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4876B1 - 잉크젯프린터 - Google Patents

잉크젯프린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4876B1
KR100314876B1 KR1019980030796A KR19980030796A KR100314876B1 KR 100314876 B1 KR100314876 B1 KR 100314876B1 KR 1019980030796 A KR1019980030796 A KR 1019980030796A KR 19980030796 A KR19980030796 A KR 19980030796A KR 100314876 B1 KR100314876 B1 KR 1003148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tank
overflow
discharge
w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0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4295A (ko
Inventor
다쿠로 이토
노리오 코즈
야스히로 스즈키
신이치로 후지이
Original Assignee
구보 미츠오
도시바 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423497A external-priority patent/JPH1148498A/ja
Priority claimed from JP25571397A external-priority patent/JPH1191130A/ja
Priority claimed from JP6835398A external-priority patent/JP3597373B2/ja
Application filed by 구보 미츠오, 도시바 테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구보 미츠오
Publication of KR19990014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42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4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48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65Preventing or detecting of nozzle clogging, e.g. cleaning, capping or moistening for nozzles
    • B41J2/16517Cleaning of print head nozzles
    • B41J2/1652Cleaning of print head nozzles by driving a fluid through the nozzles to the outside thereof, e.g. by applying pressure to the inside or vacuum at the outside of the print head
    • B41J2/16523Waste ink collection from caps or spittoons, e.g. by suction

Abstract

본 발명은 주위를 더럽히지 않고서 확실하게 폐잉크를 회수하기 어렵다고 하는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잉크젯 프린터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 잉크젯 프린터는 용지를 유지하는 회전 드럼(10)과, 회전 드럼(10)에 유지된 용지를 향하여 잉크를 분사함으로써 화상을 프린트하는 프린트 헤드(20U)와, 프린트를 하지 않을 때에 프린트 헤드(20U)에 대향되어 이 프린트 헤드(20U)로부터 분사되는 잉크를 받는 잉크 받이(30)와, 잉크 받이(30)로부터 잉크를 회수하는 잉크 배출부(50, 80)를 구비한다. 특히, 이 잉크젯 프린터에서는 잉크의 분사 후에 회수되지 않고서 잉크 받이(30)에 남은 잉크를 제거하기 위해 잉크 제거부(50, 80)가 설치된다.

Description

잉크젯 프린터{INKJET PRINTER}
본 발명은 회전 드럼상에 유지되는 프린트 매체에 프린트 헤드(print head)로부터 분사되는 잉크로 화상(畵像)을 프린트하는 잉크젯 프린터(inkjet printer)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프린트 헤드가 회전 드럼의 축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잉크젯 노즐로 구성되는, 잉크젯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직렬형 잉크젯 프린터가 보급되고 있다. 이 직렬형 잉크젯 프린터에서는 프린트 헤드가 비교적 소용량의 잉크 카세트와 일체적으로 캐리지(carriage)에 장착되고, 이 캐리지가 용지를 가로질러 뻗은 가이드 바(guide bar)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용지는 가이드 바에 직각인 방향으로 일정 피치(pitch)로 이송되고, 캐리지는 용지가 1피치 이송될 때마다 가이드 바를 따라서 이동되며, 프린트 헤드는 이 캐리지의 이동에 따라 잉크를 분사한다. 프린터가 컬러 프린트용일 경우에는 프린트 헤드가 복수의 잉크젯 노즐로 구성되고, 서로 다른 색의 잉크가 각각의 잉크 탱크로부터 이들 잉크젯 노즐로 공급된다. 전술한 구성에서는 예컨대, A4 사이즈의 컬러 화상을 프린트하는 데에 10분 정도가 걸린다. 즉, 직렬형 잉크젯 프린터는 매분 0.1매라는 상당히 느린 프린트 속도로 동작한다.
근래에는 더욱 고속으로 컬러 프린트를 할 수 있는 드럼 회전형 잉크젯 프린터가 개발되고 있다. 이 잉크젯 프린터에서는 용지가 한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 드럼에 유지되고, 프린트 헤드가 이 회전 드럼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 드럼과 함께 회전하는 용지에 서로 다른 색의 잉크를 분사하는 복수의 노즐 유닛으로 구성된다. 각 노즐 유닛은 용지를 가로질러 회전 드럼의 축방향으로 배열되는 잉크젯 노즐을 구비한다. 이들 잉크젯 노즐의 피치는 원하는 해상도에 일치하는 값 또는 이 해상도의 2배에서 4배 정도의 값으로 설정된다. 프린트 헤드는 이들 잉크젯 노즐의 선단이 회전 드럼상의 용지에 근접하도록 배치되고, 잉크젯 노즐의 피치가 원하는 해상도에 일치하는 값인 경우에 소정 위치에 설정되며, 잉크젯 노즐의 피치가 원하는 해상도를 초과하는 값인 경우에 소정 위치로부터 회전 드럼의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정된다. 프린트 헤드가 회전 드럼의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정되는 경우, 프린트 헤드는 회전 드럼의 1회전마다 소망 해상도에 대응하는 비율로 이동되고, 잉크젯 노즐의 피치만큼 이동되었을 때에 소정 위치로 복귀된다. 회전 드럼의 회전 속도는 매분 120 회전 정도로 설정된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예컨대, A4 사이즈의 컬러 화상의 프린트하는 데에 2초 내지 3초가 걸린다. 또한, 프린트 헤드는 회전 드럼의 축방향으로 잉크젯 노즐 피치를 초과하여서는 이동하지않기 때문에, 복수의 대용량 잉크 카세트를 프린트 헤드로부터 분리하여 이들 대용량 잉크 카세트로부터 서로 다른 색의 잉크를 프린트 헤드의 노즐 유닛에 각각 공급함으로써 1회의 잉크 보급으로 얻을 수 있는 프린트 매수를 증대시킬 수 있다.
그런데, 이 잉크젯 프린터에서는 잉크젯 노즐의 막힘 방지 및 기포 배출을 위해 프린트를 하지 않을 때에 잉크젯 노즐로부터 잉크를 분사함으로써 유지 관리가 행해진다. 또한, 종이 가루가 고속으로 회전하는 회전 드럼상의 용지로부터 비산하여 잉크젯 노즐의 선단에 부착하면, 이 종이 가루가 잉크젯 노즐에 공급되는 잉크를 흡입해 버린다. 1일에 수천매 정도의 대량의 프린트를 행하는 경우, 이 종이 가루가 잉크를 함유한 상태로 용지 위로 낙하하여 프린트 품질을 열화시킨다고 하는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기 쉽게 된다. 이 때문에, 잉크는 프린트를 하지 않을 때 또는 프린트를 하는 도중에 잉크젯 노즐의 선단으로부터 종이 가루를 제거하는 세정용으로 이용된다.
잉크젯 프린터는 전술한 바와 같은 유지 관리에 사용된 잉크를 폐잉크로서 회수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러나, 소형화된 프린터에서 주위를 더럽히지 않고서 확실하게 폐잉크를 회수하기는 어렵다.
본 발명의 목적은 주위를 더럽히지 않고서 폐잉크를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회수할 수 있는 잉크젯 프린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잉크젯 프린터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잉크젯 프린터의 잉크 처리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워싱 보드의 단면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워싱 보드에 장착되는 잉크 제거부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한 잉크 제거부와 프린트 헤드 및 워싱 보드와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도 2 및 도 5에 도시한 노즐 세그먼트의 배치를 도시하는 상면도.
도 7은 도 2에 도시한 잉크 카세트를 수용하는 폐잉크 카세트 홀더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도 2에 도시한 잉크 처리 시스템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도 8에 도시한 잉크 처리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U : 프린트 헤드
30, 30A : 잉크 받이
40 : 잉크 공급부
50 : 잉크 회수부
52, 53, 54, 55, 57, 58, 75, 79 ; 57A : 폐잉크 배출부
70 : 잉크 회수 용기
75 : 용기 홀더
80 : 블레이드
LV : 액면 안정화부
본 발명에 의하면, 프린트 매체를 유지하는 회전 드럼과, 회전 드럼에 유지된 프린트 매체를 향하여 잉크를 분사함으로써 화상을 프린트하는 프린트 헤드와, 프린트를 하지 않을 때에 프린트 헤드에 대향되어 이 프린트 헤드로부터 분사되는 잉크를 받는 잉크 받이와, 잉크 받이로부터 잉크를 회수하는 잉크 회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잉크 회수부는 잉크의 분사 후에 회수되지 않고서 잉크 받이 위에 남은 잉크를 제거하는 블레이드부를 구비하는 잉크젯 프린터가 제공된다.
