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2370B1 - 아아크 용접용 플럭스 충전 와이어 - Google Patents

아아크 용접용 플럭스 충전 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2370B1
KR100322370B1 KR1019990040869A KR19990040869A KR100322370B1 KR 100322370 B1 KR100322370 B1 KR 100322370B1 KR 1019990040869 A KR1019990040869 A KR 1019990040869A KR 19990040869 A KR19990040869 A KR 19990040869A KR 100322370 B1 KR100322370 B1 KR 1003223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welding
flux
zinc powder
ar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0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8565A (ko
Inventor
김우열
김보국
한종열
박상민
Original Assignee
이봉주
현대종합금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봉주, 현대종합금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봉주
Priority to KR10199900408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2370B1/ko
Publication of KR20010028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85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2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23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0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e.g. shape
    • B23K35/0255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e.g. shape for use in welding
    • B23K35/0261Rods, electrodes, wires
    • B23K35/0266Rods, electrodes, wires flux-cor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metallic Weld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아크 용접용 플럭스 충전 와이어에 관한 것이며, 그 목적하는 바는 구리도금 또는 산화 열처리 하지 않은 아아크 용접용 플럭스 충전 와이어 외피 표면에 일정량의 아연분말이 함유되도록 함으로서, 송급성 및 통전성이 향상된 아아크 용접용 플럭스 충전 와이어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아아크 용접용 플럭스 충전와이어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의 표면은 구리도금 및 산화열처리가 되지 않고, 아연분말을 함유하는 윤활제에 의해 도포되어 있으며, 이때 상기 아연분말은 0.001∼0.05g/m2의 부착량으로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아크 용접용 플럭스 충전와이어에 관한 것을 그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아아크 용접용 플럭스 충전 와이어{Electrodes for Flux Cored Arc Welding}
본 발명은 아아크 용접에 사용되는 플럭스 충전 와이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플럭스 충전 와이어의 외피 표면에 일정량의 아연분말을 함유시킴으로서, 통전성을 향상시킴과 함께, 송급저항을 감소시키고, 방청성을 향상시킨 아아크 용접용 플럭스 충전 와이어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구리도금되지 않은 플럭스 충전 와이어를 제조후 약 300∼400℃에서 장시간 산화 열처리하여 플럭스 충전 와이어 외피 표면에 잔존하는 윤활제를 탄화시켜, 저온 철산화물 또는 질화물등을 형성한 단단하고 검은 표피층을 보호피막으로 하여, 외부와의 접촉에 의해 발생하는 녹을 방지하고, 마찰저항의 감소에 따른 송급저항을 감소시키는 기술이 일반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산화 열처리한 플럭스 충전 와이어는 산화 열처리전 신선과정에서 윤활제가 불균일하게 분포되어짐으로 인해, 외피 표면의 표피층을 구성하는 탄화물과 저온 철산화물 또는 질화물등이 일정한 형태로 분포되기 어려웠다. 그 뿐만 아니라, 산화 열처리중 대용량 보빈에 두루 감겨져 있음으로 인해, 플럭스 충전 와이어의 처음에 감긴 안쪽 부위와 나중에 감긴 바깥부위의 열전달 시간과 온도차이 영향으로 산화 열처리 정도가 매우 다르게 나타남으로 인해, 외피 표면은 불안정하고 불규칙한 표피층으로 덥혀져서, 용접작업시 불규칙한 송급저항으로 아아크가 불안정하거나 용접용 팁과 플럭스 충전 와이어 외피 표면과의 통전성이 일정하지 않아 용접용 팁에 플럭스 충전 와이어 전극이 녹아 붙거나 용접작업이 중단되는 문제가 항상 지적되어 왔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일본국 특개평 3-285794호에서는 플럭스 충전 와이어 외피 내에, 플럭스를 진공상태에서 충전하여 산화열처리 하지 않고 신선가공하는 제조방법을 제시하고 있으며, 일본국 특개평 4-262894호에서는 외피의 봉합 부위를 고주파 용접하여 용접부와 비용접부의 경도차이를 감소시켜 중간열처리를 생략하는 제조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방법은 단지 산화열처리 공정을 생략하여 제조비용을 감소시키는 목적으로는 다소 효과가 있을 수 있으나, 문제점의 근본적인 해결책은 제시하고 있지 않다.
