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0248B1 - 기록/재생장치 - Google Patents

기록/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0248B1
KR100320248B1 KR1019980019850A KR19980019850A KR100320248B1 KR 100320248 B1 KR100320248 B1 KR 100320248B1 KR 1019980019850 A KR1019980019850 A KR 1019980019850A KR 19980019850 A KR19980019850 A KR 19980019850A KR 100320248 B1 KR100320248 B1 KR 1003202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pickup unit
motor
cam plat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9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6522A (ko
Inventor
마끼또 다끼가와
신이찌 히구찌
Original Assignee
가타오카 마사타카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타오카 마사타카,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타오카 마사타카
Publication of KR19990006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65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02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02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22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from random access magazine of disc records
    • G11B17/3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from random access magazine of disc records wherein the playing unit is moved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selected recor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22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from random access magazine of disc records
    • G11B17/228Control systems for magazines

Landscapes

  • Automatic Disk Changers (AREA)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캠판의 수평방향위치를 센서에 의해 검출함으로써 픽업 유니트의 높이정밀도를 유지할 수 있고 또 기구가 간소화되어 비용저감이나 고장날 우려도 감소되고 또 콤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으며, 또한 선택에서 로드까지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기록/재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며, 이를 위해,
캠판(43, 45)을 수평방향으로 구동시키는 DC 모터(37)와, 캠판(43, 45)의 수평방향에서의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와, 캠홈(46)의 적어도 일단부에 형성되고 픽업 유니트(P)의 캠핀(100)이 접촉되는 수평위치기준면(104)을 구비하며, DC 모터(37)에 의해 캠판(43, 45)을 수평방향으로 구동시키고 픽업 유니트(P)의 캠핀(100)을 수평위치기준면(104)에 접촉시켜 이때의 캠판(43, 45)의 수평방향위치를 센서로 검출함으로써 캠판(43, 45)의 초기화를 행한다.

Description

기록/재생장치 {RECORDING/REPRODUCING DEVICE}
본 발명은 헤드를 탑재한 픽업 유니트를 가지며, 복수의 디스크를 수납한 매거진(magazine)으로부터 원하는 디스크를 선택하고 이 선택된 디스크와 상기 헤드 사이에서 데이터의 판독 또는 기입이나, 판독 및 기입을 행하는 기록/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록/재생장치, 예컨대 CD-ROM 체인저는 복수의 기록매체를 수납한 매거진을 삽입구로부터 삽입·배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CD-ROM 체인저는, 삽입된 매거진 내의 복수의 CD-ROM(디스크형 기록매체 : 이하 디스크라고 함)으로부터 선택한 디스크를, 모터의 구동력을 기어열로 감속시켜 트레이 로딩 기구를 구동시킴으로써 픽업 유니트 내로 (또는 배출시에는 역방향으로)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 때 선택된 디스크의 단(높이)까지 픽업 유니트를 높이위치결정기구에 의해 승강시켜 정지시키도록 하고 있다. 도 10은 종래의 높이위치결정기구를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CD-ROM 체인저의 케이싱 내에 헤드(도시되지 않음)를 탑재한 픽업 유니트(120)가 배치되며, 이 픽업 유니트(120)는 높이위치결정기구에 의해 승강되어 소정의 높이에 위치결정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위치결정기구는 픽업 유니트(120)의 양측면으로부터 돌출된 핀(121, 121)을 안내하는 경사형 안내 홈부(122)를 가지는 캠판과, 또 복수의 디스크의 수와 동일한 수의 위치결정 슬릿(123)이 형성되어 있는 빗살모양의 위치결정부재(124)를 구비하고 있다.
복수의 디스크를 수납한 매거진으로부터 원하는 디스크를 선택하면 모터(도시되지 않음)가 구동되어 캠판(도시되지 않음)을 오른쪽 또는 왼쪽방향으로 활주시키고 안내 홈부(122)를 따라 핀(121)이 이동함으로써 픽업 유니트(120)가 상승 또는 하강된다. 예컨대, 최하단의 디스크를 선택했다고 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하단의 슬릿(123)의 높이에서 모터가 정지된다. 그 후, 픽업 유니트(120)에 인입된 높이결정돌기(125)가 높이결정돌기 돌출기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최하단의 슬릿(123) 내에 끼워진다. 그 후, 위치결정부재(124)를 근소하게 상승시켜 최하단의 슬릿(123)의 하측의 가장자리부에 높이결정돌기(125)의 하면을 얹음으로써 최하단에서의 픽업 유니트(120)의 높이결정을 행하였다.
그리고, 최하단의 디스크를 트레이 로딩 기구에 의해 픽업 유니트 내로 이동시켜 디스크와 헤드 사이에서 데이터의 판독/기입을 행하였다.
이러한 종래기술에서는 경사형 안내 홈부(122)를 구비한 캠판으로 픽업 유니트(120)를 소정의 높이 근처까지 이동시킨 후 빗살모양의 위치결정부재(124)에 높이결정돌기(125)를 끼워 넣고, 또한 위치결정부재(124)를 캠판의 안내 홈부(122)로 밀어올림으로써 선택된 각단에서의 픽업 유니트(120)의 높이결정을 실행하고 있기 때문에, 높이결정돌기(125)의 돌출기구나 위치결정부재(124)의 밀어올림기구 등이 필요해지고 기구가 복잡해져 비용이 높아지고 고장날 우려도 늘어나며, 또 픽업 유니트(120) 내의 높이결정돌기 돌출기구 및 위치결정부재(124)가 필요하기 때문에 콤팩트화의 장애가 되며 또 높이결정돌기 돌출동작 및 위치결정부재(124)의 밀어올림동작이 필요해져 선택에서 로딩까지 시간이 걸렸다.
본 발명의 제 1 과제는 종래와 같은 높이위치결정 부재 등의 부품을 필요로 하지 않고 캠판의 수평방향위치를 센서에 의해 검출함으로써 픽업 유니트의 높이 정밀도를 유지할 수 있으며 또 기구가 간소화되어 비용이 절감되며 고장날 우려도 감소되고 또 콤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으며, 또한 돌출이동 및 위치결정부재의 밀어올림동작이 필요 없어져 선택에서 로딩까지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기록/재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과제는 종래와 같은 높이위치결정 부재 등의 부품을 필요로 하지 않고 픽업 유니트의 높이위치를 센서에 의해 검출함으로써 픽업 유니트의 높이 정밀도를 유지할 수 있으며 또 기구가 간소화되어 비용이 절감되며 고장날 우려도 감소되고 또 콤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으며, 또한 돌출이동 및 위치결정부재의 밀어올림동작이 필요 없어져 선택에서 로딩까지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기록/재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3 과제는 구동모터를 정지시킨 후에도 지나친 상승으로 인한 높이위치정밀도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전체적인 이동시간이 크게 짧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록/재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4 과제는 하측의 정지위치로 이동하는 경우에도 상측의 정지위치에 정지하는 경우에도 히스테리시스(hysteresis)의 영향을 없앨 수 있고, 또는 히스테리시스가 있어도 동일한 상태가 설정되어 픽업 유니트가 동일한 정지위치에서 정지할 수 있는 기록/재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5 과제는 캠핀을 세로홈과 경사 캠홈부의 교점에서 캠홈의 경사면과 세로홈의 수직면으로 이루어진 쐐기형 각부로 유지시켜 캠핀이 잘 흔들리지 않도록 하여 진동을 방지할 수 있는 기록/재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록/재생장치의 일실시형태를 적용한 CD-ROM 체인저의 평면도.
