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8964B1 - 프로세서간 통신 노드의 장애진단방법 - Google Patents

프로세서간 통신 노드의 장애진단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8964B1
KR100318964B1 KR1019990012990A KR19990012990A KR100318964B1 KR 100318964 B1 KR100318964 B1 KR 100318964B1 KR 1019990012990 A KR1019990012990 A KR 1019990012990A KR 19990012990 A KR19990012990 A KR 19990012990A KR 100318964 B1 KR100318964 B1 KR 1003189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st data
link
matching
controller
link ma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2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6117A (ko
Inventor
오환규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90012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8964B1/ko
Publication of KR20000066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61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8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89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65D21/0213Containers presenting a continuous stacking profile along the upper or lower edge of at least two opposite sid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Toxicology (AREA)
  • Zoology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교환시스템에서 프로세서간 통신 노드의 장애진단방법에 관한 것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프로세서간 통신노드의 장애를 진단한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운영자가 상기 프로세서간 통신노드의 링크정합부에서 송신링크와의 정합기능을 제공하는 송신정합부에 대한 장애진단을 명령하는지를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송신정합부에 대한 장애진단이 명령되면, 상기 프로세서간 통신노드의 중앙처리장치가 그 중앙처리장치로부터의 테스트 데이타가 링크정합 콘트롤부를 거쳐 상기 송신정합부에 제공되고, 그 송신정합부가 제공받은 테스트 데이타를 다시 링크정합 콘트롤부를 거쳐 상기 중앙처리장치로 제공하도록 상기 링크정합 콘트롤부의 경로를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링크정합 콘트롤부가 상기 중앙처리장치의 경로 제어에 따라 상기 송신정합부가 링크정합 콘트롤부로부터 테스트 데이타를 제공받아 다시 링크정합 콘트롤부로 제공하도록 상기 송신정합부의 경로를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경로 제어가 완료되면 상기 중앙처리장치가 테스트 데이타를 상기 링크정합 콘트롤부에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테스트 데이타를 제공한 후에 상기 중앙처리장치가 상기 테스트 데이타가 상기 링크정합 콘트롤부를 거쳐 상기 송신정합부에 제공되었다가 다시 상기 링크정합 콘트롤부를 거쳐 상기 중앙처리장치에 제공되는지를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테스트 데이타가 제공되면 상기 중앙처리장치가 그 테스트 데이타의 상태를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테스트 데이타의 상태의 검색이 종료되면 상기 중앙처리장치가 상기 테스트 데이타의 상태에 따른 정보를 운용자에게 안내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교환시스템에 사용된다.

Description

프로세서간 통신 노드의 장애진단방법{OBSTACLE TEST METHOD FOR IPC NODE}
본 발명은 교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교환시스템의 프로세서간 통신(Inter Processor Communication) 노드(이하 IPC 노드라 칭함)의 장애진단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교환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를 도시한 도 1을 참조하면, 다수의IPC 노드는 버스로 연결되며 각 IPC 노드는 서브 시스템 또는 프로세서와 연결된다. 특히 다수의 프로세서를 구비하는 서브 시스템은 링크로 IPC 노드와 연결된다.
이러한 교환시스템에서 IPC 노드는 링크로부터의 데이타를 버스로 제공하거나 버스로부터의 데이타를 링크로 제공하는 기능을 구비하여, 서브 시스템의 프로세서와 다른 서브 시스템의 프로세서간의 통신이나, 서브 시스템의 프로세서와 IPC 노드에 직접 연결된 프로세서간의 통신을 가능케한다.
상기 IPC 노드의 구성도를 도시한 도 2를 참조하여 IPC 노드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링크정합부(100)는 수신링크로부터 수신한 데이타를 링크정합 콘트롤부(102)에 제공하거나, 링크정합 콘트롤부(102)로부터 제공받은 데이타를 송신링크로 송신한다. 여기서 상기 링크정합부(100)의 링크경로 설정은 링크정합 콘트롤부(102)의 제어에 따른다. 상기 링크정합 콘트롤부(102)는 링크정합부(100)를 통해 링크로부터 수신된 데이타를 버퍼 콘트롤부(104)에 제공하거나, 버퍼 콘트롤부(104)가 제공하는 데이타를 링크정합부(100)를 통해 링크로 송신한다. 상기 링크정합 콘트롤부(102)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ssing Unit;이하 CPU라 칭함)(110)의 경로제어신호에 따라 링크정합부(100)의 링크경로를 제어한다. 버퍼 콘트롤부(104)는 링크정합 콘트롤부(102)가 제공하는 데이타를 버퍼링하여 버스정합부(108)에 제공하며, 데이타 프레임 어드레스 검사부(106)를 통해 버스정합부(108)가 제공하는 데이타를 버퍼링하여 링크정합 콘트롤부(102)에 제공한다. 버스정합부(108)는 버퍼 콘트롤부(104)로부터의 데이타를 버스로 제공하거나, 버스로부터의 데이타를 데이타 프레임 어드레스 검사부(106)를 통해 버퍼콘트롤부(104)로 제공한다.