한편, 통전성을 향상시켜 송급성을 해결하고자 하는 방법은 이전에 이미 일본국 특공소 59-13957호, 특공소 55-141395호에서 분말상의 이황화몰리브덴 또는 이황화텅스텐을 플럭스 충전 와이어 외피에 도포하는 방법이 제시되고, 통전성 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이황화몰리브덴과 이황화텅스텐 보다 통전성이 우수한 그라파이트를 첨가하는 방법이 제시되어 있다. 그런데, 그라파이트의 비저항은 4.1×10-3Ω㎝으로서 이황화몰리브덴 또는 이황화텅스텐에 비하여 양호한 통전성을 보이나 플럭스 충전 와이어의 외피로 사용되어지는 철의 비저항(9.8×10-6Ω㎝)에 비하여는 매우 떨어져 지기 때문에 통전성 저하로 인한 문제점도 근본적으로 해결되지 않았다.
이러한 문제점은 용접용 팁으로 부터 플럭스 충전 와이어에 통전되는 용접전류의공급을 안정하게 할 수 없으며, 결국에는 불안정한 아아크로 정상적인 용접작업을 방해하는 인자로 작용하고, 장시간 용접작업에 있어서 용접용 팁의 마모현상은 현저히 증가되어 아아크의 단락과 함께 용접작업이 중단되는 현상도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하는 바는 구리도금 또는 산화 열처리 하지 않은 아아크 용접용 플럭스 충전 와이어 외피 표면에 일정량의 아연분말이 함유되도록 함으로서, 송급성 및 통전성이 향상된 아아크 용접용 플럭스 충전 와이어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으며, 또한 구리도금 또는 산화 열처리 하지 않은 아아크 용접용 플럭스 충전 와이어 외피 표면에, 이황화몰리브덴 또는 이황화텅스텐등이 함유된 신선용 윤활제에 아연분말을 혼합하여 도포함으로서, 송급저항의 감소 및 통전성 향상에 따른 아아크 안정성 및 방청성을 동시에 만족하는 아아크 용접용 플럭스 충전 와이어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용접작업의 일례를 보이는 모식도
도 2는 송급성을 측정한 그래프
도 3은 용접용 팁의 마모상태를 보이는 사진
도 4는 용접용 팁의 마모상태를 마모율로 계산하기 위한 분할선을 표시한 사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용접재 2 ... 송급장치 3 ... 송급롤러
4 ... 높이 600mm 5 ... 지름 15cm 6 ... 6m 송급케이블
7 ... 용접용 토치 8 ... 피용접재 10 .. 폭 750mm
11 .. 용접전압(×1V) 12 .. 용접전류(×1kA)
13 .. 송급모터의 부하전류 (×10A)
본 발명자들은 구리도금 및 산화 열처리 하지 않은 아아크 용접용 플럭스 충전 와이어 표면에 적당량의 아연분말이 균일하게 존재하고 있을 때에는 송급저항이 감소하여 양호한 송급성을 보이고, 또한 팁-와이어간의 통전 안정성이 확보됨에 따라 아아크의 안정화가 달성된다는 것을 알아내었다. 이때, 아연분말을 상기 와이어표면에 0.001g/m2에서 0.05g/m2의 범위로 함유시켰을 때 통전 안정성과 송급성능 향상에 매우 효과적이었고, 보다 우수한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이황화몰리브덴 또는/및 이황화텅스텐을 0.005g/m2에서 0.1g/m2의 범위로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였다. 이는 아연의 비저항(5.9×10-6Ω㎝)이 그라파이트 또는 외피 철의 비저항치 보다 우수하기 때문인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관점으로부터 출발한 본 발명은 아아크 용접용 플럭스 충전와이어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의 표면은 구리도금 및 산화열처리가 되지 않고, 아연분말을 함유하는 윤활제에 의해 도포되어 있으며, 이때 상기 아연분말은 0.001∼0.05g/m2의 부착량으로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아크 용접용 플럭스 충전와이어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아연분말이 아아크 용접용 플럭스 충전 와이어 단위 표면적에 대해 0.001g/m2에서 0.05g/m2으로 부착되도록 한다.
