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4258Y1 - 화장실용 세척기 - Google Patents

화장실용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4258Y1
KR0114258Y1 KR2019950005697U KR19950005697U KR0114258Y1 KR 0114258 Y1 KR0114258 Y1 KR 0114258Y1 KR 2019950005697 U KR2019950005697 U KR 2019950005697U KR 19950005697 U KR19950005697 U KR 19950005697U KR 0114258 Y1 KR0114258 Y1 KR 01142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toilet
nozzle
washing 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056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1645U (ko
Inventor
박희완
Original Assignee
박희완
고려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희완, 고려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희완
Priority to KR20199500056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4258Y1/ko
Publication of KR96003164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164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42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425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02Manually-actuated controlling means, e.g. push buttons, levers or trigg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장실에서 변기옆에 놓고 사용할 수 있는 화장실용 세정기에 관한 것으로 기존 변기의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 변기와 독립된 상태에서 물세척을 할 수 있도록 하며 구조를 간단하게 하여서 제조, 유지, 보수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도록하고 사용자가 자신의 체형, 자세 및 취향에 알맞게 조작하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수도관과 연결되는 스탠드형 세척용수탱크(10)의 바닥(32)쪽에는 체크밸브(34)가 달린 입수관(36)과 수중전열기(38)를 설치하고, 세척용수탱크(10)의 상부에는 각각 정량토출밸브체(40),(42)를 가진 세정액탱크(12)와 차밍액탱크(14)를 장착하며, 체크밸브(40),(46),(48)를 가진 혼합노즐(16)을 세척용수탱크(10)의 상부중앙에 설치하고, 정량토출밸브체(40),(42)를 혼합노즐(16)의 체크밸브(46),(48)쪽에 연결하며, 가압펌프(18)와 유량조절밸브(20)를 혼합노즐(16)의 출구측에 연결하고, 분사공(78)을 가진 헤드(80)와 손잡이(82)로 이루어진 분사노즐(22)과 유량조절밸브(20)의 출구측을 연결관(76)으로 연결한 화장실용 세정기임.
본 고안에 의한 세정기는 용변후 물세척과 국부세척을 함께 또는 선택적으로 실시하는데 적용된다.

