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9314B1 - 경화처리장치 - Google Patents

경화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9314B1
KR100319314B1 KR1019990015163A KR19990015163A KR100319314B1 KR 100319314 B1 KR100319314 B1 KR 100319314B1 KR 1019990015163 A KR1019990015163 A KR 1019990015163A KR 19990015163 A KR19990015163 A KR 19990015163A KR 100319314 B1 KR100319314 B1 KR 1003193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om plate
hardening
coin
main body
pay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5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87974A (ko
Inventor
미카미미츠구
나카지마겐지
Original Assignee
오까다 마사하루
가부시끼가이샤 닛본 콘럭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까다 마사하루, 가부시끼가이샤 닛본 콘럭스 filed Critical 오까다 마사하루
Publication of KR19990087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79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9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93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00Coin dispensers
    • G07D1/02Coin dispensers giving change
    • G07D1/04Coin dispensers giving change dispensing change equal to a sum deposited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9/00Counting coins; Handling of coin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자동판매기, 환전기 등의 기기내에 배치되고 투입경화의 정위를 판별함과 동시에 진짜화폐로 간주된 경화를 종류별마다 선별해서 수용하고 거스름돈의 액수에 따른 경화를 선택적으로 지불하는 경화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경화지불부의 보수점검작업을 할 때 장치본체 그 자체를 자동판매기의 문 등의 배치위치에서 분리하는 등의 번잡함을 없애 보수점검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장치본체내의 최하부에 거스름돈의 액수에 따른 경화를 지불하는 경화지불부를 배치한 경화처리장치에 있어서 경화지불부의 바닥부(底部)를 형성하는 바닥판을 장치본체에 대해 그의 정면에서 슬라이드 자유롭게 장착시키도록 하였다.
이렇게 하는 것에 의해서, 간단한 조작에 의해 바닥판을 장치본체에서 분리하여 그곳에 막힌 경화의 제거 또는 청소 등의 보수점검작업을 매우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는 등의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경화처리장치{COIN PROCESSING APPARATUS}
본 발명은 자동판매기, 환전기 등의 기기내에 배치되고 투입경화의 정위(正僞)를 판별함과 동시에 진짜화폐로 간주된 경화를 종류별마다 선별해서 수용하고또 거스름돈의 액수에 따른 경화를 선택적으로 지불하는 경화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판매기 등의 기기내에는 투입경화의 정위를 판별하고 진짜화폐로 판별된 경화를 종류별마다 선별해서 수용함과 동시에 거스름돈의 액수가 확정된 경우에는 그 거스름돈의 액수에 따른 경화를 선택적으로 지불하는 경화처리장치가 배치되어 있다.
이 경화처리장치는 크게 나누어,
[1] 투입경화를 받아들임과 동시에 그 투입경화의 정위를 판별하여 선별 하고 또 진짜화폐로 간주된 경화를 종류별로 분리해서 선별하는 경화선별부,
[2] 이 경화선별부에 의해 분리해서 선별된 경화를 종류별마다 축적해서 수용하는 여러개의 코인튜브로 이루어지는 경화수용부 및
[3] 거스름돈의 액수가 확정된 경우에 그 거스름돈의 액수에 따른 경화를 상기 경화수용부에서 선택적으로 지불하는 경화지불부의 3개의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도 8은 상술한 각 구성요소를 하우징(housing)으로 이루어지는 장치본체내에 장착한 종래의 경화처리장치(1)의 개념사시도이다.
이 경화처리장치(1)은 도시하지 않은 자동판매기 등에 배치된 문(2)의 배면(2a)에 상술한 3개의 구성요소를 수용한 단면이 대략 'コ'형의 하우징으로 이루어지는 장치본체(3)이 나사 등의 체결수단을 거쳐 착탈자유롭게 장착되어 있다.
