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5120B1 - 제지기크로딩용직물 - Google Patents

제지기크로딩용직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5120B1
KR100305120B1 KR1019980703651A KR19980703651A KR100305120B1 KR 100305120 B1 KR100305120 B1 KR 100305120B1 KR 1019980703651 A KR1019980703651 A KR 1019980703651A KR 19980703651 A KR19980703651 A KR 19980703651A KR 100305120 B1 KR100305120 B1 KR 1003051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yarn
component
papermaker
polyam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3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7624A (ko
Inventor
제프리 스코트 덴톤
다나 버톤 이글스
코너 조세프 제럴드 오
로버트 베르나드 데이비스
Original Assignee
실버 챨스 제이
알바니 인터내셔널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08/710,488 external-priority patent/US5840637A/en
Application filed by 실버 챨스 제이, 알바니 인터내셔널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실버 챨스 제이
Publication of KR199900676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76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5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51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1/00Wet end of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21F1/0027Screen-cloth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36Cored or coated yarns or thread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44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D02G3/447Yarns or threads for specific use in general industrial applications, e.g. as filters or reinforcement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4Heat-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41Heat-responsive characteristics thermoplastic; thermoset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30Woven fabric [i.e., woven strand or strip material]
    • Y10T442/3146Strand material is composed of two or more polymeric materials in physically distinct relationship [e.g., sheath-core, side-by-side, islands-in-sea, fibrils-in-matrix, etc.] or composed of physical blend of chemically different polymeric materials or a physical blend of a polymeric material and a filler material
    • Y10T442/3154Sheath-core multicomponent strand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40Knit fabric [i.e., knit strand or strip material]
    • Y10T442/444Strand is a monofilament composed of two or more polymeric materials in physically distinct relationship [e.g., sheath-core, side-by-side, islands-in-sea, fibrils-in-matrix, etc.] or composed of physical blend of chemically different polymeric materials or a physical blend of a polymeric material and a filler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08Including strand or fiber material which is of specific structural definition
    • Y10T442/627Strand or fiber material is specified as non-linear [e.g., crimped, coiled, etc.]
    • Y10T442/629Composite strand or fiber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08Including strand or fiber material which is of specific structural definition
    • Y10T442/627Strand or fiber material is specified as non-linear [e.g., crimped, coiled, etc.]
    • Y10T442/634A nonwoven fabric having a layer comprising non-linear synthetic polymeric strand or fiber material and a separate and distinct layer comprising strand or fiber material which is not specified as non-linea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37Including strand or fiber material which is a monofilament composed of two or more polymeric materials in physically distinct relationship [e.g., sheath-core, side-by-side, islands-in-sea, fibrils-in-matrix, etc.] or composed of physical blend of chemically different polymeric materials or a physical blend of a polymeric material and a filler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37Including strand or fiber material which is a monofilament composed of two or more polymeric materials in physically distinct relationship [e.g., sheath-core, side-by-side, islands-in-sea, fibrils-in-matrix, etc.] or composed of physical blend of chemically different polymeric materials or a physical blend of a polymeric material and a filler material
    • Y10T442/638Side-by-side multicomponent strand or fiber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37Including strand or fiber material which is a monofilament composed of two or more polymeric materials in physically distinct relationship [e.g., sheath-core, side-by-side, islands-in-sea, fibrils-in-matrix, etc.] or composed of physical blend of chemically different polymeric materials or a physical blend of a polymeric material and a filler material
    • Y10T442/641Sheath-core multicomponent strand or fiber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59Including an additional nonwoven fabr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59Including an additional nonwoven fabric
    • Y10T442/668Separate nonwoven fabric layers comprise chemically different strand or fiber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Woven Fabrics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 Multicomponent Fibers (AREA)
  • Pap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버되어 있는 고계수 필라메느사 재료의방적사 및 이로부터 형성되는 직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고계수 재료의 이점을 발휘하면서, 상기 섬유에 의해 분자 사슬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나타나는 감소 목성을 보완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복합 필라멘트 재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복합 필라멘트사 구조는 고계수 필라멘트사 재료의 제1내부층과 이성분 섬유의 제2외부층으로 이루어지며, 이때 이성분 섬유의 제2외부층은 전체 길이를 따라 고계수 재료의 제1내부층의 둘레를 커버하고 있다. 고계수 재료의 전 표면적이 커버되어 있다.

