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9518B1 - 동화상재생장치및동화상기록재생장치 - Google Patents

동화상재생장치및동화상기록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9518B1
KR100309518B1 KR1019930023259A KR930023259A KR100309518B1 KR 100309518 B1 KR100309518 B1 KR 100309518B1 KR 1019930023259 A KR1019930023259 A KR 1019930023259A KR 930023259 A KR930023259 A KR 930023259A KR 100309518 B1 KR100309518 B1 KR 1003095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ex
image
moving picture
recording medium
re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3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라사와히데오
곤도요시오
나가노나오끼
사와이구니히또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9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9518B1/ko

Links

Landscapes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목 적]
본 발명은 동화상 재생 장치 및 동화상 기록 재생장치에 있어서, 기록 내용을 검색하는 경우 검색 상태를 직감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태를 단계적으로 향상시킨다.
[구 성]
일련의 동화상으로부터 시계열에 따라 소정의 추출 타이밍으로 추출된 복수의 인덱스 화상을 인덱스 화상기억 수단으로 동화상 기록매체상의 기록 위치에 각각 대응시켜 기억시키는 동시에, 상기 인덱스 화상 기억 수단에서부터 판독한 복수의 인덱스 화상을 인덱스 화상 표시수단으로 시계열에 따라서 표시 화면상에 배열 표시하며, 선택수단으로 소정의 재생가능한 목적 재생화상을 선택하는 동시에, 재생위치 제어수단으로 선택된 목적 재생화상에 대응하는 동화상 기록 매체상의 기록위치로 이동한 후, 재생동작을 개시하게 되도록 함으로써, 동화상 기록매체상의 기록내용을 검색하는 경우 검색상태를 직감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Description

동화상 재생장치 및 동화상 기록 재생장치
제1a도 및 제1b도는 본 발명에 의한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일 실시예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
제2도는 제1도의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제3도는 제1도의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에서 화상 인덱스를 이용한 전체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챠트.
제4도는 제3도와 같은 화상 인덱스를 이용한 전체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챠트.
제5도는 제3도 및 제4도의 전체처리중 화상 인덱스 판독 처리 순서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제6도는 제3도 및 제4도의 전체처리중 화상 인덱스 데이터 생성 처리 순서를 설명하는 플로우챠트.
제7a도 내지 제7e도는 제6도의 화상 인덱스 데이터 생성을 설명하는 도면.
제8도는 제6도의 화상 인덱스 데이터 생성처리 순서로 생성된 화상 인덱스 데이터의 메모리 맵을 나타낸 도면.
제9도는 뷰 검색처리 순서를 설명하는 플로우챠트.
제10도는 제9도와 같은 뷰 검색처리 순서를 설명하는 플로우챠트.
제11도는 제9도 및 제10도의 뷰 검색 처리시 화면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
제12a도 내지 제12f도는 커서상에 표시된 에니메이션의 캐스트를 나타낸 도면.
제13도는 로컬 검색 처리순서를 설명하는 도면.
제14도는 제13도와 같은 로컬 검색 처리 순서를 설명하는 도면.
제15도는 제13도 및 제14도의 로컬 검색 처리시 화면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
제16도는 글로벌 검색처리 순서를 설명하는 플로우챠트.
제17도는 제16도와 같은 글로벌 검색 처리순서를 설명하는 플로우챠트.
제18도는 제16도 및 제17도의 글로벌 검색처리시 화면구성을 설명하는 도면.
제19도는 인덱스 화상 표시 처리순서를 설명하는 플로우챠트.
제20도는 제19도의 인덱스 화상 표시 처리시의 화상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
2 : 칼라 액정 디스플레이 3 : 조작부
4 : 글로벌 버튼 5 : 뷰 버튼
6 : 로컬 버튼 7 : 롤러
8 : 죠그(jog)/셔틀(shutt1e) 전환 스위치
9 : 표시버튼 10 : 일시 정지버튼
11 : 정지버튼 12 : 전원 스위치
13 : 음량 화질조정 스위치 14 : 카세트 테이프 수납구
15 : 밧데리 케이스 16 : 스피커
[목차]
이하의 순서로 본 발명을 설명한다.
산업상 이용분야
종래의 기술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제 1 도 및 제 2 도) 작용(제 1 도 및 제 2 도)
실시예(제 1 도 내지 제 20 도)
(1) 실시예에 의한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구성(제 1 도 및 제 2 도)
(2) 화상 인덱스의 처리(제 1 도 - 제 8 도)
(3) 뷰 검색처리(제 1 도 - 제 12 도)
(4) 로컬 검색처리(제 1 도 - 제 8 도, 제 12 도 - 제 15 도)
(5) 글로벌 검색처리(1 도 - 제 8 도, 제 12 도, 제 16 도 - 제 18 도)
(6) 인덱스 화상표시 처리(제 1 도 - 제 8 도, 제 12 도, 제 19 도 - 제 20도)
(7) 실시예의 효과
(8) 다른 실시예
발명의 효과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동화상 재생 장치 및 동화상 기록 재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시계열에 따라 일련의 동화상으로 된 복수의 인덱스 화상을 이용하여 검색처리를 행하는 것에 적용한다.
[종래의 기술]
종래, 동화상 기록 재생장치로서는 예를 들어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경우필요한 기록 내용을 간단히 검색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간단한 구성의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에 있어서는 테이프 카운터를보고 테이프 위치를 확인하면서 고속감기 모드 및 재생 모드를 조정함으로써 기록내용을 검색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예를 들어 고속 재생에 의해 기록 내용을 검색하는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가 있다.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
고속 모드 및 재생 모드를 반복하는 경우와, 고속 재생하는 경우, 간단하게필요한 기록내용을 검색할 수 없는 문제가 있고, 이 때문에 예를 들어 자기 테이프의 긴 방향으로 형성된 콘트롤 트랙 등에 기록한 인덱스 신호를 기준으로 하여 기록내용을 검색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고속 모드 및 재생 모드를 반복하는 경우, 고속 재생하는 경우, 그리고 인덱스 신호를 기준으로 하는 경우, 어느 것도 검색에 필요한 간격, 자기 테이프의 송신량 등을 관측자가 직감적으로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특히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에 있어서는, 자기테이프를 고속감기하거나 되감을 경우에도 시간을 요하는 결점이 있고, 이 경우 검색중의 현재 위치, 목적 위치등을 시각적 또는 직감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다면,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로서의 사용 상태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편리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이상의 점을 고려한 것으로, 기록 내용을 검색할 때 검색 상황을시각적 또는 직감적으로 파악하여 사용 상태를 향상시키는 동화상 재생 장치 및 동화상 기록 재생 장치를 제안한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시계열에 따라서 일련의 동화상이 기록된 동화상 기록 매체로부터 동화상을 재생하여 표시 화면 DSP 상에 표시하는 동화상 재생장치(1)에 있어서, 일련의 동화상으로부터 시계열에 따라서 소정의 추출 타이밍으로 추출된 복수의 인덱스 화상 IDX 를 동화상 기록 매체상의 기록 위치에 각각 대응시켜 기억하는 인덱스 화상 기억 수단(33)파, 인덱스 화상 기억 수단(33)으로부터 판독한 복수의 인덱스 화상 IDX를 시계열에 따라서 표시 화면 DSP상에 배열 표시시킨 인덱스 화상 표시수단(25)과, 표시 화면 DSP 상에 배열표시된 복수의 인덱스 화상 IDX 중에서 소망의 재생 가능한 목적 재생화상을 선택하는선택수단(7, 23, 24)과 선택수단(7, 23, 24)에 따라 선택된 목적 재생 화상에 대응하는 동화상 기록매체상의 기록 위치로 이동시킨 후 재생동작을 개시시키는 재생위치 제어수단(22, 34)을 설치한 것이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동화상 기록 매체는 자기테이프로 되도록 한다. 더욱본 발명에 있어서 재생위치 제어수단은 자기테이프의 주행제어기구를 포함하고, 그자기 테이프를 고속감기 또는 되감기 함에 따라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목적 재생화상에 대응하는 기록 위치로 이동한 후 재생 동작을 개시시키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동화상 기록매체는 광 디스크를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동화상 기록매체로는 광자기 디스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인덱스 화상 기억 수단에서는 일련의 동화상으로부터 시계열에 따라서 소정의 추출타이밍으로 추출된 복수의 인덱스 화상이 각각 소정의 화소수로 축소된 상태로 동화상 기록매체상의 기록 위치에 각각 대응되게 기억시키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인덱스 화상 기억 수단에서는 일련의 동화상으로부터 시계열에 따라서 소정의 추출 타이밍에서 추출된 복수의 인덱스 화상을 각각 소정의화소수로 축소시켜 소정의 데이터 압축방법에 따라 압축시킨 상태로 동화상 기록매체상의 기록위치에 각각 대응시켜 기억시키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인덱스 화상 기억 수단은 동화상 기록 매체를 수납하는 케이스에 설치하고, 인덱스 화상 기억 수단과 장치 본체와의 간격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수단을 설치한다. 또 본 발명에서 인덱스 화상 기억 수단은 전기적으로 소거 가능하고 재기록 가능한 판독 전용 반도체 메모리를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인덱스 화상 기억 수단으로서 동화상 기록 매체의 미리 설정된 소정영역을 할당하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인덱스 화상 기억 수단으로서 동화상 기록 매체의 기록 개시 위치의 소정 영역을 할당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인덱스 화상 기억 수단으로서 동화상 기록매체의 기록종료위치의 소정 영역이 할당되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인덱스 화상 기억 수단은 장치 본체에 내장되어 있다.또한, 본 발명에서 인덱스 화상 기억 수단은 전원에서 백업된 수시 기록 또는 판독 가능한 반도체 메모리로 된 것이다. 더욱 본 발명에서 인덱스 화상 기억 수단은 전기적으로 소거 가능하고 또한 재기록 가능한 판독 전용 반도체 메모리로 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인덱스 화상 기억 수단은 하드디스크 장치로 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서 인덱스 화상 표시수단은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목적재생화상을 포함한 소정수 분의 인덱스 화상을 인덱스 화상기억 수단으로부터 판독하고, 시계열에 따라서 표시 화면상에 배열 표시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인덱스 화상 표시수단은 인덱스 화상 기억 수단으로부터 판독한 소정수 분의 인덱스 화상을시계열에 따라서 표시 화면상에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 표시하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인덱스 화상 표시수단은 인덱스 화상 기억 수단으로부터 판독한 소정수 분의 인덱스 화상을 시계열에 따라서 표시 화면상에 횡 1열로 배열 표시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선택수단은 표시 화면상에 배열 표시된 복수의 인덱스 화상 배열방향에 따라서 임의위치를 지정하기 위한 위치 지정 수단과, 위치 지정 수단에 의해 지정된 위치에 특정 형상의 커서를 표시하여 목적화상을 지시하는 커서표시수단과를 설정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위치 지정수단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롤러와, 그 롤러의 회전을 검출하는 회전 검출 수단으로 구성되고, 커서 표시수단은 회전검출수단의 출력에 대응한 위치에 특정 형상의 커서를 표시하여 목적 화상을 지시하도록 한다. 