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0807B1 - 프린터 - Google Patents

프린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0807B1
KR100330807B1 KR1019990034948A KR19990034948A KR100330807B1 KR 100330807 B1 KR100330807 B1 KR 100330807B1 KR 1019990034948 A KR1019990034948 A KR 1019990034948A KR 19990034948 A KR19990034948 A KR 19990034948A KR 100330807 B1 KR100330807 B1 KR 1003308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medium
supply path
spring member
guide
guide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4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7454A (ko
Inventor
타나베나오키
타다사토루
Original Assignee
가쯔미 야마무라
세이코 프리씨존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쯔미 야마무라, 세이코 프리씨존 인크. filed Critical 가쯔미 야마무라
Publication of KR20000017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74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0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08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0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marking on special material
    • B41J3/4071Printing on disk-shaped media, e.g. C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35Handling copy materials differing in thic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45Guides for printing material
    • B41J11/005Guides in the printing zone, e.g. guides for preventing contact of conveyed sheets with print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48Apparatus for condensed record, tally strip, or like work using two or more papers, or sets of papers, e.g. devices for switching over from handling of copy material in sheet form to handling of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and vice versa or point-of-sale printers comprising means for printing on continuous copy material, e.g. journal for tills, and on single sheets, e.g. cheques or receip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05Shape
    • H01L2224/4809Loop shape
    • H01L2224/48091Arch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1Disposition
    • H01L2224/48151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 H01L2224/48221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 H01L2224/48245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metallic
    • H01L2224/48247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metallic connecting the wire to a bond pad of the item

Landscapes

  • Handling Of Cut Paper (AREA)
  • Particle Formation And Scattering Control In Inkjet Printers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 Dot-Matrix Printers And Others (AREA)
  • Feeding Of Articles By Means Other Than Belts Or Roll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엷은 두께의 기록매체라고 하더라도 인쇄부로의 이송을 안정적으로 행하고, 두꺼운 두께의 기록매체의 경우와 같은 양호한 인쇄품질을 얻는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제 1 기록매체를 공급하는 제 1 공급경로와, 제 1 기록매체보다 두꺼운 두께의 제 2 기록매체를 공급하는 제 2 공급경로와, 제 1 공급경로와 제 2 공급경로로 공급되는 기록매체에 인쇄하는 인쇄부와, 인쇄부에서 인쇄된 기록매체를 배출하는 배출부를 구비하고 있다. 인쇄부 상류측의 제 1 공급경로와 제 2 공급경로와의 합류부에는 상하로 승강가능한 가이드 스프링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스프링 부재는 제 1 기록매체의 표면을 소정의 높이로 유지해 준다.

Description

프린터{PRINTER}
본 발명은 프린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복수의 다른 형태의 기록매체를 복수의 공급경로를 통하여 공통의 인쇄부로 인입시켜 인쇄부에서 인쇄한 후에 배출부로 배출하는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근래, 컴팩트 디스크 또는 기록 가능한 컴팩트 디스크(이하, 이들을 총칭하여 「CD」라고 한다) 등의 특수한 형태의 기록매체의 표면에 인쇄를 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경우, 기록매체가 특수한 것이여서 특수한 공급경로를 구비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단표지 대응의 범용 프린터와는 다른 기구가 필요하여 진다. 그래서, 종래에는 특수한 기록매체에 적합하는 공급경로를 구비한 전용기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에 대하여, 두 종류 이상의 기록매체에 대응하는 공급경로를 마련한 프린터가, 예컨대, 일본국 특개평9-95021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데, 이것은 기록매체의 공급경로를 교체하는 교체기구를 구비한 것이다.
이러한 교체 기구를 구비한 종래의 구성은 그 만큼 구성이 복잡하게 되고, 코스트도 높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프린터의 전체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전체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도 1의 A-A선을 취한 확대 단면도.
도 4는 도 1의 B-B선을 취한 확대 단면도.
도 5(a)는 트레이 가이드의 확대 사시도, (b)는 가이드 스프링부의 확대 단면도, (c)는 트레이가 공급되는 상태를 도시한 가이드 스프링부의 확대 단면도.
