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9547B1 - 다중방송방법및장치 - Google Patents

다중방송방법및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9547B1
KR100309547B1 KR1019940030657A KR19940030657A KR100309547B1 KR 100309547 B1 KR100309547 B1 KR 100309547B1 KR 1019940030657 A KR1019940030657 A KR 1019940030657A KR 19940030657 A KR19940030657 A KR 19940030657A KR 100309547 B1 KR100309547 B1 KR 1003095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broadcasting
sub
broadcast
multiple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0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6337A (ko
Inventor
요시노브히토시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9500163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63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9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95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8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44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 H04H20/4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H04H20/95
    • H04H20/47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H04H20/95 specially adapted for stereophonic broadcast systems
    • H04H20/48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H04H20/95 specially adapted for stereophonic broadcast systems for FM stereophonic broadcast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28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broadcast of plural pieces of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35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 H04H60/38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broadcast time or space
    • H04H60/41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broadcast time or space for identifying broadcast space, i.e. broadcast channels, broadcast stations or broadcast areas
    • H04H60/42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broadcast time or space for identifying broadcast space, i.e. broadcast channels, broadcast stations or broadcast areas for identifying broadcast are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24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the geographical location of the cli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vertisement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8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 H04N7/087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with signal insertion during the vertical blanking interval only
    • H04N7/088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with signal insertion during the vertical blanking interval only the inserted signal being digital
    • H04N7/0888Subscription system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62Authorising the user terminal, e.g. by paying; Registering the use of a subscription channel, e.g. billing
    • H04N7/165Centralised control of user terminal ; Registering at centr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 Stereo-Broadcasting Meth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다중방송에 있어서 지역밀착형의 CM등의 지역정보의 방송대상지역을 한정하는데 있다.
그 구성은 방송국측에서는 에니메이션등의 다중데이터에 우편번호와 같은 지역코드를 붙여서 방송한다. 수신기(10)측에서는 설치지역의 지역코드를 다중방송수신기의 ID로서 메모리(24)에 등록하여놓고 데이터 추출회로(14)에 의해 분리된 수신다중데이터(D14)의 지역코드와, 메모리(24)상의 ID와를 비교하여 쌍방이 일치하였을때만 다중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상을 수신기(1)에 표시한다.

Description

다중방송방법 및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다중방송의 수신장치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기위한 개념도이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기위한 플로우차트이다.
제4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기위한 도면이다.
제5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기위한 플로우차트이다.
제6도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위한 개념도이다.
제7도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위한 개념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수신장치 14 : 문자다중 데이터 추출회로
20 : 문자다중디코더 21 : CPU
22 : R0M 24 : SRAM
본 발명은 예를들면 문자다중방송등과 같이 소정의 부방송정보를 주방송정보로 다중화하여 방송을 행하는 다중방송방법 및 그 방송장치 내지 수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문자나 도형으로 구성되는 영상정보를 디지탈신호의 형태로 텔레비젼신호로 다중화하여 송출하고 이 신호를 수신측에서 복호하여 텔레비젼 수신기에 표시하는 문자다중방송이 알려져 있다.
송출측에서는 문자나 도형에 의한 화면에 필요에 따라서 부가음이 조합되어서 문자방송화면이 제작된다. 각 문자방송화면은 부호화되고 프로그램번호, 페이지번호, 표시모드 등을 지정하는 데이터가 부가된다.
또한, 동기부호나 오류정정부호등이 부가되어서 문자신호가 되고 텔레비젼신호의 수직블랭킹 기간중의 제 14H(H는 수평구간)~16H와 제 21H에 중첩하여 송신된다.
수신측에서는 복조한 영상신호에서 문자신호가 분리되고, 오류정정처리후에 문자방송데이터가 복호된다. 이 데이터에 따라서 R0M에서 독출된 패턴데이터나 도형데이터가 표시메모리에 기업되어 영상신호로 변환되어서 수상관에 표시된다.
또한 이 영상정보는 프린터에 의해 하드카피로서 인쇄할 수도 있다.
또 부가음데이터에 따라서 전자음이 스피커에서 재생된다.
문자다중방송에 있어서, 1수평주사기간에 중첩되는 계층2의 데이터라인은 24비트의 동기부와 272비트의 데이터 패킷(계층3)으로 구분된다.
그리고 계층5의 프로그램데이터는 제 6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프로그램 관리데이터와 각 페이지데이터로 되며 프로그램데이터 헤더에는 프로그램을 식별하기 위한 번호와 프로그램의 군을 식별하기 위한 번호가 있다.
