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0157B1 - 패킷 통신망 - Google Patents

패킷 통신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0157B1
KR100330157B1 KR1019997005923A KR19997005923A KR100330157B1 KR 100330157 B1 KR100330157 B1 KR 100330157B1 KR 1019997005923 A KR1019997005923 A KR 1019997005923A KR 19997005923 A KR19997005923 A KR 19997005923A KR 100330157 B1 KR100330157 B1 KR 1003301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communication
state
network
p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5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9784A (ko
Inventor
히데오 모리타
도쿠로 도이
유키치 사이토
모토시 다무라
다이스케 아키야마
히로시 나카무라
히사카즈 우에사카
Original Assignee
다치카와 게이지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치카와 게이지,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도코모 filed Critical 다치카와 게이지
Publication of KR20000069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97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0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01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5Maintenance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9Connection r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6Gateway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2Inter-network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24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backbone network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이동 통신망에 사용되는 고정망에서의 패킷 통신망의 제어에 관한 것이다.
(1) 일정 시간 내에, 일정 트래픽량 이상의 패킷의 송수신이 없는 유저에 대해서는, 통신 보류 상태로 한다. 통신 보류 상태로는, 「망 내의 리소스를 일단 해방하지만, 이동국과 다른 망과의 관문국에 있어서, 유저측 및 다른 망측에는, 마치 통신 설정 상태가 계속하고 있는 것처럼 행동함」을 가리킨다. (2) 통신 보류 상태의 유저가 패킷의 송신을 재개한 경우에는, 이동국이 유저의 조작 없이 재발호(再發呼) 처리를 행하여, 관문국까지의 통신 설정 상태를 재 설정한다. (3) 관문국에 있어서 통신 보류 상태의 유저에 대한 패킷의 수신을 재개한 경우에는, 관문국이 다른 망과의 제어 없이 재착신 처리를 행하여, 이동국까지의 통신 설정 상태를 재설정 한다. (4) (3)의 재착신 처리 실현을 위해서 이동국은 통신 보류 상태 천이 후에, 위치 등록 에어리어를 변경된 경우에는, 위치 등록을 한다.

Description

패킷 통신망{PACKET COMMUNICATION NETWORK}
일반적으로 패킷 통신 서비스 제공 사업자는, 패킷 서비스의 요금을, 접속 시간에 따른 통화 시간에 의해 과금하지 않고, 패킷 정보량에 따른 종량제 요금을 행하고 있다.
이는, 패킷 통신 서비스 개시 시에, 망 내의 각 패킷 교환 노드에서, 패킷 목적지 어드레스에 따라서 송달 목적지까지의 경로(送達先方路)를 결정하는 테이블을 기입 처리시켜 두면, 나중에는, 실제에 해당하는 어드레스를 지닌 패킷이 도착하기까지는, 특히 처리를 요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종량제 요금을 행하여도, 서비스 제공 사업자는 채산이 맞게 된다.
한편, 유저는 일단 패킷 통신을 개시하여 통신 루트를 확립하여 두면, 패킷을 송신하지 않는 한 과금되지 않는다. 이로 인해, 간헐적으로 저 정보 밀도의 통신을 행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항상 패킷 회선을 설정하여 둔다. 이와 같이, 항상 회선을설정함으로써, 정보를 송수신할 때마다 통신 설정을 할 필요가 없이, 정보가 생긴 임의의 타이밍으로 원활하게 패킷을 송수신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패킷 회선을 항상 설정하면, 패킷 회선망의 리소스(resource: 자원)중 이러한 설정 회선에 의해 점유되는 부분이 생긴다.
이렇게 점유되는 리소스는, 예를 들어, 전송 품질을 유지하기 위한 리소스이다. 그러나 패킷 회선을 설정하기 위해 점유되는 망 내의 리소스에 대해서는, 과금 대상이 되지 않는다.
반면에, 다른 유저가 나중에 통신을 설정하려고 하여도, 그 망 내의 리소스에 여유가 없는 경우에는, 통신을 할 수 없는 상태(이를 비지 상태라 함)가 되어버린다. (불특정) 다수의 유저가 어느 구간의 리소스를 공통 사용하는 경우에, 모든 유저에게 동시에 패킷 통신 서비스를 행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서는, 항상 각 유저에 대응하는 구간 내의 리소스를 준비해 두어야만 되어, 방대한 리소스를 준비해 두어야만 된다. 이는 통신 사업자에게, 경제적으로 부담이 크고, 또 심야대 등 리소스가 사용되지 않는 시간대가 있으면, 당연히 리소스가 쓸모 없게 된다.
또한, 이동 통신에서 패킷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에는, 유저가 이동하기 위해, 상기 패킷 송달 처리에 더하여 모빌러티 제어가 필요하게 된다. 즉, 이동국의 이동에 추종하여, 이동국과 통신을 행하는 무선 기지국을 전환시키는 처리인, 핸드 오버 처리가 필요하다. 이동 통신에 있어서 패킷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에는, 종량 요금에 대해서, 추가로 이동량에 따른 과금분을 더하는 것이 코스트 회수를 위해서는 바람직하지만, 유저에게는 고정망에서 일반적으로 제공되고 있는 서비스와 과금 방법이 다르다는 것은 받아들여지기 어렵다.
본 발명은 패킷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패킷 통신망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 통신에서의 패킷 통신망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망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개략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패킷 루팅 테이블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다른 망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서의 고정 패킷 통신망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단계적인 리소스 제어를 행하기 위한 패킷 통신망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망 내의 리소스의 상태 천이를 나타내는 상태 천이도.
도 8a∼도 8d는, 망 내의 리소스의 제어를 설명하는 도면.
도 9는 이동 통신망에 대해서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를 설명하는 도면.
도 10은 고정 패킷 통신망과 다른 망과의 접속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이동 통신망의 상세한 구성도.
도 12는 기준 시간을 유저마다 설정할 수 있는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유저가 기준 시간을 지정할 수 있는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통신 빈도에 의해 기준 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리소스의 사용율에 의해 기준 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소정 순서와 타이밍에서 리소스 해방하는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17은 리소스의 사용율에 따라서 해방할 수 있는 순서와 타이밍을 설정할 수 있는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18은 리소스의 해방을 설명하는 도면.
도 19는 리소스의 다른 해방을 설명하는 도면.
도 20a 및 도 20b는 패킷 통신망의 리소스 해방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20은 그들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발명의 개요]
따라서, 패킷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에는, 유저에 대해서 과금을 행하지 않는 상태에서의 회선의 유지, 즉 패킷 통신 유저가 통신 설정만 해두고, 실제로 패킷의 송수신이 없는 상태 또는 극히 적은 상태에서의 회선 상태를, 어느 정도 낮은 코스트로 유지하는가가 과제가 된다.
특히, 이동 통신의 경우에 있어서, 핸드 오버를 행하면서, 회선의 유지를 행하는 것이 과제가 된다.
이 경우, 실제로 유저가 데이터 통신을 행할 때에는 필요한 통신 속도를 제공할 수 있음을 최대한 보증하면서, 망 내의 리소스를 보다 많은 유저에게 배분하고, 경제적인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도 본 발명의 과제이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패킷 통신망에서의 리소스 관리에 있어서, 통신 설정 확립 후에 유저의 트래픽을 감시하고, 규정한 감시 조건을 만족한 경우에, 유저의 통신 상태를 통신 보류 상태로 함으로써 유저 할당 리소스의 적어도 일부를 개방하고, 통신 보류 상태에서, 패킷 통신을 개시하면 통신 상태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신 보류 상태로는, 유저·코넥션의 어느 구간에 있어서의 전송로 리소스와 중계 노드·리소스를 해방하고, 상기 구간 내의 리소스는 다른 유저가 사용할수 있는 상태이다.
통신 상태로부터 통신 보류 상태로의 상기 감시 조건은, 기준 시간 내에 유저·패킷의 송수신이 없는 것이다.
상기 감시는, 각 유저가 패킷을 송수신하지 않은 시간을 계측하여, 상기 계측한 시간을 송신함으로써 행하고, 상기 보류 상태 설정은, 송신된 상기 계측 시간을 수신하여, 상기 계측한 시간과 미리 결정된 기준 시간을 비교하여, 상기 계측한 시간이 기준 시간을 넘은 것을 알리고, 기준 시간을 넘은 것이 알려져서, 유저에게 할당된 리소스의 해방 지시를 제출하고, 제출된 상기 해방 지시에 의해, 유저에게 할당된 리소스를 해방함으로써 행할 수도 있다. 상기 리소스를 해방은, 시간에 따라서 리소스 상태를 변화시키는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시간에 따라서 리소스 상태를 변화시키는 경우, 보류 상태의 유저에게 우선적으로 할당되는 상태를 갖는 것일 수도 있다.
상기 보류 상태 설정은, 또한 기준 시간을 변경하는 것일 수도 있다. 이 경우, 기준 시간의 변경은, 예를 들어, 유저마다 결정된 기준 시간을 등록하고, 기억하여 두고, 유저마다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기준 시간을 참조하여 행할 수도 있다.
또한, 유저가 기준 시간을 지정하여도 되고, 유저마다 통신을 이용하는 빈도를 계측하여, 상기 빈도에 기초하여 기준 시간을 계산하여, 설정할 수도 있다.
그 외에, 망 내 리소스의 사용율을 항상 감시하여, 사용율에 따라서 기준 시간을 설정하여도 된다.
상기 리소스를 해방 단계는, 또한, 유저마다 확보되어 있는 리소스의 해방의 순서와 타이밍의 제어를 행하는 해방 제어 단계를 포함하여도 된다.
이 해방 제어는, 미리 정해진 순서와 타이밍에서 해방의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통신 보류 상태에 있어서의, 통신 상태인 측에서의 접속 확인에 대해서, 통신 보류 상태인 구간의 끝점인 노드는, 접속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의사적으로 반송하는 접속 확인 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통신 보류 상태에서, 통신 보류 상태인 구간의 끝점의 노드는, 통신 상태인 측에 대해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는 접속 확인 신호를 송출하고 있다. 상기 끝점의 노드는, 상기 접속 확인 신호의 송출에 의해서, 접속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없는 경우에는, 통신 종료로 한다.
또, 통신 보류 상태에서 통신 상태로 복귀는, 통상의 발착신에서의 절차를 이용하고 있다.
보류 상태로 이행(移行)할 때에, 복귀하기 위한 루팅·테이블을 통신 보류 상태인 구간의 끝점 노드에 기억해 두어도 된다.
상기 패킷 통신망이 이동망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통신 보류 상태에 있어서, 이동국의 위치 등록은 통상 수신 대기 상태와 마찬가지로 행하여도 된다.
또한, 유저가 이동한 것을 전하고, 유저에 관한 정보를 이동 목적지의 정보를 이용하여 관리하고, 유저에 관한 정보에 따라서 망 내 리소스를 확보하고, 관리해 둘 필요가 없어진 유저에 관한 정보를 삭제하고, 이동 출발지의 리소스를 해방하여도 된다.
[발명의 실시 형태]
[실시 형태 1]
실시 형태 1로서, 우선, 이동 유저∼다른 망 유저간에 있어서 패킷 통신을 행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도 1은 망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에 있어서, MS는 이동국, BTS는 무선 기지국, MSC는 교환국(중계국), SCP는 서비스 제어 장치이다.
이동국에는 복수의 패킷 통신 단말(유저)이 접속되고, 1개의 이동국에 있어서 복수의 통신이 동시에 가능하다. 패킷 통신을 위해 이동국과 유저 단말 사이에 어댑터가 필요하게 되는 경우가 있으나, 여기서는 이동국의 하나의 기능으로서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무선 기지국(BTS11∼BTS1N)은 로케이션 에어리어(LA1), 무선 기지국(BTS21∼BTS2N)은 로케이션 에어리어(LA2), 무선 기지국(BTS31∼BTS3N)은 로케이션 에어리어(LA3)에 대응하는 무선 액세스를 제공하고 있다. 교환국(MSC1, MSC2)은 그들의 무선 기지국을 임의로 수용하고 있다. 교환국(MSC3, MSC4)은 교환국(MSC1, MSC2)에서 집약한 정보를 중계하고 있다. 교환국(MSC5, MSC6)은 다른 망 1, 2와의 관계 기능을 맡고 있다. 각 교환국은, 기본적으로 정보 교환을 행하는 점에서 동일한 장치이지만, 망 기능 구성에 따라서, 가입자 MSC, 중계 MSC 등의 기능을 맡고 있다. 구성에 따라서 이들 교환국의 복수 기능을 1개의 교환국에 병합하여도 좋다. 서비스 제어 장치(SCP)는, 서비스 제어를 위한 가입자 정보, 이동국의 위치 정보 등을 격납하고 있다.
여기서,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개략을 설명한다. 도 2에서, DTE는 이동기(MS)에 접속하여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장치(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 등)이다. BTS-T는 무선 기지국, MSC-L은 가입자 교환국, MSC-T는 중계 교환국, MSC-G는 다른 망과 접속하기 위한 관문국(關門局)이다. 도 2의 구성은, 도 1의 구성에 있어서, 통신 루트를 구성하고 있는 노드 등을 누락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이동국(MS)은, 무선 기지국(BTS) 등을 통해, 다른 망과의 사이에서 패킷 교환을 위한 통신 루트를 설정하고 있다. 통신 루트의 상태로는 도 2의 (a) 통신 설정 상태와 (b) 통신 보류 상태가 있다. 이에 대해서 설명한다.
