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6774B1 - 합성수지체를 이용한 수상시설 - Google Patents

합성수지체를 이용한 수상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6774B1
KR100306774B1 KR1019990019951A KR19990019951A KR100306774B1 KR 100306774 B1 KR100306774 B1 KR 100306774B1 KR 1019990019951 A KR1019990019951 A KR 1019990019951A KR 19990019951 A KR19990019951 A KR 19990019951A KR 100306774 B1 KR100306774 B1 KR 1003067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thetic resin
water
specific gravity
resin material
fac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9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8534A (ko
Inventor
나까노세도꾸미쯔
가도와키키미에
미야모토후미오
Original Assignee
나까노세 도꾸미쯔
문신웅
(주)한국하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까노세 도꾸미쯔, 문신웅, (주)한국하디 filed Critical 나까노세 도꾸미쯔
Priority to KR10199900199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6774B1/ko
Publication of KR19990068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85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6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67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58Rafts, i.e. free floating waterborne vessels, of shallow draft, with little or no freeboard, and having a platform or floor for supporting a user
    • B63B35/613Rafts, i.e. free floating waterborne vessels, of shallow draft, with little or no freeboard, and having a platform or floor for supporting a user with tubular shaped flotation memb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60Floating cultivation devices, e.g. rafts or floating fish-f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9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14Floating bridges, e.g. pontoon b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40Synthetic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rtificial Fish Reefs (AREA)

Abstract

본발명은 강도의 향상을 도모하면서도 전체를 경비중으로 한 연결볼트의 느슨함·휨 등이 없는 합성수지체를 조합한 수상시설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합성수지체(2)에서 구성되는 복수의 세로횡목(4)과 가로횡목(5)을 임의수 조합시켜 원하는 형태의 양식활어조(A)가 형성된다. 위의 합성수지체(2)는 합성수지제 심재와 이 심재외주를 둘러싼 합성수지제 외통으로 구성되고, 위의 심재가 비중 0.9이상인 미발포합성수지재로 구성되어, 외통이 비중 0.9이하인 발포합성수지재에 의해 일체 성형되고 있다.

Description

합성수지체를 이용한 수상시설{Floating facilties on the surface of sea and other waters }
본 발명은 어패류·해초류·양식물 등의 수산물용 양식활어조, 낚시용 부(浮)뗏목이나 부교 등의 수상시설의 개량에 관련한 것이다.
본 명세서상에서의 수상이란 해상·호수위·강위·못위 등 모든 수면 위를 의미한다.지금까지 이러한 종류의 수상시설은 대나무나 목제의 각재 또는 열경화성수지(FRP)제 파이프 등을 가로·세로방향으로 여러 개 조합하여 뗏목상태로 구성함과 동시에, 부표(float)를 장착하여 수면에 띄워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상기와 같이 대나무 혹은 목제각재나 FRP제 파이프 등을 조합하는 종래로부터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를 안고 있었다.
대나무나 목제각재는 직사광선이나 해수 등에 노출되어 있어 부식으로 인한 손상이나 파손이 일어나기 쉽고, 1년이나 2년마다 새롭게 바꾸어야 한다. 그 내용연수가 짧고, 보수관리에 문제가 있을 뿐 아니라, 안전성의 면에서도 문제가 있었다.
또한, FRP제 파이프는 그 제조방법이나 재질의 측면에서 고가의 것이 될 수밖에 없었다.
본 발명자는 위에서 기술한 종래로부터의 대나무·목재각재·FRP제 파이프 등을 대신하는 수상시설을 조립·구성하는 발포 합성수지체에 대하여 발명하고, 여러 가지 수상시설에 이용에 대하여 선원을 안출한 바있다.
상술한 선원 구성의 합성수지체를 이용함으로써, 대나무·목재각재·FRP제 파이프 등을 조합하여 만드는 종래로부터의 구성의 문제점을 해결하면서도 경량화를 가능하게 함으로서 지금까지의 기술이 안고 있던 부식과 가격에 대한 문제가 해소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자는 이러한 발포합성수지체를 복수 조합하여 형성한 수상시설에서 여러 가지 연구를 거듭한 결과, 다음과 같은 개선의 여지가 있음을 확인했다.
가로·세로 조합한 각 발포합성수지체의 교차부분 등의 연결부에 단단히 죄어져 있던 볼트에 느슨함이 유발됨을 알게 되었고, 이것은 합성수지체 전체가 발포인 점과 수면의 흔들림 등으로 볼트가 홈을 깎아 볼트의 느슨함이 발생한 것이다.
또, 연결에는 다수의 금속도구를 필요로 했다.