도 2는 매거진의 장전완료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3은 픽업 유니트의 승강 및 매거진 배출용 DC 모터부분을 나타내는 확대 평면도.
도 4는 캠핀, 세로홈, 및 캠홈 사이의 관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
도 5a 및 5b는 CD-ROM 체인저의 픽업 유니트의 닫힘 및 열림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6은 픽업 유니트의 측면도.
도 7은 캠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8은 초기화 처리제어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9는 승강동작제어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10은 종래의 위치결정기구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1은 캠판의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를 나타내는 확대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7 : DC 모터 43, 45 : 캠판
46 : 경사 캠홈부 100 : 캠핀
101 : 세로홈 102, 103 : 수평 캠홈부
104 : 기준면 D : 디스크
P : 픽업 유니트 M : 매거진
S : 센서
본 발명의 제 1 태양에 따르면, 헤드를 탑재한 픽업 유니트를 가지며 복수의 디스크를 수납한 매거진으로부터 원하는 디스크를 선택하고 이 선택된 디스크와 상기 헤드 사이에서 데이터의 판독/기입을 행하는 기록/재생장치로서, 상기 픽업 유니트의 캠핀과 걸어맞춰져 픽업 유니트를 상하 이동시키는 캠홈을 가지며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캠판과, 상기 캠판을 수평방향으로 구동시키는 모터와, 상기 캠판의 수평방향에서의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와, 그리고 상기 캠홈의 적어도 일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픽업 유니트의 캠핀이 접촉되는 수평위치기준부를 구비하며, 상기 모터로 상기 캠판을 수평방향으로 구동시키고 상기 픽업 유니트의 캠핀을 상기 수평위치기준부에 접촉시켜 이때의 상기 캠판의 수평방향위치를 상기 센서에 의해 검출함으로써 상기 캠판의 초기화를 행하는 기록/재생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2 태양에 따르면, 헤드를 탑재한 픽업 유니트를 가지며 복수의 디스크를 수납한 매거진으로부터 원하는 디스크를 선택하고 이 선택된 디스크와 상기 헤드 사이에서 데이터의 판독/기입을 행하는 기록/재생장치로서, 상기 픽업 유니트의 캠핀과 걸어맞춰져 픽업 유니트를 상하 이동시키는 캠홈을 가지며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캠판과, 상기 캠판을 수평방향으로 구동시키는 모터와, 상기 픽업 유니트의 높이위치를 검출하는 센서와, 그리고 상기 캠홈의 적어도 일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픽업 유니트의 캠핀이 접촉되는 수평위치기준부를 구비하며, 상기 모터로 상기 캠판을 수평방향으로 구동시키고 상기 픽업 유니트의 캠핀을 상기 수평위치기준부에 접촉시켜 이때의 상기 픽업 유니트의 높이위치를 상기 센서에 의해 검출함으로써 상기 캠판의 초기화를 행하는 기록/재생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및 제 2 태양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상기 센서로부터의 출력치와 목표치간의 차이가 제 1 소정치가 될 때까지는 상기 캠판을 제 1 속도로 구동시키고, 그 후에는 상기 센서로부터의 출력치와 목표치간의 차이가 제 1 소정치보다 작은 제 2 소정치가 될 때까지는 상기 캠판을 상기 제 1 속도보다 작은 제 2 속도로 구동시키고, 또 그 후에는 상기 센서로부터의 출력치와 목표치간의 차이가 제 2 소정치보다 작은 제 3 소정치에 도달했을 때에 상기 캠판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및 제 2 태양에 있어서, 상기 픽업 유니트를 하강시켜 목표치에 상응하는 위치에 정지시키는 경우, 상기 픽업 유니트가 목표치에 상응하는 위치를 일단 통과한 후에 상기 픽업 유니트를 상승시켜 목표치에 상응하는 위치에 정지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및 제 2 태양에 있어서, 상기 캠홈은 상기 픽업 유니트로부터 돌출된 캠핀에 걸어맞춰지고, 또한 어떤 디스크를 선택한 높이위치에서도 상기 캠홈의 경사부에서 상기 캠핀과 걸어맞춰진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록/재생장치의 일실시형태를 적용한 CD-ROM 체인저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매거진 장전완료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도 3은 픽업 유니트 승강 및 배출용 모터 부분을 확대해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4는 캠핀, 세로홈, 및 캠홈 사이의 관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도 5a 및 5b 는 CD-ROM 체인저의 픽업 유니트의 닫힘 및 열림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도 6은 픽업 유니트의 측면도이고, 도 7은 캠홈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도 8은 초기화 처리제어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고, 그리고 도 9는 승강동작제어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케이싱(1)은 상자형상이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부에 디스크 설치부(A)와 기구부(B)가 배치되어 있다. 디스크 설치부(A)에는 매거진(M)이 도 1의 왼쪽방향으로부터 장전된다. 매거진(M)은 트레이식으로서, 도 1에서 매거진(M)의 오른쪽이 디스크(D)의 취출구(Ma)가 된다.
이 CD-ROM 체인저에서는, 디스크 설치부(A)에 장전된 매거진(M) 내의 복수의 트레이(2) 중 선택된 트레이(2)(도 5a 및 도 5b 참조)가 중간쯤까지 인출되고, 기구부(B) 내의 디스크 선택 구동부 내에서 고정된다. CD-ROM(이하, 디스크라고 함)(D)은 그 일부가 매거진(M) 내에 남은 상태에서 회전구동된다.
기구부(B)에는, 디스크 누름용 클램퍼(3)를 탑재한 트레이 섀시(4)와, 그리고 이 트레이 섀시(4) 아래에 위치하며 트레이 섀시(4)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픽업 섀시(5)가 구비되어 있다(도 1, 도 5a 및 도 5b 참조). 트레이 섀시(4)와 픽업 섀시(5)로 구성된 픽업 유니트(P)는 케이싱(1)의 기구부(B) 내에서 상하방향(도 1의 지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승강(엘리베이터 이동)할 수 있게 안내된다. 매거진 이젝트 부재(34), 픽업 유니트(P)의 승강용 링크(35), 이젝트 스프링(36), 및 승강용 링크(35)의 구동용 DC 모터(37)가 또한 설치되어 있다(도 1 참조).
트레이 섀시(4)에는, 트레이(2)에 탑재된 디스크(D)를 처킹하기 위한 디스크 누름용 클램퍼(3)와, 트레이 섀시(4)로부터 하향 연장된 지지축(6)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중간 기어(7)와, 이 중간 기어(7)와 맞물리는 기어(8, 8) 등으로 이루어진 구동력 전달 기어와, 이 구동력 전달 기어에 의해 구동되는 캠 기어(9)와, 이 캠 기어(9)에 의해 트레이(2)를 인입하거나 또는 압출하는 트레이 이송 아암(10)과, 그리고 트레이 섀시(4)에 대해 픽업 섀시(5)를 개폐 동작시키는 개폐 레버(11)가 설치되어 있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업 섀시(5)에는 디스크를 얹어놓고 회전구동시키는 턴테이블(12), 및 이 턴테이블(12)이 고정되는 구동축을 갖춘 스핀들 모터(13)가 탑재되어 있다. 또한 픽업 섀시(5)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디스크의 직경방향으로 이송되는 캐리지가 설치되어 있고, 이 캐리지에는 디스크의 정보를 판독/기입하는 헤드가 탑재되어 있다.