이 경화처리장치(1)의 장치본체(3)내에는 그 상부에서 하부에 걸쳐 순차 경화수취구(4a)가 형성된 경화선별부(4), 여러개의 코인튜브로 이루어지는 경화수용부(5) 및 경화지불부(6)이 배치되어 있다.
또, 이 경화지불부(6)의 더욱 아래쪽에 위치하는 문(2)에는 상기 경화지불부(6)에서 지불된 경화(거스름돈 경화 또는 가짜화폐로 간주된 경화)를 문(2)의 정면에 형성된 주지의 경화지불구로 배출하는 경화지불 슈트(7) 및 상기 경화수용부(5)에서 초과한(오버플로한) 경화를 수용하는 캐쉬박스(cash box)(9)가 배치되고, 그 각 상단(7a), (9a)는 경화지불부(6)의 하면 즉 경화지불부(6)의 최하부를 구성하는 바닥판(bottom base)(8)의 하면에 인접한 위치로 향하고 있다.
또, 상술한 경화지불슈트(7) 및 캐쉬박스(9)의 각 상단(7a), (9a)는 모두 바닥판(8)의 저면에 무한히 접근한 위치에 위치결정해서 지지되어 있고, 바닥판(8)의 하면에서 낙하하는 경화가 그 틈에서 넘치지 않도록 하고 있다.
한편, 상술한 경화처리장치(1)에서는 각 구성요소내에서의 경화 막힌 또는 청소 등의 작업을 실행하는 보수점검작업시에 장치본체(3)에 장착된 각 구성요소를 상기 장치본체(3)에서 분리하는 경우가 있다.
그 때 상술한 종래의 경화처리장치(1)에서는 장치본체(3)에서 경화선별부(4)를 분리하는 경우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치본체(3)과 경화선별부(4)를 서로 걸어맞추는 도시하지 않은 래치수단의 래치를 해제하고, 화살표A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화선별부(4)만을 장치본체(2)의 정면에서 빼내고 그 후, 이 경화선별부(4)의 보수점검작업을 실행하도록 하고 있다. 또, 그 보수점검작업이 종료하면 상술한 조작과는 역조작을 실행하여 경화선별부(4)를 장치본체(2)내에장착한다.
또, 여러개의 코인튜브로 이루어지는 경화수용부(5)의 보수점검시에도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치본체(3)과 경화수용부(5)를 걸어맞추는 도시하지 않은 래치수단의 래치를 해제하고 그 후, 경화수용부(5)를 장치본체(3)의 정면에서 화살표B와 같이 분리하여 그 경화수용부(5)의 보수점검작업을 실행함과 동시에 그 작업종료후에는 상술한 조작과는 역조작을 실행하여 경화수용부(5)를 장치본체(3)내에 장착하도록 하고 있었다.
한편, 장치본체(3)내에 장착된 경화지불부(6)의 보수점검작업을 실행할 때는 경화지불부(6)의 최하면을 구성하는 바닥판(8)을 장치본체(3)에서 분리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종래의 경화처리장치(1)에서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바닥판(8)의 후단을 장치본체(3)의 양측에 형성된 L자형상의 잘라냄부(3a)에 걸어맞추는 축(8a)를 거쳐 회전운동자유롭게 지지시킴과 동시에 그 선단을 장치본체(3)의측면쪽에 형성된 구멍(3b)내에 출몰자유로운 걸어맞춤핀(9)로 이루어지는 래치수단(10)을 거쳐 착탈자유롭게 지지시키고, 이것에 의해 바닥판(8)을 분리하는 경우는 래치수단(10)의 래치를 해제시킨 후 상기 바닥판(8)을 장치본체(3)의 측면쪽에 형성된 구멍(3b)를 중심으로 회전운동시키고, 이것에 의해 바닥판(8)의 상면을 확대 개방시키고 그곳에 막힌 경화를 제거하는 등의 보수점검작업을 실행시키도록 하고 있었다.
