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5743B1 - 디스크플레이어의디스크로딩/언로딩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크플레이어의디스크로딩/언로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5743B1
KR100265743B1 KR1019970082115A KR19970082115A KR100265743B1 KR 100265743 B1 KR100265743 B1 KR 100265743B1 KR 1019970082115 A KR1019970082115 A KR 1019970082115A KR 19970082115 A KR19970082115 A KR 19970082115A KR 100265743 B1 KR100265743 B1 KR 1002657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k
disc
contact member
loading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82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1825A (ko
Inventor
안철웅
이영표
박태원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82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5743B1/ko
Priority to JP10371440A priority patent/JP3021442B2/ja
Priority to US09/221,119 priority patent/US6449234B1/en
Publication of KR19990061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18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5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57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5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discs not contained within cartridges
    • G11B17/051Direct insertion, i.e. without external loading mea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22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 G11B17/028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45C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62DVDs [digital versatile discs]; Digital video discs; MMCDs; HDCDs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크플레이어의 디스크 로딩/언로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플레이어의 디스크 로딩/언로딩장치에 의하면, 디스크플레이어 본체에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일방향으로의 이동시에 디스크를 압압하여 클램핑위치로 이동시키는 제1접촉부재와, 디스크플레이어에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방향으로의 이동시 클램핑위치에 위치된 디스크를 압압하여 언로딩시키는 제2접촉부재와, 이 제1접촉부재와 제2접촉부재를 왕복이동시키기 수단에 의해 디스크의 로딩 및 언로딩이 행해질 수 있으므로, 디스크플레이어의 박형화 및 디스크의 보호 측면에서 유리하다.

Description

디스크플레이어의 디스크 로딩/언로딩장치{Disk loading/unloading apparatus for disk player}
본 발명은 디스크플레이어 본체 내로 삽입되는 디스크를 디스크플레이어 본체 내의 클램핑위치로 로딩시키거나 그 클램핑위치로부터 언로딩시키기 위한 디스크플레이어의 디스크 로딩/언로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크플레이어는 컴팩트 디스크(CD; compact disk)나 다기능 디지털 디스크(DVD; digital versatile disk) 등의 디스크에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디스크플레이어는 일반적으로, 그 디스크플레이어 본체 내로 로딩된 디스크가 놓여지는 턴테이블과, 그 턴테이블과 함께 디스크를 클램핑하는 척과, 상기 턴테이블과 척에 의해 클램핑된 디스크를 회전시키기 위한 스핀들모터와, 상기 스핀들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디스크로부터 정보를 읽어들이도록 그 디스크에 광빔을 조사하는 광픽업을 구비한다. 한편, 디스크플레이어는 디스크의 로딩방식이나 디스크의 종류 등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의 것으로 구별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디스크를 디스크플레이어 본체 내의 클램핑수단에 의해 클램핑될 수 있는 위치로 로딩시키는 방식에 따라 구별하면 크게 두가지로 나뉠 수 있다. 그 중의 하나는 본체 내외로 출입 가능하게 설치된 트레이에 의해 디스크를 로딩시키는 형태의 디스크플레이어이며, 다른 하나는 상술한 바와 같은 트레이를 마련하지 않고 본체에 마련된 디스크출입구를 통해 디스크를 직접 삽입하여 로딩되도록 하는 형태의 디스크플레이어이다.
