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3827B1 - 지폐류 판별 장치 및 동 장치에서의 센서 부착 구조 - Google Patents

지폐류 판별 장치 및 동 장치에서의 센서 부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3827B1
KR100313827B1 KR1019990015612A KR19990015612A KR100313827B1 KR 100313827 B1 KR100313827 B1 KR 100313827B1 KR 1019990015612 A KR1019990015612 A KR 1019990015612A KR 19990015612 A KR19990015612 A KR 19990015612A KR 100313827 B1 KR100313827 B1 KR 1003138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magnetic
banknote
detecting
fe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5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1252A (ko
Inventor
미야자끼도시마사
Original Assignee
아끼구사 나오유끼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끼구사 나오유끼,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아끼구사 나오유끼
Publication of KR20000011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12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3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38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04Testing magnetic properties of the materials thereof, e.g. by detection of magnetic imprin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20Testing patterns there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Inspection Of Paper Currency And Valuable Securities (AREA)

Abstract

사양 변경에 용이하게 대응 가능하게 하면서 사양에 따른 포인트에서의 특징량 검출을 행할 수 있도록 하고, 대조용 데이터 베이스 및 대조용 처리 회로를 간소화하여, 저코스트화 및 판정 처리 시간의 단축을 꾀한다.
센서(2)를 특징량 정보를 검출하는 복수의 특징량 검출 헤드(11)로 구성하고, 지폐 (10)의 반송면에 연하여 구비된 프레임(20)에 복수의 특징량 검출 헤드(11)를 상기 반송면에 대향하도록 부착시키기 위한 복수의 헤드 부착 구멍(21a∼21h)을 형성하고, 이들 헤드 부착 구멍(21a∼21h) 중 특징량이 현저하게 나타나는 위치에 대응하는 헤드 부착 구멍(21b,21c,21f,21g)에 특징량 검출 헤드(11)를 착탈이 자유롭게 부착시킨다.

Description

지폐류 판별 장치 및 동 장치에서의 센서 부착 구조{PAPER-LEAVES DISCRIMINATING APPARATUS AND SENSOR MOUNTING STRUCTURE OF THE SAME APPARATUS}
본 발명은 자동 입출금기(ATM: Automatic Teller Machine)나 자동 판매기 등에서 지폐류(예컨대 지폐, 유가 증권)의 진위 혹은 종류를 판별하는 지폐류 판별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판별에 필요한 특징량 정보(자기 정보, 인쇄 화상 정보, 광학 정보 등)을 지폐류로부터 검출하기 위한 센서의 부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 입출금기나 자동 판매기 등에서는, 이들에 삽입되는 지폐(지폐류)의 진위 혹은 종류를 판별하기 위해서 지폐류 판별 장치가 갖추어지고 있다. 여기서는 지폐류 판별 장치가 지폐의 진위를 판별하는 장치, 즉 지폐 감별기인 경우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10은 일반적인 지폐 감별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이 도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반적인 지폐 감별기는 이미지 센서(101), 자기 라인 센서(102), 이미지 센서 데이터 베이스(103), 자기 라인 센서 데이터 베이스(104), 감별 회로(105) 및 진위 판정 회로(106)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미지 센서(101) 및 자기 라인 센서(102)는 지폐 감별기의 프레임(100)에 부착되어 있고, 외부에서 삽입된 지폐(지폐류)(110)의 반송 경로에 연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미지 센서(101)는 지폐(ll0)의 인쇄 화상을 판독하는 것이고, 자기 라인 센서(102)는 지폐(110) 상의 인쇄 화상을 형성하는 잉크에 포함되어 있는 자기량을 검출하는 것이다. 이 자기 라인 센서(102)는 예컨대 32(또는 64)개의 자기 검출 소 자를 일체로 성형한 것이고, 지폐(110)의 길이 방향(지폐(110)의 반송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연하여 배치되어, 지폐(110)의 길이 방향 전폭에 걸치는 32(또는 64)개의 포인트에서의 자기량을 검출하게 되어 있다.
또한, 이미지 센서 데이터 베이스(103)는 정규의 지폐의 인쇄 화상 정보를 미리 저장하는 것이고, 자기 라인 센서 데이터 베이스(104)는 정규의 지폐의 길이 방향 전폭에 걸치는 상기 32(또는 64)개의 포인트에서의 자기량을 미리 저장하는 것이다.
그리고, 감별 회로(105)는 이미지 센서(101)에 의해 판독된 지폐(110)의 인쇄 화상과 이미지 센서 데이터 베이스(103)에 저장된 정규의 지폐의 인쇄 화상 정보를 대조함과 동시에, 자기 라인 센서(102)에 의해 검출된 각 포인트에서의 자기량과 자기 라인 센서 데이터 베이스(104)에 저장된 정규의 지폐의 각 포인트에서의 자기량을 대조하여 지폐(ll0)를 감별한다.
진위 판정 회로(106)는 감별 회로(105)에 의한 감별 결과(대조 결과에 관한 정보)에 따라서, 지폐(110)의 진위를 최종적으로 판정하는 것이다.
상술과 같이 구성된 지폐 감별기로서는 외부에서 삽입된 지폐(110)를 반송 경로에 연하여 반송하면서, 그 지폐(ll0)의 인쇄 화상을 이미지 센서(101)에 의해서 판독함과 동시에, 그 지폐(110)의 길이 방향 전폭에 걸치는 상기 32(또는 64)개의 포인트에서의 자기량을 자기 라인 센서(102)에 의해서 검출한다.
이들 센서(101,102)에 의해서 얻어진 정보는 감별 회로(105)에 입력되고, 이 감별 회로(105)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이미지 센서(10l)로부터의 지폐(110)의 인쇄 화상과 이미지 센서 데이터 베이스(103)에서의 정규의 지폐의 인쇄 화상 정보가 대조됨과 동시에, 자기 라인 센서(102)로부터의 자기량과 자기 라인 센서 데이터 베이스(104)에서의 정규의 지폐의 자기량이 대조되어, 지폐(110)의 감별이 행하여진다. 그리고, 진위 판정 회로(106)에서 감별 회로(105)에 의한 감별 결과(대조 결과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지폐(110)의 진위가 최종적으로 판정된다.
상술한 지폐 감별기에서는, 자기 라인 센서(102)에 의해 감별 대상이 되는지폐(ll0)의 자기 정보를 그 전폭에 걸치는 여러 장소에서 검출하여, 자기량이 많은 부분/적은 부분과 같은 특징(자기 분포)을 추출하고, 그 특징을 자기 라인 센서 데이터 베이스(104)에서의 정규의 지폐의 자기량 정보(자기 분포)와 대조함으로써, 지폐(110)의 진위를 판정한다.
이 때문에 자기 라인 센서(102)가 감별 대상의 지폐 사이즈에 맞춘 특수 주문품으로 지극히 비싸게 된다. 또한, 자기 라인 센서 데이터 베이스(104)에 방대한 자기량 정보를 저장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이 자기 라인 센서 데이터 베이스(l04)를 위한 회로나 대조용의 처리회로가 복잡하여, 비싸게 되는 외에, 감별처리에 막대한 시간을 요하는 등의 과제가 있었다.
