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2635B1 - 단일 생산 단계에서 단품중에 몸체부와 다리부를 구비한 편성가먼트를 생산하는 방법 및 기계 - Google Patents

단일 생산 단계에서 단품중에 몸체부와 다리부를 구비한 편성가먼트를 생산하는 방법 및 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2635B1
KR100322635B1 KR1019997004039A KR19997004039A KR100322635B1 KR 100322635 B1 KR100322635 B1 KR 100322635B1 KR 1019997004039 A KR1019997004039 A KR 1019997004039A KR 19997004039 A KR19997004039 A KR 19997004039A KR 100322635 B1 KR100322635 B1 KR 1003226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ight
bed
cylinder
yarns
cylind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4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3114A (ko
Inventor
콘티파올로
Original Assignee
그라씨 네리노
골든 레이디 에스. 피. 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IT96FI000262 external-priority patent/IT1286874B1/it
Priority claimed from IT97FI000177 external-priority patent/IT1294827B1/it
Application filed by 그라씨 네리노, 골든 레이디 에스. 피. 에이. filed Critical 그라씨 네리노
Publication of KR20000053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31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26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26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9/0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9/42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9/46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stockings, or portion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04B1/243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upper parts of panties; pan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06Sink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10Needle be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8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8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15/54Thread guides
    • D04B15/58Thread guides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s; Thread-chang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66Devices for determining or controlling patterns ; Programme-control arrangements
    • D04B15/68Devices for determining or controlling patterns ; Programme-control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knitting instruments used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66Devices for determining or controlling patterns ; Programme-control arrangements
    • D04B15/80Devices for determining or controlling patterns ; Programme-control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hread guides used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88Take-up or draw-off devices for knitting products
    • D04B15/92Take-up or draw-off devices for knitting products pneumatic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9/0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9/42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 Y02P70/62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related technologies for production or treatment of textile or flexible materials or products thereof, including footw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Outer Garments And Coats (AREA)
  • Corsets Or Brassieres (AREA)
  • Preliminary Treatment Of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편기는, 복수의 니들과 니들작동요소(1F, 3F, A1∼A8)를 가진 서로 평행하고 함께 인접한 직물형성용 실린더(1C, 3C)를 각각 지닌 2개의 측면유닛(1, 3)과; 상기 2개의 실린더(1C, 3C)사이의 중간위치에서, 그 자체의 니들과 해당 니들을 작동시키는 요소(17A, 17B, A9, A17)를 각각 지닌 서로 인접한 2개의 직선베드(11A, 11B)를 조합해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단일 생산 단계에서 단품중에 몸체부와 다리부를 구비한 편성가먼트를 생산하는 방법 및 기계{METHOD AND MACHINE FOR THE PRODUCTION OF KNITTED GARMENTS COMPRISING A BODY SECTION AND LEGS, IN A SINGLE PRODUCTION STAGE AND IN A SINGLE PIECE}
상기 유형의 편성가먼트를 생산하는 종래의 방법은, 우선 원형편기상에 번갈아 2개의 관형상 물품을 생산하는 공정과, 이어서 이들을 재봉기계로 보내어 재단해서 함께 재봉하는 공정과, 접합영역에서 완성된 가먼트의 몸체부나 팬티부를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이 수법은, 하나 이상의 기계를 통과한 반제품의 재료를 필요로 하고, 큰 비율의 노동을 포함하고, 지스러기를 발생시켜서 이미 편성되어진 실이 낭비된다고 하는 점에서 길고 번잡하다.
그러므로, 단일의 편성 작업에서 상기 유형의 타이츠 등의 물품을 편성하는 방식이 고안되었다. 이들 기술의 예는, 다음의 특허, 즉 미국특허공보 제 5,020,340호, 미국특허공보 제 5,127,240호, 미국특허공보 제 5,226,297호에 개시되어 있다. 더욱 최근의 생산방식이 WO 95/00689(PCT/IT94/00087), WO95/01473(PCT/IT94/00099)에 개시되어 있으나, 이들 방식은 매우 복잡하다.
본 발명은 예를 들면, 타이츠, 레깅스 및 이와 유사한 제품 등의 몸체부나 팬티부와 한쌍의 다리부를 구비한 가먼트를 생산하는 새로운 편성(編成)공정과 새로운 편성기계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 방법에 의해 생성된 제품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2개의 실린더의 축에서 취한 수직면상의 기계의 단면도
도 2는 도 1에 표시된 Ⅱ-Ⅱ에 따른 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도 1의 2개의 확대영역, 즉 직물형성영역과, 직선베드에 속하는 캐리지의 제어요소를 포함하는 영역의 확대도
도 4, 도 5 및 도 6은 도 3b에 표시된 Ⅳ-Ⅳ, V-V 및 Ⅵ-Ⅵ에 따른 부분횡단면도
도 7은 도 3b에 표시된 Ⅶ-Ⅶ에 따른 부분평면도
도 8은 기계의 급사구를 특히 가시화한 도 1에 표시된 Ⅷ-Ⅷ에 따른 횡단면도
도 9는 도 8의 부분확대도
도 10은 급사구, 2개 실린더의 원형 베드 및 2개의 중간직선베드를 표시하는 단순화된 평면도
도 11a∼도 11t는 몸체부가 다리부와 동일한 실을 사용해서 형성되는 하나의 가능한 작동방법에서 기계에 의해 작업된 연속단계를 표시하는 도면
도 12는 도 11a∼도 11t에 표시한 작업방법에 의해 형성된 몸체부용의 편성영역을 크게 확대해서 개략적으로 표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따라서 생성된 한 쌍의 타이츠를 도식적으로 표시한 도면
도 14a∼도 14f는 도 11a∼도 11t에 표시한 방법에서 실이 직선베드로부터 원형 베드로 통과하는 방식을 상세하게 표시한 도면
도 15는 편성의 완성시에 기계내의 물품의 구성을 도식적으로 표시한 도면
도 16a∼도 16p는 추가의 실이나 다리부와 다른 실을 사용해서 몸체부를 형성하는 다른 가능한 작동방법에서 기계에 의해 작업된 연속단계를 표시한 도면
도 17은 도 16a∼도 16p를 참조해서 기재한 작동방법에 따라서 형성된 몸체부용의 직물형성영역을 도식적으로 매우 확대한 도면
도 18은 급사구구동수단의 다른 실시예의 상세를 표시하는 도면
도 19a∼도 19e는 도 18에 표시한 실시예에서 급사구의 이동시의 5개의 연속단계를 표시한 도면
도 20은 도 18 및 도 19의 급사구를 제어하는 수단의 각도이동의 도표
도 21 및 도 22는 급사구제어수단에 의해 채택된 연속적인 각도위치를 표시한 도면
도 23은 이중기계용의 급사구의 하나의 구성을 표시하는 도면
도 24는 실린더의 축을 포함한 수직평면에서 기계의 실린더를 통한 개략적인 횡단면도
도 25는 직선베드의 요소를 표시하는, 도 24의 횡단면도의 평면에 대해 직각인 수직면상의 부분단면도
도 26은 도 25의 확대도
도 27은 급사구를 반송하는 체인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28은 도 27에 표시된 V-V에 따른 단면도
도 29는 급사구를 반송하는 체인의 확대도
도 30 및 도 31은 실린더싱커 및 이와 관련된 작동요소의 이동을 표시한 도면
도 32는 직선베드 위쪽영역의 해당 베드에 대해 직각인 수직면상의 단면도
도 32A는 도 32에 표시된 IXA-IXA에 따른 부분 단면도
도 33은 2개의 다른 실시예에서 몸체부의 형성을 위한 폐쇄통로둘레에 급사구와 캠을 이동시키는 하나의 방식을 표시한 도면
도 34는 직선베드와 원형 베드사이의 접합부의 확대도
도 35는 실을 직선베드에서 원형 베드로 전달하는 기구의 확대도
도 36은 본 발명에 따른 기계에서 생산된 물품을 개략적으로 표시한 도면
도 37은 직선베드와 원형 베드사이의 통과시에 생성된 연결부를 표시한 도면
(도면부호의 설명)
1, 3, 501, 503: 작동용 측면유닛
1C, 3C, 501C, 503C: 직물형성용 실린더
1F, 3F, 501F, 503F: 캠박스(작동부재) 5, 505: 니들
11A, 11B, 511A, 511B: 니들베드 13, 513: 안내니들
17A, 17B, 517A, 517B: 캐리지 21, 22: 모터구동수단
77, 79: 관(관형상 요소) 77F, 79F: 세로방향 슬롯
121, 123: 캐리어 127: 원통형 봉(안내수단)
135, 137, 139, 141: 액추에이터 156, 157: 안내부
201∼207: 빔 501A, 503A: 싱커용 링
512: 트릭 513: 니들
563: 트릭 565: 로드
567: 로커암 581: 싱커
587: 중간로커암 589: 캠수단
593: 회전부재 601, 601A, 601B: 급사구
603: 체인(가요성 요소) 611: 액추에이터수단
621A: 피벗흡인관 641: 레버(실푸싱요소)
A1∼A8, A9, A9', A9', A14, A14', A14': 공급부B1, B2: 측선C: 몸체부 B3, B5, B6: 연결선
C1, C2, C3, C4: 측면부분 C5, C6: 중심부분
G1∼G8, G10∼G13: 급사구
F1, F2: 실
L1, L2: 다리부
발명의 목적
본 발명의 목적은 단일생산작업에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접합된 2개의 다리부를 구비한 편성된 가먼트의 생산방법과 그 기계를 제공하는 것이고, 상기 방법과 기계는 지금까지 알려진 방법과 기계보다 더 간단하고 더 신뢰성 있고 작동하기 용이하다.
특히,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신속하고 신뢰성 있고, 만족스러운 외관의 물품을 형성하는 상기 형태의 생산방법과 기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완성되었거나 거의 완성된 물품(다리부와 몸체부를 구비함)을 생산할 수 있고, 낮은 관성을 가진 상대적으로 소수의 이동부품을 가진 직물편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매우 강한 상기 언급한 형태의 물품을 생산하는 방법과 기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목적은 별도의 단계에서 마감할 필요가 없는 이미 마감된 다리부의 발가락부분을 가진 타이츠나 그 유사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기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다른 목적은 어떠한 방해없이 동일한 실로 다리부와 몸체부의 양쪽을 형성해서 이루어진 물품을 생산할 수 있는 편성방법과 편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들과 다른 목적, 효과는 다음의 내용을 판독하면 이 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해 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아래의 단계를 구비한 단일의 미차단동작에서 한쌍의 다리부와 몸체부로 이루어진 완전한 가먼트나 물품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a) 서로서로의 옆에 배치된 니들(needle)을 가진 2개의 양말류 실린더상에서 다리부의 하단부에서 시작해서 동시에 평행하게 가먼트의 2개의 다리부를 생산하는 단계 및
b) 상기 실린더 사이에 삽입된 2개의 직선베드상에 몸체부마감영역을 생성하고, 니들의 직선베드와 실린더의 결합작용에 의해서 상기 몸체부를 완성하는 단계.
이 작업의 제 2단계에서는 제 1단계에서 이미 채용된 실을 계속 사용해도 되고, 또는 작업자의 선택에 따라, 이들 실 대신에 다른 실로 교체해도 된다.
이 방법은, 직선편기의 요소 특성을 가진 2개의 원형(또는 원통형) 양말류기계의 요소특성을 원래 조합해서 사용함으로써 실현되고, 그중 제 1은 초기에는 그 자체로 가동하고, 이어서는, 제 2의 작용과 협동·조합해서, 가동한다.
이것의 이점은 명확하고; 방해없이 작업의 도중에 다른 성질의 다른 실과 주어진 성질의 실을 교체하는 가능성(예를 들면, 다리부의 재료와는 다른 재료로 팬티부를 구성하거나 거싯(gusset)을 만들기 위해); 지스러기의 제거; 및 불만족스러운 솔기의 제거를 포함해서, 더 편하게 착용할 수 있는 가먼트를 만들고 그 외관을 개선하는 것이다.
본질적으로 상기 언급한 공정을 실행하는 기계는, 측면에서 각각 복수의 니들과 니들작동요소를 지닌 함께 평행하게 인접한 2개의 편성실린더와; 상기 2개의 실린더 사이의 중간위치에서 각각 니들과 니들작동요소를 지닌 서로 인접한 2개의 직선직물형성용 베드를 조합해서 구비한다.
공지의 방법에서와 같이, 회전중인 실린더는 발끝에서 시작해서 가먼트의 2개의 다리부를 형성하는 한편, 직선베드는 일시적으로 미작동상태에 있다. 일단 다리부가 완성되면, 실린더가 회전을 정지하고, 그 대신에, 니들의 작동요소가 회전하기 시작하고, 기계의 작동을 방해할 필요가 없이, 2개의 직선베드는 교차니들에 공급된 하나이상의 실을 사용해서 크로치를 마감하고, 바로 그 직후에, 직선베드의 니들작동요소의 왕복운동과 실린더의 니들작동요소의 왕복운동에 의해서 적절한 연결에 의해 함께 결합된 직물의 복수영역으로부터 몸체부가 형성된다. 이 단계동안, 직선베드는 몸체부의 중심이나 중간영역을 생산하는 한편, 2개의 실린더의 원형 베드상에서 측면영역이 편성된다.
직선베드는 평행면에 배치될 수 있고, 그 경우에 크로치의 마감부는 그 자체로서 알려진 기술에서와 같이 만곡된 니들을 사용해서 생성될 수 있다. 하지만, 부분적으로 공간의 이유 때문에, 매우 유익한 실시예에서는 베드가 아랫쪽으로 지향하는 'V'자 모양의 정점을 가진 'V'자 형태로 경사져 있다.
각 실린더는 상기 실린더에 의해 운반된 니들의 베드둘레를 이동할 수 있는 복수의 급사구(給絲口)를 가진다. 이 급사구는 실린더니들작동요소와 독립적이므로, 물품생성사이클동안, 각종 공정을 실행할 수 있다.
실제 적용에서는
-직선베드에는, 실린더의 원형 니들베드로 공급되는 다리부의 편성에 사용된 실이 공급되고, 이 경우에 실린더에 속하는 급사구중 적어도 일부는 직선베드를 따라서 이동할 수도 있다.
-또는, 각 직선베드는 해당 직선베드의 니들작동요소의 이동과는 독립적으로 그 둘레를 따라서 주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여분의 급사구를 가진다.
