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3684B1 - 표시소자의 구동회로 및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표시소자의 구동회로 및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3684B1
KR100303684B1 KR1019980040540A KR19980040540A KR100303684B1 KR 100303684 B1 KR100303684 B1 KR 100303684B1 KR 1019980040540 A KR1019980040540 A KR 1019980040540A KR 19980040540 A KR19980040540 A KR 19980040540A KR 100303684 B1 KR100303684 B1 KR 1003036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circuit
driving
power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0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0246A (ko
Inventor
다카유키 나카니시
Original Assignee
가시오 가즈오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 가즈오,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시오 가즈오
Publication of KR19990030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02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3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36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96Generation of voltages supplied to electrode driv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43Details of the generation of driving signals
    • G09G2310/0245Clearing or presetting the whole screen independently of waveforms, e.g. on power-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4Display protec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74Details of drivers for scan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8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소자의 구동회로와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스위치제어회로(213)는 전압(VCH)으로 동작하고 통상동작시는 전하운반용 콘덴서(CC)의 축적전하를 승압용 콘덴서(C2∼C4)에 분배함으로써, 전원전압(VDD)보다 높은 승압전압(V2∼V4)을 생성하고, 신호구동회로 및 주사구동회로는 VDD 및 V1∼V4 중에서 적당히 선택한 전압을 액정표시소자에 인가하여 구동하며, 전원이 절단되어 전원전압(VDD)이 저하하면 전원전압검출회로(30)가 이것을 검출하여 스위치(SW9)가 ON하고, 또 스위치제어회로(213)는 콘덴서(CG)의 축적전하로 동작하여 스위치(SW1∼SW8)를 모두 ON하며, 따라서 콘덴서(CG 및 C1∼C4)의 축적전하가 방전되고 전원회로(21)의 출력전압이 모두 접지전압(VSS)으로 되어 휘선 등의 이상한 표시가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표시소자의 구동회로 및 구동방법
본 발명은 표시소자의 구동회로와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고, 특히 전원절단(OFF)시에 본래 표시하지 않을 휘선, 휘점 등의 부적절한 표시를 방지할 수 있는 구동회로 빛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표시소자는 전지 등의 전원으로부터 공급된 전원전압보다 높은 전압으로 구동된다. 그 때문에 표시소자의 구동회로는 전지 등의 전원전압을 미리 정한 높은 전압으로 승압하기 위한 승압회로를 구비하고 있다. 또 표시소자를 시분할구동하기 위해 주사전극과 신호전극에 공급하는 주사전압과 신호전압과는 다른 전압값을 가진 복수의 전압으로 형성된다. 그 때문에 상기 구동회로에는 전압값이 다른 복수의 출력전압을 가진 전원회로가 이용되고 있다.
복수의 출력을 가진 상기 전원회로로서는 전원전압을 다른 전압값의 복수의 전압으로 승압하여 출력하는 승압회로, 또는 미리 승압된 높은 전압을 다른 전압값의 복수의 전압으로 분압하여 출력하는 분압회로가 이용되고 있다. 이들의 승압회로로서는 복수의 콘덴서를 이용하고, 이들의 콘덴서에 충전된 전압을 가산하도록 그들의 접속을 전환함으로써 승압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또 분압회로로서는 저항기 또는 콘덴서의 직렬회로에 의해 전원전압을 분압하는 것 등이 알려져 있다.
표시소자의 구동회로에 이용되는 상기 승압회로, 또는 분압회로는 소비전력을 저감하기 위해 콘덴서를 이용한 것이 적합하다.
또 상기 전원회로의 각 출력선에는 출력하는 전압의 안정 등을 위해 복수의 콘덴서를 구비하고 있다.
종래의 구동회로에서는 전원이 절단된 경우에 상기한 구동회로에 설치된 콘덴서에 남아있는 전하가 표시소자에 공급되고 표시부가 이상점등하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면 전원OFF직후는 각종 스위치가 불안정한 상태로 되기 때문에 각 콘덴서에 축적되어 있는 전하가 불안정하게 ON한 스위치를 통하여 표시소자에 인가되어 표시소자에 휘선이나 휘점을 표시시키고 이 불필요표시는 상기 콘덴서에 축적된 전하가 방전하기까지 유지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전원의 절단에 기인하는 이상표시를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전원OFF시에 표시소자의 표시를 적절히 종료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관련되는 표시소자의 구동회로는,
전력의 공급을 받아서 표시소자(10)를 구동하는 구동전압(V1∼V4)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구동전압생성수단(21)과,
상기 구동전압생성수단(21)이 출력한 구동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표시소자(10)를 구동하는 구동수단(23, 25, 27)과,
상기 구동전압생성수단(21)에 대한 전력의 공급의 정지를 검출하고, 상기 구동전압생성수단(21)과 상기 구동수단(23, 25, 27)의 적어도 한쪽에 상기 표시소자(10)의 표시를 비점등상태로 제어하도록 정해진 전원절단시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한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전원절단검출수단(3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구동전압생성수단(21)과 구동수단(23, 25, 27)의 적어도 어느 쪽인가 한쪽은 구동전압생성수단(21)에 대한 전력의 공급이 정지된 경우 표시소자(10)의 표시를 비점등상태로 하기 위한 소정의 처리를 실시한다. 이 때문에 전원이 OFF된 후 표시소자에 대한 이상한 휘선, 휘점 등의 생성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전력을 축적하는 축적수단(CG)을 또한 구비한 경우 상기 구동전압생성수단(21)과 상기 구동수단(23, 25, 27)의 적어도 한쪽은 전원절단검출수단(30)의 검출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수단(CG)에 축적되어 있는 전력을 이용해서 상기 미리 정해진 전원절단시처리를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축적수단(CG)에 의해 축적된 전력을 이용하여 소정의 처리를 실행하기 위해 축적전하를 소비하고 축적전하에 의한 이상표시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축적수단 자체는 표시소자의 구동에 본래 필요한 것이며 축적수단을 새롭게 설치할 필요도 없다.
또 전원절단시에 있어서의 이상표시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구동전압생성수단(21)은 상기 전원절단검출수단(30)의 검출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표시소자(10)의 표시를 비점등상태로 하기 위한 복수의 전압을 생성하여 출력시키는 전원절단시처리수단(213, SW1∼SW9)을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상기 구동전압생성수단(21)은 예를 들면 전력의 공급을 받아서 공급된 전력에 의해 충전되는 콘덴서(C1∼C4, C11∼C14)와, 해당 콘덴서에 충전된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표시소자(10)를 동작시키는 복수의 구동전압을 생성하기 위한 제어수단(213)을 구비해도 좋다.
또 상기 제어수단(213)은 상기 전원절단검출수단(30)의 검출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콘덴서의 전하를 방전시키도록 제어하는 방전제어수단을 포함해도 좋다.
이 경우 상기 방전제어수단은 상기 콘덴서(C1∼C4, C11∼C14)의 양단간을 단락 또는 저항성 부하를 통하여 단락함으로써, 상기 콘덴서의 전하를 방전시켜도 좋다. 이에 의해 이상표시의 원인으로 되는 축적전하 자체를 제거할 수 있다.
