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2923B1 - 접속및분리의작업을요하는힘을감소시키는단순한구조의접속장치 - Google Patents

접속및분리의작업을요하는힘을감소시키는단순한구조의접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2923B1
KR100302923B1 KR1019930008443A KR930008443A KR100302923B1 KR 100302923 B1 KR100302923 B1 KR 100302923B1 KR 1019930008443 A KR1019930008443 A KR 1019930008443A KR 930008443 A KR930008443 A KR 930008443A KR 100302923 B1 KR100302923 B1 KR 1003029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contactor
pin contactor
insulat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8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6313A (ko
Inventor
요시아키이치무라
Original Assignee
나가토시 다쯔미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4278317A external-priority patent/JP256779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5058295A external-priority patent/JP2612530B2/ja
Application filed by 나가토시 다쯔미,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나가토시 다쯔미
Publication of KR9400063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63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29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29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35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with opposite contact points, e.g. C bea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4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with contacts abutting directly the printed circuit; Button contacts therefore provided on the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33Contact members made of resilient wi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01R13/631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allow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upling parts, e.g. floating connection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도전성 내면을 갖는 한쌍의 접속대상물(60) 사이를 접속하기 위하여, 코넥터에 양쪽방향의 중간부의 탄성변형을 수반하여 양단부의 각각이 도전성 내면에 압접하는 도전성의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길다란 핀콘택터(1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한쌍의 접속대상물은 제 1의 방향(Y)에서 서로 대향하고 또한 제 1의 방향에 직교하는 제 2의 방향(X)에 있어서 상대위치를 제 1 및 제 2의 위치사이에서 변할 수 있다. 상기 도전성 내면은 제 1의 방향으로 뻗어서 공간을 규정하고 있다. 접속에 앞서, 핀 콘택터의 길이방향의 양단부는 상기 공간에 각각 삽입된다. 상대위치가 제 1의 위치에 있을때에는 양단부는 도전성 내면에 제 1의 방향 및 지름방향에서 서로 상이한 2개소에서 각각 압접한다.

Description

접속 및 분리의 작업에 요하는 힘을 감소시키는 단순한 구조의 접속 장치
제 1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
제 2도는 제 1도의 커넥터가 미접속 상태시의 제 1도의 Ⅱ-Ⅱ 선에 따른 단면도.
제 3도는 제 1도 및 제 2도의 커넥터에 포함된 핀 콘택터 결합체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
제 4도는 제 1도의 커넥터가 접속 상태시의 제 2도와 같은 단면도.
제 5도는 제 4도의 상태에 있어서의 커넥터의 변형 상태를 도시한 도면.
제 6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커넥터의 미접속 상태의 단면도.
제 7도는 제 6도의 커넥터에 포함된 유지부재를 링크판과 함께 도시한 사시도.
제 8도는 제 6도의 커넥터가 접속 상태시에 제 6도와 같은 단면도.
제 9도는 제 1도 및 제 2도의 커넥터에 포함된 핀 콘택터 결합체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
제 10도는 제 9도에서 도시한 핀 콘택터 결합체를 이용한 경우의 유지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제 11도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있어서의 커넥터에 포함되는 핀 콘택터 결합체를 도시한 단면도.
제 12도는 제 12도의 선 ⅩⅡ-ⅩⅡ 선에 따른 단면도.
제 13도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있어서의 커넥터에 포함되는 핀 콘택터 결합체를 도시한 단면도.
제 14도는 제 13도의 ⅩⅣ-ⅩⅣ선에 따른 단면도.
제 15도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있어서의 커넥터에 포함되는 핀 콘택터 결합체를 도시한 단면도.
제 10도는 제 15도의 ⅩⅥ-ⅩⅥ 선에 따른 단면도.
제 17도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있어서의 커넥터의 미접속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제 18도는 제 17도의 커넥터의 접속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제 19도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있어서의 커넥터의 미접속 상태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
제 20도는 제 19도의 커넥터의 접속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제 21도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있어서의 커넥터의 미접속 상태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
제 22도는 제 21도의 커넥터의 접속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제 23도는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있어서의 커넥터의 미접속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제 24도는 제 23도의 커넥터의 접속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제 25도는 제 23도의 ⅩⅩⅤ-ⅩⅩⅤ선에 따른 요부 단면도.
제 26도는 제 24도의 제 25도와 같은 요부 단면도.
제 27도는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미접속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제 28도는 제 27도의 커넥터 접속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제 29도는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미접속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제 30도는 제 29도의 커넥터의 접속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제 31도는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기판과 함께 도시하고, (a)는 핀 콘택터를 기판으로 삽입한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며, (b)는 핀 콘택터 기판의 관통홀에 압접시킨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며, (c)는 양 기판의 접속 상태를 도시한 전체도.
제 32도는 핀 콘택터를 정열시키는 구조의 일예를 도시한 정면도.
제 33도는 핀 콘택터를 정열시키는 구조의 다른예를 도시한 정면도.
제 34도는 본 발명의 제 13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기판과 함께 도시한 것이며, (a)는 미접속 상태의 부분 단면도이고, (b)는 미접속 상태의 부분 단면도.
본 발명은 제 1 방향에서 서로 대향하는 접속대상물간의 전기적인 접속에서 이용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며, 특히 제 1 방향과 직교하는 제 2 방향에서 그들의 접속대상물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수반하여 접속을 얻는 커넥터를 갖는 접속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커넥터로서는, 예를들면, 일본실용신안공고 평 1-42309호 공보에 개시된 것이 있다. 그 커넥터는, 2개의 핀 콘택터간을 서로 전기적 접속하기 위한 것이며, 도전성 소켓 콘택터를 갖고 있다. 소켓 콘택터는, 핀 콘택터에 틈새를 갖고 끼워맞추는 치수의 2개의 소켓부와, 이들의 소켓부를 서로 접속한 가요성(flexible) 탄성부를 갖고 있다.
전기적 접속에 앞서서, 각 소켓부에 핀 콘택터를 삽입한다. 이 경우, 소켓부가 핀 콘택터에 틈새를 갖고 끼워 맞추는 치수를 갖고 있기 때문에, 콘택터의 삽입에 필요로 하는 힘은 발생하지 않는다. 그래서, 이러한 커넥터는 무삽입(zero-insertion)력 커넥터라고 일반적으로 불려진다.
콘택터를 지름방향에서 서로 역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가요성 탄성부의 구부러짐을 수반하여, 소켓부가 핀 콘택터에 접속된다. 이 결과, 2개의 핀 콘택터간은 소켓 콘택터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러나, 상기한 커넥터는 2개의 소켓부를 가요성 탄성부로 접속한 구조의 소켓 콘택터를 이용하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하다. 따라서, 요금 널리 보급되고 있는 고밀도이며 소형의 커넥터의 경우에는, 소켓 콘택터의 조립작업이 곤란하여, 생산성에 있어서도 뒤떨어진다.
또, 소켓부에 핀 콘택터를 확실히 삽입하기 위하여는, 소켓부를 소정의 장소에 위치시키는 위치결정수단을 요한다. 그러나 소켓부는 구조가 복잡하기 때문에 위치결정수단의 부설이 일반적으로 어렵다. 이것은, 상술한 공보에 개시된 커넥터가 위치결정수단을 갖추고 있지 않은 것으로 미루어 보아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소켓부에 위치의 어긋남이 발생하고, 핀 콘택터가 소켓부에 삽입되지 않는 염려가 있다. 이것은 접속불량의 원인이 된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가 단순하고 생산성에 풍부한 무삽입력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접속불량의 염려가 적은 무상입력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 1의 방향으로 서로 향하고, 상기 제 1 방향과 직교하는 제 2 방향에 있어서 상대위치를 제 1 및 제 2의 위치간에서 가변하며, 게다가 상기 제 1 방향으로 늘어나서 빈곳을 규정한 도전성 내면을 갖는 쌍의 접속대상물간을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를 얻을 수 있다. 이 커넥터는 도전성의 탄성체로 긴 핀콘텍터를 갖추고 있다. 상기 핀 콘택터의 긴쪽 방향의 양단부는 상기한 쌍의 접속대상물의 공간에 각각 삽입된다. 상기 대상위치가 상기 제 1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양단부는 공간에 각각 유동가능하게 삽입된 상태에 있다. 상기 제 2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핀 콘택터의 긴쪽 방향의 중간부의 탄성변형을 수반하여 양단부는 상기 도전성 내면에 제 1 방향 및 지름방향에서 서로 다른 2개소에서 압접한다.
