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5558B1 - 7-클로로퀴놀린-8-카르복실산의정제방법 - Google Patents

7-클로로퀴놀린-8-카르복실산의정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5558B1
KR100325558B1 KR1019920701839A KR920701839A KR100325558B1 KR 100325558 B1 KR100325558 B1 KR 100325558B1 KR 1019920701839 A KR1019920701839 A KR 1019920701839A KR 920701839 A KR920701839 A KR 920701839A KR 100325558 B1 KR100325558 B1 KR 1003255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xylic acid
chloroquinoline
recrystallization
purifying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701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7003535A (ko
Inventor
게르노트 라이쎈베버
크누트 코브
빈프리드 리샤르쯔
Original Assignee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927003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70035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5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55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 C07D21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atoms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5/1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atoms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5/48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Quinoline Compound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Separation Of Suspended Particles By Flocculating Agents (AREA)
  • Low-Molecular Organic Synthesis Reactions Using Cataly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과 혼화성인 저급 알코올에 의해 재결정시킴으로써 7-클로로퀴놀린-8-카르복실산(I)을 정제하는 방법에 있어서, 재결정을 소량의 염기 존재하에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X는 H, 할로겐 또는 저급 알킬기이다.)
이 퀴놀린카르복실산 (I)은 유효한 농작물 보호제이다.

Description

7-클로로퀴놀린-8-카르복실산의 정제 방법
본 발명은 하기 일반식 (I)의 7-클로로퀴놀린-8-카르복실산을 정제하는 개선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식 중, X는 수소, 할로겐 또는 저급 알킬기를 나타낸다.
농작물 보호 구역내에 활성 성분으로서 사용되는 (I)과 같은 형태의 화합물이 상응하는 8-메틸, 8-할로게노메틸 또는 8-디할로게노메틸 화합물을 질산으로 산화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는 것은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다(예, EP-A 085 182, EP-A 277 631 및 EP-A 282 778). 수분을 함유한 조 생성물은 일반적으로 메탄올, 이소프로판올(EP-A 277 631, EP-A 282 778) 또는 메틸 글리콜(EP-A O6O 429)과 같은 저급 알코올로부터 재결정시킴으로써 통상 정제된다.
그러나, 이러한 정제 방법의 단점은 퀴놀린카르복실산이 알코올계 용매에 의해 부분적으로 에스테르화되어 카르복실산의 약 10%까지 손실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단점을 제거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자들은 일반식 (I)의 7-클로로퀴놀린-8-카르복실산을 정제하는 방법을 발견하였고, 이 방법은 재결정화를 소량의 염기 존재하에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적당한 염기로는 우선적으로 알칼리 금속 및 알칼리 토금속 수산화물이며, 탄산 및 아세트산과 같은 약산의 알칼리 금속 및 알칼리 토금속염 뿐만 아니라 트리이소부틸아민과 같은 고비점 3급 아민도 적당하다.
알칼리 금속 및 알칼리 토금속 수산화물 중,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특히 수산화나트륨 및 수산화칼륨이 바람직하다.
염기는 고체 형태 또는 수용액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정제하고자 하는 퀴놀린카르복실산(수분 함유)을 기준으로 0.1 내지 1 중량%, 특히 0.2 내지 0.6중량%의 염기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충분하다.
재결정화에 적당한 용매는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과 같은 알칸올 및 메틸 글리콜과 같은 알콕시알칸올, 특히 1-메톡시-2-프로판올을 포함하는, 물과 혼화성이고 4개 이하의 탄소 원자를 갖는 저급 알코올이 우세하다.
사용되는 용매의 양은 정제하고자 하는 퀴놀린카르복실산(조 물질)이 가열시에 완전히 용해되는 정도이다. 수분을 함유한 조 물질 (I)의 중량을 기준으로 2 내지 10배의 양의 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종종 적당하다.
1-메톡시-2-프로판올을 용매로서 사용할 경우, 일반적으로 수분을 함유한 조 물질 (I)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2 내지 6배의 양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방법과는 별도로, 재결정화는 수분을 함유한 정제하고자 하는 퀴놀린카르복실산 (I)을 무기 염기와 함께 용해시키고, 알코올계 용매중에서 강하게 가열 및 교반한 다음, 용액을 약 20 내지 25 ℃로 서서히 냉각시키는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수행한다. 결정을 서서히 성장시켜서 최종 결정질 생성물을고 순도로 얻기 위해서는, 약 10 내지 20 ℃/시의 선형 냉각 구배가 바람직하다. 침전되는 결정질 퀴놀린카르복실산을 통상적인 방법, 예를 들면 여과 및 원심분리에 의해 분리 제거하고, 소량의 신선하고 가능한 빙냉 용매를 사용하여 모액으로부터 표면 오염되지 않도록 연속적으로 세척할 수 있다. 특히 유용한 실시 태양은 정제하고자 하는 조 물질 (I)을 100 ℃ 이상의 온도에서 용해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 온도 미만의 비점을 갖는 용매를 사용할 경우, 약 2.96 내지 3.95 atm(3 또는 4 바아)의 용액의 자생압하에 밀폐된 용기내에서 공정을 수행한다. 이 방법은 용매로서 2-메톡시-2-프로판올을 사용하는 경우 특히 적당하다. 이 경우, 조 물질을 130 내지 170 ℃의 온도에서 용해시키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방법을 정의에 부합되는 모든 퀴놀린카르복실산 (I), 특히 X가 수소; 할로겐, 바람직하게는 불소, 염소 및 브롬, 특히 염소: 또는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s-부틸 및 t-부틸과 같은 C1-C4알킬, 바람직하게는 메틸인 화합물에 성공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조 물질내의 불필요한 불순물은 출발 물질로 사용되는 8-메틸퀴놀린카르복실산의 고리계 및 메틸기상의 염소화 및 이들 화합물의 퀴놀린-8-카르복실산으로의 연속적 산화 둘다에 부산물이 형성된 것에 주로 기인한다.
정제하고자 하는 7-클로로퀴놀린-8-카르복실산의 제조에 기인된 수분 함량은 일반적으로 1 내지 50 %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고 수율로 정제되는 7-클로로퀴놀린-8-카르복실산은 예를 들면, 농작물 보호제로서 사용된다.
실시예
각 경우, 400 g의 1-메톡시-2-프로판올 중의 수분을 함유한, 순수하지 않은 7-클로로퀴놀린-8-카르복실산 (I) (조 생성물) 100 g의 현탁액을 50% 농도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1 g과 함께 혼합하고, 밀폐된 장치내에서 150 ℃로 가열하여 약 3.06 atm(3.1 바아)의 승압을 얻었다. 카르복실산을 완전히 용해시킨 후, 약 25 ℃로 약 7시간 동안 냉각시키고, 이어서 결정화된 생성물을 여과 제거하였다. 이어서. 이것을 100 ㎖의 용매로 세척하고, 건조시켰다.
비교를 위하여, 염기를 첨가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조건하에 재결정화를 반복하였다.
재결정된 생성물의 순도는 각 경우에 약 97 내지 98 %이었다.
하기 표는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을 첨가할 경우, 다양한 수분 및 불순물 함량을 갖는 퀴놀린 카르복실산 (I)(= 조 생성물(CP))로부터의 목적 생성물의 손실이 훨씬 더 적다는 것을 나타낸다. 표에서 W는 조 생성물(CP)의 수분 함량이며, DP는 수분을 함유하지 않은 건조된 조 생성물이고, I/DP는 (수분을 함유하지 않은) 건조된 조 생성물(DP) 중 퀴놀린카르복실산 (I)의 비율을 의미한다.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첨가한 경우와 첨가하지 않은 경우의 1-메톡시-2-프로판올에 의한 재결정시의 퀴놀린카르복실산 (I)의 손실률