트레이 섀시(4)의 하부에는, 픽업 섀시(5)가 그 일단부(도 5a 및 도 5b에서 우단 근처)에서 회전축(18)(도 6 참조)에 의해 지지되어, 픽업 섀시(6)는 회전할 수 있다. 픽업 섀시(5)에는, 회전축(18)의 축심과 동축상에 구동축(19a)의 축심을 설치한 트레이 로딩용 DC 모터(19)가 탑재되어 있다. 이 DC 모터(19)의 구동축(19a)에는 웜 기어(20)가 끼워져 고정되어 있고, 웜 기어(20)에는 트레이(2)의 상부의 트레이 섀시(4)로부터 하향 연장된 지지축(6)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중간 기어(7)가 맞물려져 있다. 이 중간 기어(7)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기어(8, 8) 등으로 이루어진 구동력 전달 기어에 맞물리고, 또한 캠 기어(9)를 회전시켜 트레이 이송 아암(10) 등으로 이루어진 트레이 로딩 기구를 구동시켜 트레이(2)를 로딩한다.
트레이 섀시(4)에는 픽업 캠판(24, 24)이 활주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특히, 픽업 캠판(24)은 이 픽업 캠판(24)에 형성된 안내 슬릿(32, 32)에 삽입된 트레이 섀시(4)의 안내 핀(33, 33) 등에 의해 활주가능하게 안내된다. 이들 픽업 캠판(24, 24)은 DC 모터(19)에 의해 구동되는 캠 기어(9)와 연동(連動)하는 개폐 레버(11)에 의해 구동된다. 픽업 캠판(24, 24)에는 픽업 캠핀(26, 26)이 각각 삽입되는 캠홈(25, 25)이 역방향의 경사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트레이 섀시(4)와 관련하여, 픽업 섀시(5) 는 회전축(18)을 구성하는 회전핀(27, 27)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트레이 섀시(4)의 픽업캠판(24, 24)의 활주 동작에 의해 캠홈(25, 25) 내에서 픽업 캠핀(26, 26)을 이동시킴으로써, 픽업 섀시(5)가 도 5b에 도시된 열림상태와 도 5a 및 도 6에 도시된 닫힘상태로 동작된다.
DC 모터(19)에는 그 본체 외면에 상호 평행한 평탄면(19b, 19b)이 형성되어 있다. 픽업 섀시(5)와 트레이 섀시(4)가 열림상태일 때, 삽입되는 트레이(2)의 하면과 평탄면(19b)이 평행한 상태가 되도록(도 5b 참조), DC 모터(19)가 픽업 섀시(5)에 부착된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업 섀시(5)가 열림상태가 되어 매거진(M)으로부터 선택된 트레이(2)가 트레이 이송 아암(10)에 의해 트레이 로딩되어 기구부(B) 내에 수납되어 있는 경우, 픽업 섀시(5)의 DC 모터(19)는 삽입된 트레이(2)의 하면에 대해 평행해지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트레이(2)또는 트레이(2) 내의 디스크(D)와 DC 모터(19)의 본체 외면(평탄면(19b)) 사이에 틈새가 확보되어 트레이(2)와 디스크(D)를 DC 모터(19)의 본체 외면에 접촉시키지 않고 삽입할 수 있다. 또한, 트레이(2)의 바닥면에 형성된 개구부(2a)로부터 디스크(D)가 노출된다.
턴테이블(12)에는, 사다리꼴 단면을 갖춘 돌기부(12a)가 그 중앙에, 그리고 플랜지부(12b)가 그 외주부에 형성되어 있고, 또한 돌기부(12a)에는 디스크 누름용 클램퍼(3)의 자성부에 대향으로 자석(21)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도 5a에 도시된 처킹시에는 턴테이블(12)의 자석(21)의 자력에 의해 자석(21)이 디스크 누름용 클램퍼(3)의 자성부를 흡착하여 디스크(D)를 자석(21)과 클램퍼(3) 사이에 끼워 처킹함으로써, 디스크(D)가 턴테이블(12)과 함께 회전된다.
이하, 전술한 DC 모터(37) 및 이 DC 모터(37)로 구동되는 매거진 이젝트 기구 및 픽업 유니트(P)용 승강기구에 대해 설명한다.
DC 모터(37)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1)의 바닥판에 부착되어 있고, 그의 구동축(37a)에는 웜 기어(40)가 끼워져 고정되어 있다. 웜 기어(40)에는 케이싱(1)의 바닥판으로부터 돌출된 지지축(41)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중간 기어(42)의 큰 톱니부가 맞물리는 동시에, 중간 기어(42)의 작은 톱니부는 캠판(43)의 래크부(44)에 맞물려 있다.
캠판(43)은 케이싱(1)의 측판의 일측에 활주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또한 케이싱(1)의 측판의 타측에는 캠판(45)이 활주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캠판(43, 45)은 핀(38) 및 긴구멍(39)을 통해 승강용 링크(35)와 연결됨과 동시에, 승강용 링크(35)의 중앙부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DC 모터(37)에 의해 캠판(43)이 예컨대 도 1의 왼쪽방향으로 활주하면, 승강용 링크(35)가 자신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캠판(45)을 도 1의 오른쪽방향으로 활주시킨다. 또한, 승강위치결정기구(후술됨)에 의해 픽업 유니트(P)가 선택된 트레이(2)의 높이로 이동하여 위치결정되고, 전술한 트레이 로딩 기구에 의해 매거진(M) 내의 트레이(2)가 열림상태의 픽업 유니트(P) 내에 인입되면, 도 5b에 도시된 상태가 설정된다.
캠판(43, 45)의 활주 동작에 의하여, 픽업 유니트(P)의 측면의 캠핀(100)이 캠판(43, 45)에 역방향으로 경사진 경사 캠홈부(46)에 의해 승강되어 픽업 유니트(P)의 승강이 행해진다.
이하, 픽업 유니트용 승강위치결정기구에 대해 설명한다.
승강위치결정기구는 전술한 캠판(43, 45)을 갖는다. 도 1,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판(43, 45) 각각에는 역방향으로 경사진 두 개의 경사 캠홈부(46, 46)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경사 캠홈부(46, 46)에 픽업 유니트(P)의 측면의 핀(100, 100)이 걸어맞춰지고, 또한 이들 핀(100, 100)은 케이싱(1)에 형성된 세로홈(101, 101)에 삽입되어 상하방향으로 안내된다. 따라서, 캠판(43, 45)의 활주 동작에 의한 경사 캠홈부(46, 46)의 이동에 따라서 캠핀(100)을 통해 픽업 유니트(P)의 승강이 행해진다.
이하, 승강위치결정기구의 일예를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1 세트의 캠핀(100), 경사 캠홈부(46), 및 세로홈(101)을 도시하고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합계 4 세트 설치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예에서는, 경사 캠홈부(46)의 상하단부에 연속해서 수평 캠홈부(102, 103)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DC 모터(37)에 의해 캠판(43, 45)이 활주되어 경사 캠홈부(46, 46)가 이동함으로써, 캠핀(100)은 경사 캠홈부(46) 내를 이동하면서 세로홈(101)을 따라 상하로 움직이게 된다. 이로써, 캠핀(100)과 함께 픽업 유니트(P)의 승강이 행해진다. 경사 캠홈부(46) 및 수평 캠홈부(102, 103)가 캠홈을 구성한다.
