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7280B1 - 케이싱블록과하나이상의왕복피스톤펌프부재를구비하는왕복피스톤펌프 - Google Patents

케이싱블록과하나이상의왕복피스톤펌프부재를구비하는왕복피스톤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7280B1
KR100307280B1 KR1019940021493A KR19940021493A KR100307280B1 KR 100307280 B1 KR100307280 B1 KR 100307280B1 KR 1019940021493 A KR1019940021493 A KR 1019940021493A KR 19940021493 A KR19940021493 A KR 19940021493A KR 100307280 B1 KR100307280 B1 KR 1003072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iprocating piston
piston pump
casing
cylinder
casing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1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6249A (ko
Inventor
슐러볼프강
스타데호르스트
사이쯔스테판
Original Assignee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Publication of KR950006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62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7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72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5/00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 B60T8/4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comprising an additional fluid circuit including fluid pressurising means for modifying the pressure of the braking fluid, e.g. including wheel driven pumps for detecting a speed condition, or pumps which are controlled by means independent of the braking system
    • B60T8/4031Pump unit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 or moun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1/00Multi-cylinder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1/04Multi-cylinder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in star- or fan-arrangement
    • F04B1/0404Details or component parts
    • F04B1/0421Cylin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5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23/00 or F04B39/00 - F04B47/00
    • F04B53/16Casings; Cylinders; Cylinder liners or heads; Fluid connections
    • F04B53/162Adaptations of cylinders
    • F04B53/166Cylinder liners
    • F04B53/168Mounting of cylinder liners in cylin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Details Of Reciprocating Pumps (AREA)
  • Reciprocating Pumps (AREA)

Abstract

케이싱 블록과 하나 이상의 왕복 피스톤 펌프부재를 갖는 왕복 피스톤 펌프를 개량해서 구조 칫수가 작고 더우기 저가로 제조할 수 있는 것을 제공한다.
구성
실린더(3)와 출구 밸브 케이싱(26, 26a)의 외주범위(27)가 일체의 구성부분으로서 구성되어 있고. 고정부재의 하나로서 출구 밸브 케이싱(26, 26a)으로 향하여 작용하는 하나 이상의 코킹가공부(55)로서 케이싱 블록(45)의 재료로부터 코킹가공에 의해 형성된 융기부가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케이싱 블록과 하나 이상의 왕복 피스톤 펌프부재를 갖는 왕복 피스톤 펌프
산업상 이용분야
본 발명은 케이싱 블록과 하나 이상의 왕복 피스톤 펌프부재를 갖는 왕복 피스톤 펌프에 있어서, 이 왕복 피스톤 펌프가 케이싱 블록의 구멍내에 삽입되고 고정부재에 의해 축방향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케이싱 블록의 구멍에 대해 상대적으로 밀봉가능한 실린더 헤드와 실린더 내에서 미끄러질 수 있는 피스톤과, 실린더,실린더 헤드 및 피스톤에 의해 제한된 펌프실과, 출구 밸브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출구 밸브가 실린더의 길이 방향 축선의 연장부에서 실린더의 펌프실에 접속되어 있고 밸브 시트, 밸브 시트 폐쇄체, 폐쇄 스프링과 출구 밸브 케이싱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출구 밸브 케이싱이 단면 범위를 가지고 있어서 밀봉링(seal ring)과 협동하여 상기 케이싱 블록의 구멍을 위한 폐쇄부재를 형성하고 있는 형식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이러한 형식의 왕복 피스톤 펌프는, 종래기술(독일 특허공개 제 3236536호 명세서, 독일특허출원 제 4320902.5호 명세서)로 공지되어 있고, 일체로 구성된 실린더와 실린더 헤드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실린더와 실린더 헤드는 일체 구성부분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실린더 헤드 내에는 출구 밸브 시트가 형성되어 있다. 네크부가 실린더 헤드로부터 연장되며 이어서 원형으로 형성된 플랜지가 성형되어 있다. 출구 밸브 케이싱은 관형상의 돌출부를 가지고 있고, 이 돌출부는 덮어 채워지며, 네크부에 가장자리를 구부려 고정시키고 있다. 관형상의 부가부는 벽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는 보조부재이다. 이에 따라, 실린더를 케이싱 블록내에 끼워넣기 전에 실린더와 각 출구 밸브는 하나의 구조군으로 정리되고, 이와 같이 실린더를 케이싱 블록에 끼워넣기 전에 폐쇄 스프링이 미리 프리로드(선하중)를 걸어서. 밸브 시트 체제부재와 함께 분실되지 않도록 유지된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출구 밸브는 케이싱 블록 내에 끼워넣기 전에 기능성 및 밀폐성을 검사할 수 있다는 다른 이점도 있다. 분위기(외부) 쪽으로 향한 단면측 단부의 범위에서 출구 밸브 케이싱에는 밀봉링이 배속되고 있기 때문에, 출구 밸브 케이싱은 케이싱 블록의구멍을 위한 폐쇄부재로서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 왕복 피스톤 펌프를 케이싱블록의 구멍 내에 끼워넣을 때 헤드리스 나사(헤드가 없는 나사)에 의해 출구 밸브 케이싱은 실린더 헤드에 눌려진다. 따라서, 펌프의 작동중에 이 헤드리스 나사는 적어도 왕복 피스톤 펌프부재에 의해 발생하게 되는 최대압력과 구멍의 횡단면을 이용하므로써 얻어지는 힘에 의해 부하가 걸린다. 이 예에서 왕복 피스톤 펌프는 약 300바아(bar) 까지의 압력을 발생하게 할 정도로 강력하게 구동된다.