이러한 IPC 노드의 장애진단을 위해 관리자가 더미터미날(112)을 통해 CPU(110)에 장애진단을 명령하면, CPU(110)는 링크정합 콘트롤부(102)에 테스트 데이타를 제공한다. 링크정합 콘트롤부(102)는 그 테스트 데이타를 버퍼 콘트롤부(104)에 제공하며, 버퍼 콘트롤부(104)는 그 테스트 데이타를 버스 정합부(108)에 제공한다. 상기 버스 정합부(108)는 테스트 데이타를 버스로 송신하였다가 다시 버스로부터 수신하여 데이타 프레임 어드레스 검사부(106)를 통해 다시 버스 콘트롤부(104)에 제공한다. 상기 버스 콘트롤부(104)는 수신한 테스트 데이타를 링크정합 콘트롤부(102)에 제공하며, 링크정합 콘트롤부(102)는 수신한 테스트 데이타를 CPU(110)에 제공한다.
즉 도 2에 점선으로 도시한 테스트 경로를 따라 테스트 데이타를 송수신해봄으로써 종래에는 IPC 노드의 장애를 진단하였다. 이러한 종래방식에 따르면 링크정합부(100)에 대해서는 장애진단을 할 수 없었다. 이에따라 종래에는 IPC 노드의 링크정합부(100)의 장애진단을 위해 별도의 오프 라인 시험을 수행하여야만 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IPC 노드의 장애진단방식에 따르면 IPC 노드의 링크정합부의 장애진단을 위해서는 별도의 오프라인시험을 수행하여야만 하는 곤란한 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IPC 노드의 링크정합부의 장애를 온라인상태에서도진단할 수 있도록 하는 IPC 노드의 장애진단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교환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도 1의 프로세서간 통신 노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간 통신 노드의 구성도,
도 4a 및 도 4b(이하 도 4라 칭함)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CPU의 처리흐름도.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경로를 도시한 도면.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운영자가 상기 IPC 노드의 링크정합부에서 송신링크와의 정합기능을 제공하는 송신정합부에 대한 장애진단을 명령하는지를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송신정합부에 대한 장애진단이 명령되면, 상기 IPC 노드의 CPU가 그 CPU로부터의 테스트 데이타가 링크정합 콘트롤부를 거쳐 상기 송신정합부에 제공되고, 그 송신정합부가 제공받은 테스트 데이타를 다시 링크정합 콘트롤부를 거쳐 상기 CPU로 제공하도록 상기 링크정합 콘트롤부의 경로를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링크정합 콘트롤부가 상기 CPU의 경로 제어에 따라 상기 송신정합부가 링크정합 콘트롤부로부터 테스트 데이타를 제공받아 다시 링크정합 콘트롤부로 제공하도록 상기 송신정합부의 경로를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경로 제어가 완료되면 상기 CPU가 테스트 데이타를 상기 링크정합 콘트롤부에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테스트 데이타를 제공한 후에 상기 CPU가 상기 테스트 데이타가 상기 링크정합 콘트롤부를 거쳐 상기 송신정합부에 제공되었다가 다시 상기 링크정합 콘트롤부를 거쳐 상기 CPU에 제공되는지를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테스트 데이타가 제공되면 상기 CPU가 그 테스트 데이타의 상태를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테스트 데이타의 상태의 검색이 종료되면 상기 CPU가 상기 테스트 데이타의 상태에 따른 정보를 운용자에게 안내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많은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으나, 이들 특정 상세들은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그들에 한정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IPC 노드를 설명함에 있어서 종래의 IPC 노드와 구성과 동작이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도 3의 링크정합부(200)는 RS-422/485 디퍼런셜(differential) 디바이스(TI:75ALS171)가 채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링크정합부(200)는 크게 송신링크와의 정합을 수행하는 송신정합부와 수신링크와의 정합을 수행하는 수신정합부로 구성된다. 