(1) 일정 시간 내에, 일정 트래픽량 이상의 패킷의 송수신이 없는 유저에 대해서는, 통신 보류 상태로 한다. 통신 보류 상태로는, 「망 내의 리소스를 일단 해방하지만, 이동국과 다른 망과의 관문국에 있어서, 유저측 및 다른 망측에게는, 마치 통신 설정 상태가 연속하는 것과 같이 행동할 것임」을 가리킨다.
(2) 통신 보류 상태의 유저가 패킷의 송신을 재개한 경우에는, 이동국이 유저의 조작 없이 재접속 처리(예를 들어, 재 발호 처리)를 행하여, 관문국까지의 통신 설정 상태를 재 설정한다.
(3) 관문국에서 통신 보류 상태의 유저에 대한 패킷의 수신을 재개한 경우에는, 관문국이 다른 망과의 제어 없이 재접속 처리(예를 들어, 재 착신 처리)를 행하여, 이동국까지의 통신 설정 상태를 재 설정한다.
(4) (3)의 재접속 처리(예를 들어, 재 착신 처리) 실현을 위해 이동국은 통신 보류 상태 천이 후에, 위치 등록 에어리어가 변경된 경우에는, 위치 등록을 행한다.
도 1로 돌아가서, 상술한 개요에서 설명한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동국 발신)
먼저, 이동국이 발신하고, 관문 교환국까지의 통신 설정 동작을 설명한다.
이동국(MS1)은, 재권 무선 기지국(예를 들어 BTS11)을 통하여 가입자 중계국(예를 들어, MSC1)에 대하여 패킷 통신을 개시하기 위한 발신 신호를 송출한다. 가입자 중계국(MSC1)에서는, 발신 신호를 분석하고, 착신 목적지를 분석 판정한다. 그래서, 예를 들어 착신 목적지가, 다른 망 1에 포함되는 경우에는, 관문 중계국(MSC5)까지의 통신 설정, 즉 통신 패스(무선 채널, 가입자 패스, 중계 패스 등) 및 통신 처리 리소스(핸드 오버·트렁크, 서비스 처리 트렁크, 트랜잭션 등의 리소스)를 획득·처리한다.
착신 목적지의 분석·판정은 가입자 중계국 내에서 분석을 위한 장소 데이터를 가지고 분석하여도 되고, 서비스 제어 장치 내에서 분석을 위한 장소 데이터를 가지고 가입자 중계국이 문의를 행함으로써 행하여도 된다.
관문 중계국(MSC5)은 다른 망 1 내의 대향 관문 노드와 통신하고, 관문 중계국∼다른 망 대향 관문 노드 및 다른 망 1 내에서의 상대방까지의 통신 설정을 해결한다(다른 망 1이 새로이 제3 망으로의 중계를 행하여도 된다).
또한, 관문 중계국(MSC5)과 다른 망 1의 대향 관문 노드 전에, 특정 유저 대응의 패킷·어드레스, 또는 복수의 유저의 그룹에서 공통의 패킷·어드레스의 일부를 결정하여 둠으로써, 망간의 통신 설정을 정상적으로 설정하여 두고, 유저의 통신 설정 시는 망 내의 통신 설정만 하여도 된다(패킷·어드레스의 예로서는, IP 패킷·어드레스, e-mail 어드레스나 도메인 네임 등이 열거된다).
이상의 동작에 의해, 이동국 유저로부터 다른 망 내에 있는 상대방 유저까지의 통신 패스 및 처리를 위한 리소스를 확립하고, 이후 특정 어드레스를 지닌 패킷을 서로 송수신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 형태에는 이 어드레스의 부여 방법, 어드레스를 이용한 루팅 방법에 관해서는 특별히 상세히 서술하지 않지만, 망 내에 관해서, 이 어드레스 부여, 루팅 방법을 크게 나누면, 이동국∼관문국까지 유일한 어드레스를 이용한 경우와 복수의 어드레스를 인계(引繼)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어느 경우에도 중계국, 무선 기지국에서 유저가 사용하는 어드레스와송달 목적지의 패스나 채널과의 대응 관계를 테이블 관리함에는 차이가 없다. 또한, 전송 방식에 의해서 송신측과 수신측의 어드레스에 동일값을 이용한 경우와 다른 값을 이용한 경우가 있으나, 이것도 송신측과 수신측의 테이블을 공통으로 관리하는가 또는 독립으로 관리하는가의 문제이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어느 경우에도 대응 가능하다.
여기서, 통신 패스의 설정을 행함으로써, 각 패킷 전달·교환 노드(이동국, 무선 기지국, 각 중계국)에 생성되는 패킷·루팅·테이블의 예를 도 3에 나타낸다. 이동국을 예로 들면, 이동국은 복수 유저로부터 다른 패킷·어드레스를 지닌 패킷을 인수하고, 입력 포트/채널이나 입력 패킷·어드레스에 의해, 출력하는 무선 채널을 판별한다. 무선 구간에서 사용하는 패킷·어드레스를 입력 어드레스로부터 변경하는 경우에는, 이동국에서 테이블을 참조하여, 입력 패킷·어드레스를 출력 패킷·어드레스로 재기입한다(송출 무선 채널이, 그 유저의 패킷만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무선 구간에서는 이 패킷·어드레스가 여분(redundancy)이 되므로, 생략할 수 있다).
무선 기지국에서는, 입력 무선 채널과 입력 패킷·어드레스로부터 출력하는 회선을 판정하고, 또 필요하면 출력 어드레스로 재기입한 후에 출력 회선으로 송출한다. 이후 가입자 중계국, 중계 중계국에서도 마찬가지로 루팅되어, 최종적으로 관문 중계국으로부터 다른 망으로 인도된다.
(이동국 착신)
그런데, 유저가 접속되는 이동국에 패킷 통신 개시를 위한 착신을 받기 위해서는, 이동국이, 항상 위치 등록을 행하여, 이동국이 속하는 로케이션 에어리어를망측에 전해 둘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동국은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보고되는 정보 등을 기초로, 이동국이 새로운 로케이션·에어리어에 들어온 것으로 판단하면, 재권 무선 기지국, 중계국을 통해서 서비스 제어 장치에 대해서 최신 로케이션·에어리어를 등록한다.
또한 유저는 현재 자신이 접속하고 있는 이동국을 미리, 마찬가지로 서비스 제어 장치로 전하여, 착신 등록을 행한다.
그래서, 유저가 접속되는 이동국의 위치 등록 및 유저의 착신 등록이 완료되었음을 전제로, 이후 관문 중계국(MSC5)에 대해서 다른 망 1로부터 유저로의 착신이 있는 경우를 서술한다.
관문 중계국(MSC5)은 다른 망 1의 대향 관문 노드와 통신하고, 관문 중계국∼다른 망 대향 관문 노드의 통신 설정 처리를 행한다. 또한, 관문 중계국(MSC5)과 다른 망 1의 대향 관문 노드 사이에, 앞서 서술한 정상적인 어드레스의 결정이 이루어져 있는 경우에는, 이 망간의 통신 설정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그 경우에 다른 망으로부터의 패킷 수신을 착신 신호로 하여, 망 내의 착신 처리를 기동하여도 된다.
다음에, 관문 중계국(MSC5)으로부터 유저까지의 통신 설정을 행하지만, 유저가 어느 무선 기지국에 재권하고 있는가를 판정하기 위해서, 페이징을 행한다.
페이징을 위해서, 관문 중계국(MSC5)은 서비스 제어 장치(SCP)에 대해서 다른 망 1로부터 수신한 착신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착신 유저의 식별자, 또는 미리 결정된 패킷 어드레스를 통지하고, 서비스 제어 장치(SCP)는 착신 유저의 식별자 또는결정된 패킷 어드레스로부터, 착신 유저의 착신 등록 상태를 참조하여, 착신 유저가 접속되는 이동국을 판정하고, 또 이동국의 위치 등록 상태로부터 로케이션·에어리어를 판정한다. 그 후, 로케이션·에어리어를 수용하는 무선 기지국군으로부터 착신 이동국을 페이징하고, 이동국의 응답이 있는 무선 기지국을 재권 무선 기지국으로 하여, 발신 시와 마찬가지로 이동국∼관문 중계국간의 통신 설정을 행한다. 이 이후, 패킷의 송수신이 가능하게 된다.
(발신 설정 후의 핸드 오버)
발착신에 의해 통신 설정이 완료된 후에는, 이동 유저와 상대방 유저 사이에 임의의 타이밍에서 패킷의 송수신이 가능하다. 이 상태에서, 이동 유저가 예를 들어 재권하고 있던 무선 기지국(BTS11)으로부터 무선 기지국(BTS12) 방면으로 이동하여, 무선 기지국(BTS11)으로부터 무선 기지국(BTS12)에 재권을 넘기는 경우에, 핸드 오버를 실행한다. 이 핸드 오버 처리는, 무선 방식이나 핸드 오버의 이동 방법에 의해서 여러 가지 방법이 있다.
본 발명은, 핸드 오버 처리의 방법은 특정하지 않지만, 실제로 이동 유저와 상대방 유저간에 일정 시간 내에, 일정 트래픽량 이상의 패킷의 송수신이 있는 한, 이 핸드 오버 처리를 실행하여, 재권 무선 기지국 및 루팅·루트를 갱신한다.
(통신 보류 상태로의 이행)
바람직하게는, 이동국 또는 관문 중계국(또는 이동국 및 관문 중계국)은, 특히 유저의 패킷의 유량을 감시하고, 어느 일정 시간 내에, 일정 트래픽량 이상의 패킷의 송수신이 없는 경우(예를 들어 10분간에 1패킷 이상의 송수신이 없는 경우)에는, 통신 보류 상태로의 이행을 결정한다(단 이 감시 및 결정은, 패킷의 루팅·루트 내의 노드이면, 이동국, 관문 중계국 이외의 노드이어도 좋다).
통신 보류 상태로의 이행을 결정하면, 통신 보류 상태로의 이행을 결정한 노드는, 통신 보류 상태로의 트리거 신호를 송출하고, 이 트리거 신호에 의해, 통신의 재설정을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리소스를 제외하고, 망 내의 모든 리소스를 해방한다.
그래서,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유저 및 다른 망으로는, 통신이 연속하고 있는 것처럼 행동할 수 있도록, 최소한의 리소스를 확보하여, 통신 보류 상태로부터의 복귀 시에 유저나 다른 망으로부터의 통신 재설정이 필요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통신의 재설정을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리소스는,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이동국에서의 패킷·루팅·테이블의 유저측과의 설정 조건
·관문 중계국에서의 패킷·루팅·테이블의 다른 망측과의 설정 조건
상기 이외의 리소스에 대해서는, 해방 가능하다.
이 리소스를 이용하는 경우, 이동국측과 관문국측에 있어서 재발호/재착신 파라미터 유지 기능이 필요하다. 혹은, 이 저장 장소를 서비스 제어 장치(SCP)로 하여도 된다. 이동국측/관문국측에서, 파라미터를 격납한 테이블을 유지하는 경우, 재발호/재착신에 대비하여, 이동국측/관문국측 양측에 상기 테이블을 저장할 필요가 있다. 그로 인해 보류 상태로 이행할 때에는, 보류 상태로의 이행 판단을 행한 측의 테이블을, 경우에 따라서는 상대방측(반대측)에 맞추어 변화하고, 전할 필요가 있다.
이후, 이동국과 관문 중계국에서는, 통신 보류를 행한 유저로부터의 패킷 통신 재개를 감시한다(단, 이동국∼관문 중계국 이외를 보류 구간으로 하는 경우에는, 그 보류 구간의 양단의 노드에서 감시한다).
(통신 보류 상태 중의 위치 등록)
통신 보류 상태로의 이행 후, 이동국은, 통신 설정이 없는 상태와 마찬가지로, 이동국이 새로운 로케이션·에어리어에 들어간 경우에는, 서비스 제어 장치에 대해서 최신의 로케이션·에어리어를 등록한다. 여기서 사용하는 위치 등록 방식은, 장소 베이스 위치 등록 이외의 시간 베이스 위치 등록이나 거리 베이스 위치 등록이어도 된다.
(통신 보류 상태 중의 접속성 확인 신호에 대한 처리)
통신 중에 있어서, 유저·코넥션의 접속성을 확인하는 신호가 존재한다.
통신 보류 중에 있어서는, 이 신호에 대해서, 이동국에 접속되어 있는 이동 단말로부터의 신호에 대해서는 이동국에서, 다른 망측의 단말에 대해서는 관문국에서, 마치 상대방측 단말로부터의 확인하는 신호인가와 같은 신호를 가공하여, 반복하여 의사적으로 대응한다.