그런데 종래 민간의 텔레비젼방송(지상파)이나 통신위성(CS)에 의한 방송에서는 제 7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커머셜·메시지(CM)를 방송하는 경우 통상의 영상과 음성으로 행하여지고 있기때문에 당연하지만 방송국의 서버스영역(SA)의 전역(적어도 도지역(道地城) 혹은 전국)이 CM방송의 대상지역(ZCM)이 된다.
또, 근래 급증하여온 다채널형의 CATV시스템에서는 동축케이블 등의 전송매체를 통해서 VHF, UHF의 지상파의 텔레비젼 방송프로그램을 재송신하는 동시에 미드밴드, 슈퍼하이밴드로 CS배신에 의한 자주프로그램을 송신하고 다수의 가입자에게 분배하고 있으나 CM에 관해서는 통상의 텔레비젼방송과 동일하게 도구역 혹은 전국 규모로 방송되고 있다.
이 때문에 종래의 텔레비젼방송에 의한 광고료는 필연적으로 높아지고 있고, 예를들면 지역밀착형의 중소기업등에는 도구역 방송이라도 텔레비젼방송에 의한 광고는 부담이 과대하게되어 이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종래의 텔레비젼방송에서는 예를들면 기상정보, 도로정보등과 같은 지역관련정보도 전국규모가 지방규모로 순차방송되고 있고 지역마다 다른 보다 상세한 정보를 제공할 수가 없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방송지역을 한정함으로써 비교적 좁은 특정의 지역에만 유의한 지역밀착형의 CM등의 지역정보를 방송할 수 있는 다중방송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위해 제 1의 본 발명에 의한 다중방송방법은 방송국측에서 부방송정보를 부호화하고, 주방송정보로 다중화하여 방송하는 동시에 수신측에서는 다중화 방송정보를 주방송정보와 부호화 부방송정보로 분리하고, 이 부호화 부방송정보를 복호하여 주방송정보와 함께 출력하도록한 다중방송방법에 있어서, 방송국측에서 소정의 부방송정보에 지역한정정보를 부여하여 부호화하고 주방송정보로 다중화하는 동시에, 수신측에서는 당해 수신측에 설정된 지역한정정보와 복호된 부방송정보의 지역한정정보가 일치하였을때에 복호된 부방송정보를 출력하도록 한 것이다.
또, 본 발명에 의한 다중방송장치는 부방송정보를 부호화하는 부호화수단과, 이 부호화수단의 출력을 주방송정보로 다중화하는 다중화수단과, 이 다중화수단에 의한 다중화 방송정보를 송신하는 송신수단과를 갖추는 다중방송장치에 있어서, 부방송정보에 지역한정정보를 부여하여 부호화수단에 의해 부호화하도록 한 것이다.
또, 이 발명에 의한 다중방송 수신장치는 후술하는 실시예의 참조번호에 대응시키면, 다중화 방송정보를 수신하는 수신수단(11)과, 수신된 다중화 방송정보(Sv11)에서 부호화 부방송정보(D14)를 분리하는 분리수단(14)과, 분리된 부호화 방송부정보를 복호하는 복호수단(20)과를 갖추는 다중방송의 수신장치(10)에 있어서, 지역한정정보를 기억하는 기억수단(24)과, 이 기억수단에 기억된 지역한정정보와 복호수단에 의해 복호된 부방송정보의 지역한정정보와를 비교하는 비교수단(21, 22)을 설치하고, 기억수단의 지역한정정보와 부방송정보의 지역한정정보가 일치할때에 부방송정보를 출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의 발명에 있어서 지역한정정보는 우편번호라도 좋고, 또 전화국번호라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방송국측에서 부방송정보에 부여된 지역한정정보와, 수신측에 설정된 특정의 지역한정정보가 일치하였을때에만 부방송정보가 출력되어서 부방송정보의 수신지역이 한정된다.
[실시예]
[방송지역의 한정]
먼저, 제 2도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의한 다중방송방송 및 장치의 일실시예에서의 방송지역한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지역밀착형의 CM등의 지역정보에 방송대상지역에 대응하는 지역코드를 부여하여 상술과 같은 문자다중방송의 영상정보의 형식으로 방송한다.
예를들면 제 2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한 방송국의 서버스영역(SA)중, 각각 지역(Za, Zb, Zc)만을 대상으로서, A, B, C의 정보가 방송된다. 또 지역(Zb 및 Zc)을 포함하는 지역(Zd)을 대상으로서 D의 정보가 방송된다.
각 정보에는 방송지역을 한정하기위해 예를들면
정보 지역 지역코드
A Za 12345
B Zb 23456
C Zc 24567
D Zd 2XXXX
와 같은 대상지역의 지역코드가 앞에나온 제 6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은 프로그램 관리데이터의 일부로서 각각 부여된다.