전체가 발포 합성수지체로 되어 있기 때문에 굽힘강도 등은 문제가 없다고 해도, 강성 때문에 발포수지체 단부에 휨이 발생해 버린다.
그래서, 본 발명자는 선출원의 발포합성수지체를 이용한 수상시설의 우수한 이점을 계속 유지하면서 강도 및 휨 등을 충분히 커버할 수 있는, 나아가 완성도 높은 수상시설을 안출하게 되었다.
예를 들면, 부교 등에는 위에서 기술한 개선점 외에도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남아 있다.
즉, 부교 등에는 암벽 등의 사이에 등반다리부를 걸치는 구조로 되어 있는데, 지금까지는 등반다리 부의 한끝을 암벽 측에 볼트고정 등을 하고, 다른 끝은 부교에 연결하지 않고 걸쳐놓았다.
그러나, 조수의 간만·거친 파도나 배의 통과로 생기는 물결 등에 의해 수면의 고저차가 부교자체를 상하로 움직이게 하여 암벽 측에 고정한 등반다리부의 볼트고정한 곳에 강한 힘이 가해져 암벽을 파손시키거나 다리 부의 볼트고정부에 파손을 초래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로부터의 상기하는 구성의 문제점을 고려한 것으로서 강도의 향상을 도모하면서도 전체가 경비중(輕比重)인 연결볼트의 느슨함·휨 등이 없는 합성수지체를 조합한 수상시설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등반다리를 갖춘 수상시설에서 내구성·안전성의 향상 및 호안(護岸) 등의 보호를 도모하는 것도 목적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합성수지체를 이용한 수상시설의 제1실시예로서 양식활어조를 표시하는 사시도.
도 2 는 요부를 확대도시하는 세로단면도.
도 3 은 제1실시예에 사용되는 브라켓의 정면도.
도 4 는 브라켓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정면도.
도 5 는 제2실시예로 양식활어조를 표시한 사시도.
도 6 은 제3실시예로 진주양식뗏목을 표시한 사시도.
도 7 은 제4실시예로 낚시뗏목을 표시한 사시도.
도 8 은 제5실시예로 부교를 표시한 사시도.
도 9 는 간만시의 등반다리의 작동상태를 일부 생략하여 표시하는 측면도
도 10 은 등반다리부의 연결부분을 확대도시하는 측면도
도 11 은 연결부를 확대하여 표시한 정면도.
도 12 는 발포합성수지체와 미발포합성수지체의 강도비교표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수상시설
2. 합성수지체 (발포, 미발포의 조합)
2a : 심재
2b : 외통
3 : 합성수지체 (발포)
4 : 세로횡목
5 : 가로횡목
8 : 볼트
8 : 등반다리
A, B : 양식활어조
C : 양식뗏목
D : 낚시뗏목
E : 부교
P : 호안
상술한 종래구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발명의 기술적 수단은 복수의 합성수지체를 임의수 조합·형성하는 것으로서 합성수지체는 합성수지제 심재와 이 심재외주를 둘러싼 합성수지제 외피부로 구성되며 특히, 심재나 외피부 중 어느 한쪽이 비중 0.9이상인 합성수지재로 구성되고 다른 쪽이 비중 0.9이하인 합성수지재로 구성된다.
위의 비중 0.9이상인 합성수지재가 미발포 합성수지재이고, 비중 0.9이하인 합성수지재가 발포 합성수지재이다.
수상시설은 심재 혹은 외피부 중 한 쪽이 비중 0.9이상인 합성수지재, 다른 쪽이 0.9이하인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합성수지체이고, 전체가 비중 0.9이하인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합성수지체를 각각 임의수 조합시켜 형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
또, 수상시설본체와 이 수상시설본체에 한 끝을 연결하고, 다른 끝을 지상 혹은 다른 수상시설에 걸친 구름다리로 구성된다. 수상시설본체에 연결되는 상술한 잔교(scaffold board)의 한 끝이 간만이나 거친 파도에 의한 수면고저변화에 따라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연결되었다.
수상시설이나 수상시설본체는 양식활어조, 양식뗏목, 낚시뗏목이나 부교 중 한가지를 선택할 수 있다.
또, 복수의 합성수지체를 세로방향과 가로방향으로 복수 조합시켜 전체 비중이 0.5∼0.9가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세로방향과 가로방향 길이를 달리 하는 복수의 합성수지체를 조합시킴과 동시에, 각각의 교차부분에 고정판을 끼워 볼트로 죄고, 전체 비중 0.5∼0.9가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하에 본 발명 수상시설의 한 실시형태를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를 설명하려고 개시한 것으로, 이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수상시설(1)은 복수의 합성수지체(2)(세로횡목(4)·가로횡목(5)·상판(6) 등) 등을 세로방향과 가로방향으로 임의수 조합시켜 각 연결부를 볼트(8)등으로 고정함으로서 원하는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수상시설(1)은 해상·호수위·강위·못위 등 모든 수면 위에 띄워서 배치하는 것을 대상으로 한다.
