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4256B1 - 자동차의작동변수를제어하기위한장치및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의작동변수를제어하기위한장치및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4256B1
KR100544256B1 KR1019980037322A KR19980037322A KR100544256B1 KR 100544256 B1 KR100544256 B1 KR 100544256B1 KR 1019980037322 A KR1019980037322 A KR 1019980037322A KR 19980037322 A KR19980037322 A KR 19980037322A KR 100544256 B1 KR100544256 B1 KR 1005442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ing variable
setting member
adjustment
variable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7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9684A (ko
Inventor
후버트 비솝
마틴 스트라이프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19990029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96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42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42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35/00Controlling engines, dependent on conditions exterior or interior to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D35/0007Controlling engines, dependent on conditions exterior or interior to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electrical feedba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1/00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 F02D11/06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characterised by non-mechanical control linkages, e.g. fluid control linkages or by control linkages with power drive or assistance
    • F02D11/10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characterised by non-mechanical control linkages, e.g. fluid control linkages or by control linkages with power drive or assistance of the electric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1/00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 F02D11/06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characterised by non-mechanical control linkages, e.g. fluid control linkages or by control linkages with power drive or assistance
    • F02D11/10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characterised by non-mechanical control linkages, e.g. fluid control linkages or by control linkages with power drive or assistance of the electric type
    • F02D11/105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characterised by non-mechanical control linkages, e.g. fluid control linkages or by control linkages with power drive or assistance of the electric type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converting demand to actuation, e.g. a map indicating relations between an accelerator pedal position and throttle valve opening or target engine torqu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4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digital means
    • F02D41/2406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digital means using essentially read only memories
    • F02D41/2425Particular ways of programming the data
    • F02D41/2429Methods of calibrating or learning
    • F02D41/2451Methods of calibrating or learning characterised by what is learned or calibrated
    • F02D41/2464Characteristics of actu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 Feedback Control In General (AREA)
  • Control Of Position Or Direction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 Control Of Throttle Valves Provided In The Intake System Or In The Exhaust System (AREA)

Abstract

작동 변수에 영향을 주는 마찰 설정 부재가 작동 변수에 대한 소정의 값을 기초로 하여 형성된 조정 신호에 의해 작동되고, 상기 조정 신호는 작동 변수의 소정의 변경 시 정적 상태로부터 바람직하게는 작동 변수의 실제 변경까지 추가로 변경되어 작동 변수의 변경에 대립된 설정 부재 내의 정적 마찰이 극복되는 자동차의 작동 변수를 조정하는 장치 및 방법이 제안된다. 또한, 작동 변수가 소정의 값에 근접한 경우, 조정 신호가 작동 변수의 변경 감소를 위해 추가로 변경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작동 변수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DRIVE QUANTITY OF VEHICLES}
본 발명은 독립 청구항의 전제부에 따른 자동차의 작동 변수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제어 영역에서 작동 변수는 마찰 설정 부재를 통해 조정된다. 이에 대한 일례로는 예를 들면, 스로틀 밸브와 같은 마찰 설정 부재가 출력 제어, 회전수 조정 또는 구동 슬립 조정의 범위에서 조정되는 것이다. 이에 상응하는 조정 시스템은 유럽 특허 제656 778호(미국 특허 제5 144 915호)에 나타나 있다. 조정 실행 시 설정 부재의 마찰, 특히 정적 마찰로부터 발생하는 어려움은 적어도 하나의 레귤레이터 상수의 간섭을 통한 조정 변수의 변경 속도 제한을 통해 극복된다. 그러나 상기 유형의 레귤레이터는 모든 경우에 적합한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마찰 설정 부재의 조정 시 다음과 같은 문제가 생긴다.
시스템이 정적 상태(설정 부재가 정지)에 있다면, 설정 부재의 구동은 상태 변경 시 설정 부재에서 정적 마찰을 극복되는 회전 모멘트 변경을 가져온다. 반대의 경우에 설정 부재가 정적 마찰로 인하여 변경을 즉시 수반하지 않기 때문에, 구동에 의해 야기된 회전 모멘트는 비교적 커야 한다. 레귤레이터의 시간에 따른 성분, 특히 레귤레이터의 I-부분이 대응 조정 신호를 형성할 때, 정적 마찰을 극복한 필수 모멘트 변경이 특히 변경이 적을 때 일정한 시간 후에 일어난다. 이는 조정 거동에 있어서 단점을 야기한다.
