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6089B1 - 유리 패널 - Google Patents

유리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6089B1
KR100326089B1 KR1019997009373A KR19997009373A KR100326089B1 KR 100326089 B1 KR100326089 B1 KR 100326089B1 KR 1019997009373 A KR1019997009373 A KR 1019997009373A KR 19997009373 A KR19997009373 A KR 19997009373A KR 100326089 B1 KR100326089 B1 KR 1003260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glass
plate glass
suction port
inclined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9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6289A (ko
Inventor
에노모토다카노부
가토미치히로
모리시게키
Original Assignee
이즈하라 요우조우
닛폰 이타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즈하라 요우조우, 닛폰 이타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즈하라 요우조우
Publication of KR20010006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62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60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60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3Elements for spacing panes
    • E06B3/66304Discrete spacing elements, e.g. for evacuated glazing unit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7/00Joining pieces of glass to pieces of other inorganic material; Joining glass to glass other than by fusing
    • C03C27/06Joining glass to glass by processes other than fus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77Evacuating or filling the gap between the panes ; Equilibration of inside and outside pressure; Preventing condensation in the gap between the panes; Cleaning the gap between the panes
    • E06B3/6775Evacuating or filling the gap during assemb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 Y02A30/249Glazing, e.g. vacuum glaz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22Glazing, e.g. vaccum glaz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한 쌍의 판유리(1A, 1B)를 두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하는 동시에, 양 판유리 사이의 공극부(V)가 밀폐 감압되어 있는 유리 패널 본체(P1)를 설치하고, 한 쌍의 판유리(1A, 1B) 중 어느 한 쪽의 판유리에 공극부(V)의 감압을 행한 후의 흡인구 폐색부(7)를 판유리 표면에 돌출된 상태로 설치하여 흡인부(6)를 형성하고, 흡인구 폐색부(7)를 보호하기 위한 캡(9)이 흡인부(6)를 덮는 상태로 한 쪽 판유리(1A)에 접착되어 있는 유리 패널로서,
캡(9)의 외주부에 끝이 점점 가늘어지는 형상의 제1 경사면(10)을 형성하는 동시에, 캡(9)의 내공 주벽부와 흡인구 폐색부(7) 사이에 간극(S)이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유리 패널{GLASS PANEL}
종래 1매의 판유리보다 단열 성능이 높은 판유리로서, 한 쌍의 판유리 사이에 단열층이 되는 공기층을 개재시켜 일체로 구성되어 있는 유리 패널이 알려져 있다. 이 종류의 유리 패널에서는 유리 패널의 두께가 커지며 새시를 포함하여 미관을 해치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두께가 얇고 보다 단열성이 높은 것으로, 한 쌍의 판유리 사이에 복수의 스페이서를 배치하는 동시에, 양 판유리 각각의 외연부(外緣部) 사이에, 전주(全周)에 걸쳐, 예를 들면 저융점 유리로 이루어진 실링(sealing) 부재를 일체로 설치하고 상기 공극부를 감압 상태로 함으로써, 보다 얇고 또한 열 관통률이 작은 유리 패널로 만드는 것이 고려되어 있다.
상기 공극부를 감압하기 위해서는, 미리 한 쌍의 판유리 중 어느 한 쪽 판유리에 흡인용 유리관을 설치해 두고 그 유리관을 사용하여 상기 공극부의 공기를 흡인한다. 그후, 상기 유리관의 선단부를 열 융해시킴으로써 상기 공극부의 감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신뢰성이 높은 흡인구 폐색부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흡인구 폐색부가 노출된 채로 있으면 다른 물건과의 충돌에 의하여 상기 유리관이 갈라지고 상기 공극부의 감압 상태가 해제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이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캡이 필요하게 된다.
