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9564B1 - 멀티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멀티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9564B1
KR100329564B1 KR1019990029470A KR19990029470A KR100329564B1 KR 100329564 B1 KR100329564 B1 KR 100329564B1 KR 1019990029470 A KR1019990029470 A KR 1019990029470A KR 19990029470 A KR19990029470 A KR 19990029470A KR 100329564 B1 KR100329564 B1 KR 1003295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t panel
panel display
adhesive
display device
display elem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9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0519A (ko
Inventor
김시환
Original Assignee
김순택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순택,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순택
Priority to KR1019990029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9564B1/ko
Publication of KR20010010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05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9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95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4Eye-masks ; Devices to be worn on the face, not intended for looking through; Eye-pads for sunbath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84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with protection for the eyes, e.g. using shield or vis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2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07Stiffening bandages
    • A61L15/08Stiffening bandages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s, e.g. plaster of Par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365Plasters use
    • A61F2013/00497Plasters use eye patc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목적 : 복수의 평판표시소자를 연결하여 대화면을 구현함에 있어, 특히 표시소자의 이음매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멀티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구성 : 적어도 2개 이상의 평판표시소자(20)(40)를 상호 접한 상태로 연결하되, 상호 대향하여 접하게 되는 상기 평판표시소자들의 일 측변을 실란트에 의해 실링함을 대신하여, 기판(12)(12′)을 절단하고 그 절단면에 접착제(18)를 도포한 후 보호판(100)을 부착하여 실링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평판표시소자의 상, 하부 기판은 나머지 3변이 실란트(8)에 의해 결합 및 실링되어지며, 접착제의 내부에는 스페이서(22)를 배치하여 그 자체의 두께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효과 : 양측 평판표시소자의 이음매를 최소화하므로 평판표시소자 사이의 이질감을 해소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화면의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멀티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조방법{Multi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본 발명은 복수의 평판표시소자를 연결하여 멀티 및 대화면을 구현함에 있어, 특히 표시소자의 이음매를 최소화하므로 화면의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멀티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알려진 평판 디스플레이장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TFT(thin film transistor)-LCD, FED(Field emission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및 EL(electro luminescent) 디스플레이 등이 있다.
평판 디스플레이장치들은 경박 단소 및 평면화에 따라 브라운관을 대체해 나가는 추세에 있으며, 특히 전산 시스템의 단말기용 모니터나 벽걸이용 디스플레이장치 및 노트 PC나 PDA와 같은 휴대용 기기에 주로 채용된다.
이러한 평판 디스플레이장치들은 모니터의 윈도우화면이나 멀티 미디어의 구현을 위해 대형화되고 있지만, 단일 제품으로 대화면을 구현하는 것은 제작비용이 고가이기 때문에 경제성이 떨어진다. 또한 휴대용 기기에 적용할 경우에는 공간이 협소하여 대화면의 구현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러한 점에서 착안하여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96-41375호에는 크기를 작게 하면서도 대화면 및 멀티 구동이 가능토록 한 평판 디스플레이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중간부분을 접을 수 있도록 한 구조를 제시하고 있으나, 단순히 2개의 표시소자를 하나로 연결하여 접을 수 있도록 하는 개념을 제시하고 있을 뿐이고, 그 구체적인 실시 구성이 미비하여 실현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 디스플레이의 연결수단을 구체화한 것으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출원제 97-27489호 및 특허출원 제 98-54830호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에 개시된 평판 디스플레이장치들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평판표시소자(2)(4)를 접이식으로 연결하는 것만을 개시하고 있을 뿐이고, 실제적으로 시청자에게 보여지는 평판표시소자(2)(4)의 사이공간 즉 이음매(6)에 대한 고려가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표시소자의 이음매에서 확연하게 화면이 분리되어 보임에 따라 화면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으로, 상기 이음매의 실란트(8)를 정밀 인쇄법이나 에칭법으로 100㎛로 형성할 수도 있지만 정밀 인쇄법은 기술적으로 어렵고, 또한 보호판(10)을 양쪽 평판표시소자의 측면에 부착해야 하기 때문에 보호판(10)의 두께 0.1㎜, 여유 공간(G) 0.1㎜를 고려할 때, 이음매(6)의 길이(L)는 최소한 0.5㎜ 이상이 되며, 그 결과 화면 품질의 개선을 기대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앞서 설명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복수의 평판표시소자를 서로 연결함에 있어, 특히 평판표시소자의 경계부위의 이음매를 최소화하므로 화면의 이질감을 제거하고,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멀티 디스플레이장치에서는 적어도 2개 이상의 평판표시소자를 상호 접한 상태로 연결하되, 상호 대향하여 접하게 되는 상기 평판표시소자들의 일 측변을 실란트에 의해 실링함을 대신하여, 기판을 절단하고 그 절단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보호판을 부착하여 실링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평판표시소자의 상, 하부 기판은 나머지 3변이 실란트에 의해 결합 및 실링되어진다. 평판표시소자로는 LCD, FED, PDP 또는 EL 디스플레이를 사용할 수 있으며, 접착제의 내부에는 스페이서를 배치하여 그 자체의 두께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구성을 갖는 멀티 디스플레이장치를 실현하는 방법으로, 상호 대향하여 접하게 될 평판표시소자의 기판 일 측변을 화면 표시부까지 최대한 근접하여 절단하고, 상, 하부 기판과 그 기판들 사이에 형성된 실란트의 절단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다음, 보호판을 부착하여 실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을 제안한다.
