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7185A - 광디스크 드라이브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광디스크 드라이브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7185A
KR20080017185A KR1020060079017A KR20060079017A KR20080017185A KR 20080017185 A KR20080017185 A KR 20080017185A KR 1020060079017 A KR1020060079017 A KR 1020060079017A KR 20060079017 A KR20060079017 A KR 20060079017A KR 20080017185 A KR20080017185 A KR 200800171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disc
main body
opening
roller
optical di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9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문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79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17185A/ko
Priority to US11/758,849 priority patent/US20080043582A1/en
Priority to EP07110104A priority patent/EP1892710A1/en
Priority to CNA2007101118975A priority patent/CN101131842A/zh
Publication of KR20080017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71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5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discs not contained within cartridges
    • G11B17/051Direct insertion, i.e. without external loading mea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Landscapes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광디스크를 양방향으로 진입시키거나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여 광디스크의 삽입 및 교체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광디스크 드라이브 및 그 제어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디스크 드라이브는 양측에 광디스크의 입출을 위한 제1개구와 제2개구가 각각 마련된 본체; 상기 본체 내에 설치되며 광디스크의 장착을 위한 척을 갖춘 스핀들모터; 상기 제1 및 제2개구 중 어느 하나를 통하여 진입하는 광디스크를 상기 스핀들모터 쪽으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스핀들모터 쪽의 광디스크를 상기 제1 및 제2개구 중 어느 하나를 통하여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본체에 마련된 로딩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광디스크 드라이브 및 그 제어방법{OPTICAL DISC DRIV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로, 광디스크의 진입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로, 광디스크가 본체 내부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승강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제1 및 제2롤러의 상승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승강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제1 및 제2롤러의 하강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평면도로, 본체 내에 광디스크가 없을 때 광디스크 진입상태를 단계별로 나타낸 것이다.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평면도로, 본체 내에 광디스크가 있을 때 광디스크의 진입 및 배출상태를 단계별로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광디스크 드라이브가 채용된 AV기기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제어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본체, 11: 제1개구,
12: 제2개구, 13: 제1커버,
15: 스핀들모터, 17: 광픽업유닛,
18: 픽업이송장치, 20: 제1롤러장치,
21: 제1롤러, 23: 제1로딩모터,
30: 제2롤러장치, 31: 제2롤러,
33: 제2로딩모터, 40: 승강장치,
41: 진퇴부재, 42: 제3로딩모터,
43: 제1경사부, 44: 제2경사부,
50: 척킹유닛, 51: 레버,
52: 가압부재, 60: 제1안내장치,
70: 제2안내장치, 91: 제1센서,
92: 제2센서, 93: 제3센서,
100: 제어부.
본 발명은 광디스크 드라이브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디스크를 양방향으로 진입시키거나 배출시킬 수 있는 광디스크 드라이브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광디스크 드라이브는 디스크 상의 음성, 영상 및 데이터 정보 등을 읽거나 기록할 수 있는 장치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568378호에는 이러한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일 예로 트레이(Tray)가 없는 슬롯인 타입 디스크 드라이브(Slot-In Type Disc Drive)가 개시되어 있다.