본 발명의 특히 유익한 실시예에 있어서, 각 실린더에 대해서는, 해당 실린더와 동축이고 그 상부에 위치한 관이 있고, 그 관의 하단부에는 직선베드와 대면하는 세로방향 슬롯을 지니고 있다. 가먼트의 몸체부를 형성하는 동안, 가먼트의 다리부는 상기 2개의 관내로 위쪽을 향해서 공기에 의해 흡인되어 다리부가 순차적으로 점차 형성된다. 또한, 보충적인 점으로서, 윗쪽으로의 공기흡인은 2개의 직선베드 사이에도 제공된다. 각 관의 하부림(rim)은, 스티치의 형성시 해당 스티치를 정확하게 안내하는 동시에 몸체부의 형성단계에서 니들로부터 물러나기 전에 위쪽으로 상승하지 않는 것을 보증하기 위해, 직물이 실린더상에 형성되는 영역과 거의 같은 수준으로 위치결정되므로, 물품이 아랫쪽보다는 오히려 윗쪽으로 뻗게 된다.
직물형성요소의 구동을 위해서, 일실시예에서는, 양 실린더에 대해서 또는 그들의 니들작동요소에 대해서 운동을 부여하는 제 1모터구동장치와, 직선베드의 니들작동요소에 대해서 운동을 부여하는 제 2모터구동장치를 구비하는 것이 유리하다. 하지만, 니들작동캠의 각 군과 각 실린더에 대해서 독립적인 모터구동장치를 가지는 것도 완전히 가능하다. 예를 들면, 2개의 모터를 설치해서 실린더를 회전시켜도 되고(또는 동일한 목적을 위하여 어떤 적절한 구동결합을 가진 1개의 모터를 설치해도 됨), 하나 또는 2개의 모터를 설치해서 실린더에 속하는 캠박스를 회전시키고, 하나 또는 2개의 모터를 설치해서 캐리지를 작동시키거나, 직선베드의 작동캠을 반송하도록 해도 된다.
적절한 구성으로 단일의 중앙식 모터 구동장치를 소망에 따라 사용할 수 있다.
가먼트의 다리부가 발모양부를 갖기를 원한다면, 예를 들면, WO 95/31595; WO 95/34702; PCT/IT96/00102(1995년 5월 24일자의 이탈리아공화국 특허출원 I95A000116에 의함); PCT/IT96/00139(1995년 7월 14일자의 이탈리아공화국 특허출원 FI95A000165에 의함)에 개시된 것을 포함하는 공지의 방법중 하나에 의해서 미리 폐쇄된 발모양부의 발가락부를 가진 다리부를 형성함으로써, 발모양부의 제작작업과 가먼트의 나머지부분을 구성하는 후속의 단계사이에 중단없이 또한 솔기없이 행할 수 있다. 이들 문헌의 내용은 본 명세서에도 편입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이 기계는 2개의 측면유닛과 중간직선베드와의 조합과, 몸체부를 형성하는 동안, 상기 2개의 실린더와 상기 2개의 직선베드에 의해서 규정된 폐쇄통로 둘레의 하나이상의 급사구를 제어하는 수단을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상기 폐쇄통로둘레에 항상 동일 방향으로 급사구를 이동시킴으로써, 이들의 움직임을 역전시키는 일없이 몸체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왕복운동이나 부분왕복운동 및 부분연속운동에 의해서 2개이상의 급사구를 상기 폐쇄통로둘레로 이동시킴으로써 몸체부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급사구가 상기 통로둘레의 왕복운동에 의해서 구동되면, 1개의 급사구는 2개의 실린더와 1개의 직선베드에 대해서 2개의 반원을 형성하는 상기 통로의 일단면 둘레에 유익하게 사용된다.
폐쇄통로둘레의 급사구의 이동은, 몸체부를 생산하는 단계의 전체나 일부에 대해 연속운동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기계, 방법, 물품의 실시예와 다른 특징은, 본 발명의 기계의 가능한 실시예의 비제한적인 예를 표시하는 상세한 설명과 본 명세서에 포함된 청구범위에 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발명의 실질적으로 비제한적인 실시예를 표시하는 첨부도면과 상세한 설명을 정독함으로써 더욱 명백하게 이해될 것이다.
(기계적인 구조)
개략적인 면에서, 이 기계는 2개의 작동용 측면유닛(1), (3)으로 이루어지고, 각각은 도 8에 표시한 바와 같이 니들(5)이 미끄럼이동할 수 있는 트릭을 가진 대체로 종래형의 직물형성용 실린더(1C), (3C)를 구비한다. 또, 도 8에 있어서, (7)은 잭이고, (1F) 및 (3F)는 잭(7)과 니들(5)을 작동시키는 캠이 설치된 2개의 실린더(1C), (3C)의 캠박스이다.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지는 바와 같이, 각 실린더의 캠박스는, 4개의 공급부 즉, 4군의 니들작동캠을 지닌다. 이들 공급부군은 도 11의 (A1)∼(A8)에 개략적으로 표시되고, 이후에 참조될 것이다.
각 실린더(1C), (3C)는 싱커용 링(1A), (3A)을 가진다. 2개의 작동용 측면유닛(1), (3)의 각각은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양말과 스타킹을 제조하는 일반적인 원형편기의 기능과 유사한 기능을 행한다.
2개의 작동용 측면유닛(1), (3) 사이에는 잭(15)과 안내니들(13)을 수용해서 안내하기 위한 트릭을 각각 가진(도 8 참조) 2개의 짧은 경사니들베드(11A), (11B)(도 2 참조)로 이루어진 중간유닛(11)이 있다. 각 베드(11A), (11B)에는, 전자셀렉터에 끼워맞추어져 있는 동시에 해당 베드를 따라서 직선왕복운동을 행하여, 잭과 니들용의 작동캠을 운반하는 캐리지(17A), (17B)가 있다. 2개의 직선베드(11A), (11B)는 하부에 정점이 있는 좁은 V자 형상을 가지고, 실린더(1C), (3C)의 축을 포함하는 면에 대해서 대칭으로 배열되어 있다.
도 2 및 도 8에 표시된 바와 같이, 중간유닛(11)은 실제로 거꾸로 된 짧은 직선기계로, 2개의 베드가 서로 접근하는 직물형성영역에서 편직물이 생성되어, 해당 직물형성영역의 위쪽인 상기 베드사이에 규정된 중간용적(V)내에서 성장한다.
이하, 더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2개의 측면유닛(1), (3)은 물품의 다리부를 동시에 형성하고, 또, 해당 측면유닛은, 중간유닛(11)과 조합해서 몸체부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3개의 유닛(1), (3), (11)은 중앙집중식 모터구동장치나 다수의 독립모터구동장치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실린더용 및 직선베드용의 2개의 모터구동장치(21), (22)에 의해서 각각 구동된다.
모터구동장치(21)의 출력축(23)에는 커플링(24) 및 라인부(26)를 개재해서 전달축(25)이 연결되어 있고, 이하 언급되는 목적을 위해 2중화살표(f25)로 표시된 축이동도 가능하다. 이 이동은 (27)로 개략적으로 표시된 포크나 다른 제어요소에 의해서 행해진다. 전달축(25)에는 2개의 기어(29), (31)가 고정되어 있고, 기계가 그 사이클의 어떤 단계에 있는 지에 따라서 실린더(1C), (3C)나 캠박스(1F), (3F)에 이동을 전달하도록 한다.
기어(29)는, 도 1에 표시된 위치에서, 베어링(35), (37)에 지지된 링기어(33)와 맞물려 있고, 그 상단부는 캠박스(1F)에 체결됨과 동시에 실린더(1C)에 연결된 링(1A)에 위치한 싱커작동캠에 체결되어 있다. 링기어(33)는 베어링(41), (43)에 지지된 제 2링기어(39)와 직접 맞물려 있고, 실린더(3C)에 연결된 싱커작동캠과 캠박스(3F)의 이동을 제어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기어(29)가 링기어(33)와 맞물려 있으면, 캠박스(1F), (3F)는 동시에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것이다.
제 2모터구동장치(22)는 구동축(47)을 구동하고, 전달축(53)에 고정된 링기어(51)와 걸어맞춤하는 피니언(48)에 고정되어 있다. 전달축(53)의 상단부에는 실린더(1C), (3C)의 축을 포함하는 평면에 대해서 평행한 안내부(63)를 따라서 이동하는 미끄럼부(61)에 형성된 슬롯(59)(도 4 및 도 7 참조)에 삽입된 편심롤러(57)를 운반하는 디스크(55)가 고정되어 있다.
미끄럼부(61)는, 안내부(64A), (64B)를 따라서 주행하는 한쌍의 슬라이딩슈즈(63A), (63B)에 이음부(62A), (62B)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또, 중간유닛(11)의 잭작동캠과 니들을 운반하는 캐리지(17A), (17B)에 고정되어 있다.
몸체부를 형성하는 동안, 기어(29)는 링기어(33)와 걸어맞춤하고, 전달축(25)의 회전은 캠박스(1F), (3F)의 회전이동을 반대방향으로 발생시키는 한편, 2개의 실린더(1C), (3C)는 정지상태로 되어, 기어(31)는 맞물리지 않는다. 이런 구성에서 모터구동장치(21)는, 이후 더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이유때문에, 다른 방향으로 회전해서 캠박스(1F), (3F)를 요동시킨다. 동시에 모터구동장치(22)의 회전에 의해 캐리지(17A), (17B)가 다른 방향으로 작동한다.
다리부형성을 위한 다른 가능한 작동구성에서, 전달축(25)은 기어(29)가 링기어(33)와 맞물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 도 1에 표시한 위치에서 축방향으로 아래쪽으로 변위되는 한편, 기어(31)는 제 1측면유닛(1)의 실린더(1C)와 일체인 링기어(71)와 맞물려 있다. 링기어(71)의 회전이동은 중간아이들휠(도시생략)을 개재해서 링기어(71)와 동일하고 실린더(3C)에 고정된 링기어(73)에 전달된다. 그러므로, 이런 구성에서는, 전달축(25)의 회전이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양 실린더(1C), (3C)에 전달되는 한편, 캠박스(1F), (3F)는 정지상태로 된다. 또, 모터구동장치(22)는 맞물리지 않게 되므로, 캐리지(17A), (17B)가 정지상태로 된다.
실린더(1C), (3C)와 동축인 2개의 관(77), (79)을 가진 구조체(75)는 기계의 상부를 향해서 놓여 있고, 각각의 관은 밑바닥부(77A), (79A)를 가진, 중간유닛(11)에 대면하는 면쪽에 세로방향 슬롯(77F), (79F)을 지니고 있다. 이하 설명되는 바와 같이, 상기 2개의 관은 기계동작의 각종 위상에 따라서 형성될 때 정확한 위치에 물품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들 2개의 관(77), (79)은 액추에이터(81)에 의해서 2중화살표(f77)로 표시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 자체로서 공지된 형태의 수단(85)은, 형성된 의복의 길이를 조정하기 위해서, 실린더(1C), (3C)의 위치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조정하기 위해 실린더 아랫쪽에 설치되어 있다. 조정의 방법 및 목적은 이 분야의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으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2개의 직선베드(11A), (11B)는 물품의 두꺼운 부분이 그 사이를 통과할 수 있도록 그 사이에 형성된 각도를 변경하기 위해 약간 요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이 목적을 위해, 도 4, 도 5 및 도 6 각각에 표시한 바와 같이, 각 베드(11A), (11B)는 각각의 횡부재(91A), (91B)와 일체이고, 이들 횡부재는, 대응하는 안내부(64A), (64B)와 일체이다. 양 횡부재(91A), (91B)는 2개의 측벽(101), (103)의 외부에 (97A), (97B), (99A) 및 (99B)에서 힌지된 각 쌍의 플레이트(93A), (95A) 및 (93B), (95B)에 의해서 각 단부에서 지지되어 있다. 또한, 링크(105A), (105B), (107A), (107B)가 (104A), (104B) 및 (106A), (106B)에서 각 플레이트(93A), (93B), (95A), (95B)에 힌지되어 있다. 상기 각 링크는 편심기(링크(105A), (105B)용 (109A), (109B))에 순차적으로 장착되어 있고, 편심기는 베드(11A), (11B)에 대해서 평행하게 주행하는 축(111A), (111B)에 고정되어 있다. 그들의 각 축에 대한 반대방향으로 2개의 축(111A), (111B)의 요동(도시생략된 액추에이터에 의해 발생됨)에 의해서 힌지(97A), (99A), (97B), (99B)에 대한 베드(11A), (11B)의 대응하는 요동을 발생시킨다.
이하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지금까지 설명한 기계는 몸체부분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에 따라서 다수의 급사구에 의해 작업한다. 이하, 이 기계에 구비된 모든 급사구를 설명하나, 단, 채용한 동작모드에 따라서 그중 일부를 생략하거나 미가동으로 해도 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실시예의 예에서 예시된 기계는, 각 실린더(1C), (3C)에 대해 4개의 공급부를 가지며, 결과적으로 실린더당 4개의 급사구를 가진다. 또, 4개의 급사구가 직선베드(11A), (11B)에 설치되어 있다. 이들 후자의 급사구는, 물품의 다리부를 형성할 때 사용한 것과 동일한 실로 몸체부분을 형성하는 방법을 채택할 때에는 생략할 수 있다. 12개의 급사구는 각각 이동가능하고 공급부와는 독립적이다.
우선, 2개의 실린더(1C), (3C)에 소용되는 8개의 급사구에 대해 설명한다. 이들 급사구는 실린더(1C)에 대해서는 (G1), (G2), (G3), (G4)로 표시되고, 실린더(3C)에 대해서는 (G5), (G6), (G7), (G8)로 표시된다. 단, 도 10에서 급사구는, 휴지위치나 제한위치에 표시되거나 2개로 중첩되어 있다. 또, 도 8에서는, 이후에 명백하게 되는 바와 같이, 원형 베드둘레에서의 급사구의 이동시에 가정된 퇴출위치에 표시되어 있다.
(G10), (G11), (G12), (G13)은, 직선베드(11A), (11B)용의 급사구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급사구(G10), (G11)는 베드(11B)와 관련되어 있고, 급사구(G12), (G13)는 베드(11A)와 관련되어 있다. 도 10에서 이들 최종의 4개의 급사구는 각 베드의 단부에서 휴지위치나 제한위치에 있다.