이 잉크젯 프린터에서는 블레이드부가 프린트를 하지 않을 때에 프린트 헤드로부터 분사되어 회수되지 않고서 잉크 받이 위에 남은 잉크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프린트를 위해 잉크 받이를 후퇴시켰을 때에 이 잉크 받이 주위에 잉크가 비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주위를 더럽히지 않고서 폐잉크를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회수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잉크젯 프린터를 도 1에서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이 잉크젯 프린터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다. 이 잉크젯 프린터는 프린트 매체로서 시이트 형으로 절단된 용지(P)에 다색(多色) 프린트를 행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이 용지(P)는 예컨대, 일반 용지 또는 OHP지이다.
잉크젯 프린터는 용지(P)를 유지하여 일정한 주속도(周速度)로 회전하는 회전 드럼(10), 이 회전 드럼(10)과 함께 회전하는 용지(P)에 대하여 다색 프린트를 행하는 프린트 헤드(20U), 1장씩 삽입되는 용지(P)를 얹은 수동 트레이(T1), 겹쳐서 삽입되는 용지(P)를 수용하는 용지 카세트(T2), 용지(P)를 이들 용지 카세트(T2) 및 수동 트레이(T1)로부터 회전 드럼(10)으로 반입하는 용지 반입기구(FM1), 회전 드럼(10)상에서 프린트된 용지(P)를 외부로 반출하는 용지 반출 기구(FM2) 및 잉크젯 프린터의 동작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구비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드럼(10)은 하우징(1)내의 중앙 위치 부근에 배치되고, 수동 트레이(T1)는 하우징(1)의 정면에서 회전 드럼(10)보다도 낮은 위치로부터 외부로 돌출하도록 배치되며, 용지 카세트(T2)는 회전 드럼(10)의 아래쪽에 배치된다. 용지 반입 기구(FM1)는 수동 트레이(T1) 및 용지 카세트(T2) 사이에 배치된다. 프린트 헤드(20U)는 회전 드럼(10)의 상측에 배치된다. 용지 반출 기구(FM2)는 회전 드럼(10)의 뒤쪽에 배치된다.
회전 드럼(10)은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회전에 따라서 용지(P)를 외주면(11)에 감아 유지한다. 이 회전 드럼(10)의 회전 위치는 회전 드럼(10)의 외주면 부근에 설치되는 회전 위치 검출기(DT)에 의해 검출된다. 프린트 헤드(20U)는 회전 드럼(10)의 외주면(11)을 따라서 상측에서 하측으로 순서대로 배열되어 각각 파란색(C), 노란색(Y), 진홍색(M), 검정색(B)의 잉크로 용지(P)에 프린트를 행하는 4개의 노즐 유닛[20(C), 20(Y), 20(M), 20(B)]으로 구성되고, 이들로부터 떨어져서 배치된 잉크 유닛(SP)으로부터 각각의 색의 잉크를 공급받는다. 각 노즐 유닛[20(C), 20(Y), 20(M), 20(B)]은, A4 사이즈 용지(P)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도록 회전 드럼(10)의 축방향으로 배열되어 대응색의 잉크를 용지(P)에 분사하는 복수의 잉크젯 노즐(23)을 구비한다. 상세하게는 이들 노즐 유닛(20(C), 20(Y), 20(M), 20(B))은 서로 동일하게 구성되고, 각각 도 2,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판(21) 및 4개의 노즐 세그먼트(20A-20D)를 구비한다.연결판(21)은 용지(P)의 폭 방향에 일치하는 회전 드럼(10)의 축방향(X)으로 신장하도록 설정되고, 노즐 세그먼트(20A-20D)는 회전 드럼(10)의 회전 방향(R)으로 서로 어긋난 지그재그 배치가 되도록 이 연결판(21)상에 배열된다. 즉, 노즐 세그먼트(20A, 20C)는 연결판(21)의 일 표면에 고정되고, 노즐 세그먼트(20B, 20D)는 연결판(21)의 그 이면에 고정되며, 인접 노즐 세그먼트(20A와 20B, 20B와 20C, 20C와 20D)는 서로 약간 중첩되도록 배치된다. 이들 노즐 세그먼트(20A-20D)의 잉크젯 노즐의 선단은 프린트 헤드(20)의 선단면(24)에 일치하는 높이에 맞춰진다. 각 노즐 세그먼트(20A-20D)는 소정 개수의 잉크젯 노즐(23) 및 이들 잉크젯 노즐(23)에 직접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실(22)로 구성된다. 노즐 세그먼트(20A-20D)의 잉크실(22)은 잉크가 이들을 통해 흐르도록 직렬로 연결된다. 이들 잉크젯 노즐(23)의 피치 PT는 예컨대, 프린트 해상도가 주 주사(主走査) 방향(X)에서 300dpi인 경우에 1/150 인치로 설정된다.
용지 반입 기구(FM1)는 용지(P)의 폭 방향이 회전 드럼(10)의 축방향에 일치하도록 용지(P)를 회전 드럼(10)으로 보내는 용지 로더(LD;loader)를 구비하며, 수동 트레이(T1) 및 용지 카세트(T2)중 한쪽으로부터 용지(P)를 취출(取出)하여 용지 로더(LD)로 보낸다. 용지 로더(LD)는 회전 드럼(10)이 소정 위치까지 회전한 것을 회전 위치 검출기(DT)가 검출하면 용지(P)를 회전 드럼(10)을 향하여 보내도록 제어된다. 프린트 헤드(20U)는 회전 드럼(10)의 회전에 따라서 용지(P)에 대하여 컬러 프린트를 행한다.
용지(P)는 프린트 후에 용지 박리부(PL)에 의해 회전 드럼(10)의 외주면(11)으로부터 박리되고, 용지 반출 기구(FM2)에 의해 소정 방향으로 반송된다. 용지 박리부(PL)는 용지 박리시에 회전 드럼(10)에 접촉하는 박리 클릭(click)이다. 배출 전환기(SEL)는 프린트면을 상향으로 하여 배출하는 후부 배출 트레이(RT) 및 프린트면을 하향으로 하여 배출하는 상부 배출 트레이(UT) 중 한쪽에 용지(P)를 선택적으로 인도한다.
프린트 헤드(20U)는 회전 드럼(10)의 축방향에 평행한 주 주사 방향(X)으로 약간 왕복 이동할 수 있다. 회전 드럼(10)은 그 외주면(11)에 감겨지는 용지(P)를 유지하고, 노즐 유닛[20(C), 20(Y), 20(M), 20(B)]에 대향한 상태로 주 주사 방향(X)에 직각인 부 주사 방향(Y)으로 용지(P)를 이동시키도록 회전한다. 회전 드럼(10)은 예컨대, 120rpm이라는 일정한 회전수로 유지되고, 0.5초마다 1회전한다. 프린트 동작에 있어서, 프린트 헤드(20U)는 회전 드럼(10)이 1회전할 때마다 노즐 피치(PT)의 1/2이라는 일정한 비율로 주 주사 방향(X)으로 이동하고, 2회의 드럼 회전으로 노즐 피치(PT)와 같은 거리만큼 이동한다.
용지 로더(LD)는 드럼의 축방향으로 연장하여 설치된 적어도 한 쌍의 공급 롤러(R1, R2)로 구성되고, 피더(T1, T2)측으로부터 반송되어 온 용지(P)를 소정의 타이밍으로 회전 드럼(10)측으로 공급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용지(P)의 공급 속도는 회전 드럼(10)의 주속도에 대응하는 속도로 설정된다. 회전 드럼(10)의 직경은 130mm로 설정되기 때문에, 816mm/sec라는 원주 속도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 회전 드럼(10)의 외주면(11)은 축방향에 있어서 약 220mm의 폭을 구비하며, 회전 방향에 있어서 408mm의 길이를 구비한다. 이 때문에, 회전 드럼(10)은 길이가 297mm이고 폭이 210mm인 A4 사이즈의 용지(P)를 여유를 갖고 유지할 수 있다.
