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5876B1 - 연료분사밸브 - Google Patents

연료분사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5876B1
KR100315876B1 KR1019990011622A KR19990011622A KR100315876B1 KR 100315876 B1 KR100315876 B1 KR 100315876B1 KR 1019990011622 A KR1019990011622 A KR 1019990011622A KR 19990011622 A KR19990011622 A KR 19990011622A KR 100315876 B1 KR100315876 B1 KR 1003158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air
passage
adapter
injection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1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6842A (ko
Inventor
스미다마모루
Original Assignee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Publication of KR20000016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68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5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58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1/00Fuel-injec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 F02M61/16Detail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61/02 - F02M61/14
    • F02M61/18Injection nozzles, e.g. having valve seats; Details of valve member seated en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M61/188Spherical or partly spherical shaped valve member e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1/00Fuel-injec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electrically
    • F02M51/06Injectors peculiar thereto with means directly operating the valve needle
    • F02M51/061Injectors peculiar thereto with means directly operating the valve needle using electromagnetic operating means
    • F02M51/0625Injectors peculiar thereto with means directly operating the valve needle using electromagnetic operating mea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of mobile armatures
    • F02M51/0664Injectors peculiar thereto with means directly operating the valve needle using electromagnetic operating mea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of mobile armatures having a cylindrically or partly cylindrically shaped armature, e.g. entering the winding; having a plate-shaped or undulated armature entering the winding
    • F02M51/0671Injectors peculiar thereto with means directly operating the valve needle using electromagnetic operating mea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of mobile armatures having a cylindrically or partly cylindrically shaped armature, e.g. entering the winding; having a plate-shaped or undulated armature entering the winding the armature having an elongated valve body attached thereto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1/00Fuel-injec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 F02M61/16Detail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61/02 - F02M61/14
    • F02M61/168Assembling; Disassembling; Manufacturing; Adjus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1/00Fuel-injec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 F02M61/16Detail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61/02 - F02M61/14
    • F02M61/18Injection nozzles, e.g. having valve seats; Details of valve member seated en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9/00Low-pressure fuel-injection apparatus ; Apparatus with both continuous and intermittent injection; Apparatus injecting different types of fuel
    • F02M69/04Injectors peculiar thereto
    • F02M69/047Injectors peculiar thereto injectors with air chambers, e.g. communicating with atmosphere for aerating the nozz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200/00Details of fuel-injection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M2200/90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 F02M2200/9015Elastomeric or plastic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분배성을 확보하면서 어댑터의 성형성을 향상 시키는 동시에 부착위치나 방향에 대한 융통성을 향상 시킨 연료분사밸브를 얻게된다.
구성으로는 수지제의 어댑터(50)에는 원형 단면의 2개의 에어연료혼합통로 (51)가 상기 분사구측 단면에서 가상개구연부가 서로 접하도록 설치되고 에어통로(52)가 에어연료혼합통로(51)에 통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에어연료혼합통로(51)간의 상류 단부측에는 칸막이벽(53)이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연료분사밸브{FUEL INJECTION VALV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엔진의 흡기통로에 설치되고 연료 실내에 연료를 어시스트 에어와 함께 공급하는 에어 어시스트식의 연료분사밸브에 관한 것이다.
도9는 예를들면 일본국 특개평 7-103100 호 공보에 기재된 종래의 연료분사밸브를 표시하는 단면도, 도10은 도 9에 표시된 종래의 연료분사밸브의 요부를 표시하는 부분 단면도 및 도11은 도9에 표시된 종래의 연료분사밸브에 사용되는 어댑터를 표시하는 평면도이다.
이 연료분사밸브는 각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분사밸브 본체(1)와, 이 분사밸브 본체(1)의 선단부에 장착된 어댑터(2)를 구비하고 있다, 분사밸브 본체(1)는 밸브 작동부 계통, 전자 작동부 계통 및 연료 통로부 계통을 갖고 이들 계통은 원통상으로 형성된 하우징(3)내에 수용되어 있다.
밸브 작동부 계통은 하우징(3)의 하부에 형성된 밸브 케이싱부(3a)의 상부로 부터 하부로 향해 스토퍼(4) 및 밸브시트 본체(5)를 갖고 있다. 이 밸브시트 본체(5)에는 그 중심축선에 따라 수용부(5a)가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그 수용부(5a)에는 니들 밸브(6)가 그 축선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이 밸브시트 본체(5)의 선단면(5b)에는 수용부(5a)에 통하는 하나의 분사구(5c)가 형성되어 있다.
