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1400B1 - 해상용 가두리 양식장 - Google Patents

해상용 가두리 양식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1400B1
KR101701400B1 KR1020160110109A KR20160110109A KR101701400B1 KR 101701400 B1 KR101701400 B1 KR 101701400B1 KR 1020160110109 A KR1020160110109 A KR 1020160110109A KR 20160110109 A KR20160110109 A KR 20160110109A KR 101701400 B1 KR101701400 B1 KR 1017014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cage
net
footrest
buoya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0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문규
Original Assignee
김문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문규 filed Critical 김문규
Priority to KR1020160110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14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1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14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60Floating cultivation devices, e.g. rafts or floating fish-far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60Floating cultivation devices, e.g. rafts or floating fish-farms
    • A01K61/65Connecting or mooring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80Feed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4/00Other catching nets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상에서 각종 어류를 고밀도로 양식하는 데 사용되는 가두리 양식장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자의 이동통로를 제공하는 메인발판의 바닥면에 일정 간격으로 부력재를 연결시키고, 상기 메인발판의 내주면과 외주면에 가두리그물과 계류로프를 각각 연결시켜 가두리 양식장을 구성하되, 상기 메인발판으로부터 가두리그물의 바닥그물까지 연장되는 다수 개의 지주대를 메인발판상에 연결 설치함으로서, 앵커로프나 침자를 가두리그물의 바닥그물에 연결시키지 않더라도 가두리그물의 외관 형상이 각각의 지주대에 의하여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하며, 이를 통하여 가두리 양식장의 설치나 위치 이동에 필요한 수중작업을 최대한으로 줄이는 한편, 양식어류의 어체손상과 대량폐사를 야기하는 가두리그물의 과도한 쏠림이나 변형이 유발되지 않는 조건으로 태풍 또는 적조의 발생시마다 선박을 이용하여 가두리 양식장을 안전한 곳으로 손쉽고 신속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며, FRP 소재를 이용하여 "U" 자형 단면을 가지도록 제작되는 부력재의 상단측에 외부공기 순환용 체크밸브를 설치함으로서, 해수와의 온도 차이에 따른 부력재 내부의 결로 현상을 차단시켜 장기간의 사용에도 부력저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 해상용 가두리 양식장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해상용 가두리 양식장{Ocean aquaculture device using net type fish cage}
본 발명은 작업자의 이동통로를 제공하는 발판과, 상기 발판의 바닥면상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연결 설치되는 다수 개의 부력재와, 상기 발판의 내주면을 따라 연결 설치되어 소정의 깊이만큼 해수중으로 드리워지는 가두리그물과, 상기 가두리그물을 발판과 함께 특정 수역에 계류시킬 수 있도록 발판의 외곽측에 연결 설치되는 계류로프로 구성되어 해상에서 각종 어류를 고밀도로 양식할 수 있도록 한 해상용 가두리 양식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상의 가두리 양식장은 연안 해역이나 외해 등의 수역(水域)에 일정 범위만큼 가두리그물을 설치하여 그 내부에 각종 어류를 양식하는 시설물을 말하는 것으로서, 가두리그물의 그물코를 통하여 가두리 안팎의 해수가 자유롭게 통과하므로, 해수의 교환 및 산소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양식어류의 대사과정에서 발생하는 노폐물이나 사료찌꺼기 또한 가두리그물을 거쳐 외부로 자동 배출되기 때문에, 많은 량의 어류를 고밀도로 양식하더라도 가두리그물 내부의 수질이 악화되지 않는 등, 대규모 양식어업의 측면에서 여러 가지 유리한 잇점을 제공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잇점에도 불구하고 가두리 양식장이 설치된 해역이 태풍의 직접적인 영향권에 들어갈 경우에는, 높은 파도와 강한 바람에 의하여 발판과 가두리그물의 연결부가 파손되거나 가두리그물 자체가 찢어져 양식어류가 탈출하는 상황이 빈번하게 발생하였고, 가두리 