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6742Y1 - 가두리 양식장 - Google Patents

가두리 양식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6742Y1
KR200156742Y1 KR2019970019332U KR19970019332U KR200156742Y1 KR 200156742 Y1 KR200156742 Y1 KR 200156742Y1 KR 2019970019332 U KR2019970019332 U KR 2019970019332U KR 19970019332 U KR19970019332 U KR 19970019332U KR 200156742 Y1 KR200156742 Y1 KR 2001567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ge
buoyancy
buoyancy member
coupled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93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5930U (ko
Inventor
김인식
Original Assignee
김인식
주식회사동원프라스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식, 주식회사동원프라스틱 filed Critical 김인식
Priority to KR20199700193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6742Y1/ko
Publication of KR199900059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593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67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674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60Floating cultivation devices, e.g. rafts or floating fish-f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 어류를 양식함에 있어서, 자연재해로 인한 피해, 특히, 태풍으로 인한 파손을 최소화 할 수 있고, 내한성과 내약품성이 강하며 부식발생이 전혀 없는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가두리 양식장에 관한 것으로서, 가두리 양식장을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내부에 공기가 저장되고 양단은 캡으로 밀봉된 파이프로 이루어진 부력부재와, 상기 부력부재를 구속하기 위해 등간격으로 3열의 삽입공이 형성되고 일측 상면에는 하부몸체와 상부몸체로 이루어진 고정부재가 결합된 위치고정 브라켓과, 하부 양측단에 상기 부력부재의 외경보다 작은 곡률반경을 갖는 요홈부가 형성되고 상부 중앙에는 관통구멍이 형성된 협지부재와, 상면에는 다수개의 발판부재가 체결나사에 의해 결합되고 양단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는 상기 협지부재의 관통구멍과 대응되는 체결공이 형성된 받침대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태풍에 의한 파손 위험성을 최소화 하고 내한성, 내약품성이 향상되고 부식발생이 전혀 없이 반영구적을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해양 환경오염 방지와 인건비 절감 및 소득증대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공 및 조립이 용이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키게 되어 소득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가두리 양식장
본 고안은 가두리 양식장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어류를 양식함에 있어서, 자연재해로 인한 피해, 특히, 태풍으로 인한 파손을 최소화 할 수 있고, 내한성과 내약품성이 강하며 부식발생이 전혀 없는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가두리 양식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수에 의한 양식은 육상 수조식, 해상 가두리식으로 크게 구분된다. 육상 수조식은 환경변화를 예측하기 어려운 바다로부터 서식 환경을 인위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육상의 수조로 대상 생물을 옮겨 양식하는 방법이고, 해상 가두리식은 바다의 넓은 공간에 그믈 등으로 생물을 가두어 기르는 방법이며, 후자인 해상 가두리식은 한정된 공간에서 생물을 기르는 육상 수조식에 비해 해수 교환 및 수처리가 용이하여 대량생산이 가능해짐에 따라 해마다 그 시설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현재 국내에서 제작 보급된 가두리 양식장은 목재 가두리 양식장으로서, 부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스치로폼을 사용하고 있으나, 이는 해양 환경을 심각하게 오염시키는 주된 원인으로 국제 환경규약에 따라 국내에서도 스치로폼을 사용한 목재 가두리 양식장의 신설이 금지되고 있다.