또, 전자 작동부 계통은 니들밸브(6)의 상단을 잡고 있는 아마추어(7)와, 이 아마추어(7)와 스프링(8)을 통해서 직렬상으로 배설된 코어(9)와, 코어(9)의 안쪽에 배치된 슬리브(30)와 전자코일이 이들을 둘러싸도록 감겨진 보빈(11)을 구비하고 있다.
이 전자 작동부 계통을 구성하는 각 구성부재(7),(8),(9),(30)은 하우징(3)의 상부에 수용되어 있다.
코어(9)의 상,하 방향의 중간부에는 턱부분(9a)이 형성되고, 이 턱부분(9a)을 하우징(3)으로 코킹하여 코어(9)는 하우징(3)내에 고정되어 있다.
또, 하우징(3)에는 전자코일(10)에 접속된 단자(12)를 보호하는 동시에 다른 단자와 끼워맞춰 접속하는 소켓(13)이 설치되어 있다.
또, 연료통로부 계통은 코어(9)의 상단부에 장착된 필터(14)와, 이 필터(14)를 통해서 공급된 연료가 통할 수 있도록 슬리브(30)내에 형성된 제1연료통로(15a)와, 이 제1연료통로(15a)로 부터 연속해서 아마추어(7)내에 따라 축선에 형성된 제2연료통로(15b)와, 이 제2연료통로(15b)로 부터 연속해서 밸브시트 본체(5)의 수용부(5a)와 니들밸브(6)의 외주부와의 사이에 형성된 제3연료 통로(15c)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어댑터(2)는 분사밸브 본체(1)의 분사구(5c)로 부터 분사된 연료가 도입되는 원형 단면의 2개의 에어연료혼합통로(19)와, 각 에어연료혼합통로(19)에 각각 개구해서 에어연료혼합통로(19)에 공급하는 에어통로(20)를 갖고 있으며 에어연료혼합통로(19)에 분사된 연료에 에어 통로(20)로 부터의 에어를 충돌 시켜서 연료를 미립자화 하도록 되어 있다.
2개의 에어연료혼합통로(19)는 각 통로(19)의 중심이 분사구(5c)의 중심축 선상의 한점에서 교차하고, 또 분사구(5c)의 중심 축선에 대해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각각의 에어연료혼합통로(19)의 상기 분사구측 단면의 개구연부가 분사구(5c)의 중심축 선상에서 서로 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연료분사밸브는 기통의 연소실에 연통하는 흡기 통로와 일체적으로 형성된 홀더(21)에 장착되어 있다. 이 홀더(21)에는 에어 도입니플(22)이 장착되어 있다.
어댑터(2)의 외주면과 홀더(21)의 내주면 사이에는 에어 공급로(2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에어 공급로(23)내에 에어 도입니플(22)로 부터의 에어가 도입되고, 에어 공급로(23) 각 에어통로(20)를 통해서 각 에어연료혼합통로(19)에 에어를 공급하게 되어 있다.
밸브시트 본체(5)의 선단면(5b)과 어댑터(2) 사이에는 양자에 밀착한 상태로 플레이트(24)가 개재해 있다.
이 플레이트(24)는 밸브시트 본체(5)의 선단면(5b)에 밀착된 상태로 고착되어 있고, 어댑터(2)가 분사밸브 본체(1)에 장착 되었을때에 플레이트(24)가 어댑터 (2)에 밀접하도록 각 부품이 제작되어 있다.
이 플레이트 (24)에는 하나의 에어연료혼합통로(19)에 대해 하나의 원형상의 오리피스홀(24a)이 대면해서 형성되어 있고, 따라서 오리피스홀(24a)과 에어연료혼합통로(19)와는 도중에 연료 분기부를 통하지 않는 상태에서 연속된다. 그리고 에어통로(20)의 개구부(28)가 에어연료혼합통로(19)중의 이 플레이트(24)의 단면에서 하류측에 소정거리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고, 이 에어연료혼합통로(19)중 이 개구부(28)보다 하류측이 실질적인 에어연료혼합통로(19)로 되어 있다.
2개의 오리피스홀(24a)의 전개구 합계면적은 도 9, 도10에서도 명백한 바와 같이 니들밸브(6)가 상동해서 개구 했을때의 시트부(5a)의 개구면적 보다도 적게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연료 분사시에는 플레이트(24)의 연료 상기 분사구측의 공간에서는 연료가 균압이 되는 균압실(5e)이 형성되고, 각 에어연료혼합통로(19)에 공급되는 연료 분사량은 각각에 대응한 오리피스 홀(24a)의 면적에 의해 결정되고 각각 같은 직경의 오리피스 홀(24a)로 부터는 같은량의 연료가 각각 균등하게 에어연료혼합통로(19)에 공급된다. 또, 오리피스 홀(24a)은 에어통로(20)의 개구부(28)측에 지향해서 형성되어 있다. 어댑터(2)의 하단과 홀더(21)의 하단면 사이는 O링(25)이 개재되어 양자간의 기밀을 유지하고 있다.