이 종류의 종래의 유리 패널에서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캡(20)을 원주(圓柱) 형상으로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캡(20)이 상기 흡인구 폐색부(7)에 외측으로 끼워지도록 상기 흡인구 폐색부 치수에 대응한 결합용 구멍부(21)를 상기 캡(20)에 형성하고, 상기 구멍부(21)의 개구 주연부(周緣部)에 접착제(13)를 도포한 상태에서 상기 흡인구 폐색부(7)에 덮어 한 쪽 판유리(1A)에 접착하는 것이 고려되고 있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유리 패널에서는 다른 물건이 캡 설치 부분에 접촉하는 경우, 특히 판유리 면을 따른 방향으로 다른 물건이 접촉하면 그 충격은 판유리와의 접착층에서 받아들여지지만, 그와 동시에 흡인구 폐색부에도 전달되어 상기 흡인구 폐색부가 파손되기 쉽고 상기 공극부의 감압 상태를 유지하기가 곤란하게 되기 쉽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상기 캡에 외력이 작용해도 흡인구 폐색부가 잘 파손되지 않으며 장기간에 걸쳐 공극부의 감압 상태를 유지하기 쉬운 유리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한 쌍의 판유리를 두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하는 동시에, 상기 양 판유리 사이의 공극부(空隙部)가 밀폐 감압되어 있는 유리 패널 본체를 설치하고, 상기 한 쌍의 판유리 중 어느 한 쪽의 판유리에 상기 공극부의 감압을 행한 후의 흡인구(吸引口) 폐색부를 판유리 표면에 돌출된 상태로 설치하여 흡인부를 형성하고, 상기 흡인구 폐색부를 보호하기 위한 캡이 상기 흡인부를 덮는 상태로 상기 한 쪽 판유리에 접착되어 있는 유리 패널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유리 패널을 도시한 일부 절단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유리 패널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유리 패널의 주요부 측단면도,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의한 캡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의한 캡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의한 캡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7은 종래의 유리 패널의 주요부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유리 패널의 특징 구성은 다음과 같다.
청구항 1에 의한 유리 패널은, 도 1 내지 도 6에 예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판유리(1)를 두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하는 동시에, 상기 양 판유리(1) 사이의 공극부(V)가 밀폐 감압되어 있는 유리 패널 본체(P1)를 가진다. 상기 한 쌍의 판유리(1) 중 어느 한 쪽 판유리(1A)에는 상기 공극부(V)의 감압을 행한 후에 폐색하는 흡인구 폐색부(7)를 형성한다. 이 흡인구 폐색부(7)는 판유리 표면에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며 흡인부(6)를 형성한다. 상기 흡인구 폐색부(7)를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흡인부(6)를 덮는 상태로 캡(9)은 상기 한 쪽 판유리(1A)에 접착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유리 패널은 특히, 상기 캡(9)의 외주부에 끝이 점점 가늘어지는 형상의 제1 경사면(10)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캡(9)의 내공(內空) 주벽부와 상기 흡인구 폐색부(7) 사이에 간극(S)을 형성한 점에 특징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상기 캡의 외주부에 끝이 점점 가늘어지는 형상의 제1 경사면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캡의 내공 주벽부와 흡인구 폐색부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판유리 면을 따른 방향의 외력(外力)이 상기 제1 경사면에 작용한 경우, 그 외력은 상기 제1 경사면을 따라 퇴피하는 방향의 분력(分力)과 캡을 판유리에 가압하는 방향의 분력으로 나뉘어진다.
전자인 제1 경사면을 따른 분력에 의하면 힘의 방향이 판유리 면을 따른 방향과는 상이한 것이 되기 때문에 캡을 판유리 면을 따라 이동시키는 작용이 실질적으로 약해지고, 후자인 판유리에 가압하는 방향의 분력에 의하면 캡과 판유리 면의 마찰 저항을 증가시키는 작용이 있기 때문에, 역시 캡을 판유리 면을 따라 이동시키는 작용이 약해진다. 이와 같이, 판유리 면에 직교하는 외주면을 가지는 종래의 캡에 비하여, 본 발명의 유리 패널에 사용하는 캡은 외력에 의하여 잘 이동하지 않게 된다.
