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0345B1 - 광선 반사면 및 굴절면에 사용하는 구상면이 있는 렌즈 - Google Patents

광선 반사면 및 굴절면에 사용하는 구상면이 있는 렌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0345B1
KR100330345B1 KR1019990040503A KR19990040503A KR100330345B1 KR 100330345 B1 KR100330345 B1 KR 100330345B1 KR 1019990040503 A KR1019990040503 A KR 1019990040503A KR 19990040503 A KR19990040503 A KR 19990040503A KR 100330345 B1 KR100330345 B1 KR 1003303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int
radius
curvature
axis
sphe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0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8322A (ko
Inventor
김선태
Original Assignee
김선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태 filed Critical 김선태
Priority to KR10199900405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0345B1/ko
Publication of KR20010028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83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0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03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 G02B5/10Mirrors with curved fa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2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non-spherical faces
    • G02B3/04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non-spherical faces with continuous faces that are rotationally symmetrical but deviate from a true sphere, e.g. so called "aspheric"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2003/0093Simple or compound lens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선 반사면 및 굴절면에 사용하는 구상면이 있는 렌즈에 관한 것이다. 또한 동 마모에 의해 생기는 렌즈의 곡률면에 관한 것으로서 이 구상면은 종래의 비구면이나 구면과는 전혀 다른 새로운 곡률면을 갖는 렌즈에 관한 것이다. 즉 종래의 렌즈에서 발생하는 수차를 개선하여 일그러짐이 적은 상을 얻게 하여 광선 반사면 및 굴절면에 사용하는 새로운 곡률면을 갖는 렌즈를 제공할 수 있게 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구상곡률면을 사용한 렌즈 및 반사면을 갖는 렌즈는 여 카메라, 안경렌즈, 집광렌즈 및 의료기기 등의 각 분야에 응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광선 반사면 및 굴절면에 사용하는 구상면이 있는 렌즈{RENS WITH SPERE SHAPED SURFACE USED IN REFLECTING SURFACE AND REFRACTING SURFACE OF LIGHT}
본 발명은 광선 반사면 및 굴절면에 사용하는 구상면 및 더 자세히는 본 발명의 마모방법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곡류반경을 갖고 있는 구상면 현상의 렌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상면은 구면도 아니고 종래의 비구면도 아닌 새로운 곡률반경을 갖는 비구면렌즈이다.
도 22 는 종래의 凹면에 있어서 수차가 생기는 원인을 설명하는 그림이다.본 발명을 상세히 기술함에 있어서 반경등을 나타내는 기호, 즉 R, Ras 등은 해당도면에 나타나는 기호로 정의된다.도 22 에 나타낸 반사경은, 반경 R의 구면을 가지고, 이 구면의 곡률중심 O와 반사경의 중심 P0를 통하는 광축 X 에 평행한 광선이 구면을 입사하여 반사한다고 한다. 광축 X 에 가까운 입사광선 L1(이하 근축광선이라 함)이 반사경의 구면상의 점 P1에서 반사하면, 그 반사광선은 촛점 F1과 만난다. 이 촛점 F1은 구면의 곡률중심 O 와 반사경의 중심 P0의 거리의 1/2 즉 R/2에 가까운 위치에 있다. 그러나 광축 X 에서 떨어진 입사광선 L2(이하 원축광선이라 함)가 점 P2에서 반사한 반사광선은 촛점 F 보다도 안쪽, 즉 반사경면쪽에 δX 떨어진 점 F2에서 광축 X 와 교차한다. 이 δX 는 광선에서 멀어질수록 커진다. 이렇게 근축광선 L1은 촛점 F1과 교차하지만, 원축광선 L2는 촛점 F1과 떨어진 점 F2와 만난다. 이 촛점 오차가 이른바 사이델의 5수차에 대표되는 수차문제를 일으킨다.
종래 렌즈 또는 반사경에 비구면을 이용하면, 수차가 개선되어 일그러짐없는 상을 얻을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비구면의 엄밀한 정의는 되어있지 않고, 방물면, 쌍곡선, 타원면 등의 회전 2차곡면을 적용하는 광학계에 맞추어 채용하고 있음에 지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수차를 개선하여 일그러짐이 적은 상을 얻을 수 있는 면으로 광선 반사면 및 굴절면이 특정하는(후술함) 곡률 반경을 갖는 렌즈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는 마주보는 구상의 凹면과 凸면의 습동마모에 의해 만들어진 반타원체면이 수차가 상당히 적은 곡률면이라는 것에 착안하였다. 즉 마주보는 반경 R1의 구면형상의 凸면체와 凹면체를 소경입자의 유리 지립을 끼워 접촉시켜 그 凸면체와 凹면체에 각각 일정의 운동조건을 주어 습동시키면, 마모진행 후의 습동면은 3 곡률반경(R1, Rs, Ras)으로 규정되는 회전대칭의 구면형 반타원체면을 만든다. 이 구면형 반타원체면은 종래의 구면 일반식(x2/a2+ y2/b2= 1)으로 나타내는 타원면, 그 외 비구면이라고 불리는 곡률면과 전혀 다른 새로운 곡률면이다.
