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6566B1 - 부교 - Google Patents
부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56566B1 KR101156566B1 KR1020090111124A KR20090111124A KR101156566B1 KR 101156566 B1 KR101156566 B1 KR 101156566B1 KR 1020090111124 A KR1020090111124 A KR 1020090111124A KR 20090111124 A KR20090111124 A KR 20090111124A KR 101156566 B1 KR101156566 B1 KR 10115656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plate
- main
- sub
- pontoon
- support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14—Floating bridges, e.g. pontoon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부교는 지지플레이트; 지지플레이트의 하부에 설치되는 메인연결부재; 및 메인연결부재에 설치되어 지지부재를 수면(水面) 위로 상승시키는 복수 개의 메인부양부재를 포함하고, 메인부양부재는 지지플레이트의 횡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교로서, 지지플레이트의 하부에는 지지플레이트의 상측으로 양측부가 절곡되어, 내부에 이동가능한 질량체가 수용되는 밸러스트 탱크(ballast tank)가 설치되어, 지지플레이트의 롤링(rolling)을 감소시키며, 지지플레이트에 메인부양부재 및 서브부양부재가 설치되고, 밸러스트 탱크의 양단부는 지지플레이트의 저면과 결합되고, 밸러스트 탱크의 일 측면은 메인부양부재의 일단면, 지지플레이트의 일측 단면, 서브부양부재의 상단부 또는 서브부양부재의 하단부 중 어느 한 곳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부교는 부교의 횡 방향으로 부양부재를 배치하여 부교의 횡 방향으로 이동하는 파도 등과 같은 물의 흐름에도 안정적으로 부교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이러한 부양부재를 다양한 방향으로 적층 배치하여 부교의 횡 방향뿐 아니라 종 방향 등 다양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물의 흐름에도 안정적으로 부교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부교, 메인연결부재, 지지플레이트, 밸러스트
Description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는 부교에 관한 분야이다. 구체적으로 부교의 횡 방향으로 배치되는 부양부재를 구비한 부교에 관한 분야이다.
교각을 설치할 수 없거나, 일시로 사용되는 다리의 경우, 물에 뜰 수 있는 부재를 이용하여 제작된다. 이러한 부교는 일반적으로 파도 특히 횡 방향의 파도에 쉽게 뒤집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부교의 부력을 발생시키는 부력발생부재가 쉽게 손상되거나 부교에서 분리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부교는 다음과 같은 해결과제를 목적으로 한다.
첫째, 부교의 횡 방향에서 접하는 파도 등 물의 흐름에도 안정적으로 부교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둘째, 부교가 롤링하는 경우, 부교의 롤링을 감소시켜 부교의 안정성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부교는, 지지플레이트와, 지지플레이트의 하부에 설치되는 메인연결부재와, 메인연결부재에 설치되어 지지부재를 수면(水面) 위로 상승시키는 복수 개의 메인부양부재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지지플레이트의 하부에는, 메인연결부재에 결합된 메인부양부재의 하단부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는 서브연장편과, 서브연장편의 하부에 형성되는 서브안착편으로 이루어지는 서브연결부재가 추가 설치되고, 서브안착편에는 서브부양부재가 설치되어, 메인연결부재에 설치된 메인부양부재와 층상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서브부양부재는 메인부양부재의 배치방향에 대하여 사선 방향 또는 직교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플레이트의 하부에는 지지플레이트의 상측으로 양측부가 절곡되어, 내부에 이동가능한 질량체가 수용되는 밸러스트 탱크(ballast tank)가 설치되어, 지지플레이트의 롤링(rolling)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플레이트에 메인부양부재만 설치되는 경우, 밸러스트 탱크의 양단부는 지지플레이트의 저면에 결합되고, 밸러스트 탱크의 일 측면은 메인부양부재의 일단면, 지지플레이트의 일측 단면, 메인부양부재의 하단부 또는 메인부양부재의 상단부 중 어느 한 곳에 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플레이트에 메인부양부재 및 서브부양부재가 설치되는 경우, 밸러스트 탱크의 양단부는 지지플레이트의 저면과 결합되고, 밸러스트 탱크의 일 측면은 메인부양부재의 일단면, 지지플레이트의 일측 단면, 서브부양부재의 상단부 또는 서브부양부재의 하단부 중 어느 한 곳에 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부교는 부교의 횡 방향으로 부양부재를 배치하여 부교의 횡 방향으로 이동하는 파도 등과 같은 물의 흐름에도 안정적으로 부교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이러한 부양부재를 다양한 방향으로 적층 배치하여 부교의 횡 방향뿐 아니라 종 방향 등 다양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물의 흐름에도 안정적으로 부교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부교에 밸러스트 탱크를 설치하여 부교가 롤링하는 경우, 부교의 롤링을 감소시켜 부교의 안정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 사용된 횡 방향을 정의하면, 횡 방향이라 함은 부교(浮橋)의 설치시 부교의 사용자가 통행하는 방향을 지칭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부교의 일 실시예를 참고하면, 메인부양부재(300)이 배치되는 방향을 횡 방향이라 한다.