이러한 왕복 피스톤 펌프는, 예를 들면 국제특허 WO 93/08050호 명세서에 의한 차량 브레이크 장치를 위한 앤티로크 브레이크 장치의 케이싱 블록내에서 서로 마주해서 한쌍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케이싱 블록은 가능한 한 경량이어야 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경우에는 경금속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헤드리스 나사를 위한 비교적 긴 나사가 필요하게 된다. 더우기, 안정성때문에 이러한 나사는 주의 깊게 제조해야 하므로 제조비용이 고가이다. 상술한 국제특허 WO 93/08050호 명세서의 제 5 도에 의하면 이러한 헤드리스 나사는 배치되는 케이싱 블록의 구조 칫수에 대해 특히 좋지 않은 결점을 일으킨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러한 결점을 제거하는 것이다.
제 1 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왕복 피스톤 펌프부재의 개략적인종단면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실시예에 대한 변화 실시예에 따른 왕복 피스톤 펌프 부재의 일부의 종단면도.
게 3 도는 제 1 도의 실시예에 대한 다른 변화 실시예에 따른 왕복 피스톤 펌프부재의 개략적인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왕복 피스톤 펌프부재 3 : 실린더
4.4a : 실린더 헤드 6 : 펌프실
8 : 출구 밸브 26,26a : 출구 밸브 케이싱
27 : 외주범위 28 : 단부범위
32 : 밸브 시트 33,33b : 밸브 시트체
35 : 틈 36 : 코킹가공부
40,42 : 밀봉링 44 : 고정플랜지
45 : 케이싱 블록 46 : 구멍
49.60 : 구멍계단부
55 : 환형 융기부로서 형성된 코킹가공부
59 :단면측 61 : 스토퍼
이 과제를 해결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실린더와 출구 밸브 케이싱의 외주범위가 일체의 구성부분으로서 구성되어 있고, 하나의 고정부재로서 케이싱 블록의 재료를 코킹가공하므로써 융기형상으로 형성된, 출구 밸브 케이싱에 대해 작동하는 하나 이상의 코킹가공부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왕복 피스톤 펌프의 왕복 피스톤 펌프부재는, 평상시는 왕복 피스톤 펌프부재의 직경이 변화하지 않는 상태에서 그 축방향으로 매우 작은 축방향의 힘이 작용하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이 축방향의 힘은 주로 실린더 내의 최대압력에 의해 영향을 받아서 피스톤의 횡단면과 곱해진다. 따라서, 최소가 된 축방향의 힘을 받기 위해서는 저가이며 공간절약의 코킹가공부 만으로 충분하다.
특허청구의 범위 제 2창 이하에 기재된 수단에 의해 제 1항에 기재된 왕복피스톤 점프 부재의 유리한 변화실시예 및 개량이 가능하다. 특허청구의 범위 제 2 항에 기재된 실시예에 의하면, 왕복 피스톤 펌프부재에 의해 발생하게 된 압력에 따른 부하가 두가지 밀봉링의 밀폐범위 내에서 동일 크기의 축방향의 힘 및 더 나아가서는 축방향의 힘의 보상이 얻어지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부가적인 안전성들 고려해서 피스톤에 작용하는 구동력에 상당하는 힘을 코킹가공부에 의해 수용할 뿐이다.
특허청구의 범위 제 3 항에 기재된 특징은 출구 밸브를 짜넣기 위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특허청구의 범위 제 4 항에 기재된 특징은 기술적으로 간단한 수단으로 제조가능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특허청구의 범위 제 5 항에 기재된 특징은 출구 밸브 구성의 다른 해결책을나타낸다.
특허청구의 범위 제 6 항에 기재된 특징은 제 5 항에 기재된 해결책의 개량사항을 나타낸다.
특허청구의 범위 제 7 항에 기재된 특징은 실린더 및 출구 벨브에 대한 케이싱 블록의 여러가지 다른 열팽창이 코킹가공부에 의해 충분히 방지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제 7 항에 기재된 수단도 코킹가공부가 과잉부하에 대한 보호를 형성한다.
실시예
입구 밸브(7)는 피스톤(5)과 함께 조합되어 있다. 이 때문에 피스톤(5)은펌프실(6)로부터 연장되는 자루구멍 형상으로 공간에 구성되어 있고, 피스톤(5)에서 입구 밸브 시트(9)를 가지고 있다. 이 입구 밸브 시트(9)에는 입구 밸브 시트 폐쇄부재(10)가 배치되어 있다. 이 입구 밸브 시트 폐쇄부재(10)에는 스템(11)이 일체 성형되어 있고, 이 스템(11)은 피스톤(5)내로 돌입하며, 그 원추형으로 성형된 자유단부(12)의 범위에서 숄더(13)를 가지고 있다. 입구 밸브 시트 폐쇄부재 (10)와 스템의 이행부 범위에서는 피스톤(5) 내에 스토퍼 링(14) 배치되어 있다. 이 스토퍼 링(14)과 숄더(13)의 사이에는 돌기부를 갖춘 원추형으로 형성된 입구 밸브 폐쇄 스프링(15)이 넣어져 있다. 본 발명과는 관계없는 부분의 상세한 설명에 게해서는 서두에 나타낸 독일 특허출원 제 4320902호 명세서를 참고한다. 피스톤(5)은 외주부 및 실린더(3) 내에서 정렬되며 주변방향 홈(16)을 가지고 있다. 이 주변방향 홈(16)은 두개의 횡방향 통로(17)를 통해 입구 밸브(7)로 통하고 있다.