상기 제조방법에서 평판표시소자의 일 측변 절단은 상, 하부 기판의 갭을 정확하게 유지하기 위해, 균일하게 압착하면서 실시하는 것이 좋다. 접착제로는 열경화수지를 사용하고, 보호판으로는 금속, 유리 혹은 수지로 된 박판을 사용하며, 상기 보호판을 열압착하므로 접착제를 경화한다.
평판표시소자의 절단면에 위치한 실란트의 단부는 접착제 및 보호판을 실링할 때 취약함을 고려하여, 절단 라인을 따라 연장하되 화면 표시부까지 형성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멀티 디스플레이장치의 펼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평판표시소자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평판표시소자를 도시한 단면도.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9는 종래 공지된 멀티 디스플레이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8-실란트 10,100-보호판
12,12′-기판 18-접착제
20,40-평판표시소자 22-스페이서
34-화면 표시부
이하, 본 발명을 실현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종래 기술에서 인용된 도면과 동일한부분에 대하여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멀티 디스플레이장치에서는 적어도 2개 이상의 평판표시소자를 연결할 수 있지만, 그 중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2개의 평판표시소자를 연결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아울러 평판표시소자로서는 LCD, FED, PDP 및 EL 디스플레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멀티 디스플레이장치의 펼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평판표시소자를 확대 도시한 것이며, 평판표시소자로서 LCD를 사용한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평판표시소자(20)(40)는 한 쌍의 기판(12)(12′) 내면에 각각 투명전극(14)(14′)과 도시 생략한 절연층 및 배향층을 적층 형성하고, 실란트(8)와 보호판(100)으로 실링된 내부 공간에 액정 물질(16)을 주입하여 밀봉한 것이며, 소자의 전후 양면에는 도시 생략한 편광판을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또 평판표시소자(20)(40)의 프론트 기판(12)의 표면에는 보호판(10)을 부착하는데, 이것은 측면의 보호판(100)과 일체 혹은 따로 설치할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된 평판표시소자(20)(40)들은 도시하지 않은 연결수단에 의해 지지되어서 회전식 혹은 여닫이 수납식으로 연결되므로 멀티 디스플레이장치를 구성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으로는 상호 대향하여 접하게 되는 상기 평판표시소자(20)(40)들의 일 측변을 실란트에 의하지 않고, 접착제(18)와 보호판(100)만을 이용하여 실링하므로, 양 평판표시소자(20)(40)의 화면 표시부 간격 즉 이음매의 길이(L1)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물론평판표시소자(20)(40)의 나머지 3변은 실란트(8)에 의해 상, 하부 기판(12)(12′)이 실링되어져 있다.
접착제(18)와 보호판(100)에 의한 본 발명의 실링 구조는 최소한 종래 실란트(8)에 의한 접착 강도를 유지하는 것이어야 하며, 접착제(18)로는 열경화수지를 사용하고 보호판(100)으로 금속, 유리 혹은 수지로 된 박판을 사용하여, 상기 보호판(100)을 열압착하면서 접착제(18)를 경화시켜 이루어진다. 또 접착제(18)의 내부에는 스페이서(22)를 배치하여, 보호판(100)의 열압착시 접착제(18)가 과도하게 얇아지고 퍼지는 것을 방지하며, 그 자체의 두께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이때 상기 스페이서(22)는 수㎛ 크기로 형성된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멀티 디스플레이장치를 구성하는 평판표시소자(20)(40)로서 유기 EL 디스플레이를 사용한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여기서 평판표시소자(20)(40)는 도 1과 같이 상, 하부의 기판(12)(12′)을 실란트(8)와 보호판(100)을 이용하여 실링하고 있으며, 또한 하부(혹은 프론트) 기판(12′)의 상면에 투명 전극(24)과 정공수송층(26), 발광부를 겸하는 전자수송층(28), 금속 전극(30) 및 보호층(31)을 적층하고 있으며, 그 상부에는 소정의 가스가 주입되는 공간(S)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평판표시소자(20)(40)들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호 대향 및 근접된 일 측변을 실란트에 의하지 않고, 기판(12)(12′)을 절단한 후 그 절단면에 접착제(18)를 도포하고 보호판(100)을 부착함에 의해 실링하고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LCD 및 유기 EL 등의 평판표시소자(20)(40)를 복수개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멀티 디스플레이장치는 도 4 내지 도 8에 도시한 제조 단계에 의거하여 실현되어진다.