각 급사구(G1)∼(G8)는 자체의 캐리어에 의해서 반송된다. 아랫쪽 급사구(G2), (G4), (G6), (G8)는 캐리어(121)에 의해서 반송되는 한편, 윗쪽 급사구(G1), (G3), (G5), (G7)는 캐리어(123)에 의해서 반송된다. 캐리어(121)는 이들에 평행하게 장착된 랙(rack)(126)을 가진 각 쌍의 원통형 봉으로 이루어진 안내부(125)를 따라서 주행한다. 이 캐리어(123)는 이들에 수평으로 장착된 랙(129)을 가진 마찬가지의 원통형 봉(127)으로 이루어진 안내부를 따라서 주행한다. 각 안내부를 따른 각 캐리어(121), (123)의 이동, 즉 급사구의 이동은 각 캐리어에 장착된 액추에이터에 의해서 행해져서, 랙(126), (129)과 맞물린 각 피니언을 작동시킨다. 캐리어(121)에 연결된 피니언은 (131)로 표시되고, 캐리어(123)에 연결된 피니언은 (133)으로 표시되는 한편, 액추에이터는 각각 (135), (137)로 표시되어 있다. 그러므로, 이들은 실린더(1C), (3C)의 축을 포함하는 평면에 평행하고 이들 축에 수직인 급사구의 이동을 발생시킨다.
또한, 각 캐리어(121), (123)에는, 해당 급사구의 이동을, 액추에이터(135), (137)에 의해 발생된 이동의 방향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또 실린더(1C), (3C)의 축에 수직으로 제어하는 제 2액추에이터(139), (141)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이동은, 각 캐리어(121), (123)에 지지된 너트에 끼워맞추어진 나삿니를 지닌 각 봉(143), (145)을 회전시킴으로써 발생된다. 이 봉의 자유단은 관련된 급사구의 지지부(151), (153)에 장착된 도브테일(dovetail)형 안내부(147), (149)에 연결되어 있다. 액추에이터(135), (137) 및 (139), (141)에 의해 부여된 이동의 조합은 각 급사구가 반원둘레의 실린더(1C), (3C)의 각 원형 베드를 따르도록 한다.
급사구(G10)∼(G13)는 동일한 방식으로 장착되어 있지만 각 베드(11A), (11B)에 평행한 직선통로를 따라서 왕복이동을 행한다. 그들은 안내부(156), (157)를 따라서 주행하는 캐리어(154), (155)에 의해서 반송된다. 안내부를 따른 그들의 병진이동은 함께 맞물린 피니언(162), (163)과 랙(159), (161)의 시스템에 의해서 발생된다. (165), (167)은 피니언(162), (163)을 회전시키는 액추에이터이다.
이 기계에는, 작업영역에 대해 횡방향으로 위치된 급사구의 4개의 매거진(magazine)(171), (172), (173), (174)이 설치되어 있어, 공작기계에서 공구의 자동교환을 위해 사용하는 것과 유사한 자동시스템에 의해서 작업용 급사구의 교환을 가능하게 한다. 도브테일형 연결부(147), (149)는 보다 용이한 교환을 허용한다.
직물형성방법
이와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의 기계의 구성요소는, 비록 본 발명에 의거한 원리를 따른 동일한 기계에서 다른 직물형성공정을 실행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지만, 이하, 2개의 작동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작동사이클의 제 1단계동안, 물품의 2개의 다리부는 실린더(1C), (3C)가 연속적으로 회전하는 종래의 방법에 의해서 생성된다. 2개의 다리부는, 도입부에 언급한 공보에 개시된 본 설명의 필수부분을 형성하는 장치중 하나를 채용해서 마감된 발가락부에서 시작해도 된다. 다음에, 이 공정의 제 2단계에 있어서, 실린더(1C), (3C)상의 니들의 원형 베드는 직선베드(11A), (11B)와 조합해서 작업하여 물품의 몸체부를 생성한다. 이 단계동안에 생산공정은 각종 다른 방법을 따를 수도 있다.
도 11a∼도 11t는 제 1작업방법을 따를 때의 직물형성요소의 이동을 개략적으로 표시한 도면이다.
도 11a는 각 요소의 이동에 대한 설명에서 편의상 초기순간으로 용이하게 취할 수 있는 제한위치를 표시한다. 직선베드(11A), (11B)는, 도입부에 언급한 종래기술로부터 그 자체가 기본적으로 공지된 방식으로, 니들을 교차시킴으로써 2개의 다리부사이의 몸체부의 하부인 소위 크로치(crotch)의 마감을 미리 행하는 것으로 상정한다.
도 11a는 실린더(1C)상에서 작업하는 급사구(G1), (G2), (G3), (G4)와 실린더(3C)상에서 작업하는 급사구(G5), (G6), (G7), (G8)를 표시한다. 이하 설명하는 바와 같이, 몸체부의 중심부는 급사구(G1), (G3), (G6), (G8)에 의해 분배된 실을 사용해서 만들어지므로, 이 경우에 사용하지 않는 급사구(G10)∼(G13)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A1), (A2), (A3), (A4)는 캠박스(1F)의 4개의 공급부, 즉 실린더(1C)의 니들의 승강을 제어하는 4군의 캠을 개략적으로 표시한다. (A5), (A6), (A7), (A8)은 마찬가지로 실린더(3C)에 관련된 캠박스(3F)의 공급부를 표시한다. (A9) 및 (A14)는 각각의 베드(11A), (11B)용의 캐리지(17A), (17B)에 의해 반송되는 공급부를 표시한다.
또한, 도 11a를 참조하면, 여기에 표시한 시점에서, 공급부(A1)∼(A9), (A14)는 후속 도면을 참조하면 명백해지는 바와 같이, 왕복통로인 그들의 통로의 초기위치에 있다. 작은 원으로 개략적으로 표시된 급사구(G1)∼(G8)는 마찬가지로 실린더(1C), (3C)의 축을 포함하는 중간평면(P-P)상의 각 베드에 인접해서 각 통로의 개시위치에 있다.
공지된 바와 같이, 관형상 물품을 편성(編成)할 때에는, 왼쪽 및 오른쪽으로 꼬인 실(즉, 연사)을 번갈아 사용해서 다른 코스를 형성한다. 이들 실은 통상 S연사 및 Z연사라 칭한다. 명확하게는, 도 11a에서는 각 급사구(G1)∼(G8)에 대해 괄호안에, 그 특정 급사구에 의해 공급된 실의 꼬임형태를 표시하고 있다. 또한, 기술상 혹은 구조상 특성이 다른 실, 예를 들면 '라이크라(lycra)', '나일론(Nylon)' 등을 반대로 꼬인 실대신에 사용할 수 있는 것은 공업적으로 공지되어 있다. 본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의 내용중에서 '특성이 다른 실의 쌍'이란 S꼬임과 Z꼬임을 교대로 택일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도 11b는 공급부(A1)∼(A8)의 이동개시, 따라서, 이들을 반송하는 캠박스(1F), (3F)의 이동개시를 표시한다. 이 단계에서, 캠박스(1F)가 공급부(A1)∼(A4)를 반송하는 경우에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화살표(f1)), 캠박스(3F)가 공급부(A5)∼(A8)를 반송하는 경우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화살표(f3)). 이 단계동안 공급부(A9), (A14)는 정지상태로 되고, 다른 공급부(A1)∼(A8)가 이동을 개시한다. 이들은 초기에 도 11a에 표시된 위치로부터 실린더(1C), (3C)의 축을 포함하는 평면(P-P)을 지나서 끝나는 비작동경로를 그린다. 이 위치에서, 대응하는 반원형 베드의 니들에서 작업을 개시하고, 그들의 이동을 급사구가 따르게 된다. 도 11b에서, 공급부(A1)는 반원형 베드(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은)의 하부둘레의 활동통로의 대략 2/3를 그리는 한편, 승강된 니들이 공급부(A1)와 함께 중간평면(P-P)상의 위치로부터 이동되어진 급사구(G1)에 의해 실을 재공급한다. 급사구의 선단의 이동은 상기 언급한 각 급사구(G1)∼(G8)에 부여된 2중이동(평면(P-P)에 평행하고 수직임)의 결과로서 베드의 원형 라인을 따른다. 공급부(A2)는 급사구(G2)에 의해 수행된 활동경로의 대략 1/3을 그린다. 실린더의 상부 반원베드둘레에는 각각의 급사구(G3), (G4)와 함께 공급부(A3), (A4)가 통과한다. 실린더(3C)상의 상태는 이것의 거울상이고, 급사구(G5), (G6)를 가진 하부 반원베드에서 작동하는 공급부(A5), (A6)를 가지고, 급사구(G7), (G8)를 가진 공급부(A7), (A8)는 상부 반원베드둘레를 이동한다. 이러한 이동은 도 11d의 구성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되고, 여기에서 공급부(A3), (A8)는 그들 경로의 활동부를 완성하고, 급사구(G3), (G8)가 대략 중간평면(P-P)에 정지될 때 스티치를 형성함이 없이, 하부 반원베드둘레를 이동하기 시작한다. 또, 공급부(A1), (A6)는 마찬가지로 활동경로를 종료하고, 급사구(G1), (G6)가 대략 평면(P-P)에 정지될 때 스티치를 형성함이 없이 하부 반원베드둘레를 이동하기 시작한다. 실린더(1C)상의 공급부(A2), (A4)와 실린더(3C)상의 공급부(A5), (A7)는 여전히 각각의 절반베드둘레의 활동경로를 따른 중간위치에 있다.
이 지점에서, 각각의 공급부(A9), (A14)를 가진 캐리지(17A), (17B)는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이동을 행한다(도 11e 참조). 이 경로를 따라서, 공급부(A9)는 작동하지 않는 반면, 공급부(A14)는 도 11d의 위치로부터 도 11e의 위치로 직선베드를 따라서 이동하는 급사구(G8)에 의해서 공급된 실에 의해 직선베드를 따라서 제 1열의 스티치를 형성한다.
도 11e의 구성으로부터 도 11f의 구성으로의 연속통과시에, 캐리지(17A), (17B)에 의한 역이동은, 공급부(A9), (A14)를 그들의 초기위치로 복귀시킨다. 이 이동에서, 공급부(A9)는 작동하지 않는 반면, 공급부(A14)는 급사구(G3)에 의해 분배된 실에 의해서 베드(11B)를 따라서 제 2열의 스티치를 형성한다. 급사구(G3), (G8)의 실은 반대의 꼬임((G3)용 S와 (G8)용 Z)을 가지므로, 베드(11B)상의 2개의 연속적인 스티치열은 다른 꼬임의 연사로 형성된다. 도 11d∼도 11f에 표시된 2개의 이동에 의해 급사구(G3), (G8)의 실은 각각의 실린더(1C), (3C)의 원형 베드로부터 직선베드(11B)로 통과한다. 이것은, 각 급사구의 단부가 직선베드(11B)의 니들의 면을 거의 통과한 직선베드와 원형 베드와의 사이를 통과하는 것을 확실히 함으로써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도 11f에 표시된 위치에서, 공급부(A9), (A14)는, 공급부(A14)가 급사구(G8)에 의해 분배된 실로 베드(11B)를 따라서 스티치열을 형성하는 한편 공급부(A9)가 다시 비작동스트로크를 행하는 동안, 오른쪽에서 왼쪽으로의 비작동스트로크(도 11g)에 이어, 또, 왼쪽에서 오른쪽으로의 스트로크(도 11h에 표시된 최종위치에서 종료)를 행한다. 다음의 오른쪽에서 왼쪽으로의 스트로크(도 11h에서 도 11i로의 이동)에서, 급사구(G3)는 실린더(3C)로부터 실린더(1C)로 공급부(A14)를 따르게 되어 공급부(A9)가 비작동상태로 유지되면서 베드(11B)를 따라서 스티치열을 형성한다.
그러므로, 도 11d에서 도 11i까지 이르는 연속스텝에 있어서, 급사구(G3), (G8)에 의해 분배된 실을 사용해서 직선베드(11B)상에 4개 코스의 스티치가 형성된다.
도 11i에서 도 11j까지의 경로에 의해서 실린더(1C)둘레의 공급부(A2), (A4) 및 실린더(3C)둘레의 공급부(A5), (A7)의 작동경로를 완성하고, 각 급사구는 도 11a의 초기위치에 정반대로 대응하는 위치에 도달한다.
이 지점에서는, 캠박스(1F), (3F), 따라서, 그들의 공급부(A1)∼(A8)의 반대이동이 있고, 공급부(A1)∼(A4)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개시하고, 공급부(A5)∼(A8)는 각 실린더에 대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도 11k에 있어서, 공급부(A2)는 급사구(G1)에 의해 분배된 실을 사용해서 실린더(1C)의 하부절반베드에 스티치를 형성하기 시작하고, 공급부(A4)는 상부절반베드에 스티치를 형성하기 시작한다. 공급부(A1), (A3)는 작동경로가 개시하는 위치로부터 평면(P-P)에 도달한다. 실린더(3C)상의 상태는 이것의 거울상이고, 공급부(A5)는 하부절반베드상에 급사구(G6)에 의해 분배된 실로 스티치를 형성하기 시작하고, 공급부(A7)는 급사구(G8)에 의해 분배된 실을 사용해서 상부절반베드상에 스티치의 경로를 형성하기 시작한다. 공급부(A6), (A8)는 평면(P-P)을 통과하는 순간에서부터 스티치를 형성하기 위해 비작동스토크를 완성한다.
도 11l에서, 8개의 공급부(A1)∼(A8)는 그들의 각 베드에서 작동한다. 이것은, 각 절반베드에서 Z연사 및 S연사로 코스가 교대로 형성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실이 분배되어 있는 것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11m에서, 실린더(1C)상에는, 공급부(A4), (A2)가 실제 작동스트로크의 단부를 너머서 통과하고, 각각의 급사구(G3), (G1)는 중간평면상에 거의 고정되어 있고, 실린더(3C)상에는, 다음의 도 11n에서 표시된 바와 같이, 급사구(G8), (G6)가 중간평면에 잔류하는 단부에서 공급부(A7), (A5)가 작동스트로크를 종료한다.
도 11m에서 도 11n까지의 통과시에는 공급부(A9), (A14)의 왼쪽에서 오른쪽으로의 이동이 있다. 이 때, 공급부(A14)는 비작동스트로크를 행하는 한편, 공급부(A9)는 실린더(1C)의 원형 베드로부터 직선베드(11A)로 이동하고 공급부(A9)의 이동을 따라서 도 11n에 표시한 위치에 도달하는 급사구(G1)에 의해 분배된 실을 사용해서 직선베드(11A)를 따라서 스티치의 열을 형성한다.