[제 1 실시예]
제 1도 및 제 2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도시한다. 이 커넥터는, 후술하는 핀 콘택터 결합체를 수용하는 하우징(30)을 포함한다. 하우징(30)은, 제 1의 방향(Y)에서 서로 대향한 상부 절연하우징(31)과 하부절연하우징(32)으로 구성된다. 또한, 제 2도에 있어서는 편의상 하부절연 하우징(32)측에만 접속대상물(60)을 도시하고 있다. 제 2도에서 가장 잘 알 수 있듯이, 이들의 절연하우징(31)(32)에는, 결합면측에 핀 콘택터 결합체를 복수 수용하는 공간(31b)(32b)이 형성되고, 결합면측과는 반대측의 면측에 핀 콘택터 결합체를 구성하는 다수의 콘택터(10)를 개별로 삽통유지하는 위치결정구멍(31a)(32a)이 소정의 간극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위치결정 구멍(31a)(32a)은 공간(31b)(32b)에 연통하고 있다.
제 3도는 제 1도 및 제 2도에 도시된 커넥터의 핀 콘택터의 결합체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 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핀 콘택터 결합체는, 복수의 핀 콘택터(10)를 소정의 간격을 두고서 평행하게 배치한후, 단면 약원형상의 절연성 몰드수지로 된 브릿지부재(21)로 각 핀 콘택터(10)의 중앙부를 고정유지하여 빗형상의 핀 콘택터 열이 되도록 연결하여 구성한다.
제 1도 및 제 2도를 참조하면, 핀 콘택터 결합체는 제 2도의 제 1 방향(Y)과 직교하는 제 2의 방향(X)으로 복수나열한 상태에서 절연하우징(31)(32)에 조립된다. 이 결과, 각 핀 콘택터 결합체에 있어서는, 핀 콘택터(10)는 제 1의 방향(Y) 및 제 2의 방향(X)으로 직교하는 제 3의 방향(Z)으로 나열한다. 따라서, 다수의 핀 콘택터(10)가 제 2의 방향(X) 및 제 3의 방향(Z)으로 형성되는 수평면내에 소정의 매트릭스상에 배열된 상태를 얻을 수 있다. 핀 콘택터(10), 위치결정구멍(37b)(32b) 및 브릿지부재(27)의 각각은, 도면의 간소화를 위하여 몇개만을 도시하고, 나머지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각 핀 콘택터(10)는, 초고밀도화를 형성하기 위하여, 양선단이 뽀죡하고 축단면이 원형인 선상탄성체, 혹은 양선단이 뽀족하고 축단면이 각형인 선상의 도전성을 갖는 봉형 탄성체로 만들어진다. 더욱이, 핀 콘택터(10)의 형상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양단이 뽀족한 긴판형상과 같은 것이라도 좋다. 또한, 이러한 핀 콘택터(10)의 제조방법은 선재를 가공하여 제작하여도 좋고, 판재로 프레스가공이나 에칭가공을 하여 제작하여도 좋다. 이러한 제작방법은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절연하우징(31)(32)의 결합면측에는, 공간(31b)(32b)의 대향벽면에 이 절연하우징(31)(32)이 접촉될 때에, 브릿지부재(21)의 양단을 끼우는 듯이 걸어 맞추어 유지하는 긴홈(9)이 형성되어 있다. 브릿지부재(21)는 상하의 절연하우징(31)(32)에 의하여 걸어 맞추어지고, 복수의 핀 콘택터 결합체가 공간(31b)(32b)내에 수용되어 있다. 이때문에, 각 핀 콘택터(10)가 하우징의 상하에서 빠져나가는 일은 없다. 공간(37b)(32b)에는 이 절연하우징(31)(32)이 제 2의 방향(X)으로 상대이동할때에 콘택터(10)와 층돌하여 변형되지 않는 크기 및 형상의 공간(31b)(32b)이 형성되어 있다. 또, 긴홈(9)은 절연하우징(31)(32)이 제 2의 방향(X)으로 상대이동할때에 브릿지부재(21)가 같은 방향으로 약간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고, 핀 콘택터(10)의 탄성변형이 그 긴쪽 방향의 중앙부에 관하여 점대칭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하의 절연하우징(31)(32)의 표면측의 소정위치, 예를들면 도시한 바와같은 각부에 접속대상물(60)에 형성된 위치결정구멍(51)에 끼워지는 위치 결정핀(31c)(32c)을 설치해둔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이 위치결정핀(31c)의 높이치수를 하우징에서 돌출하고 있는 핀 콘택터(10)의 돌출치수보다 크게 설정해둔다.
접속대상물(60)은, 커넥터, LSI, 및 배선기판등에서 선택된 것이며, 다수의 소켓콘텍터(63)를 갖는다. 소켓 콘택터(63)는 상기 소정의 매트릭스상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있으나, 도면의 간소화를 위하여 몇개만을 도시하고, 나머지는 도시되어 있지 않는다. 소켓 콘택터(63)는 제 1의 방향으로 펴져서 공소를 규정한 도전성 내면을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소켓 콘택터(63)의 공벽면에 도금 마무리가 실시되어 있다. 접속대상물(50)이 프린트기판의 경우는, 관통구멍을 설치하고, 그 구멍내면에 관통홀 도금을 실시한다.
제 1도 및 제 2도에 부가하여 제 4도를 참조하여서, 접속대상물(60)의 접속에 관하여 설명한다. 우선, 접속대상물(60)을 상하의 절연하우징(31)(32)의 상하에 배치한다. 그때, 핀 콘택터(10)의 긴쪽방향의 양단부를 상하의 접속대상물(60)의 소켓 콘택터(63)에 각각 삽입한다. 이 상태에서 상하의 접속대상물(60)은 제 2의 방향(X)에 있어서 상대위치를 제 1 및 제 2의 위치간에서 가변한다. 상대위치가 제 1의 위치에 있을 때에는 핀 콘택터(10)의 양단부는 소켓 콘택터(63)에 각각 유동가능하게 끼운 상태에 있다. 따라서, 상대위치가 제 1의 위치에 있을 때, 접속대상물(60)을 상하의 절연하우징(31)(32)의 상하에 배치함으로서 핀 콘택터(10)를 소켓 콘택터(63)에 삽입하는데 필요한 힘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이 상태에서는, 핀 콘택터(10)와 소켓 콘택터(63)와의 접촉은 불안정하다.
다음에, 상하의 접속대상물(60) 및 상하의 절연하우징(31)(32)을 제 2 의 방향(X)으로 화살표(141)(142)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평이동시켜서 제 4도의 상태를 얻는다. 제 4도의 상태에서, 상대위치는 제 2의 위치에 있고, 핀 콘택터는 긴쪽방향의 중간부의 탄성변형을 수반하여 양단부의 소켓 콘택터(63)의 내면에 제 1의 방향(Y) 및 지름방향에서 서로다른 2개 위치에서 압접한다. 이 결과, 소정의 접속을 얻을 수 있다.
제 5도는 제 4도에 도시한 상태에 있어서의 핀 콘택터(10)의 변형 상태를 도시한다. 핀 콘택터(10)의 양단의 접촉력(P)와 (F)의 관계는 P×m=F×M으로 표시된다. 상대운동을 시키는 작용력 W는, W=P-F=P-(m/M)P=(M-m)/M×P로 된다. 따라서, (M-m)<<M으로 하면, 작용력(W)을 대단히 작게 할 수 있다.
여기에서 핀 콘택터(10)의 긴쪽방향에서의 중심 0점의 상하에서는 변형이 완전히 대칭으로 되는 것이 이상적이라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이때의 절연하우징(31)(32)의 움직임량을 δ라고 하면, 0점은 δ/2만 이동하게 된다.
[제 2 실시예]
제 6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도시한다. 이 커넥터에 있어서, 전술한 커넥터와 같은 부분에는 같은 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커넥터는 유지부재(50) 및 링크판(41)을 다시금 갖추고 있다. 유지부재(50)에는, 제 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복수의 원형구멍을 서로 연통시킨 형상의 유지홈(51)이 형성되어 있다. 도면의 간소화를 위하여 몇개의 원형구멍을 도시하고, 나머지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각 브릿지부재(21)는 제 3의 방향으로 펴진 축심을 갖고, 그 축심의 둘레에서 회동가능하도록 유지부재(50)의 유지홈(51)에 유지되어 있다.