예를 들면, 어패류용의 양식활어조(A)( 도 1 내지 도 4) 및 양식활어조(B)( 도 5), 진주나 굴 등의 양식뗏목(C)( 도 6 ), 낚시뗏목(D)( 도 7 )나 부교(E) ( 도 8 내지 도 11) 등이 해당한다.
또한, 이들은 수상시설(1)의 한 실시형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되지 않고 수상하우스 등 수상에 띄워서 배치하는 다른 수상시설 전반에 적용 가능하다.
또, 각 수상시설(1)(A∼E)의 전체모양·크기·종류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조합되는 복수의 합성수지체(2)등의 장단에 따라 그 형상·크기를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각 합성수지체(2)등을 연결함으로써 대형시설로 만들 수도 있다.
합성수지체(2)는 예를 들면 합성수지제 심재(2a) 와 이 심재(2a) 의 외주를 들러싼 합성수지제 외통(외피부)(2b)로 구성된다. 위의 심재(2a)나 외피부(외통) (2b)의 어느 하나가 비중 0.9 이상인 합성수지로, 다른 쪽이 비중 0.9 이하인 합성수지로 구성된다( 도 2 (a),(b),(c) 참조).
합성수지체(2)의 전체모양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원주형·각주형·판모양 등 임의로 구성할 수있으며 하나(1장)의 길이·지름 (폭) 등도 임의이다.
원주형·각주형 등의 기둥모양에서 중심에 위치하는 부분을 심재라고 부르고, 판상태에서는 상하판재에 끼워진 중심판재를 심재라고 부른다.
또한, 판상태인 것은 평판형·물결판형 등 특별한 제한 없이 다양한 형상의 것이 본 발명의 범위내에 존재한다.예를 들면 , 위의 비중 0.9이상인 합성수지재는 미발포 합성수지재로 하고, 한편, 비중 0.9이하인 합성수지재는 발포 합성수지재로 한다.
심재(2a) 와 외통(2b) 중 하나를 미발포나 발포 중 어느 것으로 하는가는 그 합성수지체(2)의 사용처에 따라 적당하게 선택할 수 있으며, 한 쪽이 미발포이고 다른 쪽이 발포인 일체적인 조합이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합성수지체(2)는 미발포합성수지제 심재(2a) 에서는 비중 0.9이상, 발포합성수지제 외통(2b)에서는 비중 0.9이하로 한다면 주지의 일반적인 합성수지재나 폐플라스틱이 이용되고,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PP)으로 형성되는 중실통상(中實筒狀)의 미발포합성수지제 심재(2a)와 폴리프로필렌(PP)을 주성분으로 한다.
이것에 톱밥, 왕겨나 활성탄 및 탄산칼륨, 화산탄, Talc 등을 중량제로 혼합하고, 이 혼합물에 포함된 수분을 발포성분으로 이용하여 구성되는 통모양의 발포합성수지 외통(2b)을 압출성형으로 일체성형한다.
그리고, 위의 각 배합은 한가지 실시형태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특별히 한정된 것은 아니지만, 발포 합성수지체로 본 발명자가 앞서 발명한 불리는 발포합성수지체를 이용할 수 도 있다.
또, 심재(2a)와 외통(2b)을 각각 별도로 형성하고, 외통(2b)안에 심재(2a) 를 삽입·고정하여 일체 성형해도 좋으며, 그 성형방법은 한정되지 있지 않다.
또한, 이 심재(2a) 와 외통(2b)으로 이루어지는 합성수지체(2)를 성형하는 장치로는 통상적인 압출 성형기가 적용되고, 주지의 기술에 의해 성형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또한, 평판상의 샌드위치구조에서는 압출성형 외에 프레스성형도 가능하다.
심재(2a) 와 외통(2b)의 비율은 특별하게 한정된 것은 아니고, 강도의 향상을 도모하는 곳에 사용되는 합성수지체(2)는 심재(2a) 부분을 외통(2b) 부분과 비교하여 많게 하고, 강도적으로 영향이 적은 곳에 배치하는 합성수지체(2)에서는 심재(2a) 부분과 비교하여 외통(2b)부분의 비율을 많게 하면 된다.
또, 합성수지체(2)는 분자구조가 다른 2종이상의 것을 이용하여 성형할 수있고, 발포합성수지체는 발포하면서 압출 전에 삽입물에 수분이나 가소제 등의 발포성분을 일정분량으로 조정하면서 첨가해도 좋다.
