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4498B1 - 침전조의 스컴 및 슬러지 수집장치 - Google Patents

침전조의 스컴 및 슬러지 수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4498B1
KR100314498B1 KR1019990035265A KR19990035265A KR100314498B1 KR 100314498 B1 KR100314498 B1 KR 100314498B1 KR 1019990035265 A KR1019990035265 A KR 1019990035265A KR 19990035265 A KR19990035265 A KR 19990035265A KR 100314498 B1 KR100314498 B1 KR 1003144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um
sludge
hydraulic cylinder
collector
scr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5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83873A (ko
Inventor
진춘식
Original Assignee
이원균
대경기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균, 대경기산(주) filed Critical 이원균
Priority to KR10199900352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4498B1/ko
Publication of KR19990083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38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4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44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18Construction of the scrapers or the driving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183Construction of the scrapers or the driving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with multiple scrap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5Discharge mechanisms for the sedi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22Eliminating or preventing deposits, scale removal, scale preven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전조의 스컴(Scum) 및 슬러지(Sludge) 수집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압실린더(8)에 의해 작동대(24)가 전후진되면 주행판(23)이 주행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침전조(1)의 상부에 설치된 레일빔(6)을 따라 전후이동되고, 상기 주행판(23)의 하부에 홀더(21)에 의해 고정되는 스컴스크레이퍼(22)가 전환판(38,39)에서 전환되는 레버(36)와 웨이트(37)에 의해 수직 또는 수평상태로 변환되며, 상기 침전조(1)의 상부 일측에 내장되는 스컴수집관(42)이 유압실린더(35)에 의해 회전되면서 스컴수집구(42-1)를 통해 상기 스컴스크레이퍼(22)에 의해 수거된 수면의 스컴을 수집하여 외부로 배출하도록 설치되는 스컴수집기(4)와; 유압실린더(7)의 작동로드(10)에 의해 크랭크(12)가 회전되면서 작동대(13)가 전후진되면 다수의 스크레이퍼(15)가 상기 침전조(1)의 하부측벽에 고정된 레일(16)을 따라 전후이동되면서 상기 침전조(1)의 하부에 침전되어 있는 슬러지를 슬러지피트(2)로 밀어내도록 설치되는 슬러지수집기(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조의 스컴 및 슬러지 수집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침전조의 스컴 및 슬러지 수집장치{APPARATUS FOR COLLECTING SCUM AND SLUDGE OF SETTLING TANK}
본 발명은 침전조의 스컴(Scum) 및 슬러지(Sludge) 수집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침전조의 수면에 부유하는 스컴을 수집하고, 동시에 침전조의 바닥에 침전되어 있는 슬러지를 슬러지피트로 이송 처리하는 침전조의 스컴(Scum) 및 슬러지(Sludge) 수집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침전조의 스컴(Scum) 및 슬러지(Sludge) 수집장치는 도1에 도시한 바와같이 구동모터(60)가 작동되면 구동스프라켓(61)이 구동되면서 구동축(62)을 회전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구동체인(63)에 배열 설치된 다수의 스크레이퍼(64)가 이동되면서 침전조(1)의 수면에 떠있는 스컴과, 침전조의 바닥에 침전되어 있는 슬러지를 동시에 수집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침전조의 스컴(Scum) 및 슬러지(Sludge) 수집장치는 체인을 이용하여 다단계로 동력전달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충분한 힘의 동력전달이 불가능하고, 동절기에 체인 등이 자주 파손되어 유지 보수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또한, 종래 침전조의 스컴(Scum) 및 슬러지(Sludge) 수집장치는 스크레이퍼(64)를 용이하게 이동시키기 위하여 무거운 금속재가 아닌 가벼운 합성수지재로 제작하게 되고, 이로부터 스크레이퍼가 쉽게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초래된다.