이러한 링크정합부(200)의 경로설정은 링크정합 콘트롤부(202)가 제공하는 링크경로 제어신호에 따른다. 링크정합 콘트롤부(202)는 PLD(Lattice)로 구성될 수 있으며, 크게 송신데이타 경로 제어부와 수신데이타 경로 제어부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링크정합 콘트롤부(202)는 CPU(210)가 제공하는 경로제어신호에 따라 경로를 형성함과 아울러 링크정합부(200)에 대한 경로설정도 제어한다. 그리고, CPU(210)는 MC68302(Motolora)가 채용될 수 있다. 상기 CPU(210)는 더미 터미날(212)로부터 입력되는 명령에 따라 경로를 형성하도록 링크정합 콘트롤부(202)에 경로제어신호를 제공하고, 테스트 데이타를 그 형성된 경로를 통해 송신한 후에 다시 수신하여 그 결과를 더미터미날(212)에 디스플레이하거나, 송신데이타, 수신데이타 또는 통과데이타를 제공받아 그 데이타의 상태를 더미터미날(212)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러한 IPC 노드의 동작을 상기 CPU(210)의 처리 흐름도를 도시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300)단계에서 CPU(210)는 더미터미날(212)을 통해 운용자가 링크정합부(200)의 송신정합부에 대한 장애를 진단하도록 명령하는지를 검색한다. 이때 CPU(210)는 운용자가 링크정합부(200)의 송신정합부에 대한 장애를 진단하도록 명령하면 (302)단계로 진행하여 CPU(210)로부터의 테스트 데이타가 링크정합 콘트롤부(202)를 거쳐 송신정합부에 제공되고, 송신정합부가 테스트 데이타를 제공받아 다시 링크정합 콘트롤부(202)를 거쳐 CPU(210)로 제공되도록 하는 제1경로를 형성하도록 링크정합 콘트롤부(202)를 제어한다. 이러한 제1경로를 도시한 도 5를 참조하면, CPU(210)가 생성한 테스트 데이타는 링크정합 콘트롤부(202)의 송신데이타 경로제어부(404)를 거쳐 링크정합부(200)의 송신정합부(400)에 제공된다. 상기 송신정합부(400)는 그 테스트 데이타를 링크정합 콘트롤부(202)의 수신 데이타 경로제어부(406)에 제공하며, 수신 데이타 경로제어부(406)는 그 테스트 데이타를 다시 CPU(210)에 제공한다. 이와같은 제1경로를 형성하도록 링크정합 콘트롤부(202)를 제어한 후에 CPU(210)는 (304)단계로 진행하여 테스트 데이타를 생성하여 링크정합 콘트롤부(202)에 제공한다. 이렇게 테스트 데이타를 제1경로를 따라 링크정합 콘트롤부(202)에 제공한 후에 CPU(210)는 (306)단계로 진행하여 그 제1경로를 따라 테스트 데이타가 제공되는지를 검색한다. 이때 CPU(210)는 제1경로를 따라 테스트 데이타가 제공되면 (308)단계로 진행하여, 그 테스트 데이타가 정상적인 상태인지 등을 검색한다. 이와같이 테스트 데이타의 상태를 검색한 후에 CPU(210)는 (310)단계로 진행하여 테스트 데이타의 상태 검색결과를 더미터미날(212)에 표시하여 운용자에게 안내한다. 이와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링크정합부(200)의 송신정합부(400)를 거친 테스트 데이타의 상태를 검색하여, 송신정합부(400)의 장애를 진단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300)단계에서 운용자가 송신정합부(400)의 진단명령을 입력하지 않으면 CPU(210)는 (312)단계로 진행하여 운용자가 더미터미날(212)을 통해 링크정합부(200)의 수신정합부(402)에 대해 장애를 진단하라고 명령하는지를 검색한다. 이때 CPU(210)는 링크정합부(200)의 수신정합부(402)에 대한 진단명령이 제공되면 (314)단계로 진행하여, CPU(210)로부터의 테스트 데이타가 링크정합 콘트롤부(202)를 거쳐 수신정합부(402)에 제공하고, 수신정합부(402)가 테스트 데이타를 제공받아 다시 링크정합 콘트롤부(202)를 거쳐 CPU(210)로 제공하도록 하는 제2경로를 형성하도록 링크정합 콘트롤부(202)를 제어한다. 이러한 제2경로를 도시한 도 6를 참조하면, CPU(210)가 생성한 테스트 데이타는 링크정합 콘트롤부(202)의 송신데이타 경로제어부(404)를 거쳐 링크정합부(200)의 수신정합부(402)에 제공된다. 상기 수신정합부(402)는 그 테스트 데이타를 링크정합 콘트롤부(202)의 수신 데이타 경로제어부(406)에 제공하며, 수신 데이타 경로제어부(406)는 그 테스트 데이타를 다시 CPU(210)에 제공한다. 이와같은 제2경로를 형성하도록 링크정합 콘트롤부(202)를 제어한 후에 CPU(210)는 (316)단계로 진행하여 테스트 데이타를 생성하여 링크정합 콘트롤부(202)에 제공한다. 이렇게 테스트 데이타를 제2경로를따라 링크정합 콘트롤부(202)에 제공한 후에 CPU(210)는 (318)단계로 진행하여 그 제2경로를 따라 테스트 데이타가 제공되는지를 검색한다. 