또, 상술과 같은 자기 라인 센서(102)를 사용함으로써, 감별의 사양이 바뀐 경우(예컨대, 감별 대상의 지폐의 발행국이나 돈 종류가 바뀐 경우나 감별 대상의 지폐에 신권이 가해진 경우)에는, 자기 라인 센서 데이터 베이스(104)에 저장하여야 할 대조용 자기량 정보를 변경 또는 추가하기만 하면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자기량에 의한 지폐의 대조를 하는 경우, 실제로는 지폐의 전폭에 걸치는 자기 분포를 사용할 필요는 없고, 지폐의 자기적인 특징은 지폐의 폭방향(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대하여 여러 장소에 나타나기 때문에 그 여러 장소에서 자기량을 검출할 수 있으면 자기량에 의한 지폐의 대조를 할 수 있다.
그래서, 그 여러 장소에서 자기량을 검출하기 위해 복수의 자기 헤드를 프레임에 고정적으로 부착시키는 것도 생각되지만, 이러한 구조를 채용하면, 감별 대상의 지폐가 바뀐 경우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없게 된다. 즉 지폐가 바뀌면 자기적인 특징이 나타나는 위치가 변하기 때문에, 복수의 자기 헤드의 배치 위치를 변경하지 않으면 않되고, 프레임 자체를 교환할 필요가 생기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에 비추어 창안된 것으로서, 사양 변경에 용이하게 대응가능하게 하면서 사양에 따른 포인트에서의 특징량 검출을 행하도록 하여, 대조용 데이터 베이스 및 대조용 처리 회로를 간소화하여, 저코스트화 및 판정 처리 시간의 단축을 꾀한 지폐류 판별 장치 및 동 장치에서의 센서 부착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지폐류 판별 장치(지폐 감별기)에서의 센서 부착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2는 본 실시예의 센서 부착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3a∼c는 본 실시예에서의 자기 헤드 근방의 구조와 더미 헤드의 기능(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단면도.
도4는 본 실시예의 지폐류 판별 장치(지폐 감별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5a, b는 지폐류(지폐)에서 특징량이 현저히 나타나는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6은 본 실시예의 지폐류 판별 장치(지폐 감별기)의 변형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7은 본 실시예의 지폐류 판별 장치(지폐 감별기)의 변형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8은 본 실시예의 센서 부착 구조의 변형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9는 본 실시예의 센서 부착 구조의 변형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10은 일반적인 지폐류 판별 장치(지폐 감별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부호의 설명]
1 이미지 센서
2 자기 센서
3 이미지 센서 데이터 베이스(대조용 데이터 베이스)
4 자기 센서 데이터 베이스(대조용 데이터 베이스)
5 감별 회로(판별 회로)
6 진위 판정 회로
7 고장 검출 회로
8 전환 회로
9 알람 발생 회로
10 지폐(지폐류)
ll 자기 헤드(특징량 검출 헤드)
12 더미 헤드
13 백업용 자기 헤드(백업용 특징량 검출 헤드)
20 프레임
21a,21b,21c,21d,21e,21f,21g,21h 헤드 부착 구멍
22 나사 나합 구멍
23 더미 헤드 고정 훅(hook)
25,25-l,25-2 프린트판
26 나사 관통 구멍
27 프린트판 고정 나사
28 콘넥터
29 경사면
30 프레임
31 반송 경로(반송면)
32 가압 부재용 돌출 구멍
33 가압 부재
34 판스프링
35,36 부착 나사
37 경사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지폐류 판별 장치(청구항1)는 지폐류의 진위 혹은 종류를 판별하기 위해, 판별에 필요한 특징량 정보를 지폐로부터 검출하기 위한 센서와, 정규의 지폐에 관한 특징량 정보를 저장하는 대조용 데이터 베이스와, 센서에 의해 지폐로부터 검출된 특징량 정보를 상기 대조용 데이터 베이스의 특징량 정보와 대조하여 판별하는 판별 회로를 구비하며, 센서가 상기 특징량 정보를 검출하는 복수의 특징량 검출 헤드로 구성됨과 동시에, 이들 특징량 검출 헤드를 부착시키기 위한 프레임이 지폐의 반송면에 연하여 구비되고, 이 프레임에 복수의 특징량 검출 헤드를 상기 반송면에 대향하도록 부착시키기 위한 복수의 헤드 부착 구멍이 형성되고, 이들 헤드 부착 구멍 중에서 특징량이 현저하게 나타나는 위치에 대응하는 헤드 부착 구멍에만 특징량 검출 헤드가 착탈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때, 복수의 헤드 부착 구멍 중에서 특징량 검출 헤드를 부착하고 있지 않은 헤드 부착 구멍에는 지폐의 반송면에 대향시켜서 상기 헤드 부착 구멍을 폐색하는 더미 헤드를 착탈이 자유롭게 부착시켜도 좋다 (청구항2).
또한, 특징량 검출 헤드의 고장 시에 사용되는 백업용 특징량 검출 헤드를 복수의 헤드 부착 구멍 중의 일부에 착탈이 자유롭게 부착시키고, 특징량 검출 헤드의 고장 시에 상기 특징량 정보를 백업용 특징량 검출 헤드에 의해 검출하도록 자동적으로 바꾸는 전환 회로를 구비하고, 대조용 데이터 베이스에 백업용 특징량 검출 헤드의 부착 위치에 있는 상기 정규의 지폐류에 관한 특징량 정보를 백업용 특징량 정보로서 미리 저장하고, 판별 회로가 특징량 검출 헤드의 고장 시에는 백업용 특징량 검출 헤드에 의해 검출된 특징량 정보를 대조용 데이터 베이스에 있는 상기 백업용 특징량 정보와 대조하여 판별하도록 구성하더라도 좋다 (청구항3).
또한 특징량 검출 헤드가 지폐 상의 인쇄 화상에 포함되어 있는 자기량을 상기 특징량 정보로서 검출하기 위한 자기 헤드이어도 좋다 (청구항4).
한편, 본 발명의 지폐류 판별 장치에서의 센서 부착 구조(청구항5)는 지폐류의 진위 혹은 종류를 판별하는 지폐류 판별 장치에서, 판별에 필요한 특징량 정보를 상기 지폐류로부터 검출하기 위한 센서를 부착시키기 위한 구조이며, 센서를 상기 특징량 정보를 검출하는 복수의 특징량 검출 헤드로 구성하고, 지폐의 반송면에 연하여 구비된 프레임에 복수의 특징량 검출 헤드를 상기 반송면에 대향하도록 부착시키기 위한 복수의 헤드 부착 구멍을 형성하고, 이들 헤드 부착 구멍 중에서 특징량이 현저히 나타나는 위치에 대응하는 헤드 부착 구멍에만 특징량 검출 헤드를 착탈이 자유롭게 부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때, 복수의 헤드 부착 구멍 중에서 특징량 검출 헤드를 부착시키지 않은 헤드 부착 구멍에는 지폐의 반송면에 대향하도록 하여 상기 헤드 부착 구멍을 폐색하는 더미 헤드를 착탈이 자유롭게 부착시켜도 좋고 (청구항6), 특징량 검출 헤드의 고장 시에 사용되는 백업용 특징량 검출 헤드를 복수의 헤드 부착 구멍 중의 일부에 착탈이 자유롭게 부착시켜도 좋다 (청구항7).
