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0387B1 - 디스크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0387B1
KR100300387B1 KR1019990008320A KR19990008320A KR100300387B1 KR 100300387 B1 KR100300387 B1 KR 100300387B1 KR 1019990008320 A KR1019990008320 A KR 1019990008320A KR 19990008320 A KR19990008320 A KR 19990008320A KR 100300387 B1 KR100300387 B1 KR 1003003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k
discharge
arm
disc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8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77835A (ko
Inventor
사꾸라이도시히로
아베겐지
나까시마다까시
Original Assignee
가타오카 마사타카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타오카 마사타카,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타오카 마사타카
Publication of KR19990077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78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0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03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5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discs not contained within cartridges
    • G11B17/051Direct insertion, i.e. without external loading means
    • G11B17/0515Direct insertion, i.e. without external loading means adapted for discs of different sizes

Landscapes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 Discharge By Other Means (AREA)
  • Holding Or Fastening Of Disk On Rotational Shaft (AREA)

Abstract

기존의 디스크를 일단 배출시킨 후, 다시 새로운 디스크를 도입할 필요가 있어 디스크의 교환에 시간을 요하게 된다.
도입구에서 도입된 새로운 제 2 의 디스크 (D2) 는, 반송수단 (A) 에 유지되어 도입영역에서 디스크 구동부 (B) 로 도입된다. 한편, 기존의 제 1 의 디스크 (D1) 는 제 1 의 배출부재와 제 2 의 배출부재에 의하여 배출영역에서 디스크장치의 외부로 배출된다. 반송수단 (A) 에 의한 도입동작과 제 1 및 제 2 의 배출부재에 의한 배출동작을 병행하여 행함으로써, 디스크 교환에 요하게 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크장치 {DISK DEVICE}
본 발명은, CD 또는 DVD 등의 디스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스크의 도입 및 배출 동작을 동시에 병행하여 행하는 디스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슬롯 인 타입의 디스크장치에서는, 삽입구의 배면 부근에 디스크 반송수단으로서 반송롤러가 형성되고, 이 반송롤러의 송출력으로 디스크의 도입 또는 배출이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상기 반송롤러와 이 반송롤러에 평행하게 형성된 종동롤러 사이에 디스크를 협지하는 타입, 또는 반송롤러와 디스크장치의 천정면 등에 형성된 디스크 가이드부재 사이에 디스크를 협지하는 타입 등이 존재한다.
종래의 디스크장치에서는, 삽입구에서 삽입된 디스크가 반송롤러의 정회전의 송달력에 의하여 장치 심부에 형성된 디스크 구동부로 반송되고, 디스크 구동부내의 턴테이블에 놓여진다. 그리고, 디스크 반송수단이 디스크에서 대피됨과 동시에, 클램퍼가 하강하여 턴테이블 사이에 디스크가 협지된다. 다음으로, 스핀들 모터에 의하여 소정의 회전이 부여된 후, 픽업에 의하여 디스크의 재생 또는 기록이 이루어진다.
또한, 디스크의 배출시에는 스핀들 모터의 회전이 정지되고, 클램퍼가 상승하여 디스크가 개방됨과 동시에, 상기 동일 형상의 디스크 반송수단에 의하여 다시 디스크가 협지된다. 그리고, 반송롤러에 역회전이 부여됨으로써, 디스크가 디스크 구동부에서 배출되고 상기 삽입구에서 배출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디스크장치에서는 아래에서와 같은 문제가 있다.
상기 디스크 반송수단에서는 반송롤러의 중앙부분이 양단에 비하여 가늘게 좁혀진 테이퍼 형상의 반송롤러가 사용된다. 그리고, 반송롤러의 양단부에 디스크가 협지된 상태에서 디스크의 도입 또는 배출이 이루어져, 반송롤러는 디스크의 기록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맞닿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기록면에 상처가 나기 쉽다.
또한, 반송롤러는 통상적으로 합성고무 등으로 형성되어 있고, 고무의 동마찰 계수는 환경온도 또는 습도에 따라서 변화되기 쉬어, 디스크에 대하여 최적의 구동력을 공급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디스크에 대한 가압력이 작은 경우에는 반송롤러가 공전하여 디스크를 반송할 수 없는 등의 문제도 있다.
나아가, 디스크를 교환할 경우, 그 때까지 재생 또는 기록을 하고 있던 기존의 디스크를 일단 외부로 배출시킨 후, 다시 새로운 디스크를 디스크장치 내에 재삽입할 필요가 있어 디스크의 교환에 시간을 요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반송롤러 이외의 디스크의 반송수단을 사용함으로써, 디스크면에 상처가 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확실하게 디스크를 반송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크를 단시간에 교환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디스크장치의 주 케이싱체를 나타내고, A 는 평면도, B 는 A 의 측면도,
도 2 는 A 는 천정판을 나타내는 평면도, B 는 A 의 2-2 선 확대단면도,
도 3 은 디스크 배출수단을 나타내고, A 는 배출상태의 평면도, B 는 A 의 측면도,
도 4 는 디스크 배출수단의 수납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 는 소직경 디스크의 협지상태를 나타내는 확대평면도,
도 6 은 대직경 디스크의 협지상태를 나타내는 확대평면도,
도 7 은 전달기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주 케이싱체 2 : 천정판
3 : 클램프 샤시 4 : 클램퍼
5 : 제 1 의 연결부재 6 : 제 2 의 연결부재
7 : 회전캠 8, 8', 9, 9' : 승강부재
14 : 슬라이드부재 16, 17 : 회전아암
18 : 링크부재 19 : 링크아암
21 : 회전링크부재 22, 23 : 지지아암
24, 25, 26, 27 : 지지프리 29 : 레일부재
30 : 디스크 검지기구 31 : 회전기대
32 : 누름스위치 33, 34 : 검지아암
36 : 대기어 37 : 전달기어
38 : 반송아암 41 : 이동테이블
42 : 디스크 안내판 45, 46 : 제 1 의 배출부재 (이젝트아암)
47 : 소기어 48 : 종동아암
51 : 배출슬라이더 52, 53 : 링크레버
56, 57 : 제 2 의 배출부재 (이젝트레버)
56b, 57b : 압출편
A : 반송수단 B : 배출수단
E : 디스크 구동부 K : 클램프기구
DS : 소직경 디스크 DL : 대직경 디스크
D : 디스크 (소직경 디스크 및 대직경 디스크)
D1 : 제 1 의 디스크 (기존의 디스크)
D2 : 제 2 의 디스크 (새로운 디스크)
본 발명은, 상층측의 도입영역에 형성되고, 또한 도입구에서 삽입된 제 2 의디스크를 유지하여 장치의 심부 방향으로 도입하는 반송수단과, 상기 도입영역의 하층측이 되는 배출영역에 형성되고, 또한 상기 반송수단에 의한 제 2 의 디스크의 도입동작에 동기되어 턴테이블상에 설치되어 있던 제 1 의 디스크를 배출구로 송출하는 배출수단을 갖고, 상기 반송수단에 의하여 도입된 제 2 의 디스크가 상기 배출수단과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도달했을 때, 상기 제 2 의 디스크를 턴테이블 사이에 클램프하는 클램프기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층측의 도입영역에서 새로운 제 2 의 디스크의 도입이 이루어지고, 이에 병행하여 그 하층측의 배출영역에서는 그 때까지 재생 또는 기록이 이루어지고 있던 기존의 제 1 의 디스크를 배출하기 때문에, 디스크 교환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반송수단에 의하여 도입된 제 2 의 디스크는, 클램퍼와 턴테이블 사이에 정지되고, 제 1 의 디스크가 배출수단에 의하여 배출된 후에 클램프되므로, 제 1 의 디스크와 제 2 의 디스크가 디스크 구동부 부근에 병존하는 일이 없이, 디스크를 확실하게 교환할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 배출영역에 형성된 배출수단은 상기 디스크를 턴테이블상에서 배출구로 향하여 소정 거리만 이동시키는 제 1 의 배출부재와, 상기 소정 거리만 이동된 디스크를 다시 배출구로 밀어내는 제 2 의 배출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렇게, 배출수단을 2 단으로 구성함으로써, 디스크를 확실하게 배출구로 유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반송롤러를 사용하지 않고 디스크를 배출할 수 있으므로 디스크면에 발생하는 상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의 배출부재와 제 2 의 배출부재가 공통의 회전캠에 의하여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제 1 의 배출부재와 제 2 의 배출부재를 하나의 회전캠을 사용하여 구동시킬 수 있는 것이므로, 항상 동기시켜 구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기타의 복잡한 구동기구를 필요로 하지 않게 되므로, 구동부품을 적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배출수단에는 턴테이블상에 놓여 있는 디스크를 들어올리는 이동테이블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이동테이블은 클램프기구의 승강동작에 추종하여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비클램프 상태, 즉 클램프기구의 상승과 함께 이동턴테이블도 상승되므로, 턴테이블 상의 디스크가 들어올려져 이동테이블상에 놓여진다. 따라서, 배출수단에 의한 디스크의 배출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클램프 상태, 즉 클램프기구의 하강과 함께 이동테이블이 하강한 경우에는 이동테이블은 턴테이블보다도 하방에 위치하므로, 턴테이블상에 디스크를 확실하게 클램프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디스크장치의 주 케이싱체를 나타내고, A 는 평면도, B 는 A 의 측면도이다.