또, 만일 상기 외력에 의하여 캡이 이동했다고 해도 그 이동량이 상기 간극 치수 내이면 상기 캡의 내공 주벽부가 흡인구 폐색부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유리 패널에 의하면 상기 캡에 외력이 작용해도 흡인구 폐색부가 잘 파손되지 않으며 장기간에 걸쳐 공극부의 감압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2에 의한 유리 패널에서는, 도 2 내지 도 6에 예시한 바와 같이, 상기 캡(9)의 내공 주벽부 중, 상기 흡인구 폐색부(7)의 두부(頭部)와 동일한 높이에 상당하는 부분으로부터 캡 기단(基端) 측에 걸친 내공 주벽 부분에 끝이 점점 넓어지는 제2 경사면(12)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한 작용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또, 상기 캡의 내공 주벽부 중, 상기 흡인구 폐색부의 두부와 동일한 높이에 상당하는 부분으로부터 캡 기단 측에 걸친 내공 주벽 부분에 끝이 점점 넓어지는 제2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외력의 작용으로 캡의 접착 부분이벗어나 캡 내공 주벽부가 흡인구 폐색부에 접촉한 경우에도, 상기 흡인구 폐색부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로 상기 제2 경사면이 접촉한다.
즉, 판유리 면을 따른 방향의 캡의 접촉력은 상기 흡인구 폐색부에 대하여 정면으로 작용하지 않고 상기 제2 경사면에 직교하는 방향의 분력이 작용할 뿐으로, 상기 흡인구 폐색부를 부러뜨리고 쓰러뜨리는 힘으로서는 저감된다.
따라서, 캡의 내공 주벽부가 판유리 면에 직교하며 흡인구 폐색부에 대하여 판유리 면을 따른 방향으로 접촉력을 작용시키는 종래의 캡에 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캡은 흡인구 폐색부를 잘 파손되지 않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그 결과, 캡에 대한 외력의 작용으로 캡이 벗어나 흡인구 폐색부에 접촉해도 흡인구 폐색부가 잘 파손되지 않으며 보다 장기간에 걸쳐 공극부의 감압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3에 의한 유리 패널에서는, 도 2 내지 도 6에 예시한 바와 같이, 상기 캡(9)의 제1 경사면(10)을 유리 면에 대하여 50。 이하의 경사 각도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한 작용 효과를 달성하는 있는 데 더하여, 상기 제1 경사면이 유리 면에 대하여 50。 이하의 경사 각도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외력에 대하여 캡이 보다 잘 벗어나지 않는 유리 패널로 만드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캡은 판유리의 표면에 돌출된 상태로 부착되며, 예를 들면 손가락으로 캡을 잡는 것에 의해서도 캡이 벗어나고, 그에 따라 흡인구 폐색부가 파손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1 경사면의 경사 각도를 50。 이하로 설정해 둠으로써 손가락이 캡에 잘 걸리지 않게 되고, 부주의하게 캡을 잡아 놓치거나 그에 따라 흡인구 폐색부가 파손된다는 문제를 방지하기 쉬워진다.