또한 상술한 래치수단(10)을 조작하는 도시하지 않은 래치레버는 바닥판(8)내에 배치되어 있어 바닥판(8)의 정면에서 그 조작을 할 수 없는 구조이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경화처리장치(1)의 보수점검시에 경화선별부(4)와 경화수용부(5)는 상기 경화선별부(4)와 경화수용부(5)의 각 래치수단의 래치를 해제시키는 것에 의해 장치본체(3)의 정면에서 간단히 분리할 수 있으므로, 그 보수점검의 작업성에 특별히 문제는 없지만,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경화지불부(6)의 저면을 구성하는 바닥판(6)의 하면에는 경화지불슈트(7) 및 캐쉬박스(9)의 각 상단(7a), (9a)가 인접해 있으므로, 문(2)에 장치본체(3)을 부착한채로의 상태에서 즉시 래치수단(10)의 래치를 해제시켜 상기 바닥판(8)을 장치본체(3)의 측면쪽에 형성된 구멍(3a)를 중심으로 회전운동시킬 수는 없고, 이 때문에 경화지불부(6)의 보수점검작업을 실행할 때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경화처리장치(1) 그 자체를 일단 자동판매기 등의 기기의 문(2)에서 분리하고 그 후, 래치수단(10)의 래치를 해제시켜 상기 바닥판(8)을 장치본체(3)의 측면쪽에 형성된 구멍(3a)를 중심으로 회전운동시키며 이것에 의해 바닥판상면(8a)를 화살표C와 같이 확대 개방시키고 그곳에 막힌 경화를 제거하거나 또는 청소 등의 보수점검작업을 실행시키고 또, 그들 처리가 종료한 후 다시 경화처리장치(1) 그 자체를 도 8에 도시한 자동판매기 등의 기기의 문(2)에 부착하는 작업을 실행하지 않으면 안되어 그 보수점검작업이 매우 번잡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사정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보수점검작업이 용이한 경화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경화처리장치의 개념사시도,
도 2는 바닥판을 인출한 상태를 도시한 경화처리장치의 개념사시도,
도 3은 바닥판의 저면확대단면도,
도 4는 바닥판의 저면확대단면도,
도 5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경화처리장치의 개념사시도,
도 6은 바닥판의 저면확대단면도,
도 7은 바닥판의 저면확대단면도,
도 8은 종래의 경화처리장치의 개념사시도,
도 9는 경화선별부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개념사시도,
도 10은 경화수용부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개념사시도,
도 11은 바닥판을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개념사시도.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장치본체내의 최하부에 거스름돈의 액수에 따른 경화를 지불하는 경화지불부를 배치한 경화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경화지불부의 바닥부(底部)를 형성하는 바닥판을 상기 장치본체에 대해 그의 정면에서 미끄럼이동(슬라이드) 자유롭게 장착시키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경화처리장치의 최하부를 구성하는 경화지불부의 바닥판을 장치본체에 대해 그의 정면에서 미끄럼이동 자유롭게 지지시키도록 하였기 때문에, 경화지불부의 보수점검작업을 실행할 때 장치본체 그 자체를 자동판매기의 문 등의 배치 위치에서 분리할 필요가 없고, 이 때문에 간단한 조작에 의해 바닥판을 장치본체에서 분리하여 그곳에 막힌 경화의 제거 또는 청소 등의 보수점검작업을 매우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경화처리장치의 1실시예를 상세하게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경화처리장치(20)의 개념사시도로서, 도 8과 동일한부분은 동일부호로 나타냄과 동시에 자동판매기 등의 기기를 구성하는 문(2)의 배면(2a)에 장착시킨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경화처리장치(20)에서도 종래예와 마찬가지로 문(2)의 배면(2a)에 단면이 대략 'コ'형인 하우징으로 이루어지는 장치본체(21)이 나사 등의 체결수단을 거쳐 착탈자유롭게 장착되어 있다.
이 장치본체(21)내에도 종래와 마찬가지로 그의 상부에서 하부에 걸쳐 순차 경화처리장치의 주요구성요소인 경화선별부(4), 여러개의 코인튜브로 이루어지는경화수용부(5) 및 경화지불부(6)이 배치되어 있다.