도 6(a)는 CD의 사시도, (b)는 상기 CD가 넣어지는 트레이의 사시도.
도 7은 다른 예의 트레이 가이드의 가이드 스프링 부재와 위치검출장치중의 레버와의 관계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
도 8은 트레이 가이드의 가이드 스프링 부재와 위치검출장치중의 레버와의 관계의 다른 예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
도 9는 트레이 가이드의 가이드 스프링 부재와 위치검출장치중의 레버와의 관계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
도 10은 트레이 가이드의 가이드 스프링 부재의 다른 예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제 1 공급경로 1O : 제 1 기록매체2 : 제 2 공급경로 20 :제 2 기록매체22 : 가이드 스프링 부재 222, 223 : 가이드 스프링 부재
224 : 가이드 스프링 부재 224a : 가이드 부재224b : 압축스프링 23 : 트레이23a : 오목부 3 : 인쇄부
4 : 배출부 5 : 위치검지장치
<실시예>
이하,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1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프린터의 전체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즉, 기록매체(10)를 공급하는 제 1 공급경로(1)와, 기록매체(20)를 공급하는 제 2 공급경로(2)를 구비하고 있고, 각 기록매체(10, 20)는 각각의 공급경로를 개재하여 공통의 인쇄부(3)로 공급되어 인쇄부(3)에서 인쇄된 후에는 공통의 배출부(4)로 배출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 1 공급경로(1)는 얇은 두께의 기록매체(10)를 인쇄부(3)에 공급 가능한 경로이고, 이 기록매체(1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넓은 폭(W1)의 얇은 두께의 기록지라도 좋다. 기록매체(10)는 컷 시트 피더(이하, CSF라 칭한다)(11)상에 재치되고, CSF(11)의 폭방향의 양 단부에는 한쌍의 CSF 가이드(12) 및 피드롤러(13)가 위치하고 있다. 피드롤러(13)는 프레임(6)으로부터 일으켜 놓은 프레임(61, 6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피드롤러축(13a)에 삽입하고, 축방향에는 활주가능하고 또한 회전이 불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CSF가이드(12) 및 피드롤러(13)는 피드롤러축(13a)의 축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접근시켜 혹은 이탈시킴에 의해 기록지의 폭에 대응시킬 수 있다.
도 2 및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공급경로1 CSF(11)는 거의 45도로 경사하여 마련하여 놓아, 피드롤러(13)에 의해 1장씩 끌어 들여진 기록매체(10)는 1쌍의 가이드판(14)의 표면에 가이드되어 만곡되면서 인쇄부(3)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이송롤러(15)와 이것에 탄성 접촉하는 보조롤러(16) 사이로 인입되어 인쇄부(3)에 공급된다. 상기 기록매체(10)는 두께가 얇고, 더구나 연질이기 때문에 폭방향의 중간부에서 느슨해지기 쉽고, 주름이나 사행(斜行) 등의 이송불량의 원인이 되기 쉽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가이드판(14)이나 후술하는 가이드 스프링 부재에 의해서 느슨해짐 등의 발생을 방지한다. 상기 가이드판(14)의 상면은 소정의 높이를 가지고 인쇄부(3)로 원활하게 인도되는 데 알맞은 경사면(14a)을 형성하여 놓는다. 이송롤러(15)는 프레임(61, 6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이송롤러축(15a)에 고정되어 있고, 보조롤러(16)는 보조롤러 받이(17) 핀에 회전가능하게 축지지되어 보조롤러받이(17)는 보조롤러(16)가 이송롤러(15)에 탄성 접촉하도록 프레임(63)에 단주(單柱) 지지되어 있다.