또한, 역으로 이동국은 접속되어 있는 단말에 대해서, 이동망 측의 관문국은 다른 망측의 단말에 대해서, 각각 단말이 접속되어 있는가 어떤가의 접속성 확인 신호를 송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상기 확인 신호 등을 사용하여 단말에 대한 접속성 확인을 행할 수 있다. 이 접속성 확인 신호에 의해 접속성을 확인할 수 없는 경우에는 중단이 된다. 중단이되면, 절단을 위해 이동국으로부터 관문국, 또는 관문국으로부터 이동국측으로 통신 종료를 전한다. 이 경우, 이동국 또는 관문국은 아직 보류 상태인 측과의 통신 종료 처리를 한다.
(통신 보류 상태로부터의 재접속-1)
이동국이 통신 보류 중의 유저로부터의 패킷 송신 재개를 검출한 경우에는, 패킷 송신 재개를 트리거로 하여, 보류 구간의 재접속을 행한다. 재접속의 실현 방법의 일 예로서는, 이동국에서의 패킷·루팅·테이블의 유저측과의 설정 조건(해방하고 있지 않음)을 사용하여, 이동국 발신과 마찬가지의 절차로 관문 중계국(MSC5)까지의 통신 설정을 행한다. 이에 의해, 유저로부터의 특별한 조작 없이 패킷의 송수신이 가능하게 된다.
(통신 보류 상태로부터의 재접속-2)
관문 중계국이 통신 보류 중의 유저측으로의 패킷 수신 재개를 검출한 경우에는, 패킷 수신 재개를 트리거로 하여, 보류 구간의 재접속을 행한다. 재접속 실현 방법의 일 예로서는, 이동국 착신과 마찬가지의 절차로, 관문 중계국에서의 패킷·루팅·테이블의 다른 망측과의 설정 조건(해방하고 있지 않음)을 사용하여, 이동국까지의 통신 설정을 행한다. 이에 의해, 다른 망으로부터의 특별한 제어 없이 패킷의 송수신이 가능하게 된다.
또, 이 재접속을 위해서, 이동국이 통신 보류 상태 중의 위치 등록을 갱신하고 있음이 전제가 된다.
(통신 보류 상태로부터의 통신 종료)
이동국측/관문국측으로부터의 접속성 확인 신호에 대해서, 각 단말로부터의 응답이 없는 경우에는 통신 종류가 된다. 이 경우, 이동국측으로부터 관문국측, 또는 관문국측으로부터 이동국측으로 통신 종료를 전한다. 이 경우, 이동국측 또는 관문국측은, 아직 보류 상태인 측(이동국측에서 응답이 없는 경우는 관문국측, 관문국측에서 응답이 없는 경우는 이동국측)에서, 통신 종료 처리를 한다.
이와 같이, 이동국에 접속된 단말과, 다른 망에 있는 단말이, 패킷 통신을 행하는 경우에, 회선의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행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
(이동 유저∼이동 유저간의 통신)
실시 형태 1에서는 이동 유저와 다른 망간의 통신 예를 설명했으나,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동 유저∼이동 유저간의 통신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이동 유저∼이동 유저간의 통신을 행하기 위한 망 구성을 설명한다. 도 4는, 도 1에 대해서 관문 중계국을 생략한 도면이고, 그 외에 대해서는 마찬가지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동국 발착신)
도 4를 이용하여, 이동국(MS1)이 발신하고, 이동국(MS2)이 착신하는 경우의 통신 설정 동작을 서술한다.
이동국(1)은 재권 무선 기지국(예를 들어 BTS11)을 통해서 가입자 중계국(MSC1)에 대해서 패킷 통신을 개시하기 위한 발신 신호를 송출한다. 가입자 중계국(MSC1)은, 발신 신호를 분석하고, 착신 목적지를 분석·판정한다. 착신 목적지가 이동 유저인 경우에는, 서비스 제어 장치(SCP)에 착신 단말의 재권 LA를 문의하여, 그 LA 내에서 착신 이동 유저가 어느 무선 기지국에 재권하고 있는가를 판정하기 위해서, 페이징을 행한다.
페이징을 위해서, 가입자 중계국(MS1)은 서비스 제어 장치(SCP)에 대해서 발신 유저로부터 수신한 발신 신호에 포함되는 착신 유저의 식별자를 통지하고, 서비스 제어 장치(SCP)는, 착신 유저의 식별자로부터 착신 유저의 착신 등록 상태를 참조하여, 착신 유저가 접속되는 이동국을 판정하고, 또 이동국의 위치 등록 상태로부터 로케이션·에어리어를 특정한다. 그 후, 해당 로케이션·에어리어를 수용하는 무선 기지국군으로부터 이동국을 페이징하고, 이동국의 응답이 있는 무선 기지국의 재권 무선 기지국(예를 들어 BTS31)으로서, 발신 이동국(MS1)∼착신 이동국(MS2) 간의 통신 설정을 행한다. 도 4의 망 구성에서는, 각각의 재권 무선 기지국을 집약하는 가입자 중계국간에 회선이 있으므로, 예를 들어, 이동국(MS1)∼무선 기지국(BTS11)∼중계국(MSC1)∼중계국(MSC2)∼무선 기지국(BTS31)∼이동국(MS2)과 같이 통신 루트를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통신 루트를 설정한 이후, 패킷의 송수신이 가능하게 된다.
통신 패스의 설정을 행함으로써, 각 패킷 전달·교환 노드(이동국, 무선 기지국, 각 중계국)에 생성되는 패킷·루팅·테이블은,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도 3을 사용하여 설명한 것과 같다.
(통신 설정 후의 핸드 오버)
통신 설정 후의 핸드 오버는, 실시 형태 1에서 서술한 바와 같다. 실시 형태2에서는, 이동국(MS1) 및 이동국(MS2)이 각각 독립하여 이동하기 때문에, 핸드 오버 처리도 각각 이동국(MS1) 및 이동국(MS2)에서 독립하여 처리된다.
본 발명이 특징으로 하는 제어인 보류 상태의 제어에 대하여 설명한다.
(통신 보류 상태로의 이행)
이동국(MS1) 또는 이동국(MS2)(또는 MS1 및 MS2)은, 특정 유저의 패킷의 유량을 감시하고, 어느 일정 기간 내에, 일정 트래픽량 이상의 패킷 송수신이 없는 경우에는, 통신 보류 상태로의 이행을 결정한다(이 결정은, 패킷의 루팅·루트 내의 노드이면, 이동국 이외의 노드(중계국 등)이어도 된다).
통신 보류 상태로의 이행을 결정하면, 통신 보류 상태로의 이행을 결정한 노드는, 통신 보류 상태로의 트리거 신호를 송출하고, 이 트래픽 신호에 의해, 통신의 재설정을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리소스를 제외하고, 망 내의 모든 리소스를 해방한다.
통신 재설정을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리소스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이동국(MS1 및 MS2)에서의 패킷·루팅·테이블의 유저측과의 설정 조건
상기 이외의 리소스에 대해서는 해방 가능하다.
이 리소스를 이용한 경우, 이동국측과 관문국측에서 재발호/재착신 파라미터 저장 기능이 필요하게 된다. 혹은, 이 저장 장소를 서비스 제어 장치(SCP)로 하여도 된다. 이동국측/관문국측에서, 파라미터를 격납한 테이블을 저장하는 경우, 재발호/재착신에 대비하여, 이동국측/관문국측 양측에서 상기 테이블을 저장할 필요가 있다. 그로 인해 보류 상태로 이행할 때에는, 보류 상태로의 이행 판단을 행한측의 테이블을, 경우에 따라서 상대방측(반대측)에 맞추어 변환하여, 전할 필요가 있다.
이후, 이동국(MS1) 및 이동국(MS2)에서는, 통신 보류를 한 각각의 유저로부터의 패킷 통신 재개를 감시한다.
(통신 보류 상태 중의 위치 등록)
통신 보류 상태로의 이행 후에는, 이동국(MS1) 및 이동국(MS2)은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이고, 통신 설정이 없는 상태와 마찬가지로, 이동국이 새로운 로케이션·에어리어로 들어간 경우에는, 서비스 제어 장치에 대해서 최신 로케이션·에어리어를 등록한다.
(통신 보류 상태로부터의 재접속)
이동국(MS1) 또는 이동국(MS2)이 통신 보류 중의 유저로부터의 패킷 송신 재개를 검출한 경우에는, 패킷 송신 재개를 트리거로 하여 보류 구간의 재접속을 행한다. 재접속의 실현 방법의 일 예로서는, 이동국 발, 착신과 마찬가지의 절차로, 이동국(MS1) 또는 이동국(MS2)에서의 패킷·루팅·테이블의 유저측과의 설정 조건(해방되어 있지 않음)을 사용하여, 상대방 이동국까지의 통신 설정을 행한다. 이에 의해, 각각의 유저로부터의 특별한 제어 없이 패킷의 송수신이 가능하게 된다.
또, 이 재접속을 위해서, 이동국(MS1) 및 이동국(MS2)이 통신 보류 상태 중의 위치 등록을 갱신하고 있음이 전제가 된다.
(통신 보류 상태로부터의 통신 종료)
이동국측/관문국측으로부터의 접속성 확인 신호에 대해서, 각 단말로부터의응답이 없는 경우에는 통신 종료가 된다. 이 경우, 이동국측으로부터 관문국측, 또는 관문국측으로부터 이동국측으로 통신 종료를 전한다. 이 때, 이동국측 또는 관문국측은, 아직 보류 상태인 측(이동국측에서 응답 없음인 경우는 관문국측, 관문국측에서 응답 없음인 경우는 이동국측)에서, 통신 종료 처리를 한다.
(고정 패킷망으로의 적용)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이동 통신에 대한 이동 통신망에서의 패킷 통신에서 설명하였으나, 고정 패킷 통신망에 있어서 통신 보류 상태를 마련하여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는, 상술한 위치 등록에 관한 제어 부분은 필요가 없다.
그래서,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패킷 통신망에 있어서, 통신 보류 상태를 두는 것이 회선의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유효하다. 이 통신 보류 상태의 제어에 대해서 상세히 이하에 설명한다.
먼저, 유저가 리소스를 확보한 상태에서 패킷을 송수신하지 않는 경우, 리소스를 해방하는 것에 대해서, 도 5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5는 패킷 통신망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구성도이다. 이 패킷 통신망을 사용하여, 유저 단말(1)과, 통신 상대방(2) 사이에 패킷을 송수신할 때의 망 내의 구성에 대해서, 우선 설명한다.
계측부(13, 13')는, 유저 단말(1)에서 패킷을 송수신하고 있는 시간 및 하고 있지 않은 시간을 계측하여, 계측한 시간을 비교부(5)에 송신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 계측부(13, 13')는, 패킷망 내의 임의의 구간을 구성하는 망의 노드에 둘 수 있다. 그러나, 리소스가 해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유저 단말(1), 또는 통신 상대방(2)으로부터 송수신되는 패킷을 확인하는 것을 근거로 설치할 필요가 있다.
비교부(5)는, 기준 시간을 기억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 비교부(5)는 계측부(13 또는 13')로부터 보내져온 데이터를 기초로, 패킷을 송수신하지 않는 시간과, 미리 기억하고 있는 기준 시간을 비교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 비교부(5)는 패킷을 송수신하고 있지 않는 시간이 기준 시간을 넘는 것을 지시부(6)에 알리는 기능도 갖는다.
지시부(6)는, 비교부(5)로부터 보내져온 정보를 기초로, 리소스의 해방을 각 노드(7∼10)의 해방부(12)에 지시하는 기능을 갖는다.
각 노드의 해방부(12)는 지시부(6)로부터 나온 지시를 기초로, 그 유저가 이용하고 있는 망 내 리소스를 해방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지시부(6) 및 비교부(5)는, 패킷의 경로(패스)를 형성하는 노드 또는 망 내의 그 밖의 노드 내에 실현되어 있다.
다음에, 도 5의 구성의 패킷 통신망에 있어서, 효율적으로 통신 재설정을 행하는 경우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계측부(13, 13')는 유저마다 패킷 송수신 상태를 계측한다. 그 결과를 비교부(5)로 보낸다. 비교부(5)에서, 패킷을 송수신하지 않는 시간과 기준 시간을 비교하여, 계측부(13 또는 13')에서 보내져 온 상태의 어느 것인가가 기준 시간보다 크게 되면, 타임·오버로 하고, 지시부(6)로부터 각 노드(7∼10)의 리소스 해방부(12)에 리소스 해방의 지시를 보낸다. 지시를 받은 리소스 해방부(12)는, 그노드의 리소스를 해방한다.
망 내의 리소스를 완전히 해방해 버리면, 다음에 패킷의 송수신을 요구한 경우에는, 다시 한번 망 내의 가용 리소스-여기서, 가용 리소스란 사용 중이 아닌 리소스임-를 이용하여 통신 설정을 행하게 된다. 그래서, 망 내 리소스를 완전하게는 해방하지 않는 상태, 즉 가용 리소스를 사용하여 통신 재설정을 하는 일반 유저보다도 통신 재설정을 하기 쉽도록, 일시적으로 리소스를 예약하여 두는 것과 같은 상태를 새로이 설치하여도 된다. 이것을 실현시키기 위한 패킷 통신망의 구성의 일 예를, 도 6에 나타낸다. 도 6에서는, 도 5의 망 기능에 더하여, 새로이 리소스 관리부(11)를 설치한다.