또한, 위의 실시형태에서는 심재(2a)에 미발포 합성수지체, 외통(2b)에 발포 합성수지체를 만들고 일체성형으로 이루어지는 구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서술했지만, 이와는 반대로 심재(2a)에 발포 합성수지체, 외통(2b)에 미발포 합성수지체를 만들어 일체 성형되는 구조라도 미발포의 범위내이고, 그 합성수지체(2)의 배치 설계 등 사용목적에 따라 적당하게 선택할 수 있다.
또, 외통(2b)으로 둘러쌓인 심재(2a)는 단수개로서 설명했지만, 복수 내장해도 좋고, 어느 것이든 적당하게 선택하여 이용된다.
여기에서, 발포합성수지체와 미발포 합성수지체의 강도비교를 도 12 의 표1에 나타낸다.
따라서, 발포 합성수지재로만 이루어진 합성수지체의 경우와 비교하여 강도면에서 우수하다. 위에서 서술한 것처럼 심재(2a) 혹은, 외통(2b)의 어느 하나가 비중 0.9이상인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고, 다른 하나가 비중 0.9이하인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합성수지체(2)( 도 2 (a),(b),(c)참조)를 이용하여 수상시설을 구성하면, 세로횡목(4)과 가로횡목(5)이 연결된 곳에 볼트(8)로 고정한 경우, 각각의 볼트(8)의 나사횡목부분이 미발포 합성수지재부분에서 단단하게 고정된다.
또, 강도의 향상을 도모함으로써 휨의 문제도 해소되므로, 각 연결한 곳을 볼트(8)고정함과 동시에, 예를 들면 끈 등으로 묶는 것만으로 충분하고, 지금까지처럼 U자형의 볼트나 버팀목 등의 대다수 금속을 이용하여 단단하게 각 볼트고정한곳을 보강해야하는 번거로운 작업도 필요 없어진다.
따라서, 수면의 흔들림이나 시설상의 보행이나 작업 등에 의해 수상시설 사용 중에 볼트(8)가 느슨해지는 일도 발생하지 않는다.
또, 수상시설(1)은 위에서 서술한 것처럼 미발포합성수지재와 발포합성수지재와의 심재(2a) 와 외통(2b)로 구성되는 합성수지체(2)를 가지고 조합 형성되는 것 외에 다음과 같이 형성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심재(2a) 혹은 외통(2b)의 어느 한 방향이 비중 0.9이상인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다른 방향이 비중 0.9이하인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합성수지체(2)(위에서 기술한 미발포합성수지재와 발포합성수지재와의 일체성형물, 도 2 (a),(b),(c)참조)와 전체가 비중 0.9이하인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합성수지체(3) (예를 들면 발포 합성수지재, 도 2 (d) 참조)을 각각 임의수 조합하여 수상시설(1)을 구성할 수도 있다.
즉, 강도의 향상을 필요로 하는 곳은 위에서 기술한 미발포합성수지재와 발포합성수지재를 일체성형한 합성수지체(2)( 도 2 (a),(b),(c) 참고)를 이용하고, 강도의 영향이 없는 곳에서는 발포합성수지재 만으로 이루어진 합성수지체(3) ( 도 2 (d)참조)을 이용함으로써 강도의 향상을 도모하면서 전체의 비중을 가볍게 할 수도 있어 대단히 유용하다.
또, 특별히 낚시용 뗏목은 앞에서 기술한 것과 같이 미발포합성수지재와 발포합성수지재로 일체성형한 합성수지체(2)와 발포합성수지재만으로 이루어진 합성수지체(3)의 임의 조합으로 형성되어도 좋지만, 발포합성수지재만으로 이루어진 합성수지체(3) ( 도 2 (d)참조)만으로 구성해도 구성상 하등의 문제는 없다.
단, 복수의 합성수지체(3)을 세로방향과 가로방향으로 복수 조합하여 전체 비중이 0.5∼0.9 가 되도록 구성하는 편이 바람직하다.
세로방향과 가로방향을 달리하는 복수의 합성수지체 3을 조합함과 동시에, 각각 교차부분에 고정판을 끼워 볼트로 잠그는 구조도 좋지만, 이러한 경우라도 수상시설전체의 비중이 0.5∼0.9 가 되도록 구성하는 편이 좋다.