또한, 종 방향은 횡 방향을 기준으로 횡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말하는 것으로 도 1의 밸러스트 탱크(600)가 배치되는 방향을 말한다.
이러한 횡 방향과 종 방향의 정의는 횡 방향과 종 방향의 관계에서 혼동을 피하기 위한 것으로, 앞에서 언급된 방향에 제한되어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서는 메인부양부재(300)가 설치되는 방향이 종 방향이 될 수도 있으며, 메인부양부재(300)가 설치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이 횡 방향이 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부교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교의 일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부교는 지지플레이트(100)와, 지지플레이트(100)의 하부에 설치되는 메인연결부재(200)와, 메인연결부재(200)에 설치되어 지지부재를 수면(水面) 위로 상승시키는 복수 개의 메인부양부재(300)로 이루어진다.
지지플레이트(100)는 부교(浮橋)를 통행하는 사용자가 이동할 수 있도록 다리의 상판을 기능을 하는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방향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일체로 형성된 플레이트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지지플레이트(100)는 본 실시예와 같이 장방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정사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메인연결부재(200)는 지지플레이트(100)와 메인부양부재(300)를 연결하는 것으로, 지지플레이트(100)의 저면에 결합된다.
메인연결부재(200)는 본 발명에 따른 부교의 일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인 도 1과, 본 발명에 따른 부교의 일 실시예의 일부분해사시도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플레이트(100)의 하부에 설치되는 메인연장편(210)과, 메인연장편(210)의 하부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메인안착편(22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메인연장편(210)은 지지플레이트(100)의 하부, 보다 구체적으로는 지지플레이트(100)의 저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플레이트(100)의 저면에서 하부 방향으로 형성된다.
메인연장편(210)은 본 실시예와 같이 지지플레이트(100)에 종 방향으로 형성되는 프레임에 결합되고, 프레임은 지지플레이트(100)에 결합되어, 지지플레이트(100)에 결합될 수도 있으며, 프레임에 결합되지 않고 개별적으로 지지플레이트(100)에 결합될 수도 있다.
메인안착편(220)은 메인연장편(210)의 하단부 형성되어, 메인부양부재(300)와 결합되는 것으로, 메인부양부재(300)의 외측면 일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상의 메인부양부재(300)가 설치되므로, 메인안착편(220)의 형상은 메인부양부재(300)의 외면 일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인 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메인연장편(210)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메인안착편(2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개의 메인안착편(220)의 단부가 서로 연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서로 분리된 상태로 형성되어 메인연장편(21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이러한 메인안착편(220)은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메인부양부재(300)를 메인연장편(210)에 결합시키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그 형상은 본 실시예에 의해 제한 되지 않으며, 메인연장편(210)에 결합되어 메인부양부재(300)를 결합할 수 있는 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메인안착편(220)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부양부재(300)의 외면 일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고정편(221)이 설치된다.
