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0472B1 - 현상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기 에너지 공급부 - Google Patents

현상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기 에너지 공급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0472B1
KR100330472B1 KR1020000023053A KR20000023053A KR100330472B1 KR 100330472 B1 KR100330472 B1 KR 100330472B1 KR 1020000023053 A KR1020000023053 A KR 1020000023053A KR 20000023053 A KR20000023053 A KR 20000023053A KR 100330472 B1 KR100330472 B1 KR 1003304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conductive portion
magnet
conductive
cylind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3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0800A (ko
Inventor
노다신야
사사고요시까즈
사사끼데루히꼬
바또리요시유끼
아꾸쯔다까시
데라다이찌로
Original Assignee
미다라이 후지오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236479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0315012A/ja
Priority claimed from JP12364699A external-priority patent/JP3937649B2/ja
Application filed by 미다라이 후지오,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미다라이 후지오
Publication of KR20010020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08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04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04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67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rocess cartridge to the apparatus, electrical connectors, power suppl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9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using magnetic brush
    • G03G15/0907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using magnetic brush with bias voltag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9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using magnetic brush
    • G03G15/0921Details concerning the magnetic brush roller structure, e.g. magnet configuration
    • G03G15/0935Details concerning the magnetic brush roller structure, e.g. magnet configuration relating to bearings or driving mechanis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apparatus
    • G03G21/1652Electrical connection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6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 G03G21/167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for the developer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5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 G03G2221/166Electrical connecto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8Cartridge systems
    • G03G2221/183Process cartrid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현상 장치는, 제1 원통형 부분과 상기 원통형 부분의 단부에 제공되고 베어링부에 의해 지지된 제2 원통형 부분을 포함하고, 화상 담지 부재 상에 형성된 정전 화상을 현상하기 위해 현상제를 이송하는 현상제 반송 부재와, 현상제 반송 부재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고, 현상제 반송 부재에 제공된 자석과, 현상제 반송 부재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자석 상에 지지된 제1 도전성 부분과, 현상제 반송 부재에 제공되고, 제1 원통형 부분의 내면과 전기 접속되고, 현상제 반송 부재 내의 제1 도전성 부분과 활주 가능한 접촉 상태에 있는 제2 도전성 부분과, 현상제 반송 부재의 외측에서 제1 도전성 부분과 전기 접속된 제1 전기 접촉부와, 제1 전기 접촉부와는 상이한 위치에 배치되고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의 전기 접점과 전기 접속된 제2 전기 접촉부를 포함하는 제3 도전성 부분을 포함하며, 현상 바이어스는 제3 도전성 부분, 제2 도전성 부분, 및 제1 도전성 부분을 통해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의 전기 접점으로부터 현상제 반송 부재에 인가된다.

Description

현상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기 에너지 공급부 {DEVELOPING DEVICE, PROCESS CARTRIDGE AND ELECTRIC ENERGY SUPPLY PART}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용 현상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기 에너지 공급부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화상 형성 장치는 예컨대, 전자사진 공정을 통해 기록 재료 상에 화상을 형성한다. 전자사진 장치의 예는 전자사진 복사 기계, 전자사진 프린터(예컨대, 레이저 빔 프린터, LED 프린터 등), 팩시밀리 기계, 워드 프로세서 등을 포함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화상 형성 장치에 착탈식으로 장착 가능한 카트리지 내로 일체화되는 화상 담지 부재, 적어도 하나의 대전 수단, 현상 수단, 및 세척 수단을 포함한다.
전자사진 화상 형성 공정을 사용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분야에서, 전자사진 감광 드럼 및 전자사진 감광 드럼 상에서 작동 가능한 처리 수단이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착탈식으로 장착 가능한 카트리지 내로 일체화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종류가 사용된다. 이러한 종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있어서,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위한 보수유지 작업은 작업성이 현저히 향상되도록 사실상 사용자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종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화상 형성 장치의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에서, 전자사진 감광 부재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은 현상제 반송 부재인 현상제 롤러에 의해 전자사진 감광 부재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토너(현상제)로 현상하는 현상 수단에 의해 현상된다. 특히, 가시화된 토너 화상이 제공되도록 정전 잠상에 따라 현상 롤러로부터 전자사진 감광 부재 상으로 토너를 전사하기 위해 현상 바이어스가 현상 롤러에 인가된다.
현상 롤러에 현상 바이어스를 인가하는 방법에 있어서,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전성 재료의 플랜지 부재(F)가 현상 롤러(D)의 단부에 제공되고, 압축 코일 스프링(Sp) 형태의 전극이 도전을 위해 플랜지 부재(F)에 장착된다. 현상 장치가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접촉 부재(C)가 장치의 주 조립체에 제공된 전기 에너지 공급 부재(V)에 전기 접속된다.
현상 롤러에 현상 바이어스를 인가하는 다른 방법에 있어서,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접촉부(Cs)가 접촉 부재(C)에 제공되고, 탄성 접촉부(Cs)는 현상 롤러(D)의 단부에서의 도전성 재료의 플랜지 부재(F)에 접촉된다. 현상 장치가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접촉 부재(C)는 장치의 조 조립체에 제공된 전기 에너지 공급 부재(V)에 전기 접속된다.
그러한 경우에, 압축 코일 스프링(Sp) 또는 플랜지 부재(F)가 접촉 부재(C)와 활주 관계에 있도록 현상 롤러(D)와 일체로 회전되고, 따라서 대체로 도전성 그리스가 활주부(Cp)에 인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목적은 현상 바이어스를 현상제 반송 부재에 인가하기 위한 접촉부가 신뢰성의 면에서 향상되는 현상 장치와 조립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현상 바이어스를 현상제 반송 부재에 인가하기 위한 접촉부가 신뢰성의 면에서 향상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조립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현상제 반송 부재로의 현상 바이어스의 전기 에너지 공급용 전기 에너지 공급부으로서 현상제 반송 부재에서의 위치 정확도가 향상되게 하는 자석을 갖는 전기 에너지 공급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현상제 반송 부재 내에 배치된 자석 상에서 도전성 부분과의 전기 접속이 이루어지는 현상제 반송 부재로부터 먼 현상 바이어스의 전기 에너지 공급용 전기 에너지 공급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그리고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이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더 명백해질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상 롤러의 접촉 구조의 개략도.
도2는 자석, 고정 접점 및 자석과 조립된 원통형 전극의 사시도.
도3은 자석, 고정 접점 및 이들과 조립된 원통형 전극의 사시도.
도4는 접촉 지지체와 활주 접점의 사시도.
도5는 접촉 지지체와 활주 접점에 장착된 현상 롤러의 사시도.
도6은 접촉 지지체 및 활주 접점과 조립된 현상 롤러와 현상 롤러와 조립된 원통형 전극 및 고정 접점의 사시도.
도7은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착된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도.
도8은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구조의 도면.
도9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장착 구조의 도면.
도10은 현상 롤러의 접촉 구조의 개략도.
도11은 현상 롤러의 접촉 구조의 개략도.
도12는 변경예에 따른 원통형 전극의 도면.
도13은 자석과 조립되고 도12에 도시된 원통형 전극과 고정 접점의 사시도.
도14는 원통형 전극의 돌출부 및 자석의 좌측 샤프트부의 리세스와 만나는결합 관계의 개략도.
도15는 원통형 전극과 자석의 좌측 샤프트부 사이의 오차 각의 개략도.
도16은 변형예에 따른 원통형 전극의 돌출부와 자석의 좌측 샤프트부 사이의 결합 관계의 개략도.
도17은 고정 접점의 사시도.
도18은 활주 접점의 전면도.
도19는 활주 접점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광학 시스템
3 : 공급 수단
4 : 전사 롤러
5 : 고정 수단
7 : 감광 드럼
8 : 대전 롤러
10c : 고정 자석
10d : 현상 롤러
11 : 세척 수단
12 : 토너 현상 장치 프레임
14 : 주 조립체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이 이루어진다. 도1 내지 도9를 참조하면, 현상 장치, 현상 장치를 갖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착 가능한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첫째로, 도7 내지 도9를 참조하면,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일반적인 구성에 대해 설명이 이루어지고, 다음에 도1 내지 도6을 참조하여 현상 롤러에 대한 접촉 구조에 대해 설명된다. 이후에, 도14 내지 도16을 참조하여 잘못된 조립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에 대해 설명된다.
<일반적 구성>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레이저 빔)(A)에서, 광학시스템(1)으로부터 공급된 화상 정보에 따라 변조된 정보 광은 정전 잠상을 형성하기 위해 드럼(감광 드럼)(7) 형태의 전자사진 감광 부재 상으로 투사되고, 토너(현상제)로 토너 화상으로 현상된다. 토너 화상의 형성과 동기적으로, 용지 또는 OHP 시트를 개별적으로 기록하는 기록 재료(2)는 픽업 롤러(3b)와 이에 가압 접촉된 가압 접촉 부재(3c)에 의해 카세트(3a)로부터 하나씩 공급되고, 한 쌍의 공급 롤러(3d)와 한 쌍의 정합 롤러 등을 포함하는 공급 수단(3)에 의해 공급되며, 프로세스 카트리지(B) 내의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토너 화상은 전사 롤러(전사 수단)(4)로의 전압의 인가에 의해 기록 재료(2) 상으로 전사되고, 기록 재료(2)는 컨베이어 벨트(3f)에 의해 고정 수단(5)으로 공급된다. 고정 수단(5)은 구동 롤러(5a)와, 전사된 토너 화상이 기록 재료(2) 상에 고정되게 하는 고정 수단을 통과하는 기록 재료(2)에 열과 압력이 인가되는 지지 부재(5c)와 지지 부재(5c) 상에 회전식으로 지지된 원통형 시트를 포함하는 고정 회전 가능 부재(5d)를 포함한다. 기록 재료(2)는 한 쌍의 배출 롤러에 의해 공급되고, 역공급 경로를 통해 배출부(6)로 배출된다. 화상 형성 장치(A)는 수동 삽입 트레이(3i)와 롤러(3j)에 의해 수동으로 공급된 시트를 수용할 수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
한편,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전자사진 감광 부재 형태의 화상 담지 부재와 적어도 하나의 처리 수단을 포함한다. 처리 수단은 전자사진 감광 부재를 대전하기 위한 대전 수단과, 전자사진 감광 부재 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수단과, 전자사진 감광 부재의 표면 상에 잔류하는 토너를 제거하기 위한 세척 수단을 포함한다.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실시예의 프로세스 카트리지(B)에 있어서, 감광층[감광 드럼(7)]을 갖는 전자사진 감광 부재가 회전되고, 감광 드럼(7)의 표면이 전압이 공급된 대전 롤러(8) 형태의 대전 수단에 의해 균일하게 대전되고, 이후에 대전된 감광 드럼(7)은 정전 잠상을 형성하기 위해 개구(9)를 통해 광학 시스템(1)으로부터의 광 화상에 노출된다. 잠상은 현상 수단(현상 장치)(10)에 의해 현상된다.