도 1 의 디스크장치에서는, 저판측인 주 케이싱체 (1) 가 천면 (Z1) 측에 형성된 천정판 (2) 에 의하여 덮여있다. 주 케이싱체 (1) 와 천정판 (2) 사이에는 클램프 샤시 (3) 와, 그 선단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되는 클램퍼 (4) 로 구성되는 클램프기구 (K)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시 Y1 측이 디스크의 삽입측이고, Y2 측이 장치 심부이다. 또한, 이 디스크장치의 삽입측에는 도입구와 배출구의 2 개의 개구가 상하로 병설되어 있다 (도시하지 않음).
주 케이싱체 (1) 의 저면 (1a) 에는 거의 V 자 형상으로 형성된 제 1 의 연결부재 (5) 및 제 2 의 연결부재 (6) 가 병설되어 있고, 중심축 (5a 및 6a) 에서 자유롭게 요동될 수 있도록 축받이되어 있다. 제 1 의 연결부재 (5) 와 제 2 의 연결부재 (6) 사이에는 회전축 (7A) 이 형성되어 있다. 이 회전축 (7A) 에는 원반형상의 회전캠 (7) 이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즉, 회전캠 (7) 은 상기 제 1 의 연결부재 (5) 및 제 2 의 연결부재 (6) 의 상부측에 형성되어 있다. 이 회전캠 (7) 의 표리 양면에는 복수의 캠홈이 형성되어 있고, 도 1 에서는 이면 (Z2) 측의 캠홈 (7a 및 7b) 이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또한, 회전캠 (7) 의 테두리에는 기어홈이 주위에 형성되어 있고, 후술하게 되는 전달 기어 (37) 와 소기어 (47) 에 맞물려 있다. 일방의 외주측의 캠홈 (7a) 에는 제 1 의 연결부재 (5) 에 형성된 볼록부 (5b) 가 삽입되고, 또한 타방측인 내주측의 캠홈 (7b) 에는 제 2 의 연결부재 (6) 에 형성된 볼록부 (6b) 가 삽입 통과되어 있다. 또한, 디스크장치의 한 구석 (Y2 측과 X2 측) 에는 구동모터 (M) 가 형성되어 있고, 도시하지 않은 기어군을 통하여 상기 회전캠 (7) 이 도시 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된다. 회전캠 (7) 이 회전하면, 상기 볼록부 (5b, 6b) 가 캠홈 (7a, 7b) 내를 각각 이동한다. 이 이동에 의하여 제 1 의 연결부재 (5) 및 제 2 의 연결부재 (6) 는 상기 중심축 (5a 및 6a) 에 있어서, 시계회전 또는 시계회전 반대방향으로 각각 요동하게 된다.
제 1 의 연결부재 (5) 의 양단부에는, 각각 돌기 (5c, 5d) 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 (5c, 5d) 는 주 케이싱체 (1) 의 측판 (1b 또는 1c) 을 따라서 형성된 승강부재 (8 또는 8') 의 일부에 천공 형성된 긴 구멍 (8a, 8a') 에 각각 삽입 통과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의 연결부재 (6) 의 양단부에도 돌기 (6c, 6d) 가 형성되어 있고, 승강부재 (9 및 9') 의 일부에 천공 형성된 긴 구멍 (9a, 9a') 에 각각 삽입 통과되어 있다. 승강부재 (8 및 9) 는 주 케이싱체 (1) 의 측판 (1b) 을 따라서 도시 Y 방향으로 자유롭게 접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고, 도 1B 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Z1 측으로 절곡된 측판에는 크랭크 홈 (8b, 8c) 및 크랭크 홈 (9b, 9c) 이 각각 천공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도시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측판 (1c) 을 따라서 도시 Z1 측으로 절곡된 승강부재 (8' 및 9') 의 측판에는 크랭크 홈 (8b', 8c') 및 크랭크 홈 (9b', 9c') 이 각각 천공 형성되어 있다. 단, 크랭크 홈 (8b 및 8c) 은 도시 Y2 측 상향 경사인데 대하여, 크랭크 홈 (8b' 및 8c') 은 도시 Y2 측 하향의 경사로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크랭크 홈 (9b 및 9c) 은 도시 Y2 하향의 경사인데 대하여, 크랭크 홈 (9b' 및 9c') 은 도시 Y2 측 상향의 경사로 되어 있다. 즉, 크랭크 홈 (8b, 8c) 과 크랭크 홈 (8b', 8c'), 및 크랭크 홈 (9b, 9c) 과 크랭크 홈 (9b', 9c') 은각각 서로 좌우비대칭의 크랭크 홈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주 케이싱체 (1) 의 측판 (1b) 에는 Z 방향으로 뻗은 긴 구멍 (1d, 1e) 이 천공 형성되어 있고, 상기 크랭크 홈 (8b, 8c) 과 중첩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주 케이싱체 (1) 의 측판 (1c) 에도 Z 방향으로 뻗은 긴 구멍 (1d', 1e') 이 천공 형성되어 있고, 상기 크랭크 홈 (8b', 8c') 과 중첩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천정판 (2) 의 일방의 측판 (2b) 에는 도시 X2 방향으로 돌출된 이동핀 (12a 및 12b) 이 형성되어 있고, 타방의 측판 (2c) 에는 이동핀 (12a' 및 12b') 이 도시 X1 방향으로 돌설되어 있다. 그리고, 이동핀 (12a) 은 상기 크랭크 홈 (8b) 과 긴 구멍 (1d) 에 삽입 통과되고, 그리고 이동핀 (12b) 은 상기 크랭크 홈 (8c) 과 긴 구멍 (1e) 에 각각 삽입 통과되어 있다. 또한, 이상의 것은 X1 측의 측판 (1c) 에서도 동일하여, 이동핀 (12a') 은 상기 크랭크 홈 (8b') 과 긴 구멍 (1d') 에 삽입 통과되고, 그리고 이동핀 (12b') 은 상기 크랭크 홈 (8c') 과 긴 구멍 (1e') 에 각각 삽입 통과되어 있다.
예를 들어, 회전캠 (7) 이 회전하여, 제 1 의 연결부재 (5) 가 도시 시계회전 반대방향으로 요동될 때에는, 승강부재 (8) 가 도시 Y2 방향으로 이동하고, 승강부재 (8') 는 도시 Y1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때, 측판 (1b) 측에서는 이동핀 (12a 및 12b) 이 크랭크 홈 (8b 및 8c) 의 경사를 하강하고, 측판 (1c) 측에서는 이동핀 (12a' 및 12b') 이 크랭크 홈 (8b' 및 8c') 의 경사를 하강하므로, 천정판 (2) 은 도시 Z2 방향으로 하강된다. 또한, 제 1 의 연결부재 (5) 가 시계회전방향으로 요동될 때에는, 승강부재 (8) 가 도시 Y1 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승강부재 (8') 가 도시 Y2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상기와는 반대로 측판 (1b) 측에서는 이동핀 (12a 및 12b) 이 크랭크 홈 (8b 및 8c) 의 경사를 각각 등판하고, 이동핀 (12a' 및 12b') 이 크랭크 홈 (8b' 및 8c') 의 경사를 각각 등판하므로, 천정판 (2) 은 도시 Z1 방향으로 상승된다.
