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0544B1 -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0544B1
KR100320544B1 KR1019940008456A KR19940008456A KR100320544B1 KR 100320544 B1 KR100320544 B1 KR 100320544B1 KR 1019940008456 A KR1019940008456 A KR 1019940008456A KR 19940008456 A KR19940008456 A KR 19940008456A KR 100320544 B1 KR100320544 B1 KR 1003205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ain body
imaging unit
optical system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8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오다까요시미쓰
Original Assignee
구보 미츠오
도시바 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보 미츠오, 도시바 테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구보 미츠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0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05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42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guiding and mounting the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alignment, locks
    • G03G21/1853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guiding and mounting the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alignment, locks the process cartridge being mounted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the photosensitive memb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 G03G15/04036Details of illuminating systems, e.g. lamps, reflectors
    • G03G15/04045Details of illuminating systems, e.g. lamps, reflectors for exposing image information provided otherwise than by direct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to the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e.g. digital copiers
    • G03G15/04072Details of illuminating systems, e.g. lamps, reflectors for exposing image information provided otherwise than by direct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to the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e.g. digital copiers by las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involving the combination of more than one step according to groups G03G13/02 - G03G13/20
    • G03G15/3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involving the combination of more than one step according to groups G03G13/02 - G03G13/20 in which the charge pattern is formed dotwise, e.g. by a thermal head
    • G03G15/32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involving the combination of more than one step according to groups G03G13/02 - G03G13/20 in which the charge pattern is formed dotwise, e.g. by a thermal head by application of light, e.g. using a LED arra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2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 G03G21/1638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directed to paper handling or jam treat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 G03G15/04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with means for controlling illumination or exposure
    • G03G15/043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with means for controlling illumination or exposure by introducing an optical element in the optical path, e.g. a filt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3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the developer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3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the exposure unit

Abstract

본 발명은 감광체등의 상유지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의 화상형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 장치본체에 대하여 적어도 상유지체, 토너박스를 구비한 현상기를 갖는 작상유닛을 부착이탈할 수 있는 것에 있어서, 작상유닛의 이탈에 의한 내부확인 및 잼용지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고, 또, 소형화를 실현하기 위한 것으로, 장치본체(51)내의 후방에서부터 급지부(53), 광학제유닛(54)을 순서대로 종배열로 하여 수납하고, 대전기 (66), 감광체(65) 및 토너박스(68)를 구비한 현상기(67)를 일체화한 작상유닛(64)을 장치본체의 상측에 부착이탈 자유롭게 설치하고, 그 작상유닛(29)의 토너박스(68)를, 그 배면부를 상기 광학계유닛(54)에 따라 또, 그 전면부를 상기 광학제유닛(54)에서의 주사광이 경사상방향에서 감광체에 입사하는 광로(77)에 따르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며, 본 발명은 레이저프린터나 복사기등에 적용된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
본 발명은 감광체드럼등의 상유지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의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종류의 화상형성장치는 감광드럼을 설치함과 동시에 이 감광드럼의 주위에 대전기, 현상기, 전사기, 제전기등을 배치하고, 대전기에 의해 균일하게 대전된 감광드럼의 표면에 광학계유닛에서의 주사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그 정전잠상을 현상기에서 토너에 의해 현상하여 토너상으로서 현재화(顯在化)하고, 그 토너상을 전사기로 급지반송된 용지상에 전사하고, 다시 열정착하여 배출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화상형성장치로서는 특개평 4-51257 호 공보 및 특개평 3-249766 호 공보에 알려져있다.
특개평 4-51257호 공보의 것은 제 9 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치전체를 상본체(1a)와 하본체(1b)로 나뉘고, 상본체(1a)내에 광기입기(2)를 설치함과 동시에 감광체드럼(3), 대전충전기(4), 현상기(5), 클리닝 장치(6) 및 제전브러시(7)를 구비한 작상케이스(8)를 설치하고 또, 하본체(1b)내에 전사충전기(9), 정착기(10) 및 반송로(11)를 설치함과 동시에 하본체(1b)의 일측부에 용지(12)를 수납한 급지트레이(13)를 부착이탈 자유롭게 설치하고, 제 10 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본체(1a)와 하본체(1b)가 단측(端側)을 지점으로 하여 타단측이 개폐자유롭게 되어 있다.
이 화상형성장치는 반송로(11), 전사부, 정착부에서 용지의 잼(Jam)이 발생한 경우는 상본체(1a)를 개방하여 반송로(11), 전사부, 전사부를 노출시켜 잼한 용지를 꺼내게 된다.