또, 이 경화지불부(6)의 더욱 아래쪽에 위치하는 문(2)에도 종래와 마찬가지로 상기 경화지불부(6)에서 지불된 경화(거스름돈 경화 또는 가짜화폐로 간주된 경화)를 문(2)의 정면에 형성된 주지의 경화지불구로 배출하는 경화지불부슈트(7) 및 상기 경화수용부(5)에서 초과한 경화를 수용하는 캐쉬박스(9)가 배치되고, 그 각 상단(7a), (9a)는 경화지불부(6)의 하면 즉 경화지불부(6)의 최하부를 구성하는 바닥판(30)의 하면에 인접한 위치로 향하고 있다.
또한, 상술한 경화지불슈트(7) 및 캐쉬박스(9)의 각 상단(7a), (9a)는 모두 바닥판(30)의 하면에 무한히 접근한 위치에 위치결정되어 있고, 상기 바닥판(30)의 하면에서 낙하하는 경화가 그 틈에서 넘치지 않도록 하고 있다.
한편, 상술한 경화지불부(6)의 최하부를 구성하는 바닥판(30)은 경화처리장치(20)에 대해 그 정면(20a)에서 화살표D와 같이 인출이 자유롭게 되도록 장치본체(21)의 내부양측과 바닥판(30)의 양측 사이에 개재된 후술하는 슬라이드(slide) 지지수단(40)을 거쳐 장치본체(21)내에 지지되어 있다.
이 슬라이드 지지수단(40)은 바닥판(30)을 장치본체(21)에서 인출한 상태를 도시한 도 2와 같이, 장치본체(21)의 내부양측에 돌출하여 마련된 한쌍의 가이드레일(21a) 및 바닥판(30)의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한쌍의 가이드레일(21a)를 끼워삽입하는 한쌍의 가이드홈(30a)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바닥판(30)과 장치본체(21) 사이에는 바닥판(30)을 장치본체(21)내에 위치결정해서 걸어고정시키는 래치수단(50)이 형성되어있다.
이 래치수단(50)은 장치본체(21)의 선단부 양측에 뚫어마련된 한쌍의 걸어맞춤구멍(21b) 및 이 걸어맞춤구멍(21b)내에 출몰자유롭게 되도록 바닥판(30)에 지지된 한쌍의 걸어맞춤핀(51)로 구성되고, 이 한쌍의 걸어맞춤핀(51)은 바닥판(30)의 정면(30b)에 배치된 래치레버(52)의 조작에 의해 바닥판(30)의 측면쪽에서 출몰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이 래치레버(52)는 바닥판정면(30b)에 형성된 오목부(30c)내에 배치되고, 그 선단(52a)가 바닥판정면(30b)에서 돌출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래치레버(52)는 바닥판(30)의 저면확대단면도로 도시한 도 3과 같이 단면이 U자형인 스프링부재에 의해 형성되고, 그 각 자유단(52b)에는 상기 한쌍의 걸어맞춤핀(51)의 각 후단(51b)가 각각 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은 스프링부재로 이루어지는 래치레버(52)에 의하면 그 자유단 사이가 확대 개방하는 부세력에 대항해서 도 4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자유단(52b) 사이를 눌러좁히면 한쌍의 걸어맞춤핀(51)의 각 선단(51a)(도 3)이 바닥판(30)내로 들어가게 된다.