또한, 클램프 샤시 (3) 는 상기 주 케이싱체 (1) 와 천정판 (2)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클램프 샤시 (3) 의 측판 (3a, 3a') 에는 양측방으로 돌출된 이동핀 (13a, 13b 및 13a', 13b') 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동핀 (13a, 13b) 은 각각 천정판 (2) 의 측판 (2b) 에 형성된 U 자 홈 (2d, 2e), 및 승강부재 (9) 에 천공 형성된 크랭크 홈 (9b, 9c) 에 삽입 통과되고, 다시 주 케이싱체 (1) 의 측판 (1b) 에 천공 형성된 긴 구멍 (2f, 2g) 에 각각 삽입 통과되어 있다. 또한, X1 측의 이동핀 (13a', 13b') 도 동일하다. 따라서, 회전캠 (7) 이 회전하여, 제 2 의 연결부재 (6) 가 시계회전방향으로 요동되면 승강부재 (9) 는 도시 Y1 방향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승강부재 (9') 가 도시 Y2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 때, 측판 (3a) 측의 이동핀 (13a 및 13b) 이 크랭크 홈 (9b 및 9c) 의 경사를 하강하고, 측판 (3a') 측의 이동핀 (13a' 및 3b') 이 크랭크 홈 (9b' 및 9c') 의 경사를 하강하므로, 클램프 샤시 (3) 는 도시 Z2 방향으로 하강된다. 또한 이와는 반대로, 제 2 의 연결부재 (6) 가 시계회전 반대방향으로 요동되면, 승강부재 (9) 는 도시 Y2 방향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승강부재 (9') 가 도시 Y1 방향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이동핀 (13a 및 13b) 이 크랭크 홈 (9b 및 9c) 의 경사를 등판하고, 측판 (3a') 측의 이동핀 (13a' 및 13b') 이 크랭크 홈 (9b' 및 9c') 의 경사를 등판하므로 클램프 샤시 (3) 는 도시 Z1 방향으로 상승된다.
즉, 주 케이싱체 (1) 는 제 1 의 연결부재 (5) 에 의하여, 또한 클램프 샤시 (3) 는 제 2 의 연결부재 (6) 에 의하여 각각 Z 축 방향으로 승강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도 2A 는 천정판 (2) 을 상세히 나타내는 평면도, B 는 A 의 2-2 선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2A, B 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천정판 (2) 에는 디스크장치 심부방향으로 디스크를 도입하는 반송수단 (A) 이 형성되어 있다. 반송수단 (A) 은, 주로 천정판 (2) 의 내부측에 형성된 슬라이드부재 (14) 에 형성되어 있고, 천정판 (2) 측의 도입영역 (Q1) 을 Y 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슬라이드부재 (14) 의 하면측에는 지축 (16a, 17a) 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된 회전아암 (16, 17) 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회전아암 (16) 에는 천정판 (2) 의 상면측에 형성된 링크부재 (18) 의 일단에 접속핀 (P1) 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한편, 회전아암 (17) 의 선단은 천정판 (2) 의 상면측에 형성된 링크아암 (19) 의 일단에 접속핀 (P2) 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접속핀 (P1, P2) 은 슬라이드부재 (14) 에 천공 형성된 원호 홈 (14a, 14b) 내에 각각 자유롭게 접동될 수 있도록 삽입 통과되어 있다. 그리고, 링크부재 (18) 와 링크아암 (19) 은 슬라이드부재 (14) 에 심어지고, 또한 천정판 (2) 에 천공 형성된 안내홈 (2h) 내로 삽입 통과된 회전축 (20) 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된 회전링크부재 (21) 의 양단에, 접속핀 (P3, P4) 을 통하여 각각 접속되어 있다. 또한, 링크아암 (19) 과 회전링크부재 (21) 는 코일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 (S1) 에 의하여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도 2 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링크부재 (21) 는 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되므로, 링크부재 (18) 는 도시 X2 방향으로, 또한 링크아암 (19) 은 X1 방향으로 각각 탄성된다. 즉, 회전아암 (16) 과 회전아암 (17) 은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회전운동되고 있다.
또한, 도 2B 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부재 (14) 는 슬라이드부재 (14) 의 측판 (14A) 에 돌출 형성된 지지부 (14A1, 14A1) 가 천정판 (2) 의 측판 (2A) 에 부설된 레일부재 (29) 에 지지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 레일부재 (29) 를 따라서 도시 Y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드부재 (14) 의 타방의 측판 (14B) 측도 동일하다.
일방의 회전아암 (16) 의 선단에는 지지핀 (P5) 이 형성되고, 슬라이드부재 (14) 에 천공 형성된 원호 홈 (14c) 내에 삽입 통과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핀 (P5) 의 선단, 즉 슬라이드부재 (14) 의 하면측에는 지지아암 (22) 이 자유롭게 요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접속핀 (P2) 의 선단에도 슬라이드부재 (14) 의 하면측을 따라서 자유롭게 요동할 수 있는 지지아암 (23) 이 지지되어 있다. 이들 한 쌍의 지지아암 (22 및 23) (지지부재) 의 양단에는 지지프리 (24, 25, 26 및 27) 가 각각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또한, 회전아암 (16) 에 인접하는 슬라이드부재 (14) 의 상면에는 디스크 검지기구 (30) 가 형성되어 있다. 디스크 검지기구 (30) 는 거의 부채형상의 회전기대 (31) 상에 형성된 누름스위치 (32) 및 검지아암 (33)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회전기대 (31) 는 회전축 (31a) 에 축받이되어 있다. 또한, 회전기대 (31) 의 하면에는 규제핀 (P6) 가 돌설되어 있고, 슬라이드부재 (14) 에 천공 형성된 원호 홈 (14d) 및 회전아암 (16) 에 천공 형성된 긴 구멍 (16b) 에 삽입 통과되어 있다. 검지아암 (33) 은 금속판을 굽혀 형성한 것으로, 일방의 선단이 상기 회전축 (31a) 에 축받이되어 있다. 또한, 절곡된 타방의 선단은 슬라이드부재 (14) 에 천공 형성된 원호 홈 (14e) 내를 통하여 슬라이드부재 (14) 의 하면측으로 뻗어 있다. 그리고, 이 하면측으로 뻗은 검지아암 (33) 의 타방의 선단에는 주 케이싱체 (1) (Z2) 방향으로 돌출된 검지핀 (P7) 이 심어져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아암 (16) 은 시계회전 반대방향으로 회전운동되고 있으므로, 상기 긴 구멍 (16b) 이 규제핀 (P6) 을 시계회전 반대방향으로 가압하고 있다. 따라서, 회전기대 (31) 는 회전축 (31a) 을 중심으로 도시 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운동되고 있다. 또한, 원호 홈 (14e) 에 대향되는 위치에는 회전아암 (16) 의 측부에 일체로 형성된 규제편 (16c) 이 위치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검지아암 (33) 에는 가압편 (33a) 및 봉지편 (33b) 이 굽혀서 형성되어 있다. 가압편 (33a) 은 회전기대 (31) 상에 형성된 누름스위치 (32) 의 스위치 (32a) 에 대향되어 있다. 또한, 봉지편 (33b) 과 회전기대 (31) 에 굽혀서 형성된 봉지편 (31b) 사이에는 선 스프링 등으로 구성된 탄성부재 (S2) 가 봉지되어 있다. 이 탄성부재 (S2) 의 탄성력에 의하여, 검지아암 (33) 은 회전축 (31a) 을 중심으로 도시 시계회전방향의 탄성력을 받는다. 따라서, 상기 봉지편 (33b) 이 스위치 (32a) 를 누르므로 누름스위치 (32) 는 ON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도 2A 에서와 같이 타방의 회전아암 (17) 에 인접하고, 또한 슬라이드부재 (14) 의 하면측 위치에는 검지아암 (34) 이 지지핀 (P8) 을 중심으로 회전운동을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검지아암 (34) 의 선단에는 검지핀 (P9) 이 형성되고, 또한 지지핀 (P8) 과 검지핀 (P9) 사이에는 규제핀 (P10) 이 형성되어 있다. 검지핀 (P9) 은 상기 검지핀 (P7) 과 동일하게 주 케이싱체 (1) (Z2) 방향으로 돌출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디스크 (D) 에 맞닿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규제핀 (P10) 은 슬라이드부재 (14) 에 천공 형성된 원호 홈 (14f) 에 삽입되어 있다. 상기 지지핀 (P8) 과 규제핀 (P10) 사이에는 선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 (S3) 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검지아암 (34) 은 이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핀 (8) 을 중심으로 도시 시계회전 반대방향으로 회전운동되고 있다.