한편, 첨부 도면 도 1은 종래의 가두리 양식장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 사시도로서, 가두리 양식장(1)은 일정한 길이를 갖는 다수개의 나무판재(2)와, 각각의 나무판재(2)를 구속하는 브라켓(4)과, 스치로폼의 재질로 된 원통상의 부력관(6)으로 구성된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사각형태의 가두리 양식장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나무판재(2)를 부력관(6)상에 촘촘히 나열하여 로프(8)로 결속하고, 각각의 나무판재(2)를 브라켓(4)을 이용하여 구속한 후, 내측 사(四)면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양식어류를 구속하는 그믈(10)을 설치하여 가두리 양식장(1)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가두리 양식장은 그 구조가 목재와 합성수지인 스치로폼으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내구성이 떨어지고 스치로폼으로 인한 해양환경이 오염되며, 또한, 태풍과 같은 자연재해 발생시 쉽게 파손되어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를 안고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가두리 양식장의 구조 및 재질을 개선하여 태풍에 의한 파손 위험성을 최소화 하고 내한성, 내약품성이 향상되고 부식발생이 전혀 없이 반영구적을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해양 환경오염 방지와 인건비 절감 및 소득증대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새로운 형태의 가두리 양식장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가두리 양식장은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내부에 공기가 저장되고 양단은 캡으로 밀봉된 파이프로 이루어진 부력부재와, 상기 부력부재를 구속하기 위해 등간격으로 3열의 삽입공이 형성되고 일측 상면에는 하부몸체와 상부몸체로 이루어진 고정부재가 결합된 위치고정 브라켓과, 하부 양측단에 상기 부력부재의 외경보다 작은 곡률반경을 갖는 요홈부가 형성되고 상부 중앙에는 관통구멍이 형성된 협지부재와, 상면에는 다수개의 발판부재가 체결나사에 의해 결합되고 양단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는 상기 협지부재의 관통구멍과 대응되는 체결공이 형성된 받침대로 이루어진 특징을 갖는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서, 상기 위치고정 브라켓의 내측단쪽에 형성된 삽입공 상단에는 상기 고정부재가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부력부재와 위치고정 브라켓의 삽입공 사이에는 이들의 결합 후,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유동방지편이 끼워진 특징을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가두리 양식장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가두리 양식장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가두리 양식장의 부력부재와 위치고정 브라켓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가두리 양식장의 부력부재와 협지부재 및 받침대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가두리 양식장, 20 : 부력부재,
20a : 캡, 22 : 삽입공,
24 : 하부몸체, 26 : 상부몸체,
28 : 고정부재, 30 : 위치고정 브라켓,
30a : 개구부, 32 : 유동방지편,
34 : 엘보우(Elbow), 36 : 연결 파이프,
38 : 높이 조절나사, 40 : 협지부재,
42 : 요홈부, 44 : 관통구멍,
50 : 받침대, 52 : 발판부재,
54 : 체결나사, 56 : 체결공,
58 : 체결수단.
이와 같은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두리 양식장(1)의 부력부재(20)는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내부에 공기가 저장되고 양단은 캡(20a)으로 밀봉된 파이프로 이루어지고, 위치고정 브라켓(30)은 상기 부력부재(20)를 구속하기 위해 등간격으로 3열의 삽입공(22)이 형성되고 일측 상면에는 하부몸체(24)와 상부몸체(26)로 이루어진 고정부재(28)가 결합되며, 협지부재(40)는 하부 양측단에 상기 부력부재(20)의 외경보다 작은 곡률반경을 갖는 요홈부(42)가 형성되고 상부 중앙에는 관통구멍(44)이 형성되며, 받침대(50)는 상면에 다수개의 발판부재(52)가 체결나사(54)에 의해 결합되고 양단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는 상기 협지부재(40)의 관통구멍(44)과 대응되는 체결공(56)이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상기 위치고정 브라켓(30)의 내측단쪽에 형성된 삽입공(22) 상단에는 상기 고정부재(28)가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개구부(30a)가 형성되고, 상기 부력부재(20)와 위치고정 브라켓(30)의 삽입공(22) 사이에는 이들의 결합 후,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유동방지편(32)이 끼워진 것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가두리 양식장의 부력부재와 위치고정 브라켓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로서, 위치고정 브라켓(30)의 삽입공(22)상에 부력부재(20)가 끼워져 결합되데, 삽입공(22)으로부터 부력부재(20)가 유동되지 못하도록 유동방지편(32)이 끼워지고, 상기 삽입공(22)의 상단에 형성된 개구부(30a)에는 고정부재(28)의 하부몸체(24)가 끼워져 결합되데, 그 하단은 삽입공(22)상에 끼워져 결합된 부력부재(20)의 상부 외주면과 접촉된 상태로 결합되고 상단에는 상부몸체(26)가 융착·결합되며, 상기 고정부재(28)에는 ' T '자형 엘보우(34)에 의해 결합된 연결파이프(36)가 끼워지되, 높이 조절나사(38)에 의해 착탈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가두리 양식장의 부력부재와 협지부재 및 받침대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로서, 부력부재(20) 사이에 이들을 협지하기 위한 협지부재(40)가 끼워져 설치되고, 상기 협지부재(40)의 상부에는 체결수단(58)에 의해 받침대(50)가 결합되며, 상기 받침대(50)의 상면에는 체결나사(54)에 의해 다수개의 발판부재(52)가 다수열로 결합되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때, 협지부재(40)에 형성된 요홈(42)은 부력부재(20)의 외경보다 작은 곡률반경을 갖게 되며 이는 협지력을 높이기 위해 접촉부위를 요홈(42)의 상단점과 하단점으로 하여 이중 협지 효과를 얻기 위한 것이고, 부력부재(20), 위치고정 브라켓(30), 협지부재(40), 받침대(50), 발판부재(52), 연결 파이프(36)는 모두 신장률이 높고 유연성이 좋은 폴리에틸렌(Polyethylene)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상에서 어류를 양식하기 위해 가두리 양식장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일정한 길이를 갖는 파이프로 된 부력부재(20)를 절곡 및 융착하여 2열 또는 3열을 갖는 사각형태의 가두리틀을 형성한다. 이때, 부력부재(20)를 융착하기 전에 정위치를 위해 위치고정 브라켓(30)을 끼워 결합하되,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부력부재(20)가 위치고정 브라켓(30)의 삽입공(22)으로부터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들 사이에 유동방지편(32)을 끼워 고정한다.