Description

제지기 크로딩용 직물
제지기 클로딩은 성형부, 압착부 및 건조부에서 제조기에 사용되는 산업용직물을 의미한다. 이는 일반적으로 종래의 큰 규모의 텍스타일 직기(textile looms)를 이용하여 직조된 폴리에스터나 또는 폴리아미드 멀티필라멘트사 또는 모노필아멘트사로 만들어진다. 이러한 직물은 일반적으로 종래의 직조 기술에 의해 만들어져 왔다.
모든 제지기 클로딩(Paper Machine Clothing : 이하 "PMC"라고도 하다)이 가장 중요한 기능은 종이 시트로부터 물을 제거하는 역할이다. 제지기 제조업자 및 제지업자의 제지 공정속도를 증가시키고 종이의 질을 향상시키기 이한 연구 노력, PMC 직물에 있어서 재료 및 직물 구성면에 기술혁신이 요구되는 새로운 장벽에 접해 있다. 또한 PMC 제조업자는 보다 효율적인 PMC 직물 제조 방법을 모색하고 있으며, 기본적인 품질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을 연구하고 있다.
현재, 제지기는 특히 성형부에서 직물 구조물의 두께가 물의 제거 속도에 제한을 가하기 시작하는 정도의 빠른 속도에 도달했다. 불충분한 탈수는 낮은 시트 강도를 초래한다. 시트강도는 시트 특성이 보다 공격적인 시트 탈수 단계를 통해서 전달 및 유지되는데 중요하다. 한 가지 가능한 방법은 제지기의 성형부를 연장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이 방법은 보다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실행 가능성은 제한적이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PMC 제조업자가 보다 얇은 직물을 제조하는 것인데, 이때 직조 공정에서 가능한 가장 작은 치수가 경사와 끝막음 방향에 사용되는 필라멘트사의 직경의 합이 된다. 치수 안정성, 직물 강도 및 직물 수명과 같은 특성을 필라멘트사 직경의 섬도에 실질적인 제한을 가하게 되며, 따라서 직물의 총 두께에 영향을 준다. 많은 PMC의 경우, 이러한 특성의 교환은 현실성이 없거나 실제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실제로는 보다 빠른 제지기 속도가 이러한 특성의 보다 더 큰 향상을 요구하게 된다.
현재 사응되는 것보다 높은 강도의 저중량의 보다 얇은 클로딩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PMC 직물의 표면 형태는 종이 제품의 질을 좌우한다. 종이 시트에 좀더매끄러운 접촉면을 제공하기 위한 노력이 행하여지고 있다. 그러나 PMC 직조직물의 표면의 매끄러움은 직조 패턴으로부터 생기는 형태 및 필라멘트사의 물리적 특성으로 인해 제한을 받게 된다. 직조 직물(또는 니트 직물)의 경우 매끄러움은 교차하는 얀의 교차점에 형성되는 너클(knukle)에 의해 제한받게 된다.
25%보다 높은 인장계수를 나타내는 중합체물질(이하 "고계수물질"이라고도 한다)은 높은 기계적 특성 및 저중량을 필요로 하는 분야에 사용하기 위한 잠재적인 재료이다. 기계적 특성-중량을 기초로 할 때, 고계수 물질은 금속 및 세라믹에 비해 명백한 장점을 가진다.
고계수 물질은 고도로 이방성인 구조를 가지며, 고계수는 분자 사슬 쪽의 방향에서만이 달성된다. 실제로 분자축에 대해 수직인 방향의 특성은 축방향에서의 발휘되는 특성보다 상당히 낮은 수치를 나타낸다. 결과적으로는 낮은 전단 특성 및 압착 특성은 분자 축에 수직인 방향에서 나타난다.
