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2657B1 - 세발기 - Google Patents

세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2657B1
KR100332657B1 KR1020000007270A KR20000007270A KR100332657B1 KR 100332657 B1 KR100332657 B1 KR 100332657B1 KR 1020000007270 A KR1020000007270 A KR 1020000007270A KR 20000007270 A KR20000007270 A KR 20000007270A KR 100332657 B1 KR100332657 B1 KR 1003326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ck support
water
hot water
support member
n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7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6731A (ko
Inventor
시미즈히로히사
Original Assignee
히로타 기요시
가부시키가이샤 오히로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타 기요시, 가부시키가이샤 오히로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히로타 기요시
Publication of KR20010066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67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2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26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9/00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 A45D19/06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in the form of bowls or similar open containers
    • A45D19/08Adaptations of wash-basins
    • A45D19/10Backward lavabo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9/00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 A45D19/0041Processes for treating the hair of the scalp
    • A45D19/005Shampooing; Conditioning; Washing hair for hairdressing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9/00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 A45D19/02Hand-actuated implements, e.g. hand-actuated spray hea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9/00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 A45D19/14Closed washing devices, e.g. washing ca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eaning And Drying Hair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저탕 탱크(13)의 온수를 샤워 헤드(S1∼S11) 및 노즐 헤드(N1∼N6)로 통하는 탕수 공급로(A)의 도중에 목 받침부 보온용 수로(A1)를 배설하여, 상기 목 받침부 보온용 수로(A1)를 탄력성을 갖는 고무 등의 탄성재로 이루어지는 목 받침 부재(3)의 하측부에 접하도록 배관하여 탕수 공급로(A)에 저탕 탱크(13) 내의 온수를 공급함으로써, 온수를 목 받침 부재(3)의 하측면에 접하는 목 받침부 보온용 수로(A1)를 통하게 할 수 있으며, 피세발자(9)의 목부를 목 받침 부재(3)를 개재하여 목 받침부 보온용 수로(A1)를 통하는 온수에 의해 따뜻하게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세발기{HAIR WASHER}
본 발명은 미장원, 이발소 등에 설치되는 세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피세발자(被洗髮者)의 두부를 삽입 가능한 수조의 전연부에 있어서 피세발자의 목덜미부를 지지하는 목 받침부에 관한 것이다.
도 6은 종래의 세발기의 구성의 개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에서, 참조 부호 1은 캐비넷, 참조 부호 2는 캐비넷(1)에서 개구부(2a)를 갖는 수조이며, 피세발자(9)는 뒤로 젖혀서, 상기 수조(2)의 개구부(2a)에 두부를 삽입하여 세발을 받는다. 상기 수조(2)의 전연부(2b)에는 목 받침 부재(103)가 배설되어 있으며, 피세발자(9)의 목덜미부는 상기 목 받침 부재(103)의 목 받침부(103a)에 의해 지지된다. 여기서 상기 목 받침 부재(103)는 예를 들면 고무 등의 탄성재로 이루어진다.
또, 참조 부호 4는 세발시에 피세발자(9)의 안면에 온수가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조(2)의 개구부(2a)를 덮도록 개폐 가능하게 배설된 페이스 커버, 참조 부호 5는 수조(2)에 붙은 모발과 샴푸액, 린스액을 씻어내기도 하고, 세발의 마무리시에 사용되는 인출 가능한 핸드 샤워, 참조 부호 6은 샴푸액을 수납하는 샴푸 탱크, 참조 부호 7은 린스액을 수납하는 린스 탱크이다.
도 7은 종래의 세발기의 구성의 개략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7에서, 도 6과 동일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이다. 또, 참조 부호 8은 수조(2)의 바닥부에 설치된 배수구, 참조 부호 9는 피세발자이다.
