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1569B1 - 파시 형성을 위한 해상구조물 - Google Patents

파시 형성을 위한 해상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1569B1
KR101441569B1 KR1020140030412A KR20140030412A KR101441569B1 KR 101441569 B1 KR101441569 B1 KR 101441569B1 KR 1020140030412 A KR1020140030412 A KR 1020140030412A KR 20140030412 A KR20140030412 A KR 20140030412A KR 101441569 B1 KR101441569 B1 KR 1014415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pants
floating body
rotary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0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운
박금주
Original Assignee
김창운
박금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운, 박금주 filed Critical 김창운
Priority to KR1020140030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15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1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15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4Pontoons
    • B63B35/38Rigidly-interconnected ponto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28Barges or ligh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20Joining substantially rigid elements together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telescoping joints, elastic expansion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 B63B2221/22Joining substantially rigid elements together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telescoping joints, elastic expansion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angular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40Synthetic materials
    • B63B2231/42Elastomeric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상에서 열리는 어시장의 일종인 파시를 안정적이면서 전통적인 분위기로 형성할 수 있도록 해서, 해안지역에서의 파시 형성을 유도하고, 더 나아가 파시의 활성화를 통해 해안지방의 경제성장을 실현할 수 있는 파시 형성을 위한 해상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빔이 격자 형태로 고정된 뼈대와, 상기 빔에 고정되는 부력부재와, 상기 뼈대에 안착되는 상판을 갖춘 바지가; 링커를 매개로 서로 연결되어 수면에 부상하도록 되되, 상기 바지에 일단이 위치하고 타단이 지상에 위치하는 다리를 구비한 부상체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파시 형성을 위한 해상구조물{OCEAN STRUCTURE FOR FLOATING MARKET}
본 발명은 해상에서 열리는 어시장의 일종인 파시를 안정적이면서 전통적인 분위기로 형성할 수 있도록 해서, 해안지역에서의 파시 형성을 유도하고, 더 나아가 파시의 활성화를 통해 해안지방의 경제성장을 실현할 수 있는 파시 형성을 위한 해상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파시(波市)의 원뜻은 풍어기에 열리는 생선시장을 의미한다. 풍어기에는 어장(漁場)에서 어선과 상선 사이에 어획물의 직접 매매가 이루어지는데, 이때 거래가 이루어지던 지역(바다)을 파시라 하였다.
원래 파시는 해상에서 어선 및 어선, 어선 및 상선 간에 거래로부터 시작했는데, 점차 특정 지역에서의 파시 규모가 커짐에 따라 선원 및 상인 등을 상대로 한 음식점, 숙박시설, 위락시설, 점포, 선구상(船具商) 등이 육지에 더불어 생겨났고, 이로 인해서 어장 근처의 육지에서도 어획물 거래가 자연스럽게 확산하였다. 따라서, 파시의 성업 이후에는 파시라고 하면 흔히 해상 또는 육지의 파시를 떠올리게 되었다.
파시는 풍어기의 어장을 따라 생성, 소멸을 거듭해 왔는데, 운송 및 물류기술이 발달하고, 회유성 어류의 무분별한 남획과, 어업 기술의 발달로 중간 기항지가 필요 없게 되면서 현재에는 파시의 성업이 거의 자취를 감추었고, 극히 일부 섬 지역에서만 과거 파시의 옛모습을 찾아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어족은 해류를 따라 회유(回遊)하는 습성이 있으므로, 어류는 거의 정해진 어기(漁期)에 정해진 어장에서 잡히게 마련이다. 서해의 조기는 해류를 따라 북상하면서 3∼4월에는 전라북도 위도(蝟島)에서, 4∼5월에는 황해도 연평도(延坪島) 근해에서 잡혀 크게 파시를 이루었고, 동해의 오징어는 난류를 따라 북상하면서 2∼6월에 울릉도, 영덕군(盈德郡) 축산(丑山) 등지의 근해에서 성어기가 찾아와 파시가 크게 열렸다.
이 밖에도 흑산도(黑山島)의 조기 파시, 거문도(巨文島) 및 청산도(靑山島)의 고등어 파시, 추자도(楸子島)의 멸치 파시 등은 유명했다. 성어기가 되면 외부의 어선들이 파시 지역 인근에 수백에서 수천 척씩 몰려들어 성시를 이루었고, 상기 파시 지역은 일시적인 어업 전진기지화되면서 수만 명의 선원들이 집중되는 지역적 호황을 누렸다.