위 공보에 개시된 광디스크 드라이브는 광디스크가 삽입되거나 배출되는 입구를 갖춘 본체와, 입구를 통하여 삽입되는 광디스크를 본체 내부의 스핀들모터 쪽으로 진입시키거나 내부의 광디스크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롤러형태의 로딩장치와, 광디스크의 삽입 여부를 감지하는 다수의 센서들을 갖추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광디스크 드라이브는 광디스크의 진입 및 배출을 위한 입구가 한쪽에만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광디스크를 넣거나 빼기가 번거로웠다. 즉 새로운 광디스크를 장착하기 위해서는 내부에 있는 광디스크를 입구를 통하여 배출시킨 후 다시 그 입구를 통하여 광디스크를 삽입시켜야 하기 때문에 광디스크의 교체가 번거로웠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광 디스크를 양방향으로 진입시키거나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여 광디스크의 삽입 및 교체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광디스크 드라이브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광디스크의 삽입동작과 광디스크의 배출동작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광디스크 드라이브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광디스크 드라이브는 양측에 광디스크의 입출을 위한 제1개구와 제2개구가 각각 마련된 본체; 상기 본체 내에 설치되며 광디스크의 장착을 위한 척을 갖춘 스핀들모터; 상기 제1 및 제2개구 중 어느 하나를 통하여 진입하는 광디스크를 상기 스핀들모터 쪽으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스핀들모터 쪽의 광디스크를 상기 제1 및 제2개구 중 어느 하나를 통하여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본체에 마련된 로딩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로딩장치는 상기 제1개구 쪽에 설치된 제1롤러장치; 상기 제2개구 쪽에 설치된 제2롤러장치; 상기 본체 내부의 광디스크를 상기 스핀들모터의 척에 장착하거나 분리하기 위한 승강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롤러장치는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제1롤러와, 상기 제1롤러를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1로딩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롤러장치는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제2롤러와, 상기 제2롤러를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2로딩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롤러의 승강을 위해 양측에 제1경사부 와 제2경사부가 형성되며 횡방향으로 진퇴하는 진퇴부재와, 상기 진퇴부재의 진퇴를 위해 랙과 피니언에 의해 상기 진퇴부재와 연결된 제3로딩모터와, 상기 진퇴부재의 진퇴에 따라 광디스크가 상기 척에 장착되거나 장착이 해제되도록 하는 척킹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척킹유닛은 광디스크의 상면을 가압하거나 가압 해제하도록 승강하는 가압부재와, 상기 가압부재의 승강동작을 위해 상기 진퇴부재에 마련된 제3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개구를 통한 광디스크의 진입과 배출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제1개구 쪽에 설치된 제1안내장치와, 상기 제2개구를 통한 광디스크의 진입과 배출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제2개구 쪽에 설치된 제2안내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안내장치는 상기 제1개구의 양측과 상기 제2개구의 양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레버와, 상기 제1 및 제2개구를 통하여 입출하는 광디스크의 외주연과 접하도록 상기 각 회전레버의 자유단에 마련된 안내돌기와, 상기 안내돌기가 광디스크의 외주연과 접하는 방향으로 상기 회전레버를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각 회전레버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및 제2개구를 통한 광디스크의 입출을 감지하기 위해 상기 제1개구 쪽 회전레버와 상기 제2개구 쪽 회전레버에 각각 설치된 제1 및 제2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광디스크의 장착여부 감지를 위해 상기 진퇴부재의 진퇴를 감지하는 제3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및 제2개구를 통한 광디스크의 입출을 각각 감지하는 제1 및 제2센서와, 상기 스핀들모터의 척에 광디스크가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3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제어방법은 본체의 양측에 마련된 제1개구와 제2개구 중 어느 한 쪽으로 광디스크가 진입하는지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및 제2개구 중 어느 한 쪽으로 광디스크의 진입이 감지되면 상기 본체 내부에 광디스크가 존재하는지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본체 내에 광디스크가 존재하지 않으면 진입 측 광디스크를 상기 본체 내부로 이동시켜 장착하도록 상기 본체 내부의 로딩장치를 동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제어방법은 본체의 양측에 마련된 제1개구와 제2개구 중 어느 한 쪽으로 광디스크가 진입하는지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및 제2개구 중 어느 한 쪽으로 광디스크의 진입이 감지되면 상기 본체 내부에 광디스크가 존재하는지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본체 내부에 광디스크가 존재하면 상기 본체 내부의 로딩장치를 동작시켜 상기 본체 내부의 광디스크를 상기 제1 및 제2개구 중 광디스크가 진입하지 않는 쪽으로 배출시키면서 진입 측 광디스크를 상기 본체 내부로 일부구간 진입시키는 단계와, 상기 배출 측 광디스크가 상기 본체로부터 제거되었는지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배출 측 광디스크가 상기 본체로부터 제거되면 상기 로딩장치를 동작시켜 상기 진입 측 광디스크를 상기 본체 내부로 완전히 이동시켜 장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광디스크를 배출시키는 단계는 상기 배출 측 광디스크가 상기 본체로부터 완전히 이탈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1 및 제2개구 중 어느 한 쪽의 센서를 통해 상기 배출 측 디스크가 감지되면 상기 로딩장치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디스크 드라이브는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반된 양측에 광디스크(1)의 삽입과 배출을 위한 제1개구(11)와 제2개구(12)가 각각 형성된 본체(10)를 구비한다. 본체(10)의 상부에는 본체(10)의 상부를 덮는 제1커버(13) 및 제1커버(13)의 상부를 덮는 제2커버(14)가 설치된다.