상기 트레이가 없는 디스크플레이어의 경우에는, 디스크출입구를 통해 삽입된 디스크를 상기 클램핑위치까지 로딩시키거나 로딩되어 있는 디스크를 언로딩시키기 위한 디스크 로딩/언로딩장치가 마련된다. 이러한 디스크 로딩/언로딩장치로서, 종래에는 디스크플레이어 본체 내로 삽입되는 디스크의 양면에 각각 밀착되어 회전하면서 그 디스크와의 마찰에 의해 디스크를 이송시키는 한 쌍의 롤러를 포함하는 장치가 채용되었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은 디스크의 로딩/언로딩장치를 사용하게 되면, 소정직경의 롤러들이 디스크의 삽입방향에 대해 직각인 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되어야 하므로, 디스크플레이어의 박형화에 불리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롤러들이 디스크의 양면에 밀착되어 회전되면서 디스크를 이송시키도록 되어 있으므로, 그 롤러들과 디스크와의 마찰에 의해 디스크 표면의 기록층이 손상되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디스크 표면의 기록층에 접촉되지 않고도 디스크를 로딩/언로딩시킬 수 있으며 디스크플레이어의 박형화에 유리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디스크플레이어의 디스크 로딩/언로딩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로딩/언로딩장치가 채용된 디스크플레이어의 개략적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커버부위의 개략적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디스크플레이어의 개략적 평면도로서, 편의상 프런트패널은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도 4는 도 3의 Ⅳ-Ⅳ선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디스크가 제1위치로 삽입되고 제2위치로 로딩된 후 클램핑되기까지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Ⅸ-Ⅸ선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4...모터 15...랙
40...제1접촉부재 41...제1회동부재
50...제2접촉부재 51...제2회동부재
60...슬라이더 61...제1캠부
62...제2캠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플레이어의 디스크 로딩/언로딩장치는, 디스크플레이어 본체 내의 제1위치로 삽입되는 디스크를 디스크플레이어 본체 내의 클램핑수단에 의해 클램핑되는 제2위치로 로딩시키거나 상기 제2위치의 디스크를 상기 제1위치로 언로딩시키기 위한 것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플레이어 본체에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일방향으로의 이동시에 상기 제1위치에 위치된 디스크를 압압하여 상기 제2위치측으로 이동시키는 제1접촉부재; 상기 디스크플레이어에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방향으로의 이동시에 상기 제2위치에 위치된 디스크를 압압하여 상기 제1위치측으로 이동시키는 제2접촉부재; 상기 제1접촉부재 및 제2접촉부재를 왕복이동시키기 위한 접촉부재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로딩/언로딩장치를 구비한 디스크플레이어의 개략적 분리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커버 부위의 개략적 분리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디스크플레이어는 베이스(10)와 커버(20)와 프런트패널(30)을 포함하는 디스크플레이어 본체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베이스(10)에는 데크(11)가 힌지포인트(111)를 중심으로 시소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데크(11)에는 스핀들모터(12)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스핀들모터(12)의 출력축에는 턴테이블(13)이 고정되어 있다. 턴테이블(13)의 상부에는 자석(131)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 데크(11)에는 또한, 디스크의 정보를 읽어들이도록 디스크로 광빔을 조사하는 광픽업(135)이 턴테이블(13) 측으로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커버(20)는 베이스(10)의 상부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그 베이스(20)와 함께, 상기 턴테이블(13)이나 광픽업(135) 등과 같이 베이스(10)에 설치되는 부품을 보호함과 동시에 디스크의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싱 기능을 한다. 그리고, 상기 프런트패널(30)은 베이스(10)와 커버(20)에 의해 구성되는 케이싱의 전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그 케이싱 내외로 디스크가 출입될 수 있도록 디스크출입구(31)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커버(20)의 상면에는 디스크 삽입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가이드슬롯(201)이 형성되어 있다. 커버(20)에는, 상기 데크(11) 상의 턴테이블(13)과 대응되는 위치에, 턴테이블(13)과 함께 디스크를 클램핑하기 위한 척(21)이 상하방향으로 소정높이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척(2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20)의 하측에 위치되는 자성의 압압부(211)와, 커버(20)의 상측에 위치되며 나사(219) 등에 의해 압압부(211)에 고정되는 스토퍼부(212)를 포함한다.