이후에, 도 11p의 구성을 얻기 위해, 공급부(A9), (A14)는 오른쪽에서 왼쪽으로의 스트로크를 그리고, 공급부(A14)는 비작동스티치를 그리고, 공급부(A9)는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이동하는 급사구(G6)에 의해 분배된 실을 사용해서 베드(11A)를 따라서 스티치의 코스를 형성한다. 이후에(도 11q의 구성으로의 이동), 공급부(A9), (A14)는 오른쪽으로부터 왼쪽으로의 비작동스트로크를 행하고, 그 다음에(도 11q로부터 도 11r로의 통과), 왼쪽으로부터 오른쪽으로의 스트로크를 행하고, 공급부(A9)는 급사구(G1)로부터의 실을 사용해서 베드(11A)를 따라서 스티치의 제 3코스를 형성하고, 공급부(A14)는 비작동스트로크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해서, 급사구(G1)는 도 11m에 표시된 초기위치로 복귀된다. 따라서, 도 11s에 표시된 구성으로의 이동시에, 공급부(A9), (A14)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복귀되어, 공급부(A14)는 비작동스트로크를 가지고, 공급부(A9)는 도 11n에 표시된 바와 같이 초기위치로 복귀되는 급사구(G6)에 의해 분배된 실을 사용해서 스티치의 제 4코스를 형성한다.
공급부(A1)∼(A8)의 후속의 회전의 재실행에 의해(도 11t 참조) 직물형성요소(공급부(A1)∼(A8), 급사구(G1)∼(G8))를 도 11a의 원위치로 되돌려서 새로운 사이클을 개시한다. 이 동작은, 공지된 기술에 의해서 탄성적인 허리밴드의 추가형성을 포함해서, 몸체부를 완성할 때까지 자체의 사이클을 반복한다.
도 13은 이 직물형성동작에 의해 생성된 물품을 개략적으로 표시한 것이다. (L1), (L2)는 2개의 다리부이고, (C)는 몸체부이다. 후자는 실린더(1C), (3C)의 4개의 절반베드(즉, 절반실린더의 니들)에 의하고, 2개의 직선베드에 의해서 각각 형성된 6개의 영역이나 부분에 기본적으로 생성된다. (C1), (C2)는 실린더(1C)의 2개의 절반베드에 생성된 부분이고; (C3), (C4)는 실린더(3C)의 2개의 절반베드에 의해서 생성된 2개의 부분이고; (C5), (C6)은 직선베드(11A), (11B)에 의해서 각각 형성된 부분이다. (B1)∼(B6)은 상기 표시된 6개 부분사이의 분할선을 표시한다. 선(B1), (B4)을 따라서, 각 부분(C1), (C2), (C3), (C4)사이의 연결부는 특정의 절반베드뿐 아니라 인접한 절반베드의 제 1의 소량 니들에 각 실을 공급함으로써 간단하게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급사구(G1)에 의해 분배된 실은 실린더(1C)의 상부절반베드의 왼쪽단부에서 제 1의 소량 니들에도 공급된다(도 11c 및 도 11d 참조).
원형 베드로부터 직선베드로 실의 통과에 의해서 별도의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하지만, 다시 통과시키면, 직선베드(11B)로부터 반원베드(1C)로 일반 급사구(G)가 일반 실(F)을 통과시키는 방식을 표시하는 도 14a∼14f에 설명한 기능을 수행하는 추가의 안내요소를 가진 각각의 급사구를 설치할 필요가 있고, 이 베드는 각 니들에 의해 그려진다. 도 14a에서, 급사구는 직선베드의 니들에 그의 실을 분배한다. 도 14b에서는, 급사구는 실린더(1C)의 원형 베드와 직선베드(11A)사이에 있고, 이들 2개의 베드사이를 이동한다(도 14c 참조). 이 지점에서, 일반 급사구(G)에 속하는 안내요소(G')는 도 14c에 도달된 위치에서 일시적으로 잔류하는 한편, 급사구(G)는 뒤로 이동하고(도 14d 참조), 양 요소(G), (G')는 원형 베드(1C)까지 이동하고, 다음에, 급사구(G)는 원형 베드(1C)둘레를 계속 통과해서(도 14f 참조), 급사구(G)를 따라 그쪽으로 복귀하는 안내요소(G')를 개재해서 분배된 실(F)을 원형 베드의 니들이 잡도록 한다.
도 12는 상기 언급한 방법에 의해 얻어진 편직물의 일부를 표시한 것이다. (C1), (C3) 및 (C5)는 재차 실린더(1C), (3C)의 반원베드상 및 직선베드(11A)상에 생성된 몸체부의 일부를 표시한다. 표시된 것은 모두, 3개의 스티치의 코스로 감소된 영역이지만, 형성된 직물은 보다 많은 스티치를 위해 연장한다고 이해해야 한다. 도 12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코스는 각종 영역을 형성하는 각 실의 경로를 표시하도록 한다. 이 실은 이들을 분배하는 급사구에 대응하는 수에 따르는 (F)로 표시되어 있다(예를 들면, 실(F1)은 급사구(G1)에 의해서 분배되어 있음). 명확히 하기 위해서, Z연사는 검정색으로 표시되고, S연사는 흰색으로 표시되어 있다. 이 도면에서 명확한 바와 같이, (C1)∼(C4)부분은 페이스직물(face fabric)로 형성되고, (C5), (C6)부분은 리버스직물(reverse fabric)로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본 발명의 기계에 의해서 생성된 물품의 특정 형상을 구성하고, 몸체부의 중간부분(C5), (C6)은 몸체부의 측면부분을 형성하는 원형 베드에 대해 반대의 구성으로 동작하는 직선베드에 의해서 생성된다.
몸체부(C)를 형성하는 동안, 기계내부의 물품은 도 15에 개략적으로 표시된 위치를 채택한다. 실린더(1C), (3C)의 니들(5)로 상기 단계에서 형성된 다리부(L1), (L2)는 진공으로 설정된 관(77), (79)내로 빨려 든다. 2개 관의 하단부는 직물이 실린더(1C), (3C)상에 형성되는 평면의 근처에 있다. 한쌍의 피트나 돌기부(77A), (79A)는 정확한 위치에서 전개된 직물을 유지하기 위해 2개의 관(77), (79)으로부터 직선베드를 향해서 뻗는다. 직선베드(11A), (11B)에 의해 형성된 몸체부의 중간부분(C5), (C6)은 2개의 관(77), (79)사이의 중심영역으로 빨려 든다. 2개의 관(77), (79)을 따른 슬롯(77F), (79F)은 실린더(1C), (3C)의 니들(5)과 베드(11A), (11B)의 안내니들(13)에 의해서 정확하게 형성시키기 위해 전개한 몸체부분의 직물을 윗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다리부(L1), (L2)는 니들(5)의 평면으로부터 아랫쪽으로 성장하는 반면, 몸체부의 중심부(C5), (C6)는 베드(11A), (11B)로부터 윗쪽으로 성장하므로 리버스직물이 된다.
도 16a∼도 16p는 본 발명의 기계로 직물을 형성하는 제 2방법을 표시한다. 이들 도면에서, 도 11a∼도 11t와 마찬가지로, (A1)∼(A8)은 2개의 실린더(1C), (3C) 둘레의 8개의 공급부를 표시한다(실린더(1C)의 경우에 공급부(A1)∼(A4), 실린더(3C)의 경우에 (A5)∼(A8)), 또, (G1)∼(G4)는 실린더(1C)에 속하는 급사구를 표시하고, (G5)∼(G8)은 실린더(3C)에 속하는 급사구이다. (A9), (A14)는 직선베드(11A), (11B)에 속하는 공급부이고, (G10)∼(G13)은 2개의 직선베드에 속하는 4개의 추가 급사구이고; 급사구(G12), (G13)(각각 S연사 및 Z연사를 가짐)는 베드(11A)를 위한 것이고, 급사구(G10), (G11)(S연사 및 Z연사를 가짐)는 베드(11B)를 위한 것이다.
도 16a는 다음의 일련의 도면에 표시된 작업사이클의 초기순간과, 4개의 연속적인 스티치의 코스가 각 베드부분에 형성되는 동안에 종래방식으로 취할 수 있는 제한위치를 표시한다. 도 16a의 구성에 있어서(도 11a의 구성에 대략 대응함), 2개의 실린더(1C), (3C)에 속하는 캠박스(1F), (3F)는 각각 시계방향(화살표(f1)) 및 반시계방향(화살표(f3))으로 회전을 개시한다. 우선, 공급부(A1)∼(A8)는 중간평면(P-P)에 각각을 보내는 스트로크의 비작동부분을 그린다. 그것은, 최초에 중간평면을 너머서 통과하는 공급부(A1), (A3) 및 (A6), (A8)이다. 이 위치를 통과하면, 각각의 급사구(A1), (A3), (A6), (A8)에 의해 분배된 실로 대응하는 반원베드를 따라서 스티치를 형성하는 동안 작동스트로크를 행한다. 이 구성은 도 16b에 표시되어 있다. 공급부(A9), (A14)는 일시적으로 정지된다.
회전을 계속함에 따라(도 16c 참조), 공급부(A2), (A4), (A5), (A7)도 급사구(G2), (G4), (G5), (G7)에 의해서 분배된 실을 사용해서 각각의 코스를 형성하기 시작한다. 다음에, 공급부(A9), (A14)는 급사구(G11), (G13)에 의해 각각 분배된 실로 베드(11A), (11B)를 따라서 스티치의 열을 형성하는 동안 왼쪽에서 오른쪽으로의 스트로크를 수행한다(도 11d의 화살표(f11)). 도 16d에서 급사구(G11)는 급사구(G10)의 위쪽에 위치되어 있다. 도 16e는 실린더의 공급부가 계속 회전하고 동안, 직선베드의 급사구에 의해 도달된 최종위치를 표시한다.
도 16f는 오른쪽에서 왼쪽으로의 공급부(A9), (A14)의 역스트로크의 개시를 표시한다. 이 스트로크동안, 공급부(A9)는 오른쪽에서 왼쪽으로의 이동을 따르는 급사구(G12)에 의해 분배된 실을 사용해서 베드(11B)를 따라서 스티치의 코스를 형성한다. 마찬가지로, 공급부(A14)는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주행하는 급사구(G10)의 실로 베드(11B)를 따라서 스티치의 코스를 생성한다. 도 16g는 이 스크로크의 끝단에서 중간공급부(A9), (A14)에 의해 도달된 최종위치를 표시한다. 공급부(A1)∼(A8)는 그 자신의 경로를 계속한다. 도 16g에서 공급부(A6), (A8)는 그들의 스트로크의 활동부분을 종료하고, 각각의 급사구(G6), (G8)는 도 16a에서 가졌던 직경상으로 반대인 위치의 중간평면(P-P)상에서 거의 정지된다. 회전을 계속함에 따라(도 16h 참조), 나머지 공급부(A1)∼(A5), (A7)도 중간평면에 도달하고, 활동스트로크를 종료해서 도 16a에서 가졌던 직경상 반대위치의 급사구를 남겨 둔다. 각 공급부(A1)∼(A8)는 그들의 이동을 역전하기 전에 동작을 취하기 위해 여분의 비작동스트로크를 행한다.
도 16h와 도 16i사이에, 공급부(A1)∼(A8)는 화살표(f1), (f3)로 표시된 바와 같이 운동방향을 역전시킨다. 공급부(A9), (A14)는 일시적으로 정지상태로 유지된다. 급사구(G13)에 의해 분배된 실을 사용해서 베드(11A)를 따른 스티치의 코스와 급사구(G11)에 의해서 분배된 실을 사용해서 베드(11B)를 따른 스티치의 코스를 형성하는 동안, 공급부(A9), (A14)도 왼쪽에서 오른쪽으로의 비작동스트로크를 연속적으로 행하고, 오른쪽에서 왼쪽으로의 활동스트로크를 행한다. 따라서, 도 16i에서 급사구(G10)∼(G13)는 모두 직선베드와 실린더(1C)사이에 있다.
도 16j에서는 동작의 위상에서 각 공급부(A1)∼(A8)가 상기 위상의 실과 다른 실로 각각의 스티치의 코스를 형성하고, 공급부(A1)가 급사구(G2) 등에 의해서 분배된 실로 스티치를 형성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도 11a∼도 11t를 참조해서 언급한 방법에서와 같이, 이 경우에는 작동사이클의 종료시에 스티치의 4개의 코스가 별도의 S연사 및 Z연사에 의해 교대로 각 반원베드상에 형성되는 방식으로 급사구(G1)∼(G4), (G5)∼(G8)는 Z 및 S꼬임을 교대로 가진 연사를 분배한다.
도 16j는 공급부(A9), (A14)에 의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의 다음 스토크로의 개시를 표시한다. 그들 각각은 급사구(G10), (G12)의 실로 베드(11A), (11B)를 따라서 하나의 스티치의 코스를 형성한다. 도 16k의 위치를 통과하면, 공급부 (A9), (A14)가 그들의 스트로크를 종료한 경우에 도 16l의 스크로크끝단에 도달하고, 급사구(G10), (G12)가 미작동위치의 실린더(3C)단부에 있는 경우에는 급사구(G11), (G13)는 실린더(1C)의 단부에 있다.
도 16m에서는 공급부(A9), (A14)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의 미작동 스트로크를 행해서 도 16n의 위치에 도달하는 한편, 공급부(A1)∼(A8)는 계속 회전하여 도 16p의 위치에 도달한다. 이 위치에서 모든 공급부와 급사구는 도 16a에 표시한 초기위치로 복귀한다.
도 16a∼도 19p에서 각 급사구는 특정 실로 표시되어 있다. 측면위치로의 급사구(G10)∼(G13)의 운동은 분배중인 실을 급사구(G1)∼(G8)에 의해 분배된 실과 교차시켜서 직선베드(11A, 11B)상에 형성된 직물의 부분은 4개의 반원베드상에 형성된 부분에 결합된다.
도 17은 이 방법에 의해 생성된 물품의 일부를 표시한다. 도 12에 대해서 작용되는 동일한 사항을 여기에도 적용한다. (F10), (F11)은 중간뒷부분(C6)을 형성하는 급사구(G10), (G11)에 의해 분배된 실이다. (F3), (F4)는 부분(C2)을 형성하기 위해 급사구(G3), (G4)에 의해 분배된 실이고, (F7), (F8)은 부분(C4)을 형성하기 위해 급사구(G7), (G8)에 의해 분배된 실이다.