또한, 수상시설하위에 장착된 부표(14)는 이러한 전체의 비중을 0.9이하로 하고, 대나무제·목제각재 등과 거의 같은 정도의 부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지금까지 알고 있던 부표와의 병용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수상시설본체(1a)와 이 수상시설본체(1a)에 일단(23)을 연결하고 타단(24)을 지상이나 다른 수상시설에 걸쳐서 놓은 등반다리(18)에 의해 구성되는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종류의 등반다리(18)을 갖춘 수상본체(1a)는 부교(E) 가 일반적이지만, 수상시설본체(1a)로서는 특히 부교(E) 에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일반적인 수상시설 (예를 들면, 위에서 기술한 양식활어조(A),(B)·양식뗏목(C) 등)에 이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더욱이, 수상시설본체(1a)는 원하는 형태로 구성된 합성수지체(2), (3)(도면 2 (a)∼(d))을 임의로 선택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특히 그 설명에 대하여는 생략한다. 위에서 기술한 등반다리(18)는 복수의 세로횡목(19,. .)과 가로횡목(20,. .) 조합하여 뼈대부(22) 윗면에 복수의 상판(21, . .)을 전면에 깔아 전체 긴직사각형으로 구성된다.
그래서, 그 일단(23)을 수상시설본체(1a)의 상단부에 연결함과 동시에, 타단(24)은 호안(P)상에 고정하지 않고 놓는다.
수상시설본체(1a)와 연결구조는 조수의 간만이나 거친 파도, 혹은 선박물결 등에 의한 수면고저변화에 따라 등반다리(18)가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연결되는 구조로, 일단(23) 측에 돌출되어 설치된 부착편(25)과 수상시설본체(1a)위에 설치된 부착편(26)에 걸쳐서 수평방향으로 핀(27)을 삽입시켜 고정(축지)한다.
이 축지부분에 의해 등반다리(18)가 상하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되어, 호안(P)·수상시설본체(1a)의 파손을 방지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실시예)
어패류용 등의 양식활어조의 한 실시예를 도면 1 과 함께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양식활어조(A)는 복수개의 세로횡목(가로대)(4, . .)과 가로횡목(가로대)(5,..)을 브라켓(bracket)(15, . .)에 끼워 연결하여 평면직사각형모양의 주위 골조부(9)를 형성하고, 이 주위 골조부(9)상에 여러 장의 보강판(7, . .)을 끼우고,상판(6,. .)을 전면에 깔아 구성된다.
그래서 위에서 기술한 세로횡목(4)·가로횡목(5)이 로프고정보가 되고, 도면에 표시하지 않은 로프가 수직설치된다.
아래의 상판(6)상은 작업자가 보행할 수 있는 통로가 된다.
더욱이, 도면 중 14 는 부표이고, 주지구조의 적용이 가능하다. 또, 도면에표시한 크기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세로횡목(4)·가로횡목(5)을 연결하여 길게 구성하여 대형으로 만들거나, 다르게 전체모양을 구성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양식활어조(A)를 구성하는 세로횡목(4)·가로횡목(5)·보강판 (7)·상판(6)은 각각 도면 2(1)∼(c)에 기록한 미발포합성수지재 심재(2a)와 발포합성수지재 외통(2b)으로 일체 성형된 합성수지체(2,..)를 이용한다.
더욱이, 상판(6)은 전체 비중이 0.9이하인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합성수지체(3)(예를 들면 도면 2 (d)에 기재한 발포 합성수지체 (3))를 이용해도 좋다.
이러한 미발포합성수지재와 발포합성수지재로 일체 성형된 합성수지체(2)를 이용하게 했기 때문에, 도면 3·4에 표시한 구조의 주지구성의 브라켓(15,16)에 의한 연결구조로 조립할 수 있다. 도면 3 은 교차하는 세로횡목(4)과 가로횡목(5)을 연결하는 브라켓(단장용)(15)이고, 도면 4 는 더욱 인접하여 활어조(A)를 형성하는 경우의 가로횡목(5)을 동시에 연결하는 브라켓(연장용)(16)이다.
(제2실시예)
어패류용 등의 양식활어조에 대하여 다른 실시예를 도면 5 에 기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양식활어조(B)는 복수의 세로횡목(가로대)(4, . )과 가로횡목(가로대)(5, . .)을 조합, 연결(볼트(8)고정)하여 평면직사각형모양의 주위 골조부(10)를 형성하고,
서로 마주보는 세로횡목(4),(4)사이, 가로횡목(5),(5)사이에 각각 통로(13, 13)를 교차상태로 형성한다. 이 통로(13)는 병설하여 (4, 4)(가로횡목(5), 5)에 걸쳐서 건너지른 보강판(7)을 끼우고 상판(6)을 깔아서 구성된다. 그래서, 위의 세로횡목(4)·가로횡목(5)이 로프고정보가 되고, 도면에 표시하지 않은 로프를 늘어뜨려 설치된다. 위의 상판(6)상은 작업자가 보행할 수 있는 통로가 된다.