도 1 은 상반되는 구면의 습동 마모에 의해 凹의 타원면이 생기게 되는 원리를 설명하는 그림.
도 2 는 상반되는 구면의 습동 마모에 의해 생기는 형상을 나타내는 그림.
도 3 은 도 2 의 凹면체의 저면도.
도 4 는 도 2 의 I-I 선 단면도.
도 5 는 상반되는 구면의 습동 마모에 의해 凸의 타원면이 생기는 원리를 설명하는 그림.
도 6 은 상반되는 구면의 습동 마모에 의해 생긴 형상을 나타내는 그림.
도 7 은 도 6 의 凸면체의 평면도.
도 8 은 도 6 의 II-II선 단면도.
도 9 는 입체 3 축, 凸면체 및 凹면체를 설명하는 사시도.
도 10 은 凸면체 SP1 의 생성형상을 설명하는 그림.
도 11 은 凹면에 SP2 의 생성형상을 설명하는 그림.
도 12 는 凸면체 SP1 을 회전시켜 凹면체 SP2를 요동시킨 경우의 凹면체 SP2 에 생기는 형상을 설명하는 그림.
도 13 은 凸면체 SP1을 회전시켜 凹면체 SP2을 요동시킨 경우의 凸면체 SP1에 생기는 형상을 설명하는 그림.
도 14 는 촛점거리로부터 구성곡률면과 성형곡률면을 설계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15 는 본 발명의 凹의 구상면을 만들기 위한 요동체와 회전체의 설명도.
도 16 은 (A)는 요동체의 요동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그림이고, (B)는 (A)의 III-III 선 단면도
도 17 은 凹의 생성 곡률면을 설명하는 그림.
도 18 은 凹의 생성 곡률면을 반사특성을 나타내는 그림.
도 19 는 본 발명의 凸의 구상면을 창생하기 위한 요동체와 회전체의 설명도.
도 20 은 凸의 생성 곡률면의 반사특성을 나타내는 그림.
도 21 은 굴절면을 만들기 위한 기준점을 구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22 는 종래의 凹면에 있어서 수차가 생기는 원인을 설명하는 그림.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렌즈의 비구면 5 : 렌즈의 수평면11 : 요동체 12 : 회전체
21 : 요동체 22 : 회전체
먼저, 본 발명이 추구하는 곡률 반경을 갖는 렌즈를 제조하기 위하여 제조원리 및 방법을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한다.<구면형 반타원체면을 만드는 원리>
도 1 에 나타낸 것처럼 凸면체 SP1 을 하단에 배치하고 凹면체 SP2 를 상단에 배치하여 상단의 凹면체 SP2 를 가압하면서 회전시켜 하단의 凸면체 SP1 을 요동시켜서 凹면과 凸면을 습동시킨다. 이 결과 상단의 凹면체 SP2 의 습동면에는 도 2 및 도 4 에 나타낸 것처럼 반타원의 凹의 곡률면이 만들어진다.
또, 도 5 에서처럼 하단의 凸면에 SP1 을 회전시켜 상단의 凹면체 SP2 를 가압하면서 요동시켜 凹면과 凸면을 습동시키면 하단의 凸면체 SP1 의 습동면에는 도 6 및 도 8 에 나타낸 것처럼 반타원의 凸의 곡률면이 만들어진다. 이와 같이 만들어지는 새로운 곡률면 즉 구면형 반타원체면을 사용함에 따라 곡률면 전역의 입사평행광선을 1점으로 모을 수 있어서 정밀하고 이상적인 구상면을 얻을 수 있다.
<凸면체 SP1 을 요동시켜 凹면체 SP2 를 회전시킨 경우>
도 9 에 나타낸 것처럼, 입체 3 축(X, Y, Z)의 원점 O1을 중심으로 XZ 평면을 저면으로 하는 반경 R1(직경 2R1)의 반구체, 즉 상반하는 凹면과 凸면의 2면이 겹쳐있다고 한다. 또, 설명을 간략하게 하기 위해, 2 면 사이에 존재하는 소경유리지립층의 두께는 고려하지 않는다. 반구체의 Y 축과의 교점을 P0라 하고 이 점으로부터 하단의 반구체를 凸면체 SP1, 상단의 반구체를 凹면체 SP2 로 한다.