상기 아연분말의 부착량이 0.001g/m2보다 작으면, 아연분말을 부착시킴으로서 얻어지는 효과 즉, 아아크 안정성 향상 및 송급저항의 감소, 방청성에 대한 효과기 미미하고, 0.05g/m2보다 많으면, 아연 산화물의 증가와 더불어 아연 특유의 슬라이딩성이 감소되어 오히려 송급을 방해하는 인자로 작용하고, 송급의 안정성을 확보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용접시 발생하는 슬라그의 유동성을 방해하여 부정형의 비이드를 형성한다. 따라서, 아연분말의 부착량을 상기 와이어 단위 표면적에 대해 0.001g/m2에서 0.05g/m2으로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아연분말은 그 입자크기가 3.5㎛ 에서 45㎛인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공업적으로 유용한면도 있으나, 너무 작으면 비산되는 경향을 보이고, 너무 크면 이탈되어 부착효과가 떨어지기 때문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보다 우수한 통전 안정성과 송급성능을 얻기 위해, 와이어 표면에 상기와 같은 아연분말을 적용함과 동시에, 와이어 표면에 이황화몰리브덴 또는/및 이황화텅스텐을 함유한 윤활제를 적용할 수도 있다.
상기 이황화몰리브덴과 이황화텅스텐은 단독 또는 복합으로 함유된 것을 적용할 수 있으며, 부착량은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상기 와이어 표면에, 단위 표면적당 0.005∼0.1g/m2의 범위로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황화몰리브덴 또는/및 이황화텅스텐의 부착량이 0.005g/m2보다 적으면 첨가효과가 너무 미미하여 송급성능의 향상효과가 적고, 0.1g/m2보다 많으면 콘듀이트튜브내의 스프링 라이너에 축적되어 송급을 방해하는 경우가 발생하거나 와이어 표면의 부식성 증가, 용접금속의 고온균열성 등을 증가시키는 경향을 보이기 때문이다.
상기 이황화몰리브덴 또는/및 이황화텅스텐을 적용하는 방법의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방법들을 들 수 있다.
