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9544B1 - 피키아속신균주에의한에리쓰리톨의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피키아속신균주에의한에리쓰리톨의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9544B1
KR100299544B1 KR1019980037486A KR19980037486A KR100299544B1 KR 100299544 B1 KR100299544 B1 KR 100299544B1 KR 1019980037486 A KR1019980037486 A KR 1019980037486A KR 19980037486 A KR19980037486 A KR 19980037486A KR 100299544 B1 KR100299544 B1 KR 1002995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ucose
erythritol
concentration
medium
o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7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9404A (ko
Inventor
김상용
오덕근
정수련
Original Assignee
정수련
주식회사 바이오앤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수련, 주식회사 바이오앤진 filed Critical 정수련
Priority to KR1019980037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9544B1/ko
Publication of KR20000019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94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9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95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5Bacterial is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7/00Preparation of oxy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C12P7/02Preparation of oxy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hydroxy group
    • C12P7/04Preparation of oxy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hydroxy group acyclic
    • C12P7/18Preparation of oxy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hydroxy group acyclic polyhydric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키아 (Pichia) 속 신균주 (기탁번호 KCCM-10129호)를 이용하여 포도당 10∼50%, 효모추출물 0.2∼3.0%, 염화나트륨 0∼5%, 염화칼륨 0∼5%를 함유하는 배지에서 배양과정 중에 포도당, 효모추출물과 염화나트륨 또는 염화칼륨을 간헐적 또는 연속적으로 첨가하여 삼투압을 조절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수율, 고생산성의 에리쓰리톨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피키아 속 신균주에 의한 에리쓰리톨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에리쓰리톨(erythritol)의 수율과 생산성이 높은 피키아 속 신균주(한국미생물보존협회 기탁번호 KCCM-10129호로 기탁)를 이용하여 포도당이 함유된 배지로부터 배지의 삼투압을 조절하여 에리쓰리톨을 얻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탄당 알코올인 에리쓰리톨은 올리고당이나 자일리톨과 더불어 대표적인 기능성 감미료로 자연계에 광범위하게 존재하고 있으며, 해초류와 버섯류의 저장물질이고, 멜론, 포도, 배 등과 같은 과실류에도 함유되고 있다. 에리쓰리톨은 세균과 효모 등 미생물에 의해서도 생산되므로 포도주나 맥주, 된장 등의 발효식품에서도 검출된다.
에리쓰리톨은 설탕의 70∼80%의 당도를 가지고 용해될 때 열 감소가 일어나는 특성으로 인하여 입안에서 느끼는 청량감이 크고 용해도가 낮아 결정성이 부여되며 이러한 성질들로 인하여 청량감과 결정성이 필수적인 캔디 등의 제과제품의 무설탕 원료로 사용되고 있다. 에리쓰리톨은 저 칼로리 감미료로 체내에서 에너지원으로 이용되지 않고 소변으로 대부분 배출되며, 충치균에 의해서 이용되지 않기 때문에 충치 예방효과도 가지고 있다.
에리쓰리톨은 저분자 물질이므로 어는점 강하와 끊는점 상승을 시킬뿐 아니라 삼투압을 증가시키는 물질이다. 저 흡습성 물질과 저 점도물질과 같이 사용하면 식품의 수분 활성도의 감소와 조절에 매우 용이하다.
에리쓰리톨의 생산에는 추출법, 화학합성법 및 발효법이 있다. 이중 추출법은 과일이나 채소 등의 자연상태에서 극히 미량으로만 존재하기 때문에 산업적으로 경제성이 없다. 화학합성법은 원료물질이 고가이기 때문에 경제성이 없어 대량생산에 이용되고 있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발효법은 화학합성법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방안으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발효법에 의한 에리쓰리톨의 생산은 주로 효모에 의해서 일어나고 지금까지 보고된 효모는 토룰롭시스(Torulopsis)속의 마그놀리애(magnoliae), 베라틸리스(veratilis) 및 캔디다(candida) ; 엔도마이콥시스 초다티(Endomycopsis chodati) ; 한세눌라 수펠리쿨사(Hansenula supelliculsa); 피키아 미조(Pichia miso); 몬닐리엘라 토멘토사 바 폴린리스(Monilliella tomentosa var. pollinis) ; 트리고놉시스 배리아빌리스(Trigonopsis variabilis) ; 트리코스포로노이데스(Trichos- poronoides) ; 캔디다 제일라노이데스(Candida zeylanoides) ; 와 오레오바시디움(Aureobasidium)이 있다. 루코노스톡 오에노스(Leuconostoc oenos)와 같은 세균도 에리쓰리톨을 생산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이 중 몬닐리엘라 토멘토사 바 폴린리스는 포도당으로부터 41%라는 고수율로 에리쓰리톨을 생산하였지만 글리세롤, 리비톨이 부산물로 많이 생성되기 때문에 공업화에는 이르지 못했다.