또 상기 제어수단(213)은 상기 전원절단검출수단(30)으로부터의 검출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콘덴서의 적어도 일단의 전압을 소정 전압으로 고정해도 좋다. 이에 의해 이상표시의 원인으로 되는 축적전하 자체를 제거할 수 있다.
또 상기 구동전압생성수단(21)이 공급된 전압을 승압한 승압전압(V1∼V4)을 상기 구동전압으로서 출력하는 승압수단(213, SW1∼SW8, C1∼C4)을 구비하는 경우에는 상기 전원절단검출수단(30)으로부터의 검출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승압수단(213, SW1∼SW8, C1∼C4)을 제어해서 상기 승압전압의 출력을 정지시키는 제어수단 또는 저하시키는 제어수단을 구비해도 좋다.
상기 구동전압생성수단(21)이 공급된 전압을 승압하여 출력하는 승압수단(212)과, 상기 승압수단(212)의 출력전압을 복수의 전압으로 분압하여 출력하고, 상기 전원절단검출수단(30)으로부터의 검출신호에 응답하여 그 출력을 정지시키는 수단(235, SW11∼SW22, C11∼C13)을 갖는 분압수단(230)을 구비하는 경우에는 분압전압의 출력을 정지시켜도 좋다.
또 상기 구동전압생성수단(21)이 공급된 전압을 승압하여 출력하는 승압수단(212)과, 상기 승압수단(212)의 출력전압을 복수의 전압으로 분압하여 출력하고, 상기 전원절단검출수단(30)으로부터의 검출신호에 응답하여 그 출력을 저하시키는 수단(235, SW11∼SW22, C11∼C13)을 갖는 분압수단(230)을 구비하는 경우에는 분압전압의 출력을 저하시켜도 좋다.
상기 구동수단(23, 25, 27)은 상기 전원절단검출수단(30)의 검출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표시소자(10)의 표시를 비점등상태로 하는 전압을 생성해서 상기 표시소자(10)에 공급하는 전원절단시처리수단(G1∼G4)을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또 상기 표시소자(10)가 대향하는 2개의 전극간에 인가되는 전압이 상한값 이상인 때에 점등하는 상한값특성을 갖는 경우,
상기 구동수단(23, 25, 27)은 상기 전원절단검출수단(30)의 검출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상한값 미만의 전압을 상기 표시소자(10)의 상기 대향하는 2개의 전극간에 인가해도 좋다. 이에 의해 전원절단시에 있어서 상기 액정소자(10)의 대향하는 2개의 전극간에는 액정표시소자(10)가 점등하지 않는 정도의 전압이 인가되기 때문에 표시소자의 표시는 비점등상태로 된다. 이 때문에 표시소자에 대한 이상한 휘선, 휘점 등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구동전압생성수단(21)은 상기 전원절단검출수단(30)에 의한 전원공급의 정지의 검출에 응답하여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을 저하시키는 수단(R2, SW10)을 구비해도 좋다.
또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관련되는 표시소자의 구동방법은,
콘덴서(CG)에 모아진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표시소자(10)를 구동하는 구동방법에 있어서,
전력의 공급이 끊어진 것을 검출했을 때에 콘덴서(CG)에 축적된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상기 표시소자(10)의 표시동작을 정상으로 종료시키기 위한 소정의 종료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이상표시의 원인으로 되는 콘덴서에 축적된 전기에너지를 방전시키거나, 표시소자를 비점등상태로 하기 위한 구동전압을 인가하는 등의 종료처리를 실시하여 표시소자의 표시동작을 정상으로 종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액정표시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전원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전원전압검출회로의 회로도.
도 4는 도 2에 나타내는 스위치(SW1∼SW8)의 ON·OFF의 타이밍을 나타내는 타이밍챠트.
도 5는 도 2에 나타내는 전원회로의 변형예.
도 6은 도 5에 나타내는 스위치(SW1∼SW8)의 ON·OFF의 타이밍을 나타내는 타이밍챠트.
도 7a는 도 1에 나타내는 신호구동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7b는 도 7a에 나타내는 신호구동회로의 입력신호와 출력신호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8a는 도 1에 나타내는 주사구동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8b는 도 8a에 나타내는 주사구동회로의 입력신호와 출력신호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전원절단시에 전원전압을 저하시키기 위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a는 전원절단시에 승압회로의 승압전압을 저하시키기 위해 클록신호의 주파수를 저감하기 위한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블록도.
도 10b는 전원절단시에 클록주파수를 저감시키는 모양을 나타내는 타이밍챠트.
도 11은 표시ON/OFF용 레지스터를 구비하는 구동용 LSI를 사용하는 경우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액정표시소자 11: 신호전극
13: 주사전극 15: 액정층
20: 구동회로 21: 전원회로
23: 신호구동회로 25: 주사구동회로
27: 타이밍회로 30, 211: 전원전압검출회로
81: 주파수전환회로 91: 코맨드발행부
92: LSI내부의 제어부 93: 표시ON/OFF용 레지스터
94: 표시제어부 210: 승압회로
212: 승압부 213: 스위치제어회로
215: 전압폴로어증폭기 220: 저전압회로
221: 정전압회로 230: 분압회로
231: 신호전극구동블록 235: 분압용 스위치제어회로
251: 주사전극구동블록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련되는 액정표시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액정표시장치는: 액정표시소자(10)와; 이 액정표시소자(10)를 구동하는 구동회로(20)와; 구동회로(20)에 공급되는 전원전압을 검출하여 구동회로(2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원전압검출회로(30)로 구성되어 있다.
액정표시소자(10)는 도 1에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신호전극(세그먼트전극)(11)과; 신호전극(11)에 직교하여 배치된 복수의 주사전극(코먼라인)(13)과; 신호전극(11)과 주사전극(13)의 사이에 배치된 액정층(15)을 구비하고, 신호전극(11)과 주사전극(13)의 사이에 인가되는 전압에 따른 표시를 실시한다.
구동회로(20)는: 액정표시소자(10)를 구동 및 제어하기 위한 회로이며, 도 1에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전압을 발생하여 출력하는 전원회로(21)와; 전원회로(21)로부터 출력된 복수의 전압을 선택하여 액정표시소자(10)의 복수의 신호전극(11)에 신호전압을 공급하는 신호구동회로(23)와; 전원회로(21)로부터 출력된 복수의 전압을 선택하여 복수의 주사전극(13)에 주사전압을 공급하는 주사구동회로(25)와; 상기의 각 회로에 복수의 타이밍제어신호를 공급하는 타이밍회로(27)로 구성되고 예를 들면 LSI화되어 있다.
전원회로(21)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급된 전원전압을 승압한 복수의 전압을 발생하는 승압회로(210)와; 신호구동회로(23)와; 주사구동회로(25)와; 전원회로(21) 등의 논리회로를 동작시키기 위한 동작전압을 발생하는 저전압회로(220)로 구성된다.
승압회로(210)는 전력의 공급을 받아서 액정표시장치(10)를 구동하기 위한 전압을 생성하기 위한 것이며,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서 복수의 스위치의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제어회로(213)와; 스위치제어회로(213)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개폐제어되는 스위치군(SW1∼SW9)과; 스위치군(SW1∼SW9)의 개폐에 의해서 접속이 전환되는 승압용 콘덴서(C1∼C4), 전하운반용 CC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기준전압(VREF)이 입력되어 콘덴서(C1∼C4, CC)에 충전하기 위한 전압(V0)을 출력하는 전압폴로어증폭기(215)로 구성되고,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기준전압(VREF)에 동등한 전압(V1)과, 전원전압(VDD)을 승압한 전압(V2∼V4(V4>V3>V2>VDD>V1))을 출력한다.