특개평 3-249766 호 공보의 것은 제 11 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치본체(21)에 주사광학계(22), 정착기(23), 전사롤러(24), 급지카세트(25)를 수납하고, 이 장치본체(21)에 대하여 감광체드럼(26), 대전롤러(27), 현상기(28)등을 구비 한 작상유닛(29)을 장치본체(21)의 상방에서 경사하는 방향으로 부착이탈 자유롭게 설치됨과 동시에 작상유닛(29)의 일부를 노출시키고, 제 12 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작상유닛(29)이 상방으로 간단히 꺼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전자의 것은 장치본체를 상본체(1a)와 하본체(1b)로 나누어 개방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대규모 개폐기구가 필요하게 되어 장치가 대형화하고, 또 복잡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 정착부등 장치의 안에서 발생한 잼용지를 꺼낼때 상본체(1a)가 손을 넣을 때 장해가 되고, 또, 내부의 상태도 확인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후자의 것은 대규모 개폐기구를 필요로 하지 않고 또, 정착부나 전사부등에서 잼이 발생한 경우, 작상유닛(29)을 상방으로 빼고 그 부분에 손을 넣으면 잼용지가 비교적 용이하게 꺼내지지만 작상유닛(29)이 경사방향으로 들어가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장지본체(21)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는 주사광학계(22)에 의해 내부의 확인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장치본체의 소형화를 꾀한 경우에 작상유닛(29)의 크기도 작아지기 때문에 손을 넣기가 곤란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예를 들면, 감광체드럼의 직경이30mm정도일 때는 작상유닛(29)의 두께가 60mm정도로 손을 넣기가 가능하지만 감광체드럼의 직경이2Omm 정도 이하가 되면 작상유닛(29)의 두께도 40mm정도가 되어 손을 넣을 수 없게된다. 이러한 것에서 후자의 것에서는 소형화하는 데에 한계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을 작상유닛의 부착이탈을 쉽게 할 수 있고, 또 장치를 소형화해도 작상유닛의 이탈에 의해 쉽게 내부가 확인됨과 동시에 용이하게 손을 넣을 수 있어서 잼용지를 쉽게 제거할 수 있고, 따라서 장치의 소형화를 꾀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고, 더구나 광학계유닛이 토너에 의해 오염될 우려가 없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장치의 소형화를 꾀할 수 있음과 동시에 광학계유닛이 토너에 의해 오염될 우려가 없고, 또 광학계유닛이 열적영향을 받아서 변형될 우려가 없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장치의 소형화를 꾀할 수 있음과 동시에 광학계유닛이 토너에의해 오염될 우려가 없고, 또 장치본체에 대한 작상유닛의 장착시의 위치결정이 쉽게 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장치의 소형화를 꾀할 수 있음과 동시에 광학제유닛이 토너에 의해 오염 될 우려가 없고, 또 배출되는 전사용지를 장치본체의 상부에 적층하여 유지할 수 있고, 사용방법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적어도 상유지체, 토너박스를 구비한 현상기를 갖는 작상유닛이 부착이탈 자유로운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장치본체내의 후방에서 급지부, 광학계유닛을 종배열로 하여 수납하고, 작상유닛의 토너박스를 그 배면부를 광학계유닛에 따라, 또 그 전면부를 광학계유닛에서의 주사광이 경사상방향에서부터 상유지체에 입사하는 광로에 따르도록 형성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적어도 상유지체, 토너박스를 구비한 현상기를 갖는 작상유닛이 부착이탈 자유로운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장치본체내의 후방에서부터 급지부, 광학계유닛을 종배열로 하여 수납하고, 작상유닛의 토너박스를 그 배면부를 광학계유닛에 따라, 또 그 전면부를 광학계유닛에서의 주사광이 경사상방향에서부터 상유지체에 입사하는 광로에 따르도록 형성하고, 장치본체내의 전방에 또, 상유지체를 사이로 하여 광학계유닛과 반대위치에 열정착장치를 배치한것이다.
