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1859B1 - 다실형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다실형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1859B1
KR100311859B1 KR1019990004959A KR19990004959A KR100311859B1 KR 100311859 B1 KR100311859 B1 KR 100311859B1 KR 1019990004959 A KR1019990004959 A KR 1019990004959A KR 19990004959 A KR19990004959 A KR 19990004959A KR 100311859 B1 KR100311859 B1 KR 1003118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r
temperature sensor
indoor heat
temperature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4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72624A (ko
Inventor
무라키도루
우에다노보루
Original Assignee
니시무로 타이죠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시무로 타이죠,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니시무로 타이죠
Publication of KR199900726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26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1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18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8Failure diagnos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 F24F2140/20Heat-exchange fluid 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Compression-Type Refrigeration Machines With Reversible Cy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실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열교환기 온도센서(14, 24)의 어느 하나에 이상이 생길 때, 정상적인 열교환기 온도센서의 검지온도를 상기 이상 온도센서의 검지온도로서 겸용하여 각 열교환기 온도센서의 어느 하나에 이상이 생긴 경우에도 그 영향을 최소한으로 억제하여 안정된 운전을 실행할 수 있는 신뢰성이 우수한 다실형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실형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HAVING A NUMBER OF INDOOR HEAT EXCHANGER}
본 발명은 복수의 실내 열교환기를 구비한 다실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복수의 실내 열교환기를 구비한 다실형 공기조화기에서는 각 실내 열교환기에 열교환기 온도센서를 부착하고, 이러한 열교환기 온도센서의 검지온도를 이용하여 각 실내 열교환기에 있어서 과열량을 포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과열량이 목표 과열량에 수렴되도록 각 실내 열교환기에 대응하는 유량조정밸브의 개도(開度)를 조절하도록 하고 있다.
만약 각 열교환기 온도센서의 어느 하나에 이상이 생긴 경우에는 그 이상 온도센서가 부착되어 있는 실내 열교환기에 대응하는 유량조정밸브의 개도를 일정값으로 고정하는 제어가 일반적으로 채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열교환기 온도센서가 이상이 있을 때에 유량조정밸브의 개도가 일정값으로 고정되어 버리면, 실내온도의 변동 등 어떤 요인에 의해 각 실내 열교환기로의 냉매분류 밸런스가 무너져 버린다. 이렇게 되면 1실만 냉매유량이 적어져서 이상 과열을 일으키거나, 또는 1실만 냉매유량이 많아져서 액체 백(back)을 일으키는 등의 문제점을 초래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고려한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은 각 열교환기 온도센서의 어느 하나에 이상이 생긴 경우에도 그 영향을 최소한으로 억제하여 안정된 운전을 실행할 수 있는 신뢰성이 우수한 다실형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것에 있다.
또, 본 발명은 과열 제어 등에 이용하는 온도센서의 사용수를 줄일 수 있고, 이것에 의해 비용저감을 꾀할 수 있는 다실형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제어회로의 블럭도,
도 2는 상기 실시예의 냉동사이클의 구성도 및
도 3은 상기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챠트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실외 유닛 B1, B2: 실내 유닛
1: 압축기 2: 4방향 밸브
3: 실외 열교환기 11, 21: 전동팽창밸브(유량조정밸브)
12, 22: 실내 열교환기 14, 24: 열교환기 온도센서
15, 25: 실내 온도센서 16: 가스측 온도센서
50: 실외 제어부 60: 실내 제어부
제 1 발명의 다실형 공기조화기는 복수의 실내 열교환기에 각각 온도센서를 부착한 다실형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각 온도센서의 어느 하나에 이상이 생긴 때, 그 이외의 온도센서의 검지온도를 상기 이상 온도센서의 검지온도로서 겸용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다.