이와같이 지역코드를 가장 윗자리에서 어느 자리까지 지정하느냐에 따라 혹은 복수의 지역코드를 「&」 (엔드, 즉 논리적 )이나 「OR」 (오아, 즉 논리화)등의 코드를 결합함으로써 방송범위를 적의하게 제어할 수 있다.
상술과 같은 지역코드로서는 대상지역이 계층적으로 명확히 한정되는 것과 정보를 일괄관리할 수 있고 갱신도 엄격히 행하여지도록 하기위해 일본에서는 우편번호, 미국에서는 집코드(Zip Code)등, 각국의 우편번호를 기준으로하는 것이 소망스럽다. 또한 전화의 시외국번+국번으로도 지역한정은 가능하다. 단 우편변호의 편이 한정되는 지역이 작게 할 수 있는 메리트가 있다.
[지역한정 CM의 방송]
방송국측에서는 CM을 방송하는 시간의 예를들면 충분한 여유를 보고 수십초전에 문자다중 CM방송의 준비신호(합도)를 문자다중데이터로서 방송하고, 계속해서 상술과 같은 지역코드가 부여된 복수의 문자다중 CM데이터를 복수프레임에 반복삽입(다중)하여 방송한다.
다음에 CM을 방송하는 시간에서 CM표시개시의 신호(합도)를 문자다중 데이터로서 방송한다. 이 개시신호에는 준비신호와 대응하는 식별번호가 부여된다.
그리고 CM의 방송시간이 끝나면 CM표시종료의 신호(합도)를 문자다중 데이터로서 방송한다. 이 종료신호에도 준비신호와 대응하는 식별번호가 부여된다.
연속하여 CM을 방송하는 경우는 상술과 같은 준비신호의 송출에서 개시신호의 송출까지가 복수회 반복되고, 수신기측에서는 각회에 방송되는 중의 하나가 표시되게 된다.
또한, 수신기측에서의 신호의 흘림가능성을 고려하여, 합도의 각 신호는 복수회에 걸쳐서 방송된다. 특히 종료신호는 잠시 계속해서 방송된다.
[수신장치의 구성]
다음에 제 1도, 제 3도~제 5도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의한 다중방송의 수신장치의 일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 1도에 있어서 부호(10)은 문자다중방송 대응의 수신장치로서 튜너(11)가 탑재되고 튜너(11)로부터의 영상신호(Sv11) 및 음성신호(Sa11)가 각각 영상신호 처리회로(12) 및 음성신호 처리회로(13)를 통해 외부기기로서 접속되는 수신기(1)에 공급된다.
수신장치(10)가 예를들면 CATV시스템과의 계약에 따라서 제공되는 수신단말(케이블상자 내지 홈터미날이라고 통칭됨)의 경우, 소위 페이텔레비젼이나 페이퍼뷰등의 유료방송 프로그램은 스크램블이 걸려있으므로 튜너(11)에는 디스크램블러가 포함되어 있다. 또 수신장치(10)가 위성유로방송의 디코더의 경우도 동일하다.
부호(14)는 문자다중데이터 추출회로이며, 튜너(11)에서 영상신호(Sv11)가 공급되어서 상술과 같은 문자다중데이터(D14)를 추출한다. 그리고 이 데이터(D14)가 문자신호 디코더(20)의 CPU(21)에 공급된다.
문자신호 디코더(20)는 CPU(21)에 가해서 R0M(22), DRAM(23), SRAM(24), VRAM(25)을 갖추고 각각의 버스(26)를 통해 접속되는 동시에 CRT출력포트(27)와 부가음 발생회로(28)가 VRAM(25)과 버스(26)에 각각 접속된다.
CRT출력포트(27), 부가음 발생회로(28)의 출력은 영상신호 처리회로(12)와 음성신호 처리회로(13)에 각각 공급된다.
또 버스(26)에 원격제어수신기(31)가 접속되고, 이 수신기(31)를 통해서 원격제어송신기(코맨더)(32)의 조작에 의한 제어데이터가 CPU(21)에 입력된다.
또한 제 1도에 파선으로 나타내는 바와같이 수신장치(10)의 각부는 CPU(21)에 의해 제어된다.
R0M(22)에는 각 부의 제어프로그램이 격납되는 동시에 표시에 이용하는 폰트나 그래픽의 데이터도 격납된다.
또, DRAM(23)은 주로 작업영역으로서 이용되고 SRAM(24)에는 지역코드 등이 보존된다. 그리고 VRAM(25)은 표시에 이용된다.
[지역코드의 등록]
다음에, 제 3도, 제 4도를 참조하면서 제 1도의 실시예의 지역코드의 등록에 대해 설명한다.
