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2168B1 - 모니터화면의수직시프트제어회로 - Google Patents

모니터화면의수직시프트제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2168B1
KR100302168B1 KR1019930022119A KR930022119A KR100302168B1 KR 100302168 B1 KR100302168 B1 KR 100302168B1 KR 1019930022119 A KR1019930022119 A KR 1019930022119A KR 930022119 A KR930022119 A KR 930022119A KR 100302168 B1 KR100302168 B1 KR 1003021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se
pulse width
vertical
monitor screen
monostable multivib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2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2201A (ko
Inventor
김강수
김봉석
Original Assignee
김순택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순택,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순택
Priority to KR1019930022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2168B1/ko
Publication of KR950012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22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2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21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H04N3/22Circuits for controlling dimensions, shape or centering of picture on screen
    • H04N3/23Distortion correction, e.g. for pincushion distortion correction, S-correc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1/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cathode-ray tube indicators; General aspects or details, e.g. selection emphasis on particular characters, dashed line or dotted line generation; Preprocessing of data
    • G09G1/0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cathode-ray tube indicators; General aspects or details, e.g. selection emphasis on particular characters, dashed line or dotted line generation; Preprocessing of data using single beam tubes, e.g. three-dimensional or perspective representation, rotation or translation of display pattern, hidden lines, shadow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64Positioning
    • G09G2340/0471Vertical positio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Abstract

이 발명은 모니터 화면의 수직 시프트 제어회로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요구하는 만큼 수직 동기신호의 한 주기 이내에서 수직 동기신호의 위상이 변화되도록 하여 화면의 표시 시작점이 자유롭게 조정되도록 함으로써 화면의 수직 시프트를 구현하기 위하여,
수직 동기신호(VSYI)를 체크하여 펄스가 입력되는지 검사하고, 펄스가 입력되면 사용자가 원하는 펄스폭(TW2) 만큼 수직 동기신호(VSYI)의 위상이 시프트 되도록 하는 제1펄스폭 변환부(10, 20)와; 수직 동기신호(VSYI)의 펄스폭과 동일하도록, 상기 제1펄스폭 변환부(10, 20)에서 출력되는 신호(OUT2)의 펄스폭이 설정된 펄스폭(TW3) 만큼 변환되도록 하기 위한 제2펄스폭 변환부(30)로 구성되어짐을 동작상의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화면의 수직 시프트 제어회로에 관한 것.