다음, 상기 종래의 연료분사밸브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연료를 연료분사부 계통에 공급하면 이 연료는 필터(14)에서 여과되어 제1, 제2 및 제3 연료통로(15a),(15b),(15c)를 경유해서 밸브시트 본체(5)의 시트부(5d)에 도달한다.
그리고, 연료분사밸브의 전자 작동부 계통이 작동하면 니들밸브(6)가 구동되어 상승하고 밸브시트 본체(5)의 시트부(5d)가 개구하며 연료를 분사구(5c)로 부터 분사한다. 이때, 균압실(5e)내에서는 연료가 충만해서 분사구(5c)에 대향하는 플레이트(24)에는 균등한 압력이 작용하고 있으므로 연료는 같은 직경의 원형 형상의 오리피스 홀(24a)에 의해 균등하게 분배 되면서 각 에어연료혼합통로(19)내에 분사된다.
즉, 각 에어연료혼합통로(19)내 분사하는 연료의 유량은 그 오리피스 홀(24a)의 개구면적에 의해 결정 되므로 결과적으로는 각 오리피스 홀(24a)에 의해 연료를 정확하게 계량하면서 각 에어연료혼합통로(19)에 연료를 분류 하게 된다.
여기서 연료는 플레이트(24)의 오리피스 홀(24a)에서 분류 되므로 균등하게 연료가 분사된다. 또, 이와같이 연료는 플레이트(24)상의 균압실(5e)에 일단 보존되고 그후에 에어연료혼합통로(19)에 분사 되므로 분사연료가 에어연료혼합통로(19)에 충돌 되는 것이 억제되고 따라서 분사연료가 액적류(液滴流)가 되어 엔진기통내에 적하 하는것이 억제된다.
한편, 에어 도입니플(22)에서 어시스트 에어를 에어 공급부(23)내에 도입하고 이 어시스트 에어를 각 에어통로(20)를 통해서 가로방향에서 각 에어연료혼합통로(19)내에 공급하고 이 어시스트 에어를 오리피스 홀(24a)로 부터 공급된 연료에 충돌 시켜서 연료를 어시스트 에어에 의해 미립자화 한다. 연료는 오리피스 홀(24a)에서 분배된 량 그 대로의 값으로 각 연소실에 분사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연료분사밸브는 연료가 플레이트(24)의 오리피스 홀(24a)에서 균등하게 되고 그후 에어연료혼합통로(19)를 유통하게 되므로 어댑터(2)에 연료 분기부를 형성 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어댑터(2)에는 연료를 균등하게 분류하기 위한 정밀가공은 요구되지 않고 어댑터(2)를 형상의 가공이 금속제로 한 경우에 비해 극히 쉬운 수지제로 할 수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연료분사밸브에서는 2개의 에어 혼합통로(19)의 상기 분사구측 단면의 개구연부가 분사구(5c)의 중심축 선상에서 서로 접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2개의 에어연료혼합통로(19)간의 격벽부가 상기 분사구측 단면에서 에지를 구성하게 된다. 이결과 어댑터(2)의 성형시에 수지의 흐름이 나빠져서 결함이 이 에지부에 생겨 에지부가 쇼트성의 형상이 되고, 연료의 분배에 악 영향을 미친다는 과제가 있다.
상기 종래의 연료분사밸브의 과제를 개선하기 위해 2개의 에어연료혼합통로(19)의 형성위치를 직경 방향의 외측으로 시프트 시킴으로써 2개의 에어연료혼합통로(19)간의 격벽부가 상기 분사구측 단면에서 에지를 구성하지 않도록 하는 방법도 생각되나 2개의 에어연료혼합통로(19)의 형성위치를 직경방향의 외측으로 시프트함으로써 오리피스 홀(24a)로 부터의 연료 분사방향과 에어연료혼합통로(19)의 통로 중심이 크게 어긋나 버려 혼합가스 형성에 지장을 초래 한다는 문제가 생긴다.
그래서 에어연료혼합통로(19)의 형성위치에 맞추어서 오리피스 홀(24a)의 형성위치를 직경방향의 외측에 시프트하거나 또는 오리피스 홀(24a)의 구멍축의 경사(연료 분사각)를 크게 하는것 등이 생각된다.
그러나, 이 경우 플레이트(24)의 다공의 프레스 가공이 어려워지고 생산성을 악화 시킨다는 문제가 생긴다.