또한, 공업적 생산에 이용되고 있는 균주로는 오레오바시디움이 있는데 이 균주는 일본의 농림수산성 식품종합연구소와 일연화학의 공동연구에 의하여 분리 동정되었다. 자연에서 분리한 오레오바시디움 야생균주는 에리쓰리톨 생산성과 내당성에 있어서도 만족할만하지 못했지만 이 균주를 돌연변이시켜 생산성과 내당성의 향상된 돌연변이주를 얻을 수 있었다. 이 변이주는 포화 포도당 농도(83.3%)에서도 발효가 가능하고 포도당 농도 40∼50%에서 2 g/L-h의 에리쓰리톨 생성속도를 보였다. 또한, 포도당으로부터 에리쓰리톨의 수율이 45%(w/w)로 높은 수준이었으며 부산물로는 소량의 글리세롤을 생성하였다.
대부분의 당알코올 생산 균주들이 삼투압이 높은 환경(높은 당 농도나 높은 염농도)하에서 생장할 수 있다는 사실이 알려져 있으며, 따라서 당알코올의 생산이 미생물의 생장 삼투압과 관련되어 있다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 실제로 리드 등은 글리세롤 생산균주을 삼투압이 높은 환경에서 배양하여 글리세롤의 생산성을 증가시켰다(Appl. Environ. Microbiol., 53, 2119-2123, 1987).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부산물을 생산하지 않고 에리쓰리톨만 생산하는 장점을 지닌 피키아 속 미생물을 포도당 용액 배지로부터 분리하고 돌연변이 시킨 결과 높은 에리쓰리톨의 수율과 생산성을 나타내어, 이 신균주를 에리쓰리톨 생산에 사용하였다. 또한, 신균주를 배양과정 중에 배지내의 삼투압을 조절하면 고수율, 고생산성의 에리쓰리톨이 생산됨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피키아 속(Pichia sp.) 신균주(기탁번호 KCCM-10129호)를 YM 배지에서 종배양시키고, 포도당 10∼50%, 효모추출물 0.2∼3.0%, 염화나트륨 0∼5%, 염화칼륨 0∼5%를 함유하는 에리쓰리톨 생산 배지에서 pH를 4.5∼6.5, 배양온도를 27∼33℃로 배양하면서 삼투압을 조절시킴을 특징으로하는 고수율, 고생산성의 에리쓰리톨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때 배양과정 중에 0.2∼0.7 Osm/kg의 저삼투압 조건에서 미생물을 성장시킨 후 0.8∼1.0 Osm/kg의 고삼투압 조건으로 변화시키는 2단계 배양법을 사용함 특징으로 하고, 배지내의 0.8∼1.0 Osm/kg의 삼투압 조건을 유지시키기 위하여 발효배지 내에 포도당과 염화나트륨 또는 염화칼륨을 연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첨가하여 포도당의 농도를 8∼16%, 염화나트륨의 농도를 0∼5% 및 염화칼륨의 농도를 0∼5%로 유지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에리쓰리톨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하여 포도당의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포도당과 함께 염화나트륨 또는 염화칼륨을 함께 첨가함을 특징으로 하며, 에리쓰리톨을 생산하는 피키아 속(Pichia sp.) 신균주 (KCCM-10129호) 역시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신균주 피키아 속 미생물의 분리방법은 다음과 같다.