본 발명은 적어도 상유지체, 토너박스를 구비한 현상기를 갖는 작상유닛이 부착이탈 자유로운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장치본체내의 후방에서 급지부, 광학계유닛을 종배열로 하여 수납하고, 작상유닛의 토너박스를 그 배면부를 광학계유닛에 따라, 또 그 전면부를 광학계 유닛에서 주사광이 경사상방향에서부터 상유지체에입사하는 광로에 따르도록 형성하고, 또, 작상유닛에 위치결정용 돌출부 또는 홈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장치본체에 그 위치결정용 돌출부 또는 홈부를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형성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적어도 상유지체, 토너박스를 구비한 현상기를 갖는 작상유닛이 부착이탈 자유로운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장치본체내의 후방에서 급지부, 광학계유닛을 종배열로 하여 수납하고, 작상유닛의 토너박스를 그 배면부를 광학계유닛에 따라, 또 그 전면부를 광학계유닛에서의 주사광이 경사상방향에서부터 상유지체에 입사하는 광로에 따르도록 형성하고, 또 장치본체의 전면부에 전사용지의 배출구를 설치함과 동시에 그 배출구의 외부에 배출구에서 배출하는 전사용지를 장치본체의 상부에 안내하는 안내기구를 부착이탈 자유롭게 설치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작상유닛을 장치본체의 상부에서 부착이탈할 수 있다. 또, 장치본체내의 불필요공간을 없앨 수 있다. 더구나 작상유닛을 장치본체에서 이탈시켰을 때에는 장치본체내에 넓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 장치에 있어서는 광학계유닛에서의 주사광은 토너박스의 전면부에 따라 경사상방향에서 상유지체에 입사된다. 용지는 장치본체의 후방에 수납된 급지반송부에 의해 상유지체로 반송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열정착장치에서의 열은 작상유닛에 의해 차단되어 광학계유닛에는 거의 도달하지 않는다.
이 장치에 있어서는 현상기에 의해 현상되어 현재화(顯在化)된 토너상이 상유지체에서 전사용지에 전사되고, 장치본체의 전방에 수납된 열정착장치에 의해 열정착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작상유닛을 장치본체에 장착할때, 작상유닛의 위치결정용돌출부 또는 홈부를 장치본체의 가이드부에 안내하면 작상유닛의 장착위치결정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장치본체의 전면부에 설치한 배출구의 외부에 안내기구를 장착하므로서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전사용지가 장치본체의 상부에 안내되어 장치본체의 상부에 적층하여 유지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 제 1 실시예 )
제 1 도는 단면도, 제 2 도는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장치본체(51)는 A면이 전면이며, B면이 후면으로 되어 있다. 상기 장치 본체(51)는 본체커버(51a)내의 가장 후방에 전원(52)이나 기타의 회로부품을 수납하고, 그 앞쪽에 급지부(53)를 경사세로로 형성하고, 그 급지부(53)의 앞쪽에는 광학계유닛(54)을 종배열로 수납하고 있다.
상기 광학계유닛(54)은 모터(55)의 회전축(55a)에 고정한 로터(55b)의 위에 직각프리즘(56)을 고정한 반사면이 2면의 편향기와 레이저발진기(57)와, 이 레이저발진기(57)에서의 레이저광을 반사하여 상기 편향기의 반사면애 조사하는 반사미러(58)와, 상기 편향기의 반사면에서의 주사광를 후술하는 감광체(65)면에 조사하기 위해 초점을 설정하는 매니스커스렌즈(59)를 일체화한 주사유닛(60) 및 이 주상유닛(60)에서 바로 위에 출사하는 빛을 감광체드럼의 면으로 유도하기 위해반사하는 2개의 반사미러(61,62)에 의해 구성 되어 있다.
상기 본체커버(51a)내의 가장 전방에는 열정착장치(63)를 배치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열정착장치(63)와 상기 광학계유닛(54)의 사이에 장치본체(51)에 대하여 부착이탈 자유로운 작상유닛(64)을 배치하고 있다.
상기 작상유닛(64)은 상유지체인 감광체(65)를 구비하고, 그 감광체(65)의 주위에 대전기(66), 현상기(67)를 배치하고 있다. 상기 현상기(67)는 토너박스(68) 및 이 토너박스(68)내의 토너를 감광체(65)로 보내는 현상롤러(69)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토너박스(68)는 배면부가 상기 광학계유닛(54)에 따라 종방향으로 이어나오고, 전면부가 상기 광학제유닛(54)에서의 주사광이 경사상방향에서 상기 감광체(65)에 입사하는 광로(77)에 따르도록 경사하여 이어나온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상기 작상유닛(64)은 장치본체(51)의 케이스면과 동일면이 되는 커버부(64a)를 설치하고, 그 커버부(64a)의 내벽면과 상기 토너박스(68)의 전면부와의 사이의 공간부를 광로(77)로 하고 있다.
상기 작상유닛(64)을 장치본체(51)내에 넣었을때의 상기 감광체(65)와 대향하는 장치본체(51)내의 부위에는 전사기(70)를 배치하고 있다.
상기 급지부(53)에 수납되어 있는 용지는 급지롤러(71)에 의해 장치본체(51)의 저면부에 형성한 반송로(72)로 송출된 후, 상기 감광체(65)와 전사기(70)와의 대향부를 통과하고, 다시 상기 열정착장치(63)의 가열롤러(73)와 누름롤러(74)와의 대향부를 통과한 후, 배출롤러(75)에 의해 배출구(76)에서 외부로 배출하도록 되어있다.