또 본 발명에서, 롤러 및 회전 검출수단은 장치 본체에 설치되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롤러 및 회전 검출 수단은 장치 본체에 대한 각종 조작 지령을 무선이나 유선으로 송신하는 원격 조정 장치에 설치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커서 표시수단은 위치 지정 수단에 의해 새로운 위치가지정된 경우, 그 새로운 위치로 향하여 이동하는 물체 또는 생명체를 상기시키는에니메이션을 표시하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커서 표시수단은 위치지정 수단에 의해 새로운 위치가 지정될 경우, 그 새로운 위치로 향하는 주행, 보행, 유영 또는 비행하는 물체 또는 생명체를 상기시키는 에니메이션을 표시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커서 표시수단은 위치 지정 수단에 의해 소정시간에 걸쳐새로운 위치가 지정될 경우, 동일 위치에 정지하는 물체 또는 생명체를 상기시키는에니메이션을 표시하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커서 표시수단은 위치 지정수단에 의해 소정시간에 걸쳐 새로운 위치가 지정될 경우, 동일 위치에서 그의 제자리 주행, 그의 제자리 보행, 그의 제자리 유영 또는 호버링(hovering)하는 물체나 생명체를 상기시키는 에니메이션을 표시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재생위치 제어수단은 동화상 기록매체의 주행을 제어하고, 그의 동화상 기록매체를 고속감기 또는 되감기 하는 것에 의해, 선택 수단에 따라 선택된 목적 재생화상에 대응하는 기록위치로 이동한 후 재생 동작을 개시하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동화상 기록매체로부터 동화상을 재생하는 재생과정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일정시간 간격으로 정지 화상을 추출하여 소정의 화소수로 축소하고, 복수의 인덱스 화상을 순차 생성하여 동화상 기록매체상의 기록 위치로 각각 대응시켜 인덱스 화상 기억 수단에 기록하는 인덱스 화상 생성 수단을 설치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동화상 기록 매체로부터 동화상을 재생하는 재생과정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일정시간 간격으로 정지화상을 추출하여 소정의 화소수로 축소함과 함께 소정의 데이터 압축방법에 의해 압축하고, 복수의 인덱스 화상을 순차 생성하여 동화상 기록매체상의 기록 위치에 각각 대응시켜 인덱스 화상 기억 수단에 기록하는 인덱스 화상 생성수단을 설치하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인덱스 화상의 추출 타이밍을 지정하는 추출 타이밍 지정 수단과 동화상 기록매체로부터 동화상을 재생하는 재생과정에 있어서, 추출 타이밍 지정수단에 의해 지정될 때마다, 복수의 인덱스 화상을 생성하여 동화상 기록매체상의 기록 위치에 대응시켜 인덱스 화상 기억 수단에 기록하는 인덱스 화상 생성 수단을 설치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시계열에 따라서 일련의 동화상을 동화상 기록매체에 기록함과 함께 그의 동화상 기록매체로부터 동화상을 재생하여 표시 화면상에 표시하는 동화상 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동화상 기록매체에 일련의 동화상을 기록하는 기록과정에서, 미리 설정된 일정시간 간격으로 정지 화상을 추출하여 복수의 인덱스 화상을 순차 생성하는 인덱스 화상 생성 수단과, 인덱스 화상 생성수단에 의해순차 생성된 복수의 인덱스 화상을 동화상 기록 매체상의 기록 위치에 각각 대응되게 기억하는 인덱스 화상 기억 수단과, 인덱스 화상 기억 수단으로부터 판독한 복수의 인덱스 화상을 그의 시계열에 따라서 표시 화면상에 배열 표시시키는 인덱스화상 표시수단과, 표시 화면상에 배열 표시된 복수의 인덱스 화상 가운데로부터 소망의 재생 가능한 목적 재생화상을 선택하는 선택 수단과, 동화상 기록매체의 재생개시 위치를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목적 재생 화상에 대응하는 동화상 기록매체상의 기록위치로 이동 제어하는 재생위치 제어수단을 설치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인덱스 화상 생성수단은 동화상 기록매체에 일련의 동화상을 기록하는 기록과정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 간격으로 정지화상을 추출하여 소정의 화소수로 축소하고, 복수의 인덱스 화상을 순차 생성하여 동화상 기록매체상의 기록위치에 각각 대응시켜 인덱스 화상 기억 수단에 기록하는 인덱스 화상 생성수단을 설치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인덱스 화상 생성수단은 동화상 기록매체에 일련의 동화상을 기록하는 기록 과정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일정시간 간격으로 정지화상을 추출하여 소정의 화소수로 축소함과 함께 소정의 데이터 압축방법으로 압축하고 복수의 인덱스 화상을 순차 생성하여 동화상 기록 매체상의 기록 위치에 각각 대응시켜인덱스 화상 기억 수단에 기록하는 인덱스 화상 생성 수단을 설치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인덱스 화상의 추출 타이밍을 지정하는 추출 타이밍 지정수단을 갖는 인덱스 화상 생성수단은 추출 타이밍 지정수단에 의해 지정된 때마다복수의 인덱스 화상을 생성하여 동화상 기록매체상의 기록 위치에 대응시켜 인덱스화상 기억 수단에 기록하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추출 타이밍 지정 수단은녹화개시 버튼의 조작에 따라 인덱스 화상의 추출 타이밍을 지정하도록 한다.
[작 용]
일련의 동화상으로부터 시계에 따라서 소정의 추출 타이밍으로 추출된 복수의 인덱스 화상 IDX 를 인덱스 화상 기억 수단(33)으로 동화상 기록 매체상의 기록위치에 각각 대응되게 기억함과 함께 그 인덱스 화상 기억 수단(33)으로부터 판독한 복수의 인덱스 화상 IDX 를 인덱스 화상 표시수단(25)으로 시계열에 따라서 표시 화면상에 배열 표시시켜 선택 수단으로 소망의 재생가능한 목적 재생화상을 선택함과 함께 재생 위치 제어수단(22,34)으로 선택된 목적 재생화상에 대응하는 동화상 기록매체상의 기록 위치로 이동한 후 재생 동작을 개시시키도록 함에 따라 동화상 기록 매체상의 기록 내용을 검색할 때 검색 상황을 직감적으로 파악한다.
[실시예]
이하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술한다.
(1) 실시예에 의한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구성
제 1 도에서, 1 은 본 발명에 의한 표시 화면 일체형의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외관을 나타내며, 표면측에 제 1a 도와 같이 칼라 액정 디스플레이(2) 및 조작부(3)가 배치되어 있다. 이 조작부(3)에는 검색 처리용의 조작 버튼으로서 글로벌 버튼(4), 뷰 버튼(5), 로컬 버튼(6)이 배치되고, 각종 조작을 행하는 롤러(7) 및 롤러(7)의 기능을 전환하는 죠그(jog)/셔틀(shutt1e) 전환 스위치(8), 자기테이프의 주행을 제어하는 표시버튼(9), 일시 정지버튼(10) 및 정지버튼(11)이 배열되어 있다.
이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1)의 배면측에는 제 1b 도와 같이 전원 스위치(12), 음량 화질 조정 스위치(13), 카세트 테이프 수납구(14), 밧데리 케이스(15) 및 스피커(16)가 배치되어 있다. 전원스위치(12)를 온 조작함과 함께 카세트 테이프 수납구(14)에 소정의 카세트 테이프를 삽입하고, 표시 버튼(9), 일시 정지버튼(10) 및 정지 버튼(11)을 조작함에 따라 카세트 테이프에 녹화된 동화상을 칼라 액정 디스플레이(2)에 재생시키게 된다.
여기서 이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1)에서 취급하는 카세트 테이프의 자기테이프 상에는 절대 시간정보가 미리 기록된 RC 타이머 코드, 테이프 식별용의 테이프 ID 및 테이프 전체의 기록재생시간을 표시하는 테이프 전체길이에 대한 정보가 부가되어 있다. 이 실시예의 경우, 카세트 테이프의 예를 들어 케이스에 부가된 EEPROM 의 구성 메모리에 자기 테이프상의 소정 타이밍 마다의 화상을 압축하고, 부가 정보와 함께 생성된 화상 인덱스가 기억되어 있다.
이에 따라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1)의 경우, 사용자가 예를 들어 재생중에 글로벌 버튼(4), 뷰 버튼(5), 로컬 버튼(6)으로 된 검색 처리용의 조작 버튼을 조작하면, 화상 인덱스를 이용하여 각각 글로벌 검색화면, 뷰 검색화면, 로컬 검색화면을 표시하고, 사용자를 롤러(7)를 조작함에 따라 대응하는 검색 처리를 실행하게 된다. 또한 검색 후 사용자가 표시버튼(9)을 조작하면 검색된 위치까지 자기 테이프를 고속감기 또는 되감기 하여 처리하고 검색된 위치로부터의 재생을 실행하도록되어 있다.
이와 같은 검색처리를 행하기 위하여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1)는 제 2 도에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글로벌 버튼(4), 뷰 버튼(5), 로컬 버튼(6), 표시 버튼(9), 일시 정지버튼(10) 및 정지버튼(11)의 조작 입력이 키 입력 판독 회로(20)로 판독되어, 키 입력메모리(21)에 일단 기억된다. 키 입력 메모리(21)에 기억된 키 입력 내용은 순차로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CPU)를 포함한 검색 제어 회로(22)에서 판독된다.
이 검색 제어회로(22)가 키 입력에 따라 검색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롤러(7)의 조작에 의한 회전량이 회전검출회로(23)로 검색된 롤러 커서위치 메모리(24)를 통하여, 검색 제어회로(22) 및 표시 화면 작성회로(25)로 입력된다. 이 검색제어회로(22)는 처리 상태를 기록하는 상태 메모리(26)를 가지며, 검색의 목적이 되는 목적 재생 위치 및 현재의 재생위치를 각각 목적 재생위치 메모리(27) 및 재생위치 메모리(28)를 통하여 표시 화면 작성 회로(25)로 입력시킨다.
이 표시 화면 작성회로(25)는 검색 처리회로(22)와 같은 CPU 를 포함하고, 표시 화면 제어용의 타이머(29), 현재의 처리상태를 기억하는 상태 메모리(30), 표시중의 에니메이션 모드를 기억하는 에니메이션 모드 메모리(31), 화면중에 표시할 아이콘을 기억하는 에니메이션용 아이콘 메모리(32) 및 자기테이프상의 화상 인덱스를 미리 취입하여 기억하는 목적 재생 위치 화면 메모리(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검색처리 중에서 VTR 주행 제어회로(34)의 제어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VTR 메카딕(VTR mechanica1 deck; 35)에 의해 출력된 재생신호가 비디오 신호처리 회로(36)에서 처리되고, 그 결과 얻어진 동화상 신호에 화상 합성 회로(37)에서 검색 표시 화면에 따른 표시 화면을 중첩하여 칼라 액정 디스플레이(2)에 검색화면을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2) 화상 인덱스의 처리
여기서, 이 실시예의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1)에 있어서는, CPU 를 포함하여전체를 제어하는 시스템 제어회로(도시되지 않음)가 제 3 도와 제 4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처리 프로그램(SP0)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화상 인덱스를 이용한기록 재생 처리를 행한다. 즉, 시스템 제어회로의 CPU 는 전체 처리 프로그램 (SP0)으로부터 입력되고, 스텝(SP1) 에서 카세트 테이프의 입력여부를 판단하고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는 카세트 테이프가 장전되는 것을 대기한다.
계속하여 CPU 는 다음의 스텝(SP2)에서 카세트 테이프의 케이스 중에 배열된메모리에서 화상 인덱스를 판독하고, 이어서 스텝(SP3)에서 판독한 것이 정상인가아닌가를 판단하고, 정상인 경우에는 스텝(SP4)을 실행하여 내부의 플래그(FLAG)를 [참(TRUE)]으로 설정하여 다음 스텝(SP5)으로 이동하고, 정상이 아닌 경우에는 스랩(SP6)을 실행하여 플래그(FLAG)를 [거짓(FALSE)]으로 설정하여 스텝(SP5)으로 이동한다.
이 스텝(SP5)에서 CPU 는 카세트 테이프가 들어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여기서 부정 결과를 얻으면 상술의 스텝(SP1)으로 돌아가고, 카세트가 장전되는 것을대기한다. 또한, 여기서 긍정결과를 얻으면 다음 스텝(SP7)으로 가서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1)가 녹화중인가 아닌가를 판단하고 녹화중이면 스텝(SP8)으로 가서 녹화중의 화상 인덱스 생성처리를 행한 후, 이어서 스텝(SP9)에서 플래그(FLAG)를 [참(TRUE)]으로 설정하고 스텝(SP10)으로 간다. 또한 스텝(SP7)에서 부정 결과를 얻으면 그대로 스텝(SP10)으로 간다.
CPU 는 이 스텝(SP10)에서 화상 인덱스(VID) 생성버튼 (도시되지 않음)이 눌러졌는가를 판단하고, 여기서 긍정결과를 얻으면 스텝(SP11)으로 가서 화상 인덱스생성처리를 행한 후, 이어서 스텝(SP12)에서 플래그(FLAG)를 [참(TURE)]으로 설정하고 스텝(SP13)으로 간다. 또한 스텝(SP10)에서 부정결과를 얻으면 그대로 스텝(SP13)으로 간다.
