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8531B1 - 콤바인 - Google Patents

콤바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8531B1
KR100328531B1 KR1019990025184A KR19990025184A KR100328531B1 KR 100328531 B1 KR100328531 B1 KR 100328531B1 KR 1019990025184 A KR1019990025184 A KR 1019990025184A KR 19990025184 A KR19990025184 A KR 19990025184A KR 100328531 B1 KR100328531 B1 KR 1003285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distribution
hydraulic oil
oil tank
distribution case
comb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5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2655A (ko
Inventor
미나미류이치
니시데루오
기메오사무
Original Assignee
미쯔이 고오헤이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750873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328531(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미쯔이 고오헤이,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미쯔이 고오헤이
Publication of KR20000022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26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8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85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7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 A01D41/1274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for driv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02Self-propelled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9/00Driving mechanisms or parts thereof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69/03Driving mechanisms or parts thereof for harvesters or mowers fluid

Abstract

콤바인의 기체프레임의 전단부영역에 작동유탱크를 배치하고, 작동유탱크와, 그후방의 탈곡장치와의 사이에,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을 분배하는 동력분배케이스를 배치한다.

Description

콤바인{COMBINE}
본 발명은 예취전처리장치를 기대의 전단부에 횡축심주위에서 승강요동자유로이 설치함과 동시에, 그 후방에 기대상에 탈곡장치를 탑재장비하고 있는 콤바인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콤바인에 있어서는, 예취전처리장치를 요동승강자유로이 지지하기위한 기대측의 지지대로서, 작동유를 저장하는 작동유탱크를 이용한 것이 알려져있다. 그리고, 종래에 있어서는, 그 작동유탱크내에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을 분배하는 동력분배기구를 내장하고, 그 작동유탱크로부터 탈곡장치의 각부로의 전동을 행하도록 한 것이 알려져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구조의 콤바인에 있어서는, 작동유탱크내에 동력분배기구가 내장되어있으므로, 그 동력분배기구로부터의 동력출력위치와 탈곡장치의 위치가 전후로 비교적 떨어진 위치로 되어, 그 연계를 행하기 위한 구조가 필요하게 됨으로써 구조적으로 복잡하게 된다고 하는 과제를 가지고 있음과 동시에, 그 동력분배기구를 내장하는 이유로, 강도적으로 낮게 될 우려가 있으므로, 작동유탱크를 강도적으로 높이기 위한 보강구조등을 설치할 필요가 있고, 코스트상승을 초래하기 쉽다는 과제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정을 감안하여 된 것으로, 예취전처리장치의 지지구조나 동력분배구조를 강도적으로 높고 간단한 것으로 될 수 있는 콤바인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콤바인의 전체측면도;
도 2는 전동계등을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
도 3은 전동계를 도시하는 개략 설명도;