지역코드의 등록에서는 제 3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코맨더(32)의 소정의 키를 조작하여 CPU(21)의 지역코드 설정기능이 기동되면(스텝S1), R0M(22)상의 프로그램에 의해 같은 R0M(22)상의 폰트나 그래픽의 데이터를 합성하여 제 4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은 지역코드입력의 가이던스를 포함하는 입력화면 이미지를 VRAM(25)상에 생성하고, 이 이미지가 CRT출력포트(27)를 통해서 영상신호와 머지되고 디스플레이상에 오버레이표시시키는 신호로 변환되어서 수신기(1)에 표시된다(스텝S2).
또한 지역코드 등록처리는 케이블상자의 설치후의 초기설정시에 반드시 자동적으로 기동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또 SRAM(24)상에 보존되어있는 가설정의 지역코드가 상술과 동일하게 폰트의 데이터를 VRAM(25)상에 전송하여 CRT출력포트(27)를 통해서 영상신호와 머지함으로써 표시된다(스텝S3).
또한 기설정의 지역코드로 설정되지않은 하위의 자리는 「*」 등의 폰트로 표시된다.
그리고 스텝(S2)에서 수상기(1)에 표시된 가이던스에 따라서 코맨더(32)의 숫자키나 예를들면 채널키와 같은 기능키의 조작에 의해 지역코드의 입력이 행하여진다(스텝S4). 입력된 숫자는 스텝(S3)과 동일하게하여 표시된다.
스텝(S4)의 입력처리는 예를들면 중지키로서의 CH11키(채널번호 N0.11의 키, 이하 같음), 결정키로서의 CH10키의 어느것이 눌러질때까지 계속된다(스텝S5, S6). 또한 클리어키로서는 CH12키가 충당된다.
결정키가 눌려진 경우는 입력한 지역코드를 BCD코드로 변환하여 SRAM(24)에 보존하고서 입력화면표시를 종료한다(스텝S7, S8). 또, 중지키가 눌려진 경우는 입력한 지역코드를 보존하지않고 입력화면표시를 종료한다.
상술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수신기(1)에 표시되는 가이던스에 따라서 사용자가 수신장치의 설치장소의 지역코드를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이사의 경우나 설치장소의 지역코드가 변경된 경우에도 확실하게 대응할 수 있다.
[지역한정 CM의 수신]
다음에 제 5도를 참조하면서 제 1도의 실시예의 지역한정 CM수신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술과 같이하여 지역코드가 등록된 수신장치(10)에서는 문자다중 데이터 추출회로(14)가 상시 기능하여, CPU(21)에 의해 선택되어 있는 채널의 데이터가 감시된다.
그리고 지역한정 CM의 수신에서는 제 5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CM데이터에 선행하여 방송되는 준비신호를 기다리고(스텝S11), 이 준비신호가 수신되면 계속해서 수신한 CM데이터를 DRAM(23)에 읽어들인다(스텝S12).
다음의 스텝(S13)에 있어서는 읽어들인 CM데이터가 준비신호에 대응하고, CM데이터의 지역코드가 SRAM(24)에 보존되어있는 지역코드와 일치하고 있는지 아닌지가 판단된다. 일치하지않은 경우는 스텝(S12, S13)이 반복되고 도시는 생략하는바, 적의한 회수로 타임아웃등의 처리가 되어서 무한루프가 회피된다.
CM데이터의 지역코드가 설정지역코드와 일치한 경우는 문자다중데이터로부터의 표시이미지나 부가음데이터를 문자열, 정지화, 애니메이션등에 의한 표시나 부가음으로서 출력할 수 있는 데이터의 형태로 바꾸어서 DRAM(23)상에 준비하여 놓고(스텝S14), 준비신호와 같은 식별변호가 부여된 표시개시신호를 기다린다(스텝S15).
도시는 생략하는바 여기서도 무한루프를 회피하기위한 타임아웃처리나 표시개시신호를 흘린경우의 종료처리가 필요하다.
준비신호와 같은 식별번호의 표시개시신호가 수신되면 스텝(S14)에 있어서 DRAM(23)상에 준비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문자다중방송과 동일하게하여 수상기(1)의 화면의 거의 전역 내지는 일부분에 통상은 래스터를 배경으로하는 모드로 애니메이션등에 의한 CM영상이 표시되는 동시에 부가음성이 출력된다(스텝S16).
연속해서 CM이 방송되는 경우는 상술과 같은 준비신호, 개시신호의 순으로 반복방송되므로 수신측에서는 상술의 스텝(S11~S16)의 처리가 연속해서 행하여지게 된다.
