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2634B1 - 스피커 진동판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스피커 진동판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2634B1
KR100312634B1 KR1019990039730A KR19990039730A KR100312634B1 KR 100312634 B1 KR100312634 B1 KR 100312634B1 KR 1019990039730 A KR1019990039730 A KR 1019990039730A KR 19990039730 A KR19990039730 A KR 19990039730A KR 100312634 B1 KR100312634 B1 KR 1003126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cutting
diaphragm
setting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9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7644A (ko
Inventor
곽영진
Original Assignee
곽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영진 filed Critical 곽영진
Priority to KR1019990039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2634B1/ko
Publication of KR20010007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76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26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26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transducers or diaphragms therefor
    • H04R31/003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transducers or diaphragms therefor for diaphragms or their outer suspen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피커 진동판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진동판의 제조작업이 프레스금형작업과 또 커팅작업들이 별도로 구성되어 있어 작업의 연속성이 떨어지고 또 성형위치나 커팅위치를 모두 수작업에 의해 설정되도록 되어 있어 진동판 제조작업이 더디고 불편하여 생산성이 떨어지며 또 불량율이 높아지는 폐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스피커의 진동판을 프레스금형을 통한 성형작업과 커팅작업이 연속으로 동시에 이루어지고, 또 성형위치와 커팅위치를 자동으로 셋팅해주도록 하여 빠른 시간내에 다량생산이 가능하여 생산성이 향상되고, 불량률이 최소화되도록 하였다.

Description

스피커 진동판 제조장치{A manufacturing device of an oscillation plate for speaker}
본 발명은 스피커 진동판을 제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두 개의 금형을 교호로 이동시키면서 가열 및 냉각시켜 롤상태에서 풀려 나오는 필름상에 스피커 진동판을 일체로 성형하고 진동판이 성형된 필름을 이송시키면서 필요한 부분만 커팅하는 작업을 자동화하여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또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는 스피커 진동판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디오나 텔레비젼 또는 각종 통신기기에는 가청주파수의 음성신호로 바꾸어주기 위한 스피커가 반드시 내장되며, 이러한 기능을 가능하도록 스피커의 내부에는 진동판이 설치된다.
이러한 진동판을 제조하는 종래의 진동판 제조장치는 필름에 진동판을 성형하는 프레스금형과, 성형된 진동판을 적당한 크기로 커팅하는 커팅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필름을 프레스금형에 위치시킨 후 스위치를 조작하여 상부금형을 하부금형에 형합하여 그 사이에 개재된 필름에 진동판을 성형을 하고, 또 이와 같이 진동판이 연속되게 형성된 필름을 커팅장치로 공급하여 정확한 커팅위치를 수작업으로 세팅한 후 필요한 부분만 커팅하여 진동판을 생산토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진동판의 제조작업시 프레스금형작업과 또 커팅작업들이 별도로 구성되어 있어 작업의 연속성이 떨어지고 또 성형위치나 커팅위치를 모두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어 진동판 제조작업이 더디고 불편함은 물론 생산성이 떨어지며, 또 불량률이 높아지는 폐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폐단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프레스금형작업과 커팅작업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고 또 성형위치와 커팅위치를 자동으로 셋팅해주도록 하여 빠른 시간내에 다량생산이 가능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불량률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스피커 진동판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롤상태의 필름장착부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 금형의 구조를 나타낸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필름 절단장치 및 이송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구조도,