Claims (5)

  1. 물과 혼화성인 저급 알코올로부터 재결정화시킴으로써 일반식(I)의 7-클로로퀴놀린-8-카르복실산을 정제하는 방법에 있어서, 재결정을 소량의 염기 존재하에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식 중, X는 수소, 할로겐, 또는 저급 알킬기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수산화물을 염기로서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1-메톡시-2-프로판올을 용매로서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재결정화하고자 하는 퀴놀린카르복실산을 계의 자생압하에 130 내지 170 ℃에서 용해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정제하고자 하는 7-클로로-8-퀴놀린카르복실산을 기준으로 0.1 내지 1 중량%의 염기를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20701839A 1990-02-03 1991-01-25 7-클로로퀴놀린-8-카르복실산의정제방법 KR1003255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P4003174.8 1990-02-03
DE4003174A DE4003174A1 (de) 1990-02-03 1990-02-03 Verfahren zur reinigung von 7-chlor-chinolin-8-carbonsaeuren
PCT/EP1991/000143 WO1991011436A1 (de) 1990-02-03 1991-01-25 Verfahren zur reinigung von 7-chlor-chinolin-8-carbonsäur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7003535A KR927003535A (ko) 1992-12-18
KR100325558B1 true KR100325558B1 (ko) 2002-08-14