고정편(221)은 매인부양부재(300)을 메인안착편(220)에 결합시키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메인부양부재(300)를 메인안착편(220) 방향으로 가압하여, 메인부양부재(300)를 메인안착편(220)에 결합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편(221)은 호 형상으로 형성되었으나, 반드시 이러한 형상으로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메인안착편(220)에 결합되어 메인부양부재(300)를 메인안착편(220) 방향으로 가압시킬 수 있는 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메인부양부재(300)는 지지플레이트(100)의 하부에 설치되어 부교를 설치하는 경우, 지지플레이트(100)를 수면 위로 상승시키는 기능을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메인부양부재(300)는 양단이 개방된 원통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었으나, 반드시 이러한 형상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육면체, 팔면체 등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메인부양부재(300)의 양단이 본 실시예와 같이 개방될 수도 있으며, 양단이 모두 폐쇄되거나 일측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메인부양부재(300)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지플레이트(100)를 수면위로 상승시킬 수 있는 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메인연결부재(200)에 결합된 메인부양부재(3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플레이트(100)의 횡 방향으로 복수 개가 나란하게 배치되나, 반드시 횡 방향으로 배치될 필요는 없으며, 지지플레이트(100)의 종 방향, 또는 지지플레이트(100)의 종 방향에 비스듬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지지플레이트(100)와 메인연결부재(200)의 측면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부재(110)가 설치된다.
완충부재(110)는 부교의 운반, 설치 및 가동단계에서 부교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것으로 합성수지와 같이 외부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재료로 이루어진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교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로, 도 3에 도시된 부교에는 앞에서 살펴본 메인부양부재(300) 외에 서브부양부재(500)가 지지플레이트(100)에 추가로 설치된다.
서브부양부재(500)를 지지플레이트(100)에 설치하기 위해 지지플레이트(100)의 저면에 설치되는 서브연결부재(400)는 메인부양부재(300)의 하단부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는 서브연장편(410)과, 서브연장편(410)의 하부에 형성되는 서브안착편(420)으로 이루어지다.
서브연장편(410)은 지지플레이트(100)의 하부, 보다 구체적으로는 지지플레이트(100)의 저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부교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지지플레이트(100)의 저면에 결합되고 타단이 메인부양부재(300)와 메인부양부재(300) 사이로 돌출배치된다.
이러한 서브연장편(410)의 다단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연결부재(200)에 결합된 메인부양부재(300)의 하단부에 대응되는 높이로 형성될 수 있도록 메인연결부재(200)에 결합된 메인부양부재(300)의 하단부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메인연결부재(200)에 결합된 메인부양부재(300)의 하단부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도 있다.
서브안착편(420)은 서브연장편(410)의 타단에 결합되어 서브부양부재(500)과 결합되는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부양부재(500)의 외면 일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서브안착편(420)은 각각의 서브연장편(410)의 타단에 연결되는 연장플랜지(411)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서브안착편(420)의 타단에 각각 설치될 수도 있다.
연장플랜지(411)는 서브안착편(420)에 설치되는 서브부양부재(500)가 본 발명에 따른 부교의 저면도인 도 4와 같이 설치되는 경우, 메인부양부재(300)와 메인부양부재(300) 사이에 돌출된 서브연장편(410)과 서브부양부재(500)가 이격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연장플랜지(411)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연장편(410) 각각에 연결결합시키고, 연장플랜지(411)에 서브안착편(420)을 결합시킨 후, 고정편(421)을 이용하여 서브부양부재(500)와 서브안착편(420)을 결합시킨다.
본 실시예에 사용되는 서브연장편(410), 서브안착편(420) 및 서브부양부재(500)은 메인연장편(210), 메인안착편(220) 및 메인부양부재(300)과 명칭만 상이할 뿐 메인연장편(210), 메인안착편(220) 및 서브부양부재(500)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이에 관한 설명은 중복을 피하기 위해 생략하기로 한다.
서브연결부재(400)에 결합되는 서브부양부재(5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부양부재(300)의 하부에 설치되어 층상을 형성한다.
이러한 서브부양부재(50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부양부재(300)의 배치방향에 사선 방향 또는 직교 방향으로 배치될 수도 있으며, 메인부양부재(300)와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서브부양부재(100)에는 지지플레이트(100)의 롤링(rolling)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지지플레이트(100)의 상측으로 양측부가 절곡되어, 내부에 이동가능한 질량체가 수용되는 밸러스트 탱크(ballast tank, 600)가 설치될 수도 있다.