커버(20)에는 또한, 한 쌍의 쐐기부재(25)가 각각 커버(20)에 고정되는 힌지축(251)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쐐기부재(25)들은 그들 중 어느 하나의 회동시에 다른 하나도 함께 회동되도록 서로 기어결합되어 있다. 각 쐐기부재(25)의 자유단부에는, 그 쐐기부재(25)의 회동에 따라 상기 척(21)의 스토퍼부(212)와 커버(20)의 사이로 진입되거나 또는 스토퍼부와 커버 사이로부터 후퇴 가능한 진입부(253)가 마련되어 있으며, 진입부(253)에는 상기 진입이 용이하게 행해질 수 있도록 경사부(254)가 마련되어 있다. 이 진입부(253)는 디스크가 로딩되기 전에는 척(21)의 스토퍼부(212)와 커버(20)의 사이로 진입됨으로써 척(21)의 하강을 방지한다. 커버(20)의 양측벽 내측에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26)이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디스크플레이어에는 상기 프런트패널(30)에 형성된 디스크출입구(31)를 통해 디스크플레이어 본체 내의 소정의 제1위치로 삽입된 디스크를 클램핑수단 즉 상기 턴테이블(13)과 척(21)에 의해 클램핑되는 제2위치로 로딩시키거나 제2위치의 디스크를 제1위치로 언로딩시키기 위한 디스크 로딩/언로딩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디스크 로딩/언로딩장치는, 한 쌍의 제1접촉부재(40)와, 하나의 제2접촉부재(50)와, 한 쌍의 가이드부재(22)와, 접촉부재 구동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제1접촉부재(40)들은 한 쌍의 제1회동부재(41)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상기 각 제1회동부재(41)는, 그 제1회동부재(41)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서 커버(20)에 고정되는 힌지축(411)을 중심으로 하여, 디스크의 로딩방향에 대해 나란한 평면상에서 회동 가능하게 커버(20)에 결합되어 있다. 각 제1접촉부재(40)는 대응되는 제1회동부재(41)의 자유단부에 위치되며 이에 따라 한 쌍의 제1접촉부재(40)는, 제1회동부재(41)들의 회동에 의해, 상호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1회동부재(41)들은 스프링(49)에 의해서 상기 제1접촉부재(40)들이 상호 접근되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된다.
상기 제2접촉부재(50)는 제2회동부재(51)에 고정되어 있다. 제2회동부재(51)는, 그 제2회동부재(51)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서 커버(20)에 고정되는 힌지축(511)을 중심으로 하여 디스크의 로딩방향에 대해 나란한 평면상에서 회동 가능하게 커버(20)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2접촉부재(50)는 제2회동부재(51)의 자유단부에 위치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제2접촉부재(50)는, 제2회동부재(51)의 회동에 의해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재(22)는 디스크의 로딩중에 그 디스크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서, 각 가이드부재(22)는 디스크 삽입방향(A)에 대해 직각인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가이드공(223)을 가진다. 각 가이드부재(22)는 가이드공(22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져서 커버(20)에 고정되는 가이드핀(221)들에 의해 커버(20)에 상호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 가이드부재(22)들에는 로딩되는 디스크의 양측 가장자리부가 각각 끼워질 수 있도록 된 가이드슬롯(222)이 디스크 삽입방향(A)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각 가이드부재(22)에는 또한 상방으로 돌출된 가이드핀(225)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접촉부재 구동수단은 상기 제1회동부재(40)들 및 제2회동부재(50)를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제1접촉부재(40)들 및 제2접촉부재(50)를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슬라이더(60)와, 모터(14)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슬라이더(60)는 디스크 삽입방향(A)으로 길게 형성된 가이드장공(601)과, 하방으로 돌출되어 커버(20)의 가이드슬롯(201)을 관통하는 결합돌기(605)를 구비하고 있다. 이 슬라이더(60)는, 가이드장공(60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져서 커버(20)에 고정되는 가이드핀(602)에 의해, 디스크 삽입방향(A) 및 그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커버(20)에 결합된다. 슬라이더(60)에는 또한, 제1캠부(61)들과 제2캠부(62)와 제3캠부(63)들 및 제4캠부(64)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각 제1캠부(61)에는 나사(414)에 의해 각 제1회동부재(41)에 각각 지지되는 제1가이드핀(415)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속되어 있다. 각 제1캠부(61)는, 슬라이더(60)가 슬라이딩되는 도중에 상기 제1가이드핀(415)들이 위치이동될 수 있도록 디스크 삽입방향(A)에 대해 경사진 경사부(611)를 가진다. 각 제1캠부(61)는 또한, 상기 삽입방향(A)에 대해 상기 경사부(611)와는 다른 방향으로 경사진 보조 경사부(612)를 가진다.
상기 제2캠부(62)에는 나사(514)에 의해 제2회동부재(51)에 지지되는 제2가이드핀(515)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속되어 있다. 제2캠부(62)는, 슬라이더(60)가 슬라이딩되는 도중에 상기 제2가이드핀(515)이 위치이동될 수 있도록 디스크 삽입방향(A)에 대해 경사진 경사부(621)와 보조 경사부(622)를 가진다.
상기 각 제3캠부(63)에는 상기 각 쐐기부재(25)에 각각 고정된 가이드핀(255)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속되어 있다. 각 제3캠부(63)는, 슬라이더(60)가 슬라이딩되는 도중에 상기 쐐기부재(25)들의 가이드핀(255)들이 위치이동될 수 있도록 디스크 삽입방향(A)에 대해 경사진 경사부(631)를 가진다.