현상 수단(10)은 회전 가능한 제1 공급 부재(10b1)와 제2 공급 부재(10b2)에 의해 토너 수용부(10a) 밖으로 토너를 공급한다. 고정 자석(자석)(10c)을 내부에 포함하는 현상 롤러(10d)(현상제 반송 부재)가 회전되고, 현상 블레이드(10e)에 의해 마찰 전기적으로 대전되는 토너 입자의 토너 층이 현상 롤러(10d)의 표면 상에 형성되고, 현상 바이어스가 가시화된 토너 화상이 형성되도록 잠상에 따라 감광 드럼(7)에 토너를 전사하기 위해 인가된다.
토너 화상을 기록 재료(2) 상에 전사하기 위해 토너 화상의 극성에 반대되는 극성을 갖는 전압이 전사 롤러(4)에 공급된다. 이후에, 감광 드럼(7) 상에 잔류하는 잔류 토너는 세척 블레이드(11a)에 의해 제거되거나 벗겨지고, 수용 시트(11b)에 의해 수용되며, 따라서 잔류 토너는 세척 수단에 의해 수집된다.
이러한 실시예의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토너 수용부(10a), 현상 하부 프레임(12b), 및 현상 롤러(10d), 현상 블레이드(10e) 등을 포함하고 일체로 용접된 캡 부재(12c)를 갖는 토너 현상 장치 프레임(12)을 포함한다. 토너 현상 장치프레임(12)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14)에 제공된 카트리지 장착 수단에 착탈식으로 장착 가능한 카트리지를 구성하도록 감광 드럼(7)을 수용하는 세척 프레임(13), 대전 롤러(8) 및 세척 수단(11) 등과 결합된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탈착될 때, 개폐 부재(15)는 샤프트(15a)를 중심으로 한 회전에 의해 개방되고, 개폐 부재(15)가 개방될 때, 장치의 주 조립체(14)에는 카트리지 장착 공간이 있다. 장착 공간의 좌우측 각각에 제공된 프레임(16)에는 하나의 안내 부재(17)만이 도시된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 장착 안내 부재(17)가 제공된다. 한편, 보스(18)(도8)가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종방향 외측에서 보호되도록 제공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보스(18)가 안내 부재(17)와 프레임(16)에 의해 형성된 안내 홈(19)과 결합하도록 삽입된다. 홈(19)의 후방부에, 리세스(19a) 형성되고 보스(18)의 샤프트부(18a)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착되게 하는 리세스(19a) 내로 삽입된다. 이때에, 감광 드럼(7)의 종방향 단부에 장착된 드럼 기어(도시 안됨)는 감광 드럼(7)으로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장치의 주 조립체(14)에 제공된 구동 기어와 결합된다.
<현상 롤러의 접촉 구조>
도1 내지 도6을 참조하여, 현상 롤러(10d)에 현상 바이어스를 인가하기 위한 접촉 구조에 대해 설명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 롤러(제1 원통부)(10d)는 알루미늄, 스테인리스강 등의 비자성 도전성 원통형 부재와, 각 대향 단부에서의 플랜지 부재(제2 원통부)(20a, 20b)를 포함한다. 플랜지 부재는 제1 원통부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갖는다. 우측 플랜지 부재(20a)는 가압 끼워맞춤, 본딩, 크림핑 등에 의해 현상 롤러(10d)의 우측 단부(10dR)에 고정되고, 현상 롤러(10d)의 종방향으로 우측 단부(10dR)로부터 외향으로 돌출된 샤프트부(10al)를 갖는다. 샤프트부(20al)의 외주연은 토너 현상 장치 프레임(12)과 지지체(24a)에 고정된 베어링(21a)에 의해 회전식으로 지지된다. 한편, 알루미늄, 스테인리스강 등과 같은 금속의 플랜지 부재(20b)는 가압 끼워맞춤, 크림핑 또는 다른 기계적 방법에 의해 현상 롤러(10d)의 좌측 단부(10dL)에 고정되고, 현상 롤러(10d)의 종방향으로 좌측 단부(110dL)로부터 외향으로 돌출된 플랜지로서 기능하는 샤프트부(20bl)를 포함한다. 플랜지로서 기능하는 샤프트부(20bl)의 외주연은 토너 현상 장치 프레임(12)과 지지체(24b)에 고정된 베어링(21b)에 의해 회전식으로 지지된다. 롤러 기어(22)가 키, 설정 스크류 등에 의해 샤프트부(20bl)에 고정된다. 이러한 구조로, 현상 롤러(10d)가 소정 회전 속도로 회전되도록 구동력이 감광 드럼(7)의 드럼 기어(도시 안됨)로부터 롤러 기어(22)로 전달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플랜지[샤프트부(20bl)]는 알루미늄, 스테인리스강 등과 같은 금속으로 제조된다. 따라서, 현상 롤러(10d)에 대한 지지 강성이 향상된다. 따라서, 회전의 회전 정확도가 향상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샤프트부(20bl)와 이후에 설명될 제1 도전성 부분은 서로 접촉 해제된다. 이러한 이유로, 현상 바이어스가 샤프트부(20bl)로부터 현상 롤러(10d)로 공급되지 않는다.
다수의 자극을 갖는 자석(10c)이 현상 롤러(10d) 내에 포함된다. 자석(10c)은 좌측 및 우측 단부에서 샤프트부(10cl)를 갖는다. 좌측 및 우측샤프트부(10cl)는 플랜지 부재(20a, 20b)의 중심 구멍(20a2, 20b2)을 관통하고, 토너 현상 장치 프레임(12)에 고정된 지지체(24a, 24b)의 지지 구멍(24al, 24bl) 내로 고정된다.
<제1 도전성 부분(원통형 전극 및 고정 접점)>
도2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전극(28)과 전기 전도성을 갖는 고정 접점(29)이 일단부(자석의 좌측)(10c)에서의 일단부 샤프트로서 샤프트부(좌측 샤프트부)(10c1)에 장착된다. 원통형 전극과 고정 접점(29)은 제1 도전성 부분을 구성한다.
자석(10c)의 좌측 샤프트부(10cl)가 토너 현상 장치 프레임(12)의 종방향[감광 드럼(7)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형 전극(28)이 제공된다. 원통형 전극(28)은 중심에서 현상 롤러(10d)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 형태의 원통형 부분(28e)을 포함하고, 원통형 부분(28e)의 각 좌측 및 우측 단부에서 현상 롤러(10d)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된 형태의 돌출부(28a, 28b)가 원통형 전극에 제공된다. 원통형 부분(28e)에는 현상 롤러(10d)의 축방향으로 형성된 슬릿(28c)이 제공된다. 원통형 부분(28e)의 내경은 자석(10c)의 좌측 샤프트부(10cl)의 외경보다 약간 작다. 따라서, 원통형 부분(28e)이 자석(10c)의 좌측 샤프트부(10cl)와 결합할 때, 원통형 부분(28e)이 슬릿(28c)을 약간 팽창시키기 위해 반경방향으로 팽창되고, 원통형 전극(28)이 좌측 샤프트부(10cl)의 원통형 부분(28e)의 복원력에 의해 좌측 샤프트부(10cl)에 고정된다.
자석(10c)의 좌측 샤프트부(10cl)의 기부 부분에는, 좌측 샤프트부(10cl)의반경방향으로 돌출되고 원주방향으로 이격된 몇몇 위치(이러한 실시예에서는 3개의 위치)의 각 위치에서의 자유 단부를 향해 연장되는 돌기(10c2)가 제공되고, 단부 부분에는 회전 방향(각)으로 자석(10c)의 자극을 위치 설정하기 위한 D-절결부(10c3)가 제공된다. 원통형 전극(28)은 좌측 샤프트부(10cl) 둘레에서 끼워 넣어져서 원통형 부분(28e)의 우측 단부에 제공된 돌기(28e)가 좌측 샤프트부(10cl)의 기부 부분에서의 인접 돌기(10c2)들 사이의 리세스(10c22)와 각각 결합하고, 이에 의해 좌측 샤프트부(10cl)에 대한 원통형 부분(28e)의 회전이 방지된다. 좌측 샤프트부(10cl)에 대한 원통형 전극(28)의 삽통식 이동은 원통형 부분(28e)의 좌측 단부의 단부 표면(28d)이 좌측 샤프트부(10cl)의 D-절결부(10c3)의 바닥면(10c4)에 도달할 때 정지된다. 여기서, 원통형 부분(28e)의 단부 표면(28d)으로부터 돌출된 좌측 단부측 돌기(28b)는 정확한 표면 상에서 좌측 샤프트부(10cl)의 D-절결부(10c3)의 아치형 부분(10c31)에서 좌측 샤프트부(10c1)를 덮도록 된다. 자석(10c)의 좌측 샤프트부(10cl)의 기부 부분에 제공된 돌기(10c2)의 외경(외접원의 직경)은 원통형 전극(28)의 원통형 부분(28e)의 우측 단부측에 제공된 돌기(28a)의 외경(외접원의 직경)보다 크고, 이후에 설명될 고정 접점(29)의 활주 접점(30)의 활주 아암(30c)에 따른 활주 접촉부의 회전 경로보다 작다.
원통형 전극(28)이 이러한 방식으로 자석(10c)의 좌측 샤프트부(10c1)에 고정된 후에, 고정 접점(29)은 기부 부분에 대해 좌측 샤프트부(10c1)의 자유 단부로부터 끼워 넣어진다.
활주 접점(30)을 통해 현상 롤러(10d)로 현상 바이어스 코팅을 공급하기 위해 고정 접점(29)은 도전성이고, 원통형 전극(28)에 전기 접속되며, 따라서 전기 에너지 공급 부재로서 기능한다. 도2 및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접점(29)은 좌측 샤프트부(10c1)가 관통되는 관통 구멍(원형 구멍)(29c)이 제공된 기부로서 작용하는 원형 디스크부(29a)와, 디스크부(29a)로부터 내향으로 연장되고 좌측 샤프트부(10c1)로 끼워 넣어지는 방향에 대해 하류측을 향해 절곡된 접촉부로서 작용하는 양의 갈고리부(29b)를 포함한다. 갈고리부(29b)는 관통 구멍(29c) 주위의 각 3개의 위치에 제공된다. 갈고리부(29b)의 자유 단부의 내접원 직경은 전술한 원통형 전극(28)의 원통형 부분(28e)의 외경보다 작다. 고정 접점(29)이 자유 단부측으로부터 좌측 샤프트부(10c1)에 끼워 넣어질 때(도2), 원통형 전극(28)의 원통형 부분(28e)의 외경과 갈고리부(29b)의 자유 단부에서의 내접원 직경 사이의 차이에 의해 변형된 갈고리부(29b)는 원통형 전극(28)과 고정 접점(29) 사이의 접촉 압력 및 고정력을 생성한다. 따라서, 고정 접점(29)은 갈고리부(29b)에 의해 원통형 전극(28)의 원통형 부분(28e)에 탄성적으로 접촉하여 결합된다. 갈고리부(29b)의 결합에 의해, 좌측 샤프트부(10c1)에 대한 원통형 부분(29a)의 이동은 원주방향으로 제한된다. 고정 접점(29)이 좌측 샤프트부(10c1)의 기부 부분으로 더 이동될 때, 고정 접점(29)은 갈고리부(29b)가 전술한 좌측 샤프트부(10c1)의 기부 부분에 제공된 인접 돌기(10c2)들 사이의 리세스(10c22)에 의해 수용되도록 설정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갈고리부(29b)는 원통형 전극(28)의 우측 단부측에서의 돌기(28a)에 접촉되고, 디스크부(29a)는 좌측 샤프트부(10c1)의 샤프트 기부 부분(10c5)에 밀접하게 접촉된다. 여기서, 자석(10c)의 좌측 샤프트부(10c1)의 기부 부분에서의돌기(10c2)의 외접원의 반경은 고정 접점(29)의 갈고리부(29a)의 절곡된 기부 부분의 내접원의 반경보다 크다. 축방향으로 측정된 돌기(10c2)의 높이는 고정 접점(29)이 원통형 전극(28)과 고정 접점(29) 사이의 접촉부[돌기(28a) 및 갈고리부(29b)]가 돌출되게 하는 샤프트 기부 부분(10c5)에 밀접하게 접촉될 때, 고정 접점(29)의 갈고리부(29)의 자유 단부보다 높다.