또한, 구동모터 (M) 의 회전구동력은 도시하지 않은 기어군을 통하여 주 케이싱체 (1) 측의 전달기어 (37) 에 전달된다. 여기에서 도 7 은 전달기어 (37) 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 에서와 같이, 전달기어 (37) 는 천정판 (2) 측의 상면측에 형성된 대기어 (36) 와 맞물리는 상부 전달기어 (37A) 와, 상기 회전캠 (7) 과 맞물리는 하부 전달기어 (37B) 로 구성되어 있다. 즉, 서로 스플라인처럼 조합되는 감합부 (37A1, 37B1) 를 가지고, 이것들이 감합된 상태에서 상부 전달기어 (37A) 가 길이 방향 (Z 방향) 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천정판 (2) 이 승강이동된 경우에도, 구동모터 (M) 의 구동력을 하부 전달기어 (37B) 에서 상부 전달기어 (37A) 측으로 전달할 수 있어 대기어 (36) 는 항상 회전캠 (7) 에 동기되어 회전되고 있다.
상기 상부 전달기어 (37A) 의 상단면의 회전축 (37a) 에는, 반송아암 (38) 의 일단이 자유롭게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축받이되어 있다. 반송아암 (38) 은 얇은 금속판을 프레스성형 등으로 한 것이고, 도 2A 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2 개의 접동홈 (38a, 38b) 이 천공 형성되어 있다. 일방의 접동홈 (38a) 에는 대기어 (36) 의 표면에 심어진 유도핀 (36b) 이 삽입 통과되어 있다. 또한 타방의 접동홈 (38b) 에는 슬라이드부재 (14) 에 심어지고, 또한 안내홈 (2h) 을 관통하여 천정판 (2) 의 상면측으로 돌출된 연결핀 (14p) 이 삽입 통과되어 있다. 따라서, 대기어 (36) 가 회전되면 유도핀 (36b) 이 접동홈 (38a) 내를 이동하고 회전축 (37a) 을 중심으로 반송아암 (38) 이 회전운동된다. 이로써, 연결핀 (14p) 이 상기 안내홈 (2h) 내를 도시 Y 축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슬라이드부재 (14) 는 디스크의 도입구와 장치 심부 사이를 왕복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3 은 디스크 배출수단을 나타내고, A 는 배출상태의 평면도, B 는 A 의 측면도, 도 4 는 디스크 배출수단의 수납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4 에서 나타내어지는 디스크 배출수단 (B) 은 전술한 클램프 샤시 (3) 와 주 케이싱체 (1)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디스크 배출수단 (B) 은 이동테이블 (41) 측과 디스크 안내판 (42) 측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동테이블 (41) 은 디스크를 배출할 때, 턴테이블 (Ta) 상의 디스크를 들어올려 일시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동테이블 (41) 은 주 케이싱체 (1) 의 저면 (1a) 에 심어진 지주 (43) 및 지주 (44) 에 이동테이블 (41)에 천공 형성된 관통 구멍 (41a 및 41b) 을 각각 외부삽입함으로써, 도시 Z 방향으로 자유롭게 승강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동테이블 (41) 과 저면 (1a) 사이의 상기 지주 (43) 및 지주 (44) 에는 코일스프링 등의 탄성부재 (S4, S5) 가 외부삽입되고, 이동테이블 (41) 은 Z1 방향으로 탄성되어 있다. 한편, 디스크 안내판 (42) 은 주 케이싱체 (1) 의 저면 (1a) 상의 소정 높이위치에 수평으로 고정되어 있다.
이동테이블 (41) 의 상면에는, 도 3A 에서와 같은 형상으로 제 1 의 배출부재를 구성하는 이젝트아암 (45 및 46) 이 형성되어 있다. 이젝트아암 (45) 은 상기 지주 (43) 의 선단에 회전운동 그리고 자유롭게 승강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젝트아암 (46) 은 그 일단이 상기 회전캠 (7) 에 인접되어 형성된 중심축 (47a) 에 소기어 (47) 및 종동아암 (48) 과 함께 형성되어 있다. 이젝트아암 (46) 은 이동테이블 (41) 의 상면 (Z1) 측에 형성되고, 중심축 (47a) 에 대하여 회전운동 그리고 자유롭게 승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소기어 (47) 및 종동아암 (48) 은 이동테이블 (41) 의 하면 (Z2) 측에 형성되어 있고, 소기어 (47) 가 회전캠 (7) 의 기어홈에 맞물려 있다. 또한, 종동아암 (48) 의 선단에는 볼록부 (48a) 가 형성되고, 회전캠 (7) 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캠홈 (7c) 내에 삽입되어 있다. 이젝트아암 (46) 과 종동아암 (48) 은 동축 (중심축 47a) 에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서로 봉지상태에 있고, 양자는 일체로 회전운동한다. 또한, 종동아암 (48) 에는 탄성부재 (S6) 가 형성되어 있고, 종동아암 (48) 을 항상 시계회전방향으로 탄성하고 있다. 따라서, 이젝트아암 (46) 도시계회전방향으로 항상 부세되어 있다.
이젝트아암 (45) 과 이젝트아암 (46) 은 서로 입체적으로 교차되고, 그 교차되는 부분에서 연결되어 있다. 즉, 이젝트아암 (45) 의 중앙부에 천공 형성된 긴 구멍 (45a) 과, 이젝트아암 (46) 에 형성된 관통 구멍 (46a) 사이에 연결핀 (P11) 을 헐겁게 끼움으로써 양자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이젝트아암 (46) 의 선단의 가압부 (46b) 와 상기 관통 구멍 (46a) 사이에는, 볼록부 (46c) 가 Z2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동테이블 (41) 에 원호형상으로 형성된 가이드홈 (41c) 내로 삽입 통과되어 있다.
여기에서, 회전캠 (7) 의 상면에는 외주측에 캠홈 (7c) 이, 내주측에 캠홈 (7d) 이 형성되어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이 캠홈 (7c) 에는 종동아암 (48) 의 볼록부 (48a) 가, 캠홈 (7d) 에는 후술하게 되는 배출슬라이더 (51) 의 볼록부 (51c) 가, 각각 삽입되어 있다. 캠홈 (7c) 에는 회전축 (7A) 방향으로 돌출된 산홈 (7c1) (도 4 참조) 이 형성되어 있어 회전캠 (7) 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볼록부 (48a) 가 산홈의 상향경사면 (7c2) 을 따라서 그 정점으로 이동함으로써, 종동아암 (48) 은 시계회전 반대방향으로 회전운동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동아암 (48) 과 이젝트아암 (46) 은 일체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젝트아암 (46) 이 시계회전 반대방향으로 회전운동되고, 그 결과 이젝트아암 (46) 의 선단이 도시 Y1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신장된다. 이때, 연결핀 (P11) 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는 이젝트아암 (45) 도 도시 Y1 방향으로 신장되므로, 도 3A 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배출상태가 된다.
나아가, 회전캠이 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볼록부 (48a) 가 산홈의 정점을 지나면 탄성부재 (S6) 의 탄성력에 의하여 산홈 (7c1) 의 하향경사면 (7c3) 을 따라서 이동한다. 따라서, 종동아암 (48) 은 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운동되기 때문에, 상기와는 반대로 이젝트아암 (45 및 46) 은 도시 Y2 방향으로 이동되고 수축되므로 도 4 에서와 같은 수납상태가 된다.
또한, 제 1 의 배출부재 (이젝트아암 (45 및 46)) 의 신장 및 수축 동작은 회전캠 (7) 의 1 회전운전 중에 각각 1 회씩 이루어진다. 또한, 하향경사면 (7c3) 은 상향경사면 (7c2) 에 비하여, 그 경사가 급한 구배이면서, 종동아암 (48) 이 탄성부재 (S6) 의 탄성력을 받기 때문에, 제 1 의 배출부재의 수축동작은 단시간에 이루어지게 된다.