凸면체 SP1 은 Z 축 주위로 요동각 2θ 1 으로 요동운동을 한다. 따라서 凸면체 SP1 의 면상의 각점은 Z 축의 주위에 凹면체 SP2 와 접촉해서 습동마모하면서 이동한다. 그러나 凸면체 SP1 의 Z 축과 교차하는 점P z , P z' 는 사점이므로 운동량은 영(0)이다. 凹면체 SP2 는 Y 축 주위로 회전운동을 한다. 또 凹면체 SP2 는 각각의 운동에 의한 진동을 흡수하기 때문에, Y 축 방향으로 자유운동을 한다. 이것에 따라 凹면체 SP2 는 凸면체 SP1 과 항상 접촉 상태를 유지하면서 회전한다.
凹면체 SP2 의 하중은 凸면체 SP1 에 연직 방향으로 작용한다. 凸면체 SP1 이 받는 하중은 모두 점O 1으로 향하는 백터 하중이다. 凹면체 SP2 점P 0 는 凸면체 SP1 에 최대 백터 하중을 주지만, 점P x , P x' , P z , P z' 는 베트롤 하중을 주지 않는다. 凸면체 SP1 의 점P 0 점은 이동하므로 항상 최대 백터 하중을 받지 않는다. 凸면체 SP1 의 점P z , P z' 는 凹면체 SP2 로부터 백터 하중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凸면체 SP1 의 X 축상의 점P x , P x' 는 변화하지만 Z 축상의 점P z , P z' 는 변화하지 않고 직경 2R 1 을 유지한다. 또 凹면체 SP2의 X, Y 축상의P X ,P X' ,P Z ,P Z' 도 변화하지 않고 직경 2R 1을 유지한다.
凸면체 SP1 및 凹면체 SP2 의 습동마모량은 각 접촉면의 베크롤 하중의 크기와 접촉요동거리에 거의 비례한다. 凸면체 SP1 은 Z 축이 고정되어 있고 凹면체 SP2 로부터 베크롤 하중을 받으므로, 凹면체 SP2 보다 먼저 마모한다. 凹면체 SP2 는 凸면체 SP1 의 아주 마모량이 적은 면으로 추수하여 마모한다. 따라서 凸면체 SP1 과 凹면체 SP2 와는 운동방향과 베크롤 하중이 다르므로 다른 생성면을 만든다.
도 10(A)에 나타낸 것처럼 凸면체 SP1 의 X-X' 단면상의R 1으로 형성되는 습동 초기의 원호P x , P 0 , P x' 는 최대거리를 요동해 최대의 베크롤 하중이 작용하므로 최대마모량이 된다. 점P 0 가 최다마모량H 1만큼 마모해 점P 0' 로 변화하면, 점P x , P x' 도 마모해 점P nx , P nx' 로 변화한다. 점P 0' , P x , P x' 에 작용하는 백터 하중은 한 점으로 향한다. 따라서 이 점을O 2라 하면, 점P 0' , P x , P x' 의 생성형상은 점O 2를 중심으로 하는 반경R s 의 원호가 된다.
도 10(B)에 나타냄과 같이, 凸면체 SP1 의 Z-Z' 단면상의R 1으로 형성되는습동 초기의 원호P z , P 0 , P z' 는 Z-Z' 축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요동운동을 한다. 원호P z , P 0 , P z' 상의 각 점의 요동거리는 점P 0 에서 최대, 점P z , P z' 에서 영이 되어 Z 좌표에 반비례한다. 원호P z , P 0 , P z' 상의 각 점에 작용하는 베크롤 하중도 같이 Z좌표에 반비례한다. 따라서 원호P z , P 0 , P z' 상의 각 점의 마모량도 Z 축에 반비례하게 되므로, 점P 0' 가 최대 마모량H 1만큼 마모해 점P 0' 로 변화하면 마모 후의 점P z , P 0 , P z' 생성형상은 반타원이 된다. 또 凸면체 SP1 의 Z-Z' 축 단면상의P z , P 0' , P z' 는 도 3 의 1 점쇄선으로 둘러싸이는 범위내에 있어서, 凹면체 SP2 와 항상 선접촉하면서 이동한다.
凹면체 SP2 는 전기 생성형상의 凸면체 SP1 과 접하면서 Y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므로, 도 11 에 나타낸 것처럼 X-X'단면 및 Z-Z' 단면의 생성형상은 전기 凸면체 SP1 의 Z-Z' 단면의 형상과 같은 반타원이 된다.
<凸면체 SP1 을 회전시켜 凹면체 SP2 를 요동시킨 경우>
도 12 및 13 은 凹면체 SP2 를 요동시켜 凸면체 SP1 을 회전시킨 경우의 凹면체 SP2 와 凸면체 SP1 의 생성면의 형상을 나타낸다.