제 2 발명의 다실형 공기조화기는 압축기, 실외 열교환기, 복수의 실내 열교환기를 접속하여 냉매를 순환시키는 냉동 사이클 및 각 실내 열교환기로의 냉매유량을 조정하기 위한 복수의 유량조정밸브를 구비하고, 이러한 유량조정밸브의 개도 조절에 의해 각 실내 열교환기의 과열량을 제어하는 다실형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각 실내 열교환기 가운데 하나를 뺀 실내 열교환기에 대응하여 실내 열교환기에서 유출되는 가스 냉매의 온도를 검지하는 가스측 온도센서와, 이 가스측 온도센서의 검지온도에 따라서 상기 각 유량조정밸브의 개도를 보정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다.
제 3 발명의 다실형 공기조화기는 제 2 발명에 있어서, 제어수단이 운전개시로부터 일정 시간은 보정을 하지 않는다.
제 4 발명의 다실형 공기조화기는 제 2 발명에 있어서, 제어수단이 압축기의 운전주파수가 소정값 이하인 경우에 보정을 하지 않는다.
제 5 발명의 다실형 공기조화기는 제 2 발명에 있어서, 각 실내 열교환기에 열교환기 온도센서를 부착하는 동시에, 제어수단이 각 열교환기 온도센서의 검지온도의 차가 소정값 이상인 경우에 검지온도가 높은 쪽의 실내 열교환기에 대응하는 유량조정밸브의 개도를 증대시키는 쪽으로 보정하는 기능을 갖는다.
제 6 발명의 다실형 공기조화기는 제 2 발명에 있어서, 압축기의 흡입냉매 온도를 검지하는 흡입냉매 온도센서를 또한 구비하고, 제어수단이 흡입냉매 온도센서의 검지온도와 가스측 온도센서의 검지온도와의 차가 소정값 내로 수습되도록 각 유량조정밸브의 개도를 보정하는 기능을 갖는다.
제 7 발명의 다실형 공기조화기는 제 2 발명에 있어서, 제어수단은 과열량이 목표 과열량에 가까워지기 까지 보정을 하지 않는다.
제 8 발명의 다실형 공기조화기는 제 2 발명에 있어서, 각 실내 열교환기에 부착한 열교환기 온도센서와, 압축기의 흡입냉매 온도를 검지하는 흡입냉매 온도센서와, 상기 각 열교환기 온도센서의 검지온도 가운데 가장 낮은 검지온도와 상기 흡입냉매 온도센서의 검지온도와의 차를 과열량으로 하여 각 유량조정밸브의 개도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또한 구비한다.
제 9 발명의 다실형 공기조화기는 제 2 발명에 있어서, 압축기의 흡입냉매 온도를 검지하는 흡입냉매 온도센서와, 가스측 온도센서의 검지온도가 상기 흡입냉매 온도센서의 검지온도보다 일정값 이상 높은 상태가 일정 시간 계속된 경우에 가스측 온도센서가 이상이라고 판정하는 판정수단을 또한 구비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에 있어서, A는 실외 유닛, B1, B2는 실내 유닛이고, 이러한 유닛에 다음 냉동사이클이 구성된다.
압축기(1)의 토출구에 4방향 밸브(2)를 통해 실외 열교환기(3)가 접속되고, 그 실외 열교환기(3)에 액체측 관(W)이 접속된다. 액체측 관(W)은 액체측 관(W1, W2)으로 분기되고, 그 각 액체측 관에 실내 열교환기(12, 22)가 접속된다.
액체측 관(W1, W2)에 유량조정밸브로서 전동팽창밸브(11, 21)가 설치된다. 이러한 전동팽창밸브는 공급된 구동펄스의 수에 따라서 개도가 변화하는 펄스 모터 밸브(PMV)이다.
실내 열교환기(12, 22)에 가스측 관(G1, G2)이 접속되고, 그 한쪽의 가스측 관(G1)에 가스측 온도센서(16)가 부착된다. 즉, 실내 열교환기(12, 22) 가운데 하나를 뺀 실내 열교환기(12)에만 대응시켜 가스측 온도센서(16)를 설치하고 있다.
가스측 관(G1, G2)은 가스측 관(G)에 집결되고, 가스측 관(G)은 상기 4방향 밸브(2)를 통해 압축기(1)의 흡입구에 접속된다. 4방향 밸브(2)와 압축기(1)의 흡입구 사이의 가스측 관(G)에는 압축기(1)의 흡입냉매 온도(Ts)를 검지하는 흡입냉매 온도센서(6)가 부착된다.