전술한 것과 연관되거나 또는 그와 관계없이 나타난 또 다른 문제는, 작동 변수가 소정의 값으로 상승되는 것이다. 설정 부재 구동의 높은 회전 모멘트에 의해 소정의 값으로 상승된다. 정적 마찰이 미끄럼 마찰로 전환되어 회전 모멘트가 요구된다. 설정 부재로부터 정적 마찰을 제거하기 위해 형성된 회전 모멘트가 소정의 위치를 초과할 정도로 지나치게 높을 수 있다. 상기 영향은 자동차의 조정 상태 및 주행의 편안함을 고려하여 볼 때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마찰 설정 부재에서 정적 마찰을 극복할 수 있고 그리고/또는 현저한 초과 없이 마찰 설정 부재를 통해 조정된 작동 변수의 목표 변수에 도달하는 해결 방법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는 독립된 청구항의 특징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자동차 작동 변수의 조정 시 작동 변수에 영향을 주는 설정 부재 내의 정적 마찰이 극복된다. 이로써 정적 상태로부터 작동 변수의 빠른 변경이 보장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정적 상태는 설정 부재의 정지 상태를 의미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설정 부재의 마찰 특성이 평활한 정규 분포를 포함하는 경우, 그때 상기 유리한 작용이 이루어진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정적 마찰의 극복과 그것에 의해 개선된 제어 및 조정 거동이 추가 구조 부재와 같은 추가 장치 없이, 제어 유닛 내의 추가 접근 또는 특수 제어 및 조정 방법을 가능케 한다.
바람직하게는 작동 변수를 위한 레귤레이터는 설정 부재의 정적 마찰 효과와 관계없이 조정될 수 있다. 정적 마찰은 보상되기 때문에, 조정 과정은 마찬가지로 정적 마찰과 관계없다. 이로써, 레귤레이터가 정적 마찰에 대해 특히 강한 장점을 갖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작동 변수의 목표 변수 도달 시 설정 부재의 초과가 효과적으로 방지되거나 또는 감소된다.
상기 사용은 스로틀 밸브의 위치 조정 시(작동 변수 = 설정 부재의 위치), 회전수 조정 시 등에 특히 유리하다.
다른 장점은 이하의 실시예의 기술 및 종속 청구항에 나타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나타난 실시예와 관련하여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1은 특히 차량의 작동 변수 조정을 위한 레귤레이터가 보충되는 마이크로 컴퓨터(10)를 도시한다. 마이크로 컴퓨터의 프로그램으로 구성되는 레귤레이터는 도1에 블록 회로도로 나타난다. 상기 레귤레이터의 일례로는 예를 들어 운전자에 의해 사전 설정된 목표값에 따라 스로틀 밸브의 위치를 조정하는 위치 레귤레이터와 사전 설정된 목표값, 예를 들어 공회전 목표 회전수에 따라 내연기관으로의 공기 공급에 영향을 주는 설정 부재를 제어함으로써 차량의 구동 유닛의 회전수를 조정하는 회전수 조정 회로와 구동 유닛의 회전 모멘트를 적어도 하나의 설정 부재를 통해 상응하게 조정하는 회전 모멘트 조정 회로와 부하 조정 회로 등이다. 마이크로 컴퓨터에는 실제로 목표값 형성기(12)가 보충되고, 상기 형성기는 입력 라인(14 내지 16)을 통해 공급된 차량의 작동 변수에 따라 또는 사전 설정된 특성 곡선, 특성 영역 또는 표에 따른 구동 유닛의 작동 변수에 따라, 조정될 작동 변수에 대한 목표값을 형성한다. 목표값 형성에 적용되는 변수의 일례로는 운전자에 의해 작동가능한 조작 부재의 위치, 소비기 상태, 엔진 온도 등이다. 목표값(SOLL)은 비교부(18)에 공급되고, 여기서 상기 목표값은 작동 변수의 실제값(IST)과 비교된다. 비교 결과(△)는 적분부를 포함할 수 있는 레귤레이터(20)에 공급된다. 상기 적분부는 공급된 비교 결과인 조정 편차(△)를 적분하여 적어도 하나의 출력 신호(I)를 형성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신호는 연결부(22)에 공급된다. 마이크로 컴퓨터(10)의 출력 라인(24)은 상기 공급부로부터 전기 모터(28)를 구동시키는 최종 단계(26)에 안내된다. 상기 모터는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예를 들면, 스로틀 밸브와 같은 구동 유닛(34)의 설정 부재와 함께 마찰 설정 부재를 나타낸다. 