<제2 도전성 부분(활주 접점)>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활주 접점(제2 도전성 부분)(30)은 접촉 지지체(31)에 고정되고, 현상 롤러(10d) 내로 삽입된다(도1).
접촉 지지체(31)는 원통형 부분(31a), 플랜지(31b), 플랜지(31b)에 형성된 중심 관통 구멍(31c) 및 플랜지(31b)의 단부 표면(31d)에서의 도웰(31e)을 포함한다. 접촉 지지체(31)는 전기 절연되고 사출 성형 공정에 의해 수지 재료로 제조된다.
활주 접점(30)은 도전성을 갖고, 장치의 주 조립체(14)로부터 현상 롤러(10d)로 현상 바이어스를 공급하기 위한 전기 에너지 공급부으로서 사용된다. 도4, 도18 및 도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활주 접점(30)은 접촉 지지체(31)의 플랜지(31b)에 밀접하게 접촉된 기부로서의 디스크부(30a)와, 디스크부(30a)의 반경방향으로 그리고 현상 롤러(10d) 내로의 삽입 방향에 대한 하류측으로 연장되는 다수(이러한 실시예에서는 2개)의 갈고리부(제1 접촉부)(30b)와, 디스크부(30a)의 표면(30a1)에 직각인 선을 중심으로 나선(도시 안됨)을 따라 연장되고 중심을 통해 연장되는 2개의 활주 아암(제2 접촉부)(30c)을 포함한다. 디스크부(30a) 형태의기부는 관통 구멍(30d)이 접촉 지지체(31)의 관통 구멍(31c)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직경을 갖는 중심에 제공되고, 디스크부(30a)에는 접촉 지지체(31)의 도웰(31e)과 결합 가능한 접촉 지지체(31)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 구멍(30e)이 제공된다. 접촉 지지체(31)와 활주 접점(30)은 이하의 방식으로 서로 일체로 된다. 접촉 지지체(31)의 도웰(31e)은 활주 접점(30)의 장착 구멍(30e)과 결합하고, 도웰(31e)은 활주 접점(30)이 접촉 지지체(31)에 고정되게 하는 열, 초음파 등에 의해 변형된다(도5). 여기에서, 활주 접점(30)의 장착 구멍(30e)과 접촉 지지체(31)의 도웰(31e)은 활주 접점(30)의 중심과 접촉 지지체(31)의 중심이 정확하게 정렬되도록 형성된다.
접촉 지지체(31)와 활주 접점(30)의 조합 구조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 롤러(10d) 내로 삽입된다. 특히, 현상 롤러(10d)의 좌측 단부에서의 구동 측면 플랜지 부재(20b)를 갖는 조합 구조가 개방된 우측 단부측(10dR)으로부터 현상 롤러(10d) 내로 삽입되고, 접촉 지지체(31)측은 선행 단부에 있다. 이후에, 조합 구조는 선행측에서의 접촉 지지체(31)측과 단부(10dR)측으로부터 현상 롤러(10d) 내로 삽입되고, 접촉 지지체(31)의 원통형 부분(31a)은 플랜지 부재(20b) 내의 샤프트부(20b1)와 동축 방향으로 형성된 구멍부(20b2)와 결합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활주 접점(30)은 현상 롤러(10d)와 동축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현상 롤러(10d) 내로 접촉된 부품의 삽입은 플랜지 부재(20b)의 내부 구멍부(20b2) 전에 내부 단부 표면(20b3)에 맞닿는 접촉 지지체(31)의 플랜지(31b)에 의해 정지된다. 현상 롤러(10d) 내로 삽입된 활주 접점(30)은 갈고리부(30b)의 변형에 의해 제공된접촉 압력으로 현상 롤러(10d)의 내벽 표면(내면)(10d1)에 접촉된다. 여기에서, 갈고리부(30b)는 디스크부(30a)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고, 현상 롤러(10d) 내로의 삽입 방향에 대해 상류측으로 절곡되고, 삽입 동안에 용이하게 구부러짐과 동시에 힘이 빼는 방향으로 인가될 때 갈고리부의 단부는 내벽 표면(10d1)으로 물린다. 따라서, 갈고리부(30b)는 현상 롤러(10d)에 대한 활주 접점(30)용 보유 부재로서 작용한다.
<자석과 현상 롤러의 연결>
전술한 바와 같이, 현상 롤러(10d)는 내부에 활주 접점(30)을 포함하고 활주 접점(30)과 전기적으로 도전되는 단일 부품이다. 자석(10c)은 좌측 샤프트부(10c1)에서의 원통형 전극(28)과, 좌측 샤프트부(10c1)에서 샤프트 기부 부분(10c5)에 고정된 고정 접점(29)을 포함하는 단일 부품이다. 2개의 단일 부품은 이하의 방식으로 서로 연결된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석(10c)은 선행측에 원통형 전극(28)을 갖는 좌측 샤프트부(10c1)로 개방된 우측 단부(10dR)측에서의 현상 롤러(10d) 내로 삽입된다. 이후에, 활주 접점(30)의 활주 아암(30c)은 고정 접점(29)의 디스크부(29a)의 디스크면(29a1)에 접촉된다(도3). 자석(10c)의 추가 삽입으로, 활주 접점(30)의 활주 아암(30c)은 반력을 제공하도록 탄성 변형되지만, 자석(10c)의 돌기(10c2)의 단부 표면(10c21)(도3)은 자석(10c)의 추가 삽입 가능성을 나타내기 위해 디스크부(30a)의 표면(30a1)(도5)과 접촉된다. 플랜지 부재(20a)는 도1에 도시된 것과 같은 현상 롤러 유닛(DU)을 제조하는 가압 끼워맞춤, 크림핑, 가열 크림프 등에 의해 개방된 현상 롤러(10d)의 우측 단부(10dR)에 장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현상 롤러 유닛(DU)에서, 플랜지 부재(20a, 20b)는 토너 현상 장치 프레임(12)과 지지체(24a, 24b)에 의해 지지된 베어링(21a, 21b)에 의해 회전식으로 지지되고, 지지체(24a, 24b)의 지지 구멍(24a1, 24b1)과의 자석(10c)의 대향 단부에서의 샤프트부(10c1)의 결합에 의해 고정된다. 여기에서, 플랜지 부재(20b)의 샤프트부(20b1)는 자석(10c)의 좌측 샤프트부(10c1)에 장착된 원통형 전극(28)의 좌측 돌기(28b)를 잔류시키는 원통형 부분(28e)을 덮는다. 지지 구멍(24b1)은 자석(10c)의 각 측정을 위한 형상의 D-절결부이다.
<제3 도전성 부분(고정 전극 부재)>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도전성 부분으로서의 고정 전극 부재(25)가 토너 현상 장치 프레임(12)의 지지체(24b)에 고정된다. 지지체(24b)는 현상 롤러 유닛(DU)의 원통형 전극(28)이 전술한 D-절결부로부터 지지 구멍(24b1)에 의해 결합되는 자석(10c)의 좌측 샤프트부(10c1)의 자유 단부에서 D-절결부(10c3)를 지지한다. 현상 롤러(10d)의 종방향 일단부에 인접한 위치에서 전술한 지지체(24b) 내의 지지 구멍(24b1)으로 연속되고 원통형 전극(28)의 좌측 단부측에서의 돌기(28b)에 접촉되는 절결부(24b2)로 진입하는 접촉부(제1 전기 접촉부)(25b)가 고정 전극 부재(25)에 제공된다. 고정 전극 부재는 장치의 주 조립체(14)의 전원과 전기 접속된 장치측 접점(26)과의 전기 접속을 위해 외향으로 노출된 노출부(제2 전기 접촉부)(25a)를 더 포함한다.
접촉부(25b)와 노출부(25a)는 일체식으로 형성된다.
제1 전기 접촉부로써 기능을 하는 접촉부(25b)는 탄성적으로 변형되도록 원통형 전극(28)의 좌측 단부측 돌출부(28b)에 접촉되고 탄성 변형에 의해 제공된 힘(탄성력)으로 돌출부(28b)에 접촉된다. 원통형 전극(28)의 좌측 단부에서 돌출부(28b)는 상기 설명한 것처럼 자석(10c)의 각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해 좌측 샤프트부(10c1)의 자유단에서 구비된 D-절결부(10c3)의 아치형 부분의 아치형 표면 상에 배치되도록 설계된다.
특히, 좌측 단부측에서 원통형 전극(28)의 돌출부(28b)는 접촉부(25c)로부터 좌측 샤프트부(10c)의 반경 방향으로의 반력을 수납하여 이 반력에 의해 D-절결부(10c3)의 아치형 부분(10c31)의 아치형 표면 상에 가압된다. 이로써, 좌측 샤프트부(10c1)의 D-절결부(10c3)는 고정 전극 부재(25)의 접촉부(25b)를 통해 원통형 전극(28)의 돌출부(28b)에 의해 아치형 부분(10c31)으로부터 이격되어 평평부(평평면부) 방향으로 가압된다. 이로써, 홀더(24b)의 지지 구멍(24b1)과 자석(10c)의 좌측 샤프트부(10c1)의 D-절결부(10c3) 사이에서의 상기 작동에 의한 자석(10c)의 각도 편차는 지지 정확도가 자석(10c)의 반경 방향으로 개선될 수 있도록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것처럼, 활주 접점(30)의 활주 아암(30c)은 전술한 이의 중심부를 통해 디스크부(30a)에 직각인 직선 축을 갖는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디스크부(29a)에 고정된 접촉부(29)의 접촉에 의해 제공된 접촉 압력은 현상 롤러(10d) 및 자석(10c)의 축방향을 취한다. 이로써, 현상 롤러(10d) 및 자석(10c)은 서로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따라서, 현상롤러(10d) 및 자석(10c)은 축단부가 베어링(21a, 21b) 및/또는 홀더(24a, 24b)에 접촉될 때까지 축 방향으로의 작동에 반응된 만큼 이동한다. 특히, 축을 따라 대향 방향으로 현상 롤러(10d) 및 자석(10c)을 가압하기 위한 가압 수단으로써의 기능을 하는 활주 접점(30)의 활주 아암(30c)에 의해 축방향으로의 자석(10c)의 위치 설정의 정확도는 개선된다. 따라서, 자석(10c)의 위치 설정의 정확도는 활주 접점(30)의 활주 아암(30c)에 의해 축방향으로 개선됨과 동시에 자석(10c)의 반경 방향으로의 지지 정확도는 상기 설명한 고정된 전극 부재(25)의 접촉부(25b)에 의해 개선된다. 결국, 전자사진 화상 형성 공정의 현상 공정에서, 정전 잠상의 현상 특성은 토너 화상이 내부에 형성된 정전 잠상에 따라 현상 롤러(10d)의 표면으로부터 감광 드럼(7)까지 전사되도록 현상 바이어스를 현상 롤러(10d)에 인가함으로써 형성될 때 개선된다.