이젝트아암 (45 및 46) 의 타방의 선단에는 가압부 (45b, 46b) 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가압부 (45b, 46b) 는 이동테이블 (41) 상에 보관된 디스크의 테두리부에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젝트아암 (45 및 46) 이 수납상태에서 배출상태로 이행될 때에는, 상기 가압부 (45b, 46b) 가 디스크의 테두리부를 배출구 (Y1) 측으로 압출하도록 작용하므로 디스크 (D) 를 Y1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 도 4 에서와 같이 이동테이블 (41) 과 회전캠 (7) 사이에는 배출슬라이더 (51) 가 형성되어 있다. 배출슬라이더 (51) 에는 한 쌍의 긴 구멍 (51a 및 51b) 이 천공 형성되어 있고, 일방의 긴 구멍 (51a) 에는 상기 회전캠 (7) 의 회전축 (7A) 이 삽입 통과되어 있다. 타방의 긴 구멍 (51b) 에는 저면(1a) 에 심어진 지지핀 (P12) 의 선단이 삽입 통과되어 있다. 즉, 배출슬라이더 (51) 는 긴 구멍 (51a 및 51b) 으로 안내되고, 도시 Y 축 방향으로 자유롭게 접동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배출슬라이더 (51) 에는 도시 Z2 방향으로 돌출된 볼록부 (51c) 가 형성되어 있고, 이 볼록부 (51c) 는 회전캠 (7) 의 표면에 형성된 캠홈 (7d) 에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캠 (7) 의 회전에 맞추어 배출슬라이더 (51) 가 도시 Y 축 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배출슬라이더 (51) 의 좌우 선단부 (51A 및 51B) 에는 링크레버 (52 및 53) 가 자유롭게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고, 이 링크레버 (52, 53) 를 통하여 배출슬라이더 (51) 가 후술하게 되는 제 2 의 배출부재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링크레버 (52, 53) 는 후술하게 되는 이젝트레버 (56, 57) 의 하면측에 자유롭게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축받이되어 있다.
디스크 안내판 (42) 의 X1 및 X2 의 단부에는, 거의 반원형상의 단차 오목부 (42a 및 42b)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단차 오목부 (42a 및 42b) 의 중심이 되는 주 케이싱체 (1) 의 저면 (1a) 위치에는 회전축 (54, 55) 이 각각 심어져 있다. 회전축 (54, 55) 에는 제 2 의 배출부재를 구성하는 이젝트레버 (56, 57) 가 축받이되어 있고, 거의 3 각 형상으로 성형된 수취부 (56a, 57a) 가 상기 단차 오목부 (42a 및 42b) 내에서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젝트레버 (56, 57) 의 한 변에는 회전축 (54, 55) 에서 도시 Y2 방향으로 뻗은 압출편 (56b 및 57b) 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젝트레버 (56, 57) 는 회전축 (54 및 55) 에 동일 축상에 형성된 선 스프링 등으로 형성된탄성부재 (S7 및 S8) 가 형성되어 있다. 즉, 이젝트레버 (56) 는 시계회전방향, 및 이젝트레버 (57) 는 시계회전 반대방향의 탄성력을 각각 받고 있다.
배출슬라이더 (51) 가 Y1 방향으로 이동되면, 링크레버 (52, 53) 도 Y1 방향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이젝트레버 (56) 는 시계회전 반대방향으로, 이젝트레버 (57) 는 시계회전방향으로 각각 회전운동되므로, 도 4 에서와 같은 폐쇄상태로 할 수 있다. 그 반대로, 배출슬라이더 (51) 가 Y2 방향으로 이동되면 링크레버 (52, 53) 도 Y2 방향으로 이동되므로, 이젝트레버 (56) 는 시계회전방향으로, 그리고 이젝트레버 (57) 는 시계회전 반대방향으로 각각 회전운동된다. 즉, 이젝트레버 (56, 57) 는 모두 장치 심부 (Y2) 방향으로 밀어서 열린 개방상태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의 배출부재 및 제 2 의 배출부재는 전술한 도입영역 (Q1) 의 하층, 즉 배출구에 대응하는 배출영역에 있어서 디스크 (D) 를 배출하는 것이다.
또한, 도 3 에서와 같이 반원형상으로 노치된 이동테이블 (41) 의 오목부 (41A) 에는 디스크 구동부 (E) 가 형성되어 있다. 즉, 턴테이블 (Ta) 이 도 1 에서 나타낸 클램퍼 (4) 와 대향되도록 설치되고 (도 1B 참조), 또한 오목형상으로 노치된 이동테이블 (41) 의 오목부 (41B) 및 디스크 안내판 (42) 의 오목부 (42A) 의 스페이스내에는, 광헤드 또는 자기헤드 등을 탑재한 픽업이 형성되어 있다. 픽업은, 예를 들어 도시 Y 축 방향과 평행하도록 형성된 가이드축 등에 자유롭게 접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고, 턴테이블 (Ta) 의 중심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턴테이블 (Ta) 과 클램퍼 (4) 사이에 협지된 디스크의 재생 또는 기록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디스크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디스크 삽입전의 초기상태)
디스크장치에 디스크를 삽입하기 전의 초기상태에 있어서는, 제 1 의 배출부재 (이젝트아암 (45, 46)) 가 수납상태에 있고, 제 2 의 배출부재 (이젝트레버 (56, 57)) 는 확장개방상태에 있다. 또한, 천정판 (2), 클램프 샤시 (3) 및 이동테이블 (41) 은 모두가 Z2 측의 하강위치 (클램프 상태) 에 있고, 슬라이드부재 (14) 는 도입구 (Y1) 측에 위치하고 있다.
(디스크 삽입동작)
(ⅰ) 소직경 디스크의 경우
도 5 는 소직경 디스크가 반송수단에 협지된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평면도이다.
도 5 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Y1 측의 도입구에서 소직경 디스크 (8 ㎝) (DS) 가 삽입되면, 소직경 디스크 (DS) 의 테두리부가 도입구의 선단측에 형성되어 있는 지지프리 (24 및 26) 의 플랜지 (F) (도 2B 참조) 내에 협지된다. 이로써, 지지아암 (22 및 23) 이 소직경 디스크의 테두리를 따라서 적절히 회전운동된다. 나아가, 소직경 디스크 (DS) 가 Y2 방향으로 삽입되면, 소직경 디스크 (DS) 의 선단측의 테두리부가 장치 심부측의 지지프리 (25 및 27) 에 협지되므로, 도 5 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소직경 디스크 (DS) 전체가 4 개의 지지프리 (24, 25,26 및 27) 에 의하여 지지된다.
또한 도 5 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된 소직경 디스크 (DS) 의 영역내에는 전술한 검지핀 (P7 및 P9) 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소직경 디스크 (DS) 의 테두리부가 검지핀 (P7 및 P9) 에 맞닿는다. 따라서, 검지핀 (P7) 을 갖는 검지아암 (33) 은 시계주위 반대방향으로 회전운동되고, 동시에 검지핀 (P9) 을 갖는 검지아암 (34) 은 시계주위방향으로 회전운동된다. 단, 검지아암 (33) 의 회전운동범위내에는 회전아암 (16) 의 규제편 (16c) 이 위치하고 있으므로, 검지아암 (33) 은 부호 (ⅰ) 의 상태에서 규제편 (16c) 과 맞닿는 부호 (ⅱ) 의 상태까지 회전운동한다. 마찬가지로, 검지핀 (P9) 을 갖는 검지아암 (34) 도 부호 (α) 의 상태에서 규제편 (17c) 과 맞닿는 부호 (α') 의 상태까지 회전운동한다. 즉, 소직경 디스크 (DS) 의 삽입은 그 테두리부가 검지핀 (P7, P9) 을 가압하고, 각각 부호 (ⅱ 및 α') 의 상태에 도달한 지점에서 완료된다.
또한 검지아암 (33) 이 회전운동되면, 가압편 (33a) 에 의한 스위치 (32a) 의 가압이 해제되므로, 누름스위치 (32) 에서 OFF 신호가 출력된다. 따라서, 디스크장치에서는 지지프리 (24, 25, 26 및 27) 에 새롭게 소직경 디스크 (DS) 가 협지된 것을 검지할 수 있다.
또한, 디스크의 협지 후에 인위적으로 또는 어떠한 장애 등에 의하여 제 2 의 디스크 (D2) 가 지지프리 (24, 25, 26 및 27) 에서 떨어지는 경우에는, 누름스위치 (32) 에서 다시 ON 신호가 출력된다. 따라서, 디스크가 지지프리에서 제거되거나, 또는 반송도중의 장애 등을 검지할 수 있다.
(ⅱ) 대직경 디스크의 경우
도 6 은 대직경 디스크가 반송수단에 협지된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평면도이다.