이 스텝(SP13)에서는 화상 인덱스를 이용한 검색 버튼으로서 글로벌 버튼(4), 뷰 버튼(5), 로컬 버튼(6)의 어느 것이 눌러졌는가를 판단하여 긍정결과를 얻으면 스텝(SP14)으로 가고, 플래그(FLAG)가 [참(TRUE)]인지의 여부, 즉 화상 인덱스가 올바르게 판독되었는지 또는 올바르게 생성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이 스텝(SP14)에서 긍정결과를 얻으면 CPU 는 다음의 스텝(SP15)에서 조작 버튼에 대응한 검색처리를 실행하여 스텝 (SP16)으로 간다.
또한, CPU 는 스텝(SP13) 및 스텝(SP14)에서 부정결과를 얻으면 바로 스텝(SP16)으로 가고, 이 스텝(SP16)에서 종료를 의미하는 정지 버튼(11)이 조작되었는가를 판단하고 긍정결과를 얻으면 다음 스텝(SP17)에서 당해 전체 처리 프로그램(SP0)을 종료하고, 역으로 부정결과를 얻으면 상술의 스텝(SP5)으로 돌아 간다.
그리고 CPU 는 스텝(SP2)에서 상술한 화상 인덱스의 판독처리로서 제 5 도에서 화상 인덱스 데이터 판독 처리 수순 RT(2)의 서브 루틴을 실행한다. 즉, CPU는 카세트 테이프의 케이스에 부가된 메모리에 의해 화상 인덱스를 판독할 때 화상 인덱스 데이터 판독 처리 수순 RT(2)을 개시하여 다음 스텝(SP21~SP23)에서 테이프 ID, 테이프 전체량 및 화상 인덱스의 개수를 내부 메모리에서 판독한다.
계속하여 CPU 는 스텝(SP24) 및 (SP25)에서 타이머 코드 및 대응하는 화상 인덱스를 내부의 메모리에서 판독하고, 다음 스텝(SP26)에서 화상 인덱스 개수 분만큼의 반복 여부를 판단하고 부정 결과를 얻으면 상술의 스텝(SP24) 및 (SP25)을반복하고, 긍정결과를 얻으면 스텝(SP27)으로 가서 당해 화상 인덱스 데이터 판독처리 수순 RT(2)를 완료한다.
또한, CPU 는 스텝(SP8) 및 (SP11)에서 상술한 화상 인덱스 생성 처리로서,제 6 도에 도시한 화상 인덱스 데이터 생성처리 수순 RT(8)의 서브루틴을 실행한다. 즉, CPU 는 화상 인덱스 데이터 생성 처리 수순 RT(8)를 개시하여 스텝(SP31)및 (SP32)에서 테이프 ID 를 산출하여 기억함과 함께 회전 주기 등에 기초하여 테이프 전체량을 조사하여 기억하고, 다음 스텝(SP33)에서 카운터 n을 0 으로 초기화한다.
계속하여 CPU 는 스텝(SP34)에서 화상 인덱스의 취입시간 간격을 표시하는 타이머(29)를 리세트하고, 다음 스텝(SP35)에서 정지 버튼(11)이 눌러졌는가 또는테이프 종료인가를 판단하고, 여기서 부정결과를 얻으면 다음 스텝(SP36)으로 가서타이머(29)가 15초 경과하였는가를 판단하여 부정결과를 얻으면 상술의 스텝(SP35)으로 간다.
CPU 는 타이머(29)에 의해 15초 경과함에 따라 스텝(SP36)에서 긍정결과를 얻으면 다음 스텝(SP37)을 실행하고, 제 7a 도에 도시한 비디오 화면의 화상 신호를 아날로그 디지탈 변환시켜 프레임 버퍼에 기억한다. 이때 제 7b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640 화소 x 480 라인의 각 화소분이 각각 1 화소 24(비트)로 표시되고, 1 화면분으로서 약 922(킬로바이트)의 데이터 량이 된다.
계속하여 CPU 는 스텝(SP38) 및 (SP39)을 실행하여 비트 축소 처리로서 24 비트인 1 화소분의 데이터를 5 비트로 압축함과 함께 640 화소 x 480 라인인 1 화면분의 데이터를 64 화소 x 48 라인 분으로 솎아내어 해상도를 1/10 로 축소하고, 1 화면분으로서 제 7c 도와 같이 약 1.92(킬로바이트)의 데이터량으로 한다.
계속하여 CPU 는 다음 스텝(SP40)을 실행하여, 런렝스 부호화의 방법을 이용하여 약 1.92(킬로 바이트)의 데이터량을 1/2 로 압축하고, 1 화면분으로 제 7d 도와 같이 0.96(킬로바이트)의 데이터량인 화상 인덱스의 셀을 작성한다.
CPU 는 스텝(SP41) 및 스텝(SP42)을 실행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하여 작성된화상 인덱스의 셀에 대응하는 타이머 코드를 판독함과 함께 이 타이머 코드 및 셀이 순차적으로 제 7e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 인덱스로 메모리에 기억된다. 실제상 자기 테이프의 전체 길이가 120 분으로 상술한 바와 같은 15 초 간격으로 화상 인덱스를 작성한 경우에는 다음식[식 1]에서 표시된 463(킬로바이트)분의 데이터량이 된다.
[식 1]
964[byte] × (120×60)/15 = 463[kbyte] ... (1)
그리고 CPU 는 다음 스텝(SP43)에서 카운터 n 을 카운트 업 하여 상술의 스텝(SP34)으로 가고, 다음 1 화면분에 대하여 화상 인덱스를 작성한다. 또한, CPU는 상술의 스텝(SP35)에서 긍정 결과를 얻을 경우, 즉 정지버튼(11)이 눌러졌거나 또는 테이프 종료의 경우 스텝(SP44)으로 가서 카운터 n 의 값을 화상 인덱스의 수로서 기억하고, 다음 스텝(SP45)에서 당해 화상 인덱스 데이터 생성 처리 수순 RT(8)를 종료한다.
실제의 메모리중의 화상 인덱스로서는 제 8 도에 도시된 메모리 맵에 따라 기억된다. 즉, 메모리의 선두로부터 4 바이트 분에는 테이프 ID 가 기억되고, 계속 4 바이트 분에는 테이프 전체량이 기억되고, 또한 2 바이트 분에는 화상 인덱스 수가 기억되어, 자기 테이프상의 포지션을 표시하는 타임 코드와 화상 인덱스 각각 4 바이트 및 960 바이트로, 화상 인덱스의 부분만큼 기억되고, 이와 같이 하여 화상 인덱스를 생성하도록 되어 있다.
(3) 뷰 검색처리
이 실시예의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1)의 검색 제어 회로(22)및 표시 화면 작성회로(25)의 CPU 는 화상 인덱스 IDX 를 이용한 전체 처리 프로그램(SP0)에 걸쳐스텝(SP13~SP15)의 검색처리로서, 뷰 버튼(5)이 눌러진 것과, 제 9 도 및 제 10도에 도시된 뷰 검색 처리 프로그램(SP50)을 실행한다.
여기서 뷰 검색 처리로는 제 11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자기 헤드가 적절히 접하여 있는 자기 테이프상의 재생 위치를 중심으로 소정수 분의 화상 인덱스 IDX 를 시계열에 따라서 표시 화면 DSP 상에 매트릭스상으로 배열 표시하고, 커서 CS 에 의해 목적으로 된 재생 위치를 지정하도록 하는 검색 처리이다.
그리고 이때 화상 인덱스 IDX 의 각 셀 화상은 좌상 방향으로부터 우방향에걸쳐 하방향으로 행 전환하면서 대응하는 타이머 코드의 순서에 따른다. 그 표시 화면 DSP 상에 재생 위치를 표시하는 마크 MK 및 예를 들어 움직이는 인물로 에니메이션을 표현한 목적 재생 위치를 나타내는 커서 CS 를 표시한다.
이 커서 CS 는 표시 화면 DSP 의 좌단까지가면 상방으로 행 전환하고 우단까지가면 하방으로 행 전환한다. 또 커서 CS 가 표시 화면 DSP 의 좌상단까지 가면 표시 화면 DSP 중의 화상 인덱스 IDX 전체가 1 행씩 상방으로 스크롤하고, 역으로우단에서는 1 행씩 하방으로 스크롤한다.
실제상 검색 제어 회로(22) 및 표시 화면 작성회로(25)의 CPU 는 뷰 검색처리 프로그램(SP50)을 개시하여 다음 스텝(SP51)에서 뷰 버튼(5)이 눌러진 여부를 판단하고, 긍정 결과를 얻으면 다음 스텝(SP52)으로 가서 검색화면은 표시를 끝내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처음의 처리에서는 여기서 부정 결과를 얻고 CPU 는 스텝(SP53)으로 간다.
이 스텝(SP53)에서 CPU 는 칼라 액정 디스플레이(2)상에 표시되어 있는 재생화면을 제 11 도에서 상술한 뷰 검색용의 표시 화면 DSP 인 검색화면으로 전환하고다음 스텝(SP54)에서 목적 재생 위치 메모리(27)에 현재 재생위치를 세트한다. 계속하여 CPU 는 에니메이션용 아이콘 메모리(32)로부터 제 12e 도 또는 제 12f 도에표시한 정지 캐스트를 판독하여 이를 커서 CS 로서 표시한다. 또한 다음에 CPU 는스텝(SP56)을 실행하여 에니메이션 모드 메모리(31)를 정지 상태로 된 정지 에니메이션을 설정한다.
다음에 CPU 는 스텝(SP57)에서 목적화상 위치 메모리(27)의 내용에 기초하여목적 재생 위치 부근의 화상 인덱스 IDX 를 목적 재생 위치화면 메모리(33)로부터판독하고, 이를 시계열에 따라서 표시 화면 DSP 상에 매트릭스 상으로 배열 표시하고, 계속 스텝(SP58)에서 재생위치에 대응한 위치에 마크 MK 를 표시하고 스텝(SP59)으로 간다.
CPU 는 이 스텝(SP59)에서 표시버튼(9)이 눌러졌는가의 여부를 판단한다. 통상 뷰 버튼(5)이 눌러진 뷰 검색 처리 중에 표시버튼(9)이 눌러지면, 검색 처리를 완료하여 사실상 자기 테이프의 시작점으로 되감김을 실행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통상의 검색처리에서는 여기서 부정 결과를 얻어 CPU 는 스텝(SP60)으로 간다.
이 스텝(SP60)에서는 롤러 커서 위치 메모리(24)로부터 입력된 롤러(7)의 회전 정보에 기초하여 롤러(7)가 움직이는가의 여부를 판단하고, 여기서 부정 결과를얻으면 CPU 는 다음 스텝(SP61)으로 가고, 롤러가 이동하지 않는 상태에서도 캐스트의 표시 전환을 행하기 위하여 타이머(29)를 리세트하고 다음 스텝 (SP62)으로 간다.
CPU 는 이 스텝 SP62 에서 커서 CS 의 위치가 표시 화면 DSP 상에서 좌상단인가의 여부를 판단하고, 여기서 부정결과를 얻으면 CPU 는 다음의 스텝(SP63)을 실행하여 커서 CS 의 위치가 표시 화면 DSP 상에서 우하단인가의 여부를 판단하고,여기서 부정결과를 얻으면 CPU 는 다음 스텝(SP64)으로 간다.
CPU 는 상술의 스텝(SP62)에서 긍정 결과를 얻으면 스텝 (SP65)으로 가서 표시 에리어를 밑으로 스크롤 한 후 스텝(SP64)으로 가고, 상술의 스텝(SP63)에서 긍정 결과를 얻으면 스텝(SP66)으로 이동하여 표시 에리어를 위로 스크롤 한 후 스텝(SP64)으로 간다.
이 스텝(SP64)에서는 목적재생 위치에 커서 CS 를 이동시켜 다음 스텝(SP67)에서 롤러(7)가 우로 이동했는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긍정결과를 얻으면 CPU 는 스텝(SP68)으로 가서 에니메이션 모드 메모리(31)를 참조하여 현재의 에니메이션 모드가 우 에니메이션 모드인가의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긍정결과를 얻으면 CPU 는 스텝(SP69)으로 가고 커서 CS 로서 표시되어 있는 우 캐스트(제 12c 도 또는 제 12d 도)를 전환한 후 스텝(SP51)으로 간다.
