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3437B1 - 자동차의 카울 강성증대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카울 강성증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3437B1
KR100333437B1 KR1020000032291A KR20000032291A KR100333437B1 KR 100333437 B1 KR100333437 B1 KR 100333437B1 KR 1020000032291 A KR1020000032291 A KR 1020000032291A KR 20000032291 A KR20000032291 A KR 20000032291A KR 100333437 B1 KR100333437 B1 KR 1003334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wl
shock absorber
absorber housing
cowl panel
guss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2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11684A (ko
Inventor
김종수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1020000032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3437B1/ko
Publication of KR20010111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16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3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3437B1/ko

Links

Landscapes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카울의 강성증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카울패널과 쇽압쇼버 하우징이 결합되는 부분의 급단면부에 거세트를 보강한 카울의 강성증대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카울패널과 쇽압쇼버 하우징간의 급단면 접착부위가 주행중 각종 복합하중을 받더라도 충분히 그 하중에 대한 강성을 갖고, 또 집중하중을 분산할 수 있도록 그 급단면 부위에 보강재인 거세트를 삽입함으로써, 차후 발생할수 있는 용접점의 파단을 방지하고 비틀림 강성을 증대하는데 있다.
따라서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은 펜더 에이프런의 인너측에 그 펜더 에이프런과 일체로 형성된 쇽압쇼버 하우징의 일측을 카울패널과 접합함에 있어서, 쇽압쇼바 하우징의 일측벽부와 카울패널 하부에 형성된 절곡수평면이 이루는 급단면 부위에 거세트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카울 강성증대구조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카울 강성증대구조{A STRUCTURE FOR INCREASING THE RIGIDITY OF COWL ASSEMBLY IN AN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 카울의 강성증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카울패널과 쇽압쇼버 하우징이 결합되는 부분의 급단면부에 거세트를 보강한 카울의 강성증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신차모델이 생산되기까지는 소정의 공정을 거치게 되는데 그중에서 각종 부품이나 도어가 바디에 장착되기 전 단계인 가장 기초적인 제작단계를 차체골격공정이라 하고 이 공정에서 제작되는 차체를 화이트바디 또는 바디인화이트 라고 한다.
이러한 화이트바디는 차체에 요구되는 각종 기능의 기본성능을 결정하는데 그 중 강성은 골격구조 결정의 기본이 되는 것으로서 강성을 만족시키면 진동, 강도, 승차감, 조향 안정성 등의 성능도 어느 정도 만족하게 된다.
차체의 강성이란 차체를 휘거나 비틀었을 때 변형량의 많고 적음을 평가하는 것인데 이러한 강성평가의 목적은 강성이 부족할 때 발생되는 현상을 파악해 보면 쉽게 알수 있다. 강성이 약하면, 즉, 변형량이 커지면 심한 경우에는 차체에 균열이 발생하거나 삐거덕거리는 소리 및 진동이 발생하고 더욱이 조향 안전성능에도 크게 영향을 미친다.
도 1은 통상적인 차체골격구조의 화이트바디를 도시하였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 전방부위인 프론트 바디부(10)에는엔진룸(11)이 마련되어 있고 이 엔진룸(11)과 차실내(12)를 칸막이하는 대시패널(14)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대시패널(14)의 상단과 용접됨과 동시에 펜더 에이프론(18: 펜더의 안쪽에 있으며 바퀴와 엔진룸을 칸막이한 부분으로 흙받이 역할을 함과 동시에 서스펜션으로부터 전달되는 힘을 지지해 주는 부위)의 상부인 쇽압쇼버 하우징(20)의 일측상부와 스폿용접되는 카울패널(16)이 앞창유리(22)와 엔진룸 후드(미도시)가 이루는 경계면(24)의 저면에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카울패널은 주행중 발생되는 차체의 진동, 특히 코너링시 발생되는 차체의 비틀림을 억제하고, 차량 충돌사고시 발생되는 충격에너지를 흡수하며 엔진룸의 각종 부품이 차실내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2는 종래의 카울 접합구조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여기서 살펴보면 폐단면을 이루는 장방형의 카울패널(16)이 있고 이 카울패널의 수직하단부가 소정의 폭을 갖도록 일정 각도만큼 절곡되어 있으며 이 절곡된 밑면의 양끝단이 펜더 에이프런(18)과 일체로 형성된 쇽압쇼버 하우징(20)의 상부 일끝면에 얹혀지는 형상으로 스폿 용접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구성을 갖는 종래의 기술에서는 카울패널과 쇽압쇼버 하우징이 이루는 소부위 접착면만을 스폿 용접하여 자동차가 주행중 연속적으로 받을수 있는 차체의 충격하중이나 비틀림 진동으로 인해 상기 단면 부위에 응력집중이 발생하면 용접점이 파단되고 동강성이 저하되어 카울패널 본래의 역할을 다하지 못할뿐 아니라 상기 부위에 크랙이 발생후 진행되어 대형사고로까지 이어지는등 많은 문제점이 초래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카울패널과 쇽압쇼버 하우징간의 급단면 접착부위가 주행중 각종 복합하중을 받더라도 충분히 그 하중에 대한 강성을 갖고, 또 집중하중을 분산할 수 있도록 그 급단면 부위에 보강재인 거세트를 삽입함으로써, 차후 발생할수 있는 용접점의 파단을 방지하고 비틀림 강성을 증대하는데 있다.
도 1은 차체골격공정의 화이트바디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부위를 확대한 종래의 카울구조에 따른 요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카울패널과 쇽압쇼버 하우징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거세트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프론트 바디부 12 : 실내
14 : 대시패널 16 : 카울패널
17a : 절곡 수평면 18 : 펜더 에이프런
20 : 쇽압쇼버 하우징 30 : 거세트
본 발명은 펜더 에이프런의 인너측에 그 펜더 에이프런과 일체로 형성된 쇽압쇼버 하우징의 일측을 카울패널과 접합함에 있어서,
쇽압쇼바 하우징의 일측벽부와 카울패널 하부에 형성된 절곡수평면이 이루는 급단면 부위에 거세트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카울 강성증대구조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카울패널과 쇽압쇼버 하우징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거세트의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따르면, 카울패널(16)의 하단부에 마련된 절곡수평면(17a)은 펜더 에이프런(18)과 일체로 형성된 쇽압쇼버 하우징(20)의 상부 일측면과 스폿용접으로 결합되고 이 카울패널(16)의 절곡수평면(17a)과 쇽압쇼버 하우징(20)의 일측 벽부가 이루는 급단면에 전체적으로 'L'자 형상을 갖는 거세트(30)가 보강되어 삽입된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카울패널과 쇽압쇼버 하우징을 3점 접합하고 고정 지지함으로써, 고속 주행시에 고속 쉐이크(shake)라는 차체진동이 발생하여도 카울패널과 쇽압쇼버 하우징이 덜덜 떨리지 않게 된다. 또한 차체의 회전운동시에는 상기 급단면 부위에 휨강성이 크게 요구되는바 상기 거세트에 의해 충분히 해결될수 있다.
자동차가 주행중 턱을 넘을 경우, 4바퀴중 어느 하나가 들려도 차체는 비틀림을 받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에도 상기 급단면에 거세트를 통하여 보호/보강하게 됨으로써 차체는 비틀림에 대한 강성을 높일수 있다.
상기 거세트의 형상은 반드시 도 4의 형상에 국한될 필요는 없으나, 상기 급단면 부위의 변화를 감소시키면서 브리지 역할을 하여 동강성(휨강성 및 비틀림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세트가 상기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카울패널과 쇽업쇼버 하우징이 이루는 급단면 부위에 거세트를 삽입하여 보강함으로써 상기 급단면에 집중되던 응력을 분산시켜 두 부재간의 접합점이 파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차체의 비틀림 하중에 대한 동강성 증대라는 특유의 효과를 얻을수 있다.