20% 포도당을 함유하고 있는 에리쓰리톨 생산배지에 24시간 동안 배양한 액을 3,000×g로 20분간 원심분리한 후 0.1M 구연산 완충액(pH 5.5)를 첨가하여 2회 세척하였다. 세척된 균체를 0.1M 구연산 완충액(pH 5.5)로 희석하여 균체의 농도가 108정도가 되게 하였다. 이 용액에 N-메틸-N'-니트로-N-니트로소구아니딘(N-methyl -N'-nitro-N-nitrosoguanidine)을 첨가하여 최종농도가 100 μg/mL로 되게 만들어 30분간 처리하였다. 0.1M 인산 완충액(pH 7.0)으로 두번 세척한 후 포도당 40%, 효모 추출물 0.5%, 아가(agar) 1.5 %가 포함된 평판을 이용하여 30℃에서 빨리 자라는 균주들을 중심으로 단일 군락(single colony)을 선별하였고 이들 선별된 균주들을 포도당 20%, 효모추출물 2.0%로 구성된 배지가 50 mL 함유된 250 mL의 플라스크에 접종하여 진탕배양기에서 240 rpm, 30℃로 72시간 배양 후에 에리쓰리톨을 가장 많이 생산하는 균을 최종적으로 선별하였다.
선별된 균주는 미국의 균주동정회사인 MicroCheck Inc.에 의뢰하여 피키아 속으로 밝혀졌으며 이 균주를 1998년 6월 12일 한국미생물보존협회에 기탁번호 KCCM-10129호로 국제 기탁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신균주의 균학적 성질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성장배지로는 포도당 0.8∼1.2%, 펩톤 0.4∼0.6%, 효모추출물 0.2∼0.4%, 맥아추출물 0.2∼0.4%로 구성된 YM 배지를 사용하였고, 발효배지로는 탄소원으로 포도당을 사용하였고 배지내의 포도당 농도는 실험목적에 따라 조절하였다. 질소원으로 효모 추출물 사용하였고 배지 내의 농도는 2.0%로 하였고 KH2PO4와 MgSO4·7H2O가 각각 0.5%와 0.02%로 함유되어 있다.
종배양은 냉동 보관된 균주를 YM 배지 50 mL가 들어있는 250 mL의 플라스크에 접종하여 진탕배양기에서 230∼250 rpm, 27∼33℃로 24시간 동안 수행하였다. 본 배양은 플라스크 배양의 경우는 YM 배지 50 mL가 들어있는 250 mL의 플라스크에 접종하여 진탕배양기에서 230∼250 rpm, 27∼33℃로 100시간 동안 수행하였고, 발효조 배양의 경우는 5 L 발효조(한국발효기(주))를 사용하여 회분식 배양과 유가식 배양을 수행하였다. 회분식 배양에서는 포도당이 함유된 배지부피가 3 L 이었고 발효과정 중에 교반속도는 용존산소가 고갈되지 않는 범위에서 300 내지 1,200 rpm으로 조절하였고 통기량은 0.2 내지 1.0 vvm으로 조절하였다. pH는 발효 전 과정 동안 5.5로 조절하였고 배양온도는 30℃이었다.
유가식 배양에서 발효조건은 회분식 배양과 동일하였으며, 유지되는 포도당 농도의 에리쓰리톨에 대한 효과는 총 첨가된 포도당이 40%가 되게하여 살펴보았다. 배양액의 부피는 144∼288 g의 포도당이 포함된 1.8L에서 912∼1056 g 포도당이 포함된 1.2L 용액을 연속적으로 추가하여 1200 g의 포도당이 포함된 3.0L로 증가시켰다. 포도당의 농도를 조절하는 것은 추가 용액의 펌프의 속도로 효과적으로 할 수 있었고 그 농도는 7.0∼9.0%, 9.0∼11.0%, 11.0∼13.0%, 13.0∼15.0%, 15.0∼17.0%의 범위 안에서 변화하여 각각에 대하여 8.0%, 10.0%, 12.0%, 14.0%, 16.0%의 조절된 포도당의 농도로 정하였다.
최대 생산성을 얻은 유가식 배양에서는 배지부피가 초기배지 1.8 L에서 추가배지 1.2 L를 20시간부터 공급하여 최종적으로 3 L가 되었다. 초기배지는 포도당 180 g, 효모추출물 80 g, KH2PO415 g 및 MgSO4·7H2O 0.6 g이었고 추가배지는 포도당 1020 g과 NaCl 60 g이었다.
