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8178B1 - 엔진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엔진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8178B1
KR100328178B1 KR1019980035185A KR19980035185A KR100328178B1 KR 100328178 B1 KR100328178 B1 KR 100328178B1 KR 1019980035185 A KR1019980035185 A KR 1019980035185A KR 19980035185 A KR19980035185 A KR 19980035185A KR 100328178 B1 KR100328178 B1 KR 1003281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engine
amount
creep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5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86982A (ko
Inventor
코오지 니시모토
Original Assignee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Publication of KR199900869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69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8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81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14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 F02D41/16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for id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002Controlling intake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Y2300/18008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Y2300/18058Cree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Abstract

아이들상태에서 크리프 주행상태로의 이행에 있어서 운전자에 폭주감, 급출발의 감을 주지 않도록 한다.
아이들시의 엔진 회전수를 목표 회전수로 수렴하도록 피드백 제어하는 엔진제어장치로서, 차량이 아이들상태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아이들상태 판정수단과, 차량이 크리프 주행상태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크리프 주행상태 판정수단을 구비하고, 아이들 상태에서 크리프 주행상태로 변화한 시점에서 소정기간은 피드백 제어를 금지하는 동시에, 엔진에 공급하는 공기량을 감소시키도록 하였다.

Description

엔진제어장치
본 발명은 엔진의 회전수 또는 차속등을 소망하는 목표치로 조정하는 엔진의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일본국 특공평 2-14979 호 공보에 기재된 바와같이, 엔진의 아이들 상태를 판별하고 아이들 상태라고 판별되었을때에 미리 설정된 아이들 목표 회전수와 실제의 엔진 회전수와의 비교출력에 의해 엔진에 공급되는 공기량을 제어해서 실제의 엔진 회전수를 아이들 목표 회전수에 피드백 제어하는 엔진제어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도 9 는 종래의 엔진제어장치의 동작을 표시하는 타임차트이다.
도면에서 (a)는 액셀페달 또는 슬로틀 밸브의 전폐상태를 검출하는 아이들 스위치의 상태, (b)는 피드백 제어를 실행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피드백 모드 플래그의 설정상태, (c)는 엔진에 공급되는 공기량, (d)는 실제의 엔진 회전수,(e)는 차량의 속도인 차속을 각각 표시하고 있다.
도면에서 엔진이 아이들 상태일 때 즉 액셀페달 또는 슬로틀밸브가 전폐(全閉)상태(아이들 스위치가 온상태)에 있고, 또 차속이 0일때는 피드백 모드 플래그가 세트된다.
이로써 실제의 엔진 회전수와 아이들 목표 회전수를 비교해서 이 비교결과에 따라 엔진에 공급하는 공기량을 (C)와 같이 변화시키고 (d)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실선으로 표시하는 실제의 엔진 회전수가 파선으로 표시하는 아이들 목표 회전수에 일치하도록 제어를 한다.
그러나 종래의 엔진제어장치에서는, 엔진이 아이들 상태가 아닐때는 피드백 제어를 정지하고 있다.
즉, AT 차에서 변속기어가 D레인지에 있고 또 브레이크를 밟아서 차량이 정지상태에 있을때는 아이들 상태에 있다고 판정되어 피드백 제어가 실행되나, 브레이크를 개방해서 차량이 미속주행을 시작하는 상태(크리프 주행상태)가 되면 차속이 0이 아니기 때문에 비 아이들 상태라고 판정되어, 피드백 제어가 정지된다.
이 결과, 도 9(c)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엔진에는 아이들 상태에서의 공기량의 최종치가 부여된다.
그런데 엔진에 걸리는 부하는, 브레이크를 밟아서 차량을 강제적으로 정지시키고 있던 상태에 비해, 크리프 주행 상태쪽이 작아진다.