본체(10) 내부에는 광디스크(1)의 장착을 위한 척(16)을 갖춘 스핀들모터(15)와, 광디스크(1)에 기록된 정보를 읽거나 광디스크(1)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광픽업유닛(17), 그리고 광픽업유닛(17)을 이동시키는 픽업이송장치(18)가 설치된다. 광픽업유닛(17)은 스핀들모터(15)의 측방에 설치되며, 픽업이송장치(18)는 광픽업유닛(17)을 광디스크(1)의 반경방향으로 이동시킨다.
픽업이송장치(18)는 광픽업유닛(17)의 이동 안내를 위한 레일(19)과, 광픽업유닛(17)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미도시)을 포함한다. 구동수단은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구동모터와, 구동모터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달하는 나선이송축이나 랙과 피니언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체(10)에는 제1개구(11)와 제2개구(12)를 통하여 진입하는 광디스크(1)를 스핀들모터(15) 쪽으로 이동시켜 장착하거나 스핀들모터(15) 쪽에 장착된 광디스크(1)를 제1 및 제2개구(11,12) 중 어느 하나를 통하여 배출시키기 위한 로딩장치가 설치된다. 이 로딩장치는 제1개구(11) 쪽에 설치되는 제1롤러장치(20), 제2개구(12) 쪽에 설치된 제2롤러장치(30), 광디스크(1)를 스핀들모터(15)의 척(16)에 장착하거나 분리하기 위한 승강장치(40)를 포함한다.
제1롤러장치(20)는 제1롤러(21), 제1롤러(21)를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롤러지지부재(22), 제1롤러(21)를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1로딩모터(23)를 포함한다. 제1롤러지지부재(22)는 제1개구(11)의 내측에 제1개구(11)와 평행하도록 배치되며, 양단이 지지축(24)에 의하여 본체(10) 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롤러(21)는 양단이 제1롤러지지부재(22)의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제1롤러(21)의 회전축(25)은 제1롤러지지부재(22)의 지지축(24)과 이격된다. 따라서 제1롤러지지부재(22)가 회전하면 제1롤러(21)는 승강한다. 제1로딩모터(23)는 제1롤러(21)의 측방에 설치되며 구동기어(26)를 구비한다. 그리고 제1롤러(21)의 회전축(25)에는 구동기어(23)와 치합되는 피동기어(27)가 설치된다. 피동기어(27)는 제1롤러(21)가 상승할 때 구동기어(23)와 연결되고 제1롤러(21)가 하강할 때 구동기어(26)와 연결이 해제된다. 따라서 제1로딩모터(23)의 회전력은 제1롤러(21)가 상승하여 구동기어(26)와 피동기어(27)가 연결될 때 제1롤러(21)로 전달된다. 또 제1롤러장치(20)는 제1롤러(21)를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제1롤러지지부재(22)를 회전시키기 위해 제1롤러지지부재(22)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스프링들(28) 을 포함한다. 스프링들(28)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단이 본체(10) 고정되고 타단이 제1롤러지지부재(22)에 고정된다.
제2롤러장치(30)도 제2롤러(21), 제2롤러(21)를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롤러지지부재(32), 제2롤러(31)를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2로딩모터(33)를 포함한다. 또 동력전달을 위한 구동기어(36) 및 피동기어(37), 제2롤러지지부재(32)를 회전시키는 스프링들(38)을 포함한다. 제2롤러장치(30)는 제2개구(12) 쪽에 설치된 점에서 차이가 있을 뿐 구성 및 동작원리가 제1롤러장치(20)와 동일한 형태이다.
승강장치(40)는 도 1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롤러(21,31)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진퇴하도록 본체(10)의 측방에 설치된 진퇴부재(41)와, 진퇴부재(41)를 진퇴시키는 제3로딩모터(42), 그리고 진퇴부재(41)의 진퇴에 따라 광디스크(1)가 스핀들모터(15)의 척(16)에 장착되거나 장착 해제되도록 하는 척킹유닛(50)을 포함한다.
진퇴부재(41)는 평판형태이고 양측에 제1롤러(21)의 회전축(25)과 제2롤러(31)의 회전축(35)이 각각 결합되는 제1경사부(43)와 제2경사부(44)를 구비한다.
제1경사부(43)와 제2경사부(44)는 경사진 홈형태이다. 제3로딩모터(42)의 축에는 피니언(45)이 결합되고, 진퇴부재(41)에는 피니언(45)과 결합되는 랙기어(46)가 형성된다. 또 진퇴부재(41)에는 진퇴부재(41)의 복원 및 떨림방지를 위한 스프링(47)이 설치된다.