설정 부재(34)는 조정될 작동 변수에 영향을 주며, 상기 작동 변수는 측정 장치(30)를 통해 검출되고, 입력 라인(32)을 통해 실제값으로써 마이크로 컴퓨터(10)에 공급된다. 위치 조정 회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측정 장치(30)는 내연 기관(34)의 스로트 밸브 위치를 검출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회전수, 엔진 부하 등이 측정 장치(30)를 통해 결정된다. 작동 변수의 목표 변수 도달 시, 정적 마찰 효과의 보상 및/또는 초과의 방지 또는 감소를 위해, 마이크로 컴퓨터(10)에는 보상기(36)가 구비된다. 상기 보상기에는, 특히 조정 편차(△) 및 실제 변수(IST)가 공급된다. 보상기(36)는 입력 변수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조정값(ST)을 결정하고, 상기 조정값은 정적 마찰의 극복 및/또는 초과의 방지 또는 감소를 위해 연결부(22)에서 조정 출력 신호와 연결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조정 출력 신호의 영향을 대신하여 또는 이에 추가로, 점선으로 도시된 라인(38)을 통해 정적 마찰의 극복 및/또는 초과의 방지 또는 감소를 위해 조정 신호(ST)에 따라 레귤레이터 상수, 특히 I-부분에 영향을 준다.
이하의 실시예는 내연 기관의 스로틀 밸브의 위치 조정에 대한 바람직한 예에서 일반성의 제한없이 설명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작동 변수가 마찰 위치 부재를 통해 조정되는 모든 곳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도 목표 위치와 실제 위치는 조정될 각 작동 변수의 목표값과 실제값을 의미한다.
제1 실시예에서 보상기(36) 및 레귤레이터(20)는 아래와 같이 작동된다. 정적 상태 즉, 고정된 스로트 밸브 또는 위치 부재의 정지 시, 보상기(36)가 작동된다. 실제값의 변경이 사전 결정된 임계값 이하, 특히 0이고 그리고/또는 설정 시간의 조정 편차(△)가 사전 결정된 임계값 이하, 특히 0인 경우. 상기 상태는 실제값의 변경 평가를 통해 검출된다. 이 때 목표 위치가 변하면, 즉 조정 편차(△)가 변경되면, 보상기(36)에 의해 소위 시작 펄스(조정 신호 ST)가 개시된다. 이 기간 및/또는 진폭은, 마찰이 제조 공차 하한에 있을 때, 단지 설정 부재 상으로의 작동만을 가질 정도로, 즉 설정 부재의 작동을 발생시킬 정도로만 작게 선택된다. 시작 펄스(ST)는 연결부(22)를 통해 직접적으로 설정 부재(28)의 작동을 가져온다. 시작 펄스의 효과는 설정 부재의 실제 위치와 관련하여 검사된다. 실제 위치가 변하면, 설정 부재가 작동하여 시작 펄스가 원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이 때 다른 조정은 레귤레이터(20)를 통해 통상의 조정 범위에서 수행된다. 시작 펄스에도 불구하고 설정 부재가 작동하지 않으면, 제2 펄스가 개시되고, 그 기간 및/또는 진폭은 바람직하게는 제1 펄스보다 크다. 상기 펄스는 길어서 설정기가 작동할 때 까지 상승된 펄스로 반복된다.
서술된 펄스 트레인 대신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우선 결정되지 않은 기간의 개별 시작 펄스가 개시된다. 펄스가 처리되는 동안, 설정 부재의 작동 여부가 지속적으로 검사된다. 상기 부재가 작동되면, 펄스는 중단되고 설정 부재의 다른 조정은 오직 레귤레이터(20)만을 통해 수행된다.
두 방법에서, 시작 펄스 동안에도 레귤레이터(20)가 작동하여 조정 편차(△)에 근거한 출력 신호(I)를 형성한다. 이는 시작 펄스에 추가로 설정 부재(28)에서 회전 모멘트 형성하는데 기여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시작 펄스에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목표 위치 변동 시, 정적 상태(설정 부재의 정지 상태)로부터 레귤레이터(20)의 적분부는 특정 값으로 상승된다. 또한 설정 부재가 작동하는지의 여부가 검사된다. 작동하지 않을 경우, 시작 펄스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적분부는 설정기가 작동될 때 까지 계속 상승된다.