또한, 특징량 검출 헤드가 지폐 상의 인쇄 화상에 포함되어 있는 자기량을 상기 특징량 정보로서 검출하기 위한 자기 헤드이어도 좋다 (청구항8).
상술한 본 발명의 지폐류 판별 장치 및 동 장치에서의 센서 부착 구조에서는, 프레임에 형성된 복수의 헤드 부착 구멍에 대하여 특징량 검출 헤드를 착탈이 자유롭도록 부착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지폐의 특징량이 현저히 나타나는 위치에 대응하는 헤드 부착 구멍에만 특징량 검출 헤드를 부착시킴으로써, 사양 변경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고, 또한, 사양에 따른 포인트에서의 특징량 검출을 할 수 있다 (청구항l,5).
이 때, 특징량 검출 헤드를 부착하고 있지 않은 헤드 부착 구멍에 더미 헤드를 부착시킴으로써, 그 헤드 부착 구멍이 폐색되므로 지폐의 잼(jam)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예컨대, 특징량 검출 헤드에 대하여 지폐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 부재가 구비되어 있는 경우, 헤드 부착 구멍이 개방된 채로 있으면, 가압 부재에 의해 가압된 지폐가 헤드 부착 구멍과 간섭할 우려가 있지만, 전술과 같이 헤드 부착 구멍을 더미 헤드에 의해 폐색함으로써, 지폐가 헤드 부착 구멍과 간섭하지 않게 되어, 지폐의 잼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2,6).
또한, 백업용 특징량 검출 헤드를 헤드 부착 구멍에 부착시켜 놓고, 특징량 검출 헤드의 고장 시에는 백업용 특징량 검출 헤드로부터의 특징량 정보를 사용하여 판별 함으로써, 특징량 검출 헤드에 고장이 생겨, 장치를 정지시키는 일없이, 지폐의 판별처리를 계속하여 할 수 있다 (청구항3,7).
그리고 특징량 검출 헤드로서 자기 헤드를 사용함으로써, 지폐 상의 인쇄 화상의 자기량을 지폐의 특징량 정보로서 검출할 수 있다 (청구항4, 8).
[실시 형태]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설명한다. 또, 본 실시예에서도 지폐류 판별 장치가 지폐의 진위를 판별하는 장치, 즉 지폐 감별기인 경우에 관해서 설명한다.
우선, 도4을 참조하면서 본 실시예의 지폐 감별기의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4는 그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이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지폐 감별기는 이미지 센서(1), 자기 센서(2), 이미지 센서 데이터 베이스(3), 자기 센서 데이터 베이스(4), 감별 회로(5) 및 진위 판정 회로(6)를 갖추어 구성되어 있다.
이미지 센서(l) 및 자기 센서(2)는 지폐 감별기의 프레임(20)에 부착되어 외부에서 삽입된 지폐(지폐)(10)의 반송 경로(도3a∼도3c의 부호 31 참조)에 연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미지 센서(l)는 지폐(10)의 인쇄 화상을 감별에 필요한 특징량 정보로서판독하는 것이고, 자기 센서(2)는 지폐(10) 상의 인쇄 화상을 형성하는 잉크에 포함되어 있는 자기량을 감별에 필요한 특징량 정보로서 검출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의 자기 센서(2)는 지폐(10)의 자기량을 특징량 정보로서 검출하는 복수(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자기 헤드(특징량 검출 헤드)(ll)로 구성되어 있다. 이 자기 센서(2)의 상세 구성(자기 헤드(ll)의 부착 구조)에 관하여는 도면1∼도3를 참조하면서 후술한다.
또한, 이미지 센서 데이터 베이스(대조용 데이터 베이스)(3)는 정규의 지폐의 인쇄 화상 정보를 미리 저장하는 것이고, 자기 센서 데이터 베이스(대조용 데이터 베이스)(4)는 각 자기 헤드(11)의 배치 위치(후술)에 있는 정규의 지폐의 자기량 정보를 미리 저장하는 것이다. 그 자기량 정보로서는 예컨대, 허용최대 자기량과 허용 최소 자기량으로 규정되는 허용 자기량 범위를 사용하여도 좋고, 각 자기 헤드 검출 위치에서의 지폐 단변 방향(반송 방향)에 관한 최대 자기량과 최소 자기량과의 변화 (또는 그 변화 상태 패턴)을 사용하여도 좋다. 또, 자기 헤드(11)의 배치 위치는 도5a 및 도5b를 참조하면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정규의 지폐에서 특징량이 현저히 나타나는 위치, 즉 자기량이 큰 곳이다.
그리고, 감별 회로(판정회로)(5)는 이미지 센서(1)에 의해 판독된 지폐(10)의 인쇄 화상과 이미지 센서 데이터 베이스(3)에 저장된 정규의 지폐의 인쇄 화상 정보를 대조함과 동시에, 자기 센서(2)를 이루는 각 자기 헤드(11)에 의해 검출된 자기량과 자기 센서 데이터 베이스(4)에 저장된 정규의 지폐의 대응 위치에서의 자기량 정보를 대조하여, 지폐(10)의 감별을 행하는 것이다.
진위 판정 회로(6)는 감별 회로(5)에 의한 감별 결과(대조 결과에 관한 정보)에 따라서, 지폐(10)의 진위를 최종적으로 판정하는 것이다.
다음에 상술한 본 실시예의 지폐 감별기에서의 센서 부착 구조(자기 헤드(11)의 부착 구조)에 관해서, 도l∼도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여기서, 도l 및 도2는 각각 본 실시예의 지폐 감별기에서의 센서 부착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및 단면도, 도3a∼도3c는 본 실시예에서의 자기 헤드 근방의 구조와 더미 헤드의 기능(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센서 부착 구조에서 이미지 센서(l) 및 자기 센서(2)(자기 헤드(11))를 부착하는 프레임(20)은 도3a∼도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폐(10)의 반송 경로(반송면)(31)에 연하여 갖추어져 있다. 지폐(10)의 반송 경로(31)는 프레임(20)과 이 프레임(20)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프레임(30) 간에 형성되어 있고, 지폐(10)는 도시 생략의 반송 구동계에 의해 그 반송 경로(31)에 연하여 반송되게 되어 있다.