이때 CPU(210)는 제2경로를 따라 테스트 데이타가 제공되면 (320)단계로 진행하여, 그 테스트 데이타가 정상적인 상태인지 등을 검색한다. 이와같이 테스트 데이타의 상태를 검색한 후에 CPU(210)는 (322)단계로 진행하여 테스트 데이타의 상태 검색결과를 더미터미날(212)에 표시하여 운용자에게 안내한다. 이와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링크정합부(200)의 수신정합부(402)를 거친 테스트 데이타의 상태를 검색하여, 수신정합부(402)의 장애를 진단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312)단계에서 CPU(210)는 수신정합부(402)에 대한 진단명령이 입력되지 않으면 (324)단계로 진행하여 운용자가 더미터미널(212)을 통해 송신데이타 모니터 명령을 입력하는지를 검색한다. 이때 CPU(210)는 송신데이타 모니터 명령이 입력되면 (326)단계로 진행하여 버퍼 콘트롤부(204)로부터의 송신데이타를 링크정합 콘트롤부(202)가 링크정합부(200)로 제공함과 아울러 CPU(210)로도 제공하도록 하는 제3경로를 형성하도록 링크정합 콘트롤부(202)를 제어한다. 이러한 제3경로를 도시한 도 7을 참조하면, 버퍼 콘트롤부(204)로부터의 송신데이타는 통상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링크정합 콘트롤부(202)의 송신데이타 경로제어부(404)를 거쳐 링크정합부(200)의 송신정합부(400)를 통해 송신링크로 출력된다. 이와 동시에 링크정합 콘트롤부(202)의 송신데이타 경로제어부(404)는 버퍼 콘트롤부(204)로부터의 송신데이타를 CPU(210)로도 제공한다. 이와같은 제3경로를 형성하도록 링크정합 콘트롤부(202)를 제어한 후에 CPU(210)는 (328)단계로 진행하여 제3경로를 따라 송신데이타가 제공되는지를 검색한다. 이때 CPU(210)는 제3경로를 따라 송신데이타가 제공되면 (330)단계로 진행하여, 그 송신데이타가 정상적인 상태인지를 검색한다. 이와같이 송신데이타의 상태를 검색한 후에 CPU(210)는 (332)단계로 진행하여 제공받은 송신데이타의 상태검색결과를 더미터미날(212)에 표시하여 운용자에게 안내한다. 이와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링크정합부(200)로 제공될 송신데이타의 상태를 모니터할 수 있게 하여, 그 송신데이타가 링크정합부(200)를 거치기 전부터 이상이 있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즉 운용자는 링크정합부(200)를 거치기 전엔 이상이 없던 데이타가 링크정합부(200)를 거친후에 이상이 발견되면 그 링크정합부(200)에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324)단계에서 CPU(210)는 송신데이타에 대한 모니터 명령이 제공되지 않으면 (334)단계로 진행하여 수신데이타에 대한 모니터 명령이 제공되는지를 검색한다. 이때 CPU(210)는 운용자가 수신데이타에 대한 모니터 명령을 제공하면 (336)단계로 진행하여 링크정합부(200)로부터의 수신데이타를 링크정합 콘트롤부(202)가 버퍼 콘트롤부(204)로 제공함과 아울러 CPU(210)로도 제공하도록 하는 제4경로를 형성하도록 링크정합 콘트롤부(202)를 제어한다. 이러한 제4경로를 도시한 도 8을 참조하면, 수신링크로부터 수신되는 수신데이타는 통상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링크정합부(200)의 수신정합부(402) 및 링크정합 콘트롤부(202)의 수신데이타 경로제어부(406)를 거쳐 버퍼 콘트롤부(204)로 제공된다. 아울러 수신데이타 경로제어부(406)는 수신데이타를 CPU(210)로도 제공한다. 이와같은 제4경로를 형성하도록 링크정합 콘트롤러(202)를 제어한 후에 CPU(210)는 (338)단계로 진행하여제4경로를 통해 수신데이타가 수신되는지를 검색한다. 이때 CPU(210)는 제4경로를 통해 수신데이타가 제공되면 (340)단계로 진행하여 제공받은 수신데이타의 상태를 검색한다. 이와같이 수신데이타의 상태를 검색한 후에 CPU(210)는 수신데이타의 상태검색결과를 더미터미날(210)에 표시하여 운용자에게 안내한다. 이와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링크정합부(200)로부터 바로 출력된 수신데이타의 상태를 모니터할 수 있게 하여, 그 수신데이타가 링크정합부(200)를 거침에 따라 이상이 발생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즉 운용자는 송신측에선 이상이 없던 데이타가 링크정합부(200)를 거치면서 이상이 발견되면 그 링크정합부(200)에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334)단계에서 CPU(210)는 수신데이타에 대한 모니터명령이 제공되지 않으면 (344)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344)단계에서 CPU(210)는 수신링크로부터 수신되어 다시 송신링크로 송신되는 데이타(이하 통과데이타라 칭함)에 대한 모니터 명령을 입력하는지를 검색한다. 