양식장이 설치된 해역으로 적조가 유입될 경우에는 가두리그물 내부에 갇혀 있는 양식어류가 유해한 적조생물로 인하여 대량으로 폐사하는 상황이 발생하였으며, 이로 인하여 양식업자들이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감당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서, 평상시에는 가두리그물을 발판과 함께 수면상에 위치시켜 어류의 양식작업을 정상적으로 수행토록 하다가, 태풍이나 적조 등이 발생할 시에는 가두리그물의 상단측에 덮개그물을 연결시켜 놓은 상태에서 가두리그물을 발판과 함께 일정 깊이만큼 수중으로 침하시킬 수 있도록 하고, 태풍이나 적조가 지나간 이후에 가두리그물을 발판과 함께 다시 수면으로 부상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침하부상식(沈下浮上式) 가두리 양식장이 널리 보급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침하부상식 가두리 양식장은, 가두리그물의 상단측에 제공된 부력파이프의 내부로 해수 또는 압축공기를 선택적으로 주입시킴으로서, 해수의 무게 또는 공기의 부력에 의하여 가두리그물을 발판과 함께 침하 또는 부상시키는 까다로운 작업이 수반됨으로서, 태풍이나 적조의 발생시 신속한 대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고, 가두리그물 자체를 이동시키는 방식이 아니라 제자리에서 가두리그물을 수중으로 가라 앉히는 방식이기 때문에, 해당 수역으로 적조가 유입될 경우에는 별다른 실효성을 거두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태풍이나 적조의 발생시 선박을 이용하여 가두리 양식장 자체를 방파제의 내항측이나 적조가 유입되지 아니한 수역과 같은 안전한 장소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가두리그물 자체가 사각통이나 원통 또는 다각통 형상을 가지는 대형의 그물자루가 됨으로서, 선박을 이용하여 가두리 양식장을 이동시키는 도중에 가두리그물이 선박의 예인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과도하게 쏠리면서 가두리그물의 변형이 크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이 선박을 이용한 가두리 양식장의 위치 이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가두리그물의 과도한 쏠림식 변형으로 말미암아 가두리그물의 내부공간이 상대적으로 매우 좁아지게 되면, 가두리그물의 내부에 갇혀 있는 양식어류가 상당한 스트레스를 받게 됨은 물론이고, 양식어류가 가두리그물의 표면에 쓸리거나 양식어류끼리 서로 부딪힘에 따라 어체의 손상 역시 쉽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러한 스트레스와 어체손상으로 인하여 심한 경우에는 양식어류가 대량으로 폐사하는 지경에까지 이르게 된다.
특히, 가두리그물의 바닥그물을 앵커로프와 연결시켜 놓은 경우에는, 가두리 양식장의 위치 이동 및 재설치를 위하여 가두리그물을 앵커로프와 분리 및 연결시키는 수중작업이 추가로 수행되어야 하고, 가두리그물의 바닥그물에 다수 개의 침자(沈子:무게추)를 매달아 놓은 경우에는 앞선 수중작업을 배제시킬 수는 있으나, 선박을 이용한 가두리 양식장의 위치 이동 과정에서 침자의 무게에 따른 과도한 수력저항으로 말미암아 가두리그물이 쉽게 찢어져 양식어류가 탈출하는 상황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른 한편으로, 최근에 들어서는 목재 발판의 하부에 스티로폼 부력재를 연결시켰던 기존의 가두리 양식장을 대신하여, 내부식성과 기계적 강도 및 재활용성이 매우 우수하며, 열융착 방식이나 라미네이팅(Laminating) 방식으로 발판과 부력재를 손쉽고 견고하게 조립 및 접착시킬 수 있는 PE(폴리에틸렌)나 FRP(섬유강화플라스틱) 소재의 내파성(耐波性) 가두리 양식장이 보급되고 있는 바, PE나 FRP 등으로 제작된 부력재의 경우 내부가 빈 공간으로 조성되어 있기 때문에, 주야에 걸친 외부공기와 해수의 온도 차이로 인하여 부력재의 내부공기가 물방울 형태로 응축되어 흘러 내리는 결로(結露) 현상이 자주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PE나 FRP 등의 플라스틱 부력재가 적용된 가두리 양식장을 장기간에 걸쳐 사용할 시, 결로 현상으로 응축된 수분이 부력재의 내부에 지속적으로 누적되어 부력재의 부력을 저하시킴은 물론이고, 부력재의 내압도 이에 동반하여 낮아지게 되므로 부력재의 변형이나 파손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는 가두리 양식장의 안정성과 사용수명을 크게 저하시키는 요인이 될 뿐만 아니라, 발판을 떠받치는 부력의 불균형을 초래하여 발판에서 사료공급 등을 수행하는 작업자가 발판의 요동에 의하여 추락할 위험성을 높이는 요인이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작업자의 이동통로를 제공하는 메인발판으로부터 가두리그물의 바닥그물까지 연장되는 다수 개의 지주대를 메인발판상에 연결 설치함으로서, 앵커로프나 침자를 가두리그물의 바닥그물에 연결시키지 않더라도 가두리그물의 외관 형상이 각각의 지주대에 의하여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하며, 이를 통하여 가두리 양식장의 설치나 위치 이동에 필요한 수중작업을 최대한으로 줄이는 한편, 양식어류의 어체손상과 대량폐사를 야기하는 가두리그물의 과도한 쏠림이나 변형이 유발되지 않는 조건으로 태풍 또는 적조의 발생시마다 선박을 이용하여 가두리 양식장을 안전한 곳으로 손쉽고 신속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그 주된 기술적 과제가 된다.