도l 및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20)에는 최대 8개의 자기 헤드(11)를 부착시킬 수 있도록, 8개의 헤드 부착 구멍(21a∼21h)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헤드 부착 구멍(21a∼21h)은 반송 경로(31)를 통과하는 지폐(10)의 길이 방향(지폐(10)의 반송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연하여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헤드 부착 구멍(21a∼21h)에 각각, 자기 헤드(11)를 끼움으로써 자기 헤드(11)의 검출면을 반송 경로(반송면)(31)에 대향시키게 하고, 자기 헤드(11)가 프레임(20)에 대하여 착탈가능하게 부착·고정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감별 사양에서는, 정규이면 도5a에 나타낸 바와 같은 자기적 특성을 갖는 지폐(α권)가 감별 대상으로 되어있다. 즉 감별 대상이 되는권종의 지폐(α권)는 그 길이 방향으로 도5a에 나타낸 바와 같은 자기 분포를 갖고 있으며, 위치 b, c, f, g에서 특징량이 현저히 나타나는, 즉 자기량이 크게 되어 있다. 또, 도5a에 나타내는 위치(지폐(10)의 길이 방향의 위치) a∼h는 각각, 프레임(20)에 형성된 헤드 부착 구멍(21a∼21h)의 위치에 대응하고 있다.
그래서, 도5a에 나타낸 바와 같은 자기적 특성을 갖는 지폐를 감별 대상으로 하는 경우, 본 실시예의 센서 부착 구조에서는, 도1 및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특징량이 현저하게 나타나는 위치 b, c, f, g에 대응하는 헤드 부착 구멍(21b,21c,21f,21g)에 각각 자기 헤드(11)를 착탈이 자유롭게 부착시킨다. 또, 지폐(10)의 삽입 방향(전후 표리)에 관계 없이 자기량을 검출하기 위해서, 자기 헤드(l1)는 반드시 좌우 대칭으로 부착·배치된다.
또한, 자기 헤드(ll)를 부착하고 있지 않은 헤드 부착구멍(21a,21d,21e,21h)에는 각각, 지폐(10)의 반송 경로(반송면)(31)에 대향시켜서 헤드 부착 구멍(21a,21d,21e,21h)을 폐색하는 더미 헤드(12)가 착탈이 자유롭게 부착된다.
각 부착 구멍(21a∼21h)의 양측에는, 더미 헤드(12)를 고정하기 위한 더미 헤드 고정 훅(23,23)이 형성되어 있다. 더미 헤드(12)는 자기 헤드(11)보다도 약간 폭이 넓게 형성되고, 더미 헤드 고정 훅(23,23)의 간격은 자기 헤드(11)의 폭보다도 약간 넓게, 또한 더미 헤드(12)의 상부의 폭보다도 약간 좁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더미 헤드 고정 훅(23,23)은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기헤드(l1)를 각 헤드 부착 구멍(21a∼21h)에 삽입할 때에 자기 헤드(11)와는 간섭하지 않지만, 더미 헤드(12)를 각 헤드 부착 구멍(21a∼21h)에 삽입할 때에 더미 헤드(12)와는 간섭한다. 그리고, 더미 헤드(12)를 각 헤드 부착 구멍(21a∼21h)에 밀어 넣으면, 더미 헤드 고정 훅(23,23)의 간격은 더미 헤드(12)에 의해 밀려 넓혀진 후, 도2 및 도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더미 헤드 고정 훅(23,23)이 더미 헤드(12)의 상면에서 양측으로부터 계지된다.
이에 따라, 더미 헤드(12)가 프레임(20)(각 헤드 부착 구멍(21a∼21h))에 대하여 고정하게 되어있다. 또, 더미 헤드 고정 훅(23,23)의 간격을 넓혀서 더미 헤드 고정 훅(23,23)과 더미 헤드(12)와의 계지 상태를 해제함으로써, 더미 헤드(12)는 각 헤드 부착 구멍(21a∼21h)에서 용이하게 분리된다.
본 실시예에서 프레임(20)에 부착되는 4개의 자기 헤드(ll)는 프린트판(25)의 적당한 위치에 미리 부착되어 있고 있으며, 더미 헤드(12)의 부착 후, 프린트판(25)마다 프레임(20)에 부착시키게 되어 있다. 프린트판(25)에는 프레임(20)에 형성된 복수(본 실시예에서는, 5)의 나사 나합 구멍(22)에 대응하는 위치에 나사 관통 구멍(2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나사 관통 구멍(26)을 관통시킨 프린트판 고정 나사(27)를 프레임(20)의 나사 나합 구멍(22)에 체결함으로써, 자기 헤드(11)는 프린트판(25)과 함께, 프레임(20)에 대하여 고정되게 되어있다. 또, 프린트판(25)에 부착된 자기 헤드(11)로부터의 검출신호는 콘넥터(28)를 통해서 감별 회로(5)에 접속되게 되어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자기 헤드(ll)에 의해 자기량을 검출하는 경우, 검출 대상(지폐(10))을 수십그램 정도의 압력으로 자기 헤드(11)를 누르지 않으면, 자기량의 독취가 불안정하게 된다.
그래서, 도3a∼도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20)에 대향하여 배치된 프레임(30)에는 가압 부재(33)가 부착되어 있다. 이 가압 부재(33)는 프레임(30)의 하면측으로부터 가압 부재용 돌출 구멍(32)을 관통하여 프레임(30)의 상면측으로 돌출하고, 반송 경로(31)내를 이동하는 지폐(10)를 각 자기 헤드(11)(또는 더미 헤드(12))에 대하여 적당한 압력 F(예컨대 50g)로 가압하고 있다. 가압 부재(33)는 판스프링(34)의 선단측에 부착 나사(35)에 의해 부착되어 있고, 판스프링(34)의 기단측은 부착 나사(36)에 의해 프레임(30)의 하면에 부착되어 있다. 가압 부재(33)에 의한 압력 F는 판스프링(34)에 의해서 조정된다.
그리고 도3a∼도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20)의 각 헤드 부착 구멍(21a∼21h)에서, 지폐(10)의 반송 경로(31)측이고 또한 지폐(10)의 반송 하류측에는 지폐(10)의 반송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경사면(29)이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프레임(30)의 가압 부재용 돌출 구멍(32)에서도, 지폐(10)의 반송 경로(31)측으로 또한 지폐(10)의 반송 하류측에는 지폐(10)의 반송을 순조롭게 하도록 경사면(37)이 형성되어 있다.
상술과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지폐 감별기에서는, 외부에서 삽입된 지폐(10)를 반송 경로(31)에 연하여 반송하면서, 그 지폐(10)의 인쇄 화상을 이미지 센서(l)에 의해서 판독함과 동시에, 그 지폐(10)의 길이 방향의 적당한 위치에서의 자기량을 자기 센서(2)에 의해서 검출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특징량이 현저히 나타나는 4장소(자기량이 큰 위치 b, c, f, g)에서 지폐(10)의 자기량을 자기 헤드(11)에 의해 검출한다.