또한, CPU 는 스텝(SP68)에서 부정 결과를 얻으면 스텝(SP70)으로 가서 현재표시중의 캐스트에 대신하여 우 캐스트(제 12c 도 또는 제 12d 도)를 표시함과 함께 에니메이션 모드 메모리(31)를 우 에니메이션 모드로 한 후 스텝(SP51)으로 간다.
그리고 상술한 스텝(SP67)에서 부정결과를 얻으면 CPU 는 스텝(SP72)으로 가서 에니메이션 모드 메모리(31)를 참조하여 현재의 에니메이션 모드가 좌 에니메이션 모드인가의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긍정결과를 얻으면 CPU 는 스텝(SP73)으로 가고, 커서 CS 로서 표시된 좌 캐스트(제 12a 도 또는 제 12b 도)를 전환한 후 스텝(SP51)으로 간다.
또한 CPU 는 스텝(SP72)에서 부정결과를 얻으면 스텝(SP74)으로 가고 현재 표시중의 캐스트에 대신하여 좌 캐스트 (제 12a 도 또는 제 12b 도)를 표시함과 함 에니메이션 모드 메모리(31)를 좌 에니메이션 모드로 한 후 스텝(SP51)으로 간다.
그리고 CPU 는 상술의 스텝(SP60)에서 부정결과를 얻으면 스텝(SP76)으로 가고, 타이머가 일정시간이었는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부정결과를 얻으면 CPU는 스텝(SP77)으로 가고, 현재의 에니메이션 모드가 우 에니메이션 모드인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긍정결과를 얻으면 CPU 는 스텝(SP70)으로 가서 현재 표시중의 캐스트에 대신하여 우 캐스트(제 12c 도 또는 제 12d 도)를 표시함과 함께 에니메이션 모드 메모리(31)를 우 에니메이션 모드로 한 후 스텝(SP51)으로 간다.
또한 CPU 는 스텝(SP77)에서 부정결과를 얻으면 스텝(SP78)으로 가고, 현재의 에니메이션 모드가 좌 에니메이션 모드인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긍정결과를 얻으면 CPU 는 스텝(SP74)으로 가서 현재 표시중의 캐스트에 대신하여 좌 캐스트(제 12a 도 또는 제 12b 도)를 표시함과 함께 에니메이션 모드 메모리(31)를 좌에니메이션 모드로 한 후 스텝(SP51)으로 간다.
그리고 CPU 는 스텝(SP78)에서 부정결과를 얻으면 또는 상술의 스텝(SP76)에서 긍정결과를 얻으면, 스텝(SP79)으로 가서 현재의 에니메이션 모드가 정지 에니메이션 모드인가의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부정결과를 얻으면 CPU 는 스텝(SP80)으로 가서 현재 표시중의 캐스트에 대신하여 정지 캐스트(제 12e 도 또는 제 12f 도)를 표시함과 함께 에니메이션 모드 메모리(31)를 정지 에니메이션 모드로 한 후 스텝(SP51)으로 간다. 또한, CPU 는 스텝(SP79)에서 긍정결과를 얻으면 스텝(SP82)로 가서 커서 CS 로 표시되어 있는 정지 캐스트(제 12e 도 또는 제 12f 도)를 전환후 스텝(SP51)으로 간다.
그리고 CPU 는 스텝(SP51)으로 가서, 다시 뷰 버튼(5)이 눌러졌는가 여부를판단하고, 긍정 결과를 얻으면 다음 스텝 (SP52)으로 가서 검색화면은 표시 끝인가의 여부를 판단한다. 2 회째의 처리에서는 긍정결과를 얻고, CPU 는 스텝(SP83)으로 가고, 검색중의 모드를 취소함과 함께 다음 스텝(SP84)에서 검색 화면을 소거하고 스텝(SP51)으로 간다.
또한, 이 스텝(SP51)에서 부정 결과를 얻으면 CPU 는 스텝(SP85)으로 가고,검색화면이 표시 끝인가의 여부를 판단하고, 여기서 부정 결과를 얻으면 스텝(SP51)으로 간다.
사실상 이 처리를 실행하는 것에 의해 뷰 버튼(5)이 토글 스위치로 사용되고, 한번 뷰 버튼(5)을 누르면 뷰 검색화면을 표시하여 검색처리를 실행하는 모드가 되며, 이 상태에서 뷰 버튼(5)을 누르면 뷰 검색화면이 소거되어 검색처리가 중지된다. 다시 한번 뷰 버튼(5)이 눌러지면 뷰 검색화면을 표시하여 검색 처리를 실행하는 모드로 된다.
또한, CPU 는 상술의 스텝(SP85)에서 긍정결과를 얻으면, 다시 스텝(SP58)~스텝(SP82)의 처리 루프를 실행하고, 스텝(SP59)에서 긍정결과를 얻으면 CPU 는 스텝(SP86)으로 가서 목적 재생 위치와 재생 위치가 동일한가 여부를 판단하고, 긍정결과를 얻으면 상술의 스텝(SP51)으로 간다. 이는 뷰 검색 처리의 결과, 목적 재생 위치가 현재의 재생 위치와 다르기 때문에 실제로 자기 테이프를 고속감기, 되감기 함에 따라 구동하여 검색할 필요가 있는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계속하여 스텝(SP86)에서 부정결과를 얻으면 CPU 는 다음 스텝(SP87)으로 가서 VTR 주행 제어 회로(28)에 대하여 자기 테이프를 목적 재생 위치인 화상 인덱스 IDX 에 부가된 타임 코드로 표시된 프레임까지 이동시키는 검색 명령을 보내고, 계속하여 스텝(SP8)에서 검색중인 것을 표시하는 검색중 화면 처리를 실행한 후 다음스텝(SP89)에서 당해 뷰 검색 처리 프로그램(SP50)을 종료한다.
이상의 구성에서 예를 들어 뷰가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1)의 재생 중에 뷰버튼(5)을 누르면 칼라 액정 디스플레이(2)의 표시 화면 DSP 상에 재생 위치부근의 화상 인덱스 IDS 가 매트릭스 상에 배열 표시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롤러(7)를임의로 회전시키면 롤러(7)의 회전에 따라 표시 화면 DSP 상의 목적 재생 위치를 표시하는 커서 CS 가 이동한다.
사용자가 목적 재생위치가 결정된 후 표시버튼(9)을 누르면, 검색처리중의 화면표시 DSP 로 전환되고, 당해 검색을 종료하면 목적재생 위치로부터의 재생화면이 개시된다. 이와 같이 하여 이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1)에 있어서는 표시 화면 DSP 상의 화상 인덱스 IDX 를 참조하면서 시각적 또는 직감적으로 목적 재생 위치를 검색하는 것이 가능하고, 검색 처리시 사용자의 사용상태를 단계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4) 로컬 검색처리
이 실시예의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1)의 검색 제어 회로(22) 및 표시 화면 작성회로(25)의 CPU 화상 인덱스 IDX 를 이용한 전체 처리 프로그램(SP0)중에서 스텝(SP13)-(SP15)의 검색처리로서 로컬 버튼(6)이 눌러지면 제 13 도 및 제 14 도에도시한 로컬 검색처리 프로그램(SP100)을 실행한다.
여기서, 로컬 검색 처리로는 제 15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자기 헤드가적당히 접하여 있는 자기 테이프상의 재생 위치를 중심으로 소정수분의 화상 인덱스 IDX 를 시계열에 따라서 표시 화면 DSP 의 영상 출력된 비디오 화상 VD 상에 중첩하여 대상의 영상대 LB 로서 표시하고, 커서 CS 에 의해 목적으로 된 재생 위치를 지정하는 검색처리이다.
이때 화상 인덱스 IDX 의 각 셀 화상은 좌방향에서 우방향에 걸쳐 대응하는타이머 코드의 순서에 따른다. 이 영상대 LB 상에 재생 위치를 표시하는 마크 MK 및 예를 들어 움직이는 인물로 에니메이션 표현한 목적 재생 위치를 표시하는 커서 CS 를 표시한다. 이 커서 CS 가 영상대 LB 의 좌단까지 오면 영상대 LB 자체가 하나의 화상 인덱스 IDX 씩 우방향으로 스크롤하고, 우단에 도달하면, 역으로 우단에서 1 씩 좌방향으로 스크롤한다.
사실상 검색제어 회로(22) 및 표시 화면 작성회로(25)의 CPU 는 로컬 검색처리 프로그램(SP100)에서부터 시작하여 다음 스텝(SP101)에 걸쳐 로컬 버튼(6)이 눌러졌는가를 판단하고, 긍정 결과를 얻으면 다음 스텝(SP102)으로 가서 검색화면 이 표시 끝인가 여부를 판단한다. 처음 처리에서는 여기서 부정 결과를 얻고, CPU는 스텝 (SP103)으로 간다.
이 스텝(SP103)에서 CPU 는 칼라 액정 디스플레이(2)상에 표시된 재생화면을제 15 도에서 상술한 로컬 검색용의 표시 화면 DSP 인 검색화면으로 전환하고, 다음 스텝(SP104)에서 목적 재생 위치 메모리(27)에 현재의 재생 위치를 세트한다.
계속하여 CPU 는 에니메이션용 아이콘 메모리(32)에서부터 제 12e 도 또는 제 12f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지 캐스트를 판독하고, 이를 커서 CS 로서 표시한다. 또한 CPU 는 스텝(SP106)을 실행하여 에니메이션 모드 메모리(31)를 정지 상태로 되는 정지 에니메이션 모드를 설정한다.
다음에 CPU 는 스텝(SP107)에서 목적 화상 위치 메모리(27)의 내용에 기초하여 목적 재생 위치 부근의 화상 인덱스 IDX 를 목적 재생 위치화면 메모리(33)에서판독하여, 이를 시계열에 따라서 표시 화면 DSP 상에 영상대 LB 를 표시하고, 계속하여 스텝(SP108)에서 재생 위치에 대응한 위치로 마크 MK 를 표시하고 스텝(SP109)으로 간다.
CPU 는 상기 스텝(SP109)에서 표시버튼(9)이 눌러졌는 가를 판단한다. 통상로컬 버튼(6)이 눌러져 로컬 검색 처리중에 표시 버튼(9)이 눌러지는 것은, 검색처리를 완료하여 사실상 자기 테이프의 시작점으로 되감김을 실행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통상의 검색 처리중에는 여기서 부정 결과를 얻어 CPU 는 스텝(SP110)으로 간다.
이 스텝(SP110)에서는 롤러 커서 위치 메모리(24)에서 온 롤러(7)의 회전정보에 기초하여 롤러(7)가 움직이는가 여부를 판단하고 여기서, 부정결과를 얻으면 CPU 는 다음 스텝(SP111)으로 가고, 롤러가 이동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캐스트의 표시 전환을 행하기 위하여 타이머(29)를 리세트하고 다음 스텝(SP112)으로 간다.
CPU 는 이 스텝(SP112)에서 커서 CS 의 위치가 영상대 LB 상에서 좌단인가 우단인가를 판단하고 여기서 부정결과를 얻으면 CPU 는 다음의 스텝(SP113)을 실행하고, 커서 CS 의 위치가 영상대 LB 상에서 우단인지를 판단하고, 여기서 부정 결과가 얻어지면 CPU 는 다음의 스텝(SP114)으로 간다.
CPU 는 상술의 스텝(SP112)에서 긍정결과를 얻으면 스텝(SP115)으로 가서 영상대 LB 를 우로 스크롤 한후 스텝(SP114)으로 가고, 상술의 스텝(SP113)에서 긍정결과를 얻으면 스텝(SP116) 으로 가서 영상대 LB 를 좌로 스크롤 한 후 스텝(SP114)으로 간다.
이 스텝(SP114)에서 CPU 는 목적 재생 위치에 커서 CS 를 이동시켜 다음 스텝(SP117)에서 롤러(7)가 우로 이동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긍정결과를 얻으면 CPU 는 스텝(SP118)으로 가서 에니메이션 모드 메모리(31)를 참조하여 현재의 에니메이션 모드가 우 에니메이션 모드인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긍정결과를 얻으면 CPU 는 스텝(SP119)으로 가고, 커서 CS 로서 표시되어 있는 우캐스트(제 12c 도 또는 제 12d 도)를 전환한 후 스텝(SP101)으로 간다.