또, 오리피스 홀(24a)의 형성위치를 직경방향의 외측에 시프트 하는 것은 플레이트(24)의 상기 분사구측에 형성되는 데드볼륨의 증대를 초래한다. 그리고, 연료를 분사하지 않는 상태에서 이 데드볼륨에는 연료압력이 없는 연료가 존재하고 그 연료량도 증발등에 의해 변동하고 있다.
그래서, 데드볼륨의 증대에 기인해서 데드볼륨내의 연료량의 흐트러짐이 커지고 연료분사 재개시의 연료 분사량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없게 된다는 문제가 생긴다.
이와같이 연료분사밸브에서는 오리피스 홀(24a)로 부터의 연료분사 방향과 에어연료혼합통로(19)의 통로 중심과의 어긋남을 억제하고 또 데드볼륨의 용적을 작게 하는 것이 요구되고 에어연료혼합통로(19)의 상기 분사구측 단면의 개구부를 근접 시킬 필요성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수지제의 어댑터에 형성되는 에어연료혼합통로간의 상기 분사구측 단면에 칸막이벽을 두고 어댑터의 성형성 및 연료의 분배성을 향상 시키면서 에어연료혼합통로의 상기 분사구측 단면의 개구부를 근접해서 배치할 수 있도록 해 부착위치나 방향에 대한 융통성을 향상 시킨 연료분사밸브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 방향분사의 에어 어시스트 연료분사밸브에서 연료 분기부의 형상 치수의 정확성을 엄격하게 하지 않아도 각 에어연료혼합통로에 대해 균등한 유량의 연료를 안정하게 공급할 수 있고 또, 어댑터에 액적이 부착하는 것에 기인하는 배기가스 악화를 방지하는 연료 분사밸브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1에 관한 연료분사밸브에 적용되는 어댑터를 표시하는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1에 관한 연료분사밸브에 적용되는 어댑터를 표시하는 평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1에 관한 연료분사밸브의 어댑터 주위를
표시하는 요부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1에 관한 연료분사밸브를 표시하는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2에 관한 연료분사밸브에 적용되는 어댑터의
요부를 표시하는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2에 관한 연료분사밸브에 적용되는 어댑터의
요부를 표시하는 평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3에 관한 연료분사밸브에 적용되는 어댑터의
요부를 표시하는 평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4에 관한 연료분사밸브의 부착상태를 표시하
는 요부 단면도,
도 9 는 종래의 연료분사밸브를 표시하는 단면도,
도 10 은 종래의 연료분사밸브의 요부를 표시하는 부분 단면도,
도 11 은 종래의 연료분사밸브에 사용되는 어댑터를 표시하는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분사밸브 본체 5c : 분사구
5D : 어댑터 24 : 플레이트
24a : 오리피스 홀 51 : 에어연료혼합통로
52 : 에어통로 53 : 칸막이벽
A : 축심 B1,B2 : 통로중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도면을 따라 설명한다.
실시의 형태 1.
도 1 및 도 2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연료분사밸브에 적용되는 어댑터를 표시하는 단면도 및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연료분사밸브의 어댑터 주변을 표시하는 요부 단면도이다.
각 도면에서 어댑터(50)는 수지제로 2개의 에어연료혼합통로(51)와, 각 에어연료혼합통로(51)에 각각 개구해서 에어연료혼합통로(51)에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통로(50)를 구비하고 있다.
2개의 에어연료혼합통로(51)는 D상단면의 상기 분사구측 단부를 제외하고 원형단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에어연료혼합통로(51)간의 상기 분사구측 단부에 두께T의 칸막이벽 (5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2개의 에어연료혼합통로(51)의 원형 단면부를 연장 시킴으로써 어댑터의 상기 분사구측 단면에 가상적으로 형성되는 개구의 연부(가상개구연부)는 도 3에 점선으로 표시된바와 같이 상기 분사구측 단면에서 서로 접해 있다. 또, 2개의 에어연료혼합통로(51)의 통로 중심선 B1,B2가 어댑터(50)의 상기 분사구측에서 어댑터(50)의 축심A상의 한점에서 교차하고 있다. 또, 한쪽의 에어연료혼합통로(51)는 다른쪽의 에어연료혼합통로(51)를 축심A 주위에 180°회전 시킨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어댑터(50)는 축심A가 분사구(5c)의 공중심에 일치 하도록 분사체 본체(1)의 선단에 장착되고, 도 4에 표시된바와 같이 연료분사밸브를 구성하고 있다. 플레이트(24)가 밸브시트 본체(5)의 선단면(5b)와 어댑터(50)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이 플레이트(24)에는 하나의 에어연료혼합통로(51)에 대해 하나의 원형상의 오리피스 홀(24a)이 대면에서 형성되어 있다.