전원전압검출회로(3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전압(VDD)과 접지전압(VSS )의 전위차를 검출하고 검출한 전위차가 기준레벨 이하로 되었을 때에 전원절단신호를 출력한다. 이 전원전압검출회로(30)는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성되고,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직류전원전압(VDD)(정확하게는 VDD-VSS)이 기준레벨 이하로 되었을 때에 하이레벨의 전원절단신호(Soff)를 출력한다.
도 3에 나타내는 회로구성의 경우 VDD-VSS가 N채널MOS트랜지스터(N1)의 상한값전압보다 높을 때는 N채널MOS트랜지스터(N1)가 ON한다. 따라서 저항(R1)과 N채널MOS트랜지스터(N1)의 드레인과의 노드(A1)의 전압은 대략 접지전압(VSS)이며, P채널MOS트랜지스터(P1)가 ON하고 N채널MOS트랜지스터(N2)가 OFF하여, P채널MOS트랜지스터(P1)와 N채널MOS트랜지스터(N2)와의 노드(A2)의 전압은 하이레벨로 된다. 따라서 인버터(INV)의 출력은 로우레벨로 되고 이것이 레벨시프터(LS)에 의해 레벨시프트되어 출력된다.
한편 전원의 공급의 정지 등에 의해 전원전압(VDD)이 저하하면 VDD-VSS가 저하하고, N채널MOS트랜지스터(N1)의 상한값전압보다 낮아지면 N채널MOS트랜지스터(N1)가 OFF한다. 따라서 노드(A1)의 전압이 대략 VDD로 되어 P채널MOS트랜지스터(P1)가 OFF하고 N채널MOS트랜지스터(N2)가 ON하여 노드(A1)의 전압은 로우레벨로 된다. 따라서 인버터(INV)의 출력은 하이레벨로 되고 이것이 레벨시프터(LS)에 의해 레벨시프트되어 출력된다.
따라서 도 3의 전원전압검출회로(30)는 통상시는 로우레벨의 전원절단신호(Soff)를 출력하고 전원절단시 등에 하이레벨의 전원절단신호(Soff)를 출력하는 전원절단검출회로로서 기능한다.
전압폴로어증폭기(215)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기준전압(VREF)을 전압폴로어증폭하고 전압(V0)으로서 출력한다. 이 전압(V0)은 후술하는 승압출력의 기준전압으로 된다.
스위치(SW9)는 N채널MOS트랜지스터 등으로 구성되고 전원전압검출회로(30)가 출력하는 하이레벨의 전원절단신호(Soff)에 응답하여 ON하고 전압(V0)을 접지전압(VSS)으로 풀다운한다.
스위치제어회로(213)는 통상시는 타이밍회로(27)로부터의 기준클록에 따라서 반도체스위치 등으로 구성되는 스위치(SW1∼SW8)를 도 4에 나타내는 통상동작기간(Ton)의 타임시퀀스로 ON·OFF하고 콘덴서(CC, C1∼C4)의 접속관계를 전환해서 승압전압(V2∼V4)을 생성하여 출력한다.
또 스위치제어회로(213)는 전원전압검출회로(30)가 전원절단을 나타내는 하이레벨의 전원절단신호(Soff)를 출력하면 도 4에 나타내는 종료처리기간(Toff)의 타임시퀀스로 스위치(SW1∼SW8)를 ON시키는 신호를 출력한다.
스위치제어회로(213)의 동작전압은 저전압회로(220)의 후술하는 안정화콘덴서(CG)의 양단의 전압(충전전압)으로부터 공급되고, 스위치제어회로(213)는 전원전압(VDD)이 끊어져도 안정화콘덴서(CG)에 충전되어 있는 전기에너지에 의해 잠시동안 동작한다.
저전압회로(220)는 전원전압(VDD)을 일정전압(VCH)으로 강압하여 출력하는 스위칭레귤레이터 등의 정전압회로(221)와, 정전압회로(221)의 출력단과 접지전압(VSS)의 사이에 접속된 안정화콘덴서(CG)로 구성된다.
저전압회로(220)는 고전압을 필요로 하지 않는 논리회로 등에 저전압의 구동전압을 공급하는 것이며 이 구동회로(20)의 소비전력을 저감하고 있다.
또 저전압회로(220)의 안정화콘덴서(CG)는 전하를 축적하고 전원절단시에 액정표시소자(10)를 비점등상태로 하기 위한 종료동작을 실시하기 위한 전원으로서 기능한다.
도 1의 타이밍회로(27)는 구동회로(20) 전체의 동작타이밍을 제어한다. 타이밍제어회로(27)는 저전압(VCH)으로 동작하고 기준클록을 스위치제어회로(213)에 공급하는 동시에 주사전극(13)에 인가하는 주사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2비트의 전압전환신호(Sc와 Sd)를 생성하여 주사구동회로(25)에 공급한다.
다음으로 이와 같이 구성된 액정표시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통상동작시는 구동회로(20)에는 전원전압(VDD)이 공급되고, 전원전압검출회로(30)는 로우레벨의 전원절단신호(Soff)를 출력한다. 스위치제어회로(213)는 이 로우레벨의 전원절단신호(Soff)와 타이밍회로(27)로부터 공급되는 클록신호에 따라서 도 4의 통상동작기간(Ton)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선 스위치(SW1과 SW2)를 ON 한다. 그러면 전원전압(VDD)과 기준전압(V1(=V0))이 전하운반용 콘덴서(CC)에 인가되고 전하운반용 콘덴서(CC)가 대략 전압(VDD-V1)으로 충전된다.
다음으로 스위치제어회로(213)는 스위치(SW1과 SW2)를 OFF하고 스위치(SW3과 SW4)를 ON한다. 이로부터 전하운반용 콘덴서(CC)와 승압용 콘덴서(C1)의 직렬회로에 승압용 콘덴서(C2)가 병렬로 접속된다. 승압용 콘덴서(C1)의 양단의 전압은 VDD-V1이며, 승압용 콘덴서(C2)는 대략 전압(2·(VDD-V1))으로 충전된다.
다음으로 스위치제어회로(213)는 스위치(SW3과 SW4)를 OFF하고 스위치(SW5와 SW6)를 ON한다. 이에 의해 전하운반용 콘덴서(CC)와 승압용 콘덴서(C2)의 직렬회로에 승압용 콘덴서(C3)가 병렬로 접속된다. 따라서 승압용 콘덴서(C3)는 대략 전압(3·(VDD-V1))으로 충전된다.
다음으로 스위치제어회로(213)는 스위치(SW5와 SW6)를 OFF하고 스위치(SW7과 SW8)를 ON한다. 이에 의해 전하운반용 콘덴서(CC)와 승압용 콘덴서(C3)의 직렬회로에 승압용 콘덴서(C4)가 병렬로 접속된다. 따라서 승압용 콘덴서(C4)는 대략 전압(4·(VDD-V1))으로 충전된다.