따라서, 도 1에 도시한 바닥판(30)의 장착상태에서 조작자가 바닥판정면(30b)에 형성된 오목부(30c)내에 손가락을 넣어 래치레버(52)를 쥐고 누르면 걸어맞춤구멍(21b)(도 2)와 이 걸어맞춤구멍(21b)내에 끼워삽입하는 걸어맞춤핀(51)의 걸어맞춤이 해제되고 또, 쥐고 있던 래치레버(52)를 화살표D(도 1)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화처리장치(20)의 정면(20a)에서 인출하면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바닥판(30)만을 장치본체(21)내에서 완전히 인출하고 또한 분리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 상태로 청소 등의 보수점검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또, 도 2에 도시한 바닥판(30)의 인출 상태에서 상기 바닥판(30)을 화살표E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치본체(21)내로 밀어넣으면 장치본체(21)의 가이드레일(21a)가 바닥판(30)의 가이드홈(30a)내에 끼워삽입되고, 바닥판(30)이 장치본체(21)내에 끼워삽입됨과 동시에 한쌍의 걸어맞춤핀(51)의 각 선단(51a)가 대향하는 위치의 장치본체(21)내의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사면(21c)를 따라 바닥판(30)내에 끼워삽입되고 그 후, 한쌍의 걸어맞춤핀(51)의 각 선단이 걸어맞춤구멍(21b)와 대향하는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한쌍의 걸어맞춤핀(51)이 걸어맞춤구멍(21b)내로 돌입하여 장치본체(21)과 바닥판(30)을 걸어맞춘다.
이 때문에, 바닥판(3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본체(21)내의 바닥부의 소정위치에 위치결정해서 걸어고정되게 된다.
또한, 도 2, 도 3 및 도 4에서 (60)은 바닥판(30)에 형성된 경화지불구멍으로서, 이 경화지불구멍(60)은 경화지불슈트(7)의 상단에 연통해 있고 바닥판(30) 상면에 지불된 경화를 경화지불슈트(7)내로 안내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래치수단(50)의 래치레버(52)를 단면이 U자형상인 스프링부재에 의해 형성하고 그 자유단(52b)를 바닥판(30)의 내부에 위치시키 도록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단면이 U자형상인 스프링부재로 이루어지는 래치레버의 각 자유단을 바닥판정면(30b)측에 배치하도록 해 도 좋다.
도 5는 단면이 대략 U자형상인 스프링부재로 이루어지는 래치레버(70)의 각자유단선단(70b)를 바닥판(30)의 오목부(30c)내에 배치한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사시도로서, 도 1과 동일한 부분은 동일부호로 나타낸다.
이 단면이 U자형상인 래치레버(70)은 바닥판(30)의 저면확대단면도로 도시한 도 6과 같이, 그 자유단(70a)의 각 선단(70b)를 구부려 오목부(30c)내에 배치하고 있다.
이와 같은 래치레버(70)에 있어서도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래치레버(52)와 마찬가지로 그 자유단(70a)사이가 확대 개방하는 부세력에 대항해서 도 7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의 각 자유단선단(70b) 사이를 누르면 한쌍의 걸어맞춤핀(51)의 각 선단(51a)(도 6)가 바닥판(30)내로 들어가 래치의 해제가 실행되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드 지지수단(40)을 구성하는 한쌍의 가이드레일(21a)와 한쌍의 가이드홈(30a)중 한쌍의 가이드레일(21a)를 장치본체(21)내에 형성하고 또 한쌍의 가이드홈(30a)를 바닥판(30)에 형성하도록 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한쌍의 가이드레일(21a)를 바닥판(30)에 형성하고 한쌍의 가이드홈(30a)를 장치본체(21)내에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한쌍의 가이드레일(21a)와 한쌍의 가이드홈(30a)의 각각의 단면형상을 직사각형형상으로 형성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그 단면형상을 예를 들면 원호형상으로 형성해도 좋고, 서로 끼워삽입하는 것이면 그 단면형상은 한정되지 않는다.