도 6에 있어서, 리소스 관리부(11)는 망 내 리소스의 사용율, 사용 상황, 사용 유저, 유저 상태로 일컫는 리소스 상황을 항상 감시하고 있다. 그와 함께, 리소스 관리부(11)는 유저 단위로 리소스 보류 상태의 시간을 계측하고 있다.
그래서, 계측부(13 또는 13')는, 유저마다 패킷의 송수신을 계측하고 있다. 그 결과를 비교부(5)로 보낸다. 비교부(5)에 있어서, 패킷을 송수신하지 않는 시간과 기준 시간을 비교하여, 계측부(13 또는 13')로부터 보내져 온 상태의 어느 것인가가 기준 시간 보다 크게 되면, 타임·오버로 하여, 리소스 관리부(11)로 제어를 넘긴다.
리소스 관리부(11)는, 망 내 각 노드와 접속되어 있어, 리소스 상황을 항상 감시하고 있다. 그리고, 유저 단위로 리소스 보류 시간을 계측하여, 계측한 시간과 기준 시간을 비교하여, 시간에 따라서 리소스 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갖는 리소스 관리부를 망 내에 가짐으로써, 리소스를 단계적으로 해방하여, 통신 재설정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비교부(5)로부터 제어가 넘어가게 되면, 리소스 관리부(11)는, 노드(7∼10)에 지시하여, 리소스를 먼저, 보류 상태로 할 수 있다. 망의 리소스를 단계적으로 제어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 도 7의 상태 천이도이다.
또, 리소스 관리부(11)와 비교부(5)를 동일 노드에 두어도 되고, 다른 노드에 두어도 된다. 또, 도 6의 구성에서 리소스 관리부(11)에서 리소스 보류 상태 등을 계측하여 지시를 하는 것으로 설명했으나, 도 5의 구성에서 비교부(5)나 지시부(6)에 그와 같은 기능을 갖게 하여, 시간에 따른 리소스의 상태 관리를 행할 수 있다.
도 7의 패킷 통신망을 이용하는 유저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 천이도를 이용하여, 도 6에 나타낸 구성을 갖는 패킷 통신망의 동작을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 내는, 도 7에 나타낸 유저의 망에서의 각 상태(state)를 나타내고 있다.
도 7에 있어서, 패킷 통신을 이용하고 싶으나, 아직 통신 설정을 행하지 않은 상태의 유저(S31)는, 통신 설정을 패킷 통신 망 내에서 요구하여, 통신 설정을 행한다(S32). 통신 설정은 망의 구성에 따라 다르며, 또 통신 설정의 방법은 실시예에 의존하지 않으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망 내 리소스를 이용하여 통신 설정을 행할 때에, 일반 유저와 달리, VIP 유저를 만들어도 된다. VIP 유저는 망 내에서 우선적으로 리소스를 확보하여 통신 설정을 행할 수 있고, 또 그 리소스는 다른 유저의 이용 상황에 좌우되지 않고, VIP 유저가 통신 설정을 해제할 때까지 계속해서 확보될 수 있다.
VIP 유저를 둔 경우, 통신 설정 상태(S32)로부터, 일반 유저인가 VIP 유저인가 의해서 상태가 변하게 된다. 유저가 VIP 유저이면, 그 유저가 확보한 리소스는 고정적으로 설정된다(리소스 고정 상태: S33). 또한, 유저가 일반 유저이면, 그 리소스는 패킷 전송 상태(S34)가 된다.
패킷 전송 상태(S34)에서, 또 패킷의 송수신이 행해지지 않는 경우, 그 유저는 무효 보류 상태(S35)로 불리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가 계속되는 시간이 기준 시간을 넘는 경우, 이 유저는 공통 보류 리저브 상태(S36)로 불리는 상태가 된다.
이 무효 보류 상태를 계측부(13 및 13')가 계측하고 있다. 그래서, 그 결과를 비교부에 보내어, 무효 보류 상태의 계속 시간과 기준 시간을 비교하여, 기준 시간을 넘으면 리소스 관리부(11)로 보내어, 공통 보류 리저브 상태로 한다.
공통 보류 리저브 상태(S36)로 된 유저에는, 복수의 유저에서 공통 사용하는 공통 보류 리소스의 사용권이 부여된다. 이 상태에서 이 유저가 송수신 요구를 한 경우, 그 유저는, 일반 유저와 마찬가지로 해방(가용) 리소스를 이용하는 것에 더하여, 공통 보류 리소스를 이용하는 권리가 있어, 일반 유저보다도 확실하게 회선을 획득할 수 있다.
공통 보류 리소스는, 미리 망에서 일정량을 확보하여 두어도 되고, 공통 보류 리저브 상태 상태의 리소스의 사용 상황에 따라 이하의 예와 같이 증감시켜도 된다.
(예 1) 공통 보류 리저브 상태 상태의 유저가 증가한 때, 공통 리소스를 증가시킨다.
(예 2) 공통 보류 리저브 상태의 유저가 공통 보류 리저브 상태의 리소스를 해방한 때, 공통 리소스를 감소시킨다.
(예 3) 공통 보류 리저브 상태의 유저가 공통 보류 리저브 상태의 리소스를 사용하여 패킷 전송 상태로 된 경우, 공통 리소스를 감소시킨다.
또, 공통 리소스를 2 이상의 레벨로 나누어, 공통 리소스 사용 허가를 유저의 우선도에 따라서 행함으로써, 리소스가 핍박(逼迫)한 상태에서, 리저브 상태의 유저간에 더 차를 둘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거의 또는 전혀 통신을 행하지 않는 유저는 리소스 관리조차도 행하지 않고, 리저브를 완전히 해방해 버려, 패킷 전송의 요구가 생긴 경우에 신규 유저와 마찬가지로 가용 리소스로부터 리소스를 확보하여, 공통 보류 리소스의 불필요한 보유량을 짜 넣어도 된다.
유저의 요구에 대해서 충분한 리소스를 준비하고 있으면, 망 사업자가 리소스 관리를 간략화하여, 리저브 상태를 스킵하고, 무효 보류 상태로부터 직접 리소스 해방 상태로 이행시켜도 된다.
이것은, 무효 보류 상태(S35)로부터 리소스 해방 상태(S37)로 직접 가는 루트로서, 도 7에 나타내었다.
리소스 해방 상태(S37)는 이제까지 서술한 바와 같이, 무효 보류 상태(S35)로부터 직접, 또는 공통 보류 리저브 상태(S36)로부터, 기준 시간을 넘는 경우에 이행하는 상태이다. 망 내 리소스는 완전히 해방되고, 이후 어느 유저에서도 이용할 수있는 가용 리소스가 된다. 다음에 송수신 요구가 있는 경우에는, 신규 유저와 마찬가지로 다시 한번 망 내의 가용 리소스를 이용하여 회선을 획득하게 된다.
여기서 고려해야만 하는 것이, 패킷을 송수신하는 유저가 증가하여, 망 내 리소스가 혼잡하게 된 경우의 리소스 할당 방법이다.
도 8은, 어느 망 내 리소스가 서서히 혼잡하게 된 경우의 상태를 표시한 것이다. 도 4에서, 공통 리소스를 2개의 레벨(레벨 A 및 레벨 B)로 나누어서 제어하고 있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8a는, 가용 리소스가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일반 유저는 망 내 리소스를 이용하여 통신 설정을 행하는 경우, 기본적으로는 망 내 가용 리소스를 사용한다. 도 8a의 경우에서, 공통 보류 리저브 상태의 유저는, 가용 리소스, 공통 보류 리저브·리소스의 어느 쪽을 사용하여 통신 설정을 하여도 된다.
도 8b 및 도 8c는, 가용 리소스가 없고, 또한 공통 보류 리소스의 양이 공통 보류 유저의 패킷 전송 상태로 복귀함에 지장이 없을 정도로 여유가 있는 경우(도 8b는 레벨 A 및 레벨 B의 공통 보류 유저에 대해서 여유가 있는 경우, 도 8c는 레벨 A만의 공통 보류 유저에 대해서 여유가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 8b 및 도 8c에 있어서, 일반 유저는 비지가 된다.
도 8b에서는, 레벨 A의 유저는, 레벨 A의 공통 보류 리소스로부터 사용할 수 있고, 레벨 B의 유저는, 레벨 A 및 레벨 B의 공통 보류 리소스를 사용할 수 있다. 도 8c에 있어서는, 레벨 A의 유저는 비지가 되지만, 레벨 B의 유저는 공통 보류 리소스의 레벨 B로부터의 리소스 확보가 허용된다.
도 8c로부터, 망 내 리소스를 이용하는 유저가 더욱 증가하여, 도 8d와 같이, 일반 및 공통 보류 유저가 완전히 리소스를 사용하고 있는 상태에서, 유저가 더 패킷 송수신 요구를 해온 경우, 그 유저가 일반, 공통 보류 유저의 어느 쪽이어도, 망 내 리소스에 가용 리소스가 생길 때까지 「비지 상태」가 되어, 망 내 가용 리소스가 생긴 때에 새로이 망 내 리소스를 이용하여 패킷 송수신을 행할 수 있다.
도 8d와 같이 모두 「비지 상태」와 같은 상태가 되면, 패킷을 이용하고 있는 유저에서 보아, 일시적으로 리소스가 해방되어 버렸던(통신 설정이 해제되어 버렸던) 것이 이해가 되게 된다.
항상 패킷을 송수신할 수 있는 환경을 희망하는 유저에게는, VIP 유저의 적용 영역이 된다.
그래서, 이와 같이, 패킷 통신망에 있어서, 통신 리소스의 보류 상태를 갖도록 제어하는 것은, 이동 통신망에서의 패킷 통신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이동 패킷 통신망). 이 예를 도 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이동 통신망의 특징으로서, 적어도 일방의 유저 단말이 이동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것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9의 이동 패킷 통신망에 있어서, 공통 보류 리저브 상태(도 7의 S36 참조)의 유저가 다른 장소로 이동하여, 통신 설정을 다시 하지 않으면 안 되는 경우, 즉 리소스를 이동 목적지에서 재 확보하지 않으면 안 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경우, 이동 전에 확보되어 있던 리소스를 이동 목적지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도 9에 나타낸 이동 통신 패킷망에서는 도 6에 나타낸 패킷 통신망의 구성에더하여, 유저가 다른 셀로 이동한 경우에도 리소스를 관리할 수 있는 구성이 필요하게 된다. 이를 리소스 관리부 1(42) 및 리소스 관리부 2(43)에서 행하고 있다.
도 9에 있어서, 유저 단말(41)이 지금 있는 에어리어 1(44)에서의 셀(도시하지 않음)에서, 에어리어 2(45)의 셀(도시하지 않음)로 이동한 경우(S51), 유저 단말(41')은, 에어리어 2(45)의 셀로 이동한 것을, 에어리어 2(45)를 관리하는 리소스 관리부 2(43)에 전한다(S52). 이는, 예를 들어, 셀을 구성하고 있는 기지국(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서비스 제어 장치(SCP: 도시하지 않음)를 통해서, 리소스 관리부 2(43)가 놓여 있는 망 내의 노드에 대해서 행해진다. 리소스 관리부 2(43)는, 에어리어 1(44)을 관리하고 있는 리소스 관리부 1(42)과 접속되어 있다. 이로 인해, 리소스 관리부 2(43)는, 유저 단말(41')에 관한 정보를 리소스 관리부 1(42)로부터 전송하여(S53), 그 정보를 기입할 수 있다(S54). 또, 리소스 관리부 2(43)는, 유저 정보에 따라서, 망 내 리소스를 확보한다(S55). 리소스 관리부 1(42)은 에어리어로부터 없었던 유저가 확보하고 있던 리소스를 해방하고, 그 유저 정보를 삭제한다(S56). 이들 기능을 망 내에 가짐으로써, 리소스를 해방하는 구간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술한 모든 기능은, 임의의 노드에 둘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동작함으로써, 이동 패킷 통신망 내의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도 10은, 도 5 또는 도 6에서의 고정 패킷 통신망과 패킷 통신망(상술한 이동 통신망을 포함함)을 접속하여 통신하는 예를 나타낸다. 이 경우는, 다른 망으로의접속 부분의 노드(4)가 계측부(13')가 놓여진 노드가 된다.
계측부(13, 13')는, 유저 단말(1)에서 패킷의 송수신 시간, 미 송수신 시간, 패킷의 바이트 수를 계측하여, 계측한 시간을 비교부(5)로 송신한다. 비교부(5)는, 기준 시간을 기억해 두어, 패킷 미 송수신 시간과 이 기준 시간을 비교한다. 그래서, 미 송수신 시간이, 기준 시간을 넘는 것을 리소스 관리부(11)에 알린다. 리소스 관리부(11)는, 보내온 정보에 따라서, 리소스의 해방을 각 노드로 지시한다. 각 노드(7, 8, 9, 10)는, 지시에 기초하여, 그 유저가 이용하고 있는 망 내 리소스를 해방한다.