더욱이, 종래 침전조의 스컴(Scum) 및 슬러지(Sludge) 수집장치는 사각빔형상의 스크레이퍼(64)를 이용하여 침전조(1)의 바닥에 침전되어 있는 슬러지를 슬러지피트(2)측으로 수집할 때 침전슬러지가 수중으로 부상되는 교란이 발생되면서 슬러지의 수집효과가 크게 저하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그리고, 바닥폭보다 상부폭이 넓게 형성되는 침전조(1)의 경우, 침전조의 바닥폭에 맞춘 스크레이퍼(64)를 이용하여 스컴을 수집하게 되면 스크레이퍼가 미처 닿지 않는 침전조의 폭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스컴은 수집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침전조의 수면에 부유하는 스컴을 안정적으로 수집하고, 동시에 침전조의 바닥에 침전되어 있는 슬러지를 교란없이 안정적으로 슬러지피트로 이송 처리하는 침전조의 스컴(Scum) 및 슬러지(Sludge) 수집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종래의 침전조의 스컴 및 슬러지 수집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침전조의 스컴 및 슬러지 수집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침전조의 스컴 및 슬러지 수집장치중 슬러지수집기를 나타내는 요부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침전조의 스컴 및 슬러지 수집장치중 슬러지수집기를 나타내는 요부사시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침전조의 스컴 및 슬러지 수집장치중 스컴수집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침전조의 스컴 및 슬러지 수집장치중 스컴수집기의 출발지점을 나타내는 요부사시도,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침전조의 스컴 및 슬러지 수집장치중 스컴수집기의 도착지점을 나타내는 요부사시도,
도8a,b는 본 발명에 따른 침전조의 스컴 및 슬러지 수집장치중 스컴수집기의 주행제어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침전조의 스컴 및 슬러지 수집장치중 스컴수집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침전조 2: 슬러지피트 3: 슬러지수집기 4: 스컴수집기 5: 고정프레임 6: 레일빔 7,8: 유압실린더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압실린더에 의해 작동대가 전후진되면 주행판이 주행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침전조의 상부에 설치된 레일빔을 따라 전후이동되고, 상기 주행판의 하부에 홀더에 의해 고정되는 스컴스크레이퍼가 전환판에서 전환되는 레버와 웨이트에 의해 수직 또는 수평상태로 변환되며, 상기 침전조의 상부 일측에 내장되는 스컴수집관이 유압실린더에 의해 회전되면서 스컴수집구를 통해 상기 스컴스크레이퍼에 의해 수거된 수면의 스컴을 수집하여 외부로 배출하도록 설치되는 스컴수집기와; 유압실린더의 작동로드에 의해 크랭크가 회전되면서 작동대가 전후진되면 다수의 스크레이퍼가 상기 침전조의 하부측벽에 고정된 레일을 따라 전후이동되면서 상기 침전조의 하부에 침전되어 있는 슬러지를 슬러지피트로 밀어내도록 설치되는 슬러지수집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조의 스컴 및 슬러지 수집장치를 제공한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침전조의 스컴 및 슬러지 수집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침전조의 스컴 및 슬러지 수집장치중 슬러지수집기를 나타내는 요부사시도이며,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침전조의 스컴 및 슬러지 수집장치중 슬러지수집기를 나타내는 요부사시도이고,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침전조의 스컴 및 슬러지 수집장치중 스컴수집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침전조의 스컴 및 슬러지 수집장치중 스컴수집기의 출발지점을 나타내는 요부사시도이고,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침전조의 스컴 및 슬러지 수집장치중 스컴수집기의 도착지점을 나타내는 요부사시도이며, 도8a,b는 본 발명에 따른 침전조의 스컴 및 슬러지 수집장치중 스컴수집기의 주행제어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침전조의 스컴 및 슬러지 수집장치중 스컴수집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침전조(1)의 바닥에 누적되는 슬러지를 슬러지수집기(3)를 이용하여 슬러지피트(2)로 이송하게 되고, 수면에 부유되는 스컴을 스컴수집기(4)를 이용하여 수집하게 된다.
먼저, 슬러지수집기(3)는 유압실린더(7)가 침전조(1)의 중앙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레일빔(6)의 일단측에 수직상태로 결합되어 있고, 이 유압실린더(7)의 로드(10)는 삼각형의 크랭크(12)의 일모서리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이때, 침전조(1)의 내벽에 고정 부착되는 고정프레임(11)에는 크랭크(12)의 일모서리가 중심핀(11-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고, 다시 크랭크(12)의 일모서리에는 작동대(13)의 후단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작동대(13)는 그 선단측이 보강판(18)의 연결브래킷(14)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유압실린더(7)가 상하작동되면 로드(10)에 의해 크랭크(12)가 중심핀(11-1)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이에 따라 작동대(13)가 보강판(18)을 일정거리로 전후진시키게 된다.