유지부재(50)는 절연하우징(31)(32)간에서 제 2의 방향(X)에서 가동하는 것이며, 그 단부에서는 핀결합구멍(53)이 형성되어 있다. 이 핀결합구멍(53)에는, 링크판(41)의 한쪽면에서 핀(43)이 삽입되어 돌출형성된다. 이 링크판(41)의 양단 근방에는 1쌍의 긴구멍(45a)(45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들의 긴구멍(45a)(45b)에는 절연하우징(31)(32)의 공간(31b)(32b)의 내벽면에 설치한 핀(31d)(32d)이 삽입된다. 여기에서 링크판(41), 핀(31d)(32d) 및 핀(43)은 결합되어서 링크기구를 구성한다.
접속대상물(60)을 절연하우징(31)(32)의 상하에 배치한 후에 상기 절연하우정(31)(32)을 제 2의 방향(X)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면 제 8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소정의 접속이 얻어진다. 이 경우, 상기 절연하우징(31)(32)을 화살표(145)(146)로 표시된 방향으로 이동시켜도 유지부재(50), 더 나아가서는 브릿지부재(21)(즉, 제 5도에 도시한 핀 콘택터의 중심 0점)는 실시적으로 접지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핀 콘택터(10)는 그 중심점의 상하에서 완전히 대칭이 되는 이상상태로 변형한다. 즉, 핀 콘택터(10)의 중간부의 탄성 변형이 긴쪽방향의 중앙부에 관하여 점대칭이 된다. 이 결과, 소정의 접속이 보다 바람직한 상태로 얻을 수 있다.
핀 콘택터 결합체는 제 9도의 다른 예와같이, 복수의 핀 콘택터(10)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서 장착시킨 후, 제 3도에 도시된 브릿지부재(21)의 대신에, 플라스틱 필름으로 된 브릿지부재(22)로 각 핀 콘택터(10)의 중앙부를 고정유지하여 빗형상의 일렬의 연결콘택터가 되도록 연결하여 구성해도 좋다.
제 9도에 도시된 핀 콘택터 결합체를 이용할 경우에는, 제 7도에 도시된 유지부재(50) 대신에 제 10도에 도시된 유지부재(55)를 이용한다. 상기 유지부재(55)에는 다수의 마름모꼴 또는 타원형의 돌기부(56)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서 형성되어 있다. 도면의 간소화를 위하여 몇개의 돌기부를 도시하고, 나머지는 도시되어 있지 않는다. 핀 콘택터(10)는 이들의 돌기부(56)간에, 끼워져서 설치된다. 핀 콘택터(10)를 돌기부(50) 사이에 삽입시킬 경우에는, 브릿지부재(22)의 고정측과는 반대측을 끼워넣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돌기부(56)의 형상은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돌기부의 형상이 단면 마름모 형상이 되도록, 혹은 타원형이 되도록 형성됨에 따라, 핀 콘택터(10)가 자유롭게 경사지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유지부재(55)도, 제 7도에 도시된 유지부재(50)와 같은 구조로 절연하우징(31)(32)에 조립되고, 같은 작용효과를 낼 수 있다.
[제 3 실시예]
제 11도 및 제 12도에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에 포함되는 핀 콘택터 결합체가 도시되어 있다. 이 핀 콘택터 결합체는, 제 1의 방향(Y)에서 서로 간격을 두고서 대향한 2장의 절연판(23)으로 된 판형절연체에 다수의 핀 콘택터(10)를 유지시킨 것이다. 각 절연판(23)은 핀 콘택터(10)의 긴쪽방향의 중간부를 받아들인 다수의 관통구멍(23a)을 상기 소정의 매트릭스 형상에 대응하여 갖고 있다. 도면의 간소화를 위하여, 몇개의 관통구멍만을 도시하고, 나머지는 도시되어 있지 않는다. 한편, 각 핀 콘택터(10)는 중앙부에 축심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서 지름이 큰 부분, 즉, 플렌지부(10a)를 갖고, 상기 플렌지부(10a)는 2장의 절연판(23)(23)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절연판에 삽입됨으로써, 핀 콘택터(10)가 이탈되는 것을 저지함과 동시에, 핀 콘택터(10)의 선단부의 불일치도 해소시킨다.
[제 4 실시예]
제 13도 및 제 14도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에 포함된 핀 콘택터 결합체를 도시한다. 이 핀 콘택터 결합체에 있어서, 핀 콘택터(10)는 중앙부 근방에 축심과 직교한 방향에서 서로 역방향으로 돌출된 2개의 단형부(stepped portion; 11a)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의 단형부(lla)는 핀 콘택터(10)의 긴쪽방향에서 서로 간격을 둔 위치에 구비되어 있다. 또한, 단형부(11a)는 절연판(23)의 관통구멍(23a)을 빠져나갈 수 있는 치수로 한다.
핀 콘택터(10)를 유지할려면, 제 14도에 표시된 점선의 화살표(157)(158) 방향과 같이, 핀 콘택터의 단형부(11a)간에 같은 형상인 2장의 절연판(23)의 관통구(23a)를 통하여 삽입된 후 이들 절연판(23)을 서로 역방향으로 단형부(11a)의 돌출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고, 핀 콘택터(10)의 긴쪽방향에서 절연판(23)을 단형부(11a)에 대향시킨다.
[제 5 실시예]
제 15도 및 제 16도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에 포함된 핀 콘택터 결합체를 도시한다. 핀 콘택터(10)의 축심방향 중앙부에는, 제 3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브릿지부재(21)가 형성되어 있다. 1쌍의 절연판(23)(23)을 제 1의 방향(Y)으로 서로 대향시키고, 이들에 의하여 핀 콘택터(10)의 중앙부에서 이 핀 콘택터(10)를 유지한다. 이결과, 2장의 절연체 (23)(23) 사이에 브릿지부재(21)가 끼워짐에 따라 핀 콘택터(10)의 중앙부가 유지되고, 따라서, 핀 콘택터(10)는 일정한 위치에 유지된다.
상기 제 3 실시에 내지 제 5 실시예에 따른 핀 콘택터 결합체도, 제 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경우와 같이 한쌍의 절연하우징에 유지되고, 그들의 절연하우징의 상대이동에 의하여 핀 콘택터(10)에 제 1 실시예와 같은 변형이 발생된다.
[제 6 실시예]
제 17도 및 제 18도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접속 대상물로서의 상대측 커넥터(60a)(60b)와 함께 도시한다. 이 커넥터는 콘택터(10)를 유지시키고, 서로 결합하는 상측 및 하측 절연하우징(71)(72)으로된 하우징(70)과, 상측 및 하측 절연하우징(71)(72)의 상하에 각각 돌출한 다수의 콘택터(10)를 포함하고 있다. 한쪽의 상대측 커넥터(60a)는, 콘택터(10)의 한쪽끝을 접합하는 다수의 소켓 콘택터(2)와, 이들의 소켓 콘택터(2)를 유지한 절연체 소켓(101)을 포함하고 있다. 다른쪽의 상대측 커넥터(60b)는 콘택터(10)의 다른끝에 접합되는 복수의 소켓 콘택터(2)와 이들의 소켓 콘택터(2)를 유지한 절연체 플러그(102)를 포함하고 있다. 도면의 간소화를 위하여 절연체 소켓(101) 및 절연체 플러그(102)의 몇개의 소켓 콘택터를 도시하고, 나머지는 도시되어 있지 않는다.
상부 및 하부 절연하우징(71)(72)은, 대향면이 개구된 반상자형이고, 전면벽(71a)은 서로의 접촉면보다도 낮게 형성되고, 개구끼리를 결합시킬때 핀 콘택터를 유지하는 유지부재(52)를 끼우는 공간을 형성한다. 또, 절연하 우징(71)(72)의 각 외측 저면에는, 수용되는 핀 콘택터(10)의 직경보다더 큰 직경을 갖는 위치 결정구멍(71b)(72b)이 각각 복수설치되어 있다. 도면의 간소화를 위하여 몇개의 위치결정 구멍을 도시하고, 나머지는 도시되어 있지 않는다.