프린트 헤드(20U)의 높이는 도 1에 도시한 승강기(90)에 의해 자동 조정된다. 이 승강기(90)는 프린트시에 회전 드럼(10)에 인접한 하한 위치에 프린트 헤드(20U)를 설정하고, 프린트를 하지 않을 때에 회전 드럼으로부터 떨어진 상한 위치에 프린트 헤드(20U)를 설정하며, 또 이들 상한 위치와 하한 위치 사이에 세정 위치를 설정한다.
잉크 유닛(SP)은 도 2에 도시한 잉크 공급부(40)를 각 노즐 유닛(20)마다 구비한다. 이 잉크 공급부(40)는 잉크 카세트(CT)를 착탈 가능하게 지지하는 착탈부(JN), 이 잉크 카세트(CT)로부터 보급되는 잉크를 모아 두는 잉크 탱크(TK), 이 잉크 탱크(TK)로부터 노즐 유닛(20)으로 잉크를 인도하는 잉크 공급관(41), 이 노즐 유닛(20)으로부터 잉크 탱크(TK)로 잉크를 인도하는 잉크 복귀관(47)을 구비한다. 잉크 공급부(40)는 또 공급 펌프(42), 잉크 조정부(43), 전환 밸브(44), 흡인 펌프(48) 및 순환 배관(45)을 구비한다. 공급 펌프(42), 잉크 조정부(43) 및 전환 밸브(44)는 잉크 공급관(41)에 삽입되고, 흡인 펌프(48)는 잉크 복귀관(47)에 삽입된다. 공급 펌프(42)는 잉크를 잉크 탱크(TK)로부터 흡인하여 잉크 공급관(41)을 따라 흐르게 한다. 잉크 조정부(43)는 공급 펌프(42)로부터 전환 밸브(44)로 향하는 잉크를 청정화하는 필터 및 이 잉크를 가열하는 히터 등을 포함한다. 전환 밸브(44)는 노즐 유닛(20)으로 잉크를 인도하는 잉크 공급관(41)에 접속되는 제1 포트(44A) 및 잉크 탱크(TK)로 잉크를 인도하는 순환 배관(45)에 접속되는 제2 포트(44B)를 구비하며, 이들 포트(44A, 44B)중 한쪽을 선택한다. 제1포트(44A)는 노즐 유닛(20)으로부터 잉크를 분사하는 경우에 선택되고, 제2 포트(44B)는 초기 온도 조정을 위해 잉크를 잉크 탱크(TK)로 복귀시키는 경우에 선택된다. 흡인 펌프(48)는 분사되지 않고 남은 잉여 잉크를 노즐 유닛(20)으로부터 흡인하여 잉크 복귀관(47)을 따라 흐르게 하여, 잉크 탱크(TK)로 복귀시킨다. 잉크 탱크(TK)는 탱크내의 액면(液面)을 소정의 높이로 유지하는 액면 안정화부(LV)를 구비한다. 이 액면 안정화부(LV)는 탱크 외부로부터 공기를 취입하는 공기 취입구(AI) 및 잉크 탱크(TK)의 측벽 상부에 개구로 형성된 오버플로우(overflow) 개구(FO)로 구성된다. 잉크가 잉크 카세트(CT)로부터 공급되어, 잉크 액면이 오버플로우 개구(FO) 이상으로 높아진 경우, 잉크는 잉크 액면이 오버플로우 개구(FO) 미만의 높이가 될 때까지 오버플로우 개구(FO)로부터 배출된다. 따라서, 수직 방향에 있어서 잉크 탱크내의 잉크의 액면과 노즐 유닛(20) 사이의 거리를 일정한 범위로 제한한다.
잉크젯 프린터의 제어 유닛(CNT)은 프린트를 하지 않을 때에 모든 잉크젯 노즐(23)로부터 잉크를 강제적으로 분사함으로써 이들 잉크젯 노즐(23)의 막힘 방지나 가스 배출 등의 유지 관리 처리를 행하도록 구성된다. 이 유지 관리 처리에서는 다시 분사 잉크가 잉크젯 노즐(23)의 선단으로 구성되는 프린트 헤드(20U)의 선단면(24)에 부착한 종이 가루를 제거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이 유지 관리 처리에서는 워싱 보드(30;washing board)가 회전 운동 기구(46)에 의해 프린트 헤드(20U)에 대향하도록 프린트 헤드(20U)와 회전 드럼(10) 사이에 삽입된다. 프린트 헤드(20U)는 워싱 보드(30)의 삽입을 방해하지 않도록 전술한 승강기(90)에 의해일단 상한 위치까지 상승되며, 삽입 후에 세정 위치로 설정된다.
워싱 보드(3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4개의 노즐 유닛[20(C), 20(Y), 20(M), 20(B)]에 대하여 공통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워싱 보드(30)는 이들 잉크 노즐 유닛[20(C), 20(Y), 20(M), 20(B)]에 대응하여 4열의 홈(GR1-GR4)을 구비한다. 이들 홈(GR1-GR4)은 잉크젯 노즐(23)의 배열에 대응하여 회전 드럼(10)의 축방향으로 신장하고, 서로 잉크 저지 볼록부(32)에 의해 구획된다. 이들 홈(GR1-GR4)은 노즐 유닛[20(C), 20(Y), 20(M), 20(B)]과 협력하여 4개의 잉크 유동 생성실을 구성하기 위해 이용된다. 즉, 이들 잉크 유동 생성실은 홈(GR1-GR4)의 바닥이 되는 잉크 받이판(31), 잉크 노즐 유닛[20(C), 20(Y), 20(M), 20(B)]의 선단면(24) 및 잉크 저지 볼록부(32)로 둘러싸인 공간으로 구성된다. 각 잉크 받이판(31)은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드럼(10)의 축방향(X)에 있어서 선단면(24)의 양측의 비대향 위치(31E)에 한 쌍의 배출구(35)를 구비하며, 또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잉크 회수실(51)이 이들 배출구(35)를 통해 잉크 유동 생성실에 접속된다. 잉크 회수실(51)은 모든 노즐 유닛[20(C), 20(Y), 20(M), 20(B)]으로부터 분사되는 잉크를 회수하기 위해서 공통으로 이용된다.
워싱 보드(30)는 또 선단면(24)과 잉크 받이판(31)과의 간격(G)을 규정하는 위치 결정 부재로서 잉크 받이판(31)에 기립된 복수의 볼록부(34)를 구비한다. 승강기(90)는 연결판(21)의 하단면이 위치 결정 부재(34)의 상단면에 접촉하였을 때 프린트 헤드(20U)의 하강을 정지시킨다.
여기에서, 간격(G)은 0.1 내지 0.5mm의 범위이고, 바람직하게는 0.3mm로 선정된다.