또, 오리피스 홀(24a)는 에어통로(52)의 개구부(52a)측으로 지향해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에어통로(52)의 개구부(52a)가 에어연료혼합통로(51)중의 이 플레이트(24)의 단면에서 하류측으로 일정거리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고, 이 에어연료혼합통로(51)중 이 개구부(52a)보다 하류측이 실질적인 에어연료혼합통로(51)로 되어 있다.
또, 다른구성은 도9에 표시되는 연료분사밸브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다음 이와같이 구성된 연료분사밸브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연료를 연료분사부 계통에 공급하면 이 연료는 필터(14)에서 여과되고, 제1, 제2및 제3연료통로(15a),(15b),(15c)를 경유해서 밸브시트 본체(5)의 시트부(15d)에 도달한다.
그리고, 연료분사밸브의 전자 작동부 계통이 작동하면 니들밸브(6)가 구동되어 상승하고, 밸브시트 본체(5)의 시트부(5d)가 개구되며, 연료를 분사구(5c)로부터 분사한다.
이때, 균압실(5e)내에서는 연료가 충만해서 분사구(5c)에 대향하는 플레이트 (24)에는 균등한 압력이 작용하고 있으므로 연료는 같은 직경의 원형 형상의 오리피스 홀(24a)에 의해 균등하게 분배 되면서 각 에어연료혼합통로(51)내에 분사된다.
즉, 각 에어연료혼합통로(51)내에 분사하는 연료의 유량은 그 오리피스 홀(24a)의 개구면적에 의해 결정 되므로 결과적으로는 각 오리피스 홀(24a)에 의해 연료를 정확하게 계량 하면서 각 에어연료혼합통로(51)에 연료를 분류하게 된다.
여기서 연료는 플레이트(24)의 오리피스 홀(24a)에서 분류됨으로써 균등하게 연료가 분사될 수 있다.
또, 이와같이 연료는 플레이트(24)사의 균압실(5e)에 일단 머물러 있다가 그후, 에어연료혼합통로(51)에 분사 되므로 분사 연료가 에어연료혼합통로(51)에 충돌 되는 것이 억제되고, 따라서 분사 연료가 액적류가되어 엔진기통내에 적하하는것이 억제된다.
한편, 에어도입 니플(22)로부터 어시스트 에어를 에어공급부(23)내에 도입하고 이 어시스트 에어를 각 에어통로(52)를 통해서 가로 방향으로 부터 각 에어연료혼합통로(51)내에 공급하고 이 어시스트에어를 오리피스 홀(24a)로부터 공급된 연료에 충돌 시켜서 연료를 어시스트 에어에 의해 미립자화 한다. 연료는 오리피스 홀(24a)에서 분배된량 그대로의 값으로 각 연소실에 분사된다.
본 실시의 형태1에 의하면 2개의 에어연료혼합통로(51)간의 상류부측에 칸막이벽(53)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2개의 에어연료혼합통로(51)간의 상기 분사구측 단부에 쇼트를 발생 시키지 않고, 어댑터(50)를 간단하게 수지 성형할 수가 있다.
그래서, 어댑터(50)의 연료분배성이 확보되고 연료는 플레이트(24)의 오리피스 홀(24a)에 의해 균등하게 분배된 상태를 유지해서 에어연료혼합통로(51)내를 유통하게 된다.
또, 2개의 에어연료혼합통로(51)의 상류 단부측이 D형상의 단면에 형성 되어 있으므로 2개의 에어연료혼합통로(51)의 상기 분사구측 단면의 가상개구연부가 서로 접하도록 에어연료혼합통로(51)를 형성할 수 가 있다.
즉, 2개의 에어연료혼합통로(51)의 상기 분사구측 단면의 개구부를 근접 시킬 수가 있다.
그래서, 연료분사밸브의 부착 위치나 방향에 대한 유동성이 향상 된다.
또, 2개의 에어연료혼합통로(51)의 상기 분사구측 단면의 개구부가 근접해 있으므로 오리피스 홀(24a)로 부터의 연료분사 방향과 에어연료혼합통로(51)의 통로 중심과의 사이의 어긋남이 억제되고 혼합가스의 형성이 안정되게 실시된다.
또, 에어연료혼합통로(51)의 위치에 맞추어서 오리피스 홀(24a)의 위치를 직경방향의 외측으로 시프트하거나 또는 오리피스 홀(24a)의 구멍축의 경사(연료 분사각)을 크게 할 필요가 없고 플레이트(24)의 다공의 프레스 가공이 쉬워지고 생산성을 향상 시킬수가 있다. 또는 오리피스 홀(24a)의 위치를 직경방향의 외측에 시프트할 필요가 없으므로 플레이트(24)의 상기 분사구측에 형성되는 데드볼륨의 증대가 없고 연료분사량을 정확하게 안정되게 제어할 수가 있다.