상기 장치 측부 접촉부(26)에 접촉하기 위한 위치에 배치된 제2 전기 접촉부로써의 노출부(25a)는 현상 롤러 유닛(DU)을 포함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14)에 장착될 때 주 조립체(14)의 전원(27)과 접속된 주 조립체 측부 전기 접점인 상기 장치측 접점(26)에 접촉하기 위한 위치에 배치된다. 이로써,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의 주 조립체(14) 안으로 설치될 때 토너 현상 장치 프레임(12)의 홀더(24b)의 외측부에 노출된 고정 전극 부재(25)는 장치의 주 조립체(14)의 전원(27)에 접속된 접점(26)에 접촉된다.
이로 인해,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14)의 현상 롤러(10d) 및 전원(27)은 (1) 장치 측부 접점(26)과 고정 전극 부재(25)의 노출부(25a) 사이의 접촉과, (2) 고정전극 부재(25)의 접촉부(25b)와 원통형 전극(28)의 좌측 단부측 돌출부(28b) 사이의 접촉과, (3) 원통형 전극(28)의 우측 단부측에서의 돌출부(28a)와 고정 접점(29)의 갈고리부와의 접촉과, (4) 고정 접점(29)의 디스크부(29a)와 활주 접점(30)의 활주 아암(30c) 사이의 접촉과, (5) 활주 접점(30)의 갈고리부로부터 현상 롤러(10d)의 내부 벽면(10d1)까지의 전기 통로에 의해 서로 전기 접속된다. 따라서, 현상 롤러에 대한 현상 바이어스의 인가는 가능하다.
고정 접점(29)의 디스크부(29a)와 활주 접점(30)의 활주 아암(30c) 사이의 전기 접속은 활주 접점에 의해 제공되어, 현상 바이어스의 적용은 활주 접점[디스크부(29a)와 활주 아암(30c) 사이의 활주부]의 마모와 활주 접촉부 등의 손상으로 인해 현상 바이어스를 적용함에 있어서 신뢰성에 영향을 받으므로 도전성 그리스를 인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토너 현상 장치 프레임(12)에 현상 롤러 유닛(DU)을 장착시키기 위한 작동을 간섭하지 않도록 활주 접촉부가 현상 롤러(10d) 내에 배치된 상태가 바람직하다. 또한, 현상 롤러 유닛(DU)의 외부에서 도전성 그리스의 결핍은 적절하지 않고 분산된 토너 또는 먼지의 진입을 방지하여 도전성 그리스의 특성은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 접점(29)의 디스크부(29a)와 활주 접촉부(20)의 활주 아암(20c) 사이의 전기적 보장(conviction)의 확립의 신뢰성은 개선된다.
자석(10c)의 좌측 샤프트부(10c1)의 기부에 구비된 다수의 돌출부(10c2)는 현상 롤러 유닛(DU)이 조립될 때 상기 설명한 것처럼, 현상 롤러(10d) 안으로의 자석(10c)의 삽입의 완료를 나타내는 효과적이며 다음의 기능을 제공한다.
충격이 실시예의 전사 롤러 유닛(DU)을 포함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수송 중에 축방향[현상 롤러(10d)의 축방향]으로 현상 롤러 유닛(DU)에 가해질 때 돌출부(10c3)의 자유 단면(10c21)은 플랜지 부재(20b) 내의 접촉 지지체(31)에 고정된 활주 접점(30)의 디스크부(30a)에 인접된다. 따라서, 초과된 힘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활주 접점(30)의 활주 아암(30c)의 소성 변형은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활주 접점(30)의 활주 아암(30c)을 사용하여 디스크부(29a)에 고정된 접촉부(29)의 전기 접촉 장치는 신뢰성이 개선된다.
자석(10c)의 얇은 좌측 샤프트부(10c)의 기부 주위에 다수의 돌출부(10c2)를 설치함으로써 샤프트 기부의 직경은 샤프트 기부의 기계적 강도를 개선시키기 위해 확장될 수 있다. 따라서, 카트리지 등의 드롭아웃(dropout) 등에 의해 손상되지 않더라도 좌측 샤프트부(10c)의 기부는 파손으로부터 보호된다. 또한, 금속의 원통형 전극(28)은 좌측 샤프트부(10c1) 내에 결합되어 샤프트 기부의 강도는 보다 개선된다.
좌측 샤프트부(10c1)에 원통형 전극(28)의 자석(10c)을 장착시키는 것은 원통형 전극(28)의 좌측 단부측 돌출부(28b)와 홀더(24b)에 의해 제공된 고정 전극 부재(25)의 접촉부(25b) 사이의 전기 접속을 보장하기 위해 좌측 샤프트부(10c1)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 오조립 방지 구조물은 소정의 각도로부터 상이한 각도에서 좌측 샤프트부(10c1)에 원통형 전극(28)을 장착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공된다.
도2, 도3, 도14 및 도16에서는 상기 구조물(원통형 전극을 좌측 샤프트부에장착하기 위한 오조립 방지 구조물)에 대해 설명한다.
도2에 도시된 것처럼, 원통형 전극(28)의 원통형부[(28e); 결합부]의 좌측부에서 후단 에지에는 세 위치 각각에서 돌출부(28a)가 제공되고, 또한 자석(10c)의 좌측 샤프트부(10c1)의 기부에서 인접 돌출부(10c2)들 사이에서 각각의 세 위치에서 리세스[(10c22); 결합부]가 제공되고, (도3에서) 상기 돌출부(28a) 및 리세스(10c22)들은 서로 결합된다.
도14는 돌출부(28a)와 리세스(10c22) 사이에 결합 관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좌측에는 원통형 전극(28)이 확장되어 도시되고, 이와 유사하게 도면의 우측에는 가정적으로 연장된 자석(10c)의 돌출부(10c2) 및 리세스(10c22)를 도시한다. 도14에서, 원통형 전극(28)이 결합부에 대한 돌출부는 세 개의 돌출부 즉, 제1 돌출부(28aa), 제2 돌출부(28ab) 및 제3 돌출부(28ac)를 포함하고, 상기 우측 제2 돌출부(28ab)는 원통형 전극(28)의 좌측 돌출부(28b)와 동축으로 배치된다. 돌출부(28aa, 28ab, 28ac)들 가운데의 갭은 원통형 전극(28)이 자석(10c)의 좌측 샤프트부(10c1)에 결합될 때 제1 돌출부(28aa)와 제2 돌출부(28ab) 사이와, 제2 돌출부(28ab)와 제3 돌출부(28ac) 사이에서 좌측 샤프트부(10c1)의 축으로부터 볼 수 있는 각이 130도가 되도록 결정된다. 따라서, 제3 돌출부(28ac)와 제1 돌출부(28aa) 사이의 각은 100도이다.
자석(10c)의 결합부에 대한 리세스(10c22)는 세 개의 리세스 즉, 제1 리세스(10c22a), 제2 리세스(10c22b) 및 제3 리세스(10c22c)를 포함하고, 이 리세스(10c22a, 10c22b, 10c22c)들 가운데의 갭은 원통형 전극(20)과 유사하게 제1 리세스(10c22a)와 제2 리세스(10c22b) 사이와 제2 리세스(10c22b)와 제3 리세스(10c22c) 사이의 좌측 샤프트부(10c1)의 축으로부터 볼 수 있는 각은 130도이다. 마찬가지로, 제3 리세스(10c22c)와 제1 리세스(10c22a) 사이의 각은 100도이다.
따라서, 원통형 전극(28)의 돌출부(28a)의 위치와 자석(10c)의 좌측 샤프트부(10c1)의 리세스(10c22)의 위치는 좌측 샤프트부(10c1)의 외부면에 정렬되어 원통형 전극(28)은 좌측 샤프트부(10c1)에 적절하게 장착될 수 있다.
도15에서는 원통형 전극(28)의 각이 좌측 샤프트부(10c1)에 오장착되는 경우에 대해서 도시한다.
원통형 전극(28)은 이의 제2 돌출부(28ab)가 좌측 샤프트부(10c1)의 제3 리세스(10c22c)에 결합되도록 좌측 돌출부(28b)로부터 도시된 것처럼 130도 회전된다.
이러한 경우에서, 제1 돌출부(28aa)와 제2 돌출부(10c22b)는 이들 사이에 위치적 관계가 연결된 한 결합 가능 하지만 제1 돌출부(28aa)와 제2 돌출부(28ab) 사이의 각과 제2 리세스(10c22b)와 제3 리세스(10c22c) 사이의 각이 130도가 되도록 설계되기 때문에, 제3 돌출부(28ac)와 제1 리세스(10c22a) 사이에는 30도의 편차가 있다. 그래서, 만일 원통형 전극(28)을 좌측 샤프트부(10c1)에 삽통시키려 한다면, 제3 돌출부(28ac)는 제1 리세스(10c22a)와 제2 리세스(10c22b) 사이의 돌출부(10c2)에 인접하여 원통형 전극(28)은 좌측 샤프트부(10c1)의 각 위치에 이동될 수 없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원통형 전극(28)은 이의 제3 돌출부(28ac)를 좌측 샤프트부(10c1)의 제1 리세스(10c22a)에 결합시키려고 할 때 좌측 돌출부(28b) 측부로부터 볼 수 있는 것처럼 -130도 회전되어 제1 돌출부(28aa)와 제2 리세스(10c22b) 사이에는 30도의 편차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원통형 전극(28)이 좌측 샤프트부(10c1)에 삽통되던 되지 않던 간에 제1 돌출부(22aa)는 제1 리세스(10c22a)와 제2 리세스(10c22b) 사이에서 돌출부(10c2)에 인접하여 원통형 전극(29\8)은 좌측 샤프트부(10c1)의 규정 위치로 이동될 수 없다.