제 3 도는 본체커버(51a)를 제거한 사시도로, 상기 전원(52), 급지부(53), 광학계유닛(54), 열정착장치(63), 전사기(70), 급지롤러(71), 배출롤러(75)등은 상기장치본체(51)의 프레임(102)에 일체화하여 설치되고, 이 프레임(102)의 다리부(102a)에 상기 광학계유닛(154)을 고정하고 있다.
상기 반사미러(61,62)는 상기 광학제유닛(54)의 암부(54a)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작상유닛(64)의 전면부양측의 외부에는 위치결정용돌출부(78)를 형성하고, 이 돌출부(78)의 하단에 상기 감광체(65)의 축과 동축의 고정부(79)를 돌출하여 설치하고 있다.
상기 프레임(102)의 전면부양측에 상기 작상유닛(64)을 장치본체(51)에 장착할때 상기 위치결정용돌출부(78)를 안내하는 절개형 가이드부(80)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프레임(102)의 전면부 양측의 상기 가이드부(80) 근방의 외부에 잠금레버(81)를 회전운동 자유롭게 설치하고, 상기 작상유닛(64)의 위치결정용돌출부(78)를 상기 프레임(102)의 가이드부(80)로 안내하여 상기 장치본체(51)에 상기 작상유닛(64)을 장착했을때, 제 4 도에 부분확대도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잠금레버(81)로 상기 작상유닛(64)의 고정부(79)를 걸어서 상기 작상유닛(64)을 상기 장치본체(51)에 고정 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급지부(53)에 전사용지를 수납한 상태에서 인쇄를 개시하면 주사유닛(60)의 모터(55)가 회전을 개시함과 동시에레이저발진기(57)가 발진동작을 개시 한다.
광학제유닛(54)에 있어서는 레이저발진기(57)에서의 레이저광은 반사미러(58)에서 반사한 후, 모터(55)에 의해 회전하는 직각프리즘(56)의 반사면에 반사하고, 직각프리즘(56)의 회전방향으로 주사하는 주사광으로 변환된다.
이 주사광은 매니스커스렌즈(59)를 통과하여 상방으로 출사하고, 반사미러(61,62)에서 반사하여 작상유닛(64)내에 형성된 광로(77)에 따라 경사방향으로 통과하고 감광체(65)의 감광면에 입사한다.
감광체(65)는 회전하면서 감광면이 대전기(66)에 의해 균일하게 대전되고 그 후 입사하는 주사광에 의해 노광된다.
이렇게하여 감광체(65)의 감광면에는 기록하는 정보에 따라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 정전잠상은 현상기(67)에서의 토너에 의해 현상되고 토너상으로서 현재화된다.
한편, 급지부(53)의 전사용지는 급지롤러(71)에 의해 반송로(72)에 송출되고, 감광체(65)와 전사기(70)의 대향위치에서 전사기(70)의 작용에 의해 감광체(65)에서 토너상이 전사된다. 그리고 토너상이 전사된 전사용지는 열정착장치(63)에 의해 열정착되고, 배출롤러(75)에 의해 배출구(76)에서 외부로 배출된다.
이러한 일련의 인쇄동작을 실시하고 있을 때는 예를 들면 열정착장치(63)의 앞쪽에서 전사용지의 잼이 발생하면 잠금레버(81)를 회전 운동하여 이 잠금레버(81)에 의한 고정부(79)의 걸림상태를 해제하고, 제 5 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작상유닛(64)을 상방으로 이탈시킨다.
이에 의해 작상유닛(64)으로서 일체화하고 있는 감광체(65), 대전기(66) 및 현상기(67)가 장치본체(51)에서 분리되므로 전사용지의 반송로가 노출하고, 더구나 위쪽에는 커다란 공간이 생기므로 쉽게 손을 넣어서 잼되어 있는 전사용지를 꺼낼 수 있다.
또, 장치본체(51)내에 급지부(53), 광학계유닛(54)을 종배열로 수납하고, 또, 장치본체(51)의 앞쪽에 열정착장치(63)를 수납하고, 광학계유닛(54)과 열정착장치(63)의 사이에 작상유닛(64)을 조입하고, 그 작상유닛(64)을 상방으로 부착이탈되도록 하고 있으므로 작상유닛(64)을 쉽게 부착이탈할 수 있게 된다. 또, 장치본체(51)내에 각 부품을 콤펙트하게 내장할 수 있어서 불필요한 공간이 거의 생기지 않으므로 장치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그리고 장치를 소형화해도 작상유닛(64)을 이탈시킨 후의 공간은 상방으로 향하여 넓어지는 공간이며, 더구나 비교적 폭이 넓으므로 잼 발생시에 손을 쉽게 넣을 수 있어서 용지를 쉽게 제거할 수 있다.
