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2184B1 - 노즐의 위치 조절이 가능한 비데 - Google Patents

노즐의 위치 조절이 가능한 비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2184B1
KR101742184B1 KR1020150039829A KR20150039829A KR101742184B1 KR 101742184 B1 KR101742184 B1 KR 101742184B1 KR 1020150039829 A KR1020150039829 A KR 1020150039829A KR 20150039829 A KR20150039829 A KR 20150039829A KR 101742184 B1 KR101742184 B1 KR 1017421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hole
water
lever
valve slee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9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3773A (ko
Inventor
김명자
박중근
Original Assignee
김명자
박중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자, 박중근 filed Critical 김명자
Priority to KR1020150039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2184B1/ko
Publication of KR20160113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37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21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21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즐의 위치 조절이 가능한 비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노즐(20)을 지지하도록 비데 바디에 구비된 연결대(10); 상기 연결대(10)에 구비되며 물 공급관(4)에 연결된 노즐(20); 상기 노즐(20)이 상기 연결대(10)에서 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포지션 조절 지지부(30); 상기 노즐(20)이 상기 포지션 조절 지지부(30)를 기준으로 위치 조절이 되도록 조작하기 위한 레버(40);를 포함하며, 상기 포지션 조절 지지부(30)는, 상기 노즐(20)에 연결되도록 구비된 조절 작동돌편(32), 상기 레버(40)의 밀고 당기는 조작에 따라 상기 포지젼 조절돌편이 회동되도록 지지하여 상기 포지션 조절돌편에 연결된 상기 노즐(20)이 상기 연결대(10)를 기준으로 회동되는 각도가 확장되도록 하는 조절 작동홈부(34)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노즐의 위치 조절이 가능한 비데{Bidet}
본 발명은 노즐의 위치 조절이 가능한 비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노즐의 위치를 사용자가 착석한 자세나 위치에 맞추어서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노즐의 위치 조절이 가능한 비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노약자나 장애인, 어린이도 손쉽게 스틱형 레버를 이용하여 노즐의 물분사공 위치를 맞추어 쓸 수 있고 비데 및 세정 모드를 조절하여 쓸 수 있는 새로운 노즐의 위치 조절이 가능한 비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좌변기에 설치되는 비데로는 전자식과 수동식이 있는데, 이러한 비데에는 노즐이 구비되어, 히터에 의해 가열된 따뜻한 온수를 노즐을 통해 사용자의 항문에 분사하여 세정하도록 되어 있다. 최근에는 사용자의 항문 부분을 집중적으로 맛사지하여 시원한 배변을 볼 수 있도록 하는 쾌변모드와 배변 후 세정수를 분사하는 세정모드 등의 기능을 각각 구비한 비데가 출시되고 있다.
그런데, 기존에는 세정수 토출용 노즐이 고정되어 있어서, 노즐의 위치에 사용자가 자세를 맞추어 앉아야 하는 불편이 있다. 즉, 노즐의 세정수 물분사공에 사용자가 자세를 맞추어 앉아야 하는데, 이러한 점이 불편을 초래한다. 특히,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의 경우 비데의 노즐에 자세를 맞추어 앉기가 매우 어려운 경우가 많아서 장애인들에게는 아주 불편하다.
전자식 비데가 출시되어 노즐의 위치를 조절하는 기능이 있으나, 전기를 소모해야 하므로 유지 관리비가 들어가는 단점이 있고, 영유아나 노인들은 사용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 특히, 시각 장애인의 경우에는 노즐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이 어려워서 숙련될 때까지 사용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
한편, 최근에는 비데의 노즐의 위치를 조절하여 비데에 착석한 사용자가 노즐의 위치를 맞추어 사용하도록 하는 제품이 출시되고 있지만, 노즐의 위치 조절 범위가 한정되어 있어서 모든 체형에 맞추어 노즐의 위치를 조절하여 쓰기에는 아직까지도 미흡한 점이 많다.
국내공개특허 제10-2005-0114452호(2005.12.06 공개) 국내등록특허 제10-1057447호(2011.08.10 등록)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210616호(2000.11.07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노즐의 위치에 사용자가 자세를 맞추어 앉아야 하는 불편이 없이 노즐의 위치를 사용자가 착석한 자세나 위치에 맞추어서 사용할 수 있어서 편리성이 높고 특히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이나 노약자 등에게 보다 유용한 새로운 노즐의 위치 조절이 가능한 비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좌변기에 설치되는 비데 바디에 구비되는 연결대; 상기 연결대에 구비되며 물 공급관에 연결된 노즐; 상기 노즐이 상기 연결대에서 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포지션 조절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의 위치 조절이 가능한 비데가 제공된다.
상기 포지션 조절 지지부는, 상기 노즐에 연결되도록 구비된 조절 작동돌편; 상기 노즐이 상기 포지션 조절 지지부를 기준으로 위치 조절이 되도록 조작하기 위한 레버; 상기 레버의 밀고 당기는 조작에 따라 상기 조절 작동돌편이 회동되도록 지지하여 상기 조절 작동돌편에 연결된 상기 노즐이 상기 연결대를 기준으로 회동되는 각도가 확장되도록 하는 조절 작동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대의 일측에 케이스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에는 레버가 구비되고, 상기 노즐의 토출공과 연통되는 포트를 구비한 중간 밸브가 상기 노즐에 장착되고, 상기 레버에는 플렉시블한 물 공급관을 매개로 상기 중간 밸브가 연결되고, 상기 노즐에는 조절 작동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조절 작동부재에 상기 조절 작동돌편이 구비되며, 상기 조절 작동돌편은 상기 연결대에 구비된 상기 조절 작동홈부에 수용되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노즐에는 물분사공이 구비되고, 상기 노즐의 기단부에는 케이스부가 구비되고, 상기 노즐에는 중간 밸브가 연결되고, 상기 중간 밸브는, 상기 노즐의 내부와 연통된 메인 포트와 상기 케이스부의 내부 공간부와 연통된 클리닝 포트를 구비하여 상기 노즐의 기단부에 장착된 아웃터 밸브 슬리브; 상기 아웃터 밸브 슬리브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외주면으로 관통된 공급 조절홀을 구비한 이너 밸브 슬리브; 상기 이너 밸브 슬리브의 외주면과 상기 아웃터 밸브 슬리브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이너 밸브 슬리브의 전후진에 따라 상기 공급 조절홀과 상기 아웃터 밸브 슬리브의 상기 메인 포트와 상기 클리닝 포트 사이를 개폐하는 차단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연결대가 좌변기에 고정되어 노즐이 변기의 내부 상측에 배치되는데, 상기 레버를 밀거나 당기면 물 공급관의 일부와 중간 밸브 및 노즐이 연결대의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노즐이 좌우로 이동함에 따라 비데 착석자의 항문이나 성기 부분을 정확하게 찾아서 세척할 수 있게 된다. 노약자나 장애인 또는 어린이 등이 좌변기에 잘못 앉아 있는 경우, 특히 손만 간신히 움직일 수 있는 환자나 장애인이나 노인들이 좌변기에 앉을 경우 자신의 앉은 위치나 자세로 인하여 항문과 노즐의 물분사공 위치에 제대로 맞지 않아서 원하는 부위를 제대로 세척할 수 없는 일이 생기지만, 본 발명에서는 레버를 조작하여 노즐의 위치를 착석자의 세척을 원하는 부분으로 쉽게 옮겨서 세척할 수 있으므로, 모든 사람들에서 사용상의 편리성을 주며 특히 장애인이나 몸이 불편한 환자 또는 노인들에게 아주 유용하다.
본 발명은 상기의 효과 이외에 여러 가지 효과가 있으나 상기와 같은 효과는 본 발명의 주요 효과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노즐의 위치 조절이 가능한 비데를 좌변기에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위치 조절이 가능한 비데의 주요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외관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연결대와 노즐의 구조를 보여주는 저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상면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주요부인 중간 밸브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주요부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7은 도 6의 주요부의 조립된 상태와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주요부인 노즐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중간 밸브와 노즐의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비데의 내부 구조와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노즐이 연결대를 기준으로 상하 각도 조절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12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노즐의 좌우 이동 상태와 각도 확장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
도 17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주요부인 보조탱크와 게이트 및 바이메탈의 구조와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평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노즐의 위치 조절이 가능한 비데는 연결대(10)에 노즐(20)이 구비되고, 노즐(20)은 포지션 조절 지지부(30)에 의해 연결대(10)에서 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노즐(20)을 포지션 조절 지지부(30)를 기준으로 위치 조절이 되도록 조작하기 위한 스틱형 레버(40)를 기본 구성으로 포함한다.