도 6은 본 발명의 필름 절단장치 및 이송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이송장치의 구조도,
도 8은 본 발명의 필름 수급조절장치의 구조도,
도 9는 도 8의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커팅장치 구조도,
도 11은 본 발명의 커팅장치를 필름이 이송되는 방향에서 본 구조도,
도 12는 본 발명의 커팅장치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커팅장치 커팅날의 요부 확대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필름 최종이송장치의 구조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베드 11 - 프레임 12 - 수평프레임
13 - 필름롤 14 - 필름롤롤러 15a,15b,15c - 인입롤러
20a,20b - 상,하부금형 21 - 가압실린더 22a - 주실린더
22b,22c - 보조실린더 23 - 가동판 24a,24b,24c - 상,중,하부센서
25 - 수평실린더 26a,26b - 가이드레일 27 - 전기히터선
28 - 물재킷 29a - 공급관 29b - 배출관
30 - 쿨러 31 - 콤프레셔 32 - 3방 밸브
33 - 축지지대 34 - 절단샤프트 35 - 절단날
36 - 안내롤러축 37 - 안내롤러 38 - 절단홈
40 - 이송롤러 41 - 가압롤러 42 - 마찰홈
43 - 모터 44 - 체인 45 - 수직프레임
46 - 수직실린더 47 - 필름수용부 48a,48b - 위치감지센서
49 - 안내가이드 49a - 안내홈 50 - 하부커터날
51 - 가동커터날 52 - 실린더 53 - 배출구멍
54 - 저장통 55 - 안내가이드 56 - 안내홈
60 - 세팅판 61 - 세팅구멍 62 - 경사안내면
63 - 회동축 64 - 돌출바 65 - 푸쉬
66 - 위치감지센서 67 - 이송롤러장치 68 - 이송롤러
69 - 가압롤러 70 - 모터 71 - 지지대
72 - 수평지지대 80 - 제어부 S2 - 회동축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단은,
베드와: 상기 베드의 선단부에 프레임을 갖고 이 프레임에 롤상태로의 필름을 회전가능하게 셋팅하는 장착부와: 상부금형을 가압실린더에 의해 승하강되는 가동판에 설치하고, 그 하부의 베드 상에 성형 및 이형시에 적정온도로 급속 가감시키는 온도변환장치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하부금형을 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하여 상부금형과 교호로 형합하는 성형수단과; 상기 성형수단의 다음위치에 설치되어 장착부에 셋팅된 필름을 상,하부금형의 사이로 적정장력을 유지하며 이송되도록하는 필름 이송장치와; 진동판이 다수개 성형되어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필름을 일시 수용하고 또 수용되는 필름의 늘어진 위치를 센싱하는 센싱장치가 설치된 필름수용부와; 상부에 실린더에 의해 승하강되는 이동커터날, 그 하부에 커팅된 진동판의 배출구멍을 갖는 하부커터날로 보관부의 필름에 성형된 진동판을 커팅하고 그하부에 수거통을 갖는 커팅장치와; 상기 커팅장치로 이송되는 필름상에 성형된 진동판을 감지하여 정확한 커팅위치에 셋팅시킴과 동시에 커팅장치를 동작시키고 커팅완료 후 필름을 이동시키면서 다음 진동판 위치를 센싱하는 커팅위치세팅장치와; 상기 커팅장치의 후측에 설치되어 필름수용부의 필름을 이송시키는 이송롤러장치와; 상기 장치들의 동작을 자동 및 수동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되어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롤상태의 필름장착부 구조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가 이동 가능하도록 하부에 롤러가 설치된 베드(10)의 일측에 필름이 감겨있는 필름롤(13)을 셋팅하는 장착부가 설치되어 있다. 장착부는 전,후로 구성된 복수개의 프레임(11)을 양측에 각각 수직으로 설치하고 전후 프레임(11)을 연결하는 상하 수평프레임(12a)(12b)을 높이 조절가능하게 설치하여 구성된다. 이 양측 수평프레임(12a)(12b)의 중앙부에는 소정간격으로 이격설치된 한쌍의 받침롤러(121)가 내측으로 대향되게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필름롤(13)이 설치되는 필름롤롤러(14)의 양단이 양측 받침롤러(121)의 사이에 안착된다. 이때 한쌍의 받침롤러(121)의 간격은 후술될 필름롤러(14)의 지름보다 좁은 간격을 가지므로 필름롤롤러(14)는 빠지지 않고 받침롤러(121)상에서 회전이 자유롭게 안착된다.