(통신 설정)
망 내의 통신 설정의 절차에 대해서는, 통상의 설정 절차를 이용하므로 생략한다. 유저는 통신 설정을 행하여, 통신 설정 상태로 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즉, 도 6에 있어서, 유저 단말에서 통신 상대방까지의 통신 경로(1∼3∼7∼8∼9∼10∼4∼2)가 생겨서, 언제라도 패킷을 송수신할 수 있는 상태가 되어 있는(그러나, 패킷을 송수신하지 않는 상태가 계속되고 있다) 것으로 한다.
(통신 보류 상태로의 이행)
망 내에 있는 계측부(13 또는 13')는, 유저의 패킷 통신의 트래픽 상황을 계측하여, 그 데이터를 비교부(5)로 송신하고 있다.
비교부(5)는, 계측부(3)로부터 보내 온 패킷 미 송수신 시간과 기준 시간을 비교한다. 기준 시간은 미리 결정된 고정값 예를 들어 「10분」을 비교부(5)에 기억시켜 둔다. 유저 패킷 미 송수신 시간이 이 기준 시간 10분을 넘는 경우,비교부(5)는 그 것을 리소스 관리부(11)로 알려준다.
망 내 리소스를 단계적으로 해방하는 것으로 하는 경우, 리소스 관리부(11)는, 미리 망 내 리소스의 상태를 감시하고 있으므로, 어느 유저가 확보하고 있는 리소스에 해방 지시가 생긴 것을 알면, 그 리소스의 상태를 공통 리저브 상태로 한다. 이 상태에서 이 유저가 패킷 송수신을 요구한 경우는, 망 내 가용 리소스 또는 유저가 확보하고 있는 공통 리저브 리소스를 사용하여 통신 설정을 할 수 있다. 또한, 다시 이 유저가 계속하여 패킷 송수신을 행하지 않고, 리저브 상태로 넘어가고 나서 10분이 경과하면, 리소스 관리부(11)는 이 리소스를 완전히 해방한다. 이상을 반복하여, 망 내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단계적으로 리소스를 관리하지 않는 경우에는, 도 5의 구성에서 리소스를 해방한다.
이동망 유저의 무효 보류 상태에서의 망 내 리소스 제어 절차에 대해서, 도 11을 이용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망 구성)
도 11은, 이동망 패킷 통신망을 나타내고 있다. 도 11에 있어서, DTE는 유저의 패킷 통신 단말(71), ADP는 접속 어댑터(72), MS는 이동국(73), BS는 무선 기지국(74, 75), MSC는 교환국(76∼80), SCP는 서비스 제어 장치(86)이다. 본 발명의 이동 패킷 통신망에서는, 지금까지의 이동 패킷 통신망에는 없던 새로운 노드로서, 계측부(82, 83, 84, 85)와 비교부 & 지시부(87)를 추가했다.
기지국 BS1(74)은 셀(셀은 무선 에어리어의 것임) 1(20), 기지국 BS2(75)는 셀 2(21)에 대한 무선 액세스를 제공하고 있다. 교환국 MSC1(76), MSC2(77)는 기지국 BS(74, 75)를 수용하고 있다.
교환국 MSC3(78), MSC4(79)는 MSC1(76), MSC2(77)에서 집약한 정보를 중계하고 있다. 교환국 MSC5(80), MSC6(81)은 다른 망과의 관문 기능을 맡고 있다. 각 교환국 MSC는 기본적으로 정보 교환을 행하는 점에서 동일한 장치이나, 망 내의 배치 위치에 따라서, 가입자계, 중계계, 관문계 교환국으로서 일한다. (단, 망 구성에 따라 이들 기능을 복수의 교환국에 병합할 수 있다.)
기지국은 복수의 이동국, 가입자계 교환국은 복수의 기지국, 중계계 교환국은 복수의 가입자계 교환국, 관문계 교환국은 복수의 중계계 교환국을 수용·집약 가능하다. 또, 가입자계 교환국은 임의의 기지국을 집약한다.
서비스 제어 장치 SCP(86)은 서비스 제어를 위한 유저 정보, 이동국의 위치 정보 등을 격납하고 있다. 또, 서비스 제어 장치(SCP) 내에는 리소스 관리부가 집약되어 있다. 리소스 관리부는, 망 내에서 각 유저에 대해서 현재 서비스하고 있는 리소스의 상황에 대한 정보가 집약되어 있다.
또한, 계측부(81∼84), 비교 & 지시부(87)에 대해서는, 고정 패킷 통신망에 관하여 도 5에 나타낸 것과 동일한 기능이다.
(통신 설정)
망 내의 통신 설정 절차에 대해서는, 전술한 설명과 마찬가지이다. 이 설정에 의해 도 11에서는, 유저 단말로부터 다른 고정망·이동망까지의 통신 경로가 확립되어, 언제라도 패킷을 송수신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여기서는 임시로 단말 DTE∼접속 어댑터 ADP∼이동국 MS∼계측부 1∼기지국BS1∼교환국 MSC1∼ 교환국 MSC3∼교환국 MSC5∼계측부 2∼다른 고정망·이동망(71∼72∼73∼82∼74∼76∼78∼80∼84∼88)의 경로에서 통신을 행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통신 보류 상태로의 이행)
통신 보류 상태로의 이행에 대해서도, 그 절차는 실시예 1의 경우와 완전히 동일하다. 망 내에 있는 계측부 1 또는 2(12 또는 14)는, 유저 패킷의 트래픽 상황을 계측하고 있다.
여기서, 이 유저가 계속하여 무효 보류 상태에 있는 것으로 하면, 비교부(87)는, 계측부 1 또는 2(82 또는 84)로부터 보내져 온 데이터로부터, 그 유저에 대해서, 패킷 송수신을 행하지 않는 시간과 기준 시간을 비교한다. 이 결과에 의해, 지시부로부터 우선도 등을 고려하여, 망 내의 각 노드(74, 76, 78, 80)에 대해서, 유저가 확보하고 있는 망 내 리소스의 상태를 이행하도록 지시를 한다(도 2에서는 리소스 관리부(11)의 기능에 상당한다). 그것에 의해서, 리소스 상태, 그리고 해방 상태로 이행되어 간다. 이 유저로부터 패킷의 발착신 요구가 있었던 경우에도, 각각의 경우에 따라서, 회선을 확보하게 된다.
여기서, 이동망의 패킷 통신이 고정망의 것과 크게 다른 점은, 유저 단말이 이동하므로 일어나는 핸드 오버에 의해서, 통신 경로가 변한다는 것이다. 그의 대응을 이하에 나타낸다.
(핸드 오버 후의 통신 보류 상태)
유저가, 무효 보류 상태인 채로 다른 에어리어로 이동하여 버린 경우, 예를들어, 도 11에 있어서, 유저 단말(90)이, 셀 1(20)로부터 셀 2(21)로 이동한 것으로 한다. 그 때 설정을 행하는 통신 경로를, 극단적인 예로서 임시로, 단말 DTE∼접속 어댑터 ADP∼이동국 MS∼계측부 3∼기지국 BS2∼교환국 MSC2∼교환국 MSC4∼교환국 MSC6∼계측부 4∼다른 고정망·이동망(71'∼72'∼73'∼83∼75∼77∼79∼81∼85∼89)로 한다. 당연히, 자신의 망 내의 노드 구성이나 다른 망과의 접속 관계, 이동 유저의 이동량의 다소에 의해, 변경이 필요한 통신 경로, 노드는 한정된다.
패킷 전송 상태 및 무효 보류 상태에서는, 통상의 핸드 오버 처리에 의해, 통신 리소스의 확보 및 설정을 행하지만, 리저브 상태에서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리소스 관리 상태의 인계를 행한다. (단,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은 공통 보류 리소스 관리를 행하고 있는 경우에는, 노드의 리소스 관리 상태의 인계를 생략할 수 있다.)
서비스 관리 장치(86)에서 관리하고 있던 유저 정보에 기초한 리소스 리저브 요구를, 핸드 오버 목적지의 새로운 통신 설정에 포함되는 각 노드(75, 77, 79, 81)로 보내어, 이동 목적지의 노드에서의 이동 유저의 리소스를 확보한다.
동시에, 이동 출발지의 리저브 리소스를 해방한다. 여기서, 만일 각 노드(75, 77, 79, 81)에서, 그 유저가 가진 조건을 만족할 정도의 리소스를 확보할 수 없는 경우에 대응하여,
1. 이동 목적지에서의 이동 유저의 레벨을 내려서 리소스의 확보를 계측한다.
2. 이동 목적지의 노드에서 충분한 가용 리소스가 생길 때까지, 리소스의 리저브를 지닌 것으로 해 두고, 확보할 수 있는 상태가 되었을 때에 리소스의 확보를 시도한다.
3. 상기의 조합으로, 확보할 수 있는 분량부터 순차로 리저브하고, 부족 분을 리저브 대기로 한다.
4. 최종적으로 필요한 리소스 량을 얻는다.
이상의 절차에 의해, 망 내 리소스의 효율적 이용을 도모함과 함께, 유저의 이동에 수반하는 통신 경로의 변경에도 부합하는 리소스 관리를 제공한다.
상술한 기준 시간의 결정의 제어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예를 들어, 도 5의 구성에서의 동작에 있어서, 계측부(13 및 13')에서 계측한 패킷을 송신하지 않는 시간의 데이터를 비교부(5)로 보낸다. 비교부(5)에서 기준 시간과 송신하지 않는 시간을 비교하여, 그 시간을 넘으면 지시부(6)로 타임 오버한 것을 알린다. 지시부(6)는 각 노드(7∼10)의 리소스 해방부(12)에 지시를 보내어, 그 유저에 대한 리소스의 해방을 지시한다. 각 노드의 해방부(12)는, 지시된 유저에 대한 리소스를 해방한다. 해방된 망의 리소스는 다른 유저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망의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해방된 망의 리소스는 유저가 패킷 통신을 개시하면 다시 획득된다.
[기준 시간의 결정]
여기서, 예를 들어 도 5에서의 비교부(5)에서 비교를 위해 사용되고 있는 기준 시간에 대해서 설명한다. 비교부(5)에서 사용하는 기준 시간의 결정에는 이하의방법이 고려된다.
(1) 모든 유저에 통일한 고정값을 사용한다.
(2) 유저마다 설정된 고정값을 사용한다.
(3) 유저가 미리 정한 몇 개인가의 고정값에서 1개를 지정한다.
(4) 통신을 이용하는 빈도에 따라서, 유저마다 가변값을 설정한다.
(5) 망 내 리소스의 사용율에 따라서, 모든 유저에게 통일한 가변값을 망 내에서 판단하여 설정한다.
이들 기준 시간의 설정에 대해서, 이하에 상세히 설명한다.
(통일한 고정값)
기준 시간에 모든 유저에게 통일한 고정값을 이용하는 경우는, 예를 들어 도 5에서의 비교부(5)에 이 고정값을 기억시켜서 사용한다.
(유저마다 설정된 고정값)
기준 시간에 대해서 유저마다 설정된 고정값을 이용하는 것을 실현시키는 패킷 통신망의 구성의 일 예를 도 12에 나타낸다.
도 12는 유저마다 결정된 기준 시간을 등록하여, 그들 기준 시간을 기억시켜 두고, 필요에 따라서 그들 기준 시간을 참조할 수 있는 패킷 통신망을 나타내고 있다.
도 12에서는, 도 5의 망 기능에 더하여, 새로이 등록부(14)와 기억부(11)를 두고 있다. 등록부(14)는 유저마다 결정된 기준 시간을 기억부(11)에 등록·변경·소거하는 기능을 갖는다. 기억부(12)는 그들 기준 시간을 기억시켜 두는 기능을 지닌다.
또한 기억부(11)는 비교부(5)와 접속하고 있다. 비교부(5)는, 필요에 따라서 그들 기준 시간을 참조하는 기능을 새로이 지닌다. 이들 기능을 망 내에 지님으로써, 유저마다 고정 기준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기억부(11) 및 등록부(14)는 비교부(5)와 동일 노드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에서의 동작을 설명한다. 계측부(13, 13')에서 계측한 특정 유저의 패킷 송신을 행하지 않는 시간은, 유저마다 기억부(11)에서 기억하고 있는 기준 시간에서 특정 유저에 대한 기준 시간을 독출하여, 비교부에서 비교된다. 그 후의 동작은 도 5에서 설명한 동작과 같다.
(몇 개의 고정값에서 지정)
기준 시간을 몇 개의 고정값에서 지정하고 있는 패킷 통신망의 일 예를 도 13에 나타낸다. 도 13은, 도 12에 더하여, 유저가 기준 시간을 지정하고, 기억하고 있는 기준 시간을 변경 기입할 수 있는 패킷 통신망을 나타내고 있다.