상기 언급된 방법은, 측면부분을 위해 사용된 실보다 몸체부의 중심부용의 다른 실을 사용할 수 있는 이전의 방법이상의 이점을 가진다. 예를 들면, 이것은 거싯(gusset)이 다른 실로 만들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요동빔의 실시예(도 18∼도 23)
도 18 내지 도 23에는 급사구를 이동하는 다른 방법이 표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2개의 실린더(1C), (3C)에 속하는 급사구는, 2쌍의 대응 빔(201), (203) 및 (205), (207)상에 장착되어 있다. 도 18에 표시된 단면은 이 실시예에서 직물형성공정의 각종 단계에서 다수의 다른 실을 선택하는 다수 쌍의 빔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4쌍의 중첩빔을 표시한다. 그러나, 명세서의 나머지부분에서는, 단지 2쌍의 빔만을 참조하고, 중첩된 쌍을 더 사용하는 경우에(항상 짝수), 급사구에 대응하는 다수쌍의 빔을 별도로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서 작동방법은 거의 동일하다고 이해하면 된다.
도 19a∼도 19e는 가먼트의 몸체부(C)를 위한 4개의 연속적인 스티치의 코스를 형성할 때, 2쌍의 빔의 연속위치의 평면도를 표시한다. 도 19a에서는, 제 2쌍의 빔이 상하로 있어 볼 수 없기 때문에 동일면에 놓여 있는 2쌍의 대응 빔만을 볼 수 있다. 양쪽 쌍의 빔은 도 19b와 도 19d에서 서로 분리된 것을 볼 수 있다.
2쌍의 2개의 빔(201), (203) 및 (205), (207)은 일반 스핀들(X1), (X2)에 피벗된 각각의 2중 로커암(209), (211)에 장착되어 있다. 4개의 빔과 4개의 2중로커암은 함께 4개의 4봉(four-bar)체인을 함께 규정한다.
급사구는 도 10에 채용된 것과 마찬가지의 시스템상에 부호화 되어 있다. 급사구(G1), (G5)는 빔(207)에 장착되어 있고, 급사구(G2), (G6)는 빔(203)에 장착되어 있고, 급사구(G3), (G7)는 빔(205)에 장착되어 있고, 급사구(G4), (G8)는 빔(201)에 장착되어 있다. 도면을 단순히 하기 위해 실린더의 공급부를 생략했지만, 이미 도 16a∼도 16p에 표시한 바와 같이, 급사구(G1)∼(G8)의 이동에 의해서 왕복하고 동기한다고 이해해야 한다. 도 19a에서, 급사구는 서로 쌍으로 중첩되어, 이 도면에서 이런 상태는 2중부호를 사용해서 표시하였다.
상기 실시예와 비교해서, 2개의 직선베드(11A), (11B)의 각각은, 단지 하나보다는 오히려, (A9'), (A9') 및 (A14'), (A14')로 표시된 2개의 공급부를 가진다. 공급부가 왕복방식이지만 반대방향으로 동시에 이동한다는 의미에서, 2쌍의 공급부의 이동은 반대이다. 또한, 직선베드는, 이 경우에 아래에 언급한 수순으로 직선기계에서 발생하는 바와 마찬가지 방식으로 공급부(A9'), (A9'), (A14'), (A14')에 의해 이동되는 급사구(G10)∼(G13)를 가진다.
도 19a∼19e를 참조해서, 몸체부가 형성되는 동작의 수순은 초기에 설명하고, 빔을 동작하는 기구는 나중에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규정된 각이동을 참조하는 경우에, 이들 이동은 대략 및 직접적으로 이해될 수 있으므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제한되지 않는다.
도 19a의 구성에서, 급사구는 도 16a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한위치에 있다. 2중로커암(209), (211)은 90°의 상대각 변위로 회전을 개시해서, 로커암(211)이 반시계방향으로 180°의 각이동을 행할 때(도 19b 참조), 로커암(209)은 동일방향으로 단지 90°의 이동을 행한다. 도 19b의 위치에서 급사구(G1), (G3), (G5), (G7)는 각 반원베드 둘레에서 각 실로 스티치의 전체 코스를 형성하는 한편, 급사구(G2), (G4), (G6), (G8)는 그들의 실로 약 절반의 코스를 형성한다. 동시에, 스티치의 코스는 공급부(A9'), (A14')에 의해서 급사구(G11), (G12)로부터의 실을 사용해서 직선베드(11A), (11B)를 따라서 생성되는 한편, 급사구(G10), (G13)는 스트로크를 종료하지 않은 공급부(A9'), (A14')에 여전히 실을 분배한다.
다음에, 도 19c에서는 빔(205), (207)이 도 19b의 위치에 여전히 있는 반면, 도 19b에서 그들 뒤의 90°의 각도에 있는 빔(201), (203)은 이제 제 1의 180°스트로크를 종료하여서, 급사구(G2), (G4), (G6), (G8)의 실이 각 스티치의 코스를 종료하게 된다. 동시에, 급사구(G10), (G13)와 각 공급부(A9'), (A14')도 그들의 스트로크를 종료한다. 그러므로, 이 구성에서는 스티치의 2개의 코스가 각 반원베드에 형성되고, 또한, 스티치의 2개의 코스도 각 직선베드를 따라서 형성된다. 이 코스는 도 19c에 있어서 쇄선과 점선으로 표시된다.
이 지점에서, 로커암(209), (211)의 회전방향이 역전된다. 도 19d에서, 빔(205), (207)은 상기 스트로크에 대해서 반대방향으로 180°스트로크를 실행하는 도 19a의 초기위치에 다시 한 번 있게 되는 한편, 빔(201), (203)은 90°만큼 늦추어진다. 따라서, 급사구(G1), (G3), (G5), (G7)에 의해 분배된 실은 각 반원베드둘레의 전체 코스를 생성하는 한편, 급사구(G2), (G4), (G6), (G8)는 더욱 이동하여, 대략 절반의 스트로크를 행해서 그들의 실로 대략 절반의 코스를 형성한다. 공급부(A9'), (A9'), (A14'), (A14')와 그들의 각종 급사구(G10)∼(G13)는 이미 언급한 반대 방향으로 스트로크를 행하고, 급사구(G11), (G12)는 그들의 스트로크의 끝단에 도달하는 한편, 급사구(G10), (G13)는 여전히 중간위치에 있다. 도 19e에서 직물형성요소는 도 19a에 표시한 사이클개시위치로 복귀된다.
도 19a∼도 19e에 표시한 수순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로커암(209), (211)의 2개의 180°스트로크는 2개의 실린더(1C), (3C)에 의해 규정된 4개의 반원 베드 둘레와 직선베드(11A), (11B)를 따라서 스티치의 4개의 코스를 형성하면서 빔(201)∼(207)의 2개의 스트로크를 제공한다. 급사구내에 다른 실을 지님으로써(예를 들면, 각각 S연사 및 Z연사), 코스는 S연사와 Z연사로 번갈아 형성한다.
바로 위에 언급한 변형예에서는, 급사구의 작동기구를 상당히 단순화한 점에서 특유한 이점을 발견할 수 있다. 급사구(G10)∼(G13)가 일반적인 직선기계로서 작동될 수 있는 반면, 2개의 실린더에 속하는 급사구(G1)∼(G8)는 4개의 2중 로커암(209), (211)에 작용함으로써, 동시에 작동될 수 있다. 공급부(A9'), (A9'), (A14'), (A14')를 가진 캐리지 및 2중 로커암 양쪽의 모든 이동은 실린더(1C), (3C)의 공급부를 가진 캠박스의 이동으로부터 얻을 수 있다. 한쪽의 공급부(A9'), (A9')와, 다른쪽의 공급부(A14'), (A14')는 반대위상에서 동시에 작동되기 때문에, 2개의 풀리둘레를 주행하는 벨트에 2개의 캐리지를 부착해서 동일 방향으로 작동된 다른 것이나 서로와 일체인 2개의 캐리지(17A), (17B)를 가지는 것 이상으로 위상이 벗어난 이동을 얻을 수 있다.
2중 로커암(209), (211), 그러므로, 빔(201)∼(207)의 동기 이동을 제어가능한 기구는 도 18,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해서 이하 설명한다. 이 예시한 실시예에서, 전달축(25)으로부터 움직임이 도출되고, 이를 위하어 피니언(221)은 상단부에 고정되어, 측면블록(227)에 의해 지지된 중공샤프트(225)에 고정된 링기어(223)와 맞물려진다. 중공샤프트(225)는 해당 샤프트(225)의 축을 포함한 수직면에 정렬된 수평축을 가진 2개의 작은 피스톤(231), (233)을 가진 원통형 슬리브(sleeve)부분(229)에서 종료한다. 2개의 피스톤(231), (233)은, 각 요동캠의 내면에 대항해서, 2개의 롤러(235), (237)를 개재하여 가압하는 2개의 나선형 압축스프링에 의해서 원심방향으로 재촉되고, 그 형상은 도 21 및 도 22에서 볼 수 있다. 상부 피스톤(231)과 관련된 2개의 캠(241), (243)은 다른 길이의 2개 부분으로 분리된 원통형상의 활동내부면을 규정하고(도 21a 참조), 2개의 캠은 서로 동일하지 않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캠(241)은 대략 270°의 원주길이를 지니는 한편, 캠(243)은 대략 90°의 원주길이를 가진다. (241X), (243X)는 2개의 캠(241), (243)을 위한 2개의 수직피벗핀이다. 캠의 요동은 도시생략한 액추에이터에 의해서 제어된다. 도 21a∼도 21d에서 명확한 바와 같이, 캠(241), (243)의 요동은 피스톤(231)의 방사상 이동을 생성한다.
2개의 중첩된 디스크(245), (247)는 원통형 슬리브부분(229)과 동축이고, 제 1디스크는 적절한 키이연결을 통해 작동해서, 2중 로커암을 회전시켜서 빔(205), (207)을 요동시키는 축(249)과 일체인 반면, 제 2디스크(247)는 키이시스템을 통해서 작동해서, 한쌍의 로커암(209)을 회전시켜서 빔(201), (203)을 요동시키는 중공축(251)과 일체이다. 내부 축(249)은, 다른 형태의 실을 지닌 다른 급사구로 다른 빔에 연결된 다른 로커암을 채결할 수 있는 방식으로, 축(249)과 중공축(251)을 축방향으로 변위시킬 수 있는 셀렉터(253)에 연결되어 있다.
디스크(245)는 대략 45°의 원주길이를 가지고, 서로 135°로 분리된 2개의 접선방향의 오목부(245A), (245B)를 포함한다. 접선방향의 오목부(245A), (245B)는 피스톤(231)과 조합해서 작동하여 구동축(25)의 회전을 축(249) 및 로커암(211)에 전달하기 위해 슬리브부분(229)과 디스크(245)사이에 임시의 기계적 비틀림 링크를 설정한다.
마찬가지의 구성에 있어서, 활동원통면을 규정하는 2개의 캠(261), (263)은 피스톤(233)둘레에 배열되어 있다. 상기 캠은 핀(241X), (243X)으로부터 90°오프셋된 2개의 수직핀(261X), (263X)에 대해 피벗한다. 이들 캠(261), (262)은 동일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디스크(247)는 약 90°이상의 원주길이를 가진 대응하는 면에 2개의 오목부(247A), (247B)를 가진다. 이들은 피스톤(233)과 조합해서 작동해서, 일시적으로 원통형 슬리브부분(229)에 중공축(251)을 비틀리게 결합시켜서 로커암(209)에 회전운동을 전달한다.
도 21a∼도 21d는 빔(201)∼(207)과 로커암(209), (211)이 도 19a∼도 19e를 참조해서 설명한 이동을 행하는 동안, 하나의 작동사이클을 거친 캠(241), (243), 피스톤(231) 및 디스크(245)의 이동을 표시한다. 도 21a는 도 19a의 빔의 위치에 대응한다. 피스톤(231)은 오목부(245B)의 안쪽에 있다. 중공샤프트(225)의 반시계방향회전, 따라서, 원통형 슬리브부분(229)의 반시계 방향회전은, 이것이 오목부(245B)의 각 길이이기 때문에 다음의 45°동안 축(249)에 전달되지 않는다. 이 45°회전의 끝단에서는, 피스톤(231)이 오목부(245B)의 단부면에 접하고, 도 21b에 표시한 위치에서 그 둘레에 디스크(245)를 취해서 디스크(245)(거기에 부착된 축(249)과 한쌍의 로커암(211))를 180°의 각도로 실행시킨다. 이것은 도 19a에서 도 19b로의 이동시에 포함된 180°회전이동에 대응한다. 원통형 슬리브부분(229)의 후속의 135°회전을 위해서, 피스톤(231)이 방사형으로 나갈 때, 디스크(245)는, 정지한 채로 남아 있다. 축(25)의 회전방향,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서로 동일방향으로 회전하는 실린더(1C), (3C)의 공급부의 회전방향의 반전의 결과로서, 도 21c에서는, 중공샤프트(225)와 슬리브부분(229)이 360°의 회전을 완료해서 그들의 이동을 반전시킨다. 원통형 슬리브부분(229)과 피스톤(231)이 도 21c에 표시된 위치에 도달하면, 캠(241), (243)은 초기위치로 피벗하여 피스톤을 오목부(245A)로 민다. 이어서, 피스톤(231)이 오목부(245A)의 단부면에 접할 때까지 로커암(211)이 정지상태로 남겨진 결과로서 디스크(245)와 어떠한 기계적 연결이 없는 동안, 슬리브부분(229)에 의한 45°의 회전이 뒤따르게 되므로 디스크(245)를 회전운동시에 그 둘레로 밀기 시작한다. 캠이 피벗해서 피스톤(231)의 방사형 편심이동을 발생시켜서 원통형 슬리브부분(229)으로부터 디스크(245)를 연결시키지 않은(정지시키는) 경우에는, 디스크(245)의 회전은 도 21d에 표시된 위치까지 180°동안 계속한다. 캠(241), (243)의 운동 및 요동이 역전된 경우에, 원통형 슬리브부분(229)은 360°스트로크를 완료할 때까지, 즉 도 21a에 표시된 위치로 복귀할 때까지 계속 회전한다.
한쌍의 로커암(209), (211)은, 그들의 관성이 아랫쪽 디스크(245), (247)의 이동을 넘어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바로 그 순간에 이동을 정지시키는 적절한 브레이크수단(210)(도 18 참조)에 연결되어 있다.