도면중 14 는 부표이고, 주지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도 도면표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로 그 형상·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본실시예의 양식활어조(B)를 구성하는 세로횡목(4)·가로횡목(5)·보강판(7)·상판(6)에서도 위의 활어조(A)와 같이 각각 도면 2(a)∼(c)에 기록한 미발포합성수지재제 심재(2a) 와 발포합성수지재제 외통(2b)로 일체 성형된 합성수지체(2)를 이용한다. 또한, 상판(6)에서는 전체 비중 0.9 이하인 합성수지재로 구성되는 합성수지체(3) (예를 들면 도면 2(d)에 기록한 발포합성수지체(3))를 이용해도 된다.
이처럼 미발포합성수지재제 심재(2a)와 발포합성수지재제 외통(2b)으로 일체 성형되어 강도면에서 뛰어난 합성수지체(2)를 이용하게 했기 때문에 각 연결부분에 고정한 볼트(8)의 느슨함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도면 2(a),(b),(c)에 표시한 것처럼 미발포합성수지재제 심재(2a)와 발포합성수지재제 외통(2b)으로 일체 성형된 강도면에서 우수한 합성수지체(2)와 함께, 전체가 비중 0.9 이하인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합성수지체(3), 예를 들면 도면 2(d)에 표시한 발포 합성수지체(3)를 각각 임의수 조합시켜 본 실시예의 활어조(B)를 형성할 수 있다.
(제3실시예)
진주양식뗏목의 한 실시예를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양식뗏목(C)은 진주양식용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양식뗏목(C)은 복수의 세로횡목(가로대)(4, .. )와 가로횡목(리프팅 가로대) (5, . .)를 각각 직교상으로 조합시켜 각각 연결위치를 볼트(8)로 고정하여 평면직사각형상태의 골조부(11)를 형성하고, 위에서 기록한 복수의 가로횡목(리프팅 가로대)(5,..)에 걸쳐서 작업차(트럭)용레일(17)을 배치·설치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실시예의 양식뗏목(C)에 의하면 각 가로횡목 (리프팅 가로대) (5, . .)에 진주양식용 조개를 매달아 유지시켜 고정한다.
또한, 도면중 14 는 부표이고, 주지구조의 적용이 가능하다. 또, 본 실시예에서도 도면표시 형상모양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로 그 형상·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양식뗏목(C)을 구성하는 세로횡목(4)·가로횡목(5)·레일(17)에서도 위에서 기록한 활어조(A)와 같이 각각 도면 2 (a)∼(c)에 기록한 미발포합성수지재제 심재(2a)와 발포합성수지재제 외통(2b)으로 일체 성형된 합성수지체(2)를 이용한다. 또한, 강도의 영향이 적은 곳이라면, 전체 비중이 0.9 이하인 합성수지재로 구성되는 합성수지체(3)( 예를 들면 도면 2 (d)에 기록한 발포 합성수지체 (3))를 이용해도 된다.
이처럼 미발포합성수지재제 심재(2a)와 발포합성수지재제 외통(2b)으로 일체성형된 강도가 뛰어난 합성수지체(2)를 이용했기 때문에 본 실시예의 양식뗏목(C)에서도 각 연결부위에 고정한 볼트(8)의 느슨함은 잘 생기지 않는다.
(제4실시예)
낚시용 뗏목의 한 실시예를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낚시용 뗏목(D)은 뗏목 위에 올라 낚시를 즐기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낚시용 뗏목(D)은 복수의 세로횡목(가로대)(4,. .)과 가로횡목(가로대)(5 ,..)을 각각 직교하여 조합시켜 각각의 연결부를 볼트(8) 고정하여 평면직사각형상태의 골조부(12)를 형성하고, 해당 골조부(12) 상에 상판(6, . .)을 깔아 바닥면이 형성되고 있다. 도면중 T 는 비닐 시트제의 변소이다. 도면중 14 는 부표이고, 주지구조의 적용이 가능하다.
또, 본 실시예에서도 도면의 모양에 한정하지 않고 임의로 그 형상·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낚시 뗏목(D)를 구성하는 세로횡목(4)·가로횡목(5)·상판(6)에서도 위에서 기술한 활어조(A)와 같이 각각 도면 2 (a)∼(c)에 기술한 미발포수지재제 심재(2a)와 발포합성수지재제 외통(2b)으로 일체성형된 합성수지체(2)를 이용한다. 더욱이 강도의 영향이 적은 곳이라면, 전체 비중 0.9이하인 합성수지재로 구성되는 합성수지체(3) (예를 들면 도면 2(d)에 기술한 발포 합성수지체(3))를 이용해도 좋다.