수조(2)의 내벽면에는 온수를 분사하는 샤워 헤드(S1∼S11), 샴푸액 또는 린스액이 혼합된 온수를 분사하는 노즐 헤드(N1∼N6)가 배설된다. 세발기에 의한 세발 공정은 초기 배수 공정, 예비 세정 공정, 샴푸 공정, 헹굼 공정, 린스 공정, 헹굼 공정을 거쳐 종료되나, 상기 샤워 헤드(S1∼S11), 노즐 헤드(N1∼N6)는 제어장치(도시되지 않음)의 제어를 받아, 각 공정에 따라 각각 소정 시간동안 자동적으로 온수, 샴푸액 또는 린스액이 혼합된 온수를 분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8은 종래의 세발기의 캐비넷 내에 있어서의 배관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서, 도 6 및 도 7과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이다. 또, 참조 부호 11은 지수전, 스트레이너, 역류 방지 밸브(도시되지 않음)를 개재하여 외부의 급수원, 급탕원으로부터 보내지는 냉수와 온수를 혼합하여, 세발에 적합한 온도의 온수를 만드는 혼합 믹싱, 참조 부호 12는 모터 밸브, 참조 부호 13은 혼합 믹싱(11)으로부터 모터 밸브(12)를 개재하여 공급된 온수를 담아두는 저탕 탱크, 참조 부호 14는 저탕 탱크(3)의 하측 위치에 설치되어 저탕 탱크(13) 내의 온수의 온도를 계측하는 서미스터, 참조 부호 15는 저탕 탱크(13)내의 온수의 양을 검출하는 플로트 스위치, 참조 부호 16은 저탕 탱크(13)의 온수를 길어내는 탕수 공급용 펌프, 참조 부호 17은 핸드 샤워용 밸브, 참조 부호 A는 일단은 탕수 공급용 펌프(16)에 접속되고, 그 타단은 분지되어 있고, 그 선단부에는 샤워 헤드(S1∼S11) 및 노즐 헤드(N1∼N6)가 접속되는 탕수 공급로, 참조 부호 18은 탕수 공급로(A)의 도중에 배설되어 불필요한 온수를 배수하기 위한 배수용 전자 밸브, 참조 부호 19a∼19k는 개폐동작에 의해 온수를 샤워 헤드(S1∼S11) 및 노즐 헤드(N1∼N6)에 공급 가능하게 하는 탕수 공급용 전자 밸브, 참조 부호 20은 샴푸 탱크(6)의 샴푸액을 길어내는 샴푸 공급용 펌프, 참조 부호 21은 린스 탱크(7)의 린스액을 길어내는 린스 공급용 펌프, 참조 부호 22 및 23은 역류 방지 밸브이다. 참조 부호 B1은 일단은 샴푸 탱크(6)에 접속되고, 타단은 샴푸 공급용 펌프(20)와 역류 방지 밸브(22)를 개재하여 탕수 공급로(A)에 접속되는 샴푸액 공급로, 참조 부호 B2는 일단은 린스 탱크(7)에 접속되고, 타단은 린스 공급용 펌프(21)와 역류 방지 밸브(23)를 개재하여 탕수 공급로(A)에 접속되는 샴푸액 공급로이다.
이하,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된 세발기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세발기를 동작시키면 외부의 급수원과 급탕원으로부터 지수전, 스트레이너, 역류 방지 밸브를 개재하여, 열수와 냉수가 혼합 믹싱(11)에 부여된다. 열수와 냉수는 혼합 믹싱(11)에서 혼합되어 세발에 적합한 온도의 온수가 되어, 모터 밸브(12)를 개재하여 저탕 탱크(13)에 공급된다.
저탕 탱크(13)에 소정량의 온수가 모아진 시점에서 스탠바이 모드로 이어지며, 피세발자(9)가 몸을 젖힌 자세에서 목덜미부분 목 받침부(3a)에 놓은 상태에서 두부를 수조(2)의 개구부(2a)에 삽입한 다음 페이스 커버(4)를 폐쇄한다.