유지부재(52)는, 긴판형이고, 핀 콘택터(10)의 브릿지부재(2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핀 콘택터(10)에 대응하는 간극에서, 다수의 원형구멍(52a)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부 절연하우징(71)의 상저면 중심부에는 단형부(71d)가 핀 콘택터(10)의 축심방향 외측에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 하우징부재(70) 내부공간의 일측부에는 양단이 같은 방향으로 둥글게 형성된 오프셋(offset) 스프링(70a)이 설치되고 상기 둥근양단부는 절연하우징(71)(72)의 편측 내벽에 각각 접하도록 삽입되어 있다. 상기 오프셋 스프링(70a)은 핀콘택트(10)를 관통구(71b)(72b)의 한쪽으로 몰아서 선단을 정열시키도록 유지부재(52)의 한끝을 하우징부재(70)의 다른측 내벽으로 향하여 압박하고 있다.
절연체 소켓(101)에는 하우징부재를 수용하기 위하여 상측으로 열린 수용구멍(101a)이 형성되어 있다. 이 수용구멍(101a)을 형성하는 한쪽벽부에는, 반원형의 구멍부(101b)가 설치되어 있고, 이 구멍부(101b)내에 반원보다 조금 작게 현(활)을 이루도록 일부 절결한 구동캠(38)이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 수용구멍(101a)을 형성하는 일측벽부에 대향하는 벽부에는, 절연하우징(71)(72)의 쪽보다 크고, 외측으로 움푹패인 홈(101e)과, 이 홈(101e) 보다도, 또한 소켓(101) 보다도 깊게 외측으로 묶은 리턴스프링 수용 구멍(101f)을 형성하고 있다. 이 스프링 수용구멍(101f)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부(70)의 한쪽 절연하우징(71)을 하우징부의 수용구멍(101a)의 다른 끝측(도면에는 우측)으로 압박하도록 코일스프링(리턴스프링)(4)이 수용된다.
또, 소켓 콘택터(2)는 수용구멍(101a)의 저부(101g)에 개구(2a)를 갖추고, 저벽을 관통하여 한끝(2b)이 외부벽면에 돌출하고 있다. 하우징부재(70)는, 절연체 소켓(101)의 수용구멍(101a)에 수용된다. 그때, 핀콘택트(10)의 하단을, 절연체 소켓((701)에 유지된 소켓 콘택터(2)에 삽입시킨다. 또, 스프링 수용구멍(101f)에 코일스프링(4)을 수용한다. 이 코일스프링(4)은 상측 절연하우정(71)을 지면에 따라 우측으로 압박하기 위함이며, 소켓(2)이 이탈된 후, 하우징(71)을 초기의 위치로 돌리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절연체 플러그(102)에 있어서는, 소켓 콘택터(2)는 핀 콘택터(10)와의 대향면에 그 개구(2a)를 갖추고, 이 대향면에 대향하는 다면측에서 돌출하며 타단부(2b)가 연재하고 있다. 또, 절연체 플러그(102)의 양측 방향중앙은 위치결정핀(71c)을 받아들이는 가이드구멍(102a)이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구멍(102a)에는, 위치결정핀(71c)의 단자부(71d)와 걸어맞추는 단형부(102b)가 설치되어 있다.
절연체 플러그(102)도 절연체 소켓(101) 수용구멍(101a)에 수용한다. 그때, 위치결정핀(71c)을 가이드구멍(102a)에 삽입한다. 삽입당초는, 위치결정구멍(71b)의 한쪽으로 치우친 핀콘택트(10)와 소켓 콘택터(2)의 중심선이 일치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핀 콘택터(10)는 소켓 콘택터(2)의 소켓부(2a)에 원활히 삽입된다. 삽입완료후, 절연하우징(17)과 절연체 플러그(102)가 종이면에 따라 왼쪽으로 움직일때, 위치결정핀(71c) 및 가이드구멍(102a)에 설치된 단형부(71d)(102b)의 작용에 의하여 절연하우징(71)이 절연체 플러그(102)에서 아주적게 이동하기 때문에, 위치결정구멍(71b)의 한쪽으로 치우쳐져 있는 핀(10)이 위치결정구멍(71b)의 거의 중앙에 위치하게 된다.
다음에, 구동캠(38)을 제 18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회동시켜서 절연하우징(71)과 절연체 플러그(102)를 종이면에 따라 좌측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 결과, 핀 콘택터(10)의 도면에 도시한 바와같은 변형을 수반하여, 핀 콘택터(10)와 소켓 콘택터(2)의 접촉을 얻을 수 있다.
[제 7 실시예]
제 19도 및 제 20도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에에 따른 커넥터의 요부를 도시한다. 도면에서는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하여 생략되어 있으나, 제 7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는 제 1도 및 제 18도에 도시한 커넥터와 같이, 하우징부재와 하우징 수용구멍을 갖추고, 동시에 리턴스프링 및 구동캠을 갖추고 있다.
제 19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하우징부재(70)를 이루는 1상의 절연하우징(71)(72)의 위치결정구멍(71b)(72b)이 제 1의 방향(Y)에 대하여 같은 방향으로 같은 각도를 이루어 경사져 있다. 위치결정구멍(71b)(72b)의 직경은, 상단 및 하단의 예각형상의 가장자리가 핀 콘택터에 접촉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콘넥터에 있어서는, 하부의 상대측 커넥터(60a)도 상부의 상대측 커넥터(60b)와 동등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절연체 소켓(101)의 가이드구멍(102a)에 위치결정핀(73a)이 각각 삽입되고, 단형부(737)와 단형부(102b)가 걸려서 핀 콘택터(10)를 구멍(73c)의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한 후, 절연체 소켓(101)과 하우징부재(70)를 일체화한 일체조립체를 얻는다. 통상은, 이렇게 일체조립체를 1부품, 상부 소켓(102)을 별부품으로서 취급된다. 이 하우징부재(70)와 절연체 소켓(101)과의 일체 조립체에 상부 소켓을 끼워 맞추어, 구동캠을 구동하고, 횡방향으로 상대이동시켜서, 제 20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핀 콘택터(10)와 소켓 콘택터(2)와의 접촉력을 발생시킨다.
[제 8 실시예]
제 21도 및 제 22도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에에 따른 커넥터의 주요부를 도시하고, 도면에서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하여 생략되어 있으나, 이 커넥터도 상기한 커넥터와 같이 리턴스프링 및 구동캠을 갖추고 있다.
이 커넥터는, 하우징부재(70)를 구성하는 상하의 절연하우징(71)(72)이 2장의 평행한 절연필름(75a)(75a)과, 이들의 절연필름(75a)(75a)의 양단간에 충전고화된 섬유몰드(75c)로 형성되어 있다. 절연하우징(71)(72)의 각 2장의 평행한 절연필름(75a)(75a)에 각각 다수의 개소를 설치한 배열구멍(75b)은, 서로 대응하는 하나의 가장자리와 다른 가장자리측이 겹치도록 서로 어긋나게 형성되며, 내측의 절연필름(75a)의 배열구멍(75b)의 다른 가장자리가 핀콘 팩트(10)에 각각 근접하고 있다. 각 핀 콘택터(10)가 관통하고 있는 대응한 배열구멍끼리는 협동하고, 상기의 커넥터와 같이 경사진 위치결정구멍을 구성한다. 도면의 간소화를 위하여 몇개의 배열구멍을 도시하고, 나머지는 도시되어 있지 않는다.
이 커넥터는, 제 19도 및 제 20도의 커넥터와 같이, 제 22도에 도시한 절연체 소켓(101)의 가이드구멍(102a)에 가이드핀(73a)이 각각 삽입되어 있고, 단형부끼리(73b)(102b)가 걸리고, 절연하우징(75)의 구멍(75b)의 중앙부에 핀 콘택터(10)를 위치결정하고 있다. 통상은, 절연체 소켓(101)과 하우징 부재(70)와의 일체조립체와 절연체 플러그(102)로 분리하여 취급된다.
소정의 접속을 얻을려면, 이 일체조립체에 절연체 플러그(101)를 삽입한 후, 구동캠을 구동하여 횡방향으로 상하의 절연하우징(75)(75)을 상대 이동시켜서 핀 콘택터(10)와 소켓 콘택터(2)와의 접촉력을 발생시킨다.
[제 9 실시예]
제 23도, 24도, 25도 및 26도는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도시한다. 도면에서는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하여 생략되어 있으나, 이 커넥터도 상기의 커넥터와 같이 리턴스프링 및 구동캠을 갖추고 있다.