실외 열교환기(3)의 근방에 실외 팬(4)이 설치되고, 실외 열교환기(3)에 열교환기 온도센서(5)가 부착된다. 실내 열교환기(12, 22)의 근방에 실내 팬(13, 23)이 설치되고, 실내 열교환기(12, 22)에 열교환기 온도센서(14, 24)가 각각 부착된다.
제어회로를 도 1에 나타낸다.
상용 교류전원(40)에 실외 유닛(A)의 실외 제어부(50)가 접속된다. 이 실외 제어부(50)에 4방향 밸브(2), 실외 팬 모터(4M), 열교환기 온도센서(5), 전동팽창밸브(11, 21), 가스측 온도센서(16), 인버터 회로(51) 및 표시기(60)가 접속된다.
인버터 회로(51)는 전원(40)의 전압을 정류하고, 그것을 실외 제어부(50)의 지령에 따른 주파수 및 레벨의 전압으로 변환하고, 출력한다. 이 출력은 압축기 모터(1M)에 구동전력으로서 공급된다.
실내 유닛(B1, B2)은 각각 실내 제어부(60)를 구비한다. 이 실내 제어부(60)에 실내 온도센서(15(25)), 열교환기 온도센서(14(24)), 실내 팬 모터(13M(23M)), 리모트 컨트롤 장치(이하, 리모콘이라고 한다)(61)가 접속된다.
이러한 실내 제어부(60)와 상기 실외 제어부(50)가 각각 전원라인(ACL) 및 데이터 전송용의 시리얼 신호 라인(SL)에 의해 접속된다.
실내 제어부(60)는 주요 기능수단으로서 다음 [1]∼[3]을 갖는다.
[1] 리모콘(61)의 조작에 의한 운전조건(설정온도(Ts)를 포함한다), 열교환기 온도센서(14(24))의 검지온도(Tc) 등을 전원전압 동기의 시리얼신호에 의해 실외 유닛(A)에 알리는 수단.
[2] 리모콘(61)으로 설정된 설정온도(Ts)와 실내 온도센서(15(25))의 검지온도(Ta)와의 차(△T(=Ts-Ta))를 공조부하로서 검출하고, 그 공조부하(△T)에 대응하는 요구능력(요구출력 주파수값)을 시리얼신호에 의해 실외 유닛(A)에 알리는 수단.
[3] 실내 온도센서(15(25))의 검지온도(Ta), 열교환기 온도센서(14(24))의 검지온도(Tc)를 시리얼신호로 실외 유닛(A)에 알리는 수단.
실외 제어부(50)는 주요 기능수단으로서 다음의 [1]∼[7]을 갖는다.
[1] 각 실내 유닛에서의 냉방운전 모드지령(드라이 운전모드 지령)에 기초하여, 압축기(1)에서 토출되는 냉매를 4방향 밸브(2), 실외 열교환기(3), 전동팽창밸브(11, 21), 실내 열교환기(12, 22), 4방향 밸브(2)에 통하여 압축기(1)로 되돌리고, 냉방운전(드라이운전)을 실행하는 수단.
[2] 각 실내 유닛에서의 난방운전 모드지령에 기초하여, 4방향 밸브(2)를 전환하고, 압축기(1)에서 토출되는 냉매를 4방향 밸브(2), 실내 열교환기(12, 22), 전동팽창밸브(11, 21), 실외 열교환기(3), 4방향 밸브(2)에 통하여 압축기(1)로 되돌리고, 난방운전을 실행하는 수단.
[3] 각 실내 유닛에서 알려진 열교환기 온도센서(14, 24)의 검지온도(Tc)에 기초하여 열교환기 온도센서(14, 24)의 이상을 검출하고, 열교환기 온도센서(14, 24)의 어느 하나에 이상이 생긴 때, 이상이 없는 쪽의 열교환기 온도센서의 검지온도(Tc)를 이상이 있었던 열교환기 온도센서의 검지온도(Tc)로서 겸용하는 제어수단.