또 수평프레임(12a)(12b)에는 필름롤(13)로부터 인출된 필름이 늘어지지 않고 팽팽한 상태로 인출되도록 세 개의 인입롤러(15a)(15b)(15c)를 설치하여 이를 지그재그로 통과시키도록 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금형의 구조를 나타낸 확대도로서, 인입롤러(15a)(15b)(15c)의 차순위치에 필름상에 진동판의 형상을 성형하는 금형이 설치되어 있다. 이 금형은 상,하부금형(20a)(20b)으로 구분되며, 상부금형(20a)은 가압실린더(21)에 의해 승하강되는 가동판(23)의 저면에 설치되고, 그 하부의 베드(10)상에는 하부금형(20b)이 설치된다. 가압실린더(21)는 중앙부의 주실린더(22a)와 양측의 보조실린더(22b)(22c)로 구성되어 균일한 압력으로 형합되도록 되어 있으며, 실린더의 측면에 설치된 실린더로드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센서(24a)(24b)(24c)를 설치하여 2단 즉 하강동작과 가압동작으로 구분하여 가압하도록 되어 있다. 또 하부금형(20b)은 복수개로 구성되며, 양측의 가이드바(26a)(26b)에 의해 필름의 이송방향과 직각이 되는 방향으로 함께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그 일측에는 하부금형(20b)을 이송시키는 수평실린더(25)가 설치되어 상부금형(20a)과 교호로 형합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하부금형(20b)의 상면에는 두줄 다열로 성형돌기를 가지고 있으며, 상부금형(20a)에는 이와 형합되는 성형홈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한번 성형에 여러개의 진동판을 필름에 성형할 수 있다. 또한 하부금형(20b)의 내부에는 필름의 성형시 온도를 적정온도까지 올려주기 위한 히터선(27)이 배선되어 있고, 성형된 필름을 이형시킬 때 금형을 급냉시키기 위해 내부에 물재킷(28)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물재킷(28)에는 냉각수를 공급하는 공급관(29a) 및 이를 배출하는 배출관(29b)이 연결되어 있으며, 물공급관(29a)과 배출관(29b)은 쿨러(30)와 연결되어 있다. 또한 급냉작동후 가온할 때 물재킷(28)의 물을 제거하기 위해 물공급관(29a)에는 고압의 공기를 압송하는 콤프레셔(31)가 연결되어 있으며, 그 연결부에는 냉각수 공급시에는 공기공급관(29c)을 차단하고 공기 압송시에는 냉각수 공급관(29a)을 차단하는 3방 밸브(32)가 설치되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필름 절단장치 및 이송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구조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필름 절단장치 및 이송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이송장치의 구조도로서, 상,하부금형(20a)(20b)을 지난 필름상에는 2열의 진동판이 일정한 간격으로 성형되는데, 이 필름이 이송되는 궤도에 안내롤러(37)와 절단날(35)이 설치된다. 안내롤러(37)와 절단날(35)은 양측의 축지지대(33)에 양단이 축착되며, 안내롤러축(36)은 하부에 절단샤프트(34)는 상부에 설치된다. 그리고 안내롤러(37)는 안내롤러축(36)의 양측에 필름 넓이보다 약간 좁은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절단날(35)은 절단샤프트(34)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필름의 중앙부를 절단하도록 되어 있다. 절단날(35)은 그 단부가 하부로 탄력회전되도록 텐션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절단날(35)이 위치하는 베드(10)상에는 절단날(35)과 대응되는 절단홈(38)이 형성되어 있다. 참조번호 39는 필름을 일정한 궤도로 안내하는 안내대이며, 이는 이송되는 필름의 크기에 따라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절단날(35)이 설치된 절단샤프트(34)의 다음 위치에는 필름을 이송하는 이송장치가 설치된다. 이 이송장치는 이송롤러(40)와 그 상부에 가압롤러(41)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송롤러(40)는 양측에 지지대(45a)(45b)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또 일측 축이 상부에 설치된 모터(43)의 회전축과 벨트(44)(체인)으로 연결되어 회전되며, 가압롤러(41)는 수직실린더(46)의 로드하단에 설치된 브래킷에 회전자유롭게 설치되어 필름의 세팅시 승강시키고 세팅완료시 하강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부에 수직실린더(46)가 설치되어 필름의 이송시에는 가압롤러(41)를 이송롤러(40)의 표면에 밀착시키고 진동판의 성형시에는 승강시켜 필름의 이송을 정지토록 되어 있다. 참조번호 46a,46b는 보조실린더이다.