제 2 공급경로(2)는 도 1에 도시한 폭(W2)과 같이, 제 1 공급경로(1)의 중앙의 좁은 폭에 설정되어, 기록매체(10) 보다도 두꺼운 두께의 예컨대, CD나 금속이나 수지 등의 어떤 강성이 있는 기록매체(20)를 인쇄부(3)에 공급하는 경로이며,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6)의 상면에 기록매체(20)를 인쇄부(3)에 직선적으로 안내하도록 구비된 트레이 가이드(21)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트레이 가이드(21)는, 도 5 (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전단부의 양측에 가는 폭으로 기록매체(20)의 진행방향으로 긴 절개구멍(21a, 21a)을 마련하여 놓는다. 이 절개구멍(21a)을 가이드 스프링 부재(22)가 관통하여 상면에 일부를 돌출시키고 있다. 가이드 스프링 부재(22)는 폭이 가늘고 긴 판 스프링재를 써서 절개구멍(21a)에 대향하는 부분을 굴곡시켜 산 형상을 하고 있고, 판 스프링재의 일단을 트레이 가이드(21)의 이면에 고정하여 놓는다. 산 형상의 굴곡부는 인쇄부(3)측의 경사면(22a)이 가이드판(14)의 경사면(14a)에 높이와 경사가 거의 일치하도록 형성하여 놓는다. 가이드판(14) 및 가이드 스프링 부재(22)는 제 1 공급경로(1)와 제 2 공급경로(2)와의 합류부에 폭방향으로 거의 정렬되어 구비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가이드판(14)과 가이드 스프링 부재(22)는 소정의 높이로 마련되는 것이지만, 이것은 기록매체(10, 20)의 두께가 다르기 때문에 제 1 공급경로(1)와 제 2 공급경로(2)와의 합류부에 있어서, 이송롤러(15)와 보조롤러(16)로 기록매체를 원활히 보내주기 위해 요구되는 상면의 위치가 미묘하게 서로 다른 것에 연유한다. 즉, 기록매체(20)의 경우는 두께가 두껍기 때문에 그 만큼 트레이 가이드(21)의 상면을 낮게 해 두지 않으면 안되지만, 이 낮은 상면에서 얇은 두께의 기록매체(10)를 보내면 롤러(15)와 롤러(16)와의 사이로 정확히 보내어지지 않고 이송불량이 발생하는 위험이 있다. 그래서 얇은 두께의 기록매체(10)를 보내는 경우에는 트레이 가이드(21)의 상면보다 소정의 높이를 갖고 롤러(15)와 롤러(16)와의 사이로 넣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판(14)과 가이드 스프링 부재(22)와의 소정의 높이는 이것에 최적의 높이로 설정되는 것이다.
트레이 가이드(21)로부터 기록매체(20)의 일례로서의 CD를 공급하는 경우에는, 도 6(a), (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금속이나 수지를 재료로 하는 방형의 트레이(23)에 CD인 기록매체(20)의 형상에 맞는 오목부(23a)를 트레이(23)의 후반 부분의 상면에 마련하여, 이 오목부에 CD(20)를 넣는다. 트레이(23)의 전반 부분은 한쪽의 측부가 잘려져 있고, 그 각부가 검지부(23b)로 되어 있다.
트레이 가이드(21)에 세트된 트레이(23)는 도 5(c)와 같이, 평면상태 그대로 가이드 스프링 부재(22)를 아래 쪽으로 휘게하여 전진시켜, 제 1 공급경로(1)의 경우와 같이, 이송롤러(15)와 이것에 탄성 접촉하는 보조롤러(16)와의 사이로 인입되고 인쇄부(3)에 공급된다. 트레이 가이드(21)의 폭은 한쌍의 가이드판(14)의 간격보다 좁기 때문에 트레이(23)는 가이드판(14)의 상면에 접촉하는 일 없이 상기한 바와 같이 가이드 스프링 부재(22)를 아래 쪽으로 휘어서 전진한다.
상기 피드롤러(13) 및 이송롤러(15)는 도 1에 도시한 모터(M1)의 피드롤러축(13a) 및 이송롤러축(15a)를 개재하여 회전구동 된다.