특성에 있어서 불일치를 보완하기 위한 복함 구성이 당해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대표적인 것은 미국특허 No.4,927,698로서, 여기에는 수축 가능한 인조섬유 외장 내에 Kevlar및 Nomex와 같은 내화성 필라멘트사 코어가 내장된 얀이 개시되어 있으며, 이 얀은 제1가교성 수지 사이의 반응을 통해 내화성 코어에 제2 가교성 수지, Kevlar/ Nomex성분 및 인조섬유 성분이 화학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형태이다.
본 발명은 제2얀에 의하여 커버되어 있는 중합체 물질과 같은 고계수 물질(high modulus material)의 얀(yarns)으로 직조된 제지기용 클로딩 (colthing)에 사용되는 직물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의 복합 브레이드 직물이다.
제2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복합 브레이드 직물이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얀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커버되어 있는 고계수 물질의 필라멘트 사 및 이로부터 형성되는 직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고계수 물질의 장점을 발휘함과 동시에 분자 사슬쪽에 수직인 방향에서 상기 직물에 의해 나타나는 감소 특성을 보화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 복합 필라멘트 물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고계수 필라멘트 물질이 두 가지(bicomponent) 필라멘트로 커버되어 있는 복합 필라멘트 구조를 가진다. 이 복합 필라멘트 구조는 고계수 필라멘트 물질로 된 제1 내층과 두 가지 성분 섬유로 된 제2외층으로 이루어지며, 두 가지 성분 섬유로 된 제2외층이 고계수 물질로 된 제1내층 둘레를 그 길이를 따라 커버하고 있다. 고계수 물질의 전 표면적이 커버되어 있다.
본 발명의 두 가지 성분 섬유는 외장-코어 구조를 가질 수도 있고 옆으로 나란한 구조를 가질 수도 있으나, 외장-코어 구조가 바람직하다. 또한 외장 성분은 코어 성분보다 낮은 용융점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합한 두 가지 성분 섬유로는 코폴리에스터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미드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미드와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과 폴리아미드,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아미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과 폴리아미드 및 열가소성 폴리우레탄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같은 외장 코어-코어 배합물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계수(modulus)"는 실온에서 변형되는 표본 재료의 하중 신장 반응(응력 변형 곡선)의 초기 직선 부분의 기울기로 정의되는 인장 계수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고계수 물질은 이론상 25%보다 높은 인장계수를 나타내는 중합체라 할 수 있다. 또한 고계수 중합체는 25GPA 보다 높은 인장 계수를 가지는 것이라고도 할 수 있다(Encyclopedia of Polymer Science 2nd ed. vol 7. pp. 699∼722). 여기서 주목해야 할 것은 고도의 지향성 중합체 구조는 이방성 구조이며, 계수는 분자 사슬쪽 방향의 정도가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므로 다른 방향에서는 계수가 그에 비례해서 감소하게된다.
적합한 고계수 중합체로는 듀퐁(Dupont)사로부터 Kevlar라는 상품명으로 구입 가능한 골리(P-페닐렌테레프탈아미드)와 같은 아라미드, Rhone-Poulenc 사로부터 구입 가능한 및 Kermel, Akzo 사로부터 구입 가능한 Arenka, Dupont 사로부터 구입 가능한 Nomex와 같은 또 다른 아라미드,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p-페닐렌베조비스티아졸), 골리에스터, 유리, 방향족폴리아미드 수지 Arenka(Akzo 사로부터 구입 가능한 아라미드), VectraCelanese) 및 Xydar(Dart)와 같은 굴열성 코폴리에스터, Spectra 900(Allied)와 같은 고계수 폴리에틸렌 섬유 등이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당멉자라면 고계수 내부물질이 커버될 수 있는 여러 가지 방법, 예를 들면 브레이딩 및 랩핑 방법이 있다는 것을 인지하고 있을 것이다. 고계수 내부물질의 둘레에 두 가지 성분 섬유를 브레이딩 함으로써 우수한 안정성을 가지는 구조가 제공된다. 고계수 내부 섬유를 두 가지 성분 섬유재료로 랩핑하는 방법도 또 다른 적합한 방법이다. 섬유는 싱글 커버링 기기 또는 더블 커버링 기기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이 경우 코어 섬유는 선택된 피치에서 나선형으로 커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직물을 제조하는 데에 있어서, 장점은 두 가지 성분 필라멘트사의 특이한 구조를 가진다는 것이다. 외장 성분의 용융점은 코어 성분의 용융점 보다 낮으며, 고계수 내부물질의 용융점보다 낮다. 향상된 구조적 완전성은 직물 내에서 서로 교차하는 얀(yarns)으로부터 형성되는 직물을, 외장의 용융점보다 높으나 코어와 고계수 내부물질의 용융점보다 낮은 온도로 가열시킨 다음 냉각시킴으로써 부여된다. 이 공정(이하 "열융해'라 칭함)은 두 가지 성분 섬유의 외장 성분을 연화된 상태로 들어가게 함으로써, 얀이 외장 재료의 용융점보다 낮은 온도로 냉각될 때 접촉점에서 함께 융해되게 한다. 대부분의 경우, 이 접촉점은 얀이 서로 교차하는 지점이다.