이어, 탕수 공급용 전자 밸브(19a∼19k)가 열림과 동시에 저탕 탱크(13)에 담겨진 온수는 탕수 공급용 펌프(16)에 의해 흡입되며, 탕수 공급로(A)에 공급되므로 인해 최초의 소정기간은 탕수 공급로(A)에 모여 있는 냉수가 상기 샤워 헤드(S1∼S11) 및 노즐 헤드(N1∼N6)로부터 배출된다.
이어, 탕수 공급로(A)에 모여 있는 냉수가 모두 배출된 시점에서, 탕수 공급용 전자 밸브(19k)가 폐쇄되어 노즐 헤드(N1∼N6)로의 온수 공급이 정지되고, 소정 시간동안 샤워 헤드(S1∼S11)로부터 분사되는 온수에 의해 모발의 세정이 이루어진다.
그 다음, 샴푸 공정으로 이어져, 탕수 공급용 전자 밸브(19k)가 열림과 동시에 샴푸 탱크(6) 내의 샴푸액이 샴푸액 공급로(B1)를 통해 샴푸 공급용 펌프(20)에 의해 흡입되며, 역류 방지 밸브(22)를 개재하여 탕수 공급로(A)에 공급된다. 상기 샴푸액이 탕수 공급로(A)의 온수와 혼합됨에 따라 샴푸액 혼합수가 만들어지고, 상기 샴푸액 혼합수는 노즐 헤드(N1∼N6)로부터 분사되고, 샤워 헤드(S1∼S11)로부터 분사되는 온수와 함께 두발의 샴푸 세정이 이루어진다.
이어, 샴푸 공정이 종료되면, 탕수 공급용 전자 밸브(19k)가 폐쇄되며, 노즐 헤드(N1∼N6)로부터의 샴푸액 혼입수의 분사가 정지되고 샤워 헤드(S1∼S11)로부터 분사되는 온수에 의해 두발이 헹궈져 두발에 붙어 있는 샴푸액이 제거된다.
그 다음, 린스 공정으로 이어지며, 탕수 공급용 전자 밸브(19k)가 열림과 동시에 린스 탱크(7)내의 린스액이 린스액 공급로(B2)를 통해 린스 공급용 펌프(21)에 의해 흡입되며, 역류 방지 밸브(23)를 개재하여 탕수 공급로(A)에 공급된다. 상기 린스액이 탕수 공급로(A)의 온수와 혼합됨에 따라 린스액 혼합수가 만들어지며, 상기 린스액 혼합수는 노즐 헤드(N1∼N6)로부터 분사되고, 샤워 헤드(S1∼S11)로부터 분사되는 온수와 함께 두발의 린스 세정이 이루어진다.
그 다음, 헹굼 공정으로 이어져, 전자 밸브(10k)가 폐쇄되며, 노즐 헤드(N1∼N6)로부터의 린스액 혼입수의 분사가 정지되고, 샤워 헤드(S1∼S11)로부터 분사되는 온수에 의해 두발이 헹궈지게 됨으로써 모든 세발 공정이 종료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세발기로 세발을 행하는 경우, 특히 조조와 야간의 세발에서는 수조의 전연부에 설치된 목 받침부가 냉각되어 있어, 피세발자는 목이 닿을 때 차가움을 느껴 불쾌감을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피세발자의 목덜미부를 따뜻하게 유지할 수 있게 한 세발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세발기의 구성의 개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세발기의 수조의 전연부에 있어서의 목 받침부의 구성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세발기의 캐비넷 내에 있어서의 배관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세발기의 수조의 전연부에 있어서의 목 받침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세발기의 캐비넷 내에 있어서의 배관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6은 종래의 세발기의 구성의 개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7은 종래의 세발기에 구성의 개략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며,