또한 CPU 는 스텝(SP118)에서 부정결과를 얻으면 스텝(SP120)으로 가서 현재표시중의 캐스트에 대신하여 우캐스트 (제 12c 도 또는 제 12d 도)를 표시함과 함께 에니메이션 모드 메모리(31)를 우 에니메이션 모드로 한 후 스텝(SP101)으로 돌아간다.
그리고 상술한 스텝(SP117)에서 부정결과를 얻으면 CPU 는 스텝(SP122)으로가서 에니메이션 모드 메모리(31)를 참조하여 현재의 에니메이션 모드가 좌 에니메이션 모드인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긍정결과를 얻으면 CPU 는 스텝(SP123)으로 가서 커서 CS 로서 표시되어 있는 좌 캐스트(제 12a 도 또는 제 12b 도)를 전환한후 스텝(SP101)으로 간다.
또한, CPU 는 스텝(SP122)에서 부정 결과를 얻으면 스텝(SP124)으로 가서 현재 표시중의 캐스트에 대신하여 좌 캐스트(제 12a 도 또는 제 12b 도)를 표시함과함께 에니메이션 모드 메모리(31)를 좌 에니메이션 모드로 한 후 스텝(SP101)으로돌아간다.
그리고 CPU 는 상술한 스텝(SP110)에서 부정 결과를 얻으면 스텝(SP126)으로가고, 타이머가 일정 시간이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부정결과를 얻으면 CPU 는 스텝(SP127)으로 가고 현재의 에니메이션 모드가 우 에니메이션 모드인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긍정결과를 얻으면 CPU 는 스텝(SP120)으로 가서 현재 표시중인 캐스트에 대신하여 우 캐스트(제 12c 도 또는 제 12d 도)를 표시함과 함께 에니메이션 모드 메모리(31)를 우 에니메이션 모드로 한 후 스텝(SP101)으로 간다.
또한, CPU 는 스텝(SP127)에서 부정결과를 얻으면 스텝(SP128)으로 가서 현재의 에니메이션 모드가 좌 에니메이션 모드인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긍정결과를 얻으면 CPU 는 스텝(SP124)으로 가서 현재 표시중인 캐스트에 대신하여 좌 캐스트(제 12c 도 또는 제 12d 도)를 표시함과 함께 에니메이션 모드 메모리(31)를 좌 에니메이션 모드로 한 후 스텝(SP101)으로 간다.
그리고 CPU 는 스텝(SP128)에서 부정결과를 얻거나 상술한 스텝(SP126)에서긍정결과를 얻으면 스텝(SP129)으로 가서 현재의 에니메이션 모드가 정지 에니메이션 모드인가의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부정결과를 얻으면 CPU 는 스텝(SP130)으로 가서 현재 표시중인 캐스트에 대신하여 정지 캐스트 (제 12e 도 또는 제 12f 도)를 표시함과 함께 에니메이션 모드 메모리(31)를 정지 에니메이션 모드로 한 후스텝(SP101)으로 간다.
또한, CPU 는 스텝(SP129)에서 긍정결과를 얻으면, 스텝(SP132)으로 가서 커서 CS 로서 표시되어 있는 정지 캐스트 (제 12e 도 또는 제 12f 도)를 전환한 후 스텝(SP101)으로 간다.
그리고 CPU 는 스텝(SP101)으로 가서 다시 한번 로컬 버튼(6)이 눌러졌는가여부를 판단하고 긍정결과를 얻으면 다음 스텝(SP102)으로 가서 검색 화면이 표시끝인가 여부를 판단한다. 2 번째의 처리에서는 긍정결과를 얻고, CPU 는 스텝(SP133)으로 가서 검색중인 모드를 취소함과 함께 다음 스텝(SP134)에서 검색화면을 소거하고, 스텝(SP101)으로 간다. 또한, 이 스텝(SP101)에서 부정결과를 얻으면 CPU 는 스텝(SP135)으로 가서 검색화면이 표시 끝인가 여부를 판단하고 여기서 부정결과를 얻으면 스텝(SP101)으로 간다.
실제상 이 처리 실행에 있어서, 로컬 버튼(6)은 토글 스위치로 사용되고 한번 로컬 버튼(6)을 누르면 로컬 검색화면을 표시하여 검색처리를 실행하는 모드로되고, 이 상태에서 다시 한번 로컬 버튼(6)을 누르면 로컬 검색화면이 소거되어 검색 처리가 중지된다. 다시 로컬 버튼(6)이 눌러지면 로컬 검색화면을 표시하여 검색처리를 실행하는 모드로 된다.
또한, CPU 는 상술한 스텝(SP135)에서 긍정결과를 얻으면 다시 스텝(SP108) - 스텝(SP132)의 처리 루프를 실행하고, 스텝(SP109)에서 긍정결과를 얻으면 CPU는 스텝(SP136)으로 가서 목적 재생 위치와 재생위치가 같은가를 판단하고, 긍정결과를 얻으면 상술한 스텝(SP101)으로 간다. 이는 로컬 검색처리결과 목적 재생위치가 현재의 재생위치와 다르기 때문에 실제로 자기 테이프를 고속감기, 되감기 함에 따라 구동하여 검색할 필요가 있는지를 판단하는 것이다.
이 스텝(SP136)에서 부정결과를 얻으면 CPU는 다음 스텝(SP137)으로 가서 VTR 주행 제어회로(28)에 대하여 자기 테이프를 목적 재생위치인 화상 인덱스 IDX에 부가된 타이머 코드에서 표시된 프레임까지 이동시키는 검색 명령을 보내며, 계속하여 스텝(SP138)에서 검색중인 것을 나타내는 검색중 화면 처리를 실행한 후 다음 스텝(SP139)에서 당해 로컬 검색 처리 프로그램(SP100)을 종료한다.
이상의 구성에서 예를 들어 사용자가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1) 재생 중에 로컬 버튼(6)을 누르면 칼라 액정 디스플레이(2)의 표시 화면 DSP상에 재생화면 VD에중첩하여 재생위치 부근의 화상 인덱스 IDX로 된 영상대 LB가 표시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롤러(7)를 임의로 회전시키고, 롤러(7)의 회전에 따라 표시 화면 DSP상의 목적재생위치를 나타내는 커서 CS가 이동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목적재생 위치가 결정된 곳에서 표시버튼(9)을 누르면, 검색 처리중의 화면 표시로 전환하고, 당해 검색이 종료하면 목적재생 위치로부터의재생화면이 표시된다. 이와 같이 하여 이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1)에서는, 표시 화면 DSP 상의 화상 인덱스 IDX인 영상대 LB를 참조하면서 재생위치 및 목적재생 위치가 비교적 근접하게 되는 경우, 일단 시각적 또는 직감적으로 목적 재생 위치를 검색하는 것이 가능하고, 검색 처리시 사용자의 사용 상태를 단계적으로 상승시킬 수 있다.
(5) 글로벌 검색처리
이 실시예의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1)의 검색 제어 회로(22) 및 표시 화면 작성회로(25)의 CPU는 화상 인덱스 IDX를 사용한 전체 처리 프로그램(SP0)중에서 스텝(SP13-SP15)의 검색처리로서, 글로벌 버튼(4)이 눌러지면 제16도 및 제17도에도시된 글러벌 검색처리 프로그램(SP150)을 실행한다.
여기서, 글로벌 검색처리로는 제1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화면 DSP상에표시된 비디오 화상 VD 상에 중첩하여 자기 테이프 상의 재생가능 영역을 표시하는스케일 SK를 표시하고, 스케일 SK 상에 커서 CS 에 의해 목적의 재생위치를 지시하는 검색 처리이다.
그리고 이때 스케일 SK의 좌단에 재생 가능한 최초의 위치 TT 를 배치하고,우단에 재생 가능한 최후의 위치 TE를 대응시킨다. 또한, 스케일 SK 상에 재생위치를 표시하는 마크 MK와 목적재생 위치를 표시하는 커서 CS가 표시되고, 커서 CS상에 목적재생 위치의 화상 인덱스를 갖는 화상이 소화면 V0B 로서 표시된다.
사실상, 검색 제어 회로(22) 및 표시 화면 작성회로(25)의 CPU는 글로벌 검색처리 프로그램(SP150)에서부터 다음 스텝(SP151)에 있어서, 글로벌 버튼(4)이 눌러졌는가를 판단하여 긍정결과를 얻으면 다음 스텝(SP152)으로 가서 검색 화면이 표시끝인가 여부를 판단한다. 처음의 처리시에는 여기서 부정결과를 얻으면, CPU는 스텝(SP153)으로 간다.
이 스텝(SP153)에서 CPU는 칼라 액정 디스플레이(2)상에 표시되어 있는 재생화면을 제18도에서 상술한 글로벌 검색용의 표시 화면 DSP 인 검색화면으로 전환하며, 다음 스텝(SP154)에서 목적 재생 위치 메모리(27)에 현재의 재생위치를 세트한다. 계속하여 CPU는 에니메이션용 아이콘 메모리(32)로부터 제 12e 도 또는 제 12f 도에 도시된 정지 캐스트를 판독하고, 이를 커서 CS 로서 표시한다. 또한 CPU는 스텝(SP156)을 실행하여 에니메이션 모드 메모리(31)를 정지상태로 된 정지 에니메이션 모드로 설정한다.
다음에 CPU는 스텝(SP157)에서 목적화상 위치메모리(27)의 내용에 기초하여목적재생 위치에 가장 가까운 화상 인덱스 IDX를 목적 재생 위치 화면 메모리(33)로부터 판독하고, 이를 소화면 V0B상에 표시하며 계속하여 스텝(SP158)에서 재생 위치에 대응한 위치로 마크 MK 를 표시하고 스텝(SP159)으로 간다.
CPU 는 이 스텝(SP159)에서 표시버튼(9)이 눌러졌는가 여부를 판단한다. 통상 글로벌 버튼(4)이 눌러지고 이어서 글로벌 검색처리 중에 표시버튼(9)이 눌러지는 것은 검색 처리를 완료하여 사실상 자기 테이프의 시작점으로 되감김을 실행하는 것을 의미하기 것으로 통상의 검색 처리중에는 여기서 부정결과를 얻고 CPU는 스텝(SP160)으로 간다.
이 스텝(SP160)에서는 롤러 커서 위치 메모리(26)로부터 입력된 롤러(7)의 회전정보에 기초하여, 롤러(7)가 움직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여기서 부정결과를 얻으면 CPU는 다음 스텝 (SP161)으로 가서 롤러가 움직이지 않은 상태에서도 캐스트의 표시전환을 행하기 위해 타이머(29)를 리세트하고 다음 스텝(SP162)으로 간다.
CPU는 이 스텝(SP162)에서 커서 CS의 위치가 스케일 SK내인가 여부를 판단하고, 여기서 부정결과를 얻으면 CPU는 다음 스텝(SP163)을 실행하여 커서 CS의 위치를 스케일 SK상에 보정하여 다음 스텝(SP164)으로 가고, 역으로 스텝(SP162)에서 긍정결과를 얻으면 그대로 스텝(SP164)으로 간다.
이 스텝(SP164)에서 CPU는 목적재생위치에 커서 CS을 이동시켜 다음 스텝(SP167)에서 롤러(7)가 우로 이동하였나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긍정결과를 얻으면 CPU는 스텝(SP168)으로 이동하여 에니메이션 모드 메모리(31)를 참조하여 현재의 에니메이션 모드가 우 에니메이션 모드인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긍정결과를 얻으면 CPU는 스텝(SP169)으로 가고, 커서 CS로서 표시되어 있는 우 캐스트 (제 12c 도 또는 제 12d 도)를 전환한 후 스텝(SP165)으로 간다.
또한, CPU는 스텝(SP168)에서 부정결과를 얻으면 스텝(SP170)으로 가서 현재표시중인 캐스트에 대신하고, 우 캐스트(제 12c 도 또는 제 12d 도)를 표시함과 함께 에니메이션 모드 메모리(31)를 우 에니메이션 모드로 한 후 스텝(SP165)으로 간다.