또. 광학계유닛(54)은 작상유닛, 즉, 감광체(65) 및 현상기(67)를 사이에 두고 열정착장치(63)와는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열정착장치(63)에서의 열적영향은 거의 받지 않고, 따라서 광학계유닛(54)이 열정착정치(63)에서의 열에 의해 열변형하지는 않고 안정된 동작이 가능하다.
또, 광학제유닛(54)과 작상유닛(64)은 앞뒤로 나란히 배치되고, 더구나 감광체(65)는 하방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현상에 사용되는 토너의 일부가 넘치는 일이 있어도 광학계유닛(54)을 오염시킬 우려는 전혀없다.
작상유닛(64)을 장치본체(51)에 장착할때는 작상유닛(64)의 위치 결정용돌출부(78)를 장치본체(51)측의 가이드부(80)에 따라 삽입하여 장착한다.
이에 의해 작상유닛(64)은 장치본체(51)에 확실하고 용이하게 위치결정되게 된다. 그리고 장착한 후, 잠금레버(81)를 회전운동하여 고정부(79) 를 건다.
이렇게 하여 작상유닛(64)은 장치본체(51)에 일체적으로 고정된다. 또, 위치결정용돌출부(78)가 가이드부(80)에 삽입되므로서 작상유닛(64)이 앞뒤로 회전하는 것이 규제되어 확실히 고정된다.
또, 이 실시예에서는 모터(55)를 갖는 편향기, 레이저발진기(57), 반사미러(58) 및 매니스커스렌즈(59)를 주사유닛(60)으로서 일체화하고, 그 주사유닛(60)을 프레임(102)의 다리부(102a)에 고정했지만 레이저발진기(57), 반사미러(58) 및 매니스커스렌즈(59)를 유닛화하지않고, 프레임(102)에 직접 설치하고, 이것에 편향기를 설치하므로서 구성해도 된다.
( 제 2 실시예 )
제 6 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작상유닛을 커버부가 없는 작상유닛(641)으로 구성하고, 대신에 장치본체(51)에 커버(82)를 상하로 개폐자유롭게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작상유닛(641)을 장치본체(51)에 장착할때에는 상기 커버(82)를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측으로 회전운동하고나서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작상유닛(641)의 위치결정용돌출부(78)를 장치본체(51)의 가이드부(80)에 삽입하여 장착한다.
또, 상기 작상유닛(641)은 토너박스를 작게하고, 대신에 상부에 토너보급용카트리지(83)를 교환자유롭게 설치하고 있다.
또, 잠금레버(도시없음)를 상기 커버(82)의 개폐동작에 연동시키고, 커버(82)를 열때에는 잠금레버가 고정부(79)의 걸림상태를 해제하고, 또 커버(82)를 닫을 때에는 잠금레버가 고정부(79)를 건다.
또, 기 타 장치본체(51)내의 구성에 대해서는 개시되어 있지 않지만 제 1 실시예와 같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커버(82)의 개폐동작에 연동하여 잠금레버가 고정부(79)의 걸림 해제 및 걸림을 실시하므로 작상유닛(641)의 부착이탈시에는 커버(82)를 개폐하는 것 만으로 가능하며, 작상유닛(641)의 부착이탈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또, 토너보급용 카트리지(83)를 교환자유롭게 설치하고 있으므로 토너가 없어지면 토너보급용 카트리지(83)를 교환하면 되고, 토너용량에 의해 작상유닛(641)의 수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처럼 토너보급용 카트리지(83)의 교환에 의해 작상유닛(641)을 계속 사용할 수 있고, 작상유닛을 장기간에 걸쳐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이 실시예에 있어서도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고, 잼 발생시에 용지를 쉽게 제거할 수 있고, 또, 광학계유닛으로의 열정착장치에서의 열적영향을 제거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지는 것은 물론이다.
( 제 3 실시예 )
제 7 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작상유닛으로서 양측에 손잡이(84)를 설치한작상유닛(642)을 사용하고 있다.
또, 기타의 구성은 제 1 실시예와 같다.
이처럼 손잡이(84)를 설치하므로서 장치본체(51)에 대한 작상유닛(642)의 부착이탈이 더욱 쉬워진다.
또, 이 실시예에 있어서도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고, 잼발생시에 용지를 쉽게 제거할 수 있고, 또 광학계유닛으로의 열정착장치에서의 열적영향을 제거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지는 것은 물론이다.
( 제 4 실시예 )
제 8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치본체(51)의 배출구(76)의 외부에 그 배출구(76)에서 배출하는 전사용지를 상기 장지본체(51)의 상부에 안내하는 안내기구(85)를 부착이탈 자유롭게 설치하고 있다.