목표 위치 도달 시 설정 부재의 초과를 방지 및 감소하기 위해, 보상기(36)에 의해 브레이크 펄스를 출력되고 그리고/또는 레귤레이터의 적분부가 취소되거나 또는 리셋된다. 이로서 설정 부재의 작동 방향 반대로 설정되는 설정 부재의 회전 모멘트가 발생된다. 조정 편차(△)가 사전 설정된 임계값에 미달되면, 다시 말해 설정 부재가 목표 위치에 근접될 때 브레이크 펄스가 개시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임계값은 설정 부재 자신의 속도 함수이며, 다시 말해 설정 부재의 실제 위치의 시간 미분 함수이다. 마찬가지로, 브레이크 펄스의 기간 및/또는 진폭은 바람직하게는 브레이크 펄스의 개시 시점의 설정 부재의 속도 함수이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설정 부재의 완전한 정지가 수행될 때까지, 즉, 설정 부재 속도가 사전 결정된 임계값 이하로 특히, 0으로 떨어질 때까지 펄스가 연장되도록, 펄스 시간이 나중에 보정된다.
본 실시예의 바람직한 구현은 마이크로 컴퓨터(10)의 프로그램으로 수행된다. 상기 유형 프로그램의 일례가 도2의 흐름도와 관련하여 도시된다. 도시된 프로그램은 사전 설정된 시점에서 진행된다.
제1 단계(100)에서 목표 변수와 실제 변수가 읽혀진다. 또한, 단계(102)에서 목표 변수와 실제 변수 사이의 차이인 조정 편차(△) 및 실제 변수의 변경, 예를 들어, 시간 미분(dIST/dt)이 결정된다. 또한, 질문 단계(104)에서는 설정 부재가 정지되어 있는지 즉, 정적 마찰 상태가 존재하는지의 여부가 검사된다. 이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조정 편차(△) 및/또는 실제값의 구배에 따라 수행된다. 단계(104)에서 설정 부재가 정지되어 있으면, 제1 부호가 1로 설정된다(단계(106)). 또한, 단계(108)에서 레귤레이터 출력 신호(I)가 조정 편차(△)에 의거하여 산출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레귤레이터는 적어도 하나의 적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분부는 조정 편차의 적분을 통해 출력 신호(I)를 형성한다. 이어지는 단계(100)에서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형성되는 조정값(ST)을 가산하여 레귤레이터 출력 신호(I)가 출력되고, 프로그램이 종료되어 다음 시점에서 진행된다.
단계(104)에서 설정기가 작동되는 것이 검출되면, 단계(112)에서는 제1 부호가 1의 값을 포함하는지의 여부가 검사된다. 그렇다면, 이는 설정기가 작동한다는 표시이다. 이러한 경우 단계(114)에서 부호는 0으로 설정되고, 단계(116)에 따라 시작 펄스 및 조정 신호(ST)는 소정 진폭에 의해 형성된다. 이어지는 단계(118)에서, 제2 부호는 1의 값으로 설정된다. 단계(118)에는 단계(112)의 부정인 경우와 같이 단계(120)로 이어진다. 여기서 제2 부호가 1의 값에 대해 검사된다. 1의 값을 포함하면, 조정 신호(ST)가 작동된다. 따라서, 단계(122)에서 실제값의 구배는 임계값(A)과 비교된다. 상기 검사를 통해 설정 부재가 작동하는지의 여부가 결정된다. 설정 부재(A보다 큰 구배)가 작동하면, 단계(124)에 따라 부호(2)는 0으로 설정되고, 단계(126)에서 조정 신호(ST)가 재설정된다. 단계(120)에 따라 부호(2)가 0이거나 또는 단계(122)에 따라 설정 부재가 작동하지 않는다면, 단계(126)를 지나 단계(128)로 진행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조정 신호(ST)의 가변 기간 외에, 신호 높이(진폭)는 선택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증가하고, 설정 부재의 작동이 검출된 경우에는 중단된다. 단계(104 내지 126)는 작용하는 정적 마찰을 극복하기 위해 실제값 변경 개시 시에 설정 부재의 조정을 나타낸다. 조정 신호(ST, 시작펄스)가 제한되지 않고 (경우에 따라서는 최대 시간 및/또는 최대 진폭을 통해 제한되고) 설정 부재의 작동이 검출된 경우, 중단되는 해결 방법이 나타난다. 동일한 방법으로 상술된 다른 실시예(다수의 증가된 시작 펄스를 갖는 펄스 트레인 형성 및/또는 레귤레이터의 적분기 영향)는 프로그램으로 구현된다.