이와 더불어, 메인발판의 바닥면에 연결 설치되는 상기 부력재를 FRP 소재로 하여 "U" 자형 단면의 부력재몸통을 가지도록 제작하되, 상기 부력재몸통의 상부측에 외부공기 순환용 체크밸브를 설치하고, 부력재몸통의 내측 하부에는 밸러스트수의 저장이 가능하도록 가로 방향의 횡격벽을 설치함으로서, 해수와의 온도 차이에 따른 부력재 내부의 결로 현상을 차단시키는 한편, 밸러스트수를 이용하여 보다 안정적인 가두리 양식장의 설치가 가능토록 하며, 상기 메인발판에 가두리그물의 연결을 위한 연결프레임과 작업자의 실족 예방을 위한 이탈방지턱과 사료 운반용 손수레의 가이드레일을 추가로 제공함으로서, 가두리 양식장의 손쉬운 설치와 효율적이고 안전한 사용측면에 요구되는 기능성을 한층 더 업그레이드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은, 작업자의 이동통로를 제공하도록 소정의 폭을 가지는 메인발판이 사각형 프레임 구조물로 제작되고, 상기 메인발판의 바닥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의 부력재가 연결 설치되며, 상기 메인발판의 내주면을 따라서는 해수중으로 드리워지는 가두리그물이 연결 설치되고, 상기 메인발판의 외곽측 모서리 부분에는 계류로프가 연결 설치된 해상용 가두리 양식장에 있어서, 상기 메인발판의 각 모서리 부분에 걸쳐 지주대조립부가 제공되고, 상기 각각의 지주대조립부에는 메인발판을 거쳐 가두리그물의 바닥그물까지 연장되는 지주대가 조립 설치되며, 상기 각각의 지주대 상단측은 해당 지주대조립부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고, 상기 각각의 지주대 하단측에는 "∩"형으로 절개된 그물망용 걸림단부가 형성되며, 상기 부력재는 FRP 소재를 이용하여 "∪"자형 단면의 부력재몸통을 이루도록 제작된 것이고, 상기 부력재몸통의 일측 상부에는 외부공기 순환용 체크밸브가 설치되며, 상기 부력재몸통의 내측 하부에는 밸러스트수의 저장공간을 구획하는 가로 방향의 횡격벽이 설치되고, 상기 부력재몸통의 하단측에는 밸러스트수의 주입밸브가 연결 설치되며, 상기 메인발판은 부력재와 동일한 FRP 소재로 제작되고, 상기 지주대조립부는 메인발판의 내측 모서리 부분에 지주대의 관통구멍이 배치되도록 메인발판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메인발판의 바닥면에는 금속제 보강프레임이 배치되고, 상기 보강프레임이 FRP 소재의 오버레이층에 의하여 메인발판과 일체로 형성되는 한편, 상기 부력재는 보강프레임의 오버레이층을 베이스로 하여 메인발판의 바닥면과 일체로 접착 및 연결 설치되며, 상기 메인발판의 가장자리측에는 소정 높이의 이탈방지턱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메인발판의 상부면에는 사료 운반용 손수레의 가이드레일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인 사항으로서, 상기 메인발판의 내주면에는 결속로프에 의하여 가두리그물의 상단측 힘줄과 연결되는 "]" 형태의 연결프레임이 조립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메인발판의 내측에 보조발판이 추가로 연결 설치되어 "田" 형태의 발판유닛을 이루고, 상기 보조발판의 바닥면에도 부력재가 연결 설치되며, 상기 보조발판의 상부면에도 이탈방지턱이 형성되거나, 또는 이탈방지턱과 함께 가이드레일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앵커로프나 침자를 가두리그물의 바닥그물에 연결시키지 않더라도 가두리그물의 외관 형상을 각각의 지주대에 의하여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며, 이를 통하여 가두리 양식장의 설치나 위치 이동 및 재설치 등에 필요한 수중작업을 최대한으로 줄이는 한편, 양식어류의 어체손상과 대량폐사를 야기하는 가두리그물의 과도한 쏠림이나 변형 또는 가두리그물의 파손이 유발되지 아니하는 조건으로 태풍 또는 적조의 발생시마다 선박을 이용하여 가두리 양식장을 안전한 곳으로 손쉽고 신속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와 더불어, FRP 소재로 제작되는 각각의 부력재마다 외부공기 순환용 체크밸브를 설치하여 해수와의 온도 차이에 따른 부력재 내부의 결로 현상 및 이에 따른 부력재의 내압 저하를 방지토록 함으로서, 장기간의 사용에도 부력의 변동이 발생하지 않고 부력재의 변형이나 파손 역시 쉽게 유발되지 않도록 하여 가두리 양식장의 안전성과 사용수명을 보다 증대시키는 효과를 제공하며, 각각의 부력재 하부에 밸러스트수를 주입시켜 가두리 양식장을 한층 더 안정적인 방식으로 설치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추가적인 사항으로서, 메인발판과 조립된 연결프레임을 이용하여 가두리그물을 메인발판과 신속하고 용이하게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하며, 메인발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이탈방지턱에 의하여 작업자의 실족 및 이에 따른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크게 줄이고, 메인발판에 설치된 가이드레일을 이용하여 사료 운반용 손수레를 간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메인발판과 연결된 보조발판을 이용하여 사료의 투입작업이나 양식어류의 출하작업에 따른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등, 가두리 양식장의 손쉬운 설치와 효율적이고 안전한 사용측면에 부합되는 여러 가지의 유용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해상용 가두리 양식장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발판유닛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저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해상용 가두리 양식장의 요부 발췌 확대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부력재의 측단면도.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해상용 가두리 양식장(10)은 도 1 내지 도 4에 걸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의 이동통로를 제공하도록 소정의 폭을 가지는 메인발판(2)이 사각형 프레임 구조물로 제작되고, 상기 메인발판(2)의 바닥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의 부력재(4)가 연결 설치되며, 상기 메인발판(2)의 내주면을 따라서는 해수중으로 드리워지는 가두리그물(8)이 연결 설치되고, 상기 메인발판(2)의 외곽측 모서리 부분에는 계류로프(9)가 연결 설치된 구성을 베이스로 한다.