하지만,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교통 및 물류에 대한 기술이 발전하면서 어류의 매매는 해당 어장이 아닌 각 지역의 거래시장에서 이루어졌고, 어류를 구매하는 소비자는 상기 어장이 아닌 인근 거래시장으로 발길을 돌렸다. 결국 파시의 성업과 더불어 활성화된 지역 사업은 소비자의 방문 수 감소와 더불어서 급격히 하락하는 문제가 있었고, 소비자 또한 파시에서 느낄 수 있었던 유쾌함과 신선함을 더 이상 느끼지 못했다.
아울러, 불균형한 지역발전을 통해서 국가적으로는 이익창출이 줄어드는 문제 또한 발생했다.
선행기술문헌 1. 공개특허공보 제10-1999-0068534호(1999.09.06 공개)
선행기술문헌 2.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97243호(2002.12.11 공고)
선행기술문헌 3.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23778호(2008.03.17 공개)
선행기술문헌 4. 중국 공개특허공보 CN 101380993 A(2009.03.11 공개)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해수의 너울과 일정 높이의 파도에도 흔들림이나 불안정성을 최소화해서 일반인이 느끼는 거부감과 불안감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어선에 직접 승선하지 않은 일반인도 선원이 되어서 예전 파시에서의 상거래 경험을 실감할 수 있도록 하는 파시 형성을 위한 해상구조물의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수의 빔이 격자 형태로 고정된 뼈대와, 상기 빔에 고정되는 부력부재와, 상기 뼈대에 안착되는 상판을 갖춘 바지가; 링커를 매개로 서로 연결되어 수면에 부상하도록 되되, 상기 바지에 일단이 위치하고 타단이 지상에 위치하는 다리를 구비한 부상체
를 포함하는 파시 형성을 위한 해상구조물이다.
상기의 본 발명은, 바지를 연결해 제작한 해상구조물을 통해서 해상에 직접 파시를 개장할 수 있고, 상거래자 등의 일반인은 선박에서 이루어지는 파시의 느낌을 안정적으로 실감하며 즐길 수 있으므로, 파시를 대중화시키는데 획기적인 효과가 있다.
또한, 점차 사라져가는 파시를 알려서 사람들의 지역 방문을 유도할 수 있고, 이를 통해서 지역경제와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해상구조물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해상구조물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일부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해상구조물의 바지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링커의 실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부상체의 다른 실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덮개의 동작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일부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부상체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부상체의 또 다른 실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폐물이송장치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바다의 황금시대 파시(강제윤 작가, 한겨레 출판)"에서 보여준 바와 같이, 파시(波市)는 고기잡이철에 어류를 거래하기 위해 열리던 해상 시장이었다. 『세종실록지리지』에 영광 '파시평'이 등장하고, 이중환의 『택리지』에서도 기록을 확인할 수 있을 정도로 그 역사는 길다. 파시는 보통 한두 달 정도 계속되었다. 섬마을에 파시가 서면 수백, 수천 척의 어선과 상선이 드나들고, 작고 한가롭던 섬은 수천, 수만 명의 사람들로 흥청거렸다. 짧은 시간, 작은 공간에서 온갖 인간사가 파노라마처럼 펼쳐졌다. 서해안 3대 파시로 유명한 흑산도, 위도, 연평도 파시 외에도 성어기가 되면 전국 각지의 섬과 포구에 파시가 형성됐다. 불과 30~40년 전까지만 해도 그랬다.
본 발명에 따른 해상구조물은 과거의 파시를 재현하면서도 현대에 맞게 획기적으로 발명한 구조물로서, 일반 소비자도 선박 없이 해상에서 어류 매매를 경험할 수 있도록 안정성이 있고, 소비자가 승선한 느낌을 체감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이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해상구조물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해상구조물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일부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해상구조물의 바지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해상구조물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해상에 파시(波市)를 개장할 수 있도록 육지와 연결한 구조물로서, 상거래자들은 지상에서 상기 해상구조물로 손쉽게 출입할 수 있고, 선상의 느낌과 육지의 안정감을 동시에 느낄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해상구조물은 다수의 바지(barge; 110)를 서로 연결해서 다수의 상거래자를 동시에 수용하는 대면적의 부상체(100)를 포함하고, 파도 등과 같이 부상체(100)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해상의 너울을 차단하는 축제(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부상체(100)는 다수의 바지(110)를 서로 연결해서 다수의 상거래자를 수용하고, 바지(110)는 링커(120)를 매개로 단단히 연결된다. 또한, 육지와 부상체(100)를 연결해서 상거래자들이 통행할 수 있도록 하는 다리(130)가 더 보강된다.