또, 래치수단(50)의 래치레버(52),(70)의 형상도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바닥판(30)의 인출 조작이 용이하게 되도록 래치레버(52), (70)의 측면쪽에 홈을 새기거나 조작자가 쥐기 쉽게 돌기를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경화처리장치의 최하부를 구성하는 경화지불부의 바닥판을 장치본체에 대해 그의 정면에서 미끄럼이동 자유롭게 지지시키도록 하고 있으므로, 경화지불부의 보수점검작업을 실행할 때 장치본체 그 자체를 자동판매기의 문 등의 배치 위치에서 분리할 필요가 없고, 이 때문에 간단한 조작에 의해 바닥판을 장치본체에서 분리하여 그곳에 막힌 경화의 제거 또는 청소 등의 보수점검작업을 매우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Claims (8)

  1. 투입경화를 받아들임과 동시에 그 투입경화의 정위를 판별하여 선별함과 동시에 진짜화폐로 간주된 경화를 종류별로 분리해서 선별하는 경화선별부,
    상기 경화선별부에 의해 분리해서 선별된 경화를 종류별마다 축적해서 수용하는 여러개의 코인튜브로 이루어지는 경화수용부 및
    거스름돈의 액수가 확정된 경우에 그 거스름돈의 액수에 따른 경화를 상기 경화수용부에서 선택적으로 지불하는 경화지불부로 이루어지는 장치본체를 갖고,
    상기 경화지불부에서 지불된 거스름돈 경화를 상기 경화지불부 아래쪽에 배치된 경화지불슈트를 거쳐서 경화반환구로 반환하도록 한 경화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경화지불부의 바닥부를 형성하는 바닥판을 상기 장치본체에 대해 그의 정면에서 슬라이드 자유롭게 장착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은 상기 장치본체에 대해 슬라이드 지지수단을 거쳐 슬라이드 자유롭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을 상기 장치본체에 대해 슬라이드 자유롭게 지지하는 슬라이드 지지수단은 가이드레일 및 이 가이드레일을 끼워삽입하는 가이드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장치본체내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바닥판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처리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바닥판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장치본체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처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은 상기 장치본체에 대해 래치수단을 거쳐 위치결정해서 걸어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수단은
    상기 장치본체의 측면쪽에 뚫어마련된 걸어맞춤구멍,
    이 걸어맞춤구멍내에 출몰자유롭게 되도록 상기 바닥판내에 지지된 걸어맞춤핀 및
    상기 바닥판의 정면에 배치되어 상기 걸어맞춤핀을 상기 바닥판내에서 출몰시키는 탄성변형이 자유로운 래치레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레버는 상기 바닥판정면에 형성된 오목부내에 배치되고 또한 그의 선단이 상기 바닥판정면에서 돌출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경화처리장치.
KR1019990015163A 1998-05-08 1999-04-28 경화처리장치 KR1003193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126054A JPH11328476A (ja) 1998-05-08 1998-05-08 硬貨処理装置
JP1998-126054 1998-05-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7974A KR19990087974A (ko) 1999-12-27
KR100319314B1 true KR100319314B1 (ko) 2002-01-05

Family

ID=14925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5163A KR100319314B1 (ko) 1998-05-08 1999-04-28 경화처리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290050B1 (ko)
JP (1) JPH11328476A (ko)
KR (1) KR1003193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89864B2 (ja) * 2001-04-09 2011-05-25 サンデン株式会社 コイン処理装置
US8393455B2 (en) * 2003-03-12 2013-03-12 Cummins-Allison Corp. Coin processing device having a moveable coin receptacle station
CA2547205A1 (en) * 2003-12-02 2005-06-16 Scan Coin Industries Ab A coin handling apparatus having slidably displaceable housing parts
SE527658C2 (sv) * 2003-12-02 2006-05-02 Scan Coin Ind Ab Mynthanteringsapparat med apparathölje bestående av glidbart förskjutbara delar
SE528122C2 (sv) * 2003-12-02 2006-09-05 Scan Coin Ind Ab Mynthanteringsapparat med avskiljningsstationer