화장실의 좌변기(2)에는 비데의 몸체인 비데 바디가 설치되는데, 상기 연결대(10)는 비데 바디의 후단에 연결되어 좌변기(2)에 고정된다. 상기 연결대(10)는 내부에 공간부가 있는 박스 형태이다. 연결대(10)는 전후 폭에 비하여 좌우 측면 사이의 폭이 더 크게 구성된다. 상기 연결대(10)의 전단부측 저면에는 좌우로 일정 길이 연장된 개방홀이 구비된다. 상기 개방홀에는 중간 밸브(50)의 메인 포트(52A)와 클리닝 포트(52B)가 수용된다. 상기 연결대(10)의 우측면에는 후술할 전환 손잡이(53)가 통과하는 손잡이홀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연결대(10)의 한쪽 측단부에는 전후 길이가 좌우 길이보다 더 큰 케이스(12)가 구비된다. 연결대(10)의 상면에서 볼 때에 좌측에 케이스(12)가 구비된다. 케이스(12)도 내부에도 공간부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대(10)에 노즐(20)이 구비된다. 노즐(20)에는 중간 밸브(50)가 연결되어, 중간 밸브(50)가 연결대(10)의 내부에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연결대(10)의 전단부측에 노즐(20)이 구비된 구조를 취한다.
상기 중간 밸브(50)는 아웃터 밸브 슬리브(52)와 이너 밸브 슬리브(54) 및 차단부재(56)를 포함한다.
상기 아웃터 밸브 슬리브(52)는 단면 원형관 형상이다. 또한, 아웃터 밸브 슬리브(52)는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메인 포트(52A)와 클리닝 포트(52B)를 구비한다. 아웃터 밸브 슬리브(52)의 양단부 중에서 한쪽 단부의 내주면에 나사부가 구비된다. 아웃터 밸브 슬리브(52)는 상기 연결대(10)의 내부에 좌우 측면 방향으로 배치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아웃터 밸브 슬리브(52)의 좌측 단부와 우측 단부 중에서 우측 단부의 내주면에 상기 나사부가 구비되어 있다. 아웃터 밸브 슬리브(52)는 노즐(20)의 기단부에 장착되는데, 아웃터 밸브 슬리브(52)의 비데 포트(52A)와 클리닝 포트(52B)는 노즐(20)의 메인 노즐홀(22)과 클리닝 노즐홀(24)에 연통된다.
상기 메인 노즐홀(22)과 클리닝 노즐홀(24)은 노즐(20) 기단부에 구비된 케이스부(CP)에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부(CP)는 노즐(20)의 기단부에 일체형으로 구비되며 둘레벽을 구비한 연결 케이스 바디(CP1)와, 연결 케이스 바디(CP1)는 덮어주는 케이스 커버(CP2)를 구비하는데, 상기 케이스 커버(CP2)에 메인 노즐홀(22)과 클리닝 노즐홀(24)이 구비된다. 상기 케이스부(CP)의 내부에는 공간부가 구비된다. 다시 말해, 상기 노즐(20)은 기단부에 케이스부(CP)가 구비되고, 케이스부(CP)의 내부에 공간부가 확보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부(CP)에는 복수개의 구멍(H)이 구비된다. 복수개의 구멍(H)에 의해 케이스부(CP)의 내부 공간부가 외부와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멍(H)들은 케이스부(CP)를 구성하는 연결 케이스 바디(CP1)에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부(CP)는 노즐(20)의 내부 통로와 마주하는 메인 노즐홀(22)의 주위에 구획 격벽(SW)이 구비된다. 상기 케이스부(CP)를 구성하는 케이스 커버(CP2)에는 메인 노즐홀(22)이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케이스 커버(CP2)의 안쪽면(즉, 상기 노즐(20)의 통로와 마주하는 면)에 폐루프형의 구획 격벽(SW)이 구비된다. 상기 구획 격벽(SW)은 케이스부(CP)를 구성하는 케이스 커버(CP2)의 안쪽면에서 일정 폭으로 돌출된 벽의 형상을 이룬다. 이러한 구획 격벽(SW)은 노즐(20)의 내부 통로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결합되므로, 상기 메인 노즐홀(22)이 구획 격벽(SW)에 의해 케이스부(CP)의 내부 공간부와 연통되지는 않고 노즐(20)의 내부 통로로만 연통된 구조를 취한다. 따라서, 상기 노즐(20)을 비데 모드 및 세정 모드로 사용할 때에 비데 모드용 물과 세정 모드용 물이 노즐(20)의 내부 통로로 들어와서 노즐(20)의 측면에 구비된 물분사공을 통해 토출된다. 중간 밸브(50)의 메인 포트(52A)가 노즐(20) 기단부의 케이스부(CP)에 구비된 메인 노즐홀(22)에 연결되어, 상기 중간 밸브(50)로 유입된 물이 상기 메인 노즐홀(22)을 통해서 노즐(20) 내부의 통로로 들어와서 노즐(20)에 구비된 물분사공을 통해 토출된다.
한편, 상기 케이스 커버(CP2)의 클리닝 노즐홀(24)은 케이스부(CP)의 내부 공간부와 연통됨과 동시에 상기 구멍(H)들과도 연통된다. 따라서, 상기 클리닝 노즐홀(24)을 통해 물이 들어오면 케이스부(CP)의 내부 공간부로 물이 들어와서 상기 구멍(H)들을 통해 노즐(20)의 외표면으로 물이 흘러나오므로 노즐(20)을 물로 세척하게 된다. 중간 밸브(50)의 클리닝 포트(52B)가 노즐(20) 기단부의 케이스부(CP)에 구비된 클리닝 노즐홀(24)에 연결되어, 상기 중간 밸브(50)로 유입된 물이 상기 클리닝 노즐홀(24)을 통해 노즐(20)의 케이스부(CP) 내부 공간부로 들어왔다가 상기 구멍(H)들을 통해 노즐(20)의 외표면으로 흘러나오므로 노즐(20)을 세척하는 것이다.
상기 이너 밸브 슬리브(54)는 단면 원형관 구조로서 아웃터 밸브 슬리브(52)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너 밸브 슬리브(54)의 외경은 아웃터 밸브 슬리브(52)의 내경보다 더 작아서 이너 밸브 슬리브(54)의 외주면과 아웃터 밸브 슬리브(52)의 내주면 사이에 일정 간격 이격된 스페이스가 형성된다. 상기 이너 밸브 슬리브(54)는 내외주면으로 관통된 공급 조절홀(54H)을 구비한다. 이너 밸브 슬리브(54)에 복수개의 공급 조절홀(54H)이 구비되어 있다. 이너 밸브 슬리브(54)의 외주면에는 세 개의 홈부가 구비되는데, 세 개의 홈부 사이에 배치되도록 이너 밸브 슬리브(54)에 복수개의 공급 조절홀(54H)이 구비되어 있다. 즉, 이너 밸브 슬리브(54)의 외주면에 형성된 세 개의 홈부에 환형의 고무 패킹과 같이 밀봉성이 있는 차단부재(56)가 각각 결합되어 있어서, 이너 밸브 슬리브(54)의 외주면에 차단부재(56)가 세 개로 구비되고, 이러한 차단부재(56)들은 아웃터 밸브 슬리브(52)의 내주면에 기밀되도록 밀착되는데, 상기 이너 밸브 슬리브(54)의 외주면 중에서 두 개의 차단부재(56) 사이의 외주면에 공급 조절홀(54H)이 구비된다. 한 쌍의 홈부에 결합된 두 개의 차단부재(56) 사이의 외주면 영역에 복수개의 공급 조절홀(54H)이 구비된 구조이다. 이너 밸브 슬리브(54)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공급 조절홀(54H)이 고르게 분포되어 있다.