주변방향 홈(16)에 정렬되며 실린더가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관통구멍(18)을 가지고 있는데, 이 관통구멍(18)은 공급하고자 하는 압력하의 액체를 입구 밸브(7)로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반경방향의 관통구멍은 공지의 형식으로 실린더(3)의 외주부에 형성된 환형 홈(19)으로부터 연장되어 있고, 이 환형 홈 (19)은 튜브 형상으로 형성된 필터 엘리멘트(20)에 의해 덮어씌워져 있다. 피스톤 (5)은 입구 밸브 시트(9)와는 반대측 단부에서 피스톤 다리부를 가지고 있고, 이 피스톤 다리부(21)에 구동가능한 편심체(22)가 공지의 형식으로 작용하도록 되고 있다. 이와 같은 형식의 편심체(22)및 도시되시 않은 구동장치는, 예를 들면 종래기술에 의해 공지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입구 밸브 시트(9)의 범위에서 피스톤(5)은 아주 좁은 반경방향의 여유폭을 가지고 실린더(3) 내에 끼워 넣어져 있기 때문에 피스톤(5)과 실린더(3)의 사이에는 밀봉 갭이 형성되어 있다. 다른 피스톤 시일(23)은 밀봉링의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 밀봉링은 실린더(3) 내에 형성된 환형 홈(24) 내에 끼워넣어져 있다.
제 1 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실린더 헤드(4)가 실린더(3)에 일체로 직접 접속되고 있다. 왜나하면, 펌프실은 자루구멍 형상의 실린더 구멍(25)에 의해 구성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 구성은 종래기술과 동일하다.
실린더 헤드(4)는 실린더(3)와 일체로 외주범위(27)를 갖춘 출구 밸브 케어싱(26)으로 이행하고 있다. 이 외주범위(27)는 실린더 헤드(4)와 일체로 구성되어 있고 단부범위(28)를 가지고 있다. 이 단부범위(28)는 외주범위(27)와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외주범위(27) 내에서는 단부범위(28)에 인접해서 출구 밸브 케이싱 (26) 내에 밸브실(29)이 배치되어 있다. 밸브실(29)은 폐쇄 스프링(30)과 구형태의 밸브 시트 폐쇄체(31)를 수용하고 있다. 이 밸브 시트 폐쇄체(31)에는 밸브 시트(32)가 배치되어 있다. 밸브 시트(32)는 밸브 시트체(33)에 형성되어 있고, 이 밸브 시트체(33)는 거의 환형 원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외주부가 예를 들면 구형 태로 형성되어 있다. 밸브 시트체(33)는 밸브 시트(32)로부터 연장되는 중앙구명 (34)을 구비하고 있고. 이 중앙구멍(34)은 펌프실(6) 내에 개구하고 있다. 밸브 시트체(32)는 틈(35) 내에 배치되어 있고, 이 틈(35)은 펌프실(6)로부터 실린더 헤드(4) 내에 출구 밸브 케이싱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프리로드(선하중)를 받아 조립된 폐쇄 스프링(30)에 대항하여, 그리고 밸브실(29)로부터의 액압부하에 대항하여 밸브 시트체(33)는 하나 이상의 코킹가공부(36)에 의해 축방향으로 고정되어 있다. 이 코킹가공부(36)는 실린더 헤드(4)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절 단부(37)를 펌프실(6)로부터 밀어넣으므로써 형성되고 있다.
출구 밸브 케이싱(26)의 외주부 범위(27)에는 거의 반경방향으로 관통하는,예를들면 하나 이상의 천공된 개구(38)가 형성되어 있다. 하나의 구성부분에 짜넣어진 실린더(3)의 단면범위(28)와 개구(38)의 사이에서 축방향에는, 이 주변방향 범위에 제 1 밀봉링(40)을 위한 수용홈(39)이 설치되어 있다. 제 2 수용홈(41)은 펌프실(6)의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있고 제 2 밀봉링(42)을 수용하고 있다. 수용홈(39)과 수용홈(41) 사이에서 개구(38)의 범위에는 외주부(26)가 공급된 압력매체를 안내하기 위한 네크부(43)를 가지고 있다.
유리하게는 수용홈(39,41) 및 밀봉링(40,42)은 동일칫수이다.
출구 밸브 케이싱(26)와 단부범위(28)로부터 반경방향으로 고정 플랜지(44)가 돌출되어 있다. 왕복 피스톤 펌프 부재(2)는 케이싱 블록(45) 내에 끼워넣을 수 있다. "케이싱 블록" 이란, 예를 들면 앤티로크 브레이크 장치의 케이싱 블록 또는 트랙션 슬립 컨트를 장치와 앤티로그 브레이크 장치의 조합의 케이싱 블록을 가리킨다.
