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0427Y1 - 샤워 겸용 세정기 - Google Patents

샤워 겸용 세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0427Y1
KR910000427Y1 KR2019870000214U KR870000214U KR910000427Y1 KR 910000427 Y1 KR910000427 Y1 KR 910000427Y1 KR 2019870000214 U KR2019870000214 U KR 2019870000214U KR 870000214 U KR870000214 U KR 870000214U KR 910000427 Y1 KR910000427 Y1 KR 9100004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hower
pipe
supply
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002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5092U (ko
Inventor
신경순
Original Assignee
신경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경순 filed Critical 신경순
Priority to KR20198700002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0427Y1/ko
Publication of KR88001509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509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04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042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E03D9/085Hand-held spray heads for bidet use or for cleaning the bow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25Water supply lines as such, e.g. shower hose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샤워 겸용 세정기
제1도는 본 고안의 횡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를 일부 절결한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저수통 2 : 조작손잡이
3 : 히터코일 4 : 급수밸브
5 : 세정제 공급통 6 : 입수관
7 : 정수기 8 : 배수관
9 : 조작부 10 : 세정기
11 : 샤워기 12 : 조절노브
본 고안은 통상의 변기 저수통 내부로 세정제 공급통과 정수기를 내장하여 샤워시 또는 용변후의 세정시 세정액이 혼합된 물과 상용수를 사용할 수 있게 하여 사용자의 편리를 도모하고 설치비를 낮출 수 있게 한 샤워 겸용 세정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는 국내 실용 신안공보 제573호(공고번호 제82-2280호)에 기재된 것이 있었고 또한 본인의 선등록 된 국내 실용신안공보 제806호(공고번호 제86-2940호)에 나타난 것과같은 구성의 제품들이 있었으나 이들은 좌판에 온수파이프를 내설시키고 세정제 공급통과 콘트롤 박스를 외부로 노출시키므로서 좌변기의 빈번한 사용상 좌판내의 온수 파이프라든지 히터코일등에 압박을 주게 되어 쉽게 누수가 되거나 전단이 되는 등의 문제점과 외관상 미려하지 못하여 소비자들의 구매욕을 유발시키기에는 미흡한 점등이 공통된 결점이었다.
또한 수도전에서 공급되는 상용수를 용변후의 세정수나 위생용 국부세척수를 각각 사용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종래에는 수도전과 연결하는 파이프 및 공급된 물을 적량한 온도로 가열하기 위한 가열기와 가열된 물의 분사압을 조절하는 펌프등을 갖추고, 상기의 가열가압된 물이 배출되는 가열기의 가열성 파이프의 선단에는 세정용 노즐과 국부세척용 노즐 교체용 소켓트를 구비한 구성이 일본공개실용 소57-178591호(1982.11.12)에 기재된 바 있으나, 이는 사용목적에 알맞게 제작된 노즐을 교체하여야 되는 문제점이 대두되고 특히, 상용수를 그대로 항문세척이나, 질세척에 사용해야 하는 위생상의 문제점과 샤워노즐을 별도로 구비하여 연결하지 않는 한 샤워용으로는 사용할 수 없는 등의 여러가지 문제점들이 있었던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같은 제반 문제점과 결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소코자 안출되었으며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대체적으로 욕조와 변기가 동일 장소에서 병설되어 사용되어지므로 샤워기로서도 활용할 수 있게 보완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급수관(1′)을 통하여 급수되어 저수통(1) 내부에 저장된 세척수(1″)가 조작손잡이(2)의 조작으로 배수밸브(2″)가 개방되어 변기를 세척할 수 있게 된 통상의 것을 구비함에 있어서, 상기 저수통(1)의 양측부로 입수관공(6″)과 배수관공(8″)을 각각 천공하고, 저수통(1)의 내부에 히터코일(3) 및 급수밸브(4)가 내장한 세정제공급통(5)과 정수기(7)를 연결하여 내설하고, 저수통(1)의 입수관용(6″)을 통하여 끼워진 상용수 공급용 입수관(6)과 정수기(7)를 연결하고 세정제 공급통(5)에 형성되어 저수통(1)의 배수관용(8″) 내측에서 관통된 세정관(10′)과 샤워기(11)에 연결된 샤워관(11′) 및 세정관(10′) 또는 샤워관(11′)으로의 수로를 절환하는 조절노브(12)를 구비한 조작부(9)를 상기 배수관(8)에 연결하여 조절노브(12)의 조절에 따라 세정수 또는 수로공급 샤워할 수 있게 한 것으로 도면중 미설명부호 A는 원형좌판, B는 변기본체, C는 상기 조작부(9) 상단에 설치되어 세정수의 수압을 조절할 수 있게 한 수압밸브, D는 히터코일(3)의 가열로 세정제 공급통(5) 내부의 세정수가 필요 이상의 고온으로 상승됨을 체크하여 사용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한 체크밸브, E는 히터코일(3)에 전원을 공급해주는 히드선을 표시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서 된 본 고안은 수도관(도시없음)이나 대형 물탱크(도시없음)로부터 상용수를 화장실 또는 화장실 겸용 용실에 설치된 입수관(6)을 통해 공급받아 정수기(7)에서 일단 정수된다. 정수된 물은 세정제 공급통(5)으로 공급되어 세정제 공급통(5)내의 세정액과 혼합되어 세정액 혼합수로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사용목적에 따라 조절노브(12)를 조작하면 세정액 혼합수는 세정기의 세정수(10)와 샤워기(11)의 세척수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의 세정제 공급통(5)에서 정수된 물과 세정액이 혼합되는 과정은 사용자가 조절밸브(12)를 폐쇄위치에 놓게되면 세정제 공급통(5) 내에서는 유체의 흐름이 없으므로 급수밸브(4)가 자체의 탄력으로 입수관측을 차단하게 된다.
따라서, 세정제 공급통(25)내에 공급된 정수된 물은 일정량으로 공급된 세정액과 혼합되는 상태가 되고, 이렇게 혼합된 세정액 혼합수는 조절밸브(12)를 샤워관(11) 또는 세정관(10′)측으로 회전이동 시킬때 수압에 의해 개방된 유로를 통해 선택된 노즐에 공급되어 노즐의 용도에 따라서 용변후의 세정수 또는 샤워수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세정제 공급통(5)에서 물이 세정액과 혼합될 때 통상의 히터코일(3)의 가열작용으로 사용하기에 알맞는 온도로 세정액 혼합수는 가열된다.
또한 급수관(1″)을 통한 물은 저수통(1)으로만 공급되므로 변기세척만을 위한 단일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종래의 세정제 공급통(5)의 공급수와 병행사용하므로써 발생하는 공급수의 부족현상과 1회 사용후의 복귀능력의 지연현상을 없게하여 그 다음 사용자가 원활히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세정기(10)와 샤워기(11)를 병행설치 시키므로써 설치비를 저렴화 하였으며 저수통(1) 내부로 정수기(4)와 세정제 공급통(5)등을 내장하였으므로 외관상 미려하여 소비자들의 구매욕을 불러 일으키기에 충분하고 정수기(7) 설치로 인해 깨끗한 물을 사용하므로서 세정과 샤워를 신선하고 산뜻한 기분에서 행할 수 있는 효과를 더하는 유용한 고안일 뿐만 아니라, 조절노브 폐쇄시 일정량의 세정액이 세정액 공급통에 공급되므로 세정 또는 샤워 선택시 초기에는 세정액 혼합수와 분사공급되고 이후에는 정수된 물이 차례로 공급되어 세척하기가 편리해지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급수관(1′)을 통하여 급수되어 저수통(1) 내부에 저장된 세척수(1″)가 조작손잡이(2)의 조작으로 개방되는 배수밸브(2″)을 통하여 배수되어 변기를 세척할 수 있게 된 통상의 것을 구비함에 있어서, 급수밸브(4)와 통상의 히터코일(3)를 내장한 세정제 공급통(5)과 정수기(7)를 연결하며 이를 상기 저수통(1)내에 설치하고, 정수기(7)에는 상용수 공급용 입수관(6)을 연결하며 세정기(10)를 연결한 세정관(10′)과 샤워기(11)를 연결한 샤워관(11′) 및 조절노브(12)가 구비된 통상의 조작부(9)를 저수통(1) 내에서 관통된 세정제 공급통(6)의 배수관(8)에 연결하여 세정수 또는 샤워수로의 선택시 세정액 혼합수와 사용수를 차례로 공급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겸용 세척기.
KR2019870000214U 1987-01-12 1987-01-12 샤워 겸용 세정기 KR9100004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0214U KR910000427Y1 (ko) 1987-01-12 1987-01-12 샤워 겸용 세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0214U KR910000427Y1 (ko) 1987-01-12 1987-01-12 샤워 겸용 세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5092U KR880015092U (ko) 1988-09-14
KR910000427Y1 true KR910000427Y1 (ko) 1991-01-21