이때, 상기 부력부재(20)는 부력을 얻기위해 내부에 공기를 채우고 양단은 차단캡(20a)으로 막아 내부를 밀폐시킨 것이다.
이상태에서, 상기 부력부재(20)와 부력부재(20)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이들을 협지할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협지부재(40)를 끼워 고정한 다음, 양식장의 관리나 먹이를 주기위해 사용자가 걸어다닐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발판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상기 부력부재(20)사이에 고정된 협지부재(40)의 상부에 형성된 관통구멍(44)과 대응되는 체결공(56)이 형성된 받침대(50)를 부력부재(20)의 가로방향으로 설치한 후, 이들을 체결수단(58)으로 결합하고, 상기 받침대(50)의 상면에는 발판부재(52)를 다수열로 나열하여 체결나사(54)로 조여 결합하면 되는 것이다.
이상태에서, 그믈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상기 위치고정 브라켓(30)상에 결합된 고정부재(28)의 상부몸체(26)에 ' T ' 자형 엘보우(34)와 융착된 연결파이프(36)를 삽입하되, 이는 높이 조절나사(38)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로 조절할 수 있으며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탈거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그믈의 상단을 별도의 구속수단(걸고리나 와이어 등과 같은 것,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을 이용하여 그믈을 설치하게 되면 가두리 양식장의 설치가 완료되는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은 가두리 양식장의 부력부재(20), 위치고정 브라켓(30), 협지부재(40), 받침대(50), 발판부재(52), 연결 파이프(36)는 모두 신장률이 높고 유연성이 좋은 폴리에틸렌(Polyethylene)으로 이루어지고, 부력부재(20)는 양식 규모 및 필요에 따라 2열식 또는 3열식 뿐만 아니라, 4열식, 5열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이하여, 그믈에 양식하고자 하는 어류를 넣어 양식하면 되는 것이며, 이상태에서, 자연재해 즉, 태풍이 발생하게 되더라도 안전하게 어류를 양식할 수 있으므로 근해(近海) 뿐만 아니라 원해(遠海)에서도 양식이 가능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을 적용하면, 가두리 양식장의 구조 및 재질을 개선하여 태풍에 의한 파손 위험성을 최소화 하고 내한성, 내약품성이 향상되고 부식발생이 전혀 없어 반영구적을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해양 환경오염 방지와 인건비 절감 및 소득증대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공 및 조립이 용이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키게 되어 소득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해양에서 그믈을 이용하여 어류를 가두어 양식하는 가두리 양식장에 있어서,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내부에 공기가 저장되고 양단은 캡(20a)으로 밀봉된 파이프로 이루어진 부력부재(20)와;
    상기 부력부재(20)를 구속하기 위해 등간격으로 3열의 삽입공(22)이 형성되고 일측 상면에는 하부몸체(24)와 상부몸체(26)로 이루어진 고정부재(28)가 결합된 위치고정 브라켓(30)과;
    하부 양측단에 상기 부력부재(20)의 외경보다 작은 곡률반경을 갖는 요홈부(42)가 형성되고 상부 중앙에는 관통구멍(44)이 형성된 협지부재(40)와;
    상면에 다수개의 발판부재(52)가 체결나사(54)에 의해 결합되고 양단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는 상기 협지부재(40)의 관통구멍(44)과 대응되는 체결공(56)이 형성된 받침대(5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두리 양식장.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 브라켓(30)의 내측단쪽에 형성된 삽입공(22) 상단에는 상기 고정부재(28)가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개구부(30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두리 양식장.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부재(20)와 위치고정 브라켓(30)의 삽입공(22) 사이에는 이들의 결합 후,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유동방지편(32)이 끼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두리 양식장.