또한 이송장치의 다음 위치에는 성형되어 이송되는 필름을 수용하는 필름수용부(47)가 설치되어 있다. 이 필름수용부(47)는 상구개 개구된 통형상으로서 그내부에 필름 수급조절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필름 수급조절장치는 필름수용부(47)의 중앙상부와 하부에는 필름의 늘어진 정도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48a)(48b)를 구성하여 필름이 늘어져 하부의 위치감지센서(48b)에 감지되면 커팅장치를 작동하고 상부위치감지센서(48a)에 감지되면 정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 수급조절장치는 도 8, 도 9에서와 같이 필름수용부(47)에는 양측에 가이드레일(49a)(49b)을 수직으로 설치하고, 이 가이드레일(49a)(49b)에 양단이 수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어 커팅장치로 연결되는 필름을 하부에 걸고 그 필름의 장력에 따라 승하강되는 수평축(S1)을 설치하며, 가이드레일(49a)(49b)의 상,하부에 수평축(S1)의 위치를 센싱하는 상,하부위치감지센서(48a)(48b)를 구비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의 필름수급장치는 필름의 장력이 높아지면 수평축(S1)이 승강하고 낮아지면 하강하게 되는데, 수평축(S1)이 상부 위치감지센서(48a)에 센싱되면 커팅장치가 정지하고 수평축(S1)이 하부 위치위치감지센서(48b)에 센싱되면 커팅장치가 다시 작동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커팅장치 구조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커팅장치를 필름이 이송되는 방향에서 본 구조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커팅장치 평면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커팅장치 커팅날의 요부 확대도로서, 커팅장치는 하부커터날(50)의 상부에서 수직으로 승하강하는 가동커터날(51)로 구성된다. 가동커터날(51)은 그 상부에 설치된 실린더(52)에 의해 하부커터날(50)로 승하강작동하도록 되어 있으며, 하부커터날(50)은 중앙부에 절단된 진동판을 배출하는 배출구멍(5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부커터날(50)의 하부에는 절단되어 배출된 진동판을 임시저장하는 저장통(54)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커팅장치로 이송되는 궤도의 입구부에는 도 10에서와 같이 필름이 정확한 궤도로 이송안내하기 위한 안내가이드(55)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 안내가이드(55)의 양측에 필름의 양단이 삽입안내 되는 안내홈(56)이 대향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커팅장치에는 이송되는 필름상의 진동판이 정확하게 커터날에 위치하여 절단되도록 하는 커팅위치세팅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커팅위치세팅장치는 이송되는 필름상의 진동판을 감지하여 커터날에 위치시키는 세팅판(60)과, 이 세팅판(60)의 양측에 결합된 회동바(63)와, 이 회동바(63)의 후측단을 고정결합하고 양측이 축받이에 축착되며 탄성수단에 의해 세팅판(60)이 하부로 하강되도록 탄력을 가하는 회동축(S2)과, 진동판의 반대측 회동축(S2)의 일측단 고정결합된 회동레버(64)와, 이 회동레버(64)의 상부에서 회동레버(64)를 밀어 세팅판(60)을 들어올려주는 푸쉬(65)로 구성되어 있다.
세팅판(60)은 필름이 이송되는 쪽부에 필름상의 진동판을 타고넘기 용이하도록 도 10에서와 같이 경사안내면(62)이 형성되어 있고, 중앙부에는 하부커터날(50) 및 가동커터날(51)과 일치하면서 진동판을 수용하는 세팅구멍(61)이 도 12와 같이 형성되어 있다. 이 세팅구멍(61)은 하부, 및 가동커터날(50)(51)의 개수와 비례하여 다수개 설치할 수 있다.