Description

화장실용 세척기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세정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종단면 예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세정기의 조작수단들을 보인 평면예시도.
제3도는 제 2도에서 보인 캡을 제거한 상태의 평면예시도.
제4도는 제 1도와 제 3도에서 보인 토출밸브체의 확대종단면예시도.
제5도는 본 고안에 의한 세정기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계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세척용수탱크 12 : 세정액탱크
14 : 차밍액탱크 16 : 혼합노즐
18 : 가압펌프 20 : 유량조절밸브
22 : 분사노즐
본 고안은 용변후 항물을 세척하거나 국부를 세척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화장실용 세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변후 화장지를 사용하는 것보다 물로 세척하는 것이 위생상 그리고 건강유지상 바람직한 것임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종래의 위생세척기는 용변후 화장지를 사용하지 않고 물로 세척시켜 주기 위한 항문세척용과 국부세척용으로 구분되어지는 분사노즐을 양변기의 보울내에서 변좌에 앉은 사람의 항문 또는 국부를 향하여 작동되도록 설치하고, 물 세척후 몸에 묻은 세척용수를 건조시켜주기 위한 온풍건조장치를 설치하며, 변좌의 후방양측에 이들의 조작기구들이 수용되는 암레스트형 박스를 포함하는 것이었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하고, 제조비용이 많이 들었으며, 설치하는데 숙련된 기술이 요구되었을 뿐 아니라 유지, 보수를 가정에서 손쉽게 할 수 없었고, 특히 기존 양변기의 구조를 크게 변경시켜주어야만 했었기 때문에 비용대효과면에서 경제적이지 못했었다. 다시말해서 용변시에는 분사노즐이 후진된 상태로 있다가 세척을 할 때에만 전진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만들어주어야만 하므로 분사노즐의 작동수단을 매우 복잡, 정교하게 만들 수밖에 없었고, 온풍건조장치의 경우에는 몸에 묻은 세척용수를 실질적으로 완전하게 건소시켜주는데 많은 시간과 상당한 전력이 소요될 뿐 아니라 깨끗하게 닦아 내려면 화장지를 사용해야만 하므로 비용대 효과면에서 낭비적인 요소가 많았으며, 사용자의 체형 또는 변좌에 앉는 자세등이 사람마다 제각기 다름에도 불구하고 분사노즐의 운동거리 및 세척용수의 분사방향과 건조용풍의 분출방향이 항상 일정하므로 물세척과 건조효과가 실효를 거둘 수 없게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 제트비테라고 불리워지는 위생세척기는 상기한 바와 같은 위생세척기보다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만들 수 있고, 설치 하기가 용이한 장점이 있는 반면에 양변기의 물탱크와 보울사이에서 물탱크와 연결되는 급수라인과 연결되는 상태로 양변기에 부설되는 것이므로 사용자가 직접 설치하기가 어려운 점은 마찬가지였으며, 사용편의상 옮겨가면서 사용할 수 없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자는 이와같은 종래의 제반문제점을 예의 검토한 결과 기존 양변기와 독립된 상태에서 세척용수를 가열하고 가열된 세척용수에 세정액와 차밍액을 선택적으로 혼합하며 세정액 또는 차밍액이 혼합된 세척용수를 가압하고, 가압된 세척용수를 분사시켜주는 분사노즐을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조작하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해 줄 수만 있다면 종래의 제반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음을 알게되어서 본 고안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을 기존 양변기 옆에 놓고 사용자가 자신의 체형과 같은 신체조건과 취향에 맞추어서 세척용수에 세정액 또는 차밍액을 적절하게 혼합시켜 분사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사용이 간편하고, 비교적 구조가 간단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만들 수 있으며, 사용중 고장의 우려가 없어서 유지, 보수비용이 저렴하게 들고, 비용대 효과면에서 매우 경제적인 잇점을 가진 화장실용 세정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예시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제1∼3도에 예시한 바와 같이 크게 나누어서 수도관과 연결되는 세척용수탱크(10), 세정액탱크(12) 및 여성전용국부청결제와 같은 차밍액탱크(14)와, 세척용수에 세정액 또는 차밍액을 섞어주는 혼합노즐(16)과, 혼합노즐(16)에서 섞인 분사용수를 가압시켜주는 펌프(18)와, 펌프(18)에 의해서 가압된 분사용수의 유량조절밸브(20) 그리고 이동이 자유로운 분사노즐(22)로 이루어진 것이다. 세척용수탱크(10)는 높이조절나사(24)를 가진 다리(26)위에 세워진 것으로서 세척용수탱크(10)의 측벽(28)은 중간에 단열공기층(30)을 가진 보온성이 우수한 이 중 벽체로 만들어져 있고, 세척용수탱크(10)의 바닥(32)쪽에는 체크밸브(34)가 달린 입수관(36)과, 수중전열기(38)가 설치되어 있다. 세정액탱크(12)와 차밍액탱크(14)는 상기 세척용수탱크(10)위에 장착되어 있는데, 세정액탱크(12)와 차밍액탱크(14)는 각각 토출밸브체(40),(42)가 장착되어 있으며, 토출밸브체(40),(42)는 세척용수탱크(10)의 상부중앙에 장착된 혼합노즐(16)과 연결되어 있다. 혼합노즐(16)은 세척용수탱크(10), 상기 토출밸브체(40),(42)와 연결된 부위에 체크밸브(44),(46),(48)를 가진 것으로서 혼합노즐(16)은 가압펌프(18)와 연결되어 있다. 가압펌프(18)에는 유량조절밸브(20)가 연결되어 있고, 유량조절밸브(20)에는 분사노즐(22)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세정액탱크(12), 차밍액탱크(14) 및 혼합노즐(16)과 펌프(18) 그리고 유량조절밸브(20)는 캡(50)으로 덮여져 있고, 캡(50)밖으로는 제 2도에 예시된 바와 같이 메인전원파이롯트램프(52), 수중전열기스위치(54) 및 수중전열기파이롯트램프(56)와, 세정액주입구(58) 및 세정액토출버튼(60), 차밍액주입구(62) 및 차밍액토출버튼(64), 유량조절밸브 및 펌프제어용 노브(66)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캡(50)을 열었을 때에는 제 3도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정액탱크(12), 차밍액탱크(14) 및 혼합노즐(16)과 펌프(18) 그리고 유량조절밸브(20)은 함께 온도감지센서(68), 수위감지센서(70) 및 수중전열기제어용 바이메탈 스위치(72)가 보여지도록 장착되어있고, 세척용수탱크(10)의 수중전열기에는 분사노즐(22)을 걸어두는데 사용되는 노즐걸이(74)가 형성되어 있다. 분사노즐(22)은 유량조절밸브(20)의 출구측과 연결관(76)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분사공(78)을 가진 헤드(80)와 손잡이(82)로 이루어져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토출밸브체(40),(42)는 제 4도에 잘 예시된 바와 같이 코일스프링과 같은 탄지수단(84)으로 탄설되는 피스톤형의 밸브(86), 역류방지용 강구(88) 및 상기 탄지수단(84)의 한쪽끝이 지지되는 피스톤(90)에 의해서 개폐되는 입구(92)와 출구(94)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제5도에 예시된 바와 같이 세척용수탱크(10)로 유입되는 세척용수(W)를 적당한 온도가 유지되도록 수중전열기(38)로 가열시키고, 세정액탱크(12)와 차밍액탱크(14)에 담긴 세정액과 차밍액을 선택적으로 적당량 토출시켜 가열된 세척용수(W)와 섞은 혼합된 세척수를 펌프(18)로 가압시키면서 유량조절밸브(20)를 통해서 혼합된 세척수의 유량을 제어하면서 분사노즐(22)의 분사공(78)을 통해서 분사시켜 용변후 물세척을 하는 것이다. 즉, 토출밸브체(40),(42)의 버튼(60),(64)를 누르면 제4도에서 보인 탄지수단(84)이 수용되는 부분의 체적에 해당하는 세정액 또는 차밍액이 정량토출된다. 이때 토출량은 상기 버튼(60),(64)을 누르는 횟수에 의해 임의로 조절된다. 다시 말해서 제1도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토출밸브체(40),(42)와 혼합노즐(16) 사이에 있는 체크밸브(46),(48)와 강구(88)가 입구(92)와 출구(94)를 개방시켜주기 때문에 세정액과 차밍액은 세척용수(W)와 함께 혼합노즐(16)속에서 섞인체 펌프(18)에 의해서 가압되고, 가압된 혼합세척수는 다시 유량조절밸브(20)를 거쳐서 분사노즐(22)의 분사공(78)을 통해 분사된다.
이때 가압펌프(18)와 유량조절밸브(20)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사용할 때는 통상의 수도관에 작용하는 압력으로 혼합세척수가 분사된다. 즉, 유량조절밸브(20)는 조절눈금을 예를들어 0,1,…4,5로 하여서 0일때는 유로가 폐쇄되도록하고, 1일때는 수돗물 의 공급압력만으로 분사되도록하며, 2이상일때에는 가압펌프(18)가 가동되도록 하면서 즉, 사용자가 임의로 압력을 높게 가변시키면서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기존 양변기의 옆에 놓고 사용할 수 있고 손쉽게 장소를 옮기면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의 비데에 비하여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게 만들 수 있음으로 해서 제조비용과 유지, 보수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고, 특히 사용자가 자신의 체형과 변기의 사용자세 등에 적합하게 임의로 조작하면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이 매우 간편하고 보다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어 위생효과가 우수한 장점이 있다.