본 발명의 직물의 향상된 안정성으로 인해, 본 발명의 복합 얀으로부터 직조된 단일층 직물은 제지기 상에서 성공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제지기 클로딩이 받게 되는 작동 조건에 잘 견딜 수 있는 단일층 직물을 제조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직물은 요구되는 작동 조건에 잘 견디기 위해 필요한 치수 안정성 및 강도를 가지도록 적어도 2층 이상의 층으로 제조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층 구조물의 탑 적층 구조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이러한 층으로서의 사용이 직물의 표면상의 너클 치수 감소 및 직물의 두께의 감소로 인해 통상적인 종래의 재료에 비해 이점을 제공하게 된다. 너클 치수가 감소됨으로써 보다 매끄러운 직물 표면이 이루어지게 되며, 제지업자에 의해 바람직한 모양을 가지게 된다. 또한 고계수 물질에 의해 갖게 되는 탁월한 인장 특성은 통상적인 직물에 의해 갖게 되는 강도 수준을 얻는 데에 보다 적은 재료가 사용된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고계수 복합 얀을 사용하여 보다 얇은 직물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다층 구조물의 기본층으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이 층의 향상된 치수 안정성은 이것이 사용용도에 매우 적합하도록 해준다. 본 발명에 따르는 직물을 기본 층으로 사용함으로써, 전체적인 직물 제조에 이점을 부여하게 된다. 본 발명의 복합 얀은 얀의 축을 따라 비교적 높은 수준의 강도를 발휘하므로, 본 직물층을 기본 층으로서 사용하게 되면 전체 직물 구조에 요구되는 안정성 및 강도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직물층에 보다 덜 강성인 재료가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제지업자가 다른 층을 제조하기 위해 미세한 데니어(denier)의 섬유를 선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준다. 따라서, 직물은 이러한 방법으로 또한 보다 얇게 제조될 수 있다. 얇은 직물은 배수 특성이 향상되므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얀은 클로딩의 최소한 1층 이상을 구성하는 유일한 성분이다. 다층 클로딩의 경우, 최소한 하나의 층이 본 발명의 얀으로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종이 시트와 접촉하는 표면층을 구성한다. 직물이 단일층이든 다층이든, 두 가지 섬유는 일정한 방식으로 질서정연하게 배치된다. 이렇게 질서정연하게 배치됨은 다음을 의미한다. 즉, 클로딩의 섬유는 제1방향으로 작동되며, 이 제1방향 섬유는 제1방향으로 작동되는 다른 섬유와 교차하지 않는다. 또한 클로딩의 섬유는 제2방향으로 작동되며, 이 제2방향 섬유는 제2방향으로 작동되는 다른 섬유와 교차하지 않는다. 제1방향으로 작동하는 섬유는 제2방향으로 작동하는 섬유와 교차하며, 그 역으로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기계방향으로 배치된 섬유는 서로 교차하지 않고, 기계방향에 수직으로 작동되는 섬유와만 교차하게 된다. 본 발명의 클로딩은 기계방향 또는 기계에 수직인 방향으로 작동되는 섬유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제지기의 기계방향 및 이에 수직인 방향에 대해 비스듬한 방향으로 작동되는 섬유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얀으로 재조된 직물이다. 이 직물은 본 발명의 얀으로 경사와 위사 방향으로 짜여진 편직 직조이다. 제1도에서부터 본 얀은 얀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다른 얀과 상호 연결되어 있음을 관찰할 수 있다. 이는 얀의 열융해에 기인하는 것으로, 두 가지 성분 외장재료의 용융점보다는 높고 코어재료의 용융점보다 낮은 온도로 직물을 가열시킴으로써 두 가지 성분 재료 외장이 서로 융해되는 것이다.