그러나, 원통형 전극(28)은 제1 돌출부(28aa)가 제1 리세스(10c22a)에 대향이고 제2 돌출부(28ab)가 제2 리세스(10c22b)에 대향이고, 제3 돌출부(28ac)가 제3 리세스(10a22c)에 대향일 때 좌측 샤프트부(10c1)의 규정 위치에 삽입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원통형 전극(28)은 자석(10c)의 좌측 샤프트부(10c1)의 돌출부(28aa, 28ab, 28ac)들과 리세스(10c22a, 10c22b, 10c22c)들이 외부면 상에서 서로 정렬될 때만 좌측 샤프트부(10c1)에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원통형 전극(28)을 좌측 샤프트부(10c1)에 정확하게 장착시키는 것은 보장된다.
도16에서는 보다 변형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16에서, 돌출부(28ad, 28ae, 28af)들 중 인접한 것들 사이의 각도와 리세스(10c22d, 10c22e, 10c22f)들 중 인접한 것들 사이의 각도는 (120도로) 균등하다. 세 개의 돌출부(28ad, 28ae, 28af)의 제2 돌출부(28ae)의 폭(28aeW)은 제1 돌출부 및 제3 돌출부(28ad, 28af)의 폭(28adW, 28afW)보다 크다. 이에 대응하여, 세 개의 리세스(10c22d, 10c22e, 10c22f) 중 제2 리세스(10c22e)의 폭(10c22fW)은 제1 및 제3 리세스(10c22d,10c22f)의 폭(10c22dW, 10c22fW)보다 크다. 돌출부(28ad, 28ae, 28af)와 리세스(10c22d, 10c22e, 10c22f)들 사이의 위치적 관계에 따라 세 개의 돌출부 및 세 개의 리세스가 상기 위치들이 좌측 샤프트부(10c1)의 외부면 상에 정렬될 때 모두 결합되어 원통형 전극(28)은 좌측 샤프트부(10c1)에 정확하게 장착될 수 있다.
그러나, 변형예에서, 제2 돌출부(28ae)의 폭(28aeW)은 제3 리세스(10c22f) 및 제1 리세스(10c22d)의 폭(10c22fW, 10c22dW)보다 크다.
28ae> >10c22dW, 28aeW>10c22dW
따라서, 제2 돌출부(28ae)는 제2 리세스(10c22e)보다 다른 리세스(10c22d, 10c22f) 중 어느 하나에도 결합될 수 없다. 따라서, 원통형 전극(28)은 도16에 도시된 것보다 다른 소정의 각으로 좌측 샤프트부(10c1)의 규정 위치에 삽통시킬 수 없다.
따라서, 변형예에서, 원통형 전극(28)은 돌출부(28ad, 28ae, 28af)가 좌측 샤프트부(10c1)의 외부면 상에서 자석(10c)의 좌측 샤프트부(10c1)의 리세스(10c22d, 10c22e, 10a22f)에 정렬될 때만 좌측 샤프트부(10c1)에 정확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로써, 원통형 전극(28)은 정확한 장착 각도로 원통형 전극(28)의 좌측 샤프트부(10c1)에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원통형 전극(28) 캠패인은 원통형 전극(28)의 돌출부는 좌측 샤프트부(10c1)의 외부면 상에서 자석(10c)의 좌측 샤프트부(10c1)의 리세스에 정렬될 때만 모두 좌측 샤프트(10c1)에 장착되어 현상 롤러에 현상 바이어스를 적용시키기 위해 접촉부의 부분을 구성하는 원통형 전극(28)의 용이한 조립 특성이개선된다.
이 실시예에서, 원통형 전극(28)의 좌측 샤프트부의 장착 각도는 세 개의 돌출부 및 세 개의 리세스를 사용하여 결정되지만, 돌출부의 개수 및 리세스의 개수는 이 실시예의 개수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설명한 현상 장치는 다음의 설명처럼 요약할 수 있다. 전자사진 감광 부재(7)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형성하기 위한 저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A)에 사용 가능한 현상 장치는
(a) 프레임[토너 현상 장치 프레임(12)]과,
(b) 현상제(토너)를 갖춘 전자사진 감광 부재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롤러(10d)와,
(c) 각각의 단부에서 샤프트를 갖는 현상 롤러 내에 배치된 자석(10c)과,
(d) 일단부에서의 샤프트[좌측 샤프트부(10c1)] 중 하나의 종방향으로 연장되고, 현상 롤러의 내부로부터 외부까지 연장되는 제1 도전성 부분과,
(e) 내부면[내부 벽면(10d1)]을 갖춘 제1 도전성 부분에 전기 접속되고, 현상 롤러 내에 구비된 제2 도전성 부분과,
(f) 프레임에 구비되고, 현상 장치가 전기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14)에 부착될 때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14)에 구비된 주 조립체 측부 전기 접점[장치의 측부 접촉부(26)]에 전기 접속하기 위해 현상 롤러의 하나의 종단부에서 제1 전기 접촉부[(접촉부(25b)]와 이 위치로부터 상이한 위치에 제공된 제2 전기 접촉부[노출부(25a)]를 갖는 제3 도전성 부분[고정 전극부재(25)]를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는 현상 롤러의 내부로부터 외부까지 연장되고, 상기 제1 전기 접촉부는 제1 도전성 부분에 전기 접속되고, 상기 제1 도전성 부분은 현상 롤러 내의 제2 도전성 부분에 전기 접속되고 현상 롤러의 외부면 내의 제1 전기 접촉부에 전기 접속된다.
현상 롤러는 종방향으로 이의 외향 돌출된 플랜지[샤프트부(20b1)]를 갖춘 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플랜지는 제1 도전성 부분[좌측 단부측 돌출부(28b)]의 자유단부를 떠나는 현상 롤러(10d)의 외부[원통형부(28e)]를 덮는다.
상기 플랜지는 프레임 상에서 회전식으로 지지된다.
제1 도전성 부분[좌측 단부측에서의 돌출부(28b)]의 자유 단부는 제1 전기 접촉부에 접촉된다.
제1 도전성 부분은 원통형부[원통형부(28e)]를 갖는다. 상기 원통형부는 샤프트에 결합된다.
원통형부의 후방단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우측 단부측에서의 돌출부(28a)]는 샤프트의 리세스(10c22)에 의해 결합된다. 이로써, 원통부의 회전은 샤프트에 대해 제한된다.
제1 도전성 부분은 원통형부에 전기 접속된 원판[디스크부(29a)]를 갖는다. 상기 원판은 구멍(29c)에 구비된다. 샤프트는 구멍에 끼워진다.
제2 도전성 부분은 현상 롤러 내에 고정된다. 제2 도전성 부분은 현상 롤러(10d)의 내부면에 접촉된 제1 접촉부[갈고리부(30b)]를 포함하고, 제2 접촉부[활주 아암(30c)]는 제1 도전성 부분에 전기 접속된다.
제2 접촉부는 제1 도전성 부분의 원통형에 전기 접속된 원판의 표면[디스크부 표면(29a1)]에 탄성적으로 활주 접촉된다. 원판은 구멍을 갖는다. 샤프트는 구멍을 뚫는다.
제2 접촉부는 제1 도전성 부분의 원통형부의 외주면[디스크부 표면(29a1)]에 활주식으로 접촉된다.
제1 도전성 부분은 제1 전기 접촉부에 의해 샤프트의 반경 방향으로 탄성력을 수납한다.
종래의 자유단부는 D-절결형이다. D-절결형 부분은 프레임의 구멍[지지 구멍(24b1)]에 결합된다. 제1 도전성 부분[좌측 단부에서의 돌출부(28b)]의 프레임 단부는 D-절결형 부분의 아치형 부분(10c31)에 놓인다. 제1 도전성 부분(28)의 제3 단부는 D-절결형 부분의 아치형 부분으로부터 D-절결형 부분의 평평부(10c32) 방향으로 제1 전기 접촉부에 의해 탄성력을 수납한다.
제1 도전성 부분은 제2 도전성 부분에 의해 축방향으로 탄성력을 수납한다.
이러한 실시예의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a) 전자사진 감광 부재(7)와,
(b) 프레임[토너 현상 장치 프레임(12)]과,
(c) 현상제(토너)를 갖춘 전자사진 감광 부재에 형상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롤러(10d)와,
각각의 샤프트를 갖는 현상 롤러에 배치된 자석[자석(10c)]과,
단부[좌측 샤프트부(10c1)] 중 하나의 샤프트의 종방향으로 연장되고, 현상 롤러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연장된 제1 도전성 부분과,
내부면[내부 벽면(10d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현상 롤러 내에 구비된 제2 도전성 부분과,
프레임에 구비되고, 현상 장치가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14)에 장착될 때,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에 구비된 주 조립체측 전기 접촉부[장치측 접점(26)]에 접촉하기 위해 현상 롤러의 종단부에서의 제1 전기 접촉부[접촉부(25b)]와 이의 위치에 상이한 위치에 제공된 제2 전기 접촉부[노출부(25a)]를 갖는 제2 도전성 부분[고정 전극 부재(25)]를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는 현상 롤러의 내부로부터 외부까지 연장되고, 상기 제1 전기 접촉부는 제1 도전성 부분에 전기 접속되고, 현상 롤러 내의 제2 도전성 부분에 전기 접속되고, 현상 롤러의 외부 내의 제1 전기 접촉부에 전기 접촉된다.
이러한 실시예의 전기 에너지 공급부[활주 접점(30)]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전기 에너지 공급부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14)로부터 현상 롤러(10d)에 현상 바이어스 전압을 제공하고, 상기 현상 롤러는 전자사진 감광 부재의 폭(7)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고, 상기 현상 롤러는 내부에 자석[자석(10c)]을 갖고,
(a) 기부[디스크부(30a)]는 중심부에서 구멍(30d)을 갖고, 상기 전기 에너지 공급부가 현상 롤러 안으로 장착될 때 자석의 샤프트[좌측 샤프트부(10c1)]는 구멍을 관통하고,
(b) 제1 접촉부[갈고리부(30b)]는 현상 롤러의 내부면에 접촉하기 위한 것이고,
(c) 제1 도전성 부분[원통형 전극(28)]은 샤프트를 따라 연장되고, 제2 접촉부[활주 아암(30c)]는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접촉하기 위한 것이다.
제1 도전성 부분은 현상 롤러 내의 제2 도전성 부분에 전기 접속되고 현상 롤러의 외부에 제1 전기 접촉부에 전기 접속된다. 제1 전기 접촉부는 현상 롤러의 하나의 종단부측에 배치된다. 전기 접촉부는 현상 장치가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에 구비된 주 조립체 측부 전기 접점[장치 측부 접촉부(26)]에 접촉하기 위해 제2 전기 접촉부[노출부(25a)]에 전기 접속된다.