인쇄부(3)는 프레임(61, 62)에 의해 고정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폭방향으로 긴 플래턴(31)과, 상기 플래턴에 대향하여 이동 가능하게 마련하여 놓은 인자헤드(32)로 이루어진다. 인자헤드(32)는 캐리지(33)에 탑재되어 있고, 이 캐리지는 프레임(61, 64)에 양 끝이 지지되어 있는 가이드축(34)에 안내되어, 도 1에 도시한 모터(M2)의 구동력을 받아 기록매체(10, 20)의 이송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왕복 이동된다. 상기 제 1 공급경로(1) 또는 제 2 공급경로(2)로부터 공급된 기록매체(10 또는 20)는 상기 인자부(3)의 플래턴(31)과 인자헤드(32)의 사이의 간격을 통과하는 사이에 외부에서의 명령에 의한 소정의 타이밍으로 인자헤드(32)로부터 잉크가 토출되어 기록매체(10 또는 20)의 상면에 인쇄된다.
배출부(4)는 인쇄부(3)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배출롤러(41)와 이것에 탄성 접촉하는 보조롤러(42)로서 이루어지고, 인쇄부(3)에서 인쇄된 기록매체를 배출한다. 배출롤러(41)는 배출롤러축(41a)에 축지지되어 있고, 보조롤러(42)는 프레임(6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배출롤러(41)는, 도 1에 도시한 모터(Ml)의 구동에 의해 배출롤러축(41a)를 개재하여 회전된다.
다음에, 기록매체의 위치검지장치(5)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63)에는 예컨대, 광 투과형 센서(51)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센서(51)의 광로를 차단 개방함으로써, 기록매체(10 또는 20)의 공급 배출을 검지하기 위하여 통과하는 기록매체(10 또는 20)의 상면과 센서(51)와의 사이에 레버(52)를 개재시키고 있다. 레버(52)는 거의 중심부에서 요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그 일단부(상단)가 센서(51)에 대향하여 센서(51)의 광로를 차단 개방가능하게 하여, 그 외의 단부(하단)가 기록매체의 공급에 의해 밀어 올려지고 요동한다. 레버(52)의 하단은 기록매체가 없을 때에는 거의 트레이 가이드(21)의 표면에 접하도록 위치를 설정하여 놓는다. 그리고, 기록매체가 통과할 때, 레버(52)의 하단이 밀어 올려지고 레버가 요동하여 센서(51)가 검지상태로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기록매체가 있을 때와 없을 때와의 레버의 하단의 높이의 차이가 충분히 있도록 설정하여 레버(52)의 요동각도가 커지도록 함에 의해 센서(51)에 의한 검지가 안정적으로 행하여진다. 또한, 레버(52)의 폭방향의 위치는 기록매체(10 및 20)가 어느 것이나 통과하는 위치인 것이 필요하고, 레버(52)의 하단을 밀어 올림에 있어서 기록매체가 느슨해지는 일이 없는 쪽이 검지의 안정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레버(52)의 하단은 기록매체를 하면측에서 지탱하고 있는 가이드 스프링 부재(22)의 가까이 또는 가이드판(14)과 가이드 스프링 부재(22)와의 사이에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급되어 온 기록매체의 선단부를 레버(52)를 매개하여 센서(51)에 의해 검지했을 때, 기록매체로의 기록 시작위치가 설정되고 또한, 기록매체의 후단을 검지했을 때, 기록매체로의 기록 종료위치가 설정됨과 함께 기록매체의 배출 타이밍도 설정된다.