또 회동축(63)은 세팅판(60)의 전방상부에 상하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데, 그 양단이 세팅판(60)의 양측에 회전자재되게 축결합되어 있고, 또 세팅판(60)이 필름의 진동판의 형상을 변형시키지 않을 정도로 가압하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회동레버(64)는 상부에 세팅판(60)의 세팅구멍(61)에 삽입된 진동판의 커팅이 완료되면 세팅판(60)이 세팅위치로부터 벗어나도록 승강시키기 위한 것으로 그 상부에 설치된 푸쉬(65)가 회동레버(64)를 밀어 회동축(63)을 회동시키므로 반대측 세팅판(60)이 약간 상승되도록 되어 있다. 또 회동레버(64)가 승강한 상사점에 위치감지센서(66)가 설치되어 이 위치감지센서(66)에 회동레버(64)가 위치하면 세팅판(60)의 세팅구멍(61)에 진동판이 삽입된 것으로 인식하여 필름을 이송하는 이송롤러장치(67)가 정지함과 동시에 가동커터날(51)이 하강작동하여 필름에 성형되어 있는 진동판을 절단하도록 되어있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필름 최종이송장치의 구조도로서, 커팅장치의 후측에는 필름을 이송하는 이송롤러(68)가 설치되어 있고, 그 상부에 가압롤러(69)가 밀착 설치되어 그 사이로 통과되는 필름을 이송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에는 이송롤러(68)를 회전시키는 모터(70)가 설치되어 이송롤러(68)와 벨트로 연결되어 있고, 이송롤러(68)을 지지하는 지지대(71)의 상부에 수평지지대(72)를 통해 실린더(73)가 가압롤러(69)를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되어 있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롤상태의 필름을 장착부에 장착하고 그 단부를 인입롤러(15a)(15b)(15c)에 지그재그로 걸고 상,하부금형(20a)(20b)의 사이를 지나 안내롤러(37) 및 이송장치로 통과시킨다.
이 상태에서 제어부(80)를 통해 본 발명을 작동시키면 일측 금형에 히터선(27)이 금형을 가열하고 적정온도로 가열되면 이를 센싱하여 제어부(80)가 가압실린더(21)를 작동하여 상부금형(20a)을 하강시킨다. 상부금형(20a)이 하부금형(20b)의 위치에 근접하게 되면 가압실린더(21)의 로드의 후단부가 중앙센서(24b)에 인식되어 저속으로 하강하면서 적정압력으로 적정시간동안 가압하게 되고 최하단의 위치에 오게 되면 가압실린더(21)의 로드 후단이 하부센서(20c)에 센싱되며, 이는 곳 쿨러(30)가 작동하여 공급관(29a)을 통해 하부금형(20b)내의 물재킷(28)으로 냉각수를 유입시켜 성형된 필름이 하부금형(20b)으로부터 용이하게 이형되도록 급속냉각시켜준다. 일단 금형이 적정온도로 냉각되어 그 온도가 센싱되면 이는 제어부(80)에 전달되어 가압실린더(21)는 후퇴하고 상부금형(20a)은 형개되어 승강하게 되며 이열 다줄로 진동판이 성형완료된 필름은 금형으로부터 이형된다.
가압실린더(21)의 로드 후단이 최상단에 위치하게 되면 상부센서(24a)에 감지되어 가압실린더(21)는 정지하게 되며, 모터(43)의 작동에 의해 이송롤러(40)가 작동하여 필름을 이송시켜 다시 금형의 위치에 필름롤(13)로부터 공급된 필름을 위치시킨다.
진동판이 성형된 필름은 안내롤러(37)를 통과하면서 그 상부에 설치된 절단날(35)에 의해 중앙부가 2분할 되게 된다.
한편, 이와 동시에 타측 하부금형(20b)에는 히터선(27)이 작동하여 진동판 성형에 적당한 온도로 가열하고, 그 온도가 적정온도에 도달하게 되면 제어부(80)는 수평실린더(25)를 작동하여 하부금형(20b)을 밀거나 당겨 타측금형의 위치를 상부금형(20a)의 위치로 바꾸어주게 되며, 다시 처음과 같은 동작을 교호로 반복 수행하게 된다. 물론 위치가 바뀌어진 하부금형(20b)은 진동판의 성형온도로 히터선(27)을 작동하여 금형을 가열시키게 된다. 또한 냉각되었던 금형을 가열할 때에는 공급관(29a)에 설치된 삼방밸브(32)가 작동하여 공기를 압송하는 콤프레셔(31)와 연결된 공기 공급관을 연통시켜주게 되고, 이와 동시에 콤프레셔(31)는 고압으로 공기를 압송하여 물재킷(28)내의 냉각수를 쿨러(30)의 내부로 회수시킨다. 그런다음 히터선(27)을 작동하여 하부금형(20b)을 작동시킨다.