부상체(100)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부상체(100)는 해상에서 서로 연결되는 다수의 바지(110, 110')와, 서로 이웃하는 바지(110, 110')를 연결하는 링커(1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지(110, 110')는 평평한 상면을 갖추고 해수면에 부상할 수 있는 구조라면 기존 바지의 구조는 모두 적용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바지(110, 110')의 저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강도가 우수한 빔(beam; 111a)이 서로 연결돼 이루어진 뼈대(111)와, 빔(111a)을 따라 연결되어서 바지(110, 110')가 해면에 부상하도록 하는 부력부재(112)와, 뼈대(111)를 덮는 평판 형태의 상판(113)으로 구성된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바지(110, 110')의 실시 예에서는 상판(113) 아래에 일정한 체적의 공간이 형성되어서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뼈대(111)는 휨에 대한 저항 강도가 우수한 'I' 형상의 단면을 갖는 빔(111a)으로 구성될 수 있고, 도시한 바와 같이 격자 형태를 이루도록 빔(111a)을 서로 연결해서, 바지(110, 110') 전체가 견고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뼈대(111)는 상판(113) 곳곳을 지지하므로, 상판(113)이 상거래자들의 하중을 변형 없이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상거래자들의 통행이 유리하도록 상판(113)이 평평한 상면을 유지하게 한다.
빔(111a)은 도시한 바와 같이 브래킷과 볼트 또는 핀 등의 체결부재를 매개로 서로 체결될 수도 있고, 용접 등을 통해서 일체로 연결될 수도 있다.
부력부재(112)는 빔(111a)을 따라 고정되어서 뼈대(111)가 해상에 위치할 수 있게 하는데,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빔(111a)에 다수 개의 부력부재(112)가 고정된 구조를 이룰 수도 있고, 하나의 빔(111a)에 대형 부력부재(미도시함) 1개만이 고정된 구조를 이룰 수도 있다. 부력부재(112)는 접착수단(112a) 등을 매개로 빔(111a)에 고정될 수도 있고, 브래킷 등과 같은 별도의 체결부재를 매개로 고정될 수도 있다.
상판(113)은 뼈대(111)에 얹혀져 고정되는 평판으로서, 하중에 대한 휨을 최소화하기 위한 재질과 구조를 이룰 수 있고, 배수를 위해서 위치별로 투수공(미도시함)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판(113)은 금속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목재를 서로 연결해서 하나의 판 형태로 제작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상체(100)는 육지와의 연결을 위한 다리(130, 130')를 더 포함한다. 다리(130, 130')는 상거래자들이 별도의 선박 없이도 육지와 부상체(100)를 통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일단이 육지에 고정 설치되고 타단이 부상체(100) 상면에 안착되는 발판(131)과, 발판(131)의 타단이 부상체(100)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잡는 스토퍼(132)를 포함한다.
발판(131)의 일단은 육지에 고정 설치되되, 너울에 의해서 상하로 이동하는 부상체(100)를 고려해서 회동 가능한 구조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발판(131)의 타단은 부상체(100)에 탈착 가능하도록 되므로, 발판(131)의 좌우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서 스토퍼(132)는 바지(110, 110')에서 발판(131)의 타단 측면을 감싸도록 돌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발판(131)의 일단은 육지에 고정 설치되고, 타단은 부상체(100)에 위치하는 것으로 했으나, 이와 반대로 발판(131)의 일단은 육지에 위치하고, 타단은 부상체(100)에 고정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발판(131)의 양단이 모두 육지와 부상체(100)에 각각 고정 설치될 수도 있다.