도 22a∼도 22d는 피스톤(233), 캠(261), (263) 및 디스크(247)에 의한 동일 작동사이클동안 채택된 각종 위치를 표시한다. 도시를 간단히 하기 위해, 도 22a∼도 22d는 대응하는 도 21a∼도 21d에 도시된 것으로부터 90°의 각도만큼 순간 오프셋을 표시한다. 예를 들면, 도 22a는 슬리브부분(229)이 도 21a에 표시한 사이클의 초기순간에서부터 스트로크의 제 1의 90°를 이미 행한 상태를 표시한다. 각도스트로크의 초기에서부터, 중공샤프트(225)와 슬리브부분(229)의 회전의 제 1의 135°동안 디스크(247)는 정지상태로 남아 있다. 이 지점에서, 피스톤(233)은 오목부(247B)의 단부면에 대향해서 접하여, 도 22b에 표시된 위치, 즉, 180°를 통해서 그 둘레에 디스크(247)를 지탱하기 시작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구성에서 오목부(245A), (245B)는 도 22a와 비교해서 위치가 바뀌어 있다. 관련된 로커암이 정지상태에 있는 동안, 캠은 피벗해서 피스톤(233)을 오목부(245B)로부터 나타나게 하고, 원통형 슬리브부분(229)이 최종 45°(도시생략된 위치)동안 그 각도스트로크를 종료하게 한다. 이 지점에서 중공샤프트(225)와 원통형 슬리브부분(229)은 회전방향을 역전시킨다. 도 22c는 반대방향으로의 90°회전후의 시스템의 구성을 표시한다. 캠(261), (263)은 구심반경방향으로 피스톤(233)을 미는 위치로 복귀한다. 회전방향이 역전된 위치에서 135°회전한 후에, 피스톤(233)은 오목부(247B)의 단부면과 다시 접촉하게 되고, 원통형 슬리브부분(229)의 회전이 계속되기 때문에, 디스크(247)는 캠(261), (263)이 피벗해서 피스톤이 오목부(247B)를 벗어나는 도 22d의 구성에 도달할 때까지 다시 회전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추가의 45°회전에 의해서 시스템은 새로운 사이클을 준비하는 초기구성으로 된다.
도 20은 각종 요소의 각도 이동을 표시하는 도표이다. X축은 중공샤프트(225)와 원통형 슬리브부분(229)의 회전각도이고, Y축은 원통형 슬리브부분(229), 디스크(245) 및 디스크(247)의 회전각도이다. (f1), (f2) 및 (f3)은 중공샤프트(225), 디스크(245) 및 디스크(247)에 관한 3개의 도표이다.
상기 언급한 변형예는, 복수의 물품을 동시에 형성하는 다수 기계의 구성에도 적합하다. 도 23은 2쌍의 직선베드(11), (11')를 가진 2쌍의 실린더(1C), (3C) 및 (1 C'), (3C')를 표시한다. 이 경우에, 각 빔은 4개의 급사구를 가진다. 이동은 2개의 기계단면(1C), (3C), (11) 및 (1C'), (3C'), (11')을 가로질러 동기한다.
도 24 내지 도 36의 실시예
개략적인 면에서, 기계는 2개의 작동용 측면유닛(501), (503)을 구비하고, 각각은 니들(505)이 미끄럼이동할 수 있는 트릭을 가진 근본적으로 종래 유형의 직물형성용 실린더(501C), (503C)를 구비한다. (507)은 잭이고(특히 도 30 참조), (501F), (503F)는 니들(505)의 잭(507)의 이동제어캠을 가진 2개의 실린더(501C), (503C)의 캠박스이다.
각 실린더(501C), (503C)는 싱커용 링(501A), (503A)을 가진다. 2개의 작동용 측면유닛(501), (503)의 각각은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긴 양말을 생산하는 통상의 원형편기의 실린더와 흡사한 기능을 행한다.
2개의 작동용 측면유닛(501), (503)사이에는 2개의 짧은 경사진 니들베드(511A), (511B)(도 25 참조)로 이루어진 중간유닛(511)이 위치하고, 각각의 니들베드는 하우징용 트릭(512)과 안내니들(513), 그리고, 후에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잭을 가진다. 각 베드(511A)에 대해서는 전자셀렉터를 가진 캐리지(517A), (517B)가 있고, 이로 인해서 각각의 베드를 따라서 직선상으로 왕복하고, 니들과 젝제어캠을 운송한다. 2개의 직선베드(511A), (511B)는, 최고정점을 가진 반전된 V자 형상으로 배열되어, 실린더(501C), (503C)의 축을 포함하는 면에 대해서 대칭적으로 위치되어 있다.
아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2개의 실린더(501C), (503C)는 물품의 다리부를 형성하고, 그후에, 2개의 직선베드(511A), (511B)와 조합해서 이들 실린더는 물품의 몸체부를 형성한다.
각 실린더는 해당 2개의 실린더(501C), (503C)에 연결된 2개의 풀리(523A), (523B)둘레를 주행하는 통상의 벨트(도 24에서 일부만 표시함)에 의해 회전된다. (525)는 기계의 고정된 구조체(526)에 실린더(501C), (503C)를 지지하는 베어링이다. (527)은 캠박스(501F), (503F)의 베어링이다.
캠박스(501F), (503F)는 해당 캠박스 자체와 일체인 풀리둘레를 주행하는 각각의 벨트(도시생략)를 개재해서 회전된다. 캠박스의 모터구동은 실린더와는 독립적이므로, 캠박스를 정지상태로 유지하면서 실린더를 회전시키거나, 실린더를 정지상태로 유지하면서 캠박스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 구조체(526)상에는 2개의 안내부(531)가 장착되어 있고, 그중 하나는 도 25에서 볼 수 있고, 다른 하나는 직선베드(511A), (511B)에 평행한 기계의 중간평면에 대해서 대칭이다. 안내부(531)상에는 이 안내부(531)에 수직인 다른 안내부(535)와 일체인 미끄럼부(533)가 주행한다. 이후에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바와 같이, 특정 직선베드의 안내니들(513)의 작동잭이 미끄럼이동할 수 있는 트릭을 포함한 판(537)은 미끄럼부(533)와 일체이다.
또한, 판(537)은 캐리지(517A)나 캐리지(517B)와 일체인 랙(543)과 걸어맞춤하는 피니언(541)을 가진 전기모터(539)도 지지한다. 대응하는 직선베드의 니들(513)을 동작시키기 위해 안내부(533)를 따라서 각각의 캐리지(517A) 또는 (517B)가, 모터(539)의 회전에 의해서 이동된다.
기계의 고정구조체(526)에 대한 판(537)의 위치는, 베벨기어쌍(549), 또한 베벨기어쌍(551)을 개재해서, 판(537)과 일체인 나사핀(555)이 걸어맞추어지는 너트(553)를 회전시키는 조정스핀들(547)에 의해서 조정될 수 있다. 스핀들(547)은 기계를 통과하고, (549), (551)에 대칭인 베벨기어쌍의 배열에 의해, 다른 직선베드(511B)의 판(537)을 작동한다. 스핀들(547)을 회전시킴으로써, 양쪽 판(537)의 위치를 변경해서 각각의 안내부(531)를 따라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직선베드(511A), (511B)사이의 거리를 조정하는 수단을 제공하여 물품의 두꺼운 부분, 즉, 탄성허리밴드를 필요에 따라서 통과시킬 수 있다.
양 직선베드(511A), (511B)의 싱커와 니들의 작동요소의 구성은 도 25와 도 26을 참조해서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5에는 판(537)내의 각 트릭(563)내에서 미끄럼이동하는 잭(561)이 표시되어 있다. 종래의 기계와 비교하면, 잭(561)은 안내니들(513)의 말뚝머리부(butt)에 직접 작용하지 않고, 로커암(567)(특히 도 26의 확대도 참조)을 개재해서 안내니들(513)에 운동을 전달하는 로드(565)에 작용하고, 각각은 판(537)의 (567A)에서 피벗되고, 관련된 로드(565) 및 관련된 안내니들(513)에 대해 (567B)와 (567C)에서 각각 연결되어 있다. 로드(565)는 안내니들(513)의 제어를 위해 각각의 캐리지(517A) 또는 (517B)에 의해 반송된 캠에 의해 작동된 돌기부나 말뚝머리부(565A)(도 25 참조)를 지니는 한편, 잭(561)은 안내니들(513)을 들어 올리는 동일한 캐리지에 의해 반송된 다른 제어캠에 의해 작동된다. 하지만, 안내니들(513)의 이동은 로드(565)와 로커암(567)에 의해 형성된 운동체인을 개재해서 발생된다. 이것은 실린더(501C), (503C)의 원형 베드를 위해 아랫쪽에 공간을 남겨두기 위해서 캐리지(517A), (517B)가 안내니들(513)보다 수평면에 대해 얕은 기울기를 가지기 때문이다.
또한, 직선베드(511A), (511B)의 이동싱커(573)와 고정싱커(571)는 도 25 및 도 26에서 볼 수 있다. 이동싱커(573)는 상기 싱커에 직접 작용하는 캐리지(517A)나 (517B)에 의해 반송된 캠에 의해 제어된다. 도 26에서는, 베드(511A)의 니들(513)이 하강해서 그 싱커(573)가 당겨지는 한편, 베드(511B)의 니들이 상승해서 싱커(573)가 전진위치에 있다.
도 30 및 도 31은 실린더(501C), (503C)의 싱커작동요소를 개략적으로 표시한 것이다. 또한, 말뚝머리부(505A)와 잭(507)을 가진 니들(505)중 하나는 도 30에서 볼 수 있다. 캠박스(501F)내에 있는 실린더의 잭과 니들의 작동요소는 종래의 유형의 것이므로, 도면에서는 생략되어 있다. 하지만, 싱커의 동작은 공간상의 이유로 변경하였다. 각 싱커(581)는 관련된 실린더(501C)와 일체인 링(583)의 대응하는 자리내의 (581A)에서 피벗되어 있다. 도 30 및 도 31에서, 싱커는 직물형성영역에 대해서 각각 전진, 후퇴의 2개 위치에 표시되어 있는 한편, 니들(505)은 항상 상승된 위치에 있는 바, 도 31에 표시된 위치에서는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아래로 미끄럼이동한다고 이해할 필요가 있다.
종래의 기계와 비교하면, 싱커용 링(501A), 즉 싱커(581)를 제어하는 캠을 구비한 요소는, 피벗이동이 각 자리의 (587A)에서 피벗되고, 관련된 싱커(581)에 (587B)에서 결합된 각각의 로커암(587)을 개재해서 싱커(581)로 분배된다. 로커암의 돌기부(587C)는 싱커용 링(501A)의 캠(589)(도 30 참조)에 의해 작동된다. 실제로 로커암(587)은 싱커제어캠에서, 싱커 자체로 운동을 전달하는 수단이고, 싱커용 링(501A), (503A)이 통상보다 낮게 배열되어, 직선베드(511A), (511B)의 니들작동요소를 운반하는 캐리지(517A), (517B)와 판(537)을 위한 공간을 남겨 둔다.
기계의 고정구조체(526)는 직선베드(511A), (511B)위와 실린더(501C), (503C)위에서 윗쪽으로 뻗어(도 24 참조), 회전부재(593)가 회전하는 고리형상 트랙(591)을 형성한다. 회전부재(593)의 회전축은 직선베드(511A), (511B)의 중심을 수직으로 통과한다. 다수의 실패키지가 회전부재(593)에 의해서 지지되어 있고, 그중 2개는 도 24에서 (B1), (B2)로 표시되어 있다. 패키지(B1), (B2)에 의해 공급된 실(F1), (F2)은 회전부재(593)에 의거해서 형성된 구멍(595)을 통과하여, 직물형성요소의 아래로 공급된다. 실(F2)의 경우에, 특히 도 32에 표시된 바와 같이, 이로 인해, 수평면을 주행하는 체인(603)에 의해 반송된 급사구(601)로 이송되어, 실린더(501C), (503C)에 2개의 원형 니들베드와 2개의 직선베드(511A), (511B)를 따르는 폐쇄통로를 형성한다. 체인(603)의 통로는, 특히 도 27에서 볼 수 있다. 상기 체인의 통로는 기계의 고정구조체(526)에 의해 지지된 판(607)과 일체인 트랙(605)(도 28 참조)에 의해 규정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판(607)은 도 24의 도시에 의거해서 표시된 선반받이(609)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또, 도 27 및 도 28에는 액추에이터(도시생략)에 의해 체인(603)에 운동을 전달하는 스프로킷(611)이 표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체인(603)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회전부재(593)상에 장착된 2개의 패키지(B1), (B2)로부터 2개의 실(F1), (F2)을 공급하기 위해, 적절한 양만큼 서로 위상이 다른 2개의 동일한 급사구(601)를 지니지만, 적절한 간격을 가진 체인상에 2개이상의 급사구를 지니는 것도 가능하다.
각 급사구(601)는 편직된 물품이 완성되어 제거할 필요가 있을 때, 급사구를 내리거나 올려서 베드로부터 꺼내는 공지의 방식으로 각 캠을 개재해서 작용하는 레버(613)에 의해서 제어된다. 이러한 일이 생기면, 이 기술에서의 당업자에게 알려진 바와 같이, 급사구를 올려 실을 절단하여, 그리퍼(gripper)에 걸어서, 물품을 제거하고, 다음의 물품을 시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명한 기계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물품은 발가락부에서 개시되고, 예를 들면, WO 95/31595; WO 95/34702; PCT/IT96/00102(1995년 5월 24일자 이탈리아공화국 특허출원 FI95A000116을 우선권 주장한 것임); PCT/IT96/00139(1995년 7월 14일자 이탈리아공화국 특허출원 FI95A000165을 우선권 주장한 것임)에 개시된 예에서와 같은 공지된 장치중 하나에 의해서 시작되거나 마감될 수 있다. 이들 문헌의 내용도 본 명세서에 내포되는 것으로 한다.
다리부는 정지상태의 직물형성을 위한 작동용 측면유닛(501), (503)의 캠박스(501F), (503F)와 연속회전 및/또는 왕복운동하는 실린더(501C), (503C)에 의해 편직된다. 직선베드(511A), (511B)는 일시적으로 미작동한다. 원형기계상에서 양말류의 다리부의 분리형성에 현재 사용되고 있는 공지의 방법에 의해서 다리부를 형성한다. 각 실린더에는 적절한 수의 실, 예를 들면 4개의 실이 공급될 수 있다. 각 실린더(501C), (503C)의 4개의 공급부중 하나는, 직물형성공정의 이 단계에서 정지상태인 회전부재(593)의 상부에 위치된 패키지(B1), (B2)로부터 급사구(601)를 개재해서 공급된 실(F1), (F2)중 하나로 이루어진다.