도 8은 종래의 세발기의 캐비넷내에 있어서의 배관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청구된 세발기는 온수를 담아두는 저탕 탱크와, 피세발자의 두부를 삽입할 수 있는 수조와, 상기 수조의 전연부에서 피세발자의 목부분을 지지하는 목 받침부가 형성된 목 받침 부재를 설치한 세발기에 있어서, 상기 목 받침 부재에 접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저탕 탱크로부터의 온수가 통과되는 목 받침부 보온용 수로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청구된 세발기는 온수를 담아두는 저탕 탱크와, 피세발자의 두부를 삽입할 수 있는 수조와, 상기 수조의 전연부에서, 피세발자의 목덜미부분을 지지하는 목 받침부가 형성된 목 받침 부재를 설치한 세발기에 있어서, 상기 목 받침 부재는 중공의 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목 받침 부재 내부에 상기저탕 탱크로부터의 온수에 공급하는 목 받침부 탕수 공급로와, 상기 목 받침 부재 내부의 온수를 배수하는 목 받침부 탕수 배수로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청구된 세발기는, 상기 청구항 2 기재의 세발기에 있어서, 상기 목 받침 부재는 중공의 탄력성을 가진 탄성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목 받침부 탕수 공급로의 도중에 마련된 개폐 동작에 의해 상기 목 받침 부재 내부로 온수의 공급 및 공급 정지를 행하는 전자 밸브와, 상기 목 받침부 탕수 배수로의 도중에 마련되며 개폐 동작에 의해 상기 목 받침 부재 내부의 온수의 배수 및 배수 정지를 행하는 전자 밸브와, 상기 목 받침 부재의 수압을 계측하는 수압 센서와, 상기 수압 센서에 의해 계측한 상기 목 받침 부재의 수압에 기초하여 상기 목 받침 부재의 수압이 소정압이 되도록 상기 목 받침부 탕수 공급로 및 상기 목 받침부 탕수 배수로의 전자 밸브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전자 밸브 제어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실시 형태〉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세발기의 구성의 개략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세발기의 수조의 전연부에 있어서의 목 받침부의 구성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세발기의 캐비넷 내에 있어서의 배관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 중에서 도 6 내지 도 8에서 동일부호는 동일 부분 또는 그에 상당하는 부분이다. 또, A1은 탕수 공급로(A)의 도중에 설치된 목 받침부 보온용 수로이며, 상기 목 받침부 보온용 수로(A1)는 수조(2)의 전연부에 있어서의 목 받침 부재(3)의 하면에 접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목 받침 부재(3)는 탄력성을 갖는 고무 등의 탄성재로 이루어진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세발기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세발기를 시동하면, 외부의 급수원과 급탕원으로부터 지수전, 스트레이너, 역류 방지 밸브를 개재하여 열수와 냉수가 혼합 믹싱(11)에 공급된다. 열수와 냉수는 혼합 믹싱(11)에서 혼합되어 세발에 적합한 온도의 온수가 되며, 모터 밸브(12)를 개재하여 저탕 탱크(13)에 공급된다.
저탕 탱크(13)에 소정량의 온수가 모여진 시점에서 스탠바이 모드로 되어, 피세발자(9)가 뒤로 젖힌 자세에서 목덜미 부분을 목 받침부(3a)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두부를 수조(2)의 개구부(2a)에 삽입했을 때 페이스 커버(4)를 폐쇄한다.
그 다음, 종래의 세발기에 의한 세발공정과 마찬가지로, 저탕 탱크(13)에 모여진 온수는 탕수 공급용 펌프(16)에 의해 길어져 탕수 공급로(A)에 공급되며, 목 받침 부재(3) 하측에 접하는 목 받침부 보온용 수로(A1)를 통과하여 탕수 공급용 전자 밸브(19a∼19k)를 개재하여 샤워 헤드(S1∼S11) 및 노즐 헤드(N1∼N6)에 공급되며, 상기 샤워 헤드(S1∼S11)로부터 분사되는 온수 및 노즐 헤드(N1∼N6)로부터 분사되는 샴푸액 혼합수 또는 린스액 혼합수에 의해 초기 배수에서 예비 세정, 샴푸 세정, 헹굼, 린스 세정, 헹굼까지 이루어진다.