그리고 상술의 스텝(SP167)에서 부정결과를 얻으면 CPU는 스텝(SP172)으로 가서 에니메이션 모드 메모리(31)를 참조하여 현재의 에니메이션 모드가 좌 에니메이션 모드인가를 판단한다. 여기서, 긍정결과를 얻으면 CPU는 스텝(SP173)으로 가고, 커서 CS 로서 표시된 좌 캐스트(제 12a 도 또는 제 12b 도)를 전환한 후 스텝 (SP165)으로 간다.
또한, CPU는 스텝(SP172)에서 부정결과를 얻으면 스텝(SP174)으로 가서 현재표시중의 캐스트에 대신하여 좌 캐스트(제 12a 도 또는 제 12b 도)를 표시함과 함께 에니메이션 모드 메모리(31)를 좌 에니메이션 모드로 한 후 스텝(SP165)으로 간다.
그리고 CPU는 상술한 스텝(SP160)에서 부정결과를 얻으면 스텝(SP176)으로 가서 타이머가 일정시간이었나를 판단한다. 여기서, 부정결과를 얻으면 CPU는 스텝(SP177)으로 가고 현재의 에니메이션 모드가 우 에니메이션 모드인가 판단한다.
여기서 긍정결과를 얻으면 CPU는 스텝(SP170)으로 가서 현재 표시중인 캐스트에 대신하여 우 캐스트(제 12c 도 또는 제 12d 도)를 표시함과 함께 에니메이션 모드 메모리(31)를 우 에니메이션 모드로 한 후 스텝(SP165)으로 간다.
또한, CPU는 스텝(SP177)에서 부정결과를 얻으면 스텝(SP178)으로 가고, 현재의 에니메이션 모드가 좌 에니메이션 모드인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긍정결과를 얻으면 CPU 는 스텝(SP174)으로 가서 현재 표시중인 캐스트에 대신하여 좌 캐스트(제 12a 도 또는 제 12b 도)를 표시함과 함께 에니메이션 모드 메모리(31)를 좌 에니메이션 모드로 한 후 스텝(SP165)으로 간다.
실제로, 스텝(SP165) 및 다른 스텝(SP166)에서 CPU 는 커서 CS 의 위치에서목적재생 위치를 계산하고, 그 목적 재생위치에 가장 가까운 화상 인덱스 IDX를 목적재생 위치 화면 메모리(33)에서 판독하여 이를 소화면 V0B상에 표시한 후 상술한스텝(SP151)으로 간다.
그리고 CPU는 스텝(SP178)에서 부정결과를 얻거나, 또는 상술한 스텝(SP176)에서 긍정결과를 얻으면, 스텝(SP179)으로 가서 현재의 에니메이션 모드가 정지 에니메이션 모드인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부정결과를 얻으면 CPU는 스텝(SP180)으로 가서 현재 표시중인 캐스트에 대신하여 정지캐스트 (제 12e 도 또는 제 12f 도)를 표시함과 함께 에니메이션 모드 메모리(31)를 정지 에니메이션 모드로 한 후 스텝(SP151)으로 돌아간다. 또한, CPU는 스텝(SP179)에서 긍정결과를 얻으면 스텝(SP182)으로 가고, 커서 CS 로서 표시된 정지캐스트(제 12e 도 또는 제 12f 도)를 전환한 후 스텝(SP151)으로 간다.
그리고 CPU는 스텝(SP151)으로 가서 다시 한번 글로벌 버튼(4)이 눌러졌나 여부를 판단하고 긍정결과를 얻으면 다음 스텝(SP152)으로 가서 검색화면이 표시 끝인가 여부를 판단한다. 2번째의 처리에서는 여기서 긍정결과를 얻게 되고, CPU는 스텝(SP183)으로 가서, 검색 중인 모드를 취소함과 함께 다음 스텝(SP184)에서 검색화면을 소거하고, 스텝(SP151)으로 간다. 또한, 이 스텝(SP151)에서 부정결과를 얻으면 CPU는 스텝(SP185)으로 가서 검색화면이 표시 끝인가 여부를 판단하고, 여기서, 부정결과를 얻으면 스텝(SP151)으로 간다.
실제상의 처리를 실행함에 따라 글로벌 버튼(4)이 토글 스위치로서 사용되고, 한번 글로벌 버튼(4)을 누르면 글로벌 검색화면을 표시하여 검색처리를 실행하여 얻은 모드로 되고, 그 상태에서 다시 한번 글로벌 버튼(4)을 누르면 글로벌 검색화면이 소거되어 검색처리가 중지된다. 다시 한번 글로벌 버튼(4)이 눌러지면 글로벌 검색화면을 표시하여 검색처리를 실행하는 모드가 된다.
또한, CPU 는 상술한 스텝(SP185)에서 긍정결과를 얻으면 다시 한번 스텝(SP158)-스텝(SP182)의 처리루프를 실행하고, 스텝(SP159)에서 긍정 결과를 얻으면 CPU는 스텝(SP186)으로 가서 목적 재생위치와 재생위치가 같은지 판단하고 긍정결과를 얻는 상술의 스텝(SP151)으로 돌아간다. 이는 글로벌 검색처리의 결과 목적 재생위 치가 현재의 재생위치와 다르기 때문에 실제로 자기 테이프를 고속감기, 되감기 함에 따라 구동하여 검색할 필요가 있는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이 스텝(SP186)에서 부정결과를 얻으면 CPU는 다음 스텝(SP187)으로 가고 VTR 주행 제어 회로(28)에 대하여 자기 테이프를 목적 재생위치인 화상 인덱스 IDX에 부가시킨 타이머 코드로 표시된 프레임까지 이동시키는 검색명령을 보내고, 계속하여 스텝(SP188)에서 검색중임을 표시하는 검색중 화면 처리를 수행한 후 다음스텝(SP189)에서 당해 글로벌 검색처리 프로그램(SP150)을 종료한다.
이상의 구성에서 예를 들어 사용자가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1)의 재생중에 글로벌 버튼(4)을 누르면 칼라 액정 디스플레이(2)의 표시 화면 DSP상에 재생화면 VD에 중첩하여 재생 가능한 영역인 스케일 SK가 표시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롤러(7)를 임의로 회전시키면 롤러(7)의 회전에 따라 표시 화면 DSP 상의 목적재생위치를 표시하는 커서 CS 를 이동시킨다. 이때 커서 CS 의 위에 소화면 V0B에 목적재생위치 부근의 화상 인덱스 IDX 로 된 축소 정지 화상이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목적재생 위치가 결정될 때 표시 버튼(9)를 누르면 검색 처리중인 화면 표시로 전환되어 당해 검색이 종료하면 목적재생 위치에서의 재생화면이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이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1)에서는 표시 화면 DSP상의스케일 SK 및 소화면 V0B의 표시를 참조하면서 자기 테이프의 전체에 대하여 일단시각적 또는 직감적으로 목적 재생위치를 검색하는 것이 가능하고, 검색처리시 사용자의 사용상태를 단계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6) 인덱스 화상 표시 처리
이 실시예의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1)의 검색 제어회로(22) 및 표시 화면 작성회로(25)의 CPU는 뷰 검색 처리 프로그램(SP50), 로컬 검색처리 프로그램(SP100), 글로벌 검색처리 프로그램(SP150)의 각각의 스텝(SP89, SP139, SP189)의 검색화면 처리로서 제 19 도에 도시한 인덱스 화상 표시 처리 프로그램 (SP200)을 실행한다.
여기서, 인덱스 화상 표시처리로는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1)에서 정지중, 검색중 또는 고속감기 또는 되감기중의 통과 위치 부근의 인덱스 화상을 표시하는 처리로서, 특히 검색중의 경우에는 목적위치 재생부근의 인덱스 화상을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 제2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화면 DSP상에 예를 들어 글로벌 표시와 함께 자기 테이프 상의 재생 가능영역을 표시하는 스케일 SK를 표시하고, 스케일 SK의 좌단에 재생 가능한 최초의 위치 TT를 배치하고, 우단에 재생 가능한 최후의 위치 TE를 대응시킨다. 또한 스케일 SK상에 현재 재생 가능한 위치를 표시하는 현재 위치 마크 MK 1 과 검색중 목적 재생위치를 표시하는 마크 MK2 가 위치되어 있다.
또한, 표시 화면 DSP의 중앙에는 현재 재생 가능한 위치 부근의 인덱스 화상 IDF가 표시되고, 검색중 현재 재생 가능한 위치와 비교하여 목적 재생위치가 되감기 하는 방향의 경우는 좌로, 그 이외는 우로 목적 재생 위치 부근의 인덱스 화상 IDG가 표시된다.
또한, 에니메이션 AN에 따라 현재의 VTR 메카딕(35)의 동작 상태가 표시된다. 이는 검색중 또는 고속감기 또는 되감기의 경우, VTR 메카딕(35)의 주행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동작하고, 정지중은 같은 위치에서 걸어가게 하는 에니메이션이다. 그리고 카세트 테이프가 꺼내진 상태를 에니메이션에서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실제상, 검색 제어 회로(22) 및 표시 화면 작성 회로(25)의 CPU 는 인덱스 화상 표시 처리 프로그램(SP200)에서 시작하며, 먼저 제 20 도에서 상술한 인덱스 화상 표시 처리용의 표시 화면 DSP로서 글로벌 표시함과 함께 소정의 위치로 스케일 SK를 표시한다. CPU 는 계속 스텝(SP201)에서 VTR 메카딕(35)의 동작 상태를 체크하여 카세트 테이프가 들어왔는가 판단한다.
이 스텝(SP201)에서 부정 결과를 얻으면 CPU는 스텝(SP202)으로 가서, 카세트 테이프가 꺼내진 상태를 표시하는 에니메이션을 표시 화면 DSP상에 표시하고 스텝(SP201)으로 가서 카세트 테이프가 장전되는 것을 대기한다. 또한, 이 스텝(SP201)에서 긍정결과를 얻으면 CPU는 스텝(SP203)으로 간다. 이 스텝(SP203)에서는 표시 화면 DSP의 중앙에 현재 위치의 인덱스 화상 IDF를 표시하고 다음 스텝(SP204)으로 간다.
이 스텝(SP204)에서 CPU는 VTR 메카딕(35)의 동작 상태를 체크하여 자기테이프가 고속감기 상태인가를 판단한다. 여기서, 긍정결과를 얻으면 CPU는 스텝(SP205)으로 가서 고속감기 에니메이션을 표시한 후 스텝(SP204)으로 간다.
이러한 고속감기 에니메이션은 예를 들어 제12도에서 상술한 우 캐스트(제 12c 도 또는 제 12d 도)를 순차 전환하여 인물이 우방향으로 향하여 가도록 실현한다. 또한 이 스텝(SP204)에서 부정결과를 얻으면 CPU는 다음 스텝(SP206)으로 간다.
이 스텝(SP206)에서 CPU는 VTR 메카딕(35)의 동작 상태를 체크하여 자기 테이프가 되감기 상태인가를 판단한다. 여기서, 긍정 결과를 얻으면 CPU는 스텝 (SP207)으로 가서 되감기 에니메이션을 표시한 후 스텝(SP206)으로 돌아간다.
이러한 되감기 에니메이션은, 예를 들어 제12도에서 상술한 좌 캐스트(제 12a 도 또는 제 12b 도)를 순차 전환하여 인물이 좌방향으로 가도록 에니메이션을 실현한다. 또, 이 스텝은(SP206)에서 부정결과를 얻으면 CPU는 다음 스텝(SP208)으로 간다.
이 스텝(SP208)에서 CPU 는 VTR 메카딕(35)의 동작 상태를 체크하여 자기 테이프가 정지 상태인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긍정결과를 얻으면 CPU는 스텝 (SP209)으로 가서 정지 에니메이션을 표시한 후 스텝(SP208)으로 간다.
이 정지 에니메이션은 예를 들어 제12도에서 상술한 정지 캐스트(제 12e 도또는 제 12f 도)를 순차 전환하여 인물이 정면을 향하고 있도록 에니메이션을 실현한다. 또한 이 스텝(SP208)에서 부정 결과를 얻으면 CPU는 다음 스텝(SP210)으로 간다.