상기 안내기구(85)는 배출구(76)의 외부근방에 전사용지의 배출방향을 전환하는 전환기구(86)를 회전운동 자유롭게 설치하고, 상기 배출구(76)에서 배출하는 전사용지를 상기 장치본체(51)의 상부에 안내할 것인지, 그대로 상기 장치본체(51)의 전방으로 배출할것인지를 전환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안내기구(85)는 상기 장치본체(51)의 상부에 위치하는 측에 배출롤러(87)를 설치하고, 전사용지를 상기 장치본체(51)의 상부에 확실히 배지(排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장치본체(51)의 상부는 상기 안내기구(85)에서 배지되는 전사용지(88)를 적층유지하는 스토커(89)를 상방으로 회전운동자유롭게 설치하고 있다.
상기 스토리(89)의 상부에는 다시 배출된 전사용지(88)의 상단측을 지지하는 지지판(90)을 앞뒤로 회전운동 자유롭게 설치하고 있다. 즉, 상기 지지판(90)은 스토커(89)가 전사용지(88)의 유지를 실시하지 않는 경우에는 앞쪽으로 회전운동하여 스토커(89)의 상면에 수납하고, 스토커(89)가 전사용지(88)의 유지를 실시하는 경우에는 스토커(89)의 후방으로 회전운동하여 스토커(89)의 상방에서 이어나오도록 되어 있다.
상기 스토커(89)는 제 2 실시예에서 도시한 제 6 도에 있어서 커버(82)에 상기 안내기구(85), 지지판(90)을 부가하여 구성한 것이며, 또, 작상유닛의 구성은 제 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현상기에 토너보급용 카트리지(83)를 설치한 작상유닛(641)을 사용하고, 그 작상유닛(641)의 장치본체(51)에 대한 장착 및 이탈작용도 제 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스토커(89)를 개폐하여 실시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장치본체(51)의 저부하면에는 급지카세트(91)를 부착이탈자유롭게 설치하고 있다.
상기 급지카세트(91)를 상기 장치본체(51)의 저면부하면에 장착할 때에는 장치본체(51)의 저면부하면에 설치한 위치결정용돌출부(92)에 급지카세트(91)의 상면에 설치한 위치결정용 홈부(93)를 끼워넣으므로써 상기 장치본체(51)에 대한 급지카세트(91)의 설치위치결정을 실시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급지카세트(91)는 전사용지(88)를 수납하는 인출식 트레이(94) 및 분리롤러(95)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트레이(94)는 밀어올림판(96)을 설치하고, 그 밀어올림판(96)의 위에 전사용지(88)를 적층하여 수납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밀어 올림판(96)의 상기 분리롤러(95)와 대향하는 위치의 하면에 밀어올림스프링(97)을 설치하고, 그 밀어올림스프링(97)으로 상기 밀어올림 판(96)을 상방으로 밀어올려서 전사용지(88)의 적층면을 상기 분리롤러(95)에 눌러접촉시키고, 분리롤러(95)의 회전에 의해 전사용지(88)를 1 매씩 내보내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급지카세트(91)는 그 후부에 상기 분리롤러(95)에 의해 분리된 전사용지(88)를 상기 장치본체(51)의 용지반송로(72)에 안내하는 가이드(98)를 설치하고 있다.
상기 장치본체(51)의 후부하단에는 엽서나 봉투등 비교적 두꺼운 용지를 수동급지하기 위한 수동급지구개폐문(99)을 설치하고 있다.
또, 상기 장치본체(51)의 급지롤러(71)의 근방에 상기 급지부(53)에서의 전사용지를 상기 반송로(72)로 보낼것인지 상기 수동급지구개폐용문(99)을 해방하여 삽입되는 용지를 상기 반송로(72)에 보낼것인지 전환하기 위한 급지전환기구(100)를 회전운동 자유롭게 설치하고 있다.
또, 상기 장치본체(51)의 배출구(76)의 전방에 위치하는 상기 급지카세트(91)의 상면에는 상기 배출구(76)에서 그대로 전방으로 배출되는 전사용지를 적층유지하는 스토커(101)가 설치되고, 그 스토커(101)는 선단부가 전방으로 슬라이드자유롭게 되어 있어서 전사용지를 적층유지할때에는 그 선단부를 전방으로 슬라이드하여 스토커(101)의 크기를 전사용지의 크기에 맞출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장치본체(51)의 그 밖의 구성은 제 1 실시예와 같다.
이러한 구성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급지카세트(91)를 설치하므로서 급지부(53)에 비해 보다 다수매의 전사용지를 자동급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사용방법을 더욱 향상할 수 있다.