Family

ID=19258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00214U KR910000427Y1 (ko) 1987-01-12 1987-01-12 샤워 겸용 세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042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5870B1 (ko) * 2015-06-01 2016-09-08 유원이엔씨(주) 변기세척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5870B1 (ko) * 2015-06-01 2016-09-08 유원이엔씨(주) 변기세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5092U (ko) 1988-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11677Y2 (ja) 一般的な浴槽用自浄式還流システム
KR100217896B1 (ko) 여성세척기와 구강샤워기가 일체로 구비된 온냉수겸용 항문세척기
EP0204887A3 (en) Bidet attachment for water closets
KR910000427Y1 (ko) 샤워 겸용 세정기
CN2921124Y (zh) 暗道供水供电式洁身便座
CN111827429B (zh) 智能马桶
CN218264150U (zh) 一种具有排残留水功能的人体清洗系统及马桶
JP2607269Y2 (ja) 便 器
JP4024948B2 (ja) 浴槽残り湯利用システム
KR101829679B1 (ko) 여성청결 및 기능성 변비 치료기
KR200182440Y1 (ko) 화장실용 세정장치가 부착된 양변기 좌대
KR200320620Y1 (ko) 비데 변좌의 열선을 이용한 온수공급시스템
KR930005258Y1 (ko) 좌변기용 국부세척기의 부설 및 세제공급장치
CN209942283U (zh) 一种独立一体化卫浴系统
KR100332657B1 (ko) 세발기
CN217027349U (zh) 一种节能环保的智能马桶
CN2936091Y (zh) 一种智能热水零距离浴房
CN215227076U (zh) 一种带导流槽的瀑布式按摩浴缸
CN113898764B (zh) 泡沫厨房龙头
JP2002021150A (ja) 水洗トイレの洗浄装置
JP3623887B2 (ja) 浴室ユニット
KR940007731Y1 (ko) 좌변기 부착용 항문 및 국부세척장치
KR20100012699A (ko) 세척장치가 구비된 세면수 재활용 양변기 시스템
KR0114258Y1 (ko) 화장실용 세척기
KR200397787Y1 (ko) 좌변기용 비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