상기 이너 밸브 슬리브(54)의 외주면과 아웃터 밸브 슬리브(52)의 내주면 사이의 스페이스에 차단부재(56)가 개재된다. 차단부재(56)는 환형의 패킹 구조이며, 상기 차단부재(56)가 이너 밸브 슬리브(54)의 외주면에 형성된 홈부에 안착된다. 상기 차단부재(56)는 아웃터 밸브 슬리브(52)의 내주면에 밀봉적으로 밀착된다. 차단부재(56)는 탄성이 있는 밀봉성의 환형 패킹 구조(예들 들어, 고무 패킹 구조)로서, 상기 차단부재(56)가 아웃터 밸브 슬리브(52)의 내주면에 가압 밀착된다. 상기 차단부재(56)는 이너 밸브 슬리브(54)가 아웃터 밸브 슬리브(52)에서 이동할 때에 같이 이동한다. 상기 이너 밸브 슬리브(54)의 공급 조절홀(54H)을 통해 물이 나올 때에 두 개의 차단부재(56)에 의해 물이 아웃터 밸브 슬리브(52)의 양단부로 세는 것이 방지된다. 즉, 두 개의 차단부재(56) 사이에 확보된 이너 밸브 슬리브(54) 외주면과 아웃터 밸브 슬리브(52) 내주면 사이의 스페이스 영역에 물이 가두어지고 두 개의 차단부재(56) 사이의 영역 밖으로는 물이 세어 나가지 않게 된다. 상기 이너 밸브 슬리브(54)가 아웃터 밸브 슬리브(52)에서 이동(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두 개의 차단부재(56) 사이의 영역에 아웃터 밸브 슬리브(52)의 메인 포트(52A)가 들어가면 노즐(20)의 메인 노즐홀(22)로 물이 공급되어 메인 노즐홀(22)의 물분사공를 통해 물이 토출되고, 두 개의 차단부재(56) 사이의 영역에 아웃터 밸브 슬리브(52)의 클리닝 포트(52B)가 들어가면 노즐(20)의 클리닝 노즐홀(24)로 물이 공급되어, 세정 노블부의 물분사공를 통해 물이 토출된다.
정리하면, 상기 이너 밸브 슬리브(54)의 외주면에는 차단부재(56)가 세 개로 구비되어 상기 아웃터 밸브 슬리브(52)의 내주면에 기밀되도록 밀착되고, 상기 이너 밸브 슬리브(54)의 외주면 중에서 두 개의 차단부재(56) 사이의 외주면에 공급 조절홀(54H)이 구비되어, 상기 이너 밸브 슬리브(54)가 아웃터 밸브 슬리브(52)를 따라 전후진함에 따라 공급 조절홀(54H)이 아웃터 밸브 슬리브(52)의 메인 포트(52A) 또는 클리닝 포트(52B)에 연통되며, 상기 차단부재(56)는 공급 조절홀(54H)이 메인 포트(52A)에 연통될 때에 상기 클리닝 포트(52B)와 공급 조절홀(54H) 사이를 차단하고 상기 공급 조절홀(54H)이 클리닝 포트(52B)에 연통될 때에 메인 포트(52A)와 공급 조절홀(54H) 사이를 차단한다.
상기 아웃터 밸브 슬리브(52)의 한쪽 단부에는 물 공급관(4)이 연결된다. 또한, 물 공급관(4)에는 압력 조절밸브(16)가 연결된다. 압력 조절밸브(16)는 연결대(10)의 일측에 구비된 케이스(12) 위로 조작 레버(17)가 노출되고 나머지는 케이스(12) 내부의 공간부에 수용된다. 상기 물 공급관(4)은 압력 조절밸브(16)를 기준으로 유입측 물 공급관(4)과 연결측 물 공급관(4)으로 나뉘게 된다. 연결측 물 공급관(4)이 상기 아웃터 밸브 슬리브(52)의 한쪽 단부에 접속된다. 결국, 물 공급관(4)이 중간 밸브(50)에 연결된 구조라 할 수 있다. 중간 밸브(50)는 노즐(20)에 연결되므로, 물 공급관(4)이 노즐(20)과 연결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 중간 밸브(50)의 구성인 이너 밸브 슬리브(54)의 다른 쪽 단부에는 전환 손잡이(53)가 연결된다. 이때, 연결 바아(CB)가 이너 밸브 슬리브(54)의 다른 쪽 단부에 연결되고, 연결 바아(CB)에 플렉시블한 재질의 전환 손잡이(53)(길다란 튜브 형태가 될 수 있음)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바아(CB)의 한쪽 단부(내측단) 외주면에는 나사부가 구비되고 이너 밸브 슬리브(54)의 다른 쪽 단부 내주면에는 나사부가 구비되어, 상기 나사부들이 결합됨으로써 연결 바아(CB)가 이너 밸브 슬리브(54)의 다른 쪽 단부(즉, 물 공급관(4)과 연결되는 한쪽 단부와 반대되는 단부)에 연결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물론, 상기 연결 바아(CB) 대신에 연결 바아부를 이너 밸브 슬리브(54)의 다른 쪽 단부에 일체형으로 길게 연장시켜서 상기 연결 바아부에 상기 전환 손잡이(53)를 연결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여기서 전환 손잡이(53)라 함은 당기거나 밀었을 때에 노즐(20)의 메인 노즐홀(22)과 클리닝 노즐홀(24) 중에서 어느 하나로 물이 토출되는 비데/세정 모드와 클리닝 모드(노즐(20) 세척 모드)를 조절하는 손잡이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아웃터 밸브 슬리브(52)의 한쪽 단부에는 물 공급관(4)이 연결되고, 아웃터 밸브 슬리브(52)의 다른 쪽 단부에는 나사부가 구비되며, 상기 아웃터 밸브 슬리브(52)의 나사부에는 캡(CP)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부가 결합된다. 상기 캡(CP)은 전후단으로 연통된 통과홀이 구비되어, 상기 통과홀을 이너 밸브 슬리브(54)의 일부가 통과(또는 상기 연결 바아(CB)가 통과)한 상태에서 캡(CP)의 나사부가 아웃터 밸브 슬리브(52)의 다른 쪽 단부측 내주면의 나사부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이너 밸브 슬리브(52)의 일부와 아웃터 밸브 슬리브(52) 사이의 연결부위를 마감하게 된다. 물론, 연결 바아(CB)가 있는 경우 연결 바아(CB)의 외주면과 아웃터 밸브 슬리브(52) 내주면 사이를 캡(CP)으로 마감하게 된다. 한편, 상기 이너 밸브 슬리브(54)의 전체 외주면 중에서 상기 캡(CP)의 통과홀을 통과하여 아웃터 밸브 슬리브(52)의 내부에 들어와 있는 부분(상기 연결 바아부가 될 수 있음)의 외주면에는 오링(OR)이 결합되어, 상기 오링(OR)이 아웃터 밸브 슬리브(52)의 내주면에 밀봉적으로 가압 밀착되므로, 이너 밸브 슬리브(54)와 아웃터 밸브 슬리브(52) 사이로 물이 세어나와서 아웃터 밸브 슬리브(52)의 외부로 물이 세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이너 밸브 슬리브(54)에는 전환 손잡이(53)(비데, 세정 조절 손잡이)가 연결되며, 상기 전환 손잡이(53)를 전후진 작동시켜서 상기 이너 밸브 슬리브(54)를 상기 아웃터 밸브 슬리브(52)에서 전후진 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전환 손잡이(53)에는 연결대(10)의 위로 올라간 구조의 작동 보조 레버(SL)이 구비되어, 상기 작동 보조 레버(SL)를 비데 착석자가 손으로 밀거나 당기는 동작(즉, 비데 착석자의 신체를 기준으로 좌우측으로 밀거나 당기는 동작)을 하게 되면, 상기 이너 밸브 슬리브(54)가 좌우로 이동하여 비데 및 세정 모드 또는 클리닝 모드로 보다 쉽게 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전환 손잡이(53)는 관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이너 밸브 슬리브(54)에 연결되어 있는 연결바의 외측단이 전환 손잡이(53)에 삽입 결합되며, 상기 전환 손잡이(53)는 연결대(10)에 형성된 손잡이홀을 통과하여 연결대(10)의 옆에 있는 전환 손잡이 수용부로 들어와 있게 되는데, 상기 작동 보조 레버(SL)가 전환 손잡이(53)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세워져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작동 보조 레버(SL)의 제1힌지부에 의해 전환 손잡이(53)에 연결되고, 작동 보조 레버(SL)의 다른 부분은 다른 제2힌지부에 의해 상기 연결대(10)에 연결(즉, 연결대(10) 일측의 전환 손잡이 수용부에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제1힌지부와 제2힌지부에 의해 작동 보조 레버(SL)를 밀거나 당기는 조작을 할 수 있다. 사용자가 비데에 착석한 상태에서 상기 작동 보조 레버(SL)가 사용자의 한쪽 손(왼손이나 오른손)에 인접한 위치에서 위쪽으로 올라와서 배치되는데, 사용자가 손으로 작동 보조 레버(SL)를 밀거나 당기는 조작을 하여 상기 전환 손잡이(53)와 이에 연결된 중간 밸브(50)의 이너 밸브 슬리브(54)를 전후진 작동(연결대(10)의 좌우 방향을 따라 전후진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비데 사용자가 손으로 전환 손잡이(53)에 연결된 작동 보조 레버(SL)를 잡고 밀거나 당겨서 비데 모드 및 세정 모드 또는 클리닝 모드(노즐(20) 세척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이러한 전환 손잡이(53)로 비데 모드 및 세정 모드 또는 클리닝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중간 밸브(50)의 한쪽 단부에 접속된 물 공급관(4)의 일부와 중간 밸브(50) 및 중간 밸브(50)의 다른 쪽 단부에 연결된 전환 손잡이(53)는 연결대(10)의 좌우 측면 방향(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된 구조를 취한다. 