단계(128)에서는 조정 편차가 사전 결정된 임계값(B)보다 작은지의 여부, 즉, 설정 부재가 목표 위치에 근접하는지의 여부가 검사된다. 임계값보다 작으면, 단계(130)에 따라 조정 신호(ST)는 브레이크 펄스로 형성된다. 이어지는 단계(132)에서, 설정 부재 위치의 구배가 임계값(C)에 미달되는지의 여부, 다시 말해 설정 부재가 정지 상태에 근접하는지의 여부가 검사된다. 그렇다면, 단계(134)에 따라 조정 신호(ST)는 차단되고 단계(128)의 부정인 경우와 같이 단계(108)에서 계속된다.
설명된 방법의 효과는 도3 내지 도5의 시간 다이어그램을 참조로 설명된다.
도3a는 스로틀 밸브의 위치 조정 회로의 예에서 목표값(αSOLL)과 실제값(αIST)의 시간 경과를 나타내고, 도3b는 상기 설정기에 작용하는 회전 모멘트(M)의 시간 경과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시스템이 정적 상태에 있다고 하자(즉, 정지되어 있음). 실제값은 목표값과 일치한다. 시점(t0)에서 목표값(αSOLL)이 급격히 상승한다. 이는 시점(t0)으로부터 레귤레이터의 적분부에 의해 적분되거나 또는 비례부에 의해 전달되는 조정 편차를 형성한다. 레귤레이터는 적분값에 상응하는 출력 신호(도3b의 증가되는 기본 회전 모멘트 참조)를 발생시킨다. 정적 마찰로 인해 설정 부재는 작동되지 않는다. 실제값은 시점(t1)까지 일정하게 유지된다. 설정 부재는 비로서 상기 시점으로부터 작동하여 실제값이 목표값에 접근한다.
설정 부재의 회전 모멘트에 대한 사전 설정된 기간 및 진폭의 다수의 시작 펄스의 작용은 도3b에 도시된다(실선). 설정기가 작동하는 시점(t1)에서, 회전 모멘트 상승을 야기하는 제한되지 않은 개별 펄스의 기간이 점선으로 도시된다.
도4에는 조정 신호를 형성하기 위한 레귤레이터의 적분부의 영향에 대한 선택적인 또는 보충적인 방법이 도시된다. 도4a에는 목표값(αSOLL)과 실제값(αIST)의 시간 경과가 도시되고, 도4b에는 설정 부재에 의해 작용하는 회전 모멘트(M)의 시간 경과가 도시된다. 시스템은 시점(t0)까지 정지 상태에 있다. 시점(t0)에서 목표값이 변하여 레귤레이터에 의해 조정되는 조정 편차(△)가 발생된다. 설정기가 우선 정적 마찰 효과에 의해 작동되지 않는다. 시점(t1)에 정적 마찰이 극복되어 실제값이 목표값에 비로소 근접한다. 시점(t0)과 시점(t1) 사이에서 설정기의 회전 모멘트는 고정된 또는 변경된 가산값이 레귤레이터의 적분값에 가산되어 계단식으로 상승된다. 시점(t1)에서는 설정기의 작동이 검출되어 조정이 일반적인 방법으로 진행된다.
도5는 설정기를 통한 목표 위치 도달 시, 본 발명에 따른 작동 방법의 작용을 나타낸다. 도5a는 목표값(αSOLL)과 실제값(αIST)의 시간 경과를 나타내고, 도5b는 설정 부재에 의해 작용하는 회전 모멘트(M)의 시간 경과를 나타낸다. 여기서도 정지 상태의 설정기에서 시작된다. 시점(t0)에서는 목표값이 변한다. 이는 조정 간섭을 야기하고, 시점(t1)에서 실제값은 값(△α)까지 목표값에 근접한다. 이 값은, 바람직하게는 실제값의 구배에 따르는 값 즉, 설정기의 속도에 따르는 값(△α)은, 시점(t1)부터 실제 작동에 반대로 설정된 회전 모멘트를 개시하는 브레이크 펄스를 개시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브레이크 펄스는 설정기의 속도가 결정된 값 이하로 감소되지 않을 때까지 작동한다. 이것은 시점(t2)에서 실제값이 목표값으로 변경되는 경우일 것이다. 시점(t2)에서 브레이크 펄스가 취소되고 통상 조정이 진행된다. 상기 레귤레이터가 적분부를 갖는 한, 레귤레이터는 브레이크 펄스의 개시 시 제한된 값으로 재설정될 수 있다.