청구항 4에 의한 유리 패널에서는, 도 2 내지 도 4 및 도 6에 예시한 바와 같이, 캡(9)의 외주부 중, 상기 제1 경사면(10)으로부터 캡 기단 측의 부분은 그 외경 치수를 상기 제1 경사면(10)의 최대 직경부(10a)의 외경 치수 이하로 형성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발명에 의한 작용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데 더하여, 상기 캡의 외주부 중, 상기 제1 경사면으로부터 캡 기단 측의 부분은 그 외경 치수가 상기 제1 경사면의 최대 직경부의 외경 치수 이하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캡의 완성된 형상 중, 높이 치수에 다소의 변동이 있었다고 해도 캡의 최대 외경 치수는 상기 제1 경사면의 최대 직경부의 외경 치수가 되어 외관상의 차를 눈에 잘 띄지 않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캡의 제조 치수 오차를 상기 제1 경사면으로부터 캡 기단 측의 부분에 의하여 흡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도면과의 대조를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부호를 기입하였지만, 이 기입에 의하여 본 발명이 첨부 도면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을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 도면에 따라 이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유리 패널은, 예를 들면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리 패널(P)이 한 쌍의 유리 패널(1) 사이에 판면(板面)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의 스페이서(2)를 개재시켜 형성되어 있는 유리 패널 본체(P1)에 대하여 양 판유리(1A, 1B) 사이의 공극부(V)를 감압 밀폐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한 쌍의 판유리(1)는 각각 두께 치수가 3mm인 투명한 플로트(float) 판유리로 구성되어 있다. 이 판유리는 JIS 규격에서의 3mm의 판유리이고, 두께 오차를 고려하면 실질적으로는 2.7∼3.3mm의 두께를 가진다. 양 판유리(1)의 외연 전주에 걸쳐서 저융점 유리로 이루어진 실링부(4)를 설치하여 상기 공극부(V)의 밀폐가 이루어져 있다. 이 저융점 유리로는 땜납 유리 등을 사용한다. 상기 공극부(V)는 예를 들면 진공 환경 하에서 유리 패널 본체(P1)를 제작하거나 유리패널 본체(P1)를 제작한 후에 공기를 흡인하는 등의 방법에 의하여 1.0×10-2Torr 이하의 감압 환경을 이루는 상태로 구성되어 있다.
또, 양 판유리(1)의 외주연부는 한 쪽 판유리(1A)가 판면 방향을 따라 돌출하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 돌출부(5)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실링부(4)를 형성할 때, 이 돌출부(5)에 상기 저융점 유리등의 실링 물질을 탑재한 상태에서 효과적이며 또한 확실하게 공극부 외주부를 밀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스페이서(2)는 스테인레스 스틸로 이루어진 원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치수는 직경이 0.30∼1.00mm이고 높이 치수가 0.1∼0.5mm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판유리(1)와 접촉하는 부분이 원주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양 판유리(1)에 대한 접촉 부분에 응력(應力) 집중을 발생시키기 쉬운 각부(角部)를 만들지 않고 판유리(1)를 잘 파괴되지 않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페이서(2)의 설치 간격은 10∼25mm의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공극부(V)의 감압에 관한 구성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한 쌍의 판유리(1) 중 어느 한 쪽의 판유리(1A)에는 상기 공극부(V)의 감압을 행하는 흡인부(6)가 설치되어 있다. 이 흡인부(6)를 구성하기 위하여, 상기 한 쪽의 판유리(1A)에 형성한 흡인구(1a)에 유리관(7a)을 배치하고, 흡인구의 주벽과 유리관(7a) 사이를 저융점 유리(8)에 의하여 밀폐되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유리관(7a)으로부터 상기 공극부(V)의 기체를 흡인하여 충분히 감압 상태로 한 후, 상기 유리관(7a)의 돌출 선단부(7b)가 가열 융해에 의하여 폐색되어있다.
상기 유리관(7a) 및 돌출 선단부(7b)는 판유리(1A)의 표면에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 양자로 흡인구 폐색부(7)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흡인구 폐색부(7)를 설치한 흡인부(6)를 덮는 상태로 보호용 캡(9)을 설치하며 상기 한 쪽 판유리(1A)에 접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유리관(7a)은 그 두께가 0.1∼1.0mm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두께가 1.0mm를 넘는 것을 사용하면 돌출 선단부(7b)를 폐색할 때, 온도의 상승부터 자기융착(自己融着)까지 시간을 요하게 되고 주위의 불필요한 부위까지 온도가 상승하며, 심한 경우에는 그 결과 발생하는 온도 구배(勾配)로 인하여 판유리(1) 또는 저융점 유리(8)에 크랙(crack)이 발생될 위험이 있다. 또, 두께가 0.1mm 미만인 것을 사용하면 온도 상승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지만 자기융해되어 형상을 유지하는 것이 곤란하며, 또 강도가 약하기 때문에 매우 파손되기 쉬워진다.