물 공급관(4)은 플렉시블한 특성(유연하게 굽혀질 수 있는 특성)이 있는 고무 튜브나 합성수지 튜브 등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모든 전환 손잡이를 잡고 밀거나 당기면 중간 밸브(50)와 물 공급관(4)의 일부가 연결대(10)의 좌우 측면 방향(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진 작동하고 중간 밸브(50)에 연결된 노즐(20)도 연결대(10)의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노즐(20)은 연결대(10)에 구비됨과 동시에 물 공급관(4)에 연결된다. 연결대(10)의 전단부측 저면에 좌우로 연장된 개방홀에 중간 밸브(50)의 아웃터 밸브 슬리브(52)에 형성된 메인 포트(52A)와 클리닝 포트(52B)가 수용되어 있는데, 이러한 중간 밸브(50)의 메인 포트(52A)와 클리닝 포트(52B)에 노즐(20)의 기단부가 접속됨으로써 노즐(20)이 연결대(10)의 전단부측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노즐(20)은 기단부측에 케이스부(CP)가 구비되는데, 노즐(20)의 케이스부(CP)에는 메인 노즐홀(22)과 클리닝 노즐홀(24)이 구비되어, 상기 노즐(20)의 메인 노즐홀(22)과 클리닝 노즐홀(24)에 각각 중간 밸브(50)의 메인 포트(52A)와 클리닝 포트(52B)가 삽입되어 결합된다. 상기 중간 밸브(50)는 연결대(10)의 내부 공간부에 수용되어 있고 노즐(20)은 연결대(10)의 전단부측에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노즐(20)은 메인 노즐홀(22)와 클리닝 노즐홀(24)를 구비한다. 상기와 같이 메인 노즐홀(22)과 클리닝 노즐홀(24)이 케이스부(CP)에 구비되어, 노즐(20)이 기단부에 메인 노즐홀(22)과 클리닝 노즐홀(24)이 구비된 구조를 취하고 있다. 상기 노즐(20)에는 물분사공이 구비된다. 물분사공은 노즐(20)의 측면으로 연통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중간 밸브(50)의 메인 포트(52A)와 클리닝 포트(52B)가 노즐(20)의 메인 노즐홀(22)와 클리닝 노즐홀(24)에 연결되어 있다. 중간 밸브(50)의 메인 포트(52A)로 공급되는 물이 노즐(20)의 메인 노즐홀(22)과 노즐(20) 내부의 통로를 통과하여 노즐(20)의 측면으로 연통된 물분사공으로 토출된다.
한편, 중간 밸브(50)의 클리닝 포트(52B)로 공급되는 물이 노즐(20)의 클리닝 노즐홀(24)을 통과하여 케이스부(CP) 내부의 공간부로 들어왔다가 케이스부(CP)에 형성된 구멍(H)들을 통해 노즐(20)의 외부로 흘러나와 노즐(20)을 세척하게 된다. 즉, 상기 중간 밸브(50)는 클리닝 포트(52B)가 구비되어, 이 클리닝 포트(52B)가 노즐(20)의 기단부에 구비된 케이스부(CP)의 내부 공간부에 연통된다. 노즐(20)의 기단부에는 연결 케이스 바디(CP1)가 구비되고, 연결 케이스 바디(CP1)는 내측 테두리벽을 구비하고, 케이스부(CP)를 구성하는 케이스 커버(CP2)는 외측 테두리벽을 구비하여, 상기 케이스 커버(CP2)를 노즐(20)의 기단부에 구비된 연결 케이스 바디(CP1)에 결합하면, 상기 케이스 커버(CP2)의 외측 테두리벽이 연결 케이스 바디(CP1)의 내측 테두리벽을 감싸면서 연결 케이스 바디(CP1)를 덮어주므로 노즐(20) 기단부측의 케이스부(CP) 내부에 공간부가 확보되는데, 상기 케이스 커버(CP2)는 메인 노즐홀(22) 주위의 안쪽면에 구획 격벽(SW)이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구획 격벽(SW)이 노즐(22)의 내부 통로에 삽입되어 관이 연결된 것과 같은 물통과로를 형성하므로, 상기 중간 밸브(50)의 메인 포트(52A)로부터 유입되는 물이 노즐(20)의 메인 노즐홀(22)과 구획 격벽(SW)을 지나 노즐(20)의 내부 통로로 들어와서 노즐(20) 일측의 물분사공으로 토출된다.
또한, 상기 노즐(20)의 공간부의 내측면에서 외측면으로 연통된 복수개의 구멍(H)들이 구비된다. 다시 말해, 노즐(20) 기단부측의 케이스부(CP)에 내부 공간부에서 외부로 연통된 복수개의 구멍(H)들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중간 밸브(50)의 클리닝 포트(52B)에서 노즐(20)의 기단부측에 구비된 케이스부(CP)의 내부 공간부로 물이 들어와서 상기 구멍(H)을 통해 물이 노즐(20)의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중간 밸브(50)는 고정부재(고정링 등으로 구성)에 의해 연결대(10)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중간 밸브(50)에 접속된 노즐(20)이 연결대(10)의 전단부측에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물론, 노즐(20)에 고정 지지편을 구비하여, 고정 지지편을 링형상 등으로 이루어진 고정부재에 의해 연결대(10)에 고정함으로써 노즐(20)이 연결대(10)에 안정적으로 장착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노즐(20)에 연결된 중간 밸브(50)를 연결대(10)에 지지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재는 노즐(20)에 구비된 고정 지지편을 연결대(10)에 고정할 수도 있고 중간 밸브(50)를 연결대(10)에 고정할 수도 있다. 이때, 고정부재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과 같이 중간 밸브(50)나 노즐(20)을 연결대(10)에 고정하되 중간 밸브(50)나 노즐(20)이 연결대(10)를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는 상태로 고정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노즐(20)은 물이 공급되는 파이프에 연결되어 물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는데, 상기 노즐(20)에 연결된 물 공급 파이프에는 비데 모드와 세정 모드로 전환하는 통상의 모드 전환 밸브가 구비되어, 상기 모드 전환 밸브의 작동에 의해 노즐(20)을 비데 모드나 세정 모드로 사용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노즐(20)에 비데 모드용 물을 토출하거나 세정 모드용 물을 토출하기 위한 모드 전환 밸브의 구성은 통상의 것을 채용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노즐(20)이 연결대(10)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에 더하여 노즐(20)의 이동 각도를 확장시켜서 노즐(20)이 연결대(10)에서 이동하는 범위를 확대하는 포지션 조절 지지부(30)를 구비한 것에 또 다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서 포지션 조절 지지부(30)는 노즐(20)측에 구비된 조절 작동돌편(32)과 연결대(10)측에 구비된 조절 작동홈부(34)를 포함한다. 노즐(20)측에는 조절부재가 구비되고, 조절부재에는 조절 작동돌편(32)이 구비되고, 상기 조절 작동홈부(34)는 연결대(10)에 구비될 수 있다. 또는, 포지션 조절 지지부(30)는 노즐(20)측과 연결대(10) 사이를 연결하는 조절 힌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조절 힌지부는 노즐(20)측이나 연결대(10)측에 구비된 조절 작동 힌지축과, 연결대(10)측이나 노즐(20)측에 구비된 조절 작동홈부(34)를 포함할 수 있다. 조절 작동 힌지축은 노즐(20)에 결합된 조절 작동부재(36)에 구비될 수 있고, 조절 작동홈부(34)는 연결대(10)에 구비될 수 있다. 조절 작동 힌지축이 노즐(20)측에 구비될 때에 조절 작동홈부(34)는 연결대(10)측에 구비되고, 조절 작동 힌지축이 연결대(10)측에 구비될 때에 조절 작동홈부(34)는 노즐(20)측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절 작동홈부(34)의 양쪽 내측단과 조절 작동돌편(32)(또는 조절 작동 힌지축)의 양쪽면 사이에 스페이스가 확보된다. 상기 노즐(20)이 연결대(10)의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다가 조절 작동돌편(32)(또는 조절 작동 힌지축)의 양면이 각각 조절 작동홈부(34)의 양쪽 내측면에 접촉되어 조절 작동돌편(32)이 조절 작동홈부(34)에서 좌우 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상기 노즐(20)이 연결대(10)의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더하여 연결대(10)의 좌우 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노즐(20)의 이동 범위가 확대된다.