제2 실시예가 도6 및 도7을 참조로 도시된다. 도6은 제2 실시예에 따라 보상기(36)를 더 구체적으로 실행한 블록 회로도이다. 보상기는 적분기(200)와 정적 마찰 검출부(202)로 이루어진다. 실제값 및 조정 편차(△)는 정적 마찰 검출부에 공급되고, 적분기에는 조정 편차만이 공급된다. 적분기(200)의 적분 상태는 조정 신호(ST)를 나타나며, 상기 조정 신호는 연결부(22)에서 조정 출력 신호(I)에 또는 직접 레귤레이터의 적분값에 연결된다. 적분기(200)의 개시와 정지를 위해, 적분기(200)와 정적 마찰 검출부(202) 사이에 두 개의 라인(204, 206)이 마련된다. 정적 마찰 검출부는 조정차 및/또는 실제값에 따라 설정기에 정적 마찰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검출한다. 존재하는 경우, 조정차가 실제로 0이고 그리고/또는 실제값이 변하지 않는다. 상태에 정적 마찰이 존재하면, 적분기(200)는 라인(204)을 통해 작동된다. 적분기는 각 샘플 기간 사이의 적분 상수에 따라 정적 마찰 검출부(202)가 더 이상 정적 마찰이 존재하지 않는 것을 최초 검출할 때까지 조정 편차를 적분한다. 이는 설정 부재가 작동하는 경우이다. 이와 같은 경우, 정적 마찰 검출부(202)는 라인(206)을 통해 적분부(200)를 중단시켜, 적분부를 재설정한다.
마지막 샘플 시점부터 시스템이 언제 개시되었는지는 검출되지 않았기 때문에, 정적 마찰의 극복을 위해 필요할 수 있는 정해지지 않는 양의 다량 에너지가 시스템에 제공된다. 상기 다량 에너지는 마지막 검출 시점으로부터 설정 부재에 제공되는 에너지보다 작거나 같다. 개시의 검출 이후, 즉, 어떠한 정적 마찰도 검출되지 않은 이후, 라인(206)을 따른 정지 신호를 통해 유일한 샘플 간격의 기간에 대해 적분기는 부정값에 설정되고, 상기 부정값은 시스템 내의 최대 초과 에너지의 합과 일치한다. 이 후, 적분기는 값 0으로 재설정된다. 적분기의 부정값은 시스템으로부터 최대 초과 에너지의 합을 다시 제거한다. 따라서, 높은 적분기 값으로 인해 목표 위치에 도달할 때 설정 부재의 오버슈트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상기 상태 중에 평행 작동하는 레귤레이터(20)가 모멘트 상승식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적분기(200)의 부정값으로의 재설정을 통해 정적 효과를 갖는 새로운 정지 상태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정적 마찰에 대해 높은 미끄럼 마찰이 합쳐지면, 설정기의 정지 상태를 방지하기 위해, 보상값은 적은 합계를 갖는 강한 부정값으로 재설정되어야 한다.
정적 검출부(202)를 통해 새로운 정지가 검출되면, 적분기(200)는 라인(206)을 통한 정지 후 라인(204)을 통해 다시 작동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제2 실시예의 작동이 도7에 도시된다. 도7a는 목표값(αSOLL)과 실제값(αIST)의 시간 경과를 도시하고, 도7b는 조정값(ST)의 시간 경과를 도시한다. 목표값은 시점(t0)에서 변경된다(도시된 예에서 실선). 시점(t0) 이전에 시스템은 정적 상태에 있기 때문에 즉, 설정 부재가 정지하기 때문에, 적분기는 시점(t0)부터 목표값과 실제값 사이의 발생하는 조정 편차를 적분한다. 시점(t1)에서는 설정 부재는 개시되어, 실제값은 목표값에 근접한다. 이는 시점(t2)에 적분값이 부정임을 뜻하고, 후속 시점(t3)에서 적분기는 재설정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시점(t1)의 개시 후, 두드러진 초과 또는 설정 부재의 새로워진 정지 상태를 나타내지 않고 실제값을 약간 증가시킴으로써 목표값에 도달된다.