잉크젯 프린터는 또 잉크 회수실(51)에 모아둔 잉크 및 잉크 탱크(TK)로부터 넘치는 잉크를 폐잉크로서 배출하는 잉크 배출부(50)를 구비한다. 잉크 배출부(50)는 배출관(52), 기체 액체 분리 탱크(53), 흡인 펌프(54), 배출관(55), 배출 펌프(57), 폐잉크관(58), 오버플로우 관(61), 오버플로우 탱크(62), 폐잉크 카세트(70)를 포함한다. 잉크 회수실(51)은 배출관(52)에 의해 기체 액체 분리 탱크(53)에 접속된다. 기체 액체 분리 탱크(53)는 배출관(55)에 의해 흡인 펌프(54)에 접속되는 동시에 폐잉크관(58)에 의해 배출 펌프(57)에 접속된다. 잉크 탱크(TK)의 오버플로우 개구(FO)는 오버플로우 관(61)에 의해 오버플로우 탱크(62)에 접속되고, 또 오버플로우 탱크(62)는 오버플로우 관(61)에 의해 배출 펌프(57)에 접속된다. 배출 펌프(57)는 또한 상기 폐잉크관(58)에 의해 폐잉크 카세트(70)에 접속된다. 잉크 회수실(51)내의 잉크는 흡인 펌프(54)의 흡인력에 의해 기체 액체 분리 탱크(53)로 배출되고, 또 배출 펌프(57)의 흡인력에 의해 폐잉크 카세트(70)로 배출된다. 또한, 잉크 탱크(TK)로부터 넘쳐 오버플로우 탱크(62)에 일시적으로 모여진 잉크는 배출 펌프(57)의 흡인력에 의해 폐잉크 카세트(70)로 배출된다. 폐잉크 카세트(70)는 정기적으로 폐잉크를 폐기하도록 착탈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잉크 공급관(41), 잉크 복귀관(47), 배출관(55), 폐잉크관(58), 오버플로우 관(61)은 유연한 합성 수지제의 탄성 튜브로 구성된다. 공급 펌프(42), 흡인 펌프(48), 흡인 펌프(54), 배출 펌프(57)는 각각 원 궤적상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4개의 압박 롤러(42R, 48R, 54R, 57R)를 구비한 로터리(rotary)형으로, 이들 압박 롤러(42R, 48R, 54R, 57R)가 탄성 튜브를 압박하면서 회전 운동함으로써 탄성 튜브내에 잉크의 흐름을 발생시킨다. 이 잉크의 흐름은 압박 롤러(42R, 48R, 54R, 57R)의 회전 운동을 정지시키면 멈춘다. 즉, 이들 펌프(42, 48, 54, 57)는 압박 롤러의 정지에 의해 탄성 튜브를 폐색 상태로 설정하고, 압박 롤러의 회전 운동에 의해 탄성 튜브를 개방 상태로 하는 밸브 기능을 갖는다. 공급 펌프(42) 및 흡인 펌프(48)는 노즐 유닛으로부터 잉크를 분사할 때에 잉크 탱크(TK) 및 노즐 유닛(20) 사이에서 잉크를 순환시키기 위해 동시에 구동된다. 흡인 펌프(54)는 잉크 회수실(51)로부터 기체 액체 분리 탱크(53)에 효율적으로 잉크를 흡인하기 위해서 배출 펌프(57)를 정지시킨 상태로 구동된다. 배출 펌프(57)는 흡인 펌프(54)에 의한 잉크 흡인 후에 구동된다.
폐잉크 카세트(70)는 잉크 흡수성이 풍부한 흡수체(예컨대, 스펀지)를 포함하고, 이 흡수체에 잉크를 흡수시킴으로써 폐잉크를 회수한다. 이 폐잉크 카세트(70)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폐잉크 카세트 홀더(75)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폐잉크 카세트 홀더(75)의 측부(75B)는 프린터 본체(5)측의 지지 부재(6)에 힌지부(7)를 통해 회전 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폐잉크 카세트(70)를 도 7에 도시한 개구부(75A)의 내측에 수용한다.
폐잉크 카세트 홀더(75)는 그 측부(75B)로부터 돌출한 부속실(75C) 및 폐잉크관(58)에 접속되어 부속실(75)내에 배치되는 접속부(76)를 구비한다.접속부(76)는 폐잉크 카세트(70)의 장착시에 폐잉크 카세트(70)의 연결부(71)에 연결된다. 폐잉크 카세트 홀더(75)의 주변에는 잉크 흡수체(77A), 잉크 카세트 센서(78) 및 잉크 충만 센서(79)가 배치된다. 폐잉크 카세트(70)가 폐잉크 카세트 홀더(75)에 대하여 착탈되는 경우에 새어 나오는 잉크를 흡수하기 위해서 폐잉크 카세트(70)의 연결부(71)와 폐잉크 카세트 홀더(75) 사이에 잉크 흡수체(77A)가 배치된다. 폐잉크 카세트(70)는 폐잉크 카세트(70)의 이탈에 연동하여 연결부(71)를 폐쇄하는 밸브(도시 생략)를 구비하며, 폐잉크를 폐잉크 카세트(70)내에 유지한다. 폐잉크 카세트(70)가 폐잉크 카세트 홀더(75)에 장착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해 지지 부재(6)에 잉크 카세트 센서(78)는 장착된다. 폐잉크 카세트(70)가 잉크로 가득찬 것을 검출하기 위해 지지 부재(6)에 잉크 충만 센서(79)가 장착된다. 폐잉크 카세트(70)의 장착이 잉크 카세트 센서(78)에 의해 검출되면 배출 펌프(57)가 구동된다. 잉크 충만 센서(79)가 폐잉크 카세트(70)가 잉크로 충만된 것을 검출한 경우, 배출 펌프(57)의 구동이 정지되는 동시에, 충만 정보가 도시하지 않은 디스플레이(display)에 의해 사용자에게 고지된다. 또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폐잉크 카세트 홀더(75)의 내측에서 폐잉크 카세트(70)의 연결부(71)와 잉크 충만 센서(79) 사이에 잉크 흡수체(77B)가 배치되어, 잉크 오염에 의해 생기는 잉크 충만 센서(79)의 기능 저하를 방지한다.
폐잉크 카세트(70)가 폐잉크 카세트 홀더(75)에 삽입되고, 폐잉크관(58)측의 접속부(76)와 폐잉크 카세트(70)의 연결부(71)가 접속되면, 카세트(70)의 장착이 잉크 카세트 센서(78)에 의해서 검출된다. 배출 펌프(57)는 이 검출에 따라서 구동되어, 기체 액체 분리 탱크(53) 및 오버플로우 탱크(62)로부터 폐잉크 카세트(73)로 폐잉크를 배출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잉크젯 프린터는 또한 워싱 보드(30)에 장착되어 프린트 헤드(20U)의 세정 후에 워싱 보드(30)의 잉크 받이판(31)에 남은 잉크를 제거하는 잉크 제거부(80)를 구비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잉크 제거부(80)가 프린트 헤드(20U)의 선단면(24)에 남은 잉크 및 종이 가루를 제거하기 위해서도 이용된다. 잉크 제거부(80)는 제1 블레이드(81), 제2 블레이드(89), 블레이드 지지체(82), 제1 가이드 로드(83), 제2 가이드 로드(84) 및 블레이드 구동부(85)를 구비한다. 가이드 로드(83, 84)는 회전 드럼(10)의 축방향(X)으로 뻗도록 워싱 보드(30)의 양단부에 장착된다. 블레이드 지지체(82)는 가이드 로드(83, 84)에 의해 미끄럼 가능하게 지지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블레이드(81)는 잉크 받이판(31)의 표면에 접촉하도록 블레이드 지지체(82)의 저면으로부터 돌출하는 탄성 박판으로 구성되고, 제2 블레이드(89)는 선단면(24)에 접촉하도록 블레이드 지지체(82)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하는 탄성 박판으로 구성된다. 블레이드 구동부(85)는 블레이드 지지체(82)를 가이드 로드(83, 84)를 따라 왕복시키는 지지체 이동 기구(86) 및 이 이동 기구를 구동시키는 구동 모터(87)를 구비한다. 지지체 이동 기구(86)는 가이드 로드(84)의 양단 부근에 배치되는 한 쌍의 풀리(86A, 86B), 이들 풀리(86A, 86B) 사이에 팽팽하게 설치되어 일부가 블레이드 지지체(82)에 연결되는 순환 벨트(86C)를 구비한다. 풀리(86B)는 직렬의 웜 휠 기어(worm wheel gear)(G1, G2)를 통해 구동 모터(87)에 접속된다. 이 구성에 의해, 블레이드 지지체(82)는 구동모터(87)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 드럼(10)의 축방향(X)으로 왕복한다. 여기에서, 제1 블레이드(81)는 잉크 받이판(31)에 접촉하여 미끄러져, 이 잉크 받이판(31)에 남은 잉크를 제거한다. 한편, 제2 블레이드(89)는 프린트 헤드(20U)의 선단면(24)에 접촉하여 미끄러져, 선단면(24)에 남은 잉크 및 종이 가루를 제거한다.