그리고, 침전조(1)의 바닥에 전후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3개의 고정슬라이드빔(17) 상부에는 좌우길이방향의 스크레이퍼(15)가 일정간격으로 배열 고정되어 있다.
이때, 스테인레스강재로 제작되는 스크레이퍼(15) 간의 결속을 보강하기 위하여 스크레이퍼의 하부에 마름모형의 보강빔(19)이 설치되어 있고, 스크레이퍼의상부 중앙을 따라 전후길이방향의 보강판(18)이 고정되어 있으며, 이 보강판(18)의 연결브래킷(14)에는 작동대(13)의 선단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유압실린더(7)의 작동에 의해 레일(16)을 따라 전후진되는 스크레이퍼(15)는 그 단면이 대략 삼각형상을 이루면서 특히 그 전면에 수집면(15-1)이 형성되면서 그 후면에 월류면(15-2)이 형성되어 있다.
특히, 스크레이퍼(15)의 수집면(15-1)은 유선형의 오목한 면을 이루면서 전진시 보다 많은 슬러지를 슬러지피트(2)로 밀게 되고, 스크레이퍼(15)의 월류면(15-2)은 후방측으로 하향경사지면서 후진시 후방측의 슬러지를 전방측으로 교란없이 자연스럽게 월류시키게 된다.
한편, 스컴수집기(4)는 유압실린더(8)가 레일빔(6)상에 고정 설치되어 있고, 이 유압실린더의 로드에 작동대(24)가 주행제어판(25)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전후진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이때, 주행판(23)은 클램프가이드(31)에 의해 레일빔(6)의 하부를 따라 전후종방향으로 주행하도록 결합되어 있고, 이 주행판(23)의 상부 중앙에는 주행제어판(25)이 클램프가이드(32)에 의해 좌우횡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주행제어판(25)의 좌우측에 위치하도록 주행판(23)에 설치되는 편심캠(26-1,26-2)은 각각 중심핀(33)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주행제어판(25)을 좌우횡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다시 말하면, 편심캠(26-1,26-2)은 최초출발지점에서 레일빔(27-1ㅡ27-2)의내측면에 고정되는 전환판(27-1,27-2)에 의해 편심회전되어 주행제어판(25)을 우측 횡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지만, 최후도착지점에 이르면 레일빔(27-1ㅡ27-2)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전환판(28-1,28-2)에 의해 편심회전되어 주행제어판(25)을 좌측 횡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주행제어판(25)에는 그 좌우측편에 탄성걸림판(29-1,29-2)이 서로 회전대칭되도록 설치되어 있고, 이 탄성걸림판은 그 사이를 이동하는 작동대(24)의 양측면에 주행제어판의 횡방향 이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탄성 밀착된다.
특히, 탄성걸림판(29-1,29-2)은 주행제어판(25)에 고정 부착된 스토퍼(30-1,30-2)에 의해 그 벌어짐이 제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유압실린더(8)의 작동에 의해 주행제어판(25)의 중앙을 통해 전후진되는 작동대(24)에는 걸림핀(24-1,24-2,24-3....24-n)이 유압실린더(8)의 스토로크(Stroke)만큼 서로 이격되도록 배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작동대(24)의 전진시 걸림핀(24-1,24-2,24-3...24-n)에는 편심캠(26-1)의 작동으로 탄성걸림판(29-1)이 걸리게 되지만 작동대의 후진시 편심캠(26-2)의 작동으로 탄성걸림판(29-2)이 걸리게 된다.
즉, 탄성걸림판(29-1,29-2) 사이를 전후진하는 작동대(24)는 전진시 걸림핀(24-1,24-2,24-3...24-n)이 탄성걸림판(29-1)에 걸리면서 주행제어판(25)을 유압실린더(8)의 스트로크만큼 전진시키게 된다.
예컨대, 작동대(24)가 걸림핀(24-2)을 이용하여 주행제어판(25)을 유압실린더(8)의 스트로크만큼 전진시킨 후, 다시 유압실린더의 후진작동으로 작동대(24)가후진되면 걸림핀(24-3)이 탄성걸림판(29-1)을 누르면서 후진된다.
또한, 작동대(24)가 유압실린더(8)에 의해 전진되면 걸림핀(24-3)이 탄성걸림판(29-1)을 밀면서 주행제어판(25)을 다시 유압실린더의 스트로크만큼 전진시키게 된다.
