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2487B1 - 영상표시기기의다기능회전및경사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영상표시기기의다기능회전및경사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2487B1
KR100312487B1 KR1019980040873A KR19980040873A KR100312487B1 KR 100312487 B1 KR100312487 B1 KR 100312487B1 KR 1019980040873 A KR1019980040873 A KR 1019980040873A KR 19980040873 A KR19980040873 A KR 19980040873A KR 100312487 B1 KR100312487 B1 KR 1003124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image display
rotation
base
incli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0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1652A (ko
Inventor
최문홍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800408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2487B1/ko
Publication of KR20000021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16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2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24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18Heads with mechanism for moving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3Supporting arrangements, e.g. for filters or documents associated to a laptop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표시기기의 다기능 회전 및 경사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하부받침대와 상부받침대 또는 상부받침대와 고정편의 접촉으로 인하여 영상표시기기의 회전 및 경사조절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할뿐만 아니라 그 회전 및 경사조절 각도가 일정하게 유지되지 못하였고, 영상표시기기의 각 주변기기들이 모두 영상표시기기의 주변에 위치하는 관계로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면서 보다 효율적인 공간활용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도 초래되었다.
이에 본 발명은, 영상표시기기를 지지하는 베이스와 삼발이 형태의 스텐드를 제공하고 상기의 베이스와 스텐드에 링부재와 오퍼레이터를 결합시키므로서, 링부재와 오퍼레이터를 통해 영상표시기기의 회전 및 경사조절이 마찰력에 적절히 대응하면서 영상표시기기의 회전 및 경사조절이 원활하게 이루어질수 있도록 하고, 상기의 링부재와 오퍼레이터를 통해 영상표시기기의 회전 및 경사조절 각도가 일정하게 유지될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삼발이 형태의 스텐드에 의해 영상표시기기의 주변기기(예: 키이보드, 마우스)를 수납하는 공간을 최대한 제공하여 주변의 공간을 보다 폭넓게 활용할수 있도록 하고, 더불어 삼발이 형태의 스텐드에 열융착 또는 삽입방식으로 푸트(FOOT)을 결합시키므로서 영상표시기기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영상표시기기의 다기능 회전 및 경사 조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Description

영상표시기기의 다기능 회전 및 경사 조절장치
본 발명은 영상표시기기의 다기능 회전 및 경사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영상표시기기(예: 모니터)를 지지하는 베이스와 삼발이 형태의 스텐드를 제공하되 상기의 베이스와 스텐드에 링부재와 오퍼레이터를 결합시켜 영상표시기기의 회전 및 경사조절이 원활하게 이루어질수 있도록 하고, 더불어 영상표시기기의 회전 및 경사조절 각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수 있도록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다기능 회전 및 경사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불어, 삼발이 형태의 스텐드에 의해 영상표시기기의 주변기기(예: 키이보드, 마우스)를 수납하는 공간을 최대한 제공하고, 상기의 스텐드에 열융착 또는 삽입방식으로 푸트(FOOT)을 결합시켜 영상표시기기의 미끄러짐을 방지시키고자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다기능 회전 및 경사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영상표시기기의 회전 및 경사 조절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영상표시기기(예: 모니터)를 지지하되 그 중앙부에 보스(1a)가 돌출된 하부받침대(1)와, 영상표시기기를 나사(4)로 체결하여 고정시키도록 다수의 체결보스(2a)를 돌출시키되 그 중앙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일정길이의 경사홈(2b)을 가공하여 영상표시기기를 회전조절하거나 경사조절시키는 상부받침대(2)와, 하부받침대(1)의 보스(1a)에 삽입된 후 나사(4)로 고정하되 상기 상부받침대(2)에 의한 영상표시기기의 경사조절을 지지하는 일정두께의 고정편(rigid body)(3)으로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 영상표시기기의 회전 및 경사 조절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영상표시기기를 지지하는 하부받침대(1)의 상단에 상부받침대(2)를 올려 놓으면, 상기 상부받침대(2)의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길이 가공된 경사홈(2b)에 하부받침대(1)의 중앙부에 돌출된 보스(1a)를 체결한다.