본 발명은 노즐(20)이 포지션 조절 지지부(30)를 기준으로 위치 조절이 되도록 조작하기 위한 레버(40)를 포함한다. 레버(40)는 노즐(20)이 연결대(10)의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조작하기 위한 것이며 이에 더하여 노즐(20)이 포지션 조절 지지부(30)를 기준으로 연결대(10)의 좌우 방향으로 회동되어 노즐(20)의 이동 범위가 확대되도록 조작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레버(40)는 스틱형으로 이루어지는데, 레버(40)의 한쪽면에서 다른쪽 면으로 구멍(H)이 형성되어 있어서, 레버(40)의 구멍(H)으로 물 공급관(4)이 통과되어 후술할 압력 조절밸브(16)에 연결된다. 압력 조절밸브(16)를 기준으로 유입측 물 공급관(4)과 연결측 물 공급관(4)으로 나뉘는데, 연결측 물 공급관(4)이 레버(40)의 구멍(H)을 통과하여 압력 조절밸브(16)에 연결측 물 공급관(4)의 한쪽 단부가 연결된다. 연결측 물 공급관(4)의 다른 쪽 단부는 중간 밸브(50)의 한쪽 단부에 연결된다. 한편, 유입측 물 공급관(4)은 외부의 물공급부에 연결된다. 튜브 등의 연결수단을 매개로 유입측 물 공급관(4)이 외부의 물공급부(수도전 등)에 연결된다. 결국, 물 공급관(4)은 중간 밸브(50)에 연결되어 중간 밸브(50)를 매개로 노즐(20)과 물 공급관(4)이 연결되며, 물 공급관(4)에는 압력 조절밸브(16)가 구비된 구조이다. 압력 조절밸브(16)의 조절 노브는 연결대(10)의 일측에 구비된 케이스(12) 위로 나와 있어서, 상기 조절 노브를 돌려서 물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레버(40)의 밀고 당기는 조작에 따라 포지젼 조절돌편이 회동되도록 지지하여 포지션 조절돌편에 연결된 노즐(20)이 연결대(10)를 기준으로 회동되는 각도가 확장되도록 한다. 또한, 레버(40)는 좌우 방향뿐만 아니라 전후 방향으로도 조작이 가능하여 레버(40)에 물 공급관(4) 및 중간 밸브(50)를 매개로 연결된 노즐(20)이 연결대(10)에서 상하 방향으로 회동이 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노즐(20)이 상기 고정부재를 매개로 연결대(10)에 장착되어 있어서 레버(40)를 전후 방향으로 조작함에 따라 노즐(20)이 연결대(10)의 전단부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즉, 레버(40)의 차량의 클러치 레버(40)처럼 전후 좌우 방향과 같이 모든 방향으로 이동이 되어서 레버(40)의 조작에 따라 노즐(20)이 연결대(10)의 좌우 방향은 물론 상하 방향으로도 이동이 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레버(40)의 하단부에는 레버 스프링(42)이 구비된다. 레버 스프링(42)은 연결대(10) 일측의 케이스(12) 내부 공간부에 수용되며, 레버 스프링(42)의 상단부는 레버(40)의 하단부에 결합되고 레버 스프링(42)의 하단부는 케이스(12)의 바닥부에 연결되어 있다. 레버 스프링(42)은 레버(40)를 조작할 때에 압축되거나 늘어나면서 탄성 복원력을 보유하게 되며, 레버(40)의 조작을 위한 손을 뗄 때에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레버(40)가 원래 위치(가운데 위치)로 복귀시키며 동시에 상기 물 공급관(4)과 중간 밸브(50) 및 노즐(20)도 원래 위치로 복귀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연결대(10) 일측의 케이스(12)에 보조탱크(60)가 구비되고, 보조탱크(60)에는 바이메탈(67)이 내장되고, 바이메탈(67)에는 보조탱크(60)에 구비된 물 공급홀(62)을 개폐하는 게이트(64)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보조탱크(60)는 물(주로 냉수와 온수가 섞인 물)이 들어오는 유입구와 물을 중간 밸브(50)에 연결(또는 노즐(20)에 연결)된 물 공급관(4)으로 주입하는 물공급홀(62)이 구비된다. 보조탱크(60)의 물공급홀(62)에는 공지의 커넥터와 같은 연결수단에 의해 물 공급관(4)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탱크(60)는 걸이편과 걸이홈에 의해 연결대(10) 일측이 케이스(12)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보조탱크(60)를 연결대(10)의 케이스(12)에 착탈 가능한 수단은 모두 채용이 가능함은 당연하다.
상기 보조탱크(60)에 내장된 바이메탈(67)은 보조탱크(60)로 들어오는 물의 온도에 따라 작동편이 휘어지는 작동을 한다.
상기 바이메탈(67)에는 게이트(64)가 연결된다. 게이트(64)가 바이메탈(67)의 작동편에 연결된다. 따라서, 바이메탈(67)에 의해 감지되는 보조탱크(60) 내부의 물의 온도가 너무 차갑거나 너무 뜨거우면 작동편이 벤딩되면서 게이트(64)를 이동시키는데, 게이트(64)에는 물을 통과시키는 홀이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게이트(64)가 바이메탈(67)에 의해 이동할 때에 게이트(64)의 물 통과홀(64H)이 보조탱크(60)의 물공급홀(62)에서 벗어나면서 닫게 되므로, 너무 뜨겁거나 차가운 물이 비데의 노즐(20)을 통해 토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은 비데에 착석한 사람이 노즐(20)의 위치를 앉은 자세에 맞추어 위치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편리성을 보다 높이고 장애인이나 노인, 어린이들이라도 얼마든지 편리하게 비데를 제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 주요 특징 중의 하나이다.
상기 연결대(10)가 좌변기(2)에 고정되어 노즐(20)이 변기의 내부 상측에 배치되는데, 상기 스틱형 레버(40)를 밀거나 당기면 물 공급관(4)의 일부와 중간 밸브(50) 및 노즐(20)이 연결대(10)의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노즐(20)이 좌우로 이동함에 따라 비데 착석자의 항문이나 성기 부분을 정확하게 찾아서 세척할 수 있게 된다. 노약자나 장애인 또는 어린이 등이 좌변기(2)에 잘못 앉아 있는 경우, 특히 손만 간신히 움직일 수 있는 환자나 장애인이나 노인들이 좌변기(2)에 앉을 경우 자신의 앉은 위치나 자세로 인하여 항문과 노즐(20)의 물분사공 위치에 제대로 맞지 않아서 원하는 부위를 제대로 세척할 수 없는 일이 생기지만, 본 발명에서는 레버(40)를 조작하여 노즐(20)의 위치를 착석자의 세척을 원하는 부분으로 쉽게 옮겨서 세척할 수 있으므로, 모든 사람들에서 사용상의 편리성을 주며 특히 장애인이나 몸이 불편한 환자 또는 노인들에게 아주 유용하다.
또한, 레버(40)를 전후 방향으로 밀거나 당기도록 조작하면 노즐(20)이 연결대(10)를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각도 조절이 되므로, 착석자가 원하는 부위를 세척하기에 보다 편리하다. 한편, 상기 노즐(20)의 기단부와 연결대(10) 사이에는 스프링(S)이 개재되어, 레버(40)로 노즐(20)을 연결대(10)에서 상부로 회동시켜 조절한 상태에서 스프링(S)이 압축되거나 늘어난 상태가 되고, 상기 레버(40)를 누르거나 당긴 손을 놓으면 스프링(S)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노즐(20)이 원래 위치로 복귀할 수 있게 된다. 비데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자동으로 노즐(20)이 원래 위치에 회동 복귀된다. 또한, 상기 레버(40)의 하단부에 구비된 레버 스프링(42)은 레버(40)를 좌우 방향으로 당겨서 노즐(20)을 연결대(10)의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는 휘어지면서 탄성 복원력을 보유하게 되며, 상기 레버(40)를 좌우 방향으로 누른 손을 레버(40)에서 떼면 레버 스프링(42)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노즐(20)과 중간 밸브(50)와 전환 손잡이(53)가 원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노즐(20)과 중간 밸브(50)가 위치 이동한 상태에서 원래 위치로 자동 복귀가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전환 손잡이(53)를 비데 사용자가 수동으로 직접 조작하여 비데/세정 모드 또는 클리닝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비데/세정 모드에서는 중간 밸브(50)의 이너 밸브 슬리브(54) 외주면에 구비된 세 개의 차단부재(56) 중에서 한 쌍의 차단부재(56)가 노즐(20)의 클리닝 노즐홀(24)의 양쪽 영역에 배치되어 노즐(20)의 클리닝 노즐홀(24)의 기단부측 유입단을 양쪽에서 막고 있고, 이너 밸브 슬리브(54)의 한 쌍의 차단부재(56) 사이의 공급 조절홀(54H)은 노즐(20) 기단부측의 메인 노즐홀(22)과 노즐(20)의 내부 통로와 연통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이너 밸브 슬리브(54) 내부로 들어온 물(주로 온수와 냉수가 섞인 물)이 공급 조절홀(54H)을 통해 노즐(20)의 메인 노즐홀(22)을 통해 노즐(20)의 내부 통로로 공급되고, 노즐(20)에 구비된 물분사공를 통해 물이 토출되므로, 비데를 비데 모드나 세정 모드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차단부재(56)가 노즐(20)의 클리닝 노즐홀(22)로 물이 흘러들어가는 것을 막고 있게 된다.