한편, 주행판(23)의 하부에는 한쌍의 고정판(34)이 좌우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고정 설치되어 있고, 이 고정판(34)에는 홀더(21)가 중심핀(44)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결합되어 있다.
이때, 스컴스크레이퍼(22)를 장착하는 홀더(21)에는 레버(36)가 고정 부착되어 있고, 이 레버의 상단에는 각각 웨이트(37)가 고정 장착되어 있으며, 레버를 이용하여 스컴스크레이퍼를 수직 또는 수평상태로 전환시키게 된다.
여기서, 레버(36)를 전진방향 또는 후진방향으로 일단 젖혀 놓으면 웨이트(37)의 자중에 의해 스컴스크레이퍼(22)의 수직상태 또는 수평상태가 그대로 유지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프레임(5)에 고정바(43)에 의해 고정 설치되는 전환판(38,39)은 스컴스크레이퍼(22)의 최초출발지점과 최후도착지점에 위치하면서 그 하면과 접촉하는 웨이트(37)를 밀어서 레버(36)를 진행의 반대방향으로 젖히게 된다.
따라서, 레버(36)가 전환판(39)에 의해 젖혀지면 수직상태의 스컴스크레이퍼(22)가 수평상태으로 전환되고, 레버가 전환판(38)에 의해 젖혀지면 수평상태의 스컴스크레이퍼가 수직상태로 전환된다.
한편, 스컴스크레이퍼(22)에 의해 한쪽으로 모아지는 스컴을 수집하여 침전조(1)의 외부로 배출하는 스컴수집관(42)은 침전조(1)의 상부 일측에 실린더(35)에 의해 45。의 범위내에서 회전하도록 내장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고정프레임(5)에 고정판(41)에 의해 고정 부착되는 리밋스위치(40)는 수면위에 떠있는 스컴을 모으면서 전진하는 스컴스크레이퍼(22)가 최후도착지점에 이르면 홀더(21)에 의해 터치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특히, 리밋스위치(40)가 홀더(21)와 터치되면서 작동되면 유압실린더(35)가 전진되어 스컴수집관(42)을 회전시키게 되고, 다시 후진되는 홀더가 리밋스위치로부터 떨어지면 실린더(35)가 후진작동되어 스컴수집관을 원상태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상단측 일부만이 침전조(1)의 수면 위로 떠있도록 설치되는 스컴수집관(42)에는 그 상부측에 스컴수집구(42-1)가 형성되어 있고, 이 스컴수집구관(42-1)는 평상시 수면위에 위치하여 스컴수집관으로 침전조(1)의 폐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지만 스컴수집관의 회전시 수면아래로 잠기면서 폐수와 함께 스컴을 스컴수집관내로 수집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침전조(1)의 바닥에 침전된 슬러지를 슬러지피트(2)로 수집하는 슬러지수집기(3)는 유압실린더(7)의 전진작동에 따라 작동로드(10)가 삼각의 크랭크(12)를 중심핀(11-1)을 중심으로 하향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크랭크(12)의 하단에 연결되는 작동대(13)가 보강판(18)을 전진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다수의 스크레이퍼(15)가 레일(16)을 따라 일제히 전진하게 되면서 각 스크레이퍼(15)의 수집면(15-1)이 슬러지를 밀어내게 되며, 특히 최전방에 위치하는 스크레이퍼의 수집면은 슬러지를 슬러지피트(2)로 밀어 넣게 된다.
여기서, 유압실린더(7)를 후진작동시키면 크랭크(12)가 중심핀(11-1)을 중심으로 상향 회전되고, 이에 따라 작동대(13)가 후방측으로 당겨지면서 스크레이퍼(15)가 레일(16)을 따라 일제히 후진된다.
특히, 후진하는 스크레이퍼(15)는 월류면(15-2)을 따라 후방측에 위치하는 슬러지를 전방측으로 그대로 월류시키게 된다.
이처럼 유압실린더(7)를 이용하여 다수의 스크레이퍼(15)를 반복 전후진시키게 되면 점차적으로 슬러지가 수집면(15-1)의 두께로 이동되면서 슬러지피트(2)에 담기게 된다.
한편, 침전조(1)의 수면에 떠있는 스컴을 제거하기 위한 스컴수집기(4)는 유압실린더(8)가 전진작동되면 작동대(24)가 유압실린더의 스트로크만큼 전진하게 된다.