축제(200)는 도 1에서 보인 바와 같이 부상체(100)의 둘레 일부를 감싸도록 배치되어서, 해상의 너울이 부상체(100)에 주는 영향을 최소화한다. 이를 위해서 축제(200)는 콘크리트 등으로 제작될 수 있고, 해저면(S)으로부터 입설되어서 파도가 부상체(100)에 영향을 주지 않는 최소한의 높이로 해면에 돌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해상구조물은 도 1에서 보인 바와 같이, 축제(200)가 부상체(100)의 전방을 감싸도록 하고, 측방은 개방되어서 부상체(100)의 주변으로 어류가 원활하게 출입할 수 있는 통로(W)를 형성시킨다. 또한, 축제(200)의 해저부분에는 관통구 형상의 출입구멍(210)이 형성되어서, 출입구멍(210)을 통해서도 어류의 원활한 출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해상구조물은 어류가 축제(200)와 육지 사이에 위치한 부상체(100) 인근으로 손쉽게 접근할 수 있고, 이를 통해서 상거래자들은 부상체(100) 위에서 바다에 있는 각종 어패류들을 손쉽게 접할 수 있다. 참고로, 상거래자들은 어류들을 위한 각종 먹이를 부상체(100)에서 직접 제공해서, 어류들이 부상체(100) 인근으로 모이도록 유도할 수 있다.
한편, 축제(200)는 해상에 노출된 부분에 투명 창(미도시함)을 설치해서, 부상체(100)에 있는 상거래자가 축제(200) 너머의 바다를 시각적으로 즐기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축제(200)는 바다의 너울을 물리적으로 저지해서 부상체(100)가 상기 너울에 의해 요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거래자들이 부상체(100) 위에서 안정한 느낌으로 상거래를 진행할 수 있게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링커의 실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부상체(100)는 다수의 바지(110, 110')가 링커(120a, 120b, 120c)를 매개로 연결된다. 여기서, 링커(120a, 120b, 120c)는 바지(110, 110')를 서로 단단히 연결하면서도 손쉬운 분해가 가능하며, 이웃하는 바지(110, 110') 간의 독립된 움직임이 어느 정도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링커(120a, 120b, 120c)는 다음과 같은 구조가 예시될 수 있다.
도 4(a)에서 보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링커(120a)는 'U' 형상의 폐고리(121)와, 폐고리(121)에 걸리는 갈고리(122)로 구성된다. 여기서 폐고리(121)는 상하로 관통하는 구조를 이루고, 갈고리(122)는 폐고리(121)를 위에서 거는 'ㄱ' 형상이거나 아래에서 거는 'ㄴ' 형상일 수 있다. 결국, 폐고리(121)가 고정된 바지(110)와 갈고리(122)가 고정된 바지(110')는 상호 간의 연결과 분해가 손쉽고 안정된 고정을 유지할 수 있다.
도 4(b)에서 보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링커(120b)는 바지(110, 110') 모두에 'U' 형상의 폐고리(121, 121')가 고정되고, 서로 겹쳐진 폐고리(121, 121')에 막대 형상의 연결대(123)를 삽입해서 폐고리(121, 121')가 서로 연결되도록 한다. 여기서, 연결대(123)는 폐고리(121, 121')와의 결속을 위해서 상,하단이 확장된 플랜지 타입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c)에서 보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링커(120c)는 관통공이 형성된 제1,2연결브래킷(124, 124')이 바지(110, 110')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관통공으로는 연결대(123')가 삽입되어 제1,2연결브래킷(124, 124')을 고정한다. 여기서, 제1,2연결브래킷(124, 124')은 상기 관통공이 측방향을 향하도록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고, 이를 통해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제1,2연결브래킷(124, 124')에 해당 연결대(123')가 개별적으로 끼워질 수도 있고(도면 참고), 막대형상을 한 1개의 연결대가 다수의 제1,2연결브래킷(124, 124')을 일시에 관통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링커(120a, 120b, 120c)는 서로 이웃하는 바지(110, 110')를 서로 연결하면서도, 바지(110, 110') 간의 독립된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부상체의 다른 실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덮개의 동작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일부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부상체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부상체(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다수의 바지(110, 110')가 링커(120)를 매개로 연결되며 일체를 이룬다. 여기서, 링커(120)를 매개로 서로 연결된 바지(110, 110') 사이에는 도시한 바와 같이 이격공간(D)이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이격공간(D)은 부상체(100') 곳곳에 위치하면서 해면을 부상체(100') 상방으로 노출시킨다. 그런데, 이렇게 노출된 이격공간(D)으로 상거래자들이 각종 쓰레기를 무단 투기할 수 있고, 상거래자가 이동 중에 발이 걸려 넘어지거나 부상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부상체(100')는 이격공간(D)의 상면을 덮는 덮개(140)를 더 포함한다.