마찰 설정 부재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사용 외에, 조정 회로 범위 내의 마찰 설정 부재를 통해 자동차의 작동 변수를 조정하는 개방된 타이밍 체인에서 설명된 장점을 갖는 상응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설정 부재 영역에서 정적 마찰 효과가 작용할 때, 특히 설정 부재가 정지되어 있을 때, 설정 부재의 정적 상태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차 작동 변수의 조정 시 작동 변수에 영향을 주는 정적 마찰이 극복됨으로써 정적 상태에서 작동 변수의 빠른 변경이 보장되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마찰 설정 부재를 통해 자동차의 작동 변수를 조정하며, 정적 마찰의 보상을 위한 방법을 마련하는 조정 회로의 블록 다이어그램.
도2는 정적 마찰 보상 및/또는 마이크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초과 방지를 위한 해결책의 실현을 나타내는 제1 실시예의 흐름도.
도3 내지 도5는 도2에 기술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작용을 도시한 시간 다이어그램.
도6은 제2 실시예의 블록 다이어그램.
도7은 제2 실시예의 작용을 도시한 시간 다이어그램.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마이크로 컴퓨터
12 : 목표값 형성기
14-16 : 입력 라인
18 : 비교부
20 : 레귤레이터
22 : 연결부

Claims (10)

  1. 작동 변수에 영향을 주는 마찰 설정 부재가 작동 변수에 대한 소정의 값을 기초로 하여 형성된 조정 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자동차의 작동 변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조정 신호는 작동 변수의 소정의 변경 시 설정 부재의 정적 상태로부터 바람직하게는 작동 변수의 실제 변경까지 추가로 변경되어, 작동 변수의 변경에 대립된 설정 부재 내의 정적 마찰이 극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작동 변수에 영향을 주는 마찰 설정 부재가 작동 변수에 대한 소정의 값을 기초로 하여 형성된 조정 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자동차의 작동 변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작동 변수가 소정의 값에 근접한 경우, 조정 신호가 작동 변수의 변경 감소를 위해 추가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부재가 작동하지 않거나 또는 작동 변수가 변경되지 않을 때, 정지 상태 또는 정지 상태가 검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부재가 조정 회로의 범위에서 목표값과 실제값에 따라 조정되며, 조정 편차가 실제로 0에 있으면, 정적 상태가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적 상태의 검출 시, 조정 편차에 따라 조정 변수의 형성이 이루어지고 설정 부재의 작동의 검출 시 조정 변수의 형성이 중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변수 형성의 중단 시 조정 변수의 값이 출력되고, 상기 값은 조정 변수를 거쳐 시스템 내로 유입된 다량 에너지를 실제로 보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신호는 정지 상태로부터 벗어나면 형성되고, 설정 부재의 작동이 검출되면 중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신호가 바람직하게는 증가된 기간을 갖는 펄스의 결과, 설정 부재의 작동 시 중단된 정해지지 않은 기간의 펄스, 적분기의 출력 신호 또는 작동 변수를 위한 레귤레이터의 적분기에 합계된 합계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작동 변수에 영향을 주는 마찰 설정 부재를 작동 변수에 대한 소정의 값을 기초로 하여 형성된 조정 신호를 통해 작동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자동차의 작동 변수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작동 변수의 소정의 변경 시 조정 신호를 정적 상태로부터 바람직하게는 작동 변수의 실제 변경까지 추가로 변경시키는 수단을 포함함으로써, 작동 변수의 변경에 대립된 설정 부재 내의 정적 마찰이 극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작동 변수에 영향을 주는 마찰 설정 부재를 작동 변수의 소정의 값을 기초로 하여 형성된 조정 신호를 통해 작동하는 제어 유닛을 구비한 자동차의 작동 변수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소정의 값에 작동 변수가 근접하는 경우, 작동 변수의 변경 감소를 위해 조정 신호를 추가로 변경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19980037322A 1997-09-11 1998-09-10 자동차의작동변수를제어하기위한장치및방법 KR1005442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739827A DE19739827B4 (de) 1997-09-11 1997-09-11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teuerung einer Betriebsgröße eines Kraftfahrzeugs
DE19739827.8 1997-09-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9684A KR19990029684A (ko) 1999-04-26
KR100544256B1 true KR100544256B1 (ko) 2006-05-25

Family

ID=7841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7322A KR100544256B1 (ko) 1997-09-11 1998-09-10 자동차의작동변수를제어하기위한장치및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029625A (ko)
JP (1) JP4252647B2 (ko)
KR (1) KR100544256B1 (ko)
DE (1) DE19739827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36845B4 (de) * 1998-08-14 2009-04-09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teuerung einer Antriebseinheit eines Kraftfahrzeugs
US6671603B2 (en) 2001-12-21 2003-12-30 Daimlerchrysler Corporation Efficiency-based engine, powertrain and vehicle control
FR2848607B1 (fr) * 2002-12-13 2006-01-27 Renault Sa Procede de controle et de commande d'un actionneur de regulation de debit et dispositif associe
