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7284Y1 - 다중 모드 디스플레이 장치의 모드 자동선택회로 - Google Patents

다중 모드 디스플레이 장치의 모드 자동선택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7284Y1
KR910007284Y1 KR2019880006568U KR880006568U KR910007284Y1 KR 910007284 Y1 KR910007284 Y1 KR 910007284Y1 KR 2019880006568 U KR2019880006568 U KR 2019880006568U KR 880006568 U KR880006568 U KR 880006568U KR 910007284 Y1 KR910007284 Y1 KR 9100072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vertical
signal
oscillator
mode swi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065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23516U (ko
Inventor
유영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800065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7284Y1/ko
Publication of KR8900235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2351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72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7284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97Special arrangements with multiplexing or demultiplexing of display data in the drivers for data electrodes, in a pre-processing circuitry delivering display data to said drivers or in the matrix panel, e.g. multiplexing plural data signals to one D/A converter or demultiplexing the D/A converter output to multiple colum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다중 모드 디스플레이 장치의 모드 자동선택 회로
제1도는 본 고안의 모드 자동 선택회로도.
제2도는 제1도의 각부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모드 절환부 20 : 수직발진부
30 : 저항 선택부 40 : 수평발진부
50 : 수평 주사 출력부
다중 모드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컴퓨터의 모드별 신호차에 따라 자동적으로 디스플레이장치 기능을 선택하여 화면의 안정화 및 부품수 절감에 따른 가격을 절감할 수 있는 다중 모드 디스플레이 장치의 모드 자동 선택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컴퓨터의 출력신호(수직동기신호)의 극성에 따라 익스클루시브 노아(Exclusive-NOR) 게이트를 이용하여 수직발진부의 동기신호와 모드 절환기능을 수행하였는데, 수직동기신호 재생회로와 수평모드 선택회로에 적용되는 부품이 각기 다르기 때문에 모드 변환시 지연시간이 달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의 불안정이 초래되며, 모드 선택회로에 특별히 익스클루시브-노아 게이트를 사용하여 부품의 수가 증가하므로 가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수직 및 수평모드 절환회오에 동일부품을 적용하여 모드 변환시의 화면 불안정을 극소화하고 제품의 적용 부품횟수를 줄여 원가를 절감시키며 컴퓨터의 모드별 신호차에 따라 자동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다중모드 디스플레이 장치의 모드 자동선택회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하에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컴퓨터의 출력신호인 수직동기신호(VS)를 입력으로 하는 모드절환부(10)의 출력에 의해 디멀티플렉서(SW1)를 구동시켜 컴퓨터가 모드 1(#1)로 동작할 때는 수직동신호(VS)를 수직발진부(20)에 직접인가하고 컴퓨터가 모드 2(#2)로 동작할 때는 수직동기신호(VS)를 인버어터 (I1)를 통해 반전시켜 인가하도록 연결하고, 동시에 디멀티플렉서(SW2)에 따른 저항선택부(30)의 저항값 및 콘덴서(C2)에 의한 발진주파수를 수평발진부(40)가 갖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모드절환부(10)는 컴퓨터가 모드1(#1)로 동작할 경우에는 포지티브 수직동기신호(VS)가 저항(R1) 및 콘덴서(C1)를 통해 인버터(I2)에 인가되어 그 출력이 저항(R2, R3)을 통해 트랜지스터(Q1)를 구동시켜 디멀티플렉서(SW1,SW2)를 본래 상태로 유지하므로서 모드1(#1)을 선택하고, 컴퓨커가 모드2(#2)로 동작할 경우에는 트랜지스터(Q1)를 오프시켜 디멀티플렉서(SW1, SW2)를 모드2(2#)에 위치하도록 연결 구성하였다.
상기 구성된 본 고안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컴퓨터가 모드 1로 동작할 경우 수직동기신호의 파형은 제2도(a)에서 처럼 포지티브 동기로서, 저항(R1) 및 콘덴서 (C1)에 의해 제2도(c)와 같이 OV가 되어 인버어터((I2)에 인가된다.
인버어터(I2)의 출력은 저항(R2, R3)을 통해 베이스에 인가되어 트랜지스터(Q1)를 온시키고, 모드 절환부(10)의 출력인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측 출력은 OV가 되어 디멀티플렉서(SW1,SW3)의 상태가 본래 상태를 유지하므로 모드1(1#)을 선택하게 된다.
따라서, 수직발진부(20)에는 제2(b)와 같은 수직동기신호(VS)가 그대로 공급된다.
또, 수평발진부(40)에는 디멀티플렉서(SW2)에 의해 저항선택부(30)의 저항(R5, R6, VR1)이 선택되어 콘덴서(C2)와 함께 모드1(#1)의 발진주파수를 갖게된다.
다음, 컴퓨터가 모드 2로 동작을 하는 경우 수직동기신호(VS)의 파형은 제2도(a)처럼 네가티브 파형으로서, 저항(R1) 및 콘덴서 (C1)에 의해 제2도(c)처럼 5V로 되어 인버어터((I2)의 입력단에 인가된다.
인버어터((I2)의 출력은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인가되어 오프시키고, 트랜지스터(Q1)가 오프되어 모드절환부(10)의 출력은 12V가 되어 디멀티플렉서(SW1,SW2)는 모드 2(#2)에 위치하도록 한다.
수직동깃신호(VS)는 인버터어(I1)를 통해 제2도(b)처럼 반전되어 수직발진부(20)에 인가되므로 모드1(#1)의 경우와 동일하게 수직동기신호를 재생하게 되어 수직발진부(20)는 원하는 수직편향을 얻게 된다.
또한, 디멀티플렉서(SW2)에 의해 저항선택부(30)의 저항(R7, R8, VR2)이 선택되어 콘덴서(C2)와 함께 모드2(#2)의 발진주파수를 수평발진부(40)는 갖게 된다.
본 고안은 종래의 모드 변환기 수직과 수평의 전환 동작타이밍이 동시에 이루어지지 않음에 따른 순간적인 노이즈로 인해 초래되는 화면의 불안정성을 수직 및 수평모드 절환회로에 동일하게 디멀티플렉서를 사용하여 지연시간을 동일하게 하므로써 개선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적용부품의 종류를 줄임으로써 원가절감 및 제품설계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Claims (1)