상기 각 제4캠부(64)에는 각 가이드부재(22)에 각각 형성된 가이드핀(225)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속되어 있다. 각 제4캠부(64)는, 슬라이더(60)가 슬라이딩되는 도중에 상기 가이드부재(22)들의 가이드핀(225)들이 위치이동될 수 있도록 디스크 삽입방향(A)에 대해 경사진 경사부(641)를 가진다.
상기 모터(14)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0)에 설치되어 있으며, 그 모터(14)의 출력축은 풀리(141)와 벨트(142)를 통해 워엄(143)과 연결되어 있다. 워엄(143)에는 워엄기어(144)가 맞물려 있으며, 워엄기어(144)는 피니언(145)과 기어연결되어 있다. 피니언(145)에는 베이스(10)에 디스크의 삽입방향(A) 및 그 반대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랙(15)이 맞물려 있으며, 이 랙(15)에는 상기 슬라이더(60)의 결합돌기(605)와 결합되는 결합공(151)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모터(14)의 작동시에 그 회전력이 풀리(141)와 벨트(142) 및 워엄(143)과 워엄기어(144)를 통해 피니언(145)에 전달되고, 그 피니언(145)의 회전에 랙(15)이 왕복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랙(15)의 왕복이동시에 그 랙(15)의 결합공(151)에 결합된 결합돌기(605)를 통해 슬라이더(60)가 디스크 삽입방향(A) 및 그 반대방향으로 왕복 슬라이딩되게 된다.
이러한 디스크 로딩/언로딩장치를 가지는 디스크플레이어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패널(30)의 디스크출입구(31)를 통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1)를 삽입하게 되면, 그 디스크(1)의 삽입방향(A)의 전단부 외주면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접촉부재(40)들에 접촉되게 된다. 이 때 척(2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쐐기부재(25)들의 진입부(253)들이 척(21)의 스토퍼부(212)와 커버(20) 사이로 진입되어 있음으로 인하여, 상승되어 있다. 그리고, 가이드부재(22)들은 로딩될 디스크(1)의 양측 가장자리부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호 접근되어 있다.
디스크(1)의 삽입방향(A)의 전단부 외주면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접촉부재(40)들에 접촉되어 있는 상태에서 그 디스크(1)에 삽입방향(A)으로의 힘을 계속 가하면 제1접촉부재(40)들에는 디스크(1)에 의해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의 힘이 전달된다. 이 힘에 의해 제1회동부재(41)들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접촉부재(40)들이 상호 이격되어 디스크(1)의 삽입을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위치될 때까지, 힌지축(411)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회동부재(41)들이 회동되는 동안 스프링(49)은 인장되면서 복원력을 지니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디스크(1)를 약간 더 삽입시켜 두면, 상기 인장되어 있던 스프링(49)의 복원력에 의해, 제1회동부재(41)들은 제1접촉부재(40)들이 상호 접근되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회동부재(41)들에 고정된 제1접촉부재(40)들은 디스크의 삽입방향(A)의 후단부 외주면을 압압하면서 그 디스크(1)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위치로 삽입시키게 된다. 이처럼 디스크(1)가 제1위치에 삽입된 상태에서, 스프링(49)에 의해 디스크(1)의 후단부에는 제1접촉부재(40)들이 탄력적으로 밀착되고 전단부에는 제2접촉부재(50)가 탄력적으로 밀착됨으로써 디스크(1)는 그 제1위치에 수용된 상태로 지지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위치에 지지되어 있는 디스크(1)의 정보를 재생하기 위하여는 그 디스크(1)를 턴테이블(13)과 척(21)에 의해 클램핑되는 제2위치까지 로딩시켜야 하는데, 이하 본 실시예의 디스크 로딩/언로딩장치에 의해 상기 제1위치의 디스크(1)가 상기 제2위치로 로딩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1)가 제1위치에 수용 지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모터(14; 도 1 참조)에 의해 상기 랙(15)을 디스크 삽입방향(A)으로 이동시키면, 랙(15)의 결합공(151)에 결합된 결합돌기(605)와 그 결합돌기(605)가 고정되어 있는 슬라이더(60)가 디스크 삽입방향(A)을 따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된다. 