도 5 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도입구에 대직경 디스크 (12 ㎝) (DL) 가 삽입되면, 대직경 디스크 (DL) 의 선단의 테두리부가 지지프리 (24 및 26) 의 플랜지부에 맞닿는다. 지지아암 (22) 은 시계회전방향, 및 지지아암 (23) 은 시계회전 반대방향으로 각각 회전운동되어 지지프리 (24) 와 지지프리 (26) 사이의 거리가 근소하게 넓어진다. 나아가, 대직경 디스크 (DL) 가 삽입되면, 지지프리 (24 및 26) 가 대직경 디스크 (DL) 의 테두리부를 따라서 회전됨과 동시에, 회전아암 (16 및 17) 이 각각 X1 및 X2 방향으로 밀려서 열린다. 이 때의 회전운동은,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링크부재 (21) 를 중심으로 링크부재 (18) 및 링크아암 (19) 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회전아암 (16 및 17) 은 좌우균등하게 밀려서 열린다. 따라서, 대직경 디스크 (DL) 를 직선적으로 장치 심부 (Y2) 방향으로 삽입할 수 있다.
이 때, 지지아암 (22, 23) 이 지지핀 (P5) 및 접속핀 (P2) 을 중심으로 하여 각각 적절히 회전운동됨과 동시에, 회전아암 (16, 17) 이 회전운동하고, 4 개의 지지프리 (24, 25, 26 및 27) 에 대직경 디스크 (DL) 의 테두리부가 유지된다.
또한, 회전아암 (16) 이 회전운동됨으로써, 회전아암 (16) 의 긴 구멍 (16b) 이 규제핀 (P6) 을 X1 방향으로 가압하므로, 회전기대 (31) 가 회전축 (31a) 을 중심으로 시계주위 반대방향으로 회전운동되고, 동시에 규제편 (16c) 은 원호 홈(14e) 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떨어진다. 따라서, 검지아암 (33) 은 규제편 (16c) 에 맞닿지 않게 되므로, 회전기대 (31) 의 시계주위 반대방향의 회전이 허용된다. 즉, 회전기대 (31) 는 도 5 에서 나타내는 부호 (β) 의 상태에서 도 6 에서 나타내는 부호 (β') 의 상태로 회전된다. 또한 회전기대 (31) 의 시계주위 반대방향의 회전에 의하여, 검지아암 (33) 은 도 5 의 부호 (ⅰ) 의 상태에서 도 6 에서 나타내는 부호 (ⅲ) 의 상태가 되고, 동시에 검지핀 (P7) 이 대직경 디스크 (DL) 의 테두리부에서 가압되므로, 최종적으로는 검지아암 (33) 이 원호 홈 (14e) 의 가장자리부에 의하여 규제를 받는 부호 (ⅳ) 의 상태까지 회전운동된다. 마찬가지로, 타방의 검지아암 (34) 의 검지핀 (P9) 도 대직경 디스크 (DL) 의 테두리부에서 가압되고, 도 5 에서 나타내는 부호 (α) 의 위치에서 도 6 에서 나타내는 부호 (α˝) 의 상태까지 회전운동된다. 또한, 검지아암 (33) 이 부호 (ⅲ) 에서 부호 (ⅳ) 로 회전될 때에는 검지아암 (33) 만이 회전운동하고, 회전기대 (31) 는 회전을 받지 않고 부호 (β') 의 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가압편 (33a) 에 의한 스위치 (32a) 의 가압이 해제되고, 누름스위치 (32) 에서 OFF 신호가 출력되므로, 디스크장치에서는 지지프리 (24, 25, 26 및 27) 에 새로운 대직경 디스크 (DL) 가 협지된 것을 검지할 수 있다.
또한, 대직경 디스크 (DL) 의 삽입은, 그 테두리부가 검지핀 (P7, P9) 이 각각 부호 (ⅳ, α″) 의 상태에 도달한 지점에서 완료된다.
(디스크 도입동작 1)
이하의 설명에서는, 지지프리 (24, 25, 26 및 27) 에 협지된 새로운 소직경디스크 (DS) 또는 대직경 디스크 (DL) 의 쌍방을,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모두 제 2 의 디스크 (D2) 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크 삽입동작에 있어서 누름스위치 (32) 의 OFF 신호가 검출되면, 디스크 구동부 (E) 의 스핀들 모터 (도시하지 않음) 가 정지되고, 그 때까지 이루어지고 있던 기존의 디스크 (이하, 제 1 의 디스크라고 함) 의 재생 또는 기록동작을 종료시킨다. 이어서, 구동모터 (M) 의 회전을 받아 회전캠 (7) 의 회전이 개시되고, 디스크장치 심부측에서는 클램프 샤시 (3) 가 상승되어 디스크의 클램프 상태가 해제된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제 2 의 연결부재 (6) 가 시계회전 반대방향으로 요동되어, 승강부재 (9) 는 Y2 방향으로 이동되고, 승강부재 (9') 는 Y1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로써, 이동핀 (13a 및 13b) 이 크랭크 홈 (9b 및 9c) 의 경사를 등판하고, 측판 (3a') 측의 이동핀 (13a' 및 13b') 이 크랭크 홈 (9b' 및 9c') 의 경사를 등판함으로써, 클램프 샤시 (3) 가 Z1 방향으로 상승되어 비클램프 상태가 된다. 그리고, 이 클램프 샤시 (3) 의 상승에 연동되어, 이동테이블 (41) 이 탄성부재 (S4 및 S5) 의 탄성력을 받아 Z1 방향으로 상승됨과 동시에 제 1 의 배출부재도 상승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지지프리 (24, 25, 26 및 27) 에 유지된 제 2 의 디스크 (D2) (소직경 디스크 (DS) 및 대직경 디스크 (DL)) 는 슬라이드부재 (14) 의 도시 Y2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디스크장치 심부로 반송된다.
도 2 에서와 같이, 구동모터의 회전구동력은 상기 기어군을 통하여 전달기어 (37) 에 전달되고 대기어 (36) 를 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 때, 유도핀 (36b) 이 접동홈 (38a) 내를 이동하고, 반송아암 (38) 을 시계주위 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킨다. 또한, 연결핀 (14p) 이 상기 안내홈 (2h) 내를 도시 Y2 축 방향으로 이동되므로, 상기 연결핀 (14p) 에 접속된 슬라이드부재 (14) 가 장치 심부방향으로 이동된다. 즉, 슬라이드부재 (14) 는 디스크 (D2) 를 지지프리 (24, 25, 26 및 27) 로 유지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장치 심부로 이동한다.
도 2, 도 5 및 도 6 에서와 같이, 천정판 (2) 에는 Y 방향으로 크게 천공 형성된 개구 구멍 (2C, 2D) 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개구 구멍 (2C, 2D) 의 거의 중앙부근에는 테이퍼부 (2α, 2β, 2γ 및 2δ) 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 2 의 디스크 (D2) 가 소직경 디스크 (DS) 인 경우에는, 접속핀 (P2) 과 테이퍼부 (2α) 가 대향되고, 지지핀 (P5) 과 테이퍼부 (2β) 가 서로 대향하게 된다. 여기에서, 소직경 디스크 (DS) 를 유지한 반송수단 (A) 의 접속핀 (P2) 과 지지핀 (P5) 사이의 폭을 WS1 로 하고, 테이퍼부 (2α) 와 테이퍼부 (2β) 의 폭을 WS2 로 하면 양자는 WS1<WS2 의 관계에 있다. 따라서, 반송수단 (A) 에 소직경 디스크 (DS) 가 유지된 상태에서, 슬라이드부재 (14) 가 장치 심부 (Y2)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접속핀 (P2), 지지핀 (P5) 은 각각 상기 테이퍼부 (2α 및 2β) 에 닿고, 이 때 일시적으로 슬라이드부재 (14) 의 도입동작이 정지된다.
한편, 제 2 의 디스크 (D2) 가 대직경 디스크 (DL) 인 경우에는, 접속핀 (P2) 과 테이퍼부 (2γ) 가, 지지핀 (P5) 과 테이퍼부 (2δ) 와 각각 서로 대향된다. 대직경 디스크 (DL) 를 유지한 반송수단 (A) 의 접속핀 (P2) 과 지지핀 (P5) 사이의 폭을 WL1 로 하고, 테이퍼부 (2γ) 와 테이퍼부 (2δ) 의 폭을 WL2 로하면 양자의 관계는 WL1<WL2 이다.
반송수단 (A) 에 대직경 디스크 (DL) 가 유지된 상태에서, 슬라이드부재 (14) 를 장치 심부 (Y2)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접속핀 (P2) 및 지지핀 (P5) 은 상기 테이퍼부 (2γ 및 2δ) 에 각각 닿는다. 그리고, 소직경 디스크 (DS) 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접속핀 (P2) 및 지지핀 (P5) 이 테이퍼부 (2γ 및 2δ) 에 맞닿는 지점에서, 일시적으로 슬라이드부재 (14) 의 도입동작이 정지된다.