상기 비데/세정 모드에서 전환 손잡이(53)를 연결대(10)의 안쪽으로 밀어주면, 이너 밸브 슬리브(54)가 이동하여 중간 밸브(50)의 이너 밸브 슬리브(54) 외주면에 구비된 한 쌍의 차단부재(56)가 노즐(20)의 메인 노즐홀(22)의 양쪽 영역에 배치되어 노즐(20)의 메인 노즐홀(22)의 기단부측 유입단을 양쪽에서 막고 있고, 이너 밸브 슬리브(54)의 한 쌍의 차단부재(56) 사이의 공급 조절홀(54H)은 노즐(20)의 클리닝 노즐홀(24)과 연통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이너 밸브 슬리브(54) 내부로 들어온 물(주로 온수와 냉수가 섞인 물)이 공급 조절홀(54H)을 통해 노즐(20)의 클리닝 노즐홀(24)을 통과하여 케이스부(CP)의 내부 공간부로 공급되고, 상기 케이스부(CP)에 형성된 구멍(H)들을 통하여 노즐(20)의 외표면으로 물이 흘러나오므로 노즐(20)을 세척할 수 있게 된다. 즉, 노즐(20)을 비데 모드나 세정 모드에서 사용하기 이전에 미리 노즐(20)을 세척하므로, 위생적으로 도움이 된다. 특히, 공중화장실에서 노즐(20)을 먼저 세척하게 사용하면 공중 위생에 상당히 기여하게 된다. 물론, 상기 차단부재(56)가 노즐(20)의 메인 노즐홀(22)로 물이 흘러들어가는 것을 막고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환 손잡이(53)를 밀거나 당기는 조작에 의해 중간 밸브(50)를 통해 비데 모드 및 세정 모드 또는 클리닝 모드(노즐(20) 세척 모드)로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비데 사용자가 손수 비데 모드와 세정 모드 또는 세척 모드를 채택하여 사용하는데 있어서 보다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특히, 전자식 비데의 조작이 서투른 사용자라 하더라도 전환 손잡이(53)를 수동식으로 밀거나 당겨서 비데 모드와 세정 모드 또는 세척 모드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점에서 의미가 더욱 크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노즐(20)을 연결대(10)의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더하여 노즐(20)의 회동 각도를 더 주어서 노즐(20)의 이동 범위와 물의 분사 범위를 더 확장시킨 것에 또 다른 주요 특징이 있다. 레버(40)를 조작하여 노즐(20)이 한쪽(연결대(10)의 정면에서 볼 때에 좌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노즐(20)측에 구비된 조절 작동부재(36)의 조절 작동돌편(32)의 한쪽 면이 연결대(10)에 구비된 조절 작동홈부(34)의 한쪽 내측면에 걸리게 되는데, 레버(40)를 당기는 힘을 지속시킴에 따라 조절 작동부재(36)와 조절 작동돌편(32)이 연결대(10)의 상면에서 볼 때에 좌측으로 일정 각도만큼 더 회동하게 되므로, 단순히 노즐(20)을 연결대(10)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에 비하여 노즐(20)의 이동 범위가 회동 각도만큼 더 확장되며, 이로 인하여 노즐(20)의 물분사공를 통하여 토출되는 물의 분사 범위가 더 넓어진다. 도면에서 A1으로 표시된 각도만큼 물의 분사 범위가 더 넓어진다. 노즐(20)의 물분사공를 통하여 토출되는 물의 범위가 더 넓어지는 만큼 비데 사용자의 세척을 원하는 부위에 물이 보다 넓게 공급되므로 충분한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비데 모드일 경우 충분한 비데 모드 기능을 하고 세정 모드일 경우에도 충분한 범위의 세정 모드 기능을 할 수 있다. 한편, 레버(40)를 조작하여 노즐(20)이 다른 쪽(연결대(10)의 정면에서 볼 때에 우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노즐(20)측에 구비된 조절 작동부재(36)의 조절 작동돌편(32)의 다른 쪽 면이 연결대(10)에 구비된 조절 작동홈부(34)의 다른 쪽 내측면에 걸리게 되는데, 레버(40)를 당기는 힘을 지속시킴에 따라 조절 작동부재(36)와 조절 작동돌편(32)이 연결대(10)의 상면에서 볼 때에 우측으로 일정 각도만큼 더 회동하게 되므로, 단순히 노즐(20)을 연결대(10)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에 비하여 노즐(20)의 이동 범위가 회동 각도만큼 더 확장되며, 이로 인하여 노즐(20)의 물분사공를 통하여 토출되는 물의 분사 범위가 더 넓어진다. 상기와 마찬가지로 노즐(20)의 물분사공를 통하여 토출되는 물의 범위가 더 넓어지는 만큼 비데 사용자의 세척을 원하는 부위에 물이 보다 넓게 공급되므로 충분한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비데 모드일 경우 충분한 비데 모드 기능을 하고 세정 모드일 경우에도 충분한 범위의 세정 모드 기능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에서 A로 확대되어 도시된 부분은 노즐(20)이 한쪽 끝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전후 방향(Z 방향)으로 회동(이동)하는 과정과 가운데에 노즐(20)이 위치한 상태(노즐(20)이 좌우로 이동하지 않는 상태)에서 전후 방향으로 회동하는 과정 및 노즐(20)이 다른 쪽 방향으로 이동하여 전후 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도 1에서 B로 확대되어 도시된 부분도 노즐(20)이 전후 방향(또는 상하 방향으로서 ZD로 표시됨)으로 이동하고 좌우 방향(XD로 표시됨)으로 이동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물 공급관(4)에 일측의 물공급홀(62)이 연결된 보조탱크(60)가 구비되고, 보조탱크(60)의 물공급홀(62)을 개폐하는 게이트(64)가 구비되고, 게이트(64)에는 상기 보조탱크(60)의 물공급홀(62)과 연통되는 구멍(H)이 구비되며, 게이트(64)는 바이메탈(67)에 연결되어, 상기 보조탱크(60)로 들어오는 물의 온도에 따라 바이메탈(67)에 의해 게이트(64)가 이동하면서 게이트(64)의 구멍(H)과 보조탱크(60)의 물공급홀(62)이 서로 정렬되거나 어긋남으로써 비데에서 사용하는 물의 온도에 따라 즉시 물을 차단하거나 공급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비데 사용시 물이 너무 차갑거나 너무 뜨겁게 공급되는 경우를 방지하며, 물이 너무 차가워서 느끼는 불쾌감을 해소하고 물이 너무 뜨거워서 화상을 입는 경우를 방지한다. 도면에서와 같이, 물이 너무 차가울 때에는 바이메탈(67)이 한쪽 방향으로 벤딩(휘어짐)되면서 게이트(64)를 한쪽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이러한 과정에서 게이트(64)의 구멍(H)이 보조탱크(60)의 물공급홀(62)과 어긋나서 게이트(64)가 보조탱크(60)의 물공급홀(62)을 막아주는 결과가 되므로, 비데 사용시 너무 차가운 물이 토출(노즐(20)의 물분사공를 통해 토출)되는 경우를 방지하며, 물이 너무 뜨거울 때에는 바이메탈(67)이 다른 쪽 방향으로 벤딩(휘어짐)되면서 게이트(64)를 다른 쪽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이러한 과정에서 게이트(64)의 구멍(H)이 보조탱크(60)의 물공급홀(62)과 어긋나서 게이트(64)가 보조탱크(60)의 물공급홀(62)과 상기 물 공급관(4)을 막아주는 결과가 되므로, 비데 사용시 너무 뜨거운 물이 토출(노즐(20)의 물분사공를 통해 토출)되어 화상을 입는 경우를 방지하는 것이다. 결국, 본 발명은 바이메탈(67)과 게이트(64) 및 보조탱크(60)를 구비함으로써 비데 사용시 상쾌함을 더하고 화상의 위험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상기 노즐(20)은 메인 노즐홀(22)와 클리닝 노즐홀(24)의 기단부에 공간부가 구비되고, 상기 중간 밸브(50)는 보조 포트(SP)가 구비되고, 보조 포트(SP)는 노즐(20)의 기단부에 형성된 공간부와 연통되고, 상기 노즐(20)의 공간부의 내측면에서 외측면으로 연통된 구멍(H)이 구비되어, 상기 중간 밸브(50)의 보조 포트(SP)에서 노즐(20)의 기단부측에 구비된 공간부로 물이 들어와서 구멍(H)을 통해 물이 노즐(20)의 외부로 배출된다. 