또, 안내기구(85)를 설치하고, 배출구(76)의 근방에 설치한 전환기구(86)를 전환하므로서 배출구(76)에서 배출되는 전사용지를 장치 본체(51)의 상부의 스토커(89)로 보존할것인지 그대로 전방으로 배출하여 스토커(101)로 보존할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으므로 용도에 따라 사용하는 스토커를 바꿀 수 있고, 이 점에 있어서도 방법을 향상할 수 있다.
또, 이 실시예에 있어서도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고, 잼 발생시에 용지를 쉽게 제거할 수 있고, 또, 광학계유닛으로의 열정착장치에서의 열적영향을 제거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지는 것은 물론이다.
또,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작상유닛측에 위치결정용돌출부를 형성하고, 장치본체측에 그 위치결정용돌출부를 아내하는 가이드부를 형성했지만 반드시 이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작상유닛측에 위치결정용홈부를 형성하고, 장치본체측에 그 위치결정용홈부를 안내하는 돌출형 가이드부를 형성해도 좋다.
또,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작상유닛으로서 감광체와 현상기를 일체화했지만 이것을 2개 이상의 분할유닛으로서 취급해도 좋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하면 작상유닛의 부착이탈을 쉽게 할 수 있고, 또, 장치를 소형화해도 작상유닛의 부착이탈에 의해 쉽게 내부가 확인됨과 동시에 쉽게 손을넣을 수 있어서 용지를 쉽게 제거할 수 있고, 따라서 장치의 소형화를 꾀할 수 있고, 더구나 광학계유닛이 토너에 의해 오염될 우려가 없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광학계유닛이 열적영향을 받아서 변형할 우려가 없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다시 장치본체에 대한 작상유닛의 장착시의 위치결정을 쉽게 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다시 배출되는 전사용지를 장치본체의 상부에 적층하여 유지할 수 있고, 사용방법을 향상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제 1 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 2 도는 동 실시예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
제 3 도는 동 실시예의 프레임부와 그 프레임부에 장착되는 작성 유닛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
제 4도는 제 3도의 둥근점선 A 로 둘러싸인 부분의 확대사시도.
제 5 도는 동 실시예에 있어서 작상(作像)유닛을 장치본체에서 이탈시켰을때의 단면도.
제 6 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 7 도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 8 도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 9 도는 종래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 10 도는 동 종래예에 있어서 상본체를 개방했을 때의 단면도.
제 11 도는 다른 종래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 12 도는 동 종래예에 있어서 작상유닛을 이탈시켰을 때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8 : 현상기 29 : 작상유닛
51 : 장치본체 53 : 급지부
54 : 광학계유닛 65 : 감광체
66 : 대전기 68 : 토너박스
76 : 배출구 77 : 광로
78 : 위치결정용돌출부 80 : 가이드부
85 : 안내기구 93 : 홈부

Claims (4)

  1. 적어도 상유지체, 토너박스(68)를 구비한 현상기(28)를 갖는 작상유닛(29)이 부착이탈 자유로운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장치본체(51)내의 후방에서부터 급지부(53), 광학계유닛(54)을 종배열로 하여 수납하고,
    상기 작상유닛(29)의 토너박스(68)를 그 배면부를 상기 광학계유닛(54)에 따라 또, 그 전면부를 상기 광학계유닛(54)에서의 주사광이 경사상 방향에서 상기 상유지체에 입사하는 광로에 따르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적어도 상유지체, 토너박스(68)를 구비한 현상기(28)를 갖는 작상유닛(29)이 부착이탈 자유로운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장치본체(51)내의 후방에서부터 급지부(53), 광학계유닛(54)을 종배열로 하여 수납하고,
    상기 작상유닛(29)의 토너박스(68)를, 그 배면부를 상기 광학계유닛(54)에 따라 또, 그 전면부를 상기 광학계유닛(54)에서의 주사광이 경사상 방향에서 상기 상유지체에 입사하는 광로에 따르도록 형성하고,
    상기 장치본체(51)내의 전방에 또, 상기 상유지체를 사이로 하여 상기 광학계유닛(54)과 반대위치에 열정착장치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적어도 상유지체, 토너박스(68)를 구비한 현상기(28)를 갖는 작상유닛(29)이 부착이탈 자유로운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장치본체(51)내의 후방에서 급지부(53), 광학계유닛(54)을 종배열로하여 수납하고,
    상기 작상유닛(29)의 토너박스(68)를, 그 배면부를 상기 광학계유닛(54)에 따라 또, 그 전면부를 상기 광학계유닛(54)에서의 주사광이 경사상방향에서 상기 상유기체에 입사하는 광로에 따르도록 형성하고, 또,
    상기 작상유닛(29)에 위치결정용돌출부(78)또는 홈부(93)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장치본체(51)에 상기 위치결정용돌출부 또는 홈부를 안내하는 가이드부(80)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적어도 상유지체, 토너박스(68)를 구비한 현상기(28)를 갖는 작상유닛(29)이 부착이탈 자유로운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장치본체(51)내의 후방에서부터 급지부(53), 광학계유닛(54)을 종래열로 하여 수납하고,
    상기 작상유닛(29)의 토너박스(68)를 그 배면부를 상기 광학계유닛(54)에 따라 또, 그 전면부를 상기 광학계유닛(54)에서의 주사광이 경사상방향에서 상기 상유지체에 입사하는 광로에 따르도록 형성하고, 또
    상기 장치본체(51)의 전면부에 전사용지의 배출구(76)를 설치함과 동시에 그 배출구(76)의 외부에 전사용지의 배출방향을 전환하는 전환키를 갖고, 상기배출구(76)에서 배출하는 전사용지를 상기 전환키의 전환에 의해 상기 장치본체(51)의 상부로 안내하는 안내기구(85)를 부착이탈 자유롭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19940008456A 1993-04-21 1994-04-21 화상형성장치 KR1003205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094523 1993-04-21