예컨대, 4 장의 디스크(D)가 수납된 매거진(M)에 대한 승강위치결정동작의 경우, 최상단(4 번째)의 디스크(D)를 선택할 때 픽업 유니트(P)의 높이위치는 상부 수평 캠홈부(102)로 설정되고, 최하단(첫 번째)의 디스크(D)를 선택할 때 픽업 유니트(P)의 높이위치는 하부 수평 캠홈부(103)로 설정되고, 두 번째 및 세 번째의 디스크(D)를 선택할 때 픽업 유니트(P)의 높이위치는 경사 캠홈부(46) 내의 위치로 설정된다.
그런데 이런 종류의 CD-ROM 체인저 등에서는, 12 배속 등의 고속 판독이 행해진다. 이 경우, 디스크의 편중심(mass eccentricity)에 의해 디스크에 진동이 발생하여 픽업 유니트(P)전체가 진동하고 판독 특성이 저하된다.
이 진동은 디스크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기 때문에, 수평방향의 진동이 된다. 그러나, 상기 도 7의 예의 경우에는, 캠핀(100)이 수평 캠홈부(102 또는 103)에 의해서 유지될 때 세로홈(101)의 양쪽 가장자리와 캠핀(100) 사이에 틈새가 생기므로, 캠핀(100)이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없다.
이것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도 4에 도시된 승강위치결정기구의 다른 예를 이하 설명한다. 도 1, 도 3, 도 5a 및 5b 등에 도시된 CD-ROM 체인저에는 다른 예가 적용된다.
도 4에 도시된 예에서도, 상기 도 7의 예와 동일하게 경사 캠홈부(46)의 상하단부에 연속해서 수평 캠홈부(102, 103)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DC 모터(37)에 의해 캠판(43, 45)이 승강용 링크(35)를 통해 역방향으로 활주가능하게 동작되고 경사 캠홈부(46, 46)가 이동함으로써, 캠핀(100)은 경사 캠홈부(46) 내를 이동하면서 세로홈(101)을 따라 상하로 움직이게 된다. 이로써, 캠핀(100)과 함께 픽업 유니트(P)의 승강이 행해진다.
상기 예가 도 7의 예와 상이한 점은, 4 장의 디스크(D)가 수납된 매거진(M)에 대한 승강위치결정이 4 장의 디스크(D) 중의 어느 것을 선택해도 픽업 유니트(P)의 높이위치가 경사 캠홈부(46) 내에 설정된다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경사 캠홈부(46)는 픽업 유니트(P)로부터 돌출된 캠핀(100)에 걸어맞춰지고, 또한 경사 캠홈부(46)는 어떤 디스크(D)를 선택한 높이위치라도 경사 캠홈부(46)의 경사부에서 캠핀(100)과 걸어맞춰진다.
이러한 도 4의 구성에 따라서, 캠핀(100)은 세로홈(101)과 경사 캠홈부(46)의 교점에서 경사 캠홈부(46)의 경사면과 세로홈(101)의 수직면으로 이루어진 쐐기형 각부에 의해 유지되기 때문에, 캠핀(100)은 잘 흔들리지 않게 되어 특히 캠핀(100)의 수평방향의 진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예에서는 매거진(M) 내의 디스크(D)에 대한 트레이 로딩이 수평 캠홈부(102, 103)에 의하여 행해지지 않지만, 후술되는 초기화시에는 수평 캠홈부(102, 103)가 사용된다.
그런데, 승강동작이 행해지는 픽업 유니트(P)의 높이 정밀도는 리니어 포지션 센서의 위치와 캠홈의 위치 사이의 관계(정밀도)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지만, 이 위치 관계는 부품의 제조상의 오차나 조립오차에 의거한 초기 조립 정밀도와 반복사용시의 정밀도의 편차에 따라 변화한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 종래 장치에서는 이들 중 초기 조립 정밀도의 보정을 위해 나사를 사용하는 위치조정기구를 설치하였지만, 반복사용시의 정밀도의 변화에 따른 편차에는 대응하지 않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캠홈의 상부 수평 캠홈부(102)안쪽에 위치기준면(104)을 설치하고(4 개의 캠홈 중 1 개 캠홈의 상부 수평 캠홈부(102)에만), CD-ROM 체인저의 전원이 온(ON)되었을 때에 이 기준면(104)에 캠핀(100)을 접촉시키고, 이 접촉시에 얻어지는 리니어 포지션 센서의 검출출력을 샘플링하고, 그 결과치를 승강(엘리베이터 이동) 동작제어의 기준치로 사용함으로써, 초기 조립 정밀도를 보정하고 있다(후술하는 도 8에 도시된 초기화 제어). 이 초기화 제어에 의해, 초기 조립 정밀도의 보정뿐 아니라 또한 예측할 수 없는 반복사용시의 정밀도의 편차에 대한 보정도 할 수 있다.
또한, 초기화 처리시 하나의 캠핀(100)이 위치기준면(104)에 접촉했을 때에는 다른 캠핀(100)은 수평 캠홈부(102, 103)의 단부에 접촉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로써, 위치기준이 항시 한 위치에서 설정되어 안정된 초기화를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캠판(43)의 래크부(44)의 매거진 삽입구 측에는 장전된 매거진(M)을 로킹하고 있는 로크 부재(47)를 해제하기 위한 로크 해제 캠부(48)가 설치되어 있다. 로크 부재(47)는 케이싱(1)에서 축(49)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코일스프링(50)에 의해 도 1 및 도 2에서 시계방향으로 힘을 받는다. 또한 로크 부재(47)에는, 매거진(M)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로크용 돌기(도시되지 않음)와 걸어맞춰져 매거진(M)을 로킹하는 로크부(51)와, 로크 해제 캠부(48)와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핀(52)이 설치되어 있다. 로크부(51)에는, 매거진(M)의 삽입시에 로크용 돌기(도시되지 않음)와 접촉하는 경사면(51a)과, 그리고 로크용 돌기(도시되지 않음)와 걸어맞춰지는 로크면부(51b)가 형성되어 있다(도 2 참조).
전술한 바와 같이 도 1의 왼쪽방향으로 캠판(43)이 활주함으로써, 로크 해제 캠부(48)가 로크 부재(47)의 걸어맞춤핀(52)에 걸어맞춰져 로크 부재(47)를 코일스프링(50)에 대항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매거진(M)의 로크용 돌기(도시되지 않음)가 해제되어 매거진 이젝트 부재(34)를 배출방향으로 가압하는 이젝트 스프링(36)의 탄성에 의해 매거진(M)은 도 1의 왼쪽방향으로 배출된다.
이젝트 스프링(36)은 그 일단이 매거진 이젝트 부재(34)에 걸려 있고 타단이 승강용 링크(35)에 걸려 있다. 승강용 링크(35)는 이젝트 스프링(36)의 탄성에 의해 도 1에서 시계방향으로 힘을 받기 때문에, 다시 말하면 이젝트 스프링(36)의 탄성이 픽업 유니트(P)를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향하기 때문에, 픽업 유니트(P)의 하강에 필요한 구동력과 이보다 큰 상승에 필요한 구동력을 서로 균등화시킨다.
이하, 매거진의 삽입·배출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매거진(M)을 디스크 설치부(A) 내로 삽입하면, 매거진(M)의 선단은 이젝트 스프링(36)의 탄성에 대항하여 매거진 이젝트 부재(34)를 활주시킨다. 이러한 매거진(M)의 삽입에 의해, 매거진(M)의 로크용 돌기(도시되지 않음)가 로크 부재(47)의 경사면(51a)에 접촉됨으로써, 로크 부재(47)는 코일 스프링(50)의 탄성에 대항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매거진(M)이 삽입되면, 매거진(M)의 로크용 돌기(도시되지 않음)가 로크 부재(47)의 경사면(51a)을 타고 넘어 로크 부재(47)는 코일 스프링(50)의 탄성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로크용 돌기(도시되지 않음)는 로크부(51)의 로크면부(51b)에 로킹된다. 이로써, 이젝트 스프링(36)의 탄성을 이용하는 매거진 이젝트 부재(34)에 의하여 매거진(M)의 배출이 방지된다.