이러한 구성이기 때문에, 제 1 공급경로(1)로부터 폭(W1)의 넓은 폭의 기록지(10)를 공급하는 경우에는, CSF(11)에 재치하여 놓은 넓은 폭의 기록지가 피드롤러(13)에 의해 1장씩 보내여지고, 기록지의 선단이 가이드판(14)의 경사면(14a) 및 가이드 스프링 부재(22)의 경사면(22a)에 가이드되어 폭방향으로 느슨함이 없고 또한 사행하는 일 없이 느슨히 만곡되면서 이송롤러(15)와 보조롤러(16)와의 사이로 인입되어 간다. 이 때, 기록지의 선단이 레버(52)의 하단을 밀어 올려 레버를 요동시키기 때문에 센서(51)에 의해 기록지가 공급되어 온 것이 검지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록지는 가이드판(14)과 가이드 스프링 부재(22)에 의해 소정의 높이로 지탱되어 있기 때문에 레버의 하단을 밀어 올리는 힘을 견딜 수 있어 느슨해지는 일이 없이 센서(51)에 의해 정확한 검지가 행하여진다.이송롤러(15)와 보조롤러(16)에 의해 인쇄부(3)에 공급된 기록지상에 상기한 바와 같이 인쇄가 행하여지고 배출부(4)에 의해 배출된다. 기록지의 후단이 레버(52)를 통과하면 레버(52)가 요동상태에서 처음으로 복귀하여 센서(51)는 불검출상태로 되돌아간다.
제 1 공급경로(1)로부터 폭(W2)의 폭이 좁은 기록지(10)를 공급하는 경우에는, 양측의 피드롤러(13)를 기록지의 폭에 맞춰 접근시켜 놓고, 기록지를 1장씩 보낸다. 기록지의 폭이 좁기 때문에, 가이드판(14)의 경사면(14a)에 의해서는 가이드되지 않지만, 이 경우에도,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레이 가이드(21)의 가이드 스프링 부재(22)의 경사면(22a)으로 가이드되기 때문에 레버(52)의 하단을 밀어 올리는 힘에 견딜 수 있어 느슨해지는 일이 없고, 센서(51)에 의해 정확한 검지가 행하여진다. 이후의 동작은 먼저 기술한 바와 같다.
다음에, CD 등 강체의 기록매체(20)의 상면에 인쇄하는 경우에는, 제 2 공급경로(2)가 사용된다. CD의 경우는, 도 6에 도시한 트레이(23)에 CD(20)를 집어 넣어 트레이 가이드(21)의 상면에 재치하여, 인쇄부(3)로 향하여 밀어넣는다. 트레이(23)에 넣어진 CD의 상면은 레버(52)를 요동시키는 데 충분한 높이가 있어서, 도 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레이(23)가 가이드 스프링 부재(22)를 아래쪽으로 휘면서 평면상으로 전진하여 트레이의 검지부(23b)에 의해 레버(52)의 하단을 밀어 올려 레버를 요동시키기 때문에 센서(51)에 의해 정확한 검지가 행하여진다. 이후의 동작은 앞서 기술한 바와 같다.
CD 만이 아니라 금속이나 수지 등의 적당한 두께가 있는 강체의 판의 상면에 인쇄하는 경우에도, 제 2 공급경로(2)가 사용되고, 이 경우에는, 트레이를 쓰지 않고 트레이 가이드(21)의 상면에 직접 재치하여, 인쇄부(3)로 향하여 밀어 넣으면 좋다. 이후의 동작은 먼저 기술한 CD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도 7은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며, 한편의 가이드 스프링 부재(22)는 상기와 동일하게 하고, 다른쪽은 형상을 바꾼 가이드 스프링 부재(222)로 되어 있다. 이 가이드 스프링 부재(222)는 산 형상의 부분으로부터 선단이 2가닥으로 분기되어 스프링 부(222a 및 222b)로 하고, 양 스프링부의 사이에 레버(52)의 하단을 위치시키고 있다. 상기 스프링부를 돌출시키는 트레이 가이드(21)의 절개구멍(21b)은 상기의 절개구멍(21a)보다 폭을 넓게 형성하여 2가닥의 산 형상의 부분이 돌출 할 수 있도록 하여 놓는다. 