도 4는 요부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5는 작동유탱크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기대 3; 예취전처리장치
4; 탈곡장치 8; 작동유탱크
9; 지지부 16; 동력분배케이스
20; 전방돌출부 21; 지지부재
P; 횡축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의한 콤바인은, 기대의 전단부영역에 정유압식 무단변속장치를 위한 작동유를 저장하는 작동유탱크를 고정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작동유탱크에, 예취전처리장치를 횡축심 주위에서 승강요동자유로이 지지하는 지지부를 설치하고, 상기 작동유탱크의 후방에 상기 예취전처리장치로부터의 예취곡물줄기를 기체후방으로 반송하는 피드체인과, 급동을 가지는 탈곡장치를 설치하고,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을 상기 피드체인 및 상기 급동에 분배하는 동력분배케이스를 상기 작동유탱크와 별체로, 또한 상기 작동유탱크와 그 후방의 상기 탈곡장치와의 사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은 구성에 의해, 작동유탱크가 기체의 전단측에 고정설치됨과 동시에, 그 작동유탱크와는 별도로 그 후방에 동력분배케이스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작동유탱크내에 동력분배기구를 배열설치하지 않은 것으로 되어 있고, 그것에 의해 그 작동유탱크의 강도도 높게 유지될 수 있다. 더욱이, 동력분배케이스는 탈곡장치근처의 가까이에 배치되므로서, 탈곡장치로의 동력분배의 연계기구는 비교적 구조가 간단한 것으로 된다.
따라서, 작동유탱크의 강도가 높게 되므로, 예를들면, 주물로 작동유탱크를 구성하지 않아도, 강판등에 의해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고, 균열등이 생기기 어렵게 되는 이점이 있음과 동시에, 동력분배케이스로부터 탈곡장치로의 전동구조도 비교적 간단한 것으로 될 수 있어, 코스트의 경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탈곡장치의 급실부분을 전방으로 돌출시켜 전방돌출부를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전방돌출부와 상기 기대와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에, 상기 동력분배케이스가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형상으로 하면, 작동유탱크와 탈곡장치의 전면의 하부와의 사이에 생기는 스페이스를 유효이용하여 동력분배케이스를 배치할 수 있음과 동시에, 동력분배케이스는 탈곡장치측에 근접하는 상태에서 배치되어있으므로, 그 분배동력의 탈곡장치로의 전동기구를 한층 간단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관한 구성에 의하면, 동력분배케이스를 스페이스를 유효이용하여 배치할 수 있음과 동시에, 그 케이스의 보호가 도모되고, 더욱이, 전동계를 용이한 것으로 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동력분배케이스와, 탈곡장치의 전방돌출부와의 사이에, 이 전방돌출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이 구성하면, 차양모양으로 전방으로 돌출한 형상의 탈곡장치의 급실부분을 지지하는데, 기대로부터 그 돌출부분까지 걸쳐서 지지부재와 같은 것을 설치하지 않아도 됨과 동시에, 강도적으로도 높은 동력분배케이스를 이용하여 비교적 높은 위치에서 전방돌출부의 지지를 행하고 있으므로, 그 지지부재도 소형으로 강도적으로 높은 것으로 될 수 있다.
따라서, 구조가 간단하고, 또한 저렴하게, 탈곡장치의 급실부분의 전방돌출부를 지지강도 높게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그외의 작용 및 효과는, 이하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발명의 실시의 형태로부터 당업자에 의해 명확하게 된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를 도면을 근거로 설명한다.
도 1에서, 콤바인의 일예를 도시하고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전방향, 후방향, 좌우방향은 각각, 이 콤바인에 대한 각각의 방향으로서 정의된다.
이 콤바인은 좌우한쌍의 크롤로주행장치(1,1)에 지지된 기대로서의 기체프레임(2)을 구비하고 있다. 이 기체프레임(2)의 전단부영역에, 횡축심(P)주위로 승강요동자유로이 4조의 예취용 예취전처리장치(3)를 장착하고 있다. 또한, 기체프레임(2)상에, 탈곡장치(4), 탑승운전부(5), 원동부(6), 그레인 탱크(7)등을 탑재장비하여 구성되어있다.