전기 에너지 공급부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14)로부터 현상 장치의 현상 롤러(10d)에 현상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현상 장치는 전자사진 감광 부재(7)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으로 착탈식으로 현상하고, 상기 에너지 공급부는
(a) 프레임[토너 현상 장치 프레임(12)]과,
(b) 각각의 단부에서 샤프트를 갖는 현상 롤러에 배치된 자석[자석(10c)]과,
(c) 하나의 단부[좌측 샤프트부(10c1)]에서 하나의 샤프트의 종방향으로 연장되고, 현상 롤러의 내부로부터 외부까지 연장된 제1 도전성 부분[원통형 전극(28)]과,
(d) 프레임에 제공되고, 현상 롤러의 종단부에서 제1 전기 접촉부[접촉부(25b)]와 현상 장치가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14)에 부착될 때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에 구비된 주 조립체 측부 전기 접점[장치 측부 접촉부(26)]에 전기 접속을 위해 제1 전기 접촉부의 위치로부터 상이한 위치에 구비된 제2 전기 접촉부[노출부(25a)]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 에너지 공급부는,
(A) 중심 구멍(30d)을 갖는 기부[디스크부(30a)]와,
(B) 현상 롤러의 내부면에 접촉하기 위한 제1 접촉부[갈고리부(30b)]와,
(C)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샤프트를 따라 연장된 제1 도전성 부분[고정 접점(29)]에 탄성 접촉하기 위한 제2 접촉부[활주 아암(30c)]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 에너지 공급부가 현상 롤러 안으로 장착될 때, 한 단부에 구비된 샤프트는 구멍 안으로 관통된다.
상기 기부는 원형이고, 제1 접촉부는 탄성이다. 기부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 외향으로 탐지된다.
제2 접촉부는 탄성이다. 기부의 외부면으로부터 반경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탐지된다.
전기 에너지 공급부의 재료는 구리 합금, 스테인레스 강 합금 또는 스프링 강이다.
이러한 실시예의 전기 에너지 공급부[고정 접점(29)]는 다음으로 요약될 수 있다.
전기 에너지 공급부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14)로부터 현상 롤러(10d)에 현상 바이어스 전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고, 현상 롤러는 전자사진 감광 부재(7)의 폭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고, 자석[자석(10c)]을 갖고
(a) 중심부에서 구멍(30d)을 갖는 기부[디스크부(30a)]와,
(b) 전기 접속된 기부 내에 구비된 샤프트의 종방향으로 연장된 제1 도전성 부분[원통형 전극(28)]에 탄성 접촉하기 위한 접촉부[(갈고리부(29b)]를 갖는다.
접촉부는 구멍 주위에 연장되고, 기부의 일부를 절곡시킴으로써 구비된다.
접촉부는 구멍 주위에 세 개의 위치 각각에 구비된다.
전기 에너지 공급부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14)로부터 전기 에너지 공급부의 현상 롤러(10d)에 현상 바이어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현상 장치는 전자사진 감광 부재(7)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고,
(a) 프레임[토너 현상 장치 프레임(12)]과,
(b) 각각의 단부에서 샤프트를 갖는 현상 롤러 내에 배치된 자석[(자석(10c)]과,
(c) 단부 중 한 단부에서 샤프트[좌측 샤프트부(10c1)] 중 하나의 종방향으로 연장되고, 현상 롤러 내부로부터 외부까지 연장된 제1 도전성 부분과,
(d) 프레임에 구비되고, 현상 롤러 중 한 종단부에서 제1 전기 접촉부[접촉부(25b)]와, 현상 장치가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14)에 장착될 때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14) 내에 구비된 주 조립체 측부 전기 접점[장치 측부 접촉(26)]에 전기 접속하기 위해 제1 전기 접촉부의 위치로부터 상이한위치에 구비된 제2 전기 접촉부[노출부(25a)]를 갖는 제3 도전성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는 현상 롤러의 내부로부터 외부까지 연장된다.
상기 전기 에너지 공급부는
(A) 중심 구멍(30d)을 갖는 기부[디스크부(30a)]와,
(B) 상기 기부 내에 구비된 샤프트의 종방향으로 연장된 제1 도전성 부분[원통형 전극(28)]과 탄성 및 전기 접촉하기 위한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 에너지 공급부가 현상 롤러 내에 장착될 때 샤프트는 한 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구멍을 관통하고,
상기 접촉부는 구멍 주위에 연장되고 기부의 일부를 절곡시킴으로써 구비된다.
접촉부는 구멍 주위의 세 위치의 각각에 구비된다.
현상 롤러 및 전자사진 감광 부재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착탈식으로 장착 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장착된 카트리지 안으로 단일화된다.
상기 기부는 원형이다. 상기 구멍도 원형이다. 기부의 주연 방향으로의 이동은 접촉부가 샤프트에 결합됨으로써 제한된다. 전기 에너지 공급부의 재료는 구리 합금, 스테인레스강 합급 또는 스프링 강이다.
상기 설명한 것처럼, 현상 장치와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함께 활주 접촉부는 고정 접점(29)과 활주 접점(30)에 의해 현상 롤러(10s) 내에 구비되어, 활주 접촉부는 먼지 또는 다른 외부 물질로부터 보호한다. 또한, 도전성 그리스가 활주 접촉부 내의 신뢰성의 개선을 위해 활주 접촉부에 인가될 때 도전성 그리스는 먼지또는 외부 물질로부터 보호하여 도전성 그리스의 수행의 열화 가능성이 방지되기 때문에 활주 접촉부의 신뢰성이 개선되다.
또한, 활주 접촉부를 구성하는 활주 접점(30)의 활주 아암(30c)은 현상 롤러(10d)의 축방향으로의 고정 접점(29)의 디스크부(29a)에 접촉되어 현상 롤러(10d)의 축방향으로의 작동과 함께 토너 현상 장치 프레임(12)의 지지된 자석(10c)은 지지된 토너 현상 장치 프레임(12) 내의 축방향으로 간접적으로 가압되어 토너 현상 장치 프레임(12)에 대한 자석(10c)의 위치 설정의 정확도는 개선된다.
그러나, 자석(10c)의 좌측 샤프트부(10c1)의 D-절결부(10c3)는 고정 전극 부재925)의 접촉부(25b)를 통해 원통형 전극(28)의 돌출부(28b)에 의해 아치형 부분(10c31)으로부터 평평부(10c32) 방향으로 가압되어 홀더(24b)의지지 구멍(24b1)과 자석(10c)의 좌측 샤프트부(10c1)의 D-절결부(10c3) 사이에서 자석(10c)의 반경 방향으로 결합한 상태로 작동한다. 따라서, 홀더(24b)에 대한 자석(10c)의 위치 설정의 정확도는 개선된다.
활주 접점(30)이 플랜지 부재(20b)의 구멍(20b1)과 자석(10c)의 좌측 샤프트부(10c1)가 관통하는 관통 구멍(31c)에 결합된 원통형부(31a)를 갖는 절연 접촉 지지체(31)를 통해 플랜지 부재(20b)에 고정되기 때문에, 활주 접점(30)은 현상 롤러(10d)의 회전축과 동축으로 배치될 수 있고 고정 접촉부에 대한 활주 접점(30)의 활주 트랙은 현상 롤러의 회전축과 원형 동축이다. 따라서, 고정 접점(29)에 대한 활주 접점(30)의 활주 이동은 안정화되어 활주 접촉부의 신뢰성은 개선된다.
원통형 전극(28)은 좌측 돌출부(28a)가 자석(10c)의 좌측 샤프트부(10c1)의 기부에서 구비된 인접 돌출부(10c2)들 사이에 리세스(10c22)에 결합되도록 좌측 샤프트부(10c1)에 삽통되어 자석(10c)의 좌측 샤프트부(10c1)에 대한 원통형 전극(28)의 회전 방향의 표시[현상 롤러(10d)의 회전각으로의 원통형 전극(28)의 정확한 위치 설정]는 가능하다. 따라서, 원통형 전극(28)의 돌출부(28a)와 고정 접점(29)의 갈고리부(29b) 사이의 접촉은 보장되다.
또한, 돌출부(28a)는 자석(10c)의 좌측 샤프트부(10c1)의 기부에 구비된 리세스(10c22)에 결합된 원통형 전극(28)의 후단에지로부터 돌출되고, 돌출부(28a)와 리세스(10c22)는 좌측 샤프트부(10c1)에 대해 원통형 전극(28)을 소정의 각도로 장착 (원주 방향으로 위치설정) 시키도록 구성되어 원통형 전극(28)은 정확한 장착 각도에서 좌측 샤프트부(10c1)에 장착될 수 있다. 자석(10c)의 좌측 샤프트부(10c1)의 기부에 구비된 돌출부(10c2)의 외경은 원통형 전극(28)의 원통형부(28e)의 좌측 단부 측에 구비된 돌출부(28a)의 외경보다 크고 활주 접점(30)의 활주 아암(30c)과 고정 접점(29)의 디스크부(29a) 사이의 활주 접촉부의 회전 트랙보다 작아서, 활주 접점(30)의 활주 아암(30c)과 고정 접점(29)의 디스크부(29a) 사이의 활주 접촉부는 자석(10c)의 돌출부(10c2)에 의해 보호될 수 있고, 또한 그 뒤에 활주 접점(30)의 활주 아암(30c)과 고정 접점(29)의 디스크부(29a) 사이의 활주 기능은 열화된다. 또한, 자석(10c)의 샤프트 기부의 강도는 개선된다.
자석(10c)의 좌측 샤프트부(10c1)의 기부에 구비된 돌출부(10c2)는 고정 접점(29)이 샤프트 기부(10c5)에 밀접하게 접촉될 때 고정 접점(29)의 갈고리부(29a)의 자유단보다 높아지도록 결정되어 전송하는 동안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현상 롤러(10d)의 축방향으로 충돌을 수납할지라도 돌출부(10c2)의 자유단부면(10c2)은 활주 접점(30)의 디스크부(30a)에 인접된다. 따라서, 고정 접점(29)과 원통형 전극(28) 사이의 접촉부는 보호되고 또한, 활주 접점(30)의 활주 아암(30c)과 고정 접점(29)의 디스크부(29a) 사이의 활주 접촉부는 초과된 힘을 수납하는 것이 방지된다.
자석(10c)의 좌측 샤프트부(10c1)가 통과 구멍(29c)을 관통하기 때문에, 고정 접점(29)은 원통형 전극(28)에 확실하게 전기 접속되고, 관통 구멍(29c) 주위에 배치된 갈고리부(29b)는 원통형 전극(28)에 전기 접속되도록 좌측 샤프트부(10c1)의 종방향으로 연장된 원통형 전극(28)에 탄성적으로 접촉된다.