본 발명에 따른 하나 이상의 왕복 피스톤 펌프부재 외에 부가적으로 전기제 어식의 행정판 및/또는 기타 부재를 수용한다. 이러한 케이싱 블록 대신에 단순한펌프 케이싱도 생각할 수 있다.
케이싱 블록(45)은 왕복 피스톤 펌프부재(2)를 수용하기 위해 구멍(46)을 구비하고 있다. 이 구멍(46)은 한편으로는 두개의 밀봉링(40,42)을 반경방향으로 죄면서 유지하고, 다른 편으로는 일체 성형된 출구 밸브 케이싱(26)을 갖는 실린더 (3)를 센터링시키면서 수용하기 위해 두개의 밀봉링(40,42) 범위에서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외측의 제란 가장자리(47)로부터 연장되는 구멍(46)에는 스토퍼 숄더(48)가 설치되어 있다. 이 스토퍼 숄더(48)는 구멍계단부(49)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데, 제 1 도에는 이 구멍계단부(49)중 일부만이 도시되어 있다.
구멍(46)과 네크부(43)의 사이에는 환형실(50)이 설치되어 있고, 이 환형실 (50)은 케이싱 블록(45)내에 배치된 출구 밸브 통로(51)로 통하고 있다. 더우기, 케이싱 블록(45) 내에는 입구 통로(52)가 배치되어 있고, 이 입구 통로(52)는 필터엘리멘트(20)에 정렬되어 구멍(46) 내로 개방되어 있다. 피스톤 다리부(21)의 옆에 필터 엘리멘트(20)의 구멍(46)에 인접해서 좁은 제 2 구멍이 설치되어 있고, 이 구멍은 피스톤 다리부(21)의 범위에 인접해서 실린더(3)를 둘러싸고 있다. 이 구멍 내에는 실린더, 케이싱 블록, 시일(53)이 수용되어 있기 때문에 방 [54: 이 방내에서 편심체(22)가 이동한다]은 입구 통로(52)와는 액압식으로 분리되어 있다.
왕복 피스톤 펌프부재(2)는 고정 플랜지(44)가 케이싱 블록의 스토퍼 숄더 (48)에 접하기 까지 피스톤 다리부(21)와 함께 구멍(46) 내에 삽입된다. 이어서, 코킹 공구에 의해 케이싱 블록(45) 내에 재료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코킹가공부(55, 예를 들면 환형융기부)를 고정 플랜지(44)에 눌러붙인다. 코킹가공부(55)및 스토퍼 숄더(48)는 케이싱 고정 부재를 형성하고, 이에 대해 고정 플랜지(44)는 원통형의 고정부재를 형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밀봉링(40)과 제 2 밀봉링(42)은 원통형의 구멍에 접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해 바라는 형식으로 두가지 밀봉링(40,42) 사이의 범위에 소정의 압력이 존재할 때에 이들 두가지 밀봉링을 서로 분리시키고자 하는 힘이 같아져서 출구 밸브 케이싱(26)이 짜넣어진 단부범위(28)와 실린더(3) 사이의 재료에 의해 보상되게 된다. 따라서, 편심체(22)가 회전하고 피스톤 (5)이 실린더(4)로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펌프실(6)내에 출구 밸브(8)를 개방하는 힘이 생기게 되고, 밸브실(29) 및 개구(38)에 의해 환형실(50)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코킹가공부(55: 환형 융기부)로 향하는 방향의 힘이 작용하면, 편심체(22)로부터 피스톤 다리부(21)로 작용하는 힘에 상당하는 힘이 생기게 된다.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 구멍(25)에 의해 제한된 횡단면은 구멍(46)에 의해 케이싱 블록(45)) 내에서 제한된 횡단면보다도 아주 작다. 따라서, 하나 이상의 코킹가공부(55)는 서두의 종래기술에서 설명한 왕복 피스톤 점프부재의 헤드리스 나사보다 작은 부하를 받을 뿐이다.
환형 융기부로서 형성된 하나 이상의 코킹가공부(55)가 하나의 프레스 공구를 왕복 피스톤 펌프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매우 큰 구동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다수의 작업단계에서 세그먼트 형상으로 다수의 코킹가공부를 형성해도 된다. 하나 이상의 코킹가공부 또는 다수의 코킹가공부를 배치하는 것은 수력학 상의 제조기술분야에 속하는 것이기 때문에 전문가는이 분야에서 공지의 실시예를 선택할 수 있다.