제1도에 도시된 직물의 경사와 위사는 같은 구조를 가진다. 얀의 고계수 내부물질은 약 134 필라멘트사인 Kevlar49이다. 이 Kevlar내부물질 둘레에 8개의 두 가지 성분 얀이 꼬여져 있다. 각각의 얀은 16개의 두 가지 성분 필라멘트사로 구성되어 있다. 필라멘트사는 Kanebo 사의 Bellcouple로서, 250데니어이며 필라멘트수가 16이고, 저용융 코폴리에스터 외장재료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코어를 구비하며, 이때 코폴리에스터 외장재료의 용융점은 PET 코어의 용융점보다 낮다.
Kevlar내부물질 둘레에 8개의 두 가지 성분 얀이 꼬여져 있다. 브레이딩(꼬임)은 비교적 안정한 구조를 형성하며, 커버되어 있는 고계수 얀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물을 제조하는데에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직물은 당해업자에 잘 알려져 있는 방법에 따라 제조된다. 직물을 제조한 후에는 인장하에 놓이게 되고, 외장물질의 용융점보다는 높고 코어의 용융점보다는 낮은 온도로 가열된 다음, 외장물질의 용융점보다 낮은 온도로 냉각된다.
본 발명의 직물의 향상된 안정성으로 인해, 본 발명의 복합 얀으로 직조된 단일층 직물은 제지기상에서 성공적으로 작동될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제지기 클로딩이 받게 되는 작동조건에 잘 견덜 수 있는 단일층 직물을 제조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직물은 요구되는 작동조건에 잘 견디게 하기 위해 필요한 치수 안정성 및 강도를 가지도록 하기 위해 최소한 2층 이상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지기 클로딩은 고계수, 저스트레치 재료에 의해 특성화되기 때문에 직물의 강도 및 치수 안정성이 고계수 물질층에 의해 제공되며, 따라서 단일층 직물도 가능하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의 재료에 의해 제공되는 고도의 강도로 인해 직물을 직조하는데에 보다 상당히 많은 재료를 함유하는 다층 재료와 비교하여 훨씬 높거나 이와 동일한 강도를 부여하면서 보다 적은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단일층 직물 구성의 달성은 PMC 구성에 있어서 획기적인 진전이다. 기계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배수시간이 단축되며, 가능한한 가장 작은 두께를 달성할 수 있는 가능성이 보다 더 커지게 되며, 단일층 직물은 다층 직물보다 얇으므로 배수를 위해 액체가 관통해야 하는 거리가 단축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층 구조물의 탑 적층 구조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층으로서 사용되는 경우 표면상의 평평성이 증가되므로 통상적인 재료에 비해 이점을 제공한다. 평평성의 향상은 안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너클 치수가 감소된 결과이다. 직물의 열융해시에 두 가지 성분 섬유중 저용융 성분이 붕괴되어 유동하게 되어 교차지점의 너클 치수가 감소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층 구조물의 기본층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층의 향상된 치수 안정성은 이것이 그 사용에 매우 적합하도록 할 수 있다. 안정성 및 강도는 고계수 물질로 이루어진 층에 의해 부여되므로, 다른 층에는 미세한 직경을 가지는 물질과 같은 기타 다른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종이 시트 접촉층에 미세한 직경을 가지는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표면의 매끄러움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지기 클로딩의 모양을 바람직하게 할 수 있다.