덮개(140)는 해수 등의 출입이 원활하면서도 상거래자가 밟고 지나갈 수 있도록 망 형태를 이룬다. 또한, 도 6에서 보인 바와 같이, 덮개(140)가 힌지(141)를 매개로 바지(110)에 여닫히도록 설치되어서, 상거래자가 바다에 버릴 수 있는 어패류 등을 이격공간(D) 사이로 투기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1개의 덮개(140)가 바지(110, 110') 간에 형성되는 이격공간(D) 전체를 덮도록 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다수 개의 덮개(140)가 이격공간(D)을 부분적으로 덮도록 할 수도 있다.
계속해서, 본 발명에 따른 부상체(100')는 이웃하는 바지(110, 110')가 너울에 의해서 서로 회동하게 됨을 최소화하도록, 이웃하는 바지(110, 110')를 일체로 연결하는 보강 보(150)를 더 포함한다.
보강 보(150)는 도 7에서 보인 바와 같이, 양단부가 서로 이웃하는 바지(110, 110')에 각각 고정되어서, 서로 이웃하는 바지(110, 110')의 회동을 제한시킨다. 한편, 보강 보(150)는 바지(110, 110')의 빔(111a')에 형성된 관 형태의 고정대(151)에 삽탈가능한 구조로 되어서, 필요에 따라 보강 보(150)를 탈부착할 수 있다. 또한 바지(110, 110')의 위치 등에 따라 보강되는 보강 보(150)의 개수도 조정할 수도 있다.
결국, 보강 보(150)를 포함한 부상체(100')는 다수의 바지(110, 110')가 일체적인 구조를 이루고, 이를 통해서 너울에 대한 요동이 줄어들어서, 상거래자들이 부담없이 부상체(100')에 올라서 파시의 즐거움을 느낄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부상체의 또 다른 실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폐물이송장치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부상체(100")는 파시 형성을 위해서 해상에 인공적으로 형성시킨 구조물이고, 다수의 상거래자가 출입하는 장소이기도 하므로, 바다를 오염시킬 수 있는 수많은 폐기물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거래자로부터 발생하는 폐기물이 바다에 무단으로 투기되는 일이 없도록 폐기물을 수집해서 처리하기 위한 쓰레기통이 부상체(100") 곳곳에 설치되어야 한다. 그런데, 수용량에 한계가 있는 쓰레기통은 관리자가 자주 청소해줘야 함에도 불구하고, 해당 관리가 잘 이루어지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물론, 각종 폐기물로 가득 찬 쓰레기통은 악취를 일으키고, 상거래자들이 자신의 폐기물을 쓰레기통에 버리지 못하면서 바다로 무단 투기하게 되어서 심각한 오염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해상구조물의 부상체(100")는 폐물이송장치(300)가 구성된다.
폐물이송장치(300)는 임의의 바지(110")에 설치되는 수거함(310)과, 일단이 수거함(310)에 연결되는 연결관(320)과, 바지(110")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이송관(330)과, 바지(110")와 이웃하는 다른 바지(110, 110') 또는 육지에 각각 설치되는 제2,3이송관(340, 350)과, 육지에 설치되어서 제1,2,3이송관(330, 340, 350)으로부터 이송된 폐기물을 수집하는 수집부(360)를 포함하고, 제1,2,3이송관(330, 340, 350)의 연결부를 감싸서 밀폐하는 밴드(3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거함(310)은 도시한 바와 같이 하방으로 개구된 통 형상을 이루어서, 부상체(100")의 상거래자가 자신의 폐기물을 버릴 수 있도록 된다. 수거함(310) 설치를 위해서 바지(110")의 상판(113')은 일부분을 천공해야 하는데, 수거함(310)을 상판(113')의 측방에 설치한다면 상판(113')을 천공하지 않고도 상하로 개구해야 하는 수거함(310)을 설치할 수 있다.