활주 접점(30)은 자석(10c)의 좌측 샤프트부(10c)가 관통하는 관통 구멍(10d)과, 관통 구멍(10d) 주위에 형성된 디스크부(30a)와, 디스크부(30a)로부터 반경방향 외향 연장되고 현상 롤러(10d)의 내부벽면(10d1)에 접촉된 자석(10c)의 삽입 방향에 대해 하향으로 절곡된 다수의 갈고리부(30b)를 포함하고, 상기 활주 아암(30c)은 디스크부(30a)의 중심을 통해 원판의 표면(30a1)에 수직한 라인 주위에 나선형 라인으로 연장되고 고정 접점(29)의 디스크부(29a)에 탄성적으로 접촉된다. 상기 활주 아암(30c)이 고정 접점(29)의 디스크부(29a)에 탄성적으로 접촉되기 때문에, 자석(10c)은 고정 접점(29)을 통해 현상 롤러(10d)의 축방향으로 가압될 수 있어 현상 롤러(12d)에 대한 자석(10c)의 축방향 작동은 제거될 수 있으므로 자석(10c)의 위치 설정의 정확도는 개선된다. 또한, 활주 접촉부(20)는 현상롤러(10d)의 내부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힘이 인가될지라도 반력이 제공되거나 또한, 현상 롤러(10d)와의 전기 접속은 보장된다. 활주 아암(30c)과 고정 접점(29)의 디스크부(29a) 사이의 접촉 압력은 현상 롤러(10c)의 축방향으로 사실상 부과되어 접촉 지지체(31)는 축방향으로의 자석(10c)의 가압 및 반력에 의해 플랜지 부재(20b)의 내부 단부면(20b3)에 밀접하게 접촉될 수 있다.
상기의 실시예에서, 원통형 전극(28)의 좌측부에서의 돌출부(28b)는 (도2에서) 자석(10c)의 D-절결부(10c3)의 아치형 부분(30c31)에 평행하지만, 도12 및 도13에 도시된 것처럼, 원통형 전극(28)의 돌출부(28b)의 단부는 절곡부(28b1) 안으로 내향 절곡될 수 있고, 자석(10c)의 D-절결부(10c3)의 아치형 부분(30c31)의 자유단에서 구비된 경사부(30c33)에 고정된다. 이로써, 자석(10c)의 좌측 샤프트부(10c1)에 대한 원통형 전극(28)의 이동은 확실하게 방지될 수 있고, 또한 원통형부(28e)의 단부면(28d)은 좌측 샤프트부(10c1)의 바닥면(10c4)에 용이하게 정렬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상시의 실시예에서, 현상 장치 및/또는 전기 에너지 공급부는 단색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사용되지만, 본 발명에 따른 현상 장치 및/또는 전기 에너지 공급부는 다수의 현상 수단에 구비된 (2가지, 3가지, 총천연색 화상 등의) 다색 칼라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카트리지에 이용 가능하다.
전술한 것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단색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다수의 현상 수단이 제공된 (2가지, 3가지 또는 총천연색의 화상 등의) 다색 화상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것에서, 전자사진 감광 부재는 감광 드럼으로써 설명되었지만, 전자사진 감광 부재는 이러한 감광 드럼으로써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다음과 같이 사용될 수 있다. 감광 부재는 비정질 실리콘, 비정질 셀레늄(selenium), 산화 아연, 산화 티타늄, 유기적 사진 도전체(OPC) 등으로 된 사진 도전체일 수 있다. 감광 부재는 드럼, 벨트 또는 다른 회전 부재 또는 시트 또는 이와 같은 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드럼 또는 밸트의 형태가 사용되고, 드럼 형태의 감광 부재의 경우, 알루미늄 합금 등의 실린더가 증발 또는 도포 등에 의해 사진 도전체에 코팅된다.
상기 설명한 대전 수단의 구조물은 소위 접촉 형태 대전 수단이지만, 텅스텐 와이어를 포함하는 공지된 대전 수단은 세 측부에서 알루미늄 등의 금속 차폐부로 덮여있고, 상기 양이온 또는 음이온은 상기 표면이 균일하게 대전된 표면의 감광 드럼의 표면에 안내된 텅스텐 와이어에 고압을 인가함으로써 생성된다. 대전 수단은 상기 설명한 것처럼 롤러 형태일 수 있고, 또는 블레이드(대전 블레이드) 형태, 패드 형태, 블록 형태, 로드 형태, 와이어 형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감광 드럼 상에 잔류하는 토너를 제거하기 위한 세척 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는 블레이드, 펄브러쉬(furbrush), 자기 브러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예로써, 전자사진 감광 부재와 적어도 하나의 처리 수단을 포함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형태에 관해서 본 명세서에 설명된 것 외에 예로써, 전자사진 감광 부재, 현상 수단 및 대전 수단이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착탈식으로 부착된 코티지(cottage) 안에 일체식으로 단일화된 형태와, 전자사진 감광 부재와 현상 수단이 장치의 주 조립체에 착탈식으로 장착 가능한 카트리지 안에 일체식으로 단일화된 형태와, 전자사진 감광 부재, 현상 수단, 대전 수단 및 세척 수단이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착탈식으로 장착 가능한 카트리지 안에 일체식으로 단일화된 형태가 있고, 이들은 전자사진 감광 부재와 두 개 이상의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착탈식으로 장착 가능한 카트리지 안에 일체식으로 결합된 상태로 연결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착탈식으로 장착 가능한 카트리지를 구성하는 유닛으로써 전자사진 감광 부재와 적어도 하나의 대전 수단, 현상 수단 및 세척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되거나 또는 분리된다. 이러한 수단은 사용자에 의해 상기 장치를 효과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설명한 상태에서, 레이저 빔 프린터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예로써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전자사진 복사기, 팩시밀리 기계, 전자사진 형태의 팩시밀리 등과 같은 기계에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이 상기 설명한 구조물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설명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되는 청구항의 목표 또는 기술 범위 내에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다.
본 발명으로 현상 바이어스를 현상제 반송 부재에 인가하기 위한 접촉부가 신뢰성의 면에서 향상된 현상 장치와, 형상 바이어스를 현상제 반송 부재에 인가하기 위한 접촉부가 신뢰성의 면에서 향상된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현상제 반송 부재로의 현상 바이어스의 전기 에너지 공급용 전지 에너지 공급 부품으로서 현상제 반송 부재에서의 위치 정확도가 향상되게 하는 자석을 갖고 현상제 반송 부재 내에 배치된 자석 상에서 도전성 부분과의 전기 접속이 이루어지는 현상제 반송 부재로부터 먼 현상 바이어스의 에너지 공급 부품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38)

  1. 프레임과,
    제1 원통형 부분과 상기 원통형 부분의 단부에 제공되고 베어링부에 의해 지지된 제2 원통형 부분을 포함하고, 화상 담지 부재 상에 형성된 정전 화상을 현상하기 위해 현상제를 이송하는 현상제 반송 부재와,
    현상제 반송 부재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고, 현상제 반송 부재에 제공된 자석과,
    현상제 반송 부재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자석 상에 지지된 제1 도전성 부분과,
    현상제 반송 부재에 제공되고, 제1 원통형 부분의 내면과 전기 접속되고, 현상제 반송 부재 내의 제1 도전성 부분과 활주 가능한 접촉 상태에 있는 제2 도전성 부분과,
    현상제 반송 부재의 외측에서 제1 도전성 부분과 전기 접속된 제1 전기 접촉부와 제1 전기 접촉부와는 상이한 위치에 배치되고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의 전기 접점과 전기 접속된 제2 전기 접촉부를 포함하는 제3 도전성 부분을 포함하며,
    현상 바이어스가 제3 도전성 부분, 제2 도전성 부분, 및 제1 도전성 부분을 통해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의 전기 접점으로부터 현상제 반송 부재에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제2 원통형 부분은 플랜지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 부재는 프레임에 회전식으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제1 전기 접촉부는 제1 도전성 부분의 단부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제1 도전성 부분에는 원통형 부분이 제공되고, 제1 도전성 부분은 자석의 샤프트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제1 도전성 부분에는 원통형 부분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가 제공되고, 돌출부는 자석에 대해 원통형 부분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해 자석의 샤프트에 제공된 리세스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원통형 부분에 전기 접속된 디스크부가 제1 도전성 부분에 제공되고, 상기 디스크부에는 자석의 샤프트가 관통하는 구멍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제2 도전성 부분은 현상제 반송 부재에 고정되고, 제2 전기 전도성 부분은 상기 원통형 부분에 접촉되는 제1 접촉부와 제1 도전성 부분에 탄성적으로 접촉되는 제2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제1 도전성 부분에는 원통형 부분에 전기 접속된 디스크부가 제공되고, 상기 디스크부에는 자석의 샤프트가 관통하는 구멍이 제공되고, 제2 접촉부는 디스크부에 대해 탄성적으로 활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제2 접촉부는 원통형 부분의 주연면 상에서 활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제1 도전성 부분은 제1 전기 접촉부에 의해 제1 원통형 부분의 반경방향으로 탄성력을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자석의 샤프트 단부에 아치형 부분과 평면 부분을 갖는 D-절결형 부분이 제공되고, D-절결형 부분은 프레임 상에 지지되며, 제1 도전성 부분의 단부는 제1 전기 접촉부에 의해 아치형 부분으로부터 멀리 평면 부분을 향한 방향으로 탄성력을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제1 도전성 부분은 제2 도전성 부분에 의해 현상제 반송 부재의 종방향으로 탄성력을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제1 도전성 부분은 자석의 샤프트 상에서 지지되고, 제2 도전성 부분은 현상제 반송 부재에 고정되며, 제1 도전성 부분과 제2 도전성 부분은 현상제 반송 부재 내로의 자석의 삽입에 의해 현상제 반송 부재의 종방향으로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제1 도전성 부분은 제1 도전성 부분의 결합부와 샤프트 사이의 결합에 의해 자석의 샤프트에 제공된 결합부와 결합된 결합부를 단부에 구비하며, 원주 방향으로의 자석의 샤프트에 대한 제1 도전성 부분의 장착 각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16.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착탈식으로 장착 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있어서,
    화상 담지 부재와,
    프레임과,
    제1 원통형 부분과 상기 원통형 부분의 단부에 제공되고 베어링부에 의해 지지된 제2 원통형 부분을 포함하고, 화상 담지 부재 상에 형성된 정전 화상을 현상하기 위해 현상제를 이송하는 현상제 반송 부재와,
    현상제 반송 부재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고, 현상제 반송 부재에 제공된 자석과,
    현상제 반송 부재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자석 상에 지지된 제1 도전성 부분과,
    현상제 반송 부재에 제공되고, 제1 원통형 부분의 내면과 전기 접속되고, 현상제 반송 부재 내의 제1 도전성 부분과 활주 가능한 접촉 상태에 있는 제2 도전성 부분과,
    현상제 반송 부재의 외측에서 제1 도전성 부분과 전기 접속된 제1 전기 접촉부와 제1 전기 접촉부와는 상이한 위치에 배치되고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의 전기 접점과 전기 접속된 제2 전기 접촉부를 포함하는 제3 도전성 부분을 포함하며,
    현상 바이어스가 제3 도전성 부분, 제2 도전성 부분, 및 제1 도전성 부분을 통해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의 전기 접점으로부터 현상제 반송 부재에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7. 제16항에 있어서, 제2 원통형 부분은 플랜지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 부재는 프레임에 회전식으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9. 제16항에 있어서, 제1 전기 접촉부는 제1 도전성 부분의 단부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0. 제16항에 있어서, 제1 도전성 부분에는 원통형 부분이 제공되고, 제1 도전성 부분은 자석의 샤프트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1. 제20항에 있어서, 제1 도전성 부분에는 원통형 부분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가 제공되고, 돌출부는 자석에 대해 원통형 부분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해 자석의 샤프트에 제공된 리세스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2. 제20항에 있어서, 원통형 부분에 전기 접속된 디스크부가 제1 도전성 부분에 제공되고, 상기 디스크부에는 자석의 샤프트가 관통하는 구멍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3. 제16항에 있어서, 제2 도전성 부분은 현상제 반송 부재에 고정되고, 제2 전기 전도성 부분은 상기 원통형 부분에 접촉되는 제1 접촉부와 제1 도전성 부분에 탄성적으로 접촉되는 제2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4. 제23항에 있어서, 제1 도전성 부분에는 원통형 부분에 전기 접속된 디스크부가 제공되고, 상기 디스크부에는 자석의 샤프트가 관통하는 구멍이 제공되고, 제2 접촉부는 디스크부에 대해 탄성적으로 활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5. 제23항에 있어서, 제2 접촉부는 원통형 부분의 주연면 상에서 활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6. 제16항에 있어서, 제1 도전성 부분은 제1 전기 접촉부에 의해 제1 원통형 부분의 반경방향으로 탄성력을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7. 제16항에 있어서, 자석의 샤프트 단부에 아치형 부분과 평면 부분을 갖는 D-절결형 부분이 제공되고, D-절결형 부분은 프레임 상에 지지되며, 제1 도전성 부분의 단부는 제1 전기 접촉부에 의해 아치형 부분으로부터 멀리 평면 부분을 향한 방향으로 탄성력을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8. 제16항에 있어서, 제1 도전성 부분은 제2 도전성 부분에 의해 현상제 반송 부재의 종방향으로 탄성력을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9. 제16항에 있어서, 제1 도전성 부분은 자석의 샤프트 상에서 지지되고, 제2도전성 부분은 현상제 반송 부재에 고정되며, 제1 도전성 부분과 제2 도전성 부분은 현상제 반송 부재 내로의 자석의 삽입에 의해 현상제 반송 부재의 종방향으로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30. 제16항에 있어서, 제1 도전성 부분은 제1 도전성 부분의 결합부와 샤프트 사이의 결합에 의해 자석의 샤프트에 제공된 결합부와 결합된 결합부를 단부에 구비하며, 원주 방향으로의 자석의 샤프트에 대한 제1 도전성 부분의 장착 각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31.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현상제 반송 부재에 현상 바이어스를 인가하기 위해 전압 인가 경로 내에 제공된 전기 에너지 공급부으로서, 상기 현상제 반송 부재는 화상 담지 부재 상에 형성된 정전 화상을 현상제로 현상하고, 상기 현상제 반송 부재는 제1 원통형 부분, 상기 원통형 부분의 단부에 제공되고 베어링부에 의해 지지된 제2 원통형 부분, 및 내부의 자석을 갖는 구성을 취하는, 전기 에너지 공급부에 있어서,
    자석의 샤프트가 관통하는 중심 구멍이 제공된 기부 부분과,
    제1 원통형 부분의 내면에 접촉된 제1 접촉부와,
    샤프트를 따라 연장된 도전성 부분에 현상제 반송 부재의 종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접촉되고, 자석의 샤프트 상에 지지된 제2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에너지 공급부.