이젝트 버튼(도시되지 않음)이 눌러져 DC 모터(37)가 구동되고,구동축(37a), 웜 기어(40), 및 중간 기어(42)를 통해 캠판(43)의 래크부(44)는 도 1의 왼쪽방향으로 활주한다. 이로써, 로크 해제 캠부(48) 또한 도 1의 왼쪽방향으로 활주되어 로크 부재(47)의 걸어맞춤핀(52)에 걸어맞춰지고, 로크 부재(47)는 코일 스프링(50)에 대항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로크 부재(51)의 로크면부(51b)가 매거진(M)의 로크용 돌기(도시되지 않음)에서 벗어나, 매거진(M)은 이젝트 스프링(36)의 탄성을 이용하는 매거진 이젝트 부재(34)에 의해 도 1의 왼쪽방향으로 배출된다.
또한, 매거진 이젝트 부재(34)의 측가장자리로부터 동작편(81)이 돌출되어 있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편(81)에 의해 액츄에이터(83)를 가압함으로써 온(오프)되는 매거진 검출 스위치(82)가 케이싱(1)의 바닥판에 설치되어 있다.
이하, 매거진(M) 내의 트레이 선택동작(픽업 유니트(P)의 승강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매거진(M)이 디스크 설치부(A) 내의 최내측으로 삽입되면, 매거진 검출 스위치(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매거진(M)의 삽입이 검지된다. 이로써, 매거진(M) 내의 트레이(2) 중 선택된 트레이(2)를 위한 트레이 선택 동작이 행해진다.
예컨대, 매거진(M) 내에 4 장의 트레이(2)가 수납되어 있는 경우에, 위에서 2 번째의 트레이(2)를 선택하면, DC 모터(37)가 구동되어 구동축(37a), 웜 기어(40), 및 중간 기어(42)를 통해 캠판(43)의 래크부(44)가 도 1의 오른쪽방향으로 활주됨과 동시에, 승강용 링크(35)에 연동된 캠판(45)이 왼쪽방향으로 활주된다. 이로써, 캠판(43, 45)의 경사 캠홈부(46)에 의해 픽업 유니트(P)의 측면의 캠핀(100)이 승강되어 2 번째의 트레이(2)에 대응하는 높이까지 픽업 유니트(P)가 상승된다. 이어서, 트레이 로딩 동작이 행해져, 매거진(M) 내의 2 번째의 트레이(2)가 픽업 유니트(P) 내로 이동된다.
디스크(D)를 변경하거나, 정지시키거나, 또는 배출시킬 때에는, 트레이 로딩 동작이 행해져 픽업 유니트(P) 내의 트레이(2)가 매거진(M) 내로 이동된다.
그리고, 이젝트 버튼(도시되지 않음)이 눌려지면, 전술한 바와 같이 모든 트레이(2)가 수납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트레이 로딩 동작이 행해져 매거진(M)에 모든 트레이(2)가 수납된다. 그 후, DC 모터(37)가 구동되고 구동축(37a), 웜 기어(40), 및 중간 기어(42)를 통해 캠판(43)의 래크부(44)가 도 1의 왼쪽방향으로 활주됨과 동시에, 승강용 링크(35)에 연동된 캠판(45)이 오른쪽방향으로 활주되어, 픽업 유니트(P)가 최하측의 위치까지 하강된다. 그 후, 다시 DC 모터(37)가 구동되어 승강용 링크(35)는 도 1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전술한 매거진의 배출동작(로크 부재(47)의 해제)이 행해진다.
이하, 픽업 유니트(P)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의 도 5b는 매거진(M) 내의 복수의 트레이(2)로부터 트레이(2)를 선택하여 트레이 로딩 동작을 행함으로써 기계부(B) 내에 선택한 트레이(2)를 인입한 상태이다.
도 5b의 상태에서, DC 모터(19)의 구동에 의해 픽업 캠판(24)을 활주시킴으로써 캠홈(25) 내에 걸어맞춰져 있는 픽업 캠핀(26, 26)이 이동하여, 픽업 섀시(5)가 경사져서 열림상태가 된다. 이 때, 픽업 섀시(5)의 턴테이블(12)도 최저위치에서 디스크 누름용 클램퍼(3)(도 1 참조)로부터 떨어져 위치되고, 디스크 누름용 클램퍼(3)는 트레이 섀시(4)의 자석(도시되지 않음)의 자력에 의해 트레이 섀시(4)의 자석(도시되지 않음)에 흡착된다. 따라서, 디스크 누름용 클램퍼(3)는 트레이(2)의 이동범위에서 떨어져 그 위에 위치하고, 또한 턴테이블(12)도 트레이(2)의 이동범위에서 떨어져 그 밑에 위치하기 때문에, 도 5b의 왼쪽으로부터 턴테이블(12)과 디스크 누름용 클램퍼(3) 사이에 트레이(2)를 끼우고 뺄 수 있다. 또한, 도 5b의 상태에서는, 턴테이블(12)이 트레이(2)의 밑에 있기 때문에, 디스크(D)는 트레이(2) 위에 얹혀 있다.
도 5b의 상태에서, DC 모터(19)가 구동되어 활주 캠판(24)이 도 5a의 위치로 활주되면, 픽업 캠핀(26, 26)이 캠홈(25, 25) 내에서 이동하여 픽업 섀시(5)가 위로 움직이게 된다. 이 동작에 의해, 픽업 섀시(5)의 턴테이블(12)도 위로 움직이게 되어 디스크 누름용 클램퍼(3)에 가까워지고 디스크(D)를 처킹하여, 디스크(D)는 턴테이블(12)과 함께 회전구동된다.
이러한 처킹 동작시, 디스크(D)는 턴테이블(12)에 의해 트레이(2)로부터 들어올려지고, 처킹 완료상태에서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2)로부터 떨어진다.
이와 같은 처킹동작에 의하여 픽업 섀시(5)가 회전축(18)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DC 모터(19)도 도 5b의 상태로부터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본체 외면의 상측의 평탄면(19b)의 좌단측(G)은 상승하여 돌출하고, 그리고평탄면(19b)의 좌단측(G)은 트레이(2)의 개구부(2a) 내로 진출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크(D)가 트레이(2)로부터 들떠있기 때문에, 상승한 평탄면(19b)의 좌단측(G)과 디스크(D)의 하면 사이에 틈새가 확보되어, 디스크(D)와 DC 모터(19)가 접촉하여 기록/재생동작에 지장이 생기지 않는다.
이하, DC 모터(19)로부터의 구동력의 전달경로에 대해 설명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업 섀시(5)에 탑재되고 트레이 로딩용으로 사용되는 DC 모터(19)의 구동력은 그 구동축(19a)에 설치된 웜 기어(20)로부터 상부 트레이 섀시(4)의 지지축(6)에 지지된 중간 기어(7)로 전달된다. 이 구동력은 중간 기어(7)로부터 도 1,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기어(8, 8) 등으로 이루어진 구동력 전달 기어로 전달된다.