이때 운용자가 통과데이타에 대한 모니터명령을 입력하면 (346)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346)단계에서 CPU(210)는 링크정합부(200)로부터 제공한 통과데이타를 링크정합부(200)로 다시 제공함과 아울러 CPU(210)로도 제공하도록 하는 제5경로를 형성하도록 링크정합 콘트롤부(202)를 제어한다. 이러한 제5경로를 도시한 도 9를 참조하면, 수신링크로부터 수신된 통과데이타는 통상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링크정합부(200)의 수신정합부(202)→링크정합 콘트롤부(202)의 수신데이타 경로제어부(406)→링크정합 콘트롤부(202)의 송신데이타 경로제어부(404)→링크정합부(200)의 송신정합부(400)을 통해 송신링크로 출력된다. 이와 더불어 링크정합 콘트롤부(202)의 수신데이타 경로제어부(406)는 통과데이타를 CPU(210)로도 제공한다. 이와같은 제5경로를 형성하도록 링크정합 콘트롤부(202)를 제어한 후에 CPU(210)는 제5경로를 통해 통과데이타가 제공되는지를 검색한다. 이때 CPU(210)는 제5경로를 통해 통과데이타가 제공되면 (350)단계로 진행하여 제공받은 통과데이타의 상태를 검색한다. 이렇게 제공받은 통과데이타의 상태의 검색이 종료되면 CPU(210)는 (352)단계로 진행하여 제공받은 통과데이타의 상태 검색결과를 더미터미날(212)에 표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링크정합부에 테스트 데이타를 송신하였다가 다시 수신하여 보거나, 링크정합부에 제공되는 송신 데이타나 링크정합부로부터의 수신데이타 및 통과데이타의 상태를 검색하여 링크정합부의 장애를 진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링크정합부를 온라인 상태에서 다양하게 진단할수 있게 하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프로세서간 통신노드의 장애진단방법에 있어서,
    운영자가 상기 프로세서간 통신노드의 링크정합부에서 송신링크와의 정합기능을 제공하는 송신정합부에 대한 장애진단을 명령하는지를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송신정합부에 대한 장애진단이 명령되면, 상기 프로세서간 통신노드의 중앙처리장치가 그 중앙처리장치로부터의 테스트 데이타가 링크정합 콘트롤부를 거쳐 상기 송신정합부에 제공되고, 그 송신정합부가 제공받은 테스트 데이타를 다시 링크정합 콘트롤부를 거쳐 상기 중앙처리장치로 제공하도록 상기 링크정합 콘트롤부의 경로를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링크정합 콘트롤부가 상기 중앙처리장치의 경로 제어에 따라 상기 송신정합부가 링크정합 콘트롤부로부터 테스트 데이타를 제공받아 다시 링크정합 콘트롤부로 제공하도록 상기 송신정합부의 경로를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경로 제어가 완료되면 상기 중앙처리장치가 테스트 데이타를 상기 링크정합 콘트롤부에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테스트 데이타를 제공한 후에 상기 중앙처리장치가 상기 테스트 데이타가 상기 링크정합 콘트롤부를 거쳐 상기 송신정합부에 제공되었다가 다시 상기 링크정합 콘트롤부를 거쳐 상기 중앙처리장치에 제공되는지를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테스트 데이타가 제공되면 상기 중앙처리장치가 그 테스트 데이타의 상태를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테스트 데이타의 상태의 검색이 종료되면 상기 중앙처리장치가 상기 테스트 데이타의 상태에 따른 정보를 운용자에게 안내하는 단계와,