1쌍의 절연하우징(71)(72)은 핀 유지부재(81)와 핀 콘택터(10)를 유지하고 있다. 핀 배열부재(82)는 상면에 요철부(82a)가 설치되어 있고, 여기에 위치결정구멍으로서 십자형의 배열구멍(82b)이 복수형성되어 있다. 도면의 간소화를 위하여 몇 개의 배열구멍을 도시하고, 나머지는 도시되어 있지 않는다.
이들 십자형의 배열구멍(82b)은, 상부가 외측으로 넓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핀 콘택터(10)는 십자형의 배열구멍(82b)에 맞추어 플렌지(13a)를 갖고 있다. 핀 배열부재(82)가 최상의 또는 최하위에 있을 때에는, 플렌지(13a)가 배열구멍(82b)내에 위치한다.
핀배열부재(82)의 양측에는, 돌편(82c)이 형성되어 있다. 또, 위치결정핀(73a)은 핀유지부재(81)에 일체로 고정되어 있다. 핀유지부재(81)에는 삽입구멍 스프링(81a)이 형성되어 있다. 이 삽입구멍(81a)에는 스프링(5)이 끼워져 있고, 핀 배열부재(82)의 내측면을 외측으로 압박하고 있다.
또, 핀유지부재(81)의 상단 및 하단의 내측에는 돌편(81b)이 형성되어 있다. 핀유지부재(81)의 돌편(81b)에 의하여 핀 배열부재(82)의 돌변(82c)이 걸리고, 핀 배열부재(82)의 이탈이 방지된다.
상대커넥터(60b)의 접속을 얻기 전에는, 제 25도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플랜지부(13a)가 배열구멍(82b)에 있기 때문에, 긴쪽방향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의 진동은 생기지 않는다. 상대커넥터(60b)와의 접속을 얻을때에는, 제 26도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스프링(5)의 세력을 수반하여 배열부재(82)가 하강하여 플랜지부(13a)가 배열구멍(82b)으로부터 외부로 노출하여 요철부(82a)내로 돌출한 형으로 된다.
소망하는 접속을 얻을려면, 우선 위치결정핀(82b)을 가이드구멍(102d) 에 삽입하고, 하측 소켓 콘택터(2)내에 핀 콘택터(10)를 삽입한다. 또한, 상측 절연하우징(71)을 스프링(5)을 압축하면서 눌러내리고, 단형부(73b)를 단형부(102b)에 건다. 이렇게하여, 하측의 상대측 커넥터(60a)와, 하우징부재(70)의 일체 조립체를 얻는다. 통상은, 이 일체조립체와 상부의 상대측 커넥터(60b)의 조합에 의하여 취급된다.
다음에, 이 일체조립체와 상측 소켓 콘택터(2)를 조립 할려면, 핀 콘택터(10)의 다른쪽 단부도 상측 소켓 콘택터(2)에 같이 삽입한다. 약간 핀유지 부재(81)를 횡방향으로 핀배열부재(82)와 함께 이동시키면 위치결정핀(73a)과 가이드구멍(102a)의 단형부(73b)(102b)가 걸어맞추어져 상부의 상대측 커넥터(60b)와 하우징부재(70)와의 이탈이 방지된다.
이 상태에서 핀배열부재(82)를 제 2의 방향(X)로 이동하면, 단형부(73b)(103b)의 걸어맞춘 것이 이탈되는 일없이 제 24도에 도시한 상태를 얻을 수 있고, 핀 콘택터(10)와 소켓 콘택터(2)의 안정한 접촉을 얻을 수 있다.
[제 10 실시예]
제 27도 및 제 28도는,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도시했다. 도면에서는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하여 생략되어 있으나, 이 커넥터도 상기한 커넥터와 같이 리턴스프링 및 구동캠을 갖추고 있다.
제 27도에 있어서, 핀 콘택터(10)는, 핀배열부재(82)의 배열구멍(82b)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중앙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반씩 서로 역방향으로 둥글게 돌출한 돌출부(12a)를 형성하고 있다. 이 핀 콘택터(10)는 상대측 커넥터(60a)와의 접속을 얻기 위하여는 상기의 커넥터와 같이 소켓 콘택터(2)에 핀 콘택터(10)가 우선 삽입되고, 이에 따라 차츰 하부의 핀 배열부재(82)가 상승한다. 이때, 핀 콘택터(17)의 돌출부(12a)가 요철부(82a)내로 이동하기 때문에, 핀콕택트(10)의 돌출부(12a) 보다 중앙으로 치우친 부분이 배열구멍(82b)내에 위치함으로서, 굴곡일 때의 자유도가 주어지게 된다.
이렇게 하여, 하부의 상대측 커넥터(60a)를 포함한 일체조립체를 얻을 수 있다. 이 일체조립 체와 상부의 상대측 커넥터(60b)는, 서로 다른부품으로서 취급된다. 이 일체조립 체와 상부의 상대측 커넥터(60a)를 조립할려면, 소켓 콘택터(2)의 내부에 핀 콘택터의 1단부를 삽입한다. 이때, 상부의 핀배열부재(82)는 하부로 눌려 하강한다.
제 28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핀 배열부재(82)의 상면에 상부의 상대측 커넥터(60b)의 소켓하우징(103c)을 올려놓은 후 상대측 커넥터(60a)를 제 2 의 방향(X)에서 서로 역방향으로 상대이동시킨다. 이결과, 소켓 콘택터(2)의 깊이방향(즉, 제 1의 방향 Y)과 핀 콘택터(10)의 단부방향이 경사져 콘택터끼리의 접촉이 주어진다.
[제 11 실시예]
제 29도 및 제 30도는,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도시한다. 상기와 같은 부분에는 같은 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한다.
제 29도에는 도시한 바와같이, 1쌍의 핀 배열부재(82)에는 스프링삽입 구멍(93a)과 다수의 배열구멍(91b)가 설치되어 있다. 도면의 간소화를 위하여 몇 개의 배열구멍을 도시하고, 나머지는 도시되어 있지 않는다. 배열구멍(91b)은, 제 1의 방향(Y)에서 외측으로 향하여 한쪽만이 차츰 넓어진 나팔형상을 나타낸다. 상부의 핀 배열부재(82)의 배열구멍(917)은, 도면에서는 좌측이 경사져 있고, 하측의 핀 배열부재(82)의 배열구멍(91b)은 우측이 경사져 있다.
한쌍의 판형상절연체(23)간에는, 유지부(58)가 개재되어 있다. 유지부(58)는 몰드브릿지(21)를 배치하기 위한 관통구(58a)를 갖고 있다. 유지부(58)는 판형상 절연체(23)의 끝보다도 외측으로 뻗어 있다. 이 지지부(58a)와 스프링 삽입구멍(93a)과의 사이에는, 스프링(6)이 가설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핀 콘택터(10)의 단부는, 배열구멍(91b)으로부터 외측으로 노출해 있지는 않다.
제 30도의 도시한 바와같이, 상대측 커넥터(60a)(6Ob)의 사이에 제 29도의 커넥터를 끼우고, 상부의 상대측 커넥터(60b)를 화살표(151)로 도시한 바와같이 움직인다. 이 결과, 핀 콘택터(10)의 양선단이 핀배열부재(82)(82)의 외측으로 돌출하여 소켓 콘택터(2)와 결합한다.
[제 12 실시예]
제 31도(a)(b) 및 (c)는 본 발명의 제 12 실시에에 따른 커넥터를 접속대상물로서의 기판(Bl)(B2)과 함께 도시한다. 상기와 같은 부분에는 같은 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한다.