이 스텝(SP210)에서 CPU는 현재의 동작 상태가 검색 상태인가, 즉, 뷰 검색처리 프로그램(SP50), 로컬 검색처리 프로그램(SP100), 글로벌 검색처리 프로그램 (SP150)의 각각의 스텝(SP89, SP139, SP189)의 검색 화면 처리로서 인덱스 화상 표시 처리 프로그램(SP200)이 실행되어 있는가 여부를 판단한다.
이 스텝(SP210)에서 긍정결과를 얻으면 CPU는 스텝(SP211)으로 가서 검색결과로서의 목적 재생위치는 되감기 방향인가를 판단한다. 여기서, 긍정결과를 얻으면 CPU는 스텝(SP212)으로 가서 표시 화면 DSP 좌측에 목적 재생 위치의 인덱스 화상 IDG를 표시함과 함께 다음 스텝(SP213)에서 되감기하여 에니메이션을 표시하고,다음 스텝(SP214)에서 검색 완료인가를 판단한다. 이 검색 완료 여부는 현재 위치와 목적 재생 위치가 일치되는가를 판단하는 것으로, 여기서 부정 결과를 얻으면 CPU는 스텝(SP213)으로 간다. 이 스텝(SP214)에서 긍정 결과를 얻으면 CPU는 스텝 (SP215)으로 간다.
또한 CPU 는 스텝(SP211)에서 부정결과를 얻으면 다음 스텝(SP216)으로 가서표시 화면 DSP 의 우측에 목적 재생위치의 인덱스 화상 IDG 를 표시함과 함께 다음스텝(SP217)에서 고속감기 에니메이션을 표시하고 다음 스텝(SP218)에서 검색완료여부를 판단한다. 이 검색 완료 여부는 현재 위치와 목적 재생위치가 일치되는가를 판단하는 것으로, 여기서 부정결과를 얻으면 CPU는 스텝(SP217)으로 간다. 이 스텝(SP218)에서 긍정결과를 얻으면 CPU는 스텝(SP215)으로 간다.
스텝(SP215)에서 CPU는 검색 결과로서의 목적 재생위치에 따른 재생화면을 표시한 후 다음 스텝(SP219)에서 당해 인덱스 화상 표시 처리 프로그램(SP200)을 종료한다. 또한 상술의 스텝(SP210)에서 부정 결과를 얻는 경우, CPU는 그대로 스텝(SP219)으로 가고, 당해 인덱스 화상표시처리 프로그램(SP200)을 종료한다.
이상의 구성에서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1)에서 사용자가 정지, 고속감기 또는 되감기를 조작하면, 통과 위치 부근의 인덱스 화상 및 소정의 에니메이션이 표시됨과 함께, 특히 검색중인 경우에는 현재 위치 및 목적재생위치 부근의 인덱스 화상과 그의 검색방향을 표시하는 소정의 에니메이션이 표시된다. 이에 따라 사용 자는 표시 화면을 보는 것에 의해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1)의 동작 상태를 시각적 또는 직감적으로 인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7) 실시예의 효과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자기 테이프상에 기록된 동화상으로부터 시계열에 따라서 15 초 간격으로 추출되어 압축 축소된 복수의 인덱스 화상을 자기 테이프의 카세트 테이프 케이스에 배치된 메모리에 타이머 코드와 함께 기억함과 동시에 메모리로부터 판독된 복수의 인덱스 화상을, 검색처리에 기초하여 소정 포맷으로 칼라 액정 디스플레이(2)의 표시 화면상에 표시함과 아울러, 롤러를 이용하여 재생 가능한 목적 재생 화상을 검색함과 함께, 검색된 목적 재생 위치로 자기 테이프를되감기 또는 고속감기하여 재생 동작을 개시시키도록 하는 것에 따라, 자기 테이프상의 기록 내용을 검색할 때 검색 상황을 시각적 또는 직감적으로 파악하여 사용상태를 단계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1)를 실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상술의 구성에 의하면, 재생 중에 사용자에 의해 뷰 버튼(5) 이 눌러지면, 칼라 액정 디스플레이(2)의 표시 화면 DSP상에 현재의 재생위치 부근의 화상인덱스 IDX를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한 롤러(7)의 조작에 따라 표시 화면 DSP상의 목적 재생 위치를 표시하는 커서 CS를 이동시키도록 한 것에의해 검색 상황으로서 목적 재생 위치 부근의 화상 인덱스 IDX를 보면서 검색을 실행할 수 있고, 검색처리시 사용자의 사용 상태를 단계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1)가 실현 가능하다.
그리고 상술한 구성에 의하면 재생중에 사용자에 의해 로컬 버튼(6)이 눌러지면, 칼라 액정 디스플레이(2)의 표시 화면 DSP상에 재생 화면 VD에 중첩한 현재의 재생위치 부근의 복수 화상 인덱스 IDX 인 영상대 LB를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한 롤러(7)의 조작에 따라 표시 화면 DSP상의 목적재생 위치를 표시하는 커서 CS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재생화면 VD를 보면서 검색 상황으로 목적재생 위치 부근의 화상 인덱스 IDX를 보고 검색을 실행할 수 있고, 검색 처리시 사용자의 사용 상태를 단계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1)가 실현 가능하다.
그리고 상술의 구성에 의하면, 재생중에 사용자에 의하여 글로벌 버튼(4)이눌러지면, 칼라 액정 디스플레이(2)의 표시 화면 DSP 상에 재생 화면 VD에 중첩하여 재생 가능한 영역인 스케일 SK를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한 롤러(7)의 조작에 따라 스케일 SK상의 목적 재생 위치를 표시하는 커서 CS를 이동시킴과 함께, 커서 CS상의 소화면 V0B에 목적 재생 위치 부근의 화상 인덱스 IDX인 축소 정지 화상을 표시하도록 한 것에 의해, 재생화면 VD를 보면서 검색 상황으로서 전체의 자기 테이프에서의 목적 재생위치 및 그 부근의 화상 인덱스 IDX 를 검색할 수 있고, 검색 처리시 사용자의 사용 상태를 단계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1)가 실현 가능하다.
그리고 상술한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자기테이프의 정지, 고속감기 또는 되감기가 지시되면, 자기테이프의 기록 가능한 영역을 표시하는 스케일과 통과 위치 부근의 인덱스 화상, 또한 정지, 고속감기 또는 되감기를 표시하는소정의 에니메이션을 표시함과 함께, 특히 검색중인 경우에는 스케일, 현재 위치 및 목적 재생위치 부근의 인덱스 화상과 그의 검색 방향을 표시하는 소정의 에니메이션을 표시하도록 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는 표시 화면 DSP를 보면서 자기 테이프의 동작상태 및 검색 상태를 시각적 또는 직감적으로 인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사용 상태를 단계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1)가 실현 가능하다.
(8) 다른 실시예
상술의 실시예에 있어서, 동화상을 자기 테이프상에 기록하는 경우를 기술하고 있지만, 기록매체는 이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어 광 디스크나 광자기디스크, 자기디스크 등의 기록 매체를 이용하여도 상술한 실시예와 같은 효과가 실현 가능하다.
또한, 상술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동화상을 15초 간격으로 샘플링하여 화상인덱스를 작성하는 경우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지만, 샘플링 간격은 15초에 한하지않고, 30초나 1 분의 소망의 간격으로 실행하여도 좋다. 그리고 등간격의 샘플링에 한하지 않고 동화상의 화면 변경과 녹화시작의 타이밍, 인덱스 마크의 타이밍에 따라 샘플링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술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샘플링된 화면을 축소 압축하여 화상 인덱스를 작성하는 경우에 대하여 기술하였으나, 샘플링된 화면을 축소 및 압축한 것인가 여부는 메모리 용량에 따라 결정되고, 축소 또는 압축만 된 것은 화면을 그대로화상 인덱스로 이용하도록 하여 상술의 실시예와 같은 효과가 실현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화상 인덱스를 카세트 테이프의 케이스에 배치된 EEPROM 구성의 메모리에 기억시키도록 한 것이지만, 이 대신에 기록 매체상의 기록 개시 위치와 기록 종료 위치 등의 소정 영역에 기억하도록 하여도 좋고, 또는 기록 매체를 식별하도록 하여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본체에 기억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에도 기록 매체로서는 전원으로 기억 유지된 램과 EEPROM, 그리고 자기 테이프 장치 등을 이용해도 좋다.
또한, 상술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화면상에 표시된 커서를 이동시키는 위치지정수단으로서,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 본체에 내장된 롤러를 이용한 경우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지만, 롤러 자체를 리모콘 조작기 등에 내장하여 조작하도록 해도 좋고, 또한 롤러에 한하지 않고, 마우스와 트랙 볼 등의 포인팅 디바이스와 가압 스위치 등을 조합시켜 커서를 이동시키도록 하여도 상술의 실시예와 같은 효과가 실현 가능하다.
또한, 상술의 실시예에서는, 커서로서 인물의 에니메이션을 이용하여 커서의이동시에는 그의 이동 방향에 따라, 정지시에는 그 장소에서 제자리걸음을 하도록하지만, 정지시에는 정지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커서는 그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어 물고기와 곤충, 동물, 새와 같은 생명체를 상기시키는 것도 좋다. 또한, 캐랙터화된 물체 등에서도 상술한 실시예와 같은 효과가 실현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표시 화면상에 스케일로서 직선 형태의 대역을표시하는 경우에 대하여 기술하였지만, 스케일의 형상은 이에 한하지 않고, 원 형태 또는 반원 형태의 대역과 임의의 곡선 형태의 대역을 표시하도록 하여도 상술의실시예와 같은 효과가 실현 가능하다.
그리고 상술의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을 표시 화면과 조작부가 일체화된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에 적용한 경우에 대하여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하지않고, 조작부와 표시 화면이 별도로 설치된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와 검색만이면, 재생전용의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에도 적용할 수 있고, 또한 이러한 비디오 테이프레코더에 한하지 않고, 광 디스크 장치와 광자기 디스크 장치, 자기 디바이스 장치등의 동화상 재생 장치 및 동화상 기억 장치에 광범위하게 적용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동화상 기록 매체 상에 기록된 동화상으로부터 시계열에 따라서 추출된 복수의 인덱스 화상을, 소정의 인덱스 화상 기억수단에 기억함과 함께, 이 인덱스 화상 기억 수단으로부터 판독한 복수의 인덱스 화상을 검색 처리에 기초하여 소정 포맷으로 표시 화면상에 표시함과 함께, 위치 지정 수단을 이용하여 재생 가능한 목적 재생 화상을 검색함과 함께, 검색된 목적재생 위치에 동화상 기록 매체를 이동시켜 재생 동작을 개시시키도록 하는 것에 의해 동화상 기록 매체상의 기록 내용을 검색할 때 검색 상황을 시각적 또는 직감적으로 파악할 수 있고, 사용 상태를 단계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동화상 재생 장치 및 동화상 기록 재생장치가 실현 가능하다.

