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0620B1 - 기록매체반송기구 - Google Patents

기록매체반송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0620B1
KR100300620B1 KR1019980051363A KR19980051363A KR100300620B1 KR 100300620 B1 KR100300620 B1 KR 100300620B1 KR 1019980051363 A KR1019980051363 A KR 1019980051363A KR 19980051363 A KR19980051363 A KR 19980051363A KR 100300620 B1 KR100300620 B1 KR 1003006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medium
conveying roller
disk
conveying
mo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1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5652A (ko
Inventor
도시히로 사꾸라이
Original Assignee
가타오카 마사타카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타오카 마사타카,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타오카 마사타카
Publication of KR19990045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56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0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06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5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discs not contained within cartridges
    • G11B17/051Direct insertion, i.e. without external loading mea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401Details
    • G11B17/0402Servo control
    • G11B17/0404Servo control with parallel drive roll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Landscapes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 Holding Or Fastening Of Disk On Rotational Shaft (AREA)

Abstract

(과제) 종래, 반송수단을 대피 장소에 두기 위하여 별도의 전용부재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부품수가 많아진다. 또한, 전용부재를 수납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해결수단) 반송롤러 (R) 가 압출레버 (14) 의 주행부 (14b) 에 압접되어 있으며, 디스크를 삽입하면 반송롤러 (R) 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압출레버 (14) 의 주행부 (14b) 상을 구름운동하기 때문에, 반송수단 (5) 이 X1 측으로 이동하여 (나) 의 위치로 된다. 또한, 디스크를 반출할 때에는, 반송롤러 (R) 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반송수단 (5) 이 X2 측으로 이동함으로써, 기록매체 구동부에 접근한 (가) 의 위치로 되기 때문에, 디스크 (D) 를 확실하게 끼워서 지지한다. 즉, 반송수단 (5) 은 반송롤러 (R) 의 회전방향의 차이로 디스크에 접근하거나 또는 멀어질 수 있기 때문에, 다른 전용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고, 부품수를 삭감할 수 있으며, 동시에 전용 공간도 불필요해질 수 있다.

Description

기록매체 반송기구 {STORAGE MEDIUM TRANSPORTING MECHANISM}
본 발명은 CD 나 DVD 등의 디스크 또는 디스크 이외의 기록매체를 장치내에 반입하거나 또는 반출하는 기록매체 반송기구에 관한 것이다.
도 10 은 종래의 디스크장치를 나타내며, 도 10a 는 기록매체의 반송도중을 도시한 측면도, 도 10b 는 반송완료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0 에 도시한 디스크장치 (21) 의 내부에는 디스크 구동부 (A) 및 디스크 반송수단 (B) 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디스크장치 (21) 의 기록매체로서는 예컨대 CD 나 DVD 등의 원반상 디스크가 사용되고 있다.
디스크 구동부 (A) 는 구동섀시 (22) 에 회전모터 (23) 가 고정설치되며, 이 회전모터 (23) 의 회전축에 턴 테이블 (24) 이 축지지되어 있다. 구동섀시(22) 의 좌단 (X2) 측에는 기립편 (22a) 이 굽혀져 형성되며, 이 기립편 (22a) 에 설치된 회전운동축 (25) 에 클램프부재 (26) 가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지지되어 있다. 클램프부재 (26) 의 타측 선단부에는 클램퍼 (27) 가 회전이 자유롭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클램프부재 (26) 를 부호 β2 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킴으로써, 클램퍼 (27) 가 턴 테이블 (24) 에 처킹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디스크 반송수단 (B) 은 반송부재 (28) 에 구동롤러 (29) 가 회전이 자유롭도록 축지지되어 있으며, 도시하지 않은 구동모터로 정회전 또는 역회전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반송부재 (28) 에는 지지아암 (28a) 이 굽혀져 형성되어 있으며, 이 지지아암 (28a) 의 단부에 회전운동축 (28b) 이 설치되어 있다. 회전운동축 (28b) 은 도시하지 않은 케이스몸체의 일부 등에 지지되어 있으며,1-2 사이에서 요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반송부재 (28) 가 도시된 곳의 상측 (Z1) 에는 디스크 가이드부재 (31) 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반송부재 (28) 에는 코일스프링 등의 힘 인가부재 (30) 가 설치되며, 구동롤러 (29) 는 도시된 Z1 방향으로 힘을 받고 있다. 즉, 반송부재 (28) 가 힘 인가부재 (30) 에 의해1 방향으로 회전운동하면, 구동롤러 (29) 가 디스크 가이드부재 (31) 를 압접하도록 되어 있다.
도 10a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D) 는 디스크장치 (21) 의 도시된 우단 (X1) 측 정면에 형성된 디스크 삽입구 (33) 를 통해 반입 또는 반출된다. 그리고, 디스크 (D) 의 반입/반출시에는 반송부재 (28) 는1 방향인 끼움지지위치 (가) 로 회전운동되어 있다.
디스크 (D) 가 반입되는 경우에는, 디스크 삽입구 (33) 를 통해 삽입된 디스크 (D) 는 디스크 가이드부재 (31) 와 구동롤러 (29) 사이에 끼워져 지지된다. 그리고, 구동롤러 (29) 에는 반시계방향의 회전구동력이 부여되어 디스크 구동부 (A) 로 반송된다. 디스크 (D) 는 턴 테이블 (24) 에 올려짐과 동시에 클램프부재 (26) 가 β2 방향으로 회전운동함으로써, 클램퍼 (27) 와 턴 테이블 (24) 사이에 끼워져 지지되어 클램프상태가 된다.
또한, 도 10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D) 의 반송종료후에는 반송부재 (28) 가 도시하지 않은 기구에 의해2 방향의 대피위치 (나) 로 강제적으로 회전운동된다. 즉, 디스크 가이드부재 (31) 로부터 구동롤러 (29) 가 떨어지기 때문에, 그 사이에서 구속되어 있던 디스크 (D) 가 풀려나게 된다.