노즐(20)의 기단부측 내부 공간부에서 외부로 연통된 구멍(H)을 통해 평상시에 노즐(20)의 바깥면으로 물이 흘러 나와서 노즐(20)을 세정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위생적으로 유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노즐(20)에 연결된 물 공급관(4)의 경로상에 압력 조절밸브(16)가 구비되어 있어서, 압력 조절밸브(16)를 조작하여 비데 사용자가 편안하게 물의 토출 압력을 조절하여 쓸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즐(20)을 연결대(10)를 기준으로 이동시키도록 조작하는 레버(40)의 하단에 레버 스프링(42)이 구비되어 있어서, 비데 사용자가 레버(40)를 조작하여 노즐(20)을 이동시키면 레버 스프링(42)이 레버(40) 조작으로 인해 상태가 되어 탄성 복원력을 보유하고 있다가 사용자가 레버(40)를 놓으면 레버 스프링(42)이 다시 원래 상태(일자형 코일 스프링(S) 상태)로 탄성 복원되면서 노즐(20)을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자동적으로 노즐(20)이 원래 위치로 복원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상기 노즐(20)의 기단부와 연결대(10) 사이에는 스프링(S)이 개재되어, 상기 스프링(S)의 탄성력에 의해 노즐(20)이 연결대(10)의 저면에서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며 동시에 레버(40)의 조작에 의해 노즐(20)을 연결대(10)를 기준으로 상하 방향 각도를 조절한 다음에는 스프링(S)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노즐(20)이 원래 위치로 복귀하는 효과가 있다. 즉, 상기 노즐(20)의 기단부와 연결대(10) 사이에는 스프링(S)이 개재될 수 있고, 상기 스프링(S)의 탄성력에 의해 노즐(20)이 연결대(10)의 저면에서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도 특징이 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S)은 없어도 되지만 노즐(20)의 안정적인 설치와 작동을 위해 옵션으로 선택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하면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스틱형 레버(40)로 노즐(20)의 물분사공을 한번에 간단히 상하 좌우로 자유롭게 움직여서 노인, 어린이나 어른, 시각 장애인 누구나 사용 방법을 알기 쉬우며 항문 질환이 있는 사람도 매번 엉덩이를 살짝 돌려 물분사공에 맞추지 않고 스틱형 레버 사용으로 번거롭지 않게 비데와 세정도 편리하게 움직여서 해결이 된다. 물분사공는 노즐(20)에 구비된 것으로, 노즐(20)을 스틱형 레버(40)에 의해 간단하게 상하 좌우로 움직여서 모든 사람들에게 사용상 편의성을 제공하며, 항문 질환이 있는 사람과 같이 몸이 불편한 사람도 엉덩이를 노즐(20)의 물분사공에 맞추지 않고 스틱형 레버(40)의 간단한 조작에 의해 노즐(20)의 물분사공를 자신이 원하는 부위에 맞추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점에 주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중간 밸브(50)를 사용해야 스틱형 레버(40)로 물분사공 노즐(20)을 상하 좌우로 움직일 수 있으며, 이러한 노즐(20)을 상하 좌우로 움직이게 할 뿐만 아니라 중간 밸브(50)는 양쪽으로 물의 흐름을 유도하여 한쪽으로는 세정과 비데를 사용하게 하고 한쪽으로는 노즐 청소를 할 수 있게 하여서 공중 화장실의 경우 위생적인 역할도 한다.
또한, 중간 밸브(50)의 속 노즐을 움직여서 물 흐르는 방향을 바꾸어주는 역할을 하는 레버가 중요하다. 중간 밸브(50)의 속 노즐이란 이너 밸브 슬리브(54)를 의미하고 상기 레버는 이너 밸브 슬리브(54)에 연결된 전환 손잡이(53)를 의미하는데, 상기 전환 손잡이(53)에 의해 중간 밸브(50) 내부의 이너 밸브 슬리브(54)를 움직여서 물 흐르는 방향을 바꾸어주고, 물 흐르는 방향을 바꾸어준다는 것은 비데나 세정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노즐(20)을 세척하는 용도로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중간 밸브(50)의 이너 밸브 슬리브(54)의 위치를 옮겨서 물 흐르는 방향을 바꾸어주는 전환 손잡이(53)의 구성이 중요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스틱형 레버(40)를 조작하여 노즐(20)을 좌우 방향(도 1에서 XD로 표시된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함은 물론 노즐(20)의 전후 방향(도 1에서 ZD로 표시된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므로, 노즐(20)에서 물이 토출되는 상하 각도 범위를 더욱 넓힐 수 있다. 첨부된 도면에서 스틱형 레버(40)를 조작하지 않고 사용하는 모드와 스틱형 레버(40)을 앞으로 밀어서 사용하는 모드 및 레버(40)를 뒤로 눌러서 사용하는 모드에서는 각가 노즐(20)의 전후 이동 각도 범위가 달라지므로 노즐(20)에서 토출되는 물의 각도 범위가 보다 넓어지게 되며, 노즐(20)에서 토출되는 물의 상하 각도 범위가 보다 넓어지는 만큼 비데 사용자의 비데나 세정 모드로의 사용 범위가 더 넓어지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노즐(20)의 상하 각도 범위 확장으로 인하여 비데 사용자의 항문 부위에 물을 공급하는 범위가 더욱 넓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레버(40)를 전후 방향으로 회동시킴에 따라 노즐(20)이 전후 방향(ZD) 방향으로 회동 각도 범위가 더 넓어지므로 비데 사용자의 항문 부분에 분사되는 물의 분사 범위가 더욱 넓어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1에 노즐(20)의 전후 방향 회동 각도 범위가 확대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2. 좌변기 4. 물 공급관
10. 연결대 12. 케이스
16. 압력 조절밸브 17. 조작 레버
20. 노즐 22. 메인 노즐홀
24. 클리닝 노즐홀 30. 포지션 조절 지지부
32. 조절 작동돌편 34. 조절 작동홈부
36. 조절 작동부재 40. 레버
42. 레버 스프링 50. 중간 밸브
52. 아웃터 밸브 슬리브 53. 전환 손잡이
54. 이너 밸브 슬리브 54H. 공급 조절홀
56. 차단부재 60. 보조탱크
64. 게이트 67. 바이메탈
CP. 케이스부 CP1. 연결 케이스 바디
CP2. 케이스 커버 H. 구멍

Claims (11)

  1. 좌변기(2)에 설치되는 비데 바디에 구비되는 연결대(10);
    상기 연결대(10)에 구비되며 물 공급관(4)에 연결된 노즐(20);
    상기 노즐(20)이 상기 연결대(10)에서 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포지션 조절 지지부(30);를 포함하고,
    상기 포지션 조절 지지부(30)는,
    상기 노즐(20)에 연결되도록 구비된 조절 작동돌편(32);
    상기 노즐(20)이 상기 포지션 조절 지지부(30)를 기준으로 위치 조절이 되도록 조작하기 위한 레버(40);
    상기 레버(40)의 밀고 당기는 조작에 따라 상기 조절 작동돌편(32)이 회동되도록 지지하여 상기 조절 작동돌편(32)에 연결된 상기 노즐(20)이 상기 연결대(10)를 기준으로 회동되는 각도가 확장되도록 하는 조절 작동홈부(3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연결대(10)의 일측에 케이스(12)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12)에는 레버(40)가 구비되고, 상기 노즐(20)의 토출공과 연통되는 포트를 구비한 중간 밸브(50)가 상기 노즐(20)에 장착되고, 상기 레버(40)에는 플렉시블한 물 공급관(4)을 매개로 상기 중간 밸브(50)가 연결되고, 상기 노즐(20)에는 조절 작동부재(36)가 결합되고, 상기 조절 작동부재(36)에 상기 조절 작동돌편(32)이 구비되며, 상기 조절 작동돌편(32)은 상기 연결대(10)에 구비된 상기 조절 작동홈부(34)에 수용되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의 위치 조절이 가능한 비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20)에는 물분사공이 구비되고, 상기 노즐(20)의 기단부에는 케이스부(CP)가 구비되고,
    상기 노즐(20)에는 중간 밸브(50)가 연결되고,
    상기 중간 밸브(50)는,
    상기 노즐(20)의 내부와 연통된 메인 포트(52A)와 상기 케이스부(CP)의 내부 공간부와 연통된 클리닝 포트(52B)를 구비하여 상기 노즐(20)의 기단부에 장착된 아웃터 밸브 슬리브(52);
    상기 아웃터 밸브 슬리브(52)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외주면으로 관통된 공급 조절홀(54H)을 구비한 이너 밸브 슬리브(54);