또한, 상기 소직경 디스크 (DS) 및 대직경 디스크 (DL) 의 모두에 있어서, 도입 후의 제 2 의 디스크 (D2) (소직경 디스크 (DS) 및 대직경 디스크 (DL)) 는 클램퍼 (4) 와 텐테이블 (Ta)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슬라이드부재 (14) 가 일시적으로 정지된 위치에서는, 제 2 의 디스크 (D2) 의 센터홀의 거의 바로 아래에 턴테이블 (Ta) 의 지지돌기 (허브) 가 위치하고, 거의 바로 위에 클램퍼 (4) 가 위치하고 있다.
(디스크 배출동작)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크장치의 상층부측의 도입영역 (Q1) 에서 디스크의 도입동작이 이루어지는 동안, 하층부측에서는 이와 병행하여 디스크의 배출동작이 이루어진다.
클램프 샤시 (3) 의 상승에 연동되어 상승된 이동테이블 (41) 상에는, 그 때까지 재생 또는 기록이 이루어지고 있던 기존의 제 1 의 디스크 (D1) 가 놓여 있다. 그리고, 회전캠 (7) 의 회전이 이루어지면, 전술한 바와 같이 이 때까지 수납상태에 있던 이젝트아암 (45 및 46) 이 도시 Y1 방향으로 신장된다. 이로써, 이젝트아암 (45, 46) 의 선단의 가압부 (45b 및 46b) 가 이동테이블 (41) 상의 제 1 의 디스크 (D1) 를 배출구 (Y1) 방향으로 압출하고, 후술하는 이젝트레버 (56, 57) 의 동작영역까지 이동시킨다. 또한, 이젝트아암 (45, 46) 은 전술한 바와 같이 수납상태에서 신장상태로 이행된 후, 곧 수납상태로 되돌아간다 (도 4 참조).
나아가, 회전캠 (7) 의 회전이 이루어지면, 확장개방상태에 있던 이젝트레버 (56, 57) 가 회전운동하여 폐쇄상태로 된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캠 (7) 의 캠홈 (7d) 내에 삽입되어 있는 볼록부 (51c) 를 통하여 배출슬라이더 (51) 가 Y1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로써, 링크레버 (52, 53) 가 Y1 방향으로 이동되므로, 이젝트레버 (56, 57) 가 폐쇄상태로 된다. 이 때, 이젝트레버 (56, 57) 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압출편 (56b, 57b) 에 의하여 장치 심부측의 제 1 의 디스크 (D1) 의 테두리부가 도시 Y1 방향으로 압출되므로, 제 1 의 디스크 (D1) 가 배출구에서 디스크장치의 외부로 배출된다. 즉, 이젝트레버 (56, 57) 는 이젝트아암 (45, 46) 에 의하여 턴테이블 (Ta) 상에서 압출된 제 1 의 디스크 (D1) 를 다시 배출구까지 유도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또한, 배출구로 배출된 제 1 의 디스크 (D1) 를 Y2 방향으로 밀어넣어도, 회전캠 (7) 에 역회전을 주게 되므로, 폐쇄상태에 있는 이젝트레버 (56, 57) 가 밀려서 열리는 일은 없다. 따라서, 배출된 디스크가 다시 디스크장치 속으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디스크 도입동작 2)
전술한 바와 같이, 도입구에서 새로운 제 2 의 디스크 (D2) 가 삽입되면, 이 때까지 디스크장치내에서 재생 또는 기록이 이루어지고 있던 제 1 의 디스크 (D1) 는 배출구에서 배출된다. 따라서, 턴테이블 (Ta) 상에 제 1 의 디스크 (D1) 는 존재하지 않는 상태가 된다. 단, 반송수단 (A) 에 유지되어 도입되게 된 새로운 제 2 의 디스크 (D2) 가 클램퍼 (4) 와 턴테이블 (Ta) 사이에 유지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다시 회전캠 (7) 의 회전이 이루어지면, 이번에는 천정판 (2) 및 클램프 샤시 (3) 가 Z2 방향으로 하강되고, 제 2 의 디스크 (D2) 의 클램프 동작이 이루어진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캠 (7) 에 수반되어 제 1 의 연결부재 (5) 가 시계회전 반대방향으로 요동됨으로써, 승강부재 (8) 와 승강부재 (8') 가 상대적으로 이동되고, 측면 (1b) 측의 이동핀 (12a 및 12b) 이 크랭크홈 (8b 및 8c) 의 경사를 하강시키고, 측면 (1c) 측의 이동핀 (12a' 및 12b') 이 크랭크홈 (8b' 및 8c') 의 경사를 하강하여 천정판 (2) 이 하강된다. 마찬가지로, 제 2 의 연결부재 (6) 가 시계회전방향으로 요동됨으로써, 승강부재 (9) 와 승강부재 (9') 가 상대적으로 이동되고, 측면 (3a) 측의 이동핀 (13a 및 13b) 이 크랭크홈 (9b 및 9c) 의 경사를 하강하고, 측판 (3a') 측의 이동핀 (13a' 및 13b') 이 크랭크홈 (9b' 및 9c') 의 경사를 하강하므로 클램프 샤시 (3) 가 하강된다. 이 클램프 샤시 (3) 의 하강에 의하여, 제 2 의 디스크 (D2) 의 센터홀이 턴테이블 (Ta) 의 지지돌기 (허브) 에 외부삽입됨과 동시에, 클램퍼 (4) 와 턴테이블 (Ta) 로 클램프된다. 또한, 클램프 샤시 (3) 의 하강에 수반하여 이동테이블 (41) 및 제 1 의 배출부재도 Z2방향으로 하강된다.
또한, 이 클램프 동작은 제 2 의 디스크 (D2) 가 지지프리 (24, 25, 26 및 27) 에 유지된 상태 그대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 2 의 디스크 (D2) 는 테두리부가 지지프리 (24, 25, 26 및 27) 에 유지되고, 센터홀 부분만이 클램퍼 (4) 로 턴테이블 (Ta) 방향으로 밀리므로, 미소하게 디스크의 중심부분이 하방 (Z2 방향) 으로 볼록형상으로 완곡된 상태에서 클램프된다.
제 2 의 디스크 (D2) 의 클램프 동작이 종료되면, 슬라이드부재 (14) 의 도입이 재개된다. 즉, 디스크 도입동작이 일시적으로 정지된 전술한 상태에서, 다시 장치 심부방향으로 슬라이드부재 (14) 가 도입된다.
제 2 의 디스크 (D2) 가 소직경 디스크 (DS) 인 경우에는, 접속핀 (P2) 은 테이퍼부 (2α) 에 의하여 X2 방향으로 밀려서 열리고, 동시에 지지핀 (P5) 은 테이퍼부 (2β) 에 의하여 X1 방향으로 밀려서 열린다. 따라서, 접속핀 (P2) 과 지지핀 (P5) 사이의 폭 (WS1) 은 테이퍼부 (2α) 와 테이퍼부 (2β) 의 폭 (WS2) 까지 밀려서 열리므로 지지프리 (24, 25) 와 지지프리 (26, 27) 사이의 간격도 넓어진다. 이로써, 소직경 디스크 (DS) 가 지지프리 (24, 25, 26 및 27) 에서 개방되므로, 소직경 디스크 (DS) 는 수평자세에서 턴테이블 (Ta) 에 클램프된다.
한편, 제 2 의 디스크 (D2)가 대직경 디스크 (DL) 인 경우에는, 접속핀 (P2) 은 테이퍼부 (2γ) 에 의하여 X2 방향으로 밀려서 열리고, 지지핀 (P5) 은 테이퍼부 (2δ) 에 의하여 X1 방향으로 밀려서 열린다. 따라서, 접속핀 (P2) 과 지지핀 (P5) 사이의 폭 (WL1) 은 테이퍼부 (2α) 와 테이퍼부 (2β) 의 폭 (WL2) 까지밀려서 열린다. 따라서, 상기 소직경 디스크 (DS) 의 경우와 동일하게 대직경 디스크 (DL) 가 지지프리 (24, 25, 26 및 27) 에서 개방되므로, 턴테이블 (Ta) 상의 대직경 디스크 (DL) 는 수평자세가 된다.