상기 세발 공정에서, 피세발자(9)의 목덜미부는 목 받침 부재(3)를 개재하여목 받침부 보온용 수로(A1)를 통과하는 온수에 의해 따뜻하게 유지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 1에 의한 세발기에 의하면, 저탕 탱크(13)의 온수를 샤워 헤드(S1∼S11) 및 노즐 헤드(N1∼N6)를 통과하는 탕수 공급로(A)의 도중에 목 받침부 보온용 수로(A1)을 배설하고, 상기 목 받침부 보온용 수로(A1)를 탄력성을 갖는 고무 등의 탄성재로 이루어지는 목 받침 부재(3)의 하측에 접하도록 배관하였기 때문에, 탕수 공급로(A)에 저탕 탱크(13)내의 온수를 공급함으로써 온수를 목 받침 부재(3)의 하측에 접하는 목 받침부 보온용 수로(A1)를 통과하게 할 수 있으며, 세발중에 피세발자(9)의 목덜미부를 목 받침 부재(3)를 개재하여 목 받침 보온용 수로(A1)를 통과하는 온수에 의해 따뜻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실시 형태 2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세발기의 수조의 전연부에 있어서의 목 받침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세발기의 캐비넷 내에 있어서의 배관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 중에서, 도 1 내지 도 3에서 동일부호는 동일 부분 또는 그에 상당하는 부분이다.
또, 목 받침 부재(3)는 탄력성을 갖는, 예를 들면, 고무 등의 탄성재로 이루어지며, 그 내부에는 중공부(3b)를 갖는다. 상기 목 받침 부재(3)의 양면에는 탕수 유입구(3c) 및 탕수 유출구(3d)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목 받침 부재(3)의 상기 탕수 유입구(3c) 및 탕수 유출구(3d)는 각각 탕수 공급로(A)로부터 분지되어 설치된 목 받침부 탕수 공급로(A2) 및 목 받침부 탕수 배수로(A3)에 접속되며, 상기 목 받침부 탕수 공급로(A2) 및 목 받침부 탕수 배수로(A3)의 도중에는 각각 전자밸브(30a, 30b)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전자 밸브(30a)에는 개폐동작에 의해 목 받침 부재(3)의 중공부(3b)에 온수를 공급한다. 상기 전자 밸브(30b)는 개폐동작에 의해 목 받침 부재(3)의 중공부(3b)의 온수의 배수를 행한다. 참조 부호 31은 목 받침 부재(3)의 중공부(3b)의 수압을 계측하는 수압 센서, 참조 부호 32는 상기 전자 밸브(30a, 30b)의 개폐동작을 제어하는 전자 밸브 제어부이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 2에 의한 세발기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세발기를 시동시키면, 외부의 급수원과 급탕원으로부터 지수전, 스트레이너, 역류 방지 밸브를 개재하여 열수와 냉수가 혼합 믹싱(11)에 공급된다. 온수와 냉수는 혼합 믹싱(11)에서 혼합되어 세발에 적합한 온도의 온수가 되어, 모터 밸브(12)를 개재하여 저탕 탱크(13)에 공급된다.
저탕 탱크(13)에 소정량의 온수가 모아진 시점에서 스탠바이 모드로 이어지고, 피세발자(9)가 몸을 젖힌 자세로 목덜미 부분을 목 받침부(3a)에 얹은 상태에서 두부를 수조(2)의 개구부(2a)에 삽입한 다음 페이스 커버(4)를 폐쇄한다.
그 다음, 종래의 세발기에 의한 세발공정과 마찬가지로, 저탕 탱크(13)에 모아진 온수는 탕수 공급용 펌프(16)에 의해 길어지게 되며, 탕수 공급로(A)를 통해 탕수 공급용 전자 밸브(19a∼19k)를 개재하여 탕수 샤워 헤드(S1∼S11) 및 노즐 헤드(N1∼N6)로 공급되며, 상기 샤워 헤드(S1∼S11)로부터 분사되는 온수 및 노즐 헤드(N1∼N6)으로부터 분사되는 샴푸액 혼합수 또는 린스액 혼합수에 의해 초기 배수에서 예비 세정, 샴푸 세정, 헹굼, 린스 세정, 헹굼까지 이루어진다.