풀려난 디스크 (D) 는 회전모터 (23) 에 의해 고속회전이 부여된다. 그리고, 디스크장치 (21) 내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디스크기록/재생수단에 의해 디스크 (D) 에 정보가 입력되거나 또는 디스크 (D) 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의 판독이 행하여진다.
또한, 디스크 (D) 를 반출하는 경우에는 클램프부재 (26) 가 도시된 β1 방향으로 회전운동되어 비클램프상태로 된다. 이어서, 도시하지 않는 기구에 의해 반송부재 (28) 가1 방향으로 회전운동하여 끼움지지위치 (가) 로 복귀되어, 디스크 가이드부재 (31) 와 구동롤러 (29) 사이에 디스크 (D) 가 다시 끼워져 지지된다. 그리고, 구동롤러 (29) 에 시계방향의 회전구동력이 부여되어, 디스크 (D) 가 디스크 삽입구 (33) 를 통해 반출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디스크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상기한 디스크장치 (21) 에서는, 디스크 (D) 를 반입 또는 반출하는 반송부재 (28) 가 끼움지지위치 (가) 와 대피위치 (나) 사이를 회전운동하는데, 대피위치 (나) 로 회전운동시키기 위해서는 강제적으로 반송부재 (28) 를2 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전용부재 (도시생략) 를 필요로 한다는 문제가 있다.
즉, 반송부재 (28) 자체는 힘 인가부재 (30) 에 의해 항상1 방향으로 힘을 받고 있기 때문에,2 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키는 전용부재가 필요하다. 또한, 이 전용부재를 구동시키기 위해서는 구동모터 등이나 그 외에 이것에 부수되는 부재가 필요해지기 때문에, 부품수가 많아짐은 물론, 이들 부재를 수납하기 위한 공간을 디스크장치 (21) 내에 확보하여야만 한다는 문제도 발생한다.
또한, 도 10 에 도시한 반송수단 (B) 에서는, 구동롤러 (29) 가 디스크 구동부 (A) 방향으로 신장하는 대략 L 자형상의 반송부재 (28) 의 선단 (X2 측) 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삽입구 (33) 와 구동롤러 (29) 의 거리가 길어져서 디스크 (D)를 깊게 삽입하지 않으면, 디스크 (D) 가 가이드부재 (31) 와 구동롤러 (29) 에 끼워 지지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가이드부재 (31) 및 구동롤러 (29) 를 삽입구 (33) 에 근접하는 위치에 설치한 경우에는, 반출시에 디스크 (D) 의 확실한 끼움이 어려워지기 때문에, 디스크 (D) 가 반출되지 않게 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부품수의 삭감 및장치내에 차지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음과 동시에 디스크 등의 기록매체의 반입 또는 반출을 확실하게 실행할 수 있는 기록매체 반송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 은 디스크장치의 실시형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2 는 도 1 의 측면도.
도 3 은 도 1 및 도 2 에 사용되는 주요 기구부품을 도시한 사시도.
도 4 는 압출레버를 도시한 사시도.
도 5 는 반송수단과 압출레버의 위치관계를 도시한 부분사시도.
도 6 은 클램프 섀시가 상승한 상태를 도시한 도 1 의 Ⅵ-Ⅵ 선 단면도.
도 7 은 반송수단의 회전운동을 도시한 도 6 과 같은 형태의 단면도.
도 8 은 디스크 가이드의 상승을 도시한 도 6 과 같은 형태의 단면도.
도 9 는 상부위치를 도시한 도 6 과 같은 형태의 단면도.
도 10a 는 종래의 디스크장치에 있어서의 기록매체의 반송도중을 도시한 측면도, 도 10b 는 반송완료시를 도시한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디스크장치 3a : 삽입구
4 : 내부 케이스몸체 4a, 4b, 4c : 가이드 홈
5 : 반송수단 6 : 이동섀시 (이동부재)
6a, 6b, 6c, 6d, 6e : 가이드 홈 7 : 큰 기어
8 : 회전운동레버 9 : 구동섀시 (디스크 구동수단)
10 : 클램프 섀시 (끼움지지수단) 11 : 디스크 가이드 (지지수단)
11A : 상부측 리브 11B : 하부측 리브
13 : 지지받침대 14 : 압출레버
14a : 누름부 14b : 주행부
D1 : 제 1 디스크 D2 : 제 2 디스크 (새 디스크)
R : 반송롤러 S : 힘 인가수단
SW1, SW2, SW3, SW4 : 스위치
본 발명의 기록매체 반송기구는, 기록매체가 반입되거나 또는 반출되는 삽입구와, 기록매체를 구동하는 기록매체 구동부와, 그리고 상기 삽입구와 기록매체 구동부 사이에 위치하는 반송롤러를 구비하고 있으며, 기록매체가 상기 삽입구를 통해 반입될 때에, 상기 반송롤러는, 기록매체를 기록매체 구동부로 반입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그 회전력으로 상기 반송롤러 자체가 기록매체 구동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고, 기록매체가 반출될 때에는 반송롤러가 상기 방향의 역방향(즉, 기록매체를 반출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그 회전력으로 반송롤러 자체가 기록매체 구동부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반송롤러의 축이 삽입구와 기록매체 구동부 사이에 이동이 자유롭도록 지지되어 있어서, 상기 반송롤러가 기록매체를 기록매체 구동부 방향으로 반입할 때의 회전반력에 의해 반송롤러는 기록매체 구동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며, 기록매체가 기록매체 구동부 상으로 보내졌을 때에, 반송롤러는 기록매체로부터 떨어지는 것으로 된다.
또한, 반송롤러의 축이 삽입구와 기록매체 구동부 사이에 이동이 자유롭도록 지지되어 있어서, 반송롤러가 기록매체를 반출하는 방향으로 움직이기 시작할 때에, 반송롤러가 장치내에 설치된 주행부 상을 구름운동하여 기록매체 구동부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이 반송롤러가 기록매체 구동부 상의 기록매체로 반출력을 부여할 수 있는 위치로 이동하는 것으로 된다.