여기서 칸막이벽(53)의 두께T는 어댑터(50)의 수지 성형시에 에어연료혼합통로(51)간의 상기 분사구측 단부에서의 쇼트의 발생을 억제하는 관점으로부터 0.25mm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또, 칸막이벽(53)의 두께T의 상한은 분무유량, 분무패턴 및 연료분배에 영향이 않되도록 즉, 오리피스 홀(24a)로 부터 분사된 연료가 칸막이벽(53)의 단면에 직접 걸리지 않도록 플레이트(24) 및 어댑터(50)의 공차를 고려해서 설정하면 된다.
실시의 형태 2
상기 실시의 형태1에서는 칸막이벽(53)이 상기 분사구측 단면으로부터 하류측을 향해서 균일한 두께로 에어연료혼합통로(51)의 원형 단면부에 연결 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하고 있으나 본 실시의 형태2에서는 도 5 및 도 6에 표시된바와 같이 칸막이벽(53)이 상기 분사구측 단면으로부터 하류측을 향해서 서서히 두께를 증가 하면서 에어연료혼합통로(51)의 원형 단면부에 연결 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실시의 형태1과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실시의 형태 3
본 실시의 형태3에서는 도7에 표시한바와 같이 3개의 에어연료혼합통로(51)가 어댑터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즉, 3개의 에어연료혼합통로(51)는 대략 D상단면의 상기 분사구측 단부를 제외하고, 원형단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에어연료혼합통로(51)간의 상기 분사구측 단부에 두께T의 칸막이벽(5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3개의 에어연료혼합통로(51)의 상기 분사구측 단면에서의 가상개구연부는 도 7에 점선으로 표시한바와 같이 상기 분사구측 단면에서 서로 접해있다.
또, 3개의 에어연료혼합통로(51)의 통로 중심선이 어댑터의 상기 분사구측에서 어댑터의 축심상의 일점에서 교차하고 있다. 또, 3개의 에어연료혼합통로(51)는 어댑터의 축심 주위에 120°회전시킨 위치관계로 되어있다.
또, 칸막이벽(53)의 두께는 0.25mm 이상이고, 또 분무유량 분무패턴 및 연료분배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두께 이하로 설정되어 있다.
본 실시의 형태 3에서도 3개의 에어연료혼합통로(53)의 상기 분사구측 개구가 근접해서 배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실시의 형태1과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실시의 형태 4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4에 관한 연료분사밸브의 부착상태를 표시하는 요부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스토퍼(4) 및 밸브시트 본체(5)가 분사체 본체의 하우징(3)의 하부에 배치되고, 니들밸브(6)가 축심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밸브시트 본체(5)의 수용부(5a)에 수용되어 있다. 또, 어댑터(50)가 그 축심을 분사구(5c)의 구멍 중심에 일치 하도록 하우징(3)의 선단에 장착되어 있다. 플레이트(24)가 밸브시트 본체(5)의 선단면(5b)과 어댑터(50) 사이에 개장되어 있다.
이 플레이트(24)에는 하나의 에어연료혼합통로(51)에 대해 하나의 원형상 오리피스 홀(24a)이 대면에서 형성되고, 각 오리피스 홀(24a)은 에어통로(52)의 개구부(52a)쪽을 향하고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연료분사밸브는 인테이크 매니홀드(60)에 직접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에어 도입로(61)가 인테이크 매니홀드(60)에 설치되고 에어가 에어 도입로(61) 및 에어통로(52)를 통해서 에어연료혼합통로(51)에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의 형태 4는 연료분사밸브가 인테이크 매니홀드(60)에 직접 장착되어 있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의 형태1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그래서, 본 실시의 형태4에서도 상기 실시의 형태1과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또, 본 실시의 형태4에서는 연료분사밸브를 인테이크 매니홀드(60)에 직접 장착하는 것으로 하고 있으나 연료분사밸브를 실린더 헤드에 직접 장착해도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또, 상기 각 실시의 형태에서는 에어연료혼합통로(51)의 주통로(상류 단부측을 제외한 부위)의 단면을 원형으로하고 있으나 이 주통로의 단면은 원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들면 타원형(장원형)이라도 된다.
마찬가지로 오리피스 홀(24a)의 단면도 원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상기 각 실시의 형태에서는 하나의 에어연료혼합통로(51)에 하나의 오리피스 홀(24a)이 대면하도록 하고 있으나 하나의 에어연료혼합통로(51)에 2개 이상의 오리피스 홀(24a)이 대면하도록 해도 된다.