밸러스트 탱크(600)는 외형이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물과 같은 액체가 수용될 수 있도록 공간부가 형성된다.
이러한 밸러스트 탱크(600)의 내부에 수용되는 액체는 지지플레이트(100)가 파도와 같은 물의 흐름을 맞나 롤링하는 경우, 룰링방향에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며, 지지플레이트의 요동을 감쇄시킨다.
액체가 수용되는 밸러스트 탱크(60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이 지지플레이트(100)의 저면에 결합되고, 밸러스트 탱크(600)의 일측면이 지지플레이트(100)의 일단부에 접할 수 있도록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지지플레이트(100)에 메인부양부재(300)만 설치되는 경우, 도 2에 도시된 복수 개의 메인연결부재(200) 사이에 설치되어 밸러스트 탱크(600)의 일측면, 보다 구체적으로는 밸러스트 탱크(600)의 중앙측 하부면이 메인부양부재(300)의 상측면에 접하거나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밸러스트 탱크(600)는 양단이 지지플레이트(100)의 저면에 결합되고, 중앙측 상부면이 메인연결부재(200)의 하부면에 접하거나 이격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지지플레이트(100)에 메인부양부재(300)와 서브부양부재(500)가 모두 설치되는 경우, 밸러스트 탱크(600)의 양단부는 지지플레이트(100)의 저면과 결합되고, 밸러스트 탱크(600)의 일 측면은 밸러스트 탱크(600)의 일 측면은 메인부양부재(300)의 일단면, 지지플레이트(100)의 일측 단면, 서브부양부재의 상단부 또는 서브부양부재(500)의 하단부 중 어느 한 곳에 접하거나 이격하여 설치될 수 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교의 일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교의 일 실시예의 일부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교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부교의 저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부교의 저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지지플레이트 110 : 완충부재
200 : 메인연결부재 210 : 메인연장편
220 : 메인안착편 300 : 메인부양부재
400 : 서브연결부재 210 : 서브연장편
220 : 서브안착편 221 : 고정편
500 : 서브부양부재 600 : 밸러스트 탱크
Claims (6)
- 지지플레이트;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하부에 설치되는 메인연결부재; 및 상기 메인연결부재에 설치되어 지지부재를 수면(水面) 위로 상승시키는 복수 개의 메인부양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부양부재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횡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교로서,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하부에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측으로 양측부가 절곡되어, 내부에 이동가능한 질량체가 수용되는 밸러스트 탱크(ballast tank)가 설치되어,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롤링(rolling)을 감소시키며,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상기 메인부양부재 및 서브부양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밸러스트 탱크의 양단부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저면과 결합되고, 상기 밸러스트 탱크의 일 측면은 상기 메인부양부재의 일단면,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일측 단면, 상기 서브부양부재의 상단부 또는 상기 서브부양부재의 하단부 중 어느 한 곳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교.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하부에는,상기 메인연결부재에 결합된 메인부양부재의 하단부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는 서브연장편과, 상기 서브연장편의 하부에 형성되는 서브안착편으로 이루어지는 서브연결부재가 추가 설치되고, 상기 서브안착편에는 서브부양부재가 설치되어, 상기 메인연결부재에 설치된 상기 메인부양부재와 층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교.