상기에 있어서, 기록매체 구동부상의 기록매체를 상기 반송롤러 방향으로 밀어내는 압출수단이 설치되어서, 상기 반송롤러가 기록매체 구동부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상기 압출수단이 기록매체를 반송롤러측으로 밀어내도록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상기 압출수단에는, 반송롤러와 함께 기록매체를 끼워서 지지하거나, 또는, 반송롤러에 접촉하는 주행부가 일체로 설치되어서, 반송롤러가 기록매체를 반입하는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는, 이 회전력에 의해 압출수단이 장치 안쪽으로 이동되고, 반송롤러가 기록매체를 반출하는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는, 이 회전력에 의해 압출수단이 반송롤러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반송롤러가 삽입구와 기록매체 구동부 사이에서 이동하기 때문에, 도 10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송롤러를 장치의 높이방향으로 대피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장치를 박형화할 수 있다.
반송롤러는, 스스로의 회전력 이외의 동력으로 이동시켜도 되지만, 반송롤러의 회전력의 반력을 이용함으로써, 반송모터를 사용해서 반송롤러를 이동시킬 수 있다.
반송롤러는, 기록매체를 구동부로 반입하였을 때에 구동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이 이동에 의해 구동부에 설치된 기록매체에 대한 구동력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기록매체를 반출시킬 때에는 반송롤러가 구동부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구동부상의 기록매체가 반송롤러에 의해 확실하게 반출된다.
또한, 반송롤러에 연동하는 압출수단을 설치하면, 구동부상의 기록매체를 반송롤러로 반출할 수 있는 위치까지 밀어낼 수 있으므로, 구동부방향으로 이동한 반송롤러로 기록매체를 확실하게 끼워서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압출수단을 반송롤러의 회전력으로 이동시키면, 압출수단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기구가 필요없게 된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은 디스크장치의 실시형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2 는 도 1 의 측면도, 도 3 은 도 1 및 도 2 에 사용되는 주요 기구부품을 도시한 사시도, 도 4 는 압출레버를 도시한 사시도, 도 5 는 압출레버와 반송수단의 위치관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에 도시한 디스크장치 (1) 에는 외부 케이스몸체 (2) 가 설치되고, 좌단 (X1) 측에 설치된 외관패널 (프런트 패널) (3) 에는 삽입구 (3a) 가 형성되어 있다. 즉, 이 디스크장치 (1) 는 상기 삽입구 (3a) 를 통해 디스크 (기록매체) 의 출입이 행해지는, 소위 슬롯 인 타입이다. 또한, 이 디스크장치 (1) 에 장전되는 기록매체는, 예를 들면 CD 나 DVD 등의 원반상 디스크이다.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 케이스몸체 (2) 의 내부에는 내부 케이스몸체 (4) 가 설치되어 있다. 내부 케이스몸체 (4) 는 금속판을 굽혀형성한 천정면 (4A) 및 측판 (4B,4B) 으로 구성되며, 측판 (4B) 에는 도 2 에서 점선으로 도시한 복수의 가이드홈 (4a,4b,4c) 및 U 자형상으로 파여진 U 자홈 (4d) 이 높이 (Z) 방향으로 각각 형성되고, 또한 천정면 (4A) 에는 회전축 (4e) 이 설치되어 있다. 내부 케이스몸체 (4) 내의 도시된 X1 측 (디스크 삽입구 (3a) 의 배면) 에는 반송수단 (5) 이 설치되고, 또한 내부 케이스몸체 (4) 의 외주면에는 이동수단으로서의 이동부재 (6) 가 밖에서 끼워져서, 기록매체 반송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반송수단 (5) 은, 예를 들면 금속판으로 형성되며, 대략 ㄷ자 형상으로 굽힌 반송섀시 (5A) 와, 이 반송섀시 (5A) 의 내부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축지지된 반송롤러 (R) 및 이 반송롤러 (R) 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도시하지 않은, 반송모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반송섀시 (5A) 의 천정면 (5a) 하면에는 판스프링 등으로 형성된 힘 인가부재 (S) 가 설치되어 있으며, 반송롤러 (R) 를 도시된 Z2 방향으로 밀고 있다. 반송섀시 (5A) 의 측판 (5b,5b) 에는 Y 축방향으로 돌출형성된 회전축 (5c,5c) 이 설치되며, 내부 케이스몸체 (4) 에 형성된 오목부 (4g) 에서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축지지되어 있다.
이동부재 (6) 는 평면도에서 대략 H 형형상으로 금속판을 굽힘가공한 것으로서, 이동부재 (6) 의 천정면 (6A) 에 형성된 4 개의 가이드 홈 (6h,6h,6h,6h) 을 따라 내부 케이스몸체 (4) 의 표면상을 도시된 X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자유롭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동부재 (6) 의 측판 (6B,6B) 에는 복수의 가이드 홈 (6a,6b,6c,6d,6e) 이 각각 좌우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동부재 (6) 의 천정면 (6A) 상면 (Z1 측) 에는 원반상의 큰 기어 (7) 가 상기 회전축 (4e) 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되어 있다. 큰 기어 (7) 는 디스크장치 (1) 내에 설치된 구동모터 (도시생략) 와 직접 또는 기어군을 통해 접속되어 있으며,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큰 기어 (7) 에는 부호 7a 로 도시한 제 1 캠 홈과 부호 7b 로 도시한 제 2 캠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 1 캠 홈 (7a) 에는 이동부재 (6) 의 천정면 (6A) 으로부터 설치된 슬라이드 핀 (6g) 이 관통하여 끼워져 있다. 따라서, 큰 기어 (7) 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슬라이딩 핀 (6g) 이 제 1 캠 홈 (7a) 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이동부재 (6) 가 도시된 X 방향으로 이동된다.