이처럼 미발포합성수지재제 심재(2a)와 발포합성수지재제 외통(2b)으로 일체 성형되어 강도면에서 우수한 합성수지체(2)를 이용했기 때문에, 본 실시예의 양식뗏목(C)에서도 각 연결장소에 고정한 볼트(8)의 느슨함은 생기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의 낚시 뗏목(D)은 상판(6)을 전면에 깔고 바닥면을 형성하고 있어, 전체 비중 0.9 이하인 합성수지재로 구성되는 합성수지체(3) (예를 들면,도면 2 (d)에 기술한 발포 합성수지체(3))만을 이용하여 세로횡목(4)·가로횡목(5)·상판(6)으로 할 수도 있다.
(제5실시예)
부교의 한 실시예를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부교(E)는 잔교본체(수상시설본체)(1a)와 이 잔교본체(1a)에
일단(23)을 연결하고 타단(24)을 지상에 걸친 등반다리(18)로 구성된다.
그리고, 등반다리(18)는 다른 수상시설에 걸쳐져도 좋고, 그 사용상태가 특별히 한정된 것은 아니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도면 표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로 그 형상·크기를 변형할 수 있다.
잔교 본체(1a)는 위의 낚시뗏목(D)과 같은 구조로 하고, 특별히 그 설명은 생략한다.
단, 등반다리(18)를 연결하는 아래쪽의 세로횡목(가로대)(4a,4b)의 안, 제일 끝의 세로횡목(4a)은 등반다리부(18)의 연결된 곳을 끼워 강한 힘이 가해지기 때문에 미발포합성수지재제 심재(2a)와 발포합성수지재제 외통(2b)으로 일체 성형되어 강도면에서 우수한 합성수지체(2)를 이용하게 한다.
더욱이, 이 세로횡목(4a)과 인접하는 세로횡목(4b)은 위의 미발포합성수지재제 심재(2a)와 발포합성수지재제 외통(2b)으로 일체 성형되어 강도면에서 우수한 합성수지체(2)(예를 들면 도면 2(a),(b),(c))를 맞추어 사용한 쪽이 강도면에서 우수하지만, 이 세로횡목(4b)에 있어서는 전체 비중 0.9이하인 합성수지재로 구성하는 합성수지체(3) (예를 들면 도면 2 (d)에 기술한 발포 합성수지체(3))을 이용해도 지장은 없다.
위의 등반다리(18)는 복수의 세로횡목(4, . )와 가로횡목(5,. .)를 조합하여 골조부(12)를 구성하고, 이 골조부(12) 상면에 여러 장의 상판(6, . .)을 깔아 전체 긴 직사각형으로 형성된다.
그래서, 그 일단(23)을 수상시설본체(1a)의 상단부에 연결함과 동시에, 타단(24) 측은 호안(P)상에 고정하지 않고 걸친다.
수상시설본체(1a)와의 연결구조는 조수의 간만이나 거친 파도, 선박물결 등에 의한 수면 고저변화에 따라 등반다리부(18)가 상하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조로, 일단(23)측에 돌출되어 설치한 고정편(25)과 수상시설본체(1a) 상에 설치한 고정편(26)에 걸쳐서 수평방향으로 핀(27)을 삽입고정(축지)한다.
이 축지부분에 의해 조수의 간만이나 거친 파도, 혹은 선박물결 등에 의한 수면고저변화에 따라 등반다리부가 상하회동(도면 9, 도면 10참조)하여 호안(P)·수상시설본체(1a)의 파손을 방지한다.
도면 중 28 은 한쪽 끝에 설치되는 앵커(anchor)이고, 또한, 29 는 다른 끝(24) 측 하부에 설치되어 호안(P)상에 접하는 보강재이다. 이 보강재(29)는 위에서 기술한 합성수지체(2),(3) (도면 2 (a)∼(d))을 임의로 선택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은 위에서 기술한 것과 같은 구성을 가지기 때문에 강도의 향상을 도모하면서도 전체로써 비중을 가볍게 한 연결 볼트의 느슨함 및 세로횡목·가로횡목 등의 휨 등이 없는 합성수지체를 조합한 각종 수상시설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또한, 수상시설의 보수관리의 향상뿐 아니라, 안전면의 향상도 도모할 수 있으며, 수용자 요구에 충분하고 정확하게 대응할 수 있으며 강도의 향상을 도모함으로써 휨의 문제도 해소되었기 때문에, 각 연결부에 U자형의 볼트나 버팀목 등 여러 개의 금속을 이용하여 단단하게 각 볼트 고정부를 보강하는 번거로운 작업도 불필요하게 되었다.