그러나 엔진에는 아이들 상태에서의 큰 공기량이 공급되므로, 크리프 주행으로의 이행시에 엔진 회전수의 상승을 초래하고 운전자에게 폭주감, 급출발감을 줄염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된 것으로 아이들 상태에서 크리프 주행상태에의 이행에서 운전자에 폭주감, 급출발감을 주지 않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 본 발명은 아이들 상태에서 크리프 주행상태로의 이행에서, 제어대상치가 목표치에 신속히 수렴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 본 발명은 운전상태에 따른 섬세한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 본 발명은 아이들 상태에서 크리프 주행상태에의 이행에서, 엔진 회전수가 언더슈트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 본 발명은 크리프 주행상태에서 가능한한 넓은 범위에서 피드백 제어를 실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 본 발명은 크리프 주행상태에서 피드백 제어를 간단한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 본 발명은 크리프 주행상태에서 피드백 제어를 운전상태에 따라 섬세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엔진제어장치는 아이들 상태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아이들 판정수단과 차량이 크리프 주행상태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크리프 주행 상태 판정수단을 갖고, 아이들 상태 또는 크리프상태라고 판정되었을때에 실제의엔진 회전수와 목료 회전수와의 편차에 따라 피드백 제어량을 설정하여 이 제어량에 따라 엔진에 공급되는 공기량을 제어해서 엔진회전수를 상기 목표 회전수에 수렴시키도록 피드백 제어하는 엔진제어 장치로서, 아이들 상태에서 크리크 주행상태로 변화한 시점에서 소정기간은 피드백 제어를 금지하는 동시에, 엔진에 공급하는 공기량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엔진제어장치는 감소시키는 공기량을 엔진의 냉각수온 또는 이에 관련하는 값에 따라 설정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엔진제어장치는, 감소시키는 공기량을 에어콘 또는 부하의 투입, 비투입에 따라 설정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엔진제어장치는 엔진에 공급하는 공기량을 변화시키고서부터 실제의 회전수에 반영될때까지의 지연이상으로 길게 소정기간을 설정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엔진제어장치는 피드백 제어에 의해 목표치에 도달할때까지의 지연보다도 짧게 소정기간을 설정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엔진제어장치는 크리프 주행상태에서의 피드백 제어를, 실제의 회전수를 목표 회전수에 수렴시키는 회전수 피드백 제어 또는 실제의 차속을 목표차속에 수습되는 차속 피드백 제어중의 어느것인가로 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엔진제어장치는, 크리프 주행상태에서의 피드백 제어의 목표치를 엔진의 냉각수온 또는 이에 관련되는 값에 따라 설정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엔진제어장치는, 크리프 주행상태에서의 피드백 제어의목표치를 에어콘 또는 부하의 투입, 비투입에 따라 설정하는 것이다.
도 1 은 실시의 형태 1 의 구성을 표시하는 블록도.
도 2 는 목표 회전수의 설정을 표시하는 특성도.
도 3a, 도 3b, 도 3c, 도 3d, 도 3e 는 실시의 형태 1 의 동작을 표시하는 타임차트.
도 4a, 도 4b, 도 4c, 도 4d, 도 4e, 도 4f 는 실시의 형태 2 의 동작을 표시하는 타임차트.
도 5 는 소정량 α 의 설정을 표시하는 특성도.
도 6 은 실시의 형태 2 의 동작을 표시하는 플로차트.
도 7 은 실시의 형태 2 의 동작을 표시하는 플로차트.
도 8 은 기본 목표 공기량 QA 의 설정을 표시하는 특성도.
도 9 는 종래의 엔진제어장치의 동작을 표시하는 타임차트로서 (a)는 액셀페달 또는 슬로틀 밸브의 전폐상태를 검출하는 아이들스위치의 상태도, (b)는 피드백 제어를 실행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피드백 모드 플러그의 설정상태도, (c)는 엔진에 공급되는 공기량의 타입차트, (d)는 실제의 엔진 회전수의 타임차트, (e)는 차량의 속도인 차속을 각각 표시하는 타임차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운전상태 판정수단,
2. 목표치 설정수단,
3. 비교수단,
4. 제어수단,
5. 구동수단,
6. 공기량 제어수단,
실시의 형태 1
도 1 은 실시의 형태 1 의 구성을 표시하는 블록도로, 1 은 액셀페달 또는 슬로틀 밸브의 전폐상태를 검출하는 아이들 스위치의 출력, 차속 또는 엔진 회전수등의 정보에 따라 운전상태를 판정하는 운전상태 판정수단으로, 아이들 상태인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아이들 판정수단, 크리프 주행상태인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크리프 주행상태 판정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2 는 운전상태에 따라 제어목표치를 설정하는 목표치 설정수단으로 예를들면 도 2 에 표시하는 정보가 맵(map)형식으로 기억되어 있다.