도 12(B)에 나타낸 것처럼 凹면체 SP2 의 점P z , P z' 는 운동량이 영이므로, 원점O 1부터R 1을 유지한다. 또, 도 12(A)에 나타낸 것처럼 점P x , P x' 는 백터 하중을 받지 않으므로 원점O 1부터R 1을 유지한다. X-X' 상의 점P nx' 는 최대 백터 하중을 받아 마모량이 최대로 된다. 따라서 X-X' 단면에서는P x , P nx , P 0' 의 약 1/4 반타원호가P x , P nx' , P 0' 와 대칭의 사이크로이드 곡선이 된다. Z-Z' 축단면상의P z , P 0' , P z' 는 도 7 의 1 점쇄선으로 둘러싸인 범위내에 있어서, 凸면체 SP1 과 항상 선접촉하면서 이동한다.
凸면체 SP1 에서는 도 13 에 나타낸 것처럼 X-X' 단면과 Z-Z' 단면의 점P x , P x' 와 점P z , P z' 는 모두 Y 축의 회전에 의한 원운동이고, 백터 하중이 영이므로 마모가 없고 반경R 1의 원형이 된다. 또 凸면체 SP1 은 앞서의 생성형상이 凹면체 SP2 와 접하면서 Y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므로, X-X' 단면 및 Z-Z' 단면의 생성형상은 전기 凹면체 SP2 의 Z-Z' 단면의 형상과 같은 반타원이 된다.
본 발명의 구상면은 앞에서 말한 것처럼 마주보는 구면 습동마모에 의해 구면형 반타원체면의 생성원리에 기초한 것이다. 전술한 이론에 근거하여 구상면을 제조하는데 마주보는 구면 습동마모에서 개시한 것에는, 가공에 막대한 시간이 필요하다. 거기서 본 발명의 구상면은 전술한 이론에 근거하는 구경에서, 가공공구의 성형곡률면과 피가공면의 구성곡률면과를 설계해 가공공구의 성형곡률면에서 피가 공면의 구성곡률면을 습동마호함에 따라 피가공면의 구성곡률면에 생성되는 구면형 반타원체면의 일부를 구상면이라 한다. 즉, 본 발명의 凹의 구상면은 Y축상에 순서대로 배치된 3 개의 점을O 1 , O 2 , O 3로 해서 점O 3을 중심으로 하는 반경R aS 의 凹면을 Y 축 주위에 회전시켜, X 축 방향단면이 점O 2를 중심으로하는 반경R s (R s <R aS )의 원호로부터 되며, Z 축 방향 단면이O 3을 중심으로 하는 반경R aS 의 원호로부터 되는 凸면을 점O 1을 중심으로 X 축 방향으로 요동시켜 凹면과 凸면의 습동에 의해 전기 凹면에 생기는 구상면으로, 해구상면상의 법선이 전기점O 2O 3의 사이를 지나는 점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凸의 구상면은 Y 축상에 순서대로 배치된 2 개의 점을O 1 , O 3로 해서 점O 3를 중심으로 하는 반경R aS 의 凸면을 Y 축 주위에 회전시켜, 점O 3를 중심으로 하는 반경O 3의 凹면을 점O 1을 중심으로 X 축 방향으로 요동시켜, 전기 凸면과 凹면의 습동에 의해 전기 凸면에 생기는 구상면으로, 해구상면상의 법선이 전기점O 2O 3의 사이를 지나는 점을 특징으로 한다.상기한 방법으로 형성되어 본 발명에서 추구하고자 하는 특정되는 곡률반경을 갖는 렌즈의 곡률반경을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먼저, 본 발명에서 추구하고자 하는 곡률 반경을 갖는 렌즈의 형상을 보면 반구형상의 비구면(4)을 갖는 렌즈에 있어서, 비구면의 곡률반경은 반구의 수평면(3축의 원점 O1으로 부터 반경 Rs의 Px점과 Px'점 및 원점 O1을 포함하는 반구의 평면)(5)에서 시계 방향(즉, Px'점에서 P점방향)으로 반구의 원주면을 따라 원점 O1에 수직선과 만나는 반구면의 중심점(P점)까지 제 1곡률반경(1)이 Px'S2이며, 이어지는 제 2곡률반경(2)이 Ras이며, 이어지는 제 3곡류반경(3)이 Rs이며, 연이어 중심점(P)에서 시계 방향((즉, P점에서 Px점방향)으로 수평면까지 제 3곡률반경(3)이 Rs이며,이어지는 제 2곡률반경(2)이 Ras이며. 이어지는 제 1곡률반경(1)이 Px'S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구형상의 비구면 렌즈이다.여기서, 제 1곡류반경(1)인 Px'S2, 제 2곡률반경(2)인 Ras, 제 3곡률반경(3)인 Rs은 다음과 같이 정의되는 곡률반경이다.곡률반경들을 정의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14를 기준으로 설명한다.제 1곡률반경이 Px'S2, 제 2곡률반경이 Ras, 제 3곡률반경이 Rs은 상기한 방법에 의해 렌즈를 가공함으로서 각각의 곡률반경이 나타나게 되며, 각각의 곡률반경을 구하기 위하여 도14와 같은 작도에 의하여서도 각각의 곡률반경을 설정할 수 있다.도 14(A)에 나타낸 것처럼 원점을O 1으로 하는 X, Y, Z 의 입체 3 축을 설정한다. 이 입체 3축의 원점O 1을 중심으로 하여, 주어진 초점거리 F 의 2 배(2F)를 반경 R s 로 하는 반원을 X-Y 평면의 Y 축의 정면을 그린다. 다음에 Y 축상의 점P 0 (0,R s /2)와 X 축상의 점P x (-R s , 0)를 잇는 선분상에, 점P 0 에서 거리R s /2 떨어진 위치에 점 S를 구해서 점 S 와 점P x 의 중점을S 1이라 한다.S 1을 지나는 점 S 와 점P x 의 수직2등분선이 Y 축과 교차하는 위치를 점O 3라 하고, X 축과의 교점을S 2라 한다. 여기서 선분P 0 P x' , P x' S 1 , P 0 S 1은 각각 다음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P 0 O 3R aS 로 하고 ∠P 0 O 3 S 1=∠P 0 P x O 1=θ 2로 하면,R aS 는 다음 식으로 나타내어진다.