그리고, 도 5a의 닫힘상태에서 도 5b의 열림상태로 픽업 섀시(5)가 회전하면, 픽업 섀시(5)의 회전중심(회전축(18)의 축심)과 DC 모터(19)의 웜 기어(20)(구동축(19a)의 축심)의 축심이 동일선상에 설정되기 때문에, 웜 기어(20)에 맞물려 있는 중간 기어(7)도 웜 기어(20)의 축심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다시 말하면, 픽업 섀시(5)가 회전하더라도, 웜 기어(20)와 중간 기어(7)의 축간 거리는 항상 일정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픽업 섀시(5)가 어떤 위치에 있더라도, DC 모터(19)의 구동력은 중간 기어를 통해 구동력 전달 기어로 전달될 수 있다.
이하, 픽업 유니트(P)의 승강위치결정기구의 초기화 동작제어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픽업 유니트(P)의 승강위치결정기구의 초기화 동작제어를 나타내는플로차트이다.
이 처리는 CD-ROM 체인저의 전원을 리세트한 후 실행된다.
먼저, DC 모터(37)를 시동시켜 전술한 바와 같이 캠판(43, 45)을 수평방향으로 이동(활주)시키고, 캠핀(100)을 통해 픽업 유니트(P)를 상방향으로 이동시키고(S1), 캠판(43)(또는 45)의 활주 위치를 검출하는 리니어 포지션 센서(LPS)(S)로부터의 검출출력을 판독하고(S2), 그리고 픽업 유니트(P)가 4 번째(최상단) 트레이의 위치에 도달했는지 판단한다(S3). 픽업 유니트(P)가 4 번째의 트레이 위치에 도달해 있지 않으면(S3 에서 "NO") 단계(S2)로 다시 되돌려 반복한다.
픽업 유니트(P)가 4 번째의 트레이 위치에 도달해 있으면(S3 에서 "YES"), 다시 DC 모터(37)를 기어가 서로 맞물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1/4 듀티 팩터(duty factor)로 시동시켜 활주 캠판(24)을 활주시키고, 픽업 유니트(P)를 상방향으로 이동시키고(S4), 리니어 포지션 센서(S)를 판독하여(S5), 캠판(43)의 위치가 변화되어 있지 않는지 판단한다(S6). 위치가 변화되어 있으면(S6 에서 "NO") 아직 캠핀(100)이 기준면(104)에 접촉되지 않았기 때문에 단계(S5)로 되돌려 반복한다.
위치가 변화되어 있지 않으면(S6 에서 "YES"), 캠핀(100)이 위치기준면(104)에 접촉되어 있다고 판단하고(S7), 그 검출치에 의거하여 현재의 캠판(43)의 위치와 이상치의 차이를 계산하여 각각의 위치(목표치)의 테이블을 재작성한다. 즉, 각각의 위치의 테이블로서 4, 3, 2, 1 번째의 각 플레이 위치에서 목표치(P1, P2, P3, P4) 등이 설정되고, 또 기준위치에서의 이상치가 "PO"(예컨대, 10)로 설정된다. 이 경우, 상기 현재 위치(캠핀(100)이 위치기준면(104)에 접촉된 위치)에서의 리니어 포지션 센서(S)로부터의 검출출력이 8 이라고 하면,
8(현재 위치)- 10(이상치)= -2
가 된다. 목표치(P1, P2, P3, P4) 등의 각 위치의 테이블을 "-2" 로 보정해서 재기입한다. 이렇게 해서 픽업 유니트(P)의 승강위치결정기구의 초기화 작업이 종료된다.
이와 같은 초기화는 CD-ROM 체인저의 전원투입시마다 행해지기 때문에, 정밀도의 편차는 최신 데이터에 의거하여 보정될 수 있다.
이하, 엘리베이터 이동(승강) 동작제어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엘리베이터 이동동작제어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CD-ROM의 선택 버튼 등이 눌려지면 픽업 유니트(P)가 선택된 디스크에 대응하는 위치(목표위치)로 승강되는데, 이 제어동작을 이하에 설명한다.
이동목표위치로서 플레이 위치-8LSB 의 위치를 설정하고(S11), DC 모터(37)를 통상적으로 시동시켜 캠판(43, 45)을 활주시킴으로써 픽업 유니트(P)를 목표위치방향으로 상승(또는 하강)시키고(S12), 캠판(43, 45)의 위치를 리니어 포지션 센서(S)의 검출출력으로 판독하고(S13), 그리고 캠판(43, 45)이 목표위치에 도달했는지를 판단한다(S14). 목표위치에 도달해 있지 않으면(S14 에서 "NO") 단계(S13)로 되돌린다.
캠판(43, 45)이 목표위치에 도달해 있으면(S14 에서 "YES"), 이동목표위치를플레이 위치로 설정하고(S15), DC 모터(37)를 상방향으로 1/4 듀티 팩터로 저속으로 시동하고(S16), 캠판(43, 45)의 위치를 리니어 포지션 센서(S)로 판독하고(S17), 그리고 캠판(43, 45)이 목표위치(0 또는 +1)에 도달했는지를 판단한다(S18). 캠판(43, 45)이 목표위치(0 또는 +1)에 도달해 있지 않으면(S18 에서 "NO") 단계(S17)로 되돌리고, 캠판(43, 45)이 목표위치(0 또는 +1)에 도달해 있으면(S18 에서 "YES") DC 모터(37)를 정지시킨다(S19).
일반적으로 디지탈값의 판정에서는, 데이터 편차에 따른 부정정(不靜定)을 회피하기 위해 ±1 LSB 이상의 폭 내에서 "GO/NOGO"를 판정한다. 이 경우, DC 모터(19)를 제어함으로써 판정기준을 +0/-1 LSB로 변경시킬 수 있어 불감지대(blind zone)를 절반으로 만들 수 있다.
상기 제어에서는 캠판(43, 45)의 수평위치를 리니어 포지션 센서(S)로 검출하도록 하고 있으나, 픽업 유니트(P)의 높이위치는 임의의 센서로 검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동작제어에 의해, DC 모터(37)의 정지 후에도 지나친 상승으로 인한 높이위치정밀도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전체적인 이동시간이 크게 짧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런데, 픽업 유니트(P)의 이동방향이 상향인지 하향인지에 따른 기어의 백래시(back-lash)에 의해 히스테리시스가 발생하여, 픽업 유니트(P)의 정지위치에 오차가 발생한다.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픽업 유니트(P)를 하강시켜 목표치에 상응하는 위치에 정지시키는 경우에는, 픽업 유니트(P)가 목표치에 상응하는 위치를 일단 통과한 후에 상기 픽업 유니트(P)를 상승시켜 목표치에 상응하는 위치에 정지시킨다.