제 31도(a)에 도시한 바와같이, 우선, 한쪽의 기판(Bl)의 관통홀(H)에 핀 콘택터(10)의 하단부를 삽입한다. 다음에, 다른쪽의 기판(B2)의 관통홀(H)에 핀 콘택터(10)의 상단부를 삽입한다. 공지된 바와같이, 이들의 관통홀(H)은 내면에 도체를 갖추고 있다. 그리고, 이후 제 31도(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긴판(Bl)(B2)을 상대적으로 반대방향으로 평행이동시킨다. 그렇게하면, 핀 콘택터(10)의 양단부는 관통홀(H)에 있어서 이 부분의 내벽의 양끝단부에 서로 역방향으로 눌린다. 이때, 핀 콘택터(10)와 기판(Bl)(B2)의 관통 홀(H)의 내벽의 양끝단부간에 결합력(P)와 (F)가 발생하고, 핀 콘택터(10)의 양단부는 관통홀(H)내에 눌려접속되어 유지된다. 그리고, 그후 제 31도(C)에 도시한 바와같이, 양기판(Bl)(B2)의 소정위치를 나사(8)나 스페이서(9) 등의 체결유지수단으로 상호체결해둔다. 그렇게 하면, 핀 콘택터(10)의 탄성복 원력에 의하여 기판(Bl)(B2)이 원위치로 돌아오는 것이 저지되어 기판과 핀 콘택터의 접속을 유지할 수 있다. 제 1도(1f)는 핀 콘택터(10)에 형성된 플랜지부이며, 기판(B1)(B2)의 서로 대향하는 면에 당집하고 있다. 또한, 이 플랜지부(1f)는 기판(Bl)(B2)간의 대향간격을 정하고, 그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핀 콘택터(10)의 관통홀(H)에 상통하고 있는 양단부중에 적어도 1단부의 외경의 크기는 이 관통홀(H)에 대하여 가볍게 압입되는 정도의 치수에, 즉, 관통홀(H)의 내경보다 약간 크게 설정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핀 콘택터(10)의 1단부를 1방향의 기판(Bl)의 관통홀(H)에 삽입한때에 핀 콘택터(10)가 기판(B1)에 대하여 직각으로 되고, 그밖에 단부가 다른쪽의 기판(B2)의 관통홀(H)에 정확히 정열하기 때문에, 그 조립이 용이하게 된다.
제 3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핀 콘택터(10)를 기판(Bl)(B2)에 형성된 관통홀과 동간격으로 배치하고, 이들을 상호로 절연필름(7)으로 정열유지상태로 하여두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절연필름(7)에 작은 구멍을 형성해두고, 거기에 핀 콘택터(10)를 끼워넣는다.
이 구조에 의하면, 핀 콘택터(10)는 관통홀의 간격에 대응하여 정열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각 핀 콘택터를 일제히 기판(B1)(B2)의 관통홀(H)에 끼워넣기가 용이하게 된다. 또, 각 핀 콘택터(10)는 정열되어 있기 때문에, 핀 콘택터의 관통홀로의 삽입은 압입할 필요는 없고, 핀 콘택터와 관통홀과의 사이에 틈새가 생길 정도로 틈새끼우기라도 좋다.
제 3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각 핀 콘택터(10)를 그 상단에 있어서 브릿지부(6)로 연결해두어도 좋다. 그경우, 이들의 핀 콘택터(10)를 양기판의 관통홀의 한쪽에서 다른쪽으로 삽통시킨 후, 제 1 실시예와 같이 양기판을 상대적으로 반대방향으로 평행이동시키고, 양기판의 소정위치를 체결 유지수단으로 상호체결하고, 그후, 핀 콘택터(10)의 브릿지부(6)를 제거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브릿지부(6)의 제거작업은, 핀 콘택터(10)를 양 관통홀에 삽통한 후에 하여도 상관없다.
브릿지부(5)와 핀 콘택터(10)와의 사이에 노치(notch)를 넣어두면, 브릿지부(6)를 용이하게 구부릴 수 있고, 이 부분의 제거작업이 간단하다. 또, 핀 콘택터(10)의 선단이 진동하여 불안정하면, 제 33도에 쇄선으로 도시한 바와같이 핀 콘택터(10)의 하단부에 정열용의 절연필름(7)을 설치해두면 좋다.
[제 13 실시예]
제 34도는 본 발명의 제 13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기판(Bl)(B2)과 함께 도시했다. 이 커넥터에 있어서는, 핀 콘택터(10)의 관통홀(H)에 삽입되어 있는 부분이며, 관통홀(H)의 양끝단부의 근방부분만 직경치수를 작게하고, 핀 콘택터(10)의 관통홀(H) 내벽면에 눌러 접촉하는 부분을 끝단부분보다 내측에 설정하고 있다. 이에 의하면, [M-(m/M)]은 작아지고, 이에 따라 양 기판(B1)(B2)을 이동시키는 힘, 즉, 조작력(W)을 작게 할 수 있다.

Claims (19)

  1. 한 쌍의 접속대상물(60, 60a, 60b)과 상기 한쌍의 접속대상물을 서로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를 갖는 접속 장치로서, 상기 접속대상물(60, 60a, 60b)은 제 1의 방향(Y)에서 서로 대향하고 또한 상기 제 1의 방향과 직교하는 제 2의 방향(X)에서 상대위치가 제 1 및 제 2의 위치 사이에서 가변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의 방향으로 연장하여서 공간(61, 2)을 규정한 도전성 내면을 갖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도전성의 탄성체로 이루어진 핀 콘택터(10)를 구비하고, 상기 핀 콘택터(10)는 실질적으로 상기 제 1 방향(Y)으로 연장되고 상기 접속대상물(60, 6Oa, 60b)을 서로 접속하는 때에 상기 공간(61, 2)에 삽입되도록 조절된 길이방향 대향 말단을 각각 가지며, 상기 대향 말단은 상기 상대 위치가 상기 제 1 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공간(2, 63)에 자유로이 삽입된 상태에 있으며, 상기 제 1 및 제 2 방향으로 오프셋(offset)된 복수개의 지점(F, P)에서 각각의 상기 대향 말단이 상기 각 내면과 압력을 가한 상태로 접촉하고, 상기 핀 콘택터(10)는 상기 상대 위치가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상기 제 2 위치로 변화되는 때에 탄성 변형되고 상기 대향 말단 사이에 위치하는 길이방향의 중간부를 가지며, 상기 접속 장치는, 상기 제 1의 방향(Y)에서 서로 대향하고 또한 상기 제 2의 방향(X)에서 상대적으로 가동될 수 있는 한쌍의 절연하우징(31,32; 71, 72)을 더 구비하고, 상기 한쌍의 절연하우징(31, 32; 71, 72) 각각은 상기 핀 콘택터(10)의 각각의 상기 대향 말단에 인접하여 상기 핀 컨택터(10) 양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위치결정구멍(31a, 32a, 71b, 72b, 82b, 91b)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장치.
  2. (삭제)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방향(Y, X)과 직교하는 제 3의 방향(Z)으로 연장하고 있으며 상기 핀 콘택터(10)의 길이방향의 중간부를 지지하는 절연성의 브릿지부재(21)를 구비하고, 상기 브릿지 부재는 한쌍의 절연하우징(31, 32; 71, 72) 사이에서 가동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의 방향(Y, X)과 직교하는 제 3의 방향(Z)으로 연장한 축심을 구비하며, 상기 핀 콘택터(10)의 중간부를 지지하는 절연성의 브릿지 부재(2)와; 상기 한쌍의 절연하우징(31, 32) 사이에 제 2의 방향(X)으로 가동될 수 있도록 지지되는 지지부재(50, 55)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부재(50, 55)는 상기 브릿지부재(21)가 상기 축심의 둘레로 회전구동하도록 상기 브릿지부재(21)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장치.
  4.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의 중간부는 길이방향 중앙부를 가지며, 상기 한쌍의 절연하우징(31, 32) 간의 상대적인 이동에 관계없이 상기 지지부재(50)를 실질적으로 정지상태로 유지하도록 상기 한쌍의 절연하우징(31, 32)에 지지부재(50)를 결합시키는 링크기구(41, 31d, 32d, 43)를 구비하고, 상기 브릿지부재(21)는 상기 핀 콘택터의 길이방향의 중앙부를 지지하고 있으며, 이에 의해 상기 핀 콘택터의 중앙부의 탄성변형이 핀 콘택터의 상기 중앙부에 대해서 점대칭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장치.