전술한 실시예의 잉크젯 프린터는 프린트를 하지 않을 때에 잉크젯 노즐(23)의 막힘 방지 및 가스 배출을 위해 잉크를 분사하는 유지 관리 처리를 행한다. 이 유지 관리 처리에서는 워싱 보드(30)가 프린트 헤드(20U)에 대향하도록 프린트 헤드(20U)와 회전 드럼(10) 사이의 세정 위치에 설정되고, 공급 펌프(42) 및 흡인 펌프(48)가 프린트시와 동일하게 노즐 유닛[20(C), 20(Y), 20(M), 20(B)]의 잉크실(22)의 압력을 높이도록 구동된다. 이것에 의해, 잉크가 이들 노즐 유닛[20(C), 20(Y), 20(M), 20(B)]의 모든 잉크젯 노즐(23)로부터 분사되면, 막힘 방지 및 가스 배출 뿐만 아니라, 선단면(24)에 부착된 종이 가루가 노즐 유닛[20(C), 20(Y), 20(M), 20(B)]의 선단면(24)과 워싱 보드(30)의 홈(GR1-GR4)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발생하는 잉크의 유동에 따라 제거된다.
잉크 배출부(50)는 잉크의 분사 중 또는 분사 후에 구동되고, 잉크 받이판(31)의 배출구(35)를 통해 잉크 회수실(51)에 모아 두는 잉크를 폐잉크로서 배출한다. 폐잉크는 흡인 펌프(54)의 구동에 의해 잉크 회수실(51)로부터 공기 가스와 함께 배출관(52)을 통해서 기체 액체 분리 탱크(53)로 이동되고, 이 기체 액체 분리 탱크(53)에서 기체와 액체로 분리된다. 즉, 폐잉크는 탱크(53)의 저부에 모이고, 공기 가스는 폐잉크의 상측에 모인다. 공기 가스는 흡인 펌프(54)에 의해다시 배출관(55)을 통해 대기로 방출된다. 배출 펌프(57)가 흡인 펌프(54)의 구동 후에 구동되면, 폐잉크는 폐잉크관(58)을 통해 흡인되어 폐잉크 카세트(70)에 배출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잉크 제거부(80)의 제1 블레이드(81)가 프린트 헤드(20U)의 세정 후에 워싱 보드(30)의 잉크 받이판(31)에 남은 잉크를 제거한다. 따라서, 프린트에 앞서 워싱 보드(30)가 세정 위치로부터 이동할 때에 잉크 받이판(31)으로부터 잉크가 비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블레이드(89)가 프린트 헤드(20U)의 세정 후에 제1 블레이드(81)와 함께 구동된다. 따라서, 프린트 헤드(20U)의 선단면(24)에 남은 잉크를 확실하게 또한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잉크 배출부(50)는 폐잉크를 워싱 보드(30)로부터 착탈 가능한 폐잉크 카세트(70)에 배출한다. 이것에 의해, 폐잉크의 폐기 간격을 길게 할 수 있다. 폐잉크 카세트(70)는 흡수체에 스며든 상태로 폐잉크를 유지하고, 외부 누설 없이 확실하게 대량의 폐잉크를 회수한다. 따라서, 프린터 본체(1)의 내부 및 용지(P)가 잉크로 더러워지는 것을 방지하고, 이 잉크 오염에 따른 청소 작업을 불필요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이것은 프린터 본체(1)내의 레이아웃(layout)의 제약을 완화하여 프린터의 소형 경량화 및 저비용화를 촉진한다.
또한, 잉크 배출부(50)는 또 잉크 탱크(TK)로부터 넘치는 잉크에 대해서도 폐잉크 카세트(70)로 배출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잉크 공급의 안정화도 도모할 수 있다.
배출 펌프(57)는 흡인 펌프(54)에 의한 잉크 흡인 중에 구동되지 않도록 제어되기 때문에, 잉크 회수실(51)로부터 폐잉크를 효율적으로 흡인할 수 있다.
또한, 폐잉크 카세트(70)가 폐잉크 카세트 홀더(75)에 대하여 분리 및 장착됨에 따라서 연결부(71) 및 접속부(76)를 통해 이 잉크 카세트(70)와 폐잉크관(58)이 접속되기 때문에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착탈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또, 폐잉크 카세트 홀더(75)는 힌지부(7)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 운동 가능하기 때문에, 개구부(75A)를 임의의 방향으로 하여 폐잉크 카세트(70)를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폐잉크 카세트(70)의 취급이 보다 용이해진다.
또한, 액면 안정화부(LV)는 잉크 탱크(TK)내의 잉크를 넘치게 하여 잉크 액면을 일정하게 유지하므로, 잉크 탱크(TK)의 수평 면적을 크게하여 잉크 액면의 변동을 억제할 필요는 없으며 설치 공간에 맞추어 소형화된다. 또, 잉크 공급관(41)을 통해 잉크 탱크(TK)측으로부터 각 잉크젯 노즐(23)의 분사구에 작용하는 잉크 압력의 변동이 억제되므로, 잉크젯 노즐(23)의 선단으로부터 분사되는 잉크 방울의 형상 및 크기를 균일하게 할 수 있어 프린트 품질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펌프(42, 48, 54, 57)는 압박 롤러의 정지에 의해 탄성 튜브를 폐색 상태로 설정하고, 압박 롤러의 회전 운동에 의해 탄성 튜브를 개방 상태로 하는 밸브 기능을 구비한 로터리형이기 때문에, 상태 전환을 신속히 행할 수 있는 동시에 잉크 유량을 정확히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펌프(42, 48, 54, 57)는 서로 동일한 구조로서, 탄성 튜브가 간단히 설치되기 때문에 잉크젯 프린터의 조립 시간이 단축되며,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 도 2에 도시한 잉크 처리 시스템의 변형예를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 도 2와 동일한 부분은 동일 참조 부호로 나타내며,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변형예에서는 4개의 잉크 공급부(40)는 제1 모듈(module)로서 일체적으로 구성되고, 잉크 배출부(50)는 제2 모듈로서 일체적으로 구성되며, 또 이들 제1 및 제2 모듈은 착탈 가능하게 잉크젯 프린터에 내장된다. 각 잉크 공급부(40)의 잉크 공급관(41)의 일단 및 잉크 복귀관(47)의 일단은 잉크 누설을 방지하도록 착탈시에 자동적으로 개폐되는 캡(cap) 구조를 구비하며, 제1 모듈이 잉크젯 프린터에 장착되었을 때에 잉크실(22)을 통해 잉크를 확실하게 순환시키도록 대응 노즐 유닛(20)에 접속된다.
또한, 각 잉크 공급부(40)는 임팩트 퍼지(impact purge) 기구(27), 밸브(28, 29) 및 공기 배출부(AR)를 구비한다. 임팩트 퍼지 기구(27)는 잉크 조정부(43)와 노즐 유닛(20) 사이의 잉크 공급관(41)에 삽입되고, 밸브(28, 29)는 이 임팩트 퍼지 기구(27)의 입구 및 출구에 인접하여 잉크 공급관(41)에 삽입된다. 임팩트 퍼지 기구(27)는 밸브(28, 29)의 개폐에 의해 세정용의 압력으로 잉크를 노즐 유닛(20)에 공급한다. 공기 배출부(AR)는 세정 후에 잉크 조정부(43)의 필터내의 공기를 배출하기 위해서 이용되고, 잉크 조정부(43)의 필터와 잉크 탱크의 오버플로우 개구(FO) 사이에 접속되는 공기 배출관(AT) 및 이 공기 배출관(AT)에 삽입되는 공기 배출 밸브(AV)를 구비한다. 공기 배출 밸브(AV)는 밸브(28)를 폐쇄한 상태에서 개방되어, 필터 내의 공기를 잉크와 함께 공기 배출관(AT)을 통해 잉크 탱크(TK)로 보낸다. 강제적으로 잉크를 공급하면서 공기 배출을 행할 필요가 있는경우에는 공급 펌프(42)가 공기 배출 밸브(AV)를 개방한 상태에서 구동된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워싱 보드(30)는 종이 가루의 제거를 행하지 않은 경우에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즐 유닛[20(C), 20(Y), 20(M), 20(B)]의 모든 잉크젯 노즐(23)로부터 분사되는 잉크를 회수하기만 하는 잉크 받이(30A)로 구성되어도 좋다.
전술한 잉크 공급부(40)에서는 잉크 조정부(43)의 히터로 가열하면서 노즐 유닛(20)을 통해 잉크를 순환시키는 워밍업(warm up)을 행하는 경우에 공급 펌프(42) 및 흡인 펌프(48)가 함께 구동된다. 프린트 또는 유지 관리를 위해 노즐 유닛(20)으로부터 잉크를 분사하는 경우에는 공급 펌프(42)가 흡인 펌프(48)를 정지시킨 상태로 연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구동된다.