    운영자가 상기 프로세서간 통신노드의 링크정합부에서 수신링크와의 정합기능을 제공하는 수신정합부에 대한 장애진단을 명령하는지를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정합부에 대한 장애진단이 명령되면, 상기 프로세서간 통신노드의 중앙처리장치가 그 중앙처리장치로부터의 테스트 데이타가 링크정합 콘트롤부를 거쳐 상기 수신정합부에 제공되고, 그 수신정합부가 제공받은 테스트 데이타를 다시 링크정합 콘트롤부를 거쳐 상기 중앙처리장치로 제공하도록 상기 링크정합 콘트롤부의 경로를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링크정합 콘트롤부가 상기 중앙처리장치의 경로 제어에 따라 상기 수신정합부가 링크정합 콘트롤부로부터 테스트 데이타를 제공받아 다시 링크정합 콘트롤부로 제공하도록 상기 수신정합부의 경로를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경로 제어가 완료되면 상기 중앙처리장치가 테스트 데이타를 상기 링크정합 콘트롤부에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테스트 데이타의 제공후에 상기 중앙처리장치가 상기 테스트 데이타가 상기 링크정합 콘트롤부를 거쳐 상기 수신정합부에 제공되었다가 다시 상기 링크정합 콘트롤부를 거쳐 상기 중앙처리장치에 제공되는지를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테스트 데이타가 제공되면 상기 중앙처리장치가 그 테스트 데이타의 상태를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테스트 데이타의 상태의 검색이 종료되면 상기 중앙처리장치가 상기 테스트 데이타의 상태에 따른 정보를 운용자에게 안내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서간 통신노드의 장애진단방법.
KR1019990012990A 1999-04-13 1999-04-13 프로세서간 통신 노드의 장애진단방법 KR1003189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2990A KR100318964B1 (ko) 1999-04-13 1999-04-13 프로세서간 통신 노드의 장애진단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2990A KR100318964B1 (ko) 1999-04-13 1999-04-13 프로세서간 통신 노드의 장애진단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6117A KR20000066117A (ko) 2000-11-15
KR100318964B1 true KR100318964B1 (ko) 2001-12-29

Family

ID=19579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2990A KR100318964B1 (ko) 1999-04-13 1999-04-13 프로세서간 통신 노드의 장애진단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896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35969A (ja) * 1992-02-18 1993-09-10 Fujitsu Ltd プロセッサ間通信試験方式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35969A (ja) * 1992-02-18 1993-09-10 Fujitsu Ltd プロセッサ間通信試験方式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6117A (ko) 2000-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8964B1 (ko) 프로세서간 통신 노드의 장애진단방법
US4211899A (en) Circuit arrangement for an indirectly controlled exchange, in particular a telephone exchange
JPH01140361A (ja) チャネル診断機能付データ処理システム
JP2956385B2 (ja) バスライン監視方式
JP3291729B2 (ja) 二重化計算機システム
JP2504865B2 (ja) バス選択動作試験方式
KR20000066429A (ko) 공간 스위치 보드 상태 점검 방법
JPS60122432A (ja) 計算機システムにおける割込機能診断方式
JP3037150B2 (ja) インタフェース診断システム
JP2000209623A (ja) ファイバ―チャネルスイッチ
JP2864947B2 (ja) ネットワーク診断方式
JPS63276137A (ja) 遠隔保守診断方式
JPH05265886A (ja) 情報処理システム
JPH1051980A (ja) 監視制御システム
JPH04273349A (ja) 情報処理装置
JPH10240566A (ja) 計算機システム
JPH04318722A (ja) 保守試験用データリンクの試験方式
JP2003158559A (ja) 自己診断装置
JPH01184550A (ja) 中間制御装置のテスト回路
JPS6012829A (ja) 二重系伝送装置の縮退方式
JPS6324745A (ja) 信号伝送路診断方法
JPH03260844A (ja) 診断制御方式
JPH0512145A (ja) 入出力制御装置の接続診断方法
JPS62173540A (ja) 情報処理システムの保守方式
JPH0678029A (ja) 媒体接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1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