이때, 편심캠(26-1,26-2)에 의해 주행제어판(25)은 우측으로 이동되어 있는 상태이고, 이에 따라 탄성걸림판(29-1)은 작동대(24)에 밀착된 상태인 반면에 탄성걸림판(29-2)은 작동대로부터 어느정도 이격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작동대(24)는 최초걸림핀(24-1)이 탄성걸림판(29-1)에 걸리면서 주행제어판(25)을 전진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주행판(23)이 레일빔(6)을 따라 유압실린더(8)의 스트로크만큼 전진하게 된다.
그리고, 다시 유압실린더(8)가 후진 작동되면 작동대(24)가 후진되면서 2번째 걸림핀(24-2)이 후진되어 탄성걸림판(29-1)에 걸리게 된다.
여기서, 유압실린더(8)가 전진작동되면 작동대(24)가 전진되면서 주행판(23)이 레일빔(6)을 따라 전진시키게 되고, 이처럼 유압실린더의 전후진이 반복되면 주행판이 최후도착지점까지 전진하게 된다.
이때, 주행판(23)의 하부에 설치되는 스컴스크레이퍼(22)는 수직상태로 전진되면서 수면에 떠있는 스컴을 스컴수집관(26)측으로 밀게 된다.
한편, 스컴스크레이퍼(22)가 최후도착지점에 이르면 홀더(21)가 리밋스위치(40)를 터치하게 되고, 이에 따라 유압실린더(35)가 전진되면서 스컴수집관(42)을 45。 회전시키게 된다.
여기서, 스컴수집구(42-1)는 기울어지면서 그 절반정도가 수면에 잠기게 되고, 이로써 폐수와 함께 스컴스크레이퍼(22)에 의해 수집된 스컴을 수집하게 되고, 스컴수집관(42)은 수집된 스컴을 폐수와 함께 침전조(1)의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그리고, 주행제어판(25)이 최후도착지점에 이르면 편심캠(26-1,26-2)은 전환판(28-1,28-2)을 따라 진행되면서 편심회전되어 주행제어판을 좌측횡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탄성걸림판(29-2)이 작동대(24)에 탄성 밀착되면서 마지막 걸림핀(24-n)에 걸리게 되고, 유압실린더(8)가 후진작동되면 작동대의 후진에 따라 걸림핀(24-n)에 걸린 탄성걸림판(29-2)에 의해 주행제어판(25)이 후진되면서 주행판(23)을 레일빔(6)을 따라 유압실린더의 스트로크만큼 후진시키게 된다.
이처럼 유압실린더(8)의 후진작동을 반복하게 되면 주행판(23)은 레일빔(6)을 따라 전진될 때와 동일하게 작동대(24)의 걸림핀(24-n,...24-2,24-1) 간격만큼씩 차례로 후진된다.
또한, 수직상태로 스컴을 모으던 스컴스크레이퍼(22)가 최후도착지점에 이르면 웨이트(37)가 전환판(39)에 걸린 상태로 진행되어 레버(36)를 후방측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수직상태의 스컴스크레이퍼(22)는 수평상태로 전환되고, 웨이트(37)의 자중에 의해 그 수평상태가 그대로 유지되어 주행판(23)과 함께 후진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스컴스크레이퍼(22)의 후진이 시작되면서 홀더(21)가 리밋스위치(40)로부터 분리되면 유압실린더(35)가 후진되면서 스컴수집관(42)을 회전시키어 스컴수집구(42-1)를 수면위로 올리게 된다.
한편, 스컴수집기(4)의 주행판(23)이 최초출발지점으로 복귀되면 웨이트(37)가 전환판(38)에 걸린 상태로 진행되어 레버(36)를 전방측으로 회전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수평상태의 스컴스크레이퍼(22)는 수직상태로 전환되는 동시에 웨이트(37)의 자중에 의해 그 수직상태가 그대로 유지된다.
또한, 주행제어판(25)이 최초출발지점에 이르면 편심캠(26-1,26-2)은 전환판(27-1,27-2)을 따라 진행되면서 편심회전되어 주행제어판을 우측횡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탄성걸림판(29-1)이 작동대(24)에 탄성 밀착되면서 최초걸림핀(24-1)에 걸리게 된다.