상기 세발 공정에서, 전자 밸브 제어부(32)에 의해 목 받침부 탕수공급로(A2)의 전자 밸브(30a) 및 목 받침부 탕수 배수로(A3)의 전자 밸브(30b)를 폐상태로 함에 따라, 탕수 공급로(A)에 흐르는 온수는 목 받침부 탕수 공급로(A2)로 분류(分流)되어, 전자 밸브(30a)를 개재하여 목 받침 부재(3)의 중공부(3b)로 이끌어지며, 나아가 목 받침 부재(3)의 중공부(3b)에 있는 온수는 목 받침부 탕수 배수로(A3)를 통해 탕수 공급로(A)로 이끌어지게 되며, 목 받침 부재(3)의 중공부(3b)에 저탕 탱크(13)로부터의 온수를 통과시킬 수 있게 되어, 세발 중에 피세발자(9)의 목덜미부를 목 받침 부재(3)의 중공부(3b)의 온수에 의해 따뜻하게 유지할 수 있다.
목 받침 부재(3)의 중공부(3b)에 온수가 통과하고 있는 상태에서, 전자 밸브 제어부(32)에 의해 목 받침부 탕수 배수로(A3)의 전자 밸브(30b)를 폐쇄함으로써 목 받침 부재(3)의 중공부(3b)의 온수의 배수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목 받침 부재(3)로의 온수의 공급만이 이루어진다. 그 다음, 수압 센서(31)에 의해 목 받침 부재(3)의 수압이 설정된 압력에 도달한 것을 검지한 시점에서, 전자 밸브 제어부(32)에 의해 목 받침부 탕수 공급로(A2)의 전자 밸브(30a)가 폐쇄된다. 이로 인해, 탄력성을 갖는, 예를 들면, 고무 등의 탄성재로 이루어진 목 받침 부재(3)를 피세발자(9)의 두부에 대해 적당한 압력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 2에 의한 세발기에 의하면, 탄력성를 가진, 예를 들면, 고무 등의 탄성재로 형성된 중공의 목 받침 부재(3)에 탕수 유입로(3c) 및 탕수 유출로(d)를 배설하여, 상기 탕수 유입로(3c) 및 탕수 유출로(3d)의 각각에 탕수 공급로(A)로부터 분지된 목 받침부 탕수 공급로(A2) 및 목 받침부 탕수 배수로(A3)를 접속함으로써 목 받침 부재(3)의 중공부(3b)에 저탕 탱크(13)로부터의 온수를 통수시킬 수 있으며, 또 전자 밸브 제어부(32)에 의해 목 받침부 탕수 공급로(A2)의 전자 밸브(30a) 및 목 받침부 탕수 배수로(A3)의 전자 밸브(30b)의 개폐동작을 제어하여 목 받침 부재(3)의 중공부(3b)에 대한 온수의 공급 및 배수를 제어함으로써 목 받침 부재(3)의 중공부(3b)의 수압을 소정압으로 할 수 있으며, 세발 중에 목 받침 부재(3)에 의해 피세발자(9)의 목부분을 적당한 쿠션으로 탄력적으로 지지하면서 따뜻하게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청구된 세발기에 의하면, 온수를 담아두는 저탕 탱크와, 피세발자의 두부를 삽입 가능한 수조와, 상기 수조의 전연부에서, 피세발자의 목덜미 부분을 지지하는 목 받침부가 형성된 목 받침 부재를 설치한 세발기에서, 상기 목 받침 부재에 접하도록 설치된, 상기 저탕 탱크로부터의 온수를 통하는 목 받침부 보온용 수로를 설치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세발 중에 피세발자의 목부분을 목 받침 부재를 개재하여 목 받침부 보온용 수로를 통과하는 온수에 의해 따뜻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청구된 세발기에 의하면, 온수를 담아두는 저탕 탱크와, 피세발자의 두부를 삽입할 수 있는 수조와, 상기 수조의 전연부에서, 피세발자의 목부분을 지지하는 목 받침부가 형성된 목 받침 부재를 구비한 세발기에서, 상기 목 받침 부재는 중공의 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목 받침 부재 내부에 상기 저탕 탱크로부터의 온수를 공급하는 목 받침부 탕수 공급로와, 상기 목 받침 부재내부의 온수를 배수하는 목 받침부 탕수 배수로를 갖춘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세발 