    상기 이너 밸브 슬리브(54)의 외주면과 상기 아웃터 밸브 슬리브(52)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이너 밸브 슬리브(54)의 전후진에 따라 상기 공급 조절홀(54H)과 상기 아웃터 밸브 슬리브(52)의 상기 메인 포트(52A)와 상기 클리닝 포트(52B) 사이를 개폐하는 차단부재(56);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의 위치 조절이 가능한 비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밸브 슬리브(54)의 외주면에는 상기 차단부재(56)가 세 개로 구비되어 상기 아웃터 밸브 슬리브(52)의 내주면에 기밀되도록 밀착되고, 상기 이너 밸브 슬리브(54)의 외주면 중에서 두 개의 차단부재(56) 사이의 외주면에 상기 공급 조절홀(54H)이 구비되어, 상기 이너 밸브 슬리브(54)가 상기 아웃터 밸브 슬리브(52)를 따라 전후진함에 따라 상기 공급 조절홀(54H)이 상기 아웃터 밸브 슬리브(52)의 상기 메인 포트(52A) 또는 상기 클리닝 포트(52B)에 연통되며, 상기 차단부재(56)는 상기 공급 조절홀(54H)이 상기 메인 포트(52A)에 연통될 때에 상기 클리닝 포트(52B)와 상기 공급 조절홀(54H) 사이를 차단하고 상기 공급 조절홀(54H)이 상기 클리닝 포트(52B)에 연통될 때에 상기 메인 포트(52A)와 상기 공급 조절홀(54H) 사이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의 위치 조절이 가능한 비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밸브 슬리브(54)에는 전환 손잡이(53)가 연결되며, 상기 전환 손잡이(53)를 파지하여 상기 이너 밸브 슬리브(54)를 상기 아웃터 밸브 슬리브(52)에서 전후진 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의 위치 조절이 가능한 비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20)은 기단부에 케이스부(CP)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부(CP)의 내부 공간부가 확보되고, 상기 케이스부(CP)에는 복수개의 구멍(H)이 구비되어 상기 구멍(H)에 의해 상기 케이스부(CP)의 내부 공간부가 외부와 연통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중간 밸브(50)에 구비된 클리닝 포트(52B)는 상기 노즐(20)의 기단부에 형성된 상기 케이스부(CP)의 상기 공간부와 연통되며, 상기 중간 밸브(50)의 상기 클리닝 포트(52B)에서 상기 노즐(20)의 기단부측에 구비된 상기 케이스부(CP)의 상기 공간부로 물이 들어와서 상기 구멍(H)을 통해 물이 상기 노즐(2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의 위치 조절이 가능한 비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20)에 연결된 상기 물 공급관(4)에 구비된 압력 조절밸브(16);
    상기 레버(40)의 하단에 구비된 레버 스프링(42);
    상기 노즐(20)에 연결된 중간 밸브(50)를 상기 연결대(10)에 지지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의 위치 조절이 가능한 비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10)의 일측 케이스(12)에는 보조탱크(60)가 구비되고, 상기 보조탱크(60)는 물공급부에 연결되는 물공급홀(62)을 구비하고, 상기 보조탱크(60)의 내부에는 상기 물공급홀(62)을 개폐하는 게이트(64)가 구비되며, 상기 게이트(64)는 바이메탈(67)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의 위치 조절이 가능한 비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64)는 상기 보조탱크(60)의 상기 물공급홀(62)과 만나는 물통과홀을 구비하여 상기 보조탱크(60)의 내부에 구비된 바이메탈(67)에 연결되며, 상기 바이메탈(67)의 작동에 의해 상기 게이트(64)의 상기 물통과홀이 상기 보조탱크(60)의 상기 물공급홀(62)과 정렬되어 물을 공급할 수 있는 개방 상태로 전환되거나 또는 상기 물통과홀이 상기 보조탱크(60)의 상기 물공급홀(62)과 어긋나서 상기 물공급홀(62)을 상기 게이트(64)가 막아주어 물을 차단하는 폐쇄 모드로 전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의 위치 조절이 가능한 비데.
  11. 노즐(20)을 지지하도록 비데 바디에 구비된 연결대(10);
    상기 연결대(10)에 구비되며 물 공급관(4)에 연결된 노즐(20);
    상기 노즐(20)이 상기 연결대(10)에서 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조절 손잡이;
    상기 노즐(20)이 위치 조절이 되도록 조작하기 위한 레버(40);
    상기 노즐(20)에 연결된 상기 물 공급관(4)에 구비된 압력 조절밸브(16);
    상기 레버(40)의 하단에 구비된 레버 스프링(42);
    상기 노즐(20)의 기단부와 상기 연결대(1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노즐(20)이 상기 연결대(10)의 저면에서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하는 스프링(S);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의 위치 조절이 가능한 비데.
KR1020150039829A 2015-03-23 2015-03-23 노즐의 위치 조절이 가능한 비데 KR1017421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9829A KR101742184B1 (ko) 2015-03-23 2015-03-23 노즐의 위치 조절이 가능한 비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9829A KR101742184B1 (ko) 2015-03-23 2015-03-23 노즐의 위치 조절이 가능한 비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3773A KR20160113773A (ko) 2016-10-04
KR101742184B1 true KR101742184B1 (ko) 2017-05-31

Family

ID=57165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9829A KR101742184B1 (ko) 2015-03-23 2015-03-23 노즐의 위치 조절이 가능한 비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218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5618A (ja) * 2001-03-26 2002-10-03 Toto Ltd 洗浄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0616Y1 (ko) 1998-12-24 2001-02-01 이춘배 보조분사노즐을 갖춘 비데장치
KR20050114452A (ko) 2004-06-01 2005-12-06 주식회사 파세코 2개 노즐 비데용 노즐 어셈블리
KR101057447B1 (ko) 2009-10-09 2011-08-17 대림비앤코주식회사 비데 노즐 세척액 분사장치 및 비데 노즐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5618A (ja) * 2001-03-26 2002-10-03 Toto Ltd 洗浄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3773A (ko) 2016-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95781B2 (ja) 浣腸機能を有するビデ用の噴射ノズルの構造
US5742961A (en) Rectal area hygiene device
US11529030B2 (en) Toilet
WO1996022722A1 (fr) Bidet
WO2017202235A1 (zh) 洁身便盆及装有洁身便盆的轮椅、坐便椅和坐便床
US20090140075A1 (en) Device for removably coupling disposable nozzle tip for bidet
JP2021526604A (ja) ビデシャワーを備えるトイレ
US6339852B1 (en) Bidet toilet seat
US4087868A (en) Spray apparatus for toilet
JP2023540117A (ja) 足健康管理器付き洋式便器
KR20100125847A (ko) 좌변기용 비데
KR101742184B1 (ko) 노즐의 위치 조절이 가능한 비데
KR200414378Y1 (ko) 좌변기의 덮개
KR200254775Y1 (ko) 세면기용 회전식 샤워헤드
KR100614157B1 (ko) 남성용 소변기를 갖는 양변기
US5603130A (en) Sanitary seat
KR20120041927A (ko) 비데 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좌변기
JP2001061705A (ja) 局部温水洗浄器付簡易便器
KR0114258Y1 (ko) 화장실용 세척기
KR200349845Y1 (ko) 비데기
WO2017138834A1 (ru) Экспресс-биде
JPH09271508A (ja) 座位式シャワー装置
KR200397787Y1 (ko) 좌변기용 비데
KR940007732Y1 (ko) 항문 및 국부세척기용 노즐의 각도조절장치
JP3615277B2 (ja) 洗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