또한,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 케이스몸체 (4) 의 천정면 (4A) 에는 회전운동레버 (8) 가 설치되어 있으며, X2 측 지지축 (8a) 에서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축지지되어 있다. 지지축 (8a) 과 반대 (X1) 측 단부에는 누름부 (8b) 가 형성되며, 제 1 스위치 (SW1) 및 제 2 스위치 (SW2) 와 대향하도록 되어 있다. 회전운동레버 (8) 의 지지축 (8a) 과 누름부 (8b) 사이에는 슬라이딩 핀 (8c) 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큰 기어 (7) 에 설치된 제 2 캠 홈 (7b) 내에 관통하여 끼워져 있다.
제 2 캠 홈 (7b) 은 회전축 (4e) 으로부터의 거리 (반경) 가 다른 4 개의 캠 홈 (7b1,7b2,7b3,7b4) 이 소정 각도비율로 연결되어 형성되어 있다. 즉, 반시계방향의 단부측 캠 홈 (7b1) 이 가장 큰 반경 (r1) 으로 형성되어 있고, 캠 홈 (7b1) 에 이어지는 캠 홈 (7b2) 이 다음으로 큰 반경 (r2) 으로 형성되고, 캠 홈(7b3) 은 캠 홈 (7b2) 보다 작은 반경 (r3) 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마지막 시계방향의 단부측 캠 홈 (7b4) 은 r2 와 거의 동일한 직경으로 설정되어 있다 (r1>r2>r3). 따라서, 큰 기어 (7) 가 회전하고, 슬라이딩 핀 (8c) 이 캠 홈 (7b) 를 따라 이동하면, 캠 홈 (7b1 내지 7b4) 의 직경 크기의 차이에 의해 회전운동레버 (8) 가 α1 또는 α2 방향으로 회전운동하게 된다. 그리고, 이 회전운동에 의해 상기 제 1 스위치 (SW1) 또는 제 2 스위치 (SW2) 가 ON 또는 OFF 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동부재 (6) 에는 천정면 (6A) 의 일부를 꺽어 굽혀서 형성한 누름부 (6f) 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 케이스몸체 (4) 의 천정면 (4A) 에 설치된 제 3 스위치 (SW3) 에 대향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이동부재 (6) 가 도시된 X1 방향으로 끝까지 이동되면, 누름부 (6f) 가 제 3 스위치 (SW3) 을 눌러서 ON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반송섀시 (5A) 의 천정면 (5a) 에는 그 일부를 꺽어 굽힌 볼록부 (5d) 가 형성되며, 내부 케이스몸체 (4) 에 형성된 사각구멍 (4f)를 통해 도시된 Z1 방향으로 노출되어 있고, 사각구멍 (4f) 의 X1 측 가장자리부에 설치된 제 4 스위치 (SW4) 에 대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4 및 도 5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 케이스몸체 (4) 의 천정면 (4A) 하면측에는 압출부재로서의 압출레버 (14) 가 설치되어 있다. 압출레버 (14) 는 대략 L 자형상으로 금속판을 굽혀 형성한 것이며, 도시된 X2 측 단부에는 디스크 (D) 의 단부를 누를 수 있는 누름부 (14a) 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누름부 (14a) 의 높이 상의 위치는 삽입구 (3a) 와 거의 동일한 높이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타측 (X1 측) 단부는 반송섀시 (5A) 의 측판 (5b) 을 따라 굽혀져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일부도 꺽어 굽혀져서 반송롤러 (R) 의 하부측에 위치하는 주행부 (14b) 로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힘 인가부재 (S) 가 반송롤러 (R) 를 Z2 방향으로 힘을 인가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반송롤러 (R) 는 주행부 (14b) 를 탄성압접한다.
반송롤러 (R) 가 회전하면, 그 이송력이 주행부 (14b) 에 작용하여, 압출레버 (14) 는 그 회전방향에 대응해서 도시된 X 방향으로 진퇴이동된다. 그리고, 주행부 (14b) 의 판두께는 디스크의 두께와 거의 같은 정도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반송롤러 (R) 는 주행부 (14b) 와 디스크 양자를 균등하게 압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 케이스몸체 (4) 의 내부에는 디스크 구동수단인 구동섀시 (9) 및 끼움지지수단인 클램프 섀시 (10) 로 구성되는 기록매체 구동부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섀시 (9) 에는 스핀들 모터 (M) 가 설치되며, 그 회전축에 턴 테이블 (Ta) 이 축지지되어 있다. 또한, 클램프 섀시 (10) 에는 클램퍼 (10A) 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턴 테이블 (Ta) 에 대향하고 있다. 구동섀시 (9) 및 클램프 섀시 (10) 의 측판에는 각각 이동 핀 (9a,9b,10a,10b) 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구동섀시 (9) 의 이동 핀 (9a,9b) 은 각각 상기 가이드 홈 (4b,4c) 에 관통하여 끼워짐과 동시에 가이드 홈 (6d,6e) 에도 관통하여 끼워져서, 이 가이드 홈(4b,4c,6d,6e) 내를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클램프 섀시 (10) 의 이동 핀 (10a,10b) 은 가이드 홈 (4b,4c) 및 가이드 홈 (6b,6c) 에 각각 관통하여 끼워짐과 동시에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내부 케이스몸체 (4) 의 측판 (4B,4B) 에는 디스크를 일시적으로 지지하는 지지수단으로서의 1 쌍의 디스크 가이드 (11,11) 가 설치되어 있다. 디스크 가이드 (11) 는, 예를 들면, 수지재료를 사출성형한 것이며, 디스크 가이드 (11,11) 의 대향하는 면측에는 각각 X 방향으로 신장되는 상부측 리브 (11A) 와 하부측 리브 (11B)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디스크 가이드 (11) 의 도시된 X1 측 하부 및 반원상으로 돌출형성된 Z1 측 위치에는 이동 핀 (11a 및 11b) 이 각각 압입되어 있다. 이동 핀 (11a) 은 상기 U 자홈 (4d) 에 삽입되고, 이동 핀 (11b) 은 가이드 홈 (4a) 및 가이드 홈 (6a) 에 각각 삽입되어 있어서, 디스크 가이드 (11) 는 도시된 Z 방향으로 승강이동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구동섀시 (9) 에는 도시하지 않은 디스크기록/재생수단이 설치되어 있으며, 픽업이 디스크의 기록면에 대향하여 턴 테이블 (Ta) 의 회전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턴 테이블 (Ta) 에 탑재된 광헤드나 자기헤드 등에 의해, 디스크 (D) 의 기록면에 대하여, 기록 또는 재생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디스크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6 은 클램프섀시가 상승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 1 의 Ⅵ-Ⅵ 선 단면도이다. 또한, 도 7 은 반송수단을 도시한 부분확대도, 도 8 은 디스크 가이드의 이동을 도시한 부분도, 도 9 는 상부위치로의 이동을 도시한 부분도로서, 모두 도6 과 같은 단면도이다.