에리쓰리톨의 농도는 탄수화물 분석칼럼(Carbohydrate analysis column, Waters, USA)이 장착된 HPLC(Shimadzu C-R6A, Japan)의 Refractive Index Detector (Shimadzu RID-6A, Japan)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이때, 용매는 아세토니트릴(acetonitrile)과 물을 8대 2로 섞어 사용하였고, 칼럼 온도는 35℃이고, 유속은 1.5 mL/min이었다. 균체농도는 분광계를 이용하여 600nm에서 현탁도를 측정하여 미리 측정한 표준곡선을 이용하여 건조중량으로 전환하였다. 포도당의 농도는 포도당 산화효소(영동제약, 한국)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균체의 비 성장속도(specific growth rate of cell)는 균체농도의 로그값을 시간에 따른 기울기로부터 구하였고 산물의 비 생산속도(specific production rate of product)는 시간에 따른 산물의 증가의 기울기를 평균 균체농도로 나누어 구하였다. 용존산소의 농도는 Ingold사(Swiss, polarographic type)의 용존산소 전극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배지의 삼투압은 빙점 강하를 이용하여 삼투압을 측정하는 Osmometer A0300 (Knauer Co., Germany)으로 측정하였다. 0.4 Osm/kg 표준액으로는 12,687g/kg H2O 농도의 NaCl 용액을 사용하였으며, 시료는 0.4 Osm/kg이하가 되도록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따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와같은 실시예들로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종 배양 : 돌연변이를 통하여 선별된 피키아 속 KCCM-10129호를 YM 배지 50 mL가 들어있는 250 mL 플라스크에 접종하여 240 rpm, 30℃로 24시간 배양하였다.
본 배양 : 종 배양액을 발효배지 3 L가 함유된 5 L 발효조에 접종한 후, 교반속도는 용존산소가 고갈되지 않는 범위에서 300에서 1,200 rpm으로 조절하였고 통기량은 0.2에서 1.0 vvm으로 조절하였다. pH는 발효 전 과정 동안 5.5로 조절하였고 배양온도는 30℃이었다. 이때, 배지성분은 포도당, 효모추출물 2.0%이었고KH2PO4와 MgSO4·7H2O가 각각 0.5%와 0.02%로 함유되었다. 초기 포도당 농도에 따른 에리쓰리톨의 생산을 살펴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이때, 수율은 소비된 포도당에 대한 것이다.
피키아 속 변이주를 이용하여 5 L 발효조에서 초기 포도당 농도에 따른 에리쓰리톨의 생성
포도당 농도(%) 삼투압(Osm/kg) 배양시간(시간) 수율(%) 잔존 포도당(%)
10 0.52 40 30.0 0
15 0.79 54 38.5 0
20 0.99 66 44.3 0
25 1.31 78 48.2 0
30 1.56 90 52.8 0
35 1.80 120 42.8 2.7
40 2.08 160 27.2 8.9
(실시예 2)
배양방법은 실시예 1과 같고, 본 배양에서 발효배지는 포도당 15% 효모추출물 2.0%이었고 KH2PO4와 MgSO4·7H2O가 각각 0.5%와 0.02%로 함유되었다. KCl으로 하여 이 중 KCl의 농도를 변화시켜 60시간 동안 배양한 결과를 표 2에 표시하였다.
5 L 발효조에서 KCl의 농도에 따른 에리쓰리톨의 생성
KCl 농도(M) 삼투압(Osm/kg) 수율(%) 잔존 포도당(%)
0.00 0.79 38.5 0
0.27 1.07 45.0 0
0.48 1.38 48.5 0
0.62 1.66 53.7 0
0.69 1.82 42.2 0.5
0.84 2.08 28.8 1.5
(실시예 3)
배양방법은 실시예 1과 같고, 본 배양에서 발효배지는 포도당 15% 효모추출물 0.5%이었고 KH2PO4와 MgSO4·7H2O가 각각 0.5%와 0.02%로 함유되었다. NaCl으로 하여 이 중 NaCl의 농도를 변화시켜 60시간 동안 배양한 결과를 표 4에 표시하였다.