이 경우, 한 쪽의 가이드 스프링 부재(22)만을 가이드 스프링 부재(222)로 하였지만 양측의 가이드 스프링 부재(22)를 함께 가이드 스프링 부재(222)로 하더라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 제 1 공급경로(1)로부터 얇은 두께의 기록매체(10)를 공급하는 경우에, 기록매체(10)가 소정의 높이로 전진하여 원활하게 롤러(15, 16)로 인도됨과 동시에 2가닥의 스프링부(222a, 222b)로 지탱하고 있기 때문에 레버(52)의 하단을 안정되게 밀어 올릴 수 있어, 센서의 검지 정밀도가 얻어진다. 더욱이, 제 2 공급경로(2)를 사용하여 폭이 좁고 또한 얇은 두께의 기록지를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즉, 기록지는 강체가 아니어서, 트레이 가이드(21)의 표면에 직접 기록지를 재치하여 인쇄부(3)를 향하여 밀어 넣으면, 기록지의 선단부가 가이드 스프링 부재(22)를 아래 쪽으로 휘지 않게, 도 5(b)의 상태 그대로 가이드 스프링 부재(22)의 산 형상의 부분에 따라 소정의 높이로 전진하여 원활하게 롤러(15, 16)로 인도됨과 동시에 기록지는 그대로는 레버(52)의 하단을 밀어 올리는 힘을 견디지 못하고 느슨해져 트레이 가이드(21)의 상면에 접하고자 하지만, 이 예와 같이 2가닥의 스프링부(222a, 222b) 사이에 레버(52)가 위치하고 있음에 의해 상기 스프링부에 지탱되어 기록지의 일부가 강체화 하여 느슨해짐 없이 레버(52)의 하단을 밀어 올릴 수 있어 센서의 검지 정밀도가 얻어진다. 이후의 동작은 앞서 기술한 경우와 마찬가지 이다.
도 8은 레버(52)의 위치를 양측의 가이드 스프링 부재(22, 22)의 중간에 배치한 예로서, 이 경우에도 상기와 거의 동등한 센서의 검지 정밀도가 얻어진다.
도 9는 다른쪽의 가이드 스프링 부재(223)를 트레이 가이드(21)의 측부에 근접시켜, 이 가이드 스프링 부재(223)의 측부의 트레이 가이드(21)의 단부, 즉 가이드판(14)에 근접하는 위치에 레버(52)의 하단을 위치시키고 있다. 이 경우, 가이드판(14)과 가이드 스프링 부재(223)와의 간격이 좁아 기록지가 느슨해 지기 어렵기 때문에 센서의 검지 정밀도가 얻어진다.도 10은 가이드 스프링 부재의 다른 실시예로서, 이 가이드 스프링 부재(224)는 판 스프링을 사용하지 않고, 판상의 가이드 부재(224a)와, 그 하면에 압축 스프링(224b)을 배치하여 구성하고 있다. 가이드 부재(224a)는 상기의 가이드 스프링 부재(22)와 같이 산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산 형상의 부분을 트레이 가이드(21)의 절개구멍(21a)에서 돌출시킨다. 압축 스프링(224b)의 하단은, 프레임(6)에 고정하여 놓는다. 동작에 관하여는 상기한 바와 실질적으로 같다.
또, 가이드판(14)을 가이드 스프링 부재(22)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 구성에 의해서도 상기와 동등한 효과가 얻어진다.
또, 가이드 스프링 부재는 1장의 판 스프링재로 구성한 예를 도시하고 있지만, 1장의 판 스프링재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매를 적층하여 구성하더라도 좋다.
또한, 인쇄부(3)에 있어서의 인쇄수단을 잉크젯의 경우로 설명하였지만, 그 밖의 여러가지의 인쇄수단에 의한 인자부에 기록매체를 공급하는 프린터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두께가 다른 기록매체를 위한 제 1 및 제 2 공급경로를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고, 양 공급경로의 합류부에 엷은 두께의 기록매체를 소정의 높이로 유지하는 가이드 스프링 부재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기록매체가 폭방향으로 느슨해지는 일이 없이 안정되게 인자부에 공급할 수 있어 이송 불량이 없고, 두꺼운 두께의 기록매체의 경우와 마찬가지의 양호한 인쇄 품질을 얻을 수 있다. 단표지 대응의 범용프린터와 CD 등 특수한 기록매체 대응의 특수프린터를 하나의 프린터로 실현할 수 있어서 간단한 구성에 의해 염가로 제공할 수가 있다.