본 발명은 그 내구성이 우수하여 수명이 길고, 침전조의 스컴 또는 슬러지를 교란없이 안정적으로 수집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Claims (3)

  1. 유압실린더(8)에 의해 작동대(24)가 전후진되면 주행판(23)이 주행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침전조(1)의 상부에 설치된 레일빔(6)을 따라 전후이동되고, 상기 주행판(23)의 하부에 홀더(21)에 의해 고정되는 스컴스크레이퍼(22)가 전환판(38,39)에서 전환되는 레버(36)와 웨이트(37)에 의해 수직 또는 수평상태로 변환되며, 상기 침전조(1)의 상부 일측에 내장되는 스컴수집관(42)이 유압실린더(35)에 의해 회전되면서 스컴수집구(42-1)를 통해 상기 스컴스크레이퍼(22)에 의해 수거된 수면의 스컴을 수집하여 외부로 배출하도록 설치되는 스컴수집기(4)와;
    유압실린더(7)의 작동로드(10)에 의해 크랭크(12)가 회전되면서 작동대(13)가 전후진되면 다수의 스크레이퍼(15)가 상기 침전조(1)의 하부측벽에 고정된 레일(16)을 따라 전후이동되면서 상기 침전조(1)의 하부에 침전되어 있는 슬러지를 슬러지피트(2)로 밀어내도록 설치되는 슬러지수집기(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조의 스컴 및 슬러지 수집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제어부(50)는 전환판(27-1,27-2)(28-1,28-2)에서 편심회전되는 편심캠(26-1,26-2)에 의해 상기 주행판(23)의 상부에 취부된 주행제어판(25)이 좌우횡방향으로 이동되면 탄성걸림판(29-1,29-2)이 상기 작동대(24)의 걸림핀(24-1,24-2...24-n)에 걸리면서 상기 주행판(23)을 작동대(24)와 함께 전진 또는 후진이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조의 스컴 및 슬러지 수집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레이퍼(15)는 그 수집면(15-1)이 곡선홈으로 형성되면서 그 월류면(15-2)이 완만한 경사각을 이루어 교란없이 슬러지를 밀어내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조의 스컴 및 슬러지 수집장치.
KR1019990035265A 1999-08-24 1999-08-24 침전조의 스컴 및 슬러지 수집장치 KR1003144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5265A KR100314498B1 (ko) 1999-08-24 1999-08-24 침전조의 스컴 및 슬러지 수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5265A KR100314498B1 (ko) 1999-08-24 1999-08-24 침전조의 스컴 및 슬러지 수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3873A KR19990083873A (ko) 1999-12-06
KR100314498B1 true KR100314498B1 (ko) 2001-11-15

Family

ID=37531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5265A KR100314498B1 (ko) 1999-08-24 1999-08-24 침전조의 스컴 및 슬러지 수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449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6839B1 (ko) 2006-11-01 2007-02-02 대경기산(주) 침전조의 슬러지 수집장치
KR100851379B1 (ko) 2007-03-22 2008-08-08 덕 용 김 자동 왕복식 슬러지 수집기
KR100946982B1 (ko) * 2009-05-06 2010-03-15 주식회사 천보엔지니어링 슬러지 수집기의 스컴 제거 장치
KR20190056461A (ko) 2017-11-16 2019-05-27 주식회사 화일씨앤이 후렙형 슬러지 수집기
CN110975352A (zh) * 2019-12-16 2020-04-10 扬州市双龙工业设备安装有限公司 水处理用刮泥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8608B1 (ko) * 2007-04-02 2008-04-02 (주)용진기전 하수 처리기의 침전조 부유물 배출장치
KR100807341B1 (ko) * 2007-06-08 2008-02-28 동양수기산업(주) 다익슬라이딩 슬러지수집장치
CN112279333A (zh) * 2020-10-16 2021-01-29 大连市市政设计研究院有限责任公司 一种污水处理厂曝气沉砂池浮渣斗装置
CN117504380B (zh) * 2024-01-08 2024-05-28 成都三扬新材科技有限公司 一种环保水性工业漆加工用废液回收装置及方法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99377A (en) * 1979-01-25 1980-07-29 Kubota Ltd Scum removing apparatus
US4364824A (en) * 1981-06-02 1982-12-21 International Minerals & Chemical Corp. Flotation of phosphate ores containing dolomite