이와 같은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스위치(SW1과 SW2)를 ON했을 때에 전압(VDD-V1)으로 전하운반용 콘덴서(CC)에 축적한 전하를 승압용 콘덴서(C2∼C4)에 차례로 분배한다.
이 동작을 반복하여 실시함으로써 승압용 콘덴서(C2∼C4)에 전하가 축적되고 전원전압(VDD)이 승압된 전압(V2(2·VDD-V0), V3(3·VDD-2·V0), V4(4·VDD-3·V0))이 출력된다.
신호구동회로(23)는 표시화상의 각 화소의 계조를 나타내는 화상신호(Sa, Sb)에 따라서 전압(VDD, V2, V4)의 어느 쪽인가를 선택하여 각 신호전극(11)에 인가한다.
주사구동회로(25)는 타이밍회로(27)로부터의 전압전환신호(Sc, Sd)에 따라서 전압(VDD, V3, V4, V1)의 어느 쪽인가를 선택하고, 선택상태의 주사전극(13)에 미리 정해진 파형의 선택신호를 비선택상태의 주사전극(13)에 미리 정해진 파형의 비선택신호를 각각 인가한다.
이와 같이 하여 통상동작시에는 구동회로(20)는 전하운반용 콘덴서(CC), 승압용 C1∼C4 및 CG에 충전한 전압을 이용하여 화상신호(Sa, Sb)에 의해 정의되는 화상을 액정표시소자(10)에 표시한다.
전원전압(VDD)이 차단(OFF)된 경우 전원라인의 전압은 VDD로부터 저하한다. 전원라인의 전압이 기준레벨까지 저하하면 전원전압검출회로(30)는 이것을 검출하고 하이레벨의 전원절단신호(Soff)를 출력한다.
하이레벨의 전원절단신호(Soff)에 응답하여 스위치(SW9)가 ON하고 전압(V0 및 V1)은 접지전위(VSS)로 단락된다.
스위치제어회로(213)는 전원전압(VDD)이 차단되어도 안정화콘덴서(CG)에 축적된 전하(전기에너지)에 의해 동작하고 곧바로는 동작을 정지하지 않는다. 따라서 스위치제어회로(213)는 하이레벨의 전원절단신호(Soff)에 응답하여 도 4의 종료처리기간(Toff)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위치(SW1∼SW8)를 ON한다.
이 스위치(SW1∼SW8)가 ON인 상태는 안정화콘덴서(CG)에 축적된 전하가 스위치제어회로(213) 등의 동작에 의해 방전되고 스위치제어회로(213)의 동작전압보다 저하되기까지의 동안 유지된다. 이 동안 스위치(SW1과 SW9)가 모두 ON하기 때문에 전압(VDD, V0∼V4)은 접지전위(VSS)로 단락되어 급격히 저하하고 전하운반용 콘덴서(C1∼C4), 승압용 CC의 축적전하는 거의 모두 방전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는 통상시는 콘덴서(C1∼C4, CC, CG)를 이용하여 동작을 실시하고, 전원차단시에는 콘덴서(CG)에 축적된 전하(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액정표시소자(10)의 표시를 적절히 종료시키기 위한 종료처리를 실시한다.
즉 콘덴서(CG)를 전원으로 하여 콘덴서(CC, C1∼C4)의 축적전하를 방전시킴으로써 이상표시(휘선·휘점 등)의 원인으로 되는 전하 자체를 제거하고, 또한 승압회로(210)의 승압동작을 정지시켜서 출력전압을 접지전압(VSS)으로 고정하여 고전압이 액정표시소자(10)에 인가되는 가능성을 저감한다. 따라서 표시화면에 휘점이나 휘선이 표시되는 등의 콘덴서의 축적전하나 승압전압에 의한 부적절한 표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전원회로(21)는 전원전압(VDD)을 콘덴서를 이용하여 복수의 단계의 전압으로 승압함으로써 구동전압(V1∼V4)을 출력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전원전압(VDD)을 승압하여 승압전압을 생성하고 생성한 승압전압을 콘덴서를 이용하여 분압하고 분압한 전압을 구동전압으로서 출력하는 전원회로에 적용해도 좋다.
이 경우 전원회로는 예를 들면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원전압검출회로(30)와, 승압부(212)와, 저전압회로(220)와 분압회로(230)로 구성되고, 구동전압(V 14, V13, V12, V11(V14>V13>V12>V11))과 기준전압(V0(V11>V0))을 출력한다.
도 5에 나타내는 전원전압검출회로(30)와 저전압회로(220)의 구성은 상기한 전원전압검출회로(30)와 저전압회로(220)의 구성과 대략 동일하다.
승압부(212)는 통상 알려진 구성을 가지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전압(VDD)을 승압하고 승압전압(Vpr)을 분압회로(230)에 공급한다.
분압회로(230)는 승압부(212)로부터 공급되는 승압전압(Vpr)으로부터 구동전압(V14, V13, V12, V11)을 생성하고, 또한 구동전압의 기준으로 되는 기준전압(V0)을 생성하여 출력한다. 이 분압회로(230)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분압용 스위치제어회로(235)와, 전하반송콘덴서(CC1)와, 전하축적용 콘덴서(C11∼C13)와, 전압폴로어회로(VF1∼VF4)와, 스위치군(SW11∼SW22)으로 구성된다.
분압용 스위치제어회로(235)는 통상시는 외부로부터의 클록신호에 따라서 반도체스위치 등으로 구성되는 스위치군(SW11∼SW18)을 도 6의 통상동작기간(Ton)에 나타내는 타이밍시퀀스로 ON·OFF하고 콘덴서(CC1, C11∼C13)의 접속관계를 전환한다.
또 분압용 스위치제어회로(235)는 전원전압검출회로(30)가 전원절단을 나타내는 하이레벨의 전원절단신호(Soff)를 출력하면 도 6의 종료처리기간(Toff)에 나타내는 타이밍시퀀스로 스위치(SW11∼SW18)를 ON시키는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분압용 스위치제어회로(235)는 전원전압(VDD)이 끊어져도 안정화콘덴서(CG)에 충전되어 있는 전기에너지에 의해 잠시동안 동작한다.
전하반송콘덴서(CC1)는 스위치군(SW11∼SW18)의 개폐에 의해 전하축적용 콘덴서(C11∼C13)와의 접속을 차례로 전환하고 전하축적용 콘덴서(C11∼ C13)에 전하를 공급한다.
전하축적용 콘덴서(C11∼C13)는 전하반송콘덴서(CC1)로부터 공급된 전하를 축적하고 대응하는 전압폴로어회로(VF1∼VF3)에 공급한다.
예를 들면 각 콘덴서의 정전용량이 동등하다고 하면 각 전하축적용 콘덴서(C11, C12, C13)는 약 1 : 2 : 3의 전압비로 전하를 축적하고 대응하는 전압폴로어회로(VF1∼VF3)에 공급한다.
전압폴로어회로(VF1∼VF3)는 각각 대응하는 전하축적용 콘덴서(C11∼C13)로부터의 출력전압을 1배로 증폭(임피던스변환)하고 구동전압(V11∼V13)으로서 출력한다. 또 전압폴로어회로(VF4)는 승압부(212)로부터의 승압전압(Vpr)을 1배로 증폭(임피던스변환)하여 구동전압(V14)으로서 출력한다.