이들 센서(1, 2)에 의해서 얻어진 정보는 감별 회로(5)에 입력되고, 이 감별 회로(5)에서 이미지 센서(1)로부터의 지폐(10)의 인쇄 화상과 이미지 센서 데이터 베이스(3)에서의 정규의 지폐의 인쇄 화상 정보를 대조함과 동시에, 자기 센서(2)에서의 4개의 자기 헤드(11)로부터의 자기량과 자기 센서 데이터 베이스(4)에서의 정규의 지폐의 자기량 정보[각 위치 b, c, f, g에서 규정되는 허용 자기량 범위(허용 최대 자기량/ 허용 최소 자기량)]를 대조하여, 지폐(10)의 감별을 행한다. 그리고, 진위 판정 회로(6)에서 감별 회로(5)에 의한 감별 결과(대조 결과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지폐(10)의 진위가 최종적으로 판정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프레임(20)에 형성된 복수의 헤드 부착 구멍(21a∼21h)에 대하여 자기 헤드(11)를 착탈이 자유롭게 부착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지폐(10)의 특징량이 현저히 나타나는 위치에 대응하는 헤드 부착구멍(21b,21c,21f, 21g)에 자기 헤드(11)를 부착시킴으로써, 감별 사양의 변경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고, 또한, 감별 사양에 따른 포인트에서의 자기량 검출을 할 수 있다.
예컨대, 감별 사양(지폐의 발행국 또는 권종)이 변경되어, 정규이면 도5b에 나타낸 바와 같은 자기적 특성을 갖는 지폐(β권)를 감별 대상이 된 것으로 한다. 즉 감별 대상이 된 지폐(β권)의 자기량이 그 길이 방향 위치 c, d, e, f에서 크게 되어 있는 경우에는, 특징량이 현저히 나타나는 위치 c, d, e, f에 대응하는 헤드 부착 구멍(21c,21d,21e,21f)에 각각 자기 헤드(11)가 착탈이 자유롭게 부착되고, 자기 헤드(11)를 부착시키지 않은 헤드 부착 구멍(21a,21b,21g,21h)에 각각 지폐(10)의 반송 경로(반송면)(31)에 대향시켜서 헤드 부착 구멍(21a,21b,21g,21h)을 폐색하는 더미 헤드(12)가 착탈이 자유롭게 부착된다. 이 때, 당연히 자기 센서 데이터 베이스(4)에 저장되는 정규의 지폐의 자기량 정보도 변경 후의 지폐(β권)에 따른 것으로 변경된다.
이 때, 자기 헤드(11)를 부착하고 있지 않은 헤드 부착 구멍(α권의 경우, 헤드 부착 구멍(21a,21d,21e,21h) ; β권의 경우, 헤드 부착구멍(21a,21b,21g,21h)에 더미 헤드(12)를 부착시킴으로써, 그 헤드 부착 구멍이 폐색되므로 지폐(10)의 잼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자기 헤드(11)에 대하여 지폐(10)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 부재(33)가 갖추어져 있는 경우, 도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헤드 부착 구멍(21a∼21h)의 어느 것인가가 개방된 채로 있으면, 가압 부재(33)가 프레임(20)의 헤드 부착 구멍(21a∼21h) 내까지 돌출하게 되어, 가압 부재(33)에 의해 가압된 지폐(10)가 헤드 부착 구멍(21a∼21h)과 간섭하여 지폐(10)의 잼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다만, 가압 부재(33)가 존재하지 않아도, 헤드 부착 구멍(21a∼21h)의 어느것 인가가 개방된 채로 있으면, 지폐(10)의 껄쭉껄쭉한 부분 등이 헤드 부착 구멍(21a∼21h)에 걸려서 지폐(10)의 잼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도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기 헤드(11)를 부착하고 있지 않은 헤드 부착 구멍(21a∼21h)이 더미 헤드(12)에 의해 폐색되므로 지폐(10)가 헤드 부착 구멍(21a∼21h)과 간섭하지 않게 되어, 지폐(10)의 잼이 생기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의 지폐 감별기에 의하면, 나라별, 돈종류별로 가장 특징이 나타나 있는 장소에 자기 헤드(11)를 배치함으로써, 감별 사양의 변경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고, 또한, 감별 사양에 따른 포인트에서의 자기량 검출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자기 센서 데이터 베이스(4)에는 자기 분포와 같은 방대한 데이터를 저장할 필요가 없고, 예컨대 4장소의 자기량 정보(허용 자기량 범위)를 저장하기만 하면 좋으므로 자기 센서 데이터 베이스(4)나 감별 회로(대조용 처리 회로)(5)를 대폭 간소화할 수 있어서, 장치를 저코스트화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판정 처리 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자기 헤드(11)를 부착하고 있지 않은 헤드 부착 구멍(21a∼21h)을 더미 헤드(12)에 의해 폐색함으로써, 지폐(10)는 헤드 부착 구멍(21a∼21h)과 간섭하는 일 없이 반송되어, 잼의 발생을 확실히 방지하면서 판정을 할 수 있다.
또한 지폐(10)의 특징량이 현저히 나타나는 위치, 즉 자기량이 큰 장소에 자기 헤드(11)가 사용되므로, 자기 헤드(11)로부터의 출력도 충분히 크고, 염가인 자기 헤드(11)에 의해, 판정에 필요한 특징량 정보인 자기량을 확실히 검출할 수 있고, 장치의 한층 더 저코스트화를 실현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본 실시예의 지폐 감별기에 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장 검출 회로(7), 전환 회로(8), 알람 발생 회로(9) 및 백업용 자기 헤드(백업용 특징량 검출 헤드)(13)를 추가하여도 좋다. 또, 도6은 본 실시예의 지폐 감별기의 변형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6 중에서 기술의 부호와 동일한 부호는 동일 또는 거의 동일 부분을 나타내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6에 나타내는 변형례에서는, 프레임(20)의 헤드 부착 구멍(21d,21e)에 자기 헤드(11)의 고장 시에 사용되는 백업용 자기 헤드(백업용 특징량 검출 헤드)(13)가 각각 착탈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통상 시에 사용하는 자기 헤드(11)는 프레임(20)의 헤드 부착 구멍(21b, 21c, 21f,21g)에 각각 착탈이 자유롭게 부착됨과 동시에, 프레임(20)의 헤드 부착 구멍(21a,21h)에는 더미 헤드(12)가 각각 착탈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또한, 고장 검출 회로(7)는 통상 시에 사용하는 4개의 자기 헤드(11)의 어느 것인가가 고장난 경우에 그 고장을 검출하는 것이고, 전환 회로(8)는 고장 검출 회로(7)에 의해 자기 헤드(11)의 고장을 검출한 경우에, 자기량을 백업용 자기 헤드(13)에 의해 검출하도록 자동적으로 전환하는 것이다.