KR2019970019332U 1997-07-22 1997-07-22 가두리 양식장 KR2001567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9332U KR200156742Y1 (ko) 1997-07-22 1997-07-22 가두리 양식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9332U KR200156742Y1 (ko) 1997-07-22 1997-07-22 가두리 양식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5930U KR19990005930U (ko) 1999-02-18
KR200156742Y1 true KR200156742Y1 (ko) 1999-10-01

Family

ID=19506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9332U KR200156742Y1 (ko) 1997-07-22 1997-07-22 가두리 양식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6742Y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0834B1 (ko) * 2000-12-12 2004-03-04 주식회사동원프라스틱 합성수지관을 이용한 조립식 내파성 가두리장치
KR100951180B1 (ko) 2009-06-22 2010-04-06 주식회사 마린코리아 해상 및 내수면 구조물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브라켓
KR100952922B1 (ko) 2010-01-20 2010-04-16 주식회사 마린코리아 해수면 및 내수면 부유용 단위블록 및 이를 이용한 부유 구조체
WO2010128806A2 (ko) * 2009-05-08 2010-11-11 Kim Min Woo 다층 부력 부재의 연결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부력 낚시터
KR200456731Y1 (ko) * 2009-01-08 2011-11-15 (주)에스이에이그린 부력 발판
KR101099448B1 (ko) 2009-12-01 2011-12-27 최연호 부양파이프를 이용한 조립식 부잔교구조물
KR101156566B1 (ko) * 2009-11-17 2012-06-20 (주)대동산업 부교
EP2853156A4 (en) * 2012-05-23 2015-07-15 Ecosea Farming S A FLOTATION AND JUNCTION SYSTEM FOR RIGID, METALLIC AND / OR HIGH WEIGHT MESHES OR NET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1231A (ko) * 2002-11-09 2004-05-17 신승호 합성수지 관을 부력 재로 이용한 부잔 교의 구조와 장치
KR101716711B1 (ko) * 2014-12-10 2017-03-15 (주)청원 부유구조물에 사용되는 브라켓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0834B1 (ko) * 2000-12-12 2004-03-04 주식회사동원프라스틱 합성수지관을 이용한 조립식 내파성 가두리장치
KR200456731Y1 (ko) * 2009-01-08 2011-11-15 (주)에스이에이그린 부력 발판
WO2010128806A2 (ko) * 2009-05-08 2010-11-11 Kim Min Woo 다층 부력 부재의 연결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부력 낚시터
WO2010128806A3 (ko) * 2009-05-08 2011-03-10 Kim Min Woo 다층 부력 부재의 연결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부력 낚시터
KR100951180B1 (ko) 2009-06-22 2010-04-06 주식회사 마린코리아 해상 및 내수면 구조물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브라켓
KR101156566B1 (ko) * 2009-11-17 2012-06-20 (주)대동산업 부교
KR101099448B1 (ko) 2009-12-01 2011-12-27 최연호 부양파이프를 이용한 조립식 부잔교구조물
KR100952922B1 (ko) 2010-01-20 2010-04-16 주식회사 마린코리아 해수면 및 내수면 부유용 단위블록 및 이를 이용한 부유 구조체
EP2853156A4 (en) * 2012-05-23 2015-07-15 Ecosea Farming S A FLOTATION AND JUNCTION SYSTEM FOR RIGID, METALLIC AND / OR HIGH WEIGHT MESHES OR NE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5930U (ko) 1999-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56742Y1 (ko) 가두리 양식장
US20090320766A1 (en) Marine Habitat Systems
US5884585A (en) Underwater high relief fence habitat
US6230646B1 (en) Deep ocean, mid-water farming apparatus
KR102306835B1 (ko) 가두리 해삼 양식장치를 이용한 가두리 양식장
CN114128654B (zh) 近海深水区潮间带式多营养层水产养殖网田及养殖方法
JP2009136167A (ja) 海苔網設置構造
KR200156740Y1 (ko) 가두리 양식장
CN216073239U (zh) 一种用于鱼虾养殖水体净化修复的生态浮岛
KR101613850B1 (ko) 전복 양식용 일렬식 가두리 양식장
KR200195068Y1 (ko) 패류양식장치
KR200468926Y1 (ko) 전복 중간육성용 파형쉘터 구조
JP2007151491A (ja) 海苔養殖網の深さ調整綱の固定器具
KR100353083B1 (ko) 부어초
KR20120006180U (ko) 가두리 양식 브라켓
KR200204969Y1 (ko) 가두리 양식장의 부력장치
KR200358671Y1 (ko) 내구성이 향상된 가두리 양식장용 발판
CN207158915U (zh) 一种有效处理有机污染物的人工生态岛
KR200186723Y1 (ko) 가두리양식장용 부구
CN218634960U (zh) 一种沉水植物种植装置
KR20180044112A (ko) 가두리양식용 그물 고정틀
CN113331103B (zh) 一种笼式双层养殖网箱
KR200227247Y1 (ko) 가두리 양식장용 부구
CN217350921U (zh) 一种实用简易生物浮床
CN220788275U (zh) 一种新型的生态浮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17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