상기 캡(9)은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며 팽출(膨出)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ABS 수지를 사용하면 내충격성이 높으므로 흡인구 폐색부(7)의 보호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캡(9)은 평면에서 보아 외주부가 원형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동시에 측면에서 본 단면 형상에서 그 외주부에 끝이 점점 가늘어지는 형상의 제1 경사면(10)을 형성하고, 그 제1 경사면(10)으로부터 캡 기단 측의부분은 그 외경 치수가 상기 제1 경사면(10)의 최대 직경부(10a)의 외경 치수와 동일한 외경 치수로 형성한 직립면(直立面)(11)으로 형성되어 있다.
캡(9) 전체의 높이 치수는 6mm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서, 다른 물건이 잘 걸리지 않게 되며 미관성 면에서도 바람직하게 된다. 또, 상기 직립면(11)의 높이 치수는 1.2mm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서, 캡(9)을 손가락으로 잡기 어렵게 하고, 다른 물건이 캡(9)에 접촉하려는 경우에도 다른 물건을 상기 제1 경사면(10) 쪽에 접촉시키기 쉬워진다.
본 실시예는 상기 제1 경사면(10)의 경사가 유리 면에 대하여 약 45。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각도가 50。 이하이면 흡인구 폐색부가 잘 파손되지 않으며 장기간에 걸쳐 공극부의 감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는 전술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또, 캡(9)의 치수는 상기 흡인구 폐색부(7)를 덮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그 내공 주벽부와 상기 흡인구 폐색부(7) 사이에 간극(S)이 형성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캡(9)의 내공 주벽부 중, 상기 흡인구 폐색부(7)의 두부와 동일한 높이에 상당하는 부분으로부터 캡 기단 측에 걸친 내공 주벽부는 끝이 점점 넓어지는 제2 경사면(12)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캡(9)은 기단 면에 접착제(13)를 도포하여 판유리(1A)에 접착되어 있다. 여기에 사용하는 접착제(13)로는 접착 강도가 15㎏/㎠ 이상의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실리콘 실온(室溫) 경화형 액성(液性) 접착제, 에폭시계 급속 경화형 접착제, 혐기성(嫌氣性) 접착제, 주성분이 에틸시아노아크릴레이트인 박리강도가 높은 순간 접착제, 또는 주성분이 시릴기를 함유한 특수 폴리머인 일액(一液) 상온 급속 경화형 접착제 등을 들 수 있다.
이 실시예의 유리 패널에 의하면, 캡(9)의 부착 부분에 대하여, 특히 판유리 면을 따라 작용하는 외력이 작용한 경우에도, 상기 제1 경사면(10)에 의하여 그 작용 방향을 변환하여 접착 부분으로의 부담을 경감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캡(9)이 벗어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만일, 캡(9)이 벗어났다고 해도, 상기 제2 경사면(12)으로부터 흡인구 폐색부(7)에 작용하는 접촉력의 작용 방향을 상기 제2 경사면(12)으로 변환하여 흡인구 폐색부(7)로의 부담을 경감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흡인구 폐색부(7)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쉽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캡(9)의 대량 생산에서 높이 오차가 발생한 경우에도 그 오차량은 상기 직립면(11)에 나타나게 되고, 실질적으로는 캡(9)의 외경 치수를 상기 최대 직경부(10a)의 외경 치수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외관의 통일성을 도모하기 쉽다.
또, 흡인부(6)의 형성에서도, 적절한 두께 치수의 유리관(7a)을 선정함으로써 공극부(V)의 감압 상태를 유지하여 고단열성을 보다 장기간 구비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실시예〕
다음에, 판유리 면을 따른 방향의 외력의 작용과 캡이 벗어나는 빈도에 대한 실험 결과를 설명한다.
실험에는, 300mm×300mm×3mm 사이즈의 플로트 판유리를 사용하였다.