도 2 는 제어 목표치로서의 목표 회전수의 설정을 표시하는 특성도로서, 목표 회전수는 냉각수온이 높아짐에 따라 낮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는 동시에, 에어콘 (A/C)이 투입되어 있는 경우에는 투입되지 않은 경우에 비해 높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 크리프 주행상태에서의 목표 회전수는 아이들 상태에서의 목표 회전수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
또 목표 회전수는 에어콘의 투입, 비투입만에 한하지 않고, 다른 부하의 상태를 검출해서 엔진의 부하가 클수록 목표 회전수를 높게 설정할수도 있다.
또, 도 1,2 에서는 제어목표치를 엔진 회전수로 하고 있으나, 이를 차속으로 대치할수도 있다.
3은 목표치 설정수단으로 설정된 목표 회전수와 실제의 엔진 회전수를 비교해서 이 비교결과를 출력하는 비교수단, 4 는 운전상태 판정수단(1)의 판정결과 및 비교수단(3)의 비교결과를 받아서 제어를 실행하는 제어수단으로, 엔진이 아이들 상태 또는 크리프 주행상태의 어느상태에 있을 때 실제의 엔진 회전수가 목표 회전수에 수습되도록 피드백 제어량을 설정하는 것이다.
5 는 제어수단(4)으로 설정된 피드백 제어량에 따라 공기량 제어수단(6)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수단, 6 은 엔진에 공급하는 공기량을 제어하는 공기량 제어수단으로, 슬로틀 밸브를 바이패스하는 공기 유통로에 설치된 밸브 또는 슬로틀 밸브의 개도를 직접 조정하는 조정수단등에 의해 구성된다.
도 1 의 동작에 대해 도 3 의 타임차트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도 3 은 실시의 형태 1 의 동작을 표시하는 타임차트이다.
도 3에서 (C)로 표시한 차속이 0 으로부터 0 이외의 값이 되는 시각 T1 이전은 아이들 스위치가 온이고 또 차속이 0 이며, 브레이크 페달이 밟혀진 아이들 상태에 있고, 시각 T1 이후는 아이들 스위치가 온이며, 또 미소속도의 차속이고 브레이크 페달이 개방된 크리프 주행상태에 있다.
시각 T1이전에서는 아이들 스위치가 온이고 또 차속이 0 이기 때문에 운전상태 판정수단(1) 은 아이들 상태에 있다고 판정한다.
이 아이들 상태에 있다는 판정결과는 제어수단(4)에 부여되고, 제어수단(4)은 아이들 상태에 있을때는 피드백 제어를 실행하도록 목표치 설정수단(2)으로 설정된 목표 회전수와 실제의 회전수와의 편차가 0이 되도록 피드백 제어량을 설정하며 이 피드백 제어량을 구동수단(5)에 출력해서 공기량 제어수단(6)을 구동하고 엔진에 공급하는 공기량 Q(n)를 제어한다.
시각 T1 이후에는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개방하고, 차량이 미속이동하는 크리프 주행상태가 된다.
운전상태 판정수단(1)은 아이들 스위치가 온이고 또 미소차속이 있는 것으로부터 크리프 주행상태에 있다고 판정한다.
제어수단(4)는 크리프 주행상태라고 판정되었을 때 피드백 제어를 허가하는 허가수단을 포함하고 있으며, 아이들 상태에 계속해서 크리프 주행상태에서도 피드백 제어를 실행한다.
이 때문에, 아이들 상태에 비해 부하가 가벼워지는 크리프 주행상태에서는 피드백 제어의 실행에 의해 엔진에 공급하는 공기량 Q(n)가 감소되고, 도 3(e)에 1점쇄선으로 표시하는 중래장치와 같이 엔진 회전수가 이상 상승하는 일없이 도 3(e)에 실선으로 표시하는 바와같이 소망하는 엔진 회전수로 정정시킬수가 있다.
또 실시의 형태 1 의 구성은 하드웨어회로 또는 소프트 웨어의 어느것이라도 구성할 수 있다.