상기 메인발판(2)은 사각형 프레임 구조물 이외에도 가두리 양식장(10)에 적용되는 다른 여러 가지의 공지된 형태, 예를 들어 원형의 프레임 구조물이나 다각형의 프레임 구조물로도 제작될 수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며,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메인발판(2)을 다수 개(도면상 4개)의 일자(一)형 구조물로 분리 제작한 다음, 각각의 메인발판(2)을 금속제 연결판(1b)으로 연결시킴으로서 발판구조물을 완성토록 하는 것이 제작상 유리하다.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발판(2)의 내측에 열십자(十) 형태의 보조발판(3)을 추가로 배치시키는 한편, 보조발판(3)의 각 끝단부를 메인발판(2)과 연결판(1b)으로 연결시켜 "田"자 형태의 가두리 양식장(10)용 발판유닛(1)을 제공함으로서, 사료의 투입작업이나 양식어류의 출하작업 등을 보조발판(3)을 이용하여 보다 손쉽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해당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의 안전을 위하여 메인발판(2)과 보조발판(3)의 외곽측에는 작업자의 실족을 예방하는 이탈방지턱(1a)이 소정의 높이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메인발판(2)의 상부면에는 사료의 이송에 사용되는 손수레를 간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금속제 가이드레일(11)을 추가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 4를 기준으로 하면 삼각형 단면을 가지는 가이드레일(11)이 2열(列)로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이외에도 손수레의 바퀴 형상에 맞추어 "凹"형 단면의 가이드레일(11)이나 "凸"형 단면의 가이드레일(11)이 1열 또는 2열로 설치될 수 있고, 상기 가이드레일(11)을 보조발판(3)에 추가로 적용시키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부력재(4)는 도 3에서와 같이 메인발판(2)의 바닥면과 보조발판(3)의 바닥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 개가 배치되어 해당 발판과 일체로 연결 설치되며, 도면상 메인발판(2)에 16개, 보조발판(3)에 8개의 부력재(4)가 각각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해당 발판의 치수 및 가두리 양식장(10)에 요구되는 부력조건 등에 맞추어 부력재(4)의 설치갯수는 임의대로 조정이 가능하고, 스티로폼과 같은 부력재보다는 FRP 소재로 제작된 부력재(4)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가두리그물(8)은 공지된 바와 같이 메인발판(2)의 구조에 맞추어 육면체나 원통 또는 다각통 형상을 이루도록 힘줄(8a)을 기본 골격으로 하여 그물망(8b)을 자루 형태로 연결시킨 것이고, 가두리그물(8)의 상단측 힘줄(8a) 부분이 결속로프(8c)에 의하여 메인발판(2)의 내주면을 따라 연결 설치되며, 상기 계류로프(9)는 해저면에 고정된 앵커를 메인발판(2)의 외곽 모서리측에 설치된 계류포스트(9a)와 연결시킴으로서 가두리그물(8)을 발판유닛(1)과 함께 해수면상에 계류(稽留)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주된 요부에 해당하는 구성요소로서는, 상기 메인발판(2)의 각 모서리 부분에 걸쳐 지주대조립부(6)가 제공하는 한편, 상기 각각의 지주대조립부(6)에는 메인발판(2)을 거쳐 가두리그물(8)의 바닥그물까지 연장되는 지주대(5)가 조립 설치된 것이며, 상기 각각의 지주대(5) 상단측은 해당 지주대조립부(6)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고, 상기 각각의 지주대(5) 하단측에는 "∩"형으로 절개된 그물망(8b)용 걸림단부(5c)가 형성된다.