그리고, 준비신호와 같은 식별번호의 표시종료신호가 수신되면(스텝S17), 문자다중에 의한 CM의 표시를 지우고, 통상방송의 영상으로 되돌아간다(스텝S18).
또, 스텝(S17)에서 종료신호가 수신되지않는 경우는 최초의 스텝(S11)으로 되돌아가고, 스텝(S16)의 표시개시에서 소정시간내에 종료신호가 수신되지않는 경우는 강제적으로 CM표시를 종료한다.
채널이 전환된 경우도 동일하다.
또한, 상술과 같은 스텝(S11, S12)의 처리동안에도 문자다중방송을 볼 수 있다. 더욱이 CM데이터가 방송되고 있는 만큼의 데이터의 읽어들이는 것이 약간의 지연이 생긴다.
또, CM데이터로서는 움직이는 화면정보를 데이터 압축한 것을 다중화할 수 있다.
상술과 같이 이 실시예에서는 방송국측에서 계층적인 지역코드를 CM에 부여하여 문자다중방식형식으로 방송하고 수신측에서는 수신지역에 대응하는 특정의 지역코드를 ID로서 설정하고 이 ID와 일치하는 지역코드가 부여된 수신CM만을 출력하도록 하였으므로 CM의 수신지역이 한정되는 동시에 대상지역을 달리하는 복수 CM의 동시방송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텔레비젼방송에 비해서 저렴한 광고료로 할 수 있고 예를들면 지역밀착형의 중소기업이나 소규모상점 등에서도 상술과 같은 문자다중방송형의 지역한정광고를 용이하게 이용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수신측의 ID와 방송국측에서 CM에 부여된 지역코드의 일치조건은 가장 윗자리에서 비교하여 국측에서 「X」로 지정한 자리의 앞까지 동일한지 모든자리가 동일하다고 판정되었을때에 일치하였다고 한다. 「&」등으로 결합된 복수의 지역코드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또 CATV시스템의 케이블상자가 부여되는 케이블상자 ID는 스크램블의 해제신호를 받기위한 것으로서 통상 계약순으로 번호가 붙여지는 것으로 케이블상자 ID에서 가입자의 거주지역을 아는 것이 가능하더라도 지역한정의 목적으로 이용하는 것은 현실적으로는 무리가 있다. 그러나 케이블상자 ID와 그 케이블상자의 설치지와의 대응변환테이블이 작성되어 있으며, 즉 케이블상자를 설치하는 지역이 상자 ID에 대응하여 반드시 등록되어서 상기 변환테이블이 작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변환테이블을 개재하는 것으로 지역한정이 상자 ID라도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
상술의 실시예에서는 문자다중방송형식으로 지역한정CM를 방송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예를들면 기상정보, 도로정보등과 같이 통상은 전국규모나 지방규모로 방송되고 있는 정보를 예를들면 인접도까지 지역을 한정하는 등하여 지역마다 다른 보다 상세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이와같은 지역관련정보중 긴급히 대응하여야할 것은 텔레버젼방송의 영상을 배경으로 하는 슈퍼고정모드로 표시하는 것이 소망스럽다.
이상, 문자다중방송형식으로 지역관련정보를 방송하는 경우에 대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과 같은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데이터방송이나 디지탈방송의 경우에도 지역한정코드를 방송데이터에 부가함으로써 동일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예를들면 위성텔레비젼방송에서는 PCM화 음성이 A모드 내지는 B모드로 전송되는 동시에 이 음성이 전송에 사용하지않는 비트를 이용한 소위 데이터채널에 의해 각종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 데이터채널에서는 데이터가 패킷형식으로 보내지고 각 패킷의 헤더부분에서 서비스의 식별이 가능하기 때문에, 각종의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할 수 있으므로 상술의 실시예와 동일하게 지역코드를 부여함으로써 예를들면 대상지역을 각 도지역으로 한정하여 각 도판의 신문데이터등을 다운로드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방송국측에서 부방송정보에 지역한정정보를 부여하여 주방송정보로 다중화하고, 수신측에서는 수신한 부방송정보의 지역한정정보와 수신측에 설정된 특정의 지역한정정보가 일치하였을때에 수신한 부방송정보를 출력하도록 하였으므로 부방송정보의 수신지역을 한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지역마다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0)

  1. 방송국측에서 부방송정보를 부호화하고 주방송정보로 다중화하여 방송하는 동시에 수신측에서는 수신한 다중화 방송정보를 주방송정보와 부호화 부방송정보로 분리하고 이 부호화 부방송정보를 복호하여 상기 주방송정보와 함께 출력하도록한 다중방송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송국측에서 상기 부방송정보에 지역한정정보를 부여하여 부호화하고, 상기 주방송정보로 다중화하는 동시에, 상기 수신측에서는 당해 수신측에 설정된 지역한정정보와 복호된 부방송정보에 부여된 지역한정정보가 일치하였을때에 당해 복호된 부방송정보를 출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방송방법.