먼저, 본 발명의 평판표시소자(20)(40)는 도 4와 같이 프레스(32)에 의해 균일한 압력으로 압착되어지는바, 이것은 이후 진행할 절단 공정시 상, 하부 기판(12)(12′) 사이의 갭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이때 프레스 압력은 평판표시소자(20)(40)의 실란트(8) 경화 공정과 같은 압력으로 행하는 것이 좋다.
소정 압력으로 압착된 평판표시소자(20)(40)는 도 5와 같이 기판의 일 측변을 레이저를 이용하여 절단하고, 이때 절단 라인(C)은 도 6과 같이 화면 표시부(34)까지 최대한 근접하게 형성한다. 도면에서와 같이 평판표시소자(20)(40)는 4변을 모두 실란트(8)에 의해 실링한 다음 그 일 측변 만을 라인(C)을 따라 절단할 수 있으며, 또한 도 7과 같이 일 측변이 개방되도록 실란트(8)를 형성한 다음 절단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도 7의 경우에는 이후 평판표시소자(20)(40)의 절단면에 접착제(18)를 도포하고 보호판(100)을 부착하게 되는데, 이때 절단된 실란트(8)의 단부와 보호판(100)의 접착 강도가 약하게 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미리 실란트(8)의 단부(8a)를 절단 라인(C)에 따라 연장하여 화면 표시부(34)까지 형성하고 있다.
일 측변이 절단된 평판표시소자(20)(40)는 도 8과 같이 상, 하부 기판(12)(12′)과 그 기판(12)(12′)들 사이에 형성된 실란트(8)의 절단면에 접착제(18)를 도포한 다음, 보호판(100)을 열압착하여 실링한다.
접착제(18)로는 열경화수지를 사용하는바, 그 예로서 일본의 삼정동압(三井東壓)사의 ES-5500s 혹은 필름형 수지로서 아니솔름(Hitachi chemical, AC-6000 또는 AC-7000)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접착제(18)는 보호판(100)의 압착에 의해과도하게 얇아지고 퍼져 평판표시소자(20)(40)의 내부까지 흘러 들어가 화면 표시부(34)를 오염시킬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접착제(18)의 내부에 일정 크기를 갖는 스페이서(22)를 위치시켜 자체의 두께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스페이서(22)는 4∼10㎛의 것을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목적으로 접착제(18)의 폭(W)을 기판(12)(12′)의 두께 보다 작게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상 평판표시소자의 기판(12)(12′) 두께를 0.7㎜라고 하면, 접착제(18)는 폭(W)을 0.2∼0.5㎜로 형성하고, 두께(T)를 15∼25㎛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이때 접착제(18)는 그 형태가 균일하고 정밀해야 되므로, 메쉬를 이용한 정밀 인쇄법이나 에칭법으로 실현되어진다.
상기와 같이 도포되고 보호판(100)의 열압착에 의해 경화된 접착제(18)는 최소 실란트(8)와 같은 접착 강도를 유지하는 것이어야 한다. 예를 들어 통상 평판표시소자의 실란트(8)는 1.0∼1.5kg/㎜의 접착 강도를 유지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보호판(100)은 소정의 실링 강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금속, 유리 혹은 수지로 된 박판을 사용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멀티 디스플레이장치는 일 예로서 기판(12)(12′)의 두께를 0.7㎜, 실란트(8)의 폭을 0.1㎜, 보호판(10)(100)의 두께를 0.1㎜, 양측 평판표시소자(20)(40) 사이의 여유를 0.1㎜, 경화된 접착제(18)의두께를 6㎛, 스페이서(22)의 크기를 6㎛라 할 때, 양측 평판표시소자(20)(40)의 이음매 길이(L1)를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실측한 결과 표 1과 같이 되었다.