제2도는 상기 제1도에서 기술한 얀이 경사방향으로 사용된 직물을 도시한 것이다. 위사 방향의 두 가지 성분 재료로 된 9가닥의 재료로 이루어져 있다. 즉, 제1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은 두 가지 성분 재료로 된 9가닥의 얀이다. 이 얀은 느슨하게 함께 뒤틀려 꼬여져 있다. 이 얀은 뚜렷하게 평평한 외관을 가진다. 즉, 열융해후에 얀은 리본과 같은 외관을 취한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르는 복합 얀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Kevlar내부물질이 뚜렷이 구별되는 부분으로 관찰된다. 두 가지 성분 외부물질은 분리되어 있지 않다.
제지기 작동시에 본 발명에 따르는 직물은 통상적인 종래의 모노필라멘트사로 이루어진 클로딩보다 깨끗하게 유지된다. 두 가지 성분 섬유로 구성되는 직물의 열융해된 교차 얀에 의해 부분적으로 특징 지워진다. 이와 대조적으로 종래의 모노필라멘트사는 얀이 교차하는 지점에 틈을 가진다. 두 가지 성분 섬유의 교차점에서의 융해는 이러한 틈을 최소화시키게 되며, 완전제거도 가능하다. 틈은 파편조각이 갇혀있게 되고 초과시간을 생기게 할 수 있는 핀치 부분이다. 따라서 두 가지 성분섬유로 구성되는 열융해 교차 얀은 종래의 모노필라멘트사로 이루어진 클로딩보다 비교적 끼끗하게 유지되는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제지기 클로딩이 종래의 모노필라멘트사로 이루어진 클로딩에 비해 가지는 또다른 이점은 본 클로딩이 종래의 모노필라멘트사로 이루어진 너클이 없는 표면을 가지는 것이다. 직물이 직조되거나 짜여질 때, 표면의 매끄러움을 감소시키는 너클이 형성된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주목해야 할것은 두 가지 성분 섬유를 열융해함으로써 너클 치수가 감소되며, 따라서 표면의 매끄러움이 향상된다는 것이다. 표면의 매끄러움은 종이 질을 좌우하는 요소이다. 따라서 매끄러움이 향상된 클로딩은 종이 및 관련 제풍의 제조업자에게 중요한 관심의 대상이 된다. 교차하는 섬유간의 결합 네트워크는 두 가지 성분 섬유로 이루어진 클로딩의 열융해시에 형성된다. 이러한 종류의 물리적 결합은 종래의 모노필라멘트사로 이루어진 클로딩에 비해 치수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두가지 성분 섬유의 성질 및 이것이 형성하는 유일한 구조로 인해, 종래의 모노필라멘트사를 사용할 때 요구되는 것보다 낮은 데니어의 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낮은 데니어의 섬유의 사용은 직물의 강도를 희생시키지 않으면서 종래의 모노필라멘트사로 이루어진 클로딩보다 얇은 클로딩이 가능하게 되는 이점을 제공한다.

Claims (13)

  1. 제지기의 성형부, 압착부 또는 건조부에 사용하기 위한 직물에 있어서, 상기 직물은 복합얀으로 된 하나 이상의 층을 구비하며, 상기 복합얀은 25% 보다 높은 인장계수를 나타내는 중합체 필라멘트 물질로 된 제1얀과 이 제1얀 외부에 위치하는 제2얀으로 이루어지고, 제2얀은 두 가지 성분 필라멘트 물질이며, 코어성분과 외장성분을 가지며, 상기 두 가지 성분 필라멘트 물질은 제1얀의 둘레를 커버하고 있으며, 상기 복합 얀의 길이를 따라 제1얀을 싸고 있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 클로딩용 직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얀으로 구성된 직물은 짜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 클로딩용 직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얀으로 구성된 직물은 니트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 클로딩용 직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얀은 위사와 경사 방향으로 전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 클로딩용 직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얀은 경사방향으로 전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 클로딩용 직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얀은 위사 방향으로 전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 클로딩용 직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얀의 물질은 25% 보다 높은 인장계수를 나타내는 중합체 필라멘트 물질로 된 폴리아미드, 아라미드,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유리섬유, 굴열성 방향족 코폴리에스터, 폴리(p-페닐렌벤조비스티아졸), 폴리에스터, 폴리에틸렌 섬유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 클로딩용 직물.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가지 성분 필라멘트 물질의 외장-코어 배합물은 코폴리에스터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미드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미드와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과 폴리아미드,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아미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과 폴리아미드 및 열가소성 폴리우레탄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같은 배합물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 클로딩용 직물.