예취전처리장치(3)의 지지구조에 대하여 설명하면,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기대로서의 상기 기체프레임(2)의 전단부에, 스틸판 즉 강판제의 작동유탱크(8)를, 볼트연결하여 고정지지하고 있다. 이 작동유탱크(8)는 도시하지않은 정유압식 무단변속장치등에 제공되는 작동유를 저장하고 있다. 이 작동유탱크(8)의 전방강하 경사면으로 되어 있는 상면(8a)에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지지부로서의 좌우한쌍의 받이대(9,9)를 볼트연결하고있다. 더욱이, 각 받이대(9,9)의 상면부에는, 예취전처리장치(3)의 파이프 프레임(F)중 가로방향 프레임(10)을 얹어 놓은 반원형의 받이멈춤부(9A)를 설치하고있다. 그래서, 가로방향 프레임(10)을 받이멈춤부(9A)에 얹어 놓은 상태어서, 반원형의 정지구(9B)에 의해 가로방향 프레임(10)을 지지하여 이 정지구(9B)와 받이멈춤부(9A)를 볼트로 체결한다.
이 가로방향 프레임(10)에는, 원동부(6)의 엔진(E)으로부터 벨트전동기구(12)를 통해서 벨트전동되어 회전구동되는 전동축(11)이 지지상태로 내장되어있다. 또한, 좌우한쌍의 받이대(9,9)의 사이의 중간위치에 가로방향 프레임(10)으로부터 전방으로, 기립장치등을 지지함과 동시에, 전동케이스에 겸용되는 메인 지지프레임(F)을 뻗어설치하고있다. 그래서, 도 1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작동유탱크(8)의 후방에는, 예취전처리장치(3)의 세로반송장치(13)로부터 예취곡물줄기를 받아넘겨서 피드체인(14)으로 후방으로 반송하면서 탈곡처리하는 상기 탈곡장치(4)를 배치하고있다. 그래서, 탈곡장치(4)와 작동유탱크(8)와의 사이에는, 엔진(E)으로부터의 동력을 탈곡장치(4)의 급동(扱胴)(15)과, 탈곡장치(4)의 그외의 각장치에 동력을 분배하는 동력분배케이스(16)를 얹어 놓아 볼트체결하고있다. 상술하면, 탈곡장치(4)에 있는 급실(17)의 앞쪽부분은 선별부(18)보다도 전방으로 돌출한 구조로 되어있고, 그때문에, 탈곡장치(4)의 외장케이스(19)의 상부개소는 전방으로 오버행(over hang)한 전방돌출부(20)로 되어있다. 따라서, 그 전방돌출부(20)와 기체프레임(2)의 사이에는 비교적 커다란 공간부가 형성되어있고, 그 공간부에 동력분배케이스(16)가 배치되어있다. 동력분배케이스(16)의 후반부분은 그 전방돌출부(20)의 하방으로 들어간 상태로 되어있다. 또한, 이 동력분배케이스(16)는 주물제로 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 동력분배케이스(16)의 상면부와, 전방돌출부(20)의 하면에 걸쳐서, 판금 또는 파이프부재등에 의해 구성되어있는 지지부재(21)를 사이에 장착하고 있다. 이 지지부재(21)를 볼트등으로 동력분배케이스(16)나 전방돌출부(20)에 고정하여두고, 전방돌출부(20)를 지지하도록 하고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동력분배케이스(16)로는 예취전처리장치(3)로의 전동을 행하는 벨트전동기구(12)와는 별도의 벨트전동기구(22)를 통해서 엔진(E)으로부터 동력이 가로방향축(23)에 전달된다. 이 가로방향축(23)이 지지되는 동력분배케이스(16)내에 있어서 좌우방향으로의 중간위치에 한쌍의 베벨기어로 이루어지는 베벨기어기구(24)가 설치되어있다. 이 베벨기어기구(24)에 의해 전방으로 분기되고, 동력분배케이스(16)의 전면에서 바깥쪽으로 돌출한 출력축(25)에는 구동풀리(26)가 설치되고, 급동(15)을 구동하기위해 그 구동풀리(26)와 급동(15)의 회전지지축(15a)과 일체의 종동풀리(27)나 중간풀리에 걸쳐서 전동벨트(28)를 감아서 급동(15)을 회전구동하도록 하고있다.
도 3에서는, 동력의 전달계를 간단하게 설명하기위해서, 출력축(25)이 후방으로 뻗어있는것같이 보이는데, 실제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되어있는 바와같이, 출력축(25)은 동력분배케이스(16)보다 전방으로 돌출해 있다.
가로방향축(23)은 동력분배케이스(16)의 좌측면에서 좌횡외방으로 돌출되어있음과 동시에, 그 단부에, 탈곡장치(4)내에 있어서 선별장치, 회수장치, 피드체인(14)등을 구동하기위한 전동을 행하는 벨트전동기구(29)의 구동풀리(30)를 설치하고있다.
(다른 실시의 형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작동유탱크를 강판재로 구성하고, 받이대를 주물로 구성한 것을 도시하고있으나, 받이대도 강판재를 가공하여 구성한 것을 채용하여도 됨과 동시에, 이 받이대를 작동유탱크에 대하여 용접에 의해 연결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작동유탱크가 기체의 전단측에 고정설치됨과 동시에, 그 작동유탱크와는 별도로 그 후방에 동력분배케이스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작동유탱크내에 동력분배기구를 배열설치하지 않은 것으로 되어 있고, 그것에 의해 그 작동유탱크의 강도도 높게 유지될 수 있다. 더욱이, 동력분배케이스는 탈곡장치근처의 가까이에 배치되므로서, 탈곡장치로의 동력분배의 연계기구는 비교적 구조가 간단한 것으로 된다.
따라서, 작동유탱크의 강도가 높게 되므로, 예를들면, 주물로 작동유탱크를 구성하지 않아도, 강판등에 의해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고, 균열등이 생기기 어렵게 되는 이점이 있음과 동시에, 동력분배케이스로부터 탈곡장치로의 전동구조도 비교적 간단한 것으로 될 수 있어, 코스트의 경감을 도모할 수 있다.