도 13에 있어서, 유저 단말 1은, 미리 결정된 몇 개의 기준 시간에서 1개를 지정하여, 비교부(5), 또는 기억부(11)에 기억하고 있는 기준 시간을 변경 기입하는 기능을 새로이 갖는다. 이들 기능을 망 내에 지님으로써, 유저마다 가변 기준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도 13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13에서, 유저 단말 1을 사용하고 있는 유저는, 등록부(14)가 기억부(11)에 설정할 수 있는 기준 시간 중에서 1개를 지정한다. 지정된 결과는, 기억부(11)에 대해서 통지하여도 되고, 비교부(5)에게까지 통지하여도된다. 기억부(11)에 대해서 통지된 경우에는, 기억부(11)에서 비교부(5)에 대해서 선택된 기준 시간을 통지할 필요가 있다. 지정된 기준 시간을 이용한 동작은, 상술한 동작과 마찬가지이다.
(이용하는 빈도에 따른 가변값)
기준 시간에 대해서, 이용하는 빈도에 따른 가변값을 이용하고 있는 패킷 통신망의 일 예를 도 14에 나타낸다.
도 14는, 각 유저 단말이 패킷 통신을 이용하고 있는 빈도를 계측하고, 그들을 이용하여 유저마다 기준 시간을 계산할 수 있는 패킷 통신망을 나타내고 있다.
도 14에서는, 도 5의 망 기능에 더하여, 새로이 계산부(18)를 두었다. 계측부(13 또는 13')는, 각 유저가 패킷을 송수신하고 있는 시간 및 하지 않는 시간에 더하여, 새로이 송수신하고 있는 패킷의 바이트 수를 계측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계측부(13 또는 13')는 계산부(18)와 접속하여, 계측한 데이터를 계산부(18)로 송신하는 기능을 갖는다. 계산부(18)는, 송신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유저마다 기준 시간을 계산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계산부(18)는 비교부(5)와 접속하여, 계측한 데이터를 비교부(5)로 송신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들 기능을 망 내에서 지님으로써, 유저마다 가변 기준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계산부(18)는, 비교부 등과 동일 노드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4의 구성에서의 동작을 설명한다. 계측부(13, 13')는 계측한 시간(송수신하고 있는 시간, 송수신하지 않는 시간)과 송신된 바이트 수를 계산부(18)로 통지한다. 이 계산부(18)에 있어서, 이와 같이 데이터를 기초로, 각 유저마다 이용하고 있는 빈도(예를 들어, 이용 시간 비율이나 송수신하는 데이터량)를 산출하여, 이것에 기초하여, 이용하는 빈도가 높은 유저에 대해서는 기준 시간을 길게 하는 등의 기준 시간을 설정한다. 이 기준 시간을 비교부(5)로 보내어, 비교부(5)에서 계측부로부터의 송수신하지 않는 시간과 비교한다. 이 후의 동작은, 상술한 구성과 동일하다.
(리소스의 사용율에 따른 통일적 가변값)
리소스의 사용율에 따른 통일적 가변값을 기준 시간에 이용하고 있는 패킷 통신망의 일 예를, 도 15에 나타낸다.
도 15는, 망 내 리소스의 사용율을 감시하고, 사용율에 따라 기준 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 패킷 통신망을 나타내고 있다.
도 15에서는, 도 5의 망 기능에 더하여, 새로이 감시부(15)와 설정부(16)를 두었다. 감시부(15)는 망 내의 각 리소스와 접속하고 있어, 망 내 리소스의 사용율을 감시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 감시부(15)는 설정부(16)와 접속하고 있어, 감시한 데이터를 설정부(16)로 송신하는 기능을 갖는다. 설정부(16)는, 송신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기준 시간을 설정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설정부(16)는 비교부(5)와 접속하고 있어, 계측한 데이터를 비교부(5)로 송신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들 기능을 망 내에 지님으로써, 통일적인 가변 기준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감시부(15) 및 설정부(16)는 비교부(5) 등과 같은 노드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5의 구성에서의 동작을 설명한다. 감시부(15)는, 망에서의 리소스 사용율을 감시하고 있다. 그래서, 이용률이 높아지면 통일적으로 기준 시간을 작게 하고, 빨리 리소스를 해방하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이 하여, 망 전체의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유저마다의 이용 빈도를 고려하여, 통일적인 기준 시간의 제어와, 유저마다의 기준 시간의 제어를 조합시켜 행하여도 된다. 또한, 유저가 강제적으로 해방하는 기준 시간을 설정하여, 유저가 설정한 기준 시간을 그다지 변화할 수 없도록 제어하여도 된다.
또, 도 6, 도 7, 도 8a∼도 8d에서 설명한 개방 상태에 복수의 상태를 갖는 경우에 사용하고 있는 기준 시간에 상술한 기준 시간 제어를 이용할 수 있는 것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이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리소스 해방 구간]
다음에, 리소스를 해방하는 구간에 대해서 설명한다. 리소스 해방은, 전 구간을 대상으로 하여도 되고, 임의의 구간을 대상으로 하여도 된다. 리소스를 해방하는 구간을 결정함에는 몇 가지의 방법이 있다.
(1) 미리 결정한 임의의 순서와 타이밍에서 망 내의 각 리소스를 각각 해방한다.
(2) 망 내 리소스의 사용율에 따라서, 해방하는 순서 및 타이밍을 망 내에서 판단하여 설정한다.
이들 해방 대상의 구간의 설정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미리 결정한 임의의 순서와 타이밍에서 리소스 해방)
이를 실현시키는 패킷 통신망의 일 예를 도 16에 나타낸다.
도 16은, 망 내의 각 리소스를 임의의 순서와 타이밍에서 해방하기 위한 제어를 행할 수 있는 패킷 통신망을 표시하고 있다.
도 16에서는, 도 5의 망 기능에 더하여, 새로이 제어부(17)를 두었다. 제어부(17)는 비교부(5)와 접속하고 있다.
비교부(5)는, 패킷을 송수신하지 않는 시간이, 기준 시간을 넘는 것을 제어부(17)로 송신하는 기능을 갖는다. 제어부(17)는 망 내 리소스를 해방하는 순서와 타이밍을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 제어부(17)는 지시부(6)와 접속하고 있어, 해방하는 순서와 타이밍을 지시부(6)로 송신하는 기능을 갖는다. 지시부(6)는 송신된 순서에 따라서, 리소스의 해방을 노드(7∼10)의 해방부(12)로 지시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들 기능을 망 내에서 지님으로써 리소스를 해방하는 구간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어부(17)의 기능을 지시부(6)가 가져도 된다.
도 16의 구성에서의 동작을 설명한다. 유저 단말 1과 통신 상대방 2의 패킷 통신을 계측부(13 또는 13')에서 계측하여, 비교부(5)에서 기준 시간과 비교하는 동작은 상술한 바와 같다. 패킷을 송수신하지 않는 시간이 기준 시간을 넘으면, 비교부(5)에서 타임 오버 신호가 제어부(17)로 보내진다. 제어부(17)는 구간에서의 리소스를 해방하는 순서를 정하여, 지시부(6)로 해방하는 순서와 타이밍을 통지한다. 이 통지는, 순차로 보내어도 되고, 일괄해서 보내고 보내진 정보에 의해 지시부(6)에서 순차로 각 노드의 해방부(12)로 해방 지시를 순차로 보내어도 된다.
이와 같이 행함으로써, 예를 들어, 이용 빈도가 높다고 보여지는 노드를 갖는 구간부터 리소스를 해방할 수 있어, 망의 사용 효율이 향상된다.
(리소스의 사용율에 따라서, 해방하는 순서와 타이밍을 설정)
이를 실현시키는 패킷 통신망의 일 예를, 도 17에 나타낸다.
도 17은, 도 16에 나타낸 패킷 통신망의 구성과, 도 15에 나타낸 패킷 통신망의 구성을 조합한 구성을 갖고 있다.
도 17에 있어서, 감시부(15)는 망 내의 각 리소스와 접속하고 있어, 망 내 리소스의 사용율을 감시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 감시부(15)는 설정부(16)와 접속하고 있어, 감시한 데이터를 설정부(16)로 송신하는 기능을 갖는다. 설정부(16)는, 송신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방을 지시하는 순서와 타이밍을 설정하는 기능을 새로이 갖는다. 또 설정부(16)는 제어부(17)와 접속하고 있어, 해방을 지시하는 순서와 타이밍을 제어부(17)로 송신하는 기능도 갖는다. 제어부(17)는, 송신된 순서와 타이밍에 따라서 리소스 해방의 지시를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 제어부(17)는 지시부(6)와 접속하고 있어, 리소스를 해방하는 순서와 타이밍을 지시부(6)로 송신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들 기능을 망 내에 지님으로써, 리소스를 해방하는 구간을 결정할 수 있다.
도 17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17에 있어서, 유저 단말 1과 통신 상대방 2 사이에 패킷 통신을 행하고 있다. 감시부(15)는 망의 리소스의 이용 상황을 감시하고 있다. 여기서, 계측부(13, 13')에서 계측하고 있는 패킷의 송수신을 행하지 않는 시간이, 설정부(16)에서 설정한 기준 시간을 넘으면, 비교부(5)에서 제어부(17)로 타임 오버 신호를 보낸다. 제어부(17)에서는 설정부(16)에서 설정된 해방 순서와 타이밍에서, 지시부(6)로 지시하여, 해방부(12)에 의해 망의 리소스를 해방한다.
[리소스의 해방]
1개의 리소스 내의, 각 부분을 별개로 해방하는 것에 대해서 설명한다. 리소스 내의 각 부분의 해방은, 이하와 같은 몇 가지의 방법이 같다.
(1) 1개의 리소스 전체를 해방하는 대상으로 한다.
(2) 1개의 리소스 내의 각 부분을 별개의 타이밍에서 해방한다.
이에 대해서,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리소스 전체를 해방하는 대상)
패킷 회선을 설정하기 위해 필요한 리소스 전체를 해방하는 것을 실현시키는 패킷 통신망의 일 예를 도 18에 나타낸다.
도 18은, 1개의 리소스 전체를 해방하는 대상으로 한 경우의, 어느 1개의 망 내 리소스를 표시하고 있다. 지시부(6)에 의해서 해방이 지시된 해방부(12)는, 직접 리소스의 각 부분(17∼19)을 해방한다.
(리소스 내의 각 부분을 별개의 타이밍에서 해방)
패킷 회선을 설정하기 위해 필요한 각 부분을 별개의 타이밍에서 해방하는 패킷 통신망의 일 예를 도 19에 나타낸다.
도 19는, 각 부분을 별개의 타이밍에서 해방하는 것으로 한 경우의, 어느 1개의 망 내 리소스를 표시하고 있어, 리소스를 부분 단위로 해방하는 순서와 타이밍을 제어할 수 있는 패킷 통신망을 나타내고 있다.
도 19에서는, 도 18의 망 기능에 더하여, 리소스 내 제어부(20)를 두고 있다. 리소스 내 제어부(20)는, 지시부(6), 해방부(12)와 접속되어 있다. 지시부(6)는, 리소스의 해방을 리소스 내 제어부(20)에 지시한다. 리소스 내 제어부(20)는, 망 내 리소스의 각 부분을 해방하는 순서와 타이밍을 제어하고, 해방부(12)에 해방하는 순서와 타이밍을 송신하는 기능을 갖는다. 해방부(12)는, 그 지시에 따라 리소스의 각 부분(17∼19)을 해방한다. 이들 기능을 망 내에 지님으로써, 1개의 리소스 내 각 부분을 별개의 타이밍에서 해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1개의 리소스 내의, 각 부분을 따로따로 해방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기준 시간의 설정, 해방하는 순서, 해방하는 구간 등의 제어를 조합시킴으로써, 세밀히 망의 리소스를 관리할 수 있어, 망의 리소스의 이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0에서는, 고정망 유저가 망 내 리소스를 이용하는 경우의 망 내 리소스의 제어에 대해서 전체적으로 설명한다.
(망 구성)
도 20은, 고정 패킷 통신망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20에 있어서, 유저 단말 1과, 다른 고정망 또는 이동망에 있는 통신 상대방 2 사이에 패킷을 송수신하고 있다.
도 20의 각부 기능에 대해서 설명한다. 유저 단말 1은, 미리 결정된 몇 개의 기준 시간에서 1개를 지정하여, 비교부(5) 또는 기억부(11)에 기억하고 있는 기준 시간을 변경 기입하는 기능을 갖는다.
계측부(13, 13')는 유저 단말 1에서 패킷을 송수신하고 있는 시간 및 하지 않는 시간, 패킷의 바이트 수를 계측하여, 계측한 시간을 비교부(5), 또는 계측부(13)에 송신하는 기능을 갖는다.
비교부(5)는, 기준 시간을 기억하고, 패킷을 송수신하지 않는 시간과 기준 시간을 비교하여, 패킷을 송수신하지 않는 시간이 기준 시간을 넘은 것을 지시부(6)에 알리는 기능을 갖는다. 지시부(6)는, 보내온 정보에 따라서, 리소스의 해방을 해방부(12)에 지시하는 기능을 갖는다. 해방부(12)는, 지시를 기초로, 그 유저가 이용하고 있는 망 내 리소스(8)를 해방하는 기능을 갖는다. 등록부(14)는, 기준 시간을 기억부(11)에 등록·변경·소거하는 기능을 갖는다. 기억부(11)는 기준 시간을 특정하여, 비교부(5)로 송신하는 기능을 갖는다. 감시부(15)는, 리소스 사용율을 측정하는 기능과, 측정한 데이터를 설정부(16)로 송신하는 기능을 갖는다.