제 2 도에는 도시되지 않은 실린더에 짜넣어져 접속된 출구 밸브 케이싱 (25a)을 위한 제 2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실린더의 펌프실(6)로부터 개구 (34a)가 연장되고, 이 개구(34a)에는 밸브 시트(32a)가 접속되어 있다. 이 밸브 시트(32a)에는. 예를 들면 구형상의 밸브 시트 폐쇄체(31)가 배치되어 있고, 이 밸브 시트 폐쇄체(31)는 폐쇄 스프링(30)에 의해 가압되고 있다 밸브 시트 폐쇄체 (31) 및 폐쇄 스프링(30)은 밸브실(29a) 내에 배치되어 있고, 이 밸브실(29a)로부터 거의 마찬가지로 반경 방향으로 개구(38)가 연장되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 밸 브 시트(32a)는 펌프실(6)로 서로 향해서 실린더 헤드(4a)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이 밸브 시트(32a)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공구를 밸브실(29a) 내에 도입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 때문에, 밸브실(29a)의 연장부에서 출구 밸브 케이싱(26a)은 단 면측(59)으로부터 연장되는 구멍계단부(60)를 가지고 있다. 밸브 폐쇄체(31) 및 폐쇄 스프링(30)을 도입하고 나서, 구멍 계단부(60)는 스토퍼(61)에 의해 폐쇄되도록 되고 있다. 확실하게 위치를 고정하고, 또한 액압식으로 밀봉하기 위해 스토퍼 (61)는 밸브 케이싱(26a)에 예를 들면 용접 심(62: seam)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접속기술에 대응해서. 이러한 응접 심 대신에 납땜(도시되지 않음)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제 1 도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밸브 시트체(33) 및 실린더 헤드(4)의 범위에 코킹가공부를 설치해도 된다.
도시되지 않은 실린더에서 시작되어 실린더 헤드(4a)를 통해 단면측(59) 까지의 일체 조합으로, 제 1 도에 도시된 형식으로 고정 플랜지를 대응 배치해도 되고, 또한 제 1 도에 도시된 수용홈(39, 41)을 배치해도 된다. 이에 따라, 이러한 형식으로 얻어진 왕복 피스톤 펌프부재(2a)를 마찬가지로 제 1 도의 케이싱 블록 (45) 내에 짜넣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싱 블록에 대해 밀봉하고자 하는 지점의 실린더(3)와 출구 밸브 케이싱(26, 26a)의 외주측에서 케이싱 블록 (45)의 구멍(46)을 밀봉하면서 폐쇄하기 위한 폐쇄부재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범위를, 이들 부분의 재료를 함께 하는 것에 의해 하나 이상의 코킹가공부(55)로 향하는 방향에서 액압식으로 제한된 축방향의 행정을 가능한 한 작게 유지할 수 있다.
서두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케이싱 블록(45)은 유리하게는 알루미늄과 같은 경금속으로 구성되고 있다. 그러나, 기술적인 이유로 실린더(3)는 강철로 제조되고 있다. 실린더(3) 및 케이싱 블록(45)을 균일하게 가열하면 이들 부재는 각각 다른 길이만큼 길이 방향으로 변화하는데, 이는 제 1 도의 실시예에서는 방해가 되지 않는다. 왜나하면, 케이싱 블록 쪽의 고정부재, 스토퍼 숄더(48) 및 코킹가공부 또는 환형 돌기부(55)는 서로 축방향으로 작은 고정 플랜지(44)가 돌입할 정도의 간격을 유지하고 있을 뿐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열에 의해 제한된 칫수 변화에 따라 고정 부재가 진동하는 것과 같은 칫수의 변화는 일어나지 않는다. 고정 플렌지(44)에서, 밀봉링(40, 42, 43)이 배치됨으로써 구성부분, 즉 실린더(3), 실린더 헤드(4) 및 케이싱 블록(45) 사이의 미끄러짐 또는 어긋남이 일어난다. 이들 밀봉링은 액압식의 실린더 피스톤의 밀봉링과 마찬가지로 축방향으로의 미끄러짐을 가능하게 한다.
하나 이상의 코킹가공부 또는 융기부로서 형성된 코킹가공부를 교환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제 3 도에 도시된 왕복 피스톤 펌프부재(2b)를 위한 실시예에서는, 밸브 시트(32b)를 수용하고, 또한 개구(34b)를 갖는 밸브 시트체(33b)의 외주부가원통형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원통형으로 제한된 틈(계단형 구멍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내에 삽입되어 있다. 밸브 시트체(33b)를 고정하기 위해 환형으로 폐쇄된 단면을 갖는 프레스 공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실린더 헤드(4b)의 재료가 밸브 시 트체(33b)를 향해 밀려지고, 이에 따라 제 3 도에 도시된 코킹가공부(36b)가 형성된다. 이 코킹가공부(36b)의 기하학적 형상은 왕복 피스톤 펌프부재(2b)글 구멍 (46) 내에서 고전하기 위해 규정된 코킹가공부(55)의 기하학적 형상과 칫수가 다른 것 이외는 동일하다. 제 1 도에 도시된 밸브 시트체(33)를 위한 코킹가공부의 형상과는 다르게 절단부(37) 또는 환형 절단부를 압각에 의해 형성하면. 왕복 피스톤펌프부재(2, 2b)를, 이를 수용하는 구멍(46) 내에서 고정할 가능성도 얻을 수 있다.