US7658668B2 (en) * 2005-09-17 2010-02-09 Scan Coin Ab Coin handling equipment
WO2007031770A1 (en) * 2005-09-17 2007-03-22 Scan Coin Industries Ab Coin handling equipment
US20070187485A1 (en) 2006-02-10 2007-08-16 Aas Per C Cash handling
JP4983234B2 (ja) * 2006-12-04 2012-07-25 富士電機リテイ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硬貨処理装置
JP6320736B2 (ja) * 2013-12-05 2018-05-09 株式会社日本コンラックス 硬貨払出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1339Y1 (ko) * 1986-11-08 1990-02-20 주식회사금성사 색재현성 가변의 선형 마스킹회로
KR900008095B1 (ko) * 1986-01-31 1990-10-31 징 인터내쇼날 리미티드 적층식 카세트테이프 보관함
JPH07272068A (ja) * 1994-03-30 1995-10-20 Nippon Conlux Co Ltd 硬貨払出装置
JPH09171579A (ja) * 1995-12-20 1997-06-30 Tamura Electric Works Ltd 硬貨蓄積装置
JPH1097667A (ja) * 1996-09-20 1998-04-14 Laurel Bank Mach Co Ltd 硬貨入出金機
JPH10105779A (ja) * 1996-10-01 1998-04-24 Tamura Electric Works Ltd 硬貨蓄積装置のガイド構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42543A (en) * 1974-06-17 1976-03-09 Pan Nova, Inc. Change mechanism for a gasoline dispense or the like
GB2246897B (en) * 1990-08-10 1994-04-13 Mars Inc Coin testing mechanism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8095B1 (ko) * 1986-01-31 1990-10-31 징 인터내쇼날 리미티드 적층식 카세트테이프 보관함
KR900001339Y1 (ko) * 1986-11-08 1990-02-20 주식회사금성사 색재현성 가변의 선형 마스킹회로
JPH07272068A (ja) * 1994-03-30 1995-10-20 Nippon Conlux Co Ltd 硬貨払出装置
JPH09171579A (ja) * 1995-12-20 1997-06-30 Tamura Electric Works Ltd 硬貨蓄積装置
JPH1097667A (ja) * 1996-09-20 1998-04-14 Laurel Bank Mach Co Ltd 硬貨入出金機
JPH10105779A (ja) * 1996-10-01 1998-04-24 Tamura Electric Works Ltd 硬貨蓄積装置のガイド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7974A (ko) 1999-12-27
JPH11328476A (ja) 1999-11-30
US6290050B1 (en) 2001-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9314B1 (ko) 경화처리장치
CA2009516C (en) Pivoting tray for coin sorter
EP1653416A2 (de) Verfahren zur Steuerung eines Münzauszahlvorganges an einem münzbetätigten Unterhaltungsautomaten
JP2003144741A5 (ko)
KR102138791B1 (ko) 경화 불출 장치
EP0890929A1 (en) Apparatus for lifting circular plate bodies
US4687090A (en) Coin guide having track sections arranged in zig zag form
KR100358864B1 (ko) 경화처리장치
US5788047A (en) Coin collecting machine
US6648747B1 (en) Device for sorting coins
US5048663A (en) Electronic coin acceptor
JP2002272907A (ja) 遊技機用のコインセレクター
EP0233561A2 (de) Vorrichtung zur Geldentnahme aus Geldspielgeräten
KR100416196B1 (ko) 경화 선별 장치
DE4310103A1 (en) Automatic dispensing machine for CD disc cassettes - has number of discs in magazines in housing that are accessed by built in programmable handling unit.
JP3339743B2 (ja) 硬貨払出装置
US11495076B2 (en) Coin storage unit
KR870002195B1 (ko) 경화 선별 계수장치
JP3511512B2 (ja) 遊技機用のコインセレクター
US6910566B2 (en) Coin receiving and dispensing device
JP4270809B2 (ja) 硬貨払出装置
JPH05174222A (ja) コインメカニズム
JP2915315B2 (ja) 弾球遊技機における球受け皿の球抜き装置
JP3102363U (ja) コイン受領機の仕分け装置
JPH0896197A (ja) コイン選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0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