Claims (5)

  1. 기대(2)의 전단부영역에 정유압식 무단변속장치를 위한 작동유를 저장하는 작동유탱크(8)를 고정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작동유탱크(8)에, 예취전처리장치(3)를 횡축심(P)주위에서 승강요동자유로이 지지하는 지지부(9)를 설치하고,
    상기 작동유탱크(8)의 후방에 상기 예취전처리장치(3)로부터의 예취곡물줄기를 기체후방으로 반송하는 피드체인(14)과, 급동(15)을 가지는 탈곡장치(4)를 설치하고,
    엔진(E)으로부터의 동력을 상기 피드체인(14) 및 상기 급동(15)에 분배하는 동력분배케이스(16)를 상기 작동유탱크(8)와 별체로, 또한 상기 작동유탱크(8)와 그 후방의 상기 탈곡장치(4)와의 사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탈곡장치(4)의 급실부분을 전방으로 돌출시켜 전방돌출부(20)를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전방돌출부(20)와 상기 기대(2)와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에, 상기 동력분배케이스(16)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분배케이스(16)와, 상기 탈곡장치(4)의 상기 전방돌출부(20)와의 사이에, 상기 전방돌출부(20)를 지지하는 지지부재(21)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9)는 상기 작동유탱크(8)의 전방아래로의 경사면(8a)의 위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분배케이스(16)에는, 급동(15)을 구동하기위한 풀리(26)와, 동력분배케이스(16)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는 상기 풀리(26)의 출력축(25)이 구비되어있고, 상기 풀리(26)는 평면에서 볼때, 그리고 측면에서 볼때 상기 지지부(9)와 상기 동력분배케이스(16)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KR1019990025184A 1998-09-25 1999-06-29 콤바인 KR1003285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7207498A JP3481145B2 (ja) 1998-09-25 1998-09-25 コンバイン
JP98-272074 1998-09-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2655A KR20000022655A (ko) 2000-04-25
KR100328531B1 true KR100328531B1 (ko) 2002-03-18

Family

ID=17508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5184A KR100328531B1 (ko) 1998-09-25 1999-06-29 콤바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481145B2 (ko)
KR (1) KR100328531B1 (ko)
CN (1) CN1211008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19453B2 (ja) * 2003-12-02 2010-08-04 三菱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の伝動装置
JP5825712B2 (ja) * 2011-08-02 2015-12-02 ヤンマー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5916592B2 (ja) * 2012-12-11 2016-05-11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KR102120305B1 (ko) * 2012-12-11 2020-06-08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콤바인
CN104541753B (zh) * 2014-12-08 2016-07-06 农业部南京农业机械化研究所 一种花生联合收获机清选装置
JP6320314B2 (ja) * 2015-02-06 2018-05-09 ヤンマー株式会社 コンバイン伝動構造
WO2017159547A1 (ja) * 2016-03-14 2017-09-21 ヤンマー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6718571B2 (ja) * 2016-03-14 2020-07-08 ヤンマーパワ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6594830B2 (ja) * 2016-07-19 2019-10-23 ヤンマー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6625499B2 (ja) * 2016-07-27 2019-12-25 ヤンマー株式会社 コンバイン
WO2018016322A1 (ja) * 2016-07-19 2018-01-25 ヤンマー株式会社 コンバイ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11008C (zh) 2005-07-20
CN1249126A (zh) 2000-04-05
JP2000092950A (ja) 2000-04-04
JP3481145B2 (ja) 2003-12-22
KR20000022655A (ko) 2000-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8531B1 (ko) 콤바인
US5357737A (en) Mower having a device for driving processing rollers of the mower
CA2204659C (en) Crop harvester platform having a reversible drive for the reel, cutterbar, center-feed augers and conditioner rolls
US2369745A (en) Harvester thresher
JP2000209934A (ja) コンバインの刈取注油装置
US4733738A (en) Tractor spray pump support
KR20050057212A (ko) 콤바인
JP5695844B2 (ja) 草刈装置
JP3554144B2 (ja) 移動収穫機
KR100470604B1 (ko) 콤바인
JP3458974B2 (ja) 自走式根菜収穫機
JP2004141041A (ja) コンバイン
JPH0363331B2 (ko)
JP3314278B2 (ja) コンバイン
JP3652694B2 (ja) コンバイン
JP3458920B2 (ja) 自走式根菜収穫機の選別コンベア支持構造
JP2002176827A (ja) コンバイン
JPH0767440A (ja) コンバインの刈取装置
JPS6245561Y2 (ko)
JP2012000018A (ja) 草刈装置
JP2579481Y2 (ja) 収穫機の刈取装置
JP2002186335A (ja) コンバイン
JP2002144898A (ja) 農用作業車等のミッション装置周辺構造
JPH0513129U (ja) コンバイン
JPH04248914A (ja) コンバインの搭載機器回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