제 3 도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 1 도에 도시된 고정 플랜지(44)가 설치되어 있지 않고, 따라서 종래기술에 따라 실린더(3b)의 외측에 숄더(44b)를 배치하고 있다. 이 숄더(44b)는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고정부재를 형성하고 있다. 독일 특허공개 제 3236536호 명세서에 기재된 축방향 스토퍼로서 사용되는 숄더와는 달리 이 숄더는 실린더(3b)와 케이싱 블록(45)의 사이에서 밀봉을 형성할 필요는 없다. 이는 실린더(3b)에 밀봉(제 1 도와 관련하여 설명되어 있는 바와 같이)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숄더(44b)는 왕복 피스톤 펌프부재(2b)를 위한 고정부재의 하나로서 작용할 뿐이다. 확실한 밀봉을 얻기 위해 코킹가공부(55)에 의해 케이싱 블록(45)에 숄더(44b)를 밀어붙일 필요는 없다.

Claims (7)

  1. 케이싱 블록과 하나 이상의 왕복 피스톤 됨프부재를 갖는 왕복 피스톤 펌프가 케이싱 블록의 구멍 내에 삽입된 고정 부재에 의해 축방향으로 고정되도록 되어 있고. 케이싱 블록의 구멍에 대해 상대적으로 밀봉가능한 실린더 헤드와, 실린더 내에서 미끄러질 수 있는 피스톤과, 실린더와 실린더 헤드 및 피스톤에 의해 제한된 펌프실과, 출구 밸브를 갖추고 있고, 이 출구 밸브가 실린더의 길이 방향 축선의 연장부에서 실린더의 펌프실에 접속되어 있고, 밸브 시트와 밸브 시트 폐쇄 체와 폐쇄 스프링과 출구 썰브 케이싱을 갖추고 있고, 이 출구 밸브 케이싱이 단면범위를 가지고 있고, 밀봉링과 협동해서 상기 케이싱 블록의 구멍을 위한 폐쇄부재를 형성하고 있는 왕복 피스톤 펌프에 있어서,
    실린더(3)와 출구 밸브 케이싱(26, 26a)의 외주범위(27)가 일체의 구성부분으로서 구성되어 있고, 하나의 고정부재로서 케이싱 블록(45)의 재료를 코킹가공하므로써 융기부 형상으로 형성된 출구 밸브 케이싱(26, 26a)에 대해 작용하는 하나이상의 코킹가공부(55)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싱 블록과 하나 이상의 왕복 피스톤 펌프부재를 갖는 왕복 피스톤 펌프.
  2. 제 1항에 있어서 ,
    케이싱 불록(45)의 구멍에 대해 실린더(3)를 밀봉하기 위해 밀봉링(42)이 배치되어 있고, 이 밀봉링(42)이 출구 밸브 케이싱(26, 26a)에서 밀봉링(40)과 동일칫수를 가지고 있고. 이들 두가지 밀봉링(40, 42)의 범위에서 케이싱 블록(45)의 구멍(46)이 동일직경 칫수를 가지고 있는 케이싱 블록과 하나 이상의 왐복 피스톤펌프부재를 갖는 왕복 피스톤 펌프.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출구 밸브(8)의 밸브 시트(32)가 밸브 시트체(33, 33b) 내에 위치되어 있고,이 밸브 시트체가 펌프실(6)을 관통해서 실린더 헤드(4)내에 형성되어 있는 케이싱블록과 하나 이상의 왕복 피스톤 펌프부재를 갖는 왕복 피스톤 펌프.
  4. 제 3항에 있어서 .
    밸브 시트체(33)가 회전 대칭적으로 구성되고 실린더 헤드(4) 내에 존재하는 홈(35)내에 수용되어 있으며 코킹 가공부(36,36a)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케이싱 블록과 하나 이상의 왕복 피스톤 펌프부재를 갖는 왕복 피스톤 펌프.
  5. 제 l항에 있어서.
    출구 밸브 케이싱(26a)의 단면측(59)에 구멍계단부(60)가 형성되어 있고, 이 구멍계단부(60)가 스토퍼(61)에 의해 폐쇄되며, 밸브 시트(32)가 실린더 헤드(4a)내에 형성되어 있는 케이싱 블록과 하나 이상의 왕복 피스톤 펌프부재를 갖는 왕복피스톤 펌프.
  6. 제 5항에 있어서 .
    상기 스토퍼(61)는 용접 또는 납땜에 의해 재료를 접속 고정하고 있는 케이싱 블록과 하나 이상의 왕복 피스톤 펌프부재를 갖는 왕복 피스톤 펌프.
  7. 제 2항 또는 제 4항 내지 제 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왕복 피스톤 펌프부재(2, 2a)는 단부범위(28, 59)에서 반경 방향으로 돌출하는 고정 플랜지(44)를 가지고 있고, 이 고정 플랜지(44)에 한쪽의 고정부재로서 하나 이상의 코킹 가공부(55)가 향하고 있으며, 다른쪽의 고정부재로서 케이싱 블록 (45)의 구멍계단부(49)가 향하고 있는 케이싱 블록과 하나 이상의 왕복 피스톤 펌프부재를 갖는 왕복 피스톤 펌프.