중에 상기 목받침 부재 내부에 저탕 탱크로부터의 온수를 통과시킬 수 있으며 목 받침 부재에 의해 피세발자의 목부분을 따뜻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청구된 세발기에 의하면, 상기 청구항 2의 세발기에서, 상기 목 받침 부재는 중공의 탄력성을 가진 탄성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목 받침부 탕수 공급로의 도중에 설치되며 개폐 동작에 의해 상기 목 받침 부재 내부로의 온수의 공급 및 공급 정지를 행하는 전자 밸브와, 상기 목 받침부 탕수 배수로의 도중에 설치되며 개폐동작에 의해 상기 목 받침 부재 내부의 온수의 배수 및 배수정지를 행하는 전자 밸브와, 상기 목 받침 부재의 수압을 계측하는 수압 센서와, 상기 수압 센서에 의해 계측한 상기 목 받침 부재의 수압에 기초하여 상기 목 받침 부재의 수압이 소정압이 되도록 상기 목 받침부 탕수 공급로 및 상기 목 받침부 탕수 배수로의 전자 밸브의 개폐동작을 제어하는 전자 밸브 제어부를 구비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세발 중에 상기 목 받침 부재내부에 저탕 탱크로부터의 온수를 통과시킬 수 있으며, 또 전자 밸브 제어부에 의해 목 받침부 탕수 공급로의 전자 밸브 및 목 받침부 탕수 배수로의 전자 밸브의 개폐동작을 제어하여 목 받침 부재의 중공부에 대한 온수의 공급 및 배수를 제어함으로써 목 받침 부재내의 수압을 소정압으로 할 수 있으며, 상기 목 받침 부재에 의해 피세발자의 목덜미부를 적당한 쿠션으로 탄력적으로 지지하면서 따뜻하게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온수를 담아 두는 저탕 탱크와, 피세발자의 두부를 삽입할 수 있는 수조와, 상기 수조의 전연부에서, 피세발자의 목덜미 부분을 지지하는 목 받침부가 형성된 목 받침 부재를 구비한 세발기에 있어서,
    상기 목 받침 부재에 접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저탕 탱크로부터의 온수를 통과하는 목 받침부 보온용 수로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발기.
  2. 온수를 담아 두는 저탕 탱크와, 피세발자의 두부를 삽입 가능한 수조와, 상기 수조의 전연부에서, 피세발자의 목덜미 부분을 지지하는 목 받침부가 형성된 목 받침 부재를 구비한 세발기에 있어서,
    상기 목 받침 부재는 중공의 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목받침 부재 내부에 상기 저탕 탱크로부터의 온수를 공급하는 목 받침부 탕수 공급로와,
    상기 목 받침 부재 내부의 온수를 배수하는 목 받침부 탕수 배수로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발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목 받침 부재는 중공의 탄력성을 갖는 탄성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목 받침부 탕수 공급로의 도중에 설치되며 개폐동작에 의해 상기 목받침 부재 내부로의 온수의 공급 및 공급 정지를 행하는 전자 밸브와,
    상기 목 받침부 탕수 배수로의 도중에 설치된, 개폐동작에 의해 상기 목 받침 부재 내부의 온수의 배수 및 배수정지를 행하는 전자 밸브와,
    상기 목 받침 부재의 수압을 계측하는 수압 센서와,
    상기 수압 센서에 의해 계측한 상기 목 받침 부재의 수압에 기초하여, 상기 목 받침 부재의 수압이 소정압이 되도록 상기 목 받침부 탕수 공급로 및 상기 목 받침부 탕수 배수로의 전자 밸브의 개폐동작을 제어하는 전자 밸브 제어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발기.