설정부(16)는, 송신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준 시간과, 망 내 리소스를 해방하는 타이밍을 설정하는 기능과, 계측한 데이터를 비교부(5), 제어부(17)로 송신하는 기능을 갖는다. 제어부(17)는 송신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준 시간을 계산하는 기능과, 계측한 데이터를 비교부(5)로 송신하는 기능을 갖는다. 제어부(17)는 망 내 리소스를 해방하는 순서와 타이밍을 데이터에 따라서 제어하는 기능과, 해방하는 순서와 타이밍을 지시부(6)로 송신하는 기능을 갖는다. 리소스 내 제어부(20)는 망 내 리소스의 각 부분을 해방하는 순서와 타이밍을 제어하고, 해방하는 순서와 타이밍을 해방부(12)로 송신하는 기능을 갖는다.
(통신 설정)
망 내 통신 설정의 절차에 대해서는, 통상의 통신 설정이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유저는 통신 설정을 행하여, 통신 설정 상태로 된다. 즉, 도 20에 있어서, 유저 단말 1에서 통신 상대방 2까지의 통신 경로(1∼3∼8∼4∼2)가 생기어, 언제라도 패킷을 송수신할 수 있는 상태로 되어 있다(그러나, 패킷을 송수신하지 않는 상태가 이어지고 있다).
(통신 보류 상태로의 이행)
망 내에 있는 계측부(13, 13')는, 유저의 패킷 통신의 트래픽 상황을 계측하여, 그 데이터를 비교부(5)와 계산부(18)로 송신하고 있다.
비교부(5)는, 계측부(13)에서 보내온 패킷 미 송수신 시간과 기준 시간을 비교한다. 기준 시간은 미리 결정된 고정값 「10분」을 비교부(5)에 기억시켜 둔다. 여기서 만일, 유저 단위의 고정값을 설정하는 경우, 비교부(5)는, 기억부(11)에서 이 유저의 기준 시간을 참조하여 기입한다. 또, 유저 자신이 기준 시간을 설정하는 경우, 유저 단말 1로부터 직접 비교부(5)에 접속하여 기준 시간을 설정한다.
또, 유저 단위로 가변 기준 시간을 망 내에서 설정하는 경우, 계산부(18)에서 결정된 기준 시간을 사용한다. 또, 모든 유저 통일로 가변 기준 시간을 망 내에서 설정하는 경우, 리소스 감시부(15)로부터의 데이터를 기초로 설정부(16)에서 결정한 기준 시간을 사용한다.
그래서, 유저의 패킷 미 송수신 시간이 기준 시간을 넘는 경우, 비교부(5)는 그 것을 지시부(6)로 알린다.
지시부(6)는, 망 내 리소스의 해방을 해방부(12)로 지시한다. 여기서, 망 내 리소스의 각 부분(28-1, 28-2)은 일괄하여 해방하는 것으로 하나, 여기서 만일 망내 리소스의 각 부분을 별개의 순서와 타이밍에서 해방하는 경우에는, 해방 지시를 일단 리소스 내 제어부(20)로 송신한다. 리소스 내 제어부(20)는, 해방하는 순서와 타이밍에 따라서, 해방부(12)로 신호를 송신한다. 여기서, 그 순서와 타이밍은, 미리 고정값을 설정하여 두어도 되고, 망 내 리소스의 이용률에 따라서 망 내에서 판단하여 설정하여도 된다.
여기서, 망 내 리소스의 해방 정도를 단계적으로 해방할 수 있는 제어가 가능한 것으로 한다. 리소스 감시부(15)는, 미리 망 내 리소스의 상태를 감시하고 있으므로, 어느 유저가 확보하고 있는 망 내 리소스에 해방 지시가 생긴 것을 알면, 그 리소스의 상태를 공통 리저브 상태(통신이 개시되면 우선적으로 리소스가 할당되는 상태)로 한다. 이 상태에서 이 유저가 패킷 송수신을 요구한 경우에는, 망 내의 가용 리소스 또는, 유저가 확보하고 있는 공통 리저브 리소스를 사용하여 통신 설정을 할 수 있으나, 다시 이 유저가 계속해서 패킷을 송수신을 행하지 않고, 리저브 상태의 시간이 기준 시간을 넘으면, 리소스 감시부(15)는 이 리소스를 완전히 해방한다. 이상을 되풀이하여, 망 내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도 20에서는, 고정 패킷 통신망에 대해서 설명했으나, 이 망의 리소스 제어는, 상술한 이동 통신에서의 패킷 통신에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설명과 같이, 본 발명을 이용함으로써, 패킷 통신망의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으므로, 망의 리소스의 이용 효율이 향상된다.
구체적으로는, 장시간 통신 설정을 한 채로 패킷의 송수신이 없는 유저에 대해서, 다시 유저가 통신을 재개하기까지 망 내 리소스를 일단 해방한다.
이에 의해서 망 내에서는, 개방한 리소스를 다른 유저가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보다 많은 유저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보류 유저가 통신을 재개한 경우에는, 유저의 조작을 수반하지 않고, 망 내의 통신 설정을 다시 행하므로, 유저에 대한 서비스의 저하는 생기지 않는다.
상기 설명과 같이, 본 발명은 패킷에 의해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유저에 대해서, 실제로 유저가 데이터 통신을 행할 때에는 필요한 통신 속도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을 최대한 보증하면서, 망 내 리소스를 보다 많은 유저에게 배분하여, 경제적인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이동 무선에 의한 패킷 통신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동 통신에서의 패킷 통신에서는, 위치 제어에 따른 제어도 행할 필요가 있다. 통시 중의 호(呼)에 대해서는, 핸드 오버 처리를 행하여, 이동에 추종 처리를 행한다. 실제로 통신을 행하지 않는 기간에서, 추종의 필요가 없는 경우의 처리는 배제할 수 있다.

Claims (42)

  1. 패킷 통신망에 있어서,
    통신 설정 확립 후에 유저의 트래픽을 감시하는 감시 수단과,
    상기 감시 수단에 의해 감시한 트래픽이 규정된 감시 조건을 만족한 경우에, 유저의 통신 상태를 통신 보류 상태로 하는 보류 상태 설정 수단과,
    통신 보류 상태에 있어서, 패킷 통신을 개시하면 통신 상태로 복귀시키는 상태 복귀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통신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보류 상태로는, 유저·코넥션이 있는 구간에서의 전송로 리소스와 중계 노드·리소스를 해방하고, 상기 구간 내의 리소스는 다른 유저가 사용할 수 있는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통신망.
  3. 제1항에 있어서,
    통신 상태에서 통신 보류 상태로의 상기 감시 조건이, 기준 시간 내에 유저·패킷의 송수신이 없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통신망.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 수단은,
    각 유저가 패킷을 송수신하지 않은 시간을 계측하여, 상기 계측한 시간을 송신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보류 상태 설정 수단은,
    송신된 상기 계측 시간을 수신하여, 상기 계측한 시간과 미리 결정된 기준 시간을 비교하여, 상기 계측한 시간이 기준 시간을 넘은 것을 알리는 수단과,
    기준 시간을 넘은 것이 알려져서, 유저에게 할당된 리소스의 해방 지시를 제출하는 수단과,
    제출된 상기 해방 지시에 의해, 유저에게 할당된 리소스를 해방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패킷 통신망.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리소스를 해방하는 수단은, 시간에 따라서 리소스 상태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통신망.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에 따라서 리소스 상태를 변화시키는 경우, 보류 상태의 유저에게 우선적으로 할당되는 상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통신망.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류 상태 설정 수단은, 기준 시간을 변경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통신망.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시간을 변경하는 수단은,
    유저마다 결정된 기준 시간을 등록하고,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유저마다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기준 시간을 참조시키는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통신망.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시간을 변경하는 수단은,
    유저가 기준 시간을 지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통신망.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시간을 변경하는 수단은,
    유저마다 통신을 이용하는 빈도를 계측하는 수단과,
    상기 빈도에 기초하여 기준 시간을 계산하여, 설정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통신망.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시간을 변경하는 수단은,
    망 내 리소스의 사용율을 항상 감시하는 수단과,
    사용율에 따라서 기준 시간을 설정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통신망.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리소스를 해방하는 수단은,
    유저마다 확보되어 있는 리소스의 해방의 순서와 타이밍의 제어를 행하는 해방 제어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통신망.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해방 제어 수단은, 미리 정해진 순서와 타이밍에서 해방의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통신망.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보류 상태에 있어서, 통신 상태인 측에서의 접속 확인에 대해서, 통신 보류 상태인 구간의 끝점인 노드는, 접속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의사적으로 반송하는 접속 확인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통신망.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보류 상태에서, 통신 보류 상태인 구간의 끝점인 노드는, 통신 상태인 측에 대해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는 접속 확인 신호를 송출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통신망.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끝점인 노드는, 상기 접속 확인 신호의 송출에 의해서, 접속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없는 경우에는, 통신 종료로 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통신망.
  17. 제1항에 있어서,
    통신 보류 상태에서 통신 상태로 복귀하는 상기 수단은, 통상의 발착신에서의 절차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통신망.
  18. 제1항에 있어서,
    보류 상태로 이행할 때에, 복귀하기 위한 루팅·테이블을 통신 보류 상태인 구간의 끝점 노드에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통신망.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통신망이 이동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통신망.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보류 상태에 있어서, 이동국의 위치 등록은 통상 수신 대기 상태와 마찬가지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통신망.
  21. 제19항에 있어서,
    유저가 이동한 것을 전하는 수단과,
    유저에 관한 정보를 이동 목적지의 정보를 관리하고 있는 수단에게 넘기는 수단과,
    유저에 관한 정보에 따라서 망 내 리소스를 확보하는 수단과,
    관리해 둘 필요가 없어진 유저에 관한 정보를 소거하는 수단과,
    이동 출발지의 리소스를 해방하는 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통신망.
  22. 패킷 통신망에서의 리소스 관리 방법에 있어서,
    통신 설정 확립 후에 유저의 트래픽을 감시하는 단계와,
    상기 감시 단계에서 감시한 트래픽이 규정된 감시 조건을 만족한 경우에, 유저의 통신 상태를 통신 보류 상태로 함으로써 유저에게 할당된 리소스의 적어도 일부를 해방하는 단계와,
    통신 보류 상태에 있어서, 패킷 통신을 개시하면 통신 상태로 복귀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통신망에서의 리소스 관리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보류 상태로는, 유저·코넥션이 있는 구간에서의 전송로 리소스와 중계 노드·리소스를 해방하고, 상기 구간 내의 리소스는 다른 유저가 사용할 수 있는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통신망에서의 리소스 관리 방법.
  24. 제22항에 있어서,
    통신 상태에서 통신 보류 상태로의 상기 감시 조건이, 기준 시간 내에 유저·패킷의 송수신이 없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통신망에서의 리소스 관리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하는 단계는,
    각 유저가 패킷을 송수신하지 않은 시간을 계측하여, 상기 계측한 시간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보류 상태 설정 단계는,
    송신된 상기 계측 시간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계측한 시간과 미리 결정된 기준 시간을 비교하여, 상기 계측한 시간이 기준 시간을 넘은 것을 알리는 단계와,
    기준 시간을 넘은 것이 알려져서, 유저에게 할당된 리소스의 해방 지시를 제출하는 단계와,
    제출된 상기 해방 지시에 의해, 유저에게 할당된 리소스를 해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통신망에서의 리소스 관리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리소스를 해방하는 단계는, 시간에 따라서 리소스 상태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통신망에서의 리소스 관리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에 따라서 리소스 상태를 변화시키는 경우, 보류 상태의 유저에게 우선적으로 할당되는 상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통신망에서의 리소스 관리 방법.
  28.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보류 상태 설정 단계는, 기준 시간을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통신망에서의 리소스 관리 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시간을 변경하는 단계는,
    유저마다 결정된 기준 시간을 등록하고, 기억하는 단계와,
    유저마다 상기 기억 단계에 기억되어 있는 기준 시간을 참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통신망에서의 리소스 관리 방법.
  3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시간을 변경하는 단계는,
    유저가 기준 시간을 지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통신망에서의 리소스 관리 방법.
  31.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시간을 변경하는 단계는,
    유저마다 통신을 이용하는 빈도를 계측하는 단계와,
    상기 빈도에 기초하여 기준 시간을 계산하여,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통신망에서의 리소스 관리 방법.
  32.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시간을 변경하는 단계는,
    망 내 리소스의 사용율을 항상 감시하는 단계와,
    사용율에 따라서 기준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통신망에서의 리소스 관리 방법.
  33.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리소스를 해방하는 단계는,
    유저마다 확보되어 있는 리소스의 해방의 순서와 타이밍의 제어를 행하는 해방 제어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통신망에서의 리소스 관리 방법.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해방 제어 단계는, 미리 정해진 순서와 타이밍에서 해방의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통신망에서의 리소스 관리 방법.