또, 상기 각 실시의 형태에서는 2방향 또는 3방향 분사의 연료분사밸브에 적용하는 것으로 하고 있으나 4개 이상의 에어연료혼합통로(51)를 갖는 다방향분사의 연료분사밸브에 적용해도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이 경우 각 에어연료혼합통로(51)의 의 통로 중심선이 어댑터의 상기 분사구측에서 어댑터의 축심상의 일점에서 교차하고 또, 각 에어연료혼합통로(51)가 어댑터의 축심 주위에 등각 피치로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또, 상기 각 실시의 형태에서는 에어연료혼합통로(51)의 상기 분사구측 단부에서의 가상개구연부가 서로 접하는 것으로 하고 있으나 이 가상개구연부는 반드시 접해 있을 필요는 없고 대략 접하는 상태에 있으면 된다.
또, 상기 각 실시의 형태에서는 오리피스 홀(24a)을 플레이트에 형성 하는 것으로 하고 있으나 플레이트를 밸브시트 본체(5)와 일체화 하고, 이 밸브시트 본체에 오리피스 홀을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또, 본원은 분사구로부터 분사되는 연료가 플레이트(24)에 설치된 오리피스 홀(24a)에 의해 분배된후 에어연료혼합통로(51)에 유통되는 연료분사밸브이면 어떤 타입의 분사밸브에도 적용 가능한 것은 당연한 일이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아래에 기재하는 바와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연료를 분사하는 분사구를 갖는 분사밸브 본체와 이 분사밸브 본체의 선단부에 장착된 수지제의 어댑터와 이 어댑터에 어댑터의 축심주위에 등각피치로 원형 또는 타원형의 단면형상으로 뚫리고, 또 각각의 통로 중심이 이 축심상의 상기 분사구측의 한점에 이 축심에 대해 같은 경사각도로 교차하며, 상기 분사구로부터의 상기 연료를 유통시키는 다수의 에어연료혼합통로와, 각각의 에어연료혼합통로에 통하도록 상기 어댑터에 뚫리고, 에어를 상기 에어연료혼합통로에 도입하는 에어통로와, 상기 분사밸브 본체와 상기 어댑터의 사이를 차단하도록 배치된 플레이트와, 상기 다수의 에어연료혼합통로의 상기 분사구측 개구의 각각에 대면하도록 상기 플레이트에 뚫리고, 상기 분사구로 부터의 상기 연료를 상기 다수의 에어연료혼합통로에 분배하는 오리피스 홀을 구비한 연료분사밸브에서, 상기 다수의 에어연료혼합통로는, 각각의 상기 어댑터의 상기 분사구측 단면에서의 가상개구연부가 서로 접하도록 형성되고, 또한, 각각의 상기 분사구측의 단부측의 단면형상이 상기 가상개구연부끼리의 접선과 평행인 현(弦)을 갖는 원호형으로 형성되며, 인접하는 에어연료혼합통로사이에 소정 두께의 칸막이벽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연료의 분배성을 확보하면서 어댑터의 성형성이 향상되는 동시에 부착위치나 방향에 대한 융통성이 향상된 연료분사밸브가 얻어진다.
또, 상기 칸막이벽의 두께를 0.25mm 이상으로 하므로 어댑터의 수지 성형시에 인접한 에어연료혼합통로간의 상류 측단부에서의 쇼트의 발생을 억제할 수가 있어 우수한 연료의 분배성이 얻어진다.

Claims (2)

  1. 연료를 분사하는 분사구를 갖는 분사밸브 본체와, 이 분사밸브 본체의 선단부에 장착된 수지제의 어댑터와, 이 어댑터에 어댑터의 축심주위에 등각 피치로 원형 또는 타원형의 단면형상으로 뚫리고, 또, 각각의 통로 중심이 이 축심상의 상기 분사구측의 일점에 이 축심에 대해 같은 경사 각도로 교차하며, 상기 분사구로 부터의 상기 연료를 유통시키는 다수의 에어연료혼합통로와, 각각의 에어연료혼합통로에 통하도록 상기 어댑터에 뚫리고, 에어를 상기 에어연료혼합통로에 도입하는 에어통로와, 상기 분사밸브 본체와 상기 어댑터사이를 차단하도록 배치된 플레이트와, 상기 다수의 에어연료혼합통로의 상기 분사구측 개구의 각각에 대면하도록 상기 플레이트에 뚫리고, 상기 분사구로 부터의 상기 연료를 상기 다수의 에어연료혼합통로에 분배하는 오리피스 홀을 구비한 연료분사밸브에서, 상기 다수의 에어연료혼합통로는, 각각의 상기 어댑터의 상기 분사구측 단면에서의 가상개구연부가 서로 접하도록 형성되고, 또한, 각각의 상기 분사구측의 단부측의 단면형상이 상기 가상개구연부끼리의 접선과 평행인 현(弦)을 갖는 원호형으로 형성되며, 인접하는 에어연료혼합통로사이에 소정 두께의 칸막이벽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분사밸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칸막이벽의 두께가 0.25m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분사밸브.