이와 같이 슬라이더(60)가 슬라이딩되는 도중에, 슬라이더(60)의 제1캠부(61)에 구속된 제1가이드핀(415)들은 그 제1캠부(61)의 경사부(611)에 의해 상호 접근되는 방향으로 위치이동된다. 이와 같이 제1가이드핀(415)들이 위치이동되는 과정에서, 그 제1가이드핀(415)들을 각각 지지하는 제1회동부재(41)들이 힌지축(411)을 중심으로 하여 상호 접근되는 방향으로 회동되고, 그 회동에 의해 제1접촉부재(40)들도 상호 접근되는 방향으로 이동되게 된다. 이처럼 상호 접근되는 제1접촉부재(40)들은 디스크(1)의 후단부 외주면에 대해 슬라이딩되면서 디스크(1)를 디스크 삽입방향(A)으로 압압하여 그 디스크(1)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2위치 즉, 그 중심이 척(21)의 중심과 일치되는 클램핑위치로 로딩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제1접촉부재(40)들에 의해 디스크(1)가 제2위치로 로딩되는 동안, 상기 제2가이드핀(515)이 제2캠부(42)의 경사부(421)에 의해 위치이동되면서 제2회동부재(51)를 힌지축(511)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시킴으로써, 그 제2회동부재(51)에 고정된 제2접촉부재(50)를 디스크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접촉부재(40)들에 의해 디스크(1)가 제2위치측으로 로딩되는 도중에 제2접촉부재(50)는 디스크(1)의 로딩에 간섭되지 않게 된다.
본 실시예의 디스크 로딩/언로딩장치를 채용한 디스크플레이어에 있어서는, 디스크(1)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위치로 로딩된 후에도 슬라이더(60)는 상기 모터(14)에 의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까지 상기 디스크 삽입방향(A)으로 계속 슬라이딩된다.
이처럼 슬라이더(60)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1)의 로딩이 완료되는 위치로부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까지 이동되는 과정에서, 제1가이드핀(415)들은 제1캠부(61)의 보조경사부(612)에 의해 다시 로딩과정에 있어서와는 반대방향으로 위치이동되고, 이에 따라 제1회동부재(41)들이 회전되면서 제1접촉부재들(40)을 디스크(1)로부터 이격시키게 된다. 그리고, 제2가이드핀(515)은 제2캠부(62)의 보조경사부(622)에 의해 다시 로딩과정에 있어서와 동일한 방향으로 위치이동되고, 이에 따라 제2회동부재(51)가 회전되면서 제2접촉부재(50)를 디스크(1)로부터 이격시키게 된다. 또한, 슬라이더(60)의 제4캠부(64)들에 구속된 가이드핀(225)들이 그 제4캠부(64)의 경사부(641)에 의해 위치이동됨으로써 가이드부재(22)들은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게 되고, 이에 따라 그 양측 가장자리부가 가이드부재(22)들에 각각 지지되어 있던 디스크(1)는 그 가이드부재(22)들과의 결합이 해제되게 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디스크(1)가 로딩되는 동안에는 가이드부재(22)들이 상호 접근되어 로딩되는 디스크(1)의 양측 가장자리부를 가이드하도록 하고, 로딩이 완료된 후 가이드부재(22)들이 상호 이격되어 상기 로딩되어 있는 디스크(1)와의 간섭이 해지되도록 구성하면, 각 가이드부재(22)의 가이드슬롯(222; 도 2참조)의 높이를 크게 하지 않더라도 후술하는 디스크의 척킹에 따르는 디스크(1)의 상하유동에 간섭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슬라이더(60)의 제3캠부(63)들에 구속된 가이드핀(255)들이 그 제3캠부(63)의 경사부(631)에 의해 위치이동됨으로써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쐐기부재(25)는 그 진입부(253)들이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동된다. 이에 따라 진입부(253)들이 척(21)의 스토퍼부(212)와 커버(20) 사이로부터 빠져 나오게 되어 척(21)은 상하유동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디스크(1)가 로딩되기 전에는 척(21)이 상승되어 있도록 하고, 로딩이 완료된 후 척(21)이 하강될 수 있도록 구성하면, 로딩중에 척(21)이 자중에 의해 하강되어 있음에 기인하는 디스크(1)와 척(21)간의 간섭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데크(11; 도 1 참조)가 힌지포인트(111)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턴테이블(13)이 상승하게 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딩되어 있는 디스크(1)의 하면이 턴테이블(13)에 접촉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척(21)이 턴테이블(13)에 고정된 자석(131)의 자력에 의해 디스크(1)의 상면에 밀착되면서, 그 디스크(1)를 턴테이블(13)에 눌러붙임으로써, 턴테이블(13)과 함께 디스크(1)를 클램핑하게 된다. 