이 경우에, 지폐(10)의 삽입 방향(표리)에 관계 없이 자기량을 검출하기 위해서, 전환 회로(8)에 의한 전환은 자기량의 검출에 사용되는 자기 헤드(11,13)가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도록 행하여진다. 예컨대 도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헤드 부착 구멍(21b)에 부착된 자기 헤드(11)가 고장난 경우에는 헤드 부착 구멍(21c,21f)에 부착된 자기 헤드(11)와, 헤드 부착 구멍(21d,21e)에 부착된 백업용 자기 헤드(13)에 의해서 검출된 지폐(10)의 자기량을 감별 회로(5)에 입력하도록 전환 회로(8)가 자동적으로 전환을 한다.
알람 발생 회로(9)는 고장 검출 회로(7)에 의해 자기 헤드(11)의 고장을 검출한 경우에, 그 취지를 오퍼레이터 등에 통지하기 위해 보수 알람(예컨대, 램프의 점등 또는 점멸, 부저의 명동)을 발생하는 것이다.
그다음 도6에 나타내는 변형례에서의 자기 센서 데이터 베이스(4)에는 상기 실시예와 같이, 위치 b, c, f, g 에서의 자기량 정보가 저장되고 또 백업용 자기 헤드(13)의 부착 위치 d, e에서의 정규의 지폐에 관한 자기량 정보가 백업용 자기량 정보로서 미리 저장되어 있다.
그리고, 감별 회로(5)가 어떤 자기 헤드(ll)가 고장난 때에는, 자기 헤드(11) 및 백업용 자기 헤드(13)에 의해 검출된 자기량 정보를 자기 센서 데이터 베이스(4)에서의 자기량 정보 및 백업용 자기량 정보와 대조하여 판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컨대 도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헤드 부착 구멍(21b)에 부착된 자기 헤드(11)가 고장난 경우, 감별 회로(5)는 헤드 부착 구멍(21c,21f)에서의 자기 헤드(11)로부터의 자기량 정보를 자기 센서 데이터 베이스(4)에 저장된 위치 c, f 에서의 자기량 정보와 대조함과 동시에, 헤드 부착 구멍(21d,21e)에서의 백업용 자기 헤드(13)로부터의 자기량 정보를 자기 센서 데이터 베이스(4)에 저장된 위치 c, f 에서의 백업용 자기량 정보와 대조하게 된다.
자기 헤드(11)에 고장이 생긴 것이 알람 발생 회로(9)에 의해 오퍼레이터 등에게 보수 알람으로서 통지되면, 그 보수 알람에 의해 자기 헤드(11)의 고장 발생을 확인한 오퍼레이터는 지폐 감별기의 보수 시에 헤드 부착 구멍(21b)에서의 자기 헤드(11)를 수리하고 나서, 본래의 헤드 부착 구멍(21b,21c,21f,21g)에서의 자기 헤드(11)에 의해서 자기량을 검출하도록 되돌린다.
이와 같이, 도6 및 도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 지폐 감별기에 의하면, 자기 헤드(11)에 고장이 생기더라도, 장치를 정지시키는 일없이, 지폐(10)의 감별 처리를 계속 행할 수 있어, 지폐 감별기의 가동률이 대폭 향상하게 된다.
또한, 도10에 나타낸 바와 같은 자기 라인 센서(102)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자기 라인 센서(102)를 이루는 다수의 자기 검출 소자 중 한개라도 고장나면, 지폐 감별기의 동작을 즉시 정지하여 자기 라인 센서(102)의 전체를 교환하지 않고서는 않되었다. 그러나, 도6 및 도7에 나타내는 지폐 감별기에서는, 자기 헤드(11)에 고장이 생기더라도, 지폐 감별기의 동작을 즉시 정지할 필요가 없고, 또한 고장난 자기 헤드(11)만을 교환/수리하면 좋아서, 지폐 감별기의 보수에 요하는 코스트도 삭감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8개의 헤드 부착 구멍(21a∼21h)을 프레임(20)에 형성하고, 4개의 자기 헤드(11)를 부착시킨 경우에 관해서 설명였지만, 본 발명은 이들 수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4개의 자기 헤드(11)를 1개의 프린트판(25)에 부착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프린트판을 분할하여 각 프린트판에 자기 헤드(11)를 부착하여도 좋다.
예컨대, 도8 및 도9는 본 실시예의 센서 부착 구조의 변형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및 단면도인 데, 이들 도8 및 도9에 나타내는 변형례에서는, 프레임(20)에 4개의 헤드 부착 구멍(21a∼21d)을 형성하고, 2개의 자기 헤드(11)를 부착하고 있다. 2개의 자기 헤드(ll,11)는 각각 프린트판(25-1,25-2)에 부착된 상태이고, 헤드 부착 구멍(21a,21d)에 삽입되어 있다. 또한, 각 프린트판(25-1,25-2)은 상기 실시예의 프린트판(25)과 마찬가지로, 나사 관통 구멍(26)을 관통시킨 프린트판 고정 나사(27)를 프레임(20)의 나사 나합 구멍(22)에 체결함으로써, 2개의 자기 헤드(11,11)는 각각, 프린트판(25-1,25-2)과 함께, 프레임(20)에 대하여 고정된다. 또한 헤드 부착 구멍(21b,21c)에는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더미 헤드(12)가 각각 부착되어 있다. 또, 도8 및 도9에서 기술의 부호와 동일의 부호는 동일 또는 거의 동일 부분을 나타내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8 및 도9에 나타낸 바와 같은 센서 부착 구조에서도, 상기 실시예와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외에, l개의 프린트판에 1개의 자기 헤드(11)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자기 헤드(11)가 고장난 경우, 모든 자기 헤드(11)를 떼는 일없이, 고장난 자기 헤드(11)만을 떼어 수리/교환을 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을 지폐류인 지폐의 감별(진위의 판별)을 하는 지폐 감별기에 적용한 경우에 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지폐의 종류(권종)을 판별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그리고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지폐류가 지폐인 경우에 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지폐이외의 지폐류, 예컨대 유가 증권 등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그리고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특징량 정보가 지폐 상의 인쇄 화상을 형성하는 자기 잉크에 포함되는 자기량이고, 이것을 자기 센서(2)(자기 헤드(11))에 의해 검출하는 경우에 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센서에 의해 인쇄 화상 정보, 광학 정보 등을 특징량 정보로서 검출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되어, 상술한 실시예와 같은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지폐류 판별 장치 및 동 장치에서의 센서 부착 구조에 의하면, 프레임에 형성된 복수의 헤드 부착 구멍에 대하여 특징량 검출 헤드를 착탈이 자유롭게 부착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지폐의 특징량이 현저히 나타나는 위치에 대응하는 헤드 부착 구멍에만 특징량 검출 헤드를 부착함으로써, 사양 변경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고, 또한, 사양에 따른 포인트에서의 특징량 검출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대조용 데이터 베이스 및 대조용 처리 회로를 대폭 간소화할 수 있어서, 장치를 저코스트화할 수 있는 것 뿐만아니라, 판정 처리 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다 (청구항1,5).