JP9452393 1993-04-21
JP94-013553 1994-02-07
JP6013553A JPH07199771A (ja) 1993-04-21 1994-02-07 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20544B1 true KR100320544B1 (ko) 2002-06-20

Family

ID=26349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8456A KR100320544B1 (ko) 1993-04-21 1994-04-21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436698A (ko)
EP (1) EP0621515A3 (ko)
JP (1) JPH07199771A (ko)
KR (1) KR1003205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4666B1 (ko) * 2004-05-18 2011-02-1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13930B2 (ja) * 1994-04-28 2002-08-1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H09231276A (ja) * 1996-02-27 1997-09-05 Canon Inc 課金装置、通信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
JP3581479B2 (ja) * 1996-03-11 2004-10-2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3478736B2 (ja) * 1997-09-16 2003-12-1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6697589B1 (en) 2001-03-12 2004-02-24 Lexmark International, Inc. Fuser latch system
KR20030096576A (ko) * 2002-06-14 2003-12-3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JP4217676B2 (ja) * 2004-09-06 2009-02-0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743860B2 (ja) * 2011-11-16 2015-07-01 株式会社沖データ 現像剤、現像剤の製造方法、現像剤収容体、画像形成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23860U (ja) * 1983-02-09 1984-08-2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S6488558A (en) * 1987-09-30 1989-04-03 Kyocera Corp Electrophotographic device
JPH01270066A (ja) * 1988-04-22 1989-10-27 Canon Inc 画像形成装置の構造体
JPH02259782A (ja) * 1989-03-31 1990-10-22 Seiko Epson Corp 電子写真プリンタ
US5257068A (en) * 1989-04-14 1993-10-26 Seiko Epson Corporation Clamshell-type electrophotographic duplex printer
KR910010254A (ko) * 1989-11-09 1991-06-29 고바야시 쥰 전자 사진장치
JPH03249766A (ja) * 1990-02-28 1991-11-07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H0451257A (ja) * 1990-06-19 1992-02-19 Ricoh Co Ltd 電子写真装置
JP3176081B2 (ja) * 1991-05-16 2001-06-1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5160964A (en) * 1991-06-28 1992-11-0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Image recording apparatus occupying a minimum amount of spa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4666B1 (ko) * 2004-05-18 2011-02-1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7199771A (ja) 1995-08-04
US5436698A (en) 1995-07-25
EP0621515A2 (en) 1994-10-26
EP0621515A3 (en) 1998-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41872A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a photosensitive drum selectively pivoting with an upper part of the housing
US7246963B2 (en) Image forming device
US7257350B2 (en) Cleaning unit with a light beam path for the passage of a light beam
JP2008032755A (ja) 画像形成装置、トナーカートリッジ、現像カートリッジ、及び感光体カートリッジ
JP4723004B2 (ja) 光走査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4304619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像担持体カートリッジ、現像剤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KR100320544B1 (ko) 화상형성장치
EP1376267B1 (en) Toner supply container, image formation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5343223A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4402451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0347549A (ja)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325308B2 (ja) 画像形成装置
JP2883803B2 (ja) 画像形成装置の解除装置
JPH0822705B2 (ja) 画像生成装置
JP2001282076A (ja)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カートリッジ保持機構
JP2715370B2 (ja) 画像生成装置
JPH0697354B2 (ja) 静電写真プリンタ
JP2006349936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H10198096A (ja) ロール紙ユニット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551438B2 (ja) 画像形成装置
JP3731355B2 (ja) 読取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H0545940A (ja) 画像形成装置
JP2598325B2 (ja) 原稿読取装置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2744425B2 (ja) 画像形成装置
JP2603685B2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