이와 같이 제어함으로써, 픽업 유니트(P)가 하측의 정지위치로 이동하거나 상측의 정지위치에 이동하는 어느 경우에도 항시 아래에서 위로 이동하기 때문에, 히스테리시스의 영향을 없앨 수 있으며, 또는 히스테리시스가 있어도 동일한 상태가 설정되어 픽업 유니트(P)는 동일한 정지위치에서 정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실시예에서는, 헤드를 탑재한 픽업 유니트(P)를 가지며 복수의 디스크(D)를 수납한 매거진(M)으로부터 원하는 디스크(D)를 선택하고 이 선택된 디스크(D)와 헤드 사이에서 데이터의 판독/기입을 행하는 기록/재생장치로서, 픽업 유니트(P)의 캠핀(100)과 걸어맞춰져 픽업 유니트(P)를 상하 이동시키는 캠홈(46)을 가지며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캠판(43, 45)과, 이 캠판(43, 45)을 수평방향으로 구동시키는 DC 모터(37)와, 캠판(43, 45)의 수평방향에서의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S)와, 그리고 캠홈(46)의 적어도 일단부에 형성되고 픽업 유니트(P)의 캠핀(100)이 접촉되는 위치기준면(104)을 구비하며, DC 모터(37)로 캠판(43, 45)을 수평방향으로 구동시키고, 픽업 유니트(P)의 캠핀(100)을 위치기준면(104)에 접촉시켜 이때의 캠판(43, 45)의 수평방향위치를 센서(S)로 검출함으로써 캠판(43, 45)의 초기화를 행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종래와 같은 높이위치결정 부재 등의 부품을 필요로 하지 않고 픽업 유니트(P)의 캠핀(100)을 캠홈(46, 102, 103)의 위치기준면(104)에 접촉시켰을 때의 캠판(43, 45)의 수평방향위치를 센서(S)로 검출하여 보정함으로써 캠판(43, 45)에 의한 픽업 유니트(P)의 높이 정밀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기구가 간소화되어 비용이 절감되며 고장날 우려도 감소되고 또 콤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으며, 또한 돌출이동 및 위치결정부재의 밀어올림동작이 필요 없어져 선택에서 로딩까지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서는, 헤드를 탑재한 픽업 유니트(P)를 가지며 복수의 디스크(D)를 수납한 매거진(M)으로부터 원하는 디스크(D)를 선택하고, 이 선택된 디스크(D)와 헤드 사이에서 데이터의 판독/기입을 행하는 기록/재생장치로서, 픽업 유니트(P)의 캠핀(100)과 걸어맞춰져 픽업 유니트(P)를 상하 이동시키는 캠홈(46, 102, 103)을 가지며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캠판(43, 45)과, 이 캠판(43, 45)을 수평방향으로 구동시키는 DC 모터(37)와, 픽업 유니트(P)의 높이위치를 검출하는 센서와, 그리고 캠홈(46)의 적어도 일단부에 형성되고 픽업 유니트(P)의 캠핀(100)이 접촉되는 위치기준면(104)을 구비하며, DC 모터(37)로 캠판(43, 45)을 수평방향으로 구동시키고, 픽업 유니트(P)의 캠핀(100)을 위치기준면(104)에 접촉시켜 이 때의 픽업 유니트(P)의 높이위치를 센서로 검출함으로써 캠판(43, 45)의 초기화를 행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종래와 같은 높이위치결정 부재 등의 부품을 필요로 하지 않고 픽업 유니트(P)의 캠핀(100)을 캠홈(46)의 위치기준면(104)에 접촉시켰을 때의 픽업 유니트(P)의 높이위치를 센서로 검출하여 보정함으로써 픽업 유니트(P)의 높이 정밀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기구가 간소화되어 비용이 절감되며 고장날 우려도 감소되고 또 콤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으며, 또한 종래의 돌출이동 및 위치결정 부재의 밀어올림동작이 필요 없어져 선택에서 로딩까지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 DC 모터(37)는 센서로부터의 출력치와 목표치간의 차이가 제 1 소정치에 이를 때까지는 캠판(43, 45)을 제 1 속도로 구동시키고, 그 후에는 센서로부터 출력치와 목표치간의 차이가 제 1 소정치보다 작은 제 2 소정치에 이를 때까지는 캠판(43, 45)을 제 1 속도보다 작은 제 2 속도로 구동시키고, 또한 그 후에는 센서로부터의 출력치와 목표치간의 차이가 제 2 소정치보다 작은 제 3 소정치에 도달했을 때에 캠판(43, 45)의 구동을 정지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DC 모터(37)를 정지시킨 후에도 지나친 상승으로 인한 높이위치정밀도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전체적인 이동시간이 크게 짧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서는, 픽업 유니트(P)를 하강시켜 목표치에 정지시킨 경우, 상기 픽업 유니트가 목표치에 상응하는 위치를 일단 통과한 후에 상기 픽업 유니트를 상승시켜 목표치에 상응하는 위치에 정지시키기 때문에, 하측의 정지위치로 이동하거나 상측의 정지위치로 이동하는 어느 경우에도 항시 아래에서 위로 이동하므로, 히스테리시스의 영향을 없앨 수 있으며, 또는 히스테리시스가 있어도 동일한 상태가 설정되어 픽업 유니트(P)는 동일한 정지위치에 정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캠홈(46, 102, 103)이 픽업 유니트(P)에 돌출된 캠핀(100)에 걸어맞춰지고, 또한 어떤 디스크(D)를 선택한 높이위치에서도 캠홈부(46)의 경사부에서 캠핀(100)과 걸어맞춰지기 때문에, 캠핀(100)은 세로홈(101)과 경사 캠홈부(46)의 교점에서 경사 캠홈부(46)의 경사면과 세로홈(101)의 수직면으로 이루어진 쐐기형 각부에 의해 유지되어, 캠핀(100)이 잘흔들리지 않아 특히 수평방향의 진동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1 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종래와 같은 높이위치결정 부재 등의 부품을 필요로 하지 않고 픽업 유니트의 캠핀을 캠홈의 수평위치기준부에 접촉시켰을 때의 캠판의 수평방향위치를 센서로 검출하여 보정함으로써 캠판에 의한 픽업 유니트의 높이 정밀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기구가 간소화되어 비용이 절감되며 고장날 우려도 감소되고 또 콤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으며, 또한 돌출이동 및 위치결정 부재의 밀어올림동작이 필요 없어져 선택에서 로딩까지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청구항 2 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종래와 같은 높이위치결정 부재 등의 부품을 필요로 하지 않고 픽업 유니트의 캠핀을 캠홈의 수평위치기준부에 접촉시켰을 때의 픽업 유니트의 높이위치를 센서로 검출하여 보정함으로써 픽업 유니트의 높이 정밀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기구가 간소화되어 비용이 절감되며 고장날 우려도 감소되고 또 콤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으며, 또한 돌출이동 및 위치결정 부재의 밀어올림동작이 필요 없어져 선택에서 로딩까지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청구항 3 및 4 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모터를 정지시킨 후에도 지나친 상승으로 인한 높이위치정밀도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전체적인 이동시간이 크게 짧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5 및 6 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하측의 정지위치로 이동하거나 상측의 정지위치로 이동하는 어느 경우에도 항시 아래에서 위로 이동되기 때문에, 히스테리시스의 영향을 없앨 수 있으며, 또는 히스테리시스가 있어도 동일한 상태가 설정되어 픽업 유니트는 동일한 정지위치에 정지할 수 있다.
청구항 7 및 8 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캠핀은 세로홈과 경사 캠홈부의 교점에서 경사 캠홈부의 경사면과 세로홈의 수직면으로 이루어진 쐐기형 각부에 의해 유지되기 때문에, 캠핀이 잘 흔들리지 않아 진동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8)

  1. 헤드를 탑재한 픽업 유니트를 가지며 복수의 디스크를 수납한 매거진으로부터 원하는 디스크를 선택하고, 이 선택된 디스크와 상기 헤드 사이에서 데이터의 판독/기입을 행하는 기록/재생장치로서,
    상기 픽업 유니트의 캠핀과 걸어맞춰져 픽업 유니트를 상하 이동시키는 캠홈을 가지며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캠판과,
    상기 캠판을 수평방향으로 구동시키는 모터와,
    상기 캠판의 수평방향에서의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와, 그리고
    상기 캠홈의 적어도 일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픽업 유니트의 캠핀이 접촉되는 수평위치기준부를 구비하며,
    상기 모터로 상기 캠판을 수평방향으로 구동시키고, 상기 픽업 유니트의 캠핀을 상기 수평위치기준부에 접촉시키고, 이 때의 상기 캠판의 수평방향위치를 상기 센서로 검출함으로써 상기 캠판의 초기화를 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장치.