  5. (3회 정정)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핀 콘택터(10)가 경사지도록 상기 핀 콘택트(10)의 상기 중간부를 수용하는 판형상 절연체(23)와, 상기 판형상 절연체(23)로부터 상기 핀 콘택터(1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수단(10a)을 구비하고, 상기 판형상 절연체는 상기 한쌍의 절연하우징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판형상 절연체는 제 1의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대향한 2장의 절연판(23, 23)을 더 구비하며, 상기 2장의 절연판(23, 23)의 각각에는 핀 콘택터(10)의 중간부를 수용가능한 구멍(23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수단은 상기 핀 콘택터(10)와 통합되어 형성되고 또한 상기 2장의 절연판(23, 23) 사이에 설치되는 플랜지부(10a)를 가지며, 상기 플랜지부(10a)는 상기 2장의 절연판(23, 23)의 각각에 걸어맞추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핀 콘택터는 상기 핀 콘택터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2개 위치에 서로 역방향으로 돌출한 단형부(stepped portion; 11a)를 가지며, 상기 판형상 절연체(23)는 제 1의 방향(Y)에서 서로 대향한 2장의 절연판(23, 23)을 가지며, 상기 2장의 절연판(23, 23)의 각각에는 상기 단형부(11a)가 통과할 수 있는 정도 크기의 구멍이 제공되며, 상기 핀 콘택트(10)는 상기 단형부 사이에서 연장되고 상기 절연판(23, 23)의 상기 구멍에 삽입되는 부분을 가지며, 상기 절연판(23, 23)이 제 2의 방향(X)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고 또한 상기 단형부(11a) 각각에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단형부가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절연판에 대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핀 콘택터(10)의 중간부를 지지하는 절연성의 브릿지부재(21)를 더 구비하고, 상기 판형상 절연체는 제 1의 방향(Y)에서 서로 간격을 두고 대향한 2장의 절연판(23, 23)을 가지며, 상기 2장의 절연판(23, 23)의 각각에는 상기 핀 콘택터의 중간부를 수용하기 위한 구멍이 제공되며, 상기 브릿지 부재(21)는 상기 2장의 절연판(23, 23)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장치.
  8. (2회 정정)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핀 콘택터가 위치결정구멍의 지름이 핀 콘택터의 지름보다도 실질적으로 더 크게 형성되어 있는 핀 지름을 가지며, 상기 커넥터가, 핀 콘택터(10)를 위치결정구멍(71b, 72b)의 내면의 일부에 압력을 가한 상태로 접촉시키기 위한 오프셋(offset) 스프링(70a)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장치.
  9. (2회 정정)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핀 콘택터가 상기 위치결정구멍(71b, 72b)이 제 1 및 제 2의 방향(Y, X)에 대해서 경사진 제 4의 방향에 따라 연장되는 핀 지름을 가지며, 상기 위치결정구멍(71b, 72b)의 지름은 상기 핀 지름보다도 충분히 크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위치결정구멍(71b, 72b)은 경사의 방향은 상대위치가 제 2의 위치에 있을 때의 핀 콘택터의 형태에 의존하고 있으며, 위치결정구멍의 양단부의 서로 대향하는 구멍의 가장자리 부에 따라 상대위치가 제 1의 위치에 있을때 상기 핀 콘택터(10)의 진동을 억제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장치.
  10. (3회 정정)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절연하우징(71, 72)의 각각은 제 1의 방향(Y)에서 서로 간격을 두고 대향한 얇은 2장의 필름(75a, 75a)을 가지며, 2장의 필름을 서로 대응하는 장소에 서로 협동해서 위치결정구멍을 구성하는 같은 지름의 구멍(75b)을 각각 가지며, 상기 구멍(75b)은 상대위치가 제 2의 위치에 있을 때의 핀 콘택터(10)의 형태에 따라 필름 면에 따르는 방향에서 서로 오프셋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장치.
  11. (2회정정)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구멍(82b)은 구멍축을 가지며 상기 위치결정구멍의 내면에 상기 구멍축의 방향으로 뻗어 있는 복수의 홈을 가지며, 상기 핀 콘택터(10)는 상기 대향 말단의 근방부분에서 상기 홈에 대응하는 복수의 플랜지를 가지며, 상기 한쌍의 절연하우징(71, 72)은, 상기 제 1의 방향(Y)에서, 플랜지(13a)가 홈에 삽입된 특정 위치와 상기 특정위치보다도 서로 접근한 위치와의 사이에서 가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며, 상기 절연하우징(71, 72)을 상기 특정위치로 압박(urge)하기 위한 압 박 수단(5)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장치.
  12. (2회정정)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핀 콘택터(10)는 상기 중간부에서 팽창부(12a)를 가지며, 상기 위치결정구멍(82b)은 상기 팽창부(72a)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는 칫수를 가지며, 상기 절연하우징(71, 72)은 제 1의 방향(Y)에서, 상기 팽창부(12a)가 상기 위치결정구멍(82b)에 삽입되는 특정위치와 상기 특정위치보다도 서로 접근한 위치와의 사이에서 가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절연하우징(71, 72)을 상기 특정위치로 압박하기 위한 압박 수단(5)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장치.
  13. (2회정정)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핀 콘택터(70)는 핀 지름을 가지며, 상기 한쌍의 절연하우징(71,72)의 하나에 형성된 위치결정구멍은 상기 절연하우징(72, 71)의 다른 하나에 대향하는 첫 번째 말단에서 상기 핀 지름보다 약간 크고 또한 상기 첫 번째 말단에 대향하는 두 번째 말단쪽으로 제 2의 방향으로 폭이 확대되는 구멍 지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절연하우징(71, 72)은 한쌍의 접속대상물(60a, 60b)간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커넥터는 한쌍의 절연하우징(71, 72) 중 한쪽의 절연하우징과 상기 한쌍의 절연하우징의 상기 선택된 절연하우징에 대향한 접속 대상물을 정렬시키기 위해서 제 1의 방향(X)에서 서로 끼워맞추는 가이드 구멍(102a) 및 위치결정핀(73a)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구멍(102a) 및 위치결정핀(73a)은 제 1의 방향(Y)의 상기 중간부에 양자간의 제 2의 방향(X)에서 상기 절연하우징의 상기 선택된 하나와 상기 선택된 절연하우징에 대향하는 상기 접속대상물(60a, 60b)의 상대적 이동을 허용하는 단형부(102b, 73b)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장치.
  15. (2회정정)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대상물(60a, 60b)과 핀 콘택터의 복수개의 조합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장치.
  16. (2회정정)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대상물(60a, 60b)은 서로 평행한 2개의 주면을 갖는 제 1 및 제 2 회로기판(B1, B2)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회로 기판(B1, B2)은 상기 공간에서 상기 2개의 주면 사이에서 연장되어 형성된 제 1 및 제 2 관통홀을 각각 가지며, 상기 핀 콘택터의 상기 대향 말단은 상기 제 1 및 제 2 관통홀에 각각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핀 콘택터(10)의 상기 대향 말단의 선택된 하나가 상기 제 1 관통홀(H)에 제 1 상태로 삽입되고, 상기 대향 말단의 다른 하나가 상기 제 1 상태에서 삽입되는 것과 비교하여 꽉 죄지않는 제 2 상태에서 상기 제 2 관통홀(H)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장치.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핀 콘택터(10)는 상기 제 1 방향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회로 기판(B1, B2)과 끼워맞춰지도록 상기 한쌍의 회로 기판(B1, B2) 사이에 위치하는 제 1 및 제 2 플랜지부(1f)를 각각 가지며, 상기 제 1 및 제 2 플랜지부(1f)는 상기 제 1 및 제 2 회로 기판(B1, B2)과 각각 직접 걸어맞추어 지며, 상기 제 1 플랜지부(1f)와 상기 제 1 회로 기판 사이에, 제 1 필름부재가 제공되며, 상기 제 2 플랜지부(1f)와 상기 제 2 회로 기판(B2) 사이에, 제 2 필름부재가 제공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필름부재가 상기 핀 콘택터(10)에 걸어 맞추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장치.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관통홀(H, H) 각각은 말단부와 상기 말단부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부를 가지며, 상기 핀 콘택터(10)가 상기 말단부에 대응되는 각 위치에서 제 1 반지름방향 크기를 갖고 상기 중간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제 2 반지름방향 크기를 가지며, 상기 제 1 반지름방향 크기가 상기 제 2 반지름 방향 크기보다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장치.