[4] 열교환기 온도센서(14, 24)의 검지온도(Tc) 가운데 가장 낮은 검지온도(Tc)와 흡입냉매 온도센서(6)의 검지온도(Ts)와의 차를 과열량(SH)으로서 구하고, 그 과열량(SH)이 목표 과열량(SHt)에 수렴되도록 전동팽창밸브(11, 21)의 개도를 제어하는 제어수단.
[5] 상기 과열 제어에 기초하여 전동팽창밸브(11, 21)의 개도를 가스측 온도센서(16)의 검지온도(Tg)에 따라서 보정하는 제어수단. 이 제어수단은 구체적으로는 열교환기 온도센서(14, 24)의 검지온도(Tc)의 차(△Tc)가 소정 값 이상인 경우에 검지온도(Tc)가 높은 쪽의 실내 열교환기에 대응하는 전동팽창밸브의 개도를 증대시키는 쪽으로 보정하는 기능 및 흡입냉매 온도센서(6)의 검지온도(Ts)와 가스측 온도센서(16)의 검지온도(Tg)와의 차가 소정값 내로 수습되도록 전동팽창밸브(11, 21)의 개도를 보정하는 기능, 운전개시부터 일정시간은 상기한 보정을 하지 않는 기능, 압축기(1)의 운전주파수(인버터 회로(51)의 출력주파수)(F)가 소정값(Fm) 이하인 경우에 보정을 하지 않는 기능, 과열량(SH)이 목표 과열량(SHs)에 가까워지기까지 보정을 하지 않는 기능을 갖는다.
[6] 가스측 온도센서(16)의 검지온도(Tg)가 흡입냉매 온도센서(6)의 검지온도(Ts)보다 일정값(10K) 이상 높은 상태가 일정시간(10분) 계속된 경우에 가스측 온도센서(16)가 이상이라고 판정하는 판정수단.
[7] 판정수단이 가스측 온도센서(16)의 이상을 판정한 경우에 그 취지를 표시기(60)로 표시하는 수단.
다음에 상기한 구성의 작용을 도 3의 플로우 챠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열교환기 온도센서(14, 24)의 어느 하나에 이상이 생긴 경우(스텝(101)), 이상이 없는 정상측의 열교환기 온도센서의 검지온도(Tc)가 이상이 있었던 열교환기 온도센서의 검지온도(Tc)로서 그대로 겸용하고, 통상의 제어를 계속한다(스텝(102)).
운전제어의 구체예를 하기 표에 나타낸다. 냉방·드라이의 1실 운전에서는 예외적으로 전동팽창밸브를 구동펄스수 150의 개도 상태로 고정하도록 하고 있다.
1실 운전 2실운전
센서 정상측 운전 센서 이상측 운전
냉방·드라이 통상 제어 150PLS 고정 통상 제어
난방 통상 제어 통상 제어 통상 제어
이와 같은 센서 이상에 대한 보호제어를 실행하는 것에 의해 열교환기 온도센서(14, 24)의 어느 하나에 이상이 생긴 경우에도 그 영향을 최소한으로 억제하여 안정된 운전을 실행할 수 있다. 즉, 종래와 같이 열교환기 온도센서의 이상이 있을 때에 전동팽창밸브의 개도를 일정값으로 고정하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실내 온도의 변동 등이 있어도 실내 열교환기(12, 22)로의 냉매 분류 밸런스가 무너져 버리는 사태를 최대한 피할 수 있고, 예를 들면 1실만 냉매유량이 적어져서 이상 과열을 일으키거나, 1실만 냉매유량이 많아져서 액체 백을 일으키는 등의 문제점을 회피할 수 있다.
한편, 열교환기 온도센서(14, 24)의 검지온도(Tc) 가운데 가장 낮은 검지온도(Tc)와 흡입냉매 온도센서(6)의 검지온도(Ts)와의 차를 과열량(SH)으로서 구하고, 그 과열량(SH)이 목표 과열량(SHt)에 수렴되도록 전동팽창밸브(11, 21)의 개도를 제어한다(스텝(103)).