이후, 상기 상부받침대(2)의 상단에 일정두께를 가지는 고정편(3)을 올려놓은 후, 상기 고정편(3)을 나사(4)를 통해 하부받침대(1)의 보스(1a)에 체결하면, 상기 하부받침대(1) 및 상부받침대(2)와 고정편(3)은 보스(1a)를 하나의 중심축으로 결합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결합된 상부받침대(2) 위에 영상표시기기를 올려놓은 후 상기 상부받침대(2)에 돌출된 다수의 체결보스(2a)에 나사(4)를 체결하면, 상기 영상표시기기는 상부받침대(2)에 의해 고정되면서 그 회전 및 경사조절을 위한 장치의 결합이 완료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조립완료된 영상표시기기를 경사조절시키면, 상부받침대(2)의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가공된 일정길이의 경사홈(2b) 만큼 영상표시기기의 경사조절이 이루어진다.
즉, 상기 상부받침대(2)는 그 중앙부에 가공된 경사홈(2b)의 일정길이만큼 하부받침대(1)의 보스(1a)를 축으로 하여 슬라이딩 동작을 하게 되므로서, 영상표시기기의 경사조절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영상표시기기를 회전조절시키면, 상기 영상표시기기가 올려진 상부받침대(2)가 나사(4)에 의해 체결된 보스(1a)를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조절되므로서, 영상표시기기의 회전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영상표시기기 회전 및 경사 조절장치에 있어, 하부받침대(1)의 중앙부에 돌출된 보스(1a)에 상부받침대(2)를 고정하고, 상기 상부받침대(2)의 상면에 일정두께를 가지는 고정편(3)을 나사(4)로 연결시키는 관계로, 하부받침대(1)와 상부받침대(2) 또는 상부받침대(2)와 고정편(3)의 접촉으로 인하여 영상표시기기의 회전 및 경사조절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할뿐만 아니라 그 회전 및 경사조절 각도가 일정하게 유지되지 못하였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나사(4)의 체결에 따라 상부받침대(2)와 고정편(3)이 밀착 연결되면 그로인한 마찰력의 변화에 따라 영상표시기기의 경사조절 또는 회전조절이 자유롭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종래에는 영상표시기기의 각 주변기기들이 모두 영상표시기기의 주변에 위치하는 관계로,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면서 보다 효율적인 공간활용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도 초래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영상표시기기(예: 모니터)를 지지하는 베이스와 삼발이 형태의 스텐드를 제공하고 상기의 베이스와 스텐드에 링부재와 오퍼레이터를 결합시키므로서, 링부재와 오퍼레이터를 통해 영상표시기기의 회전 및 경사조절이 마찰력에 적절히 대응하면서 영상표시기기의 회전 및 경사조절이 원활하게 이루어질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다른 목적으로는, 상기의 링부재와 오퍼레이터를 통해 영상표시기기의 회전 및 경사조절 각도가 일정하게 유지될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다른 목적으로는, 삼발이 형태의 스텐드에 의해 영상표시기기의 주변기기(예: 키이보드, 마우스)를 수납하는 공간을 최대한 제공하여 주변의 공간을 보다 폭넓게 활용할수 있도록 하는데 있는 것이다.
또다른 목적으로는, 삼발이 형태의 스텐드에 열융착 또는 삽입방식으로 푸트(FOOT)을 결합시키므로서 영상표시기기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영상표시기기의 회전 및 경사 조절장치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 도 1의 R-R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영상표시기기의 다기능 회전 및 경사 조절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베이스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링부재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도 5의 A-A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영상표시기기의 다기능 회전 및 경사 조절장치의 결합을 보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영상표시기기의 다기능 회전 및 경사 조절장치의 결합을 보인 저면도.