또, 실시의 형태 1 에서는 차속이 0인지 아닌지를 판정하고 있으나, 노이즈 등의 영향을 고려해서, 차속이 소정차속이하인지 여부의 판정으로 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실시의 형태 1 에서는 아이들 상태뿐 아니라 크리프 주행상태에서도 피드백 제어를 실시하도록 하였으므로, 아이들 상태로부터 크리프 주행상태로의 이행시에 엔진의 이상상승을 억제할 수가 있다.
실시의 형태 2
실시의 형태 1 에서는 아이들 상태로부터 크리프 주행상태로의 이행에서, 피드백 제어를 계속해서 실행하도록 하였으나, 실시의 형태 2 는 운전상태의 이행에서 소정기간만 피드백 제어를 금지하는 동시에 엔진에의 공기량을 소정량 적게 함으로써, 실시의 형태 1 에 비해 신속하게 회전수를 정정시키는 것이다.
실시의 형태 2 의 구성은 도 1 에 표시되는 실시의 형태 1 의 구성과 같으나, 제어수단 4 의 동작이 다르다.
우선 도 4를 사용해서 실시의 형태 2 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4 는 실시의 형태 2 의 동작을 표시하는 타임차트이다.
도 4에서 (d)로 표시하는 차속이 0에서 0 이외의 값이 되는 시각 T2 이전은 아이들 스위치가 온이고 또 차속이 0 으로 브레이크 페달이 밟혀진 아이들 상태에 있고, 시각 T2 이후는 아이들 스위치가 온이고 또 미소속도의 차속이 있으며, 브레이크 페달이 개방된 크리프 주행상태에 있다.
시각 T2 이전에서는 실시의 형태 1 과 같이 실제의 엔진 회전수가 목표 회전수로 정정되도록 피드백 제어가 실행된다.
다음에 시각 T2에서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개방해서 크리프 주행상태로 이행한다.
이때(b)로 표시된 피드백 모드 플래그가 클리어되고, 피드백 제어가 금지되는 동시에(e)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엔진에 공급하는 공기량 Q(n)가 소정량만큼 감량된다.
여기서 크리프 주행상태에서는 아이들 상태보다도 부하가 작다.
이 때문에 크리프 주행상태에서의 목표 회전수를 유지하기 위한 공기량은 아이들시에 비해 작아도 된다.
실시의 형태 1 에서는 피드백 제어에 의해, 아이들 상태에서의 필요공기량으로부터 크리프 주행상태에서의 필요 공기량으로 조정하고 있었으나, 실시의 형태 2 에서는 크리프 주행상태에서 필요한 공기량으로 신속하게 수렴시키기 위해, 상태이행시에 우선 공기량을 소정량 감량해서 오픈 루프 제어하는 동시에, 이 공기량의 감량이 실제의 회전수에 반영된 시점이후에 피드백 제어를 실행하도록 하고 있다.
또 아이들 상태로부터 크리프 주행상태로의 이행시에 감량되는 공기량은 운전상태에 따라 섬세한 제어를 하기 위해, 운전상태에 따라 그 값이 다르게 설정되어 있다.
도 5 는 소정량 α의 설정을 표시하는 특성도로, 소정량 α 는 냉각수온이 높을수록 작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는 동시에, 에어콘등의 부하가 투입되어 있을수록 커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 아이들 상태에서 크리프 주행상태로의 이행시에서의 피드백 금지기간은 공기를 감량해서부터, 이것이 실제의 회전수에 반영되는 기간이상으로 길게 되도록 설정된다.
왜냐하면 공기의 감량이 실제의 회전수에 반영되기전에 피드백 제어가 실행되면 목표 회전수에 비해 실제의 회전수가 높은 상태에 있으므로 공기량 제어수단(6)에 의해 공기를 더욱 감량해, 결과로서 회전수가 언더슈트해버리기 때문이다.
또 피드백 금지기간은, 피드백 제어에 의해 아이들 상태에서의 필요공기량으로부터 크리프 주행상태에서의 필요공기량으로 조정되는 시간보다도 짧게 설정된다.
이는 가능한한 피드백 제어영역을 넓게해서 신속한 회전수의 조정결정을 도모하기 위해서이다.