5 L 발효조에서 NaCl의 농도에 따른 에리쓰리톨의 생성
NaCl 농도(M) 삼투압(Osm/kg) 수율(%) 잔존 포도당(%)
0.00 0.79 38.5 0
0.27 1.07 36.2 0
0.47 1.37 48.6 0
0.61 1.64 53.7 0.3
0.68 1.80 45.2 1.2
0.82 2.06 27.8 1.9
(실시예 4)
5L 발효조에서 배양온도를 30℃로 하여 여러 pH별 실험을 수행하였다. 포도당 15% 효모추출물 2.0%이었고 KH2PO4와 MgSO4·7H2O가 각각 0.5%와 0.02%로 구성된 3L 발효배지를 사용하였다. 통기량은 0.2∼1.0 vvm이었고 교반속도는 용존산소가 고갈되지 않는 범위에서 300∼1200rpm으로 조절하여 pH를 변화시켜 4일간 배양한 결과를 표 4에 표시하였다.
5 L 발효조에서 pH에 따른 에리쓰리톨의 생성
pH 수율(%) 잔존포도당(%)
3.5 30.4 1.7
4.5 36.6 0.0
5.5 38.5 0.0
6.5 34.7 0.4
7.5 28.2 0.8
8.5 25.5 1.8
(실시예 5)
배양 방법과 발효배지는 실시예 4와 같고 pH 5.5에서 온도를 변화시켜 4 일간 배양한 결과 표 5에 표시하였다.
5 L 발효조에서 온도에 따른 에리쓰리톨의 생성
온도(℃) 수율(%) 잔존포도당(%)
26 25.4 2.4
28 32.3 0.0
30 38.5 0.0
32 37.7 0.0
34 32.2 1.0
(실시예 6)
배양방법 및 배지는 실시예 1과 같고 포도당 농도에 따른 비 성장속도 및 비 생산속도를 살펴본 결과를 표 6에 표시하였다.
포도당 농도에 따른 균체의 비 성장속도 및 에리쓰리톨의 비 생산속도
포도당 농도(%) 삼투압(Osm/kg) 비 성장속도(h-1) 비 생산속도(g/g-h)
10 0.52 0.126 0.050
15 0.79 0.119 0.072
20 0.99 0.110 0.098
25 1.31 0.108 0.113
30 1.56 0.093 0.126
35 1.80 0.079 0.108
40 2.08 0.058 0.088
(실시예 7)
배양방법 및 배지는 실시예 2과 같고 KCl 농도에 따른 비 성장속도 및 비 생산속도를 살펴본 결과를 표 7에 표시하였다.
KCl 농도에 따른 균체의 비 성장속도 및 에리쓰리톨의 비 생산속도
KCl 농도(M) 삼투압(Osm/kg) 비 성장속도(h-1) 비 생산속도(g/g-h)
0.00 0.79 0.120 0.072
0.27 1.07 0.116 0.098
0.48 1.38 0.110 0.120
0.62 1.66 0.100 0.126
0.69 1.82 0.088 0.102
0.84 2.08 0.062 0.087
(실시예 8)
배양방법 및 배지는 실시예 3과 같고 NaCl 농도에 따른 비 성장속도 및 비 생산속도를 살펴본 결과를 표 8에 표시하였다.
NaCl 농도에 따른 균체의 비 성장속도 및 에리쓰리톨의 비 생산속도
NaCl 농도(M) 삼투압(Osm/kg) 비 성장속도(h-1) 비 생산속도(g/g-h)
0.00 0.79 0.120 0.072
0.27 1.07 0.115 0.096
0.47 1.37 0.109 0.117
0.61 1.64 0.098 0.123
0.68 1.80 0.085 0.098
0.82 2.06 0.060 0.084
(실시예 9)
종 배양은 실시예 1과 같고 본배양의 경우는 포도당 농도 조절부분만 틀리고 나머지 부분은 실시예 1과 같다. 유지되는 포도당 농도의 에리쓰리톨에 대한 효과는 총 첨가된 포도당이 40%가 되게하여 살펴보았다. 배양액의 부피는 144∼288 g의 포도당이 포함된 1.8L에서 912∼1056 g 포도당이 포함된 1.2L 용액을 연속적으로 추가하여 1200 g의 포도당이 포함된 3.0L로 증가시켰다. 포도당의 농도를 조절하는 것은 추가 용액의 펌프의 속도로 효과적으로 할 수 있었고 그 농도는 7.0∼9.0%, 9.0∼11.0%, 11.0∼13.0%, 13.0∼15.0%, 15.0∼17.0%의 범위 안에서 변화하여 각각에 대하여 8.0%, 10.0%, 12.0%, 14.0%, 16.0%의 조절된 포도당의 농도로 정하였다. 포도당 농도를 처음부터 가능한 한 일정하게 유지 시켜 유지되는 포도당의 농도가 에리쓰리톨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표 9와 같다.