KR1019940021493A 1993-08-31 1994-08-30 케이싱블록과하나이상의왕복피스톤펌프부재를구비하는왕복피스톤펌프 KR1003072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4329211A DE4329211B4 (de) 1993-08-31 1993-08-31 Hubkolbenpumpe mit einem Gehäuseblock und wenigstens einem Hubkolbenpumpenelement
DEP4329211.9 1993-08-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6249A KR950006249A (ko) 1995-03-20
KR100307280B1 true KR100307280B1 (ko) 2002-02-19

Family

ID=6496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1493A KR100307280B1 (ko) 1993-08-31 1994-08-30 케이싱블록과하나이상의왕복피스톤펌프부재를구비하는왕복피스톤펌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5540570A (ko)
JP (1) JP3795545B2 (ko)
KR (1) KR100307280B1 (ko)
DE (1) DE4329211B4 (ko)
FR (1) FR2709518B1 (ko)
GB (1) GB228135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59510809D1 (de) * 1995-03-11 2003-11-20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Kolbenpumpe
DE19510745A1 (de) * 1995-03-24 1996-09-26 Bosch Gmbh Robert Kolbenpumpe
DE19530012A1 (de) * 1995-08-16 1997-02-20 Bosch Gmbh Robert Hydraulikgehäuseblock mit einer Kolbenpumpe
DE19642482A1 (de) * 1996-10-15 1998-04-16 Schaeffler Waelzlager Ohg Halteelement
DE19732817B4 (de) * 1997-07-30 2005-06-30 Robert Bosch Gmbh Kolbenpumpe
WO1999006698A1 (de) * 1997-07-30 1999-02-11 Robert Bosch Gmbh Kolbenpumpe
DE19732792A1 (de) * 1997-07-30 1999-02-04 Bosch Gmbh Robert Kolbenpumpe
CN1095939C (zh) * 1997-11-13 2002-12-11 Lg电子株式会社 用于密封式压缩机的活塞连接装置
WO1999025978A1 (de) 1997-11-14 1999-05-27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Kolbenpumpe
DE19820136A1 (de) * 1998-02-17 1999-08-19 Itt Mfg Enterprises Inc Kolbenpumpe
DE19800500A1 (de) * 1998-01-09 1999-07-15 Bosch Gmbh Robert Kolbenpumpe
US6267569B1 (en) * 1998-06-17 2001-07-31 Robert Bosch Gmbh Piston pump
FR2784719B1 (fr) * 1998-10-15 2002-09-06 Bosch Gmbh Robert Pompe a piston
KR100442379B1 (ko) * 2001-10-15 2004-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왕복동식 압축기의 가스 흡입장치
US7063520B2 (en) * 2002-05-06 2006-06-20 Lg Electronics Inc. Suction valve assembly of reciprocating compressor
DE102004028999A1 (de) * 2004-06-16 2006-01-05 Robert Bosch Gmbh Hochdruckpumpe für eine Kraftstoffeinspritzeinrichtung einer Brennkraftmaschine
DE102005017283B3 (de) * 2005-04-14 2006-08-03 Lucas Automotive Gmbh Kolbenpumpe für eine Fahrzeugbremsanlage
DE102007048242A1 (de) * 2007-10-08 2009-04-09 Lucas Automotive Gmbh Kolbenpumpen-Unterbaugruppe, Kolbenpumpe und Montageverfahren hierfür
WO2009049776A1 (de) * 2007-10-15 2009-04-23 Ixetic Bad Homburg Gmbh Radialkolbenpumpe
DE102010002283A1 (de) * 2010-02-24 2011-08-25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60488 Kolbenpumpe
EP2402608A1 (en) * 2010-07-02 2012-01-04 Delphi Technologies Holding S.à.r.l. Pump for dosing fluids
DE102010039516A1 (de) * 2010-08-19 2012-02-23 Robert Bosch Gmbh Ventil, insbesondere einer hydraulischen Kolbenpumpe
WO2013018146A1 (en) 2011-08-03 2013-02-07 Mitsubishi Heavy Industries, Ltd. Cylinder assembly for fluid working machine
JP5630406B2 (ja) * 2011-08-31 2014-11-26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電磁ポンプ
US9261083B2 (en) 2011-09-14 2016-02-16 Kelsey-Hayes Company Filter and retainer assembly for piston pump
DE102013216590A1 (de) 2013-08-21 2015-02-26 Robert Bosch Gmbh Pumpenvorrichtung, hydraulisches Bremssystem
CN108289718B (zh) 2015-12-24 2021-07-13 坎特尔(英国)有限公司 医疗附件固持器
GB2549746B (en) * 2016-04-27 2020-04-01 Delphi Tech Ip Ltd High pressure fuel pump
JP6733991B2 (ja) * 2016-09-23 2020-08-05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プランジャポンプ及びブレーキ装置
DE102017115801A1 (de) * 2017-07-13 2019-01-17 Liebherr-Components Kirchdorf GmbH Dichtung für einen Betonpumpenzylinder
US11353117B1 (en) 2020-01-17 2022-06-07 Vulcan Industrial Holdings, LLC Valve seat insert system and method
US10774828B1 (en) 2020-01-17 2020-09-15 Vulcan Industrial Holdings LLC Composite valve seat system and method
US11421679B1 (en) 2020-06-30 2022-08-23 Vulcan Industrial Holdings, LLC Packing assembly with threaded sleeve for interaction with an installation tool