캡(9)은 판유리에 대한 제1 경사면의 경사 각도가 90。(실질적으로 제1 경사면이 없는 상태)인 것 및 75。, 60。, 50。, 45。, 30。, 20。인 것을 사용하고, 에폭시계 접착제로 판유리에 접착하였다.
그리고, 캡(9)으로 외력을 가하는 방법은, 고무로 이루어진 의사적(擬似的) 작용체를 준비하고 상기 의사적 작용체를 판유리 면을 따라 이동시켜 상기 캡에 충돌시켰다.
상기 의사적 작용체는 작용면의 폭 치수가 50mm, 높이 치수 10mm, 작용 방향의 길이 치수가 20mm인 것을 사용하였다.
이 실험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캡(9)이 벗어나지 않은 것을 「양호」한 것으로 판정하였다.
이 결과로부터 명확히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제1 경사면은 판유리 면에 대한 경사 각도가 90。인 것(직립)보다 경사져 있는 쪽이 캡이 벗어나는 빈도가 적어진다. 특히, 경사 각도가 50。 이하인 것은 어느 것이나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1〕
제1 경사면의 경사 각도(。) 캡이 벗어나는 빈도
90756050453020 전부 벗어남80% 벗어남40% 벗어남양호양호양호양호
〔다른 실시예〕
이하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1〉상기 실시예에서는, 접착제(13)를 사용하여 판유리(1A)에 대하여 캡(9)을 접착하였지만, 이 「접착」에는 다른 방법에 의한 것도 포함된다.
예를 들면, 점착재를 가지는 양면 테이프를 사용하여 상기 판유리(1A)와 캡(9)을 접착할 수도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유리(1A)에 대하여 캡(9)을 간단히 부착할 수 있다는 효과에 더하여, 테이프 소재를 적당하게 선택하여 이 테이프 소재의 탄성 등을 이용하여 상기 캡(9)에 작용하는 외력을 흡수하는 것 등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캡(9)의 접착 정도 및 상기 흡인구 폐색부(7)의 보호 효과를 보다 확실하게 하여 유리 패널의 감압 상태를 장기간 유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 상기 점착 테이프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상기 접착제(13)와 병용할 수도 있으며, 요컨데 캡(9)의 접착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는 것이라면 임의의 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2〉상기 판유리(1)는 앞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두께 3mm의 판유리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외의 다른 두께의 판유리가 될 수도 있다. 또, 유리의 종별은 임의로 선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예를 들면 프레임 판유리, 불투명 유리(표면 처리에 의하여 광을 확산시키는 기능을 부여한 유리), 망입(網入) 유리 또는 강화 유리나 열선(熱線) 흡수, 자외선 흡수, 열선 반사 등의 기능을 부여한 판유리나, 이들과의 조합이 될 수도 있다.
또, 유리의 조성은 소다 규산 유리(소다 석회 실리카 유리), 붕규산 유리, 알루미노 규산 유리 또는 각종 결정화 유리가 될 수도 있다.
〈3〉상기 판유리(1)는 한 쪽 판유리(1A)와 다른 쪽 판유리(1B)가 길이나 폭 치수가 상이한 것을 사용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동일 치수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양 판유리를 겹치는 방법은 단연부끼리가 일치되는 상태로 서로 겹쳐질 수도 있다. 또, 한 쪽 판유리(1A)와 다른 쪽 판유리(1B)의 두께 치수가 상이한 것을 조합하여 유리 패널이 구성될 수도 있다.
〈4〉상기 간격 유지 부재(2)는 앞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스테인레스 스틸로 이루어진 스페이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를 들면 인코넬 718이나 그 외에도 다른 금속·석영 유리·세라믹스 등이 될 수도 있고, 요컨데 외력을 받아 양 판유리끼리가 접하는 일이 없도록 잘 변형되지 않는 것이면 된다.