일단 다리부가 완성되면, 측면유닛(501), (503)의 실린더(501C), (503C)가 정지하고, 각 실린더에 대한 3개의 공급부는 차단되고, 직선베드(511A), (511B)의 니들은 올려져서 교차되어 크로치마감영역을 형성하고, 2개의 급사구(601)는 연속이동을 개시하고, 각각은 실(F1), (F2)을 계속 공급하는 한편, 다리부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된 각 실린더에 대한 다른 3개의 공급부가 차단된다. 급사구의 이동은, 도 27에 표시된 8자의 형상을 닮은 마감통로 둘레를 주행하는 체인(603)을 구동시킴으로써 발생될 수 있다. 측면유닛(501), (503)의 캠박스(501F), (503F)는 연속회전운동으로 이동되고, 직선베드(511A), (511B)의 안내니들(513)작동캠을 반송하는 캐리지(517A), (517B)는 왕복운동으로 이동된다.
양 실린더(501C), (503C)의 니들(505)과 양 직선베드(511A), (511B)의 안내니들(513)은 체인(603)이 주행하는 트랙의 형태에 주로 대응하는 형태의 하나의 베드를 실질적으로 이 위상에서 형성하고, 이들 니들에, 급사구(601)를 개재해서 2개의 실(F1), (F2)을 공급함으로써 물품의 몸체부가 형성된다. 명확하게는, 이 단계동안 2개이상의 공급부, 즉, 4개의 공급부가 동시에 사용될 수 있다.
실린더(501C), (503C) 및 직선베드(511A), (511B) 위에는 직선베드(511A), (511B)에 평행하고, 중심부에서 편탄한 하부를 가진 흡인관(621)이 위치하고 있다. 이 부분은 위쪽으로 뻗어 있어 원통형 상부(621B)와 결합하고 있다. 물품은 관(621)내로 흡인되어 그 아래의 직물형성요소와 간섭하지 않도록 형성된다. 특히, 도 32에서 표시된 바와 같이, 관(621)의 평탄한 하부의 중심부(621A)는, 베드(511B)의 니들이 상승하여 흡인관의 부분(621A)이 베드(511A)를 향해서 변위되는 경우에, 도 32에 표시된 바와 같은 니들이 상승하는 그 베드(511)로부터 각 사이클로 복귀하도록 피벗한다.
급사구(601)가 체인(603)의 경로 둘레를 연속운동으로 이동하는 동안, 회전부재(593)는 원형 트랙(591)에서 안내된 그 자체의 수직축둘레를 회전하므로, 실(F1), (F2)은 엉키지 않게 된다.
급사구(601)의 이동과 그로 인한 체인(603), 직선베드(511A), (511B)의 니들작동캠과, 실린더(501C), (503C)의 이동은, 적절하게 동기되어 운동의 정확한 전후관계를 달성할 필요가 있다. 도 33은, 2개의 급사구와 2개의 공급부를 사용하고, 2개의 급사구(601A), (601B)가 서로 위상이 90°다른 직선베드(511A), (511B)를 따라서 통과하는 편성캠과 급사구를 제어할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을 표시한다. 급사구(601B)가 실린더(503C)로부터 베드(511B)로 통과할 때, 급사구(601A)는 실린더(501C)로부터 직선베드(511A)로 통과하는 위치 뒷쪽의 대략 90°에 있다. (A)는 급사구(601A)와 함께 작동하는 편성캠의 일시적인 위치를 표시한다.
이 위치로부터, 급사구(601B)는 실린더(501C)상의 위치(601B')에 최종적으로 도달하는 직선베드(511B)를 따라서 약간 감속해서 이동한다. 동시에, 급사구(601A)는 위치(601A')에 도달하고, 편성캠은 위치(A')에 도달한다. 급사구(601A)와 캠(A)사이의 각도거리는 급사구를 구동시키는 체인(603)의 감속때문에 감소된다(단, 양실린더의 캠박스는 일정속도로 회전한다). 위치(601A')로부터 급사구(601A)는 감속된 속도로 베드(511A)를 가로질러 이동하기 시작하고, 급사구(601B')는 이미 위치(A')에 있는 급사구(601A)로 지금까지 작동된 동일한 편성캠에 의해서 작동된 실린더(501C)둘레를 통과하기 시작한다.
공급부를 더 사용함으로써, 그 통로둘레의 급사구의 이동을 늦출 필요없게 할 수 있다.
상기로부터 각 실(F1), (F2)이 실린더(501C), (503C)의 양 원통형 베드와 직선베드(511A), (511B)로 공급되는 것이 명백해진다. 이것은 베드의 외곽을 기본적으로 따르는 폐쇄통로 둘레를 급사구(601)가 주행한다는 사실에 의해서 가능해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직선베드로부터 원형 베드로의 통과 또는 그 역으로의 통과시에 급사구를 운송하는 체인이 베드의 정확한 통로를 따를 수 없기 때문에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일형태의 베드로부터 다른 베드로의 실의 통과를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 도 32, 도 34 및 도 35에 표시된 4개의 전달기구가 4개의 접합부에 설치되어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는, 직선베드에서 원형 베드로 실을 통과시키는 기구는 도 35에서 볼 수 있다(이 경우는 실린더(501C)에 대한 것임). 이 기구는 기계의 고정구조체와 일체인 지점에 대해 (643)에서 힌지되거나 흡인관(621)의 피벗된 중심부(621A)에 대해 힌지된 레버(641)를 구비한다. 이 레버(641)는 후크된 하단부를 가지고, 하단부가 레버(641)에 고정되고, 상단부는 회전부재(593)와 일체인 링(651)에 형성된 슬롯형 캠(649)(도 32 및 도 9a 참조)내로 미끄럼이동하는 미끄럼부재(647)에 부착되어 있는 유연한 도선(645)에 의해 제어된다. 슬롯형 캠의 형상은 직선베드와 원형 베드사이의 4개의 접합부에 위치된 것과 유사한 다른 3개의 레버의 요동과 레버(641)의 요동을 일으키게 한다.
도 34는 실린더(503C)의 원형 베드로부터의 소수의 니들(505)과, 2개의 직선베드(511A), (511B)로부터의 니들과 인접한 니들을 개략적으로 표시한 것이다. 직선베드(511A)로부터 실린더(503C)의 원형 베드로의 실의 전달과, 실린더(503C)의 원형 베드로부터 직선베드(511B)로의 실의 전달을 각각 지원하는 2개의 레버(641)에 의해 따르게 된 경로는 굵은 선(641A), (641B)으로 표시되어 있다. 실제로, 체인(603)이 주행하는 트랙에 의해 규정된 (X)로 표시된 곡선을 따라서 급사구가 주행할 때, 레버(641A)는 베드(511A)의 안내니들(513)로부터 실을 잡아서 실린더(503C)를 향해서 밀고, 니들(505)은 2개의 직선베드사이의 중간영역에 있게 된다. 반대의 작용에서는, 급사구가 실린더(503)로부터 베드(511B)로 곡선(Y) 둘레를 통과하므로, 레버(641B)는 2개의 직선베드의 중간을 향해서 실을 민다.
여기서 언급한 기계에서 생성된 물품은 도 36에 개략적으로 표시된 구조를 가지고; (L1)과 (L2)는 실린더(501C), (503C)에 의해서 편성된 다리부이고, 직선베드(511A), (511B)는 미작동상태로 유지된다. (C)는 물품의 몸체부를 위한 일반기준이고, (C1), (C3), (C5) 및 (C6)으로 표시된 4개의 부분으로 순차적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들은 각각 실린더(501C)의 니들, 실린더(503C)의 니들, 베드(511A), (511B)의 니들에 의해서 생성된다. (B2), (B3), (B5), (B6)은 실린더(501C), (503C)의 원형 베드와 직선베드 사이의 통로에서 생성된 접합라인을 표시한다. 이들 영역은 도 37의 도표에 표시되어 있고, (F1) 및 (F2)는 몸체부를 편성하는 2개의 실이고, (C1), (C3) 및 (C5)는 도 36에서와 같은 몸체단면부분을 표시한다. 도 37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몸체부 전체는 페이스직물로 형성되어 있다.
도면은 단지 본 발명의 실제적인 논증으로서 예시적인 실시예를 간단히 표시하고, 그 구성은, 상기 발명하의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 형상과 배열에 대해서 변경될 수 있다고 이해해야 한다. 첨부된 청구항의 참조부호는, 상세한 설명과 도면을 참조해서 청구항을 읽을 때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목적일 뿐, 청구항에 의해 표현된 보호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Claims (48)

  1. 몸체부(C)와 한쌍의 다리부(L1, L2)를 가진 가먼트를 생산하는 편기에 있어서,
    복수의 니들과 니들작동요소(1F, 3F, A1∼A8; 501F, 503F, A)를 가진 서로 평행하고 함께 인접한 직물형성용 실린더(1C, 3C; 501C, 503C)를 각각 지닌 2개의 측면유닛(1, 3; 501, 503)과;
    상기 2개의 실린더(1C, 3C; 501C, 503C)사이의 중간위치에서, 그 자체의 니들과 해당 니들을 작동시키는 요소(17A, 17B, A9, A17; 517A, 517B)를 각각 지닌 서로 인접한 2개의 직선베드(11A, 11B; 511A, 511B)를 조합해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베드(11A, 11B)는 가장 바닥부에 정점을 가진 V자형상으로 서로에 대해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베드(11A, 11B)는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기.
  4.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니들의 작동요소(1F, 3F, A1∼A8)를 정지상태로 유지하면서 실린더(1C, 3C)의 연속적인 임의의 왕복회전이나, 실린더를 정지상태로 유지하면서 상기 니들작동요소의 왕복회전을 번갈아서 발생시키는 구동수단(21)을 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니들의 작동요소(1F, 3F, A1∼A8)에 왕복회전운동을 부여할 때, 상기 직선베드(11A; 11B)의 니들의 작동요소(17A, 17B, A8, A14)는 왕복직선운동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기.
  6.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실린더(1C, 3C)는 각 실린더의 원형니들베드 둘레를 이동할 수 있는 복수의 급사구(G1∼G8)를 지니고, 해당 급사구는 실린더니들의 작동요소(1F, 3F, A1∼A8)와는 독립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에 속하는 상기 급사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직선베드(11A, 11B)를 따라서도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기.
  8.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직선베드(11A, 11B)는 그 베드를 따라서 이동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급사구(G10∼G13)를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베드(11A, 11B)에 속하는 각 급사구(G10∼G13)는 상기 직선베드의 니들의 작동요소(17A, 17B, A9, A14)의 이동과는 독립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기.
  10.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실린더(1C; 3C)에 대해서, 해당 실린더와 동축이고 그 위에 위치결정된 관형상 요소(77, 79)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기.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상 요소(77, 79)는 상기 직선베드와 대면하는 영역에서 각각의 세로방향 슬롯(77F, 79F)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기.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상 요소(77, 79)의 하단부는, 직물이 실린더(1C, 3C)상에 형성되는 영역에 거의 대응하는 높이에 대해서 아래쪽으로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기.
  13.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베드(11A; 11B)는 서로를 향하거나 서로로부터 멀리 이동할 수 있도록 피벗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기.
  14. 제 6항에 있어서, 안내수단(125, 127)을 또 구비해서, 해당 안내수단을 따라 캐리어(121, 123)가 주행하여 급사구를 반송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기.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수단은 2개의 실린더(1C, 3C)의 축을 포함하는 평면(P-P)에 평행하게, 그리고, 상기 축에 수직으로 주행하고, 각 캐리어는 상기 안내수단의 방향에 수직인 방향과 실린더(1C, 3C)의 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그의 급사구를 이동시키는 작동요소(139, 141)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기.
  16.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베드(11A, 11B)를 따라서 직선안내부(156, 157)가 주행하고, 상기 직선베드(11A,11B)에 속하는 급사구(G10∼G13)는 상기 직선안내부를 따라서 주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기.
  1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1C, 3C)에 속하는 급사구(G1∼G8)는 요동빔(201∼207)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기.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편기의 한쪽면에 배치된 제 1빔과 반대쪽에 배치된 제 2빔을 각각 구비한 적어도 2쌍의 요동빔이 있고, 각 쌍의 2개의 빔은 서로 위상이 대략 180°다른 왕복운동에 의해서 동시에 구동되고, 제 1쌍의 빔의 운동은 상기 제 2쌍의 대응하는 빔과 위상이 대략 90°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기.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각 빔은 4봉체인의 부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기.
  20.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각 직선베드(11A, 11B)는 2개의 공급부(A9', A9', A14', A14')를 가지고, 상기 공급부는 서로 위상이 대략 180°다른 왕복운동으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기.
  21.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실린더(501C, 503C)주위에, 하나이상의 급사구(601; 601A, 601B)가 따라서 이동하는 상기 2개의 직선베드(511A, 511B)를 따르는 폐쇄통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기.
  22. 제 21항에 있어서, 하나이상의 급사구((601, 601A, 601B)가 위치하고 상기 폐쇄통로를 규정하는 연속적인 가요성 요소(603)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기.
  23.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직선베드와 상기 2개의 실린더 위에는, 실(F1, F2)의 복수의 패키지(B1, B2)를 지닌 회전부재(593)가 있고, 상기 부재는 상기 폐쇄통로 둘레를 급사구(601; 601A, 601B)의 이동이 따르도록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기.
  24.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베드(511A, 511B)는 최고의 정점을 지닌 반전된 V자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기.
  25.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의 원형 베드와 직선베드 사이의 접합부에 실푸싱(yarn pushing) 요소(641)를 구비하고, 상기 실푸싱 요소는 몸체부를 형성하는 동안 상기 직선베드에서 실린더로 또는 실린더에서 직선베드로 실을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기.
  26.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베드(511A, 511B)위에 위치결정된 피벗흡인관(621A)을 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기.
  27.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통로 둘레의 상기 급사구(601; 601A, 601B)의 이동을 가변속도로 제어하는 엑추에이터수단(611)을 구비하고, 상기 속도는 직선베드를 따른 급사구의 통과시에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기.
  28.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실린더(501C, 503C)상에, 대략 실린더의 축방향으로 뻗은 각각의 중간 로커암(587)을 개재해서 각 링(501A; 503A)에 위치된 캠수단(589)에 의해 제어되는 복수의 싱커(581)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기.
  29.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베드(511A, 511B)의 니들(513)은 수평면으로부터 경사진 평면에 배치된 각 트릭(512)내를 미끄럼이동하고, 상기 니들(513)은 해당 니들(513)이 미끄럼이동하는 트릭(512)을 포함하는 평면보다 더 작은 각도로 수평면으로 형성한 경사면상에 놓인 트릭(563)내를 미끄럼이동하는 잭(561)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기.