한편, 잉크 배출부(50)에서는 제1 배출 펌프(57A)가 기체 액체 분리 탱크(53)와 착탈 가능한 폐잉크 카세트(70) 사이에 접속된 폐잉크관(58)에 삽입되고, 제2 배출 펌프(57B)가 제1 배출 펌프(57A)와 폐잉크 카세트(70) 사이에 위치하는 폐잉크관(58)으로 구성되는 총 배출관(58')과 오버플로우 탱크(62) 사이에 접속된 오버플로우 관(61)에 삽입된다. 배출관(55)은 총 배출관(58')과 기체 액체 분리 탱크(53) 사이에 접속되고, 흡인 펌프(54)는 제3 배출 펌프로서 이 배출관(55)에 삽입된다. 배출 펌프(57A, 57B, 54)는 압박 롤러의 정지에 의해 탄성 튜브를 폐색 상태로 설정하고, 압박 롤러의 회전 운동에 의해 탄성 튜브를 개방 상태로 하는 밸브 기능을 구비한 로터리형이다. 이 때문에, 예컨대 오버플로우 탱크(62)를 도 8에 2점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폐잉크 카세트(70)보다도 낮은 위치에 배치하여도 잉크를 강제적으로 이 폐잉크 카세트(70)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기체 액체 분리 탱크(53)와 오버플로우 탱크(62)의 수직 방향의 위치 관계에 대해서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제1 배출 펌프(57A) 및 제2 배출 펌프(57B)가 정지되는 폐색 상태이면, 기체 액체 분리 탱크(53)로부터 폐잉크 카세트(70)로 향하는 잉크의 흐름이 저지되는 동시에, 오버플로우 탱크(62)로부터 폐잉크 카세트로 향하는 잉크의 흐름이 저지된다. 배출 펌프(57A)가 구동되면, 잉크가 기체 액체 분리 탱크(53)로부터 폐잉크 카세트(70)로 강제 배출된다. 배출 펌프(57B)가 구동되면, 잉크가 오버플로우 탱크(62)로부터 폐잉크 카세트(70)로 강제 배출된다. 즉, 폐잉크는 밀폐 상태로 폐잉크 카세트(70)로 회수되어, 잉크 오염을 완전히 방지할 수 있다. 폐잉크 카세트(70)는 프린트중이어도 교환할 수 있다. 또한, 제3 배출 펌프(54)는 공기 가스에 혼입한 안개형의 폐잉크를 폐잉크 카세트(70)로 강제적으로 배출하여, 이것이 주위에 비산하는 것도 방지한다.
또한, 제1 배출 펌프(57A)와 제2 배출 펌프(57B)가 앞의 실시예와 같이 단일의 펌프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프린트를 할 때와 프린트를 하지 않을 때 모두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레이아웃의 제약 완화 및 비용 감소에 효과적이다. 잉크 배출부(50)에서는 폐잉크 카세트(70)가 정위치에 설정되었는지 여부가 센서(79)에 의하여 단계 ST10에서 체크된다. 여기에서 폐잉크 카세트(70)가 정위치에 있으면, 단계 ST11에서 제1 배출 펌프(57A) 및 제2 배출 펌프(57B)의 배출 밸브가 개방된다. 또, 잉크 레벨이 기체 액체 분리 탱크(53)에서 소정 위치를 넘어 상승했는지를 레벨 센서(도시 생략)를 이용하여 단계 ST12에서 체크한다. 이 잉크 레벨이 기체 액체 분리 탱크(53)에서 소정 위치를 넘으면, 단계 ST13에서 제1 배출 펌프(57A)가 구동되고, 강제적으로 폐잉크를 기체 액체 분리 탱크(53)로부터 폐잉크 카세트(70)로 배출한다. 만일 잉크 레벨이 기체 액체 분리 탱크(53)에서 소정 위치를 넘지 않으면, 단계 ST14에서 잉크 레벨이 오버플로우 탱크(62)에서 소정 위치를 넘어서 상승했는지를 레벨 센서(도시 생략)를 이용하여 체크한다. 이 잉크 레벨이 오버플로우 탱크(62)에서 소정 위치를 넘으면, 제2 배출 펌프(57B)가 구동되고, 강제적으로 넘치는 잉크를 오버플로우 탱크(62)로부터 폐잉크 카세트(70)로 배출한다. 또한, 폐잉크 카세트(70)가 정위치에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및 잉크 레벨이 오버플로우 탱크(62)에서 소정 위치를 넘지 않는 경우에는 제1 배출 펌프(57A) 및 제2 배출 펌프(57B)의 배출 밸브가 폐색된다. 제3 배출 펌프(54)는 단계 ST13 및 ST15에서 제1 및 제2 배출 펌프(57A, 57B)와 함께 구동되며, 기체 액체 분리 탱크(53)의 공기 가스에 혼입한 안개형의 폐잉크를 폐잉크 카세트(70)로 강제적으로 배출한다.
이 변형예에 의하면, 4개의 잉크 공급부(40)는 제1 모듈로서 일체적으로 구성되고, 잉크 배출부(50)는 제2 모듈로서 일체적으로 구성되며, 또 이들 제1 모듈 및 제2 모듈은 착탈 가능하게 잉크젯 프린터에 내장된다. 이 경우, 잉크젯 프린터의 구조가 간단화되어 저비용화 및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잉크 공급부(40) 또는 잉크 배출부(50)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 잉크 공급부(40) 및 잉크 배출부(50)의 구성 요소가 각각 독립적으로 레이아웃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그 고장원인의 발견이 용이하고, 또한 모듈의 교환에 의해 잉크젯 프린터의 이용을 재개할 수 있다.
또한, 폐잉크 카세트(70)가 유지 관리로 발생하는 폐잉크를 수용할 뿐만 아니라 프린트 중에 발생하는 넘치는 잉크를 수용하기 위해서도 이용되고, 이 폐잉크 카세트(70)가 정위치에 설정된 것을 조건으로 넘치는 잉크가 이 폐잉크 카세트(70)로 배출된다. 따라서, 넘치는 잉크에 의한 주위의 오염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오버플로우 탱크(62)가 폐잉크 카세트(70)와 잉크 탱크(TK)를 연결하는 배관에 삽입되어 일시적으로 넘치는 잉크를 모아둘 수 있다. 따라서, 폐잉크 카세트(70)의 장착을 잊거나 또는 불완전한 장착에 의해 넘친 잉크의 배출이 허가되지 않은 경우에도 넘친 잉크의 유출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배출 펌프(57B)는 밸브 기능을 구비하기 때문에 폐색 상태에 있어서 넘친 잉크가 폐잉크 카세트(70)로 자연 유동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더욱이, 잉크의 유동 및 유동 저지를 신속히 전환할 수 있다.