KR1020000007270A 1999-04-01 2000-02-16 세발기 KR1003326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9514999A JP4011784B2 (ja) 1999-04-01 1999-04-01 洗髪機
JP99-95149 1999-04-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6731A KR20010066731A (ko) 2001-07-11
KR100332657B1 true KR100332657B1 (ko) 2002-04-15

Family

ID=14129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7270A KR100332657B1 (ko) 1999-04-01 2000-02-16 세발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233755B1 (ko)
JP (1) JP4011784B2 (ko)
KR (1) KR100332657B1 (ko)
TW (1) TW543391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18564A1 (en) 2012-07-23 2014-01-30 Zieger Claus Dieter Multiple proportion delivery systems and methods
JP2015033438A (ja) * 2013-08-08 2015-02-19 株式会社 菊星 枕およびこれを用いる給水装置
IT202000013534A1 (it) * 2020-06-08 2021-12-08 Semplice Mente S R L S Dispositivo per il lavaggio dei capelli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2106A (en) * 1905-04-11 1905-10-17 Jesse V Matteson Toilet-seat attachment.
US1004192A (en) * 1910-07-13 1911-09-26 John T Phelan Cooling device for treating fever cases.
US1078207A (en) * 1910-12-08 1913-11-11 Thomas Michael Hot and cold water applicator.
US1839156A (en) * 1930-02-21 1931-12-29 Edwin K Lumpkin Seat warmer
GB625529A (en) * 1947-08-07 1949-06-29 Philip John Pinnell Head-rest
US2913833A (en) * 1956-10-29 1959-11-24 Georgia E Glintz Cushion hair dryer
US3008153A (en) * 1959-03-03 1961-11-14 Claude D Zehrung Sr Multipurpose cushion
US3103219A (en) * 1961-07-27 1963-09-10 Richard T Chadner Sleep inducing heating pad
GB1470165A (en) * 1974-07-22 1977-04-14 Money B Apparatus to facilitate hairdressing
US4411032A (en) * 1981-01-29 1983-10-25 Lewy Laury P Neck rest for shampoo bowls
US4901378A (en) * 1989-01-19 1990-02-20 Lealyce Reddell Shampoo bas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011784B2 (ja) 2007-11-21
US6233755B1 (en) 2001-05-22
KR20010066731A (ko) 2001-07-11
TW543391U (en) 2003-07-21
JP2000287741A (ja) 2000-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11677Y2 (ja) 一般的な浴槽用自浄式還流システム
KR100332657B1 (ko) 세발기
JP3439358B2 (ja) 自動洗髪機
KR100332655B1 (ko) 자동 세발기
JP2004173969A (ja) 入浴・洗髪装置
KR100328282B1 (ko) 자동 세발기
KR100328283B1 (ko) 자동 세발기
KR200402782Y1 (ko) 헤어세척대용 가압형 샤워장치
US6408455B2 (en) Automatic hair washer
KR200372487Y1 (ko) 비데 물탱크의 세정수 배출장치
JP3098321U (ja) 給湯器の湯の圧力を空気圧に変え密封容器に蓄えて利用する局部洗浄器。
JPH0730902U (ja) 自動捨て水装置
JP5203269B2 (ja) 吐水装置
JP3568465B2 (ja) 自動洗髪機
KR910000427Y1 (ko) 샤워 겸용 세정기
JP2535012Y2 (ja) 自動洗髪機
JP3780163B2 (ja) 温水洗浄器
KR200347202Y1 (ko) 기포수류 위생세정기
JPH10338960A (ja) 温水洗浄便器
JP2592857Y2 (ja) 浴槽蓋及びこれを備える風呂装置
JPH02232020A (ja) 浴室用シャワーシステム
KR200326042Y1 (ko) 모발 세척대
KR200326043Y1 (ko) 모발 세척대
JPH0630876A (ja) 食器洗浄機
KR20070050168A (ko) 변기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0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