〈5〉상기 캡(9)은 앞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ABS 수지로 이루어진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그 외의 합성 수지로, 예를 들면 염화 비닐 수지·아크릴 수지·PET·EPDM 등으로 형성한 것이 될 수도 있다. 또한, 합성 수지로 이루어진 것에 한정되지 않고, 금속으로 이루어진 것이나 세라믹스로 이루어진 것이 될 수도 있으며, 요컨데 외력의 작용에 대한 강도를 가지고 있는 것이라면 된다. 특히, 제1 경사면은 작용하는 외력이 빗나가게 하기 쉽도록 매끄럽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6〉상기 캡(9)은 앞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직립면(11)이 반드시 설치되어 있을 필요는 없으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캡(9)의 외주면이 전부 제1경사면(10)에 구성될 수도 있다.
또, 그 제1 경사면(10)의 판유리 면과의 경사 각도는 90。 미만이며 50。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직립면(11)을 설치하는 것 대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경사면(10)과는 역구배인 경사면을 제1 경사면(10)과 캡 기단부 사이에 형성할 수도 있다. 이 실시예에서도, 캡(9)의 제작 오차에 의한 외경 치수 변화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7〉상기 캡(9)의 제2 경사면(12)은 앞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 이외에,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단면에서 보아 곡면 형상의 요구면(凹球面)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캡(9)의 내공 주벽부의 일부에 제2 경사면(12)이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유리 패널은 다양한 종류에 걸친 용도에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건축용·탈것(vehicle)용(자동차의 창유리, 철도 차량의 창유리, 선박의 창유리)·기기 요소용(플라즈마 디스플레이의 표면 유리, 냉장고의 개폐 도어나 벽부(壁部), 보온 장치의 개폐 도어나 벽부) 등에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4)

  1. 한 쌍의 판유리(1A, 1B)를 두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하는 동시에, 상기 양 판유리 사이의 공극부(空隙部)(V)가 밀폐 감압되어 있는 유리 패널 본체(P1)를 설치하고, 상기 한 쌍의 판유리(1A, 1B) 중 어느 한 쪽의 판유리에 상기 공극부(V)의 감압을 행한 후의 흡인구(吸引口) 폐색부(7)를 판유리 표면에 돌출된 상태로 설치하여 흡인부(6)를 형성하고, 상기 흡인구 폐색부(7)를 보호하기 위한 캡(9)이 상기 흡인부(6)를 덮는 상태로 상기 한 쪽 판유리(1A)에 접착되는 유리 패널로서,
    상기 캡(9)의 외주부에 끝이 점점 가늘어지는 형상의 제1 경사면(10)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캡(9)의 내공(內空) 주벽부와 상기 흡인구 폐색부(7) 사이에 간극(S)이 형성되는 유리 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9)의 내공 주벽부 중, 상기 흡인구 폐색부(7)의 두부(頭部)와 동일한 높이에 상당하는 부분으로부터 캡 기단(基端) 측에 걸친 내공 주벽 부분에 끝이 점점 넓어지는 제2 경사면(12)이 형성되는 유리 패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면(10)은 유리 면에 대하여 50。 이하의 경사 각도로 설정되는 유리 패널.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캡(9)의 외주부 중, 상기 제1 경사면(10)으로부터 캡 기단 측의 부분은 그 외경 치수가 상기 제1 경사면(10)의 최대 직경부의 외경 치수 이하로 형성되는 유리 패널.