다음에 X-Y 평면에 점O 3를 중심으로 반경R aS 의 원호를 그리고, 점S 2를 중심으로 하고 선분P x' S 2 반경으로 하는 원호를 그리면 두 호는P 4에서 연속한다. 또 Y 축상의 점P 0 에서 Y 축 방향으로 거리R s 떨어진 위치에 점O 2를 구해, 점O 2를 중심으로 반경R s 의 원호를 그린다. 한편 Y-Z 평면에서도 도 14(A)와 동일한 방법으로 도 14(B)에 나타낸 것처럼 원호P z P 0 P z' 를 그린다.
그 다음 도 15에서처럼 X 축 방향이 Y 축상의 점O 2를 중심으로 하는 반경R s 의 원호로 형성되어, Z 축 방향이 Y 축상의 점O 3을 중심으로 하는 곡률반경R aS 의 원호로 형성된 凸면을 가지는 입체를 요동체 11로 한다. 이 요동체 11을 공구로 하여 Y 축상의 점O 1(Y =0)을 중심으로 Z 축 주위에 X-X'축 방향에 각도 2θ 1로 요동시킨다. 한편, Y 축상의 점O 3를 중심으로 하는 곡률반경R aS 의 구상의 凹면을 가져, 점P 4가 최외주가 되는 지름 D 의 입체를 회전체 12로 하고 Y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킨다. 또 회전체 12는 전기 공구인 요동체 11에 의해 습동마모되어 본 발명의 凹면 반사경이 된다.
요동체 11이 요동하면 도 16에 나타낸 것처럼 회전체 12를 밀어올려, 원호P z' P d P z 에서 나타내는 요동체 11상의 원호와 선접촉한다. 또 점P d 와 점O 3를 잇는 선상에 점O 2의 요동위치인 점O 2'가 존재한다. 전기요동체 11의 凸면과 전기회전체 12의 凹면과의 습동마모에 의해 전기회전체 12의 凹면에서는 본원 발명의 구면형 반타원면의 일부를 이용한 구상면이 생성된다.
회전체 12에 생성된 凹면은 도 17에 나타낸 것처럼O 3를 중심으로 하는 반경R aS 의 구면상에 있지만, 그 구면상의 임의의 점 법선은O 3를 지나지 않는 구면상이다. 예를 들어 최외주 위치에 두는 점P 4는 곡률반경O 2 P 4와 곡률반경O 3 P 4에 의해 생성되므로, 점P 4의 법선은 ∠O 2 P 4 O 3의 2등분선과 일치해,O 2O 3사이의 점O 3'를 지난다.
여기서P 0 O 1 =O 1 O 2 =H 1 , O 2 O 3 =H 2 , O 1 O 3 =H 3 , O 2 O 3' =H 4 , O 3' O 3 =H 5 , O 2 P 4 =R S 2 , ∠O 2 P 4 O 3 3 , ∠O 3 ' P 4 O 3 4 3/2, ∠P 4 O 3' O 3 5 =180° 4 2로 하면H 2 =R aS -R s
R S 2 = H 2 2+R aS 2-2H 2 R aS cosθ 2
H 2 2=R S 2 2+R aS 2-2R S 2 R aS cosθ 3
이므로 이것으로부터θ 3를 구해,
에서O 3에서O 3'의 위치H 5를 구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에 의해 생긴 구상면이 반경R S 의 구면과 비례하기 때문에 전자를 좌측에 후자를 우측에 그린 것이다. 도 18의 우측의 반경R S 의 구면은R S /2의O 1이 초점이 되는 것이 이상적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예를 들면P 0 보다 45°의 위치에 凹면경으로 사용가능한 점P 4'에 입사하는 Y 축에 평행한 광선L 4'는 법선P 4' -O 2에 대한 입사각과 같은 각도의 반사각으로 반사해 초점f 4'에 모인다. 이 초점f 4'는 이상의 초점O 1으로부터δf 4'만큼 떨어져 있다. 점P 4'보다 안쪽의 점에 입사하는 평행광선의 초점은O 1에 근접한다.