구 분 종래(L) 본 발명(L1)
이음매 길이 0.512㎜ 0.312㎜
표 1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멀티 디스플레이장치는 동일한 조건일 때, 양측 평판표시소자(20)(40)의 사이 간격이 종래 기술에 비해 39% 만큼 감소함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구성 및 작용을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멀티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복수 개의 화면을 하나의 대화면으로 구성할 수 있고, 모니터의 윈도우와 같은 멀티 화면을 구현할 수 있으며, 특히 상호 연결되는 평판표시소자의 사이 간격 즉, 이음매 길이를 최소화하므로, 화면 간의 이질감을 제거하고 표시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0)

  1. 적어도 2개 이상의 평판표시소자를 상호 연결한 멀티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상호 대향되어 접합되는 상기 평판표시소자의 일 측변에 도포되고, 내부에 스페이서가 개재된 접착제와, 상기 접착제상에 압착되는 보호판을 구비하고,
    상기 양 평판표시소자의 경계부는 상기 접착제와 보호판으로 실링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적어도 2개 이상의 평판표시소자를 상호 연결한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호 대향 및 접합하게 될 평판표시소자를 실란트로 실링한 다음에, 대향되는 일 측변을 화면 표시부까지 최대한 근접하여 절단하는 단계;와,
    상기 평판표시소자의 절단면에 스페이서가 그 내부에 개재된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접착제상에 보호판을 압착하여 평판표시소자를 실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5. 삭제
  6. 제 4 항에 있어서,
    평판표시소자의 상부 및 하부 기판을 실란트로 실링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실란트가 평판표시소자의 절단 라인을 따라 연장하여 화상 표시부까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표시소자를 실링하고, 절단하는 단계에서는,
    상부 및 하부 기판을 균일한 압력으로 압착하고, 상기 기판의 일 측변을 따라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에서는,
    열경화성수지나 필름형 수지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상에 보호판을 압착하는 단계에서는,
    실링 강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금속, 유리 또는 수지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된 박판을 열압착하면서 상기 접착제를 경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10. 삭제
KR1019990029470A 1999-07-21 1999-07-21 멀티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3295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9470A KR100329564B1 (ko) 1999-07-21 1999-07-21 멀티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9470A KR100329564B1 (ko) 1999-07-21 1999-07-21 멀티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0519A KR20010010519A (ko) 2001-02-15
KR100329564B1 true KR100329564B1 (ko) 2002-03-20

Family

ID=19603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9470A KR100329564B1 (ko) 1999-07-21 1999-07-21 멀티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95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3528A (ko) * 2002-04-23 2003-10-30 주식회사 대한전광 수직전기공급선을 구비한 유기전계발광소자 모듈
KR20030083529A (ko) * 2002-04-23 2003-10-30 주식회사 대한전광 측면봉지구조의 유기전계발광소자
KR101551882B1 (ko) 2008-11-07 2015-09-10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KR101219198B1 (ko) * 2010-10-20 2013-01-08 박기한 Lcd 멀티비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4047A (ja) * 1997-06-27 1999-01-29 Sharp Corp マルチパネル型液晶表示素子と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4047A (ja) * 1997-06-27 1999-01-29 Sharp Corp マルチパネル型液晶表示素子と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0519A (ko) 2001-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35100B1 (en) Flat panel display device
JP4188415B2 (ja) Fedの配列および封止方法
JP5052061B2 (ja) 板状部材の貼り合わせ方法
KR100349909B1 (ko) 멀티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5670843A (en) Plasma addressed display device
KR100329564B1 (ko) 멀티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3111581B2 (ja) 液晶パネルの製造方法
TWI328704B (en) Panel used in liquid crystal display
CN102967952A (zh) 图像显示元件的制造方法
KR100300430B1 (ko) 멀티 디스플레이장치
KR100349910B1 (ko) 멀티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48832A (ko)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JP2008046265A (ja) 板状部材の貼り合わせ装置
JP2007025516A (ja) 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電気光学装置、シールマスク及びシール材印刷装置
KR20170005318A (ko) 표시 패널 어셈블리 및 표시 패널 제조 방법
JP2003142176A (ja) 異方性導電膜構造
JP2008052095A (ja) 液晶表示パネル、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358385B2 (ja) 接着剤の平滑化方法
JPH1144869A (ja) 液晶パネルおよびその作製方法
JP2000285816A (ja) マトリクス型表示装置用真空容器の構造
JPH055893A (ja) 液晶表示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213973B1 (ko) 대면적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H10268791A (ja) 平面型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6106036A (ja) パネルの製造方法
JP2000193942A (ja) プラズマアドレス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