- 제2항에 있어서,상기 서브부양부재는 상기 메인부양부재의 배치방향에 대하여 사선 방향 또 는 직교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교.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11124A KR101156566B1 (ko) | 2009-11-17 | 2009-11-17 | 부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11124A KR101156566B1 (ko) | 2009-11-17 | 2009-11-17 | 부교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54479A KR20110054479A (ko) | 2011-05-25 |
KR101156566B1 true KR101156566B1 (ko) | 2012-06-20 |
Family
ID=44363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111124A KR101156566B1 (ko) | 2009-11-17 | 2009-11-17 | 부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56566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53950B1 (ko) * | 2013-11-11 | 2014-01-22 | 주식회사 혁신 | 롤링을 방지하는 복합 다기능 피이 부잔교 |
KR101536278B1 (ko) * | 2015-02-04 | 2015-07-13 | 주식회사 마린코리아 | 추가부력체를 설치할 수 있는 부력체지지홀더와 이를 이용한 해상부유구조물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68534A (ko) * | 1999-06-01 | 1999-09-06 | 문신웅 | 합성수지체를이용한수상시설 |
KR200156742Y1 (ko) * | 1997-07-22 | 1999-10-01 | 김인식 | 가두리 양식장 |
KR20090059648A (ko) * | 2007-12-07 | 2009-06-11 | 주식회사 국민씨아이 | 스냅핏 착탈 조립식 중공단면 섬유강화 복합소재 데크를이용한 부잔교 |
-
2009
- 2009-11-17 KR KR1020090111124A patent/KR10115656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56742Y1 (ko) * | 1997-07-22 | 1999-10-01 | 김인식 | 가두리 양식장 |
KR19990068534A (ko) * | 1999-06-01 | 1999-09-06 | 문신웅 | 합성수지체를이용한수상시설 |
KR20090059648A (ko) * | 2007-12-07 | 2009-06-11 | 주식회사 국민씨아이 | 스냅핏 착탈 조립식 중공단면 섬유강화 복합소재 데크를이용한 부잔교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53950B1 (ko) * | 2013-11-11 | 2014-01-22 | 주식회사 혁신 | 롤링을 방지하는 복합 다기능 피이 부잔교 |
WO2015068885A1 (ko) * | 2013-11-11 | 2015-05-14 | 주식회사 혁신 | 롤링을 방지하는 복합 다기능 피이 부잔교 |
KR101536278B1 (ko) * | 2015-02-04 | 2015-07-13 | 주식회사 마린코리아 | 추가부력체를 설치할 수 있는 부력체지지홀더와 이를 이용한 해상부유구조물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54479A (ko) | 2011-05-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66382B1 (ko) | 부력체가 연결된 부잔교 | |
KR101156566B1 (ko) | 부교 | |
KR101651819B1 (ko) | 다수의 유닛을 연결한 조립식 폰툰 | |
KR102399057B1 (ko) | 수상 태양광 발전용 구조체 | |
KR101143949B1 (ko) | 금속제 프레임이 구비된 폰툰 및 이를 이용한 부유구조물 | |
KR20150018691A (ko) | 부잔교와 파일의 연결장치 | |
CN109356096A (zh) | 一种悬浮式防船撞多层耗能装置 | |
CN111236057A (zh) | 一种高架桥面板的抗震支座与桥面板的连接装置 | |
KR102250159B1 (ko) | 수상 태양광 설비용 부유식 구조물 | |
KR20120120679A (ko) | 부력 프리플렉션을 갖는 해상 부유식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 |
CN203890855U (zh) | 海上浮桥 | |
KR100935011B1 (ko) | 해상 이동수단의 이동이 가능한 조립식 부교 | |
CN215165290U (zh) | 一种用于通航渡槽结构具有限位能力的金属减震装置 | |
CN214883394U (zh) | 一种含有滑板式橡胶支座和改良斜桩的装配式高桩码头 | |
CN110241975B (zh) | 具有多型钢的型钢混凝土柱 | |
CN201386253Y (zh) | 一种悬索桥钢箱梁梁段顶板的临时连接装置 | |
JP2013096096A (ja) | 橋梁 | |
KR101510195B1 (ko) | 플로팅 폰툰 조립체 | |
CN102127903A (zh) | 复合型堆石潜堤 | |
WO2007093131A1 (fr) | Procédé de construction d'un pont maritime | |
KR20140001870U (ko) | 부잔교 프레임 구조 | |
KR101752392B1 (ko) | 연속곡면의 웨브강판을 이용한 거더 | |
KR102551516B1 (ko) | 조립형 부유체 | |
TWI747476B (zh) | 彈性浮體裝置 | |
ES2955786T3 (es) | Módulo flotante y estructura flotant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08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408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10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