이것에 대해 도 18의 좌측의 본 발명에 의해 생기는 구상면의 반경R aS 의 최외주 위치에 두는 점P 4에 입사하는 Y 축에 평행하는 광선L 4는 법선P 4 -O 3'에 대한 입사각과 같은 각도의 반사각으로 반사해서 초점f 4에 모인다. 이 초점f 4는 반경R s 의 구면 초점f 4'보다O 1에 가깝고 그 오차δf 4는 반경R S 인 구면의 경우의 오차δf 4'보다 작다. 점P 4보다 안쪽의 점에 입사하는 평행 광선의 초점은 초점f 4에서O 1에 가깝지만 그 한계는O 1에서부터의 거리가 거리O 1 -O 3'에 같은 점P 3이다. 즉P 3에 입사하는 평행광선L 3는 초점O 1으로 모여P 3보다 더욱 안쪽점에 입사하는 평행광선은 모두O 1에 모인다. 이렇게 본 발명에 의해 만들어진 구상면은 반경R S 의 구면과 비례하여 원축 광선에서는 초점거리의 오차가 적고 (δf 4δf 4'), 근축광선에서는 초점거리의 오차가 없어 모두 하나의 초점에 모인다.
도 19 는 凸면경을 습동마모에 의해 가공하는 실 형태를 나타낸다. 이 경우 전기 凹면경의 경우와 같이 원점을O 1으로 하는 X, Y, Z 의 입체 3 축 좌표의O 2O 3를 구한다. Y 축 상의 점O 3를 중심으로 하는 곡률 반경R aS 의 구상의 凹면을 가지는 입체를 요동체 21이라 한다. 또 이 요동체 21은 Y 축 방향으로는 이동가능 한다고 본다. 이 요동체 21을 Y 축 상의 점O 2를 중심으로 Z 축 주위에 X-X'축 방향으로 2θ 1만큼 요동시킨다.
한 편 Y 축 상의 점O 3를 중심으로 하는 곡률 반경R aS 의 구상의 凸면을 가지는 입체를 회전체 22 라 하고 이 회전체 22 를 홀더 23 으로 떠받쳐 Y 축 주위에회전시킨다. 이 회전체 22 는 전기 공구이 요동체 21 에 의해 습동마모시켜 본원 발명의 凸면 반사경이 된다. 전기 요동체 21 의 凸면과 전기 회전체 22 의 凹면을 습동마모에 의해서 전기 회전체 22 의 凸면에서는 본원 발명의 구면형 반타원의 일부를 이용한 구상면이 만들어진다. 이렇게 해서 만들어진 凸면경은 도 20 에 나타낸 것처럼 凹면경인 경우와 광선의 입사 방향이 다를 뿐이고 그 반사 특성은 같으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구상면을 凹면경 및 凸면경의 반사면으로 이용하는 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구상면은 이것에 한하지 않고 凹렌즈 및 凸렌즈 등의 굴절면으로 이용할 수 있다. 굴절면은 초점을 정하는 방법이 반사면과는 다르다. 즉, 반경R s 의 굴절면에서 공기 중으로 나오는 평행광선의 초점거리 F는, 유리에서 공기 중으로의 굴절률을 Nd라고 하면, 다음 식으로 주어진다.
F =R S /(Nd-1)
굴절률을 1.5라 하면F = 2R S 가 된다.
굴절면의 경우 본 발명의 구상면을 구성하는 기준이 되는 세 점O 1 , O 2 , O 3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즉 도 21 에 나타낸 것처럼 점O 1을 입체 3축의 원점이라 한다. 다음에 원점O 1을 중심으로 주어진 초점거리 F 의 1/2 배의 F/2 를 반경R s 로 하는 반원을 X-Y 평면의 Y 축 정면에 그려 반원상에 Y 축상의 점 P(O,R S )보다 45°떨어진 위치에 점 PH 를 구해 점 PH 보다 초점거리 F 만큼 떨어진 Y 축상에 점f 를 구해 점 PH 와 점 f 를 잇는 선분이 X 축과 교차하는 위치에S 2를 구해 점S 2를 중심으로 X 축상의 점P x' (-R S ,0)를 지나는 원호가 점 PH와 점 f를 잇는 선분과 교차하는 위치에 점P 4를 구해 점P 4보다 Y 축상에 초점거리 f 만큼 떨어진 위치에 점O 3를 구한다. 또 점O 3를 중심으로 점P 4를 지나는 반경 F의 원호가 Y 축과 교차하는 위치를P 0 로 하고 점P 0 에서 거리R S 떨어진 위치에 점O 2를 구한다. 또,O 3는 다음과 같이 구한다. 전술한 원점O 1을 중심으로 하는 반경R S 의 반원상 점 P(0,R S )보다 원점O 1에 향해 임의거리H 1(H 1R S /2)만큼 떨어진 위치에P 0 를 구해P 0 로부터 초점거리 F 만큼 떨어진 Y 축상의 위치에 점O 3를 구한다.