도면상 상기 지주대조립부(6)가 메인발판(2)의 내측 모서리 부분마다 1개씩 총 4개가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는 바, 이는 가두리그물(8)의 연결부위가 메인발판(2)의 내주면이 되므로 각각의 지주대(5)가 가두리그물(8)의 내측 외곽부에 정확히 배치되도록 한 것이며, 가두리그물(8)이 메인발판(2)의 외주면에 연결될 경우 상기 지주대조립부(6)는 연결판(1b)이 설치된 메인발판(2) 부분이나 메인발판(2)의 외곽측에 설치될 수도 있고, 상기 메인발판(2)이 원형이나 다각형 프레임으로 제작될 경우, 상기 지주대(5)는 최소 3개 이상으로 하여 일정한 각도범위를 두고 가두리그물(8)을 분산 지지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주대조립부(6)는 도면에서와 같이 지주대(5)의 관통구멍(6a)이 제공된 블록(Block) 형태로 하여 메인발판(2)과 일체로 형성시킬 수도 있으며, 메인발판(2)상에 조립되는 브라켓(Bracket) 형태로도 설치될 수 있고, 메인발판(2) 자체에 지주대(5) 삽입용 관통구멍이나 조립홈을 형성시켜 이를 지주대조립부(6)로 활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외에도 지주대(5)의 착탈식 조립이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형태의 조립구조가 적용되더라도 무방하다.
동일한 관점에서, 각 지주대(5)의 상단측에 볼트식 체결부(5a)를 형성시키는 한편, 해당 체결부(5a)와 조립되는 장착너트(5b)를 이용하여 각각의 지주대(5)를 지주대조립부(6)상에 연결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고, 지주대조립부(6)의 상면으로 돌출되는 지주대(5)의 상단측에 수평 방향의 관통구멍을 형성시켜 해당 구멍에 고정핀을 삽입시키는 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으며, 지주대조립부(6)의 상면으로 돌출되는 지주대(5)의 상단측 부분을 메인발판(2)의 브라켓과 연결시킬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방식을 적용하게 되면, 앵커로프나 침자를 가두리그물(8)의 바닥그물에 연결시키지 않더라도 가두리그물(8)의 외관 형상을 각각의 지주대(5)에 의하여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양식어류의 어체손상과 대량폐사를 야기하는 가두리그물(8)의 과도한 쏠림이나 변형 또는 가두리그물(8)의 파손이 유발되지 아니하는 조건으로 태풍 또는 적조의 발생시마다 선박을 이용하여 가두리 양식장(10)을 안전한 곳으로 손쉽고 신속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의 계류포스트(9a)에 계류로프(9)의 일단을 연결시킨 다음, 해당 계류로프(9)의 타단에 결속된 앵커를 요구하는 위치에서 해수중으로 투입하여 앵커가 해저면에 드리워지도록 하는 한편, 각 지주대조립부(6)의 관통구멍(6a)을 거쳐 지주대(5)를 삽입시킴으로서, 각 지주대(5)의 하단측이 가두리그물(8)의 바닥그물을 일정한 힘으로 누르도록 한 다음, 각 지주대(5)의 상단측을 지주대조립부(6)와 연결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하여, 별도의 수중작업 없이 가두리 양식장(10)을 매우 신속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태풍이나 적조의 발생시에도 계류로프(9)를 이용하여 앵커를 걷어 들이기만 하면, 선박을 이용한 가두리 양식장(10)의 위치 이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요부에 해당하는 구성요소로서는, 상기 메인발판(2)의 내주면에 "]" 형태의 연결프레임(7)을 설치함으로서, 결속로프(8c)를 이용한 가두리그물(8)의 연결작업을 보다 손쉽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도면상 메인발판(2)의 내주면을 따라 총 8개의 연결프레임(7)이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도면에 도시된 것보다 작은 치수의 연결프레임(7)을 보다 많은 개수로 분산시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가두리그물(8)이 연결되는 위치에 맞추어 상기 연결프레임(7)을 메인발판(2)의 외주면에 설치할 수도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며, 각각의 연결프레임(7)은 그 양측 끝단부가 메인발판(2)의 이탈방지턱(1a)을 관통하도록 한 상태에서, 해당 단부측에 조립나사(7a)를 체결시키는 방식으로 하여 메인발판(2)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재질은 내부식성과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금속파이프나 금속막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가이드레일(11) 역시 연결프레임(7)과 동일한 금속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요부를 이루는 구성요소로서는 도 4 및 도 5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FRP 소재를 이용하여 "∪"자형 단면의 부력재몸통(14)을 이루도록 각각의 부력재(4)를 제작하되, 상기 부력재몸통(14)의 일측 상부에 외부공기 순환용 체크밸브(18)(18a)를 설치하는 한편, 상기 부력재몸통(14)의 내측 하부에는 밸러스트수(17)의 저장공간을 구획하는 가로 방향의 횡격벽(15)을 설치한 것이며, 상기 부력재몸통(14)의 하단측에는 밸러스트수(17)의 주입밸브(4a)가 연결 설치되어 있다.