클램핑된 디스크(1)는 스핀들모터(12; 도 1 참조)의 회전에 의해 스핀들모터 및 척과 함께 회전되며, 상기 광픽업(135)에 의해 그 디스크(1)의 정보가 읽혀지게 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1)가 제2위치로 로딩된 상태에서, 상기 모터(14)가 반대로 작동하게 되면 슬라이더(60)는 상기 로딩방향과는 반대인 언로딩방향으로 슬라이딩되게 된다. 이처럼 슬라이더(60)가 도 7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언로딩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과정에서, 슬라이더(60)의 제2캠부(62)에 구속된 제2가이드핀(515)은 그 제2캠부(62)의 경사부(621)에 의해 위치이동되면서 제2회동부재(51)를 회동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그 제2회동부재(51)에 고정된 제2접촉부재(50)는 디스크(1)의 삽입방향(A)의 전단부 외주면에 접촉된 상태로 슬라이딩되면서 그 디스크(1)를 상기 제1위치 측으로 압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2접촉부재(51)에 의해 디스크(1)가 제1위치 측으로 압압되는 동안, 상기 제1가이드핀들(415)이 슬라이더(60)의 제1캠부(61)의 경사부(611)에 의해 위치이동되면서 제1회동부재(41)들을 회동시킴으로써, 제1회동부재(41)들에 고정된 제1접촉부재(40)들을 상호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제2접촉부재(50)에 의해 제1위치 측으로 압압되는 디스크(1)는 상기 제1접촉부재(40)들에 간섭되지 않고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위치로 언로딩되게 된다.
이처럼, 본 실시예의 디스크플레이어의 디스크 로딩/언로딩장치는, 제1위치에 위치되어 있는 디스크를 압압하여 제2위치로 이동시키는 제1접촉부재와, 제2위치에 위치되어 있는 디스크를 압압하여 제1위치로 이동시키는 제2접촉부재와, 이 제1접촉부재와 제2접촉부재를 왕복이동시키기 접촉부재 구동수단에 의해 디스크의 로딩 및 언로딩이 행해질 수 있다. 따라서, 제1회동부재(41)들과 제2회동부재(51)와 슬라이더(60) 등을 얇은 금속판을 사용하여 제조하거나 또는 얇게 플라스틱 사출성형하여 사용하게 되면, 종래 디스크 로딩/언로딩장치의 문제점 즉 소정직경의 롤러들이 디스크의 삽입방향에 대해 직각인 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되어야 함에 따라 박형의 디스크플레이어를 얻는데 불리하다는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크의 로딩/언로딩을 위한 구성요소가 디스크의 기록면에 접촉되지 않더라도 디스크를 로딩/언로딩시킬 수 있으므로, 디스크의 기록면의 손상이 예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접촉부재들(40,50)이 각각 커버(2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회동부재들(41,51)에 고정되며, 그 회동부재들(41,51)의 회동에 의해 접촉부재들(40,50)이 위치 이동되는 것으로 설명 및 도시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접촉부재들이 직선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판상의 부재들에 고정되어서 그 부재들의 직선이동에 의해 위치이동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그 외에도 접촉부재들을 커버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수단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에 형성된 제1캠부 및 제2캠부의 형상은 도시된 상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회동부재의 배치상태 등에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플레이어의 디스크 로딩/언로딩장치에 의하면, 디스크플레이어 본체에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일방향으로의 이동시에 디스크를 압압하여 클램핑위치로 이동시키는 제1접촉부재와, 디스크플레이어에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방향으로의 이동시 클램핑위치에 위치된 디스크를 압압하여 언로딩시키는 제2접촉부재와, 이 제1접촉부재와 제2접촉부재를 왕복이동시키기 수단에 의해 디스크의 로딩 및 언로딩이 행해질 수 있으므로, 디스크플레이어의 박형화 및 디스크의 보호 측면에서 유리하다.