즉, 전동팽창밸브(11, 21)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면, 상호 간섭에 의해 냉동사이클이 불안정하게 되어 버리는데, 상기한 과열 제어에 의해 전동팽창밸브(11, 21)의 개도에 대한 조작량이 같아지고, 냉동사이클의 안정화를 꾀할 수 있다.
압축기(1)의 기동에 의한 운전개시부터 일정시간이 경과하고(스텝(104)의 '예'), 또한 압축기(1)의 운전주파수(F)가 소정값(Fm)을 상회하는 상황에 있어서(스텝(105)의 '예'), 열교환기 온도센서(14, 24)의 검지온도(Tc)의 차(△Tc)의 절대값이 소정값('실내 온도센서(15, 25)의 검지온도(Ta)의 차의 절대값'+4K) 이상인 경우(스텝(106)의 '예'), 검지온도(Tc)가 높은 측의 실내 열교환기에 대응하는 전동팽창밸브의 개도를 증대쪽으로 보정한다(스텝(107)).
예를 들면, 실내 온도센서(15, 25)의 검지온도(Ta)가 같고, 열교환기 온도센서(14, 24)의 검지온도(Tc)의 차(△Tc)의 절대값이 4K를 넘을 때, 열교환기 온도센서(14)의 검지온도(Tc)가 열교환기 온도센서(24)의 검지온도(Tc)보다 높으면 그 높은 쪽의 실내 열교환기(12)에 대응하는 전동팽창밸브(11)의 개도를 △PMVa(=10펄스)만큼 증대한다. 열교환기 온도센서(24)의 검지온도(Tc) 쪽이 열교환기 온도센서(14)의 검지온도(Tc)보다 높은 경우에는 실내 열교환기(22)에 대응하는 전동팽창밸브(21)의 개도를 △PMVb(=10펄스)만큼 증대한다.
이 보정제어를 실행하는 것에 의해 열교환기 온도센서(14, 24)의 부착위치에서 냉매가 과열상태가 되어도 그것을 재빠르게 해소할 수 있다.
과열량(SH)의 절대값이 설정값 '3' 이내가 되면 과열량(SH)이 목표 과열량(SHs)에 가깝다고 판단한다. 그리고, 이 때, 흡입냉매 온도센서(6)의 검지온도(Ts)와 가스측 온도센서(16)의 검지온도(Tg)와의 차의 절대값이 소정값(=2K) 이상인 상태에 있으면(스텝(108)의 '예'), 그 차의 절대값이 소정값 내로 수습되도록 전동팽창밸브(11, 21)의 개도를 보정한다(스텝(109)).
예를 들면, 검지온도(Ts)가 검지온도(Tg)보다 높은 경우는 전동팽창밸브(11)의 개도를 △PMVa(=-2펄스)만큼 감소하고, 전동팽창밸브(21)의 개도를 △PMVb(=+2펄스)만큼 증대한다. 반대로, 검지온도(Tg)가 검지온도(Ts)보다 높은 경우는 전동팽창밸브(11)의 개도를 △PMVa(=+2펄스)만큼 증대하고, 전동팽창밸브(21)의 개도를 △PMVb(=-2펄스)만큼 감소한다.
이와 같은 제어를 실행하는 것에 의해 2실의 공조부하가 다른 경우에도 실내 열교환기(12, 22)의 과열량(SH)을 적정화할 수 있다.
또, 전동팽창밸브에 대한 보정을 과열량(SH)이 목표 과열량(SHs)에 가까워지고 나서 실행하는 것은 냉동 사이클 안정까지의 시간을 단축하기 위한 것이다.
전동팽창밸브에 대한 보정을 운전개시부터 일정시간 후에 실행하는 것은 운전개시 직후가 냉매의 흐름이 안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실내 유닛이 2대인 경우를 예로 설명했는데, 실내 유닛이 3대 또는 4대 이상인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실시가능하다.