  30.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잭은 기계적인 전달요소(567, 565)를 개재해서 니들(513)에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기.
  31.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요소는, 각 니들(513)에 대해서 로커암(567)과 로드(565)를 구비하고, 상기 로드는 니들작동캠에 의해서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기.
  32. 단일 동작에서 몸체부(C)와 한쌍의 다리부(L1, L2)를 구비한 편성가먼트를 생산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서로 인접하게 배열된 2개의 직물형성용 실린더(1C, 3C; 501C, 503C)상에 다리부의 단부에서 시작해서 평행하게 동시에 가먼트의 2개의 다리부(L1, L2)를 편성하는 단계와;
    b) 상기 실린더 사이에 삽입된 2개의 직선베드(11A, 11B; 511A, 511B)상에 몸체부(C) 마감영역을 편성하여, 실린더(1C, 3C; 501C, 503C)와 직선베드(11A, 11B; 511A, 511B)의 결합작용에 의해 상기 몸체부를 완성하는 단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성가먼트의 생산방법.
  33.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의 편성은 마감된 발가락부의 형성으로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성가먼트의 생산방법.
  34. 제 32항 또는 제 33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는 실린더(1C, 3C; 501C, 503C)의 회전으로 생성되는 반면, 몸체부를 형성하는 동안 상기 실린더는 정지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실린더(1C, 3C; 501C, 503C)의 니들작동요소(1F, 3F, A1∼A8; 501F, 503F)는 왕복운동으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성가먼트의 생산방법.
  35. 제 32항 또는 제 33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다리부(L1, L2)는 개별의 2열의 실로부터 형성되고, 몸체부를 형성하는 동안, 각 열로부터의 하나의 실은 상기 직선베드의 한쪽에 몸체부분(C5)의 형성에 참여하고, 각 열로부터의 다른 실은 상기 직선베드의 다른 쪽에 생성된 몸체부분(C6)의 형성에 참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성가먼트의 생산방법.
  36. 제 35항에 있어서, 하나의 특정 다리부(L1, L2)를 형성하는 각 열의 실은 2개군의 실로 나누어지고, 몸체부(C)를 형성하는 동안, 각 군은 관련된 실린더와 특정의 원형 베드의 일부분에서 작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성가먼트의 생산방법.
  37. 제 32항 또는 제 33항에 있어서, 각각의 다리부는 개별의 실의 열로부터 형성되고, 몸체부(C)를 형성하는 동안, 추가의 2열의 실이 직선베드의 한쪽에서 한쪽으로 그리고 한쪽에서 다른쪽으로 공급되어, 몸체부의 중간부분(C5, C6)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편성가먼트의 생산방법.
  38. 제 37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L1, L2)를 형성하는 각 열의 실은 2개군의 실로 나누어지고, 몸체부(C)를 형성하는 동안, 각 군은 관련된 실린더의 특정 원형 베드의 일부분에 작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성가먼트의 생산방법.
  39. 제 35항에 있어서, 적어도 1쌍의 실로 각 다리부를 형성하고 4개 부분에서 몸체부를 형성함으로써, 그중 2개 부분은 각각 적어도 1쌍의 실로 직선베드에서 생성되고, 나머지 2개 부분은 실린더에서 생성되고, 해당 실린더에 의해 생성된 각 부분은 전면영역과 후면영역으로 나누어지고, 각 영역은 적어도 1쌍의 실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성가먼트의 생산방법.
  40. 제 35항에 있어서, 각 쌍의 실의 2개의 실은 다른 특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성가먼트의 생산방법.
  41.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와 직선베드상에서 몸체부를 편성하는 동안, 상기 실린더와 상기 베드에 대한 폐쇄통로둘레를 이동하는 하나이상의 급사구에 의해서 해당 실린더의 니들 및 직선베드의 니들에 실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성가먼트의 생산방법.
  42. 제 4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C)를 형성하는 동안, 상기 직물형성용 실린더는 정지상태로 있고, 각각의 니들작동요소를 회전시킴으로써 직물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성가먼트의 생산방법.
  43. 제 41항 또는 제 4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C)를 형성하는 동안, 상기 급사구는 상기 폐쇄통로둘레를 연속운동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성가먼트의 생산방법.
  44. 2개의 다리부(L1, L2)와 몸체부(C)를 구비한 편성가먼트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페이스직물에 있어서의 2개의 측면부분(C1, C2; C3, C4)과, 리버스직물에 있어서의 앞부분(C5) 및 뒷부분(C6)인 2개의 중심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성가먼트.
  45. 제 44항에 있어서, 상기 각 측면부분(C1, C2; C3, C4)은 정면영역(C1, C3)과 후면영역(C2, C4)으로 세분되고, 이들 각 영역은 측선(B1, B2)을 따라서 결합되고, 상기 측면부분이 세분되어 있는 2개의 영역은 상기 측선(B1, B2)을 따라서 연결된 다른 실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성가먼트.
  46. 제 45항에 있어서, 상기 정면중심부(C5)는 2개의 실로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실도 측면부분(C1, C2; C3, C4)의 각 정면영역(C1, C3)의 형성에 참여하고, 상기 후면중심부(C6)는 상기 측면부분(C1, C2; C3, C4)의 각 후면영역(C2, C4)의 형성에 참여하는 2개의 실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성가먼트.
  47. 제 44항 또는 제 45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중심부분(C5, C6)은 측면부분(C1, C2; C3, C4)을 형성하는 실과는 다른 복수의 실로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심부분(C5, C6)을 형성하는 실은 측면부분(C1, C2; C3, C4)과 중심부분(C5, C6)사이의 4개의 연결선(B2, B3, B5, B6)을 따라서 측면부분(C1, C2; C3, C4)을 형성하는 실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성가먼트.
  48. 제 44항 또는 제 45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상기 측면부분(C1, C2; C3, C4)과 상기 중심부분(C5, C6)의 각각은 적어도 2개의 실로 형성되고, 각 부분의 2개의 실은 다른 특성을 가지고 스티치의 코스를 번갈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성가먼트.
KR1019997004039A 1996-11-06 1997-10-30 단일 생산 단계에서 단품중에 몸체부와 다리부를 구비한 편성가먼트를 생산하는 방법 및 기계 KR1003226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FI96A000262 1996-11-06
IT96FI000262 IT1286874B1 (it) 1996-11-06 1996-11-06 Metodo e macchina per la produzione di indumenti a maglia,comprendenti un corpino e gambali,in un'unica fase di produzione ed in un unico
ITFI97A000177 1997-07-24
IT97FI000177 IT1294827B1 (it) 1997-07-24 1997-07-24 Perfezionamenti ad un metodo e ad una macchina per la produzione di indumenti a maglia,comprendenti un corpino e gambali,in un'unica fas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3114A KR20000053114A (ko) 2000-08-25
KR100322635B1 true KR100322635B1 (ko) 2002-03-18

Family

ID=26330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4039A KR100322635B1 (ko) 1996-11-06 1997-10-30 단일 생산 단계에서 단품중에 몸체부와 다리부를 구비한 편성가먼트를 생산하는 방법 및 기계

Country Status (27)

Country Link
US (1) US6148642A (ko)
EP (1) EP0937166B1 (ko)
JP (1) JP2001503821A (ko)
KR (1) KR100322635B1 (ko)
CN (1) CN1079456C (ko)
AT (1) ATE213790T1 (ko)
AU (1) AU721610B2 (ko)
BG (1) BG103385A (ko)
BR (1) BR9712905A (ko)
CA (1) CA2265793A1 (ko)
CZ (1) CZ161299A3 (ko)
DE (1) DE69710753T2 (ko)
DK (1) DK0937166T3 (ko)
ES (1) ES2171910T3 (ko)
HU (1) HUP9903945A3 (ko)
IL (1) IL129776A (ko)
NO (1) NO313334B1 (ko)
NZ (1) NZ334928A (ko)
PL (1) PL184866B1 (ko)
PT (1) PT937166E (ko)
RU (1) RU2173360C2 (ko)
SK (1) SK61699A3 (ko)
TR (1) TR199900816T2 (ko)
TW (1) TW396225B (ko)
UA (1) UA53672C2 (ko)
WO (1) WO1998020192A1 (ko)
YU (1) YU2149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304689B1 (it) * 1998-10-05 2001-03-28 Golden Lady Spa Macchina perfezionata per la produzione di manufatti a magliacomprendenti un corpino e due gambali
CN101021028B (zh) * 2007-02-07 2010-06-30 孙平范 无缝内衣机的导纱喂纱装置
EP2224047B1 (de) * 2009-02-26 2012-10-31 Groz-Beckert KG Strickmaschine mit Strickkopf
ITFI20090090A1 (it) * 2009-04-30 2010-11-01 Conti P "indumento a maglia comprendente un corpino e due gambali, macchina e procedimento per produrlo"
IT1398620B1 (it) * 2009-07-10 2013-03-08 Conti P "metodo di tessitura di un indumento quale un collant o simile , macchina per attuarlo ed indumento cosi' prodotto"
US7793523B1 (en) * 2009-10-01 2010-09-14 Innovative Designs, LLC Circular knitting machine with bearing-stabilized cylinder
CN101935912B (zh) * 2010-07-23 2012-05-09 李鸣 一种全电脑高速丝袜机同步带调节装置
TWI473919B (zh) * 2011-08-19 2015-02-21 An Li Lai The Method and Structure of Cuffed Clothing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233733B (it) * 1989-08-10 1992-04-14 Lambda Srl Macchina per la produzione di manufatti a maglia finiti, del tipo dei collants o calzemutande
US5250340A (en) * 1990-08-31 1993-10-05 Bohnhoff William W Mat for stabilizing particulate materials
IT1246670B (it) * 1991-01-31 1994-11-24 Lambda Srl Macchina da maglieria per la produzione di collants (panty-hoses).
IT1265873B1 (it) * 1993-06-23 1996-12-12 Lambda Srl Macchina da maglieria per la produzione di calzemutande (collants, panty-hoses) e simili
IT1265877B1 (it) * 1993-07-02 1996-12-12 Lambda Srl Procedimento e macchina per la tessitura di manufatti tubolari a maglia con estremo chiuso, con fronture ad assetto modificato
IT1269062B (it) * 1994-05-17 1997-03-18 Golden Lady Spa Dispositivo per chiudere l'estremo iniziale di un manufatto a maglia, come un calzino od altro
IT1269117B (it) * 1994-06-16 1997-03-21 Golden Lady Spa Dispositivo per la automatica formazione iniziale di una punta chiusa in un manufatto tubolare a maglia su macchine da maglieria circolari
US5665063A (en) * 1994-06-24 1997-09-09 Focal, Inc. Methods for application of intraluminal photopolymerized gels
GB9412865D0 (en) * 1994-06-27 1994-08-17 Desoutter Ltd Impulse drive to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L129776A0 (en) 2000-02-29
DK0937166T3 (da) 2002-06-17
DE69710753D1 (de) 2002-04-04
US6148642A (en) 2000-11-21
UA53672C2 (uk) 2003-02-17
HUP9903945A3 (en) 2003-12-29
NO992192D0 (no) 1999-05-05
HUP9903945A2 (hu) 2000-03-28
CA2265793A1 (en) 1998-05-14
ATE213790T1 (de) 2002-03-15
AU721610B2 (en) 2000-07-13
TW396225B (en) 2000-07-01
EP0937166A1 (en) 1999-08-25
TR199900816T2 (xx) 1999-07-21
CN1234082A (zh) 1999-11-03
BR9712905A (pt) 2000-03-21
NZ334928A (en) 2001-02-23
NO313334B1 (no) 2002-09-16
PT937166E (pt) 2002-07-31
KR20000053114A (ko) 2000-08-25
IL129776A (en) 2001-12-23
EP0937166B1 (en) 2002-02-27
WO1998020192A1 (en) 1998-05-14
BG103385A (en) 1999-12-30
RU2173360C2 (ru) 2001-09-10
PL333243A1 (en) 1999-11-22
SK61699A3 (en) 2000-01-18
DE69710753T2 (de) 2002-08-14
AU4883497A (en) 1998-05-29
JP2001503821A (ja) 2001-03-21
CN1079456C (zh) 2002-02-20
PL184866B1 (pl) 2003-01-31
NO992192L (no) 1999-05-05
CZ161299A3 (cs) 1999-08-11
ES2171910T3 (es) 2002-09-16
YU21499A (sh) 1999-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2635B1 (ko) 단일 생산 단계에서 단품중에 몸체부와 다리부를 구비한 편성가먼트를 생산하는 방법 및 기계
WO2011042299A1 (en) Circular knitting machine for manufacturing items of clothing of the seamless type, with increased functionality
US5020340A (en) Circular textile machine for simultaneously forming a plurality of tubular knitted articles such as panty-hose (tights) and the like
US5127240A (en) Machine for the production of finished knitted articles, of the type of tights or panty-hose
CN1780950B (zh) 带有改进的针驱动的、尤其是中等直径型式的圆形针织机
RU99112134A (ru) Способ и машина для производства вязаных предметов одежды, содержащих основную часть и паголенки, одним этапом производства и единым предметом
US3399551A (en) Circular knitting machine for manufacture of stockings
US2290147A (en) Circular knitting machine
US4221120A (en) Multiple needle cylinder hosiery knitting machine
CN1008280B (zh) 制造连裤袜及类似织物的工艺及圆型针织机
CN1045823A (zh) 针织机中选择和控制针的机械结构和用于该结构的针
WO1995000689A1 (en) Knitting machine for the production of tights (pantihose) and the like
ITFI960262A1 (it) Metodo e macchina per la produzione di indumenti a maglia,comprendenti un corpino e gambali,in un'unica fase di produzione ed in un unico
KR100502434B1 (ko) 의류용 환편기의 루프 긴장장치
JPH0577777B2 (ko)
ITMI981178A1 (it) Procedimento ed apparecchiatura per l'alimentazione contemporanea di almeno due fili in macchine circolari per maglieria o calzetteria a
ITTO950932A1 (it) Unita' di formazione di maglia
ITFI970177A1 (it) Perfezionamenti ad un metodo e ad una macchina per la produzione di indumenti a maglia,comprendenti un corpino e gambali,in un'unica fase
ITBS990006A1 (it) Procedimento ed apparecchiatura per la cessione selettiva di punti dimaglia tra aghi operanti trasversalmente tra loronin macchine tessili
ITBS20000108A1 (it) Gruppo guidafilo per macchine circolari da calzetteria e maglier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