  2. 부방송정보를 부호화하는 부호화수단과, 이 부호화수단의 출력을 주방송정보로 다중화하는 다중화수단과, 이 다중화수단에 의한 다중화 방송정보를 송신하는 송신수단과를 갖추는 다중방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부방송정보에 지역한정정보를 부여하여 상기 부호화수단에 의해 부호화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방송장치.
  3. 다중화 방송정보를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수신된 다중화 방송정보에서 부호화부방송정보를 분리하는 분리수단과, 분리된 부호화 방송부정보를 복호하는 복호수단과를 갖추는 다중방송의 수신장치에 있어서, 지역한정정보를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이 기억부에 기억된 지역한정정보와 상기 복호수단에 의해 복호된 부방송정보에 포함되는 지역한정정보와를 비교하는 비교수단과를 설치하고, 상기 기억부의 한정정보와 상기 부방송정보의 지역한정정보가 일치할때에 상기 부방송정보를 출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방송의 수신장치.
  4. 부방송정보를 부호화하는 부호화수단과, 이 부호화수단의 출력을 주방송정보로 다중화하는 다중화수단과, 이 다중화수단에 의한 다중화방송정보를 송신하는 송신수단을 갖추고 상기 부방송정보에 지역한정정보를 부여하여 상기 부호화수단에 의해 부호화하는 송신장치와, 다중화 방송정보를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수신된 다중화 방송정보에서 부호화 부방송정보를 분리하는 분리수단과, 분리된 부호화 방송부정보를 복호하는 복호수단과, 지역한정정보를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이 기억수단에 기억된 지역한정정보와 상기 복호수단에 의해 복호된 부방송정보의 지역한정정보와를 비교하는 비교수단을 갖추고 상기 기억수단의 지역한정정보와 상기 부방송정보의 지역한정정보가 일치할 때에 상기 부방송정보를 출력하도록한 수신장치로 이루는 다중방송의 송수신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국측에서 복수의 부방송정보에 각각 지역한정정보를 부여하여 복호화하고, 상기 주방송정보와 순차다중하는 동시에, 상기 수신측에서는 순차복호된 복수의 부방송정보중 부여된 지역한정정보가 상기 특정의 지역한정정보와 일치하는 부방송정보만을 출력하는 다중방송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호수단에 의해 순차복호되고, 상기 비교수단에 의해 순차비교되는 복수의 부방송정보중 부여된 지역한정정보가 상기 특정의 지역한정정보와 일치하는 부방송정보만을 출력하는 다중방송의 수신장치.
  7.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역한정정보가 우편번호 또는 전화국번호인 다중방송방법.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역한정정보가 우편번호 또는 전화국번호인 다중방송장치.
  9. 제3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역한정정보가 우편번호 또는 전화국번호인 다중방송의 수신장치.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역한정정보가 우편번호 또는 전화국번호인 다중방송의 송수신장치.
KR1019940030657A 1993-11-25 1994-11-21 다중방송방법및장치 KR1003095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5319101A JP3082820B2 (ja) 1993-11-25 1993-11-25 受信装置およびデジタルデータ受信処理方法
JP93-319101 1993-11-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6337A KR950016337A (ko) 1995-06-17
KR100309547B1 true KR100309547B1 (ko) 2001-12-15

Family

ID=18106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0657A KR100309547B1 (ko) 1993-11-25 1994-11-21 다중방송방법및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668805A (ko)
JP (1) JP3082820B2 (ko)
KR (1) KR1003095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11607B1 (en) 1993-11-18 2003-08-26 Digimarc Corporation Integrating digital watermarks in multimedia content
US6944298B1 (en) 1993-11-18 2005-09-13 Digimare Corporation Steganographic encoding and decoding of auxiliary codes in media signals
US6614914B1 (en) 1995-05-08 2003-09-02 Digimarc Corporation Watermark embedder and reader
US6560349B1 (en) 1994-10-21 2003-05-06 Digimarc Corporation Audio monitoring using steganographic information
US6583825B1 (en) * 1994-11-07 2003-06-24 Index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downloading setup information
US20030213001A1 (en) 1994-11-07 2003-11-13 Index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downloading setup information
SE504237C2 (sv) * 1995-04-27 1996-12-16 Cetronic Ab Förfarande för att selektivt utsända information
JP3911706B2 (ja) * 1995-08-14 2007-05-09 ソニー株式会社 送受信システム及び受信装置
JPH09116878A (ja) * 1995-10-23 1997-05-02 Dentsu:Kk 文字放送受信システムおよび文字放送受信システム制御方法
JP2928146B2 (ja) * 1995-11-29 1999-08-03 日本電気アイシーマイコンシステム株式会社 文字多重データメモリ管理方法
JPH09284738A (ja) * 1996-04-09 1997-10-31 Ekushingu:Kk 有線テレビ放送用端末装置及び有線テレビ放送システム
JPH103745A (ja) * 1996-06-12 1998-01-06 Sony Corp 記録媒体、デジタルコピー管理方法、再生装置、及び記録装置
US5874986A (en) * 1996-06-26 1999-02-23 At&T Corp Method for communicating audiovisual programs over a communications network