이러한 승강장치(4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로딩모터(42)의 동작에 의해 피니언(45)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진퇴부재(41)가 우측으로 이동할 때 제1 및 제2경사부(43,44)가 제1 및 제2롤러(21,31)를 상승시키도록 안내한다. 또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로딩모터(42)의 동작에 의해 피니언(45)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진퇴부재(41)가 좌측으로 이동할 때 제1 및 제2경사부(43,44)가 제1 및 제2롤러(21,31)를 하강시키도록 안내한다. 이처럼 승강장치(40)는 제3로딩모터(42)를 통해 진퇴부재(41)를 진퇴시킴으로써 제1 및 제2롤러(21,31)를 동시에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킬 수 있다.
척킹유닛(50)은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커버(13)의 상부에 시소형태로 설치된 레버(51)와, 광디스크(1)의 상면을 가압하거나 가압 해제할 수 있도록 레버(5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중심이 척(16)의 중심과 일치하는 가압부재(52)를 포함한다. 또 척킹유닛(50)은 진퇴부재(41)의 상부로부터 레버(51) 쪽으로 연장된 연장부(53)와, 진퇴부재(41)가 진퇴할 때 레버(51)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연장부(53)의 단부에 마련된 제3경사부(54)를 포함한다. 제3경사부(54)는 가압부재(52) 반대편 레버(51)의 단부(51a)를 승강시킨다. 이러한 척킹유닛(50)은 진퇴부재(41)가 진퇴할 때 제3경사부(54)에 의하여 레버(51)의 시소운동이 이루어지고, 레버(51)의 시소운동에 의해 가압부재(52)가 승강하면서 광디스크(1) 상면을 가압하거나 가압 해제한다.
따라서 도 2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퇴부재(41)의 동작에 의해 제1 및 제2롤러(21,31)가 상승할 때는 가압부재(52)도 상승하고, 도 3과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퇴부재(41)의 동작에 의해 제1 및 제2롤러(21,31)가 하강할 때는 가 압부재(52)도 하강한다. 레버(51)는 시소형태이기 때문에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경사부(54)와 접하는 레버(51)의 단부가 하강하는 경우에는 가압부재(52)가 상승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부재(52)가 하강할 때는 광디스크(1)가 스핀들모터(15)의 척(16)에 장착되고 제1 및 제2롤러(21,31)는 광디스크(1)의 하면으로부터 이격됨으로써 스핀들모터(15)의 동작에 의해 광디스크(1)가 회전할 수 있다.
제1개구(11) 쪽에는 도 1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개구(11)를 통한 광디스크(1)의 진입과 배출을 안내하기 위한 제1안내장치(60)가 설치되고, 제2개구(12) 쪽에는 제2개구(12)를 통한 광디스크(1)의 진입과 배출을 안내하기 위한 제2안내장치(70)가 설치된다.
제1안내장치(6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커버(13)의 상면 양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레버(61)와, 각 회전레버(61)의 자유단에 마련된 안내돌기(62)를 포함한다. 안내돌기(62)는 제1개구(11)를 통하여 진입하는 광디스크(1)의 외주연과 접하도록 제1커버(13)에 형성된 원호형 회전안내홈(63)을 통과하여 제1커버(13)의 내면 쪽으로 연장된다. 또 양측의 회전레버(61)는 안내돌기(62)가 광디스크(1)의 외주연과 접하는 방향으로 회전레버(61)가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력을 부여하는 스프링들(64)에 의해 지지된다.
제2안내장치(70)는 제2개구(12) 쪽에 설치된 점에서 차이가 있을 뿐 제1안내장치(60)와 동일한 형태이다. 제2안내장치(70)도 회전레버(71), 안내돌기(72), 회전안내홈(73), 스프링들(74)을 포함한다.
제1안내장치(7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개구(11)를 통하여 진입하는 광디스크(1)의 외주연을 양측 회전부재(61)의 안내돌기(62)가 지지함으로써 광디스크(1)의 진입을 안내한다. 이때는 광디스크(1)가 본체(10) 내부로 진입함에 따라 양측 회전부재(61)의 안내돌기(62)가 양측으로 밀리므로 회전부재(61)의 회전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디스크(1)가 본체(10) 내부로 완전히 진입한 후에는 양측 회전부재(61)가 스프링(64)의 탄성에 의해 최초의 위치로 복원된다. 이러한 제1안내장치(60)의 동작은 광디스크(1)가 제1개구(11)를 통하여 배출될 때에도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제2개구(12) 쪽의 제2안내장치(70)의 동작도 마찬가지이다.