유지되는 포도당 농도가 에리쓰리톨 생산에 미치는 영향
포도당 농도(%) 삼투압(Osm/kg) 에리쓰리톨(%) 발효시간(h)
8.0 0.49 16.7 104
10.0 0.63 20.8 90
12.0 0.78 20.0 86
14.0 0.93 18.2 84
16.0 1.09 15.6 96
(실시예 10)
배양방법은 실시예 1과 같고 30% 포도당과 2.0% 효모추출물, 0.5% KH2PO4와 0.02% MgSO4·7H2O을 사용하여 30℃, pH 5.5에서 5 L 발효조를 사용한 결과를 표 10에 나타내었다.
5 L 발효조에서 회분식 배양법에 의한 30% 포도당으로부터 시간별 에리쓰리톨의 생성
배양시간(h) 균체농도(g/L) 포도당(g/L) 에리쓰리톨(g/L)
0 0.3 300 0
14 7.5 269 5
20 10.2 248 12
27 12.0 225 20
40 14.2 174 47
54 15.7 123 79
67 16.8 70 109
83 17.3 19 143
90 17.5 0 160
(실시예 11)
배양조건은 실시예 10과 같고 배지부피는 초기배지 1.8 L에 추가배지 1.2 L를 20시간부터 공급하여 최종적으로 3 L가 되었다. 초기배지는 포도당 180 g, 효모추출물 80 g, KH2PO415 g 및 MgSO4·7H2O 0.6 g이었고 추가배지는 포도당 1020 g과 NaCl 60 g이었다. 성장과정에는 삼투압을 0.7 Osm/kg 이하로 유지하여 균체 증식을 시킨후 포도당 농도를 10.0% 정도로 일정하게 유지시키고 함께 NaCl을 첨가시켜 포도당의 농도가 감소하는 부분에서 NaCl로 삼투압을 어느정도 유지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포도당과 NaCl을 추가하는 유가식 배양한 결과를 표 10에 나타내었다.
5 L 발효조에서 유가식 배양법에 의한 40% 포도당으로부터 시간별 에리쓰리톨의 생성
배양시간(h) 균체농도(g/L) 포도당(g/L) 에리쓰리톨(g/L)
0 0.3 100 0
6 4.2 91 0
12 15.2 77 15
20 18.0 46 40
20.1 16.9 100 37.5
30 18.8 108 71
40 19.8 100 100
55 20.9 92 152
67 21.3 28 192
72 21.5 0 212
본 발명의 효과는 부산물을 생산하지 않고 에리쓰리톨만 생산하는 장점을 지닌 피키아 속 미생물을 포도당 용액 배지로부터 분리하고 돌연변이 시킨 결과 높은 에리쓰리톨의 수율과 생산성을 나타내어, 이 신균주를 에리쓰리톨 생산에 사용하였다. 또한, 신균주를 배양과정 중에 배지내의 삼투압을 조절하면 고수율, 고생산성의 에리쓰리톨이 생산 제공된다.