  32. 제31항에 있어서, 전기 에너지 공급부는 현상제 반송 부재와 함께 회전 가능하고, 제2 접촉부에서의 도전성 부분 상에서 활주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에너지 공급부.
  33. 제31항에 있어서, 기부 부분에 원형 부분이 제공되며, 제1 접촉부는 탄성적이고 기부 부분의 주연면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외향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에너지 공급부.
  34. 제33항에 있어서, 제2 접촉부는 탄성적이고 기부 부분의 주연면으로부터 반경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에너지 공급부.
  35.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현상제 반송 부재에 현상 바이어스를 인가하기 위해 전압 인가 경로 내에 제공된 전기 에너지 공급부으로서, 상기 현상제 반송 부재는 화상 담지 부재 상에 형성된 정전 화상을 현상제로 현상하고, 상기 현상제 반송 부재는 제1 원통형 부분, 상기 원통형 부분의 단부에 제공되고 베어링부에 의해 지지된 제2 원통형 부분, 및 내부의 자석을 갖는 구성을 취하는, 전기 에너지 공급부에 있어서,
    자석의 샤프트가 관통하는 중심 구멍이 제공된 기부 부분과,
    자석의 샤프트 상에 지지된 샤프트를 따라 제공된 도전성 부분과 탄성적으로접촉된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에너지 공급부.
  36. 제35항에 있어서, 접촉부는 구멍의 주연면을 따라 제공되고 절곡되며, 기부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에너지 공급부.
  37. 제36항에 있어서, 다수의 접촉부는 구멍의 주연면을 따라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에너지 공급부.
  38. 제35항에 있어서, 샤프트에 대한 기부 부분의 주연 방향 이동은 접촉부와 자석의 샤프트의 결합에 의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에너지 공급부.
KR1020000023053A 1999-04-30 2000-04-29 현상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기 에너지 공급부 KR1003304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2364799A JP2000315012A (ja) 1999-04-30 1999-04-30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導電部品
JP99-123646 1999-04-30
JP12364699A JP3937649B2 (ja) 1999-04-30 1999-04-30 現像装置、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99-123647 1999-04-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0800A KR20010020800A (ko) 2001-03-15
KR100330472B1 true KR100330472B1 (ko) 2002-04-01

Family

ID=26460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3053A KR100330472B1 (ko) 1999-04-30 2000-04-29 현상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기 에너지 공급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336012B1 (ko)
EP (1) EP1050783B1 (ko)
KR (1) KR100330472B1 (ko)
CN (1) CN1126996C (ko)
DE (1) DE60011704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84209B2 (ja) * 2002-05-31 2005-08-17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CN100349073C (zh) * 2003-03-05 2007-11-14 株式会社理光 图像形成装置及处理卡盒
JP4498407B2 (ja) 2006-12-22 2010-07-07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電子写真感光体ドラムユニット
JP4948382B2 (ja) 2006-12-22 2012-06-06 キヤノン株式会社 感光ドラム取り付け用カップリング部材
JP5311854B2 (ja) 2007-03-23 2013-10-09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現像装置、及び、カップリング部材
JP4865688B2 (ja) * 2007-12-11 2012-02-0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滴吐出ヘッドおよび液滴吐出装置
JP5306050B2 (ja) 2008-06-20 2013-10-02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カップリング部材の取り付け方法、及び、カップリング部材の取り外し方法
JP4569978B1 (ja) * 2009-03-23 2010-10-27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ラー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569977B1 (ja) * 2009-03-23 2010-10-27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562208B1 (ja) * 2009-03-23 2010-10-13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ラー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721471B2 (ja) 2009-03-23 2011-07-13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605821B2 (ja) 2009-03-23 2011-01-05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846033B2 (ja) * 2009-03-26 2011-12-28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8406649B2 (en) * 2009-05-12 2013-03-26 Lexmark International, Inc. Apparatus for providing electrical contact between a power supply and a photoconductive drum in an image forming device
JP4846062B1 (ja) 2010-08-20 2011-12-28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5094998B2 (ja) 2010-09-06 2012-12-1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460824B2 (ja) * 2011-12-09 2014-04-02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CN104597737B (zh) * 2013-10-30 2022-03-01 纳思达股份有限公司 一种图像形成装置用处理盒
JP2017173538A (ja) * 2016-03-23 2017-09-2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1629A (ja) * 1992-07-30 1994-02-25 Canon Inc 現像装置
JPH0915967A (ja) * 1995-06-27 1997-01-17 Canon Inc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H0926696A (ja) * 1995-07-13 1997-01-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現像装置
KR0144835B1 (ko) * 1992-09-04 1998-07-15 미타라이 하지메 전자사진용 프로세스카트리지 및 전자사진용 화상형성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63459U (ko) * 1990-10-15 1992-05-29
US5283619A (en) * 1991-12-20 1994-02-01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ing apparatus and process cartridge having same
JP3334963B2 (ja) 1993-02-01 2002-10-15 キヤノン株式会社 円筒部材と係合部材とを再結合する結合方法
JPH0822195A (ja) * 1994-07-08 1996-01-23 Canon Inc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US5648838A (en) * 1994-11-01 1997-07-15 Steven Bruce Michlin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ically connecting a developer roller to a bias source
US5634175A (en) 1995-03-28 1997-05-27 Steven Bruce Michlin Electrical contact device for developer roller of toner cartridge
CN1093946C (zh) 1995-07-21 2002-11-06 佳能株式会社 电极部件、显影装置、处理卡盒和成像设备
JP3251152B2 (ja) * 1995-07-26 2002-01-28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US5822654A (en) 1997-11-14 1998-10-13 Xerox Corporation Development bias connector with integral bearing support
JP3548429B2 (ja) * 1998-08-13 2004-07-28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US6249659B1 (en) * 2000-02-17 2001-06-19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cartridge with conductive drive hub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1629A (ja) * 1992-07-30 1994-02-25 Canon Inc 現像装置
KR0144835B1 (ko) * 1992-09-04 1998-07-15 미타라이 하지메 전자사진용 프로세스카트리지 및 전자사진용 화상형성장치
JPH0915967A (ja) * 1995-06-27 1997-01-17 Canon Inc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H0926696A (ja) * 1995-07-13 1997-01-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現像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011704T2 (de) 2005-07-07
KR20010020800A (ko) 2001-03-15
US6336012B1 (en) 2002-01-01
EP1050783A2 (en) 2000-11-08
CN1126996C (zh) 2003-11-05
EP1050783B1 (en) 2004-06-23
DE60011704D1 (de) 2004-07-29
EP1050783A3 (en) 2000-11-15
CN1285531A (zh) 2001-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0472B1 (ko) 현상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기 에너지 공급부
US6275668B1 (en) Developing device, process cartridge and electrical contact part
JP3372719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6501927B1 (en) Process cartridge and photosensitive drum driving mount
US6226478B1 (en) Process cartridge having drive mount for photosensitive drum
EP0754984B1 (en) Process cartridge, sub-assembly thereof, developing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EP0549400A2 (en) Developing apparatus and process cartridge having same
JPH11161131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EP1209538B1 (en) Electric contact member and developing device,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forming apparatus using the electric contact member
US7336914B2 (en) Sealing member for sealing magnetic particles and developing apparatus using the sealing member
US11567445B2 (en)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9122241B2 (en) Process cartridge capable of accurately positioning developer carrying member and photosensitive drum
US6366746B1 (en) Developing device and electric energy supply part for applying developing bias voltage
JPH0414348B2 (ko)
US6385413B2 (en) Developing device to which developing voltage is applied from non-driving side
US6324364B1 (en) Electrophotographic photosensitive drum,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JP3937649B2 (ja) 現像装置、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US6999706B2 (en) Developing device and process cartridge including the same for use in electro photographic image-forming apparatus
JP3545320B2 (ja) 現像装置および印刷装置
JP2002311714A (ja)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産方法
JP2000315012A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導電部品
JP2008039902A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8039903A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H0926739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2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