Claims (36)

  1. 시계열에 따라서 일련의 동화상이 기록된 동화상 기록매체에서 동화상을 재생하여 표시 화면상에 표시하는 동화상 재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일련의 동화상에서 상기 시계열에 따라 소정의 추출 타이밍으로 추출된 복수의 인덱스 화상을 상기 동화상 기록 매체상의 기록 위치에 각각 대응시켜 기억하는 인덱스 화상 기억 수단과, 상기 인덱스 화상 기억 수단으로부터 판독한 복수의 인덱스 화상을 상기 시계열에 따라서 상기 표시 화면상에 배열 표시시키는 인덱스 화상 표시 수단과, 상기 표시 화면상에 배열 표시된 복수의 인덱스 화상 중에서 소망의 재생 가능한 목적 재생화상을 선택하는 선택 수단으로서, 롤러 및 회전 검출 회로를 포함하는 상기 선택 수단과,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상기 목적 재생 화면에 대응하는 상기 동화상기록매체상의 기록 위치로 이동한 후 재생 동작을 개시하는 재생 위치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재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화상 기록 매체는 자기 테이프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재생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위치 제어수단은 상기 자기테이프의 주행 제어 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자기 테이프를 고속 감기 또는 되감기 함으로써, 상기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상기 목적 재생 화면에 대응하는 기록 위치로 이동한 후 재생 동작을 개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재생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화상 기록 매체는 광 디스크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재생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화상 기록 매체는 광 자기 디스크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재생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덱스 화상 기억 수단에는, 상기 일련의 동화상으로부터 상기 시계열에 따라서 소정의 추출 타이밍으로 추출된 복수의 인덱스 화상이 각각 소정의 화소수로 축소된 상태에서 상기 동화상 기록매체상의 기록위치에 각각 대응시켜 기억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재생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덱스 화상 기억 수단에는, 상기 일련의 동화상으로부터 상기 시계열에 따라서 상기 소정의 추출 타이밍으로 추출된 상기 복수의 인덱스 화상이 각 소정의 화소수로 축소되어 소정의 데이터 압축방법에 의해 압축된 상태에서 상기 화상 기록매체상의 기록 위치에 각각 대응시켜 기억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재생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덱스 화상 기억 수단은 상기 화상 기록매체를 수납하는 케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인덱스 화상 기억 수단과 장치 본체와의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접속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재생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인덱스 화상 기억 수단은 전기적으로 소거가능하고 재기록 가능한 판독전용 반도체 메모리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재생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덱스 화상 기억 수단으로 상기 동화상 기록 매체의 미리 설정된 소정영역을 할당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재생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덱스 화상 기억 수단으로 상기 동화상 기록 매체의 기록 개시 위치의 소정 영역이 할당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재생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덱스 화상 기억 수단으로 상기 동화상 기록매체의 기록 종료 위치의 소정 영역이 할당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재생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덱스 화상 기억 수단은 장치 본체에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재생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인덱스 화상 기억 수단은 전원으로 백업된 수시 기록 및 판독이 가능한 반도체 메모리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재생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인덱스 화상 기억 수단은 전기적으로 소거 가능하고 재기록 가능한 판독 전용 반도체 메모리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재생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인덱스 화상 기억 수단은 하드디스크 장치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재생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덱스 화상 표시수단은 상기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상기 목적 재생화상을 포함한 소정수 분의 인덱스 화상을 상기 인덱스 화상 기억 수단으로부터 판독하고, 상기 시계열에 따라서 상기 표시 화면상에 배열 표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재생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인덱스 화상 표시 수단은 상기 인덱스 화상 기억 수단으로부터 판독된 소정수 분의 상기 인덱스 화상을 상기 시계열에 따라서 상기 표시 화면상에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 표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재생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인덱스 화상 표시 수단은 상기 인덱스 화상 기억 수단으로부터 판독된 소정수 분의 상기 인덱스 화상을 상기 시계열에 따라서 상기 표시면상에 횡 1 열로 배열 표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재생장치.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수단은, 상기 표시 화면상에 배열 표시된 복수의 인덱스 화상의 배열방향에 따라서 임의 위치를 지정하기 위한 위치 지정 수단과, 상기 위치 지정 수단에 의해 지정된 위치에 특정 형상의 커서를 표시하여 상기 목적 화상을 지시하는 커서 표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재생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지정 수단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롤러와 상기 롤러의 회전을 검출하는 회전검출 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커서 표시수단은 상기 회전 검출수단의 출력에 대응한 위치에 특정 형상의 커서를 표시하여 상기 목적 화상을 지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재생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및 회전 검출 수단은 장치 본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재생장치.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및 회전 검출수단은 장치 본체에 대한 각종 조작 지령을 무선 또는 유선으로 송신하는 원격 조작 장치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재생장치.
  24.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커서 표시수단은 상기 위치 지정수단에 의해 새로운 위치가 지정될 경우 상기 새로운 위치로 향하여 이동하는 물체 또는 생명체를 상기시키는 애니메이션을 표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재생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커서 표시수단은 상기 위치 지정 수단에 의해 새로운 위치가 지정될 경우 상기 새로운 위치로 향하여 주행, 보행, 유영 또는 비행하는 물체나 생명체를 상기시키는 애니메이션을 표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재생장치.
  26.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커서 표시수단은 상기 위치 지정 수단에 의해 소정 시간에 새로운 위치가 지정된 경우 동일 위치에 정지하는 물체 또는 생명체를 상기시키는 애니메이션을 표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재생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커서 표시 수단은 상기 위치 지정 수단에 의해 소정 시간에 새로운 위치가 지정되지 않은 경우 동일 위치에서 그의 제자리 주행, 그의 제자리 보행, 그의 제자리 유영 또는 호버링(hovering) 하는 물체 또는 생명체를 상기시키는 애니메이션을 표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재생장치.
  2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위치 제어수단은 상기 동화상 기록매체의 주행을 제어하고, 상기 동화상 기록매체를 고속 감기 또는 되감기 함으로써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상기 목적 재생 화상에 대응하는 기록 위치로 이동한 후 재생동작을 개시하도록 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재생장치.
  2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화상 기록 매체로부터 동화상을 재생하는 재생 과정에서, 미리 설정된 일정시간 간격으로 정지화상을 추출하여 소정의 화소수로 축소하고, 복수의 인덱스 화상을 순차 생성하여 상기 동화상 기록매체상의 기록위치에 각각 대응시켜 상기 인덱스 화상 기억 수단에 기록하는 인덱스 화상 생성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재생장치.
  3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화상 기록매체로부터 동화상을 재생하는 재생 과정에서, 미리 설정된 일정시간 간격으로 정지화상을 추출하여 소정의 화소수로 축소함과 함께 소정의 데이터 압축방법으로 압축하고, 복수의 인덱스 화상을 순차 생성하여 상기 동화상 기록매체상의 기록 위치에 각각 대응시켜 상기 인덱스 화상 기억 수단에 기록하는 인덱스 화상 생성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재생장치.
  3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덱스 화상의 추출 타이밍을 지정하는 추출 타이밍 지정 수단과, 상기 동화상 기록 매체로부터 동화상을 재생하는 재생과정에서, 상기 추출 타이밍 지정수단에 의해 지정될 때마다 복수의 인덱스 화상을 생성하여 상기 동화상 기록 매체상의 기록 위치에 대응시켜 상기 인덱스 화상 기억 수단에 기록하는 인덱스 화상 생성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재생장치.
  32. 시계열에 따라서 일련의 동화상을 동화상 기록매체에 기록함과 함께, 상기 동화상 기록매체로부터 동화상을 재생하여 표시 화면상에 표시하는 동화상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동화상 기록 매체에 일련의 동화상을 기록하는 기록과정에서, 미리 설정된 일정시간 간격으로 정지 화상을 추출하여 복수의 인덱스 화상을 순차 생성하는 인덱스 화상 생성수단과, 상기 인덱스 화상 생성수단에 의해 순차 생성된 복수의 인덱스 화상을 상기 동화상 기록매체상의 기록 위치에 각각 대응되게 기억하는 인덱스 화상 기억 수단과, 상기 인덱스 화상 기억 수단으로부터 판독한 복수의 인덱스 화상을 그 시계열에 따라서 상기 표시 화면상에 배열 표시시키는 인덱스 화상표시 수단과, 상기 표시 화면상에 배열 표시된 복수의 인덱스 화상 중에서 소망의 재생 가능한 목적 재생 화상을 선택하는 선택수단과, 상기 동화상 기록 매체의 재생 개시 위치를 상기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목적 재생 화상에 대응하는 상기 동화상 기록 매체상의 기록 위치로 이행 제어하는 재생 위치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기록 재생장치.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인덱스 화상 생성수단은 상기 동화상 기록매체에 일련의 동화상을 기록하는 기록 과정에서, 미리 설정된 일정시간 간격으로 정지 화상을 추출하여 소정의 화소수로 축소하고, 복수의 인덱스 화상을 순차 생성하여 상기 동화상 기록매체상의 기록위치에 각각 대응시켜 상기 인덱스 화상 기억 수단에 기록하는 인덱스 화상생성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기록 재생장치.
  34.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인덱스 화상 생성수단은 상기 동화상 기록 매체에 일련의 동화상을 기록하는 기록과정에서,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 간격으로 정지 화상을 추출하여 소정의 화소수로 축소함과 함께 소정의 데이터 압축방법으로 압축하고, 복수의 인덱스 화상을 순차 생성하여 상기 동화상 기록 매체상의 기록 위치에 각각 대응시켜 상기 인덱스 화상 기억 수단에 기록하는 인덱스 화상 생성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기록 재생장치.
  35.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인덱스 화상의 추출 타이밍을 지정하는 추출 타이밍 지정수단을 가지며, 상기 인덱스 화상 생성수단은 상기 추출 타이밍 지정수단에 의해 지정될 때마다 복수의 인덱스 화상을 생성하여 상기 동화상 기록 매체상의 기록위치에 대응시켜 상기 인덱스 화상 기억 수단에 기록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기록재생장치.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타이밍 지정수단은 녹화 개시 버튼의 조작에 따라 상기 인덱스 화상의 추출 타이밍을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기록 재생장치.
KR1019930023259A 1992-11-05 1993-11-04 동화상재생장치및동화상기록재생장치 KR1003095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2126192A JP3189963B2 (ja) 1992-11-05 1992-11-05 動画像再生装置
JP92-321261 1992-11-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09518B1 true KR100309518B1 (ko) 2001-12-15

Family

ID=18130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3259A KR100309518B1 (ko) 1992-11-05 1993-11-04 동화상재생장치및동화상기록재생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189963B2 (ko)
KR (1) KR1003095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1253A (ko) * 1997-02-12 1998-10-26 이데이 노부유키 기록 재생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06359A (en) * 1994-06-30 1997-02-25 Hewlett-Packard Company Video on demand system with multiple data sources configured to provide vcr-like services
DE19880570T1 (de) * 1997-04-09 1999-06-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Aufzeichnungs- und Wiedergabevorrichtung
JP3609586B2 (ja) * 1997-07-09 2005-01-12 株式会社デノン 映像再生装置
KR100736076B1 (ko) 2005-10-24 2007-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화면 캡처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용 장치 및 그 방법
JP4998026B2 (ja) 2007-03-15 2012-08-15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撮像装置、および画像表示制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5092469B2 (ja) 2007-03-15 2012-12-05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表示制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0211505A (ja) * 2009-03-10 2010-09-24 Sharp Corp コンテンツ表示装置、コンテンツ表示方法、およびコンテンツ表示プログラム
JP5677011B2 (ja) * 2010-10-07 2015-02-25 キヤノン株式会社 動画再生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56725A (en) * 1986-08-29 1990-09-11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signal reproduc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56725A (en) * 1986-08-29 1990-09-11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signal reproducing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1253A (ko) * 1997-02-12 1998-10-26 이데이 노부유키 기록 재생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189963B2 (ja) 2001-07-16
JPH06153157A (ja) 1994-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16139A (en) Motion picture reproducing and recording/reproduction apparatus
CN105118525B (zh) 用于编辑活动画面数据的设备及活动画面数据的编辑方法
EP2244264A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KR100309518B1 (ko) 동화상재생장치및동화상기록재생장치
JPH11164258A (ja) データ記録媒体およびデータ再生装置
GB2327171A (en)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pictures
KR100309519B1 (ko) 동화상재생장치및동화상기록재생장치
JP3609586B2 (ja) 映像再生装置
JP2004132741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08522455A (ja) 音声/映像のプレイリストのナビゲーション/編集のための時計に基づく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
JPH07240899A (ja) 圧縮画像再生装置
JP3912307B2 (ja) 映像信号記録再生装置
JP2002152684A (ja) マルチアングル再生装置及び再生方法
JP3802100B2 (ja) 編集装置
JP4222981B2 (ja) 記録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
JPH0244569A (ja) 画像記憶装置
JP2952877B2 (ja) ディスクプレーヤとその再生方法
JP2002252833A (ja) 光ディスク再生装置
JP4481194B2 (ja) 電子アルバム表示システム、電子アルバム表示方法、及び電子アルバム表示プログラム
JP3089005U (ja) 光ディスク再生装置
JPH05159546A (ja) 再生装置
JP2000354219A (ja) 情報信号記録装置及び情報信号再生装置
JPH10191229A (ja) 記録装置、再生装置及びカセット
JP2615660B2 (ja) ディスク・プレーヤ
JP4006051B2 (ja) 映像記録再生装置および映像記録再生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