도 9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삼발이 형태의 스텐드에 키이보드의 삽입 상태를 보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영상표시기기의 다기능 회전 및 경사 조절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베이스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링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도 5의 A-A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영상표시기기의 다기능 회전 및 경사 조절장치의 결합을 보인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영상표시기기의 다기능 회전 및 경사 조절장치의 결합을 보인 저면도이며, 도 9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삼발이 형태의 스텐드에 키이보드의 삽입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같이, 중앙부에 일정길이의 경사홈(10a)을 가공하여 영상표시기기의 경사각도( 약 -5°∼20°)를 제어하는 베이스(10)와, 영상표시기기의 무게를 지지하도록 상기 베이스(10)를 지지하되 영상표시기기의 주변기기 수납공간을 제공하도록 삼발이 형태로 성형된 스텐드(20)와, 영상표시기기의 회전 및 경사가 원활하게 이루어질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10)와 스텐드(20) 사이에 결합하되, 영상표시기기의 경사각(약 0°)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링부재(30)와,베이스(10)에 형성된 경사홈(10a)에 안착되어 영상표시기기의 경사조절을 안내하되, 각 나사(100)의 체결에 따라 영상표시기기의 회전각을 제어하도록 고정홀(40a)과 고정보스(40b)를 형성시킨 오퍼레이터부재(40)와, 경사조절된 베이스(10)의 뒷쪽 쏠림에 의한 영상표시기기의 무게중심을 잡아주도록 상기 오퍼레이터부재(40)와 베이스(10)에 양끝단이 고정되어 탄성을 발휘하는 탄성부재(예: 스프링)(50)로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 베이스(10)의 저면 양측에는 영상표시기기의 이동이 간편하게 이루어질수 있도록 손잡이홈(10b)이 가공되고, 저면의 중심부에는 영상표시기기의 경사각을 일정하게 제어할수 있도록 링부재(30)와 걸림동작하는 요홈(10c)이 원형을 이루면서 가공되며, 그 평면에는 탄성부재(50)의 일측단이 나사(100)로 고정될수 있도록 보스(10d)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스텐드(20)는 링부재(30)가 안착될수 있도록 원형의 안착부(20a)와, 영상표시기기의 주변기기가 수납될수 있도록 일정높이와 일정각을 이루는 삼발의 형태의 다리부(20b)로 이루어진 구조로서,
상기 안착부(20a)의 중심부에는 나사(100)의 체결에 따라 오퍼레이터부재(40)를 고정시키는 체결보스(20c)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보스(20c)를 중심으로 원형 전체에는 강도보강리브(20d)가 형성되며, 상기 강도보강리브(20d)의 외측공간(X)으로는 안착된 링부재(30)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멈춤리브(20e)가 형성되고, 상기 다리부(20b)의 끝단에는 스텐드(20)의 미끄러짐을 방지시키도록 푸트(200)가 체결되기 위한 체결단(20f)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링부재(30)는 영상표시기기의 회전 및 경사 조절이 원활하게 이루어질수 있도록 외부면에서 안쪽면으로 일정한 경사면(30a)을 가지되,
상기 경사면(30a)의 저면부는 링부재(30)가 스텐드(20)의 안착부(20a)에 안착된 후 체결될수 있도록 제 1 및 제 2 체결단(30b)(30c)이 일정간격을 이루면서 형성되고, 그 평면에는 영상표시기기의 경사각이 일정하게 유지될수 있도록 베이스(10)의 요홈(10c)에 삽입되는 삽입돌기(30d)가 돌출되며, 상기 경사면(30a)의 저면 일측에는 링부재(30)의 회전을 방지시키도록 스텐드(20)의 멈춤리브(20e)가 삽입되는 멈춤홈(30e)이 가공되어 있는 구조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 영상표시기기의 다기능 회전 및 경사 조절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첨부된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영상표시기기의 조립을 살펴보면, 영상표시기기의 무게를 지지하는 스텐드(20)가 삼발이 형태로 성형되어 있으므로, 상기 스텐드(20)의 다리부(20b)에 형성된 체결단(20f)에 미끄럼 방지용 푸트(200)를 열융착 또는 삽입방식으로 체결시킨다.
이후, 외부면에서 안쪽면으로 일정한 경사면(30a)을 가지는 원형의 링부재(30)를 상기 스텐드(20)의 안착부(20a)에 체결하면, 상기 경사면(30a)의 저면부에 형성되어 일정간격을 이루는 제 1 및 제 2 체결단(30b)(30c)이 스텐드(20)의 안착부(20a) 둘레에 형성된 외측공간(X)에서 체결동작을 하게 되므로서 상기 스텐드(20)와 링부재(30)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영상표시기기가 올려지는 베이스(10)를 상기 스텐드(20)의 안착부(20a)에 올려놓으면, 상기 베이스(10)의 저면부는 링부재(30)의 경사면(30a)과 밀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10)의 중심부에 가공된 경사홈(10a)에 오퍼레이터부재(40)를 올려놓은 후, 상기 오퍼레이터부재(40)에 형성된 체결홀(40a)에 나사(100)를 관통시키면서 이를 스텐드(20)의 안착부(20a) 중심부에 형성된 체결보스(20c)에 체결시키면, 상기 베이스(10) 및 스텐드(20)와 링부재(30)의 결합이 완료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10)에 형성된 보스(10d)와 오퍼레이터부재(40)에 형성된 고정보스(40b)에 탄성부재(50)의 양측을 나사(100)로 고정시키면, 경사조절된 베이스(10)의 뒷쪽 쏠림에 의한 영상표시기기의 무게중심은 상기 탄성부재(50)에서 발휘하는 탄성력으로 잡아줄수 있게 된다.