  2. 헤드를 탑재한 픽업 유니트를 가지며 복수의 디스크를 수납한 매거진으로부터 원하는 디스크를 선택하고, 이 선택된 디스크와 상기 헤드 사이에서 데이터의 판독/기입을 행하는 기록/재생장치로서,
    상기 픽업 유니트의 캠핀과 걸어맞춰져 픽업 유니트를 상하 이동시키는 캠홈을 가지며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캠판과,
    상기 캠판을 수평방향으로 구동시키는 모터와,
    상기 픽업 유니트의 높이위치를 검출하는 센서와, 그리고
    상기 캠홈의 적어도 일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픽업 유니트의 캠핀이 접촉되는 수평위치기준부를 구비하며,
    상기 모터로 상기 캠판을 수평방향으로 구동시키고, 상기 픽업 유니트의 캠핀을 상기 수평위치기준부에 접촉시키고, 이 때의 상기 픽업 유니트의 높이위치를 상기 센서로 검출함으로써 상기 캠판의 초기화를 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상기 센서로부터의 출력치와 목표치간의 차이가 제 1 소정치가 될 때까지는 상기 캠판을 제 1 속도로 구동시키고,
    그 후, 상기 모터는 상기 센서로부터의 출력치와 목표치간의 차이가 제 1 소정치보다 작은 제 2 소정치가 될 때까지는 상기 캠판을 상기 제 1 속도보다 작은 제 2 속도로 구동시키고, 그리고
    그 후, 상기 센서로부터의 출력치와 목표치간의 차이가 제 2 소정치보다 작은 제 3 소정치에 도달했을 때에 상기 캠판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상기 센서로부터의 출력치와 목표치간의 차이가 제 1 소정치가 될 때까지는 상기 캠판을 제 1 속도로 구동시키고,
    그 후, 상기 모터는 상기 센서로부터의 출력치와 목표치간의 차이가 제 1 소정치보다 작은 제 2 소정치가 될 때까지는 상기 캠판을 상기 제 1 속도보다 작은 제 2 속도로 구동시키고, 그리고
    그 후, 상기 센서로부터의 출력치와 목표치간의 차이가 제 2 소정치보다 작은 제 3 소정치에 도달했을 때에 상기 캠판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 유니트를 하강시켜 목표치에 상응하는 위치에 정지시키는 경우, 상기 픽업 유니트가 목표치에 상응하는 위치를 일단 통과한 후에 상기 픽업 유니트를 상승시켜 목표치에 상응하는 위치에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 유니트를 하강시켜 목표치에 상응하는 위치에 정지시키는 경우, 상기 픽업 유니트가 목표치에 상응하는 위치를 일단 통과한 후에 상기 픽업 유니트를 상승시켜 목표치에 상응하는 위치에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캠홈은 상기 픽업 유니트로부터 돌출된 상기 캠핀에 걸어맞춰지고, 또한 어떤 디스크를 선택한 높이위치에서도 상기 캠홈의 경사부에서상기 캠핀과 걸어맞춰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캠홈은 상기 픽업 유니트로부터 돌출된 상기 캠핀에 걸어맞춰지고, 또한 어떤 디스크를 선택한 높이위치에서도 상기 캠홈의 경사부에서 상기 캠핀과 걸어맞춰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장치.
KR1019980019850A 1997-06-02 1998-05-29 기록/재생장치 KR1003202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144063 1997-06-02
JP14406397A JP3569109B2 (ja) 1997-06-02 1997-06-02 記録/再生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6522A KR19990006522A (ko) 1999-01-25
KR100320248B1 true KR100320248B1 (ko) 2002-02-19

Family

ID=15353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9850A KR100320248B1 (ko) 1997-06-02 1998-05-29 기록/재생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091695A (ko)
EP (1) EP0883122A1 (ko)
JP (1) JP3569109B2 (ko)
KR (1) KR100320248B1 (ko)
CN (1) CN1201231A (ko)
TW (1) TW38024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56094B2 (ja) * 1998-06-17 2004-08-1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光ディスク装置
JP3653191B2 (ja) * 1999-01-22 2005-05-25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搬送機構
JP3792104B2 (ja) * 2000-05-26 2006-07-05 アルパイン株式会社 ディスク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97865A (en) * 1986-06-02 1989-01-10 Victor Company Of Japan, Ltd. Information recording disc player having receiving parts for receiving a plurality of disc cartridge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88385A (ja) * 1983-04-07 1984-10-25 Fanuc Ltd サ−ボ制御回路
DE3645200C2 (ko) * 1985-03-08 1992-05-14 Pioneer Electronic Corp., Tokio/Tokyo, Jp
KR920009778B1 (ko) * 1990-11-12 1992-10-22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크 플레이어의 연속 플레이장치
US5427489A (en) * 1992-11-25 1995-06-27 Gte Vantage Incorporated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automated cassette library
JP3363971B2 (ja) * 1993-10-05 2003-01-08 ナカミチ株式会社 チェンジャ−型ディスク再生装置
US5802021A (en) * 1994-04-14 1998-09-01 Sony Corporation Disc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and disc recording media exchange apparatus
JP3514549B2 (ja) * 1995-05-26 2004-03-31 アルパイン株式会社 記録媒体の搬送装置
JP3514588B2 (ja) * 1996-08-23 2004-03-31 アルパイン株式会社 ディスク装置
KR100243244B1 (ko) * 1996-10-31 2000-02-01 윤종용 광디스크플레이어의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97865A (en) * 1986-06-02 1989-01-10 Victor Company Of Japan, Ltd. Information recording disc player having receiving parts for receiving a plurality of disc cartridg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01231A (zh) 1998-12-09
US6091695A (en) 2000-07-18
KR19990006522A (ko) 1999-01-25
JP3569109B2 (ja) 2004-09-22
EP0883122A1 (en) 1998-12-09
JPH10334556A (ja) 1998-12-18
TW380247B (en) 2000-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14183B1 (en) Disc player with magazine switched drive source
JP3867419B2 (ja) 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装置
JP6788777B2 (ja) ディスク装置
US6388974B1 (en) Recording medium driving apparatus
KR100337244B1 (ko) 이동조작장치와기록및재생장치
KR100320248B1 (ko) 기록/재생장치
US7340753B2 (en) Disk drive
US20070083880A1 (en) Optical disc drive capable of adjusting skews and compensating for alignment errors
US8250592B2 (en) Optical disk apparatus
JP2006073059A (ja) ディスク装置
US6058097A (en) Changer-type disk playback device
EP1174872B1 (en) Disk drive apparatus
JP4322868B2 (ja) スロットイン型ディスク装置
JP3080852B2 (ja) ディスク演奏装置
JP3079410B2 (ja) ディスク演奏装置
KR101308376B1 (ko) 광디스크 드라이브
JP2007179690A5 (ko)
JP3933858B2 (ja) ディスク選択式ディスク装置
JP4890587B2 (ja) ディスク搬入装置及びディスク装置
JP3570002B2 (ja) ディスクチェンジャ装置
JP3031949B2 (ja) 円盤状記録媒体のチャッキング機構
JP2006331528A (ja) 光ディスク装置
JPH02134760A (ja) 記録円盤再生装置
JPH10302367A (ja) マガジン検出装置
JPH0731864B2 (ja) ディスクプレー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8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