상기 체크밸브(18)(18a)는 외부공기의 유입용과 내부압력의 배출용을 함께 설치함으로서, 부력재(4) 내부의 결로 현상 및 이에 따른 내압저하 뿐만 아니라, 외부의 고온현상으로 인한 부력재(4)의 내압상승까지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외부공기 유입용 체크밸브(18)만을 설치하더라도 무방하고, 상기 주입밸브(4a)는 밸러스트수(17) 저장공간 내측면의 부착생물 제거를 위한 약품주입과 같은 소제구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각각의 부력재(4)마다 외부공기 순환용 체크밸브(18)(18a)를 설치하여 해수와의 온도 차이에 따른 부력재(4) 내부의 결로 현상 및 이에 따른 부력재(4)의 내압 저하를 방지토록 함으로서, 장기간의 사용에도 부력의 변동이 발생하지 않고 부력재(4)의 변형이나 파손 역시 쉽게 유발되지 않도록 하여 가두리 양식장(10)의 안전성과 사용수명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고, 내압배출용 체크밸브(18a)를 추가로 설치한 경우에는 내압증대에 따른 부력재(4)의 변형이나 파손까지 방지할 수 있으며, 밸러스트수(17)의 적용에 따라 보다 더 안정적인 방식으로 가두리 양식장(10)의 설치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FRP 소재로 제작된 부력재(4)를 사용할 경우, 메인발판(2)과 보조발판(3)도 부력재(4)와 동일 소재로 제작함으로서, 라미네이팅 방식에 의하여 각각의 부력재(4)를 해당 발판과 신속하고 견고하게 접착 및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메인발판(2)의 내측 모서리 부분에 블록 형태의 지주대조립부(6)를 형성시킬 경우, 해당 지주대조립부(6) 역시 메인발판(2)과 동일 소재로 하여 일체화시키는 것이 유리하고, 메인발판(2) 및 보조발판(3)의 바닥면과 각 부력재(4)의 외부 표면에는 따개비 등이 부착되지 않도록 방오도료를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경우는 FRP 소재를 이용하여 제작된 내파성 가두리 양식장(10)의 대표적인 일례로서, FRP 소재를 이용하여 소정의 두께(바람직하게는 10mm 내외)로 제작된 메인발판(2)과 보조발판(3)의 바닥면에 금속제 보강프레임(12)이 교차식으로 배치되고, 상기 보강프레임(12)이 소정의 두께(바람직하게는 5mm 내외)로 형성되는 FRP 소재의 오버레이층(Overlayer)(13)에 의하여 해당 발판과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오버레이층(13)은 보강프레임(12)의 표면에 걸쳐서만 형성시킬 수도 있고, 보강프레임(12)의 표면과 해당 발판의 바닥면에 걸쳐 연이어 형성시킬 수도 있으며, 메인발판(2)과 보조발판(3)의 바닥면 가장자리측에도 보강프레임(12)의 배치작업을 보다 신속,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조립돌출부(1c)를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각각의 부력재(4)는 오버레이층(13)을 포함하는 보강프레임(12) 부분과 맞물린 상태로 FRP 접착부(13a)에 의하여 해당 발판의 바닥면과 일체로 접착 및 연결 설치된다.
추가적인 사항으로서, 상기 부력재몸통(14)의 내측 상부에는 횡격벽(15)의 상부면을 따라 최소 1개 이상(도면상 2개)의 세로 방향 종격벽(16)을 설치함으로서, 부력재몸통(14)의 일부분에 균열이나 파손이 발생하더라도 부력재몸통(14)의 내부공간 전체로 해수가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가두리 양식장(10)을 보다 더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부력재몸통(14)의 상단면에는 오버레이층(13)이 포함된 보강프레임(12)과 요철(凹凸)식으로 맞물리는 조립홈(4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부력재몸통(14)의 내측 상부에 다수 개의 종격벽(16)을 설치함으로서 부력재몸통(14)의 내측 상부 공간을 다수 개의 밀폐공간으로 구획시킨 경우, 상기 체크밸브(18)(18a)는 각각의 밀폐공간마다 적용될 것이며, FRP 소재의 부력재(4)를 해당 발판과 일체로 연결시키는 작업시 부력재(4)와 발판 사이의 연결부위가 수밀(水密) 가능한 수준으로 밀폐되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서는 부력재몸통(14)의 상단면이 개구된 형태를 가질 수도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위에서 설명되어진 내용은 본 발명에 대한 이해의 편의를 돕기 위하여 최적 실시예만이 상세하게 설명되어진 것인 바, 본 발명이 추구하고자 하는 목적이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예시된 구조를 기초로 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명백한 사항이며, 본 발명은 이후에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내용을 기초로 하여 평가되어져야 함은 물론이다.