즉, 칼슘계 윤활제를 이용하여 신선하는 과정을 거치고, 석유계 방청제를 이용하여 신선하는 과정을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거친후, 이황화몰리브덴 또는/및 이황화텅스텐을 주성분으로 하는 윤활제를 이용하여, 아연분말이 와이어 표면에 부착되도록 하는 방법과, 칼슘계 윤활제를 이용하여 신선하는 과정을 거치고, 석유계 방청제에 그라파이트, 이황화몰리브덴 또는 이황화텅스텐, 아연분말등을 적절히 배합하여 와이어 표면에 부착되도록 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때, 상기 이황화몰리브덴 또는/및 이황화텅스텐을 주성분으로 하는 윤활제는 그라파이트를 함유하고, 이황화몰리브덴 또는/및 이황화텅스텐과 그라파이트가 도포 윤활제의 총중량당 각각 2-15wt%가 함유된 것으로 칼슘스테아린산계 윤활제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칼슘스테아린산계 윤활제는 와이어의 신선성 향상과 강한 산성을 나타내는 이황화몰리브덴 또는/및 이황화텅스텐의 부착량 제어에 유리하고, 석유계 방청제는 상기 이황화몰리브덴 또는/및 이황화텅스텐과 그라파이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윤활제와 아연분말을 분산시킴과 동시에, 와이어 표면에 골고루 덮혀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도포 윤활제는 휘발성이 강한 액체의 석유계 방청제가 도포 윤활제의 총중량당1-5wt%에 이황화몰리브덴 또는 이황화텅스텐과 그라파이트가 각각 2-15wt%가 함유된 윤활제와 아연분말이 0.5-10wt%가 함유되도록 분산시킨 것이다. 나머지는 이황화몰리브덴 또는/및 이황화텅스텐과 그라파이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윤활제에 포함되는 칼슘스테아린산이 대부분이며, 기타 탄소화합물 및 지방산 유기물등이 일부 존재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일반적인 아아크 용접용 플럭스 충전 와이어를 제조함에 있어, 우선, 연강제 외피에 플럭스를 충전한 플럭스 충전 와이어를 제조하고, 칼슘계 윤활제를 이용하여 소정의 선경으로 신선한 다음, 상기 표면에 아연분말이 함유된 여러종류의 도포 윤활제를 이용하여, 하기 표1과 같은 부착량으로 아연분말 및 이황화몰리브덴 또는/ 및 이황화텅스텐이 부착되도록 도포하여 플럭스 충전 와이어를 얻었다.
얻어진 플럭스 충전 와이어의 여러가지 특성 및 물성치를 측정하였는데, 다음에서는 ①아연, 이황화몰리브덴 또는/및 이황화텅스텐 부착량의 측정, ②연속용접성과 연속용접시 용접용 팁 마모율(δ%)의 조사, ③방청성 조사로 구분하여, 그 측정방법과 측정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그 측정결과를 비교하기 위해, 하기 표1에 나타내었다.
(아연 및 이황화몰리브덴 또는 이황화텅스텐 부착량의 측정)
아연 및 이황화몰리브덴 또는 이황화텅스텐의 부착량를 측정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즉, ①우선 플럭스 충전 와이어에서 길이가 25cm의 시험편을 4개 잘라내어, 용매 (클로로포롬)에 적신 탈지면으로 상기 시험편의 표면을 씻어냈다. 이 경우에 매회 새탈지면을 사용하여 시험편 표면의 씻어내기를 5회 반복하였다.
②시험편 표면의 씻어내기에 사용한 탈지면을 50g의 왕수(HCl(36중량%) 12.8g + HNO3(60중량%) 37.16g)에 용해하여 70℃의 온도로 가열하였다.
③이 용액에 씻어내기에 사용한 탈지면을 넣은 용기를 세정한 세정액을 150mg (50 mg씩 3회) 더하고 증류수를 첨가하여 1000ml로 하였다.
④이 용액중의 아연, 몰리브덴 또는 텅스텐 농도를 유도결합 플라즈마(ICP) 법에 의 해 측정하였다.
⑤측정에 의해 얻은 아연, 몰리브덴 또는 텅스텐 농도에서 와이어 표면의 단위 표면 적(1m2)당의 아연과 이황화몰리브덴 또는 이황화텅스텐 함량을 산출 하였다. 이 경우에 와이어의 공칭지름을 반경으로 하여 계산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산출된 아연 및 이황화몰리브덴 또는 이황화텅스텐 값은 하기 표1에 나타내었다.
(연속용접성과 용접시 용접용 팁의 평균마모율(δ%)의 조사)
도 1과 같은 용접장치를 준비하여, 이 용접장치는 송급장치(2)에 플럭스 충전 와이어(1)를 장착하고, 송급롤러(3)에 의해 콘듀이트 튜브(6)로 플럭스 충전 와이어가 이송되면서 용접용 토치(7)의 팁을 통과함으로서 피용접재(8)에 용접이 된다. 이때, 콘듀이드 튜브(6)가 굴곡을 갖고 있어 플럭스 충전 와이어 송급시 송급롤러(3)를 회전시키는 송 급모터의 부하전류가 증가한다.