이 때, 특징량 검출 헤드를 부착하고 있지 않은 헤드 부착 구멍에 더미 헤드를 부착시킴으로써, 그 헤드 부착 구멍이 폐색되므로 예컨대 특징량 검출 헤드에 대하여 지폐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 부재가 갖추어져 있는 경우에도 지폐는 헤드 부착 구멍과 간섭하는 일 없이 반송되어, 잼의 발생을 확실히 방지하면서 판정을 할 수 있다 (청구항2,6).
또한, 특징량 검출 헤드의 고장 시에는, 헤드 부착 구멍에 부착한 백업용 특징량 검출 헤드로부터의 특징량 정보를 사용하여 판별함으로써, 특징량 검출 헤드에 고장이 생기더라도, 장치를 정지시키는 일없이, 지폐의 판별 처리가 계속적으로 행하여지므로 지폐류 판별 장치의 가동률을 대폭 향상 시킬수있다 (청구항3,7).
그리고 특징량 검출 헤드로서 자기 헤드를 사용함으로써, 지폐류 상의 인쇄 화상의 자기량을 지폐의 특징량 정보로서 검출할 수 있다. 특히, 지폐의 특징량이 현저하게 나타나는 위치, 즉 자기량이 큰 곳에서 자기 헤드가 사용되므로 자기 헤드로부터의 출력도 충분히 크고, 염가인 자기 헤드에 의해, 판정에 필요한 특징량 정보인 자기량을 확실히 검출할 수 있어서, 장치의 한층 더 저코스트화를 실현할 수 있다 (청구항4,8).

Claims (8)

  1. 지폐류의 진위 혹은 종류를 판별하기 위해, 판별에 필요한 특징량 정보를 상기 지폐류로부터 검출하기 위한 센서와, 정규의 지폐류에 관한 특징량 정보를 저장하는 대조용 데이터 베이스와, 상기 센서에 의해 상기 지폐류로부터 검출된 특징량 정보를 상기 대조용 데이터 베이스에서의 특징량 정보와 대조하여 판별하는 판별 회로를 구비한 지폐류 판별 장치로서,
    상기 센서가 상기 특징량 정보를 검출하는 복수의 특징량 검출 헤드로 구성됨과 동시에,
    상기 복수의 특징량 검출 헤드를 부착시키기 위한 프레임이 상기 지폐류의 반송면에 연하여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에 상기 복수의 특징량 검출 헤드를 상기 반송면에 대향하도록 부착시키기 위한 복수의 헤드 부착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헤드 부착 구멍 중에서 특징량이 현저하게 나타나는 위치에 대응하는 헤드 부착 구멍에만 상기 특징량 검출 헤드가 착탈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류 판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헤드 부착 구멍 중에서 상기 특징량 검출 헤드를 부착하고 있지 않은 헤드 부착 구멍에는 상기 지폐류의 반송면에 대향시켜서 상기 헤드 부착 구멍을 폐색하는 더미 헤드가 착탈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류 판별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특징량 검출 헤드의 고장 시에 사용되는 백업용 특징량 검출 헤드가 상기 복수의 헤드 부착 구멍 중의 일부에 착탈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고,
    상기 특징량 검출 헤드의 고장 시에 상기 특징량 정보를 상기 백업용 특징량 검출 헤드에 의해 검출하도록 자동적으로 전환하는 전환 회로가 구비되고,
    상기 대조용 데이터 베이스에 상기 백업용 특징량 검출 헤드의 부착 위치에서의 상기 정규의 지폐류에 관한 특징량 정보가 백업용 특징량 정보로서 미리 저장되고,
    상기 판별 회로가 상기 특징량 검출 헤드의 고장 시에는 상기 백업용 특징량 검출 헤드에 의해 검출된 특징량 정보를 상기 대조용 데이터 베이스에서의 상기 백업용 특징량 정보와 대조하여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류 판별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특징량 검출 헤드가 상기 지폐류 상의 인쇄 화상에 포함되어 있는 자기량을 상기 특징량 정보로서 검출하기 위한 자기 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류 판별 장치.
  5. 지폐류의 진위 혹은 종류를 판별하는 지폐류 판별 장치에 있어서 판별에 필요한 특징량 정보를 상기 지폐류로부터 검출하기 위한 센서를 부착시키기 위한 구조로서,
    상기 센서를 상기 특징량 정보를 검출하는 복수의 특징량 검출 헤드로 구성하고,
    상기 지폐류의 반송면에 연하여 구비된 프레임에 상기 복수의 특징량 검출 헤드를 상기 반송면에 대향하도록 부착시키기 위한 복수의 헤드 부착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헤드 부착 구멍 중에서 특징량이 현저하게 나타나는 위치에 대응하는 헤드 부착 구멍에만 상기 특징량 검출 헤드를 착탈이 자유롭게 부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류 판별 장치에서의 센서 부착 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헤드 부착 구멍 중에서 상기 특징량 검출 헤드를 부착하고 있지 않은 헤드 부착 구멍에는, 상기 지폐류의 반송면에 대향시켜서 상기 헤드 부착 구멍을 폐색하는 더미 헤드를 착탈이 자유롭게 부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류 판별 장치에서의 센서 부착 구조.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특징량 검출 헤드의 고장 시에 사용되는 백업용 특징량 검출 헤드를 상기 복수의 헤드 부착 구멍 중의 일부에 착탈이 자유롭게 부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류 판별 장치에서의 센서 부착 구조.
  8.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특징량 검출 헤드가 상기 지폐류 상의 인쇄 화상에 포함되어 있는 자기량을 상기 특징량 정보로서 검출하기 위한 자기 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류 판별 장치에서의 센서 부착 구조.