또한, 배출관(55)은 기체 액체 분리 탱크(53)로 공기 가스에 혼입한 안개형의 폐잉크를 폐잉크 카세트(70)에 배출하기 때문에 이 안개형의 폐잉크에 의한 주위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제3 배출 펌프(54)는 이 안개형의 폐잉크를 강제적으로 흡인하여 배출하기 때문에 보다 확실하게 안개형의 폐잉크에 의한 주위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주위를 더럽히지 않고서 폐잉크를 용이하고또한 확실하게 회수할 수 있는 잉크젯 프린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0)

  1. 프린트 매체를 유지하는 매체 캐리어(10)와,
    상기 매체 캐리어(10)의 상방에 설치되어 잉크를 프린트 매체로 분사함으로써 화상을 프린트하는 프린트 헤드(20U)와,
    프린트를 하지 않을 때에 상기 프린트 헤드(20U)에 대향하여, 세정을 위하여 상기 프린트 헤드(20U)로부터 분사되는 잉크를 받는 잉크 받이(30; 30A)와,
    상기 잉크 받이(30; 30A)로부터 잉크를 회수하는 잉크 회수부(50, 80)를 구비하고,
    상기 잉크 회수부(50, 80)는 잉크의 분사 후에 회수되지 않고 상기 잉크 받이(30; 30A)에 남은 잉크를 제거하는 블레이드부(80)를 포함하며, 이 블레이드부는 상기 잉크 받이(30; 30A)에 남은 잉크를 상기 잉크 받이(30; 30A)의 특정 부분에 형성되는 배출구(35)로 인도하기 위하여 상기 잉크 받이(30; 30A) 위를 이동하는 제1 블레이드(8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 회수부(50, 80)는 또한 착탈 가능한 잉크 회수 용기(70)와, 상기 잉크 받이(30; 30A)의 배출구(35)로부터 상기 잉크 회수 용기(70)로 잉크를 배출하는 폐잉크 배출부(52, 53, 54, 55, 57, 58, 75, 79; 57A)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부(80)는 또한 상기 제1 블레이드(81)와 함께 이동하여 상기 프린트 헤드(20U)의 선단면(24)으로부터 부착물을 제거하는 제2 블레이드(8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폐잉크 배출부(52, 53, 54, 55, 57, 58, 75, 79; 57A)는 상기 잉크 받이(30; 30A)의 배출구(35) 및 상기 잉크 회수 용기(70) 사이에 접속되는 배출관(52, 58)과, 이 배출관(52, 58)을 통해 배출되는 잉크를 일시적으로 모아 두는 폐잉크 탱크(5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폐잉크 배출부(52, 53, 54, 55, 57, 58, 75, 79; 57A)는 또한 상기 폐잉크 탱크(53)로부터 잉크를 배출하기 위해서 상기 폐잉크 탱크(53) 및 상기 잉크 회수 용기(70) 사이에서 상기 배출관(52, 58)에 삽입되는 제1 펌프(57; 57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폐잉크 배출부(52, 53, 54, 55, 57, 58, 75, 79; 57A)는 또한 상기 잉크 받이(30; 30A)로부터 잉크를 흡인하기 위해서 상기 폐잉크 탱크(53)에 접속되는 제2 펌프(5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펌프(54)는 상기 제1 펌프(57; 57A)가 동작하지 않는 상태에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폐잉크 배출부(52, 53, 54, 55, 57, 58, 75, 79; 57A)는 또한 상기 잉크 회수 용기(70)를 수용하는 용기 홀더(75)와, 상기 잉크 회수 용기(70)가 상기 용기 홀더(75)에 장착된 장착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기(79)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펌프(57; 57A)는 잉크의 흐름을 저지하는 밸브로서 기능을 하며, 이 잉크의 흐름을 허용하기 위하여 상기 검출기(79)에 의해 검출된 상기 장착 상태에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폐잉크 배출부(52, 53, 54, 55, 57, 58, 75, 79; 57A)는 또한 상기 폐잉크 탱크(53) 내의 공기 가스에 혼입한 안개형의 잉크를 상기 잉크 회수 용기(70)로 상기 제2 펌프(54)를 거쳐 배출하도록 접속되는 배출관(5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폐잉크 배출부(52, 53, 54, 55, 57, 58, 75, 79; 57A)는 또한 상기 잉크 회수 용기(70)를 수용하는 용기 홀더(75)와, 상기 잉크 회수 용기(70)가 상기 용기 홀더(75)에 장착된 장착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기(79)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펌프(57; 57A, 54) 각각은 잉크의 흐름을 저지하는 밸브로서 기능을 하며, 이 잉크의 흐름을 허용하기 위하여 상기 검출기(79)에 의해서 검출된 상기 장착 상태에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
  11. 제2항에 있어서, 잉크젯 프린터는 잉크를 모아 두는 공급 잉크 탱크(TK)를 포함하고, 이 공급 잉크 탱크(TK)로부터 상기 프린트 헤드(20U)로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 공급부를 또한 구비하며, 상기 잉크 회수부(50, 80)는 또한 상기 공급 잉크 탱크(TK)로부터 넘친 잉크를 상기 잉크 회수 용기(70)로 배출하는 오버플로우 잉크 배출부(61, 62, 57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 공급부는 또한 상기 공급 잉크 탱크(TK)의 잉크 액면이 소정의 높이를 초과한 경우에 넘치게 하는 액면 안정화부(LV)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
  13. 제5항에 있어서, 잉크젯 프린터는 또한 잉크를 모아 두는 공급 잉크 탱크(TK)를 포함하고, 이 공급 잉크 탱크(TK)로부터 상기 프린트 헤드(20U)로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 공급부(40)를 구비하며, 상기 잉크 회수부(50, 80)는 또한 상기 공급 잉크 탱크(TK)로부터 넘친 잉크를 상기 잉크 회수 용기(70)로 배출하는 오버플로우 잉크 배출부(61, 62, 57B)를 포함하며, 이 오버플로우 잉크 배출부(61, 62, 57B)는 상기 공급 잉크 탱크(TK)와 상기 잉크 회수 용기(70) 사이에 접속되는 오버플로우 관(61)과, 이 오버플로우 관(61)을 통해 배출되는 잉크를 일시적으로 모아 두는 오버플로우 탱크(62)와, 상기 오버플로우 탱크(62)로부터 잉크를 배출하기 위해서 상기 오버플로우 탱크(62)와 상기 잉크 회수 용기(70) 사이에서 상기 오버플로우 관(61)에 삽입되는 제2 펌프(57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폐잉크 배출부(52, 53, 54, 55, 57, 58, 75, 79; 57A)는 또한 상기 잉크 회수 용기(70)를 수용하는 용기 홀더(75)와, 상기 잉크 회수 용기(70)가 상기 용기 홀더(75)에 장착된 장착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기(79)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펌프(57; 57A, 57B) 각각은 잉크의 흐름을 저지하는 밸브로서 기능을 하며, 이 잉크의 흐름을 허용하기 위하여 상기 검출기(79)에 의해 검출된 상기 장착 상태에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펌프(57; 57A, 57B)는 일체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젯 프린터는 또한 잉크를 모아 두는 공급 잉크 탱크(TK)를 포함하고, 이 공급 잉크 탱크(TK)로부터 상기 프린트 헤드(20U)로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 공급부(40)를 구비하며, 상기 잉크 회수부(50, 80)는 또한 상기 공급 잉크 탱크(TK)로부터 넘친 잉크를 상기 잉크 회수 용기(70)로 배출하는 오버플로우 잉크 배출부(61, 62, 57B)를 포함하며, 상기 오버플로우 잉크 배출부(61, 62, 57B)는 상기 공급 잉크 탱크(TK)와 상기 잉크 회수 용기(70) 사이에 접속되는 오버플로우 관(61)과, 이 오버플로우 관(61)을 통해 배출되는 잉크를 일시적으로 모아 두는 오버플로우 탱크(62)와, 상기 오버플로우 탱크(62)로부터 잉크를 배출하기 위해서 상기 오버플로우 탱크(62)와 상기 잉크 회수 용기(70) 사이에서 상기 배출관(61)에 삽입되는 제3 펌프(57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폐잉크 배출부(52, 53, 54, 55, 57, 58, 75, 79; 57A)는 또한 상기 잉크 회수 용기(70)를 수용하는 용기 홀더(75)와, 상기 잉크 회수 용기(70)가 상기 용기 홀더(75)에 장착된 장착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기(79)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제2 및 제3 펌프(57; 57A, 57B, 54) 각각은 잉크의 흐름을 저지하는 밸브로서 기능을 하며, 이 잉크의 흐름을 허용하기 위하여 상기 검출기(79)에 의해 검출된 상기 장착 상태에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
  1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젯 프린터는 또한 잉크를 모아 두는 공급 잉크 탱크(TK)를 포함하고, 이 공급 잉크 탱크(TK)로부터 상기 프린트 헤드(20U)에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 공급부(40)를 구비하며, 상기 잉크 회수부(50, 80)는 또한 상기 공급 잉크 탱크(TK)로부터 넘친 잉크를 상기 잉크 회수 용기(70)로 배출하는 오버플로우 잉크 배출부(61, 62, 57B)를 포함하고, 상기 오버플로우 잉크 배출부(61, 62, 57B)는 상기 공급 잉크 탱크(TK)와 상기 잉크 회수 용기(70) 사이에 접속되는 오버플로우 관(61)과, 이 오버플로우 관(61)을 통해 배출되는 잉크를 일시적으로 모아 두는 오버플로우 탱크(62)와, 상기 오버플로우 탱크(62)로부터 잉크를 배출하기 위해서 상기 오버플로우 탱크(62)와 상기 잉크 회수 용기(70) 사이에서 상기 오버플로우 관(61)에 삽입되는 펌프(57B)를 포함하며, 상기 오버플로우 탱크(62)는 상기 잉크 회수 용기(70)보다도 낮은 위치에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 공급부(40)는 착탈 가능한 제1 모듈로서 구성되고, 상기 폐잉크 배출부(52, 53, 54, 55, 57, 58, 75, 79; 57A) 및 상기 오버플로우 잉크 배출부(61, 62, 57B)는 착탈 가능한 제2 모듈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
  20. 프린트 매체를 유지하는 매체 캐리어(10)와, 이 매체 캐리어(10)의 상방에 설치되어 잉크를 프린트 매체로 분사함으로써 화상을 프린트하는 프린트 헤드(20U)와, 세정을 위하여 상기 프린트 헤드(20U)로부터 분사되는 잉크를 받는 잉크 받이(30; 30A)와, 이 잉크 받이(30; 30A)로부터 잉크를 회수하는 잉크 회수부(50, 80)와, 상기 잉크 받이의 특정 부분을 형성하는 배출구(35)를 구비한 잉크 젯트 프린터의 보수(保守) 방법으로서,
    프린트를 하지 않을 때에 상기 프린트 헤드(11)와 상기 매체 캐리어(10)의 사이에 잉크 받이(30; 30A)를 삽입하는 단계와,
    잉크 분사 후에 회수되지 않고 상기 잉크 받이(30; 30A)에 남는 잉크를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잉크를 제거하는 단계는 남은 잉크를 상기 배출구(35)로유도하기 위하여 상기 잉크받이(30; 30A) 위에서 블레이드(81)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젯트 프린터 보수 방법.