도 1과 같은 장치를 이용하여, 적정 용접조건에서 15분과 60분 동안 연속용접하여, 각각의 송급성을 ◎(우수) > ○(양호) > △(보통) > ×(용접불가)와 같은 순으로 평 가하여 하기 표1에 보이고, 또한 용접전류(×1kA)(12) 및 용접전압(×1V)(11)의 변동과 송급모터의 부하전류(×10A)(13)를 디지탈 오실로그래픽 레코더(Digital Oscillo- graphic Recorder)로 측정하여, 얻어진 송급모터의 부하전류와, 송급저항편차(ΔC)를 계산 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1에 나타내었고, 하기 표1에서 본 발명의 일례에 대한 오실 로그래픽 레코더의 결과치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또한, 연속용접시 용접용 팁의 평균마모율(δ%)도 동시에 측정하고 변화율을 하기 표1에 나타내었다. 이때, 용접후 팁의 평균마모율(δ%)을 측정 하기 위해 도 3과 같은 마모부위의 종단면을 10배율로 확대하여, 도 4와 같이 마이크로 스케일로 마모된 팁의 내경을 측정하고 하기 수학식 1로 부터 평균마모율(δ%)을 산출 하였다. 도 3 및 도 4에서 (a)는 종래품이며 (b)는 본 발명에 의한 것이다.
(여기서, δ: 연속용접시 용접용 팁의 평균마모율(%),
Φa: 용접전 용접용 팁의 초기내경(mm),
Φb: 용접후 용접용 팁의 나중내경(mm),
n: 용접용 팁의 내경을 등분한 횟수)
이와같은 측정으로 플럭스 충전 와이어를 칼슘계 신선용 윤활제로 신선후 아연분말을 함유한 윤활제를 플럭스 충전 와이어에 도포하므로서, 플럭스 충전 와이어 표면에 아연분말이 와이어 단위 표면적에 대해 0.001g/m2에서 0.05g/m2으로 부착되어 있어 용접작업시 송급모터의 부하전류가 1.6A 이하로 송급저항이 감소하였다. 이는 하기 표1로 부터도 알 수 있었다. 아연분말의 부착량(g/m2)이 높으면 송급시 콘듀이트 튜브내의 스프링 라이너에서 아연분말이 축적되거나, 아연 산화물의 증가와 더불어 아연 특유의 슬라이딩성이 감소되어 오히려 송급을 방해하는 인자로 작용하고, 아연분말의 부착량(g/m2)이 적을 경우는 그 효과가 너무 미미하여 도 1의 복잡한 용접조건에서는 송급의 안정성을 확보하기가 어렵다. 특히, 아연분말이 부착됨과 동시에, 이황화몰리브덴 또는/및 이황화텅스텐이 와이어 단위 표면적에 대하여 0.005g/m2에서 0.1g/m2으로 부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보다 우수한 효과를 보였다.
또한, 아연분말과 이황화몰리브덴 또는 이황화텅스텐의 부착유무에 따라 송급모터의 부하전류(×10A)는 큰 차이가 있으며, 용접전 와이어 송급시 송급모터의 부하전류(A)와 용접시 송급모터의 부하전류(A)의 편차인 송급저항편차(ΔC)도 크게 발생 하였다.
다음은 용접전 와이어 송급시 송급모터의 부하전류(A)와 용접시 송급모터의 부하전류(A)의 편차인 송급저항편차(ΔC)에 대한 관계이다. 상기 송급저항편차는 하기 수학식 2와 같이 구할 수 있는 것이다.