더우기, 등반다리를 설치한 수상시설에서 내구성·안전성의 향상 및 호안 등의 보호를 도모할 수 있게 되었다.

Claims (7)

  1. 복수의 합성수지체를 임의 개수 조합하여 형성되는 합성수지체로서 합성수지제심재와 이 심재외주를 둘러싼 합성수지제 외피부로 구성되고, 상기 심재나 외피부 중 어느 하나는 비중이 0.9이상인 합성수지재이고, 다른 하나는 비중이 0.9이하인 합성수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체를 이용한 수상시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중 0.9이상인 합성수지재가 미발포 합성수지재이고, 상기 비중0.9이하인 합성수지재가 발포 합성수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체를 이용한 수상시설.
  3. 제 1 항 내지 제 2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심재 혹은 외피부의 어느 하나는 비중 0.9이상인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고, 다른 하나는 비중이 0.9이하인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합성수지체를 각각 임의수 조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체를 이용한 수상시설.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시설본체는 상기 수상시설본체에 일단을 연결하고, 타단은 지상이나 다른 수상시설에 걸친 구름다리로 구성되고, 상기 수상시설본체에 연결되는 잔교의 일단이 간만이나 거친 파도에 의한 수면의 고저변화에 따라 물위에서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체를 이용한 수상시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시설이나 수상시설본체가 양식활어조, 양식뗏목, 낚시뗏목, 또는 부교 중 하나의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체를 이용한 수상시설.
  6. 복수의 합성수지체를 세로방향과 가로방향으로 복수 조합하여, 전체 비중이 0.5∼0.9가 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체를 이용한 수상시설.
  7. 세로방향과 가로방향의 길이를 달리 하는 복수의 합성수지체를 조합함과 동시에, 각각의 교차부분에 고정판을 끼워 볼트고정하여, 전체 비중이 0.5∼0.9가 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체를 이용한 수상시설.
KR1019990019951A 1999-06-01 1999-06-01 합성수지체를 이용한 수상시설 KR1003067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9951A KR100306774B1 (ko) 1999-06-01 1999-06-01 합성수지체를 이용한 수상시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9951A KR100306774B1 (ko) 1999-06-01 1999-06-01 합성수지체를 이용한 수상시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8534A KR19990068534A (ko) 1999-09-06
KR100306774B1 true KR100306774B1 (ko) 2001-09-24

Family

ID=37530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9951A KR100306774B1 (ko) 1999-06-01 1999-06-01 합성수지체를 이용한 수상시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67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98540A (zh) * 2015-12-21 2016-03-16 李宏江 炸不沉的航母舰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6566B1 (ko) * 2009-11-17 2012-06-20 (주)대동산업 부교
KR20100003066U (ko) * 2010-02-17 2010-03-17 유한회사 주하나 다목적으로 사용되는 어촌계용 부잔교
KR101441569B1 (ko) * 2014-03-14 2014-09-17 김창운 파시 형성을 위한 해상구조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98540A (zh) * 2015-12-21 2016-03-16 李宏江 炸不沉的航母舰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8534A (ko) 1999-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2359Y1 (ko) 고밀도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부력관을 부력제로 이용한부잔교
CA2407139C (en) Temporary floatation stabilization device and method
US9206570B2 (en) Floating marine dock and connection system therefor
US4979453A (en) Floating dock system
US7390141B2 (en) Wave-attenuating system
US8091500B2 (en) Over-the-water dock
KR101701400B1 (ko) 해상용 가두리 양식장
US3580202A (en) Floating wharf structure
KR101894631B1 (ko) 알루미늄 부표가 설치된 알루미늄 해상 구조물
CN113226916A (zh) 海上结构物用浮体
EP0991566A1 (en) Deep draft semi-submersible offshore structure
JP4922576B2 (ja) 浮体構造物
KR100306774B1 (ko) 합성수지체를 이용한 수상시설
US4867093A (en) Pontoon
KR200429685Y1 (ko) 조립식 부교
CN104760670A (zh) 能够快速搭建的低造价固定式人工漂浮岛
KR101016382B1 (ko) 작업선의 조립식 선체구조
KR102253127B1 (ko) 다기능 부유체
KR20090017001A (ko) 조립식 도크의 연결장치
JP2000344182A (ja) 合成樹脂体を利用した水上施設
CN100420641C (zh) 一种潜浮组合模块人工浮床装置
JP3115285B2 (ja) 合成樹脂体を利用した水上施設
JP3063487U (ja) 合成樹脂体を利用した水上施設
DE2647935C3 (de) Hafen aus einzelnen schwimmenden sich gegenseitig abstützenden Pontons
KR200165118Y1 (ko) 다목적의 조립식 부력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8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