KR1019980030796A 1997-07-30 1998-07-30 잉크젯프린터 KR1003148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423497A JPH1148498A (ja) 1997-07-30 1997-07-30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JP97-204234 1997-07-30
JP97-255713 1997-09-19
JP25571397A JPH1191130A (ja) 1997-09-19 1997-09-19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JP98-068353 1998-03-18
JP6835398A JP3597373B2 (ja) 1998-03-18 1998-03-18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4295A KR19990014295A (ko) 1999-02-25
KR100314876B1 true KR100314876B1 (ko) 2002-04-17

Family

ID=27299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0796A KR100314876B1 (ko) 1997-07-30 1998-07-30 잉크젯프린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312094B1 (ko)
EP (1) EP0894629B1 (ko)
KR (1) KR100314876B1 (ko)
DE (1) DE69830104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7354A (ja) * 2000-08-28 2002-03-05 Toshiba Tec Corp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DE10157054A1 (de) * 2001-11-21 2003-06-05 Hauni Maschinenbau Ag Reinigungseinrichtung für ein Leimauftragsorgan
US6840617B2 (en) * 2002-04-02 2005-01-11 Lexmark International, Inc. Mid-frame for an imaging apparatus
JP4504730B2 (ja) * 2004-04-27 2010-07-1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式記録装置及びインク充填方法
JP4543952B2 (ja) * 2004-11-17 2010-09-1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
US7770518B2 (en) * 2005-03-16 2010-08-1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Web apparatus for cleaning arcuate printhead arrangement
EP1782960B1 (en) * 2005-10-27 2008-07-16 Océ-Technologies B.V. Drive mechanism for a feed roller in a printer
JP2007326229A (ja) * 2006-06-06 2007-12-20 Brother Ind Ltd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装置
KR100789229B1 (ko) * 2006-11-09 2008-01-02 주식회사 디지아이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잔류잉크 저장장치
US20090002438A1 (en) * 2007-06-28 2009-01-0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eparator
JP5151285B2 (ja) * 2007-07-13 2013-02-27 株式会社リコー 廃液収容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4985355B2 (ja) * 2007-11-29 2012-07-2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液体吐出装置
JP4872894B2 (ja) * 2007-11-30 2012-02-0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液滴噴射装置
JP4877213B2 (ja) * 2007-11-30 2012-02-1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液滴噴射装置
JP2009202434A (ja) * 2008-02-28 2009-09-10 Seiko Epson Corp 流体噴射装置
US7883177B2 (en) * 2008-10-02 2011-02-08 Infoprint Solutions Company, Llc Tray insert for an ink tray of a production printing system
KR101427751B1 (ko) * 2008-10-12 2014-08-07 주식회사 잉크테크 잉크젯프린터용 모듈 및 이를 이용한 프린터
JP5627287B2 (ja) 2010-05-19 2014-11-19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リント装置
US8840230B2 (en) * 2012-06-04 2014-09-23 Xerox Corporation Ink waste tray configured with one way filter
TW201420366A (zh) * 2012-07-10 2014-06-01 Zamtec Ltd 組構爲用於有效率氣泡移出之印表機
US9994028B2 (en) * 2014-10-10 2018-06-12 Konica Minolta, Inc. Ink heating device and inkjet recording device
WO2016198083A1 (en) 2015-06-09 2016-12-1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pittoon system, printer and method for a printing mechanism
CN105346275A (zh) * 2015-11-04 2016-02-24 东华大学 一种数码印花机用清洁装置
US9517882B1 (en) * 2016-05-25 2016-12-13 Xerox Corporation Apparatus for collecting waste material in a large-scale ink-jet print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70420A (ja) * 1993-03-19 1994-09-27 Fuji Xerox Co Ltd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のメインテナンス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19012A (en) * 1983-06-10 1989-04-04 Canon Kabushiki Kaisha Ink-jet printer with cap means
US5266975A (en) * 1990-10-12 1993-11-30 Seiko Epson Corporation Ink jet print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reventing excessive ink purging
JP2873879B2 (ja) * 1990-11-28 1999-03-24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3181073B2 (ja) * 1991-07-01 2001-07-03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US5325111A (en) * 1992-12-28 1994-06-28 Xerox Corporation Removing waste ink from capping station
US5555461A (en) * 1994-01-03 1996-09-10 Xerox Corporation Self cleaning wiper blade for cleaning nozzle faces of ink jet printheads
JP3159878B2 (ja) * 1994-11-30 2001-04-2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H10138464A (ja) * 1996-11-13 1998-05-26 Brother Ind Ltd 印字装置
JPH10264469A (ja) * 1997-03-28 1998-10-06 Tec Corp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US5997128A (en) * 1997-05-30 1999-12-07 Hewlett-Packard Company Translational service station for imaging inkjet printhead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70420A (ja) * 1993-03-19 1994-09-27 Fuji Xerox Co Ltd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のメインテナンス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312094B1 (en) 2001-11-06
KR19990014295A (ko) 1999-02-25
EP0894629A1 (en) 1999-02-03
DE69830104D1 (de) 2005-06-16
EP0894629B1 (en) 2005-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4876B1 (ko) 잉크젯프린터
JP4887579B2 (ja) 印字装置
KR101365347B1 (ko) 고정형 프린트헤드 및 가동 진공 플래튼을 구비한 프린팅 시스템
EP0604942B1 (en) Ink jet recording apparatus
US899837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H04214360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該装置用インクタンクカートリッジ、および該カートリッジの製造方法
US6247782B1 (en) Ink jet recording device capable of reliably discharging air bubble during purging operations
US8277006B2 (en) Controllable maintenance operations for efficient ink use
US7101027B2 (en) Inkjet printer
EP0903240B1 (en) Ink-jet printer
KR100320357B1 (ko) 잉크젯프린터
JP4882172B2 (ja) 印字装置
US5907336A (en) Ink jet recording apparatus with ink discharge hole in nonprint region
US20190070858A1 (en) Inkjet printing apparatus
JP2004050472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H1148498A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JP3199466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3597377B2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の廃インク排出処理モジュール
JP3800806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KR200151937Y1 (ko) 잉크젯 프린트헤드 카트리지의 리사이클(Recycle) 장치
JPH0717058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H1120179A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JPH08295029A (ja) インクカートリッジ及び記録装置
JP2007261026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H0768797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3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