1 : 발판유닛 1a : 이탈방지턱 1b : 연결판
1c : 조립돌출부 2 : 메인발판 3 : 보조발판
4 : 부력재 4a : 주입밸브 4b : 조립홈
5 : 지주대 5a : 체결부 5b : 장착너트
5c : 걸림단부 6 : 지주대조립부 6a : 관통구멍
7 : 연결프레임 7a : 조립너트 8 : 가두리그물
8a : 힘줄 8b : 그물망 8c : 결속로프
9 : 계류로프 9a : 계류포스트 10 : 가두리 양식장
11 : 가이드레일 12 : 보강프레임 13 : 오버레이층
13a : 접착부 14 : 부력재몸통 15 : 횡격벽
16 : 종격벽 17 : 밸러스트수 18,18a : 체크밸브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작업자의 이동통로를 제공하도록 소정의 폭을 가지는 메인발판(2)이 사각형 프레임 구조물로 제작되고, 상기 메인발판(2)의 바닥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의 부력재(4)가 연결 설치되며, 상기 메인발판(2)의 내주면을 따라서는 해수중으로 드리워지는 가두리그물(8)이 연결 설치되고, 상기 메인발판(2)의 외곽측 모서리 부분에는 계류로프(9)가 연결 설치된 해상용 가두리 양식장(10)에 있어서,
    상기 메인발판(2)의 각 모서리 부분에 걸쳐 지주대조립부(6)가 제공되고, 상기 각각의 지주대조립부(6)에는 메인발판(2)을 거쳐 가두리그물(8)의 바닥그물까지 연장되는 지주대(5)가 조립 설치되며,
    상기 각각의 지주대(5) 상단측은 해당 지주대조립부(6)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고, 상기 각각의 지주대(5) 하단측에는 "∩"형으로 절개된 그물망(8b)용 걸림단부(5c)가 형성되며,
    상기 부력재(4)는 FRP 소재를 이용하여 "∪"자형 단면의 부력재몸통(14)을 이루도록 제작된 것이고, 상기 부력재몸통(14)의 일측 상부에는 외부공기 순환용 체크밸브(18)(18a)가 설치되며,
    상기 부력재몸통(14)의 내측 하부에는 밸러스트수(17)의 저장공간을 구획하는 가로 방향의 횡격벽(15)이 설치되고, 상기 부력재몸통(14)의 하단측에는 밸러스트수(17)의 주입밸브(4a)가 연결 설치되며,
    상기 메인발판(2)은 부력재(4)와 동일한 FRP 소재로 제작되고, 상기 지주대조립부(6)는 메인발판(2)의 내측 모서리 부분에 지주대(5)의 관통구멍(6a)이 배치되도록 메인발판(2)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메인발판(2)의 바닥면에는 금속제 보강프레임(12)이 배치되고, 상기 보강프레임(12)이 FRP 소재의 오버레이층(13)에 의하여 메인발판(2)과 일체로 형성되는 한편, 상기 부력재(4)는 보강프레임(12)의 오버레이층(13)을 베이스로 하여 메인발판(2)의 바닥면과 일체로 접착 및 연결 설치되며,
    상기 메인발판(2)의 가장자리측에는 소정 높이의 이탈방지턱(1a)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메인발판(2)의 상부면에는 사료 운반용 손수레의 가이드레일(11)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용 가두리 양식장.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발판(2)의 내주면에는 결속로프(8c)에 의하여 가두리그물(8)의 상단측 힘줄(8a)과 연결되는 "]" 형태의 연결프레임(7)이 조립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용 가두리 양식장.
  5. 삭제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발판(2)의 내측에는 보조발판(3)이 추가로 연결 설치되어 "田" 형태의 발판유닛(1)을 이루고, 상기 보조발판(3)의 바닥면에도 부력재(4)가 연결 설치되며,
    상기 보조발판(3)의 상부면에도 이탈방지턱(1a)이 형성되거나, 또는 이탈방지턱(1a)과 함께 가이드레일(11)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용 가두리 양식장.