스위치(SW19∼SW22)는 N채널MOS트랜지스터 등으로 구성되고 전원전압검출회로(30)가 출력하는 하이레벨의 전원절단신호(Soff)에 응답하여 ON하고 전압(V11, V12, V13)을 기준전압(V0)으로 풀다운한다.
다음으로 이와 같이 구성된 전원회로의 동작을 설명한다.
통상동작시는 전원회로에 전원전압(VDD)이 공급된다. 공급된 전원전압(VDD)은 승압부(212)에 의해 승압되고 승압전압(Vpr)으로서 분압회로(230)에 공급된다.
전원전압검출회로(30)는 로우레벨의 전원절단신호(Soff)를 출력한다. 분압용 스위치제어회로(235)는 이 로우레벨의 전원절단신호(Soff)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클록신호에 따라서 도 6의 통상동작기간(Ton)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선 스위치(SW11과 SW12)를 ON한다. 그러면 전하반송콘덴서(CC1)와 전하축적용 콘덴서(C13)가 직렬로 접속된다. 따라서 전하축적용 콘덴서(C13)는 승압전압(Vpr)을 전하반송콘덴서(CC1)와 전하축적용 콘덴서(C13)의 용량비에 따라서 분할한 전압으로 충전된다.
다음으로 분압용 스위치제어회로(235)는 스위치(SW11과 SW12)를 OFF하고 스위치(SW17과 SW18)를 ON한다. 이에 의해 전하반송콘덴서(CC1)에 전하축적용 콘덴서(C11)가 병렬로 접속된다. 따라서 전하축적용 콘덴서(C11)는 전하반송콘덴서(CC1)와 전하축적용 콘덴서(C11)의 용량의 합에 대한 전하반송콘덴서(CC1)의 용량에 따라서 상기 전하반송콘덴서(CC1)의 전압보다 낮은 전압으로 충전된다.
다음으로 분압용 스위치제어회로(235)는 스위치(SW17과 SW18)를 OFF하고 스위치(SW15와 SW16)를 ON한다. 이에 의해 전하반송콘덴서(CC1)와 전하축적용 콘덴서(C11)의 직렬회로에 전하축적용 콘덴서(C12)가 병렬로 접속된다. 따라서 전하축적용 콘덴서(C12)는 전하축적용 콘덴서(C11)의 충전전압에 전하반송콘덴서(CC1)의 충전전압이 가산된 높은 전압으로 충전되고 전하축적용 콘덴서(C11)보다 높은 전압으로 충전된다.
다음으로 분압용 스위치제어회로(235)는 스위치(SW15와 SW16)를 OFF하고 스위치(SW13과 SW14)를 ON한다. 이에 의해 전하반송콘덴서(CC1)와 전하축적용 콘덴서(C12)의 직렬회로에 전하축적용 콘덴서(C13)가 병렬로 접속된다. 따라서 전하축적용 콘덴서(C13)는 전하축적용 콘덴서(C12)의 충전전압에 전하반송콘덴서(CC1)의 충전전압이 가산된 높은 전압으로 충전되고 전하축적용 콘덴서(C12)보다 높은 전압으로 충전된다.
즉 분압용 스위치제어회로(235)는 도 6의 통상동작기간(Ton)에 있어서의 타임시퀀스에 따라서 스위치군(SW11∼SW18)을 제어하고 우선 전하반송콘덴서(CC1)와 전하축적용 콘덴서(C13)를 직렬로 접속하여 전하반송콘덴서(CC1)를 승압전압(Vpr)보다 낮은 전압으로 충전하고 이 전하반송콘덴서(CC1)에 수전된 전압으로 전하축적용 콘덴서(C11)를 충전하여 이미 충전된 전하축적용 콘덴서(C11, C12)의 충전전압에 전하반송콘덴서(CC1)의 전압을 차례로 가산한 전압에 의해 다음 단계의 전하축적용 콘덴서(C12, C13)를 차례로 충전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스위치군(SW11∼SW18)의 전환동작을 고속으로, 또한 복수회 반복함으로써 전하축적용 콘덴서(C11, C12, C13)는 차례로 충전되어 안정된 전위로 유지된다. 그리고 이들의 전하축적용 콘덴서(C11, C12, C13)에 충전되는 전압은 전하축적용 콘덴서(C11, C12, C13) 및 전하반송콘덴서(CC1)의 각 용량을 적당히 설정함으로써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하축적용 콘덴서(C1, C2, C3)의 각 용량을 동등하게 하고 전하반송콘덴서(CC1)의 용량과 전하축적용 콘덴서(C13)의 용량의 비를 3 : 1로 설정함으로써, 상기 스위치의 전환의 반복에 의해서 최종적으로 전하축적용 콘덴서(C11)는 대략 Vpr/4의 전압으로 충전되고, 전하축전용 콘덴서(C12)는 대략 2·Vpr/4의 전압으로 충전되며, 전하축적용 콘덴서(C13)는 대략 3·Vpr/4의 전압으로 충전된다. 즉 승압전압(Vpr)는 4분할된다.
그리고 각 전하축적용 콘덴서(C11∼C13)에 충전된 전압은 전압폴로어회로(VF1∼VF3)에 의해 임피던스변환되어 구동전압(V11(=Vpr/4)), 구동전압(V12(=2·Vpr/4)), 구동전압(V13(=3·Vpr/4))으로서 출력된다. 또 승압부(212)로부터의 승압전압(Vpr)은 전압폴로어회로(VF4)에 의해 임피던스변환되어 구동전압(V14(=4·Vpr/4)로서 출력된다.
전원전압(VDD)이 차단(OFF)된 경우 전원라인의 전압은 VDD로부터 저하한다. 전원라인의 전압이 기준레벨까지 저하하면 전원전압검출회로(30)는 이것을 검출하고 하이레벨의 전원절단신호(Soff)를 출력한다.
하이레벨의 전원절단신호(Soff)에 응답하여 스위치(SW19∼SW22)가 ON하고 전압(V14, V13, V12, V11)은 기준전위(V0)로 단락된다.
분압용 스위치제어회로(235)는 전원전압(VDD)이 차단되어도 안정화콘덴서(CG)에 축적된 전하(전기에너지)에 의해 동작하고 곧바로는 동작을 정지하지 않는다. 따라서 분압용 스위치제어회로(235)는 하이레벨의 전원절단신호(Soff)에 응답하여 도 6의 종료처리기간의 타임시퀀스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위치(SW11∼SW18)를 ON한다.
이 스위치(SW11∼SW18)가 ON인 상태는 안정화콘덴서(CG)에 축적된 전하가 분압용 스위치제어회로(235) 등의 동작에 의해 방전되고 분압용 스위치제어회로(235)의 동작전압보다 저하하기까지의 동안 유지된다. 이 동안 스위치스위치(SW11∼SW22)가 무두 ON하기 때문에 전압(V11∼V14)은 기준전위(V0)로 단락되고 콘덴서(C11∼C13, CC1)의 축적전하는 거의 모두 방전된다.
이상 설명한 전원회로는 통상시에는 콘덴서(C11∼C13, CC1, CG)를 이용하여 동작을 실시하고, 전원차단시에는 콘덴서(CG)에 축적된 전하(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액정표시소자(10)의 표시를 적절히 종료시키기 위한 종료처리를 실시한다.