Claims (5)

  1. 피키아 (Pichia) 속 신균주(기탁번호 KCCM-10129호)를 YM 배지에서 종배양시키고, 포도당 10∼50%, 효모추출물 0.2∼3.0%, 염화나트륨 0∼5%, 염화칼륨 0∼5%를 함유하는 에리쓰리톨 생산 배지에서 pH를 4.5∼6.5, 배양온도를 27∼33℃로 배양하면서 삼투압을 조절시킴을 특징으로하는 고수율, 고생산성의 에리쓰리톨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배양과정 중에 0.2∼0.7 Osm/kg의 저삼투압 조건에서 미생물을 성장시킨 후 0.8∼1.0 Osm/kg의 고삼투압 조건으로 변화시키는 2단계 배양법을 사용함 특징으로 하는 에리쓰리톨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배지내의 0.8∼1.0 Osm/kg의 삼투압 조건을 유지시키기 위하여 발효배지 내에 포도당과 염화나트륨 또는 염화칼륨을 연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첨가하여 포도당의 농도를 8∼16%, 염화나트륨의 농도를 0∼5% 및 염화칼륨의 농도를 0∼5%로 유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에리쓰리톨의 제조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에리쓰리톨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하여 포도당의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포도당과 함께 염화나트륨 또는 염화칼륨을 함께 첨가함을 특징으로 하는 에리쓰리톨의 제조방법
  5. 에리쓰리톨을 생산하는 피키아 (Pichia) 속 신균주 (KCCM-10129호)
KR1019980037486A 1998-09-11 1998-09-11 피키아속신균주에의한에리쓰리톨의제조방법 KR1002995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7486A KR100299544B1 (ko) 1998-09-11 1998-09-11 피키아속신균주에의한에리쓰리톨의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7486A KR100299544B1 (ko) 1998-09-11 1998-09-11 피키아속신균주에의한에리쓰리톨의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9404A KR20000019404A (ko) 2000-04-06
KR100299544B1 true KR100299544B1 (ko) 2001-11-30

Family

ID=19550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7486A KR100299544B1 (ko) 1998-09-11 1998-09-11 피키아속신균주에의한에리쓰리톨의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95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04733A (zh) * 2018-12-18 2019-03-22 浙江华康药业股份有限公司 一种赤藓糖醇的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9404A (ko) 2000-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7936B1 (ko) 오레오베이시디움속의 신규 미생물 및 그 취득방법과 이 균주를 사용한 에리쓰리톨의 제조방법
US5998181A (en) Fermentation process for preparing xylitol using Candida tropicalis
US5686277A (en) Fermentation process for preparing xylitol using mutant cells
KR100271137B1 (ko) 신규 미생물 트리코스포로노이데스 마디다 디에스911 및 이 균주를 이용한 에리스리톨의 제조방법
KR100246820B1 (ko) 신균주 트리고높시스 배리아빌리스에 의한 에리쓰리톨의 제조방법
KR100277489B1 (ko) 칸디다 속의 내염성 돌연변이주 및 이를 이용한 에리트리톨의 생산방법
KR100299544B1 (ko) 피키아속신균주에의한에리쓰리톨의제조방법
NO147927B (no) Anordning for aa skille fra hverandre to medier som befinner seg i hvert sitt rom paa hver sin side av en ringformet aapning mellom to deler som er bevegelige i forhold til hverandre
US6270815B1 (en) Fermentation process for preparing erythritol using mother liquor produced from purification process of palatinose
US6001616A (en) Process for preparing erythritol using novel cell of pichia
US6528290B1 (en) Candida magnoliae producing mannitol and fermentation method for producing mannitol
KR100434518B1 (ko) 신균주 슈도지마 츄쿠밴시스에 의한 에리스리톨의 발효제조방법
RU2096461C1 (ru) Штамм дрожжей yarrowia lipolytica - продуцент лимонной кислоты и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лимонной кислоты
EP1092781B1 (en) Fermentation process for preparing erythritol by a high salt tolerant mutant of candida sp.
US6316245B1 (en) Mutant cells of Pichia
KR100339277B1 (ko) 배양조건 최적화를 통한 에리스리톨의 제조방법
KR100355846B1 (ko) 팔라티노스 정제과정 중 발생되는 모액을 이용한에리스리톨의 제조방법
KR100364105B1 (ko) 배지 농도 및 배양 조건 최적화를 통한 에리스리톨의제조방법
KR0175497B1 (ko) 산화환원 전위조절에 의한 자일리톨의 제조방법
RU2001949C1 (ru) Штамм гриба TRICHODERMA REESEI - продуцент целлюлолитических ферментов
RU2088665C1 (ru) Штамм гриба aspergillus niger-продуцент лимонной кислоты
JP3600803B2 (ja) マンニトール生成菌株カンジダ・マグノリア及びこれを使用したマンニトールの発酵製造方法
RU2088658C1 (ru) Штамм гриба aspergillus niger - продуцент лимонной кислоты
RU2077573C1 (ru) Штамм дрожжей hansenula species - продуцент кормовой биомассы
RU2092557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посевного материала для производства лимонной кислот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0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