이상과 같이 구한 세가지 점O 1 , O 2 , O 3를 기준으로 凹와 凸의 굴절면을 만드는 방법은 전기 반사면을 만드는 방법과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구상면을 이용한 반사면 또는 굴절면은 많은 분야에서 활용할 수있다. 예를 들면 천체 망원경이나 쌍안경, 현미경, 카메라에서는 같은 배율이라도 구경이 크고 밝아지므로 광범위하게 관찰할 수 있다. 광학측정기, 안경 등에서는 시야가 넓어져 얇고 가볍게 제작할 수 있다. 의료용 내시경으로는 구경을 작고 고성능으로 제작 가능하다. 레이저 기기나 탐조등에서는 소형화, 고성능화가 가능하다. 차량용 헤드램프는 소출격으로 광범위한 원거리 시계를 확보할 수 있다. 태양열 집열기에서는 집열효과가 좋아진다. 또한 전파나 열의 반사면으로도 이용가능 하다.
본 발명의 구상면은 반사경이나 렌즈로 그대로 이용하는데 한하지 않고, 플라스틱 렌즈 제조형의 금형이나 유리몰드에도 이용할 수 있어 이것에 의해 고정도이며 구면수차가 거의 일어나지 않는 렌즈를 대량 제공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의하면 원축광선에 대해서는 초점거리의 오차가 적고, 근축광선에 대해서는 한 점에 모여 초점거리의 오차가 없기 때문에 종래의 반사경이나 렌즈에 있어서 초점오차에 의한 구면 수차의 문제가 해소되어 이상적인 반사경이나 렌즈를 얻을 수 있다. 또 주어진 초점거리로부터 구성 곡률면을 설계해 구성곡률면에 습동마모에 의해 구상면을 만들기 때문에 설계가 용이하고 제조장치도 싸고 가공도 간단하여 고정도로 가공할 수 있다.

Claims (5)

  1. 반구형상의 비구면을 갖는 렌즈에 있어서,
    비구면(4)의 곡률반경은 반구의 수평면(5)에서 시계 방향으로 반구의 원주면을 따라 원점(O1)에 수직선과 만나는 반구면의 중심점(P점)까지 제 1곡률반경(1)이 Px'S2이며, 이어지는 제 2곡률반경(2)이 Ras이며, 이어지는 제 3곡률반경(3)이 Rs이며, 연이어 중심점(p)에서 시계 방향으로 수평면까지 제 3곡률반경(3)이 Rs이며,이어지는 제 2곡률반경(2)이 Ras이며. 이어지는 제 1곡률반경(1)이 Px'S2이며,
    여기서, 제 1곡률반경(1)인 Px'S2, 제 2곡률반경(2)인 Ras, 제 3곡률반경(3)인 Rs은 다음과 같이 정의되는 곡률반경으로서,
    Rs는 원점을O 1으로 하는 X, Y, Z 의 입체 3축을 설정하고. 이 입체 3축의 원점O 1을 중심으로 하여, 주어진 초점거리 F의 2배(2F)위치의 Y축상의O2를 원점으로 하는 곡률반경이고,
    Ras는 원점을O 1으로 하는 X, Y, Z 의 입체 3축을 설정하고. 이 입체 3축의 원점O 1을 중심으로 하여, 주어진 초점거리 F의 2배(2F)를 반경R s 로 하는 반원을 X-Y평면의 Y축의 정면을 그린 다음에 Y축상의 점P 0 (0,R s /2)와 X축상의 점P x (-R s , 0)를 잇는 선분상에, 점P 0 에서 거리R s /2 떨어진 위치에 점 S를 구해서 점 S와 점P x 의 중점을S 1이라 하며,S 1을 지나는 점 S와 점P x 의 수직 2등분선이 Y축과 교차하는 위치를 점O 3라 하고, X축과의 교점을S 2라 하며, 여기서 선분P 0 P x' , P x' S 1 , P 0 S 1은 각각 다음 식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P 0 O 3R aS 로 하고 ∠P 0 O 3 S 1=∠P 0 P x O 1=θ 2로 하면,R aS 는 다음 식으로 나타내어지며O 3를 원점으로 하는 곡률반경이며,
    P x' S 2는 원점을O 1으로 하는 X, Y, Z 의 입체 3축을 설정하고. 이 입체 3축의 원점O 1을 중심으로 하여, 주어진 초점거리 F의 2배(2F)를 반경R s 로 하는 반원을 X-Y평면의 Y축의 정면을 그린 다음에 Y축상의 점P 0 (0,R s /2)와 X축상의 점P x (-R s , 0)를 잇는 선분상에, 점P 0 에서 거리R s /2 떨어진 위치에 점 S를 구해서 점 S와 점P x 의 중점을S 1이라 하고,S 1을 지나는 점 S와 점P x 의 수직2등분선이 Y축과 교차하는 위치를 점O 3라 하고, X축과의 교점을S 2라 하며 이S 2점과 Px'점을 반경으로 하고S 2을 원점으로 하는 곡률반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선 반사면 및 굴절면에 사용하는 구상면이 있는 렌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볼록렌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선 반사면 및 굴절면에 사용하는 구상면이 있는 렌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오목렌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선 반사면 및 굴절면에 사용하는 구상면이 있는 렌즈.