KR890002283U (ko) * 1987-07-23 1989-03-28 삼양정수공업 주식회사 하수처리용 침전지의 오니제거장치
US5269928A (en) * 1992-02-20 1993-12-14 Dorr-Oliver Incorporated Clarifier tanks
JPH10128011A (ja) * 1996-11-01 1998-05-19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汚泥掻寄機
JPH10314731A (ja) * 1997-05-16 1998-12-02 Mitsuhiro Fujiwara 浮遊物掻寄装置
KR200157552Y1 (ko) * 1997-10-20 1999-10-01 강준 스컴 및 이끼제거수단이 구비된 슬러지 제거장치
JP2000084306A (ja) * 1998-09-17 2000-03-28 Hitachi Kiden Kogyo Ltd 汚泥掻寄機
KR20000014713U (ko) * 1998-12-30 2000-07-25 이구택 침전지의 스컴 및 슬러지 수집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99377A (en) * 1979-01-25 1980-07-29 Kubota Ltd Scum removing apparatus
US4364824A (en) * 1981-06-02 1982-12-21 International Minerals & Chemical Corp. Flotation of phosphate ores containing dolomite
KR890002283U (ko) * 1987-07-23 1989-03-28 삼양정수공업 주식회사 하수처리용 침전지의 오니제거장치
US5269928A (en) * 1992-02-20 1993-12-14 Dorr-Oliver Incorporated Clarifier tanks
JPH10128011A (ja) * 1996-11-01 1998-05-19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汚泥掻寄機
JPH10314731A (ja) * 1997-05-16 1998-12-02 Mitsuhiro Fujiwara 浮遊物掻寄装置
KR200157552Y1 (ko) * 1997-10-20 1999-10-01 강준 스컴 및 이끼제거수단이 구비된 슬러지 제거장치
JP2000084306A (ja) * 1998-09-17 2000-03-28 Hitachi Kiden Kogyo Ltd 汚泥掻寄機
KR20000014713U (ko) * 1998-12-30 2000-07-25 이구택 침전지의 스컴 및 슬러지 수집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6839B1 (ko) 2006-11-01 2007-02-02 대경기산(주) 침전조의 슬러지 수집장치
KR100851379B1 (ko) 2007-03-22 2008-08-08 덕 용 김 자동 왕복식 슬러지 수집기
KR100946982B1 (ko) * 2009-05-06 2010-03-15 주식회사 천보엔지니어링 슬러지 수집기의 스컴 제거 장치
KR20190056461A (ko) 2017-11-16 2019-05-27 주식회사 화일씨앤이 후렙형 슬러지 수집기
CN110975352A (zh) * 2019-12-16 2020-04-10 扬州市双龙工业设备安装有限公司 水处理用刮泥机
CN110975352B (zh) * 2019-12-16 2022-03-11 扬州绿都环境工程设备有限公司 水处理用刮泥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3873A (ko) 1999-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1863980U (zh) 矩形沉淀池刮泥及排渣设备
KR100314498B1 (ko) 침전조의 스컴 및 슬러지 수집장치
CN205019788U (zh) 双刮板具刮渣设备
JP3764937B2 (ja) スカム掻き寄せ装置
US2305929A (en) Sedimentation apparatus
KR200494866Y1 (ko) 직사각형 침전조 슬러지 제거 및 배출 장치
JP2003326108A (ja) 沈殿装置
JP4522979B2 (ja) 堆積物及び浮上物の掻寄装置
US5454942A (en) Apparatus for the removal of floating sludge in dissolved air floatation basins at water purification and waste water treatment plants
JP2019135045A (ja) 沈澱物除去装置
JPS5910278B2 (ja) 汚泥掻寄機
EP1095687B1 (en) Sludge raker
JP2598015Y2 (ja) 汚泥掻寄装置
JP2601286Y2 (ja) 汚泥掻寄装置
KR200255885Y1 (ko) 원형침전지의슬러지수집기
KR100483041B1 (ko) 부유물 청소선박
CN220365125U (zh) 一种废水池漂浮物清理装置
JP3296633B2 (ja) 汚泥掻寄機
JP3993866B2 (ja) 汚泥等回収装置
JP2603724Y2 (ja) 汚泥掻寄装置
JP2590187Y2 (ja) 掻寄処理装置
CN218306723U (zh) 一种污水处理的自动化装置
CN212098781U (zh) 一种便于排污的洗车槽结构
CN215609538U (zh) 一种刮泥机的刮板装置
JP2002001012A (ja) 沈殿池汚泥掻き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1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