또 본 발명은 제1개구(11)를 통한 광디스크(1)의 진입 및 배출을 감지하기 위한 제1센서(91), 제2개구(12)를 통한 광디스크(1)의 진입 및 배출을 감지하기 위한 제2센서(92), 광디스크(1)가 척(16)에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제3센서(93)를 포함한다. 제1센서(91)는 도 1과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안내장치(60)의 회전부재(61) 회전을 감지하는 회전각센서로 이루어지고, 제2센서(92)도 제2안내장치(70)의 회전부재(71) 회전을 감지하는 회전각센서로 이루어진다. 이는 제1 및 제2개구(11,12)를 통하여 광디스크(1)가 진입하거나 배출될 때 제1 및 제2센서(91,92)가 회전부재(61,71)의 회전을 각각 감지함으로써 광디스크(1)의 진입과 배출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제3센서(93)는 도 1과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퇴부재(41)의 진퇴를 감지하도록 본체(10)의 측방에 설치된다. 이는 진퇴부재(41)의 동작이 광디스크(1)의 장착과 관련되므로 제3센서(93)가 진퇴부재(41)의 위치감지를 통해 광디스크(1)의 장착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제1 내지 제3센서(91,92,93)의 설치구조는 바람직한 예를 든 것일 뿐 반드시 이러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센서들(91,92,93)은 제1 및 제2개구(11,12)와 스핀들모터(15) 쪽에 각각 설치되어 광디스크(1)의 거동을 직접 감지하는 광센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제어블록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센서(91)와 제2센서(92)는 제1 및 제2개구(11,12)를 통한 광디스크(1)의 진입과 배출을 감지하여 제어부(100)에 입력하고, 제3센서(93)는 광디스크(1)의 장착여부를 감지하여 제어부(100)에 입력한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제1, 제2, 제3센서(91,92,93)의 감지정보를 토대로 제1로딩모터(23), 제2로딩모터(33), 제3로딩모터(42), 스핀들모터(15), 픽업이송장치(18)를 제어한다.
다음은 이러한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동작 및 제어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개구(11) 쪽으로 광디스크(1)가 진입하면, 제1안내장치(60)에 의해 광디스크(1)의 진입이 안내되고, 제1센서(91)는 회전부재(61)의 회전을 감지하므로 제1개구(11) 쪽으로 광디스크(1)의 진입을 감지한다. 만약 광디스크가 제2개구(12) 쪽으로 진입하면, 제2안내장치(70)에 의해 광디스크의 진입이 안내되고, 제2센서(92)에 의하여 제2개구(12) 쪽으로 광디스크가 진입되었음을 감지한다.
제1개구(11) 쪽으로 광디스크(1)의 진입이 감지되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로딩모터(42)의 동작에 의해 진퇴부재(41)가 우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제1 및 제2롤러(21,31)가 상승한다. 제1 및 제2롤러(21,31)가 상승한 후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로딩모터(23)를 동작에 의해 제1롤러(21)가 회전함으로써 광디스크(1)를 스핀들모터(15)의 척(16) 쪽으로 이동한다. 만약 제2개구(12) 쪽으로 광디스크가 진입한 경우에는 제2로딩모터(33)의 동작에 의해 제2롤러(31)가 회전함으로써 광디스크를 스핀들모터(15)의 척(16) 쪽으로 이동시킨다.