이상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실내 열교환기에 각각 온도센서를 부착한 다실형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각 온도센서의 어느 하나에 이상이 생길 때, 그 이외의 온도센서의 검지온도를 상기 이상 온도센서의 검지온도로서 겸용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했기 때문에, 각 열교환기 온도센서의 어느 하나에 이상이 생긴 경우에도 그 영향을 최소한으로 억제하여 안정된 운전을 실행할 수 있는 신뢰성이 우수한 다실형 공기조화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압축기, 실외 열교환기, 복수의 실내 열교환기를 접속하여 냉매를 순환시키는 냉동 사이클 및 각 실내 열교환기로의 냉매유량을 조정하기 위한 복수의 유량조정밸브를 구비하고, 이러한 유량조정밸브의 개도 조절에 의해 각 실내 열교환기의 과열량을 제어하는 다실형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각 실내 열교환기 가운데 하나를 뺀 실내 열교환기에 대응하여 실내 열교환기에서 유출되는 가스 냉매의 온도를 검지하는 가스측 온도센서와, 이 가스측 온도센서의 검지온도에 따라서 상기 각 유량조정밸브의 개도를 보정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했기 때문에, 과열제어 등에 이용하는 온도센서의 사용수를 줄일 수 있고, 이것에 의해 비용저감을 꾀할 수 있는 다실형 공기조화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9)

  1. 압축기, 실외 열교환기, 복수의 실내 열교환기를 접속하여 냉매를 순환시키는 냉동사이클 및 각 실내 열교환기로의 냉매유량을 조정하기 위한 복수의 유량조정밸브를 구비하고, 이러한 유량조정밸브의 개도조절에 의해 각 실내 열교환기의 과열량을 제어하는 다실형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복수의 실내 열교환기에 각각 설치된 복수의 온도센서,
    실내 열교환기로부터 유출되는 가스냉매의 온도를 검지하는 가스측 온도센서,
    각 실내 열교환기에 설치된 온도센서의 검지온도와 각 실내 교환기로부터 유출되는 가스냉매의 온도에 의해 각 실내 열교환기에 접속되는 유량조정밸브의 개도 조정을 실시하는 제어수단,
    실내 열교환기의 온도센서의 이상을 판단하는 수단, 및
    상기 각 실내 열교환기의 온도센서 중 어느 것에 이상이 발생했을 때 그 이외의 실내 열교환기의 온도센서의 검지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이상이 발생한 온도센서가 설치된 실내 열교환기에 접속되는 유량조정밸브의 개도 조정을 실시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실형 공기조화기.
  2. 압축기, 실외 열교환기, 복수의 실내 열교환기를 접속하여 냉매를 순환시키는 냉동사이클 및 각 실내 열교환기로의 냉매유량을 조정하기 위한 복수의 유량조정밸브를 구비하고, 이러한 유량조정밸브의 개도조절에 의해 각 실내 열교환기의 과열량을 제어하는 다실형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각 실내 열교환기 가운데 하나를 뺀 실내 열교환기에 대응하여 실내 열교환기에서 유출되는 가스 냉매의 온도를 검지하는 가스측 온도센서와,
    이 가스측 온도센서의 검지온도에 따라서 상기 각 유량조정밸브의 개도를 보정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실형 공기조화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운전개시부터 일정시간은 보정을 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실형 공기조화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압축기의 운전주파수가 소정값 이하인 경우에 보정을 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실형 공기조화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실내 열교환기에 부착된 열교환기 온도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각 열교환기 온도센서의 검지온도의 차가 소정값 이상인 경우에 검지온도가 높은 쪽의 실내 열교환기에 대응하는 유량조정밸브의 개도를 증대시키는 쪽으로 보정하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실형 공기조화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의 흡입냉매 온도를 검지하는 흡입냉매 온도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흡입냉매 온도센서의 검지온도와 상기 가스측 온도센서의 검지온도와의 차가 소정값 내로 수습되도록 각 유량조정밸브의 개도를 보정하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실형 공기조화기.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과열량이 목표 과열량에 가까워지기까지 보정을 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실형 공기조화기.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실내 열교환기에 부착된 열교환기 온도센서와,
    상기 압축기의 흡입냉매 온도를 검지하는 흡입냉매 온도센서와,
    상기 각 열교환기 온도센서의 검지온도 가운데 가장 낮은 검지온도와 상기 흡입냉매 온도센서의 검지온도와의 차를 과열량으로 하여 상기 각 유량조정밸브의 개도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또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실형 공기조화기.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의 흡입냉매 온도를 검지하는 흡입냉매 온도센서와,
    상기 가스측 온도센서의 검지온도가 상기 흡입냉매 온도센서의 검지온도보다 일정값 이상 높은 상태가 일정시간 계속된 경우에 가스측 온도센서가 이상이라고판정하는 판정수단을 또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실형 공기조화기.