도 2 에서는 이동부재 (6) 가 X2 방향으로 끝까지 이동된 상태에 있으며, 구동섀시 (9), 클램프 섀시 (10) 및 디스크 가이드 (11) 모두는 Z2 측으로 하강한 하부위치에 있다. 그리고, 턴 테이블 (Ta) 과 클램퍼 (10A) 사이에 제 1 디스크 (D1) 가 끼워 지지된 클램프상태에 있으며, 제 1 디스크 (D1) 가 회전구동되어 기록/재생이 행해지고 있다. 그리고, 클램프상태에서는 제 1 스위치가 ON, 제 2, 제 3 및 제 4 스위치는 모두 OFF 상태에 있다 (도 1 참조).
상기 클램프상태에 있어서, 삽입구 (3a) 내에 새로운 제 2 디스크 (D2) 가 삽입되면, 반송수단 (5) 에 설치된 검출수단 (12) 에 의해 검지되어 스핀들 모터 (M) 의 회전이 정지된다. 동시에 도시하지 않은 구동모터가 시동됨으로써, 큰 기어 (7) 에 반시계방향 (도 1 참조) 의 회전이 부여되어 이동부재 (6) 가 도시된 X1 방향으로 구동된다. 도 6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부재 (6) 가 도시된 X1 방향으로 이동하면, 우선 클램프 섀시 (10) 의 이동 핀 (10a,10b) 이 각각 가이드 홈 (4b,4c) 및 가이드 홈 (6b,6c) 의 경사부를 등판하여, 클램프 섀시 (10) 는 Z1 방향으로 수직상승한다. 즉, 클램프 섀시 (10) 가 구동섀시 (9) 에서 떨어져서 제 1 디스크 (D1) 는 비클램프상태로 된다.
또한, 제 1 스위치 (SW1) 는 클램프 섀시 (10) 가 상승하기 시작하면 OFF 로 되고, 클램프 섀시 (10) 의 상승이 종료되어 가이드 홈 (6b,6c) 의 경사부의 상부측에 도달하면 제 2 스위치 (SW2) 가 ON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큰 기어 (7) 가 소정 각도회전하여 이동 핀 (10a 및 10b) 이 경사부의 하부측에 위치하였을때에, 슬라이딩 핀 (8c) 이 제 2 캠 홈 (7b) 내의 7b2 (반경 r2) 로 이동함으로써, 회전운동레버 (8) 가 α1 방향으로 약간 회전운동되어 누름부 (8b) 가 제 1 스위치 (SW1) 에서 떨어져서 OFF 로 된다. 큰 기어 (7) 가 더 회전운동하여 이동 핀 (10a 및 10b) 이 경사부를 등판하여 경사부의 상부측에 도달하면, 큰 기어 (7) 상의 슬라이딩 핀 (8c) 이 제 2 캠 홈 (7b) 의 7b2 에서 7b3 로 이동한다. 그럼으로써, 회전운동레버 (8) 가 α1 방향으로 더 회전운동되어 제 2 스위치 (SW2) 가 눌려서 OFF 에서 ON 으로 전환된다. 즉, 회전운동레버 (8) 는 클램프 섀시 (10) 의 상승에 따라 제 2 캠 홈 (7b) 에 의해 단계적으로 회전운동된다.
이어서, 제 2 스위치 (SW2) 의 ON 으로의 전환이 검지되면, 반송모터가 시동하여 반송롤러 (R) 는 제 2 디스크 (D2) 를 디스크장치 (1) 내로 반송하는 방향인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한다 (도 2 참조). 제 2 디스크 (D2) 는 인위적인 힘에 의해 삽입구 (3a) 와 반송롤러 (R) 사이에 설치된 지지받침대 (13) 를 가이드로 하여 수평자세가 유지되어 삽입된다. 그리고, 제 2 디스크 (D2) 의 X2 측 선단은 반송롤러 (R) 의 하부측으로 들어감으로써, 반송롤러 (R) 와 지지받침대 (13) 사이에 끼워 지지됨과 동시에, 반송롤러 (R) 의 이송력에 의해 도시된 X2 측인 디스크장치 안쪽으로 반송된다. 이 때, 제 2 디스크 (D2) 는 디스크 가이드 (11) 의 상부측 리브 (11A) 상으로 가이드되어 반송되며, 반송종료 후에는 상부측 리브 (11A) 상에 일시적으로 지지된다.
또한, 반송롤러 (R) 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반송롤러 (R) 의 이송력은 압출레버 (14) 의 주행부 (14b) 에도 작용하기 때문에, 압출레버 (14) 는 도시된X2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누름부 (14a) 도 기록매체 구동부 (구동섀시 (9) 및 클램프 섀시 (10)) 에서 멀어지는 X2 방향으로 이동한다. 반송수단 (5) 의 반송섀시 (5A) 는 회전축 (5c,5c) 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주행부 (14b) 상을 이동하는 반송롤러 (R) 의 회전력에 의해 도시된 X1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회전운동한다. 즉, 반송수단 (5) 은 회전축 (5c,5c) 을 중심으로 도시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하여, 도 7 의 점선으로 도시한 초기상태 (가) 에서 실선으로 도시한 외관패널 (3) (X1) 측으로 기울어진 자세 (나) 로 이행한다. 이 때, 볼록부 (5d) 가 제 4 스위치 (SW4) 를 누르기 때문에, 제 4 스위치 (SW4) 는 OFF 에서 ON 으로 전환된다.