또한, 가이드 스프링 부재 근방을 통과하는 기록매체를 위치검지장치로 검지하기 때문에 정밀도가 안정된 검지를 할 수 있다.

Claims (8)

  1. 제 1 기록매체를 공급하는 제 1 공급경로와, 상기 제 1 기록매체보다 두꺼운 두께의 제 2 기록매체를 공급하는 제 2 공급경로와, 상기 제 1 공급경로와 상기 제 2 공급경로에 공급된 기록매체에 인쇄하는 인쇄부와, 상기 인쇄부에서 인쇄된 기록매체를 배출하는 배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인쇄부의 상류측이고 또한 상기 제 1 공급경로와 상기 제 2 공급경로와의 합류부에는 상하로 승강 가능한 가이드 스프링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스프링 부재는 상기 제 1 기록매체의 표면을 소정의 높이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급경로는 연질의 기록매체를 공급하는 것이고, 상기 제 2 공급경로는 강체의 기록매체를 공급하는 것이며 또한 평면상태로 상기 인쇄부에 연속하고 있어 상기 강체의 기록매체 공급시에 상기 가이드 스프링 부재가 하강하여 평면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스프링 부재는 판 스프링 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스프링 부재는 판상의 가이드 부재와, 그 하면에 배치하여 놓은 압축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강체의 기록매체는 원판상을 이루는 것으로서, 방형의 트레이에 마련한 원판상의 오목부에 갖추어져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6. 제 1 항, 제 2 항, 제 5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스프링 부재 근방을 통과하는 상기 기록매체를 검지하기 위한 위치검지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스프링 부재 근방을 통과하는 상기 기록매체를 검지하기 위한 위치검지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스프링 부재 근방을 통과하는 상기 기록매체를 검지하기 위한 위치검지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KR1019990034948A 1998-08-31 1999-08-23 프린터 KR1003308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2455 1998-08-31
JP24550798A JP3497388B2 (ja) 1998-08-31 1998-08-31 プリンタ
JPJP1998-245507? 1998-08-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7454A KR20000017454A (ko) 2000-03-25
KR100330807B1 true KR100330807B1 (ko) 2002-04-01

Family

ID=17134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4948A KR100330807B1 (ko) 1998-08-31 1999-08-23 프린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360657B1 (ko)
EP (1) EP0983861B1 (ko)
JP (1) JP3497388B2 (ko)
KR (1) KR100330807B1 (ko)
CN (1) CN1251337A (ko)
AT (1) ATE227652T1 (ko)
DE (1) DE69903894T2 (ko)
SG (1) SG71940A1 (ko)
TW (1) TW46292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01096B2 (en) 2000-09-25 2006-09-05 Seiko Epson Corporation Tray for transferring recording media, and recording apparatus
JP4196176B2 (ja) * 2002-03-07 2008-12-1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光ディスクの排出装置および該排出装置を備えたインクジェット式記録装置
US6580444B1 (en) * 2002-04-30 2003-06-17 Alexander V. Drynkin Thermal printer for compact disks and other media
JP3768930B2 (ja) * 2002-07-10 2006-04-19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
JP3913141B2 (ja) * 2002-08-21 2007-05-09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
US6857797B2 (en) * 2003-04-22 2005-02-2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ystem for facilitating printing on various media
US20080236413A1 (en) * 2007-03-30 2008-10-02 Castleberry Jeffrey G Media carrier
JP5267779B2 (ja) * 2008-05-27 2013-08-2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記録装置
JP4883168B2 (ja) * 2009-11-09 2012-02-2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ディスク用トレイおよび記録装置
JP4826856B2 (ja) * 2009-11-09 2011-11-3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記録媒体搬送用トレイ