KR1019990004959A 1998-02-20 1999-02-12 다실형 공기조화기 KR1003118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039337A JPH11237097A (ja) 1998-02-20 1998-02-20 多室形空気調和機
JP10-039337 1998-02-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2624A KR19990072624A (ko) 1999-09-27
KR100311859B1 true KR100311859B1 (ko) 2001-11-02

Family

ID=12550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4959A KR100311859B1 (ko) 1998-02-20 1999-02-12 다실형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H11237097A (ko)
KR (1) KR100311859B1 (ko)
CN (1) CN1121585C (ko)
TW (1) TW36858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56457B2 (ja) * 1999-11-30 2003-10-14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マルチ型空気調和装置の運転制御システム
KR100715999B1 (ko) * 2005-10-26 2007-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형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방법
JP5381038B2 (ja) * 2008-01-18 2014-01-08 三洋電機株式会社 冷却システム、制御装置及び制御プログラム
CN103791587B (zh) * 2014-01-21 2016-08-24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判断制热模式的多联空调的温感器阻值是否偏移的方法
CN103791596B (zh) * 2014-01-21 2016-08-24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判断制冷模式的多联空调的温感器阻值是否偏移的方法
KR101871724B1 (ko) * 2016-10-14 2018-07-3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장치의 제어방법
CN107449116A (zh) * 2017-07-21 2017-12-08 杜杰 基于通信网络的基站空调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CN108361914A (zh) * 2018-01-22 2018-08-03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空调器的控制方法、控制系统及空调器
JP6746253B1 (ja) * 2019-06-04 2020-08-26 日立ジョンソンコントロールズ空調株式会社 空気調和機
CN113432244A (zh) * 2021-07-07 2021-09-24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排气传感器脱落检测方法、装置及空调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2624A (ko) 1999-09-27
TW368587B (en) 1999-09-01
CN1227335A (zh) 1999-09-01
JPH11237097A (ja) 1999-08-31
CN1121585C (zh) 2003-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74787B2 (en) Operation controller for compressor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KR0150812B1 (ko) 외부공기 온도를 추정하는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
KR100468917B1 (ko) 다실용 공기조화기
JP2909187B2 (ja) 空気調和機
US5074120A (en) Multi-type air-conditioning system with fast hot starting for heating operation
JP3322684B2 (ja) 空気調和機
GB2261964A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distributing primarily-conditioned air to rooms
EP1477748A1 (en) Air conditioner
JP2983269B2 (ja) 空気調和機
KR100311859B1 (ko) 다실형 공기조화기
JP3772777B2 (ja) 空気調和機および空気調和機の制御方法
US20150153085A1 (en) Refrigerating device
JP4302874B2 (ja) 空気調和機
JP3377632B2 (ja) 空気調和機
JP3163133B2 (ja) 空気調和機
KR100565995B1 (ko) 실내기 설치 위치에 따른 멀티형 에어컨의 운전 방법
JP2960237B2 (ja) 空気調和機
JPH06317357A (ja) 空気調和機
JPH08327122A (ja) 空気調和機
JP3835310B2 (ja) 空気調和機
JPH11237091A (ja) 多室形空気調和機
JP3454697B2 (ja) 空気調和機
JP2914783B2 (ja) 空気調和機
JP2536313B2 (ja) 空気調和装置の運転制御装置
JP3436962B2 (ja) 冷凍サイク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