이와 같이 디스크 (D) 가 삽입되면, 압출레버 (14) 의 누름부 (14a) 와 반송수단 (5) 은 상대적으로 기록매체 구동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반송롤러 (R) 는 디스크를 X2 방향으로 이송하면서 스스로 X1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제 4 스위치 (SW4) 가 ON 으로 전환된 시점에서 디스크가 장치 내측으로 확실하게 보내짐과 동시에, 반송롤러 (R) 가 디스크의 X1 측 단부에서 벗어나서 디스크로의 반송력이 차단된다.
제 4 스위치 (SW4) 의 OFF 가 확인되면, 다시 큰 기어 (7) 가 회전하여 이동부재 (6) 가 X1 방향으로 더 이동한다. 이 때, 도 8 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 홈 (4a) 및 가이드 홈 (6a) 내를 이동하는 디스크 가이드 (11) 의 이동 핀 (11b) 이 가이드 홈 (6a) 의 경사부를 등판하여 디스크 가이드 (11) 가 Z1 방향으로 수직으로 상승이동한다. 이 때에는 새로 넣은 제 2 디스크 (D2) 는 디스크가이드 (11) 의 상부측 리브 (11A) 상에 지지되고, 또한 턴 테이블 (Ta) 상에 올려놓여져 있던 제 1 디스크 (D1) 는 하부측 리브 (11B) 상에 지지되어 모두 도시된 Z1 방향으로 상승한다. 그리고, 이동 핀 (11b) 이 가이드 홈 (6a) 의 상측 수평부에 도달하면, 제 1 디스크 (D1) 는 삽입구 (3a) 의 높이위치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한다. 이 때, 제 1 디스크 (D1) 의 X2 측 가장자리부가 압출레버 (14) 의 누름부 (14a) 와 대향한다.
이동부재 (6) 가 X1 방향으로 더 이동하여, 이동 핀 (11b) 이 가이드 홈 (6a) 의 상측 수평부를 X2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디스크 가이드 (11) 의 높이위치가 결정된다. 이 때, 큰 기어 (7) 에서는 슬라이딩 핀 (8c) 이 캠 홈 (7b3) 에서 캠 홈 (7b4) 으로 이동하여 제 2 스위치 (SW2) 가 OFF 로 된다.
제 2 스위치 (SW2) 의 OFF 신호를 검지하면, 반송롤러 (R) 에는 지금까지와는 반대회전으로 되는 시계방향의 회전이 부여된다. 반송롤러 (R) 에 시계방향의 회전이 부여되면, 상기와는 반대의 동작이 일어난다. 즉, 반송수단 (5) 은 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하여 도 7 의 실선에 도시한 (나) 의 상태에서 점선으로 도시한 (가) 의 초기상태로 복귀한다. 한편, 주행부 (14b) 에는 X1 방향의 이송력이 공급되기 때문에, 압출레버 (14) 가 반송수단 (5) 의 이동방향과는 반대되는 X1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누름부 (14a) 가 제 1 디스크 (D1) 의 도시된 X2 측 단부를 X1 방향으로 누름으로써, 제 1 디스크 (D1) 는 도시된 X1 방향으로 밀어내진다. 이 때, 제 1 디스크 (D1) 의 X1 측 단부는 반송수단 (5) 이 (가) 의 초기상태로 복귀함에 따라 이동하는 반송롤러 (R) 의 하부측과 지지받침대 (13)사이에 끼워 지지된다. 그 후에는 반송롤러 (R) 의 시계방향의 이송력이 제 1 디스크 (D1) 에 부여되며, 제 1 디스크 (D1) 가 X1 방향으로 반송되어 최종적으로 삽입구 (3a) 에서 반출된다.
그리고, 제 1 디스크 (D1) 의 반출종료는, 예를 들면 내부 케이스몸체 (4) 의 천정면 (4A) 하면에 설치된 광센서 등의 검출수단 (15) 이나 상기 검출수단 (12) 등에 의해 검출할 수 있다 (도 2 참조). 즉, 제 1 디스크 (D1) 의 X2 측 단부가 이 검출수단 (15) 을 통과하며, 그리고 검출수단 (12) 을 통과하기 전에 반송롤러 (R) 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그럼으로써, 제 1 디스크 (D1) 의 X2 측 단부가 반송롤러 (R) 와 지지받침대 (13) 사이에 끼워 지지된 상태로 정지하기 때문에, 반출시에 있어서의 디스크 (D) 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디스크 (D) 를 꺼내는 작업은 인위적으로 디스크 (D1) 를 X1 방향으로 가볍게 끌어냄으로써 간단하게 실행할 수 있다.