KR1019997009373A 1998-04-30 1999-04-26 유리 패널 KR1003260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121203 1998-04-30
JP12120398A JP4049443B2 (ja) 1998-04-30 1998-04-30 ガラスパネ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6289A KR20010006289A (ko) 2001-01-26
KR100326089B1 true KR100326089B1 (ko) 2002-03-07

Family

ID=14805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9373A KR100326089B1 (ko) 1998-04-30 1999-04-26 유리 패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4049443B2 (ko)
KR (1) KR100326089B1 (ko)
CN (1) CN1117912C (ko)
TW (1) TW405013B (ko)
WO (1) WO19990574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98043C (zh) * 2002-09-05 2005-04-2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高隔热、高隔音玻璃及内设支撑物的粘设固定方法
AU2003229250A1 (en) * 2002-09-13 2004-04-30 Beo Technology Group Co., Ltd High thermo and sound-insulating evacuated glass panel device
WO2013172033A1 (ja) 2012-05-18 2013-11-2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複層ガラスの製造方法
WO2013172034A1 (ja) 2012-05-18 2013-11-2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複層ガラスの製造方法
JP6558710B2 (ja) 2015-09-08 2019-08-1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ガラスパネルユニット及びガラス窓
EP3438064B1 (en) 2016-03-31 2023-12-06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Glass panel unit
JP6767702B2 (ja) 2016-08-31 2020-10-1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ガラスパネルユニットおよびガラス窓
US11187027B2 (en) 2016-09-28 2021-11-30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Manufacturing method of glass panel uni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glass window
WO2018062140A1 (ja) 2016-09-30 2018-04-0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ガラスパネルユニット、ガラス窓およびガラスパネルユニットの製造方法
CN106628637B (zh) * 2017-01-13 2019-09-17 河南理工大学 一种血液恒温运输周转箱
JP7178594B2 (ja) 2018-05-31 2022-11-2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ガラスパネルユニットの製造方法
WO2020003829A1 (ja) 2018-06-26 2020-01-0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ガラスパネルユニット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9991A (ja) * 1981-08-14 1983-02-22 松下電工株式会社 複層ガラス障子
JPS59146490U (ja) * 1983-03-07 1984-09-29 松下電工株式会社 複層パネル
AUPM888994A0 (en) * 1994-10-19 1994-11-10 University Of Sydney, The Design improvement to vacuum glazing
JP3859771B2 (ja) * 1996-06-17 2006-12-20 日本板硝子株式会社 真空複層ガラス及びその製造方法
JPH11278877A (ja) * 1998-03-31 1999-10-12 Central Glass Co Ltd 低圧空間を有する複層ガラ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049443B2 (ja) 2008-02-20
JPH11311069A (ja) 1999-11-09
CN1117912C (zh) 2003-08-13
KR20010006289A (ko) 2001-01-26
CN1266470A (zh) 2000-09-13
WO1999057405A1 (fr) 1999-11-11
TW405013B (en) 2000-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6089B1 (ko) 유리 패널
JP4203235B2 (ja) ガラスパネル
US20020106463A1 (en) Vacuum IG window unit with polymer spacers
AU2013260930B2 (en) Production method of multiple panes
JP4251609B2 (ja) ガラスパネル
WO2013048981A1 (en) Vacuum insulating glass (vig) unit pump-out tube protecting techniques, and/or vig units incorporating the same
CA2087187A1 (en) Process and device for assembling insulating glass panes filled with a gas other than air
KR20000006098A (ko) 방화창유리조립체
PL361136A1 (en) Use of a glazing comprising a profiled string rim for its installation in a recess
US20020064610A1 (en) Glass panel
EP1485546B1 (en) Method of providing a joint between a plate member and a frame profile, and a frame structure comprising such a joint
WO2019093325A1 (ja) ガラスパネル
CA2260070A1 (en) Frameless door or window wing arrangement with insulated glazing, and proces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WO2000041980A1 (fr) Panneau de verre
CN110318640A (zh) 一种密封隔热的新型节能门窗
JP2000145310A (ja) 複層ガラス
JP2001172059A (ja) 低圧複層ガラ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0248846A (ja) ガラスパネル
JP2001335346A (ja) ガラスパネル
KR102401291B1 (ko) 유리지지대의 연결부를 기밀하기 위한 커튼월
JP2000203891A (ja) ガラスパネル
JP2001058852A (ja) ガラスパネル
JP2003095680A (ja) ガラス管の取り付け方法
JP2001180986A (ja) 低圧複層ガラス
JP2002328378A (ja)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