JPH1079924A (ja) * 1996-09-02 1998-03-24 Hitachi Ltd 情報信号の伝送方法および送信装置ならびに受信装置
JPH10164527A (ja) * 1996-11-28 1998-06-19 Sanyo Electric Co Ltd 衛星テレビジョン受信装置及びテレビジョン放送方法
JP3593844B2 (ja) * 1997-04-24 2004-11-24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受信方法、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自動車
US8065701B2 (en) 1997-04-30 2011-11-22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broadcasting method, information broadcasting system, and receiving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other than program through digital broadcasting
JPH1155633A (ja) * 1997-08-04 1999-02-26 Hitachi Ltd テレビジョン受信装置
JPH1155634A (ja) * 1997-08-05 1999-02-26 Sony Corp 番組伝送装置及び方法、番組送信装置並びに番組受信装置
JPH11205257A (ja) * 1998-01-16 1999-07-30 Sanyo Electric Co Ltd ディジタル放送システム
JPH11220704A (ja) * 1998-01-30 1999-08-10 Toshiba Corp データ放送システムの送信装置及び受信装置
JP2002057996A (ja) * 1998-03-25 2002-02-22 Dentsu Inc デジタル放送選択受信装置及びその方法
US6792245B1 (en) * 1998-04-10 2004-09-14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Information reproducing apparatus and broadcasting system
WO1999062254A1 (fr) * 1998-05-28 1999-12-02 Kabushiki Kaisha Toshiba Systeme de radiodiffusion numerique et terminal correspondant
JP2000013337A (ja) * 1998-06-26 2000-01-14 Nippon Columbia Co Ltd データ多重放送方法、データ多重化放送システム、受信装置、録音装置
JP2000101866A (ja) * 1998-09-22 2000-04-07 Nec Corp 遠隔操作機能内蔵テレビ
US7099348B1 (en) * 1998-11-03 2006-08-29 Agere Systems Inc. Digital audio broadcast system with local information
KR100443495B1 (ko) 1998-11-24 2004-08-09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디지털 지도파일의 데이터구조
US6944877B1 (en) * 1999-08-27 2005-09-1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Closed loop addressable advertising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JP2001067594A (ja) * 1999-08-31 2001-03-16 Hitachi Ltd 放送方法、及び、装置、ならびに、交通情報編集装置、及び、交通情報提示システム
EP1885128A3 (en) * 1999-09-20 2008-03-12 Tivo, Inc. Closed caption tagging system
JP2001136506A (ja) * 1999-11-02 2001-05-18 Mitsubishi Electric Corp データ放送送信装置およびデータ放送受信装置、ならびにデータ伝送方法
US6347216B1 (en) * 1999-11-04 2002-02-12 Xm Satellite Radio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geographic specific services in a satellite communications network
EP1100220A3 (en) 1999-11-08 2005-06-0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ystem for broadcasting programmes, containing references to other programmes, such as commercial messages, which are stored on a data base, and terminal for receiving said programmes
US7114169B1 (en) * 2000-03-31 2006-09-2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Geographically specific signal communications receiver
US6968564B1 (en) * 2000-04-06 2005-11-22 Nielsen Media Research, Inc. Multi-band spectral audio encoding
US6879652B1 (en) 2000-07-14 2005-04-12 Nielsen Media Research, Inc. Method for encoding an input signal
US7191461B1 (en) 2000-10-02 2007-03-13 The Directv Group,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ing program guides to meet subscriber criteria
US7036137B1 (en) 2000-10-02 2006-04-25 The Directv Group,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nified program guide information to a media subscriber
US7661119B1 (en) 2000-10-02 2010-02-09 The Directv Group,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non-resident program guide information to a media subscriber
US6922844B1 (en) 2000-10-02 2005-07-26 The Directv Group,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inguishing program guides according to originating network
JP3540740B2 (ja) * 2000-11-21 2004-07-07 三洋電機株式会社 ディジタル放送受信広告情報出力装置
JP2002171234A (ja) * 2000-11-30 2002-06-14 Jikokuhyo Joho Service Kk デジタル放送により公共交通機関の運行情報を放送するシステムおよびその放送の受信システム