ΔC(A) = Csf(A) - Cnf(A)
(여기서, ΔC:송급저항편차(A),
Csf:용접시 송급모터의 부하전류(A)
Cnf:용접전 와이어 송급시 송급모터의 부하전류(A))
도 1의 인위적인 까다로운 송급조건을 연출하여 자동화, 고속화되고 있는 복잡한 구조물에 장시간 연속용접시 상기식 2에서 Csf(A)와 ΔC(A)값이 낮아야만 가능하다는 것은 하기 표1로 부터 분명하다. 장시간 연속용접시 용접팁의 평균마모율(δ%) 역시 10% 이내로 향상되었다. 이는 하기표1의 용접용 팁의 평균마모율(δ%)이 증가할 때 용접용 와이어와 용접용 팁간의 불안정한 통전성으로 용접전류(×1kA)(12)와 용접전압(×1V)(11)의 변동폭이 커짐에 따라 용접 아아크도 불안정하게 되어 장시간 연속용접이 어려워 진다. 따라서, 하기 표1의 결과로 부터 용접용팁의 평균마모율(δ%)을 10% 이내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근본적으로 연속용접성과 용접용 팁의 마모율(δ%)은 아연과 이황화몰리브덴 또는/및 이황화텅스텐의 부착량에 따라 큰 차이가 있는 것이 명백함으로, 하기 표1로 부터 아연의 부착량을 0.001g/m2에서 0.05g/m2으로 한정하였다. 또한, 이황화몰리브덴 또는 이황화텅스텐에 의한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부착량을 0.005g/m2에서 0.1g/m2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였다. 아연분말과 이황화몰리브덴 또는/및 이황화텅스텐 부착량의 변화와 부착 유무에 따라 연속용접성을 조사하였으나, 그 양이 많을 경우 콘듀이트 튜브내의 스프링 라이너에 축적되어 송급을 방해하며, 적을 경우 부착 본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으므로 부착량을 상기와 같이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송급모터의 부하전류가 높거나, 송급저항 편차인 ΔC가 클 경우 안정적인 용접 아아크성과 연속용접성을 기대할 수 없게 되므로 송급모터의 부하전류(13)는 1.5A 이하로, ΔC(A)는 0.3A이하로 하는 것이 가장 좋으며, 만족할 만한 값으로는 송급모터의 부하전류(13)는 1.6A 이하, ΔC(A)는 0.8A이하이다.
(방청성 조사)
얻어진 플럭스 충전 와이어를 50℃-80%상대습도-72시간의 항온항습 조건 으로 방치 후, 방청성을 조사하여 그 결과를 ◎(우수) > ○(양호) > △(발청되었으 나 용접가능) > ×(발청이 심하여 용접불가)와 같은 순으로 평가하여 하기 표1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아아크 용접용 플럭스 충전 와이어는 도금 또는 산화 열처리하지 않은 플럭스 충전 와이어 외피 표면에 아연분말과, 이황화몰리브덴 또는/및 이황화텅스텐이 적량 혼합되어 부착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므로 상온에서 대단히 불안정 하며, 공기중의 수분과 반응하여 녹발생이 유도될 수 있다. 특히, 강한 산성을 나타내는 이황화 몰리브덴 또는 이황화텅스텐의 유황성분은 녹발생을 가속화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조방법중 칼슘스테아린산계 윤활제를 이용하여 신선하고 석유계 방청제에 칼슘스테아린산이 함유된 이황화몰리브덴 또는 이황화텅스텐계 윤활제를 사용하므로 유황 성분의 강한 산성을 중화하는 작용을 한다. 또, 일정량의 아연 분말이 연강제 외피에 부착되어 있을 때, 아연분말은 전극전위차에 의한 소모전극으로 역할을 하게 되므로 녹 발생을 억제 하거나 지연시키는 작용을 한다.