광디스크(1)가 척(16) 쪽으로 이동한 후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로딩모터(42)가 역으로 회전하여 진퇴부재(41)를 좌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1 및 제2롤러(21,31)를 하강시킨다. 이때는 진퇴부재(41)의 동작에 의해 가압부재(52)가 하강하면서 광디스크(1)의 상면을 가압하므로 광디스크(1)가 척(16)에 장착되고, 제1 및 제2롤러(21,31)는 광디스크(1)의 하면으로부터 이격된다. 따라서 광디스크(1)는 스핀들모터(15)의 동작에 의해 회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개구(11) 쪽으로 광디스크(1)가 진입할 때 이미 본체(10) 내에 광디스크(2)가 장착된 경우에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의 광디스크(2)는 제2개구(12) 쪽으로 배출된다. 즉 내부의 광디스크(2)는 제1 및 제2롤러(21,31)가 상승하는 동작에 의해 척(16)으로부터 분리된 후 제1 및 제2로딩모터(23,33)가 동시에 동작하여 제1 및 제2롤러(21,31)가 제2개구(12) 방향으로 동시에 회전함으로써 제2개구(12) 쪽으로 배출된다. 즉 이때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입 측 광디스크(1)가 제1롤러(21)의 동작에 의해 본체(10) 내부로 진입하는 반면, 배출 측 광디스크(2)가 제2롤러(31)의 동작에 의해 제2개구(12) 쪽으로 배출된다. 또 배출 측 광디스크(2)가 제2개구(12)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제2센 서(92)에 의해 배출이 감지되면, 제2롤러(31)의 동작이 정지된다. 이는 제2롤러(31)에 의해 배출 측 광디스크(1)가 잡히도록 함으로써 배출 측 광디스크(2)가 낙하하지 않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사용자가 배출 측 광디스크(2)를 본체(10)로부터 제거하면, 제1롤러(21)가 동작하면서 진입 측 광디스크(1)가 본체(10) 내부로 진입하여 장착된다.
이러한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동작과 관련된 제어는 도 12의 흐름도와 같이 이루어진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00)는 제1센서(91)와 제2센서(92)의 감지를 통하여 광디스크(1)가 본체(10)로 진입하였는지 여부와 진입방향을 감지하고(101), 제3센서(93)의 감지를 통하여 본체(10) 내부에 광디스크가 있는지를 판단한다(102).
단계 102에서 본체(10) 내에 광디스크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3로딩모터(42)와 제1 및 제2로딩모터(23,33)를 동작시켜 진입하는 광디스크를(1) 본체(10) 내부의 척(16) 쪽으로 완전히 진입시킨다(107). 그리고 광디스크(1)를 스핀들모터(15)의 척(16)에 장착시킨다(108).
만약 단계 102에서 본체(10) 내에 광디스크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3로딩모터(42)를 동작시켜 제1롤러(21)와 제2롤러(31)를 상승시킴으로써 내부의 광디스크(2)를 척(16)으로부터 분리하고(103), 제1 및 제2로딩모터(23,33)를 통하여 제1롤러(21)와 제2롤러(31)를 동작시킴으로써 내부의 광디스크(2)가 진입 측 광디스크(1)의 반대방향으로 배출되도록 하고(104), 진입 측 광디스크(1)가 일부구간 본체(10) 내부로 진입하도록 한다(105). 이때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출 측 광디스크(2)가 소정구간 배출되어 제1 및 제2센서(91,92) 중 어느 하나를 통하여 감지될 경우 제1 및 제2로딩모터(21,31)의 동작이 정지되도록 함으로써 배출 측 광디스크(2)가 본체(10)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하고 진입 측 광디스크(1)가 더 이상 진입하지 않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제어부(100)는 제1 및 제2센서(91,92) 중 어느 하나의 감지를 통하여 배출 측 디스크(2)가 본체(10)로부터 제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106). 이는 사용자가 배출 측 광디스크(2)를 본체(10)로부터 제거하였는지를 판단하기 위함이다. 배출 측 광디스크(2)를 사용자가 제거하지 않으면 단계 106을 반복한다.