Family

ID=6399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701839A KR100325558B1 (ko) 1990-02-03 1991-01-25 7-클로로퀴놀린-8-카르복실산의정제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5310915A (ko)
EP (1) EP0513056B1 (ko)
JP (1) JP2957273B2 (ko)
KR (1) KR100325558B1 (ko)
AT (1) ATE130852T1 (ko)
CA (1) CA2068429C (ko)
DE (2) DE4003174A1 (ko)
DK (1) DK0513056T3 (ko)
ES (1) ES2080294T3 (ko)
GR (1) GR3018488T3 (ko)
WO (1) WO19910114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96042A (zh) * 2012-06-13 2012-11-28 江苏绿利来股份有限公司 一种催化氧化合成二氯喹啉酸的方法
CN102796043B (zh) * 2012-06-13 2014-08-27 江苏绿利来股份有限公司 一种二氯喹啉酸盐的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108873A1 (de) * 1981-03-09 1982-09-16 Basf Ag, 6700 Ludwigshafen Dichlorchinolinderivate, ihre herstellung, ihre verwendung als herbizide und mittel dafuer
DE3202736A1 (de) * 1982-01-28 1983-08-04 Basf Ag, 6700 Ludwigshafen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chinolinmonocarbonsaeuren
US4497651A (en) * 1982-02-17 1985-02-05 Basf Aktiengesellschaft Dichloroquinoline derivatives for use as herbicides
DE3703113A1 (de) * 1987-02-03 1988-08-11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ubstituierten 3-alkyl-chinolin-8-carbonsaeuren
DE3870943D1 (de) * 1987-03-03 1992-06-17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7-chlor-chinolin-8-carbonsaeur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4003174A1 (de) 1991-08-08
EP0513056A1 (de) 1992-11-19
ATE130852T1 (de) 1995-12-15
JP2957273B2 (ja) 1999-10-04
CA2068429A1 (en) 1991-08-04
DE59106994D1 (de) 1996-01-11
KR927003535A (ko) 1992-12-18
EP0513056B1 (de) 1995-11-29
US5310915A (en) 1994-05-10
JPH05503932A (ja) 1993-06-24
ES2080294T3 (es) 1996-02-01
WO1991011436A1 (de) 1991-08-08
GR3018488T3 (en) 1996-03-31
DK0513056T3 (da) 1995-12-27
CA2068429C (en) 2002-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9216B1 (ko) 퀴놀린 유도체의 제조 방법
KR20010005907A (ko) 세프디니르의 결정성 아민 염
JPH02191255A (ja) トラセミドの安定な変態の製法
EP0208948B1 (en) A method for optical resolution of phenylacetic acid derivative
KR100325558B1 (ko) 7-클로로퀴놀린-8-카르복실산의정제방법
US4284797A (en) Process for separating mixtures of 3- and 4-nitrophthalic acid
JP2004521875A5 (ko)
JPH03240793A (ja) アンフォテリシンbの精製方法および組成物
US3983162A (en) Optical resolution of alkyl esters of DL-phenylalanine
US4264500A (en) Process of making 6-chloro-α-methyl-carbazole-2-acetic acid
MXPA02005330A (es) Procedimiento para la preparacion de hidrocloruro de epinastina en la modificacion cristalina de alto punto de fusion.
JP2005060302A (ja) N−メタクリロイル−4−シアノ−3−トリフルオロメチルアニリンの製造方法および安定化方法
JP4397990B2 (ja) 3−アルキルフラバノノール誘導体の精製法
JP2572563B2 (ja) セファロスポリン中間生成物の新規安定な結晶形
JPH0219365A (ja) ジスルフィド型サイアミン誘導体の無機酸塩の製造法
DE2532308C3 (de) Verfahren zur Abtrennung von Serotonin aus Kaffeewachs
US4308383A (en) N-(3-(1'-3"-Oxapentamethyleneamino-ethylideneamino)-2,4,6-triiodobenzoyl)-β-amino-α-methylpropionitrile
US6008413A (en) Process for recrystallizing 1,3-bis(aminophenoxy benzene)
CN114195761A (zh) 一种高纯度西他沙星3/2水合物的制备方法
JP2007521224A (ja) Rac−ビカルタミドの精製及び単離方法
KR810001695B1 (ko) 테레프탈산아미드 유도체의 제법
CN115594640A (zh) 一种二苯甲酰二硫化硫胺的精制方法
Hall 323. The attempted rearrangement of some arylbenziminoquinolyl ethers
KR101136960B1 (ko) 고순도 벤조티에핀 유도체의 정제방법
JPH029572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19981230

Effective date: 19990410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19991115

Effective date: 20010925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19990514

Effective date: 19991028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11022

Effective date: 20011116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04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