KR1019930008443A 1992-05-18 1993-05-18 접속및분리의작업을요하는힘을감소시키는단순한구조의접속장치 KR1003029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32579 1992-05-18
JP3257992 1992-05-18
JP92-278317 1992-10-16
JP4278317A JP2567792B2 (ja) 1992-10-16 1992-10-16 スタッキングボードの接続方法
JP93-58295 1993-03-18
JP5058295A JP2612530B2 (ja) 1992-05-18 1993-03-18 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6313A KR940006313A (ko) 1994-03-23
KR100302923B1 true KR100302923B1 (ko) 2001-11-22

Family

ID=27287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8443A KR100302923B1 (ko) 1992-05-18 1993-05-18 접속및분리의작업을요하는힘을감소시키는단순한구조의접속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415559A (ko)
EP (1) EP0571879B1 (ko)
KR (1) KR100302923B1 (ko)
DE (1) DE69323792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7893Y2 (ja) * 1993-07-23 1997-09-1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EP0684663B1 (en) * 1994-05-25 1999-11-03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Connector operatable with relatively small operation force
US5688140A (en) * 1995-12-28 1997-11-18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Chip carrier socket
EP0789427B1 (de) * 1996-02-12 2003-10-22 Tyco Electronics Logistics AG Leiterplattenverbinder
ATE260470T1 (de) * 1997-11-05 2004-03-15 Feinmetall Gmbh Prüfkopf für mikrostrukturen mit schnittstelle
DE19748823B4 (de) * 1997-11-05 2005-09-08 Feinmetall Gmbh Servicefreundliche Kontaktiervorrichtung
US6364670B1 (en) 1998-11-18 2002-04-02 Robert Bosch Corporation Junction box having function electronics
US6939143B2 (en) 2000-01-20 2005-09-06 Gryphics, Inc. Flexible compliant interconnect assembly
US6957963B2 (en) 2000-01-20 2005-10-25 Gryphics, Inc. Compliant interconnect assembly
JP3739626B2 (ja) * 2000-03-10 2006-01-25 株式会社エンプラス 電気部品用ソケット
US6379172B1 (en) * 2001-07-27 2002-04-30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High current capacity socket with side contacts
TW538562B (en) * 2001-12-06 2003-06-21 Hon Hai Prec Ind Co Ltd High current capacity socket with side contacts
US6663426B2 (en) * 2002-01-09 2003-12-16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Floating interface for electrical connector
JP4056301B2 (ja) * 2002-06-11 2008-03-05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の取付構造
EP1642364A1 (en) 2003-07-07 2006-04-05 Gryphics, Inc. Normally closed zero insertion force connector
CN100595598C (zh) * 2003-11-14 2010-03-24 温特沃斯实验室公司 带有集成装配辅助装置的模头
JP2008078093A (ja) * 2006-09-25 2008-04-03 Molex Inc 基板対基板コネクタ
JP2008270014A (ja) 2007-04-23 2008-11-06 Molex Inc 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
US7740488B2 (en) * 2008-01-17 2010-06-22 Amphenol Corporation Interposer assembly and method
US7753695B2 (en) * 2008-04-02 2010-07-13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Socket with wire-shaped contacts
EP2110673A1 (en) * 2008-04-17 2009-10-21 Technoprobe S.p.A Testing head having vertical probes provided with stopping means to avoid their upward and downward escape from respective guide holes
US7654844B1 (en) * 2008-08-22 2010-02-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elescopic power connector
CN102271459B (zh) 2010-06-03 2014-09-24 矢崎总业株式会社 布线基板及其制造方法
CN202503139U (zh) * 2011-04-01 2012-10-24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电连接器
JP5454646B1 (ja) * 2012-09-25 2014-03-26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US9383786B2 (en) 2012-12-14 2016-07-05 Dell Products L.P. Telescoping enclosure for information handling system component
EP3001513B1 (en) * 2014-09-29 2016-10-26 Axis AB Electrical connecting device, connector kit, and method of electrically connecting two apparatus
KR20170125070A (ko) 2015-03-13 2017-11-13 테크노프로브 에스.피.에이. 상이한 작동 조건 하에서 각각의 가이드 구멍 내에서 개선된 슬라이드 이동을 하고 테스트 헤드 내에서 프로브를 정확히 유지하는 수직형 프로브를 구비한 테스트 헤드
IT201600084921A1 (it) * 2016-08-11 2018-02-11 Technoprobe Spa Sonda di contatto e relativa testa di misura di un’apparecchiatura di test di dispositivi elettronici
JP6821522B2 (ja) * 2017-06-27 2021-01-27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ソケット
US11067603B2 (en) * 2018-04-30 2021-07-20 GITech Inc. Connector having contact members
CN111009752B (zh) * 2019-11-25 2021-09-28 中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电连接器组件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68270A1 (de) * 1981-06-15 1983-01-05 Siemens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zum gleichzeitigen Kontaktieren mehrerer eng beisammenliegender Prüfpunkte, insbesondere von Rasterfeldern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88785A (en) * 1969-12-03 1971-06-28 Ibm Connector assembly
DE2119567C2 (de) * 1970-05-05 1983-07-14 International Computers Ltd., London Elektrische Verbindungsvorrichtung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DE2707122C2 (de) * 1976-02-20 1982-04-29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Tokyo Elektrische Kontaktverbindungseinrichtung
US4027935A (en) * 1976-06-21 1977-06-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ntact for an electrical contactor assembly
US4217020A (en) * 1978-11-13 1980-08-12 Fairchild Camera & Instrument Corp. Electrical device connections
US4331371A (en) * 1979-03-09 1982-05-25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Electrical connector
US4512621A (en) * 1980-08-13 1985-04-23 Thomas & Betts Corporation Flat cable pitch transition connector
US4423376A (en) * 1981-03-20 1983-12-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ntact probe assembly having rotatable contacting probe elements
FR2511197A1 (fr) * 1981-08-05 1983-02-11 Cii Honeywell Bull Connecteur electrique a contacts droits, notamment pour supports de circuits electroniques a forte densite de bornes de sortie
US4540229A (en) * 1982-04-12 1985-09-10 At&T Bell Laboratories Electrical interconnection apparatus
US4538866A (en) * 1983-03-07 1985-09-03 Teradyne, Inc. Backplane connector
DE8515436U1 (de) * 1985-05-24 1985-08-22 MANIA Elektronik Automatisation Entwicklung und Gerätebau GmbH, 6384 Schmitten Kontaktstift aus elektrisch leitendem Werkstoff zu Verwendung in einer elektrischen Prüfvorrichtung für Leiterplatten
JPS6442309A (en) * 1987-08-05 1989-02-14 Idemitsu Kosan Co Method for recovering sulfur
DE3909284A1 (de) * 1989-03-21 1990-09-27 Nixdorf Computer Ag Steckkontaktanordnung
JPH0343973A (ja) * 1989-07-12 1991-02-25 Hitachi Ltd 着脱式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68270A1 (de) * 1981-06-15 1983-01-05 Siemens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zum gleichzeitigen Kontaktieren mehrerer eng beisammenliegender Prüfpunkte, insbesondere von Rasterfelder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571879B1 (en) 1999-03-10
DE69323792D1 (de) 1999-04-15
KR940006313A (ko) 1994-03-23
EP0571879A3 (en) 1996-06-26
EP0571879A2 (en) 1993-12-01
US5415559A (en) 1995-05-16
DE69323792T2 (de) 1999-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2923B1 (ko) 접속및분리의작업을요하는힘을감소시키는단순한구조의접속장치
EP1891664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load bearing features
KR100739916B1 (ko) 접속시 인가된 응력이 컨택에 의해 수용되는 커넥터
JP3041672B2 (ja) プリント回路板用の電気コネクタ
US6902411B2 (en) Connector assembly
JP4388879B2 (ja) コネクタ
US6609922B2 (en) Connector for substrate
JP2001006771A (ja) コネクタ
WO1995022182A1 (en) Electrical connector
KR101802171B1 (ko) 커넥터
US6079988A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spring contact with double contact projections as a contact region with contact pad of an external electronic component
CN101111976A (zh) 用于球栅阵列连接器的应变消除设备
KR20180072533A (ko) 커넥터 장치
US20150222039A1 (en) Electrical Connector
KR20020081103A (ko) 회로기판용 전기 커넥터
JP2021044080A (ja)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の製造方法
JP3899331B2 (ja) 電気コネクタ
JP2612530B2 (ja) コネクタ
JP2800168B2 (ja) 零挿入力コネクタ
JP3537740B2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H1032031A (ja) コンタクト
US20230246352A1 (en) Connector
JP4506712B2 (ja) コネクタ
JPH10189084A (ja) 電気コネクタ
CN118017299A (zh) 电路基板用电连接器以及带电路基板的电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1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