KR1019990011622A 1998-08-24 1999-04-02 연료분사밸브 KR1003158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237291A JP2000064929A (ja) 1998-08-24 1998-08-24 燃料噴射弁
JP1998-237291 1998-08-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6842A KR20000016842A (ko) 2000-03-25
KR100315876B1 true KR100315876B1 (ko) 2001-12-12

Family

ID=17013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1622A KR100315876B1 (ko) 1998-08-24 1999-04-02 연료분사밸브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092741A (ko)
JP (1) JP2000064929A (ko)
KR (1) KR100315876B1 (ko)
DE (1) DE19909548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93796B2 (ja) * 2010-04-08 2014-09-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噴射ノズルおよび直接噴射式燃料噴射弁
JP5593797B2 (ja) * 2010-04-08 2014-09-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噴射装置および燃料噴射ノズル
US8672234B2 (en) 2010-05-20 2014-03-18 Enginetics, Llc Multi-physics fuel atomizer and methods
JP5195890B2 (ja) * 2010-12-21 2013-05-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噴射弁および内燃機関
DE102012209326A1 (de) * 2012-06-01 2013-12-05 Robert Bosch Gmbh Brennstoffeinspritzventil
US9518547B2 (en) * 2015-05-07 2016-12-13 Caterpillar Inc. Fuel injector including extensions for split spray angles
JP6902280B2 (ja) 2015-10-16 2021-07-14 ノストラム エナジー ピーティーイー.リミテッドNostrum Energy Pte.Ltd. 従来の直接噴射装置の変更方法
US11073071B2 (en) * 2019-07-23 2021-07-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Fuel injector with divided flowpath nozzl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62272A (ja) * 1991-06-06 1992-12-15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燃料噴射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57189A (en) * 1985-03-13 1987-04-14 Aisan Kogyo Kabushiki Kaisha Electromagnetic fuel injection valve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having a plurality of intake valves
JPS6350667A (ja) * 1986-08-19 1988-03-03 Aisan Ind Co Ltd 電磁式燃料噴射弁のノズル構造
JPH0318662A (ja) * 1989-05-29 1991-01-28 Aisan Ind Co Ltd 電磁式燃料噴射弁のノズル構造
JP2996525B2 (ja) * 1991-03-20 2000-01-1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燃料噴射弁
JP3053934B2 (ja) * 1991-10-31 2000-06-19 愛三工業株式会社 多孔式インジェクタ
JPH07103100A (ja) * 1993-08-09 1995-04-18 Mitsubishi Electric Corp 燃料噴射弁
JPH07259701A (ja) * 1994-03-25 1995-10-09 Keihin Seiki Mfg Co Ltd 電磁式燃料噴射弁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62272A (ja) * 1991-06-06 1992-12-15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燃料噴射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0064929A (ja) 2000-03-03
KR20000016842A (ko) 2000-03-25
DE19909548B4 (de) 2005-10-27
DE19909548A1 (de) 2000-03-02
US6092741A (en) 2000-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19296A (en) Fuel injector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6405945B1 (en) Nozzle for a fuel injector
US6994279B2 (en) Fuel injection device
US20100288857A1 (en) Fuel injection valve
US7469675B2 (en) Fuel injection system with cross-flow nozzle for enhanced compressed natural gas jet spray
KR100315876B1 (ko) 연료분사밸브
WO2008120086A2 (en) Fuel injection device
KR100315273B1 (ko) 내연기관용연료분사기
WO2006095706A1 (ja) 燃料噴射弁
US6854448B2 (en) Fuel injection valve and fuel injection system
US5346137A (en) Electromagnetic fuel injection valve
US5301879A (en) Fuel injection device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3556899B2 (ja) 燃料噴射弁
JPH07103100A (ja) 燃料噴射弁
KR19980018687A (ko) 내연 기관용 혼합기 형성 장치 및 엔진 시스템
US6045054A (en) Air shroud for air assist fuel injector
JP6735913B2 (ja) 燃料噴射弁
CN113260783B (zh) 燃料喷射装置
JP3999789B2 (ja) 燃料噴射弁
JP4053050B2 (ja) 燃料噴射弁
KR100339679B1 (ko) 다방향 연료 분사 밸브를 구비한 다기통 내연 기관 및 그흡기관 구조
JPH04136477A (ja) 多方向噴射型燃料噴射弁
JPH0914089A (ja) 燃料噴射装置
JPH051642A (ja) 電磁式燃料噴射弁
JP2010236392A (ja) 燃料噴射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1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