금지기간은 이상과 같은 범위에 수렴되도록 설정되고, 엔진에 따라 다르나, 예를들면 1초 또는 그 이하로 설정된다.
다음 도 4 의 제어를 실행하기 위한 플로차트를 도 6,7 에 대해 설명한다.
도 6, 도 7 은 실시의 형태 2 의 동작을 표시하는 플로차트이다.
메인루틴(101)에서, 102 에서는 기본목표공기량 QA를 산출한다.
기본 목표공기량 QA 는 운전상태에 따라 설정되어 있다.
도 8 은 기본목표공기량 QA 의 설정을 표시하는 특성도로, 기본 목표 공기량 QA 는 수온이 높을수록 작게 설정되어 있는 동시에, 에어콘등의 부하가 높을수록 크게 설정되어 있다.
103,104 는 아이들 상태판정수단 및 크리브 주행상태 판정수단의 양쪽을 구성하는 것으로 아이들 스위치가 온이고, 차속이 0 일때는 아이들 상태라고 판정하고, 아이들 스위치가 온이고 차속이 0이 아닐때는 크리프 주행상태라고 판정한다.
103,104에서 아이들 상태에 있다고 판정되었을때나 아이들 스위치가 오프라고 판정되었을때는 105 로 진행하고, 기본 공기량 QA 로 해서 102 에서 산출한 값을 설정한다.
한편 크리프 주행상태라고 판정되었을때는 106 으로 진행하고 102 에서 산출한 기본목표공기량 QA 로부터 그때의 운전상태에 따른 소정량 α를 빼서, 기본목표공기량 QA 로서 설정한다.
107 내지 110 은 운전상태가 아이들 상태로부터 크리프 주행상태로 이행해서 소정시간 경과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것으로, 107,108 은 이 처리를 통과할때마다 타이머 T 의 카운터치를 하나씩 감산하는 것이고, 109,110 은 차속이 0에서 0 이외의 값이 되었을 때 타이머 T 에 소정치 β 가 설정되도록 한 것이다.
이로인해 도 4(C)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타이머 T 의 카운터치는 아이들 상태에서 크리프 주행상태로 이행한 시각 T2에서 서서히 작아지고 소정시간경과후의 시각 T3에서 0이 된다.
111 내지 113 은 피드백 제어를 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부로, 111에서 아이들 스위치가 오프이면, 아이들 상태도 아니고, 크리프 주행상태도 아니라고 판단해서 피드백 제어를 금지한다.
다음 아이들 스위치가 온이면, 112 에 진행하고 차속이 0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차속이 0이면 아이들 상태라고 판정되므로 피드백 제어를 실행한다.
역으로 112에서 차속이 0이 아니라고 판정되었을때는 아이들 스위치가 온이고 차속이 0이 아니므로 크리프 주행상태에 있다고 판정할 수 있다.
그러나, 크리프 주행상태에서도 타이머 T 에 의해 정해지는 소정기간은 피드백 제어가 금지되므로, 113에서 타이머 T 의 값이 확인되고, 타이머 T 가 0 이면 크리프 주행상태로 이행해서 소정시간경과하였다고 판단해서 피드백 제어를 허가하는 동시에, 0이 아니면 소정시간이 경과하지 않았다고 판단해서 피드백 제어를 금지한다.
이상과 같이해서 피드백 제어의 실행, 금지가 판정되고 실행때는 114 에서 피드백 모드 플래그가 세트되는 동시에 금지의 경우는 115 에서 피드백모드 플래그가 클리어된다.
또 111 내지 113 은 크리프 주행상태일때에 피드백 제어를 허가하는 허가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116 내지 121 은 피드백 제어부로, 116 에서는 피드백 모드 플래그의 상태가 확인된다.
예를들어 아이들상태 이면 114 에서 피드백 모드 플래그가 세트되어 있으므로 비교수단으로서의 117 로 진행해 피드백 제어가 실행된다.
117 에서는 실제의 엔진회전수와 목표 회전수가 비교된다.
여기서, 목표 회전수는 운전상태에 따라 도 2에서 판독되는 것이다.
양자의 비교결과, 실제의 회전수가 높은 경우는 118 로 진행하고, 전번에 엔진에 공급한 흡기량 Q(n-1)에서 소정량 γ 를 빼고, 이번의 엔진에 공급하는 공기량 Q(n)로서 설정한다.