구 분 아연부착량(g/m2) 이황화몰리브덴의 부착량(g/m2) 이황화텅스텐의부착량(g/m2) 송급모터의부하전류(A) ΔC(A) 송급성 방청성 δ(%)
15분 60분
발명예1 0.009 0.053 - 0.90 0.2 6.7
발명예2 0.015 0.062 - 1.0 0.2 7.5
발명예3 0.021 0.057 - 1.1 0.3 5.4
발명예4 0.010 0.072 - 1.0 0.2 6.3
발명예5 0.025 - 0.055 0.9 0.2 3.2
발명예6 0.012 - 0.042 1.0 0.2 5.0
발명예7 0.011 - 0.053 1.1 0.3 7.1
발명예8 0.020 - 0.049 1.0 0.2 6.5
발명예9 0.019 0.025 0.025 0.9 0.2 3.7
비교예1 미부착 미부착 미부착 2.3 0.8 × 15.3
비교예2 미부착 미부착 미부착 2.0 0.9 × 17.2
비교예3 미부착 미부착 미부착 1.9 0.9 20.3
비교예4 미부착 0.047 - 1.2 0.5 13.2
비교예5 미부착 0.048 - 1.3 0.4 15.0
비교예6 미부착 - 0.063 1.4 0.5 14.7
발명예10 0.025 미부착 미부착 1.6 0.7 16.8
발명예11 0.029 미부착 미부착 1.6 0.8 15.7
발명예12 0.024 미부착 미부착 1.4 0.6 18.8
비교예7 0.092 0.063 - 1.0 0.2 13.3
비교예8 0.087 0.069 - 1.1 0.2 16.4
비교예9 0.095 - 0.055 0.9 0.3 × 22.7
상기 표1에서 알 수 있는바와 같이, 아연의 부착량이 본 발명을 만족하고, 이황화몰리브덴 또는/및 이황화텅스텐이 부착량이 본 발명을 만족하는 아아크 용접용 플럭스 충전 와이어인 발명예(1-9)는 연속 용접에서 송급성이 매우 우수 하였으며, 송급모터의 부하전류(A), 송급저항편차(ΔC)등이 매우 낮은 수치를 보여 아아크 안 정성과 통전성 또, 통전안정성이 우수함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방청성 과 용접용 팁의 평균 마모율(δ)도 전반적으로 우수하여 본 발명의 효과를 입증하고 있다.
또한, 아연의 부착량이 본 발명을 만족하고, 이황화몰리브덴 또는/및 이황화텅스텐의 부착이 없는 경우인 발명예(10-12)는 상기 물성에 있어 발명예(1-9)에 비하여다소 열악하기는 하였지만, 우수한 물성을 보였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도금 및 산화 열처리 하지 않은 플럭스 충전 와이어 외피 표면에 부착된 윤활제에 일정량의 아연분말과 이황화몰리브덴 또는 이황화텅스텐이 함유되도록 함으로서, 용접시 용접용 와이어의 송급이 보다 우수해지고, 또한 통전성 및 통전안정성이 향상되어 우수한 용접제품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용접용 와이어는 아아크 용접용 플럭스 충전 와이어 뿐만 아니라, 아아크 용접용 솔리드 와이어에도 적용할 수 있다.

Claims (2)

  1. 아아크 용접용 플럭스 충전와이어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의 표면은 구리도금 및 산화열처리가 되지 않고, 아연분말을 함유하는 윤활제에 의해 도포되어 있으며, 이때 상기 아연분말은 0.001∼0.05g/m2의 부착량으로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아크 용접용 플럭스 충전와이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제에는 이황화몰리브덴과 이황화텅스텐이 단독 또는 복합으로 함유되며, 상기 단독 또는 복합으로 함유되는 이황화몰리브덴과 이황화텅스텐이 상기 와이어의 표면에 0.005∼0.1g/m2의 부착량으로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아크 용접용 플럭스 충전 와이어.