  9. 제1항에 있어서, 다수의 25%보다 높은 인장계수를 나타내는 중합체 필라멘트사가 상기 제1얀의 물질로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 클로딩용 직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가지 성분 필라멘트 물질은 외장-코어 배치를 가지는 다수의 두 가지 성분 필라멘트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 클로딩용 직물.
  11. 제1항에 있어서, 직물은 외장 성분의 용융점보다는 높고 코어 성분의 용융점보다는 낮은 온도로 가열한 다음, 외장성분의 용융점보다 낮은 온도로 냉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 클로딩용 직물.
  12. 제1항에 있어서, 복합 얀은 직물의 형성 이전에 열융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 클로딩용 직물.
  13. 제1항에 있어서, 직물은 단일층 직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 클로딩용 직물.
KR1019980703651A 1996-09-18 1997-09-12 제지기크로딩용직물 KR1003051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710,488 1996-09-18
US8/710,488 1996-09-18
US08/710,488 US5840637A (en) 1996-09-17 1996-09-18 Yarns of covered high modulus material and fabrics formed therefrom
PCT/US1997/016505 WO1998012371A1 (en) 1996-09-18 1997-09-12 Yarns of covered high modulus material and fabrics formed therefro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7624A KR19990067624A (ko) 1999-08-25
KR100305120B1 true KR100305120B1 (ko) 2001-11-30

Family

ID=24854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3651A KR100305120B1 (ko) 1996-09-18 1997-09-12 제지기크로딩용직물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EP (1) EP0906460B1 (ko)
JP (1) JP3477210B2 (ko)
KR (1) KR100305120B1 (ko)
CN (1) CN1096510C (ko)
AT (1) ATE286997T1 (ko)
AU (1) AU716177B2 (ko)
BR (1) BR9706771A (ko)
CA (1) CA2237964C (ko)
DE (1) DE69732234T2 (ko)
ES (1) ES2231892T3 (ko)
MX (1) MX9803908A (ko)
NZ (1) NZ330367A (ko)
WO (1) WO19980123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69535B2 (en) * 2002-11-07 2004-08-03 Albany International Corp. High drainage dimensionallally stable brownstock washer belt design
JP5030380B2 (ja) * 2004-12-27 2012-09-19 ユニチカ株式会社 ロッド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070071960A1 (en) * 2005-09-27 2007-03-29 Eleazer Howell B Moldable fabric with variable constituents
US7294384B2 (en) 2005-09-27 2007-11-13 Milliken & Company Moldable construction incorporating bonding interface
US7378359B2 (en) 2005-09-27 2008-05-27 Eleazer Howell B Moldable fibrous construction incorporating non-woven layers
US7300691B2 (en) 2005-09-27 2007-11-27 Milliken & Company Moldable construction incorporating non-olefin bonding interface
JP4958491B2 (ja) * 2006-07-06 2012-06-20 イチカワ株式会社 抄紙用フェルト
US20080124513A1 (en) 2006-09-11 2008-05-29 Eleazer Howell B Moldable fabric with unidirectional tape yarns
JP5814045B2 (ja) * 2011-08-18 2015-11-17 ユニチカ株式会社 防汚性布帛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2994306B1 (en) 2013-05-06 2018-01-10 Milliken & Company Fiber reinforced structural element
CN104530705B (zh) * 2014-12-09 2018-04-03 四川中升博能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电热网绝缘层的绝缘材料