  4. 삭제
  5. 삭제
KR1019990040503A 1999-09-20 1999-09-20 광선 반사면 및 굴절면에 사용하는 구상면이 있는 렌즈 KR1003303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0503A KR100330345B1 (ko) 1999-09-20 1999-09-20 광선 반사면 및 굴절면에 사용하는 구상면이 있는 렌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0503A KR100330345B1 (ko) 1999-09-20 1999-09-20 광선 반사면 및 굴절면에 사용하는 구상면이 있는 렌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8322A KR20010028322A (ko) 2001-04-06
KR100330345B1 true KR100330345B1 (ko) 2002-04-01

Family

ID=19612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0503A KR100330345B1 (ko) 1999-09-20 1999-09-20 광선 반사면 및 굴절면에 사용하는 구상면이 있는 렌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03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04916B2 (ja) * 2001-02-09 2006-08-02 シャープ株式会社 撮像システムとその画像データ制御に用いられる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撮像システムにおける撮像画像の歪み補正方法とその手順を記憶させた記憶媒体
KR100845041B1 (ko) * 2006-12-29 2008-07-09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조명 장치용 렌즈와 이를 구비한 발광 다이오드 및 조명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81413A (ja) * 1986-09-26 1988-04-12 Canon Inc 球レンズ
US5220359A (en) * 1990-07-24 1993-06-15 Johnson & Johnson Vision Products, Inc. Lens design method and resulting aspheric lens
JPH07120679A (ja) * 1993-10-22 1995-05-12 Olympus Optical Co Ltd 共心光学系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81413A (ja) * 1986-09-26 1988-04-12 Canon Inc 球レンズ
US5220359A (en) * 1990-07-24 1993-06-15 Johnson & Johnson Vision Products, Inc. Lens design method and resulting aspheric lens
JPH07120679A (ja) * 1993-10-22 1995-05-12 Olympus Optical Co Ltd 共心光学系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8322A (ko) 200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24275B (zh) 自由曲面離軸三反成像系統
WO2007033381A1 (en) Solid catadioptric lens with two viewpoints
US7688522B2 (en) Lens and optical system
JPH1195106A (ja) 光学素子及びそれを用いた光学系
US20070177261A1 (en) Catadioptric telescopes
US20100073790A1 (en) Conic of Rotation (CoR) Optical Surfaces and Systems of Matched CoRs
EP2316046A2 (en) Imaging optics designed by the simultaneous multiple surface method
KR101858986B1 (ko) 쿠데형 비축 망원경 및 그 정렬 방법
JP4161280B2 (ja) 顕微鏡用角度可変鏡筒
KR100330345B1 (ko) 광선 반사면 및 굴절면에 사용하는 구상면이 있는 렌즈
WO2019106698A1 (en) Telecentric objectif
JP3220462B2 (ja) 反射式画角変換光学装置及び製造方法
US4504110A (en) Converging beam linear optical scanner
WO2022230416A1 (ja) 主鏡と位置をオフセットさせた副鏡とを有するオフセット光学システム
JP4246981B2 (ja) レーザ加工装置
JP2000015550A (ja) 光線反射面および屈折面に使用する球状面
JPH03249722A (ja) 光ビーム走査装置
JP2507912B2 (ja) 非同軸共焦点ズ―ム反射光学系
TW202136839A (zh) 自溫度焦點補償裝置
CN111487755B (zh) 自由曲面离轴三反成像系统
CN111487753B (zh) 自由曲面离轴三反成像系统
JPS59195210A (ja) 球面と円筒面よりなる2枚構成ト−リックレンズ
KR100305772B1 (ko) 단일 초점을 갖는 렌즈의 제작방법
JP2010015116A (ja) 複合放物面式望遠鏡
JPH04328500A (ja) コンデン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1

Year of fee payment: 1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