JP5696616B2 (ja) * 2011-08-09 2015-04-08 沖電気工業株式会社 記録媒体搬送機構及び記録媒体処理装置
CN102956055B (zh) * 2011-08-25 2014-11-05 深圳市思乐数据技术有限公司 彩票阅读器及彩票投注机
CN102956056B (zh) * 2011-08-25 2015-02-18 深圳市思乐数据技术有限公司 彩票投注机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4097B2 (ja) * 1985-11-08 1994-09-2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プリンタの給紙装置
AT391655B (de) * 1986-10-13 1990-11-12 Svoboda Rudolf Anordnung mit einem drucker
GB2196300B (en) * 1986-10-18 1991-04-03 Sony Corp Printing apparatus
JPH01103472A (ja) * 1987-10-16 1989-04-20 Brother Ind Ltd 印字用シート頭出し機能付印字装置
JP2791892B2 (ja) 1988-09-16 1998-08-27 エヌシーアール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プリンタの記録媒体搬送ガイド
JPH0636931Y2 (ja) * 1988-11-15 1994-09-28 株式会社精工舎 プリンタの紙送り機構
SE465664B (sv) 1990-02-09 1991-10-14 Philips Norden Ab Apparat foer uppteckning och/eller avlaesning av information
EP0892548B1 (en) * 1992-03-19 2001-07-11 Pfu Limited Image reading apparatus
US5348407A (en) * 1992-05-19 1994-09-20 Hewlett-Packard Company Snap-on control panel
EP0620118B1 (en) * 1993-03-24 1997-11-19 Seiko Precision Inc. Printer having continuous sheet supply mechanism and cut sheet supply mechanism
US5419644A (en) 1993-06-03 1995-05-30 Hewlett-Packard Company Print medium handling system including cockle springs to control pen-to-print medium spacing during printing
JPH0995020A (ja) * 1995-09-29 1997-04-08 Canon Electron Inc プリンタ
JPH0995021A (ja) 1995-09-29 1997-04-08 Canon Electron Inc プリンタ
KR100186611B1 (ko) * 1996-06-26 1999-05-15 김광호 화상기록장치의 용지 두께감지장치와 그를 이용한 잉크젯트 기록헤드 자동 조정장치 및 방법
KR100208139B1 (ko) * 1996-09-10 1999-07-15 윤종용 잉크젯 프린터의 인쇄위치 변환장치 및 그의 방법
US6148722A (en) * 1998-06-08 2000-11-21 Primera Technology, Inc. Compact disc and recordable compact disc thermal transfer prin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903894D1 (de) 2002-12-19
EP0983861B1 (en) 2002-11-13
JP2000071526A (ja) 2000-03-07
CN1251337A (zh) 2000-04-26
EP0983861A3 (en) 2001-02-28
DE69903894T2 (de) 2003-03-20
JP3497388B2 (ja) 2004-02-16
TW462925B (en) 2001-11-11
ATE227652T1 (de) 2002-11-15
US6360657B1 (en) 2002-03-26
SG71940A1 (en) 2000-04-18
EP0983861A2 (en) 2000-03-08
KR20000017454A (ko) 2000-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459791B2 (ja) プリンタ
US10569568B2 (en) Printer and tape cartridge
KR100330807B1 (ko) 프린터
US8448200B2 (en) Transferred medium
US7624979B2 (en) Sheet transport apparatus
EP1683642B1 (en) Liquid ejecting apparatus
JP4764073B2 (ja) シート供給装置及び記録装置
JP2004009699A (ja) 記録媒体搬送用トレイ
US7097373B2 (en) Printer
JP4450209B2 (ja) 記録装置及び液体噴射装置
US7731178B2 (en) Feeding device
US6412995B2 (en) Printing apparatus and platen with a plurality of impact surfaces
JPH0995021A (ja) プリンタ
JPH10152243A (ja) 用紙送り装置および印字装置
JP3807486B2 (ja) 給排紙トレー、記録装置
JP3904071B2 (ja) 記録媒体位置決め装置、記録装置
JP2009107179A (ja) 記録装置
JP2006327210A (ja) 記録媒体搬送用トレイ
JPH08310068A (ja) プリンタ
JP2000344377A (ja) プリンタ
KR20060086267A (ko) 프린터
JP2002002056A (ja) プリンタ
JP2000344353A (ja) プリンタ
JP2008030492A (ja) 記録装置
JP2001063852A (ja) プリン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