(재생 또는 기록동작시)
상기와 같이, 새로운 제 2 의 디스크 (D2) 가 턴테이블 (Ta) 상에 클램프되면, 디스크 구동부 (E) 의 스핀들 모터의 회전이 개시되어 제 2 의 디스크 (D2) 에 회전이 주어진다. 그리고, 픽업이 디스크의 반경방향으로 이동되어, 제 2 의 디스크 (D2) 의 재생 또는 기록이 이루어진다.
한편, 배출구측으로 배출된 제 1 의 디스크 (D1) 는 인위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상태에 있다. 배출구 부근에는 디스크의 잔존 유무를 검출하는 센서 (광센서 등) 가 형성되어 있고, 만일 제 1 의 디스크 (D1) 가 배출구측에 남아있는 경우에는 장치 심부방향으로 이동된 슬라이드부재 (14) 는 그 상태 그대로에서 디스크의 재생 또는 기록이 이루어진다.
또한, 제 1 의 디스크 (D1) 가 배출구에서 제거된 것을 상기 센서로 검지했을 경우에는 다시 회전캠 (7) 에 회전이 주어진다. 이 회전동작에서는, 슬라이드부재 (14) 를 도입구 (Y1) 방향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배출슬라이더 (51) 를 Y1 방향으로 이동시켜 제 2 의 배출부재인 이젝트레버 (56, 57) 를 확장개방상태로 이행시킴으로써, 다시 초기상태로 설정된다. 즉, 다음의 새로운 디스크 삽입을 대기하는 대기상태로 설정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디스크의 교환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반송롤러를 사용하지 않고 디스크를 배출시킬 수 있으므로, 디스크면의 상처를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이동테이블이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므로, 디스크의 클램프 동작 및 비클램프 동작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Claims (5)

  1. 상층측의 도입영역에 형성되고 또한 도입구에서 삽입된 제 2 의 디스크를 유지하여 장치 심부 방향으로 도입하는 반송수단과, 상기 도입영역의 하층측이 되는 배출영역에 형성되고 또한 상기 반송수단에 의한 제 2 의 디스크의 도입동작에 동기되어 턴테이블상에 설치되어 있던 제 1 의 디스크를 배출구로 송출하는 배출수단을 갖고, 상기 반송수단에 의하여 도입된 제 2 의 디스크가 상기 배출수단과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도달한 시점에서 상기 제 2 의 디스크를 턴테이블 사이에 클램프하는 클램프기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배출영역에 형성된 배출수단은 상기 디스크를 턴테이블상에서 배출구로 향하여 소정 거리만 이동시키는 제 1 의 배출부재와, 상기 소정 거리만큼 이동한 디스크를 다시 배출구로 밀어내는 제 2 의 배출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제 1 의 배출부재와 제 2 의 배출부재가 공통되는 회전캠에 의하여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배출수단에는 턴테이블상에 놓여져 있는 디스크를 들어올리는 이동테이블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이동테이블은 클램프기구의 승강동작에 추종하여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장치.
KR1019990008320A 1998-03-16 1999-03-12 디스크장치 KR1003003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064998A JPH11259945A (ja) 1998-03-16 1998-03-16 ディスク装置
JP98-064998 1998-03-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7835A KR19990077835A (ko) 1999-10-25
KR100300387B1 true KR100300387B1 (ko) 2001-09-26

Family

ID=13274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8320A KR100300387B1 (ko) 1998-03-16 1999-03-12 디스크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222811B1 (ko)
EP (1) EP0944074A1 (ko)
JP (1) JPH11259945A (ko)
KR (1) KR100300387B1 (ko)
TW (1) TW41708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0837A (ko) * 1996-09-12 1998-06-25 구자홍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안착부재 이동장치
JP3792104B2 (ja) * 2000-05-26 2006-07-05 アルパイン株式会社 ディスク装置
WO2002025654A1 (fr) * 2000-09-20 2002-03-28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Dispositif de disque
TW529752U (en) * 2001-11-09 2003-04-21 Lite On It Corp Linear disk positioning device of sucking type optical disk player
JP4193695B2 (ja) * 2001-11-13 2008-12-10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状記録媒体の搬送装置及び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3845576B2 (ja) * 2001-12-07 2006-11-15 タナシン電機株式会社 ディスク再生装置
JP3816010B2 (ja) * 2002-01-30 2006-08-30 アルパイン株式会社 ディスク装置
JP3867692B2 (ja) * 2003-07-22 2007-01-10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3875671B2 (ja) * 2003-09-02 2007-01-31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および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用カム
JP4103742B2 (ja) * 2003-09-11 2008-06-18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4179962B2 (ja) * 2003-10-20 2008-11-1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ディスク装置
KR20060014611A (ko) * 2004-08-11 2006-02-1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이중 삽입 방지장치
US7716692B2 (en) * 2004-09-21 2010-05-11 Panasonic Corporation Disc device with particular loading mechanism
JP4347889B2 (ja) * 2004-10-29 2009-10-21 パイオニア株式会社 記録媒体駆動装置
JP4308199B2 (ja) * 2005-12-27 2009-08-05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搬送装置、および、ディスク装置
TWI294620B (en) * 2006-01-24 2008-03-11 Asustek Comp Inc Optical disc drive
KR20080017185A (ko) 2006-08-21 2008-02-26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디스크 드라이브 및 그 제어방법
US7898769B2 (en) * 2007-02-15 2011-03-01 Hitachi Global Storage Technologies, Netherlands, B.V. Three-etch ABS design with a closed front channel
CN102122516A (zh) * 2010-01-12 2011-07-13 建兴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用于吸入式光驱的进退片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52757A (ja) * 1985-08-31 1987-03-07 Ozen Corp 選択式音響再生機のレコ−ド盤交換機構
JPS62120601A (ja) * 1985-11-20 1987-06-01 Ozen Corp 選択式音響再生機のレコ−ド盤交換機構
US5022023A (en) 1987-06-23 1991-06-04 Sony Corporation Disc drive arrangement for CD player and the like capable of loading different size discs
JPH01317271A (ja) * 1988-06-16 1989-12-21 Nec Corp 光ディスク装置
JPH0668877B2 (ja) * 1988-10-29 1994-08-31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フロントローディングディスクプレーヤ
US5119354A (en) * 1989-04-06 1992-06-0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sk reproducing apparatus
JP2749703B2 (ja) * 1990-05-22 1998-05-13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ディスクプレーヤ
JP2900726B2 (ja) * 1992-09-25 1999-06-02 船井電機株式会社 ディスクプレイヤのローディング方法
US5583839A (en) 1993-12-28 1996-12-10 Daewoo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for elevating a spindle assembly of a disc player
JP3417645B2 (ja) * 1994-03-04 2003-06-16 アルパイン株式会社 ディスク装置
KR0160731B1 (ko) * 1995-10-31 1999-01-15 김광호 디스크 기록/재생장치
KR970023148A (ko) * 1995-10-31 1997-05-30 김광호 디스크 기록/재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1259945A (ja) 1999-09-24
EP0944074A1 (en) 1999-09-22
US6222811B1 (en) 2001-04-24
KR19990077835A (ko) 1999-10-25
TW417087B (en) 2001-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0387B1 (ko) 디스크장치
KR100324791B1 (ko) 디스크 배출장치
US7730502B2 (en) Disc changer having disc discharge mechanism
KR100713166B1 (ko) 디스크 드라이브장치
KR19990006817A (ko) 정보 디스크용 체인저 장치
KR100294528B1 (ko) 디스크장치의 동력전달기구
US6388974B1 (en) Recording medium driving apparatus
KR100300378B1 (ko) 디스크장치
KR100410707B1 (ko) 기록매체의로딩장치및기록재생장치
KR100324790B1 (ko) 디스크장치
KR19990006816A (ko) 정보 디스크용 체인저 장치
US20020012294A1 (en) System for reproducing a recorded disc
JP4032552B2 (ja) ディスクチャッキング装置およびディスク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KR980011251A (ko) 디스크 재생 장치
US7191459B2 (en) Adapter for non-circular disc
US20020009042A1 (en) System for reproducing a disc
KR100300620B1 (ko) 기록매체반송기구
EP1341171B1 (en) Disk insertion position setting device
US6757223B1 (en) System for carrying and reproducing a disc
KR100720349B1 (ko) 스윙 암을 구비한 디스크 체인저
JP3791998B2 (ja) ディスク装置
KR100288914B1 (ko) 정보 기록/재생 매체의 카트리지
KR19980040834A (ko) 멀티 미니디스크 플레이어 및 그의 구동 방법
KR19980023460A (ko)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가이딩장치
JP2005129203A (ja) ディス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51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