성형되어 이송롤러(40)를 통과한 필름은 별도로 보관하거나 또는 연속적으로 커팅장치를 지나 이송롤러장치(67)에 물려놓게 되면 이송장치에 의해 지속적으로이송되던 필름이 하부로 늘어져 필름수용부(47)의 하부위치감지센서(48b)에 감지되게 된다. 이 신호를 제어부(80)가 전달받아 이송롤러장치(67)는 작동하여 필름을 이송하게 된다. 이때 필름의 상부에 접촉되어 있던 세팅판(60)은 회동바(63)가 탄성수단에 의해 가압하는 탄성력에 의해 필름의 상부를 타고 넘다가 중앙부에 형성된 세팅구멍(61)에 진동판부가 삽입되게 되면 하강하게 되며, 그 반대편의 회동레버(64)는 상승하여 상부위치감지센서(66)에 감지된다. 이 신호에 의해 제어부(80)는 수직실린더(46)를 작동시켜 후측의 이송장치를 정지시키게 되고, 가동커터날(51)을 하강시켜 필름상에 성형된 진동판을 절단한 후 다시 상승하게 되고 커팅된 진동판은 하부커터날(50)의 중앙부에 형성된 배출구멍(53)을 통해 하부의 저장통(54)에 임시저장되게 된다. 또한 가동커터날(51)이 승강하게 되면 이 작동과 함께 이송장치는 다시 작동하게 되고, 회동레버(64)의 상부에 설치된 푸쉬(65)가 돌출되어 회동레버(64)를 하강시키게 되며, 세팅판(60)은 진동판이 절단된 필름으로부터 이격된다. 이와 동시에 이송롤러장치(67)는 작동하여 필름을 이송시키게 되고 진동판이 절단된 필름부위가 세팅구멍(61)으로부터 벗어나자마자 푸쉬(65)는 후퇴하여 다시 세팅판(60)은 진동판이 성형된 필름의 상부를 약간의 텐션을 가하면서 다음 진동판부가 세팅구멍(61)내로 삽입될 때까지 타고넘어가게 된다.
또한 이러한 커팅장치는 금형장치와 별도로 작동할 수 있으며, 이미 금형장치를 통하여 성형해둔 필름을 선작업한 후 커팅장치만 별도로 작동하여 진동판 절단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스피커의 진동판을 프레스금형을 통한 성형작업과 커팅작업이 연속으로 동시에 이루어지고, 또 성형위치와 커팅위치를 자동으로 셋팅해주도록 되어 있어 빠른 시간내에 다량생산이 가능하여 생산성이 향상되고, 불량률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베드(10)와:
    상기 베드(10)의 선단부에 프레임을 갖고 이 프레임에 롤상태로의 필름을 회전가능하게 셋팅하는 장착부와:
    상부금형(20a)을 가압실린더(21)에 의해 승하강되는 가동판(23)에 설치하고, 그 하부의 고정판 상에 성형 및 이형시에 적정온도로 급속냉각 및 가온시키는 온도변환장치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하부금형(20b)을 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하여 상부금형(20a)과 교호로 형합하는 성형수단과;
    상기 성형수단의 다음위치에 설치되어 장착부에 셋팅된 필름을 상,하부금형(20a)(20b)의 사이로 적정장력을 유지하며 이송되도록 인출하는 필름 이송장치와;
    진동판이 다수개 성형되어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필름을 일시 수용하고 또 수용되는 필름의 늘어진 정도를 센싱하는 센싱장치가 설치된 필름수용부(47)와;
    상부에 실린더(52)에 의해 승하강되는 가동커터날, 그 하부에 커팅된 진동판의 배출구멍(53)을 갖는 하부커터날(50)로 보관부의 필름에 성형된 진동판을 커팅하고 그 하부에 수거통을 갖는 커팅장치와;
    상기 커팅장치로 이송되는 필름상에 성형된 진동판을 감지하여 정확한 커팅위치로 셋팅시킴과 동시에 커팅장치를 동작시키고 커팅완료 후 필름을 이동시키면서 다음 진동판 위치를 센싱하는 커팅위치세팅장치와;
    상기 커팅장치의 후측에 설치되어 필름수용부(47)의 필름을 이송시키는 이송롤러장치(67)와;
    상기 장치들의 동작을 자동 및 수동으로 제어하는 제어부(8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진동판 제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변환장치는 하부금형(20b)의 내부에 배선되어 온도를 성형에 적정한 온도로 급속 가열하는 히터선(27)과;