KR1019990015612A 1998-07-28 1999-04-30 지폐류 판별 장치 및 동 장치에서의 센서 부착 구조 KR1003138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212182 1998-07-28
JP21218298A JP3483473B2 (ja) 1998-07-28 1998-07-28 紙葉類判別装置および同装置におけるセンサ取付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1252A KR20000011252A (ko) 2000-02-25
KR100313827B1 true KR100313827B1 (ko) 2001-11-15

Family

ID=16618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5612A KR100313827B1 (ko) 1998-07-28 1999-04-30 지폐류 판별 장치 및 동 장치에서의 센서 부착 구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170631B1 (ko)
EP (1) EP0982691B1 (ko)
JP (1) JP3483473B2 (ko)
KR (1) KR100313827B1 (ko)
CN (1) CN1246804C (ko)
DE (1) DE69908258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27601A1 (en) * 1998-12-22 2005-02-03 Walker Jay S. Products and processes for vending a plurality of products
US7894936B2 (en) 1997-10-09 2011-02-22 Walker Digital, Llc Products and processes for managing the prices of vending machine inventory
US7826923B2 (en) 1998-12-22 2010-11-02 Walker Digital, Llc Products and processes for vending a plurality of products
JP4450966B2 (ja) * 2000-10-03 2010-04-14 富士通株式会社 紙葉類鑑別装置
WO2003083786A1 (fr) * 2002-03-29 2003-10-09 Toyo Communication Equipment Co., Ltd. Compteur de factures
US20040045786A1 (en) * 2002-09-05 2004-03-11 Cheng-Kang Yu Banknote receiving system used in a ticket vendor or the like
DE10326698A1 (de) * 2003-06-13 2004-12-30 Giesecke & Devrient Gmbh Prüfung elektrischer Leitfähigkeit und/oder magnetischer Eigenschaften von Sicherheitselementen in Sicherheitsdokumenten
US20050027622A1 (en) * 2003-07-30 2005-02-03 Walker Jay S. Products and processes for vending a plurality of products via defined groups
CN101013515B (zh) * 2006-01-10 2010-08-11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薄片类介质激光检测设备
WO2008050462A1 (en) * 2006-10-24 2008-05-02 Glory Ltd. Bill identifier/counter
US7857114B2 (en) * 2008-07-07 2010-12-28 Glory, Ltd. Banknote discrimination apparatus and banknote discrimination method
CN102117511B (zh) * 2010-01-05 2014-10-15 中钞国鼎投资有限公司 印品防伪检测方法及设备
CN102610027A (zh) * 2011-01-20 2012-07-25 浙江方泰电器有限公司 一种磁图象检测系统
CN103903328A (zh) * 2014-04-08 2014-07-02 上海古鳌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带判别纸张类发行日期的厚度检测装置及纸币处理装置
CN103955994B (zh) * 2014-04-23 2017-08-29 浙江捷峰电子有限公司 开放式独立机芯
JP6586171B2 (ja) * 2015-09-30 2019-10-02 富士通フロンテック株式会社 紙葉類取扱装置、及び紙葉類取扱装置の補正方法
KR102428781B1 (ko) * 2016-03-22 2022-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증발기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WO2017195864A1 (ja) * 2016-05-12 2017-11-16 三菱電機株式会社 バイアス電流回路、信号処理装置及びバイアス電流制御方法
JP2019144603A (ja) * 2016-06-30 2019-08-29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紙葉類識別装置及び紙葉類識別方法
EP3503047B1 (de) * 2017-12-22 2021-01-27 CI Tech Sensors AG Vorrichtung zum nachweis eines magnetischen sicherheitsmerkmals eines wertdokuments und verfahren zur messwertkompensation für den nachweis eines magnetischen sicherheitsmerkmals eines wertdokuments
CN114582063A (zh) * 2022-03-18 2022-06-03 苏州日宝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纸币清分鉴伪设备、方法、终端及存储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12706A (ja) * 1996-01-30 1997-08-15 Sanyo Electric Co Ltd 紙葉類識別装置
JPH1031775A (ja) * 1996-07-16 1998-02-03 Nippon Conlux Co Ltd 紙幣識別機
KR19980014331A (ko) * 1996-08-09 1998-05-25 이진주 지폐 식별기 및 지폐 식별방법
JPH1145362A (ja) * 1997-07-29 1999-02-16 Miyota Co Ltd 紙幣等識別装置のセンサ部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80785A (en) * 1965-07-26 1969-11-25 Vendit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validating documents by spectral analysis of light reflected therefrom
JPS5856088A (ja) 1981-09-29 1983-04-02 株式会社東芝 紙幣判別装置
JPS63300375A (ja) 1987-05-29 1988-12-07 日本電気株式会社 紙幣認識方式
JPH02167490A (ja) 1988-12-21 1990-06-27 Toshiba Corp 紙葉類の判別装置
JP2931123B2 (ja) 1991-03-19 1999-08-09 富士通株式会社 紙葉処理装置
US5222584A (en) * 1991-04-18 1993-06-29 Mars Incorporated Currency validator
JP3320806B2 (ja) 1992-12-28 2002-09-03 日本金銭機械株式会社 紙幣鑑別装置
JP2800627B2 (ja) 1993-04-12 1998-09-2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紙幣識別装置
DE69529454T2 (de) 1994-10-04 2003-09-25 Cummins Allison Corp Verfahren und gerät zur dokumentenerkennung, authentifizierung und/oder zählung
JP2922441B2 (ja) 1995-03-07 1999-07-26 日本金銭機械株式会社 紙幣取扱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12706A (ja) * 1996-01-30 1997-08-15 Sanyo Electric Co Ltd 紙葉類識別装置
JPH1031775A (ja) * 1996-07-16 1998-02-03 Nippon Conlux Co Ltd 紙幣識別機
KR19980014331A (ko) * 1996-08-09 1998-05-25 이진주 지폐 식별기 및 지폐 식별방법
JPH1145362A (ja) * 1997-07-29 1999-02-16 Miyota Co Ltd 紙幣等識別装置のセンサ部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0048237A (ja) 2000-02-18
CN1243295A (zh) 2000-02-02
DE69908258D1 (de) 2003-07-03
KR20000011252A (ko) 2000-02-25
CN1246804C (zh) 2006-03-22
EP0982691A2 (en) 2000-03-01
JP3483473B2 (ja) 2004-01-06
EP0982691A3 (en) 2000-05-17
US6170631B1 (en) 2001-01-09
EP0982691B1 (en) 2003-05-28
DE69908258T2 (de) 2003-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3827B1 (ko) 지폐류 판별 장치 및 동 장치에서의 센서 부착 구조
EP1688892B1 (en) Bill discrimination apparatus
USRE39773E1 (en) Toner cartridge identification system for a printer
US9123192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banknotes
KR100661440B1 (ko) 종이류 특징 검출 장치 및 종이류 특징 검출 방법
US5964336A (en) Bill identifying apparatus and a bill identifying method
WO2014024613A1 (ja) 貨幣処理機、貨幣処理システムおよび貨幣処理方法
US4906827A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ancelling bank notes
US5259678A (en) Printing apparatus for negotiable instruments and securities
US9179026B2 (en) Device for cancelling checks
KR101268711B1 (ko) 지폐인출장치 및 이의 인출방법
KR101901405B1 (ko) 금융자동화기기
KR200303526Y1 (ko) 지폐계수장치
KR200394552Y1 (ko) 이력 관리를 수행하는 현금 자동지급기
KR100442498B1 (ko) 현금 자동 지급기의 지폐 잔여량 검출 장치 및 방법
KR20050038706A (ko) 용지두께 검지장치 및 그 방법
KR960001410Y1 (ko) 다권종 지폐 지급기의 권종 확인 장치
KR20230102861A (ko) 자기저항센서 텐션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매체 입금기
JP2002032816A (ja) 紙葉類厚み検査装置および検査方法
JPS61147392A (ja) 紙幣鑑別センサのクリ−ニング装置
JPS6141032B2 (ko)
KR0122744Y1 (ko) 금전등록기용 프린터의 기록지 잔량감지장치
JPS62224883A (ja) 紙幣鑑別装置
JPH04367095A (ja) 現金自動取引機
JPH0346066A (ja) 自動取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