이에 의해 표시화면에 휘점이나 휘선이 표시되는 등의 콘덴서의 축적전하나 분압전압에 의한 부적절한 표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의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전원절단시의 이상표시를 방지하고 표시를 적절히 종료시키기 때문에, 콘덴서의 축전전하를 방전하고 승압동작을 정지하여 승압전압을 저하시킴으로써 승압전압의 출력을 정지시키고, 또한 인가전압으로서 비승압전압을 선택하고 있지만, 이들의 어느 쪽인가만을 실시해도 좋다. 예를 들면 콘덴서의 축적전하를 방전하는 처리만을 실시해도 좋다. 또 승압동작만을 정지해도 좋고, 또는 인가전압으로서 비승압전압을 선택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의 이상표시방지수단의 외에 액정층(15)에 인가되는 전압을 실질적으로 0으로 하거나, 또는 액정층(15)이 응답하지 않는 전압을 인가하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은 동작을 실시하기 위한 신호구동회로(23) 및 주사구동회로(25)의 회로구성 및 동작을 이하에 설명한다.
신호구동회로(23)는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게이트회로(G1, G2)와 신호전극구동블록(231)을 구비하고, 2비트의 화상신호(계조신호)(Sa와 Sb)와, 전원절단신호(Soff)와, 전원전압(VDD)과, 저전압(VCH)과, 승압전압(V2, V4)이 입력된다. 이 상기 신호구동회로(23)는 저전압(VCH)으로 동작하고 도 7b에 나타내는 논리에 따라서 전압(VDD, V2, V4)의 어느 쪽인가를 선택하고 대응하는 신호전극(11)에 인가한다.
또 주사구동회로(25)는 도 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게이트회로(G3, G4)와 주사전극구동블록(251)을 구비하고, 2비트의 전압전환신호(Sc와 Sd)와, 전원절단신호(Soff)와, 전원전압(VDD)과, 저전압(VCH)과, 승압전압(V1, V3, V4)이 입력되어 저전압(VCH)으로 동작하고, 도 8b에 나타내는 논리에 따라서 전압(VDD, V1, V3, V4)의 어느 쪽인가를 대응하는 주사전극(13)에 인가한다.
통상의 동작상태에서는 전원절단신호(Soff)가 로우레벨이기 때문에, 신호구동회로(23)의 게이트(G1, G2)가 열리고 신호전극구동블록(231)에는 화상신호(Sa, Sb)가 공급된다. 화상신호(Sa, Sb)는 표시계조를 지시하는 2비트의 신호이다. 신호전극구동블록(231)은 화상신호(Sa, Sb)에 따라서 표시계조에 대응하는 전압(VDD, V2, V4)의 어느 쪽인가를 선택하고 각 신호전극(11)에 인가한다.
또 주사구동회로(25)에서는 게이트(G3, G4)가 열리고 주사전극구동블록(251)에는 전압전환신호(Sc, Sd)가 공급된다.
전압전환신호(Sc, Sd)는 타이밍회로(27)로부터 일정한 시퀀스로 전환되어 공급되는 신호이며, 주사전극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신호 또는 비선택하기 위한 비선택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신호이다. 주사전극구동블록(251)은 전압전환신호(Sc, Sd)에 따라서 전압(VDD, V3, V4, V1)의 어느 쪽인가를 차례로 전환하면서 대응하는 주사전극(13)에 인가한다. 이에 의해 주사전극구동블록(251)은 선택상태의 주사전극(13)에 미리 정해진 파형의 선택신호를, 비선택상태의 주사전극(13)에 미리 정해진 파형의 비선택신호를 각각 인가한다.
전원전압(VDD)이 차단되었을 때 전원절단신호(Soff)가 하이레벨로 된다. 이 때문에 게이트(G1∼G4)는 닫힌다. 따라서 게이트(G1∼G4)의 출력은 모두 로우레벨로 된다. 이 때문에 신호전극구동블록(231) 및 주사전극구동블록(251)은 모두 전원전압(VDD)을 신호전극(11) 및 주사전극(13)에 인가한다. 즉 표시화상을 제어하기 위한 대향하는 모든 전극(11, 13)은 동일한 전압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액정층(15)에는 실효적으로 0V가 인가되고 표시는 OFF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서는 신호구동회로(23)와 주사구동회로(25)에 신호전극(11)과 주사전극(13)에 동등한 전압을 인가하고 액정층(15)에 대한 인가전압을 실질적으로 동등한 전압(0V)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표시가 OFF되고 이상표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신호전극(11)과 주사전극(13)에 인가하는 전압은 고정값일 필요는 없고 액정층(15)의 실효인가전압이 0으로 되는 파형의 전압을 인가해도 좋다.
또 상기한 표시소자의 이상표시방지수단 중의 2 또는 3개의 조합을 실시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콘덴서(CC, C1∼C4)에 축적되어 있는 전하를 방전시키기 위해 콘덴서(CC, C1∼C4)의 양단을 단락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 방법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의 방법으로 콘덴서의 축적전하를 저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충전되어 있었던 에너지를 소비하기 위한 저항성 부하를 통하여 콘덴서의 양단을 단락해도 좋다.
또 전원절단후도 승압회로(210)를 동작시킨 상태에서 전원전압(VDD)을 저하 또는 정지시키면 콘덴서(CC, C1∼C4)의 전하가 서서히 소비되어 승압전압도 저하한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와 똑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원라인(VDD)과 접지라인(VSS)의 사이에 저항(R2)과 스위치(SW10)를 직렬로 접속하고 전원전압검출회로(30)가 출력하는 하이레벨의 전원절단신호(Soff)로 스위치(SW10)를 ON하여 전원라인(VDD)의 전압을 서서히 저하시켜도 좋다. 이 경우 스위치제어회로(213)는 전원절단검출신호(off)의 레벨에 관계없이 저전압(VCH)에 의해 스위치(SW1∼SW8)의 전환동작을 계속한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전원차단시에 신호전극(11)과 주사전극(13)을 동일한 전압으로 고정했는데, 액정층(15)이 응답하지 않는(액정표시소자(10)가 점등하지 않는) 정도의 전위차의 전압을 인가해도 좋다. 액정표시소자(10)가 점등하지 않는 전압은 소자마다 다르다. 따라서 액정표시소자의 형식에 따라서 실험 등에 의해 인가전압을 선택한다.
예를 들면 액정이 응답하는 전압(상한값)이 「VDD-V1」보다 큰 경우에 신호전극(11)에 승압전압(V2)을 인가하고 주사전극(13)에 승압전압(V3)을 인가하면 액정층(15)에 인가되는 전압은 V3-V2(VDD-V1에 대략 동등하다)로 되어 액정표시소자(10)의 점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전원차단후에 있어서의 콘덴서(CC, C1∼C4)의 접속관계를 전환하는 속도를 전원차단전에 있어서의 콘덴서(CC, C1∼C4)의 접속관계를 전환하는 속도와 비교하여 늦게 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전원회로(21)는 예를 들면 도 1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파수전환회로(81)를 구비한다. 주파수전환회로(81)는 도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상시 타이밍회로(27)로부터 공급되는 타이밍신호에 따라서 콘덴서(CC, C1∼C4)의 접속관계를 전환하기 위한 클록신호(CK)를 스위치제어회로(213)에 공급한다. 주파수전환회로(81)는 전원차단시 전원전압검출회로(211)로부터의 하이레벨의 전원절단신호(Soff)에 응답하여 통상시의 클록신호(CK)의 주파수보다도 주파수가 낮은 클록신호(CK)를 스위치제어회로(213)에 공급한다.