연결관(320)은 수거함(310)의 하단과 제1이송관(330)을 서로 연결해서, 수거함(310)에 투기된 폐기물이 제1이송관(330)으로 유입될 수 있게 한다. 이때, 연결관(320)은 경사지게 배치되어서, 폐기물의 자중만으로도 제1이송관(330)으로 유입될 수 있게 한다.
제1이송관(330)은 내면에 나선홈(331a)이 형성되고 뼈대(111)에 고정된 제1가이드관(332)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회전관(331)과, 뼈대(111)에 고정되어서 제1회전관(331)의 배관을 안내하는 제1가이드관(332)으로 구성된다. 제1회전관(331)은 외력을 받아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는데, 내면에 나선홈(331a)이 형성되므로 제1이송관(330)으로 유입된 폐기물은 상기 회전으로 인해서 나선홈(331a)을 따라 강제 이송된다.
제1회전관(331)은 뼈대(111)에 고정된 제1가이드관(332)에 삽입되어서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데, 제1가이드관(332)에는 베어링 등이 구성되어서 제1회전관(331)이 저항 없이 원활히 회전할 수 있다. 참고로, 연결관(320)은 제1가이드관(332)과 직접 연결되어서, 제1회전관(331)의 회전에 간섭을 주지 않는다.
수거함(310)을 갖춘 바지(110") 내 제1이송관(330)은 이웃하는 다른 바지(110, 110')의 제2이송관(340) 또는 육지의 제3이송관(350)과 연결된다. 여기서, 제2이송관(340)은 바지(110, 110')의 뼈대에 설치되는 제2가이드관(342)과, 제2가이드관(342)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제2회전관(341)을 포함한다. 또한, 제3이송관(350)은 육지에 설치되는 제3가이드관(352)과, 제3가이드관(352)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제3회전관(351)을 포함한다.
제2,3이송관(340, 350)의 기본 구조와 동작 방식은 제1이송관(330)과 동일하므로, 기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폐물이송장치(300)는 제1회전관(331)과 제2회전관(341), 또는 제1회전관(331)과 제3회전관(361), 또는 제2회전관(341)과 제3회전관(351)은 서로 연통해야 함은 물론 물리적으로도 서로 연동해야 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1,2,3회전관(331, 341, 351)은 회전을 통해서 폐기물을 이송하므로, 제1,2,3회전관(331, 341, 351)이 회전력을 가져야 한다. 그런데, 상기 회전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부상체(100")에 모터 등의 구동수단을 직접 설치해야 한다. 하지만, 상기 구동수단은 전기장치일 수 있고, 해수에서 안정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방수처리를 해야 하므로, 폐물이송장치(300)를 구축하는데 적지않은 비용이 소요된다. 하지만, 제1,2,3회전관(331, 341, 351)의 회전력은 육지에 있는 수집부(360)의 구동수단(361)이 전담하고, 구동수단(361)의 회전력은 일렬로 연결된 제1,2,3회전관(331, 341, 351)에 순차로 전달되므로, 부상체(100, 100', 100")에 직접 별도의 구동수단을 설치하지 않아도 부상체(100")에 설치된 제1,2회전관(331, 341)과 육지에 설치된 제3회전관(351) 모두가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제1,2,3회전관(331, 341, 351)의 단부에는 서로 맞물리는 요철(331b, 341b, 351b)이 형성되어서, 이를 매개로 회전력을 전달시킨다.
한편, 제1,2,3회전관(331, 341, 351)은 서로 분리된 바지(110, 110', 110")에 독립하게 설치되므로, 너울에 의한 바지(110, 110', 110")의 이동을 따라서 제1,2,3회전관(331, 341, 351) 역시 독립된 움직임을 보이게 된다. 따라서 제1,2,3회전관(331, 341, 351)의 움직임 시 간섭을 최소화하고 요철(331b, 341b, 351b)의 요부와 철부의 삽탈 시 걸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요철(331b, 341b, 351b)의 형태를 테이퍼진 뿔 형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제1회전관(331)의 일단은 연결관(320)과 연통하므로 요철(331b)이 반드시 형성되어야 할 필요가 없고 다른 제2,3회전관(341, 351)과 연결되는 타단은 요철(331b)이 형성되어야 한다. 그리고, 제2회전관(341)의 양단은 제1회전관(331)과 제3회전관(351)이 각각 연결되므로, 양단 모두에 요철(341b)이 형성되어야 한다. 그리고, 제3회전관(351)의 일단은 제1,2회전관(331, 341)과 연결되고 타단은 수집부(360)와 연결되므로, 일단에만 요철(351b)이 형성되어야 한다. 하지만, 제1,2,3회전관(331, 341, 351)의 양단 모두에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으므로, 전술한 실시 예로 제1,2,3회전관(331, 341, 351)의 형태를 한정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계속해서, 제1,2,3회전관(331, 341, 351)이 마주하는 단부는 탄성 재질의 관 형상을 한 밴드(370)로 밀폐시켜서, 제1,2,3회전관(331, 341, 351) 간의 움직임 중에도 폐기물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탄성 재질이므로 제1,2,3회전관(331, 341, 351)의 독립된 움직임에 간섭을 주지 않도록 한다.