KR1019990040869A 1999-09-22 1999-09-22 아아크 용접용 플럭스 충전 와이어 KR1003223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0869A KR100322370B1 (ko) 1999-09-22 1999-09-22 아아크 용접용 플럭스 충전 와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0869A KR100322370B1 (ko) 1999-09-22 1999-09-22 아아크 용접용 플럭스 충전 와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8565A KR20010028565A (ko) 2001-04-06
KR100322370B1 true KR100322370B1 (ko) 2002-02-07

Family

ID=19612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0869A KR100322370B1 (ko) 1999-09-22 1999-09-22 아아크 용접용 플럭스 충전 와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23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4226A (ko) * 2002-09-13 2004-03-20 케이알정밀 주식회사 불활성가스 교대 공급장치의 가스교대혼합기 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69604A (en) * 1973-10-04 1976-07-13 Ford Motor Company Method of welding galvanized steel
JPS58132392A (ja) * 1982-01-30 1983-08-06 Sumikin Yousetsubou Kk 黄銅ろう材
JPS58163594A (ja) * 1982-03-24 1983-09-28 Sumitomo Metal Ind Ltd 鋼材溶接部の耐低温割れ性を改善する方法
KR970000426A (ko) * 1995-06-30 1997-01-21 이형도 무연땜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69604A (en) * 1973-10-04 1976-07-13 Ford Motor Company Method of welding galvanized steel
JPS58132392A (ja) * 1982-01-30 1983-08-06 Sumikin Yousetsubou Kk 黄銅ろう材
JPS58163594A (ja) * 1982-03-24 1983-09-28 Sumitomo Metal Ind Ltd 鋼材溶接部の耐低温割れ性を改善する方法
KR970000426A (ko) * 1995-06-30 1997-01-21 이형도 무연땜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4226A (ko) * 2002-09-13 2004-03-20 케이알정밀 주식회사 불활성가스 교대 공급장치의 가스교대혼합기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8565A (ko) 200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819893A (ja) アーク溶接用ワイヤ
KR100322370B1 (ko) 아아크 용접용 플럭스 충전 와이어
JP3813360B2 (ja) 溶接用ワイヤ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181214B1 (ko) 동도금된 가스 실드 아크 용접용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0107881A (ja) 溶接用ワイヤ
JP4020903B2 (ja) 炭酸ガスシールドアーク溶接用銅めっきワイヤ
US3211883A (en) Arc welding with arc stabilizing additives
JP3753173B2 (ja) ガスシールドアーク溶接用鋼ワイヤ
KR100502039B1 (ko) 용접용 솔리드 와이어
JP3876182B2 (ja) ガスシールドアーク溶接用ワイヤ
JP3830409B2 (ja) 溶接用ソリッドワイヤ
JP3584894B2 (ja) ガスシールドアーク溶接用鋼ワイヤ
JPS5913956B2 (ja) 溶接用ワイヤ
JP2000094178A (ja) メッキ無し溶接用ワイヤ
KR100668170B1 (ko) 내청성 및 송급성이 우수한 가스실드아크용접용 베이크드플럭스코어드와이어 및 그 제조방법
JP2672153B2 (ja) 溶接用ワイヤ
JP4079292B2 (ja) 溶接ワイヤ伸線用固体潤滑剤およびフラックス入り溶接ワイヤ
KR100798493B1 (ko) 가스실드아크용접용 무도금 솔리드와이어 조립체 및 이를 사용한 용접방법
KR20060062458A (ko) 가스 실드 아크 용접용 도금 와이어
JPS649117B2 (ko)
JPH0523731A (ja) 溶接ワイヤ伸線用潤滑剤およびフラツクス入り溶接ワイヤ
JP2008043990A (ja) Ar−CO2混合ガスシールドアーク溶接用銅めっきソリッドワイヤ
JP5001576B2 (ja) 銅めっき付き溶接用ワイヤ
JP2001300761A (ja) アーク溶接用ワイヤ
JP3684489B2 (ja) 溶接用ワイ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