US11421680B1 (en) 2020-06-30 2022-08-23 Vulcan Industrial Holdings, LLC Packing bore wear sleeve retainer system
US11242849B1 (en) 2020-07-15 2022-02-08 Vulcan Industrial Holdings, LLC Dual use valve member for a valve assembly
US11384756B1 (en) 2020-08-19 2022-07-12 Vulcan Industrial Holdings, LLC Composite valve seat system and method
USD980876S1 (en) 2020-08-21 2023-03-14 Vulcan Industrial Holdings, LLC Fluid end for a pumping system
USD986928S1 (en) 2020-08-21 2023-05-23 Vulcan Industrial Holdings, LLC Fluid end for a pumping system
USD997992S1 (en) 2020-08-21 2023-09-05 Vulcan Industrial Holdings, LLC Fluid end for a pumping system
US11391374B1 (en) 2021-01-14 2022-07-19 Vulcan Industrial Holdings, LLC Dual ring stuffing box
US20230220840A1 (en) * 2022-01-11 2023-07-13 Gd Energy Products, Llc Sealing assembly with repositionable seal
US11434900B1 (en) 2022-04-25 2022-09-06 Vulcan Industrial Holdings, LLC Spring controlling valve
US11920684B1 (en) 2022-05-17 2024-03-05 Vulcan Industrial Holdings, LLC Mechanically or hybrid mounted valve seat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677538A (en) * 1949-07-29 1952-08-20 Smith S Jacking Systems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reciprocating pumps
DE1267985B (de) * 1964-06-06 1968-05-09 Bosch Gmbh Robert Laufbuchse fuer Kolbenpumpen
DE1925307A1 (de) * 1969-05-17 1970-11-19 Langen & Co Hydraulische Kolbenpumpe,insbesondere Radialkolbenpumpe
US3682572A (en) * 1970-07-27 1972-08-08 Donald L Yarger Piston type pump
FR2133022A5 (ko) * 1971-04-06 1972-11-24 Skm Sa
DE7327782U (de) * 1973-07-28 1976-03-18 Frieseke & Hoepfner Gmbh, 8520 Erlangen Ventilgesteuerte hochdruck-kolbenpumpe
DE2827609A1 (de) * 1978-06-23 1980-01-10 Fichtel & Sachs Ag Radialkolbenpumpe
DE8002966U1 (de) * 1980-02-05 1985-07-18 Heilmeier & Weinlein Fabrik für Oel-Hydraulik GmbH & Co KG, 8000 München Saugventil
DE3236536C2 (de) * 1982-10-02 1994-08-11 Bosch Gmbh Robert Hydraulische Hochdruckpumpe
NL8204972A (nl) * 1982-12-23 1984-07-16 Noord Nederlandsche Maschf Cilinderkopbevestigingsconstructie.
DE4028941A1 (de) * 1990-03-03 1991-09-05 Bosch Gmbh Robert Druckmittelfoerdereinrichtung mit einer hubkolbenpumpe
DE4027794C2 (de) * 1990-09-01 2002-06-20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Hydraulische Radialkolbenpumpe
DE4133879A1 (de) * 1991-10-12 1993-04-15 Bosch Gmbh Robert Elektrohydraulisches aggregat zur druckregelung in bremsanlagen von fahrzeugen
JP2572034Y2 (ja) * 1992-02-10 1998-05-20 株式会社ユニシアジェックス ポンプ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281359B (en) 1997-01-29
JPH0777171A (ja) 1995-03-20
US5562430A (en) 1996-10-08
DE4329211A1 (de) 1995-03-02
US5540570A (en) 1996-07-30
KR950006249A (ko) 1995-03-20
JP3795545B2 (ja) 2006-07-12
GB9417340D0 (en) 1994-10-19
GB2281359A (en) 1995-03-01
DE4329211B4 (de) 2005-12-22
FR2709518A1 (fr) 1995-03-10
FR2709518B1 (fr) 1995-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7280B1 (ko) 케이싱블록과하나이상의왕복피스톤펌프부재를구비하는왕복피스톤펌프
KR100507940B1 (ko) 피스톤 펌프
KR100507938B1 (ko) 미끄럼 조절되는 유압식 차량 브레이크 시스템용 자기 밸브
US4541607A (en) High-pressure ball valve
JP4130701B2 (ja) ピストンポンプ
KR100251017B1 (ko) 증압형 유체압 실린더
JP4012270B2 (ja) ピストンポンプを備えた液圧式のケーシングブロック並びにピストンポンプを固定しかつシールする方法
GB2253882A (en) Hydraulic high-pressure pump for motor vehicle brake systems
KR100525579B1 (ko) 피스톤 펌프
US5456161A (en) Compact fluid operated cylinder and method
US4373599A (en) Hydraulic rack steering system
US4069747A (en) Cylinder constructions
EP0628721B1 (en) A radial piston pump
JPH02501403A (ja) ロック可能な液圧シリンダ
EP0304743B1 (en) Radial piston pump
US5701800A (en) Pressure medium drive with a cylinder and a plunger
US4782799A (en) Self-adjusting hydraulic valve tappet
US4409885A (en) Brake booster
JPH01280606A (ja) 自動液圧調節式弁タペット
US6155942A (en) Traction wheel for tension element
US5944498A (en) Pump
KR100874600B1 (ko) 코킹 공구 및 코킹
US5438833A (en) Master cylinder
US4516470A (en) Unbalanced hydraulic amplifier valve assembly
SU864897A1 (ru) Гидроклапа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1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