이 구성으로 하면 통상시와 비교하여 전원차단후에 단위시간당 전하반송콘덴서(CC)로부터 승압콘덴서(C1∼C4)에 분배되는 전하가 저감한다. 이 때문에 전원절단후의 승압전압을 통상시의 승압전압보다도 낮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통상시와 비교하여 전원절단후에 콘덴서(CC, C1∼C4)에 축적되어 있는 전하가 감소하기 때문에 적절히 표시를 종료시킬 수 있다.
액정표시소자구동용의 LSI(집적회로)는 통상 액정표시소자(10)의 표시를 OFF하기 위한 명령(표시OFF명령)을 서포트하고 있다. 이 종류의 LSI는 표시OFF명령을 수신하면 LSI내부의 표시ON/OFF전환용의 레지스터의 값을 개서하고 레지스터의 값에 따라서 표시를 OFF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LSI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원절단신호(Soff)에 응답하여 표시OFF코맨드를 발행하는 코맨드발행부(91)를 배치해도 좋다. 이 경우 전원전압(VDD)이 저하하면 하이레벨의 전원절단신호(Soff)에 따라서 코맨드발행부(91)가 표시OFF코맨드를 발행한다. LSI내부의 제어부(92)는 표시OFF코맨드에 응답하여 표시ON/OFF용 레지스터(93)의 값을 표시OFF를 지시하는 값에 개서한다. 표시제어부(94)는 레지스터값에 따라서 표시를 OFF상태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도 전원차단시에 적절히 표시를 OFF할 수 있다.
또 전원전압검출회로(30)의 구성도 도 3에 나타내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로 변경 가능하며, 전원전압이 기준레벨보다 저하한 것을 검출할 수 있다면 임의의 구성을 채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표시소자로서 단순매트릭스형의 액정표시소자(10)의 경우를 설명했지만 표시소자의 구성은 임의이다.
예를 들면 표시소자로서 TFT 또는 MIM을 이용한 액티브매트릭스형의 액정표시소자를 사용 가능하다. 이 경우에도 전원OFF시에 콘덴서의 전하를 방전하고 승압동작을 정지하여 비승압전압을 선택해서 차가 상한값을 넘지 않는 파형의 전압을 화소전극과 공통전극의 사이에 인가한다.
또 신호구동회로(23), 주사구동회로(25), 타이밍회로(27)의 구성 등도 임의로 변경 가능하며, 화상신호도 3비트 이상의 디지털신호이어도 좋고 아날로그신호이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구동회로는 액정표시소자의 구동회로에 한정되지 않고 PDP(플라스마디스플레이패널), EL(전기루미네선스)패널, FED(전계방출디스플레이) 등의 콘덴서를 이용하여 구동전압을 생성해서 전원절단시에 콘덴서의 전하가 표시소자에 이상표시를 실시하게 하는 가능성이 있는 구동회로에 널리 적용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전원절단시에 표시소자에 발생하는 이상표시를 방지하여 표시를 적절하게 종료시킬 수 있다.

Claims (13)

  1. 복수의 스위치소자(SW1~SW8, SW11~SW22)와, 이들의 스위치소자에 의해 접속상태가 전환되고, 공급된 전력에 의거하여 복수의 다른 전압으로 충전되는 복수의 콘덴서(C1~C4, C11~C13)와, 상기 복수의 스위치소자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213, 235)과, 상기 복수의 콘덴서에 충전된 전압을 각각 출력하는 출력수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수단에 의한 상기 스위치수단의 동작제어에 의해 공급된 전력으로부터 표시소자(10)를 구동하기 위한 복수의 구동전압(V1~V4)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동작과, 상기 표시소자의 표시를 비점등상태로 하는 적어도 1개의 전압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전원절단시 처리를 선택적으로 실시하는 구동전압생성수단(21)과,
    상기 구동전압생성수단(21)이 출력한 복수의 구동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표시소자(10)를 구동하는 구동수단(23, 25, 27)과,
    상기 구동전압생성수단(21)에 대한 전력의 공급의 정지를 검출하고, 상기 구동전압생성수단(21)에 상기 전원절단시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한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전원절단검출수단(3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소자의 구동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전력을 축적하는 축적수단(CG)을 또한 구비하고,
    전원절단검출수단(30)의 검출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구동전압생성수단(21)이 상기 축적수단(CG)에 축적되어 있는 전력을 이용해서 상기 전원절단시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소자의 구동회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213)은 상기 전원절단검출수단(30)의 검출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콘덴서의 전하를 방전시키도록 제어하는 방전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소자의 구동회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제어수단(SW1∼SW9, 213)은 상기 콘덴서(C1∼C4, C11∼C14)의 양단간을 단락 또는 저항성 부하를 통하여 단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소자의 구동회로.
  5. 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213)은 상기 전원절단검출수단(30)으로부터의 검출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콘덴서의 적어도 일단의 전압을 소정 전압으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소자의 구동회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전압생성수단(21)은 공급된 전압을 승압한 승압전압(V1∼V4)을 상기 구동전압으로서 출력하는 승압수단(213, SW1∼SW8, C1∼C4)과, 상기 전원절단검출수단(30)으로부터의 검출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승압수단(213, SW1∼SW8, C1∼C4)을 제어해서 상기 승압전압의 출력을 정지시키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소자의 구동회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전압생성수단(21)은 공급된 전압을 승압한 승압전압을 상기 구동전압으로서 출력하는 승압수단(213, SW1∼SW8, C1∼C4)과,
    상기 전원절단검출수단(30)으로부터의 검출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승압수단(213, SW1∼SW8, C1∼C4)을 제어해서 상기 승압전압을 저하시키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소자의 구동회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전압생성수단은 공급된 전압을 승압하여 출력하는 승압수단(212)과, 상기 승압수단(212)의 출력전압을 복수의 전압으로 분압하여 출력하고, 상기 전원절단검출수단(30)으로부터의 검출신호에 응답하여 그 출력을 정지시키는 수단(235, SW11∼SW22, C11∼C13)을 갖는 분압수단(23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소자의 구동회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전압생성수단은 공급된 전압을 승압하여 출력하는 승압수단(212)과, 상기 승압수단(212)의 출력전압을 복수의 전압으로 분압하여 출력하고, 상기 전원절단검출수단(30)으로부터의 검출신호에 응답하여 그 출력을 저하시키는 수단(235, SW11∼SW22, C11∼C13)을 갖는 분압수단(23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소자의 구동회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23, 25, 27)은 상기 전원절단검출수단(30)의 검출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표시소자(10)의 표시를 비점등상태로 하는 전압을 생성해서 상기 표시소자(10)에 공급하는 수단(G1∼G4)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소자의 구동회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소자(10)는 대향하는 2개의 전극간에 인가되는 전압이 상한값 이상인 때에 점등하는 상한값특성을 갖고,
    상기 구동수단(23, 25, 27)은 상기 전원절단검출수단(30)의 검출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상한값 미만의 전압을 상기 표시소자(10)의 상기 대향하는 2개의 전극간에 인가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소자의 구동회로.