CN112009054A (zh) * 2019-05-28 2020-12-01 霍尼韦尔特性材料和技术(中国)有限公司 一种复合片材及其制备方法与应用
WO2022162717A1 (ja) * 2021-01-26 2022-08-04 豊 備酒 縫製糸及び縫製糸の加工方法
CN115956739A (zh) * 2023-01-28 2023-04-14 安踏(中国)有限公司 一种鞋底复合加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56537A (ja) * 1987-10-02 1989-06-20 Stamicarbon Bv 低摩擦係数を有するポリマーフィラメントまたはヤーンと高摩擦係数を有するフィラメントまたはヤーンとの組合わせおよびその使用
JPH01246434A (ja) * 1988-03-22 1989-10-02 Nippon Pillar Packing Co Ltd 複合線状体及びその製造方法
US4927698A (en) * 1989-03-15 1990-05-22 Springs Industries, Inc. Pucker and shrink resistant flame retardant fabric formed of corespun yarns
DE69530971T2 (de) * 1994-11-23 2004-05-13 Bba Nonwovens Simpsonville, Inc. Ausdehnbare verbundvliesstoffe
US5527597A (en) * 1995-03-01 1996-06-18 Southern Mills, Inc. Stretchable flame resistant fabric
US5549967A (en) * 1995-05-04 1996-08-27 Huyck Licensco, Inc. Papermakers' press fabric with increased contact area
US5617903A (en) * 1996-03-04 1997-04-08 Bowen, Jr.; David Papermaker's fabric containing multipolymeric filam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732234D1 (de) 2005-02-17
CA2237964C (en) 2001-12-04
ES2231892T3 (es) 2005-05-16
EP0906460A4 (en) 2000-01-19
DE69732234T2 (de) 2005-06-23
AU716177B2 (en) 2000-02-17
JP2000501796A (ja) 2000-02-15
CN1096510C (zh) 2002-12-18
KR19990067624A (ko) 1999-08-25
JP3477210B2 (ja) 2003-12-10
MX9803908A (es) 1998-09-30
EP0906460B1 (en) 2005-01-12
NZ330367A (en) 1999-08-30
CN1207144A (zh) 1999-02-03
CA2237964A1 (en) 1998-03-26
AU4484297A (en) 1998-04-14
EP0906460A1 (en) 1999-04-07
ATE286997T1 (de) 2005-01-15
WO1998012371A1 (en) 1998-03-26
BR9706771A (pt) 1999-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40637A (en) Yarns of covered high modulus material and fabrics formed therefrom
KR100305120B1 (ko) 제지기크로딩용직물
US4159618A (en) Composite yarn
US5688594A (en) Hybrid yarn
US5116478A (en) Extendable and heat shrinkable polyester mono-filament for endless fabric
KR100851628B1 (ko) 그루브를 구비한 이형단면 모노필라멘트 및 그로부터제조된 직물
US5617903A (en) Papermaker's fabric containing multipolymeric filaments
US5597646A (en) Polymeric cable and fabric made therefrom
KR20120007173A (ko) 권축성이 우수한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이성분 중공필라멘트 및 그 제조방법
JPH05272020A (ja) 結合した糸束、その製法、およびそれから得られる繊維シート材料
KR100829480B1 (ko) 잠재권축형 폴리에스테르 2성분 복합사 및 그의 제조방법
US6403196B1 (en) Rigid fiber network structures having improved post-yield dimensional recovery, method of making same, and articles incorporating same
RU2337187C2 (ru) Многослойная ткань
KR20170130167A (ko) 잠재권축성을 가지는 이형단면 중공복합섬유 및 이를 이용한 섬유집합체
CN1111931A (zh) 鱼竿及其制造方法
WO2023195397A1 (ja) 人工血管
JP4822779B2 (ja) 太さ斑を有する非融着加工糸
JP3531531B2 (ja) 長・短繊維複合糸およびその糸を用いた織編物
KR940004699B1 (ko) 촉감이 유연한 고밀도 직물의 제조방법
JP3472112B2 (ja) 異形断面混繊糸
JP2008255534A (ja) 被覆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7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