  3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보류 상태에서, 통신 상태인 측에서의 접속 확인에 대해서, 통신 보류 상태인 구간의 끝점인 노드는, 접속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의사적으로 반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통신망에서의 리소스 관리 방법.
  36.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보류 상태에서, 통신 보류 상태인 구간의 끝점의 노드는, 통신 상태인 측에 대해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는 접속 확인 신호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통신망에서의 리소스 관리 방법.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끝점의 노드는, 상기 접속 확인 신호의 송출에 의해서, 접속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없는 경우에는, 통신 종료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통신망에서의 리소스 관리 방법.
  38. 제22항에 있어서,
    통신 보류 상태에서 통신 상태로 복귀하는 상기 단계는, 통상의 발착신에서의 절차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통신망에서의 리소스 관리 방법.
  39. 제22항에 있어서,
    보류 상태로 이행할 때에, 복귀하기 위한 루팅·테이블을 통신 보류 상태인 구간의 끝점 노드에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통신망에서의 리소스 관리 방법.
  40.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통신망이 이동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통신망에서의 리소스 관리 방법.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보류 상태에 있어서, 이동국의 위치 등록은 통상 수신 대기 상태와 마찬가지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통신망에서의 리소스 관리 방법.
  42. 제40항에 있어서,
    유저가 이동한 것을 전하는 단계와,
    유저에 관한 정보를 이동 목적지의 정보를 이용하여 관리하고 있는 단계와,
    유저에 관한 정보에 따라서 망 내 리소스를 확보하는 단계와,
    관리해 둘 필요가 없어진 유저에 관한 정보를 삭제하는 단계와,
    이동 출발지의 리소스를 해방하는 단계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통신망에서의 리소스 관리 방법.
KR1019997005923A 1997-10-30 1998-10-30 패킷 통신망 KR1003301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99205/1997 1997-10-30
JP29920597 1997-10-30
JP30476597 1997-11-06
JP304765/1997 1997-11-06
JP30476497 1997-11-06
JP304764/1997 1997-11-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9784A KR20000069784A (ko) 2000-11-25
KR100330157B1 true KR100330157B1 (ko) 2002-03-28

Family

ID=27338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5923A KR100330157B1 (ko) 1997-10-30 1998-10-30 패킷 통신망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310859B1 (ko)
EP (1) EP0987858B1 (ko)
JP (1) JP3743521B2 (ko)
KR (1) KR100330157B1 (ko)
CN (1) CN1137562C (ko)
CA (1) CA2276732C (ko)
DE (1) DE69828278T2 (ko)
WO (1) WO19990237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81536A (en) 1997-06-20 2000-06-27 Tantivy Communications, Inc. Dynamic bandwidth allocation to transmit a wireless protocol across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radio link
US6151332A (en) 1997-06-20 2000-11-21 Tantivy Communications, Inc. Protocol conversion and bandwidth reduction technique providing multiple nB+D ISDN basic rate interface links over a wireless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6542481B2 (en) 1998-06-01 2003-04-01 Tantivy Communications, Inc. Dynamic bandwidth allocation for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using session queues
US7394791B2 (en) 1997-12-17 2008-07-01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ulti-detection of heartbeat to reduce error probability
US7936728B2 (en) 1997-12-17 2011-05-03 Tantivy Communica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maintaining timing of synchronization messages over a reverse link of a CDM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6222832B1 (en) 1998-06-01 2001-04-24 Tantivy Communications, Inc. Fast Acquisition of traffic channels for a highly variable data rate reverse link of a CDM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525923B2 (en) 1997-12-17 2016-12-20 Intel Corporation Multi-detection of heartbeat to reduce error probability
US7773566B2 (en) 1998-06-01 2010-08-10 Tantivy Communica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maintaining timing of synchronization messages over a reverse link of a CDM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134980B2 (en) 1998-06-01 2012-03-13 Ipr Licensing, Inc. Transmittal of heartbeat signal at a lower level than heartbeat request
GB9913092D0 (en) * 1999-06-04 1999-08-04 Nokia Telecommunications Oy A network element
KR100317261B1 (ko) * 1999-07-02 2001-12-22 서평원 능동적 무선 접속 베어러 제어 방법
US6526034B1 (en) 1999-09-21 2003-02-25 Tantivy Communications, Inc. Dual mode subscriber unit for short range, high rate and long range, lower rate data communications
GB2357665B (en) * 1999-12-22 2003-11-26 Motorola Ltd Packet routing to a mobile station
WO2001058044A2 (en) 2000-02-07 2001-08-09 Tantivy Communications, Inc. Minimal maintenance link to support synchronization
US20010036834A1 (en) * 2000-03-03 2001-11-01 Subir Das Supporting fast intra-domain handoffs and paging in wireless cellular networks
EP1148689B1 (en) * 2000-04-18 2006-06-14 Motorola, Inc. Downloading web pages
JP3466998B2 (ja) * 2000-07-06 2003-11-17 株式会社東芝 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7711790B1 (en) 2000-08-24 2010-05-04 Foundry Networks, Inc. Securing an accessible computer system
US7571238B1 (en) * 2000-10-18 2009-08-04 Nortel Networks Limited Authorizing communication services
US8155096B1 (en) 2000-12-01 2012-04-10 Ipr Licensing Inc. Antenna control system and method
US6954448B2 (en) 2001-02-01 2005-10-11 Ipr Licensing, Inc. Alternate channel for carrying selected message types
US7551663B1 (en) 2001-02-01 2009-06-23 Ipr Licensing, Inc. Use of correlation combination to achieve channel detection
US20020107795A1 (en) * 2001-02-02 2002-08-08 Brian Minear Application distribution and billing system in a wireless network
US6574928B2 (en) 2001-03-06 2003-06-10 Steelcase Development Corporation External utilities manager for post and beam furniture systems
KR100665077B1 (ko) 2001-06-13 2007-01-09 탄티비 커뮤니케이션즈 인코포레이티드 하트비트 요구보다 낮은 레벨로의 하트비트 신호의 전송
US7023803B2 (en) * 2001-09-28 2006-04-04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selectably controlling packet data flow in a packet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6717924B2 (en) * 2002-01-08 2004-04-06 Qualcomm Incorporated Control-hold mode
US7739385B1 (en) * 2003-06-16 2010-06-15 Cisco Technology, Inc. Explicit locking of resources in devices accessible on a network
US8296361B1 (en) * 2004-01-08 2012-10-23 Cisco Technology, Inc.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conference resources
US20070291790A1 (en) * 2004-02-13 2007-12-2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ignaling Management in Data Communication Network
JP4474215B2 (ja) * 2004-06-29 2010-06-0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基地局装置、無線制御システム、および動作制御方法
US8077635B2 (en) * 2005-01-28 2011-12-13 Cisco Technology, Inc. Method and system for reserving facility resources for a conference
CN100474846C (zh) * 2005-11-02 2009-04-01 华为技术有限公司 Ps业务永久在线的实现方法及装置
KR20070061407A (ko) * 2005-12-08 2007-06-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휴대인터넷 시스템의 핸드오버 재설정 방법
US8705558B2 (en) * 2006-06-01 2014-04-22 Cisco Technology, Inc. Swapping bandwidth reservations
KR20090086428A (ko) 2006-11-02 2009-08-12 디지포니카 (인터내셔널) 리미티드 VoIP 통신을 위한 라우팅 메세지 생성
MX2009005751A (es) 2006-11-29 2009-08-26 Digifonica Int Ltd Intercepcion de voz a traves de comunicaciones de protocolo internet (ip) y otras comunicaciones de datos.
WO2008116296A1 (en) 2007-03-26 2008-10-02 Digifonica (International) Limited Emergency assistance calling for voice over ip communications systems
US8400961B1 (en) 2007-08-27 2013-03-19 Qurio Holdings, Inc. Wireless multimedia brokerage service for real time content provisioning
JP5103113B2 (ja) * 2007-09-21 2012-12-19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ユーザ装置
US8261307B1 (en) 2007-10-25 2012-09-04 Qurio Holdings, Inc. Wireless multimedia content brokerage service for real time selective content provisioning
JP5173556B2 (ja) * 2008-04-24 2013-04-0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基地局収容サーバ
EP2311292B1 (en) 2008-07-28 2020-12-16 Voip-Pal.Com, Inc. Mobile gateway
ES2563044T3 (es) 2009-09-17 2016-03-10 Digifonica (International) Limited Transmisión ininterrumpida de transmisiones de protocolo de internet durante cambios de punto de extremo
WO2013007313A1 (en) * 2011-07-14 2013-01-17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Reactivation of dedicated bearers
US8885651B2 (en) * 2011-08-29 2014-11-11 Intel Mobile Communications GmbH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releasing communication resources
JP2013051561A (ja) * 2011-08-31 2013-03-14 Sharp Corp 基地局、ハンドオーバ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91457A (ja) * 1992-01-14 1993-07-30 Fujitsu Ltd 無使用資源解放方式
JPH0846643A (ja) * 1994-07-29 1996-02-16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パケットサービス無中断ハンドオーバ方法
KR960010935A (ko) * 1994-09-16 1996-04-20 에드가 피이 디빌더 제지기의 형성 직물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25678B2 (ja) * 1988-10-11 1998-03-11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パケット通信方法
US5357513A (en) * 1990-12-06 1994-10-18 Hughes Aircraft Company Transmission power level adjustment in radio telephony
US5452295A (en) * 1992-03-18 1995-09-19 Fujitsu Limited Call disconnection method and exchange executing the same in ATM network
JPH0614050A (ja) * 1992-03-18 1994-01-21 Fujitsu Ltd Atm網における呼切断方法および該方法を行う交換機
US6115748A (en) * 1995-07-19 2000-09-05 Fujitsu Network Communications, Inc. Prioritized access to shared buffers
JP3444068B2 (ja) * 1995-12-21 2003-09-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移動通信ネットワークおよび通信制御方法
JPH1032585A (ja) * 1996-07-18 1998-02-03 Nec Corp Atmスイッチ制御方式
JPH10164069A (ja) * 1996-11-26 1998-06-19 Oki Electric Ind Co Ltd コネクション制御方法及び装置
US6011845A (en) * 1997-12-29 2000-01-04 Us West, Inc. Method and system for two-way call holding using an intelligent communication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91457A (ja) * 1992-01-14 1993-07-30 Fujitsu Ltd 無使用資源解放方式
JPH0846643A (ja) * 1994-07-29 1996-02-16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パケットサービス無中断ハンドオーバ方法
KR960010935A (ko) * 1994-09-16 1996-04-20 에드가 피이 디빌더 제지기의 형성 직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276732C (en) 2007-01-16
WO1999023793A1 (fr) 1999-05-14
DE69828278T2 (de) 2005-12-08
JP3743521B2 (ja) 2006-02-08
CN1137562C (zh) 2004-02-04
DE69828278D1 (de) 2005-01-27
EP0987858B1 (en) 2004-12-22
KR20000069784A (ko) 2000-11-25
EP0987858A1 (en) 2000-03-22
US6310859B1 (en) 2001-10-30
EP0987858A4 (en) 2003-04-23
CA2276732A1 (en) 1999-05-14
CN1243627A (zh) 2000-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0157B1 (ko) 패킷 통신망
JP4032428B2 (ja) 集中的管理型遠隔通信システム
EP1131971B1 (en) Distributed infrastructure for wireless data communications
US6909895B2 (en) SGSN semi anchoring during the inter SGSN SRNC relocation procedure
CA2282449C (en) A system for controlling multiple networks and associated services
JP5185440B2 (ja) ユーザ機器のハンドオーバー中にベアラ状況を取得する方法および移動管理エンティティ
RU2154358C2 (ru) Мобильная телефонная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сообщений между мобильными станциями и центром обслуживания передачи сообщений
CN101212810B (zh) 无线网络中用户设备切换方法
US8391210B2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radio transmission path control method
US6529490B1 (en) Handover method between mobile switching centers using intelligent network and IMT-2000 network system adapting the same
EP1300031B1 (en) Method and device for attaching a user equipment to a telecommunication network
US20080013511A1 (en) Distributed infrastructure for wireless data communications
CN101730072B (zh) 在多接入场景下分组数据网络网关标识的保存方法及系统
KR20120125349A (ko) 무선통신 시스템 중의 터미널 핸드오버의 방법 및 시스템
KR101017237B1 (ko) Wimax 네트워크, wimax 네트워크 요소 및 qos 처리 방법
EP1102509B1 (en) Data routing using a location server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EP2995104B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controlling policy and charging in flat networks
JP3471588B2 (ja) パケット交換網におけるパケット・データの帯域制御方法およびパケット交換網システム
KR20140131029A (ko) 이동 통신망에서 ip 주소 할당 방법 및 그 장치
JP3586001B2 (ja) パーソナル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認証情報の事前配置
KR100493446B1 (ko) 이동통신시스템의 올 아이피(all ip) 망 운용 시스템및 운용방법
CN105874765B (zh) 一种移动性管理的方法、装置及系统
WO2010064801A2 (en) Tunneling-based mobility support equipment and method
JP3555587B2 (ja) 移動端末管理システム
JP3540588B2 (ja) 移動パケット通信網、移動通信端末およびパケット交換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