Claims (4)

  1. 디스크플레이어 본체 내의 제1위치로 삽입되는 디스크를 디스크플레이어 본체 내의 클램핑수단에 의해 클램핑되는 제2위치로 로딩시키거나 상기 제2위치의 디스크를 상기 제1위치로 언로딩시키기 위한 디스크플레이어의 디스크 로딩/언로딩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플레이어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회동부재;
    상기 제1회동부재의 자유단부에 설치되어 그 제1회동부재의 왕복회동에 의해 상기 디스크플레이어 본체에 대해 왕복이동되며, 일방향으로의 이동시에 상기 제1위치에 위치된 디스크를 압압하여 상기 제2위치측으로 이동시키는 제1접촉부재;
    상기 디스크플레이어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회동부재;
    상기 제2회동부재의 자유단부에 설치되어 그 제2회동부재의 왕복회동에 의해 상기 디스크플레이어 본체에 대해 왕복이동되며, 일방향으로의 이동시에 상기 제2위치에 위치된 디스크를 압압하여 상기 제1위치측으로 이동시키는 제2접촉부재; 및
    상기 제1접촉부재 및 제2접촉부재를 왕복이동시키기 위한 접촉부재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디스크플레이어의 디스크 로딩/언로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촉부재 및 제2접촉부재는 상기 디스크의 로딩방향과 나란한 평면상에서 왕복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플레이어의 디스크 로딩/언로딩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재 구동수단은:
    상기 디스크플레이어 본체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슬라이딩시에 상기 제1접촉부재 및 제2접촉부재가 이동되도록, 상기 제1접촉부재와 결합되는 제1캠부 및 상기 제2접촉부재와 결합되는 제2캠부를 가지는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를 슬라이딩시키기 위한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플레이어의 디스크 로딩/언로딩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의 이동시에 그 디스크의 양측 가장자리부를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디스크플레이어 본체에 마련되는 가이드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플레이어의 디스크 로딩/언로딩장치.
KR1019970082115A 1997-12-31 1997-12-31 디스크플레이어의디스크로딩/언로딩장치 KR1002657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82115A KR100265743B1 (ko) 1997-12-31 1997-12-31 디스크플레이어의디스크로딩/언로딩장치
JP10371440A JP3021442B2 (ja) 1997-12-31 1998-12-25 ディスクプレ―ヤ―
US09/221,119 US6449234B1 (en) 1997-12-31 1998-12-28 Disk player loading a disk with improved insertion and load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82115A KR100265743B1 (ko) 1997-12-31 1997-12-31 디스크플레이어의디스크로딩/언로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1825A KR19990061825A (ko) 1999-07-26
KR100265743B1 true KR100265743B1 (ko) 2000-09-15

Family

ID=19530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82115A KR100265743B1 (ko) 1997-12-31 1997-12-31 디스크플레이어의디스크로딩/언로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574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64551A (en) * 1985-10-07 1989-09-05 Pioneer Electronic Corporation Multi-disk player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64551A (en) * 1985-10-07 1989-09-05 Pioneer Electronic Corporation Multi-disk player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1825A (ko) 1999-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3932B1 (ko) 광 디스크 장치용 픽업 이송 장치
US6449234B1 (en) Disk player loading a disk with improved insertion and loading
US6314073B2 (en) Disc drive apparatus with insertion error inhibit means for recording media having different structures
JPH11259945A (ja) ディスク装置
US7194746B2 (en) Tray device mechanism for optical disc apparatus
US6388974B1 (en) Recording medium driving apparatus
US7467395B2 (en) Disc drive device
KR100265743B1 (ko) 디스크플레이어의디스크로딩/언로딩장치
KR100188950B1 (ko) 디스크 플레이어
US6345030B1 (en) Disk apparatus
KR100461296B1 (ko)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로딩장치
KR100252128B1 (ko) 디스크플레이어의 디스크 클램핑 장치
US6556519B1 (en) Disk charger with circular disk housing and centrally arranged playback unit
KR100300620B1 (ko) 기록매체반송기구
KR20050009375A (ko) 광디스크 드라이브
KR19980085123A (ko) 광 디스크 장치
JP3673364B2 (ja) ピックアップユニット装置
KR100252127B1 (ko) 디스크플레이어의 디스크 지지장치
KR100290759B1 (ko) 정보기록및/또는재생장치
KR100252125B1 (ko) 디스크플레이어의 디스크 가이드장치
JP2656348B2 (ja) 記録円盤再生装置
JP4328315B2 (ja) 搬送装置、および、ディスク装置
JP3695073B2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KR100564536B1 (ko) 디스크플레이어
JPH0621072Y2 (ja) ディスクプレー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2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