    내부에 물재킷(28)을 포함하고, 상기 물재킷(28)에 냉각수 공급관(29a)과 배출관(29b)을 연결하여 이형시 냉각수를 공급하여 적정온도로 급속냉동하는 쿨러(30)와;
    이형완료후 히터선(27)을 이용한 가열시 공급관(29a)을 차단하는 밸브 및 밸브를 통해 공기를 물재킷(28)으로 압송하여 내부에 충진된 냉각수를 완전히 배출시키는 공기압송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진동판 제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이송장치는 표면에 수개의 마찰홈(42)을 촘촘하게 형성한 이송롤러(40)의 일측 축단을 체인(44)으로 모터(43)와 연결시키고, 양측에 수직으로 프레임을 설치하여 이에 상기 이송롤러(40)의 상부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된 가압롤러(41)를 가지며, 상기 가압롤러(41)의 상부에 필름인출여부에 따라 가압롤러(41)를 승하강시키는 실린더(46)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진동판 제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진동판이 성형된 필름이 이송되는 구간 양측에 축지지대(33)를 설치하고, 그 하부에 안내롤러축(36)을 설치하고, 그 축의 양측에 필름이 일정한 궤도로 이송되도록 안내하는 안내롤러(37)를 갖고, 상기 안내롤러(37)의 상부 축지지대(33)에 절단샤프트(34)를 구비하고 그 중앙부에 텐션장치에 의해 하부로 탄력회동되도록 설치되어 이송되는 필름의 중앙을 절단하는 절단날(35)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진동판제조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수용부(47)의 중앙하부와 상부에는 이송되는 필름의 늘어진 상태를 감지하여 커팅장치를 구동 및 정지시키는 감지장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진동판 제조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수용부(47)에는 양측에 가이드레일(49a)(49b)을 수직으로 설치하고, 이 가이드레일(49a)(49b)에 양단이 수직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연결되어 커팅장치로 연결되는 필름을 하부에 걸고 그 필름의 장력에 따라 승하강되는 수평축(S1)을 설치하며, 상기 가이드레일(49a)(49b)의 상,하부에 수평축(S1)의 위치를 센싱하는 상,하부위치감지센서(48a)(28b)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진동판 제조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커팅위치세팅장치는 이송되는 필름이 이송되는 궤도에 양측에 필름의 양단이 삽입안내 되는 안내홈(46)을 구비한 안내가이드(55)와;
    가동커터날(51)과 하부커터날(50)과 일치하는 위치에 필름상에 성형된 진동판을 수용하는 세팅구멍(61)을 갖고 그 전방에 이송되는 필름상의 진동판을 타고넘기 용이하도록 경사안내면(62)을 형성한 세팅판(60)과;
    양단이 갈라져 상기 세팅판(60)의 양측 중앙부와 연결되어 상기 세팅판(60)을 승하강 시키는 회동바(63)와;
    양단이 축받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중앙부에 상기 회동바(63)의 선단을 고정 결합하여 탄성수단에 의해 상기 세팅판(60)을 하부로 탄력이동시키는 회동축(S2)과;
    상기 회동축(S2)의 일측에 회동바(63)와 반대방향으로 고정 설치된 회동레버(64)와;
    상기 회동레버(64)의 상부에 세팅판(60)의 세팅구멍(61)에 삽입된 진동판을 커팅완료후 이를 센싱하여 회동레버(64)가 세팅판(60)이 세팅위치로부터 벗어나도록 밀어 승강시키는 푸쉬(6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진동판 제조장치.