Claims (2)

  1. 펜더 에이프런의 인너측에 그 펜더 에이프런과 일체로 형성된 쇽압쇼버 하우징의 일측을 카울패널과 접합함에 있어서,
    쇽압쇼바 하우징(20)의 일측벽부와 카울패널(16) 하부에 형성된 절곡수평면(17a)이 이루는 급단면 부위에 거세트(30)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카울 강성증대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세트(30)는 'L'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카울 강성증대구조.
KR1020000032291A 2000-06-13 2000-06-13 자동차의 카울 강성증대구조 KR1003334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2291A KR100333437B1 (ko) 2000-06-13 2000-06-13 자동차의 카울 강성증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2291A KR100333437B1 (ko) 2000-06-13 2000-06-13 자동차의 카울 강성증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1684A KR20010111684A (ko) 2001-12-20
KR100333437B1 true KR100333437B1 (ko) 2002-04-25

Family

ID=45932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2291A KR100333437B1 (ko) 2000-06-13 2000-06-13 자동차의 카울 강성증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343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23779A (ja) * 1987-11-10 1989-05-16 Kuroobaa Eng Kk 用紙のセパレート機構
KR19990034210A (ko) * 1997-10-28 1999-05-15 류정열 자동차의 차체 전방부 보강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23779A (ja) * 1987-11-10 1989-05-16 Kuroobaa Eng Kk 用紙のセパレート機構
KR19990034210A (ko) * 1997-10-28 1999-05-15 류정열 자동차의 차체 전방부 보강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1684A (ko) 2001-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60647B2 (ja) 自動車の車体前部構造
WO2015001973A1 (ja) 車体前部構造
KR101485978B1 (ko) 앞 차체 구조
CN106032151A (zh) C柱加强板下接头连接结构
KR20200134493A (ko) 전방 차체 보강구조
KR100333437B1 (ko) 자동차의 카울 강성증대구조
JPS5863577A (ja) 自動車のサスペンションタワ−部の構造
JPH09221067A (ja) 車両のカウル構造
KR101230215B1 (ko) 자동차용 리어 쇼크업소버 지지대
JP4003221B2 (ja) 車両の前部車体構造
JPH0116713B2 (ko)
JP2522798B2 (ja) 自動車のステアリング支持構造
JP2000016334A (ja) コンバーチブル車の車体前部構造
KR20110061854A (ko) 자동차의 카울 강성증대구조
KR100428457B1 (ko) 카울 사이드구조
JPS6311017Y2 (ko)
JP4164667B2 (ja) 車体フレーム構造
KR100312566B1 (ko) 자동차의 프론트사이드멤버 보강구조
JP2001150999A (ja) 車両用アシストグリップ取付構造
JP3643301B2 (ja) 自動車の車体前部における補強構造
KR200158280Y1 (ko) 승용차의 펜더 에이프런 보강구조
KR100534399B1 (ko) 자동차의 카울사이드부의 보강구조
JPH0425426Y2 (ko)
KR100328988B1 (ko) 자동차의 쿼터 글래스 보강 구조물
KR19980032416U (ko) 차량의 리어 써스팬션 쇽업소오버의 장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0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