Claims (1)

  1. 수도관과 연결되는 스탠드형 세척용수탱크(10)의 바닥(32)쪽에는 체크밸브(34)가 달린 입수관(36)과 수중전열기(38)를 설치하고, 세척용수탱크(10)의 상부에는 각각 정량토출밸브체(40),(42)를 가진 세정액탱크(12)와 차밍액탱크(14)를 장착하며, 체크밸브(44),(46),(48)를 가진 혼합노즐(16)을 세척용수탱크(10)의 상부중앙에 설치하고, 상기 정량토출밸브체(40).,(42)를 혼합노즐(16)의 체크밸브(46),(48)쪽에 연결하여, 혼합노즐(16)의 출구쪽에 가압펌프(18)와 유량조절밸브(20)를 연결하고, 분사공(78)을 가진 헤드(80)와 손잡이(82)로 이루어진 분사노즐(22)과 유량조절밸브(20)의 출구측을 연결관(76)으로 연결시켜서된 화장실용 세정기.
KR2019950005697U 1995-03-28 1995-03-28 화장실용 세척기 KR01142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5697U KR0114258Y1 (ko) 1995-03-28 1995-03-28 화장실용 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5697U KR0114258Y1 (ko) 1995-03-28 1995-03-28 화장실용 세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1645U KR960031645U (ko) 1996-10-24
KR0114258Y1 true KR0114258Y1 (ko) 1998-04-17

Family

ID=19410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05697U KR0114258Y1 (ko) 1995-03-28 1995-03-28 화장실용 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425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9703A (ko) * 2002-12-06 2004-06-12 경종만 온수 세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1645U (ko) 1996-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95781B2 (ja) 浣腸機能を有するビデ用の噴射ノズルの構造
US3808608A (en) Portable bidet
KR100232064B1 (ko) 비데 장치
CN101548930B (zh) 具有灌肠功能的坐浴器
KR0114258Y1 (ko) 화장실용 세척기
US7051382B2 (en) Sanitary cleansing apparatus and process
US6691333B1 (en) Electronic bathroom baton
KR970004174Y1 (ko) 화장실용 세정기
JP2550805Y2 (ja) 温水洗浄装置
JP3343976B2 (ja) 衛生洗浄装置
KR200320620Y1 (ko) 비데 변좌의 열선을 이용한 온수공급시스템
KR102405598B1 (ko) 물내림시 비말 튐을 방지할 수 있는 양변기용 비데
KR200372461Y1 (ko) 비데 분사노즐의 분사캡 구조
KR200211443Y1 (ko) 비데
CN213174029U (zh) 一种可折叠坐便器
KR910000427Y1 (ko) 샤워 겸용 세정기
JPH0352305Y2 (ko)
KR940002096Y1 (ko) 좌변기의 좌대세척장치
KR101742184B1 (ko) 노즐의 위치 조절이 가능한 비데
KR200349845Y1 (ko) 비데기
KR890004906Y1 (ko) 온수, 온풍을 사용케한 항문세척기
CN2157237Y (zh) 轴臂式手动冲洗马桶
JPH0712464Y2 (ja) 洗浄装置付水洗便器
TWM591106U (zh) 馬桶噴水給皂裝置
KR200397787Y1 (ko) 좌변기용 비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90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