  12. 제 1 항에 있어서,
    구동전압생성수단(21)은 상기 전원절단검출수단(30)에 의한 전원공급의 정지의 검출에 응답하여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을 저하시키는 수단(R2, SW1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소자의 구동회로.
  13. 전력의 공급을 받고, 복수의 스위치소자에 의한 접속상태를 전환함으로써 전압을 유지하기 위한 복수의 콘덴서(C1~C4, C11~C113)에 각각 다른 전압을 충전하며,
    상기 콘덴서에 충전된 전압을 표시소자(10)를 구동하기 위한 복수의 구동전압(V1~V4)으로서 구동회로에 출력하여 상기 표시소자(10)를 구동하고,
    전력의 공급이 끊어진 것을 검출했을 때에 전력축적용의 다른 콘덴서(CG)에 축적된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상기 표시소자의 표시를 비점등상태로 하는 적어도 1개의 전압을 생성하여 상기 구동회로에 출력하는 전원절단시처리를 실시하며, 표시동작을 정상으로 종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소자의 구동방법.
KR1019980040540A 1997-09-30 1998-09-29 표시소자의 구동회로 및 구동방법 KR1003036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8116197 1997-09-30
JP97-281161 1997-09-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0246A KR19990030246A (ko) 1999-04-26
KR100303684B1 true KR100303684B1 (ko) 2001-11-30

Family

ID=17635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0540A KR100303684B1 (ko) 1997-09-30 1998-09-29 표시소자의 구동회로 및 구동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323851B1 (ko)
KR (1) KR100303684B1 (ko)
TW (1) TW50856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1032B1 (ko) * 1998-01-09 2006-04-13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액정표시장치
JP3679712B2 (ja) 1998-10-06 2005-08-0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の制御方法
JP3262093B2 (ja) * 1999-01-12 2002-03-04 日本電気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維持パルス駆動方法及び駆動回路
US7126569B2 (en) * 1999-03-23 2006-10-24 Minolta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MY124036A (en) * 1999-07-08 2006-06-30 Nichia Corp Image display apparatus and its method of operation
JP4376385B2 (ja) * 1999-11-15 2009-12-02 富士通株式会社 発光素子駆動回路
US6750835B2 (en) * 1999-12-27 2004-06-15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Image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JP2001209355A (ja) * 2000-01-25 2001-08-03 Nec Corp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JP2001282164A (ja) * 2000-03-31 2001-10-12 Sanyo Electric Co Ltd 表示装置用駆動装置
TW479216B (en) * 2000-08-08 2002-03-11 Au Optronics Corp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TWI221595B (en) * 2000-09-29 2004-10-01 Sanyo Electric Co Driving apparatus for display device
JP5191075B2 (ja) * 2001-08-30 2013-04-24 ラピスセミコンダクタ株式会社 表示装置、表示装置の駆動方法、及び表示装置の駆動回路
JP4544827B2 (ja) * 2003-03-31 2010-09-15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KR100957580B1 (ko) * 2003-09-30 2010-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구동장치, 이를 갖는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JP4276157B2 (ja) * 2003-10-09 2009-06-10 三星エスディアイ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及びその駆動方法
JP4589614B2 (ja) * 2003-10-28 2010-12-01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画像表示装置
KR20060082753A (ko) * 2005-01-13 2006-07-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장치 및 구동 방법
KR100734275B1 (ko) 2005-10-04 2007-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원 전압 제거 감지 회로, 전원 전압 제거 시 잔상을제거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US20080007502A1 (en) * 2006-07-07 2008-01-10 Microchip Technology Incorporated Liquid Crystal Display Bias Generator
JP4528748B2 (ja) * 2006-07-20 2010-08-18 Okiセミコンダクタ株式会社 駆動回路
JP4528759B2 (ja) * 2006-11-22 2010-08-18 Okiセミコンダクタ株式会社 駆動回路
EP2037439A1 (de) * 2007-09-06 2009-03-18 F.Hoffmann-La Roche Ag Elektronische Schutzmaßnahmen für organische Displays in medizinischen Kleingeräten
EP2212912B1 (en) * 2007-10-17 2014-03-19 Nxp B.V. Voltage surge protection circuit
JP6486602B2 (ja) * 2014-03-28 2019-03-20 ラピスセミコンダクタ株式会社 昇圧回路、半導体装置、及び昇圧回路の制御方法
CN104916247B (zh) * 2015-06-23 2018-12-1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条形屏的驱动方法、驱动装置和显示设备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34497A (ja) * 1987-11-20 1989-05-26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液晶表示装置の電源回路
US5248963A (en) * 1987-12-25 1993-09-28 Hosiden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circuit for erasing a liquid crystal display
ES2075866T3 (es) * 1989-10-27 1995-10-16 Canon Kk Dispositivo visualizador de cristal liquido con desconexion de potencia controlada.
JPH03245180A (ja) * 1990-02-23 1991-10-31 Toshiba Corp パネルディスプレイの輝度制御装置
JP2743683B2 (ja) * 1991-04-26 1998-04-2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液晶駆動装置
GB9223697D0 (en) * 1992-11-12 1992-12-23 Philips Electronics Uk Ltd Active matrix display devices
JPH08220508A (ja) 1995-02-16 1996-08-30 Hitachi Ltd 液晶表示装置用電源回路
JP3545088B2 (ja) 1995-04-10 2004-07-21 三洋電機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3619299B2 (ja) * 1995-09-29 2005-02-09 パイオニア株式会社 発光素子の駆動回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508561B (en) 2002-11-01
US6323851B1 (en) 2001-11-27
KR19990030246A (ko) 1999-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3684B1 (ko) 표시소자의 구동회로 및 구동방법
US5528256A (en) Power-saving circuit and method for driving liquid crystal display
US6175192B1 (en) Multi-step type energy recovering apparatus and method
US20020050970A1 (en) Tone display voltage generating device and ton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6617800B2 (en) Plasma display apparatus
KR19990015789A (ko) 스캐닝 회로
US20030112231A1 (en) Power supply circuit for display unit, method for controlling same, display unit, and electronic apparatus
JPH10319368A (ja) 表示パネルの駆動装置
JP2007011346A (ja)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用駆動装置
US6211865B1 (en) Driving apparatus of plasma display panel
EP4113499A1 (en) Pixel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JP2001145335A (ja) 昇圧回路
JP3800816B2 (ja) 表示素子の駆動回路及び駆動方法
EP1750243B1 (en) Drive circuit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0523649B1 (ko) 차동증폭장치
JPH07235844A (ja) アナログドライバicの出力バッファ回路
US7098905B2 (en) Active matrix type organic EL panel drive circuit and organic EL display device
CN105427779A (zh) 用于升压的装置和方法以及包含该装置的显示面板驱动器
US7605781B2 (en) Display panel driving method
JP2912498B2 (ja) 半導体記憶装置
US20040129996A1 (en) High-voltage output circuit for a driving circuit of a plasma
KR100250407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회로 및 그 구동방법
KR100831018B1 (ko) 플라즈마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JP2000066631A (ja) 表示パネル駆動装置
US6590556B2 (en) Active matrix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71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