Description

모니터 화면의 수직 시프트 제어회로
제1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 화면의 수직 시프트 제어회로의 상세 회로도이고,
제2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 화면의 수직 시프트 제어회로의 각부 동작파형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3 : 제1~제3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
RX1, RX3 : 저항 RX2 : 가변저항
CX1~CX3 : 콘덴서
이 발명은 모니터 화면의 수직 시프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모니터 화면의 수직주사를 제어하는 수평 동기신호의 위상이 사용자에 의해 시프트되도록 함으로써 화면상의 비디오 신호 시작점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고 종래 래스터 시프터에 따른 화면 왜곡현상을 제거할 수 있는 모니터 화면의 수직 시프트 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모니터 화면의 수직 시프트를 구현하기 위해서 래스터를 조정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에서는 화면의 수직 시프트시 왜곡현상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그러므로, 이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적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펄스폭 변환부에 의해 사용자가 요구하는 만큼 수직 동기신호의 한주기 이내에서 수직 동기신호의 위상이 변화되도록 함으로써 화면의 표시 시작점이 자유롭게 조정되어 화면의 수직 시프트를 구현하는 모니터 화면의 수직 시프트 제어회로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는 이 발명의 구성은 수직 동기신호를 시프트시켜 모니터 화면을 수직 시프트시키는 모니터 화면의 수직 시프트 제어회로에 있어서, 상기 수직 동기신호 펄스가 입력되는지 검사하고, 펄스가 입력되면 해당 펄스를 특정의 제1 펄스폭 만큼 시프트시켜 상기 수직 동기신호의 시프트 시작 위치를 설정하는 제1펄스폭 변환부; 상기 제1펄스폭 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펄스가 입력되는지 검사하고, 펄스가 입력되면 해당 펄스를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제2 펄스폭 만큼 상기 수직 동기신호의 시프트 시작 위치로부터 시프트시켜 상기 수직 동기신호의 최종 시프트 위치를 결정하는 제2펄스폭 변환부; 및 상기 제2펄스폭 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펄스가 입력되는지 검사하고, 펄스가 입력되면 해당 펄스를 상기 수직 동기신호의 펄스폭과 동일한 제3 펄스폭 만큼 시프트 시키는 제3펄스폭 변환부를 포함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 화면의 수직 시프트 제어회로의 상세 회도로이다.
제1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 화면의 수직 시프트 제어회로의 구성은, 수직 동기신호(VSYI)가 입력단(IN1)에 인가되고 저항(RX1)과 콘덴서(CX1)가 연결되는 제1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1)와; 상기 제1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1)의 출력신호가 입력단(IN2)에 인가되고 가변저항(RX2)과 콘덴서(CX2)가 연결되는 제2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2)와; 상기 제2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2)의 출력신호가 입력단(IN3)에 인가되고 저항(RX3)과 콘덴서(CX3)가 연결되며 출력단(OUT3)에서 수직 동기신호(VSYO)가 출력되는 제3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3)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 화면의 수직 시프트 제어회로에서 제1~제3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1~3)는 모토롤라(MOTOROLA) 또는 도시바(TOSHIBA)의 4358을 사용하였으나 이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구성에 의한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 화면의 수직 시프트 제어회로의 작용을 제2도의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 화면의 수직 시프트 제어회로의 각부 파형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수직 동기신호(VSYI)가 제1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1)의 입력단(IN1)에 인가되면 회로의 동작이 시작된다. 상기 수직 동기신호(VSYI)는 제2도의 (가)와 같이 비디오 신호 사이에 위치하도록 위상이 맞추어져 있다.
상기 제1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1)에서는 제2도의 (나)와 같이 출력신호가 하이레벨을 유지하다가 상기 수직 동기신호(VSYI)의 펄스가 하이레벨로 감지되면, 제1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1)의 외부에 인가된 저항(RX) 및 콘덴서(CX)에 의해 결정되는 펄스폭(TW1)만큼 출력신호가 로레벨을 유지한다.
상기 펄스록(TW1)은 생산자가 초기에 선택하는 저항(RX1)과 콘덴서(C9X1)의 소자값에 의해 결정되며, 결과적으로 수직 동기신호(VSYI)는 상기 펄스폭(TW1)만큼 시프트된다.
상기 제1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1)의 출력신호는 제2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2)의 입력단(IN2)에 인가된다. 상기 제2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2)에는 가변저항(RX2)과 콘덴서(CX2)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가변저항(RX2)의 소자값은 사용자에 의해 조정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제2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2)의 출력단(OUT2) 신호는 하이레벨을 유지하다가 상기 제1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1)의 출력단(OUT1)신호가 하이레벨로 변하면 가변저항(RX2)과 콘덴서(CX2)에 의해 결정되는 펄스폭(TW2)만큼 로레벨을 유지한다.
결국, 사용자는 가변저항(RX2)의 소자값을 조정함으로써 제1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1)에 입력된 수직 동기신호(VSYI)의 위상을 변화시킬수 있으며, 수직 동기신호(VSYI)의 한 주기 이내에서 상기 가변저항(RX2)에 의해 수직동기신호(VSYI)의 위상변화가 가능하다.
제3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3)는 상기 제2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2)의 출력단(OUT2)의 신호가 제1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1)에 입력되는 수직 동기신호(VSYI)와 동일한 펄스폭을 갖도록 제2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2) 출력단(OUT2) 신호의 펄스폭을 변환한다.
즉, 제3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3)의 외부에 연결된 저항(RX3)과 콘덴서(CX3)는 제2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2)의 출력단(OUT2)의 신호가 하이레벨로 변화면, 제3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3)의 출력단(OUT3) 신호가 수직 동기신호(VSYI)의 펄스폭과 동일한 펄스폭을 갖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3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3)의 출력단(OUT3) 신호가 일정 펄스폭(TW3)만큼 로레벨을 유지하도록 조정된다.
이상으로, 사용자는 제2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2)에 연결된 가변저항(RX2)의 소자값을 조정함으로써 제1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1)에 인가되는 수직 동기신호(VSYI)의 위상을 수직 동기신호(VSYI)의 한 주기이내에서 변화시키며, 제3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3)에서 사용자에 의해 요구된 만큼 위상 변화된 수직 동기신호(VSY0)를 얻을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제3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에 의해 사용자로부터 결정된 양만큼 수직 동기신호의 위상이 변화되도록 함으로써 화면의 수직 시프트를 구현하며, 래스터 조정에 의해 화면의 수직 시프트를 구현하는 종래의 방법에서 발생하는 화면 왜곡현상을 제거하는 효과를 갖는 모니터 화면의 수직 시프트 제어회로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