EP1241447A1 (en) 2001-03-13 2002-09-1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Information terminal and cartographic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JP2002359833A (ja) * 2001-03-27 2002-12-13 Hitachi Ltd データ通信システムおよび送信装置、通信端末
JP2002305481A (ja) * 2001-04-06 2002-10-18 Asutemu:Kk 字幕作成システム
JP2002344402A (ja) * 2001-05-15 2002-11-29 Nec Corp 情報提供システムとそれに用いる携帯端末及び情報提供方法
JP2003153080A (ja) 2001-11-09 2003-05-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映像合成装置
JP2005523609A (ja) * 2002-04-17 2005-08-04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地域に基づいたアクセス許可
US20080040771A1 (en) * 2004-11-10 2008-02-14 Yan-Mei Tang Talpi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the Presentation of a Signal Having an Audio-Visual Content
JP4546325B2 (ja) * 2005-05-23 2010-09-15 北日本放送株式会社 デジタル放送のcmデータ重畳編集装置、ならびにcmデータ記憶媒体
JP4618285B2 (ja) * 2007-09-11 2011-01-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放送方法
US20090165049A1 (en) 2007-12-19 2009-06-25 United Video Properties, Inc. Methods and devices for presenting and interactive media guidance application
KR100947333B1 (ko) * 2008-02-29 2010-03-16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개인화된 광고데이터의 효율적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시스템
JP4720850B2 (ja) * 2008-05-07 2011-07-13 ソニー株式会社 受信装置
US8732746B2 (en) * 2009-06-01 2014-05-20 Fourthwall Media, Inc. System for and method of targeting broadcast messages
JP6425903B2 (ja) * 2014-03-17 2018-11-21 Dxアンテナ株式会社 受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425637A (en) * 1973-02-15 1976-02-18 British Broadcasting Corp Television systems
US5319454A (en) * 1990-11-13 1994-06-07 Scientific-Atlanta, Inc. CATV system enabling access to premium (pay per view) program events by bar code data entry
US5260778A (en) * 1990-06-26 1993-11-09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Apparatus for selective distribution of messages over a communications network
US5239540A (en) * 1990-11-27 1993-08-24 Scientific-Atlant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receiving and communicating digital data signals with corresponding program data signals which describe the digital data signals
US5400402A (en) * 1993-06-07 1995-03-21 Garfinkle; Norton System for limiting use of down-loaded video-on-demand dat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668805A (en) 1997-09-16
JPH07154350A (ja) 1995-06-16
KR950016337A (ko) 1995-06-17
JP3082820B2 (ja) 2000-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9547B1 (ko) 다중방송방법및장치
JP2974614B2 (ja) 複合番組を正確に放送する方法
KR100361940B1 (ko) 데이타방송시스템
JP3491431B2 (ja) テレビジョン信号受信装置
US6037995A (en)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receiver apparatus
US8976296B2 (en)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receiver apparatus
JPH07203420A (ja) 双方向放送方式およびその受信装置とその遠隔制御装置
JPH0993505A (ja) 文字多重デコーダを有するテレビ受信機
JP3371367B2 (ja) 送信装置および送信方法
JP3371369B2 (ja) 受信装置およびデータ出力方法
JP3209423B2 (ja) 受信装置およびデータ出力方法
JP3209422B2 (ja) 編集装置およびデジタルデータ編集方法
JP3371368B2 (ja) 編集装置および編集方法
JP3209421B2 (ja) 送信装置およびデジタルデータ送信方法
JPH11284963A (ja) 放送波に関する情報供給方法と放送波を受信する受信装置
JP3988053B2 (ja) 放送送受信方法
KR100442272B1 (ko) 디지털 서브타이틀의 아날로그 출력장치 및 방법
KR100739738B1 (ko) 듀얼 디스플레이를 가진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수신 장치에서 서비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그 수신장치
JP4863084B2 (ja) 受信装置、受信方法、送信装置、および送信方法
KR20000050958A (ko) 위성방송 시스템의 기상정보 송/수신방법
WO1999022512A1 (en) Method for transferring information
JPH07212726A (ja) 多重放送方法および受信装置
JPH10209989A (ja) データ放送方式
KR20050021684A (ko) 문자 방송을 이용한 방송 채널 안내 방법
JPH09224229A (ja) ケーブルテレビ放送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