단계 106에서 배출 측 광디스크(2)가 제거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00)는 제1 및 제2로딩모터(23,33)를 동작시켜 제1 및 제2롤러(21,31)가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진입 측 광디스크(1)가 본체(10) 내부로 완전히 진입하도록 한다. 그리고 제3로딩모터(42)를 동작시켜 광디스크(1)가 스핀들모터(15)의 척(16)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단계 108에서는 제3로딩모터(42)의 동작에 의해 진퇴부재(41)가 동작하고, 진퇴부재(41)의 동작에 의해 제1 및 제2롤러(21,31)가 하강함과 동시에 척킹유닛(50)이 광디스크(1)의 상부를 가압함으로써 광디스크(1)가 척(16)에 장착되도록 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광디스크 드라이브가 채용된 스탠드형 오디오 및 비디오기기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 기기(200)는 양측에 광디스크의 입출을 위한 제1 및 제2개구(201,202)를 구비한다. 이 기기(200)는 사용자가 제1개구(201)를 통하여 광디스크를 진입시키면 내부의 광디스크가 제2개구(202)를 통하여 배출되 고, 제2개구(202)를 통하여 광디스크를 진입시키면 내부의 광디스크가 제1개구(201)를 통하여 배출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광디스크의 장착 및 교체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디스크 드라이브는 본체 양측의 제1 및 제2개구를 통하여 광디스크를 선택적으로 진입시키거나 배출시킬 수 있기 때문에 광디스크의 삽입 및 교체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제1개구로 광디스크를 진입시킬 때 본체 내부의 광디스크가 제2개구로 배출되고, 제2개구로 광디스크를 진입시킬 때 본체 내부의 광디스크가 제1개구로 배출되기 때문에 광디스크의 삽입 및 배출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출되는 광디스크가 사용자가 제거하기 전까지 배출 측 개구에 걸린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광디스크의 삽입 및 배출을 동시에 수행하면서도 광디스크를 교체하는 과정에서 광디스크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양측에 광디스크의 입출을 위한 제1개구와 제2개구가 각각 마련된 본체; 상기 본체 내에 설치되며 광디스크의 장착을 위한 척을 갖춘 스핀들모터; 상기 제1 및 제2개구 중 어느 하나를 통하여 진입하는 광디스크를 상기 스핀들모터 쪽으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스핀들모터 쪽의 광디스크를 상기 제1 및 제2개구 중 어느 하나를 통하여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본체에 마련된 로딩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드라이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딩장치는 상기 제1개구 쪽에 설치된 제1롤러장치; 상기 제2개구 쪽에 설치된 제2롤러장치; 상기 본체 내부의 광디스크를 상기 스핀들모터의 척에 장착하거나 분리하기 위한 승강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드라이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롤러장치는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제1롤러와, 상기 제1롤러를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1로딩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롤러장치는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제2롤러와, 상기 제2롤러를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2로딩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드라이브.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롤러의 승강을 위해 양측에 제1경사부와 제2경사부가 형성되며 횡방향으로 진퇴하는 진퇴부재와, 상기 진퇴부재의 진퇴를 위해 랙과 피니언에 의해 상기 진퇴부재와 연결된 제3로딩모터와, 상기 진퇴부재의 진퇴에 따라 광디스크가 상기 척에 장착되거나 장착이 해제되도록 하는 척킹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드라이브.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척킹유닛은 광디스크의 상면을 가압하거나 가압 해제하도록 승강하는 가압부재와, 상기 가압부재의 승강동작을 위해 상기 진퇴부재에 마련된 제3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드라이브.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개구를 통한 광디스크의 진입과 배출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제1개구 쪽에 설치된 제1안내장치와, 상기 제2개구를 통한 광디스크의 진입과 배출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제2개구 쪽에 설치된 제2안내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드라이브.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안내장치는 상기 제1개구의 양측과 상기 제2개구의 양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레버와, 상기 제1 및 제2개구를 통하여 입출하는 광디스크의 외주연과 접하도록 상기 각 회전레버의 자유단에 마련된 안내돌기와, 상기 안내돌기가 광디스크의 외주연과 접하는 방향으로 상기 회전레버를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각 회전레버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드라이브.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개구를 통한 광디스크의 입출을 감지하기 위해 상기 제1개구 쪽 회전레버와 상기 제2개구 쪽 회전레버에 각각 설치된 제1 및 제2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드라이브.
  9. 제5항에 있어서,
    광디스크의 장착여부 감지를 위해 상기 진퇴부재의 진퇴를 감지하는 제3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드라이브.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개구를 통한 광디스크의 입출을 각각 감지하는 제1 및 제2센서와, 상기 스핀들모터의 척에 광디스크가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3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드라이브.
  11. 본체의 양측에 마련된 제1개구와 제2개구 중 어느 한 쪽으로 광디스크가 진입하는지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및 제2개구 중 어느 한 쪽으로 광디스크의 진입이 감지되면 상기 본체 내부에 광디스크가 존재하는지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본체 내에 광디스크가 존재하지 않으면 진입 측 광디스크를 상기 본체 내부로 이동시켜 장착하도록 상기 본체 내부의 로딩장치를 동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제어방법.