즉, 사용자가 영상표시기기를 경사조절시키고자 상기 베이스(10)를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화살표방향(P)으로 밀면, 상기 베이스(10)의 경사홈(10a)에 안착된 오퍼레이터부재(40)에 의해 상기 베이스(10)가 경사홈(10a)의 일정길이만큼 링부재(30)의 경사면(30a)을 따라 밀림동작을 하면서 영상표시기기를 일정한 각도( 약 -5°∼20°)로 경사조절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베이스(10)의 저면부에는 요홈(10c)이 가공되어 있고, 상기 링부재(30)의 경사면(30a) 평면에는 삽입돌기(30d)가 돌출되어 있는 바,
영상표시기기의 경사조절시 상기 베이스(10)의 요홈(10c)이 경사면(30a)의삽입돌기(30d)와 걸림동작을 하게 되므로서, 상기 요홈(10c)과 삽입돌기(30d)의 걸림동작에 따라 영상표시기기의 경사조절시의 각도(약 0°)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10)의 경사조절에 따라 영상표시기기가 뒷쪽으로 쏠리는 현상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베이스(10)와 오퍼레이터부재(40)에 양끝단이 나사(100)로 체결된 탄성부재(50)가 탄성을 발휘하게 되므로서, 경사조절에 의해 무게중심이 이동된 영상표시기기는 흔들림없이 그 고정상태를 일정하게 유지할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사용자가 영상표시기기를 회전조절시키고자 상기 베이스(10)를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화살표방향(Q)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베이스(10)는 링부재(30)의 경사면(30a)을 따라 회전하게 되므로서, 영상표시기기의 회전조절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스텐드(20)의 원형 전체에는 체결보스(20c)를 중심으로 강도보강리브(20d)가 형성되고, 상기 강도보강리브(20d)의 외측으로 멈춤리브(20e)가 형성되어 있는 바,
상기 멈춤리브(20e)에 의해 영상표시기기가 회전조절되더라도 상기 링부재(30)의 회전은 방지된다.
즉, 베이스(10)의 회전시 상기 링부재(30)에 형성된 경사면(30a)의 저면 일측에 가공된 멈춤홈(30e)에 스텐드(20)의 멈춤리브(20e)가 삽입되도록 하므로서, 상기 링부재(30)는 베이스(10)가 회전되더라도 그 회전은 방지되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베이스(10)의 저면 양측에는 손잡이홈(10b)이 가공되어 있으므로, 상기 손잡이홈(10b)에 의해 사용자는 영상표시기기를 간편하게 이동시킬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스텐드(20)의 다리부(20b)가 일정높이와 일정각을 이루는 삼발이 형태로 이루어져 있는 바, 영상표시기기의 주변기기가 일정높이와 일정각을 이루는 상기 다리부(20b) 사이로 용이하게 수납되어 영상표시기기의 공간활용을 다양하게 구현할수 있도록 하였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영상표시기기를 지지하는 베이스와 삼발이 형태의 스텐드 및 링부재와 오퍼레이터의 결합을 통해 영상표시기기의 회전 및 경사조절이 마찰력에 적절히 대응하여 원활하게 이루어질수 있도록 하면서 그 회전 및 경사조절 각도가 일정하게 유지될수 있도록 하였고, 영상표시기기의 주변기기를 수납하는 공간을 최대한 제공하여 주변의 공간을 보다 폭넓게 활용할수 있도록 하는 한편, 푸트을 통해 영상표시기기의 미끄러짐을 방지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중앙부에 일정길이의 경사홈을 가공하여 영상표시기기의 경사각도를 제어하는 베이스와, 영상표시기기의 무게를 지지하도록 상기 베이스를 지지하되 영상표시기기의 주변기기 수납공간을 제공하도록 삼발이 형태로 성형된 스텐드와, 영상표시기기의 회전 및 경사가 원활하게 이루어질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와 스텐드 사이에 결합하되, 영상표시기기의 경사각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링부재와, 베이스에 형성된 경사홈에 안착되어 영상표시기기의 경사조절을 안내하되, 각 나사의 체결에 따라 영상표시기기의 회전각을 제어하도록 고정홀과 고정보스를 형성시킨 오퍼레이터부재와, 경사조절된 베이스의 뒷쪽 쏠림에 의한 영상표시기기의 무게중심을 잡아주도록 상기 오퍼레이터부재와 베이스에 양끝단이 고정되어 탄성력을 발휘하는 탄성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다기능 회전 및 경사 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저면 양측에는 영상표시기기의 이동이 간편하게 이루어질수 있도록 손잡이홈이 가공되고, 저면의 중심부에는 영상표시기기의 경사각을 일정하게 제어할수 있도록 링부재와 걸림동작하는 요홈이 원형을 이루면서 가공되며, 그 평면의 후면부에는 탄성부재의 일측단이 나사로 고정될수 있도록 보스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다기능 회전 및 경사 조절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텐드는 링부재가 안착될수 있도록 원형의 안착부와, 영상표시기기의 주변기기가 수납될수 있도록 일정높이와 일정각을 이루는 삼발의 형태의 다리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안착부의 중심부에는 