JP2004340021A (ja) * 2003-05-15 2004-12-02 Mitsubishi Electric Corp スロットルバルブ制御装置
DE102007037296B3 (de) * 2007-08-07 2009-01-29 Continental Automotive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Regelung der Position eines elektrisch bewegbaren Aktuators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US9657632B2 (en) 2012-08-01 2017-05-2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 torque control of an aerodynamic air shutter mechanism
DE102012024862B3 (de) 2012-12-19 2013-07-04 Audi Ag Aktor, Kraftfahrzeug mit einem derartigen Aktor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Aktors
JP2016179794A (ja) * 2015-03-25 2016-10-13 ローベルト ボッシュ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液圧装置及び液圧装置の制御方法
FR3095255B1 (fr) * 2019-04-16 2021-04-16 Psa Automobiles Sa Procede de compensation des frottements secs dans l’asservissement de position d’un actionneur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13776B2 (ja) * 1988-04-01 1996-07-0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スロットル弁制御方法及びその装置
JP2559480B2 (ja) * 1988-11-07 1996-12-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子式弁開度制御装置
GB8908661D0 (en) * 1989-04-17 1989-06-01 Lucas Ind Plc Engine throttle control system
DE4015293A1 (de) * 1989-12-12 1991-06-13 Bosch Gmbh Robert System zur regelung eines betriebsparameters einer brennkraftmaschine eines kraftfahrzeugs
DE4025847A1 (de) * 1990-08-16 1992-02-20 Bosch Gmbh Robert System zur regelung eines stellwerks in einem kraftfahrzeug
US5925643A (en) * 1990-12-05 1999-07-20 Emory University Enantiomerically pure β-D-dioxolane-nucleosides
GB2251705B (en) * 1991-01-12 1994-07-13 Rover Group A throttle valve control system for an engine of a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9739827B4 (de) 2007-05-10
JP4252647B2 (ja) 2009-04-08
US6029625A (en) 2000-02-29
KR19990029684A (ko) 1999-04-26
JPH11165622A (ja) 1999-06-22
DE19739827A1 (de) 1999-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48885B2 (ja) 車両の制御方法および装置
ITRM960165A1 (it) Procedimento ed apparecchio per la limitazione della velocita&#39; di un autoveicolo.
KR19990021978A (ko) 구동 유닛의 출력 토오크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0544256B1 (ko) 자동차의작동변수를제어하기위한장치및방법
KR100366904B1 (ko) 자동차 구동 유니트의 제어 방법 및 장치
US5083480A (en) Shift control system for automotive automatic power transmission with kick-down control according to prediction of demanded engine load
JP3579442B2 (ja) 自動変速機を備えた車両における変速時の快適性制御方法
US6240355B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the drag torque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20020091035A1 (en) Control apparatus for an automatic transmission of a vehicle and a control method
KR20000053500A (ko) 자동차 속도 자동 제어 방법
JPH04276156A (ja) 可変量を検出する方法及び装置
US4248321A (en) Device for regulating the traveling speed of a motor vehicle
JP3981174B2 (ja) 車両速度の制御ないし制限方法および装置
US5042324A (en) Control of torque generated by engine followed by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HU205430B (en) Method for controlling the no-load speed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5929533A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controlling idle of a drive unit
KR100543835B1 (ko) 차량의작동변수를조절하기위한장치및방법
KR100289457B1 (ko) 무부하 저속으로 진입하는 동안 내연기관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KR970036306A (ko) 클러치 및 차량 엔진을 제어하는 시스템(System for controlling clutch and vehicle engine)
KR100944647B1 (ko) 전기 모터 작동용 회로
US572494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gulating engine torque
KR100328178B1 (ko) 엔진제어장치
KR100694744B1 (ko) 구동 유닛의 회전 속도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589218B1 (ko) 차량의 엔진 제어장치 및 방법
ITMI970106A1 (it) Procedimento e dispositivo per regolare rispettivamente limitare la velocita&#39; di marcia di un veicol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