수집부(360)는 육지에 설치되어서, 부상체(100")로부터 이송된 폐기물을 수집해 처리한다. 이를 위한 수집부(360)는 제3이송관(350)에 최초 회전력을 가하는 구동수단(361)과, 제3이송관(350)을 통해 유입된 폐기물을 수집하는 수집통(362)을 포함한다.
구동수단(361)은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장치라면 무엇이든지 가능하다. 계속해서, 구동수단(361)은 기어 또는 벨트 등을 매개로 제3이송관(350)의 제3회전관(351)에 회전력을 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임의의 바지(110")에 구성된 수거함(310)의 폐기물은 제1,2,3이송관(330, 340, 350)을 통해 수집부(360)로 이송되고, 이렇게 이송된 폐기물은 수집통(362)에 수집되어 실시간으로 폐기 처리된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해 설명했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100', 100"; 부상체 110, 110', 110"; 바지
111; 뼈대 111a; 빔 112; 부력부재
113, 113'; 상판 120, 120a, 120b, 120c; 링커
130, 130'; 다리 131; 발판 132; 스토퍼
140; 덮개 141; 힌지 150; 보강 보
151; 고정관 200; 축제 210; 출입구멍
300; 폐물이송장치 310; 수거함 320; 연결관
330; 제1이송관 331; 제1회전관
340; 제2이송관 341; 제2회전관 350; 제3이송관
351; 제3회전관 331b, 341b, 351b; 요철 360; 수집부
361; 구동수단 362; 수집통 D; 이공공간
S; 해저면 W; 통로

Claims (7)

  1. 다수의 빔이 격자 형태로 고정된 뼈대와, 상기 빔에 고정되는 부력부재와, 상기 뼈대에 안착되는 상판을 갖춘 바지가; 링커를 매개로 서로 연결되어 수면에 부상하도록 되되, 상기 바지에 일단이 위치하고 타단이 지상에 위치하는 다리를 구비한 부상체를 포함하는 파시 형성을 위한 해상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바지에 상하로 관통하게 형성된 수거함;
    상기 수거함의 하단에 연결되는 연결관;
    상기 바지에 고정되고 상기 연결관과 연결되는 제1가이드관과, 상기 제1가이드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내면에 나선홈이 형성되며 단부에 테이퍼진 형태의 요철이 형성된 제1회전관을 구비한 제1이송관;
    상기 바지와 이웃하는 바지에 고정되는 제2가이드관과, 상기 제2가이드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내면에 나선홈이 형성되며 단부에 상기 제1회전관의 요철과 맞물리는 테이퍼진 형태의 요철이 형성된 제2회전관을 구비한 제2이송관;
    지상에 고정되는 제3가이드관과, 상기 제3가이드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내면에 나선홈이 형성되며 단부에 상기 제1회전관 또는 제2회전관의 요철과 맞물리는 테이퍼진 형태의 요철이 형성된 제3회전관을 구비한 제3이송관; 및
    상기 제3회전관에 회전력을 가하는 구동수단;
    을 포함하는 폐물이송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시 형성을 위한 해상구조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상체의 후방에 위치한 지상을 기준으로, 상기 부상체의 측방은 개구하고 전방은 덮도록 설치된 축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시 형성을 위한 해상구조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축제의 해저부분에는 출입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시 형성을 위한 해상구조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상기 바지들 사이의 이격공간을 덮도록 힌지를 매개로 상기 상판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망 형상의 덮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시 형성을 위한 해상구조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이웃하는 상기 바지를 서로 고정하도록, 상기 바지들의 뼈대에 각각 설치된 고정관에 양단이 삽탈하는 보강 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시 형성을 위한 해상구조물.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회전관, 제2,3회전관 또는 제1,3회전관의 각 단부가 마주하는 연결부의 둘레를 감싸 밀폐하는 관 형상의 탄성 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시 형성을 위한 해상구조물.