나사의 체결에 따라 오퍼레이터부재를 고정시키는 체결보스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보스를 중심으로 원형 전체에는 강도보강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강도보강리브의 외측공간으로는 안착된 링부재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멈춤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다리부의 끝단에는 스텐드의 미끄러짐을 방지시키도록 푸트가 체결되기 위한 체결단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다기능 회전 및 경사 조절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부재는 영상표시기기의 회전 및 경사 조절이 원활하게 이루어질수 있도록 외부면에서 안쪽면으로 일정한 경사면을 가지되,
    상기 경사면의 저면부는 링부재가 스텐드의 안착부에 안착된 후 체결될수 있도록 제 1 및 제 2 체결단이 일정간격을 이루면서 형성되고, 그 평면에는 영상표시기기의 경사각이 일정하게 유지될수 있도록 베이스의 요홈에 삽입되는 삽입돌기가 돌출되며, 상기 경사면의 저면 일측에는 링부재의 회전을 방지시키도록 스텐드의 멈춤리브가 삽입되는 멈춤홈이 가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다기능 회전 및 경사 조절장치.
KR1019980040873A 1998-09-30 1998-09-30 영상표시기기의다기능회전및경사조절장치 KR1003124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0873A KR100312487B1 (ko) 1998-09-30 1998-09-30 영상표시기기의다기능회전및경사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0873A KR100312487B1 (ko) 1998-09-30 1998-09-30 영상표시기기의다기능회전및경사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1652A KR20000021652A (ko) 2000-04-25
KR100312487B1 true KR100312487B1 (ko) 2002-09-04

Family

ID=19552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0873A KR100312487B1 (ko) 1998-09-30 1998-09-30 영상표시기기의다기능회전및경사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24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30416A (zh) * 2018-07-18 2018-12-18 天津市帕金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折光仪连接装置
CN109720248A (zh) * 2019-01-28 2019-05-07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一种儿童安全座椅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1652A (ko) 2000-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4732B1 (ko) Lcd 모니터용 힌지 어셈블리
US20090134285A1 (en) Monitor Support Device
US20090026330A1 (en) Portable supporting apparatus
KR19990009338A (ko) 영상표시기기의 전후 조절 받침대 구조
US20080011927A1 (en) Apparatus to support a display device
US20090026331A1 (en) Portable Supporting Apparatus
CN108980588B (zh) 稳定器用机架组件的双轴枢转装置、机架组件及稳定器
US5895022A (en) Monitor support adjusting apparatus
KR100312487B1 (ko) 영상표시기기의다기능회전및경사조절장치
US4858864A (en) Tilt and swivel mechanism
US5725136A (en) Video camera holder
US4756580A (en) Adjustable video monitor cabinet
KR101301722B1 (ko) 휴대기기용 스탠딩장치
KR20070118862A (ko)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
JPH10240141A (ja) 表示器ユニットスタンド
JP2006243270A (ja) 画像表示装置の取付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床頭台
US4877204A (en) Tilt/swivel display base
JP2005211245A (ja) 椅子の肘掛け装置
JP2008311851A (ja) 携帯電気機器用充電台
KR200209480Y1 (ko) 영상표시기기의 경사 회전 조절장치
KR101692961B1 (ko)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JP2534157Y2 (ja) 小型液晶テレビのキャリングハンドル兼用スタンド
KR200191261Y1 (ko) 평판 디스플레이기기의 경사 조절장치
JPS60124183A (ja) 傾斜機構付き支持装置
JP3298058B2 (ja) カメラ用ショルダーパッ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2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