5b,5c)을 포함하고있으며, 운반레일들중의 적어도 한 레일은 구동운반레일(2,2a,2b,2c)로서 세로로 직립한 판상 이형재를 갖고있으며, 거기에 있어서, 적어도 구동운반레일(2a,2b,2c)은 적어도 하나의 얇은 분기(22,22a,22b,22c)를 갖고있으며, 그 분기는 운반레일(2a,2b,2c,3,3a)로 이루어지는 평면에 대해 횡방향으로 돌출해있고 사침대(5a,5b,5c)의 소속된 끝고리(6a,6b,6c)의 구동홈(24,24a,24b,24c)내에 작은 유동간격으로 맞물려있는 축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구동운반레일(2a,2b,2c)쪽의 끝고리(6a,6b,6c)는 구동운반레일(2a,2b,2c)을 둘러싸고있으며, 구동운반레일(2a,2b,2c)의 분기(22,22a,22b,22c)와 끝고리(6a,6b,6c)의 구동홈(24,24a,24b,24c) 사이의 유동간격은 0.01 내지 0.1mm 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축장치.
  2. 청구항1에 있어서, 적어도 구동운반레일(2c)은 두 번째 분기(22c)를 갖고있으며, 이 두 번째 분기는 첫 번째 분기(22b)의 높이에 배치되고 반대방향으로 향하고있으며 사침대(5c)의 소속 끝고리(6c)에 있는 두번째 구동홈(24c)내에 맞물려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축장치.
  3. 청구항1 또는 2에 있어서, 분기(22,22a,22b,22c)는 구동운반레일(2a,2b,2c)의 실고리(8)를 향하는 쪽에 배치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축장치.
  4. 청구항1에 있어서, 분기(22,22a,22b,22c)는 경사평면(23)에 평행하게 배향하고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축장치.
  5. 청구항1에 있어서, 적어도 구동안내레일(2a,2b,2c)은 L자형, C자형 또는 T자형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축장치.
  6. 청구항1에 있어서, 구동홈(24,24a,24b,24c)은 최대 1.0mm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축장치.
  7. 청구항1에 있어서, 끝고리(6a,6b,6c)와 비구동 운반레일(3a,3b,3c) 사이의 수직 유동간격은 0.5 내지 10mm 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축장치.
  8. 청구항1에 있어서, 사침대(5a,5b,5c)가 박판상으로 형성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장치.
  9. 청구항1에 있어서, 사침대(5a,5b,5c)은 설치장치(조립장치)(27)를 수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설치공(25)을 갖고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축장치.
  10. 청구항9에 있어서, 운반레일(2a,2b,2c,3a)은 한쪽으로는 고정되며, 적어도 말단봉(28 또는 29)으로 구성된 설치장치(27)를 싣고있으며, 사침대묶음을 수납하기 위해, 말단봉은 그 오프닝(30,31)을 통하여 운반레일(2a,2b,2c,3a)에 분리가능하게 배치되고 사침대(5a,5b,5c)의 설치공(25)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설치봉(32)에 의해 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축장치.
KR1019970700424A 1994-08-25 1995-06-28 축장치 KR1003373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G9413705.6U 1994-08-25
DE9413705U DE9413705U1 (de) 1994-08-25 1994-08-25 Schaftvorrichtung
PCT/CH1995/000146 WO1996006212A1 (de) 1994-08-25 1995-06-28 Schaftvorricht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704923A KR970704923A (ko) 1997-09-06
KR100337375B1 true KR100337375B1 (ko) 2002-09-04

Family

ID=6912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0424A KR100337375B1 (ko) 1994-08-25 1995-06-28 축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816294A (ko)
EP (1) EP0777773B1 (ko)
JP (1) JP3498962B2 (ko)
KR (1) KR100337375B1 (ko)
DE (2) DE9413705U1 (ko)
ES (1) ES2135740T3 (ko)
RU (1) RU2117084C1 (ko)
WO (1) WO19960062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1010007A3 (nl) * 1996-01-19 1997-11-04 Picanol Nv Weefkader voor weefmachines.