검출수단 (15) 에 의해 제 1 디스크 (D1) 의 반출완료를 검지하면, 다시 큰 기어 (7) 가 회전하여 이동부재 (6) 는 X1 방향으로 더 이동한다. 그리고, 슬라이딩 핀 (6g) 은 제 1 캠 홈 (7a) 의 타측 단부 (7a2) 측에 이르게 된다. 이 이동에서는 구동섀시 (9) 의 이동 핀 (9a,9b) 이 가이드 홈 (4b,4c) 및 가이드 홈 (6d,6e) 의 경사부를 등판하여 상승이동함으로써, 구동섀시 (9) 가 경사부의 상부측 수평부에 이른다. 이 구동섀시 (9) 의 상승이동 과정에서는 상부측 리브 (11A) 에 지지되어 있던 제 2 디스크 (D2) 가 턴 테이블 (Ta) 위에 놓여진다. 그리고, 구동섀시 (9) 가 경사부의 상부측에 도달한 곳에서 턴 테이블 (Ta) 이 클램퍼 (10A) 에 처킹하기 때문에, 턴 테이블 (Ta) 과 클램퍼 (10A) 사이에 제 2 디스크 (D2) 가 끼워 지지되는 클램프상태로 된다. 이 클램프상태에서는 이동부재 (6) 가 X1 방향으로 끝까지 이동되기 때문에, 누름부 (6f) 가 제 3 스위치 (SW3) 를 눌러 OFF 에서 ON 으로 전환된다. 이 ON 신호가 검지되면, 도 9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위치에서 구동섀시 (9) 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디스크 기록재생수단에 의해 제 2 디스크 (D2) 의 기록/재생동작이 행해진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크가 삽입되면, 압출레버 (14) 의 누름부 (14a) 와 반송수단 (5) 은 상대적으로 기록매체 구동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누름부 (14a) 나 반송롤러 (R) 가 제 2 디스크 (D2) 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고 원활한 회전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어서, 제 2 디스크 (D2) 가 상기한 바와 같이 상부위치에서 기록/재생동작되고 있는 경우에, 삽입구 (3a) 에 제 3 디스크 (D3) (도시생략) 가 삽입된 경우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상부위치에 기록/재생동작되고 있는 경우, 큰 기어 (7) 는 반시계방향으로 끝까지 회전한 상태이며, 슬라이딩 핀 (6g) 은 제 1 캠 홈 (7a) 의 타측 단부 (7a2) 위치에 있다.
삽입구 (3a) 에 새로운 제 3 디스크 (D3) 가 삽입되면, 상기와 마찬가지로 검출수단 (12) 으로 검출되어 디스크 기록재생수단의 동작이 정지된다. 그리고, 큰 기어 (7) 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이동부재 (6) 가 도시된 X2 방향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구동섀시 (9) 가 가이드 홈 (6d,6e) 을 따라 하강이동함으로써, 클램퍼 (10A) 와 턴 테이블 (Ta) 이 떨어져서 제 2 디스크 (D2) 는 비클램프상태로 된다. 구동섀시 (9) 의 하강이동과정에서 제 2 디스크 (D2) 는 디스크 가이드 (11) 의 상부측 리브 (11A) 에 지지되도록 이루어지기 때문에, 구동섀시 (9) 만이 하부위치까지 하강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제 3 디스크 (D3) 가 디스크장치 (1) 내로 반입되는데, 반입시의 동작은 상기한 경우와 동일하다. 단, 디스크 가이드 (11) 는 상측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반입되어 온 제 3 디스크 (D3) 는 하부측 리브 (11B) 상에 지지된다. 그리고, 이동부재 (6) 가 X2 방향으로 이동하면, 디스크 가이드 (11) 가 가이드 홈 (6a) 의 경사부를 따라 하강하여 하부위치에 도달한다. 이 하강이동에서는 새로운 제 3 디스크 (D3) 가 디스크 가이드 (11) 의 하부측 리브 (11B) 상에 지지되고, 또한 제 2 디스크 (D2) 가 상부측 리브 (11A) 에 지지되어 모두 도시된 Z2 방향으로 하강이동된다. 그리고, 이 하강이동시에 하부측 리브 (11B) 에 지지되어 있던 제 3 디스크 (D3) 가 턴 테이블 (Ta) 에 올려놓여진다.
하강이동이 종료되면, 제 2 디스크 (D2) 가 디스크장치 (1) 의 외부로 반출된다. 즉,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로 반송롤러 (R) 의 시계방향의 회전에 의해 압출레버 (14) 가 X1 방향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제 1 디스크 (D1) 가 누름부 (14a) 에 의해 X1 측으로 밀어내진다. 그리고, 제 2 디스크 (D2) 는 반송롤러 (R) 와 지지받침대 (13) 사이에 끼워 지지됨과 동시에 반송롤러 (R) 의 이송력에 의해 반출된다. 그리고, 이 때에는 반송수단 (5) 의 부호 (나) 에서 부호 (가) 로의 회전운동에 따라 반송롤러 (R) 가 기록매체 구동부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반송롤러 (R) 와 지지받침대 (13) 사이에 제 2 디스크 (D2) 가 확실하게 끼워 지지된다.
제 2 디스크 (D2) 의 반출이 완료되면, 이동부재 (6) 가 X2 방향으로 더 이동하기 때문에, 클램프 섀시 (10) 가 가이드 홈 (6b,6c) 의 경사부를 따라 하강하여 하부위치에 도달한다. 그리고, 클램퍼 (10A) 가 턴 테이블 (Ta) 을 처킹함으로써, 제 3 디스크 (D3) 가 끼워 지지되어 클램프상태로 된다. 그리고, 턴 테이블 (Ta) 상에 올려놓여지는 제 3 디스크 (D3) 는 상부측 리브 (11A) 의 하단부와 하부측 리브 (11B) 사이에 위치하며, 이 양자와는 접촉하지 않은 상태로 있다. 그리고, 제 3 디스크 (D3) 는, 클램프 섀시 (10) 와 구동섀시 (9) 가 함께 디스크장치 (1) 내의 하부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구동섀시 (9) 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디스크 기록재생수단이 구동되어 디스크 기록, 재생동작이 실행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반송롤러가 삽입구와 기록매체 구동부 사이에서 이동하기 때문에, 반송롤러를 장치의 높이방향으로 대피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장치를 박형화할 수 있다. 또한, 반송롤러의 회전력의 반력을 이용하여 반송롤러를 이동시키면 반송롤러를 이동시키는 기구가 불필요해진다.
반송롤러는 기록매체를 구동부로 반입하였을 때에 구동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이 이동에 의해 구동부에 설치된 기록매체에 대한 구동력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기록매체를 반출시킬 때에는 반송롤러가 구동부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구동부상의 기록매체가 반송롤러에 의해 확실하게 반출된다.