KR1020140030412A 2014-03-14 2014-03-14 파시 형성을 위한 해상구조물 KR1014415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0412A KR101441569B1 (ko) 2014-03-14 2014-03-14 파시 형성을 위한 해상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0412A KR101441569B1 (ko) 2014-03-14 2014-03-14 파시 형성을 위한 해상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1569B1 true KR101441569B1 (ko) 2014-09-17

Family

ID=51760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0412A KR101441569B1 (ko) 2014-03-14 2014-03-14 파시 형성을 위한 해상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156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89197A (ja) * 1997-12-26 1999-07-13 Mitsubishi Heavy Ind Ltd 浮体式港湾施設
KR19990068534A (ko) * 1999-06-01 1999-09-06 문신웅 합성수지체를이용한수상시설
KR200297243Y1 (ko) * 2002-09-03 2002-12-11 원 회 양 케이슨 방파제의 해수교환 시설
KR20080023778A (ko) * 2006-09-12 2008-03-17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무용접 핀결합식 메가블럭 조립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89197A (ja) * 1997-12-26 1999-07-13 Mitsubishi Heavy Ind Ltd 浮体式港湾施設
KR19990068534A (ko) * 1999-06-01 1999-09-06 문신웅 합성수지체를이용한수상시설
KR200297243Y1 (ko) * 2002-09-03 2002-12-11 원 회 양 케이슨 방파제의 해수교환 시설
KR20080023778A (ko) * 2006-09-12 2008-03-17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무용접 핀결합식 메가블럭 조립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scher Coastal fishing in Stone Age Denmark–evidence from below and above the present sea level and from human bones
Craig et al. The history and development of the fisheries of the Columbia River
Waldman Heartbeats in the muck: the history, sea life, and environment of New York Harbor
Mapes Breaking ground: the lower Elwha Klallam Tribe and the unearthing of Tse-whit-zen Village
van Hoytema et al. Fishing gear dominates marine litter in the Wetlands Reserve in Al Wusta Governorate, Oman
Kennedy Shifting baselines in the Chesapeake Bay: An environmental history
Barton Manoomin: The story of wild rice in Michigan
Hore Tanganyika: eleven years in Central Africa
KR101441569B1 (ko) 파시 형성을 위한 해상구조물
Langley Vezo knowledge: Traditional ecological knowledge in Andavadoaka, southwest Madagascar
Jardine et al. 17 Healthy Delta, Healthy People: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the Saskatchewan River Delta
Ellis Nursery and grow-out techniques for giant clams (Bivalvia: Tridacnidae)
Suja et al. The black clam, Villorita cyprinoides, fishery in the State of Kerala, India
Bellantoni Faunal resource availability and prehistoric cultural selection on Block Island, Rhode Island
MacConnachie et al. Marine use analysis of the pacific north coast integrated management area
Tookwinas Commercial cockle farming in Southern Thailand
ÌÌATUBUN REPORT UPON THE INQUIRY RESPECTING FOOD-FISHES AND THE" FISHING-GROUNDS.
Wicker The Development of the Louisiana Oyster Industry in the 19th Century.
Worthington A northern Scottish maritime region: the Moray Firth in the seventeenth century
Torell et al. Tanzania biodiversity threats assessment: Biodiversity threats and management opportunities for Fumba
JP2732375B2 (ja) 海底設置式不転倒生けす槽
Moser The Salmon and Salmon Fisheries of Alaska: Report of the Alaskan Salmon Investigations of the United States Fish Commission Steamer Albatross in 1900 and 1901
Yesaki et al. Steveston Cannery Row: An Illustrated History
Jettmar Alaska River Guide: Canoeing, Kayaking, and Rafting in the Last Frontier
Fitzhugh The Gateways Project 2016: Surveys in Groswater Bay, Labrador, and St. Paul River, Quebec, and Excavations at Hart Chal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