  12. 본체의 양측에 마련된 제1개구와 제2개구 중 어느 한 쪽으로 광디스크가 진입하는지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및 제2개구 중 어느 한 쪽으로 광디스크의 진입이 감지되면 상기 본체 내부에 광디스크가 존재하는지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본체 내부에 광디스크가 존재하면 상기 본체 내부의 로딩장치를 동작시켜 상기 본체 내부의 광디스크를 상기 제1 및 제2개구 중 광디스크가 진입하지 않는 쪽으로 배출시키면서 진입 측 광디스크를 상기 본체 내부로 일부구간 진입시키는 단계와,
    상기 배출 측 광디스크가 상기 본체로부터 제거되었는지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배출 측 광디스크가 상기 본체로부터 제거되면 상기 로딩장치를 동작시켜 상기 진입 측 광디스크를 상기 본체 내부로 완전히 이동시켜 장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광디스크를 배출시키는 단계는 상기 배출 측 광디스크가 상기 본체로부터 완전히 이탈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1 및 제2개구 중 어느 한 쪽의 센서를 통해 상기 배출 측 디스크가 감지되면 상기 로딩장치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제어방법.
KR1020060079017A 2006-08-21 2006-08-21 광디스크 드라이브 및 그 제어방법 KR20080017185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9017A KR20080017185A (ko) 2006-08-21 2006-08-21 광디스크 드라이브 및 그 제어방법
US11/758,849 US20080043582A1 (en) 2006-08-21 2007-06-06 Optical disc drive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07110104A EP1892710A1 (en) 2006-08-21 2007-06-12 Optical disc driv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A2007101118975A CN101131842A (zh) 2006-08-21 2007-06-20 光盘驱动器以及控制其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9017A KR20080017185A (ko) 2006-08-21 2006-08-21 광디스크 드라이브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7185A true KR20080017185A (ko) 2008-02-26

Family

ID=38515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9017A KR20080017185A (ko) 2006-08-21 2006-08-21 광디스크 드라이브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80043582A1 (ko)
EP (1) EP1892710A1 (ko)
KR (1) KR20080017185A (ko)
CN (1) CN10113184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22516A (zh) * 2010-01-12 2011-07-13 建兴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用于吸入式光驱的进退片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9581A (ja) 1991-09-25 1993-04-09 Nikon Corp 情報記録、再生装置
JP2900726B2 (ja) 1992-09-25 1999-06-02 船井電機株式会社 ディスクプレイヤのローディング方法
JP3315034B2 (ja) * 1996-06-07 2002-08-19 ティアック株式会社 記録媒体再生装置
JPH10275393A (ja) 1997-03-31 1998-10-13 Nippon Columbia Co Ltd カートリッジ装着装置
JPH11259945A (ja) 1998-03-16 1999-09-24 Alps Electric Co Ltd ディスク装置
US7385877B2 (en) * 2001-11-13 2008-06-10 Sony Corporation Apparatus for transporting discoid record medium and apparatus for recording and/or reproduction
KR100427359B1 (ko) * 2002-02-25 2004-04-13 삼성전기주식회사 차량용 콤팩트디스크 플레이어의 로딩장치
KR100437111B1 (ko) * 2002-06-22 2004-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로딩장치
KR100568378B1 (ko) 2004-01-08 2006-04-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슬롯인 타입 디스크 드라이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92710A1 (en) 2008-02-27
US20080043582A1 (en) 2008-02-21
CN101131842A (zh) 2008-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71192B2 (ja) ディスクチェンジャ
US6256280B1 (en) Disk ejection device
US7334242B2 (en) Method and device for ejecting disc
JP4076543B2 (ja) ディスク記録媒体処理装置
KR20080017185A (ko) 광디스크 드라이브 및 그 제어방법
JP4311573B2 (ja) ディスク装置
KR100300378B1 (ko) 디스크장치
US8250592B2 (en) Optical disk apparatus
JP4361040B2 (ja) ディスク装置
KR20070013502A (ko) 광기록재생장치
JP4124364B2 (ja) 記録再生装置
JP4781468B2 (ja) ディスク再生装置
JP4076546B2 (ja) ディスク記録媒体処理装置
JP2011018389A (ja) ディスク装置
JP4076544B2 (ja) ディスク記録媒体処理装置
KR100499951B1 (ko) 광디스크 배출장치
JP4076545B2 (ja) ディスク記録媒体処理装置
US8881183B2 (en) Disc visible type disc drive apparatus
JPH11162067A (ja) 記録媒体搬送機構
KR100300606B1 (ko) 박형의 디스크 로딩 장치
JP4553205B2 (ja) ディスクの搬送異常検出方法
KR100266362B1 (ko) 디스크 이송장치
JP5140485B2 (ja) ディスク装置及びディスク装置の異常検知方法
JP2006236436A (ja) ディスク記録媒体処理装置
JP2006012252A (ja) ディスク装置およびその装置におけるディスク2枚同時挿入防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