또 역으로 실제의 회전수가 낮은 경우에는 119 로 진행하고, 전번에 엔진에 공급한 흡기량 Q(n-1)에 소정량 γ 를 가산해서 이번의 엔진에 공급하는 공기량Q(n)로서 설정한다.
또 이 소정량 γ 는, 제어의 응답성 안정성 등을 고려해서 설정되는 것이다.
다음 아이들 상태로부터 크리프 주행상태로 이행해서부터 소정기간이 경과하지 않을때는(115)에서 피드백 모드 플래그가 클리어되어 있고, 116 에서 120으로 진행한다.
이때는, 이번 엔진에 공급하는 공기량 Q(n)로 해서 기본 목표공기량 QA를 설정한다.
여기서 당해 소정기간에서의 기본목표공기량 QA 는, 106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운전상태에 따라 설정되는 기본공기량 QA 로부터 운전상태에 따라 설정되는 소정량 α를 뺀 값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아이들 상태에서 크리프 주행상태로 이행해서 소정기간경과할때까지는, 엔진에 공급되는 공기량 Q(n)는 도 4 (e)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상술한 기본공기량 QA 에 고정되어 오픈 루프 제어가 실행되게 된다.
아이들 상태에서 크리프 주행상태로 이행해서 소정기간 경과후는 114 에서 피드백 모드 플래그가 세트되므로 116 에서 117 로 진행하고, 상술한 아이들 상태와 같이 피드백 제어가 실시된다.
그리고 121 에서는 이번 엔진에 공급되는 공기량 Q(n)를 전번에 엔진에 공급한 공기량 Q(n-1)로 해서 다음번의 제어에 대비한다.
이상과 같이 실시의 형태 2 에 의하면, 아이들 상태에서 크리프 주행상태로의 이행시에, 소정기간만큼 오픈 루프 제어를 실행함으로써 제어응답성을 향상시킬수가 있다.
또 아이들 상태에서 크리프 주행상태로의 이행시에 엔진에 공급하는 공기량을 소정량 α만큼 감량할 때, 소정량 α 의 값을 운전상태에 따라 설정하도록 하였으므로 섬세한 제어가 가능하게 되는 동시에, 제어 응답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가 있다.
또, 아이들 상태에서 크리프 주행상태로의 이행시에서의 피드백 제어의 금지기간을 소정의 기간이상으로 길게 설정하였으므로, 오버슈트를 야기하는 일이 없다.
또 아이들 상태에서 크리프 주행상태에의 이행시에서의 피드백 제어의 금지기간을 소정의 기간보다도 짧게 설정하였으므로, 피드백 제어영역을 넓힐수가 있고 안정된 운전을 실행할 수가 있다.
또,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는 회전수 피드백을 예로해서 설명하였으나, 차속 피드백에 의해 제어해도 된다.
특히 AT 차에서는, 차속센서를 반드시 갖고 있으므로, 그 차속센서를 유용함으로써, 구성을 간단하게 할 수가 있다.
또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는 아이들 스위치가 온이고 또 차속이 0(또는 소정차속이하)이 아닐 때 크리프 주행상태에 있다고 판정하였으나 아이들 스위치가 온이고 또 소정의 미소차속이 있을때에 크리프 주행상태라고 판정해도 된다.
또는 차속센서 대신에 브레이크(푸트 브레이크 및 핸드 브레이크)의 상태를 검출해서 브레이크가 개방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해도 된다.
또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는 아이들 스위치에 의해 액셀페달 또는 슬로틀 밸브의 전폐상태를 검출하도록 하였으나, 예를들면 가변 저항기로 되는 개도센서 등을 사용해서 이들의 전폐상태를 검출해도 된다.
또 엔진 회전수가 소정회전수 이하인지 아닌지에 따라 액셀페달 또는 슬로틀 밸브의 전폐상태를 검출하는것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엔진제어장치에 의하면, 아이들 상태에서 크리프 주행상태로의 이행때에, 운전자에게 폭주감,급출발감을 주지 않도록 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아이들 상태에서 크리프 주행상태로의 이행에서 제어대상치를 목표치로 신속하게 수렴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운전상태에 따라 섬세한 제어를 실행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아이들 상태에서 크리프 주행상태로의 이행에서, 엔진회전수가 언더슈트하는 것을 억제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크리프 주행상태에서 가능한한 넓은 범위에서 피드백 제어를 실시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크리프 주행상태에서의 피드백 제어를 간단한 구성으로 실행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크리프 주행상태에서의 피드백 제어를 운전상태에 따라 섬세하게 할 수가 있다.