또한, 반송롤러에 연동하는 압출수단을 설치하면, 구동부상의 기록매체를 반송롤러로 반출할 수 있는 위치까지 밀어낼 수 있으므로, 구동부 방향으로 이동한 반송롤러로 기록매체를 확실하게 끼워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압출수단을 반송롤러의 회전력으로 이동시키면, 압출수단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기구가 불필요해진다.

Claims (5)

  1. 기록매체가 반입되거나 또는 반출되는 삽입구와, 기록매체를 구동하는 기록매체 구동부와, 그리고 상기 삽입구와 기록매체 구동부 사이에 위치하는 반송롤러를 구비하고 있으며, 기록매체가 상기 삽입구를 통해 반입될 때, 상기 반송롤러는 기록매체를 기록매체 구동부로 반입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그 회전력으로 상기 반송롤러 자체가 기록매체 구동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고, 기록매체가 반출될 때에는 상기 반송롤러가 상기 방향의 역방향(기록매체를 반출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그 회전력으로 상기 반송롤러 자체가 상기 기록매체 구동부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반송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반송롤러의 축이 삽입구와 기록매체 구동부 사이에 이동이 자유롭도록 지지되어 있어서, 상기 반송롤러가 기록매체를 기록매체 구동부 방향으로 반입할 때의 회전반력에 의해 반송롤러가 기록매체 구동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며, 기록매체가 기록매체 구동부 상으로 보내졌을 때에, 반송롤러가 기록매체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반송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반송롤러의 축이 삽입구와 기록매체 구동부 사이에 이동이 자유롭도록 지지되어 있어서, 반송롤러가 기록매체를 반출하는 방향으로 움직이기 시작할 때에, 반송롤러가 장치내에 설치된 주행부 상을 구름운동하여 기록매체구동부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이 반송롤러가 기록매체 구동부 상의 기록매체로 반출력을 부여할 수 있는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반송기구.
  4. 제 1 항에 있어서, 기록매체 구동부상의 기록매체를 상기 반송롤러 방향으로 밀어내는 압출수단이 설치되어서, 상기 반송롤러가 기록매체 구동부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상기 압출수단이 기록매체를 반송롤러측으로 밀어내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반송기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수단에는, 반송롤러와 함께 기록매체를 끼워서 지지하거나, 또는, 반송롤러에 접촉하는 주행부가 일체로 설치되어서, 반송롤러가 기록매체를 반입하는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는, 이 회전력에 의해 압출수단이 장치 안쪽으로 이동되고, 반송롤러가 기록매체를 반출하는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는, 이 회전력에 의해 압출수단이 반송롤러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반송기구.
KR1019980051363A 1997-11-28 1998-11-27 기록매체반송기구 KR1003006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27641A JPH11162067A (ja) 1997-11-28 1997-11-28 記録媒体搬送機構
JP97-327641 1997-11-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5652A KR19990045652A (ko) 1999-06-25
KR100300620B1 true KR100300620B1 (ko) 2001-09-06

Family

ID=18201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1363A KR100300620B1 (ko) 1997-11-28 1998-11-27 기록매체반송기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0920002B1 (ko)
JP (1) JPH11162067A (ko)
KR (1) KR100300620B1 (ko)
DE (1) DE69807174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79528A1 (fr) * 1999-06-22 2000-12-28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Dispositif pour disque
EP1612785B1 (en) * 2003-03-31 2011-11-23 CLARION Co., Ltd. Disk device, disk-transporting device, and disk-loading device
KR100972714B1 (ko) 2004-09-07 2010-07-27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디스크 플레이어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6430A (ja) * 1992-07-16 1994-02-10 Hitachi Ltd ディスク装置のカートリッジ搬送装置
JPH076480A (ja) * 1993-06-14 1995-01-10 Nissan Motor Co Ltd ディスクプレーヤ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65130B2 (ja) * 1992-08-10 1997-10-22 三星電子株式会社 ディスクプレイヤメカニズ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6430A (ja) * 1992-07-16 1994-02-10 Hitachi Ltd ディスク装置のカートリッジ搬送装置
JPH076480A (ja) * 1993-06-14 1995-01-10 Nissan Motor Co Ltd ディスクプレー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807174T2 (de) 2002-12-05
EP0920002A2 (en) 1999-06-02
JPH11162067A (ja) 1999-06-18
DE69807174D1 (de) 2002-09-19
EP0920002A3 (en) 1999-09-08
KR19990045652A (ko) 1999-06-25
EP0920002B1 (en) 2002-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56280B1 (en) Disk ejection device
KR100300387B1 (ko) 디스크장치
KR100300378B1 (ko) 디스크장치
KR100300620B1 (ko) 기록매체반송기구
KR100294528B1 (ko) 디스크장치의 동력전달기구
KR100461296B1 (ko)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로딩장치
US5666342A (en) United tape and disc recording/reproducing device having a united inserting part
JPH10283705A (ja) ディスク移送装置
KR20050084026A (ko) 디스크 플레이어
KR100324790B1 (ko) 디스크장치
JPH069096B2 (ja) ディスク挿排機構
US5917786A (en) Reduced size automatic loading disc changer
JP2000163844A (ja) ディスク再生装置
KR200151886Y1 (ko) 광 디스크 플레이어
KR100265743B1 (ko) 디스크플레이어의디스크로딩/언로딩장치
JP2901456B2 (ja) 光磁気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機構
KR100209149B1 (ko)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로딩장치
JP2000090539A (ja) コンパチブルプレーヤ
JPH07141744A (ja) ディスク載置台及びこれを用いたディスク装置
KR19980030584A (ko)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가이드장치
JPH02260278A (ja) ディスク再生装置
JPH07312008A (ja) ディスク装填装置
JPS6295763A (ja) デイスク駆動装置
JPH1153801A (ja) ディスク再生装置
KR20010001469A (ko) 박형의 디스크 로딩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51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