KR1019990039730A 1999-09-16 1999-09-16 스피커 진동판 제조장치 KR1003126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9730A KR100312634B1 (ko) 1999-09-16 1999-09-16 스피커 진동판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9730A KR100312634B1 (ko) 1999-09-16 1999-09-16 스피커 진동판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7644A KR20010007644A (ko) 2001-02-05
KR100312634B1 true KR100312634B1 (ko) 2001-11-03

Family

ID=19611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9730A KR100312634B1 (ko) 1999-09-16 1999-09-16 스피커 진동판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263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1012B1 (ko) 2007-01-31 2007-08-22 박용빈 스피커 진동판 제조장치
CN103692186A (zh) * 2013-12-06 2014-04-02 苏州博众精工科技有限公司 一种耳机自动装配机
KR101462135B1 (ko) * 2014-01-08 2014-11-14 케이씨케미칼 주식회사 마그네슘 스피커 진동판 제조장치
KR101487854B1 (ko) * 2013-08-19 2015-02-03 유도스타자동화 주식회사 사출용 커팅장치
KR101933344B1 (ko) 2018-03-16 2018-12-27 조영옥 이어폰용 금속재 링 제조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37300A (ja) * 1989-02-01 1990-09-19 Audio Technica Corp 電気音響変換器の振動板の製造方法および振動板製造用の加熱成形装置
JPH06205487A (ja) * 1992-12-29 1994-07-22 Asahi Sakai Kk スピーカーグリルの製法と装置
JPH07284196A (ja) * 1994-04-11 1995-10-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ピーカ用磁気回路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KR960043671A (ko) * 1995-05-06 1996-12-23 구자홍 키폰전화기의 라지엘씨디표시판에 전화번호 안내 및 호출방법
JPH114498A (ja) * 1997-04-15 1999-01-06 Sony Corp 音響振動板成型用金型装置及び音響振動板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37300A (ja) * 1989-02-01 1990-09-19 Audio Technica Corp 電気音響変換器の振動板の製造方法および振動板製造用の加熱成形装置
JPH06205487A (ja) * 1992-12-29 1994-07-22 Asahi Sakai Kk スピーカーグリルの製法と装置
JPH07284196A (ja) * 1994-04-11 1995-10-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ピーカ用磁気回路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KR960043671A (ko) * 1995-05-06 1996-12-23 구자홍 키폰전화기의 라지엘씨디표시판에 전화번호 안내 및 호출방법
JPH114498A (ja) * 1997-04-15 1999-01-06 Sony Corp 音響振動板成型用金型装置及び音響振動板の製造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1012B1 (ko) 2007-01-31 2007-08-22 박용빈 스피커 진동판 제조장치
KR101487854B1 (ko) * 2013-08-19 2015-02-03 유도스타자동화 주식회사 사출용 커팅장치
CN103692186A (zh) * 2013-12-06 2014-04-02 苏州博众精工科技有限公司 一种耳机自动装配机
KR101462135B1 (ko) * 2014-01-08 2014-11-14 케이씨케미칼 주식회사 마그네슘 스피커 진동판 제조장치
KR101933344B1 (ko) 2018-03-16 2018-12-27 조영옥 이어폰용 금속재 링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7644A (ko) 2001-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U1655297A3 (ru) Способ подачи термопластичного листа из экструдера в устройство дл формовани листовых термопластов и устройство дл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
KR100312634B1 (ko) 스피커 진동판 제조장치
AU594590B2 (en) Die casting apparatus
CN110422382B (zh) 一种卤蛋包装下膜成型机构
CN208344659U (zh) 印刷片材成型容器的对标封口装置
CN110315892A (zh) 转盘式自动车牌制作机
US2003004784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ugged strip removal
CN208515055U (zh) 一种印刷制袋一体机
CN204604944U (zh) 一种气相微分法饱和材料成型装置
US678026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endless reinforced rubber articles
KR100795977B1 (ko) 스페이서 필름 성형용 금형과 이의 제조장치
KR102235146B1 (ko) 냉각 성능이 개선된 3d 포밍필름 제조 장치
KR100659653B1 (ko) 캐리어 테이프용 성형장치
US20040131447A1 (en) Device for backing of book blocks
KR100851327B1 (ko) 수지용기 제조장치
CN219523011U (zh) 一种塑料瓶坯上料机构
CN219256278U (zh) 一种入料机构及射料枪
KR100492636B1 (ko) 철판 밴딩머신
US20030042111A1 (en) Strip inverter
KR20060053642A (ko) 프레스장치
CN219789275U (zh) 一种包装箱用覆膜机
CN211492909U (zh) 一种双层热压机开模同步机构
CN214645103U (zh) 一种热成型机进料装置
KR100631481B1 (ko) 이송장치
CN217598105U (zh) 一种薄膜印刷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1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