KR1020160110109A 2016-08-29 2016-08-29 해상용 가두리 양식장 KR1017014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0109A KR101701400B1 (ko) 2016-08-29 2016-08-29 해상용 가두리 양식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0109A KR101701400B1 (ko) 2016-08-29 2016-08-29 해상용 가두리 양식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1400B1 true KR101701400B1 (ko) 2017-02-01

Family

ID=58109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0109A KR101701400B1 (ko) 2016-08-29 2016-08-29 해상용 가두리 양식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1400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85831A (zh) * 2017-07-13 2018-02-13 中国水产科学研究院南海水产研究所 一种网箱工程船舶和船载式网箱建造方法
KR20190060318A (ko) 2017-11-24 2019-06-03 유승철 지오데식 돔 구조를 이용한 가두리 양식 장치
CN110250072A (zh) * 2019-07-18 2019-09-20 郑明� 一种鱼塘饲料抛投器
CN112533477A (zh) * 2018-05-18 2021-03-19 简·艾瑞克·凯嘉波 用于养殖海洋生物的船舶
CN113728984A (zh) * 2021-08-31 2021-12-03 兴化市现代农业发展服务中心 捕捞龙虾的装置
CN114009385A (zh) * 2021-11-04 2022-02-08 安徽省农业科学院水产研究所 一种大水面鳙鱼原位暂存设施及其使用方法
KR20230130935A (ko) 2022-03-04 2023-09-12 주영테크 주식회사 가두리 양식장용 차광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4071A (ko) * 2001-02-06 2001-08-04 서인식 가두리 양식장의 먹이 운송장치
KR100475500B1 (ko) * 2002-12-11 2005-03-10 성낙술 가두리 양식장
KR20080002260U (ko) * 2006-12-26 2008-07-01 석 순 신 발판 내입부와 그물 고정 고리를 갖는 가두리 양식장의파이프 연결구
KR20110090540A (ko) * 2010-02-04 2011-08-10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해양 어업용 가두리 구조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4071A (ko) * 2001-02-06 2001-08-04 서인식 가두리 양식장의 먹이 운송장치
KR100475500B1 (ko) * 2002-12-11 2005-03-10 성낙술 가두리 양식장
KR20080002260U (ko) * 2006-12-26 2008-07-01 석 순 신 발판 내입부와 그물 고정 고리를 갖는 가두리 양식장의파이프 연결구
KR20110090540A (ko) * 2010-02-04 2011-08-10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해양 어업용 가두리 구조물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85831A (zh) * 2017-07-13 2018-02-13 中国水产科学研究院南海水产研究所 一种网箱工程船舶和船载式网箱建造方法
CN107685831B (zh) * 2017-07-13 2019-04-02 中国水产科学研究院南海水产研究所 一种网箱工程船舶和船载式网箱建造方法
KR20190060318A (ko) 2017-11-24 2019-06-03 유승철 지오데식 돔 구조를 이용한 가두리 양식 장치
CN112533477A (zh) * 2018-05-18 2021-03-19 简·艾瑞克·凯嘉波 用于养殖海洋生物的船舶
CN110250072A (zh) * 2019-07-18 2019-09-20 郑明� 一种鱼塘饲料抛投器
CN113728984A (zh) * 2021-08-31 2021-12-03 兴化市现代农业发展服务中心 捕捞龙虾的装置
CN114009385A (zh) * 2021-11-04 2022-02-08 安徽省农业科学院水产研究所 一种大水面鳙鱼原位暂存设施及其使用方法
KR20230130935A (ko) 2022-03-04 2023-09-12 주영테크 주식회사 가두리 양식장용 차광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1400B1 (ko) 해상용 가두리 양식장
JP2019511239A (ja) 浮遊式魚養殖プラントおよびプラントのアセンブリ
KR101130237B1 (ko) 수생태 복원 및 수질개선을 위한 복합 서식장치
US20110315085A1 (en) Aquaculture geodesic fish cage
JP2018521889A (ja) 波力発電・太陽光発電一体型半潜水式沖合養殖用網いけす
MX2007004697A (es) Corrales de contencion para acuacultura de peces.
NO166511B (no) Offshore-anlegg for oppdrett og oppbevaring av fisk ellerandre sjoedyr.
RU190871U1 (ru) Плавучее каркасно-рам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ращивания мидий
US6205945B1 (en) Floating dock including buoyant wharf modules and method of making such modules
JP2021514888A (ja) 浮体式太陽光発電設備用架台装置
KR200455681Y1 (ko) 부유체 롤링피칭 제어 브라켓
CN216533280U (zh) 一种半潜式智能化深远海养殖网箱
RU179174U1 (ru) Донно-пелагический рифовый модуль
KR200403270Y1 (ko) 가두리 양식장용 부양구조체
CN212035467U (zh) 一种深海智能养殖网箱
JP2002142584A (ja) 浮き花壇
CN216314849U (zh) 一种用于海上的养殖工船
KR102200448B1 (ko) 부력 보강용 에어파이프를 갖는 양식장용 부유식 구조물
DK202101182A1 (en) Cage for fish farming
KR200358671Y1 (ko) 내구성이 향상된 가두리 양식장용 발판
RU190899U1 (ru) Плавучая платформа для аквакультуры
CN112205333A (zh) 一种坐底式养殖系统
KR20110047074A (ko) 가두리 양식 장치용 보강 장치
KR101277804B1 (ko) 인공 구조물을 이용한 보릿짚 계류장치
CN1721343A (zh) 一种潜浮组合模块人工湿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