  1. 수직 동기신호를 시프트시켜 모니터 화면을 수직 시프트시키는 모니터 화면의 수직 시프트 제어회로에 있어서,
    상기 수직 동기신호 펄스가 입력되는지 검사하고, 펄스가 입력되면 해당 펄스를 특정의 제1 펄스폭 만큼 시프트시켜 상기 수직 동기신호의 시프트 시작 위치를 설정하는 제1펄스폭 변환부;
    상기 제1펄스폭 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펄스가 입력되는지 검사하고, 펄스가 입력되면 해당 펄스를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제2 펄스폭 만큼 상기 수직 동기신호의 시프트 시작 위치로부터 시프트시켜 상기 수직 동기신호의 최종시프트 위치를 결정하는 제2펄스폭 변환부; 및
    상기 제2펄스폭 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펄스가 입력되는지 검사하고, 펄스가 입력되면 해당 펄스를 상기 수직 동기신호의 펄스폭과 동일한 제3 펄스폭 만큼 시프트시키는 제3펄스폭 변환부를
    포함하는 모니터 화면의 수직 시프트 제어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3펄스폭 변환부는 각각의 출력단 신호의 펄스폭을 결정하기 위하여 각각 한쌍의 저항 및 콘덴서를 포함하는 모니터 화면의 수직 시프트 제어회로.
KR1019930022119A 1993-10-23 1993-10-23 모니터화면의수직시프트제어회로 KR1003021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2119A KR100302168B1 (ko) 1993-10-23 1993-10-23 모니터화면의수직시프트제어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2119A KR100302168B1 (ko) 1993-10-23 1993-10-23 모니터화면의수직시프트제어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2201A KR950012201A (ko) 1995-05-16
KR100302168B1 true KR100302168B1 (ko) 2001-11-22

Family

ID=37529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2119A KR100302168B1 (ko) 1993-10-23 1993-10-23 모니터화면의수직시프트제어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216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2201A (ko) 1995-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59105791A (ja) デイジタルテレビジヨン受像機
JPH051672B2 (ko)
US4875089A (en) Multi-standard vectorscope
KR100302168B1 (ko) 모니터화면의수직시프트제어회로
US4278994A (en) Circuit arrangement in a color television encoder
US4719504A (en) Method for converting an analog picture signal into an amplitude-discrete output signal
JPH0150861B2 (ko)
JPS63296471A (ja) 同期信号発生回路
SU1580541A1 (ru) Устройство сдвига шкалы времени
JP2891380B2 (ja) 平衡・不平衡変換装置
JPH01260933A (ja) 線路等化回路
KR940027591A (ko) Secam크로마 처리회로 및 주파수 자동 조정회로
KR960008675Y1 (ko) 티브이/에이브이 절환시 칼라신호 비피에프의 주파수 자동절환회로
KR910006337Y1 (ko) 다중 동기방식 모니터의 모드선택 회로
JP3417793B2 (ja) クロック同期装置
SU1518889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контрол амплитудно-частотных характеристик каналов св зи
KR910007284Y1 (ko) 다중 모드 디스플레이 장치의 모드 자동선택회로
EP0522181A4 (en) Apparatus for processing video image
SU1667222A1 (ru) Управл емый фазовращатель
SU1120384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регулировани преобразовател угла поворота вала в фазу
SU832758A1 (ru) Устройство тактовой синхрониза-ции
JPS6227791A (ja) 偏向回路
JPH03157069A (ja) 同期装置
GB2085691A (en) Demodulation circuit for producing a line-sequential signal from a frequency-modulated colour information signal
JPS57190462A (en) Horizontal deflecting circu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