Claims (4)

  1. 아이들 상태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아이들 판정수단과 차량이 크리프 주행상태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크리프 주행상태 판정수단을 갖고, 아이들 상태 또는 크리프상태라고 판정되었을때에 실제의 엔진 회전수와 목표 회전수와의 편차에 따라 피드백 제어량을 설정하고, 이 제어량에 따라 엔진에 공급되는 공기량을 제어해서 엔진 회전수를 상기 목표 회전수에 수렴시키도록 피드백 제어하는 엔진제어 장치로서, 아이들 상태에서 크리프 주행상태로 변화한 시점에서 소정기간은 피드백 제어를 금지하는 동시에, 엔진에 공급하는 공기량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감소시키는 공기량은, 엔진의 냉각수온 또는 이에 관련되는 값에 따라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제어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소정기간은, 엔진에 공급하는 공기량을 변화시킨후 실제의 회전수에 반영될 때까지의 지연이상으로 길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제어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소정기간은 피드백 제어에 의해, 목표치에 도달할때까지의 지연보다도 짧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제어장치.
KR1019980035185A 1998-05-27 1998-08-28 엔진제어장치 KR1003281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146017A JPH11336593A (ja) 1998-05-27 1998-05-27 エンジン制御装置
JP98-146017 1998-05-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6982A KR19990086982A (ko) 1999-12-15
KR100328178B1 true KR100328178B1 (ko) 2002-06-29

Family

ID=15398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5185A KR100328178B1 (ko) 1998-05-27 1998-08-28 엔진제어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11336593A (ko)
KR (1) KR1003281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70350B2 (ja) * 2010-08-31 2014-08-1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6311964B2 (ja) * 2014-02-04 2018-04-18 スズキ株式会社 内燃機関制御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07556A (ja) * 1989-09-21 1991-05-07 Mazda Motor Corp エンジンのアイドル回転数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07556A (ja) * 1989-09-21 1991-05-07 Mazda Motor Corp エンジンのアイドル回転数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6982A (ko) 1999-12-15
JPH11336593A (ja) 1999-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8538B1 (ko) 차량의구동유닛에의해공급되는토오크를제어하는장치
KR100306863B1 (ko) 차량 구동부의 출발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와 방법
JP3624829B2 (ja) 車両の走行制御装置
US6990953B2 (en) Idle rotation control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9990021978A (ko) 구동 유닛의 출력 토오크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0853048B1 (ko) 차량의 구동 유닛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H05106488A (ja) 内燃機関のアイドリング回転数制御装置
KR20000053500A (ko) 자동차 속도 자동 제어 방법
JP4086327B2 (ja) 車両駆動ユニットの運転方法および装置
US6616574B2 (en) Method and system for shift control of automatic transmission
KR100328178B1 (ko) 엔진제어장치
KR100544256B1 (ko) 자동차의작동변수를제어하기위한장치및방법
US7548812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the speed of a vehicle
US5609217A (en) Constant-speed cruise control apparatus for a vehicle
JP4354093B2 (ja) 自動変速機搭載車両のエンジン制御方法
JPH09217824A (ja) 無段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JPH08246914A (ja) 車両駆動ユニットの制御方法および装置
JPH10329587A (ja) 車両駆動系の機関燃焼モード切換え制御装置
KR100401833B1 (ko) 차량용 엔진 아이들 제어 방법
KR100423294B1 (ko) 차량용 엔진의 아이들 제어 방법
KR100284827B1 (ko) 자동 변속 차량의 변속 응답성 증대 방법
KR100423287B1 (ko) 차량용 엔진 아이들 제어 방법
KR20010059407A (ko) 차량용 엔진 제어 방법
JPH10329585A (ja) 車両の駆動力制御装置
KR100412885B1 (ko) 자동 변속기 차량의 제동력 향상 위한 엔진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2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