DE19932685A1 (de) * 1999-07-13 2001-01-18 Grob Horgen Ag Horgen Weblitzensystem
DE10260075B4 (de) * 2002-12-19 2007-02-01 Groz-Beckert Kg Schaftrahmen und Webschaft für Webmaschinen
DE10260051B4 (de) * 2002-12-19 2006-10-05 Groz-Beckert Kg Webschaft
DE102004030913B3 (de) * 2004-06-25 2005-07-07 Klöcker-Entwicklungs-Gmbh Litze, insbesondere Hebelitze
RU191225U1 (ru) * 2019-05-24 2019-07-30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Ниагара" Зевообразовательный механизм для формирования трехосной ткани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58495A (en) * 1960-11-07 1962-10-16 Steel Heddle Mfg Co Harness for cross weaving
CH523987A (de) * 1971-04-23 1972-06-15 Mueller Jakob Weblitzenhalte- und Antriebsvorrichtung an Webmaschine
CH544826A (de) * 1973-01-18 1973-11-30 Saurer Ag Adolph Webschaft für die Fachbildung bei Webmaschinen
CH638572A5 (de) * 1979-07-30 1983-09-30 Grob & Co Ag Webelitze.
US4492256A (en) * 1982-06-30 1985-01-08 Steel Heddle Manufacturing Company Extruded heddle rod and cap
US4790357A (en) * 1987-08-06 1988-12-13 Steel Heddle Mfg., Inc. Harness frame slat and heddle
DE8807218U1 (ko) * 1988-06-03 1988-08-18 Kloecker-Entwicklungs-Gmbh, 4280 Borken, De
JPH0754306Y2 (ja) * 1990-03-30 1995-12-18 グロブ・アンド・カムパニー・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ヘルド
DE4023498C1 (ko) * 1990-07-24 1991-10-24 Grob & Co Ag, Horgen, Zuerich, Ch
DE4035582C1 (ko) * 1990-11-08 1991-10-17 Grob & Co Ag, Horgen, Zuerich, C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498962B2 (ja) 2004-02-23
WO1996006212A1 (de) 1996-02-29
JPH10504611A (ja) 1998-05-06
KR970704923A (ko) 1997-09-06
RU2117084C1 (ru) 1998-08-10
EP0777773B1 (de) 1999-09-01
DE9413705U1 (de) 1994-10-20
ES2135740T3 (es) 1999-11-01
DE59506738D1 (de) 1999-10-07
US5816294A (en) 1998-10-06
EP0777773A1 (de) 1997-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7375B1 (ko) 축장치
JPH02160927A (ja) カード
CN101307521B (zh) 可拆分的两件式综框
CA2455835A1 (en) Tetraxial fabric and machine for its manufacture
KR100597518B1 (ko) 경사직기
CZ20024056A3 (cs) Zařízení k výrobě perlinkové tkaniny
EP2064378B1 (en) Fabric support for a weaving machine
EP0651679B1 (en) Tension bar screen
CN1058435A (zh) 综丝
EP0454973B1 (en) Suction box apparatus with composite cover elements mounted in slots on cross braces
US4957598A (en) Suction box cover with modular components
US5307845A (en) Split loom including a selvage-former mounted in a removable loom part
US4570682A (en) System for conditioning textile material in a weaving machine
US4361171A (en) Weaving defect detector
US5931202A (en) Apparatus for holding and guiding of heald frame rods in a weaving loom
US7377293B2 (en) Heddle frame and a loom fitted with such a frame
KR890001062Y1 (ko) 종광틀 개구운동의 안내장치
CN218203285U (zh) 一种喷气织机综框结构
JP3793241B2 (ja) 分離型織機
US5711352A (en) Mounting arrangement for linearly driven heald frames
US5518038A (en) Modular series-shed weaving machine
CN212357517U (zh) 一种纺织机上用的综框结构
CN116446081A (zh) 一种简便式罗拉驱动组件
JPH089182Y2 (ja) 無杼織機の筬位置決め装置
CN210596445U (zh) 一种喷水织布机的纱线撑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