  1. 컴퓨터로부터 입력되는 수직 동기신호(VS)를 저항(R1) 및 콘덴서(C1)로 적분하고, 적분한 신호레벨로 모드절환신호를 출력하는 모드 절환부(10)와, 상기 모드 절환부(10)의 출력신호에 따라 스위칭되면서 상기 수직 동기신호(VS)가 수직 발진부(20)에 직접 또는 인버터(I1)를 통해 반전되어 입력되게 하는 디멀티플렉서(SW1)와 모드에 따른 수평발진부(40)의 발진 시정수의 저항값을 설정하는 저항선택부(30)와, 상기 모드 절환부(10)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저항 선택부(30)의 저항값을 선택하여 수평 발진부(40)에 연결하는 디멀티플렉서(SW2)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모드 디스플레이장치의 모드 자동 선택회로.
KR2019880006568U 1988-05-02 1988-05-02 다중 모드 디스플레이 장치의 모드 자동선택회로 KR9100072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6568U KR910007284Y1 (ko) 1988-05-02 1988-05-02 다중 모드 디스플레이 장치의 모드 자동선택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6568U KR910007284Y1 (ko) 1988-05-02 1988-05-02 다중 모드 디스플레이 장치의 모드 자동선택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23516U KR890023516U (ko) 1989-12-02
KR910007284Y1 true KR910007284Y1 (ko) 1991-09-25

Family

ID=19274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06568U KR910007284Y1 (ko) 1988-05-02 1988-05-02 다중 모드 디스플레이 장치의 모드 자동선택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728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23516U (ko) 1989-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03218A (en) Source electrode driving circuit for matrix type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KR910007284Y1 (ko) 다중 모드 디스플레이 장치의 모드 자동선택회로
US4849830A (en) Picture stabilizing circuit for generating a forced synchronizing signal
US4806883A (en) Multifrequency oscillator circuit
JP2003216112A (ja) 液晶駆動回路
KR0118645Y1 (ko) 비디오 문자 믹서회로
KR960036799A (ko) 디지탈 영상 신호 처리용 안정된 영상 제어 신호 발생 장치
KR960004470B1 (ko) 자동 발진 제어장치 및 방법
JP2573573B2 (ja) プラズマ表示装置
JPH0837619A (ja) ビデオ信号ミキシング装置
KR0177107B1 (ko)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화면 위치 조절회로 및 조절방법
KR910005926Y1 (ko) 백 보오더 조정기능의 비디오 리버스회로
KR930001328Y1 (ko) Vcr의 색신호 뮤트에 의한 화질개선회로
KR910005238Y1 (ko) 온 스크린 문자 및 배경의 명도 조절회로
KR930007346Y1 (ko) 모니터의 모드 자동절환 회로
JPH099104A (ja) ソフトクランプ装置及びソフトクランプ方法
KR900010357Y1 (ko) 주화면의 무신호시 화면 자동 절환 회로
JPH0830221A (ja) ディスプレイ装置
JP2854774B2 (ja) 映像信号の直流電圧制御回路
KR100230779B1 (ko) 영상신호 처리기의 동기신호 변환회로
KR930005145Y1 (ko) Vcr의 튜닝 지시회로
KR870000666Y1 (ko) 모니터의 동기신호 자동 적응 회로
KR880002410Y1 (ko) 영상재생기기의 수직동기신호를 이용한 스캔서치 장치
KR0164527B1 (ko) 동기신호의 입력 극성 제어 회로
KR930001094Y1 (ko) 교육용 vcr 이동커서 발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82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